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970B1 - 타발 장비 - Google Patents

타발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970B1
KR102316970B1 KR1020170088017A KR20170088017A KR102316970B1 KR 102316970 B1 KR102316970 B1 KR 102316970B1 KR 1020170088017 A KR1020170088017 A KR 1020170088017A KR 20170088017 A KR20170088017 A KR 20170088017A KR 102316970 B1 KR102316970 B1 KR 102316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osition compensation
upper press
tension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819A (ko
Inventor
김선규
권기선
김경섭
조현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9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819A/ko
Priority to KR1020210138498A priority patent/KR102460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8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 B21D43/09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by one or more pairs of rollers for feeding sheet or strip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03Regulation of tension or speed;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1Control or correction devices in association with mov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료가 감긴 상태에서 풀리는 언와인더와; 하부 다이와, 하부 다이 위에서 승강되는 상부 프레스 및 상부 프레스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갖고 상부 프레스가 하부 다이로 하강되어 하부 다이와 상부 프레스 사이의 재료를 타발하는 프레스 기기와; 언와인더에서 풀린 재료가 감긴 제1 위치보상롤러와; 제1위치보상롤러를 지난 재료를 하부 다이와 상부 프레스 사이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텐션롤러와; 하부 다이와 상부 프레스 사이를 통과하면서 타발된 재료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텐션롤러와; 적어도 하나의 제2텐션롤러를 지난 재료가 감기는 제2 위치보상롤러와; 제1 위치보상롤러와 제2 위치보상롤러를 직선 이동시키는 롤러 직선 이동기구와; 제2 위치보상롤러를 지난 재료가 감기는 와인더와; 언와인더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와, 와인더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와; 상부 프레스의 하강 개시 전과, 상기 상부 프레스가 하강되었다가 상승되는 동안 및 상부 프레스의 상승 완료 후에 제1모터와 제2모터 각각을 등속도로 연속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제1모터와 제2모터가 등속도로 연속 구동되는 동안 재료의 일부 영역이 이송되지 않고 정지인 상태이고, 프레스 기기가 재료 중 정지인 영역을 프레스하여 타발하므로, 재료 이송을 중단하는 시간이 필요하지 않고, 재료를 연속적으로 타발하면서 전체 타발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타발 장비{Pr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재료를 타발하는 타발 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 다이와 상부 프레스 사이를 통과하는 재료가 상부 프레스에 의해 타발되는 타발 장비에 관한 것이다.
타발 장비는 프레스 기기를 이용하여 재료를 특정 형상으로 가공하는 장비로서, 프레스 기기로 재료를 공급하면서 재료를 프레스 기기로 타발하고, 프레스 기기에서 타발된 재료를 프레스 기기 외부로 인출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타발 장비의 일예는 재료가 감겨있는 언와인더와, 언와인더에서 풀린 재료를 타발하는 프레스 기기와, 프레스 기기에서 타발된 재료가 감기는 와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타발 장비를 프레스 장치로 명명될 수 있고, 이러한 프레스 장치의 일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1658899 호(2016년09월13일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1658899 호(2016년09월13일 공고)의 프레스 장치는 프레스가 재료를 타발하는 속도에 맞춰 재료를 1피치씩 프레스에 공급하는 피더를 포함하고, 피더는 서로 교대로 동작되는 제1피더와 제2피더를 포함하며, 제1피더의 동작 후, 프레스가 타발하고, 프레스의 타발이 완료되면, 제2피더가 재료를 피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피더와 제2피더를 갖는 피더는 피더가 하나일 경우 보다 피딩 사이의 작업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1658899호(2016년09월13일 공고)의 피더는 재료를 1피치씩 프레스에 공급하고, 프레스가 재료를 타발하는 시간 동안 재료의 이송이 중단되며, 재료의 이송이 중단되는 시간만큼 전체 타발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피더가 제1피더와 제2피더를 모두 포함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제1피더와 제2피더가 재료를 잡고 이동시킬 때, 감속 구간이 발생되므로 재료의 텐션에 영향을 주고, 타발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658899 호(2016년09월13일 공고)
본 발명은 재료를 연속 타발하여 전체 타발 시간를 단축할 수 있고, 재료의 타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발 장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 재료를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타발할 수 있는 타발 장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발 장비는 재료가 감긴 상태에서 풀리는 언와인더와; 하부 다이와, 상기 하부 다이 위에서 승강되는 상부 프레스 및 상기 상부 프레스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갖고 상기 상부 프레스가 하부 다이로 하강되어 상기 하부 다이와 상부 프레스 사이의 재료를 타발하는 프레스 기기와; 상기 언와인더에서 풀린 재료가 감긴 제1 위치보상롤러와; 상기 제1위치보상롤러를 지난 재료를 상기 하부 다이와 상부 프레스 사이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텐션롤러와; 상기 하부 다이와 상부 프레스 사이를 통과하면서 타발된 재료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텐션롤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텐션롤러를 지난 재료가 감기는 제2 위치보상롤러와; 상기 제1 위치보상롤러와 제2 위치보상롤러를 직선 이동시키는 롤러 직선 이동기구와; 상기 제2 위치보상롤러를 지난 재료가 감기는 와인더와; 상기 재료를 이송시키는 피딩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스의 하강 개시 전과, 상기 상부 프레스가 하강되었다가 상승되는 동안 및 상기 상부 프레스의 상승 완료 후에 상기 피딩 롤러를 등속도로 연속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타발 장비는 상기 피딩 롤러를 등속도로 연속 구동하는 동안 상기 제1모터와 제2모터 각각을 등속도로 연속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직선 이동기구는 상기 제1 위치보상롤러와 제2 위치보상롤러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상기 제1 위치보상롤러와 제2 위치보상롤러를 함께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보상롤러와 제2 위치보상롤러의 간격은 상기 제1 텐션롤러와 상기 제2 텐션롤러의 간격 보다 짧을 수 있다.
지면에서 상기 제1 위치보상롤러까지의 제1높이와, 지면에서 상기 제2위치보상롤러까지의 제2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지면에서 상기 제1 텐션롤러까지의 제3높이 및 지면에서 상기 제2텐션롤러까지의 제4높이 각각은 상기 제1높이 및 제2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롤러 직선 이동기구는 상기 제1위치보상롤러와 상기 제2위치보상롤러가 서로 이격되게 지지된 무빙 바디와; 상기 무빙 바디를 직선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 바디는 상기 제1위치보상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위치보상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가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리니어 모터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무빙 바디는 상기 상부 프레스의 상측에 상기 상부 프레스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빙 바디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 프레스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크기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제1 위치보상롤러 및 제2 위치보상롤러가 1회 직선 왕복 운동하는 동안, 상기 상부 프레스를 하강시켰다가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제1 위치보상롤러가 상기 제1 텐션롤러에서 멀어지는 동안, 상기 상부 프레스를 하강시켰다가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모터와 제2모터가 등속도로 연속 구동되는 동안 재료의 일부 영역이 이송되지 않고 정지인 상태이고, 프레스 기기가 재료 중 정지인 영역을 프레스하여 타발하므로, 재료 이송을 중단하는 시간이 필요하지 않고, 재료를 연속적으로 타발하면서 전체 타발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무빙바디가 제1 위치보상롤러 및 제2 위치보상롤러를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함께 수평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무빙 바디가 상부 프레스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어 타발 장비 전체가 컴팩트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발 장비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프레스가 하강되기 전에 위치보상롤러들이 제1 텐션롤러와 근접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었을 때의 정면도,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위치보상롤러들이 제2 텐선롤러와 가까워지는 동안 상부 프레스가 하강되었을 때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위치보상롤러들이 제2 텐선롤러와 더욱 더 가까워지는 동안 상부 프레스가 상승되었을 때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발 장비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발 장비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발 장비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프레스가 하강되기 전에 위치보상롤러들이 제1 텐션롤러와 근접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었을 때의 정면도이며,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위치보상롤러들이 제2 텐선롤러와 가까워지는 동안 상부 프레스가 하강되었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4은 도 3에 도시된 위치보상롤러들이 제2 텐선롤러와 더욱 더 가까워지는 동안 상부 프레스가 상승되었을 때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발 장비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발 장비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타발 장비는 재료(A)가 감긴 상태에서 풀리는 언와인더(1)와; 재료(A)를 타발하는 프레스 기기(2)와, 프레스 기기(2)에서 타발된 재료가 감기는 와인더(3)을 포함할 수 있다.
타발 장비에 의해 타발되는 재료(A)는 전력저장장치인 배터리의 전극 성형을 위한 재료일 수 있다.
그리고, 타발 장비는 언와인더(1)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4)와, 와인더(3)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언와인더(1)은 재료(A)가 감긴 언와인딩 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스 기기(2)는 하부 다이(21)와, 하부 다이(21) 위에서 승강되는 상부 프레스(22) 및 상부 프레스(22)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23)를 갖을 수 있다.
프레스 기기(2)는 상부 프레스(22)가 하부 다이(21)로 하강되어 하부 다이(21)와 상부 프레스(22) 사이의 재료(A)를 타발할 수 있다.
하부 다이(21)는 재료(A)가 지나가는 경로 아래에 위치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프레스(22)는 재료(A)가 지나가는 경로 위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프레스(22)는 후술하는 승강 가이드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부 프레스922)는 승강기구(23)에 의해 하강된 후 상승될 수 있고, 후술하는 무빙 바디(101)와 하부 다이(21)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프레스(22)에는 재료(A)에 접촉되어 재료(A)를 가압하는 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는 상부 프레스(22)의 하강시 재료(A)에 접촉되어, 재료(A)의 일부를 나머지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부 프레스(22)의 하강시, 접촉부에 의해 일부가 분리된 재료(A)는 타발 작업이 완료된 재료일 수 있다.
타발 장비는 상부 프레스(22)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부 프레스(22)는 승강 가이드를 따라 하강되어 재료(A)를 타발하고, 재료(M)를 타발시킨 후, 이후의 타발 공정을 위해 승강 가이드를 따라 상승될 수 있다.
승강기구(23)는 상부 프레스(22)에 연결되어 상부 프레스(22)를 하강시켰다가 상승시키는 것으로서, 상부 프레스(22)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한 종류의 기구가 적용 가능하다.
승강기구(23)의 일예는 승강 로드가 상부 프레스(23)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 등의 실린더 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승강기구(23)의 다른 예는 상부 프레스(23)에 연결되어 상부 프레스(22)를 승강시키는 리니어 모터 또는 서보모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승강기구(23)의 또 다른 예는 서보모터와, 서보모터과 상부 프레스를 연결하여 서보모터의 회전시 상부 프레스를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동력전달부재는 랙과 피니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한 쌍의 풀리와, 풀리에 감긴 벨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승강기구(23)는 상부 프레스(23)에 연결되어 상부 프레스(23)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상기와 같은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이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와인더(3)은 재료(A)가 감기는 와인딩 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모터(4)는 언와인딩 롤에 직결되거나 별도의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언와인딩 롤에 연결된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모터(4)는 서보모터일 수 있다.
제2모터(5)는 와인딩 롤에 직결되거나 별도의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와인딩 롤에 연결된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모터(5)는 서보모터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후술하는 피딩 롤러(11)가 등속도로 연속 구동되거나 언와인더(1)와 와인더(3)가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동안 재료(A)의 일부 영역(S1)(S2)(S3)(S4)(S5)을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는 위치보상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발 장비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다수의 롤러 중 적어도 일부는 피딩 롤러(11)가 등속도로 연속 구동되거나 언와인더(1)와 와인더(3)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동안, 재료의 일부 영역(S1)(S2)(S3)(S3)(S5)을 일시적으로 정지 상태로 유도할 수 있고, 프레스 기기(2)는 재료(A) 중 일시적으로 정지인 영역(S1)(S2)(S3)(S4)(S5)의 일부(S3)를 프레스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롤러는 프레스 기기(2)의 주변에 위치될 수 있고, 재료(A) 중 프레스 기기(2)의 내부로 진입된 부분(S3)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S1)(S2)(S3)(S4)(S5)을 일시적으로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재료(A) 중 언와인더(1)와 와인더(3) 사이의 영역은 상부 프레스(22)가 하강되었다가 상승되는 동안 일시적으로 정지 상태인 정지영역(S1)(S2)(S3)(S4)(S5)과, 상부 프레스(22)가 하강되었다가 상승되는 동안 이송되는 이송영역(M1)(M2)(M3)(M4)을 포함할 수 있다.
정지영역(S1)(S2)(S3)(S4)(S5)은 타발 장비의 가동 중, 길이가 가변되지 않고 그 길이가 일정한 일정영역일 수 있다.
이송영역(M1)(M2)(M3)(M4)은 타발 장비의 가동 중,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영역일 수 있다.
이하, 정지영역(S1)(S2)(S3)(S4)(S5)과 이송영역(M1)(M2)(M3)(M4)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타발 장비는 언와인더(1)에서 풀린 재료가 감기는 제1 위치보상롤러(6)와; 제1위치보상롤러(6)를 지난 재료를 프레스 기기(2)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텐션롤러(7)와; 프레스 기기(2)를 통과하면서 타발된 재료(A)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텐션롤러(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타발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제2텐션롤러(8)를 지난 재료가 감기는 제2 위치보상롤러(9)와; 제1 위치보상롤러(6)와 제2 위치보상롤러(7)를 직선 이동시키는 롤러 직선 이동기구(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타발 장비는 재료(A)를 이송시키는 피딩 롤러(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인더(3)에는 제2 위치보상롤러(9)를 지난 재료가 감길 수 있다.
제1 위치보상롤러(6)와, 제1 텐션롤러(7)와, 제2텐선롤로(8)와 제2 위치보상롤러(9)와, 롤러 직선 이동기구(10)의 조합은 위치보상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타발 장비는 재료(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언와인더(1)와, 제1 위치보상롤러(6)와; 제 1 텐션롤러(7)와, 프레스 기기(3), 제2 텐션롤러(8), 제2 위치보상롤러(9)와, 피딩 롤러(11) 및 와인더(3) 순서일 수 있다.
제1 위치보상롤러(6)와 제2 위치보상롤러(9)의 간격은 제 1 텐션롤러(7)와 제 2 텐션롤러(8)의 간격 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텐션롤러(7)는 재료(A)의 이송방향으로 제1 위치보상롤러(6)와 프레스 기기(2)의 사이일 수 있다.
제1텐션롤러(7)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제1텐션롤러(7A)(7B)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텐션롤러(7A)(7B)는 프레스 기기(1)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제1 로어 텐션롤러(7B)와, 제1 로어 텐션롤러(7B) 상측에 제1 로어 텐션롤러(7B)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제1 어퍼 텐션롤러(7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어 텐션롤러(7B)는 제1 어퍼 텐션롤러(7A)에 안내된 후 이송된 재료를 프레스 기기(2)의 옆에서 프레스 기기(2)로 유도할 수 있다.
제2 텐션롤러(8)은 재료(A)의 이송방향으로 프레스 기기(2)와 제2 위치보상롤러(9)의 사이일 수 있다.
제2텐션롤러(7)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제2 텐션롤러(8A)(8B)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텐션롤러(8A)(8B)는 프레스 기기(1)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제2 로어 텐션롤러(8B)와, 제2 로어 텐션롤러(8B) 상측에 제2 로어 텐션롤러(8B)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어퍼 텐션롤러(8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로어 텐션롤러(7B)는 프레스 기기(2)의 옆에서 프레스 기기(2)를 빠져나온 재료를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지면(B)에서 제1 위치보상롤러(6)까지의 제1높이와, 지면(B)에서 제2 위치보상롤러(8)까지의 제2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지면(B)은 타발 장비가 설치된 장소의 실제 바닥면일 수 있고, 타발 장비를 지지하는 베이스(미도시)의 상면일 수 있다.
지면(B)에서 제1 텐션롤러(7)까지의 제3높이 및 지면(B)에서 제2텐션롤러(8)까지의 제4높이 각각은 제1높이 및 제2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여기서, 제3높이(H3)은 제1 텐션롤러(7)가 복수개일 경우, 지면에서 가장 높게 위치된 제1텐선롤러(7A)와 지면(B) 사이의 높이일 수 있고, 제4높이(H4)는 제2텐션롤러(8)가 복수개일 경우, 지면(B)에서 가장 높게 위치된 제2텐선롤러(8A)와 지면(B) 사이의 높이일 수 있다.
제1 위치보상롤러(6)는 수평 이동될 수 있고, 재료(A) 중 언와인더(1)와, 제1위치보상롤러(6) 사이의 제1 이송영역(M1)과, 제1위치보상롤러(6)과 제1텐션롤러(7) 사이의 제2 이송영역(M2) 각각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다.
제2 위치보상롤러(9)는 수평 이동될 수 있고, 재료(A) 중 제2 텐션롤러(8)와 제2 위치보상롤러(9) 사이의 제3 이송영역(M3)과 제2 위치보상롤러(8)와 와인더(3) 사이의 제4 이송영역(M4) 각각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다.
제1 위치보상롤러(6) 및 제2 위치보상롤러(8)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텐션롤러(7)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면, 제1 이송영역(M1) 및 제2 이송영역(M2) 각각의 길이는 짧아질 수 있고, 제3이송영역(M3) 및 제4 이송영역(M4) 각각의 길이는 길어질 수 있다.
반대로, 제1 위치보상롤러(6) 및 제2 위치보상롤러(6)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텐션롤러(8)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면, 제1 이송영역(M1) 및 제2 이송영역(M2) 각각의 길이는 길어질 수 있고, 제3이송영역(M3) 및 제4 이송영역(M4) 각각의 길이는 짧아질 수 있다.
피딩 롤러(11)는 재료(A)의 이송방향으로 제1위치보상롤러(6)와 언와인더(1)의 사이나 제2위치보상롤러(9)와 와인더(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피딩 롤러(11)는 재료(A)와 접촉되는 구동롤러(111)와, 재료(A)를 기준으로 구동롤러(11)의 반대편에 배치된 지지롤러(112)와, 구동롤러(111)를 회전시키는 제3모터(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모터(113)는 구동롤러(111)에 직결된 회전축을 갖는 것이 가능하고, 구동롤러(111)와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연결된 회전축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제3모터(113)는 구동롤러(111)를 회전시키는 서보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피딩 롤러(11)는 타발 장비에 의한 타발 공정의 도중에, 등속도로 연속 구동될 수 있다.
타발 장비는 단위 시간(예를 들면, 1초) 당 언와인더(1)에서 재료가 풀리는 길이와, 단위 시간 당 와인더(3)에서 재료가 감기는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타발 장비는 단위 시간(예를 들면, 1초) 당 언와인더(1)에서 재료가 풀리는 길이(L1)가 단위 시간 당 제1 이송영역(M1)이 증가된 길이(L2)와 제2 이송영역(M2)이 증가 길이(L3)의 합(L2+L3)과 동일하고, 단위 시간(예를 들면, 1초) 당 와인더(3)에 재료가 감기는 길이(L4)가 단위 시간 당 제3 이송영역(M3)이 감소된 길이(L5)와 제4 이송영역(M2)이 감소된 길이(L6)의 합(L5+L6)과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지영역(S1)(S2)(S3)(S4)(S5)은 그 전체적인 길이가 일정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이송되지 않고, 정지상태일 수 있다.
정지영역(S1)(S2)(S3)(S4)(S5)은 한 쌍의 제1 텐션롤러(7A)(7B) 사이의 제1정지영역(S1)과, 한 쌍의 제1 텐션롤러(7A)(7B) 중 프레스 기기와 더 근접한 제1텐션롤러(7B)와 프레스 기기(2) 사이의 제2정지영역(S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정지영역(S1)(S2)(S3)(S4)(S5)은 프레스 기기(2) 내부에 위치하는 제3정지영역(S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정지영역(S1)(S2)(S3)(S4)(S5)은 프레스 기기(2)와 한 쌍의 제2 텐션롤러(8A)(8B) 중 프레스 기기(2)와 더 근접한 제2텐션롤러(8B) 사이의 제4정지영역(S4)와, 한 쌍의 제2텐션롤러(8A)(8B) 사이의 제5정지영역(S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 위치보상롤러(6) 및 제2 위치보상롤러(9) 각각이 이동되는 도중에, 승강기구(23)를 승강 제어할 수 있다.
상부 프레스(22)는 승강기구(23)에 의해 하강되었다가 승강되는데, 승강기구(23)는 제1 위치보상롤러(6) 및 제2 위치보상롤러(7)가 1회 직선 왕복 운동하는 동안, 상부 프레스(22)를 하강시켰다가 상승시킬 수 있다. 승강기구(23)에 의한 상부 프레스(22)의 최적 승강시점은 제1 위치보상롤러(6)가 제1 텐션롤러(7)에서 멀어지는 동안일 수 있다.
한편, 롤러 직선 이동기구(10)는 제1 위치보상롤러(6)와 제2위치보상롤러(9)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제1 위치보상롤러(6)와 제2위치보상롤러(9)를 함께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롤러 직선 이동기구(10)는 무빙 바디(101)와, 무빙 바디(101)를 직선 이동시키는 구동원을 포함할 수 있다.
무빙 바디(101)는 제1 위치보상롤러(6)와 제2 위치보상롤러(9)가 서로 이격되게 지지될 수 있다.
무빙 바디(101)는 제1 위치보상롤러(6)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지지부(103)와, 제2 위치보상롤러(9)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2지지부(104)와, 제1지지부(103) 및 제2지지부(104)가 연결된 연결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바디(101)는 상부 프레스(22)의 상측에 상부 프레스(22)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무빙 바디(101)는 적어도 일부가 상부 프레스(22)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크기를 갖을 수 있다.
롤러 직선 이동기구(10)의 구동원은 무빙 바디(101)를 직선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102)를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 모터(102)는 연결부(105)에 연결되어 연결부(105)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롤러 직선 이동기구(10)는 무빙 바디(101)의 수평 이동시, 무빙 바디(101)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레일(1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빙 바디(101)는 리니어 모터(102)의 이동시 한 쌍의 레일(106)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 위치보상롤러(6)와, 제2위치보상롤러(9)를 함께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타발 장비는 제1모터(4)와 제2모터(5)를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승강기구(2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롤러 직선 이동기구(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롤러 직선 이동기구(10)의 제어시 리니어 모터(102)를 제어할 수 있다.
타발 장비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조작부(120)를 통해 운전 명령이 입력되면, 제1모터(4)와, 제2모터(5)와, 승강기구(23)와, 리니어 모터(102)와, 피딩롤러(1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부 프레스(22)의 하강 전과, 상부 프레스(22)가 하강되었다가 상승되는 동안 및 상부 프레스(22)의 상승 완료 후에 피딩롤러(11)를 등속도로 연속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피딩롤러(11)가 등속도로 연속 구동되는 동안 제1모터(4)와 제2모터(5) 각각을 등속도로 연속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롤러 직선 이동기구(10)의 제어시, 무빙 바디(101)와 제1 위치보상롤러(6) 및 제2 위치보상롤러(9)가 제1 텐션롤러(7)와 제2 텐션롤러(8) 중 제1 텐션롤러(7)에 더 가까워지는 제1방향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제어부(110)는 무빙 바디(101)와 제1 위치보상롤러(6) 및 제2 위치보상롤러(9)가 소정 위치가 전진 완료되면, 무빙 바디(101)와 제1 위치보상롤러(6) 및 제2 위치보상롤러(9)가 제1텐션롤러(7)와 점차 멀어지고 제2텐션롤러(8)와 점차 가까워지는 제2방향으로 후퇴시킬 수 있다.
제어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직선 이동기구(10)의 전진시, 승강기구(23)를 정지 유지시켜 상부 프레스(22)를 상승된 높이에 유지시킬 수 있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직선 이동기구(10)의 후퇴시, 승강기구(23)를 작동시켜 상부 프레스(22)가 하강되었다가 상승되게 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롤러 직선 이동기구(10)의 1회 직선 왕복 시, 승강기구(23)를 1회 승강시킬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와 같은 롤러 직선 이동기구(10)에 의한 무빙 바디(101)의 전진 및 후퇴를 반복할 수 있고, 롤러 직선 이동기구(10)에 의해 무빙 바디(101)가 후퇴되는 동안 상부 프레스(22)은 하강 및 상승될 수 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제어를 반복할 수 있다.
이송영역(M1,M2,M3,M4)의 이송 속도는 재료가 언와인더(1)에서 풀리는 속도와, 피딩롤러(11)가 재료를 이송속도와, 재료가 와인더(3)에 감기는 속도일 수 있고, 제어부(110)는 무빙 바디(101)의 이동 속도가 재료 이송 속도의 1/2이 되도록 리니어 모터(10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속도 제어시, 리니어 모터(102)가 제1 텐선롤러(7)와 근접한 위치에서 제2 텐선롤러(8)와 근접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때, 재료(A)의 이송영역(M1)(M2)(M3)(M4)은 이송되고, 재료(A)의 정지영역(S1)(S2)(S3)(S4)(S5)은 이송되지 않고 정지 상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타발 장비는 피딩롤러(11)가 등속도로 연속 구동되는 동안, 재료(A)를 연속적으로 타발할 수 있고, 피딩롤러(11)가 일시 정지되는 시기 즉, 재료(A)의 이송이 중단되는 시기 없이, 타발 장비가 계속하여 재료(A)를 타발할 수 있다.
한편, 타발 장비는 재료(A)의 이송 방향으로 와인더(1)와 제1 위치보상롤러(6)의 사이에 배치된 가이드 롤러(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2)는 피딩 롤러(11)와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2)는 제1 위치 보상 롤러(6)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언와인더 2: 프레스 기기
3: 와인더 4: 제1모터
5: 제2모터 6: 제1 위치보상롤러
7: 제1 텐션롤러 8: 제2 텐션롤러
9: 제2 위치보상롤러 10: 롤러 직선이동기구
21: 하부 다이 22: 상부 프레스
23: 승강기구 101: 무빙 바디
102: 리니어 모터 110: 제어부
A: 재료 B: 지면

Claims (10)

  1. 재료가 감긴 상태에서 풀리는 언와인더;
    하부 다이와, 상기 하부 다이 위에서 승강되는 상부 프레스 및 상기 상부 프레스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갖고 상기 하부 다이와 상부 프레스 사이의 재료를 타발하는 프레스 기기;
    재료를 상기 하부 다이와 상부 프레스 사이로 이송시키는 피딩 롤러;
    상기 피딩 롤러를 등속도로 연속 구동하는 제어부 및
    상기 피딩 롤러가 등속도로 연속 구동되는 동안 재료의 일부 영역을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는 위치보상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보상기구는
    상기 언와인더에서 풀린 재료가 안내되는 제1 위치보상롤러;
    상기 제1 위치보상롤러를 지난 재료를 상기 하부 다이와 상부 프레스 사이로 안내하는 복수의 제1 텐션롤러;
    상기 하부 다이와 상부 프레스 사이를 통과하면서 타발된 재료를 안내하는 복수의 제2 텐션롤러;
    상기 복수의 제2 텐션롤러를 지난 재료가 안내되고 상기 제1 위치보상롤러와 이격된 제2 위치보상롤러 및
    상기 제1 위치보상롤러와 제2 위치보상롤러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상기 제1 위치보상롤러와 제2 위치보상롤러를 함께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롤러 직선 이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직선 이동기구는
    상기 제1위치보상롤러와 상기 제2위치보상롤러가 서로 이격되게 지지된 무빙 바디; 및
    상기 무빙 바디를 직선 왕복시키는 구동원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 바디는
    상기 제1위치보상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지지부;
    상기 제2위치보상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가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원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를 직선 이동시키고, 상기 무빙 바디의 이동 속도가 재료의 이송속도의 1/2이 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1 위치보상롤러와 제2 위치보상롤러의 간격은 상기 제1 텐션롤러와 상기 제2 텐션롤러의 간격 보다 짧고,
    상기 복수의 제1 텐션롤러는
    상기 프레스 기기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제1 로어 텐션롤러와,
    상기 제1 로어 텐션롤러 상측에 제1 로어 텐션롤러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제1 어퍼 텐션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텐션롤러는
    상기 프레스 기기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제2 로어 텐션롤러와,
    상기 제2 로어 텐션롤러 상측에 제2 로어 텐션롤러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어퍼 텐션롤러를 포함하는 타발 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제1 위치보상롤러 및 제2 위치보상롤러가 1회 직선 왕복 운동하는 동안, 상기 상부 프레스를 하강시켰다가 상승시키는 타발 장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바디는 상기 상부 프레스의 상측에 상기 상부 프레스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무빙 바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프레스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타발 장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바디의 수평 이동시, 무빙 바디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더 포함하는 타발 장비.
  5. 제 1 항에 있어서,
    지면에서 상기 제1 위치보상롤러까지의 제1높이와, 지면에서 상기 제2위치보상롤러까지의 제2높이는 동일한 타발 장비.
  6. 삭제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지면에서 상기 제1 텐션롤러까지의 제3높이 및 지면에서 상기 제2텐션롤러까지의 제4높이 각각은 상기 제1높이 및 제2높이 보다 낮은 타발 장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보상롤러를 지난 재료가 감기는 와인더와,
    상기 언와인더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와인더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딩 롤러를 등속도로 연속 구동하는 동안 상기 제1모터와 제2모터 각각을 등속도로 연속 구동하는 타발 장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제1 위치보상롤러가 상기 제1 텐션롤러에서 멀어지는 동안, 상기 상부 프레스를 하강시켰다가 상승시키는 타발 장비.
KR1020170088017A 2017-07-11 2017-07-11 타발 장비 KR102316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017A KR102316970B1 (ko) 2017-07-11 2017-07-11 타발 장비
KR1020210138498A KR102460439B1 (ko) 2017-07-11 2021-10-18 타발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017A KR102316970B1 (ko) 2017-07-11 2017-07-11 타발 장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498A Division KR102460439B1 (ko) 2017-07-11 2021-10-18 타발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819A KR20190006819A (ko) 2019-01-21
KR102316970B1 true KR102316970B1 (ko) 2021-10-25

Family

ID=652777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017A KR102316970B1 (ko) 2017-07-11 2017-07-11 타발 장비
KR1020210138498A KR102460439B1 (ko) 2017-07-11 2021-10-18 타발 장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498A KR102460439B1 (ko) 2017-07-11 2021-10-18 타발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69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22374A4 (en) * 2019-02-04 2022-11-02 Sankyo Seisakusho Co. PLATE MATERIAL FEED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2731A (ja) 2013-03-08 2014-09-22 Kao Corp 搬送経路の転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7128A (ja) * 1996-05-20 1997-11-28 Fuji Electric Co Ltd 薄膜光電変換素子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4914815B2 (ja) * 2007-11-28 2012-04-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加工装置
JP5017148B2 (ja) * 2008-03-06 2012-09-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加工装置
KR101658899B1 (ko) * 2010-05-03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레스 장치
KR101326630B1 (ko) * 2010-12-02 2013-1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노칭 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생산되는 이차전지
KR101569798B1 (ko) * 2014-01-28 2015-11-17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이차전지의 전극 노칭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2731A (ja) 2013-03-08 2014-09-22 Kao Corp 搬送経路の転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439B1 (ko) 2022-10-31
KR20210128991A (ko) 2021-10-27
KR20190006819A (ko) 201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3053B (zh) 整体式焊网机
KR102460439B1 (ko) 타발 장비
CN102794787B (zh) 一种海绵切割机导向扶正装置
KR101475703B1 (ko) 익스펜더 튜브 자동 절단 가공 머신
CN105458061A (zh) 片材裁切设备
CN107717094A (zh) 一种能防止薄板料剪切变形的剪板机
JP6448348B2 (ja) ワーク供給装置
CN107683186B (zh) 卷材输送装置、冲压系统、以及卷材输送方法
US202203935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steel core
CN202087714U (zh) 开卷线尾料送料装置
JP2004106012A (ja) トランスファープレスのワーク搬送装置
CN105945433A (zh) 板材激光切割设备及切割方法
KR101480814B1 (ko) 이차전지의 전극필름 성형용 프레스장치
CN215543856U (zh) 一种冲床的卷材整平输料装置
JP2004330200A (ja) 板曲げプレスの搬送装置
KR101818551B1 (ko) 인라인 포밍장치 및 인라인 롤 포밍장치용 스택커
CN110918695B (zh) 一种细长杆件双面矫直装置及矫直方法
KR101990994B1 (ko) 압연설비
KR101638780B1 (ko) 이동식 nc 레벨 피더 장치
JP3204840U (ja) パネル昇降移動装置
CN215614603U (zh) 一种可升降式伺服送料机
KR101518665B1 (ko) 코일 헤드 굽힘 장치
KR101583533B1 (ko) 소재 반송장치
CN113501368B (zh) 一种放卷设备及簇绒机
CN220497962U (zh) 一种圆钢剥皮机的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