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887B1 - 패널 취출용 팔레트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패널 취출용 팔레트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887B1
KR101032887B1 KR1020100137563A KR20100137563A KR101032887B1 KR 101032887 B1 KR101032887 B1 KR 101032887B1 KR 1020100137563 A KR1020100137563 A KR 1020100137563A KR 20100137563 A KR20100137563 A KR 20100137563A KR 101032887 B1 KR101032887 B1 KR 101032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guide rail
lifting
rail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
오태호
Original Assignee
미주오토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주오토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주오토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7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 취출용 팔레트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력에 의존하여 팔레트를 공급하는 과정을 기계화로 개선하여 작업자가 팔레트를 투입만 하면 자동으로 승강 정위치 및 취출 정위치에 도달케 하여 팔레트 내의 패널을 취출함과 동시에 취출된 팔레트는 자동으로 배출케 함으로써, 자동화공정으로 인한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공급시간을 단축하고, 인건비 절약 및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여 작업효율을 전체적으로 향상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작업장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장치대(1)와; 상기 장치대(1) 상에 설치되어 팔레트(A)가 지나가도록 투입하는 이송레일(2)과; 상기 장치대(1)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레일(2)을 타고 이송하는 팔레트(A)를 다수의 승강실린더(41)에 의해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봉(4)과; 상기 장치대(1)의 승강봉(4) 타측에 설치되어 이송레일(2)로 투입되는 팔레트(A)를 이송실린더(7)에 의해 승강봉(4)까지 이송케 하는 반송기(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취출용 팔레트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패널 취출용 팔레트 공급장치{PALLET FEEDING DEVICE FOR PANEL EJECTING}
본 발명은 패널 취출용 팔레트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선행 작업을 통하여 일시적으로 적재된 패널적재용 팔레트를 다음 공정에서 요하는 정 위치에 위치시켜 로봇장치 등으로 팔레트에 적재된 패널을 취출하면서 후행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공급케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바디는 여러 장의 패널을 스탬핑 작업을 통하여 그 형상을 만들어 조립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자동차의 바디를 이루는 패널은 각 부분별로 라인에서 한번에 대량 생산을 통하여 그 수량을 확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패널을 대량 생산하게 됨에 따라 다음 공정까지는 일시적으로 패널적재용 팔레트를 이용하여 적재 보관함과 아울러 다음 공정까지 라인과 라인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된 팔레트는 다음 공정의 공급라인에 해당하는 정위치에 위치시키면 로봇장치는 팔레트 내의 패널을 인지하여 취출시키면서 후행 작업라인으로 패널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팔레트 공급라인의 로봇장치 저부에 팔레트 승강 리프트가 대부분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프트까지 팔레트를 인력에 의존하여 주로 공급하고 있었다.
즉, 작업자는 팔레트를 리프트가 요하는 정위치에 위치시킨 후 리프트를 작동시키면, 리프트에서는 팔레트가 승강되면서 로봇장치가 요하는 정위치에서 정지하고, 이렇게 정지한 상태에서 로봇장치는 패널을 인지하여 팔레트의 패널이 취출되며, 모두 취출된 팔레트가 다시 하강하면 작업자는 팔레트를 리프트에서 꺼낸 후 다음 팔레트를 정위치에 맞춰 주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방식은 팔레트의 공정간 이동 및 리프트에 팔레트의 정위치 고정, 그리고 취출된 팔레트를 다시 리프트에서 취출하는 과정을 인력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상당무게를 갖는 팔레트를 옮기거나 정위치에 맞추는 작업에서 힘이 많이들 뿐 아니라 정확한 안착 및 취출의 곤란함과, 상당한 공급시간의 소요, 인건비, 안전 등을 고려하였을 때, 작업효율이 상당히 떨어질 뿐 아니라 비생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써, 특히 인력에 의존하여 팔레트를 공급하는 과정을 기계화로 개선하여 작업자가 팔레트를 투입만 하면 자동으로 승강 정위치 및 취출 정위치에 도달케 하여 팔레트 내의 패널을 취출함과 동시에 취출된 팔레트는 자동으로 배출케 함으로써, 자동화공정으로 인한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공급시간을 단축하고, 인건비 절약 및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여 작업효율을 전체적으로 향상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작업장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장치대와; 상기 장치대 상에 설치되어 팔레트가 지나가도록 투입하는 이송레일과; 상기 장치대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레일을 타고 이송하는 팔레트를 다수의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봉과; 상기 장치대의 승강봉 타측에 설치되어 이송레일로 투입되는 팔레트를 이송실린더에 의해 승강봉까지 이송케 하는 반송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취출용 팔레트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반송기는, 상기 이송레일 사이에 설치된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을 타고 이송되도록 장착판 저부에 다수의 바퀴를 가진 이송대와; 상기 안내레일 일측에 본체가 고정되고, 본체 작동봉의 끝단을 이송대 일단에 결속하여 안내레일 상에서 이송대를 이송케 하는 이송실린더와; 상기 이송대 전/후단에 승강실린더가 장착되어 상단으로 돌출되면서 팔레트를 결속케 하는 돌출형 래치;로 구성됨을 포함한다.
상기 반송기에서 안내레일의 전/후단에 고정되어 이송대의 이송범위를 제한케 하는 스토퍼가 구성됨과, 이송대의 장착판 저부에 다수의 승강실린더가 장착되어 상단으로 돌출되면서 팔레트를 받쳐 소정간격 띄울 수 있게 하는 승강판이 구성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장치대의 이송레일 일측 또는 양측으로 설치되어 팔레트 이송을 안내함과 동시에 이송레일 상에서 팔레트 탈선을 방지케 하는 가이드봉이 구성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공급라인의 로봇장치 저부에 장치대를 구축하고, 상기 장치대 상에 팔레트 이송용 레일를 설치시켜 팔레트를 취출 정위치까지 승강케하는 승강장치 및 투입되는 팔레트를 승강 정위치까지 견인케 하는 반송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팔레트를 투입만 하면 팔레트를 승강장치까지 견인하여 자동으로 승강시켜 패널을 취출하고, 취출된 팔레트는 다시 하강한 후, 후행 팔레트의 공급으로 자동 배출되도록 한 것으로, 팔레트의 이송, 승강, 취출, 하강, 배출되는 과정이 자동으로 연속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 인력에 의존해 오던 방식으로부터 자동화공정의 개선으로 인한 생산성의 향상, 작업시간의 단축, 인건비 절약, 작업자의 안전확보 등의 작업효율이 전체적으로 극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반송기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장치대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안내레일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가이드봉 상세도
도 9은 본 발명의 작동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작동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작동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작동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작동 예시도 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일반적인 기술내용이나 공지된 사항은 생략 또는 간단한 명칭 등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취출용 팔레트 공급장치는, 작업장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장치대(1)와; 상기 장치대(1) 상에 설치되어 팔레트(A)가 지나가도록 투입하는 이송레일(2)과; 상기 장치대(1)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레일(2)을 타고 이송하는 팔레트(A)를 다수의 승강실린더(41)에 의해 취출높이까지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봉(4)과; 상기 장치대(1)의 승강봉(4) 타측에 설치되어 이송레일(2)로 투입되는 팔레트(A)를 이송실린더(7)에 의해 승강봉(4)까지 이송케 하는 반송기(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반송기(5)는, 상기 이송레일(2) 사이에 설치된 안내레일(51)과; 상기 안내레일(51)을 타고 이송되도록 장착판(61) 저부에 다수의 바퀴(62)를 가진 이송대(6)와; 상기 안내레일(51) 일측에 본체가 고정되고, 본체 작동봉(71)의 끝단을 이송대(6) 일단에 결속하여 안내레일(51) 상에서 이송대(6)를 이송케 하는 이송실린더(7)와; 상기 이송대(6) 전/후단에 승강실린더(91)가 장착되어 상단으로 돌출되면서 팔레트(A)를 결속케 하는 돌출형 래치(9)(9');로 구성됨을 포함하고,
상기 반송기(5)에서는, 안내레일(51)의 전/후단에 고정되어 이송대(6)의 이송범위를 제한케 하는 스토퍼와(6a);가 구성됨과, 이송대(6)의 장착판(61) 저부에 다수의 승강실린더(81)가 장착되어 상단으로 돌출되면서 팔레트(A)를 받쳐 소정간격 띄울 수 있게 하는 승강판(8);이 구성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장치대(1)의 이송레일(2) 일측 또는 양측으로 설치되어 팔레트(A) 이송을 안내함과 동시에 이송레일(2) 상에서 팔레트(A) 탈선을 방지케 하는 가이드봉(3)이 구성됨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성요소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6과 같이 장치대(1)는, 다수의 받침판(11) 상에 사각형태로 틀(12)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지지프레임(13)을 구축하며, 상기 사각 틀(12)에 상판(10)을 덮어서 용접 등으로 고정하고, 상기 받침판(11)은 작업장 바닥에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하여서 된다. 첨부 도면과 같은 경우 양측으로 나누어 상판을 연결판(14)으로 고정하고 있으나, 일체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며, 일단의 상판에는 승강실린더(41)가 매설될 수 있도록 하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첨부도면 도7과 같이 이송레일(2)은, 장치대(1) 상면 양측에 다수의 지지대(21)를 설치하고 그 상단에 팔레트(A) 바퀴(A1)가 지나가도록 고가형 레일(20)을 구축하고, 상기 레일(20)의 입출구(22)에는 폭이 넓고 바닥으로부터 경사지게 하여 인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첨부도면 도8과 같이 가이드봉(3)은, 장치대(1) 상면의 이송레일(2) 일단에 수개의 지지대(31)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31)의 측면에 파이프(30)를 용접 등으로 부착하여 이송레일(2)에서 팔레트(A) 이송시 파이프(30)가 팔레트(A)의 측면을 지지케 함으로써 탈선을 방지토록 한다.
첨부도면 도3, 도4와 같이 승강봉(4)은, 장치대(1) 일측의 팔레트(A) 각 모서리부분 승강받침대(A2) 하부에 승강실린더(41)가 매설되고, 상기 승강실린더(41)의 작동봉(41a)에 승강봉(4)을 체결한 것으로, 승강봉(4)까지 이송되어진 팔레트(A) 저부의 승강받침대(A2)를 받쳐 올려 로봇장치에서 패널을 취출케 하는 정위치까지 승강되도록 한다.
첨부도면 도2, 도4와 같이 반송기(5)는, 장치대(1)에 안내레일(51), 이송대(6), 스토퍼(6a), 이송실린더(7), 승강판(8), 래치(9)(9')의 조합으로 설치되어 투입되는 이송레일(2)의 팔레트(A)를 래치(9)(9')로 파지한 채 승강판(8)으로부터 소정간격 띄운 상태로 이송레일(2) 상에서 장치대(1) 일측의 승강봉(4)까지 견인되도록 한다.
이하 반송기(5)의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2, 도5와 같이 안내레일(51)은, 장치대(1)의 상면 양측에 6각형강을 설치하여 이송대(6)가 레일을 타고 이송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첨부도면 도2, 도4와 같이 이송대(6)는, 장착판(61) 저부에 수개의 바퀴(62)로 구성되고, 상기 바퀴(62)는 안내레일(51)의 형상에 대응되면서 이송이 용이하도록 된다.
첨부도면 도1, 도2와 같이 스토퍼(6a)는 지지판(6b)의 상단에 체결되어 이송대(6)의 이송범위를 제한케 한 것으로, 접촉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두부를 고무패킹과 같은 완충소재로 하거나, 스프링이 탄설된 완충장치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첨부도면 도2, 도4와 같이 이송실린더(7)는, 상기 안내레일(51) 중간에 실린더 본체를 브라켓(70)으로 고정시킨 채 작동봉(71)의 끝단으로 체결구(72)를 구성하고, 이송대(6) 저부에는 연결편(7a)을 장착하며, 상기 연결편(7a)에 체결구(72)를 힌지(7b)결합 하여서 된다.
첨부도면 도2, 도4와 같이 승강판(8)은, 팔레트(A) 저부를 받쳐 올릴 수 있도록 길이형 판을 양측으로 형성한 것으로, 장착판(61)의 저부 중간 양측으로 승강실린더(81)를 장착시켜 작동봉(81a)을 판에 체결함과, 판의 양끝단 저부에 안내관체(2a)를 착설하고, 상기 안내관체(82a)로 부터 승강되는 안내봉(82)을 판에 체결함으로써, 승강실린더(81)의 작동에 따라 승강판(8)이 팔레트(A) 저부를 받쳐 안내레일(2) 상에서 소정간격 띄울 수 있게 하며, 이는 안내레일(2)에서 탈선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이송을 용이하게 함과, 소음방지 그리고 팔레트(A)의 지지를 돕게 된다.
첨부도면 도2, 도4와 같이 래치(9)(9')는, 장착판(61) 선단 및 후단의 저부 양측에 승강실린더(91)를 장착하고, 상기 승강실린더(91)의 작동봉(91a)에 봉형 래치(9)(9')를 체결함으로써, 선단 래치(9)가 먼저 돌출된 상태에서 팔레트(A)가 완전히 인입되면 후단 래치(9')가 돌출되면서 팔레트(A)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9와 같이, 선단 래치(9)는 함몰되어 있고, 후단 래치(9')는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작업자는 팔레트(A)를 이송레일(2)에 밀어올리게 된다.
이때 첨부도면 도10와 같이, 팔레트(A)의 선단프레임(A3)이 후단래치(9')에 걸리고, 팔레트(A) 전체가 인입된 상태에서 팔레트(A) 후단프레임(A4)에 선단래치(9)가 돌출되면서 팔레트(A)를 결속 및 파지하게 된다.
이어서 첨부도면 도11와 같이, 래치(9)(9')에 의해 팔레트를 파지한 상태에서 이송대(6)에 장착된 승강판(8)으로 팔레트(A) 저부를 받쳐 올려 일정높이까지 승강하게 되되, 상기 팔레트(A)의 승강높이는 팔레트 선/후단프레임(A3)(A4)이 래치(9)(9')에서 이탈되거나, 팔레트(A)의 바퀴(A1)가 안내레일(2)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안내레일(2)로부터 소정간격 띄우게 된다.
그 후 첨부도면 도12와 같이, 이송실린더(7)의 작동으로 팔레트(A)를 승강봉(4)까지 이송하게 된다. 이때 팔레트(A) 저부의 승강받침대(A2)와 승강봉(4)이 각각 일치되도록 정위치 된다. 상기에서 승강 정위치는 스토퍼(6a)에 의해 조정이 가능하다.
그 다음으로 첨부도면 도13과 같이, 팔레트(A)의 승강받침대(A2)가 각 승강봉(4)에 해당하는 승강 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승강봉(4)이 승강받침대(A2)를 받쳐 올려 로봇장치 등으로 패널를 취출케 하는 패널취출 정위치까지 승강하게 된다.
상기에서 승강봉(4)에 의해 팔레트(A)가 승강하고 나면, 반송기(5)는 다시 처음 위치로 복귀하면서 초기상태가 되어 차기 팔레트를 다시 파지하고, 이때 먼저 취출되고 있던 팔레트에서 작업을 마치고 하강하고 나면, 차기 팔레트가 다시 승강 정위치로 이송하면서 먼저 있던 팔레트를 밀어 배출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단계별로 작동되는 시점은 각종 센서에 의해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의 종류에 따라 설치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서는 배제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기재된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A: 팔레트 A1: 바퀴
A2: 승강받침대 A3: 선단프레임
A4: 후단프레임 1: 장치대
10: 상판 11: 받침대
12: 틀 13: 지지프레임
14: 연결판 2: 이송레일
20: 레일 21: 지지대
22: 입출구 3: 가이드봉
30: 파이프 31: 지지대
4: 승강봉 41: 승강실린더
41a: 작동봉 5: 반송기
51: 안내레일 6: 이송대
61: 장착판 62: 바퀴
6a: 스토퍼 6b: 지지판
7: 이송실린더 70: 브라켓
71: 작동봉 72: 체결구
7a: 연결편 7b: 힌지
8: 승강판 81: 승강실린더
81a: 작동봉 82: 안내봉
82a: 안내관 9,9': 래치
91: 승강실린더 91a: 작동봉

Claims (5)

  1. 삭제
  2. 작업장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장치대(1)와, 상기 장치대(1) 상에 설치되어 팔레트(A)가 지나가도록 투입하는 이송레일(2)과, 상기 장치대(1)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레일(2)을 타고 이송하는 팔레트(A)를 다수의 승강실린더(41)에 의해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봉(4)과, 상기 장치대(1)의 승강봉(4) 타측에 설치되어 이송레일(2)로 투입되는 팔레트(A)를 이송실린더(7)에 의해 승강봉(4)까지 이송케 하는 반송기(5)로 구성된 통상의 보편적인 패널 취출용 팔레트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5)를 상기 이송레일(2) 사이에 설치된 안내레일(51)과;
    상기 안내레일(51)을 타고 이송되도록 장착판(61) 저부에 다수의 바퀴(62)를 가진 이송대(6)와;
    상기 안내레일(51) 일측에 본체가 고정되고, 본체 작동봉(71)의 끝단을 이송대(6) 일단에 결속하여 안내레일(51) 상에서 이송대(6)를 이송케 하는 이송실린더(7)와;
    상기 이송대(6) 전/후단에 승강실린더(91)가 장착되어 상단으로 돌출되면서 팔레트(A)를 결속케 하는 돌출형 래치(9)(9')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취출용 팔레트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안내레일(51)의 전/후단에 고정되어 이송대(6)의 이송범위를 제한케 하는 스토퍼와(6a)가 구성됨을 포함하는 패널 취출용 팔레트 공급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이송대(6)의 장착판(61) 저부에 다수의 승강실린더(81)가 장착되어 상단으로 돌출되면서 팔레트(A)를 받쳐 소정간격 띄울 수 있게 하는 승강판(8)이 구성됨을 포함하는 패널 취출용 팔레트 공급장치.
  5. 삭제
KR1020100137563A 2010-12-29 2010-12-29 패널 취출용 팔레트 공급장치 KR101032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563A KR101032887B1 (ko) 2010-12-29 2010-12-29 패널 취출용 팔레트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563A KR101032887B1 (ko) 2010-12-29 2010-12-29 패널 취출용 팔레트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887B1 true KR101032887B1 (ko) 2011-05-06

Family

ID=44365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563A KR101032887B1 (ko) 2010-12-29 2010-12-29 패널 취출용 팔레트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8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8882A (zh) * 2018-04-28 2018-08-24 南京工程学院 一种托盘的提升移栽机构
CN113320906A (zh) * 2020-04-21 2021-08-31 广州优尼冲压有限公司 落料机空托盘自动补给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176A (ja) * 1999-11-29 2001-06-05 Daihatsu Motor Co Ltd ワークの加工組立ライ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176A (ja) * 1999-11-29 2001-06-05 Daihatsu Motor Co Ltd ワークの加工組立ライ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8882A (zh) * 2018-04-28 2018-08-24 南京工程学院 一种托盘的提升移栽机构
CN113320906A (zh) * 2020-04-21 2021-08-31 广州优尼冲压有限公司 落料机空托盘自动补给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347B1 (ko) 롤 운반용 무인운반차
KR101032887B1 (ko) 패널 취출용 팔레트 공급장치
CN113955372A (zh) 一种空气弹簧转运定位方法及转运装置
CN105692215A (zh) 一种托盘料仓码垛装置
CN112824261A (zh) 一种双组托盘自动上下料装置
CN106044154A (zh) 一种砌块生产用的木板自动供给装置
KR960004056B1 (ko) 타이어용 자동 적재장치
CN107585532A (zh) 一种木板自动供给机的竖直提升机构
CN203715193U (zh) 一种储物箱的输送装置
KR101530032B1 (ko) 파렛트 승강장치
KR100488735B1 (ko) 파레트 투입장치
CN215146554U (zh) 一种螺丝旋紧装置
CN212449573U (zh) 一种储料供料机构
CN211253964U (zh) 一种双组托盘自动上下料装置
CN205590120U (zh) 一种托盘的车轮阻挡装置
JP6267539B2 (ja) 搬送台車
CN205932293U (zh) 一种砌块生产用的木板自动供给机
CN220131180U (zh) 一种托盘转运装置
CN205555523U (zh) 一种托盘料仓码垛装置
CN213600183U (zh) 一种用于滚筒输送线的重量变化检测机构
CN216658409U (zh) 免拆模钢筋桁架楼承板生产线
JPS58141819A (ja) 材料供給装置用板材搭載装置
CN219857199U (zh) 一种建筑材料运输装置
CN211919944U (zh) 一种可移动式托盘饲料发放平台
CN212952895U (zh) 输送线上料回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