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175B1 -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 - Google Patents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175B1
KR101173175B1 KR1020100014202A KR20100014202A KR101173175B1 KR 101173175 B1 KR101173175 B1 KR 101173175B1 KR 1020100014202 A KR1020100014202 A KR 1020100014202A KR 20100014202 A KR20100014202 A KR 20100014202A KR 101173175 B1 KR101173175 B1 KR 101173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blind
heat
blinds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4652A (ko
Inventor
장철용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14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17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4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17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을 이루는 메인 프레임에 제1 창호가 틸팅 또는 터닝 방식으로 모두 여닫힘 가능하게 고정하여, 실내외 조건에 따라 제1 창호의 개방 방식을 달리하여 좀더 효과적으로 실내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창호가 제1 창호에 터닝 방식으로 여닫힘 가능하게 이중 창을 이루도록 구성하고, 제1 창호와 제1 창호로부터 여닫힘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창호 사이의 공간부에 블라인드를 설치함으로써, 블라인드 보수 및 내부 청소가 가능하며, 블라인드의 차폐판의 양쪽 측면에 각각 열흡수층과 열반사층을 형성하여 창호를 통해 유입 및 유출되는 열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DOUBLE VENT SYSTEM BLIND WINDOW}
본 발명은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창호가 틸팅 및 터닝 방식으로 여닫히는 좀더 자유롭게 실내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고, 창호들 사이에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창호를 통해 발생하는 건축물의 열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건축물에 있어 창호는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키는 벽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태양광과 신선한 외부 공기의 공급 통로가 되며, 실내의 사람에게 조망감과 개방감을 느끼게 해주는 필수 구성 요소이다.
그러나, 창호를 통한 유출입되는 열적인 손실은 단열 벽체에 비하여 십여 배에서 수십 배에 달하는바, 이는 냉난방비 증가 요인이 되어 건축물의 유지관리 비용을 상승시키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창호의 단열과 방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진공창과 같은 고성능 단열창이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고가인 까닭에 창호에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건축물의 창호에는 최소한의 단열과 방음을 위하여 두장의 유리를 겹친 페어 글라스라고도 불리는 단순한 2겹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반 투명 유리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종래 창호의 경우에는 직사광을 차폐하기 위하여 건축물내의 창호에 인접하여 블라인드 등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나, 창호를 구성하는 창을 열 경우 상기 블라인드가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휘날리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블라인드 경우 단순히 직사광을 차폐하는 기능 이외에 열을 흡수 또는 반사하는 기능성을 갖추고 있지 않아 창호를 통해 발생하는 건축물의 열적 손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가 틸팅 및 터닝 방식으로 각각 여닫히도록 하여 실내 환기가 좀더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서로 개폐 가능한 창호들 사이에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창호를 통해 발생하는 건축물의 열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는, 창틀을 이루는 메인 프레임; 메인 프레임의 내측에서 틸팅 및 터닝 방식으로 각각 여닫힘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1 창호; 상기 제1 창호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창호 일측에 터닝 방식으로 여닫힘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2 창호; 및 상기 제1 창호과 상기 제2 창호 사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블라인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라인드는 상기 제1 창호의 창틀 상측에 고정되는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로부터 조절선에 의해 하측으로 펼쳐지며 승, 하강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서로의 간격 및 틸팅각이 조절되는 다수의 차폐판들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판들은 일측에 태양열을 반사하기 위한 열반사층이 구비되고, 타일측에는 상기 태양열을 흡수하기 위한 열흡수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열흡수층은 상기 차폐판의 일면에 부착되는 열흡수필름층; 및 상기 열흡수필름층을 덮는 경화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반사층은 상기 차폐판의 타 일측면에 부착되는 열반사필름층; 상기 열반사필름층 상에 형성되는 UV코팅층; 및 상기 UV코팅층을 덮는 경화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는 상기 차폐판들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게 형성되는 횡형 블라인드이거나, 또는 상기 차폐판들이 수직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종형 블라인드인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선은 상기 제1 창호의 창틀을 관통하는 조절 통공을 통해 실내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실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실외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실외창 주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 그릴이 형성되고, 상기 환기 그릴은 환기 플레이트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에 따르면, 창틀을 이루는 메인 프레임에 제1 창호가 틸팅 또는 터닝 방식으로 모두 여닫힘 가능하게 고정하여, 실내외 조건에 따라 제1 창호의 개방 방식을 달리하여 좀더 효과적으로 실내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는 제2 창호가 제1 창호에 터닝 방식으로 여닫힘 가능하게 이중 창을 이루도록 구성하고, 제1 창호와 제1 창호로부터 여닫힘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창호 사이의 공간부에 블라인드를 설치함으로써, 블라인드 보수 및 내부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 개폐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창호에 따르면, 블라인드의 차폐판의 양쪽 측면에 각각 열흡수층과 열반사층을 형성하여 창호를 통해 유입 및 유출되는 열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의 틸팅 방식 개폐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의 턴닝 방식 개폐 상태를 도시한 사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잘라서 본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따라 잘라서 본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의 닫힘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1 힌지 및 제2 힌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블라인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블라인드의 차폐판 측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에 도시한 블라인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개폐 가능한 블라인드 창호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블라인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0에 도시한 블라인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의 틸팅 방식 개폐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의 턴닝 방식 개폐 상태를 도시한 사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잘라서 본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의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따라 잘라서 본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의 닫힘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1; 이하, 블라인드 창호라 한다)는 메인 프레임(10), 제1 창호(30), 제2 창호(40) 및 블라인드(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 프레임(10)은 블라인드 창호를 고정하는 전체 창틀을 이루도록 건축물의 개구부에 끼워져 고정 설치된다.
제1 창호(30)는 메인 프레임(10)의 실내측에서 일측 상, 하부가 제1 힌지(33) 및 제2 힌지(34)에 의해 틸팅 또는 터닝 방식으로 모두 여닫힘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5는 도 1의 제1 힌지 및 제2 힌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힌지(33) 및 제2 힌지(34)는 고정부(33a, 34a), 제1 가동부(33b, 34b), 제2 가동부(33c, 34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33a, 34a)는 메인 프레임(10)에 고정되며, 제1 가동부(33b, 34b)는 고정부(33a, 34a)에 끼워져 제1 방향(Y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제2 가동부(33c, 34c)는 제1 가동부(33b, 34b)에 끼워져 제2 방향(Z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제1 힌지(33)는 제2 힌지(34)와 비교하여 제1 창호(30)가 틸팅 방식으로 개폐시 제1 창호(30)의 상부를 고정하는 제2 가동부(33c)에 2절 링크(33d)가 더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창호(30)는,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힌지(34)를 중심으로 제1 힌지(33)의 2절 링크(33d)가 펼쳐지며 제2 가동부(33c)가 회전하여 틸팅 방식으로 개폐된다(도1 참조)
또한, 제1 창호(30)는,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힌지(33) 및 제2 힌지(34)의 제1 가동부(33b, 34b)를 중심으로 제2 가동부(33c, 34c)가 회동하면서 턴닝 방식으로 개폐된다(도 2 및 도3 참조)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창호(30)는 타일측에 형성된 제1 고정 수단(34)에 의해 메인 프레임(10)의 실내측에서 열거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창호(40)는 제1 창호(30)로부터 터닝 방식으로 여닫힘 가능하게 제1 창호(30) 실외측에 제3 힌지(43)및 제4 힌지(44)로 고정되어 설치된다.
제3 힌지(43) 및 제4 힌지(44)는 일반적인 터닝 방식으로 여닫힘 가능하게 고정되는 모든 형태의 힌지가 적용 가능하며, 이에 대한 좀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2 창호(40)는 타일측에 형성된 제2 고정 수단(44)에 의해 제1 창호를 열거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고정 수단(34, 44)은 작동 손잡이(34a, 44a)와, 이 작동 손잡이(34a, 44a)에 의해 회동되는 걸림 고리(34b, 44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제1 창호(30)와 제2 창호(40) 사이에는 단열 및 소음 차폐를 위한 소정의 제1 공간부(S1)가 형성되며, 이 제1 공간부(S1)에는 상기한 블라인드(1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는 제1 창호(30), 제2 창호(40) 및 블라인더(100)가 이중 블라인드 창호인 하나의 단위 실내창(20)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창호와 블라인더가 일체로 형성된 제1 창호를 틸팅 또는 턴닝 방식으로 열어 실내창을 개방하여 실내 환기가 좀더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 프레임(10)의 실외측에는 실내창(20)과의 사이에 밀폐 가능한 제2 공간부(S2)를 형성할 수 있도록 실외창(5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외창(50)은 두 장의 유리(51)를 겹친 페어 글라스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내창(20)과 제2 공간부(S2)를 형성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창(20)의 제1 창호(30)와의 사이에서 제2 창호(40)에 의해 밀폐 가능한 제1 공간부(S1)를 형성함과 아울러 실외창(50)과의 사이에서 실내창(20)에 의해 밀폐 가능한 제2 공간부(S2)를 형성함으로써 좀더 효과적으로 단열 및 차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의 실외측에 실외창(50)이 더 형성되는 경우 실내창(20) 즉, 제1 창호(30)을 개방하여 실내 환기를 이룰 수 있도록 실외창(50) 가장자리부에 환기 그릴(11, 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환기 그릴(11, 12)은 그릴 개폐 수단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그릴 개폐 수단은 플레이트(15)와, 이 플레이트(15)를 연결하는 가동바(16), 및 가동바(16)를 연결되는 가동 모터(17)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그릴 개폐 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면 가능하다.
그리고, 블라인드(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창호(30) 및 제2 창호(40)가 이루는 제1 공간부(S1) 내에 설치되어 본 실시예의 블라인드 창호(1)를 통해 유출입되는 열을 반사 및 흡수하여 건축물의 열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광전환형 블라인드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전환형 블라인드(100)는 복수의 차폐판들(120)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횡형 블라인드인 것을 예시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한 본 실시예에 따른 횡형 블라인드(100)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4의 블라인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횡형 블라인드(100)는 고정대(110), 차폐판(120) 및 조절 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횡형 블라인드(100)는 제1 창호(30)와 제2 창호(40) 사이의 제1 공간부(S1)에 고정되는 블라인드 고정틀(101) 내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차폐판들(120)이 블라이드 고정틀(101)에 형성된 가이드 홈(미도시)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며 펼쳐지게 된다.
고정대(110)는 블라인드 고정틀(101) 상부에 끼워져 블라인드 고정틀(101)과 일체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대(110)의 하측으로 연결선들(115)에 의해 이동 프레임(140)이 연결되고, 고정대(110)와 이동 프레임(140) 사이에서 다수개의 차폐판들(120)이 연결선들(115)에 의해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나란하게(Y축 방향) 연결된다.
한편, 고정대(110) 내부에서는 연결선들(115)을 당기거나 회전시켜 차폐판들(120) 사이의 수직 간격 및 틸팅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 수단(13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 수단(130)은 상기한 조절선(131, 132)에 의해 차폐판들(120)의 수직 간격 및 틸팅각을 조절하도록 회전축(미도시)과, 회전축 상에 설치되어 연결선들(115)이 권취되는 권취롤(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조절선(131, 132)은 차폐판들(120)의 상하 이동 및 이들 사이의 수직 간격 조절하는 간격 조절선(131)과, 차폐판들(120)의 틸팅각 조절(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0°~ 180°사이에서 회전)을 위한 틸팅각 조절선(132)으로 이루어진다.
간격 조절선(131)과 틸팅각 조절선(132)은 메인 프레임(10)의 제1 창호(30)의 창틀 상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조절 통공들(35)을 통해 건축물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건축물 내부의 재실자는 간격 조절선(131)과 틸팅각 조절선(132)을 조작하여 횡형 블라인드(100)의 차폐판들(120)의 수직 간격 및 틸팅각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모트컨트롤러(미도시)를 이용하여 간격 조절선(131) 및 틸팅각 조절선(132)에 연결된 각각의 구동 모터들(미도시)을 가동 제어하여 차폐판들(120)의 간격 및 틸팅각을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블라인드의 차폐판 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차폐판들(120)의 차폐판 판넬(121)의 일면에는 열흡수층(125)이 형성되고, 타일측면에는 열반사층(128)이 형성된다.
열흡수층(125)은 차폐판 판넬(121)의 일측면에서 접착층(122), 열흡수필름층(123) 및 경화코팅층(12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접착층(122)은 열흡수필름층(123)을 차폐판 판넬(121)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열흡수필름층(123)은 암모늄 염료, 아미늄 염료, 디이모늄 염료 중 선택된 하나를 용해시킨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염료들은 적외선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진다.
그리고, 경화코팅층(124)은 열흡수필름층(123) 상에 도포되어, 상기 차폐판(120)의 일면이 이물질에 의해 긁혀 열흡수필름층(12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열판사층(128)은 차폐판 판넬(121) 타일면에는 접착층(122), 열반사필름층(126), UV코팅층(127) 및 제2 경화코팅층(124)이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된다.
여기서, 접착층(122)은 차폐판 판넬(121)에 열반사필름층(126)을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열반사필름층(126)은 빛을 반사하고 단열성능을 갖는 메탈라이징 코팅이 된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UV코팅층(127)은 상기 열반사필름층(127) 상부에 도포되어, 자외선을 차단시킨다.
그리고, 경화코팅층(128)은 UV코팅층(127) 상부에 도포되어, 상기 차폐판(120)의 타면이 이물질에 의해 긁히는 것을 방지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6에 도시한 블라인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건축물 내부의 재실자가 메인 프레임 내부에 설치된 횡형 블라인드(100)의 간격 조절선(131)을 이용해 차폐판들(120)의 수직 방향의 간격을 조절한다.
그리고, 틸팅각 조절선(132)을 돌려 차폐판들(120)의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틸팅되는 각도를 조절한다.
이처럼, 간격 조절선(131)에 의한 차폐판들(120) 사이의 간격 및 틸팅각 조절선(132)에 의한 차폐판들(120)의 간격 조절을 통해 건축물의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햇볕이 강한 여름철에는 틸팅각 조절선(132)을 이용해 열반사층(128)이 형성된 차폐판(120)의 일측이 건축물의 외측을 향하도록 틸팅시켜, 창호를 통해 건축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열을 반사시켜 차단하도록 한다.
또한, 겨울철에는 틸팅각 조절선(132)을 이용해 열흡수층(125)이 형성된 차폐판의 타일측 건축물의 외측을 향하도록 틸팅되어, 열흡수층(128)가 창호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열을 흡수하고 아울러 실내에서 실외로 빠져나가는 열을 차폐판(120)의 일측면에 형성된 열반사층(128)이 반사시켜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및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개폐 가능한 블라인드 창호의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블라인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창호와 제2 창호 사이의 제1 공간부에 형성된 블라인드의 차폐판들(220)이 수직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종형 블라인드(200)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상기한 종형 블라인드(200)는 고정대(210), 차폐판(220), 및 제2 조절 수단(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대(210)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창호(30)의 내측에 위치하는 블라인드 고정틀(101) 상측 내부에 끼워져 일체로 고정 설치된다.
차폐판들(220)은 고정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선(21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조절 수단(230)에 의해 차폐판들 사이의 수평 간격 및 틸팅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 수단(230)은 차폐판들(220)의 수평 간격 및 틸팅각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선들(231, 2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절선(231, 232)은 차폐판들(120)의 상하 이동 및 이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선(231)과, 차폐판들(120)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0°~ 180°사이에서 회전시켜 틸팅각을 조절하는 틸팅각 조절선(232)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간격 조절선(231)과 틸팅각 조절선(232)은 제1 창호(30)의 창틀(31) 상측을 관통하는 조절 통공들(35)을 통해 건축물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차폐판들(120)의 제1 실시예의 차폐판과 동일하게 차폐판 판넬(221)의 일면에는 열흡수층(225)이 형성되고, 타 일측면에는 열반사층(228)이 형성된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0에 도시한 블라인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재실자는 종형 블라인드(200)의 간격 조절선(231)을 이용해 차폐판들(120)을 블라인드 고정틀(101)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들 사이의 수평 간격을 조절하고, 틸팅각 조절선(232)을 돌려 차폐판들(120)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틸팅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건축물의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의 광량을 조절함과 아울러 차폐판들(220) 양측에 형성된 열흡수층(225) 및 열반사층(228)을 이용해 건축물의 내부로 유입 및 유출되는 열을 흡수 또는 반사시켜 열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블라인드 창호 10: 메인 프레임
20: 실내창 30: 제1 창호
40: 제2 창호 50: 실외창
100: 블라인드(횡형) 101: 블라인드 고정틀
110: 고정대 111: 제2 체결 돌기
115: 연결선 120: 차폐판
130: 조절수단 131: 간격 조절선
132: 틸팅각 조절선 140: 이동 프레임
200: 블라인드(종형) 210: 고정대
215: 연결선 220: 차폐판
230: 조절수단 231: 간격 조절선
232: 틸팅각 조절선 240: 이동 프레임

Claims (8)

  1. 창틀을 이루는 메인 프레임;
    메인 프레임의 내측에서 틸팅 또는 터닝 방식으로 모두 여닫힘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1 창호;
    상기 제1 창호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창호 일측에 터닝 방식으로 여닫힘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2 창호;
    상기 메인 프레임의 실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실외창;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실외창 주위로 환기 플레이트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 그릴; 및
    상기 제1 창호과 상기 제2 창호 사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블라인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라인드는,
    상기 제1 창호의 창틀 상측에 고정되는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로부터 상기 제1 창호의 창틀을 관통하는 조절 통공을 통해 실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조절선에 의해 하측으로 펼쳐지며 승, 하강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서로의 간격 및 틸팅각이 조절되는 다수의 차폐판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차폐판들은,
    일측면에 태양열을 흡수하기 위한 열흡수층이 구비되고,
    타 일면에는 상기 태양열을 반사시키기 위한 열반사층이 구비되며,

    상기 열흡수층은,
    암모늄 염료, 아미늄 염료, 디이모늄 염료 중 선택된 하나를 용해시킨 필름을 상기 차폐판의 일면에 부착하여 형성한 열흡수필름층; 및
    상기 열흡수필름층을 덮는 경화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열반사층은,
    메탈라이징 코팅이 된 필름을 상기 차폐판의 타 일측면에 부착하여 형성한 열반사필름층;
    상기 열반사필름층 상에 형성되는 UV코팅층; 및
    상기 UV코팅층을 덮는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블라인드는,
    상기 차폐판들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게 형성되는 횡형 블라인드인 것을 포함하는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
  5. 제1항에서,
    상기 블라인드는,
    상기 차폐판들이 수직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종형 블라인드인 것을 포함하는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00014202A 2010-02-17 2010-02-17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 Expired - Fee Related KR101173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202A KR101173175B1 (ko) 2010-02-17 2010-02-17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202A KR101173175B1 (ko) 2010-02-17 2010-02-17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652A KR20110094652A (ko) 2011-08-24
KR101173175B1 true KR101173175B1 (ko) 2012-08-13

Family

ID=44930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20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73175B1 (ko) 2010-02-17 2010-02-17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1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363B1 (ko) * 2012-04-19 2013-11-11 윤정식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KR101326440B1 (ko) * 2012-06-04 2013-11-08 윤정식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KR101707473B1 (ko) * 2016-06-30 2017-02-20 (주) 더베스트이앤씨 발코니창문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844Y1 (ko) * 2005-12-30 2006-03-08 주식회사 상보 블라인드부재 및 이를 구비한 롤스크린
JP2007085082A (ja) * 2005-09-22 2007-04-05 Ryozo Kimihira ブラインド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5082A (ja) * 2005-09-22 2007-04-05 Ryozo Kimihira ブラインド装置
KR200410844Y1 (ko) * 2005-12-30 2006-03-08 주식회사 상보 블라인드부재 및 이를 구비한 롤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652A (ko)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866B1 (ko) 이중 개폐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창호
US20090272037A1 (en) Jalousie window with insulating louvers
KR101130693B1 (ko) 자동 환기 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창호
KR101592403B1 (ko) 블라인드가 내장된 창호
KR20110057373A (ko)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블라인드 창호
KR101173175B1 (ko)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
KR102002110B1 (ko) 단열 강화 유리가 구비된 루버 창호
KR101352018B1 (ko) 전천후 이동식 블라인드 내장형 친환경 디자인 창호
WO2017151064A1 (en) External blind in a glazed housing
KR101774002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JP3629673B2 (ja) 建物のガラス壁面の構造
US8820010B2 (en) Jalousie window with daylighting and shading shelf
KR20170112167A (ko) 창문 일체형 차양장치
JP6184095B2 (ja) 住宅内外の中間領域創出構造
KR101774003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KR20160120640A (ko) 창호 시스템
JPS6243113Y2 (ko)
KR102216414B1 (ko)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EP2989277B1 (en) Window privacy screen
KR101763385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KR101255086B1 (ko) 창호
KR20180088031A (ko) 커튼 내장형 창호
KR101210516B1 (ko) 차양겸용 셔터를 가지는 통합창호
KR100711769B1 (ko) 블라인드
CN112814546A (zh) 一种隐框式百叶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