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731B1 -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 - Google Patents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731B1
KR102309731B1 KR1020210028467A KR20210028467A KR102309731B1 KR 102309731 B1 KR102309731 B1 KR 102309731B1 KR 1020210028467 A KR1020210028467 A KR 1020210028467A KR 20210028467 A KR20210028467 A KR 20210028467A KR 102309731 B1 KR102309731 B1 KR 102309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rod
container
cap
cap assemb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홍
Original Assignee
박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홍 filed Critical 박민홍
Priority to KR1020210028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8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0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tary tables or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4Cleaning of, or removing dust from, containers, wrappers, or packaging ; Preventing of fou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1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machine
    • B65B2210/06Sterilising or cleaning machinery or conduits

Abstract

각종 튜브형 용기를 자동화 제조하기 위한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에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장착로드를 구비하는 회전스테이지; 회전스테이지의 일측에서 장착로드로 용기를 공급해 체결하는 공급유닛; 용기의 토출구에 캡을 배치하고 1차조립하는 제1캡조립유닛; 캡을 2차조립하는 제2캡조립유닛; 및 장착로드로부터 용기를 이탈시켜 배출하는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용기에 캡을 체결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시키고, 용기 내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 {CAP ASSEMBLY FACILITY FOR TUBULAR CONTAINER}
본 발명은 각종 튜브형 용기를 자동화 제조하기 위한 설비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각종 생활용품 등의 분야에서 튜브형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튜브형 용기는 연질의 시트에 튜브 형태로 가공한 후 소정의 디자인, 문자 등을 인쇄하고, 내용물이 배출되는 토출부에 캡을 체결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후 토출구 반대편의 개방부를 통해 용기 내부로 내용물이 충진되고, 열접착 등으로 개방부가 밀폐되어 제품이 완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내용물의 충진 및 밀폐는 최종 완제품을 생산하는 제조업체에서 이뤄질 수 있고, 용기 제조업체 등은 그 전 단계까지 제작된 중간재 형태의 용기를 완성품 업체에 납품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용기 제조라인은 많은 부분이 자동화 라인을 통해 구축되어 있다. 그러나 여전히 작업자의 개입을 요하는 부분이 많고, 일부 공정의 경우 자동화 라인을 통해 적절한 제품 품질이 나오지 않아 후공정을 요하는 경우가 있다. 그 중 하나는 전 단계에서 제작된 용기의 토출구 부위에 최종적으로 커버, 캡 등을 체결하는 공정이다. 커버, 캡 등의 체결공정은 각각 소정의 자동화 설비를 이용하나 이들 공정이 분리되어 있어 작업효율이나 생산성 측면에서 좋지 않다. 또한 경우에 따라 제조과정에서 각종 먼지, 이물질 등이 용기 내부에 증착될 수 있는데, 화장품, 생활용품 등의 제품에서는 용기 내 이물질 등에 대한 엄격한 품질 관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캡의 체결 이후에도 별도의 검수 및 이물질 제거 과정을 통해 제품이 출하되고 있다. 이러한 가공 공정의 분리나 검수 등의 과정은 생산성을 상당히 저해할 수 있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증진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용기에 캡 등을 체결시키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는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조과정에서 용기 내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장착로드를 구비하는 회전스테이지; 상기 회전스테이지의 일측에서 상기 장착로드로 용기를 공급해 체결하는 공급유닛; 상기 용기의 토출구에 캡을 배치하고 1차조립하는 제1캡조립유닛; 상기 캡을 2차조립하는 제2캡조립유닛; 및 상기 장착로드로부터 상기 용기를 이탈시켜 배출하는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개가 회전스테이지에 설치되고, 용기 내측에 끼워져 가공 공정 동안 상기 용기를 장착 지지하는 장착로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착로드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며, 원호형의 곡면을 이루고 상기 용기의 내주면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곡면; 상기 장착로드의 상측에 상기 장착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 내면과의 사이에 유격공간을 가지는 상부절단면; 상기 장착로드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 상기 장착로드의 전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장착로드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소정 깊이로 오목하게 인입 형성되는 유격홈;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유격홈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유격공간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1흡입홀; 및 상기 제1흡입홀의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장착로드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포집된 이물질을 흡입덕트로 배출시키는 배출홀;을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를 위한 장착로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는 토출구에 이너커버 및 캡을 체결하는 일련의 공정을 하나의 자동화된 설비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공정이 분리되어 수행되던 종래 대비 공정 효율성 및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는 캡이 조립된 용기의 최종 배출 단계에서 용기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여 이물질에 따른 불량품의 발생을 예방하고, 검수 작업에 편의를 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를 도시한 평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입스테이지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캡조립유닛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캡조립유닛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출유닛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장착로드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장착로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장착로드의 변형예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를 도시한 평면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립설비(10)는 용기(1)가 이송되는 회전스테이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립설비(10)는 회전스테이지(100)를 중심으로 배치된 공급유닛(200), 제1검사유닛(710), 이너커버유닛(300), 제2검사유닛(720), 제1캡조립유닛(400), 제3검사유닛(730), 제2캡조립유닛(500) 및 배출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스테이지(100)는 용기(1)가 장착된 상태로 단계적 회전될 수 있다. 회전스테이지(100)의 회전에 따라 용기(1)를 각 위치에서 소정의 가공이나 검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순서대로 보면, 공급유닛(200)은 투입위치(P1)에 배치되어 회전스테이지(100)로 용기(1)를 공급하고, 제1검사유닛(710)은 그 후방에서 용기(1)의 적절한 공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이너커버유닛(300)은 용기(1)에 이너커버(2)를 부착시킬 수 있고, 제2검사유닛(720)은 이너커버(2)의 적절한 부착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제1캡조립유닛(400)은 용기(1)의 나선부(3)에 캡(4)을 가조립 또는 1차조립시킬 수 있고, 제3검사유닛(730)은 캡(4)의 적절한 공급 및 조립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제2캡조립유닛(500)은 캡(4)을 회전시켜 용기(1)에 완전히 조립시킬 수 있고, 배출유닛(600)은 캡(4)이 조립된 용기(1)를 설비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용기(1)는 토출구(5)에 이너커버(2) 및 캡(4)이 체결되어 내용물이 충진되기 전의 반제품 상태로 제작될 수 있다. 참고로, 투입위치(P1)에서 공급유닛(200)에 의해 공급되는 용기(1)는 일측의 토출구(5)와 그 반대측의 개방부(6)를 구비한 것이고, 대체로 원통형을 가지는 연질의 튜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유닛(600)에 의해 배출되는 용기(1)는 상기와 같은 토출구(5)에 이너커버(2) 및 캡(4)이 조립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실시예의 조립설비(10)는 회전스테이지(10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스테이지(100)는 용기(1)의 가공을 위한 기본적인 이송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용기(1)는 회전스테이지(100)를 중심으로 이송되며 각 가공단계를 거칠 수 있다. 회전스테이지(100)는 소정 형상의 프레임, 플레이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대체로 원형 프레임 형상의 회전스테이지(100)를 예시하고 있다. 다만 회전스테이지(1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형될 수 있고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회전스테이지(100)를 상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또한 회전스테이지(100)는 단계적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단계적 회전 구동은 회전스테이지(100)가 소정 각도 회전된 후, 회전 위치에서 소정 시간 정지되고, 이후 다시 소정 각도 회전되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용기(1)는 회전스테이지(100)의 회전에 따라 다음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고, 회전된 위치에서 소정 시간 체류되며 필요한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회전스테이지(100)에는 복수의 장착로드(110)가 구비될 수 있다. 장착로드(110)에는 가공을 위한 용기(1)가 장착될 수 있다. 장착로드(110)는 토출구(5) 반대편의 개방부(6)를 통해 용기(1)로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용기(1)는 대체로 토출구(5)가 회전스테이지(1)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고, 개방부(6)가 회전스테이지(1)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장착로드(110)에 체결)되어, 회전스테이지(100)를 중심으로 단계적 회전 이송될 수 있다.
장착로드(110)는 회전스테이지(100)의 회전방향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장착로드(110)는 대체로 로드(rod), 바(bar)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용기(1)의 길이보다 소정 정도 더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장착로드(110)에는 용기(1)가 반복적으로 삽입 및 이탈되므로, 장착로드(110)는 일부 또는 전부가 금속 등 충분한 강성 및 내구성을 가진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장착로드(11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장착로드(110)는 회전스테이지(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장착로드(110)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장착로드(110)는 회전스테이지(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쌍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가공속도를 빠르게 하는데 유리한 측면이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1개씩의 장착로드(110)가 구비되거나, 3개 이상의 장착로드(110)가 하나의 쌍(세트)을 이루며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반드시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총 10쌍의 장착로드(110)가 회전스테이지(100)에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각 장착로드(11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6 등을 참조해 부연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립설비(10)는 공급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유닛(200)은 회전스테이지(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회전스테이지(100)로 가공을 위한 용기(1)를 공급할 수 있다. 편의상 공급유닛(200)이 용기(1)를 공급하는 위치를 투입위치(P1)라고 명명한다. 공급유닛(200)은 투입위치(P1)에서 제공된 용기(1)를 장착로드(110)에 로딩(끼움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장착로드(11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공급유닛(200)은 2개씩 용기(1)를 로딩시킬 수 있다.
공급유닛(200)은 용기(1)가 이송되는 공급컨베이어(210)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급컨베이어(210)는 공지된 컨베이어 장치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용기(1)는 공급컨베이어(210)의 이송방향과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공급컨베이어(210) 상에서 이송될 수 있다.
공급유닛(200)은 공급컨베이어(210)의 일측에 배치된 투입스테이지(220)를 구비할 수 있다. 투입스테이지(220)는 공급컨베이어(210)에 의해 이송된 용기(1)를 장착로드(110)로 투입하기 위해 정렬 및 대기시킬 수 있다. 용기(1)는 투입스테이지(220)에 안착 배치되면서 그 투입 위치가 정렬될 수 있고, 투입푸셔(23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송되어 장착로드(110)에 끼워질 수 있다. 장착로드(110)는 용기(1) 일단의 개방부(6)를 통해 용기(1)에 끼워질 수 있다.
투입푸셔(230)는 투입스테이지(220)에 배치된 용기(1)를 장착로드(110)를 향해 밀어 장착로드(110)에 용기(1)를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투입푸셔(230)는 대체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 로드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스테이지(100)를 향해 전후진 구동되어 용기(1)를 장착로드(110)에 밀어 넣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입스테이지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투입스테이지(220)의 상면에는 안착홈(221~223)이 구비될 수 있다. 안착홈(221~223)은 투입스테이지(220)의 상면이 완만한 원호형으로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221~223)은 투입스테이지(220)의 상면에서 용기(1)의 이송방향(용기(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장착로드(110)를 향한 안착홈(221~223)의 내측단과 투입푸셔(230)를 향한 안착홈(221~223)의 외측단은 각각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대략 원통형을 가진 용기(1)는 이러한 안착홈(221~223) 내에 배치되어 위치 정렬 및 투입 대기될 수 있다.
안착홈(221~223)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안착홈(221~223)은 좌우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안착홈(221~223)은 좌우로 배치된 제1 내지 3안착홈(221~2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3안착홈(221~223)은 그 위치가 상이할 뿐 상호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안착홈(221)은 공급컨베이어(210)에 인접한 투입스테이지(2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이어서 제2, 3안착홈(222, 223)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급컨베이어(210)를 통해 제공된 용기(1)는 제1 내지 3안착홈(221~223)을 순차적으로 거치며 측방으로 단계적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3안착홈(221, 223)은 용기(1)를 장착로드(110)로 투입하는 일종의 투입 포트로 사용될 수 있고, 제2안착홈(222)은 제1, 3안착홈(221, 223) 간의 충분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음 공급될 용기(1)의 대기를 위한 일종의 대기 포트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안착홈(222)에 의해 제1, 3안착홈(221, 223) 간의 충분한 간격 유지가 보장되어 용기(1) 공급 시의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2안착홈(221, 222)의 바닥면에는 각각 리프팅브라켓(224, 225)이 구비될 수 있다. 리프팅브라켓(224, 225)은 제1안착홈(221)에 안착된 용기(1)를 다음의 제2안착홈(222)으로 이송하거나, 제2안착홈(222)에 안착된 용기(1)를 다음의 제3안착홈(223)으로 이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프팅브라켓(224, 225)은 제1, 2안착홈(221, 222)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외면을 형성하도록 상기의 바닥면에 매립 설치되되, 일측(도면상 좌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브라켓(224, 225)은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 반복적으로 승강 및 하강 작동될 수 있다.
용기(1)의 투입 및 이송과정을 보면, 먼저 공급컨베이어(210)에 의해 제1안착홈(221)으로 용기(1)가 투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안착홈(221)의 리프팅브라켓(224)은 하강 위치로 배치된 상태이다. 용기(1)가 투입되면 제1안착홈(221)의 리프팅브라켓(224)이 소정 높이로 상승되고, 리프팅브라켓(224)의 경사에 따라 용기(1)가 인접한 제2안착홈(222)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작동과정을 거쳐 제2안착홈(222)의 용기(1)는 제3안착홈(223)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의 작동은 제1 내지 3안착홈(221~223)에서 반복적, 동시다발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3안착홈(221~223)에 모두 용기(1)가 배치된 상태를 가정하면, 투입푸셔(230)가 제1, 3안착홈(221, 223)에 배치된 용기(1)를 밀어 장착로드(110)로 공급한다. 제1안착홈(221)에서는 용기(1)가 장착로드(110)로 공급됨에 따라 공급컨베이어(210)에 의해 새로운 용기(1)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1안착홈(221)에 새로운 용기(1)가 공급되면, 제1, 2안착홈(221, 222)에 구비된 각 리프팅브라켓(224, 225)이 승강되고, 제1, 2안착홈(221, 222)에 배치되어 있던 용기(1)가 제2, 3안착홈(222, 223)로 이송된다. 이와 함께 제1안착홈(221)에는 공급컨베이어(210)로부터 다시 새로운 용기(1)가 공급된다. 이후 다시 투입푸셔(230)가 작동되어 제1, 3안착홈(221, 223)에 배치된 용기(1)가 장착로드(110)로 제공되고, 상기의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투입스테이지(220)는 상기의 작동방식을 통해 좀 더 신속하게 용기(1)를 장착로드(110)로 공급하는 한편, 제1, 3안착홈(221, 223) 사이에 일종의 대기포트로 기능하는 제2안착홈(222)을 두어 원활한 연속 공급 및, 투입되는 용기(1) 간의 충분한 간격 확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립설비(10)는 제1검사유닛(7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검사유닛(710)은 회전스테이지(10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공급유닛(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장착로드(110)에 적절히 용기(1)가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제1검사유닛(710)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용기(1)의 투입 여부를 검사 또는 판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 종류나 방식 등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검사유닛(710)은 한 쌍의 장착로드(110)에 대응되는 한 쌍의 비전센서(711)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립설비(10)는 이너커버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커버유닛(300)은 회전스테이지(10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제1검사유닛(7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커버유닛(300)은 용기(1)의 토출구(5)에 이너커버(2)를 부착시킬 수 있다. 이너커버(2)는 통상 화장품, 생활용품 등의 용기에서 유통과정 중 내용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씌워지고, 사용시에는 제거되는 형태의 내부포장재를 의미할 수 있다. 이너커버유닛(300)은 종래 단품 설비 형태로 사용되던 커버부착설비 등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립설비(10)는 제2검사유닛(7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검사유닛(720)은 회전스테이지(10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이너커버유닛(3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검사유닛(720)은 용기(1)에 이너커버(2)가 적절히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사 및 판별할 수 있다. 제2검사유닛(720)은 그 종류나 방식 등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경우에 따라 제1검사유닛(710)과 동일 또는 상이한 방식의 센서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너커버유닛(300)과 제2검사유닛(720) 사이에는 예비포트(80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비포트(800)는 용기(1) 종류 등에 따라 추가공정이 필요한 경우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일종의 예비적인 작업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예비포트(800)는 이너커버유닛(300)과 제2검사유닛(720) 사이에 1개가 마련되어 있으나, 예비포트(800)의 개수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예비포트(800)의 생략 또한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립설비(10)는 제1캡조립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캡조립유닛(400)은 회전스테이지(10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제2검사유닛(7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캡조립유닛(400)은 토출구(5)에 캡(4)을 조립할 수 있다. 캡(4)은 토출구(5) 부위에 형성된 나선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캡조립유닛(400)은 용기(1)로 캡(4)을 공급하고 나선부(3)에 캡(4)을 배치 및 가조립(1차조립)할 수 있다. 캡(4)의 완전한 조립은 후술할 제2캡조립유닛(500)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캡조립유닛(400)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3은 회전스테이지(100) 측에서 제1캡조립유닛(400)을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임을 알려 둔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캡조립유닛(400)은 캡트레이(410), 정렬부(420), 캡공급푸셔(430) 및 캡체결부(440)를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캡트레이(410)는 상하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복수의 캡(4)이 수납 배치될 수 있다. 캡(4)은 캡트레이(410) 내부의 수용공간에 상하로 적층되어 있는 형태로 수납 배치될 수 있다. 캡트레이(410)에 수납된 캡(4)은 최하단의 캡(4)이 캡체결부(440)로 투입됨에 따라 하측으로 한 칸씩 이동되며 연속 공급될 수 있다.
정렬부(420)는 캡트레이(410)의 하단 부위에서 이송되는 캡(4)을 정렬 배치시킬 수 있다. 정렬부(420)는 고정블록(421)과, 고정블록(421)에 조절나사(422)를 통해 전후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조정블록(423)과, 조정블록(423)의 단부에 체결되고 캡(4)에 접촉되어 위치 정렬시키는 정렬바(424)로 구성될 수 있다. 정렬바(424)는 캡(4)의 좌우 폭방향에 대응되도록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대응되도록 조정블록(423) 또한 좌우로 쌍을 이루며 구비될 수 있다.
정렬바(424)는 상하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캡트레이(410)를 통해 이송되는 캡(4) 외면을 접촉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4)은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캡트레이(410) 하단으로 토출될 수 있다. 조절나사(422)는 이러한 정렬바(424)의 전후 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나사(422)를 돌리면 조정블록(423) 및 정렬바(424)가 전후로 위치 조절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캡(4)의 종류에 따라 정렬바(424)의 위치를 적절히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캡공급푸셔(430)는 캡(4)이 토출되는 캡트레이(410)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캡체결부(440)를 향해 전후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정렬부(420)를 거쳐 캡트레이(410) 하단으로 캡(4)이 배출되면, 캡공급푸셔(430)가 전진(도면상 우측) 이동되어 캡(4)을 캡체결부(440)로 밀어 넣는 형태이다.
여기서 캡공급푸셔(430)는 캡(4)을 미는 푸시면(431)을 구비할 수 있고, 푸시면(431)은 캡공급푸셔(430)의 가압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푸시면(431)은 우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푸시면(431) 상단 부위가 캡(4)의 상측 이동을 규제하면서 캡(4)을 밀도록 하여 캡(4)이 안정적으로 캡체결부(440)까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의 캡(4)을 캡체결부(440)로 밀어 넣는 과정에서 그 상부에 배치된 캡(4)(새롭게 투입될 캡(4))이 캡공급푸셔(430)에 걸려 캡공급푸셔(430)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필요에 따라 캡트레이(410)로부터 캡(4)이 토출되는 바닥면에는 캡(4)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패드(45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캡체결부(440)는 캡트레이(410)를 중심으로 캡공급푸셔(430)의 반대편(도면상 우측)에 배치될 수 있고, 캡(4)이 클팽핑되는 제1, 2클램퍼(441, 442)와, 제1, 2클램퍼(441, 442)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443)를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제1, 2클램퍼(441, 442)는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소정의 구동수단을 통해 상호 근접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제1, 2클램퍼(441, 442)에는 캡(4)이 안정적으로 안착 배치될 수 있도록 상면 또는 저면이 소정 정도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된 안착홈(446, 447)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캡(4)이 투입되는 제1, 2클램퍼(441, 442)의 전단(도면상 좌측단)은 경사면(444, 445)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의 제1클램퍼(441)는 상기의 전단에 캡공급푸셔(430)를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면(444)이 구비될 수 있고, 하측의 제2클램퍼(442)에는 상기의 전단에 캡공급푸셔(430)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445)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2클램퍼(441, 442)의 전단 측은 캡(4)의 크기(높이) 대비 충분한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고, 캡(4)이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안착홈(221~223)까지 투입될 수 있다.
구동모터(443)는 캡(4)을 파지한 상태로 제1, 2클램퍼(441, 442)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 용기(1)에 캡(4)을 가조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캡(4)은 장착로드(110)에 체결되어 회전스테이지(100)의 회전에 따라 캡체결부(440)로 제공될 수 있다(도 1 참조).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립설비(10)는 제3검사유닛(7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검사유닛(730)은 회전스테이지(10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제1캡조립유닛(4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캡(4)이 용기(1)에 적절히 투입 및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사 및 판별할 수 있다. 제3검사유닛(730)은 그 종류나 방식 등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경우에 따라 제1, 2검사유닛(710, 720)과 동일 또는 상이한 방식의 센서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립설비(10)는 제2캡조립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캡조립유닛(500)은 회전스테이지(10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제3검사유닛(7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캡조립유닛(500)은 제1캡조립유닛(400)을 통해 1차조립(가조립)된 캡(4)을 회전시켜 용기(1)에 캡(4)을 2차조립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캡조립유닛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캡조립유닛(500)은 제3, 4클램퍼(510, 5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4클램퍼(510, 520)는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내측에는 각각 캡지지면(511, 521)이 구비될 수 있다. 캡지지면(511, 521)은 제3, 4클램퍼(510, 520)의 이동에 따라 캡(4)의 외면에 접촉 가압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캡지지면(511, 521)이 캡(4)의 외면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을 축으로 제2캡조립유닛(500)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 캡(4)이 회전되어 용기(1)에 완전히 체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캡(4)의 조립단계를 2단계로 구별한 것은 캡(4)의 배치상태를 먼저 확인하고 적절한 배치상태에 있을 경우 캡(4)을 완전히 조립하기 위함이다. 즉, 초기상태에서 잘못 배치된 캡(4)을 미리 조립하고 이후 캡(4)의 조립상태를 검사하게 되면, 오조립된 캡(4)을 다시 분리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제거가 용이한 상태에서 미리 적절한 배치여부를 검사하고, 이후에 2차조립을 통해 완전히 조립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공정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립설비(10)는 배출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유닛(600)은 회전스테이지(10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제2캡조립유닛(5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유닛(600)은 캡(4)이 조립된 용기(1)를 장착로드(110)로부터 이탈시켜 배출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출유닛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출유닛(600)은 장착로드(110)로부터 용기(1)를 이탈시키는 배출푸셔(610), 이러한 용기(1)의 배출 및 이동을 안내하는 배출가이드롤러(620), 이탈된 용기(1)가 이송되는 배출덕트(630)를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배출푸셔(610)는 장착로드(110)의 상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장착로드(110)가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경우 배출푸셔(610) 또한 이에 대응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배출푸셔(610)는 푸셔바디(611), 푸셔바디(611)에 체결되는 수평조절브라켓(612), 수평조절브라켓(612)에 체결되는 수직조절브라켓(613)을 구비할 수 있다. 푸셔바디(611)는 소정의 구동수단에 체결되어 장착로드(110)를 따라 전후진 구동될 수 있다. 즉, 푸셔바디(611)는 회전스테이지(100)를 중심으로 반경방향 내외측으로 왕복 구동될 수 있다. 푸셔바디(611)가 반경방향 외측(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면, 장착로드(110)에 지지되어 있던 용기(1)가 장착로드(110)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이후 푸셔바디(611)는 반경방향 내측(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어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푸셔바디(611)에는 제1슬릿(614)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슬릿(614)은 장착로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수평조절브라켓(612)은 제1슬릿(614)을 통해 푸셔바디(611)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수평조절브라켓(612)은 제1슬릿(614)을 관통하는 수평고정나사(615)에 의해 푸셔바디(611)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조절브라켓(612)은 제1슬릿(614)을 따라 전후로 소정 간격 위치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용기(1)의 길이에 따른 배출푸셔(610)의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수평조절브라켓(612)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슬릿(616)이 구비될 수 있다. 수직조절브라켓(613)은 제2슬릿(616)을 관통하는 수직고정나사(617)를 통해 수평조절브라켓(612)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조절브라켓(613)은 상하로 소정 간격 위치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용기(1)의 높이(반경)에 따른 배출푸셔(610)의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배출가이드롤러(620)는 장착로드(110)와 배출덕트(6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가이드롤러(620)는 장착로드(110)로부터 배출되는 용기(1)의 저면에 접촉 구름 운동되어 장착로드(110)의 배출을 보조할 수 있다. 배출가이드롤러(620)는 롤러브라켓(621)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롤러브라켓(621)에는 배출가이드롤러(620)의 회전축이 체결되는 높이조정홀(622)이 구비될 수 있으며, 높이조정홀(622)은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배출가이드롤러(620)는 높이조정홀(622)을 따라 상하 위치가 적절히 조절되어 용기의 높이(반경)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장착로드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장착로드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장착로드의 개략적인 사시도, (b)는 장착로드의 정면 개략도, (c)는 장착로드의 측면 개략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음을 알려 둔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장착로드(110)는 소정의 횡단면 형상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장착로드(110)의 좌우 측면에는 소정 영역 지지곡면(111)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곡면(111)은 원호형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1)의 내주면을 접촉 지지할 수 있다.
장착로드(110)의 상면에는 상부절단면(112)이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장착로드(110)의 저면에는 하부절단면(1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 하부절단면(112, 113)은 장착로드(110)의 상단 일부 및 하단 일부가 장착로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로드(110)의 좌우측 지지곡면(111)은 상부절단면(112)에 의해 상단에서 불연속될 수 있고, 하부절단면(113)에 의해 하단에서 불연속될 수 있다. 상, 하부절단면(112, 113)은 장착로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 하부절단면(112, 113)과 용기(1)의 내면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장착로드(110)는 좌우의 지지곡면(111)을 통해 용기(1)를 적절히 지지하여 용기(1)가 일련의 가공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장착로드(110)는 상, 하부절단면(112, 113)에 의해 용기(1)의 단부(회전스테이지(100)를 향한 일측단)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푸셔(610)의 수직조절브라켓(613)이 용기(1)의 단부를 밀어 장착로드(110)로부터 용기(1)를 이탈시킬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상, 하부절단면(112, 113)은 용기(1)의 내면과 장착로드(110)의 외면 사이에 소정의 유격공간(S1)을 형성하여 용기(1)가 장착로드(110)로부터 원활히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겸비한다. 상기와 같은 유격공간(S1)은 용기(1)의 이탈시 장착로드(110)와의 마찰접촉에 의한 정전기 발생 및 이로 인한 이탈 동작시의 오작동을 방지하는데도 일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장착로드(110)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1흡입홀(114)이 형성될 수 있고, 장착로드(110)의 내부에는 제1흡입홀(114)과 연통되는 내부공간(115)이 마련될 수 있다. 제1흡입홀(114)은 용기(1)의 내면에 잔여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입된 이물질은 내부공간(115)에 일시적 포집된 후 장착로드(110) 외부로 적절히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공 후 용기(1) 내 이물질 제거나 검수 작업이 상당히 용이해질 수 있다.
제1흡입홀(114)은 장착로드(110)의 외측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흡입홀(114)은 회전스테이지(100)의 반대측을 향하는 장착로드(110)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용기(1)의 이탈 방향을 고려해 적은 수의 제1흡입홀(114)만으로도 용기(1)의 내부의 전체면에 대해 이물질 제거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의 경우 제1흡입홀(114)이 용기(1)의 전단 부위(캡(4)이 배치된 쪽)에서 이물질을 흡입하고 있는 상태에서, 배출푸셔(610)에 의해 용기(1)가 전방(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용기(1) 내면에 대한 흡입이 이뤄지기 때문에, 적은 수의 제1흡입홀(114)만으로도 내면 전체에 대한 이물질 제거가 가능하다.
제1흡입홀(114)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제1흡입홀(114)은 장착로드(110)의 외주면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흡입홀(114)은 장착로드(110) 상면의 상부절단면(112), 일측면의 지지곡면(111), 하면의 하부절단면(113) 및 반대측면의 지지곡면(111)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장착로드(110)의 둘레방향, 즉, 용기(1) 내면의 전체 영역에 대해 이물질의 흡입 제거가 보다 적절히 이뤄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장착로드(110)의 전단 또는 이에 인접한 부위에는 유격홈(116)이 형성될 수 있고, 전술한 제1흡입홀(114)은 이와 같은 유격홈(11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유격홈(116)은 소정 폭을 가지고 장착로드(110)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인입 형성되어 장착로드(1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격홈(116)은 대체로 장착로드(110)의 외면을 둘레방향으로 감싸는 띠 형태의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흡입홀(114)은 이러한 유격홈(116)의 저면에 관통 형성되어 유격홈(11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격홈(116)은 용기(1)의 내면과 제1흡입홀(114) 간의 간격을 넓혀주어 제1흡입홀(114)에 의한 이물질의 흡입이 보다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 하부절단면(112, 113)에 의해 용기(1) 내면과 장착로드(110)의 외면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공간(S1)이 형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이와 같은 유격공간(S1)은 상당히 좁은 공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이물질의 흡입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유격홈(116)은 이러한 점을 감안해 용기(1) 내면과 제1흡입홀(114) 간에 충분한 간격을 확보해줌으로써 이물질 제거 효과를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장착로드(110)의 전단에는 전단경사면(119) 및 제2흡입홀(118)이 구비될 수 있다. 전단경사면(119)은 장착로드(110)의 전면 부위가 전방을 향해 소정 정도 돌출되어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흡입홀(118)은 전단경사면(119) 상에 관통 형성되어 장착로드(110) 내부의 내부공간(115)에 연통될 수 있다. 제2흡입홀(118)은 전술한 제1흡입홀(114)과 유사하게 용기(1) 내부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2흡입홀(118)은 전단경사면(119) 상에 배치되어 수직방향에 대해 소정 정도 경사지게 개방되어 있다. 이는 전술한 제1흡입홀(114)이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것과 대비된다. 이러한 제2흡입홀(118)은 용기(1)의 형상에 따라 토출구(5) 부위의 이물질을 흡입 제거하는데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장착로드(110)의 후단에는 내부공간(115)의 이물질을 장착로드(110)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홀(117)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배출홀(117)은 하부절단면(113)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2흡입홀(114, 118) 대비 소정 정도 큰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이물질의 원활한 배출과 함께, 배출홀(117)을 통해 제공되는 흡입 압력이 제1, 2흡입홀(114, 118)에서 적절히 증폭될 수 있도록 한다.
배출홀(117)에는 흡입덕트(910)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흡입덕트(910)는 배출홀(117)이 구비된 하부절단면(113)에 접촉 또는 근접하게 배치되어, 내부공간(115)으로 흡입 압력을 제공하고, 내부공간(115)에 포집된 이물질을 배출관(911)을 통해 장착로드(1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흡입덕트(910)는 배출유닛(600)과 인접한 위치에서 설치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장착로드(110)는 회전스테이지(100)의 회전에 따라 흡입덕트(91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해당 위치에서 흡입덕트(910)의 흡입력에 의해 이물질의 흡입 및 배출이 이뤄질 수 있다. 평면으로 형성된 하부절단면(113)은 이와 같은 흡입덕트(910)와 밀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장착로드의 변형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장착로드(110-1)는 분사유로(111-1)가 추가 구비될 수 있다.
분사유로(111-1)는 장착로드(110-1)의 내부공간(115)에 배치되어 내부공간(115)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분사유로(111-1)의 전단(도면상 좌측)은 장착로드(110-1) 전면에 토출구(5)를 형성할 수 있다. 분사유로(111-1)의 후단(도면상 우측)에는 주입포트(920)가 연결될 수 있다. 주입포트(920)는 분사유로(111-1) 내부로 소정 압력의 공기를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공기는 토출구(5)를 통해 용기(1)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분사 공기는 용기(1) 내면에 들러붙은 이물질을 이탈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탈된 이물질은 전술한 제1, 2흡입홀(114, 118)을 통해 용기(1) 내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토출구(5)의 분사 압력은 제1, 2흡입홀(114, 118)의 흡입 압력을 고려해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즉, 분사 압력 대비 흡입 압력을 충분히 크게 설정해 분사 압력에 따른 용기(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토출구(5)를 통한 공기 분사는 제1, 2흡입홀(114, 118)의 흡입 압력과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초기에 토출구(5)를 통해 약한 정도의 분사 압력이 제공되어 용기(1) 내면의 이물질을 이탈시키고, 이어서 제1, 2흡입홀(114, 118)을 통해 이탈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초기의 분사 압력은 배출푸셔(610)를 보조해 장착로드(110-1)로부터 용기를 초기 이탈시키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먼저 제1, 2흡입홀(114, 118)을 통해 소정의 흡입력이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서, 토출구(5)를 통해 공기가 분사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용기(1)가 흡입 압력에 의해 충분히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강한 분사 압력을 제공해 이물질의 이탈 및 제거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주입포트(920)는 정전기제거수단(ionizer)과 연결되어 이온화된 공기를 분사유로(111-1)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분사된 공기는 장착로드(110-1)로부터 용기(1)를 이탈시킬 때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지 또는 제거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와 같은 토출구(5) 및 제1, 2흡입홀(114, 118)은 그 기능이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토출구(5)가 일종의 이물질 흡입수단으로 기능하고, 제1, 2흡입홀(114, 118)이 용기(1) 내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수단으로 기능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10)는 토출구(5)에 이너커버(2) 및 캡(4)을 체결하는 일련의 공정을 하나의 자동화된 설비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공정이 분리되어 수행되던 종래 대비 공정 효율성 및 생산성이 상당 부분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10)는 용기(1)의 투입, 이너커버(2)의 체결, 캡(4)의 가조립 등 각 공정 사이에 조립 검사 과정을 가져 오조립이나 불량품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2캡조립유닛(400, 500)을 통해 캡(4)의 조립과정을 2단계로 구분하여 오조립 발생시에도 작업 효율성이나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10)는 캡(4)이 조립된 용기(1)의 최종 배출 단계에서 용기(1)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여 이물질에 따른 불량품의 발생을 예방하고, 검수 작업에 편의를 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장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조립설비 100: 회전스테이지
200: 공급유닛 300: 이너커버유닛
400: 제1캡조립유닛 500: 제2캡조립유닛
600: 배출유닛 710: 제2검사유닛
720: 제2검사유닛 730: 제3검사유닛
800: 예비포트 910: 흡입덕트
920: 주입포트

Claims (9)

  1. 복수의 장착로드(110)를 구비하는 회전스테이지(100);
    상기 회전스테이지(100)의 일측에서 상기 장착로드(110)로 용기(1)를 공급해 체결하는 공급유닛(200);
    상기 용기(1)의 토출구(5)에 캡(4)을 배치하고 1차조립하는 제1캡조립유닛(400);
    상기 캡(4)을 2차조립하는 제2캡조립유닛(500); 및
    상기 장착로드(110)로부터 상기 용기(1)를 이탈시켜 배출하는 배출유닛(600);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로드(110)는,
    상기 장착로드(110)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며, 원호형의 곡면을 이루고 상기 용기(1)의 내주면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곡면(111);
    상기 장착로드(110)의 상측에 상기 장착로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1) 내면과의 사이에 유격공간(S1)을 가지는 상부절단면(112);
    상기 장착로드(110)의 전단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장착로드(11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115)과 연통되도록 상기 장착로드(110)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격공간(S1)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1흡입홀(114); 및
    상기 제1흡입홀(114)의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15)과 연통되도록 상기 장착로드(110)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15)에 포집된 이물질을 흡입덕트(910)로 배출시키는 배출홀(117);을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200)은,
    상기 용기(1)가 안착되어 이송되는 공급컨베이어(210);
    상기 공급컨베이어(2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이송된 상기 용기(1)가 상기 장착로드(110)로의 투입을 위해 대기되는 투입스테이지(220); 및
    상기 투입스테이지(220)에 배치된 상기 용기(1)를 상기 장착로드(110)로 밀어 넣어 투입시키는 투입푸셔(230);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스테이지(220)는,
    각각 상기 투입스테이지(220)의 상면이 원호형으로 오목하게 인입되어 상기 용기(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공급컨베이어(210)의 일단에서부터 좌우로 순차적 배치되는 제1 내지 3안착홈(221~223); 및
    상기 제1, 2안착홈(221, 222)의 각 바닥면에 구비되되,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고, 경사에 따라 상기 용기(1)가 이동될 수 있도록 일측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리프팅브라켓(224, 225);을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로드(110)는,
    상기 상부절단면(112)과 대응되도록, 상기 장착로드(110)의 하측에 상기 장착로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1) 내면과의 사이에 유격공간(S1)을 가지는 하부절단면(113);을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로드(110)는, 상기 장착로드(110)의 둘레면을 따라 소정 깊이로 오목하게 인입 형성되고, 바닥면에 상기 제1흡입홀(114)이 배치되는 유격홈(116)을 포함하고,
    상기 제1흡입홀(114)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유격홈(116)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로드(110)는,
    상기 장착로드(110)의 전단에 경사지게 연장된 전단경사면(119); 및
    상기 내부공간(115)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단경사면(119) 상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유격공간(S1)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2흡입홀(118);을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로드(110)는,
    상기 내부공간(115) 내에 배치되어, 상기 장착로드(110)의 전면에 형성된 토출구(5)를 구비하고, 정전기제거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이온화된 공기를 상기 용기(1)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유로(111-1)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
  9. 복수개가 회전스테이지(100)에 설치되고, 용기(1) 내측에 끼워져 가공 공정 동안 상기 용기(1)를 장착 지지하는 장착로드(1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착로드(110)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며, 원호형의 곡면을 이루고 상기 용기(1)의 내주면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곡면(111);
    상기 장착로드(110)의 상측에 상기 장착로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1) 내면과의 사이에 유격공간(S1)을 가지는 상부절단면(112);
    상기 장착로드(11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115);
    상기 장착로드(110)의 전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장착로드(11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소정 깊이로 오목하게 인입 형성되는 유격홈(116);
    상기 내부공간(115)과 연통되도록 상기 유격홈(116)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유격공간(S1)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1흡입홀(114); 및
    상기 제1흡입홀(114)의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15)과 연통되도록 상기 장착로드(110)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15)에 포집된 이물질을 흡입덕트(910)로 배출시키는 배출홀(117);을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를 위한 장착로드.
KR1020210028467A 2021-03-04 2021-03-04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 KR102309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467A KR102309731B1 (ko) 2021-03-04 2021-03-04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467A KR102309731B1 (ko) 2021-03-04 2021-03-04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731B1 true KR102309731B1 (ko) 2021-10-06

Family

ID=7807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467A KR102309731B1 (ko) 2021-03-04 2021-03-04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7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364B1 (ko) * 2022-10-13 2023-07-27 김인섭 김치식품용기 캡 패드 조립장치
KR102590248B1 (ko) * 2023-03-31 2023-10-16 이제우 펌프형 토출기 캡 제조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8231A (ja) * 2001-04-19 2002-10-23 Hokkai Can Co Ltd プラスチック製ボトルの清浄化装置
KR100438397B1 (ko) * 2001-12-27 2004-07-02 주식회사 아이팩 튜브 헤드 성형장치
KR101002251B1 (ko) * 2008-09-08 2010-12-20 (주)디케이티 튜브 공급부를 포함하는 핀튜브 제조장치
KR101523047B1 (ko) * 2013-08-06 2015-05-27 주식회사 아이팩 튜브의 캡핑장치 및 캡핑방법
KR101815997B1 (ko) * 2017-01-26 2018-01-08 이규옥 튜브용기의 캡핑장치
JP2019166671A (ja) * 2018-03-22 2019-10-03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8231A (ja) * 2001-04-19 2002-10-23 Hokkai Can Co Ltd プラスチック製ボトルの清浄化装置
KR100438397B1 (ko) * 2001-12-27 2004-07-02 주식회사 아이팩 튜브 헤드 성형장치
KR101002251B1 (ko) * 2008-09-08 2010-12-20 (주)디케이티 튜브 공급부를 포함하는 핀튜브 제조장치
KR101523047B1 (ko) * 2013-08-06 2015-05-27 주식회사 아이팩 튜브의 캡핑장치 및 캡핑방법
KR101815997B1 (ko) * 2017-01-26 2018-01-08 이규옥 튜브용기의 캡핑장치
JP2019166671A (ja) * 2018-03-22 2019-10-03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364B1 (ko) * 2022-10-13 2023-07-27 김인섭 김치식품용기 캡 패드 조립장치
KR102590248B1 (ko) * 2023-03-31 2023-10-16 이제우 펌프형 토출기 캡 제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731B1 (ko) 튜브형 용기의 캡 조립설비
JP6663708B2 (ja) 移載装置及び移載方法
KR100713811B1 (ko) 판유리 방향전환장치
JP5780371B1 (ja) ショット処理装置
KR101326278B1 (ko) 채혈관의 뚜껑과 튜브를 조립하는 장치
CN104590841A (zh) 一种流水线机构
KR100566516B1 (ko) 사출물 사상 및 인서트 너트 정렬장치
KR101679029B1 (ko) 진단 키트 조립시스템 및 방법
JPH0386530A (ja)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マシン
CN103904007B (zh) 清洗装置
KR101187149B1 (ko) 허브 어셈블리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KR200400456Y1 (ko) 사출물 사상장치
JP4868956B2 (ja) ブリスター包装機
CN110626718B (zh) 线体设备及线体模组
JP5838397B2 (ja) 製品粉除去機能付き充填用ジョーゴ
CN111377080A (zh) 容器包装设备
KR101980137B1 (ko) 웨이퍼 이송로봇
KR20170120227A (ko) 캡핑기의 캡 정렬장치
KR102360301B1 (ko) 충전 시스템
CN106112508B (zh) 一种手表零部件的自动组装设备
KR20160139467A (ko) 글래스 포장박스 세정장치
KR102483152B1 (ko) 식용 제품을 위한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KR102606464B1 (ko) 포장팩 제조 시스템
KR20180116615A (ko) 진동 이송 장치
KR101305409B1 (ko) 부품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