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533B1 - 소재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반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3533B1 KR101583533B1 KR1020130162216A KR20130162216A KR101583533B1 KR 101583533 B1 KR101583533 B1 KR 101583533B1 KR 1020130162216 A KR1020130162216 A KR 1020130162216A KR 20130162216 A KR20130162216 A KR 20130162216A KR 101583533 B1 KR101583533 B1 KR 1015835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r wall
- guide rails
- guide
- plate
- guide ra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퍼피더에 보관된 소재를 가공 위치에까지 개별 반송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빠른 반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제품의 낙하시 충격에 의한 변형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소재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소재가 일정한 방향성을 유지하면서 반송되도록 안내하며, 상기 소재가 자중에 의해 구름 이동되도록 소재 유입측으로부터 소재 배출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복수의 가이드레일; 그리고, 상기 각 가이드레일 간의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어느 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된 소재를 하나씩 상승 이동시켜 또 다른 가이드레일로 반송하는 승강반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반송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소재가 일정한 방향성을 유지하면서 반송되도록 안내하며, 상기 소재가 자중에 의해 구름 이동되도록 소재 유입측으로부터 소재 배출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복수의 가이드레일; 그리고, 상기 각 가이드레일 간의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어느 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된 소재를 하나씩 상승 이동시켜 또 다른 가이드레일로 반송하는 승강반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반송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재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퍼피더에 보관된 소재를 가공 위치에까지 개별 반송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빠른 반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제품의 낙하시 충격에 의한 변형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소재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재 반송장치는 가공하고자 하는 소재를 조립기계 혹은, 가공기계로 자동 반송하도록 구축한 설비이다.
이와 같은 소재 반송장치는 소재의 형상이나 조립기계 혹은, 가공기계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지며, 통상적으로는 로봇암을 이용하는 구조나, 컨베이어를 이용하는 구조 혹은, 가이드레일을 이용하는 구조 중 하나로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로봇암을 이용한 소재의 반송 구조는 정확한 위치에 오류 없이 반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비싼 가격과 신속하지 못한 동작으로 인해 소형 부품의 지속적이면서도 빠른 공급을 위한 기기에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를 이용하는 구조의 경우는 단순히 특정 위치로의 소재 반송만 수행할 뿐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방향성을 갖도록 반송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소형 제품의 빠른 반송 및 정확한 반송을 위한 구조로써 가이드레일을 이용하는 구조가 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3506호, 등록특허공보 제10-0870647호, 등록특허 제10-1201996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8502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의 기술은 소재를 어느 한 기기로만 이동하는 구조에만 적합한 구성일 뿐 연속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둘 이상의 기기에 적용하기란 많은 비용의 소모가 야기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어느 한 기기를 통해 일차 가공된 소재는 통상 해당 기기의 저부로 배출되지만, 이를 다시 다른 한 기기의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어느 한 기기로의 소재 공급을 위한 구조가 그대로 반복 제공되어야만 하며, 통상 호퍼 내에 저장된 소재를 상기 기기로 반송하기 위해 승강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팅 장치의 경우는 가격이 비쌈에 따라 이러한 엘리베이팅 장치의 추가적 제공시에는 전체적인 장비 가격이 급격히 상승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소재를 자동으로 반송하기 위해서는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를 향하여 자중에 의해 구름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만 하는데, 이의 경우 상기 소재가 반송되는 도중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낙하하는 과정에서 낙하 충격에 의한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호퍼피더에 보관된 소재를 가공 위치에까지 개별 반송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빠른 반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제품의 낙하시 충격에 의한 변형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소재 반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재 반송장치에 따르면 소재가 일정한 방향성을 유지하면서 반송되도록 안내하며, 상기 소재가 자중에 의해 구름 이동되도록 소재 유입측으로부터 소재 배출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복수의 가이드레일; 그리고, 상기 각 가이드레일 간의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어느 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된 소재를 하나씩 상승 이동시켜 또 다른 가이드레일로 반송하는 승강반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반송부는 상기 소재가 얹히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승강 이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승강 이동시 복원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 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소재 배출측을 가로막아 상기 가이드레일 내에 위치된 소재의 구름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가이드레일 중 소재의 성형이나 조립을 위한 기기로 상기 소재를 제공하는 부위에 위치된 가이드레일의 끝단에는 상기 소재를 수직 낙하시켜 상기 기기 내의 소재 공급 위치로 안내하는 수직 낙하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직 낙하부 내의 하측 부위에는 상기 수직 낙하부의 안내를 받아 낙하되는 소재의 낙하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낙하부는 상기 소재의 배면을 받쳐주는 후방벽과, 상기 후방벽의 전면 양측에 구비되면서 소재의 둘레면 양측을 받쳐주는 두 돌출가이드와, 상기 후방벽의 전방에 이격 위치되어 상기 소재의 전면을 받쳐주는 전방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방벽은 상기 후방벽을 향해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방벽 및 후방벽 간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전방벽과 후방벽 사이의 간격 조절을 위한 조작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조작부는 상기 후방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상기 후방벽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전방벽에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와는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전방벽이 상기 후방벽으로 근접 이동되도록 하거나 혹은, 더욱 멀어지게 이동되도록 하는 조작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낙하되는 소재가 부딪히는 부위로 제공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소재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라운드지게 형성된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충격 완화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된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소재 반송장치는 소재가 그 자중에 의한 구름 이동에 의해 원하는 곳으로 반송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상승 이동시키는 승강반송부는 실린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제조 단가의 절감 및 구조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으면서도 빠른 소재의 반송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소재 반송장치는 수직 낙하부의 추가적인 제공에 의해 각 성형기 내로의 소재 공급이 더욱 원활하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완충부의 추가적인 제공을 통해 소재의 수직 낙하에 따른 충격이 완화될 수 있게 됨으로써 소재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소재 반송장치는 소재가 이동되는 부위(수직 낙하부 및 가이드레일)의 폭 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상기 소재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반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화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2의 동작도
도 4는 도 1의 “B”부 확대도
도 5는 도 4의 동작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반송장치 중 수직 낙하부를 이루는 조작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반송장치 중 수직 낙하부를 이루는 조작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1의 “C”부 확대도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동작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2의 동작도
도 4는 도 1의 “B”부 확대도
도 5는 도 4의 동작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반송장치 중 수직 낙하부를 이루는 조작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반송장치 중 수직 낙하부를 이루는 조작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1의 “C”부 확대도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동작도
이하, 본 발명의 소재 반송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첨부된 각 도면들에 도시된 내용들은 이해의 편의상 소재의 이동 방향을 변형하여 도시한 것일 뿐 실질적인 소재의 이동 방향에 따른 상태는 상기 각 도면들에 도시된 내용들과 다를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소재 반송장치가 적용된 소재 가공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재 반송장치의 설명을 위해 제공되는 소재 가공시스템은 다수의 소재(10)가 보관되면서 상기 각 소재(10)가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배치한 상태로 반출하는 호퍼피더(100)와, 상기 호퍼피더(100)로부터 반출된 소재(10)를 일차적으로 가공하는 1차 성형기(200)와 상기 일차 가공된 소재(10)를 재차적으로 가공하는 2차 성형기(300) 그리고, 가공이 완료된 소재(10)를 반출하는 반출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그 예로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재 반송장치는 상기 호퍼피더(100)로부터 1차 성형기(200)로 소재(10)를 반송하는 구성과, 상기 1차 성형기(200)로부터 2차 성형기(300)로 소재(10)를 반송하는 구성 및 상기 2차 성형기(300)로부터 상기 반출기(400)로 소재(10)를 반송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그 예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재 반송장치는 크게 가이드레일(510,520,530,540,550,560)과 승강반송부(610,620,6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소재(10)가 항상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면서 어느 한 기기로부터 다른 한 기기로 자연히 반송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구축 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가이드레일(510,520,530,540,550,560)은 소재(10)의 반송 이동을 안내하는 부위이다.
상기 가이드레일(510,520,530,540,550,560)은 복수로 제공되며, 호퍼피더(100)의 소재 배출측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레일(510)과, 1차 성형기(200)의 소재 유입측에 구비되는 제2가이드레일(520)과, 1차 성형기(200)의 소재 배출측에 구비되는 제3가이드레일(530)과, 2차 성형기(300)의 소재 유입측에 구비되는 제4가이드레일(540)과, 2차 성형기(300)의 소재 배출측에 구비되는 제5가이드레일(550) 그리고, 반출기(400)의 소재 유입측에 구비되는 제6가이드레일(5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가이드레일(510,520,530,540,550,560)이 소재 배출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구조로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상기 각 가이드레일(510,520,530,540,550,560)을 따라 이동되는 소재(10)가 자중에 의해 구름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소재(10)의 반송 이동을 위한 별도의 동력이 필요치 않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면상에서는 상기 각 가이드레일(510,520,530,540,550,560)이 단순히 일자형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각 가이드레일(510,520,530,540,550,560)은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부위를 경유하는 구조가 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곡선형의 구조가 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반송부(610,620,630)는 상기 각 가이드레일(510,520,530,540,550,560) 간의 사이에 구비되면서 어느 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된 소재(10)를 하나씩 상승 이동시켜 또 다른 가이드레일로 반송하는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가이드레일(510,520,530,540,550,560)이 소재 유입측으로부터 소재 배출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상기 각 가이드레일(510,520,530,540,550,560)의 소재 유입측은 상기 각 가이드레일(510,520,530,540,550,560)의 소재 배출측에 비해 높게 위치되어야 하며, 이렇게 위치되는 각 가이드레일(510,520,530,540,550,560)의 소재 유입측에 소재(10)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소재(10)를 강제적으로 상승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재(10)의 강제적인 상승 이동이 승강반송부(610,620,63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반송부(610,620,630)가 상기 제1가이드레일(510)의 소재 배출측으로 이동된 소재를 제2가이드레일(520)의 소재 유입측으로 반송시키는 제1승강반송부(610)와, 제3가이드레일(530)의 소재 배출측으로 이동된 소재를 제4가이드레일(540)의 소재 유입측으로 반송시키는 제2승강반송부(620)와, 제5가이드레일(550)의 소재 배출측으로 이동된 소재를 제6가이드레일(560)의 소재 유입측으로 반송시키는 제3승강반송부(630)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반송부(610,620,630)가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재가 얹히는 승강플레이트(601)와, 상기 승강플레이트(601)를 승강 이동시키는 실린더(602)로 구성함으로써 소재(10)의 빠른 공급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소재(10)의 승강 이동을 위한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종래 소재(10)를 상향 이동시키는 구조는 호퍼피더(100)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팅 장치(110)와 동일한 구조의 장치로 이루어짐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엘리베이팅 장치(110)는 소재(10)의 상승 이동 중 원치않게 낙하할 수 있다는 단점과, 소재를 개별적으로 빠르게 이송하지 못한다는 단점 및 전체적인 구축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런더 방식의 승강반송부(610,620,630)를 통해 전술된 종래의 엘리베이팅 장치(110)가 가지는 각종 문제점이 모두 해소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플레이트(601)의 승강 이동시 복원부재(603)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 이동되면서 각 가이드레일(510,530,550)의 소재 배출측을 가로막는 차단플레이트(60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레일(510,530,550)의 소재 배출측 내에 위치된 소재(10)들 중 어느 한 소재의 승강 이동이 이루어지는 도중에는 상기 차단플레이트(604)에 의해 나머지 소재(10)들이 이동되지 않고 현재의 위치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승강반송부(610,620,630)의 실린더(602)는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플런저(605)가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향 돌출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그의 플런저(605)가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하향 돌출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으며, 이는 전체적인 장비의 배치 구조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면 된다.
이때, 첨부된 도 2 및 도 3은 실린더(602)의 플런저(605)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치한 구조이고, 첨부된 도 4 및 도 5는 실린더(602)의 플런저(605)가 하부로 돌출되도록 배치한 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된 각 가이드레일(510,520,530,540,550,560) 중 1차 성형기(200)로 소재(10)를 제공하는 제2가이드레일(520) 및 2차 성형기(300)로 소재(10)를 제공하는 제4가이드레일(540)의 소재 배출측 끝단에는 상기 소재(10)를 수직 낙하시켜 각 성형기(200,300) 내의 소재 공급 위치로 안내하는 수직 낙하부(700)가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
즉, 상기 각 성형기(200,300) 내부는 다양한 구성들(예컨대, 회전척이나 각종 이동프레임 및 로딩부 등)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됨을 고려할 때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진 구조의 제2가이드레일(520) 혹은, 제4가이드레일(540)을 상기 각 성형기(200,300) 내부의 소재 반송을 원하는 위치에 이르기까지 균일한 속도로 전달하도록 구성하기란 구조가 극히 복잡하고 극히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성형기(200,300)의 직상방에까지만 가이드레일(520,540)을 연결한 후 상기 수직 낙하부(700)를 통해 상기 성형기(200,300) 내의 로딩부(회전척으로 소재를 로딩하는 장비)(210,310)가 구비된 위치로 소재(10)를 빠르고 정확히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수직 낙하부(700)는 첨부된 도 1과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재(10)의 배면을 받쳐주는 후방벽(710)과, 상기 후방벽(710)의 전면 양측에 구비되면서 소재(10)의 둘레면 양측을 받쳐주는 두 돌출가이드(720)와, 상기 후방벽(710)의 전방에 이격 위치되어 상기 소재(10)의 전면을 받쳐주는 전방벽(7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 낙하부(700)를 이루는 전방벽(730)이 상기 후방벽(710)을 향해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방벽(730) 및 후방벽(710) 간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전방벽(730)과 후방벽(710) 사이의 간격 조절을 위한 조작부(7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상기 수직 낙하부(700)를 소재(10)의 두께에 따른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소재(10)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용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조작부(740)는 상기 후방벽(710)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상기 후방벽(710)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74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741)를 관통하여 상기 전방벽(730)에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플레이트(741)와는 나사식으로 결합된 조작축(74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는 첨부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조작축(742)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전방벽(730)이 상기 후방벽(710)으로 근접 이동되거나 혹은, 더욱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전방벽(730)과 후방벽(710)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후방벽(710)과 고정플레이트(741) 사이에는 부시(743)가 개재되어 상기 후방벽(710)과 고정플레이트(741)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 낙하부(700) 내의 하측 부위에 상기 수직 낙하부(700)의 안내를 받아 낙하되는 소재의 낙하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8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즉, 수직 낙하부(700)를 따라 낙하되는 소재(10)가 성형기(200,300) 내의 로딩부(210,310)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낙하 충격이 상기 완충부(800)에 의해 완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소재(10)의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충격시 발생되는 소음 역시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완충부(800)는 상기 수직 낙하부(700) 내의 하측 부위에 구비되어 낙하되는 소재(10)가 부딪히는 부위로 제공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소재(1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라운드지게 형성된 받침플레이트(810)와, 상기 받침플레이트(810)에 충격 완화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된 완충부재(8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수직 낙하부(700)를 따라 낙하되는 소재(10)가 상기 받침플레이트(810)에 부딪힐 경우 상기 받침플레이트(810)의 탄력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소재(10)의 낙하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완충부(8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수직 낙하부(700)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완충부(800)는 각 가이드레일(510,520,530,540,550,560)의 소재 배출측에도 추가로 구비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수직 낙하부(700)의 전방벽(730)을 후방벽(710)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전방벽(730)과 후방벽(710)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 역시 전술된 수직 낙하부(700)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한 간격 조절 구조를 각 가이드레일(510,520,530,540,550,560)에도 적용함으로써 상기 각 가이드레일(510,520,530,540,550,560)을 따라 이동되는 소재(10)의 폭에 상관없이 상기 각 가이드레일(510,520,530,540,550,560)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재 반송장치에 대한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소재 가공시스템을 이용한 소재 가공 작업이 시작될 경우 호퍼피더(100) 내에 보관된 각 소재(10)는 해당 호퍼피더(100)의 엘리베이팅 장치(110)를 통해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면서 제1가이드레일(51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가이드레일(510)로 공급된 소재(10)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510)의 경사 구조에 의해 소재 배출측을 향해 구름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레일(510)의 소재 배출측으로 이동되는 각 소재(10)들 중 상기 소재 배출측에 위치되는 소재(10)는 제1승강반송부(610)를 이루는 승강플레이트(601)의 상면에 안착되며, 나머지 소재(10)들은 상기 소재(10)의 후방으로 나란히 위치된다.
이의 상태에서, 상기 제1승강반송부(610)의 실린더(602)에 대한 구동이 이루어져 상기 승강플레이트(601)의 상승 이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승강플레이트(601)의 상면에 얹힌 소재(10)는 상승 이동된 후 제2가이드레일(520)의 소재 유입측을 통과하여 상기 제2가이드레일(520)의 안내를 받아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520)의 안내를 받아 구름 이동되는 소재(10)는 제2가이드레일(520)의 소재 배출측에 위치된 수직 낙하부(700)로 제공되며, 계속해서 상기 수직 낙하부(700)의 안내에 의해 수직 낙하되면서 1차 성형기(200) 내의 로딩부(21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수직 낙하부(700)를 낙하하는 소재(10)는 상기 수직 낙하부(700) 내의 저부측 공간에 구비된 받침플레이트(810)의 상면에 부딪히게 되는데, 이의 과정에서 상기 받침플레이트(810)가 완충부재(820)의 완충력을 전달받으면서 탄력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소재(10)에 제공되는 낙하 충격은 최소화됨과 더불어 그 소음 역시 확연히 저감된다.
그리고, 상기 과정에 의해 1차 성형기(200) 내의 로딩부(210)로 공급된 소재는 상기 로딩부(210)의 로딩 동작에 의해 회전척(220)에 파지된 상태로 가공이 이루어지며, 이렇게 가공이 완료된 소재는 제3가이드레일(530)을 통해 1차 성형기(200)로부터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1차 성형기(200)로부터 배출된 소재는 제3가이드레일(530)의 소재 배출측으로 구름 이동된 후 제2승강반송부(620)에 의해 재차적인 상승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제4가이드레일(540)로 제공되며, 계속해서 상기 제4가이드레일(540)의 안내를 받아 구름 이동되어 2차 성형기(300)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2차 성형기(300) 내로 소재(10)가 공급되어 가공되는 과정은 전술된 1차 성형기(200) 내로 소재(10)가 공급되어 가공되는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과정에 의해 2차 가공이 완료된 소재(10)는 제5가이드레일(550)을 통해 2차 성형기(300)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제5가이드레일(550)의 소재 배출측으로 구름 이동된 후 제3승강반송부(630)에 의해 재차적인 상승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제6가이드레일(560)로 제공된 다음 반출기(400)로 반출된다.
한편, 전술된 각 과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도중 각 승강반송부(610,620,630)를 이루는 승강플레이트(601)의 상승 이동이 이루어질 때에는 차단플레이트(604)가 상기 승강플레이트(601)의 가압력이 해제됨에 따른 복원부재(603)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 이동되면서 각 가이드레일(510,520,530,540,550,560)의 소재 배출측을 가로막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각 가이드레일(510,520,530,540,550,560)의 소재 배출측에 위치된 소재(10)는 그 이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대기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 소재(10)는 상기 승강플레이트(601)가 다시금 하향 이동되어 상기 차단플레이트(604)를 하향 이동시키면서 각 가이드레일(510,520,530,540,550,560)의 소재 배출측에 위치될 때에야 구름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승강플레이트(601)의 상면에 자연히 얹히게 된다.
결국,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재 반송장치는 소재(10)가 그 자중에 의한 구름 이동에 의해 원하는 곳으로 반송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상승 이동시키는 승강반송부(610,620,630)를 실린더 구조로 채택함으로써 전체적인 제조 단가의 절감 및 구조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으면서도 빠른 소재의 반송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재 반송장치는 수직 낙하부(700)의 추가적인 제공에 의해 각 성형기(200,300) 내로의 소재(10) 공급이 더욱 원활하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완충부(800)의 추가적인 제공을 통해 소재(10)의 수직 낙하에 따른 충격이 완화될 수 있게 됨으로써 소재(1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재 반송장치는 소재(10)가 이동되는 부위(수직 낙하부 및 가이드레일)의 폭 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상기 소재(10)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10. 소재 100. 호퍼피더
110. 엘리베이팅 장치 200. 1차 성형기
300. 2차 성형기 210,310. 로딩부
220,320. 회전척 400. 반출기
510,520,530,540,550,560. 가이드레일 610,620,630. 승강반송부
601. 승강플레이트 602. 실린더
603. 복원부재 604. 차단플레이트
605. 플런저 700. 수직 낙하부
710. 후방벽 720. 돌출가이드
730. 전방벽 740. 조작부
741. 고정플레이트 742. 조작축
743. 부시 800. 완충부
810. 받침플레이트 820. 완충부재
110. 엘리베이팅 장치 200. 1차 성형기
300. 2차 성형기 210,310. 로딩부
220,320. 회전척 400. 반출기
510,520,530,540,550,560. 가이드레일 610,620,630. 승강반송부
601. 승강플레이트 602. 실린더
603. 복원부재 604. 차단플레이트
605. 플런저 700. 수직 낙하부
710. 후방벽 720. 돌출가이드
730. 전방벽 740. 조작부
741. 고정플레이트 742. 조작축
743. 부시 800. 완충부
810. 받침플레이트 820. 완충부재
Claims (6)
- 소재가 일정한 방향성을 유지하면서 반송되도록 안내하며, 상기 소재가 자중에 의해 구름 이동되도록 소재 유입측으로부터 소재 배출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복수의 가이드레일; 그리고,
상기 각 가이드레일 간의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어느 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된 소재를 하나씩 상승 이동시켜 또 다른 가이드레일로 반송하는 승강반송부;
상기 각 가이드레일 중 소재의 성형이나 조립을 위한 기기로 상기 소재를 제공하는 부위에 위치된 가이드레일의 끝단에는 상기 소재를 수직 낙하시켜 상기 기기 내의 소재 공급 위치로 안내하도록 소재의 배면을 받쳐주는 후방벽 및 소재의 전면을 받쳐주는 전방벽과, 상기 후방벽의 전면 양측에 구비되면서 소재의 둘레면 양측을 받쳐주는 두 돌출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직 낙하부;
상기 수직 낙하부 내의 하측 부위에 구비되면서 상기 수직 낙하부의 안내를 받아 낙하되는 소재의 낙하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낙하부를 이루는 두 돌출가이드 중 소재가 공급되는 이동방향측에 위치되는 어느 한 돌출가이드의 하측 끝단은 다른 한 돌출가이드의 하측 끝단에 비해 더욱 길게 연장되면서 낙하되는 소재의 수평 이송을 안내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두 돌출가이드 중 상기 다른 한 돌출가이드의 하측 끝단에 위치되면서 상기 어느 한 돌출가이드의 하측 끝단과 동일한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두 돌출가이드 사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음과 더불어 낙하되는 소재와의 충격 및 자중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두 돌출가이드 사이를 개방시키도록 설치되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충격 완화력 및 복원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된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반송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반송부는
상기 소재가 얹히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승강 이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승강플레이트와는 별개로 제공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저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승강플레이트가 하강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하향 이동됨과 더불어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상승 이동시에는 복원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 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소재 배출측을 가로막아 상기 가이드레일 내에 위치된 소재의 구름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반송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은 상기 후방벽을 향해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방벽 및 후방벽 간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전방벽과 후방벽 사이의 간격 조절을 위한 조작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반송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후방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상기 후방벽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전방벽에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와는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전방벽이 상기 후방벽으로 근접 이동되도록 하거나 혹은, 더욱 멀어지게 이동되도록 하는 조작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반송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2216A KR101583533B1 (ko) | 2013-12-24 | 2013-12-24 | 소재 반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2216A KR101583533B1 (ko) | 2013-12-24 | 2013-12-24 | 소재 반송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4433A KR20150074433A (ko) | 2015-07-02 |
KR101583533B1 true KR101583533B1 (ko) | 2016-01-08 |
Family
ID=5378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2216A KR101583533B1 (ko) | 2013-12-24 | 2013-12-24 | 소재 반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353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235310B (zh) * | 2017-08-16 | 2019-02-12 | 嘉兴顾翔制冷设备有限公司 | 一种冷凝管自动排料输送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38004A (ja) | 1999-11-19 | 2001-05-22 | Kurimoto Ltd | 加工素材供給装置 |
JP2009023778A (ja) | 2007-07-18 | 2009-02-05 | Jatco Ltd | ワーク搬送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818295A1 (de) * | 1998-04-23 | 1999-10-28 |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 Schließ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automatisch verschließbare Fahrzeugtüren |
KR100470695B1 (ko) * | 2003-02-17 | 2005-03-09 | 주식회사 지엔에스 | 차량용 도어빔 용접 전용기 |
-
2013
- 2013-12-24 KR KR1020130162216A patent/KR1015835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38004A (ja) | 1999-11-19 | 2001-05-22 | Kurimoto Ltd | 加工素材供給装置 |
JP2009023778A (ja) | 2007-07-18 | 2009-02-05 | Jatco Ltd | ワーク搬送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4433A (ko) | 2015-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1525B1 (ko) |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 | |
KR101498337B1 (ko) | 파이프 가공 장치용의 가변적 언로딩 장치 | |
CN105347031B (zh) | 一种全自动油边机 | |
KR101254023B1 (ko) | 자동 프레스 가공시스템 | |
KR101934844B1 (ko) | 환봉 절단장치 | |
CN105856445A (zh) | 硅棒截断机及截断方法 | |
KR101742521B1 (ko) | 소재 선별 공급장치 | |
KR101387004B1 (ko) | 대형 프레스 자동화 생산라인의 고효율 소재 이송장치 | |
JP2016132034A (ja) | スタックへの搬入積層装置 | |
KR101652847B1 (ko) | 평판형 부품의 2중 겹침 방지 및 자동정렬공급장치 | |
CN105946127A (zh) | 单段式硅棒截断机及其截断方法 | |
KR101583533B1 (ko) | 소재 반송장치 | |
KR101533616B1 (ko) | Cnc용 소재 자동 공급 배출 장치 | |
CN109248965B (zh) | 一种三轴冲压送料机械手 | |
KR102164028B1 (ko) | 호퍼 내장형 파츠피더 및 그 파츠피더의 제어방법 | |
CN105945433A (zh) | 板材激光切割设备及切割方法 | |
KR20140144426A (ko) | 리베팅 자동화 장치 | |
CN205631056U (zh) | 硅棒截断机 | |
CN109890603B (zh) | 冲压装置以及冲压装置的控制方法 | |
KR101339119B1 (ko) | 표준금속플레이트 제조용 양면 연속 가공장치 | |
JP5130789B2 (ja) | 板材加工システム | |
CN211997623U (zh) | 一种码垛机分道装置 | |
KR101576619B1 (ko) | 연탄의 정렬 및 적재기구 | |
US11279578B2 (en) | Device for feeding a sheet product | |
KR100685521B1 (ko) | 자동화기기용 작업물 정렬 공급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