KR200410844Y1 - 블라인드부재 및 이를 구비한 롤스크린 - Google Patents

블라인드부재 및 이를 구비한 롤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844Y1
KR200410844Y1 KR2020050037259U KR20050037259U KR200410844Y1 KR 200410844 Y1 KR200410844 Y1 KR 200410844Y1 KR 2020050037259 U KR2020050037259 U KR 2020050037259U KR 20050037259 U KR20050037259 U KR 20050037259U KR 200410844 Y1 KR200410844 Y1 KR 200410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member
coating layer
diisocyanate
substrate film
b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7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원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보
Priority to KR2020050037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8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8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3Structure or support of upper box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블라인드부재 및 이를 구비한 롤스크린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부재는, 제1기재필름과, 상기 제1기재필름의 일면에는 광선택성을 갖도록 도포되는 안료코팅층과, 상기 제1기재필름과 대향하여 상기 안료코팅층을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기재필름을 향한 면에는 외부광을 반사하는 금속증착부를 구비한 제2기재필름과, 상기 제1기재필름과 제2기재필름과의 합착을 위하여 그 사이에 개재되는 투명점착층과, 상기 제1기재필름의 안료코팅층이 도포된 면의 반대면에는 눈부심을 예방하는 안티글래어재를 구비하고, 외력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부재는 외부광으로부터 오는 자외선 및 적외선을 차단하고, 열방출을 막아 단열에 의한 에너지의 절감 효과를 가지며, 이물이나 외력에 의한 스크래치 손상을 방지하고 오염된 부분의 세척이 용이하다. 또한 장시간 태양광에 노출되어 변색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내광성이 우수하다. 한편, 조사되는 태양광의 일부를 반사시켜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는 반면, 내부에서 외부를 볼 수 있어 사생활보호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블라인드부재 및 이를 구비한 롤스크린{Blind member and roll screen therewith}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재의 일부절재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재의 일부절재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블라인드부재를 구비한 롤스크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재를 구비한 버티칼 블라인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재를 구비한 횡블라인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블라인드 부재의 VLT에 의한 IR 차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 따른 블라인드 부재의 내광성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고안은 블라인드부재 및 이를 구비한 롤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선의 일부를 차광하여 유해한 자외선 및 적외선의 실내유입을 방지하고, 동시에 실내에서 실외의 풍경을 조망할 수 있는 블라인드부재 및 롤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블라인드부재는 유리창의 실내측에서 차광막을 상하로 왕복이동되거나 수평으로 이동되어 유리창을 통해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거나 실외로부터 실내가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6950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56733호 등에는 다양한 롤스크린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롤스크린은 태양광을 차단하는 블라인드부재와 상기 블라인드부재를 감거나 풀어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회전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한 구동부 및 상기 블라인드부재, 회전수단 및 구동부를 내장하여 유리창의 벽면이나 천장에 고정설치되는 작동몸체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롤스크린은 상기 블라인드부재가 불투명한 부재이기 때문에 상기 롤스크린을 펼쳐 장착한 경우 실외의 경치가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72975호에서는 투명필름을 무 광택 표면처리하여, 그 필름에 빔프로젝터 및 영상 슬라이드등의 광원을 투사하여 앞,뒤면으로 맺히게 하여주는 스크린이 개시되고 있으나, 단순히 투과율을 50~80%정도의 범위로 한정하여 자외선의 실내유입 및 동시에 실내에서 실외의 풍경을 조망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태양광선에 포함된 자외선을 대부분 차단하면서 실내에서 실외의 경치를 감상할 수 있도록 차광필름을 유리창에 부착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차광필름을 유리창에 부착된 경우에는 차광필름이 반영구적으로 유리창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차광이 필요하지 않은 야간이나 실외가 어두운 경우에도 차광필름을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특히, 차광을 위해 차광필름은 착색되거나 금속으로 코팅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점은 더욱 대두된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첫번째 기술적 과제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자외선 및 적외선을 차단하고, 또한 내부의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되, 동시에 외부의 경치도 조망이 가능한 블라인드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두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블라인드부재를 구비한 롤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세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블라인드부재를 구비한 버티칼 블라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1기재필름과, 상기 제1기재필름의 일면에는 광선택성을 갖도록 도포되는 안료코팅층과, 상기 제1기재필름과 대향하여 상기 안료코팅층을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기재필름을 향한 면에는 외부광을 반사하는 금속증착부를 구비한 제2기재필름과, 상기 제1기재필름과 제2기재필름과의 합착을 위하여 그 사이에 개재되는 투명점착층과, 상기 제1기재필름의 안료코팅층이 도포된 면의 반대면에는 눈부심을 예방하는 안티글래어재를 구비하고, 외력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태양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블라인드부재와, 상기 블라인드부재를 감거나 풀어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도록 상기 블라인드부재를 일 측부에 결합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한 구동부 및 상기 블라인드부재, 회전수단 및 구동부를 내장하여 유리창의 벽면이나 천장에 고정설치되는 작동몸체를 포함하는 롤스크린을 제공한다.
아울러, 실내커튼레일과, 상기 실내커튼레일의 하부에 일자형의 형성된 그루부와, 상기 그루부에 구비되되, 왕복운동을 할 수 있는 복수개의 캐리어이동부와, 상기 캐리어이동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블라인드부재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블라인드부재를 지지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클립을 포함하는 버티컬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부재는 기존의 실내 장식에만 머물고 외부입사광을 차단하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해한 자외선 및 적외선을 차단하고, 또한 외부의 경치도 조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태양광으로부터 지속적인 열을 받아 블라인드부재가 열변형될 수 있는 단점을 보강할 수 있는 향상된 내광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나, 본 고안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는 블라인드부재의 일부절제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그 순서대로 살펴보면, 블라인드부재(100)는 베이스필름으로서 제1기재필름(150)과 그 하부에는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안티글래어재를 구비한 하드코팅층(160)이 구비되고, 상기 제1기재필름(150)의 상부에는 안료코팅층(140)이 구비된다. 또한, 외부광의 일부를 반사하는 금속증착부(120)를 구비한 제2기재필름(110)이 최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기재필름(150)과 제2기재필름(110)과의 사이에는 상기 제1,2기재필름(150,110)의 합착고정을 위하여 투명점착층(130)이 개재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사용되는 제1기재필름(150)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 리스티렌 또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의 사이즈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두께는 용도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안료코팅층(140)은 유해한 태양광선을 흡수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안료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안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카본블랙, 안트라퀴논, 프탈로시아닌 블루, 디아조스, 모노아조스, 피란트론, 페릴렌, 퀴나크리돈 및 인디고이드계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카본블랙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원하는 색조를 조절하기 위하여 블루 또는 레드 안료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료코팅층(140)은 히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 바인더를 포함하는데, 상기 히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 바인더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니트로 셀룰로즈의 혼합물이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경질 모노머와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를 공중합하여 제조된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아크릴레이트이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20000∼3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미만인 때에는 아크릴 바인더의 열 및 압력에 대한 내성이 너무 약해져서 블록킹(blocking)이 발생할 수 있고, 30000을 초과하는 때에는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작업성이 나빠질 수 있다. 상기 경질모노머와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비는 몰비로서 1:1∼5:1인 것이 바람직한데,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이소시아네 이트 화합물과의 우레탄 결합이 줄어들게 되고 그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안료와의 상용성 등 최종적인 바인더의 물성이 열악해질 염려가 있다.
한편, 상기 니트로 셀룰로즈는 최종적인 바인더의 코팅 후 건조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에 대한 니트로 셀룰로즈의 혼합 비율은 30∼40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30중량% 미만인 때에는 코팅 후 건조성 및 내열성이 떨어질 염려가 있고, 4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물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30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한데,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경우 탄소수가 30을 초과하게 되면 점성이 높아질 염려가 있고,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경우 탄소수가 14를 초과한 때에는 스테릭 힌드런스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적합한 사슬형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는 2개의 NCO기가 직선사슬 또는 분기사슬형 알킬렌기와 결합된 구조를 지닌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이다. 예를 들면,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메틸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메틸부탄-1,4-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헵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에스테르(LDI), 옥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5-디 메틸헥산-1,6-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노나메틸 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산-1,6-디이소시아네이트, 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운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는 고리구조를 지닌 알킬렌기와 2개의 NCO기가 결합된 구조를 지닌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이며 이들의 예로서는, 시클로헥산-1,2-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1,3-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1,4-디이소시아네이트, 1-메틸시클로헥산-2,4-디이소시아네이트, 1-메틸시클로헥산-2,6-디이소시아네이트, 1-에틸시클로헥산-2,4-디이소시아네이트, 4,5-디메틸시클로헥산-1,3-디이소시아네이트, 1,2-디메틸시클로헥산-ω,ω'-디이소시아네이트, 1,4-디메틸시클로헥산-ω,ω'-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틸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디메틸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디시클로헥실 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이소시아나토시클로헥산), 이소프로필리덴 비스(4-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IPCI), 1,3-비스(이소시아니토메틸)시클로헥산, 할로겐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HTDI), 할로겐화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HXDI), 노르보르난디이소시아나토메틸(NBDI)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페닐렌 기, 알킬치환 페닐렌기, 아랄킬렌기 또는 방향족기함유 탄화수소기 등의 방향족 기와 2개의 NCO기가 결합된 구조를 지닌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이며, 이들의 예로서는, 1,3- 및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메틸-2,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TDI), 1-메틸-2,6-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2,6-TDI), 1-메틸-2,5-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메틸-3,5-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에틸-2,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이소프로필-2,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디메틸-2,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디메틸-4,6-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디메틸-2,5-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m-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에틸벤젠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프로필벤젠 디이소시아네이트, 1-메틸-3,5-디에틸벤젠-2,4-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틸-1,5-디에틸벤젠-2,4-디이소시아네이트, 1,3,5-트리에틸벤젠-2,4-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1,5-디이소시아네이트, 1-메틸나프탈렌-1,5-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2,6-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2,7-디이소시아네이트, 1,1-디나프틸-2,2'-디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2,4'-디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1-이소시아나토-1-메틸에틸)벤젠, 3,3'-디메틸비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MDI), 디페닐메탄-2,2'-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XDI), 플루오렌-2,7-디이소시아네이트, 안트라퀴논-2,6-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1,6,11-운데카 트리이소시아네이트, 1,8-디이소시아네이트-4-이소시아네이트메틸 옥탄, 1,3,6-헥사메틸렌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 메틸렌 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안료코팅층에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는 이액형으로서, 히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 바인더와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반응함으로써 우레탄 결합을 이루게 되며, 안료가 상기 가교된 우레탄결합 내에 정착됨으로써 내용제성이 대폭 향상되기 때문에, 유기용매에 의해 안료가 용출되는 현상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 자체의 내광성이 우수하며 안료와의 상용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내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인더 수지가 안료와의 상용성이 좋은 이유는 우레탄 결합에 존재하는 극성 작용기의 역할로 인해 안료와의 상호작용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안료코팅층은 안료의 용출현상이 없고, 안료와 바인더의 뛰어난 상호작용에 의해 안료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으며 태양광 등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색바램 현상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본 고안에 사용되는 안료코팅층에는 내광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별도로 내광성 강화제를 더 포함시킬 수 있는데, 상기 내광성 강화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Irganox 245DW (Ciba-Geigy사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1기재필름(150)의 하부에는 하드코팅층(16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하드코팅층(160)은 사용하는 도중에 여러 형태의 외력을 받을 수 있어 이에 의한 스크래치에 의한 손상의 방지를 위해 요구되는 것이다. 상기 하드코팅층(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티글래어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안티글래어재는 안티클래어 를 위한 부재인데, 안티글래어란 외부 입사광을 표면에서 산란시키고, 필름의 주변 환경이 표면에 비추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안티글래어재는 상기 하드코팅층(160)에 구비되어 미세한 요철(미도시)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요철은 그 크기나 요철들간의 피치(Pitch)에 대하여 외광의 난반사가 발생될 수 있는 형상인 한, 어떤 것이라도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실리카(SiO2)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는 1㎛이상 10 ㎛이하의 직경으로 형성되는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일 수 있다. 상기 실리카의 직경이 1㎛ 미만이면 물성적으로 경도(hardness)를 나타낼 수 없고, 10 ㎛ 를 초과하면 기재필름의 불량원인인 뒤틀림(curling) 현상이 발생되고, 헤이즈(haze)가 상승하여 기재필름의 투명성이 떨어진다.
또한, 도 1에는 안티글래어재를 구비한 하드코팅층(160)이 제1기재필름(150)의 하부에만 형성되어 있으나, 제2기재필름(110)의 상부에 더 구비되어도 본 고안의 사상적 범위내에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하드코팅층(160)은 딥 코팅법, 에어 나이프법, 커튼 코팅법, 롤러 코팅법, 와이어 바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등에서 선택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티글래어재는 하드코팅층에 구비되어 하나의 층을 이루지만 별개의 층으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을 구성하는 소재로는 바인더로서 다양한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는데,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록산계 폴리머 이외에 올리고머(Oligomer)와 같은 자외선 경화 수지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2기재필름(110)의 하부에는 외부광의 일부를 반사하는 금속증착부(1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2기재필름(110)은 상기 제1기재필름으로 사용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고, 그 사이즈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두께는 용도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2기재필름(110)의 하부에는 금속증착부(120)가 형성되는데, 금속증착부(120)는 외부광의 일부를 반사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금속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데, 알루미늄, 구리, 니켈 또는 아연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자외선 영역에서는 우수한 반사도를 가지며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우수한 투과도를 갖는 알루미늄으로 증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속증착부(120)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실외의 전자파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증착부(120)를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화학기상증착법(CVD), 물리기상증착법(PVD)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증착부(120)에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을 사용함으로써 태양열을 차단에 의한 단열효과 및 외부에서 내부로의 투시를 방지하여 사생활을 보호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내부에서 외부로의 시야를 깨끗이 보이게 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금속증착부(120)가 제2기재필름(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나,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제2기재필름(110)의 상부에 구비되어도 동일한 역할을 하는 범위내에서는 무관하다 하겠다.
한편, 상기 제1,2기재필름(150,110)간의 합착을 위하여 그 사이에 투명점착 층(130)이 개재된다. 이러한 투명점착층(130)은 다양한 접착수단이 사용될 수 있는데, 감압성 접착제, 감압성 접착제, 자착제일 수 있다. 감압성 접착제는 당업계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계, 고무계, 폴리비닐에테르계, 실리콘계 등 각종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릴계의 감압성 접착제로는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와, 중합성 불포화카르본산 또는 수산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모노머, 또는 공중합성 비닐모노머를 유기 용제 중에서 공중합시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투명점착층에 사용되는 감열성 접착제란, 상온에서는 접착성이 없으나, 가열에 의해서 접착성을 발휘하는 접착제를 말하는데, 핫멜트 접착제 혹은 히트 시일제라고도 불리운다. 상기 감열성 접착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로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고무계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고무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합체 등을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착제란 평평하고 매끄러운 면을 가지는 피접착체에 대하여, 접착제(자착제)면과의 매끄러운면 끼리의 기밀성을 이용하여 접착이 가능하며, 또한 접착시이트 자신 및 피접착체를 오염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가 있으며, 다시 반복해서 접착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자착제 역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연질 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블라인드부재의 일부절제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순서대로 살펴보면,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에서와 같이 하드코팅층(260), 제1기재필름(250), 안료코팅층(240), 투명점착층(230), 금속증착부(220), 제2기재필름(210)이 순차로 적층된 것이외에 제2기재필름(210)의 상부에 하드코팅층(206)이 더 적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하드코팅층(206)에 대한 설명은 도 1에서 설명된 부분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도 1에서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블라인드부재를 구비한 롤스크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롤스크린(500)은 그 외주면에 차양을 위한 스크린(550)이 감긴 회전봉(530)과, 벽체 또는 창문틀 상부에 장착되며, 가이드 레일홈이 형성된 설치대(510)와, 상기 설치대(510)의 양측 가이드 레일홈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봉(530)의 양단을 거치하기 위한 지지대(520)와, 상기 설치대(510)의 일측 지지대(52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봉(5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540)와, 상기 구동부(54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볼체인(57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대(510)의 일측 레일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봉(530)을 가리기 위한 가리개(58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스크린(550)은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난 블라인드부재로써 구성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블라인드부재를 갖는 롤스크린 (500)는 야간에는 내부가 외부로부터 노출될 수 있어, 도 4에 도시한 롤스크린(300')을 상기 롤스크린(500)의 전방이나 후방에 설치하여 이중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블라인드부재를 갖는 버티컬 블라인드의 일부확대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부재를 갖는 버티컬 블라인드(300)는 실내커튼레일(310)과, 상기 실내커튼레일(310)의 하부에 일자형으로 형성된 그루부(320)와, 상기 그루부에 구비되되, 그루부(320)를 따라 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는 복수개의 캐리어이동부(330)와, 상기 캐리어이동부(330)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블라인드부재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블라인드부재를 지지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클립(3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실내커튼레일(310)은 상기 블라인드부재(350)가 실내에서 유리창가까이에 대향하여 펼쳐지도록 유리창 근방의 벽면이나 천정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실내커튼레일(310)의 하부에는 상기 캐리어이동부(330)가 직선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움푹 들어간 형태의 그루부(32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이동부(330)는 상기 커튼레일(310)의 그루부(320)를 따라 캐리어이동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캐리어이동수단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용이한 조작으로 이동할 수 있는 보조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바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캐리어이동부(330)와 블라인드부재(350)와의 연결을 위하여 클립(340)이 구비되는 데, 이러한 클립(340)은 캐리어이동부(330)에 그 일부가 매립설치되고, 클립(340)의 나머지 일부가 캐리어이동부(330)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캐리어이동부(33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블라인드부재(350)에 타공결합된다. 또한, 클립회전수단(미도시)이 상기 클립(340)에 연동되게 연결되어 블라인드부재(35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클립회전수단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용이한 조작으로 회전할 수 있는 보조수단을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바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블라인드부재를 갖는 버티컬 블라인드(300)는 야간에는 내부가 외부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노출로부터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하여 도 3의 롤스크린(300')을 상기 버티컬 블라인드(300)의 전방이나 후방에 부설할 수 있다.
상기 롤스크린(300')을 간략히 살펴보면, 롤하우스(360)이 구비되어 회전봉(미도시)을 지지회전하도록 하고, 회전봉의 회전축으로 하여 스크린(380)이 감기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회전봉을 중심으로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상하조절줄(370)을 구비하여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크린(38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스크린(380)이 수직하방으로 스크린이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무게봉(390)을 스크린의 하단에 고정하되,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스크린은 야간에는 내부가 외부로부터 노출될 수 있고, 이런한 노출로부터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할 수 있는 것이므로, 불투명한 재료인 한 특별히 한정할 필요가 없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블라인드부재를 갖는 횡블라인드 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르는 블라인드부재를 구비한 횡블라인드(400)는 작동 몸체(410)에 회전축(420)과 함께 고정 및 유동로울러(430,440)가 설치되고, 블라인드부재(450)의 하단양측에 연결된 상하조절줄(460)이 상기 고정 및 유동로울러(430,440) 사이에 끼워지게 되어 블라인드부재(450)는 상하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부재(450)가 차단각도조절줄(470)에 의해 상기 회전축(420)에 연동되게 연결되며, 이 회전축(420)의 일측에는 워엄기어(490)를 통하여 차단각도조절봉(480)이 설치되어 있어서 블라인드부재(450)를 소정의 각도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라인드부재(450)의 하강, 상승하는 경우에 고정 및 유동로울러(430,440)의 움직임에 관하여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바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블라인드부재를 갖는 횡블라인드(400)는 야간에는 내부가 외부로부터 노출될 수 있어, 도 3에 도시한 롤스크린(300')을 상기 횡블라인드(400)의 전방이나 후방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롤스크린은 야간에는 내부가 외부로부터 노출될 수 있고, 이런한 노출로부터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할 수 있는 것이므로, 불투명한 재료인 한 특별히 한정할 필요가 없다.
실시예 1
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의 1:1(몰비)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25000) 100중량부와 니트로 셀룰로오즈 60중량부를 혼합한 아크릴 바인더 55kg; 카본블랙 10kg, 프탈로시아닌 블루 3.5kg 및 버밀리언레드 1.5kg으로 이루어진 안료 15kg에 희석용제로서 톨루엔:메틸에틸케톤:에틸아세테이트(질량비 4:4:2) 혼합용매 59.1kg을 혼합한 다음,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체(일본폴리우레탄공업사 제조, Coronate HX, 이소시아네이트기 함량 21.3%) 7kg, 경화촉진제로서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하나이화사 제조, TL-100) 1.6phr을 사용하여 안료코팅층 형성용 조성물(고형분 21%)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기재필름으로서 두께 25㎛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PET필름의 하부에 라인 스피드 30m/min으로 그라비아코팅을 사용하고 상기 안료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10㎛의 두께로 코팅하여 건조시켜서 안료코팅층이 적층된 제1기재필름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우인켐텍 제조, WA-9236) 30kg, 멜라민 경화제(우인켐텍 제조, M60) 1.2phr,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시바스페셜티 케미칼스 코리아 제조, TINUVIN 384-2) 1.5 phr을 에틸아세테이트 및 톨루엔의 질량비 4:6의 혼합용매 26.3kg에 혼입하여 고형분 24%의 투명점착층 및 투명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라인 스피드 40m/min의 콤마 코팅법을 사용하여, 상기 안료코팅층의 하부에 11㎛의 두께로 코팅하고 건조시켜 투명접착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19㎛의 PET 기재필름상에 알루미늄을 진공증착하여 금속증착부(OD 0.2)가 형성된 제2기재필름을 제작하여 상기 금속증착부와 상기 투명접착층을 합지시켰다. 마지막으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ay사 제조, UC-150H) 20kg을 에틸아세테이트 및 톨루엔의 질량비 5:5의 혼합용매 13kg에 혼입하고, 입자크기 3㎛의 실리카 500g을 자동 배합기(한양산업기계)를 이용하여 150 RPM , 15 분간 혼합하여 고형분 30%의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라인 스피드 40m/min의 그라비어 코팅법을 사용하여, 상기 19㎛의PET 기재필름의 하부에 2㎛의 두께로 코팅하고 건조시켜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여 블라인드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ay사 제조, UC-150H) 20kg을 에틸아세테이트 및 톨루엔의 질량비 5:5의 혼합용매 13kg에 혼입하고, 입자크기 3㎛의 실리카 500g을 자동 배합기(한양산업기계)를 이용하여 150 RPM , 15 분간 혼합하여 고형분 30%의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라인 스피드 40m/min의 그라비어 코팅법을 사용하여, 상기 19㎛의PET 기재필름의 상부에 2㎛의 두께로 코팅하고 건조시킨 후에 상기 고형분 30%의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사용하여 라인 스피드 40m/min의 그라비어 코팅법을 사용하여, 상기 25㎛의 PET 기재필름의 상부에 2㎛의 두께로 코팅하여 층을 형성한 과정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블라인드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디메틸렌레프탈레이트 및 디에틸렌글리콜에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0.05중량% 첨가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고, 1,4-비스(2,6-디메틸아닐린)안트라퀴논을 전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하여 1000PPM 이 되도록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함께 사출기에서 혼합하여 마스타 벳치 염료칩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염료칩과 염료를 혼합하지 않은 수지를 1:5의 비율로 혼합하여 필름 성형공정에 투입하고, 건조, 냉각, 연신, 열처리 공정을 거쳐 블라인드부재를 제조하였 다.
시험예 1
VLT에 따른 IR 차단율 테스트
자외선 스펙트로미터(Shimadzu사 제조, UV-3101PC)를 사용하고 KS L 2514에 의거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블라인드부재에 대하여 VLT(Visible Light Transmission)에 따른 IR 차단율을 테스트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블라인드부재에 대하여, VLT에 따른 IR 차단율을 도 6에 도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블라인드부재의 경우에는 바인더의 양에 대한 안료의 사용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VLT를 변화시켰으며, 비교예 1에서는 염료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VLT를 변화시켰다. 본 결과를 참조하면, 비교예 1에 따른 블라인드부재의 IR 차단율은 VLT에 의존하지 않고 통상 16∼18%에 불과하는데 반해,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부재의 IR 차단율은 VLT에 따라 20%에서 77%까지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차단율을 임의로 조절하기 용이하며, 높은 IR 차단율이 필요한 경우에는 77%까지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IR 차단율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VLT 70 60 50 40 30 20 10 5
IR 차단율 20 25 32 38 45 55 68 77
비교예 1 VLT 70 60 50 40 30 20 10 5
IR 차단율 16 16 16 17 17 17 18 18
시험예 2
내광성 테스트
가속 내후성 시험기(Accelerated Weathering Tester, Q-PANEL사 제조, QUV/SE)를 사용하여 테스트 조건을 60±3℃, 45±5%의 상대습도 하에서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블라인드부재을 100시간 내지 3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색차계(Datacolor사 제조, SF-600PLUS)를 사용하고, ASTM G 53, ASTM E308에 의거하여 내광성을 테스트하여,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부재의 내광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부재는 외부에서 유입된는 유해한 자외선 및 적외선을 차단하여 에너지 절감을 할 수 있는 단열도 가능하도록 하되, 동시에 조사되는 태양광의 일부를 반사시켜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는 반면, 내부에서 외부가 보여서 사생활보호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제1기재필름;
    상기 제1기재필름의 상부에는 광선택성을 갖도록 도포되는 안료코팅층;
    상기 제1기재필름과 대향하여 상기 안료코팅층을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기재필름을 향한 면에는 외부광을 반사하는 금속증착부를 구비한 제2기재필름;
    상기 제1기재필름과 제2기재필름과의 합착을 위하여 그 사이에 개재되는 투명점착층;
    상기 제1기재필름의 안료코팅층이 도포된 면의 반대면에는 눈부심을 예방하는 안티글래어재를 구비하고, 외력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재필름의 금속증착부가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는 눈부심을 예방하는 안티글래어재를 구비하고, 외력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부재.
  3. 태양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블라인드부재;
    상기 블라인드부재를 감거나 풀어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도록 상기 블라인드부 재를 일 측부에 결합하는 회전수단;
    상기 회전수단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한 구동부; 및
    상기 블라인드부재, 회전수단 및 구동부를 내장하여 유리창의 벽면이나 천장에 고정설치되는 작동몸체;를 포함하는 롤스크린.
  4. 유리창 벽면이나 천장에 고정설치되는 실내커튼레일;
    상기 실내커튼레일의 하부에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이동가이드의 역할을 하는 그루부;
    상기 그루부에 구비되되, 왕복운동을 할 수 있는 복수개의 캐리어이동부;
    상기 캐리어이동부에 각각 연결되고,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블라인드부재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블라인드부재를 지지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클립;을 포함하는 버티컬 블라인드.
KR2020050037259U 2005-12-30 2005-12-30 블라인드부재 및 이를 구비한 롤스크린 KR200410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259U KR200410844Y1 (ko) 2005-12-30 2005-12-30 블라인드부재 및 이를 구비한 롤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259U KR200410844Y1 (ko) 2005-12-30 2005-12-30 블라인드부재 및 이를 구비한 롤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844Y1 true KR200410844Y1 (ko) 2006-03-08

Family

ID=41761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7259U KR200410844Y1 (ko) 2005-12-30 2005-12-30 블라인드부재 및 이를 구비한 롤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844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693B1 (ko) * 2009-11-24 2012-04-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동 환기 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창호
KR101136866B1 (ko) * 2009-11-24 2012-04-2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중 개폐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창호
KR101173175B1 (ko) * 2010-02-17 2012-08-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
KR101227422B1 (ko) * 2012-02-13 2013-01-29 한국단열스크린 주식회사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
KR20130109019A (ko) * 2010-06-23 2013-10-07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건축물 개구용 플라스틱 이중셀 덮개
KR200473595Y1 (ko) * 2013-03-15 2014-07-11 조영대 투명 블라인드
KR101568371B1 (ko) 2014-02-11 2015-11-12 주식회사 인솔텍 롤 블라인드형 단열장치
KR102154502B1 (ko) * 2020-03-04 2020-09-10 성치헌 하드코팅 필름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693B1 (ko) * 2009-11-24 2012-04-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동 환기 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창호
KR101136866B1 (ko) * 2009-11-24 2012-04-2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중 개폐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창호
KR101173175B1 (ko) * 2010-02-17 2012-08-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
KR20130109019A (ko) * 2010-06-23 2013-10-07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건축물 개구용 플라스틱 이중셀 덮개
US10030436B2 (en) 2010-06-23 2018-07-24 Hunter Douglas Inc. Plastic double-cell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KR101884730B1 (ko) * 2010-06-23 2018-08-02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건축물 개구용 플라스틱 이중셀 덮개
KR101227422B1 (ko) * 2012-02-13 2013-01-29 한국단열스크린 주식회사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
KR200473595Y1 (ko) * 2013-03-15 2014-07-11 조영대 투명 블라인드
KR101568371B1 (ko) 2014-02-11 2015-11-12 주식회사 인솔텍 롤 블라인드형 단열장치
KR102154502B1 (ko) * 2020-03-04 2020-09-10 성치헌 하드코팅 필름
WO2021177629A3 (ko) * 2020-03-04 2021-10-28 Sung Chihun 하드코팅 필름
EP4116092A4 (en) * 2020-03-04 2023-08-09 Sung, Chihun HARD COATING FIL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844Y1 (ko) 블라인드부재 및 이를 구비한 롤스크린
EP1133391B1 (en) Thermochromic devices
US6547390B1 (en) Top stabilized photochromic lens system
KR101989771B1 (ko) 코팅제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시트
CN102741714A (zh) 光学体、制造其的方法、窗构件、建具和遮阳装置
US20160017165A1 (en) Surface coating based on crosslinkable fluoropolymers
JP2008070708A (ja) 反射防止・近赤外線遮断フィルタ、こ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光学フィルタ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EP3589710A1 (en) High performance photocurable optically clear adhesive
US11208576B2 (en) High performance photocurable optically clear adhesive
JPWO2020203957A1 (ja)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材、並びに表面保護層用樹脂組成物
JP6111646B2 (ja) 採光装置、建物
JPH1077360A (ja) 熱線遮蔽用組成物および熱線遮蔽材
KR100642723B1 (ko) 착색필름
US7132465B2 (en) Near-infrared absorbing coat film and near-infrared absorbing resin composition
JP3380817B2 (ja) 積層樹脂フィルム
KR102147151B1 (ko) 열차단 조성물
US20150224752A1 (en) Laminate and surface protection plate
JP3597184B2 (ja) 積層樹脂フィルム及び積層体
KR20040030500A (ko) 개선된 투명 접착 시트
US20220010181A1 (en) Decorative film for vehicle exterior
US10676665B2 (en) Outdoor color-changeable film having self-recovering properties
JP2021055375A (ja) 化粧材
CN111393698A (zh) 一种反光材料用高耐候柔软薄膜的制作方法
JP5740828B2 (ja)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板
KR20210068220A (ko) 내후성이 개선된 데코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