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5806A - 이니시에이터 - Google Patents

이니시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5806A
KR20040105806A KR10-2004-7015329A KR20047015329A KR20040105806A KR 20040105806 A KR20040105806 A KR 20040105806A KR 20047015329 A KR20047015329 A KR 20047015329A KR 20040105806 A KR20040105806 A KR 20040105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itiator
capsule
ignition
inflator
gas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6577B1 (ko
Inventor
다카하라이사무
요시가이아키토시
노세가즈오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5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5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42B3/12Bridge initiators
    • F42B3/125Bridge initia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bridge initiator case
    • F42B3/127Bridge initia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bridge initiator case the case having burst direction defin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16Inner seams, e.g. creating separate compartments or used as teth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에 조립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에 기폭제(25)로부터 점화됨으로써 상기 인플레이터를 기폭시키는 이니시에이터(20)에 있어서 기폭제(25)를 수용하는 캡슐(26)이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슐(26)의 통부(26b)에는 기폭제(25)에의 착화시에 생기는 파단을 촉진하는 복수의 파단촉진수단[V자형상의 홈(26b1, 26b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니시에이터(20)는 기폭제(25)로부터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에의 점화방향을 복수개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이니시에이터{INITIATOR}
이 종류의 이니시에이터의 하나로서, 절연부재를 거쳐 일체화된 한 쌍의 전극핀과, 이들 양 전극핀에 접속되어 통전에 의하여 발열하는 전교선(전교선)과, 이 전교선과 동일 전교선의 발열에 의하여 기폭되는 발화재(기폭제)를 내부에 밀봉상태로 수용하는 케이스(캡슐)를 구성부품으로 하는 것이 있고,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1-30140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이니시에이터에 있어서는, 전극핀의 신장방향과 발화재(기폭제)의 점화방향이 대략 동일(직선방향)하다. 이 때문에 이니시에이터의 사용형태의 다양화가 부족하고, 인플레이터 내에 수용한 가스발생제에의 점화 에너지의 전달효율이 나쁜 경우나, 전극핀에의 커넥터의 설치성이 나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에 설치되는 에어백장치의 인플레이터에 조립되어 사용되는 이니시에이터(기폭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니시에이터의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파단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이니시에이터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이니시에이터의 제 1 변형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이니시에이터의 제 2 변형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눈 도 2에 나타낸 이니시에이터의 제 3 변형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나타낸 이니시에이터의 제 4 변형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2에 나타낸 이니시에이터의 제 5 변형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니시에이터의 다른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파단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에 대처하도록 인플레이터에 조립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에 기폭제로부터 점화됨으로써 상기 인플레이터를 기폭시키는 이니시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기폭제로부터 상기 가스발생수단으로의 점화방향을 복수개 가지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이니시에이터의 기폭제로부터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에 효율좋게 점화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어, 인플레이터에 있어서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의 기동성(착화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에 조립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에 기폭제로부터 점화됨으로써 상기 인플레이터를 기폭시키는 이니시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기폭제를 수용하는 캡슐이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어 있고, 상기 캡슐의 통부에는 상기 기폭제에의 착화시에 생기는 파단을 촉진하는 파단촉진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캡슐이 수용하는 기폭제에의 착화시에, 캡슐의 통부의 파단이 파단촉진수단에 의하여 촉진된다. 이 때문에 캡슐에 있어서의 통부의 바깥쪽에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이 배치되는 사용형태에 의해 기폭제로부터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에 효율좋게 점화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어, 인플레이터에 있어서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의 기동성(착화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기폭제로부터 상기 가스발생수단에의 점화방향이 복수인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기폭제로부터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에의 점화 에너지의 전달효율을 더욱 높여 인플레이터에 있어서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의 기동성(착화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에 조립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에 기폭제로부터 점화됨으로써, 상기 인플레이터를 기폭시키는 이니시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기폭제에의 착화에 있어서 통전되는 전극핀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위의 신장방향과, 상기 기폭제로부터 상기 가스발생수단에의 점화방향이 비직선방향이 되는 각도를 가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전극핀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위의 신장방향과, 기폭제로부터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에의 점화방향이 비직선방향이 되는 각도를 가지기 때문에, 전극핀에의 커넥터의 설치 자유도가 향상되어 전극핀에의 커넥터의 설치성이 향상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기폭제로부터 상기 가스발생수단에의 점화방향이 복수인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기폭제를 수용하는 캡슐이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슐의 통부에는 상기 기폭제에의 착화시에 생기는 파단을 촉진하는 파단 촉진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점화방향은 상기 캡슐의 통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반대방향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캡슐이 수용하는 기폭제에의 착화시에, 캡슐의 통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반대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에서, 캡슐의 통부의 파단이 파단 촉진수단에 의해 촉진된다. 이 때문에 캡슐에 있어서의 통부의 바깥쪽에서 캡슐의 통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반대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에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이 배치되는 사용형태에 의해, 기폭제로부터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에 효율좋게 점화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어, 인플레이터에 있어서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의 기동성(착화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캡슐은 통부와 바닥부를 연결하는 코너연결부에 코너면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점화방향은 상기 코너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하는 것인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 상기 코너면에는 상기 기폭제에의 착화시에 생기는 파단을 촉진하는 파단 촉진수단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의 경우에는 캡슐이 수용하는 기폭제에의 착화시에, 캡슐의 통부와 바닥부를 연결하는 코너연결부의 코너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에서 캡슐의 통부의 파단이 파단 촉진수단에 의하여 촉진된다. 이 때문에 캡슐의 통부와 바닥부를 연결하는 코너연결부의 코너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에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이 배치되는 사용형태에 의해 기폭제로부터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에 효율좋게 점화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어, 인플레이터에 있어서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의 기동성(착화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기폭제의 착화에 의한 기폭력이 상기 파단 촉진수단에 유도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가이드수단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유도되는 기폭력에 의하여 파단 촉진수단에 의한 파단이 더욱 촉진된다.
또, 상기 파단 촉진수단은 상기 캡슐의 통부와 바닥부에 비하여 코너연결부의 강도를 저감하는 강도 저감수단인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 상기 캡슐의 통부와 바닥부에 비하여 코너연결부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 또는 상기 캡슐의 코너연결부에 취약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홈부인 것도 가능하다.
상기 파단 촉진수단이 캡슐의 통부와 바닥부에 비하여 코너연결부의 강도를 저감하는 강도 저감수단인 경우는 강도 저감수단에 의해 코너연결부에서의 파단이 촉진된다. 이 경우의 강도 저감수단이, 캡슐의 통부와 바닥부에 비하여 코너연결부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 또는 캡슐의 코너연결부에 취약부를 설치하는 것인 경우에는 간이한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취약부가 홈부인 경우에는 단순하고 또한 저렴한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파단 촉진수단은 상기 캡슐의 바닥부에 비하여 통부의 강도를 저감하는 강도 저감수단인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캡슐이 수용하는 기폭제에의 착화시에, 캡슐의 통부의 파단이 캡슐의 바닥부에 비하여 통부의 강도를 저감함으로써 촉진된다. 이 때문에 캡슐의 통부의 바깥 둘레에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이 배치되는 사용형태에 의해, 기폭제로부터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에 효율좋게 점화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어, 인플레이터에 있어서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의 기동성(착화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강도 저감수단은 상기 캡슐의 바닥부에 비하여 통부의 두께를 얇게 한 것, 또는 상기 캡슐의 통부에 설치한 취약부인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홈부인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강도 저감수단이캡슐의 바닥부에 비하여 통부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 또는 캡슐의 통부에 취약부를 설치하는 것인 경우에는 간이한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취약부가 홈부 인 경우에는 단순하고 또한 저렴한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강도 저감수단은 상기 캡슐의 바닥부를 캡슐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형상으로 하여 통부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저감한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캡슐의 바닥부를 볼록형상으로 함으로써, 바닥부의 강성이 높여져 있다. 이 때문에 캡슐이 수용하는 기폭제에의 착화시에, 캡슐의 통부의 파단이 캡슐의 바닥부의 파단에 선행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캡슐의 통부의 바깥 둘레에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이 배치되는 사용형태에 의해, 기폭제로부터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에 효율좋게 점화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어 인플레이터에 있어서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의 기동성(착화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바닥부의 볼록형상 선단으로부터 바닥면측에 위치하는 통부의 부위에 취약부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홈부인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통부의 취약부에서 적극적인 파단이 얻어져, 기폭제로부터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에의 점화 에너지의 전달효율이 적극적으로 높여진다. 또 취약부가 홈부인 경우에는 단순하고 또한 저렴한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파단 촉진수단은 상기 캡슐의 통부에의 기폭력을 바닥부에의 기폭력에 비하여 크게 하는 기폭력 증대수단인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기폭력 증대수단에 의하여 캡슐의 통부에의 기폭력이 바닥부에의 기폭력에 비하여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캡슐이 수용하는 기폭제에의 착화시에, 캡슐의 통부를 확실하게 파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캡슐의 통부의 바깥 둘레에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이 배치되는 사용형태에 의해, 기폭제로부터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에 확실하게 또한 효율좋게 점화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어, 인플레이터에 있어서의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의 기동성(착화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기폭력 증대수단은, 상기 캡슐의 통부를 파단하기 위한 기폭제의 양을, 바닥부를 파단하기 위한 기폭제의 양보다도 많게 한 것, 또는 상기 캡슐의 통부를 파단하기 위한 기폭제를, 바닥부를 파단하기 위한 기폭제보다도 기폭력이 강한 것으로 한 것도 가능하다. 이들의 경우에는, 간이적으로 캡슐의 통부에의 기폭력을 바닥부에의 기폭력에 비하여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전극핀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위의 신장방향과 상기 기폭제의 점화방향과의 사이의 각도는 대략 직각인 것도 가능하고, 상기각도는 상기 전극핀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전극핀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위의 신장방향과 기폭제의 점화방향과의 사이의 각도가 대략 직각이기 때문에 점화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커넥터를 전극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전극핀을 구부림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간이적인 방법으로 저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차량의 앞좌석과 뒷좌석에 착석하는 탑승자의 머리부를 보호하는 에어백장치용의 인플레이터(10)에 본 발명에 의한 이니시에이터(20)를 조립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실시형태의 인플레이터(10)는 길이방향의 중간부위에 이니시에이터(20)의 설치부(11a)를 가지고, 이 설치부(11a)의 앞쪽 및 뒤쪽에 가스발생제(12)와 연소촉진제(13)를 수용하는 대소의 수용부(11b, 11c)를 가지는 케이싱(11)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11)은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 대용량의 수용부(11b)에는 에어백(30)의 앞좌석용 팽창부(31)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멍(11b1)이 설치되고, 소용량의 수용부(11c)에는 에어백(30)의 뒷좌석용 팽창부(32)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멍(11c1)이 설치되어 있다. 각 가스발생제(12)는 이니시에이터(20)의 기폭에 의하여 생기는 화염의 점화 에너지에 의하여 기폭 연소하여 가스를 발생하는 것으로, 이니시에이터(20)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각 연소촉진제(13)는 착화성이 높은 화약[뒤에서 설명하는 이니시에이터(20)의 기폭제(25)와 동종의 화약]으로서, 가스발생제(12)의 연소를 촉진하는 것으로, 가스발생제(12)의 이니시에이터(20)로부터 떨어진 끝부[케이싱(11) 내의 전후 양쪽 끝부]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이니시에이터(20)는 도 2에서 확대하여 나타낸 각 구성부품, 즉 한 쌍의 전극핀(21a, 21b), 도전헤더(22), 절연부재(23), 전교선(24), 기폭제(화약)(25), 금속캡슐(26), 수지캡슐(27) 및 수지몰드(28) 등의 구성부품을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전극핀(21a)은, 도전헤더(22)에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있고, 도 2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커넥터(40)와 접속되는 부위[수지몰드(28)를 관통하여 연장 돌출되어 있는 부위]가 도 2의 상하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다른쪽의 전극핀(21b)은 절연부재(23)를 거쳐 도전헤더(22)에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있고, 커넥터(40)와 접속되는 부위[수지몰드(28)를 관통하여 연장 돌출되어 있는 부위]가 도 2의 상하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도전헤더(22)는, 도전성 금속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는 안쪽 구멍(22a)을 동축적으로 가지고 있다. 절연부재(23)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심에는 다른쪽의 전극핀(21b)이 기밀하게 끼워 맞춰져 동축적으로 고정되는 삽입구멍(3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절연부재(23)는 내열·내압 유리이고, 도전헤더(22)의 안쪽 구멍(22a)에 기밀하게 끼워 맞춰져 동축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전교선(24)은, 전극핀(21b)과 도전헤더(22)에 접속되어 있고, 전극핀(21a, 21b)에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전극핀(21a, 21b)을 통하여 통전됨으로써 발열하여, 기폭제(25)를 착화하게 되어 있다. 기폭제(25)는 금속캡슐(26)의 내부에 전교선(24)과 함께 밀봉상태로 수용되어 있고, 일부가 전교선(24)과 접촉하고 있다.
금속캡슐(26)은, 바닥이 있는 통형상(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부(26a)에 비하여 통부(26b)의 두께를 얇게 하고 있으며, 기폭제(25)의 착화에 의하여 통부(26b)가 파단 가능하고, 개구단부에서 도전헤더(22)의 바깥 둘레에 용접 등에 의하여 기밀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 금속캡슐(26)의 통부(26b) 바깥 둘레에는 기폭제(25)에의 착화시에 생기는 통부(26b)의 파단을 촉진하는 파단 촉진수단으로서 강도 저감수단이고 취약부인 단면 V자 형상의 홈(26b1, 26b2)이 도 2의 좌우에[통부(26b)의 중심축선을 사이에 둔 2개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수지캡슐(27)은, 바닥이 있는 통형상(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금속캡슐(26)의 바깥쪽에 끼워 부착되어 있어, 기폭제(25)에의 착화시에 금속캡슐(26)의 통부(26b)의 일부가 파단되는 것에 따라 파단하게 되어 있다. 수지몰드(28)는 전극핀(21a, 21b), 도전헤더(22), 절연부재(23), 금속캡슐(26), 수지캡슐(27) 등 구성부품의 연결부를 일체화하도록 몰드성형되어 있고, 끝부에는 커넥터(40)와의 접속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이 실시형태의 이니시에이터(20)에 있어서는, 전교선(24)에의 통전에 의하여 기폭제(25)가 착화되면, 금속캡슐(26)의 통부(26b)가 도 2의 좌우 2부분[홈(26b1, 26b2)의 형성부분]에서 파단되고, 이것에 따라 수지캡슐(27)이 파단되어, 기폭제(25)로부터 인플레이터(10)의 양 가스발생제(12)에의 점화방향이 도 2의 좌우방향에 2개 형성된다.
이 때문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캡슐(26)에 있어서의 통부(26b)의 바깥쪽에 인플레이터(10)의 가스발생제(12)가 배치되는 사용형태에 의해, 상기 이니시에이터(20)의 기폭제(25)로부터 인플레이터(10)의 각 가스발생제(12)에 효율좋게 점화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어, 인플레이터(10)에 있어서의 가스발생제(12)의 착화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니시에이터(20)에 있어서의 금속캡슐(26)을 바닥부(26a)와 통부(26b)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도 3 내지 도 7의 각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니시에이터(20)의각 구성부품의 형상을 각각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각 변형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이니시에이터(20)에 있어서 각 구성부품의 형상을 변경한 부위에 대하여 기술하고, 각 구성부품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은 부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부호를 붙이고 기술을 생략한다.
도 3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니시에이터(20)에 있어서의 금속캡슐(26)이, 바닥부(26a)와 통부(26b)를 가짐과 동시에, 이들을 연결하는 코너연결부(26c)를 가지고 있고, 바닥부(26a)와 통부(26b)에 비하여 코너연결부(26c)의 두께를 얇게 하고 있어 기폭제(25)의 착화에 의해 코너연결부(26c)가 파단 가능하다.
또, 코너연결부(26c)의 경사진 코너면에는 기폭제(25)에의 착화시에 코너연결부(26c)의 파단을 촉진하는 파단촉진수단으로서 강도 저감수단이며 취약부인 단면 V 자형상의 홈(26c1, 26c2)이 도 3의 좌우에 설치되어 있다. 또 바닥부(26a)에는 캡슐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여 선단부가 홈(26c1, 26c2)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볼록형상의 테이퍼부(26a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부(26a1)는 바닥부(26a)의 강도를 높이는 기능과, 기폭제(25)의 착화에 의한 기폭력이 홈(26c1, 26c2)의 형성부에 유도되 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도 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교선(24)에의 통전에 의해 기폭제(25)가 착화되면 금속캡슐(26)의 코너연결부(26c)가 도 3의 좌우 2부분[홈(26c1, 26c2)의 형성부분]에서 파단되고, 이것에 따라 수지캡슐(27)이 파단되어 기폭제(25)로부터 인플레이터(10)의 양 가스발생제(12)에의 점화방향이 코너연결부(26c)의 경사진 코너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2개 형성된다.
이 때문에 금속캡슐(26)의 통부(26a)와 바닥부(26b)를 연결하는 코너연결부(26c)의 코너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플레이터(10)의 가스발생제(12)가 배치되는 사용형태에 의해, 상기 이니시에이터(20)의 기폭제(25)로부터 인플레이터(10)의 가스발생제(12)에 효율좋게 점화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어, 인플레이터(10)에 있어서의 가스발생제(12)의 착화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니시에이터(20)에 있어서의 금속캡슐(26)이, 바닥부(26a)와 통부(26b)를 가지고 있고, 바닥부(26a)에 비하여 통부(26b)의 두께를 얇게 하고 있어, 기폭제(25)의 착화에 의하여 통부(26b)가 파단 가능하다. 또 통부(26b)의 중간부가 바깥쪽으로 팽출 형성되어 있고, 이 팽출형성부의 바깥쪽에는 기폭제(25)에의 착화시에 통부(26b)의 파단을 촉진하는 파단 촉진수단으로서 강도저감수단이고 취약부인 단면 V자형상의 홈(26b1, 26b2)이 도 4의 좌우에 설치되어 있다. 통부(26b)의 팽출형성부는, 통부(26b)의 강도를 저감하는 기능과, 기폭제(25)의 착화에 의한 기폭력이 홈(26bl, 26b2)의 형성부에 유도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도 4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교선(24)에의 통전에 의하여 기폭제(25)가 착화되면 금속캡슐(26)의 통부(26b)가 도 4의 좌우 2부분[홈(26b1, 26b2)의 형성부분]에서 파단되고, 이에 따라 수지캡슐(27)가 파단되어, 기폭제(25)로부터 인플레이터(10)의 양 가스발생제(12)에의 점화방향이 도 4의 좌우방향에 2개 형성된다.
이 때문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캡슐(26)에 있어서의 통부(26b)의바깥쪽에 인플레이터(10)의 가스발생제(12)가 배치되는 사용형태에 의해, 상기 이니시에이터(20)의 기폭제(25)로부터 인플레이터(10)의 각 가스발생제(12)에 효율좋게 점화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어, 인플레이터(10)에 있어서의 가스발생제(12)의 착화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니시에이터(20)에 있어서의 금속캡슐(26)이 바닥부(26a)와 통부(26b)를 가지고 있고, 바닥부(26a)에 비하여 통부(26b)의 두께를 얇게 하고 있어, 기폭제(25)의 착화에 의하여 통부(26b)가 파단 가능하다.
또, 통부(26b)의 바깥쪽에는 기폭제(25)에의 착화시에 통부(26b)의 파단을 촉진하는 파단 촉진수단으로서 강도 저감수단이고 취약부인 단면 V자형상의 홈(26b1, 26b2)이 도 5의 좌우에 설치되어 있다.
또, 바닥부(26a)에는 캡슐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여 선단부가 홈(26b1, 26b2)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볼록형상의 테이퍼부(26a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부(26a1)는 바닥부(26a)의 강도를 높여 통부(26b)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저감하는 기능과, 기폭제(25)의 착화에 의한 기폭력이 홈(26bl, 26b2)의 형성부에 유도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도 5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교선(24)에의 통전에 의하여 기폭제(25)가 착화되면, 금속캡슐(26)의 통부(26b)가 도 5의 좌우 2부분[홈(26b1, 26b2)의 형성부분]에서 파단되고, 이에 따라 수지캡슐(27)이 파단되어 기폭제(25)로부터 인플레이터(10)의 양 가스발생제(12)에의 점화방향이 도 5의 좌우방향에 2개 형성된다.
이 때문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캡슐(26)에 있어서의 통부(26b)의 바깥쪽에 인플레이터(10)의 가스발생제(12)가 배치되는 사용형태에 의해, 상기 이니시에이터(20)의 착화부[기폭제(25)]로부터 인플레이터(10)의 각 가스발생제(12)에 효율좋게 점화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어, 인플레이터(10)에 있어서의 가스발생제(12)의 착화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교선(24)을 좌우 한 쌍 설치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니시에이터(20)에 있어서의 금속캡슐(26)이, 바닥부(26a)와 통부(26b)를 가지고 있고, 바닥부(26a)와 통부(26b)의 두께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바닥부(26a)에는 캡슐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형상의 테이퍼부(26al)가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부(26a1)는 바닥부(26a)의 강도를 높여 통부(26b)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저감하는 기능과, 기폭제(25)의 착화에 의한 기폭력이 통부(26b)에 유도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바닥부(26b)에 테이퍼부(26a1)를 형성함으로써 통부(26b)를 파단하기 위한 기폭제(25b)의 양이 바닥부(26a)를 파단하기 위한 기폭제(25a)의 양보다도 많게 되어 있고, 통부(26b)에의 기폭력이 바닥부(26a)에의 기폭력에 비하여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금속캡슐(26)이 수용하는 기폭제(25a, 25b)에의 착화시에 금속캡슐(26)의 통부(26b)를 확실하게 파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금속캡슐(26)의 통부(26b)의 바깥 둘레에 인플레이터(10)의 가스발생제(12)가 배치되는 사용형태에 의해, 기폭제(25a, 25b)로부터 인플레이터(10)의 가스발생제(12)에 확실하게 또한 효율좋게 점화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어, 인플레이터(10)에 있어서의 가스발생제(12)의 착화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도 6의 실시형태를 실시하는 것에 있어서는, 통부(26b)를 파단하기 위한 기폭제(25b)를, 바닥부(26a)를 파단하기 위한 기폭제(25a)보다도 기폭력이 강한 것으로 하여 통부(26b)에의 기폭력이 바닥부(26a)에의 기폭력에 비하여 커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6의 실시형태를 실시할 때에 있어서는 전교선(24)을 좌우 한 쌍 설치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형태의 이니시에이터(20)(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각 이니시에이터)에 있어서는, 전극핀(21a, 21b)의 커넥터(40)에 접속되는 부위의 신장방향이 도전헤더(22), 절연부재(23), 금속캡슐(26), 수지캡슐(27) 등의 중심축선을 따른 방향이 되도록 하여 실시하였으나,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핀(21a, 21b)의 커넥터(40)에 접속되는 부위의 신장방향이, 도전헤더(22), 절연부재(23), 금속캡슐(26) 등의 중심축선을 따른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 되도록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커넥터(40)의 전극핀(21a, 21b)에의 설치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이니시에이터(20)에 있어서는 수지캡슐(27)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또 금속캡슐(26)의 바닥부(26a)가 파단되어 인플레이터에의 점화방향이 도전헤더(22), 절연부재(23), 금속캡슐(26) 등의 중심축선을 따른 방향에 형성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의 이니시에이터(20)(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각 이니시에이터)에 있어서는, 기폭제(25)의 착화에 수반하여 기폭제(25)로부터 인플레이터(10)의 양 가스발생제(12)에의 점화방향이 2개 형성되도록 하여 실시하였으나, 기폭제(25)의 착화에 따라 기폭제(25)로부터 인플레이터(10)의 양 가스발생제(12)에의 점화방향이 3개 이상 형성되도록 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의 이니시에이터(20)(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각 이니시에이터)에 있어서는, 금속캡슐(26)과 수지캡슐(27)을 좌우 대칭형상으로서 실시하였으나, 금속캡슐(26)과 수지캡슐(27)을 좌우 다른 형상(異形態)으로 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량의 앞좌석과 뒷좌석에 착석하는 탑승자의 머리부를 보호하는 에어백장치용의 인플레이터(10)에 조립되어 사용되는 이니시에이터(20)에 본 발명을 실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승원의 측부를 보호하기 위한 사이드 에어백장치용의 인플레이터(10)에 조립되어 사용되는 이니시에이터(20)에도 동일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스발생수단이 가스발생제(12)인 인플레이터(10)에 본 발명에 의한 이니시에이터(20)를 실시하였으나, 가스발생수단이 고압가스와 이것을 밀봉하는 가스밀봉판으로 구성되는 인플레이터에 본 발명에 의한 이니시에이터(20)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이니시에이터(20)의 기폭제(25)가 착화함으로서 생기는 기폭력이 가스밀봉판에 전달되어 상기 가스밀봉판이 파단됨으로써 인플레이터에서 가스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이 경우에는 인플레이터에 있어서의 가스발생수단의 기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7)

  1. 인플레이터에 조립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에 기폭제로부터 점화됨으로써 상기 인플레이터를 기폭시키는 이니시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기폭제로부터 상기 가스발생수단에의 점화방향을 복수개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2. 인플레이터에 조립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에 기폭제로부터 점화됨으로써 상기 인플레이터를 기폭시키는 이니시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기폭제를 수용하는 캡슐이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슐의 통부에는 상기 기폭제에의 착화시에 생기는 파단을 촉진하는 파단 촉진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3. 인플레이터에 조립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수단에 기폭제로부터 점화됨으로써 상기 인플레이터를 기폭시키는 이니시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기폭제에의 착화에 있어서 통전되는 전극핀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위의 신장방향과, 상기 기폭제로부터 상기 가스발생수단에의 점화방향이 비직선방향이 되는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폭제로부터 상기 가스발생수단에의 점화방향이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폭제로부터 상기 가스발생수단에의 점화방향이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폭제를 수용하는 캡슐이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슐의 통부에는 상기 기폭제에의 착화시에 생기는 파단을 촉진하는 파단 촉진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폭제로부터 상기 가스발생수단에의 점화방향이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8. 제 4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점화방향은, 상기 캡슐의 통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반대방향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9. 제 4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통부와 바닥부를 연결하는 코너연결부에 코너면을 가지고, 상기복수의 점화방향은 상기 코너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면에는 상기 기폭제에의 착화시에 생기는 파단을 촉진하는 파단 촉진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11. 제 2항, 제 4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폭제의 착화에 의한 기폭력이 상기 파단 촉진수단에 유도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 촉진수단은, 상기 캡슐의 통부와 바닥부에 비하여 코너연결부의 강도를 저감하는 강도 저감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저감수단은, 상기 캡슐의 통부와 바닥부에 비하여 코너연결부의 두께를 얇게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저감수단은, 상기 캡슐의 코너연결부에 설치한 취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16. 제 2항, 제 4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 촉진수단은, 상기 캡슐의 바닥부에 비하여 통부의 강도를 저감하는 강도 저감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저감수단은, 상기 캡슐의 바닥부에 비하여 통부의 두께를 얇게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저감수단은, 상기 캡슐의 통부에 설치한 취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저감수단은, 상기 캡슐의 바닥부를 캡슐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형상으로 하여 통부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저감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바닥부의 볼록형상 선단으로부터 바닥면측에 위치하는 통부의 부위에 취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23. 제 2항, 제 4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 촉진수단은, 상기 캡슐의 통부에의 기폭력을, 바닥부에의 기폭력에 비하여 크게 하는 기폭력 증대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기폭력 증대수단은, 상기 캡슐의 통부를 파단하기 위한 기폭제의 양을, 바닥부를 파단하기 위한 기폭제의 양보다도 많게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기폭력 증대수단은, 상기 캡슐의 통부를 파단하기 위한 기폭제를, 바닥부를 파단하기 위한 기폭제보다도 기폭력이 강한 것으로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26. 제 3항, 제 5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대략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상기 전극핀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니시에이터.
KR1020047015329A 2002-03-28 2003-03-17 이니시에이터 KR1006565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92668 2002-03-28
JP2002092668A JP3864823B2 (ja) 2002-03-28 2002-03-28 イニシエータ、インフレータおよび車両の乗員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PCT/JP2003/003147 WO2003083403A1 (fr) 2002-03-28 2003-03-17 Amorc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806A true KR20040105806A (ko) 2004-12-16
KR100656577B1 KR100656577B1 (ko) 2006-12-11

Family

ID=28671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329A KR100656577B1 (ko) 2002-03-28 2003-03-17 이니시에이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57083B2 (ko)
EP (1) EP1489376B1 (ko)
JP (1) JP3864823B2 (ko)
KR (1) KR100656577B1 (ko)
CN (1) CN100363706C (ko)
AU (1) AU2003221006A1 (ko)
DE (1) DE60332709D1 (ko)
WO (1) WO20030834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5346A (ja) * 2004-02-12 2005-08-25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
US7316187B2 (en) * 2004-09-17 2008-01-08 Autoliv Asp, Inc. Radial discharge actuator device
JP2007015675A (ja) * 2005-06-08 2007-01-25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CN101277854B (zh) 2005-09-30 2010-08-04 丰田合成株式会社 气体发生器
JP2007098991A (ja) * 2005-09-30 2007-04-19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4967154B2 (ja) * 2005-09-30 2012-07-04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DE102005058721A1 (de) * 2005-12-08 2007-06-14 Trw Airbag Systems Gmbh Pyrotechnische Aktuatoreinheit sowie Gassackmodul mit einer solchen Akruatoreinheit
JP5044983B2 (ja) * 2006-05-16 2012-10-10 タカタ株式会社 イニシエータ、インフレータ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5044982B2 (ja) * 2006-05-16 2012-10-10 タカタ株式会社 イニシエータ、インフレータ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7908970B1 (en) * 2007-11-13 2011-03-22 Sandia Corporation Dual initiation strip charge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and implementing the same
US7845277B2 (en) * 2008-05-28 2010-12-07 Autoliv Asp, Inc. Header assembly
GB2478822B (en) * 2010-03-16 2012-10-31 Qinetiq Ltd MEMS detonator
US20120234193A1 (en) 2011-03-17 2012-09-20 Special Devices, Inc. Igniter with a locked consolidated powder charge
US8925461B2 (en) * 2011-09-22 2015-01-06 Eaglepicher Technologies, Llc Low profile igniter
US8661985B2 (en) * 2012-04-18 2014-03-04 Autoliv Asp, Inc. Low-profile igniter assemblies adapted for use with inflatable airbag systems
DE102012023877A1 (de) * 2012-12-06 2014-06-12 Trw Airbag Systems Gmbh Pyrotechnische aktuatorbaugruppe sowie gassackmodul mit einer solchen aktuatorbaugruppe
WO2015134719A1 (en) 2014-03-07 2015-09-11 Dynaenergetics Gmbh & Co. Kg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detonator within a perforating gun assembly
US20220258103A1 (en) 2013-07-18 2022-08-18 DynaEnergetics Europe GmbH Detonator positioning device
US9702680B2 (en) 2013-07-18 2017-07-11 Dynaenergetics Gmbh & Co. Kg Perforation gun components and system
US9822618B2 (en) * 2014-05-05 2017-11-21 Dynaenergetics Gmbh & Co. Kg Initiator head assembly
FR3030715B1 (fr) * 2014-12-22 2017-02-03 Ncs Pyrotechnie Et Tech Sas Etui d'allumeur
FR3045145B1 (fr) * 2015-12-15 2018-06-29 Autoliv Development Ab Allumeur pyrotechnique
JP6742218B2 (ja) * 2016-05-23 2020-08-19 日本化薬株式会社 点火器組立体の製造方法
US10760880B2 (en) * 2017-06-22 2020-09-01 Autoliv Development Ab Igniter case
US10458213B1 (en) 2018-07-17 2019-10-29 Dynaenergetics Gmbh & Co. Kg Positioning device for shaped charges in a perforating gun module
US10386168B1 (en) 2018-06-11 2019-08-20 Dynaenergetics Gmbh & Co. Kg Conductive detonating cord for perforating gun
US11808093B2 (en) 2018-07-17 2023-11-07 DynaEnergetics Europe GmbH Oriented perforating system
US11339614B2 (en) 2020-03-31 2022-05-24 DynaEnergetics Europe GmbH Alignment sub and orienting sub adapter
USD1010758S1 (en) 2019-02-11 2024-01-09 DynaEnergetics Europe GmbH Gun body
USD1019709S1 (en) 2019-02-11 2024-03-26 DynaEnergetics Europe GmbH Charge holder
WO2021116336A1 (en) 2019-12-10 2021-06-17 DynaEnergetics Europe GmbH Initiator head with circuit board
WO2021122797A1 (en) 2019-12-17 2021-06-24 DynaEnergetics Europe GmbH Modular perforating gun system
US11225848B2 (en) 2020-03-20 2022-01-18 DynaEnergetics Europe GmbH Tandem seal adapter, adapter assembly with tandem seal adapter, and wellbore tool string with adapter assembly
US11988049B2 (en) 2020-03-31 2024-05-21 DynaEnergetics Europe GmbH Alignment sub and perforating gun assembly with alignment sub
US11713625B2 (en) 2021-03-03 2023-08-01 DynaEnergetics Europe GmbH Bulkhead
US12000267B2 (en) 2021-09-24 2024-06-04 DynaEnergetics Europe GmbH Communication and location system for an autonomous frack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4857A (ja) 1988-11-25 1990-06-04 Hitachi Ltd 燃料電池及びその分解方法
US5005486A (en) * 1989-02-03 1991-04-0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gniter for airbag propellant grains
JPH02144857U (ko) * 1989-05-11 1990-12-07
FR2698687B1 (fr) 1992-12-01 1995-02-03 Giat Ind Sa Initiateur pyrotechnique.
US5531473A (en) * 1994-05-31 1996-07-02 Morton International, Inc. Fluid fuel-containing initiator device for an air bag inflator
US5603525A (en) * 1995-06-22 1997-02-18 Trw Inc. Air bag inflator initiator housing with stored fluid pressure relief
US5678856A (en) * 1995-06-28 1997-10-21 Trw Inc. Exploding foil initiator for air bag inflator
JPH10213397A (ja) 1997-01-30 1998-08-11 Japan Steel Works Ltd:The 起爆方法及び装置
DE19733353C1 (de) 1997-08-01 1998-12-10 Nico Pyrotechnik Zündeinrichtung für eine Insassenschutz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JP3702074B2 (ja) 1997-08-25 2005-10-05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JPH1191495A (ja) 1997-09-18 1999-04-06 Nippon Kayaku Co Ltd ガス発生器
FR2772909B1 (fr) 1997-12-22 2000-01-28 Livbag Snc Initiateur electro-pyrotechnique a trois connexions electriques
JP2000168487A (ja) 1998-02-12 2000-06-20 Denso Corp インフレ―タ
JP2971439B2 (ja) 1998-04-21 1999-11-08 東芝ホクト電子株式会社 着火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116642A (en) * 1998-04-27 2000-09-12 Trw Inc. Inflator for inflating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6295935B1 (en) 1998-04-27 2001-10-02 Trw Inc. Initiator for air bag inflator
FR2788846B1 (fr) * 1999-01-25 2001-10-26 Livbag Snc Generateur de gaz hybride muni d'un initiateur a chargement explosif profile
KR20010002053A (ko) 1999-06-10 2001-01-05 총엔류 장약 조성물과 그것을 포함한 점화기
JP2001021293A (ja) 1999-07-02 2001-01-26 Nippon Kayaku Co Ltd スクイブ、及びスクイブの製造方法
DE10036455C2 (de) * 2000-07-26 2002-06-20 Willi Luebbers Zündeinrichtung mit einer Sollburchstelle für einen Treibsatz des Gasgenerators einer Insassenschutzvorrichtung in Kraftfahrzeugen
DE10111715A1 (de) 2001-03-12 2002-10-02 Nico Pyrotechnik Anzündvorrichtung für die Treibladung einer Insassenschutzvorrichtung
JP3906910B2 (ja) * 2002-03-29 2007-04-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ニシエータ
US6923122B2 (en) * 2002-12-10 2005-08-02 Reynolds Systems, Inc. Energetic material initiation device utilizing exploding foil initiated ignition system with secondary explosive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89376A4 (en) 2005-12-28
EP1489376B1 (en) 2010-05-26
JP2003287400A (ja) 2003-10-10
JP3864823B2 (ja) 2007-01-10
AU2003221006A1 (en) 2003-10-13
DE60332709D1 (de) 2010-07-08
EP1489376A1 (en) 2004-12-22
US7357083B2 (en) 2008-04-15
US20050115453A1 (en) 2005-06-02
WO2003083403A1 (fr) 2003-10-09
KR100656577B1 (ko) 2006-12-11
CN1643332A (zh) 2005-07-20
CN100363706C (zh)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577B1 (ko) 이니시에이터
US7267056B2 (en) Initiator
JP4426079B2 (ja) イニシエータ組立体
KR100548886B1 (ko) 가스 생성 장치
WO2001031281A1 (fr) Amorceur de type electrique et generateur de gaz
EP1491849B1 (en) Initiator
US8245639B2 (en) Igniter fixing structure
EP1352793B1 (en) Inflator
JPWO2004059239A1 (ja) ガス発生器
JP4127280B2 (ja) インフレータ
JP2001191891A (ja) 電気式イニシエータ及びそれを用いて形成したプリテンショナー用ガス発生器
KR101212216B1 (ko) 폭발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결합장치
WO2023171689A1 (ja) 点火装置
JP4075468B2 (ja) インフレータ
WO2023063395A1 (ja) 電気回路遮断装置
JP2008037389A (ja) ガス発生器
EP1201512A1 (en) Gas generator
CN118056255A (zh) 电路断路装置
CN117099182A (zh) 电路断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