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609Y1 -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609Y1
KR200409609Y1 KR2020050032564U KR20050032564U KR200409609Y1 KR 200409609 Y1 KR200409609 Y1 KR 200409609Y1 KR 2020050032564 U KR2020050032564 U KR 2020050032564U KR 20050032564 U KR20050032564 U KR 20050032564U KR 200409609 Y1 KR200409609 Y1 KR 200409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pitch
rod
feed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경
Original Assignee
삼도프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도프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도프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2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6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6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30B15/302Feeding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to mould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16Control arrangements for fluid-driven presses
    • B30B15/166Electrical control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스 상에서 피가공물을 이송시키는 피더 시스템에 있어서 프레스 가공 중 피가공물의 피치 길이를 두 가지로 자동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스의 운전에 따라 반복적으로 승강 하는 구동로드(100)와; 프레스 몸체(6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회동에 따라 피가공물을 이송시키는 피더기구(200)와; 상기 구동로드(100)의 하단과 상기 피더기구(200)를 연결하여 상기 피더기구(200)를 회동시키는 종동로드(300)와; 일측이 프레스 몸체(600)의 힌지점(6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구동로드(100)의 하단에 연결된 제1링크(410)와; 일측이 상기 힌지점(6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2링크(420)와; 상단이 상기 종동로드(300)의 중단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제2링크(420)의 자유단에 연결된 제3링크(430)와; 상기 몸체(600)에 고정된 유압실린더(51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승강 가능하며, 상단이 상기 제2링크(420)의 중단에 연결된 피치조절로드(500)로 구성되어, 프레스 가공 도중 피치 조절을 위하여 프레스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프레스, 피치, 링크, 로드, 피더

Description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Feeder system for controlling a pitch of press}
도 1은 본 고안의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에 대한 설치 부위를
도시하는 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에 있어서 피치조절로드가
하강한 경우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에 있어서 피치조절로드가
상승한 경우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에 있어서 피치조절로드가
하강한 경우의 요부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에 있어서 피치조절로드가
상승한 경우의 요부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구동로드 200 : 피더기구
210 : 가이드레일 220 : 가이드브래킷
230 : 피더축 240 : 피더로드
300 : 종동로드 410 : 제1링크
420 : 제2링크 430 : 제3링크
500 : 피치조절로드 510 : 유압실린더
520 : 승강패널 521 : 완충부재
530 : 브래킷 540 : 고정패널
541 : 하측 스토퍼 550 : 하측 적층블록
560 : 수직바 561 : 상측 스토퍼
570 : 상측 적층블록 600 : 몸체
610 : 힌지점
본 고안은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스 상에서 피가공물을 이송시키는 피더 시스템에 있어서 프레스 가공 중 피가공물의 피치 길이를 두 가지로 자동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써, 프레스 가공 도중 피치 조절을 위하여 프레스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는 재료에 힘을 가하여 소성 변형시켜 굽힘·전단·단면수축 등의 가공을 하는 기계를 말하며, 프레스 가공을 간단히 프레스라고도 한다.
프레스 가공의 대표적인 예는, 주로 금속판에 압축력을 가하여 소성 변형시켜 여러 모양을 만들어낸 것으로 시계·카메라의 정밀부품에서부터 자동차의 차체에 이르기까지 광범하게 이용되며, 이러한 프레스 가공의 재료로는 강판·동판·황동판·알루미늄판은 물론 플라스틱·섬유 등도 사용되고, 프레스 가공의 특징으로는 특별히 가열하지 않고 가공할 수 있고, 짧은 시간에 정확한 치수 ·모양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교환성이 있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프레스에 마련된 피더(feeder)는 프레스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이용하여 피가공물을 프레스에 공급하거나 혹은, 가공되고 있는 피가공물을 프레스 상에서 이송시키는 장치를 총칭한다.
그러나, 종래의 프레스에 마련된 통상적인 피더 시스템은 프레스의 1회 타공에 따른 피가공물의 이동 거리인 피치를 조절하고자 할 때, 프레스를 정지시켜야만 피치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교적 긴 길이의 피치를 이용하여 적은 가공 횟수로 가공이 가능하더라도 피가공물 상의 제품 길이가 맞아떨어지지 않을 경우 불가피하게 짧은 피치를 이용하여 많은 가공 횟수로 가공해야만 함으로써, 프레스 가공이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스 상에서 피가공물을 이송시키는 피더 시스템을 개선하여 프레스 가공 중 피가공물의 이송 피치 길이를 두 가지로 자동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프레스 가공 도중 피치 조절을 위하여 프레스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프레스의 운전에 따라 반복적으로 승강 하는 구동로드와; 프레스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회동에 따라 피가공물을 이송시키는 피더기구와; 상기 구동로드의 하단과 상기 피더기구를 연결하여 상기 피더기구를 회동시키는 종동로드와; 일측이 프레스 몸체의 힌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구동로드의 하단에 연결된 제1링크와; 일측이 상기 힌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2링크와; 상단이 상기 종동로드의 중단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제2링크의 자유단에 연결된 제3링크와; 상기 몸체에 고정된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승강 가능하며, 상단이 상기 제2링크의 중단에 연결된 피치조절로드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에 대한 설치 부위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에 있어서 피치조절로드가 하강한 경우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에 있어서 피치조절로드가 상승한 경우의 작동상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의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에 있어서 피치조절로드가 하강한 경우의 요부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에 있어서 피치조절로드가 상승한 경우의 요부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의 운전에 따라 반복적으로 승강 하는 구동로드(100)와; 프레스 몸체(6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회동에 따라 피가공물을 이송시키는 피더기구(200)와; 상기 구동로드(100)의 하단과 상기 피더기구(200)를 연결하여 상기 피더기구(200)를 회동시키는 종동로드(300)와; 일측이 프레스 몸체(600)의 힌지점(6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구동로드(100)의 하단에 연결된 제1링크(410)와; 일측이 상기 힌지점(6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2링크(420)와; 상단이 상기 종동로드(300)의 중단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제2링크(420)의 자유단에 연결된 제3링크(430)와; 상기 몸체(600)에 고정된 유압실린더(51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승강 가능하며, 상단이 상기 제2링크(420)의 중단에 연결된 피치조절로드(5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상에서 피가공물을 이송시키는 피더 시스템에 관한 것으 로,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레스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승강 하는 구동로드(100)와 피가공물을 프레스 상에서 이송시키는 피더기구(200)를 다수의 링크로 추가 연결함으로써, 프레스 가공 중 프레스를 정지시키지 않고도 피가공물의 이송 거리인 피치를 선택적으로 자동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로드(100)는 프레스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프레스의 1회 타발시 1회 승강 하는 강성이 높은 바(bar)형 구성요소인 것이다.
상기 구동로드(100)의 하단은 제1링크(410) 및 종동로드(30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 연결 중심점은 별도의 구조물에 지지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일측이 상기 구동로드(100) 및 종동로드(300)에 연결된 상기 제1링크(410)의 타측인 도면상 좌측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전방에 직립 고정되어 있는 판형의 몸체(600)에 지지된 핀(pin)형의 힌지점(6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함께, 상기 몸체(600)의 힌지점(610)에는 제2링크(420)의 도면상 좌측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링크(420)의 우측은 제3링크(430)의 하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3링크(430)의 상단은 상기 종동로드(300)의 중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링크(420)의 중단에는 상승 또는 하강한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 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스 몸체(600)에 고정된 유압실린더(510)에 의하여 승강 하는 피치조절로드(500)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프레스의 운전시 상기 구동로드(100)가 반복적으로 승 강 하면 상기 피치조절로드(500)에 의하여 구속되는 제2링크(420)를 제외하고, 상기 제1링크(410), 제3링크(430), 그리고 종동로드(300)는 일정한 궤적을 그리며 왕복운동을 하게됨으로써, 피더기구(200)를 통하여 피가공물을 프레스 상에서 소정의 피치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만약, 피가공물에 대한 이송 피치를 증감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유압실린더(510)를 통하여 피치조절로드(500)를 선택적으로 하강시키거나, 상승시켜 상기 제2링크(420)에 대한 중단 구속점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도 4 및 도 5와 같이 피가공물의 피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피치조절로드(500)를 상승시킬 경우 피가공물에 대한 이송 피치는 감소되며, 반대로 상기 피치조절로드(500)를 하강시킬 경우 피가공물에 대한 이송 피치는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피치조절로드(500)의 고정 높이에 따라 상기 제2링크(420)의 중단 지지점이 변경되어 그 구속위치가 변경됨으로써,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2링크(420)는 일시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링크(410)와 피더기구(200)는 동일 궤적 상에서 회동 각도가 협소해지거나 확장되는 반면, 상기 제3링크(430)와 종동로드(300)는 그 궤적 자체가 변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피더기구(200)는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호형 가이드레일(210)과; 상기 가이드레일(210)을 반경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감싸 지지하며 상기 종동로드(300)가 일측에 편심 연결된 가이드브래킷(220)과;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배면에 고정되어 프레스 몸체(6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피더축 (230)과; 상기 피더축(230)에 고정되어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왕복운동에 따라 프레스 상의 피가공물을 반복 이송시키는 피더로드(24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종동축(300)을 통하여 가이드브래킷(220)에 왕복 작동력이 전달될 경우, 가이드레일(210)과 피더축(230)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하여 정역 회전함으로써, 상기 피더로드(240)가 피더축(230)을 기준으로 소정 궤적 상에서 왕복 운동하면서 피가공물을 반복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가이드레일(210), 가이드브래킷(220), 피더축(230), 그리고 피더로드(240)를 부가함에 따라, 상기 피치조절로드(500)가 상승 또는 하강하더라도 상기 구동로드(100)가 하강한 상태, 즉 피더로드(240)가 피가공물을 이송시켜 도면상 우측으로 전진한 위치가 도 4의 (a)와 도 5의 (a)와 같이 항상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브래킷(220)이 소정의 반경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210)을 감싸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반경방향 유동은 제한하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피치조절로드(500)만이 승강 할 때에는 피더로드(240)가 유동하지 않도록 하고, 오직 상기 구동로드(100)의 승강시에만 피더로드(240)가 피가공물을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피더로드(240)는 일정한 궤적을 이루어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프레스 상의 피가공물을 연동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고안에 있어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치조절로드(500)의 상단에는 양측에 완충부재(521)가 상하로 마련된 수평한 승강패널(520)이 연결되고, 상기 제2링크(420)의 중단에는 상기 승강패널(520) 상측면에 고정된 브래킷(530)이 회동 가능하게 추가 연결되며, 상기 유압실린더(510)는 상측면에 소정 높이의 하측스토퍼(541)가 상기 완충부재(521)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고정패널(540)에 지지되되; 상기 고정패널(540)과 몸체(600) 사이에는, 두께 조절을 통하여 상기 피치조절로드(500)의 하한 높이를 조절하는 하측 적층블록(550)이 삽입되고; 상기 완충부재(521)에 대응하도록 하단에 상측 스토퍼(561)가 마련된 수직바(560)는, 두께 조절을 통하여 상기 피치조절로드(500)의 상한 높이를 조절하는 상측 적층블록(570)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600)에 고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피치조절로드(500)를 승강시키는 매개체인 유압실린더(510)는 상한 높이 및 하한 높이를 작업자 임의로 미세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피치조절로드(500)의 상한 높이와 하한 높이를 제한할 수 있는 상기한 별도의 구성요소를 부가하는 것이 본 고안에 있어서 양호하다.
즉,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치조절로드(500)의 상단에는 수평한 승강패널(520)을 고정하고, 상기 승강패널(520)의 양측 상하면에 각각 합성수지 계열의 완충부재(521)를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시키며, 상기 승강패널(520)의 중앙 상측면에는 상기 제2링크(420)의 중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래킷(530)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피치조절로드(500)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510)는 몸체(600)에 수평하게 지지된 고정패널(540)에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피치조절로드(500)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승강패널(520)과 브래킷(530)은 함께 승강하면서 상기 제2링크(420)의 중단 구속점을 승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피치조절로드(500)가 하강할 경우 도 4 및 도 6과 같이, 상기 승강패널(520)의 하측에 마련된 완충부재(521)에 대응하도록 상기 고정패널(540)의 양측에는 소정 높이의 하측 스토퍼(541)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피치조절로드(500)가 상승할 경우 도 5 및 도 7과 같이 상기 승강패널(520)의 상측에 마련된 완충부재(521)에 대응하도록 상측 스토퍼(561)가 마련된 소정 길이의 수직바(560)가 상기 몸체(600)에 지지되어 있다.
특히, 상기 고정패널(540)과 몸체(600) 사이에는 하측 적층블록(550)을 추가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하측 적층블록(550)에 대한 두께의 증감을 통하여 상기 승강패널(520)의 하한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수직바(560)의 몸체(600) 고정시에는, 상기 수직바(560)가 상측 적층블록(570)을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측 적층블록(570)에 대한 두께의 증감을 통하여 상기 승강패널(520)의 상한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승강패널(520)의 상한 높이 및 하한 높이를 임의로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510)에 의하여 피치조절로드(500)가 승강할 경우 그 상한 높이와 하한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피치조절로드(500)의 상한 높이는 작업자가 원하는 두 가지 피치 가운데 짧은 길이의 피치 B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피치조절로드(500)의 하한 높이는 작업자가 원하는 두 가지 피치 가운데 긴 길이의 피치 A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즉, 상기 피치조절로드(500)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피치 A로 프레스 가공 중 작업자가 원하는 1회 가공을 프레스를 정지시킬 필요 없이, 피치조절로드(500)를 상승시켜 피치 B로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에 대한 작동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프레스 가공 이전, 작업자가 원하는 두 가지 길이의 피치 A와 B를 설정한 후, 피치 A 및 B에 해당하도록 피치조절로드(500)의 상한 높이 및 하한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우선, 상기 피치조절로드(500)의 하한 높이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510)가 수축한 상태에서 하측 적층블록(550)의 두께를 적절하게 증감시킨 후, 상기 피치조절로드(500) 상단에 고정된 브래킷(530)을 제2링크(420)의 중단에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피치조절로드(500)의 상한 높이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510)가 신장하여 상기 피치조절로드(50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피치조절로드(500)에 마련된 승강패널(520)의 완충부재(521)가 수직바(560)의 상측 스토퍼(561)에 접촉하도록 한 후, 이러한 수직바(560)의 고정 높이를 프레스 몸체(600)에 지지된 플레이트 상에서 상측 적층블록(570)의 두께로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피치조절로드(500)의 상한 높이와 하한 높이를 세팅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피치 A와 B를 설정한 이후, 상기 유압실린더(510)를 통하여 피치조절로드(500)를 하강시킨 상태, 즉 하한 높이에서 프레스의 운전을 시작하게 된다.
프레스가 운전됨에 따라 구동로드(100)가 반복적으로 승강 하는 반면, 상기 피치조절로드(500)는 하강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제2링크(420)를 구속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구동로드(100)의 승강시 제1링크(410), 제3링크(430), 그리고 종동로드(300)가 도 4의 (a) 및 (b)와 같이 일정한 궤적 상에서 움직이면서 피더기구(200)의 가이드브래킷(220)을 피더축(230)을 중심으로 정역방향으로 반복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브래킷(220)에 연결된 가이드레일(210)은 자체적인 곡률과 상기 가이드브래킷(220)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의 곡률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브래킷(220)으로부터 전달되는 작동력을 피더축(230)을 통하여 피더로드(240)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피더로드(240)가 프레스 상의 피가공물을 비교적 긴 피치 A로 반복 이송시키는 것이다.
만약, 작업자가 프레스 상의 피가공물이 비교적 짧은 피치 B로 이송되기를 원하는 때에는 도 5 및 도 7과 같이 유압실린더(510)를 순간적으로 신장시켜 상기 피치조절로드(500)를 상승시키면, 상기 피치조절로드(500)에 마련된 승강패널(520)의 완충부재(521)가 상기 수직바(560)의 상측 스토퍼(561)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피치조절로드(500)는 상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피치조절로드(500)에 마련된 브래킷(530)이 상기 제2링크(420)의 중단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제2링크(420)의 구속점이 변함에 따라, 상기 제1링크(410)와 피더기구(200)는 동일한 궤적 상에서 회동 각도가 협소해지는 반면, 상기 제3링크(430)와 종동로드(300)는 그 궤적 자체가 변경된다.
이와 함께, 상기 종동로드(300)에 연결된 피더기구(200)의 가이드브래킷(220)은 가이드레일(210)을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반경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피치조절로드(500)의 상승시 피더축(230)과 피더로드(240)를 회동시키지는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로드(100)가 1회 승강 하면, 상기 피치조절로드(500)는 상승한 상태로 제2링크(420)를 구속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구동로드(100)의 승강시 제1링크(410), 제3링크(430), 그리고 종동로드(300)가 도 5의 (a) 및 (b)와 같이 움직이면서 피더기구(200)의 가이드브래킷(220)을 피더축(230)을 중심으로 정역방향으로 1회 왕복 회동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브래킷(220)에 연결된 가이드레일(210)은 자체적인 곡률과 상기 가이드브래킷(220)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의 곡률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브래킷(220)으로부터 전달되는 작동력을 피더축(230)을 통하여 피더로드(240)로 전달함으로써, 프레스 상의 피가공물은 비교적 짧은 피치 B로 이송되는 것이다.
즉, 프레스 가공시 피치 A로 피가공물을 이송시키던 도중 순간적인 1회 타공을 피치 B로 피가공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피가공물에 50cm의 길이로 제품이 배열되어 있으며, 피가공물을 20cm 이송시키는 피치가 A이고, 10cm 이송시키는 피치가 B라고 경우로 가정해보자.
이러한 경우, 기존의 프레스 피더 시스템에 있어서는 프레스 가공 중 프레스를 정지시키지 않고는 피치를 가변 시킬 수 없기 때문에, 10cm의 피치 B로 5회 가공을 해야만 50cm 길이의 피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다.
반면에, 본 고안의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의 경우, 20cm의 피치 A로 2회 가공 후, 피치조절로드(500)를 순간적으로 상승시켜 10cm의 피치 B로 1회 가공함에 따라 50cm 길이의 피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는 것으로, 기존에 비하여 2회의 타공 회수가 감소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피치조절로드(500)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510)의 신장 및 수축은 프레스의 콘트롤을 총괄하는 제어장치에 작업자가 미리 설정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경우, 구동로드(100)가 2회 승강 하는 동안에는 피치조절로드(500)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이 후, 나머지 1회 승강 하는 동안만 일시적으로 상기 피치조절로드(500)가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해 놓으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은 작업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두 가지 피치를 원하는 시점에 전환시킬 수 있음으로써, 프레스 가공시 가능한 한 긴 피치를 이용하여 적은 가공 횟수로도 피가공물로부터 제품을 대량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스 가공 회수는 물론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어 프레스에 대한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이 있는 고안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프레스 상에서 피가공물을 이송시키는 피더 시스템을 개선하여 프레스 가공 중 피가공물의 이송 피치 길이를 두 가지로 자동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프레스 가공 도중 피치 조절을 위하여 프레스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프레스의 운전에 따라 반복적으로 승강 하는 구동로드와;
    프레스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회동에 따라 피가공물을 이송시키는 피더기구와;
    상기 구동로드의 하단과 상기 피더기구를 연결하여 상기 피더기구를 회동시키는 종동로드와;
    일측이 프레스 몸체의 힌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구동로드의 하단에 연결된 제1링크와;
    일측이 상기 힌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2링크와;
    상단이 상기 종동로드의 중단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제2링크의 자유단에 연결된 제3링크와;
    상기 몸체에 고정된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승강 가능하며, 상단이 상기 제2링크의 중단에 연결된 피치조절로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기구는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호형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반경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감싸 지지하며 상기 종동로 드가 일측에 편심 연결된 가이드브래킷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배면에 고정되어 프레스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피더축과;
    상기 피더축에 고정되어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왕복운동에 따라 프레스 상의 피가공물을 반복 이송시키는 피더로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조절로드의 상단에는 양측에 완충부재가 상하로 마련된 수평한 승강패널이 연결되고, 상기 제2링크의 중단에는 상기 승강패널 상측면에 고정된 브래킷이 회동 가능하게 추가 연결되며,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측면에 소정 높이의 하측스토퍼가 상기 완충부재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고정패널에 지지되되;
    상기 고정패널과 몸체 사이에는, 두께 조절을 통하여 상기 피치조절로드의 하한 높이를 조절하는 하측 적층블록이 삽입되고;
    상기 완충부재에 대응하도록 하단에 상측 스토퍼가 마련된 수직바는, 두께 조절을 통하여 상기 피치조절로드의 상한 높이를 조절하는 상측 적층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
KR2020050032564U 2005-11-17 2005-11-17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 KR200409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564U KR200409609Y1 (ko) 2005-11-17 2005-11-17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564U KR200409609Y1 (ko) 2005-11-17 2005-11-17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609Y1 true KR200409609Y1 (ko) 2006-02-24

Family

ID=4175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564U KR200409609Y1 (ko) 2005-11-17 2005-11-17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6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353A (ko) 2017-09-15 2019-03-26 삼도프레스 주식회사 가변피치 서보피더를 구비한 프레스
CN117620023A (zh) * 2024-01-26 2024-03-01 四川鸿图实业有限公司 一种板材卷制进料机构及其构成的卷板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353A (ko) 2017-09-15 2019-03-26 삼도프레스 주식회사 가변피치 서보피더를 구비한 프레스
CN117620023A (zh) * 2024-01-26 2024-03-01 四川鸿图实业有限公司 一种板材卷制进料机构及其构成的卷板机
CN117620023B (zh) * 2024-01-26 2024-04-19 四川鸿图实业有限公司 一种板材卷制进料机构及其构成的卷板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15381B1 (en) Transfer device for transfer presses
CN107262563A (zh) 一种折弯机
CN202114169U (zh) 冲床自动送料机
CN103537578A (zh) 一种机械手取料机构
CN207275565U (zh) 一种设有定位装置的运输轨道
CN107717094A (zh) 一种能防止薄板料剪切变形的剪板机
KR101840605B1 (ko) 플라스틱 절곡기
CN202174185U (zh) 冲床自动送料装置
KR200409609Y1 (ko)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
CN109795868B (zh) 一种传送设备的辅助推料装置
KR101658986B1 (ko) 파이프 성형장치
CN206810948U (zh) 自动挡料落料模组件
US4783889A (en) Transfer machining system
CN101157107B (zh) 机械手冲压自动化生产传输过渡台
US6814272B2 (en) Nailing machine
KR20110077873A (ko) 건축용 패널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건축용 패널
EP0847849B1 (en) Press for moulding clay manufactured articles
KR20100000714U (ko) 롤포밍 이송 프레스 절단기
KR102316970B1 (ko) 타발 장비
CN215556857U (zh) 一种新型棒料上料机
CN208560766U (zh) 一种升降输送装置
CN219522357U (zh) 一种双边送料直冲裁断机
CN211440212U (zh) 一种横环刀数控裁切设备用海绵压架
FI70177C (fi) Foerfarande och apparat foer pressbearbetning av arbetsstycken
CN216728946U (zh) 一种金属材料弯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