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123Y1 -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 Google Patents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123Y1
KR200407123Y1 KR2020050023500U KR20050023500U KR200407123Y1 KR 200407123 Y1 KR200407123 Y1 KR 200407123Y1 KR 2020050023500 U KR2020050023500 U KR 2020050023500U KR 20050023500 U KR20050023500 U KR 20050023500U KR 200407123 Y1 KR200407123 Y1 KR 2004071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insert
supply
rod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 문 김
Original Assignee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3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1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1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1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10Aligning parts to be fitt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10Aligning parts to be fitted together
    • B23P19/12Alignment of parts for insertion into b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는, 사출금형의 목적한 위치에 인서트용 너트가 인서트 될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용 너트를 정위치에 정렬시키는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에 있어서;
진동작용을 통해 인서트용 너트를 공급하는 공급피더와; 상기 공급피더로부터 공급된 인서트용 너트를 일렬로 정렬시키는 인서트 정렬부재와; 상기 인서트 정렬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각기 독립적으로 수납함과 동시에 이송바 구동실린더의 신축작용으로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이송로 상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열시키는 이송로 배열수단과; 상기 배열된 인서트용 너트상에 공기를 분사시켜 상기 너트이송로를 따라 그 끝단인 너트인출홀까지 공급시키도록 이송로 배열수단의 일측에 연결된 피팅부재와;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인출홀에 공급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승시켜 인접한 인서트물 공급다이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상승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상단에는 피팅부재를 통한 공기분사시 인서트용 너트의 외부 이탈 방지 및 너트인출홀까지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최초 공급 상태로 유지 정렬시킴과 아울러, 상기 너트상승수단에 의해 상승된 인서트용 너트의 인출불량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인출불량 감지센서가 설치된 너트이탈 방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중 인서트 정렬부재를 통해 일렬로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너트공급로와 상기 너트공급로 측에 배열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기 너트이송로를 따라 그 끝단인 너트인출홀까지 공급하는 너트공급장치에 대하여 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인서트 정렬부재를 거쳐 너트공급부재의 너트공급로상에 인서트용 너트를 배열시킬 때 공기분사작용에 의한 인서트용 너트의 배열피치가 변화되어 상기 너트공급로 측으로부터 너트이송로 내부로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너트공급부재의 일측에 설치된 이송로 배열수단에 의해 너트공급로 측으로부터 너트이송로의 내측으로 인서트용 너트의 원활한 유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공기분사작용에 의한 인서트용 너트의 배열피치 변화로 인서트용 너트의 원활한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종래에 비해 작업의 효율성 및 작업공정의 간편성이 향상되게 되는 효과 등도 있다.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인서트용 너트, 너트공급부재, 공급피더, 인서트 정렬부재, 이송로 배열수단, 너트수납 이송바, 너트수납홈, 로드 감지센서, 너트상승수단, 이젝터핀, 너트이탈 방지수단, 커버부재, 불량너트 수집홈, 인출불량 감지센서

Description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The array jig for insert-nut }
도 1은 본 고안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세부 상세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중 너트공급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중 이송로 배열수단의 분해도 및 세부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너트상승수단의 분해도 및 세부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너트이탈 방지수단 중 커버부재의 사시도 및 세부 상세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대한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205. 인서트용 너트
210. 공급피더 220. 인서트 정렬부재
230. 너트공급부재 231. 이송바 이송홈
232. 너트이송로 233. 너트인출홀
235. 연결로드 이송홀 236. 돌출부
237. 안착홈 240. 이송로 배열수단
241. 너트수납 이송바 242. 너트수납홈
242a. 덮개부 243. 공기공급홀
244. 이송바 구동실린더 246. 로드 감지센서
250. 피팅부재 280. 너트상승수단
281, 307. 실린더 283. 가이드봉
284. 고정부재 285. 가이드봉 고정블럭
288. 스토퍼 289. 이젝터핀 플레이트
291. 이젝터핀 292. 이젝터핀 고정부재
293. 가이드부시 300. 너트이탈 방지수단
301. 커버부재 302. 너트취출구
303. 공기배출구 304. 불량너트 수집홈
305. 이송홀 306. 연결로드 고정홀
308. 연결로드 310. 커버이탈 방지블럭
321. 인출불량 감지센서
본 고안은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작용 에 의해 공급피더로부터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인출홀 측으로 공급 정렬시키는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중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일측에 공급피더로부터 인서트 정렬부재를 거쳐 너트공급부재 측에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각기 독립적으로 수납하여 실린더의 신축작용을 통해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이송로상에 배열시키는 이송로 배열수단을 설치 구성함으로써, 종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중 인서트 정렬부재를 통해 일렬로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너트공급로와 상기 너트공급로 측에 배열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기 너트이송로를 따라 그 끝단인 너트인출홀까지 공급하는 너트공급장치에 대하여 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인서트 정렬부재를 거쳐 너트공급부재의 너트공급로상에 인서트용 너트를 배열시킬 때 공기분사작용에 의한 인서트용 너트의 배열피치가 변화되어 상기 너트공급로 측으로부터 너트이송로 내부로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서트 사출이라 함은 인서트물이라 불리우는 구조물을 사출 금형에 미리 삽입하고 사출 성형하여 사출성형품(이하, 사출물이라 함) 내에 인서트부재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말하며, 여기에는 로봇을 이용해 인서트부재를 파지, 사출금형에 투입하여 인서트 사출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인서트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인서트 시스템이 있어 진동을 통해 투입된 인서트부재를 자동으로 정렬하여 원하는 위치에 공급되도록 하는 종래 인서트부재 정렬지그(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58427호)의 경우 진동작용에 의해서만 공급피더로부터 다(多) 경로의 인서트부재투입부를 거쳐 메인플레이트 내부의 인서트부재공급로 측으로 인서트부재가 공급되어 상기 인서트부재배출부까지 이송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인서트부재가 인서트부재투입부로 균일하게 유입되지 않을 경우 작업자가 직접 인서트부재를 넣어주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과 아울러, 상기 공급피더로부터 다(多) 경로의 인서트부재투입부를 거쳐 메인플레이트의 인서트부재배출부까지 이송시키는데에 대한 인서트부재의 이송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인서트부재투입부로부터 메인플레이트의 인서트부재공급로 상으로 인서트부재가 공급 이송될 때 상기 인서트부재투입부의 떨림으로 인한 인서트부재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면서 상기 인서트부재공급로 상에 넘어진 상태로 끼일 경우 단순히 공급피더의 진동작용만으로는 상기 인서트부재공급로로부터 인서트부재를 분리시키지 못함은 물론, 상기 인서트부재의 연속적인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더불어, 종래 인서트부재 정렬지그 중 상기 인서트부재투입부의 경우 메인플레이트의 인서트부재공급로와 상호 수평을 이루면서 상기 인서트부재공급로와 동일 개수로 이송로를 형성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상기 인서트부재 공급에 따른 구조적 제약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상기와 같은 구조의 형태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인서트부재 정렬지그의 전체적인 형상이 커질 수밖에 없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종래 인서트부재 정렬지그의 경우 푸싱핀에 의해 인서트부재배출부의 상측으로 인출된 인서트부재의 인출불량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인출불량상태가 감지된 인서트부재를 한 쪽으로 배출하여 수집하기 위한 수단이 전무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푸싱핀에 의해 인출된 인서트부재 중 어느 하나가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로봇의 이송부재가 취부하여 인서트부재 공급다이에 공급하고 이를 다시 인서트 삽입장치를 통해 사출금형으로 이송 삽입시킨 상태에서 최종 사출작업을 시행할 경우, 상기 인서트부재의 인출불량상태의 개수로 사출물이 성형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사출물의 전체 불량으로 이어져 이를 전부 폐기해야하는 문제점과 아울러, 상기 불량 사출물의 폐기에 따른 큰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선(先) 출원된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실용신안 출원번호 2005-23403호)가 제안되었는데, 이는 진동작용을 통해 인서트용 너트를 공급하는 공급피더와; 상기 공급피더로부터 공급된 인서트용 너트를 일렬로 배열시켜 너트공급부재 측으로 공급하는 인서트 정렬부재와; 상기 인서트 정렬부재를 통해 공급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너트공급로상에 배열시킴과 동시에, 이를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이송로를 따라 너트인출홀까지 공급시키는 너트공급수단과; 상기 너트이송로를 따라 너트인출홀까지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의 최초 공급상태 유지와 함께 이와 연동되어 커버부재의 상단까지 원활한 상승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정렬시키는 너트이탈 방지수단과; 상기 너트이탈 방지수단을 통해 너트공급부재 내에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승시켜 인접 한 인서트물 공급다이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상승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의 상단으로 상승된 인서트용 너트의 인출불량상태를 감지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너트불량 제어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실용신안 출원번호 2005-23403호)의 경우 인서트 정렬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인출홀까지 공급시키는 역할의 너트공급수단 즉, 상기 인서트 정렬부재를 통해 공급된 인서트용 너트를 공기분사작용을 통해 너트공급부재의 너트공급로상에 배열시키는 제 1 공급수단과, 상기 너트공급로상에 배열된 인서트용 너트를 너트이송로 내측으로 푸싱 공급함과 아울러 공기분사작용을 통해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인출홀까지 공급시키는 제 2 공급수단으로 이루어진 너트공급수단의 구성 자체가 너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어 이를 구성하는데 대한 구조적 제약과 함께, 상기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의 크기 역시 전체적으로 커질 수밖에 없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복잡한 구성의 너트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를 조립하는 데에 대한 번거로움과 함께 조립시간 및 조립공정 역시 증가하게 되며, 특히 상기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중 너트공급수단의 고장시 이를 수리하기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 역시 있었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를 제조하는데 있어 복잡한 구성의 조합으로 인한 제품의 제조단가 및 판매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이를 구입하는데 대한 경제적 부담 역시 증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너트공급수단 중 인서트 정렬부재를 거쳐 너트공급부재의 너트공급로상에 인서트용 너트를 배열시키는 제 1 공급수단의 작용과정에서 공기분사작용에 의한 인서트용 너트의 압착으로 상기 인서트용 너트의 배열피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너트공급로 측으로부터 너트이송로 내부로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제 1 공급수단의 공기분사작용으로 너트공급부재의 너트공급로상에 배열된 인서트용 너트의 배열피치가 변화되면서 너트이송로 내부로 인서트용 너트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너트공급작업에 대한 효율성 및 작업공정의 간편성이 크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 역시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진동작용에 의해 공급피더로부터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인출홀 측으로 공급 정렬시키는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중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일측에 공급피더로부터 인서트 정렬부재를 거쳐 너트공급부재 측에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각기 독립적으로 수납하여 실린더의 신축작용을 통해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이송로상에 배열시키는 이송로 배열수단을 설치 구성함으로써, 종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중 인서트 정렬부재를 통해 일렬로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너트공급로와 상기 너트공급로 측에 배열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기 너트이송로를 따라 그 끝단인 너트인출홀까지 공급하는 너트공급장치에 대하여 보다 간단 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중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일측에 이송로 배열수단을 설치 구성함으로써, 종래 인서트 정렬부재를 거쳐 너트공급부재의 너트공급로상에 인서트용 너트를 배열시킬 때 공기분사작용에 의한 인서트용 너트의 배열피치가 변화되어 상기 너트공급로 측으로부터 너트이송로 내부로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너트공급부재의 일측에 설치된 이송로 배열수단에 의해 너트공급로 측으로부터 너트이송로의 내측으로 인서트용 너트의 원활한 유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공기분사작용에 의한 인서트용 너트의 배열피치 변화로 인서트용 너트의 원활한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종래에 비해 작업의 효율성 및 작업공정의 간편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는, 사출금형의 목적한 위치에 인서트용 너트가 인서트 될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용 너트를 정위치에 정렬시키는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에 있어서;
진동작용을 통해 인서트용 너트를 공급하는 공급피더와;
상기 공급피더로부터 공급된 인서트용 너트를 일렬로 정렬시키는 인서트 정렬부재와;
상기 인서트 정렬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각기 독립적으로 수 납함과 동시에 이송바 구동실린더의 신축작용으로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이송로 상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열시키는 이송로 배열수단과;
상기 배열된 인서트용 너트상에 공기를 분사시켜 상기 너트이송로를 따라 그 끝단인 너트인출홀까지 공급시키도록 이송로 배열수단의 일측에 연결된 피팅부재와;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인출홀에 공급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승시켜 인접한 인서트물 공급다이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상승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상단에는 피팅부재를 통한 공기분사시 인서트용 너트의 외부 이탈 방지 및 너트인출홀까지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최초 공급 상태로 유지 정렬시킴과 아울러, 상기 너트상승수단에 의해 상승된 인서트용 너트의 인출불량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인출불량 감지센서가 설치된 너트이탈 방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로 배열수단은 너트공급부재의 일측에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서트 정렬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각기 독립적으로 수납이 이루어지는 너트수납 이송바와; 로드의 길이 신축에 따라 너트수납 이송바를 이송시켜 상기 너트수납 이송바 내에 인서트용 너트의 수납과 상기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를 너트이송로 측으로 배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송바 구동실린더와; 상기 이송바 구동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되어 너트수납 이송바 내에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가 상기 너트이송로 상에 각기 대응되도록 신축되는 로드의 일단을 감지하는 로드 감 지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너트수납 이송바는 사각바 형태로 형성되되, 그 전방(前方) 중앙에는 인서트 정렬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수납할 수 있도록 "U"자 형태의 너트수납홈이 각기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너트수납홈 상/하단에는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각 너트수납홈의 후방(後方)에는 피팅부재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각각의 너트수납홈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기공급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너트상승수단은 너트공급부재 하단에 설치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로드의 길이가 신장되는 실린더와; 상기 로드 일단에 고정되며, 로드 신장시 이젝터핀을 너트공급부재 내에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까지 상승시키는 이젝터핀 플레이트와; 상기 이젝터핀 플레이트에 각각 결착되며, 로드 신장에 의한 이젝터핀 플레이트의 상승작용을 통해 상기 인서트용 너트를 너트공급부재의 상단까지 상승시키는 이젝터핀과; 상기 이젝터핀 플레이트 하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실린더의 양측면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이젝터핀 플레이트의 원활한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로드의 신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과; 상기 실린더로부터 가이드봉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봉의 타단을 연결 고정하는 가이드봉 고정블럭과; 상기 가이드봉 고정블럭에 관통 설치되어 로드 신장시 실린더와 가이드봉 고정블럭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상기 이젝터핀과 결합된 상태로 이젝터핀 플레이트에 볼트 체결되어 상기 이젝터핀 플레이트 상에 결착된 이젝터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젝터핀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너트이탈 방지수단은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인출홀과 연통되면서 그 상단으로부터 전후 이송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커버부재와; 로드의 길이 신장을 통해 커버부재의 전후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린더와; 상기 로드와 커버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로드의 길이 신장을 커버부재에 전달하는 연결로드와; 상기 너트공급부재 상에서 로드에 의한 연결로드의 전후 이송작용이 원활하도록 관통 형성된 장공형태의 연결로드 이송홀과;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상단에 설치되어 로드 및 연결로드에 의해 전후 이송되는 커버부재가 너트공급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이탈 방지블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커버부재에는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인출홀과 연통되는 너트취출구가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각 너트취출구의 일측에는 인서트용 너트와 함께 너트이송로를 따라 너트인출홀까지 공급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각 공기배출구의 일측에는 인출불량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인출불량상태의 인서트용 너트를 따로 배출 분리시키기 위한 불량너트 수집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를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세부 상세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중 너트공급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중 이송로 배열수단의 분해도 및 세부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너트상승수단의 분해도 및 세부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너트이탈 방지수단 중 커버부재의 사시도 및 세부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200)는, 사출금형(미도시)의 목적한 위치에 인서트용 너트(205)가 인서트 될 수 있도록 공급피더(210)의 진동작용을 통해 인서트용 너트(205)를 너트공급부재(230) 측으로 공급 정렬시키는 장치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작용을 통해 인서트용 너트(205)를 공급하는 공급피더(210)와; 상기 공급피더(210)로부터 공급된 인서트용 너트(205)를 일렬로 정렬시키는 인서트 정렬부재(220)와; 상기 인서트 정렬부재(220)를 통해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205)를 각기 독립적으로 수납함과 동시에 이송바 구동실린더(244)의 신축작용으로 너트공급부재(230)의 너트이송로(232) 상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열시키는 이송로 배열수단(240)과; 상기 배열된 인서트용 너트(205) 상에 공기를 분사시켜 상기 너트이송로(232)를 따라 그 끝단인 너트인출홀(233)까지 공급시키도록 이송로 배열수단(240)의 일측에 연결된 피팅부재(250)와; 상기 너트공급부재(230)의 너트인출홀(233)에 공급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205)를 상승시켜 인접한 인서트물 공급다이(미도시)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상승수단(2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공급부재(230)의 상단에는 피팅부재(250)를 통한 공기분사시 인서트용 너트(205)의 외부 이탈 방지 및 너트인출홀(233)까지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205)를 최초 공급 상태로 유지 정렬시킴과 아울러, 상기 너트상승수단(280)에 의해 상승된 인서트용 너트(205)의 인출불량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인출불량 감지센서(321)가 설치된 너트이탈 방지수단(300)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너트이탈 방지수단(300)의 경우 후술되는 너트이탈 방지수단(300)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200) 중 상기 너트공급부재(230)는, 피팅부재(250)로부터 분사된 공기에 의해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205)를 정렬함과 동시에 이를 너트상승수단(280)을 통해 상승시켜 인접한 인서트물 공급다이로 이송할 수 있게 상기 인서트용 너트(205)의 공급대기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요소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사각 판넬로 형성됨과 동시에 사용목적에 따라 인서트용 너트(205)의 공급이 일측 또는 양측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너트공급부재(2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너트이송로(2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너트이송로(232)의 일측 끝단에는 피팅부재(250)의 공기분사를 통해 너트공급부재(230)의 내측으로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205)를 휴대폰 케이스 내의 삽입위치와 동일위치를 이루도록 정렬시킴과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205)를 상기 너트공급부재(230)의 상단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너트인출홀(2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너트이송로(232) 타측 끝단 즉, 너트공급부재(230)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이송로 배열수단(240) 중 이송바 구동실린더(244)의 신축작용시 이와 연동되어 너트수납 이송바(241)가 상기 너트공급부재(230) 상에서 좌우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바 이송홈(2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바 이송홈(231)이 형성된 너트공급부재(230)의 일단 또는 양단의 일측에는 인서트 정렬부재(22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안착홈(237)이 형성된 돌출부(23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너트공급부재(230)의 좌우 양측면에는 너트이탈 방지수단(300) 중 로드에 의한 연결로드(308)의 전후 이송작용이 상기 너트공급부재(230) 상에서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장공 형태의 연결로드 이송홀(23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200) 중 상기 공급피더(210)는, 진동자의 진동작용을 통해 인서트용 너트(205)를 인서트 정렬부재(220) 즉, 상기 공급피더(210)와 너트공급부재(230) 사이에 설치된 인서트 정렬부재(220) 측에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요소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귤러 형태를 이루면서 일측면이 절단된 구조의 너트 공급부(211) 즉, 진동을 통해 인서트 정렬부재(220) 측으로 인서트용 너트(205)의 이송 공급이 원활할 수 있도록 너트 이송부(212)가 스파이럴 형태로 형성된 너트 공급부(211)가 상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너트 공급부(211) 하단에는 진동작용을 통해 인서트용 너트(205)를 정렬 공급하는 진동자(2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자(213) 하단에는 너트 공급부(211)와 진동자(21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14) 하단에는 진동자(213)에 의한 진동을 흡수 차단하기 위한 중공 원통체 형태의 진동방지부재(215)가 등삼각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방지부재(215) 하단에는 상기 공급피더(210) 전체 구조를 피더 베이스판(217)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21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200) 중 상기 인서트 정렬부재 (220)는, 진동작용에 의한 공급피더(210)의 배출구 측으로부터 너트공급부재(230)의 너트공급로(231) 측으로 수평적 일렬의 배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요소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사각블럭으로 형성되되, 그 중앙 상단에는 공급피더(210)의 배출구와 상호 연통되는 너트 가이드홈(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너트 가이드홈(222)의 입구에는 공급피더(210)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인서트용 너트(205)가 상기 인서트 정렬부재(220)의 너트 가이드홈(222) 내부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도부(미도시)가 확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200) 중 상기 이송로 배열수단(240)은, 인서트 정렬부재(220)를 통해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205)를 각기 독립적으로 수납함과 동시에 이송바 구동실린더(244)의 신축작용에 의해 좌우로 이송되면서 너트공급부재(230)의 너트이송로(232) 상에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205)가 각각 대응되도록 배열시키는 요소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공급부재(230)의 일측에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서트 정렬부재(220)를 통해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205)를 각기 독립적으로 수납이 이루어지는 너트수납 이송바(241)와; 로드(245)의 길이 신축에 따라 너트수납 이송바(241)를 이송시켜 상기 너트수납 이송바(241) 내에 인서트용 너트(205)의 수납과 상기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205)를 너트이송로(232) 측으로 배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송바 구동실린더(244)와; 상기 이송바 구동실린더(244)의 일측에 설치되어 너트수납 이송바(241) 내에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205)가 상기 너트이송로(232) 상에 각기 대응되도록 신축되는 로드(245)의 일단을 감지하는 로드 감지센서(246)로 구성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247은 이송바 구동실린더(244)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실린더 고정브라켓(247)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상기 너트수납 이송바(241)의 경우, 전체 형상이 사각바(bar)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전방(前方) 중앙에는 인서트 정렬부재(220)를 통해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205)를 수납할 수 있도록 "U"자 형태의 너트수납홈(242)이 각기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너트수납홈(242) 상/하단에는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20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부(242a)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각 너트수납홈(242)의 후방(後方)에는 피팅부재(250)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각각의 너트수납홈(242)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기공급홀(24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공급홀(243)은 피팅부재(250)가 결합되는 이송로 배열수단(240)의 일측 즉, 상기 너트수납 이송바(241)의 일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팅부재(250)의 경우 너트수납 이송바(241)의 일측으로 관통 형성된 공기공급홀(243) 측에 삽입 고정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너트수납 이송바(241)의 경우 이송바 구동실린더(244)에 의한 로드(245)의 신축작용에 의해 너트공급부재(230) 상에서 좌우 이송이 이루어지더라도 일측단이 인서트 정렬부재(220) 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너트수납홈(242) 내에 인서트용 너트(205)가 수납되는 상황 이외에는 상기 너트수납 이송바(241)의 일측단에 의해 인서트 정렬부재(220)로부터 인서트용 너트(205)의 공급이 차단되게 되며, 상기 돌출된 너트수납 이송바(241)의 일측단과 인서트 정렬부재(220)의 경우 공급피더(210) 측의 진동작용이 너트수납 이송바(241)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인서트용 너트(205)의 직경 보다 작은 미세 간격으로 이격 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200) 중 상기 너트상승수단(280)은, 너트공급부재(230)의 하단에 설치되어 피팅부재(250)의 공기분사작용을 통해 너트이송로(232)의 일측 끝단에 위치된 너트인출홀(233)까지 공급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205)를 인접한 인서트물 공급다이로 이송시킬 수 있게 상기 너트인출홀(233) 내에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205)를 상기 너트공급부재(230)의 상단 즉, 너트이탈 방지수단(300)의 커버부재(301) 상단으로 상승시켜 상기 인서트용 너트(205)가 공급대기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요소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공급부재(230) 하단에 설치되어 주입된 공기에 의해 로드의 길이가 신장되는 실린더(281)와; 상기 로드 일단에 고정되며, 로드 신장시 이젝터핀(291)을 너트공급부재(230) 내에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205)까지 상승시키는 이젝터핀 플레이트(289)와; 상기 이젝터핀 플레이트(289)에 각각 결착되며, 로드 신장에 의한 이젝터핀 플레이트(289)의 상승작용을 통해 상기 인서트용 너트(205)를 너트공급부재(230)의 상단까지 상승시키는 이젝터핀(291)과; 상기 이젝터핀 플레이트(289) 하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실린더(281)의 양측면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이젝터핀 플레이트(289)의 원활한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로드의 신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283)과; 상기 실린더(281)로부터 가이드봉(283)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봉(283)의 타단을 연결 고정하는 가이드봉 고정블럭(285)과; 상기 가이드봉 고정블럭(285)에 관통 설치되어 로드 신장시 실린더(281)와 가이드봉 고정블럭(285)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스토퍼(28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너트상승수단(280) 중 상기 실린더(281)의 경우 주입된 공기에 의해 길이가 신장되는 로드가 중앙에 내삽됨과 아울러, 그 양측면에는 신장되는 로드에 의해 이젝터핀 플레이트(289)의 승하강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봉(283)을 내삽하기 위한 가이드봉 결합홀(28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의 일단에는 가이드봉(283) 일단과 더불어 상기 이젝터핀 플레이트(289)의 하단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재(28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너트상승수단(280) 중 상기 가이드봉 고정블럭(285)의 경우 전체 형상이 십자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양단에는 실린더(281)로부터 가이드봉(283)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볼트 체결을 통해 삽입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봉 고정홀(286)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로드 신장시 실린더(281)와 가이드봉 고정블럭(285)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288)가 설치되기 위한 스토퍼 고정홀(287)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상승수단(280) 중 상기 이젝터핀 플레이트(289)의 경우 전체 형상이 사각 플레이트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플레이트 상에는 이젝터핀(291)을 결착시키기 위한 이젝터핀 결합홀(290)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젝터핀 결합홀(290) 상단에는 삽입된 이젝터핀 결합홀(290)로부터 이젝터핀(29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젝터핀 고정부재(292)가 볼트 체결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이젝터핀 고정부재(292)의 경우 일측엔 볼트 체결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타측엔 이젝터핀(291)이 삽입된 상태로 이젝터핀 결합홀(290)을 밀폐할 수 있는 크기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너트공급부재(230)의 하단에는 로드 신장에 따른 이젝터 핀 플레이트(289)의 상승작용시 상기 이젝터핀 플레이트(289)와 함께 상승되는 이젝터핀(291)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시(293)가 설치 고정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200) 중 상기 너트이탈 방지수단(300)은, 피팅부재(250)를 통한 공기분사시 너트이송로(232) 측으로부터 인서트용 너트(205)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너트공급부재(230)의 너트이송로(232)를 따라 너트인출홀(233)까지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205)를 정렬시키는 과정과, 상기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205)를 커버부재(301)의 상단으로 상승시키는 과정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301)를 전후 이송시켜 인서트용 너트(205)의 최초 공급상태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이와 연동되어 너트상승수단(280)을 통해 커버부재(301)의 상단까지 원활한 상승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요소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공급부재(230)의 너트인출홀(233)과 연통되면서 그 상단으로부터 전후 이송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커버부재(301)와; 로드의 길이 신장을 통해 커버부재(301)의 전후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린더(307)와; 상기 로드와 커버부재(301) 사이에 설치되어 로드의 길이 신장을 커버부재(301)에 전달하는 연결로드(308)와; 상기 너트공급부재(230) 상에서 로드에 의한 연결로드(308)의 전후 이송작용이 원활하도록 관통 형성된 장공 형태의 연결로드 이송홀(235)과; 상기 너트공급부재(230)의 상단에 설치되어 로드 및 연결로드(308)에 의해 전후 이송되는 커버부재(301)가 너트공급부재(2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이탈 방지블럭(3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너트이탈 방지수단(300) 중 상기 커버부재(301)의 경우, 전체 형상이 사각 판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너트공급부재(230)의 너트인출홀(233)과 연통되는 너트취출구(302)가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너트취출구(302)의 일측에는 인서트용 너트(205)와 함께 너트이송로(232)를 따라 너트인출홀(233)까지 공급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구(303)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공기배출구(303)의 일측에는 인출불량 감지센서(321)에 의해 감지된 인출불량상태의 인서트용 너트(205)를 따로 배출 분리시키기 위한 불량너트 수집홈(30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너트취출구(302)의 타측에는 너트상승수단(280)에 의해 커버부재의 너트취출구(302)로 상승된 인서트용 너트(205)의 인출불량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인출불량 감지센서(321)가 설치 고정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커버부재(301)의 좌우 양측에는 커버이탈 방지블럭(310)과 대응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이탈 방지블럭(310)을 기점으로 커버부재(301)의 전후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장공형태의 이송홀(305)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301)의 사각 테두리에는 너트공급부재(230)의 연결로드 이송홀(235)을 관통하여 설치된 연결로드(308)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로드 고정홀(306)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이탈 방지수단(300) 중 상기 연결로드(308)의 경우, 너트공급부재(230)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된 연결로드 이송홀(235)과 상기 커버부재(301)의 사각 테두리에 형성된 연결로드 고정홀(306)에 관통 설치되어 너트이탈 방지수단(300) 중 로드에 의한 전후 이송작용을 커버부재(301)에 전달하여 상기 커버 부재(301)가 너트공급부재(230)의 너트이송로(232)를 따라 너트인출홀(233)까지 인서트용 너트(205)를 공급 정렬시키는 과정과, 상기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205)를 커버부재(301)의 상단으로 상승시키는 과정에 따라 전후로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로서, 전체 형상이 원통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일단엔 로드와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 결합홀(309)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대한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상태도로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중 인서트 정렬부재를 통해 너트수납 이송바의 너트수납홈 내에 인서트용 너트가 공급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중 너트수납 이송바의 이송작용을 통해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이송로 측에 인서트용 너트가 배열되는 상태 및 상기 배열된 인서트용 너트를 공기분사작용을 통해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인출홀까지 공급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중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인출홀 내에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승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중 너트공급부재로부터 인출된 인서트용 너트의 인출불량을 감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진동작용이 이루어지는 공급피더(210)로부터 인서트 정렬부재(220)를 거쳐 너트공급부재(230) 측으로 인서트용 너트(205)를 공급하기 위하여 이송바 구동실린더(244) 내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바 구동실린더(244) 내의 로드(245) 길이가 신장되면서 상기 로드(245)와 연결된 너트수납 이송바(241) 즉, 상기 너트수납 이송바(241)의 전방(前方) 중앙에 형성된 너트수납홈(242) 측이 공급피더(210)와 연결된 인서트 정렬부재(22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인서트 정렬부재(220) 측으로 너트수납 이송바(241)의 너트수납홈(242)이 이동되게 되면, 상기 공급피더(210)로부터 인서트 정렬부재(220)를 거쳐 일렬로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205)가 상기 너트수납 이송바(241)의 너트수납홈(242) 내부로 유입 수납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인서트용 너트(205)의 수납작용은 신장되었던 이송바 구동실린더(244) 내의 로드(245) 길이가 수축되면서 너트수납 이송바(241)가 신장되었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너트수납홈(242) 역시 이동되면서 빈 너트수납홈(242) 내부에 인서트용 너트(205)가 계속적으로 수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수납 이송바(241)와 함께 이동되면서 너트수납홈(242) 내에 인서트용 너트(205)가 모두 수납되게 되면 또 다시 너트수납홈(242) 내부에 인서트용 너트(205)를 수납하기 위한 너트수납 이송바(241)의 이송작용이 이루어지기 전(前)까지 인서트 정렬부재(220) 측으로 돌출된 너트수납 이송바(241)의 일측단에 의해 인서트용 너트(205)의 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너트수납홈(242) 내부에 인서트용 너트(205)가 수납된 상태에서 이송바 구동실린더(244) 내 로드(245) 길이의 수축으로 상기 너트수납 이송바(241)가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245)의 신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인서트용 너트(205)가 수납된 너트수납 이송바(241)의 너트수납홈(242)이 너트공급부재(230)의 너트이송로(232) 측과 대응되도록 배열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이송바 구동실린더(244)의 일측에는 로드 감지센서(246)가 설치되어 있어 수축되는 로드(245)의 일단이 상기 로드 감지센서(246)에 감지될 경우 상기 로드(245)의 신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송되는 너트수납 이송바(241)의 너트수납홈(242) 즉, 상기 각 너트수납홈(242) 내에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205)들과 상기 너트공급부재(230)의 너트이송로(232)들이 상호 대응되는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각 너트수납홈(242) 내에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205)들이 상기 너트공급부재(230)의 너트이송로(232)와 상호 대응되는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되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너트수납홈(242)과 연통되도록 너트수납 이송바(241)의 일측으로부터 관통 형성된 공기공급홀(243) 측에 결합되어 있는 피팅부재(250)를 통해 압축공기를 너트수납홈(242) 내에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205) 상에 분사시킴으로써, 상기 분사되는 공기의 가압력에 의해 너트이송로(232)를 따라 인서트용 너트(205)가 이송되면서 최종 목적지인 너트인출홀(233) 측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그 내부에 너트상승수단(280)에 의한 인서트용 너트(205)의 상승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로 정렬되게 된다.
이 때, 상기 피팅부재(250)에 의한 공기분사작용으로 인서트용 너트(205)가 너트인출홀(233) 측으로 이송되는 과정 중 상기 너트공급부재(230)의 상단에 설치 된 커버부재 즉, 공기분사에 의해 너트인출홀(233)까지 이송 공급된 인서트용 너트(205)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최초 공급상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너트공급부재(230)의 상단에 전후 이송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커버부재(301)의 경우 너트취출구(302)와 불량너트 수집홈(304) 사이에 관통 형성된 공기배출구(303)와 상기 너트공급부재(230)의 너트인출홀(233)이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너트공급부재(230)의 연결로드 이송홀(235)을 거쳐 커버부재(301)의 연결로드 고정홀(306)에 결합된 연결로드(308)의 실린더(307)에 의한 이송작용에 따라 너트공급부재(230)의 일측편으로 이송되어 있는데, 이는 공급핀(270)으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만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너트인출홀(233) 내에 정렬되어 있는 인서트용 너트(205)는 공기의 가압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피팅부재(250)의 공기분사작용을 통해 인서트용 너트(205)가 너트인출홀(233) 측으로 공급 정렬되게 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너트공급부재(230)의 하방(下方)에 위치되어 있는 이젝터핀 플레이트(289)의 하단에 설치된 실린더(281) 내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로드의 길이 신장을 통해 이젝터핀(291)이 결착된 상기 이젝터핀 플레이트(289)를 너트공급부재(230) 측으로 상승시켜 상기 너트인출홀(233) 내에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205)와 이젝터핀 플레이트(289)에 의해 상승되는 상기 이젝터핀(291)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너트인출홀(233)로부터 너트공급부재(230)의 상단에 설치된 커버부재(301)의 상측인 외부로 인서트용 너트(205)가 인출되게 되는데, 이 때 상기와 같이 너트인출홀(233) 내에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205)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해 이젝터핀 플레이 트(289)를 상승시키는 과정에 앞서, 상기 너트공급부재(230)의 일측편으로 이송되었던 커버부재(301)를 상기 실린더(307)에 의한 연결로드(308)의 이송작용을 통해 다시 너트공급부재(230)의 타측편으로 이송시켜 상기 너트공급부재(230)의 너트인출홀(233)과 상기 커버부재(301)의 너트취출구(302)가 상호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젝터핀 플레이트(289)에 의해 너트인출홀(233)로부터 상승되는 인서트용 너트(205)가 커버부재(301)의 너트취출구(302)를 거쳐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젝터핀 플레이트(289)의 상승작용을 통해 상기 이젝터핀(291)에 삽착된 상태로 커버부재(301)의 너트취출구(302)의 상단으로 인서트용 너트(205)가 인출되게 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너트취출구(302)의 타측에 고정된 인출불량 감지센서(321)를 통해 상기 각 너트취출구(302) 상단으로 인출된 인서트용 너트(205)의 인출상태를 감지하여 그 중 하나의 인서트용 너트(205)라도 인출이 되지 않은 인출불량상태일 경우, 상기 너트공급부재(230)의 타측편으로 이송되었던 커버부재(301)를 상기 실린더(307)에 의한 연결로드(308)의 이송작용을 통해 다시 너트공급부재(230)의 일측편으로 이송시켜 상기 커버부재(301)의 공기배출구(303)와 상기 너트공급부재(230)의 너트인출홀(233)이 상호 연통되도록 한 후 상승된 이젝터핀(291) 즉, 상기 이젝터핀(291)이 결착된 이젝터핀 플레이트(289)를 하강시켜 상기 이젝터핀(291)에 삽착되어 있던 인출불량상태의 인서트용 너트(205)를 상기 커버부재(301)의 불량너트 수집홈(304) 내에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인출불량상태의 인서트용 너트(205)가 사출과정에 사용되어 제품 전체의 불량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는, 진동작용에 의해 공급피더로부터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인출홀 측으로 공급 정렬시키는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중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일측에 공급피더로부터 인서트 정렬부재를 거쳐 너트공급부재 측에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각기 독립적으로 수납하여 실린더의 신축작용을 통해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이송로상에 배열시키는 이송로 배열수단을 설치 구성함으로써, 종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중 인서트 정렬부재를 통해 일렬로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너트공급로와 상기 너트공급로 측에 배열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기 너트이송로를 따라 그 끝단인 너트인출홀까지 공급하는 너트공급장치에 대하여 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중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일측에 이송로 배열수단을 설치 구성함으로써, 종래 인서트 정렬부재를 거쳐 너트공급부재의 너트공급로상에 인서트용 너트를 배열시킬 때 공기분사작용에 의한 인서트용 너트의 배열피치가 변화되어 상기 너트공급로 측으로부터 너트이송로 내부로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너트공급부재의 일측에 설치된 이송로 배열수단에 의해 너트공급로 측으로부터 너트이송로의 내측으로 인서트용 너트의 원활한 유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공기분사작용에 의한 인서트용 너트의 배열피치 변화로 인서트용 너트의 원활한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종래에 비해 작업의 효율성 및 작업공정의 간편성이 향상되게 되는 등의 효과도 있다.

Claims (8)

  1. 사출금형의 목적한 위치에 인서트용 너트가 인서트 될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용 너트를 정위치에 정렬시키는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에 있어서;
    진동작용을 통해 인서트용 너트를 공급하는 공급피더와;
    상기 공급피더로부터 공급된 인서트용 너트를 일렬로 정렬시키는 인서트 정렬부재와;
    상기 인서트 정렬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각기 독립적으로 수납함과 동시에 이송바 구동실린더의 신축작용으로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이송로 상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열시키는 이송로 배열수단과;
    상기 배열된 인서트용 너트상에 공기를 분사시켜 상기 너트이송로를 따라 그 끝단인 너트인출홀까지 공급시키도록 이송로 배열수단의 일측에 연결된 피팅부재와;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인출홀에 공급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승시켜 인접한 인서트물 공급다이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상승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상단에는 피팅부재를 통한 공기분사시 인서트용 너트의 외부 이탈 방지 및 너트인출홀까지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최초 공급 상태로 유지 정렬시킴과 아울러, 상기 너트상승수단에 의해 상승된 인서트용 너트의 인출불량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인출불량 감지센서가 설치된 너트이탈 방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배열수단은 너트공급부재의 일측에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서트 정렬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각기 독립적으로 수납이 이루어지는 너트수납 이송바와;
    로드의 길이 신축에 따라 너트수납 이송바를 이송시켜 상기 너트수납 이송바 내에 인서트용 너트의 수납과 상기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를 너트이송로 측으로 배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송바 구동실린더와;
    상기 이송바 구동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되어 너트수납 이송바 내에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가 상기 너트이송로 상에 각기 대응되도록 신축되는 로드의 일단을 감지하는 로드 감지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수납 이송바는 사각바 형태로 형성되되, 그 전방(前方) 중앙에는 인서트 정렬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수납할 수 있도록 "U"자 형태의 너트수납홈이 각기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너트수납홈 상/하단에는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각 너트수납홈의 후방(後方)에는 피팅부재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각각의 너트수납홈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기공급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상승수단은 너트공급부재 하단에 설치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로드의 길이가 신장되는 실린더와; 상기 로드 일단에 고정되며, 로드 신장시 이젝터핀을 너트공급부재 내에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까지 상승시키는 이젝터핀 플레이트와; 상기 이젝터핀 플레이트에 각각 결착되며, 로드 신장에 의한 이젝터핀 플레이트의 상승작용을 통해 상기 인서트용 너트를 너트공급부재의 상단까지 상승시키는 이젝터핀과; 상기 이젝터핀 플레이트 하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실린더의 양측면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이젝터핀 플레이트의 원활한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로드의 신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과; 상기 실린더로부터 가이드봉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봉의 타단을 연결 고정하는 가이드봉 고정블럭과; 상기 가이드봉 고정블럭에 관통 설치되어 로드 신장시 실린더와 가이드봉 고정블럭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상기 이젝터핀과 결합된 상태로 이젝터핀 플레이트에 볼트 체결되어 상기 이젝터핀 플레이트 상에 결착된 이젝터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젝터핀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이탈 방지수단은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인출홀과 연통되면서 그 상단으로부터 전후 이송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커버부재와; 로드의 길이 신장을 통해 커버부재의 전후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린더와; 상기 로드와 커버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로드의 길이 신장을 커버부재에 전달하는 연결로드와; 상기 너트공급부재 상에서 로드에 의한 연결로드의 전후 이송작용이 원활하도록 관통 형성된 장공형태의 연결로드 이송홀과;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상단에 설치되어 로드 및 연결로드에 의해 전후 이송되는 커버부재가 너트공급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이탈 방지블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는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인출홀과 연통되는 너트취출구가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각 너트취출구의 일측에는 인서트용 너트와 함께 너트이송로를 따라 너트인출홀까지 공급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각 공기배출구의 일측에는 인출불량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인출불량상태의 인서트용 너트를 따로 배출 분리시키기 위한 불량너트 수집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KR2020050023500U 2005-08-13 2005-08-13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KR2004071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500U KR200407123Y1 (ko) 2005-08-13 2005-08-13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500U KR200407123Y1 (ko) 2005-08-13 2005-08-13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123Y1 true KR200407123Y1 (ko) 2006-01-25

Family

ID=41758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500U KR200407123Y1 (ko) 2005-08-13 2005-08-13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12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774B1 (ko) 2006-10-27 2007-09-03 주식회사 삼광 휴대폰케이스 제조용 너트 인서트장치의 자동화 공정 및장치
KR100945478B1 (ko) * 2007-12-28 2010-03-05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제조 장치
KR101010747B1 (ko) 2008-10-14 2011-01-26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인서트너트 정렬시스템
KR101113298B1 (ko) 2010-04-16 2012-02-14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인서트 사출을 위한 인서트부재 자동 공급장치
KR101182803B1 (ko) 2010-01-25 2012-09-13 주식회사 우성엠엔피 인서트 공급장치
KR101277547B1 (ko) * 2010-08-26 2013-06-21 김도완 전자제품 케이스의 안착을 감지하는 인서트너트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774B1 (ko) 2006-10-27 2007-09-03 주식회사 삼광 휴대폰케이스 제조용 너트 인서트장치의 자동화 공정 및장치
KR100945478B1 (ko) * 2007-12-28 2010-03-05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제조 장치
KR101010747B1 (ko) 2008-10-14 2011-01-26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인서트너트 정렬시스템
KR101182803B1 (ko) 2010-01-25 2012-09-13 주식회사 우성엠엔피 인서트 공급장치
KR101113298B1 (ko) 2010-04-16 2012-02-14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인서트 사출을 위한 인서트부재 자동 공급장치
KR101277547B1 (ko) * 2010-08-26 2013-06-21 김도완 전자제품 케이스의 안착을 감지하는 인서트너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7123Y1 (ko)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KR200399696Y1 (ko)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KR100566516B1 (ko) 사출물 사상 및 인서트 너트 정렬장치
KR100952999B1 (ko) 인서트너트 정렬장치가 구비된 취출인서트 로봇시스템
KR101001386B1 (ko) 인서트너트 정렬 공급시스템
KR101312445B1 (ko)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레일 결합용 리벳 자동 공급장치
US6095320A (en) Conveyor deployment system
KR100721855B1 (ko) 이종 인서트너트 이송용 이중트랙을 갖는 진동피더
KR100942177B1 (ko)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KR20210075149A (ko) 이동식 저장 시스템
KR200404988Y1 (ko)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KR200400456Y1 (ko) 사출물 사상장치
US11141821B2 (en) Automated screw driving machine
KR101044672B1 (ko) 너트 인서트 장치
KR100906004B1 (ko)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
KR200407122Y1 (ko)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CN218762717U (zh) 可快速切换料源的供料装置
KR20100074761A (ko) 인슐레이터 조립장치
CN112351670B (zh) 部件供给装置
CN212449573U (zh) 一种储料供料机构
CN112875266A (zh) 一种自动螺钉送料器
KR20100124173A (ko) 자동차의 창문 브라켓용 체결장치
KR20100021220A (ko) 파이프 자동 세척 장치
KR101032887B1 (ko) 패널 취출용 팔레트 공급장치
CN108891729A (zh) 一种便于安装的叉车用运货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