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259Y1 - 비접촉식 물류이송 유니트의 그립퍼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물류이송 유니트의 그립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259Y1
KR200401259Y1 KR20-2005-0023422U KR20050023422U KR200401259Y1 KR 200401259 Y1 KR200401259 Y1 KR 200401259Y1 KR 20050023422 U KR20050023422 U KR 20050023422U KR 200401259 Y1 KR200401259 Y1 KR 2004012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anel
contact
gripper
panel
grt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열 권
범석 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앤엘
Priority to KR20-2005-00234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2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2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FDP용 유리페널의 표면에 스크레치 발생이나 이물질의 개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페널의 제조과정에서 유리페널을 비접촉식으로 취급할 수 있게 한 것으로 팔레트상에서 분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유리페널을 부상시키고 부상된 유리페널은 베르누이 효과를 이용한 그립퍼를 이용하여 그립핑하되 그립핑 효과를 보다 강화하고 안정되게 하기 위하여 그립퍼의 중심부에 위치한 비접촉패드에 흡입공을 하나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접촉식 물류이송 유니트의 그립퍼{The Grtpper of a Physical Distribution Transport Unit not to be the Contact}
본 고안은 비접촉방식으로 평면상의 대형박판유리를 취급할 수 있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FDP(Flat Display Panel)용의 유리페널로 디스플레이 페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유리페널을 회전, 승ㆍ하강 및 경사시킬 수 있게 하는 비접촉식 패드 및 부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FDP용 유리페널은 표면의 평활도 및 평행도에 대하여 대단히 높은 수준을 요구하며 표면의 스크레치나 게재물은 완성된 디스플레이상에 국부적인 비틀림을 야기시키는 불량요인이 되므로 제조과정에서 유리페널을 취급하는 장치에는 엄격한 조건이 요구되고 있다.
더우기 차세대 FDP용 기판으로 개발되고 있는 유리페널은 그 폭과 길이가 2m를 전후하는 대단히 얇고 넓은 유리페널로 양단을 파지하고 들어올리면 중심부의 처짐으로 페널이 파손되거나 반전에 복잡한 장치가 필요하게 되며 이때 유리페널의 표면에 기계적인 접촉은 표면에 스크레치를 유발하고 파티클을 발생시켜 수율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형화하고 있는 유리페널의 취급은 공업용 플라스틱 재질의 파레트상에 안치된 페널을 팔레트의 승ㆍ하강, 회전, 경사등의 자세변환에 의하여 취급하는 방식은 유리페널과 팔레트의 접촉 및 동작과 정지가 반복되는 과정에서 스크레치와 게재물의 개입이 불가피 하였으므로 점차 비접촉식 취급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 비접촉식 유리페널 취급장치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3-16318호로 공지된 '비접촉식 방식으로 물체를 그립핑 및 홀딩하기 위한 장치'에서는 레비테이션 웨이브를 이용하여 물체를 그립핑하거나 홀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있었으며, 또다른 비접촉식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8-042855호로 공지된 '얇은 유리판을 취급하기 위한 장치'에서는 압축공기분사에 의한 가스쿠션으로 유리판을 부양시켜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게한 것이 있었으며, 또다른 비접촉식으로는 유체의 압력은 속도에 반비례한다는 베르누이(Bernoulli)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퍼(1)의 가장자리(2)로 유출되는 압축공기의 속도에 반비례하여 그립퍼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비접촉패드(4)에 부압(6)을 발생시켜 유리페널(5)을 그립핑할 수 있게 하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었으나, 유리페널이 점차 대형화됨에 따라 보다 강한 흡착력과 신뢰성 있는 그립핑 수단과 같은 취급장치가 요구되고 있었으나 종래의 방법으로는 이를 충족하기에는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유리페널을 팔레트에서 부양시켜 경사 시킬 때 유리페널을 그립핑하여 흔들리지 않게 하는 보다 개선된 비접촉 패드를 구비한 그립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위한 본 고안 '비접촉 물류이송 유니트의 그립퍼'는 회전 팔레트의 상부면에 다수 구비된 미세구멍을 통하여 정화된 공기를 분출하여 유리페널을 부양시킨 다음 팔레트의 측면에 구비된 가이드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회전유니트와, 팔레트에 구비된 업/다운 수단에 의하여 부양된 상태의 유리페널을 승ㆍ하강시키는 승ㆍ하강 유니트와, 유리페널을 원하는 각도로 경사시킬 때 유리페널이 흔들리지 않토록 그립핑하는 비접촉식 그립퍼로 구성되는 틸팅유니트가 포함되는 비접촉식 물류이송 유니트중에서 공지된 구성인 회전유니트와 승ㆍ하강 유니트에 대하여는 본 고안의 구성을 불명료하게 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 본 고안의 요부인 틸팅유니트의 비접촉식 그립퍼의 구성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 '비접촉 물류이송 유니트이 그립퍼'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비접촉식 그립퍼(11)는 엎어놓은 용기형태의 그립퍼(11) 중심부에 비접촉패드(12)가 위치하며 그립퍼 용기의 가장자리(13) 단부와 비접촉패드(12)의 단부는 서로 수평면상에 위치한다.
그립퍼(11)에는 그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배관이 구비되며 압축공기는 그립퍼(11) 내부의 공동부(14)를 거쳐 유리페널(15)과 그립퍼 가장자리(13) 사이의 틈새(16)를 통하여 배출된다.
틈새(16)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공기의 유속은 빨라져 베르누이 효과에 따라 비접촉 패드(12)와 유리페널(15)사이의 간격에는 유속에 반비례하여 압력이 낮아지며 외부의 대기압과 낮아진 압력사이의 차이에 의하여 부압(20)이 발생하여 유리페널(15)을 그립핑한다.
또한 그립퍼(11)가 위치하는 유리페널(15)의 이면에는 팔레트(17)에 구비된 다수의 공기분출공(18)으로부터 분출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유리페널(15)을 부상시켜 팔레트(17)와 유리페널(15)의 접촉을 방지한다.
아울러 비접촉패드(12)의 표면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하나이상의 흡입공(19)이 구비되어 비접촉패드(12)와 유리페널(15)사이에 발생하는 부압(20)을 강화하여 그립핑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넓은 면적을 가진 유리패널(15)에 본 고안의 비접촉식 그립퍼(11)를 적용시 유리페널(15)의 균형유지와 그립핑을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다수의 그립퍼를 전ㆍ후, 좌ㆍ우로 균일하게 배열한 틸팅장치로 유리페널(15)을 고정하여 흔들리지 않게 한다.
도면의 미설명부분(21)은 진공호스이며, (22)는 압축공기호스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비접촉식 물류이송 유니트의 그립퍼는 FDP용 유리페널을 취급함에 있어서 유리페널의 대형화 추세에 불구하고 더욱 안전하고 확실하게 비접촉으로 그립핑 할 수 있게 하여 디스프레이페널이 수율을 향상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비접촉식 물류이송 유니트의 그립퍼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비접촉식 물류이송 유니트의 그립퍼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그립퍼 2. 가장자리
4. 비접촉 패드 5. 유리패널
6. 부압
11. 그립퍼 12. 비접촉 패드
13. 가장자리 14. 공동부
15. 유리페널 16. 틈새
17. 팔레트 18. 분출공
19. 흡입공 20. 부압
21. 진공호스 22. 압축공기호스

Claims (1)

  1. FDP용 유리페널을 비접촉으로 취급하기 위하여 팔레트(17)상에서 분출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유리페널(15)을 부상시키고 부상된 유리페널의 상부에는 베르누이 효과를 이용한 부압으로 비접촉 그립핑 할 수 있게 하는 그립퍼(11)에 있어서, 그립퍼(11)의 가운데 비접촉패드(12)에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공(19)이 하나이상 천공되어 부압(20)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물류이송 유니트의 그립퍼.
KR20-2005-0023422U 2005-08-12 2005-08-12 비접촉식 물류이송 유니트의 그립퍼 KR2004012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422U KR200401259Y1 (ko) 2005-08-12 2005-08-12 비접촉식 물류이송 유니트의 그립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422U KR200401259Y1 (ko) 2005-08-12 2005-08-12 비접촉식 물류이송 유니트의 그립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259Y1 true KR200401259Y1 (ko) 2005-11-15

Family

ID=4370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422U KR200401259Y1 (ko) 2005-08-12 2005-08-12 비접촉식 물류이송 유니트의 그립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25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558B1 (ko) 2007-10-31 2008-12-31 주식회사 홍성엠아이티 평판 이송장치의 비접촉식 이송방향 전환 장치
WO2009139540A2 (ko) 2008-05-13 2009-11-19 한국뉴매틱 주식회사 비접촉식 진공패드
KR101087975B1 (ko) * 2009-06-01 2011-12-01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필름정렬장치
WO2013005872A1 (ko) * 2011-07-04 2013-01-10 Kim Young-Tae 평판 이송물 정렬픽업 이송장치
KR101276038B1 (ko) 2006-06-16 2013-06-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접촉 반송 장치
TWI758121B (zh) * 2021-03-08 2022-03-11 上利新科技股份有限公司 氣浮式吸附裝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038B1 (ko) 2006-06-16 2013-06-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접촉 반송 장치
KR100876558B1 (ko) 2007-10-31 2008-12-31 주식회사 홍성엠아이티 평판 이송장치의 비접촉식 이송방향 전환 장치
WO2009139540A2 (ko) 2008-05-13 2009-11-19 한국뉴매틱 주식회사 비접촉식 진공패드
KR101087975B1 (ko) * 2009-06-01 2011-12-01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필름정렬장치
WO2013005872A1 (ko) * 2011-07-04 2013-01-10 Kim Young-Tae 평판 이송물 정렬픽업 이송장치
TWI758121B (zh) * 2021-03-08 2022-03-11 上利新科技股份有限公司 氣浮式吸附裝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259Y1 (ko) 비접촉식 물류이송 유니트의 그립퍼
KR100928674B1 (ko) 비접촉 석션 그립핑 장치 및 이를 갖는 비접촉 석션 그립핑 프레임
JP2008505041A (ja) ガスベアリング基板装填機構
TW201029098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CN105083989A (zh) 无需接触抓取基底的装置
CN102470998A (zh) 空气浮起式基板搬运装置
TWI725257B (zh) 板玻璃的製造方法及板玻璃的折斷裝置
JP2009130011A (ja) 基板位置決め装置
KR20100032431A (ko) 부상 반송 장치 및 부상 반송 장치를 포함하는 처리 시스템
JP2003321117A (ja) フラットパネルと保持機器との間の圧力域によってフラットパネルを保持する機器及びロボットハンド
CN204777326U (zh) 一种玻璃基板升降平移台车
TWI543918B (zh) 用來運送平板構件之輸送載具
WO2013161375A1 (ja) 搬送装置
KR20110059121A (ko) 기판 이송 유닛과, 이를 이용한 기판 이송 방법
KR101261313B1 (ko) 평판 이송물 정렬픽업 이송장치
KR20150124377A (ko) 취성 재료 기판의 단재 분리 방법 및 단재 분리 장치
JP2007246244A (ja) ガラス板引き上げ装置
KR101610215B1 (ko) 반송 장치
TW202228234A (zh) 晶圓取放裝置
KR100274126B1 (ko) 기판반송장치
TWI394900B (zh) 緩衝墊吸取裝置及吸取方法
KR100548944B1 (ko) 판상부재의 반송장치
JP2012101897A (ja) 搬送装置
JP5449857B2 (ja) 板状部材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CN213635932U (zh) 一种硅片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