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8595A - 양측이 밀폐된 램프 - Google Patents

양측이 밀폐된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8595A
KR20040108595A KR1020040040436A KR20040040436A KR20040108595A KR 20040108595 A KR20040108595 A KR 20040108595A KR 1020040040436 A KR1020040040436 A KR 1020040040436A KR 20040040436 A KR20040040436 A KR 20040040436A KR 20040108595 A KR20040108595 A KR 20040108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ontact element
centering
cap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2639B1 (ko
Inventor
위르겐 그래프
안드레아스 홀펠트
미하엘 휠제만
안톤 슐뢰글
카렌 트베스텐
Original Assignee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filed Critical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108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6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 e.g. between stem and envelo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2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directly applied to or forming part of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4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4Double-wall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 H01J61/366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 H01J61/368Pinched seals or analogous se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42Means forming part of the lamp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or support for, the lamp

Landscapes

  • Common Detailed Techniques For Electron Tubes Or Discharge Tubes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이 밀폐된 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축(A)을 정의하는 가늘고 긴 전구(1)는 밀봉부(6; 32)에 의해 양 단부에서 밀폐되고, 이 경우 하나의 캡은 일 단부에 조립되며, 캡은 공급 도체(15; 21)에 전기 도전 방식으로 연결되어 발광 수단에 인도되는 전기 접촉 엘리먼트(13; 25)를 가지며, 접촉 엘리먼트는 밀봉부의 튜브형 확장부(11; 21)내에 수용되고, 접촉 엘리먼트는 램프 내부로 인도되며 튜브형 확장부(11; 21)와 접촉하는 적어도 두 개의 바브(20; 26)를 구비하는 부착부(14; 24)를 갖는다.

Description

양측이 밀폐된 램프 {LAMP WHICH IS CLOSED ON TWO SIDES}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따른 양단이 밀폐된(closed on) 램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에 관한 것이다.
EP 780 883은 양측이 단단히 파지되며 두 개의 캡부가 밀봉에 적합한 핀치들의 말단에서 튜브형 확장부에 위치하는 접촉 엘리먼트를 가지는 램프에 관해 이미 개시하고 있다. 접촉 엘리먼트는 램프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확장하고 슬리브로서 튜브형 확장부에 의해 감싸진다. 접촉 엘리먼트의 둘레를 따라 고정된다. 이에 따른 단점은 접촉 엘리먼트가 쉽게 기울어지고, 결과적으로 이들은 더이상 램프축에 대해 정확하게 횡으로 위치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며, 더욱이 균열의 위험이 비교적 높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따라 양측이 단단히 파지되며 간단하게 고정적으로 조립되며 정확하게 향하는 캡을 가진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백열 할로겐화물 램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램프에 대한 접촉 엘리먼트를 도시한다.
도 3은 접촉 엘리먼트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4는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바브에 대한 3 가지 예시적인 실시예(도 5a, 5b, 5c)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캡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구 2: 발광체
5: 단부 6, 32: 핀치(밀봉부)
7: 호일 8: 단부
11; 22: 슬리브 13, 25: 접촉 엘리먼트
14, 24: 네크부 15, 21: 외부 공급 도체
16: 리세스 20: 바브
24: 캡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항의 특징부에 따라 달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구성들은 종속항들에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양측이 밀폐되는 램프는 가늘고 긴 전구를 포함하며, 이러한 전구는 진공-기밀(vacuum-tight) 방식으로 단단히 파지되고 종축을 정의하며 밀봉부에 의해 양 단부에서 밀폐되며, 각각의 경우 하나의 캡이 밀봉부의 일단부에 조립된다. 탭은 공급 도체에 전기 도전 방식으로 연결되어 램프의 내부내 발광 수단에 이르는 전기 접촉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 엘리먼트는 조정부와 함께, 밀봉부의 튜브형 확장부에 고정된다. 램프의 내부로 인도되는 조정부는 접촉 엘리먼트에 연결된다. 이는 방사형으로 외부로 인도되며 튜브형 확장부와 접촉하는 적어도 두 개의 중심결정부(centering part)를 포함한다. 접촉은 접촉 엘리먼트를 유지 또는 적어도 조정하는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두 가지 역할을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심결정부는 다수의 특히, 3 내지 4개의 바브(barb)를 가진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접촉 엘리먼트에 대한 부착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조정부의 둘레에 분포한다.
부착부의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하는 3개의 바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이들은 서로에 대해 120°의 간격으로 위치한다. 이는 적은 비용의 재료로도 신뢰성있게 중심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부착부, 바브 및 접촉 엘리먼트는 단일 부품으로 제조되며, 이 경우 사용된 재료는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텅스텐 또는 몰리브덴이다. 하지만, 바브는 다른 재료와는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과 같은 부도체 재료일 수 있다.
확장부는 공급 도체를 수용하기 위한 슬리브를 가진다.
원리적으로, 상기 개념은 여러 형태의 램프 특히, 방전램프 또는 백열램프에 적합하다. 특히, 외부 전구를 가진 램프에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외부 전구는 방전관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감싼다. 램프 생크(shank)는 핀치 또는 용융된 밀봉부일 수 있다.
바브는 램프축에 대해 비스듬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결과 이들은 슬리브에 좀더 쉽게 삽입될 수 있으며, 특히 이들은 램프축에 대해 50 내지 80° 특히, 60 내지 70°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엘리먼트는 디스크형인 것이 사용가능하며 특히, 일반적으로 완만한 또는 톱니형(jagged) 에지를 가진 원형 디스크 또는 오벌(oval)로 구성된다.
신뢰성있는 지지를 위해, 바브는 접촉 엘리먼트로부터 적어도 2㎜ 바람직하게는 5㎜의 거리에 있다.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캡은 스프링 시트로 구성된 조정부를 포함한다. 이는 기저부를 포함하며, 이는 하나의 평면을 커버하며, 이로부터 두개의 다르게 구성된 중심결정부가 반대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돌출한다. 제 1 중심결정부는 W와 유사한 모양이며 제 1 중심결정부를 따라 기저부의 평면으로부터 돌출한다. W내 두 개의 반전점(reversal point)은 밀봉부의 확장부와 접촉하며, 특히 반전점의 적어도 하나는 확장부내에 용융되며, 더욱이 제 2 중심결정부는 접촉 엘리먼트를 기저부에 연결시키고, 이는 추가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기저부는 공급 도체에 대해 수평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지지대(strut)를 포함하며, 요크라고 불리는적어도 하나의 연결 브리지에 의해 연결된다. 다른 평면내에 둘 또는 세 개의 연결 브리지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안정성을 추가로 개선한다.
공급 도체는 연결 브리지의 일부와 접촉하거나 또는 그곳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중심결정의 정확성을 개선한다. 이러한 특징은 포크(fork)형 자유부를 갖는 제 1 중심결정 엘리먼트에 의해 추가로 개선되어, 공급 도체에 대해 자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전체 구조는 직접적으로 그리고 중심결정 엘리먼트를 통해 공급 도체에 연결되는 접촉 엘리먼트에 의해 강화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 1 중심결정부이고, 이는 서로에 대해 이격하는 두 개의 중심결정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중심결정 엘리먼트들이 서로에 대해 멀리 이격할수록 중심결정은 더 정확해진다. 바람직한 최소거리는 접촉 엘리먼트의 직경의 두 배로 주어진다.
전형적인 응용중 하나는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 및 백열 할로겐화물 램프이다.
이하의 명세서는 다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양측에 핀칭(pinching)되는 백열 할로겐화물 램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는 발광체(2)가 축방향으로 위치하는 원통형 전구(1)를 포함한다. 발광체는 러그(10)에 의해 전구(1)내에 유지된다.
발광체(2)는 큰 피치(pitch)를 가진 비발광 섹션(4)에 의해 서로에 대해 분리되는 작은 피치를 가진 발광 섹션(3)을 포함한다. 발광체의 단부(5)는 큰 피치를 가진 비발광 섹션 또한 포함한다. 내부 공급 도체로서의 자신들의 기능에 대해, 단부(5)는 핀치(6)내에 직접 삽입되고, 여기서 이들은 핀치 호일(7)에 연결된다. 발광체와 대면하는 호일(7)의 단부(8)는 핀치(6)내에서 구부러지며, 발광체 단부(5)는 굴곡부(9)내로 인도되어, 이에 따라 순수한 기계적 수단에 의해 호일(7)과 전기 접촉한다.
7㎜의 외부 직경과 5㎜의 내부 직경을 가진 튜브형 유리 슬리브(11)가 캡으로서 핀치(6)의 외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슬리브(11)는 대략 7㎜ 길이이다. 그러므로, 이는 핀치(6)의 넓은 부분보다는 좁지만 핀치(6)의 좁은 부분보다는 넓다. 따라서, 핀치(6)와 슬리브(11) 사이에 전이영역(12)이 존재한다.
0.4㎜의 두께를 가진 스틸 시트(V2A)로 구성된 디스크형 접촉 엘리먼트는 램프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슬리브의 단부로부터 3㎜의 깊이로 슬리브(11)내에 삽입된다. 이는 원형 디스크 또는 선택적으로 클로버잎(도 2 참조)으로 구성되며, 이 경우 디스크의 최대 반경(RMAX)는 2.7㎜이고 최소 반경(RMIN)은 2.0㎜이다. 최소 반경은 4개의 리세스(16)는 각각의 경우의 기저부에 도달한다. 리세스(16)는 원형의 오목한 아크로서 디스크로부터 스탬핑(stamping)된다. 리세스(16)는 특히 플라이어(plier)에 의한 파지(holding)를 보조하는 그립(grip)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중공 네크부(hollow neck part: 14)는 엘리먼트의 후면에 부착된다. 네크부(14)에 용접되며, 외부 공급 도체(15)로서 0.6㎜의 직경을 가진 몰리브덴 와이어가 호일(7)과 엘리먼트(13) 사이에 위치한다. 서로 마주하며 위치하고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으로 구성된 두 개의 바브(20)가 링(38)에 의해 네크부에 고정되며, 그들의 끝은 슬리브(11)내에 고정된다. 바브(20)를 가진 링(38)이 도 5a에 정면도로 도시된다.
도 3은 접촉 엘리먼트의 가능한 기본 형태를 추가로 도시한다. 특히, 이들은 타원형(17)(도 3a 참조), 삼각형(18)(도 3b 참조) 및 사변형(19)(도 3c 참조)이다. 사변형의 기본 형태는 오목부를 가진 0.5㎜ 두께의 디스크이고, 중심의 벌지(bulge)는 3㎜의 직경을 가진다. 디스크의 최대 직경은 5.4㎜이고 최소 직경은 5㎜이다. 삼각형 및 사변형의 코너들은 둥글려진다.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된다. 도 1과 달리, 배럴형 몸체(30)로 설계되며 석영 유리로 구성된 방전관이 두 개의 전극(31) 및 금속 할로겐화물 충전제를 밀폐한다. 전구 단부들은 호일(33)이 삽입된 핀치(32)에 의해 밀봉된다. 외부 공급 도체(21)는 튜브형 슬리브(22) 내부로 인도되고, 이 경우 방전관의 확장부를 형성하며, 일체형 캡부(24)의 부시(bush)내에서 종단된다. 캡은 스틸로부터 단일 부품으로서 제조되며, 더욱이 접촉 엘리먼트로서 하나의 원형 디스크(25) 및 중심결정 및 파지 수단으로서 4개의 바브(26)를 포함한다. 방전관의 버지부는 핀치(32)와 슬리브(22) 사이의 전이 영역내에 감겨지는(29) 외부 전극(27)에 의해 감싸진다. 도 5b는 바브(26)의 배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도 5c 참조)는 둘레 주변에 균일하게 분포된 3개의바브(39)를 사용하며, 그 결과 최소 비용의 재료로 신뢰성있는 중심결정이 달성된다.
제조시 가능한 형태는 예를 들면, DE-A 101 57 868, DE-A 101 59 379 또는 EP-A 481 702에 개시되어 있다. 완전한 외부 전구에 대한 변형은 예를 들면, EP-A 465 083에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념은 이들 모든 설계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캡에 대한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다. 캡부(34)는 직경 D를 가지며 그 중심이 외부 공급 도체(15)에 직접 부착되는 플레이트형 접촉 엘리먼트(13)를 포함한다. 하지만, 이 경우 조정부(35)는 특히 안정되고, 떨림-방지(vibration-resistant)하면서 중심결정 효과를 가지도록 스프링 시트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조정부(35)는 캐리지와 유사한 평면형 기저부(36)를 가진다. 이는 외부 공급 도체(15)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두 개의 지지대(36a, 36b) 및 평행하게 연장하는 지지대(36a, 36b)의 일단부에서 동일한 평면상에 놓인 요크(37)로 구성된다. 요크(37)는 두 개의 지지대(36a, 36b)를 연결한다. 기저부(36)의 두 단부에 위치하며, 기저부 평면에 수직하고, 기저부 하부에 위치하는 두 개의 횡벽(40)은 추가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이들은 또한 그곳에 대해 90° 로 각지지만 두 지지대(36a, 36b)를 연결하는 요크와 같은 역할을 한다. 공급 도체(15)는 횡벽의 기저부(36)와 대면하는 측벽(41)상에 놓이고 예를 들면,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이들에 연결된다. 횡벽(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도체(15)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절단면(42)을 가진다. 방사형으로 외부로 연장하는 제 1중심결정부(43)가 요크(37) 중심에 부착된다. 이는 V 또는 W 형으로 구부러진 스프링 시트로서 구성되며, 하나의 림(44)은 요크(37)로부터 나오는 반면 제 2 자유 림(45)은 공급 도체(15) 및 접촉 엘리먼트(13)를 향한다. 중심결정을 보조하기 위해, 제 2 림의 자유 단부는 포크형(46)이고 설치될 때 공급 도체(15)에 지지된다. 림에 부착된 두 개의 급반전점(47)은 도 7을 참조할 때 네크부와 적어도 기계적으로 접촉하고, 특정 상황하에서 적어도 하나의 반전점(47)이 네크부의 유리내에 용융된다. 대략 두 반전점 사이의 중심에서, 공급 도체(15) 방향으로 향하는 전환점(48)이 존재한다. 중심결정은 원리적으로 제 1 중심결정부에 의해, 두 개의 횡벽(40)에 의해 그리고 주로 중심결정 엘리먼트로서의 역할을 하는 에지들에 의해 조장된다. 추가의 보조 중심결정 엘리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엘리먼트는 접촉 엘리먼트에 인접하여 제 2 횡벽에 대한 클랩(clasp)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지지대 평면에 평행으로 연장하고 이러한 제 2 횡벽(40)을 접촉 엘리먼트(13)에 연결한다. 이를 위해, 코드(cord)에 의해 한정되는 플레이트형 접촉 엘리먼트(13)의 일부가 제거된다. 클랩(49)은 이러한 코드에 대해 각진다. 제 2 중심결정부는 이 경우 3 개의 접촉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제 1 중심결정부에 대해 반반경방향(opposite radial direction)으로 확장한다. 이는 도 7을 참조할 때 슬리브의 내벽과 만난다. 정확한 중심결정을 위해, 이러한 상황에서 제 2 중심결정 엘리먼트(40)는 제 1 중심결정 엘리먼트로부터 가능한 한 최대 거리 특히, 그로부터 접촉 엘리먼트(13)의 직경의 적어도 두 배의 거리에 위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접촉 엘리먼트(13)는 그 둘레를 따라 슬리브(14)로부터 약간 이격하거나 또는 단순히 기계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결과 임의의 유리-형성 과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는 접촉 엘리먼트(13)에 대해 스틸과 같은 저비용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는 이로운 효과를 가진다. 접촉 엘리먼트(13)는 공급 도체(15)와 클랩(49)에 의해 제공된 이중 강화에 의해 특히 충분하게 안정성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캡부(34)는 전체적으로 기체-투과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도 8은 램프(51)를 전체적으로 도시한다. 캡부(4)는 제자리에 기계적으로 용접됨으로써 네크부(14)내에 수용된다.
횡벽(40) 및/또는 클랩(49)은 추가의 지지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추가로 구부려진 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측이 단단히 파지되며 간단하게 고정적으로 조립되며 정확하게 향하는 캡을 가진 램프가 제공된다.

Claims (16)

  1. 진공-기밀 방식으로 밀폐되며, 종축(A)을 정의하고 밀봉부(6; 32)에 의해 양 단부에서 밀폐되는 가늘고 긴 전구(1)를 가지며 양측에서 단단히 파지되는 램프로서, 각각의 경우 하나의 캡이 일단부에 조립되며, 상기 캡은 공급 도체(15; 21)에 전기 도전 방식으로 연결되어 발광 수단에 인도되는 전기 접촉 엘리먼트(13; 25)를 가지며, 상기 접촉 엘리먼트는 상기 밀봉부의 튜브형 확장부(11; 22)내에 수용되며,
    상기 램프의 내부로 인도되며 상기 튜브형 확장부(11; 22)와 접촉하는 적어도 두 개의 외부 돌출 중심결정부(20; 26)를 가진 조정부(14; 24)가 상기 접촉 엘리먼트(13; 25)에 부착되는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결정부는 상기 접촉 엘리먼트와 상기 공급 도체 사이에 부착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상기 조정부의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는 3개 또는 4개의 바브(26)를 포함하는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 상기 바브 및 상기 접촉 엘리먼트는 단일 부품으로 제조되는 램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공급 도체(21)를 수용하기 위한부시(23)를 포함하는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방전 램프 또는 백열 램프인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외부 전구를 갖는 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브 및 선택적으로 상기 접촉 엘리먼트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구성되는 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브(20; 26)는 상기 램프축에 대해 비스듬하게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램프축에 대해 50 내지 80°특히, 60 내지 70°의 각도로 위치하는 램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엘리먼트(13; 25)는 디스크형인 램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35)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평면내에 위치하는 기저부(36)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결정부(43; 49)중 적어도 하나는 스프링 동작을 하는 램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동작을 하는 제 1 중심결정부(43)는 V-형 또는 W-형 구성인 램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심결정부는 자유 림(45)을 가지며, 상기 자유 림의 단부는 포크형(46)인 램프.
  13. 제10항에 있어서, 제 2 중심결정부로서, 기저부(36)로부터 각진 두 개의 횡벽(40)이 중심결정 엘리먼트로서 역할을 하는 램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중심결정부는 상기 접촉부의 직경의 적어도 두 배에 해당하는 거리로 서로에 대해 이격하는 램프.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36)는 요크(37)를 통해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대(35a, 35b)를 포함하는 램프.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심결정부는 제 3 중심결정 엘리먼트로서 상기 접촉 엘리먼트에 더 가까운 횡벽(40)을 상기 접촉 엘리먼트에 연결하는 클랩(49)을 포함하는 램프.
KR1020040040436A 2003-06-05 2004-06-03 양측이 밀폐된 램프 KR101072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25553A DE10325553A1 (de) 2003-06-05 2003-06-05 Zweiseitig verschlossene Lampe
DE10325553.2 2003-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595A true KR20040108595A (ko) 2004-12-24
KR101072639B1 KR101072639B1 (ko) 2011-10-11

Family

ID=33394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436A KR101072639B1 (ko) 2003-06-05 2004-06-03 양측이 밀폐된 램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253562B2 (ko)
EP (1) EP1492145A3 (ko)
JP (1) JP4956828B2 (ko)
KR (1) KR101072639B1 (ko)
CN (1) CN100501899C (ko)
CA (1) CA2469706A1 (ko)
DE (1) DE103255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36977A1 (de) * 2004-07-30 2006-02-1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Zweiseitig verschlossene elektrische Lampe
US20060108929A1 (en) * 2004-11-23 2006-05-25 Patent-Treuhand-Gesellschaft Fur Elektrisch Gluhlampen Mbh Electric lamp having an outer bulb
WO2009062549A1 (de) * 2007-11-14 2009-05-22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Folie für lampen und zugehöriges stromzuführungssystem
DE102009019526A1 (de) * 2009-04-30 2010-11-04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ntladungslamp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63278A (ko) * 1972-10-18 1974-06-19
NL7908214A (nl) * 1979-11-09 1981-06-01 Philips Nv Elektrische gloeilamp.
DE8410386U1 (ko) * 1984-04-03 1987-08-27 Patent-Treuhand-Gesellschaft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8000 Muenchen, De
JPH01297875A (ja) * 1988-05-26 1989-11-30 Hamamatsu Photonics Kk 高圧ナトリウムランプ励起固体レーザ
ES2051398T3 (es) * 1989-02-24 1994-06-16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Lampara electrica con zocalo sin masilla.
CA2042143A1 (en) 1990-06-27 1991-12-28 John J. Biel Discharge lamp with surrounding shroud and method of making such lamp
DE4031117A1 (de) * 1990-10-02 1992-04-09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Hochdruckentladungslamp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lampe
US5128589A (en) * 1990-10-15 1992-07-07 General Electric Company Heat removing means to remove heat from electric discharge lamp
EP0497401B1 (en) * 1991-01-28 1995-06-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ic lamp
JP2793057B2 (ja) * 1991-08-06 1998-09-03 ウシオ電機株式会社 両端封止型ベース付白熱電球
US5598063A (en) * 1992-12-16 1997-01-28 General Electric Company Means for supporting and sealing the lead structure of a lamp
US5576598A (en) * 1995-08-31 1996-11-19 Osram Sylvania Inc. Lamp with glass sleeve and method of making same
DE19548523A1 (de) * 1995-12-22 1997-06-26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Zweiseitig gequetschte Lampe
CN1106659C (zh) * 1996-06-12 2003-04-23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电灯
DE19640666A1 (de) * 1996-10-02 1998-04-09 Bosch Gmbh Robert Entladungslampe, insbesondere für Fahrzeugbeleuchtungseinrichtungen
JP3657461B2 (ja) * 1999-06-15 2005-06-0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放電バルブ
US6203169B1 (en) * 1999-06-25 2001-03-20 Osram Sylvania Inc. Lamp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4262362B2 (ja) 1999-07-02 2009-05-13 住化エンビロサイエンス株式会社 繊維用抗菌組成物
JP4806482B2 (ja) * 2000-02-28 2011-11-02 ロンシール工業株式会社 建築物用難燃シート
JP4379552B2 (ja) * 2000-05-31 2009-12-09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高圧放電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2002093373A (ja) * 2000-09-13 2002-03-29 Orc Mfg Co Ltd 放電灯
JP3777088B2 (ja) * 2000-11-24 2006-05-2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放電ランプ用アークチュー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305470A (ja) 2001-04-06 2002-10-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力線搬送通信システム
JP3652602B2 (ja) 2000-12-05 2005-05-2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アークチュー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56347B2 (ja) * 2001-05-24 2010-10-06 Toto株式会社 高輝度放電ランプの封止部構造
JP4009128B2 (ja) * 2002-03-29 2007-1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放電ラン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ランプユニット
DE102004036977A1 (de) * 2004-07-30 2006-02-1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Zweiseitig verschlossene elektrische Lam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92145A3 (de) 2007-12-19
US7253562B2 (en) 2007-08-07
CN1574158A (zh) 2005-02-02
EP1492145A2 (de) 2004-12-29
CN100501899C (zh) 2009-06-17
CA2469706A1 (en) 2004-12-05
US7745999B2 (en) 2010-06-29
JP2004363106A (ja) 2004-12-24
US20040251834A1 (en) 2004-12-16
KR101072639B1 (ko) 2011-10-11
DE10325553A1 (de) 2004-12-23
US20070222386A1 (en) 2007-09-27
JP4956828B2 (ja)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2955A (en) Double-based, double-ended, pinch-sealed electric lamp with integral base
JPH11176318A (ja) 放電ランプ装置
US7745999B2 (en) Lamp which is closed on two sides
US4634920A (en) Electrical lamp having a sleeve mounted in a lamp cap of synthetic material
US5808399A (en) Filament supporting structures in incandescent lamps and process for fixing filaments onto supports
JPH01100845A (ja) キャップ付ランプ
US5847510A (en) High pressure discharge bulb
JPH11329370A (ja) ハロゲンランプ
US7382092B2 (en) Electric lamp which is closed at one end
US5521458A (en) Electric discharge lamp assembly
US5440196A (en) Dual-envelope high-pressure discharge lamp construction,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US7358673B2 (en) Electric lamp which is closed on two sides
JP2003501794A (ja) 保護スリーブを有する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US6133677A (en) Discharge lamp with wire frame having dual cantilever resilient end
JP2005327723A (ja)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750545B2 (en) Double-sided sealed electric lamp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2009038008A (ja) 外管及び一体型ランプを備えた電気ランプ及び電気ランプの製造方法
US4578616A (en) Tungsten halogen incandescent lamp having an improved mounting structure
JP2006147587A (ja) 外管を備えた電気ランプ
JPH0877975A (ja) 放電ランプ
JP2004127939A (ja) セラミックhidランプのためのスナップ式ばねクリップ
JP5134054B2 (ja) 金属蒸気放電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5180265B2 (ja) 金属蒸気放電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US20070262718A1 (en) Electrode-foil interface structure
JPH042709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