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4647A -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과 부호 변환 수신방법 및 장치와 시스템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과 부호 변환 수신방법 및 장치와 시스템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4647A
KR20040104647A KR10-2004-7017297A KR20047017297A KR20040104647A KR 20040104647 A KR20040104647 A KR 20040104647A KR 20047017297 A KR20047017297 A KR 20047017297A KR 20040104647 A KR20040104647 A KR 20040104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code conversion
data
conversion transmission
transmiss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노리 오자와
히로아끼 데이
아쯔시 하따부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4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64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5Correction of errors induced by the transmission channel, if related to the coding algorith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8Vocoders using multiple modes
    • G10L19/24Variable rate codecs, e.g. for generating different qualities using a scalable representation such as hierarchical encoding or layered en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측으로부터의 피드백 정보에 의하지 않는 형태라도,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전송 에러에 의한 현저한 복호화 음질의 열화를 억제하여, 필요한 전송 대역의 증대 및 수신측에서의 연산량의 증대를 작게 억제하는 시스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하는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0)는, 오디오 데이터를 N개의 부호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각각을 M개의 전송로(130) 상에, 상호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하는 시간 간격을 두면서 송신하는 제1 내지 제N 부호 변환 송신 수단(102, 104·106)을 구비하고, 제2 내지 제N 부호 변환 송신 수단(104·106)은, 프레임을, 입력 부호화 데이터의 압축율과 동등하거나 혹은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부호화하고, 부호 변환 수신 장치(120)는, 전송로를 선택부(107)에 의해 선택하고, 부호 데이터 재구성부(112)에서,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가장 압축율이 낮고 음질이 좋은 부호화 데이터를 프레임 또는 패킷 단위로 선택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재구성한다.

Description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과 부호 변환 수신 방법 및 장치와 시스템 및 프로그램{AUDIO DATA CODE CONVERSION TRANSMISSION METHOD AND CODE CONVERSION RECEPTION METHOD, DEVICE, SYSTEM, AND PROGRAM}
최근, 오디오 데이터를 효율적에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MDCT(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기초한 고능률 압축에 의한 부호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들 방식에서는, 오디오 신호를 프레임으로 분할하여, MDCT 변환하고, 심리 청각 모델에 기초하여 MDCT 계수에 대하여 양자화 비트 수를 할당하여, MDCT 계수를 양자화하여 전송한다. 고능률로 압축 부호화함으로써, 적은 전송 대역에서의 오디오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 대표예로는,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4 AAC(Advanced Audio Coding)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오디오 전송 방법에서는, 오류 정정 부호를 이용해도 복원 불가능한 긴 버스트성을 가진 전송 데이터의 오류나 전송 패킷의 누락이 발생하면, 수신측에서는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의 오디오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호화할 수 없다. 수신측에서의 대책으로서, 정확하게 디코드할 수 있는 시간적으로 앞 프레임의 오디오 신호로 치환하는 에러 컨실먼트 방법이 있지만, 음질의 열화를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MDCT 계수의 프레임간 예측을 병용하여 부호화 효율을 높이는 경우에는, 한번 발생한 열화가 후속 프레임에도 전파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에 의한 정보 배신에서는, 수신측으로부터 송신 데이터의 오류나 전송 패킷의 누락 정보를 송신측에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는 없다. 또한, 수신측으로부터 에러 정보를 곧바로, 송신측에 전송하는 경우, 이 피드백 정보에 의해, 대역이 점유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전송 에러에 의해 발생하는 수신측 복호 오디오 신호의 현저한 열화를 청각적으로 두드러지지 않을 정도까지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과 수신 방법 및 장치와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오디오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전송 대역과 음질의 트레이드-오프를 사용자가 설정 가능하게 한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과 수신 방법 및 장치와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오디오 압축 부호화 데이터의 복호화에 필요한 연산량의 증대를 방지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과 수신 방법 및 장치와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수신측으로부터의 피드백 정보를 송신측에 전송하지 않고,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 과제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아 변환하여 전송로에 출력하는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로서,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스트림과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고 재부호화하여 얻어진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스트림을 각각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한 데이터를 각각 재부호화하여 얻어진 복수의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은, 상기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 및/또는 상기 재부호화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모두나 또는 선택된 일부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는, 하나의 전송로 또는 복수의 전송로 상에 송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로에 송신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전송로 중, 수신하는 전송로를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정상적으로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어스펙트에 따른 부호 변환 전송 장치는,
(a) 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의 프레임을 출력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의 프레임을 출력하는 제2 내지 제N(단, N은 2 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 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어스펙트에 따른 부호 변환 전송 장치는,
(a) 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패킷 또는 일부의 패킷을 출력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얻어진 모든 패킷 데이터 또는 일부의 패킷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내지 제N(단, N은 2 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 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어스펙트에 따른 부호 변환 수신 장치는,
(e) 제1 내지 제M(단, M은 1 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송로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f)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 오류가 없고, 누락없이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부호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어스펙트에 따른 부호 변환 수신 장치는,
(e) 제1 내지 제M(단, M은 1 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송로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f)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 오류가 없거나, 또는 누락없이 수신된 부호화한 패킷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어스펙트에 따른 부호 변환 전송 방법은,
(a)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혹은 패킷) 또는 일부의 프레임(혹은 패킷)을 출력하는 단계와,
(b) 제2 내지 제N(단, N은 2 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각각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혹은 패킷) 또는 일부의 프레임(혹은 패킷)을 출력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 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어스펙트에 따른 부호 변환 수신 방법은,
(d) 제1 내지 제M(단, M은 1 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로부터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송로를 선택하는 단계와,
(e) 상기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 오류가 없고, 누락없이 수신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패킷)을 추출하고, 추출된 부호화 데이터(패킷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어스펙트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제2 내지 제N(단, N은 2 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에,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 변환 송신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a)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의 프레임을 출력하는 처리와,
(b) 제2 내지 제N(단, N은 2 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각각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의 프레임을 출력하는 처리와,
(c)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 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처리
를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어스펙트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에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 변환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d) M개(단, M은 1 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를 선택하는 처리와,
(e)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 오류가 없고, 누락없이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패킷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부호화 데이터(패킷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출력하는 처리
를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서, 오디오 압축 부호화 데이터의 전송 에러에 의한 현저한 복호화 음질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부호 변환 전송 장치에 의해 오디오 부호화 장치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로로부터의 데이터 손실, 데이터 오류에 내성을 갖는 방식으로 변환하여,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에 송신한다.
본 발명에서, 부호 변환 전송 장치는,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이들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의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N개의 부호화 데이터에 압축 부호화하여 송신하고,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M개의 전송로로부터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가장 압축율이 낮고 음질이 좋은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복호화한다.
본 발명에서,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에 의해 얻어진 N개의 부호화 데이터는, 각각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하는 시간 간격을 두면서 송신된다.
본 발명에서,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M개의 전송로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로부터의,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가장 압축율이 낮고 음질이 좋은 부호화 데이터를 프레임 또는 패킷 단위로 선택하여 복호화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송 대역에 맞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압축율을 선택할 수 있다. 또,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은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등하거나, 내지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부호화하거나,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부호화 데이터 송신에 수반하는 수신측에서의 연산량 증대를 방지하기 위해, 부호 변환 전송 장치측은 동일한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수신측은, 수신한 복수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또는 패킷 단위로 선택하여 복호화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어스펙트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 변환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임의의 2 이상의 정수 N, 임의의 1 이상의 정수 M에 대하여, 부호 변환 전송 장치측은, a) 압축된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모든 프레임,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일부의 프레임을, 소정의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되도록 압축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일부의 프레임을,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하는 시간 간격을 두고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2 내지 제N의 (N-1)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 제1 내지 제M 전송로 각각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에 맞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의 압축율을 선택하여,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d) M개의 전송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N개의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 오류가 없거나, 또는 누락없이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여, 동일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에 기초하여,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어스펙트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 변환 전송 시스템에서, 임의의 2 이상의 정수 N, 임의의 1 이상의 정수 M에 대하여, 부호 변환 전송 장치측은, a) 압축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고, 모든 패킷, 또는 입력 오디오의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일부의 패킷을, 소정의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 입력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되도록, 패킷 데이터에 압축 부호화하여, 얻어진 모든 패킷 데이터,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패킷 데이터를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하는 시간 간격을 두고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2 내지 제N의 (N-1)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 제1 내지 제M 전송로 각각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에 맞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의 압축율을 선택하여,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M개의 전송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최대 N개의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 오류가 없거나, 또는 누락없이 수신된, 동일 프레임의 패킷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에 기초하여,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어스펙트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 변환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임의의 2 이상의 정수 N, 임의의 1 이상의 정수 M에 대하여, 부호 변환 전송 장치측은, d) 압축된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아, 복호화한 오디오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일부의 프레임을, 입력받은 오디오 데이터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되도록 압축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e)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부호화한 모든 프레임,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일부의 프레임을,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되도록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하는 시간 간격을 두고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2 내지 제N의 (N-1)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f) 제1 내지 제M 전송로 각각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에 맞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의 압축율을 선택하고,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g) M개의 전송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N개의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 오류가 없거나, 또는 누락없이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여, 동일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에 기초하여,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어스펙트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 변환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임의의 2 이상의 정수 N, 임의의 1 이상의 정수 M에 대하여, 부호 변환 전송 장치측은, a) 입력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되도록 압축 부호화하여, 얻어진 하나 또는복수개의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부호화한 모든 패킷 데이터,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패킷 데이터에 대하여,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되도록 패킷 데이터로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하는 시간 간격을 두고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2 내지 제N의 (N-1)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 제1 내지 제M 전송로 각각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에 맞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의 압축율을 선택하여,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d) M개의 전송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N개의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 오류가 없거나, 또는 누락없이 수신된, 동일 프레임의 패킷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이 가장 낮은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어스펙트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 변환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임의의 2 이상의 정수 N, 임의의 1 이상의 정수 M에 대하여, 부호 변환 전송 장치는, a)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당 프레임/패킷의 모두 또는 일부 소정의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 상기 제1 오디오 부호화 수단이 부호화한 모든 패킷 데이터, 또는 입력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패킷 데이터에 대하여, 패킷을 복제하여, 얻어진 패킷 데이터를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하는 시간 간격을 두고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2 내지 제N의 (N-1)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d) M개의 전송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N개의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 오류가 없거나, 또는 누락없이 수신된, 동일 프레임의 패킷 데이터 중에서,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어스펙트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 변환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임의의 2 이상의 정수 N, 임의의 1 이상의 정수 M에 대하여, 부호 변환 전송 장치는, a) 압축된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되도록 압축 부호화하여, 모든 프레임,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프레임을, 소정의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되도록 압축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프레임을, 제1 오디오 부호변환 송신 수단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하는 시간 간격을 두고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2 내지 제N의 (N-1)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 제1 내지 제M 전송로 각각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에 맞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의 압축율을 선택하여,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d) M개의 전송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N개의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 오류가 없거나, 또는 누락없이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여, 동일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이 가장 낮은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어스펙트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 변환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임의의 2 이상의 정수 N, 임의의 1 이상의 정수 M에 대하여, 부호 변환 전송 장치는, a) 압축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되도록 압축 부호화하여, 모든 패킷,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패킷을, 소정의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 입력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되도록, 패킷 데이터에 압축 부호화하여, 얻어진 모든 패킷 데이터, 또는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일부의 패킷 데이터를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하는 시간 간격을 두고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2 내지 제N의 (N-1)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 제1 내지 제M 전송로 각각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에 맞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의 압축율을 선택하여,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d) M개의 전송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N개의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 오류가 없거나, 또는 누락없이 수신된, 동일 프레임의 패킷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이 가장 낮은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 전송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부호 변환 전송 방법과, 부호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부호 변환 수신 방법과, 시스템, 및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와 부호 변환 수신 장치 및,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처리를, 컴퓨터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 의한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 패킷 전송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 의한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 의한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 의한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부호 변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또한, 부호 10은 부호 변환 전송 장치를 나타낸다. 부호 13은, 전송로를 나타낸다. 부호 20은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나타낸다. 부호 30은 복호화 장치를 나타낸다. 부호 40은 부호화 장치를 나타낸다. 부호 101은 오디오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02는 제1 오디오 데이터 부호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03은 제1 오디오 데이터 복호화부를 나타낸다. 부호 104는 제2 오디오 데이터 부호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05는 제3 오디오 데이터 부호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06은 제N 오디오 데이터 부호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07은 수신 전송로 선택부를 나타낸다. 부호 110은 부호 변환 전송 장치를 나타낸다. 부호 108은 제1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09는 제1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10은 제3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11은 제N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12는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를 나타낸다. 부호 120은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나타낸다. 부호 130은 전송로를 나타낸다. 부호 200은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201은 제1 송신 프레임/패킷 선택부를 나타낸다. 부호 202는 제1 오류 검출 부호 부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를 나타낸다. 부호 203은 복호화부를 나타낸다. 부호 206은 제2 압축 부호화부를 나타낸다. 부호 207은 제2 부호화 패킷 생성부를 나타낸다. 부호 208은 제2 오류 검출 부호 부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를 나타낸다. 부호 212는 제3 압축 부호화부를 나타낸다. 부호 213은 제3 부호화 패킷 생성부를 나타낸다. 부호 214는 제3 오류 검출 부호 부가 프레임/패킷식별 번호 부가부를 나타낸다. 부호 220은 제2 오디오 부호화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230은 제3 오디오 부호화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300은 수신 전송로 선택부를 나타낸다. 부호 301은 제1 패킷 수신 버퍼를 나타낸다. 부호 302는 제1 부호화 데이터 추출부를 나타낸다. 부호 303은 제1 에러/패킷 로스 검출부를 나타낸다. 부호 304는 제2 패킷 수신 버퍼를 나타낸다. 부호 305는 제2 부호화 데이터 추출부를 나타낸다. 부호 306은 제2 에러/패킷 로스 검출부를 나타낸다. 부호 307은 제3 패킷 수신 버퍼를 나타낸다. 부호 308은 제3 부호화 데이터 추출부를 나타낸다. 부호 309는 제3 에러/패킷 로스 검출부를 나타낸다. 부호 310은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를 나타낸다. 부호 320은 제1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330은 제2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340은 제3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501은 오디오 부호 변환 장치를 나타낸다. 부호 502, 503, 506, 507은 지연 부가부를 나타낸다. 부호 505, 509는 전송로를 나타낸다. 부호 510은 전송로 선택부를 나타낸다. 부호 511은 분리부를 나타낸다. 부호 512는 오디오 수신 복호화 장치를 나타낸다. 부호 700은 부호 변환 전송 장치를 나타낸다. 부호 701은 오디오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702는 오디오 데이터 복호화부를 나타낸다. 부호 703은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704는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705는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706은 수신 전송로 선택부를 나타낸다. 부호 707은 제1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708은 제2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709는 제N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부호 710은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를 나타낸다. 부호 720은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나타낸다. 부호 730은 전송로를 나타낸다. 부호 800은 제1 오디오 부호화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801은 복호화부를 나타낸다. 부호 804는 제1 압축 부호화부를 나타낸다. 부호 805는 제1 부호화 패킷 생성부를 나타낸다. 부호 806은 제1 오류 검출 부호 부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를 나타낸다. 부호 810은 제2 압축 부호화부를 나타낸다. 부호 811은 제2 부호화 패킷 생성부를 나타낸다. 부호 812는 제2 오류 검출 부호 부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를 나타낸다. 부호 1201은 오디오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202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203은 오디오 데이터 복제부를 나타낸다. 부호 1204는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205는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206은 수신 전송로 선택부를 나타낸다. 부호 1207은 제1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208은 제2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200은 제N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210은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를 나타낸다. 부호 1300은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301은 제1 송신 패킷 선택부를 나타낸다. 부호 1302는 제1 오류 검출 부호 부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를 나타낸다. 부호 1303은 패킷 복제부를 나타낸다. 부호 1304는 제2 송신 패킷 선택부를 나타낸다. 부호 1305는 제2 오류 검출 부호 부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를 나타낸다. 부호 1310은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401은 오디오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402는 오디오 데이터 복호화부를 나타낸다. 부호 1403은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404는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405는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406은 수신 전송로 선택부를 나타낸다. 부호 1407은 제1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408은 제2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409는 제N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410은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를 나타낸다. 부호 1500은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부호 1501은 복호화부를 나타낸다. 부호 1502는 제1 송신 패킷 선택부를 나타낸다. 부호 1503은 제1 오류 검출 부호 부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를 나타낸다. 부호 1504는 제1 송신 패킷 선택부를 나타낸다. 부호 1505는 제1 오류 검출 부호 부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를 나타낸다. 부호 1510은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를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임의의 2 이상의 정수 N, 임의의 1 이상의 정수 M에 대하여, 부호 변환 전송 장치측은, a) 압축된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모든 프레임,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일부의 프레임을, 소정의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도 1의 102)과, b)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되도록 압축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일부의 프레임을,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하는 시간 간격을 두고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2 내지 제N의 (N-1)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도 1의 104, 105, 106)과, c) 제1 내지 제M 전송로 각각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에 맞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의 압축율을 선택하여,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d) M개의 전송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를 선택하는 수단(도 1의 107),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N개의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 오류가 없고, 누락없이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여, 동일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이 가장 낮은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수단(도 1의 11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부호 변환 수신 장치의 각 수단은, 상기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그 처리 기능을 실현해도 된다.
[실시예]
계속해서 본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A) 개요: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0)와,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변환 수신 장치(120 및 부호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로(130)로 구성된다. 정수 N은, 부호 변환 전송 장치가 송출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개수를 나타내고, 2 이상으로 한다. 정수 M은, N개의 부호화 데이터가 전송되는 전송로(130)의 개수를 나타내고, 1 이상으로 한다.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0)는, 오디오 부호화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N개의 부호화 데이터에 부호화하여,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로서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 송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장치(110)는, 제1 내지 제M의 M개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제1 내지 제N의 N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02∼106)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부호 변환 전송부 장치(100)는, 제1 내지 제M 전송로(130)에 대응하여, M개의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1∼M)를 구비하고 있다.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 1∼M은,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M의 M개의 전송로(130)로 부호화 데이터를 송출한다.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1∼M)는, 제1 내지 제N의 N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02, 104∼106)를 구비하고 있고, 제1 내지 제N 오디오 스트림을 출력한다.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2∼M)는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1)에 의해 일단 수신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공통으로 입력받고 있는 것 외에는,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1)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에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1)의 구성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1)에 대하여 설명하고,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2∼M)의 설명은 생략한다.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1)의 오디오 데이터 수신부(101)는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한다.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1)의 오디오 데이터 수신부(101)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는,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2∼M)에도 공급된다.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02)는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프레임의 모두 또는 일부를, 부호 변환 수신 장치(120)에 송출한다.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 복호화부(103)에 의해 복호화되고,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04)는 얻어진 오디오를 제1 오디오 스트림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소정의 압축 부호화를 행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부호 변환 수신 장치(120)에 송출한다.
N이 3 이상인 경우, 제3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05 내지 106)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02)에 의해 부호화된 프레임의 모두 또는 일부의 프레임을,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04)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부호 변환 수신 장치(120)에 송신한다. 제1 내지 제N 오디오 스트림은, 제1 내지 제M 전송로(130) 상에 송출된다.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1∼M)의 제1 내지 제N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은, 제1 내지 제M 전송로(130) 상에 송신된다. 각각의 전송로(130)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에 맞춰,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04∼106)의 압축율이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02)의 출력과 압축율이 제어된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04∼106)의 출력이, 제1 내지 제M 전송로(130)에 출력된다. 이러한 본실시예에 따르면, 전송로의 상태 또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자의 의도에 따른 송신을 행할 수 있다.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1∼M)를 복수 병설하는 대신에, 하나의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1)의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 전송로(130)로 분배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1∼M)의 출력 경로를 전환하여, 제1 내지 제M 전송로(130)의 접속의 전환을 행해도 된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120)는, 수신 전송로 선택부(107)에 의해,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0)가 송신한 M개의 전송로(13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로로부터의 N개의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호 변환을 행한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1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0)가 구비하는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02∼106)에 의해 송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내지 제N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108∼111)와,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112)를 구비한다.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112)는,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108∼111)에 의해 전송 오류도, 누락도 없이 수신된 최대 N개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예를 들면 압축율이 가장 낮은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가 생략된 오디오 부호화 장치에 의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하는 부호 변환 전송 장치는, 오디오 부호화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수신 수단(101)을 구비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N개의 부호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각각을 M개의 전송로 상에, 상호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하는 시간 간격을 두면서 송출한다.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04∼106)은, 제1 변환 송신 수단(102)에 의해 부호화된 프레임을, 제1 압축 부호화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부호화한다. 수신측은, 전송로를 선택부(107)에 의해 선택하여, 부호 데이터 재구성부(112)에서,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가장 압축율이 낮고 음질이 좋은 부호화 데이터를 프레임 또는 패킷 단위로 선택하여 복호화한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1.B)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간단하게 하기 위해, 이 장치가 출력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개수 N을 3, 부호화 데이터를 송출하는 전송로의 개수 M을 2로 하고 있다. 도 2에서,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200)는, 도 1의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02)에 대응하고,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220)는, 도 1의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04)에 대응하고, 복호화부(203)는, 도 1의 오디오 데이터 복호화부(103)에 대응하고, 제3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230)는, 도 1의 제3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05)에 대응하고 있다.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200)에서, 제1 송신 프레임/패킷 선택부(201)는, 입력된 오디오 프레임을, 입력 오디오 중 오디오 데이터의 성질이나 전송로의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송출하는 프레임을 선택하는 선택부이다. 프레임을 적응적으로 선택하는 데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의 성질(예를 들면, 음질에 영향을 주는음성 신호의 파라미터나 유음/무음별 등)이나 전송로의 상황(예를 들면 전송 에러 발생 상황 등)에 기초하여 프레임을 선별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규칙을 미리 기억 수단에 기억해 두고, 제1 송신 프레임/패킷 선택부(201)는, 이 규칙을 참조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해석 결과(혹은 전송 상황)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수시로, 동적으로 프레임을 선별하도록 해도 된다. 이하에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송신 프레임/패킷 선택부에서, 프레임/패킷을 규칙에 기초하여 적응적(동적)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규칙을 참조하여 프레임/패킷의 선택을 행할 수 있다. 또 프레임/패킷의 선택의 기준으로 되어 규칙은 동적으로 가변되는 구성으로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제1 오류 검출 부호·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202)는, 출력한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전송 오류와 패킷 로스를 수신 장치에서 검출하기 위한, 오류 검출 부호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를 부가하여, 제1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가 출력된다.
도 2에서,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220)에서, 복호화부(203)는,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제2 압축 부호화부(206)는, 복호화부(203)에 의해 얻어진 복호 데이터를 소정의 방법으로 압축 부호화한다.
제2 부호화 패킷 생성부(207)는, 제2 압축 부호화부(206)에 의해 얻어진 압축 데이터를 비트열로 가변 길이 부호화하여, 소정의 패킷 단위로 출력한다.
제2 오류 검출 부호·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208)는, 제2 부호화 패킷 생성부(207)가 출력한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전송 오류와 패킷 로스를 수신 장치에서 검출하기 위한, 오류 검출 부호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를 부가하여, 제2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3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230)에 있어서, 제3 압축 부호화부(212)는, 복호화부(203)에 의해 얻어진 오디오 데이터를, 제2 압축 부호화부(206)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부호화한다.
제3 부호화 패킷 생성부(213)는, 제3 압축 부호화부(212)에 의해 얻어진 압축 데이터를 비트열로 가변 길이 부호화하여, 소정의 패킷 단위로 출력한다.
제3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214)는, 제3 부호화 패킷 생성부(213)가 출력한 압축 패킷 데이터의 전송 오류와 패킷 로스를 수신 장치에서 검출하기 위한, 오류 검출 부호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를 부가하여, 제3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여, 소정의 송신 수단에 의해 패킷 단위로 송신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M을 2, N을 3으로 하고 있으므로, 2개의 전송로 각각에, 이상의 제1 내지 제3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데이터가 송신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제N 부호화 데이터 출력은, 제1 부호화 데이터 출력과, 시간 간격을 두면서, 따로따로 송신해도 되며, 혹은 제2∼제N 부호화 데이터를, 제1 부호화 데이터와 다중화하여 송신해도 된다.
제1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202)를 설치하고, 제1 송신 프레임/패킷 선택부(201)로부터 출력된 제1 부호화 데이터에 오류 검출 부호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를 부가하고 있지만, 입력된 오디오 패킷 데이터에,이미 이러한 정보가 부가되어 있으면, 없어도 무관하다. 또한, 송신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전송 오류와 패킷 로스를,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서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면, 다른 어떠한 실현 방법이라도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 부호화 패킷의 전송로에서 전송 오류 검출을 행하는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202)에 의해 오류 검출 부호화를 부가할 필요는 없다. 다른 예로서, 제1 송신 프레임/패킷 선택부(201)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에 프레임이나 패킷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제1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202)에 의해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를 부가할 필요는 없다.
마찬가지로, 제2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208)를 설치하고, 제2 부호화 데이터에 오류 검출 부호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를 부가하고 있지만, 송신된 부호화 데이터의 전송 오류와 패킷 로스를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서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면, 다른 어떠한 실현 방법이라도 무관하다.
마찬가지로, 제3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214)를 설치하고, 제3 부호화 데이터에 오류 검출 부호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를 부가하고 있지만, 송신된 부호화 데이터의 전송 오류와 패킷 로스를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서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면, 다른 어떠한 실현 방법이라도 무관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를 더 바람직하게 구체화한 예에서는,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는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되고, 마이크 등으로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예를 들면 MPEG-4 AAC(Advanced Audio Coding) 방식에 따른 부호화 데이터로 압축하여, RTP(Real time Transport Protocol)/UDP(User Datagram Protocol)/IP(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입력한다.
도 2에서, 제2 압축 부호화부(206)와 제3 압축 부호화부(212)는 MDCT(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와 양자화에 의한 압축 처리를 행한다. 제3 압축 부호화부(212)는, 제2 압축 부호화부(206)보다도 큰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MDCT 계수를 양자화하는 방법이나, 고차의 MDCT를 적응적으로 컷트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3 부호화 데이터의 압축율이 제1 부호화 데이터의 압축율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아지도록 압축한다.
복호화부(203)는, 역 양자화와 역 MDCT 변환을 행한다.
제2 부호화 패킷 생성부(207)는 제2 압축 부호화부(206)로부터 출력되는 양자화 MDCT 계수 등을, MPEG-4 AAC로 규정된 신택스에 따라 부호화한다.
마찬가지로, 제3 부호화 패킷 생성부(213)는, 제3 압축 부호화부(212)로부터 출력되는 양자화 MDCT 계수 등을, MPEG-4 AAC로 규정된 신택스에 따라 부호화한다.
제1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202)와, 제2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208)와, 제3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214)는, 오류 검출을 위한 체크 섬을 포함한 UDP 데이터그램을 작성하여, 인터넷에 접속된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 송출한다.
(1.C) 부호 변환 수신 장치: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12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는, 전송로 선택부(300)와, 제1 내지 제3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320∼340)와,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310)를 구비하고 있다.
전송로 선택부(300)는 부호화 변환 수신 장치가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송로를 선택한다.
제1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320)에서, 제1 패킷 수신 버퍼(301)는, 부호 변환 전송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1 부호화 데이터 추출부(302)는, 제1 패킷 수신 버퍼(301)에 의해 수신된 패킷 데이터로부터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한다. 제1 에러/패킷 로스 검출부(303)는 제1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전송 시에 발생한 비트 에러 및/또는 패킷 로스를 검출한다.
제2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330)에서, 제2 패킷 수신 버퍼(304)는 부호 변환 전송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2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2 부호화 데이터 추출부(305)는, 제2 패킷 수신 버퍼(304)에 의해 수신된 패킷 데이터로부터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한다. 제2 에러/패킷 로스 검출부(306)는, 제2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전송 시에 발생한 비트 에러 및/또는 패킷 로스를 검출한다.
제3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340)에서, 제3 패킷 수신 버퍼(307)는, 부호 변환 전송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3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3 부호화 데이터 추출부(308)는 제3 패킷 수신 버퍼(307)에 의해 수신된 패킷 데이터로부터 오디오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한다. 제3 에러/패킷 로스 검출부(309)는, 제3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전송 시에 발생한 비트 에러 및/또는 패킷 로스를 검출한다.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310)는, 제1 에러/패킷 로스 검출부(303)와, 제2 에러/패킷 로스 검출부(306)와, 제3 에러/패킷 로스 검출부(309)에 의해 에러 및/또는 패킷 로스를 검출한 결과에 따라, 부호 변환 전송 장치로부터 송신된 2개의 부호화 데이터를 하나의 부호화 데이터로 재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310)에서의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 수순을, 도 4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의 일련의 수순은, 어느 한 정수 n에 대하여 제n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 S401에서는, 제n 프레임의 모든 부호화 데이터가 제1 수신 패킷 버퍼(301)와 제2 수신 패킷 버퍼(304)에 도착해야 할 시각에, 소정의 허용되는 최대 지연 시간을 더한 시각까지 대기한 후, 단계 S402로 진행한다.
단계 S402에서는, 제1 오류 검출·패킷 로스 검출부(303)에서의 오류와 패킷 로스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제1 수신 패킷 버퍼(301) 중에 제n 프레임 데이터에 패킷 로스도, 비트 오류도 없는지를 판정한다. 제1 수신 패킷 버퍼(301)에 제n 프레임의 모든 부호화 데이터가 수신되고, 또한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403으로 진행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단계 S404로 진행한다.
단계 S403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제1 부호화 데이터 추출부(302)가 출력하는 제n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여,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404로 진행한 경우에는, 제2 오류 검출·패킷 로스 검출부(306)에서의오류와 패킷 로스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제2 수신 패킷 버퍼(304) 내에 제n 프레임 데이터에 패킷 로스도, 비트 오류도 없는지 판정한다. 제2 수신 패킷 버퍼(304)에 제n 프레임의 모든 부호화 데이터가 수신되고, 또한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405로 진행한다. 그 외의 경우에는 단계 S4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406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제3 오류 검출·패킷 로스 검출부(309)에서의 오류 및/또는 패킷 로스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제2 수신 패킷 버퍼(304) 내에 제n 프레임 데이터에 패킷 로스도, 비트 오류도 없는지 판정한다. 제3 수신 패킷 버퍼(307)에 제n 프레임의 모든 부호화 데이터가 수신되고, 또한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407로 진행한다. 그 외의 경우에는 단계 S4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407에서는, 제3 부호화 데이터 추출부(308)가 출력하는 제n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부호화 데이터로서 출력하여,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이,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310)에서의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 수순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에러 검출/패킷 로스 검출부(303)에 의해 제1 부호화 데이터의 전송 오류 및/또는 오류 패킷 로스를 검출하는 방법은, 어떠한 방법이라도 무관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에서 부가된 오류 검출 부호와 프레임/패킷 번호로부터 검출을 행해도 된다. 혹은, 부호화 데이터의 전송로에 오류 검출 기능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그 검출 결과를 이용해도 된다. 부호화된 프레임을 특정하는 정보가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를 이용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에러 검출/패킷 로스 검출부(306)에 의해 제2 부호화 데이터의 전송 오류 및/또는 오류 패킷 로스를 검출하는 방법은 어떠한 방법이어도 무방하다.
마찬가지로, 제3 에러 검출/패킷 로스 검출부(309)에 의해 제3 부호화 데이터의 전송 오류 및/또는 오류 패킷 로스를 검출하는 방법은 어떠한 방법이어도 무방하다.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310)에서의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 수순에 있어서, 단계 S401에서 제n 프레임 부호화 데이터 수신을 대기하는 방법은, 패킷 전송 지연을 소정의 범위 내로 억제하면서 패킷 로스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이면, 다른 어떠한 방법이어도 무방하다.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310)에서의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 수순에 있어서, 단계 S406에서, 제3 수신 패킷 버퍼에 의해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에 전송 에러나 패킷 손실이 검출된 경우, 즉 제1 내지 제3 부호화 데이터 모두에 전송 에러나 패킷 로스가 발생한 경우에 관해서는,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310)는, 다른 어떠한 대응을 행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S403으로 진행하여, 제1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부호화 데이터로서 출력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제n 프레임의 출력을 취소하여, 하나 전에 출력된 제(n-1) 프레임의 오디오 데이터를 제n 프레임의 출력으로 하는 등, 다른 방법으로 대응해도 무관하다.
본 발명을 실시한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는, 부호 변환 수신 장치는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되고, 다른 지점에서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된 부호 변환 전송 장치로부터 RTP/UD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UDP 데이터그램에 포함되는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변환하여 복호화기에 출력한다.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는 MPEG-4 AAC 방식에 따르고 있다. 제1 에러 검출/패킷 로스 검출부(303)와, 제2 에러 검출/패킷 로스 검출부(306)와, 제3 에러 검출/패킷 로스 검출부(309)는, UDP 데이터그램에 포함되는 체크 섬을 계산함으로써, 전송 오류를 검출한다.
또한,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서는, 수신한 3개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복호화하면 되므로, 통상의 오디오 복호화 장치와 비교하여 필요한 연산량이 크게 증대하지는 않는다.
(1.D)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전송 형태:
본 발명에서는, 제1 내지 제2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부호 변환 전송 장치로부터 부호 변환 수신 장치로 어떠한 방법으로 전송하여도 되하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1 부호화 패킷 데이터에 발생하는 비트 오류나 패킷 로스와, 동일 프레임을 부호화한 제2 부호화 패킷 데이터에 발생하는 비트 오류나 패킷 로스와의 상관이 작아지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이러한 바람직한 부호화 패킷 데이터 전송의 일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 참조 부호 501은,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부호 변환 전송장치, 참조 부호 502와 503은, 부호 변환 전송 장치(501)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제3 부호화 패킷 데이터에,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하는 지연 시간을 더하여 송출하는 지연 부가부, 참조 부호 504는 부호 변환 전송 장치(501)로부터 출력되는 제1 부호화 데이터와, 지연 부가부(502)로부터 출력되는 제2 부호화 데이터와 지연 부가부(503)로부터 출력되는 제3 부호화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전송로가 송신하는 다중화부이다. 참조 부호 505는 지연 부가부(503)에 의해 다중화된 데이터를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로이다. 마찬가지로, 참조 부호 508와 509는, 제2 전송로에, 마찬가지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처리를 행하는 다중화부 및 전송로이다.
여기서, 지연 부가부(502) 내지 지연 부가부(503)에 의해, 제2 내지 제3 부호화 데이터에 가해지는 지연 시간은, 전송로(505)에서 발생하는 비트 오류나 패킷 로스의 최대 버스트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지연량은, 비트 레이트, 버퍼 사이즈 등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에 의해, 전송로(505)에서 버스트 에러가 발생해도, 동일 프레임을 부호화한 제1 내지 제3 부호화 데이터 중의 어느 것도 에러의 영향을 받을 확률이 작아지기 때문에, 프레임 부호화 데이터의 손실에 의한 현저한 음질의 열화의 발생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패킷 로스의 최대 버스트 시간은, 실측 등에 의해 결정되고, 지연 부가부에 의해 설정되는 지연은, 수신 장치의 버퍼 사이즈나, 전송로의 전송 레이트(비트 레이트)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지연 부가부(506)와 지연 부가부(507)에 의해 제2 내지 제3 부호화 데이터에 가해지는 지연 시간은, 전송로(509)에서 발생하는 비트 오류나 패킷로스의 최대 버스트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이에 의해, 전송로(509)에서 버스트 에러가 발생해도, 동일 프레임을 부호화한 제1 내지 제3 부호화 데이터 중의 어느 것도 에러의 영향을 받을 확률이 작아지기 때문에, 프레임 부호화 데이터의 손실에 의한 현저한 음질의 열화의 발생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연 부가부, 혹은 지연 부가부와 다중화부를, 부호 변환 전송 장치(501) 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E) 작용 효과: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는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N개(여기서는 N=3)의 부호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하는 시간 간격을 두면서 송신한다.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는,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프레임을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는,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입력 데이터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제3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는,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에 의해 부호화된 프레임을 부호화한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M개의 전송로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이 낮고 음질이 좋은 부호화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 결과, 버스트성이 높은 전송 에러나 패킷 로스가 빈발하는 신뢰성이 낮은 전송로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N개의 부호화 데이터의 어느 것도 잘못 전송될 확률이 작아져, 전송 후의 복호 음질에 현저한 열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내지 제3 부호화 데이터의 압축율을 높게 함으로써, 이들의 부호화 데이터 송신에 수반하는 전송 대역의 증대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 가능한 대역에 맞춰, 대역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전송로에 제1 내지 제3 부호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어, 전송로에서의 오류의 영향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및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해도 된다. 또, 또한, 제1 내지 제N 부호 변환 데이터는, 인터리브법 등에 의해, 패킷 순서를 뒤섞어 다중화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임의의 2 이상의 정수 N, 임의의 1이상의 정수 M에 대하여, 부호 변환 전송 장치측은, a) 압축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고, 모든 패킷,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일부의 패킷을, 소정의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 입력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되도록 압축 부호화하고, 얻어진 모든 패킷 데이터,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일부의 패킷 데이터를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하는 시간 간격을 두고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2 내지 제N의 (N-1)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 제1 내지 제M 전송로 각각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에 맞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압축율을 선택하여,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d) M개의 전송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N개의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 오류가 없고, 누락없이 수신된 패킷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이 가장 낮은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부호 변환 수신 장치의 각 수단은, 상기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그 처리·기능을 실현해도 된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2.A) 개요:
본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은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0)와 부호 변환 수신 장치(120) 및 부호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로(130)로 구성된다. 정수 N은, 부호 변환 전송 장치가 송신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개수를 나타내고, 2 이상으로 한다. 정수 M은, N개의 부호화 데이터가 송출되는 전송로의 개수를 나타내고, 1 이상으로 한다.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0)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지만,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이 약간 서로 다르다. 이하, 상위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제1 오디오 부호화 프레임1 송신부)(102)에 의해 부호화되는 입력 프레임의 오디오의 부호화 데이터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패킷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고, 각 패킷 데이터에는 압축 데이터가 부호화되어 있다. 제1 오디오 스트림은,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패킷의 모두 또는 일부를, 부호 변환 수신 장치(120)에 송신한다.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제2 오디오 부호화 프레임1 송신부)(104)는,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얻어진 오디오 데이터를 제1 오디오 스트림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소정의 압축 부호화를 행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부호 변환 수신 장치(120)에 송신한다.
또한, 제3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05, 106)는,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에 의해 부호화된 패킷의 모두 또는 일부의 패킷을,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부호 변환 수신 장치(120)에 송신한다. 상기 이외의 동작에 관해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제2 실시예에서도, 각각의 전송로(130)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에 맞춰,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04∼106)의 압축율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02, 104∼106)의 출력이, 제1 내지 제M 전송로(130)에 출력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로의 상태 또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자의 의도를 따른 송신을 행할 수 있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120)의 구성도, 상기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지만, 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이 약간 서로 다르다. 이하 상위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112)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내지 제N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에 의해 전송 오류 또는 누락없이 수신되어, 동일 프레임의 동일 영역의 압축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대 N개의 부호화 패킷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이 가장 낮은 패킷을 복호화되는 부호화 데이터로서 선택하고, 이 선택을, 부호 변환 전송 장치가 송신하는 패킷 데이터 단위로 행한다. 상기 이외의 동작에 관해서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2.B)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본 실시예에서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서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와 거의 동일하고, 도 2에서의 제1 부호화 패킷 선택부(201)와, 제2 부호화 패킷 생성부(207)와, 제3 부호화 패킷 생성부(213)와, 제1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번호 부가부(202)와, 제2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번호 부가부(208)와, 제3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번호 부가부(214)와의 동작만이 상위하다. 이하 상위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번호 부가부(202)와, 제2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번호 부가부(208)와, 제3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번호 부가부(214)는, 동일 프레임의 부호화 패킷 데이터에, 동일한 패킷 식별번호가 부가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이외의 처리부의 동작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2.C) 부호 변환 수신 장치:
본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도 3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와 거의 동일하고, 도 3에서의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310)의 동작만이 상위하다. 이하 상위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310)에서의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의 수순을, 도 6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의 일련의 수순은, 어느 임의의 정수 n에 대하여 제n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 S601에서는, 제n 프레임의 모든 부호화 데이터가 제1 수신 패킷 버퍼(301)와, 제2 수신 패킷 버퍼(304)와, 제3 수신 패킷 버퍼(307)에 도착해야 할 시각에, 소정의 허용되는 최대 지연 시간을 더한 시각까지 대기한 후, 단계 S602로 진행한다.
단계 S602에서는, 패킷 번호를 기억하는 변수 a에 제n 프레임의 패킷 번호의 최소값을 저장하고, 변수 b에 제n 프레임의 패킷 번호의 최대값을 저장한다.
단계 S603에서는, 패킷 번호를 기억하는 변수 i에 변수 a의 값을 대입하고, 단계 S604로부터의 반복 처리를 개시한다.
단계 S604에서는, 제1 오류 검출·패킷 로스 검출부(303)에서의 오류와 패킷 로스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제1 수신 패킷 버퍼(301) 중에 제i 패킷이 존재하고, 비트 오류가 없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1 수신 패킷 버퍼(301)에 제n 프레임의 제i 패킷이 수신되고, 또한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605로 진행한다. 그 외의 경우에는, 단계 S6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605로 진행한 경우에는, 제1 부호화 데이터 추출부(302)가 출력하는 제n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부호화 데이터로서 출력하여, 단계 S6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606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제2 오류 검출·패킷 손실 검출부(306)에서의 오류와 패킷 손실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제2 수신 패킷 버퍼(304) 내에 제i 패킷이 존재하며, 비트 오류가 없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2 수신 패킷 버퍼(304)에 제n 프레임의 제i 패킷이 수신되고, 또한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607로 진행한다. 그 밖의 경우에는, 단계 S608로 진행한다.
단계 S607에서는, 제2 부호화 데이터 추출부(305)가 출력하는 제n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부호화 데이터로서 출력하여, 단계 S6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608로 진행한 경우에는, 제3 오류 검출·패킷 손실 검출부(309)에서의 오류와 패킷 손실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제3 수신 패킷 버퍼(307) 내에 제i 패킷이 존재하며, 비트 오류가 없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3 수신 패킷 버퍼(307)에 제n 프레임의 제i 패킷이 수신되고, 또한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609로 진행한다. 그 밖의 경우에는, 단계 S6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610에서는 변수 i를 1 증가시킨다. 계속되는 단계 S611에서는, 변수i가 변수 b의 값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초과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604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610에서, 변수 i가 변수 b의 값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일련의 반복 처리를 끝내고, 제n 프레임 부호화 데이터의 재구성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이, 본 실시예에서의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310)의 동작이다. 덧붙여서, 본 실시예의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310)에 의한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 수순에서의, 단계 S601에서 제n 프레임 부호화 데이터의 수신을 대기하는 방법은, 패킷 전송 지연을 소정의 범위 내로 억제하면서 패킷 손실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이면 다른 어떠한 방법이어도 된다.
(2. D) 작용 효과: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는,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N개(여기서는, N=3)의 부호화 데이터로 부호화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시간 간격을 두면서 송신한다.
제2 내지 제3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은,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에 의해 변환된 패킷을 포함하는 영역을 부호화한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이 낮고 음질이 좋은 부호화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선택하여 복호화한다.
그 결과, 버스트성이 높은 전송 에러나 패킷 손실이 빈발하는 신뢰성이 낮은 전송로를 이용하는 경우에서도, 3개의 부호화 데이터 중 어느 것도 잘못 전송될 확률이 작아져서, 전송 후의 복호화 음질에 현저한 열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내지 제3 부호화 데이터의 압축율을 높게 함으로써, 이들 부호화 데이터 송신에 수반되는 전송 대역의 증대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대역에 맞추어,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전송로에 제1 내지 제3 부호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어서, 전송로에서의 오류의 영향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서는, 수신한 3개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1개만을 복호화하면 되기 때문에, 통상의 오디오 복호화 장치에 비해 필요한 연산량이 크게 증대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및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각각 독립하여 사용해도 무방하다.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임의의 2 이상의 정수 N, 임의의 1 이상의 정수 M에 대하여, 부호 변환 전송 장치측은, a) 압축된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전체 프레임,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일부의 프레임을, 입력한 오디오 데이터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되도록 압축 부호화하며,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부호화한 전체 프레임,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일부의 프레임을,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되도록 부호화하고, 얻어진부호화 데이터를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시간 간격을 두고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2 내지 제N의 (N-1)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 제1 내지 제M 전송로 각각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에 맞추어,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압축율을 선택하여,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d) M개의 전송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N개의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며, 전송 오류가 없고, 누락이 없이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동일한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이 가장 낮은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부호 변환 수신 장치의 각 수단은, 상기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그 처리·기능을 실현해도 된다.
[제3 실시예]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거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3. A) 개요: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라고도 함)(700)와 부호 변환 수신 장치(「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라고도 함)(720) 및 부호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로(730)로 구성된다. 정수 N은, 부호 변환 전송 장치(700)가 송신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갯수를 나타낸다. N은 2 이상으로 한다. 정수 M은, N개의 부호화 데이터가 송출되는 전송로의 갯수를 나타내며, 1 이상으로 한다.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700)는, 입력된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얻어진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소정의 압축 부호화를 행하여, 부호 변환 데이터를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720)에 송신한다.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N개의 부호화 데이터로 부호화하여,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로서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 송신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부호 변환 처리부(1)∼부호 변환 처리부(N)를 가지며, 각 부호 변환 처리부는, 제1 내지 제N의 N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703, 704, 705)를 구비한다.
오디오 데이터 수신부(701)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
오디오 데이터 복호화부(702)는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703)는, 부호 변환 전송 장치에 입력된 프레임에 대하여 소정의 압축 부호화를 행하여,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720)에 송신한다.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704 내지 705)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703)에 의해 부호화된 프레임 전체 또는 일부의 프레임을,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703)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720)에 송신한다. 제1 내지 제N 오디오 스트림은, 제1 내지 제M 전송로(730) 상에 송신된다. 각각의 전송로(730)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에 맞추어,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703∼705)의 부호화의 압축율이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부호화의 압축율이 제어된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703∼705)의 출력이, 제1 내지 제M 전송로(730)에 출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전송로의 상태 또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자의 의도에 따른 송신을 행할 수 있다.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720)는, 수신 전송로 선택부(706)에 의해,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가 송신한 M개의 전송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로로부터의 N개의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호 변환을 행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720)는, 부호 변환 전송 장치(700)가 구비하는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화 프레임1 송신부(703∼705)에 의해 송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내지 제N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707 내지 709)와,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710)를 구비한다.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710)는,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707 내지 709)에서 전송 오류도 누락도 없이 수신된 최대 N개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이 가장 낮은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3. B)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간단히 나타내기 위해, 이 장치가 출력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갯수 N을 2로 하며, 부호화 데이터를 송신하는 전송로의 갯수 M을 2로 하고 있다. 도 7의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703),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704)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대응하고 있다.
도 8에서, 제1 오디오 부호화 변환 송신부(800)는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801)와, 압축 부호화하는 제1 압축 부호화부(804)와, 제1 압축 부호화부(804)에 의해 얻어진 압축 데이터를 비트 열로 가변 길이 부호화하여, 소정의 패킷 단위로 출력하는 제1 부호화 패킷 생성부(805)와, 제1 부호화 패킷 생성부(805)가 출력한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전송 오류와 패킷 손실을 수신 장치에서 검출하기 위한, 오류 검출 부호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를 부가하는 제1 오류 검출 부호·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806)를 구비하며, 제1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 패킷이 소정의 송신 수단에 의해 패킷 단위로 송신된다.
도 8에서, 제2 오디오 부호화 변환 송신부(820)(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704)에 대응함)는, 제1 압축 부호화부(804)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부호화하는 제2 압축 부호화부(810)와, 제2 압축 부호화부(810)에 의해 얻어진 압축 데이터를 비트 열로 가변 길이 부호화하여, 소정의 패킷 단위로 출력하는 제2 부호화 패킷 생성부(811)와, 제2 부호화 패킷 생성부(811)가 출력한 압축 패킷 데이터의 전송 오류와 패킷 손실을 수신 장치에서 검출하기 위한, 오류 검출 부호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를 부가하는 제2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식별 번호 부가부(812)를 구비하며, 제2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 패킷이 소정의 송신 수단에 의해 패킷 단위로 송신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M을 2, N을 2로 하고 있기 때문에, 2개의 전송로 각각에, 이상의 제1 내지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데이터 패킷이 송신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806)를 설치하고, 제1 부호화 패킷 생성부(805)로부터 출력된 제1 부호화 패킷 데이터에 오류 검출 부호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를 부가하고 있지만, 송신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전송 오류와 패킷 손실을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서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라면, 다른 어떠한 실현 방법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제1 부호화 패킷의 전송로에서 전송 오류 검출을 행하는 기구가 갖춰져 있는 경우에는, 제1 오류 검출 부호·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806)에 의해 오류 검출 부호화를 부가할 필요는 없다. 다른 예로서, 제1 부호화 패킷 생성부(805)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에 프레임이나 패킷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제1 오류 검출 부호·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806)에 의해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를 부가할 필요는 없다.
마찬가지로, 제2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812)를 설치하고, 제2 부호화 패킷 데이터에 오류 검출 부호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를 부가하고 있지만, 송신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전송 오류와 패킷 손실을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서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라면, 다른 어떠한 실현 방법이라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를 보다 바람직하게 구체화한 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3. C) 부호 변환 수신 장치 :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도 7의 참조 부호 720)는, 도 3에 도시하는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단, 도 3에서는, 전송로의 갯수 M을 3으로 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로서는 M=2이기 때문에, 부호 변환 수신 장치의 제3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340)(도 3 참조)는 본 실시예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310)의 동작은, M이 2이기 때문에, 그 수순이 도 3에 나타낸 것과 상위하다.
본 실시예의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310)에서의 동작 수순을 도 9의 흐름도를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9의 일련의 수순은, 임의의 정수 n에 대하여 제n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 S901에서는, 제n 프레임의 모든 부호화 데이터가 제1 수신 패킷 버퍼(301)와 제2 수신 패킷 버퍼(304)(도 3 참조)에 도착해야 할 시각에, 소정의 허용되는 최대 지연 시간을 더한 시각까지 대기한 후, 단계 S902로 진행한다.
단계 S902에서는, 제1 오류 검출·패킷 손실 검출부(303)에서의 오류와 패킷 손실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제1 수신 패킷 버퍼(301) 내의 제n 프레임 데이터에 패킷 손실 및 비트 오류가 없는지를 판정한다. 제1 수신 패킷 버퍼(301)에 제n 프레임의 모든 부호화 데이터가 수신되고, 또한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903으로 진행한다. 그 밖의 경우에는, 단계 S904로 진행한다.
단계 S903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제1 부호화 데이터 추출부(302)가 출력하는 제n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부호화 데이터로서 가변 길이 복호화부(도 3에서는 도시 생략 : 예를 들면 도 15의 복호화 장치에 대응함)에 제공하고,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904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제2 오류 검출·패킷 손실 검출부(306)에서의 오류와 패킷 손실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제2 수신 패킷 버퍼(304) 내의 제n 프레임 데이터에 패킷 손실 및 비트 오류가 없는지를 판정한다. 제2 수신 패킷 버퍼(304)에 제n 프레임의 모든 부호화 데이터가 수신되고, 또한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905로 진행한다. 그 밖의 경우에는, 단계 S9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905에서는, 제2 부호화 데이터 추출부(305)가 출력하는 제n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부호화 데이터로서 가변 길이 복호화부(도 3에서는 도시 생략 : 예를 들면 도 15의 복호화 장치에 대응함)에 제공하고,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그 밖의 각 부의 동작, 바람직한 구체예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3. D) 작용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는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것을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2개의 부호화 데이터로 부호화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시간 간격을 두면서 송신한다.
제2 오디오 부호화 송신 수단은, 제1 오디오 부호화 송신 수단에 의해 부호화된 프레임을 부호화한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이 낮고 음질이 좋은 부호화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 결과, 버스트성이 높은 전송 에러나 패킷 손실이 빈발하는 신뢰성이 낮은 전송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2개의 부호화 데이터가 모두 잘못 전송될 확률이 작아져서, 전송 후의 복호화 음질에 현저한 열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부호화 데이터의 압축율을 높게 함으로써, 제2 부호화 데이터 송신에 수반되는 전송 대역의 증대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전송로의 상황, 오디오 송신자 또는 오디오 수신자의 의도에 따라,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전송로에 제1 내지 제2 부호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어서, 전송로에서의 오류의 영향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서는, 수신한 2개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복호화하면 되기 때문에, 통상의 오디오 복호화 장치에 비해 필요한 연산량이 크게 증대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및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각각 독립하여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제1 내지 제N 부호 변환 데이터는 인터리브를 이용하여 배치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임의의 2 이상의 정수 N, 임의의 1 이상의 정수 M에 대하여, 부호 변환 전송 장치측은, a) 입력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되도록 압축 부호화하여, 얻어진 1개 또는 복수개의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부호화한 전체 패킷 데이터,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일부의 패킷 데이터에 대하여,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되도록, 해당 패킷 데이터와 동일한 영역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로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시간 간격을 두고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2 내지 제N의 (N-1)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 제1 내지 제M 전송로 각각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에 맞추어,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압축율을 선택하여,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는, d) M개의 전송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N개의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 오류가 없고, 누락이 없이 수신된, 동일한 프레임의 패킷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이 가장 낮은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부호 변환 수신 장치의 각 수단은 상기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그 처리·기능을 실현해도 된다.
[제4 실시예]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4. A) 개요:
본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은 제3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700)와 부호 변환 수신 장치(720) 및 부호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로(730)로 구성된다. 정수 N은, 부호 변환 전송 장치가 송신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갯수를 나타내며, 2 이상으로 한다. 정수 M은, N개의 부호화 데이터가 송출되는 전송로의 갯수를 나타내며, 1 이상으로 한다.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의 구성은, 상기 제3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지만, 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이 약간 상이하다.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얻어진 오디오를 입력 오디오 데이터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소정의 압축 부호화를 행하여, 부호 변환 데이터를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 송신한다.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703)에 의해 부호화되는 입력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는, 1개 또는 복수개의 패킷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704∼705)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703)에 의해 부호화된 패킷 전부 또는 일부의 패킷을,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703)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 송신한다. 상기 이외의 동작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의 구성도, 상기 제3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지만, 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이 약간 상이하다. 이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710)는, 상기 제3 실시예와 마차가지로, 제1 내지 제N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707, 708, 709)에 의해 전송 오류도 누락도 없이 수신되고, 동일한 프레임의 동일한 영역의 압축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대 N개의 부호화 패킷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이 가장 낮은 패킷을 복호화되는 부호화 데이터로서 선택하며, 이 선택을 부호 변환 전송 장치가 송신하는 패킷 데이터 단위로 행한다. 상기 이외의 동작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도, 각각의 전송로(730)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에 맞추어,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703∼705)의 부호화의 압축율을 선택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703∼705)의 출력이, 제1 내지 제M 전송로(730)에 출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전송로의 상태 또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자의 의도에 따른 송신을 행할 수 있다.
(4. B)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본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데이터 부호 변환 전송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도 8에 도시한, 상기 제3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데이터 부호 변환 전송 장치와 거의 동일하고, 도 8에서의 제1 부호화 패킷 생성부(805)와, 제2 부호화 패킷 생성부(811)와, 제1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번호 부가부(806)와, 제2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번호 부가부(812)의 동작만이 상이하다. 이하, 동작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이 실시예에서, 제1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번호 부가부(806)와 제2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번호 부가부(812)는, 동일한 프레임의 부호화 패킷 데이터에, 동일한 패킷 식별 번호가 부가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이외의 처리부의 동작은, 상기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를 보다 바람직하게 구체화한 예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4. C) 부호 변환 수신 장치:
본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도 3에 도시한 제2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와 거의 동일하다. 단, 도 3에서는, 전송로의 갯수 M을 3으로 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M=2이기 때문에, 제3 부호화 수신부는 본 실시예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부호화 데이터의 재구성(310)의 동작은 M이 2이기 때문에, 수순이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310)에서의 동작 수순을, 도 10의 흐름도를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일련의 수순은, 임의의 정수 n에 대하여 제n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 S1001에서는, 제n 프레임의 모든 부호화 데이터가 제1 수신 패킷 버퍼(301)와 제2 수신 패킷 버퍼(304)에 도착해야 할 시각에, 소정의 허용되는 최대 지연 시간을 더한 시각까지 대기한 후, 단계 S1002로 진행한다.
단계 S1002에서는, 패킷 번호를 기억하는 변수 a에 제n 프레임의 패킷 번호의 최소값을 저장하고, 변수 b에 제n 프레임의 패킷 번호의 최대값을 저장한다.
단계 S1003에서는, 패킷 번호를 기억하는 변수 i에 변수 a의 값을 대입하고, 단계 S1004로부터의 반복 처리를 개시한다.
단계 S1004에서는, 제1 오류 검출·패킷 손실 검출부(303)에서의 오류와 패킷 손실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제1 수신 패킷 버퍼(301) 내에 제n 프레임의 제i 패킷이 존재하고, 비트 오류가 없는지를 판정한다. 단계 S1004의 판정 결과, 제1 수신 패킷 버퍼(301)에 제n 프레임의 제i 패킷이 수신되고, 또한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005로 진행한다. 그 밖의 경우에는, 단계 S10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005로 진행한 경우에는, 제1 부호화 데이터 추출부(302)가 출력하는 제n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부호화 데이터로서, 가변 길이 복호화부(도시 생략 : 예를 들면 도 15의 복호화 장치에 대응함)에 제공하고, 단계 S1008로 진행한다.
단계 S1006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제2 오류 검출·패킷 손실 검출부(306)에서의 오류와 패킷 손실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제2 수신 패킷 버퍼(304) 내에 제n 프레임의 제i 패킷이 존재하고, 비트 오류가 없는지를 판정한다.
단계 S1006의 판정 결과, 제2 수신 패킷 버퍼(304)에 제n 프레임의 제i 패킷이 수신되고, 또한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007로 진행한다. 그 밖의 경우에는, 단계 S1008로 진행한다.
단계 S1007에서는, 제2 부호화 데이터 추출부(305)가 출력하는 제n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부호화 데이터로서 가변 길이 복호화부(도시 생략 : 예를 들면 도 15의 복호화 장치에 대응함)에 제공하고, 단계 S1008로 진행한다.
단계 S1008에서는, 변수 i를 1 증가시킨다. 계속되는 단계 S1009에서는, 변수 i가 변수 b의 값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지를 판정하여, 초과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004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변수 i가 변수 b의 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일련의 반복 처리를 끝내고, 제n 프레임 부호화 데이터의 재구성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그 밖의 각 부의 동작, 바람직한 구체예는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4. D) 작용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는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들을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2개의 부호화 데이터로 부호화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시간 간격을 두면서 송신한다.
제2 부호화 송신 수단은, 제1 부호화 송신 수단에 의해 부호화된 패킷을 부호화한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이 낮고 음질이 좋은 부호화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 결과, 버스트성이 높은 전송 에러나 패킷 손실이 빈발하는 신뢰성이 낮은전송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2개의 부호화 데이터가 모두 잘못 전송될 확률이 작아져서, 전송 후의 복호화 음질에 현저한 열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부호화 데이터의 압축율을 높게 함으로써, 제2 부호화 데이터 송신에 수반되는 전송 대역의 증대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전송로의 상황, 오디오 송신자 또는 오디오 수신자의 의도에 따라,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전송로에 제1 내지 제2 부호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어서, 전송로에서의 오류의 영향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서는, 수신한 2개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복호화하면 되기 때문에, 통상의 오디오 복호화 장치에 비해 필요한 연산량이 크게 증대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및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각각 독립하여 사용해도 문제없다. 또한, 제1 내지 제N 부호 변환 데이터는 시간 간격 이외에 의한 인터리브이어도 무방하다.
[제5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임의의 2 이상의 정수 N, 임의의 1 이상의 정수 M에 대하여, 부호 변환 전송 장치측은, a)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고, 전체 또는 일부 패킷을 소정의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 상기 제1 오디오 부호화 수단이 부호화한 전체 패킷 데이터,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선택된 일부의 패킷 데이터에 대하여, 패킷을 복제하고, 얻어진 패킷 데이터를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시간 간격을 두고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2 내지 제N의 (N-1)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d) M개의 전송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N개의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며, 전송 오류가 없고, 누락이 없이 수신된 패킷 데이터 중에서,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부호 변환 수신 장치의 각 수단은, 상기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그 처리·기능을 실현하여도 된다.
[제5 실시예]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5. A) 개요: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1200)와 부호 변환 수신 장치(1220) 및 부호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로(1230)로 구성된다. 정수 N은 부호 변환 전송 장치가 송신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갯수를 나타내며, 2 이상으로 한다. 정수 M은, N개의 부호화 데이터가 송출되는 전송로의 갯수를 나타내며, 1 이상으로 한다.부호 변환 전송 장치는, 오디오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고, 그 전체 또는 일부를 선택하여,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 송출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부호 변환 전송 장치(1200)는, 제1 내지 제M의 M개의 전송로(1230)에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1 내지 제N의 N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202, 1204, 1205)를 구비한다. 오디오 데이터 수신부(1201)는 오디오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202)는, 입력된 오디오 패킷 데이터의 전체 또는 일부의 패킷을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1220)에 송신한다.
오디오 데이터 복제부(1203)는, 수신한 전체 패킷 데이터,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일부의 패킷 데이터에 대하여 복제하여,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204 내지 1205)에 출력한다.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204 내지 1205)는, 복제된 패킷을 제1 오디오 패킷 데이터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갯수의 패킷 데이터를 선택하여, 일부를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 송신한다. 제1 내지 제N 오디오 스트림은, 제1 내지 제M 전송로 상에 송신된다.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1220)는, 수신 전송로 선택부(1206)에 의해, 부호 변환 전송 장치가 송신한 M개의 전송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로로부터의 N개의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호 변환을 행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 변환 전송 장치(1200)가 구비하는 제1 내지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202, l204, 1205)에 의해 송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내지 제N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1207∼1209)와,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1210)를 구비한다.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1210)는,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1207 내지 1209)에서 전송 오류 및 누락없이 수신된 최대 N개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5. B) 부호화 변환 전송 장치 :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간단히 나타내기 위해, 이 장치가 출력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갯수 N을 2, 부호화 데이터를 송신하는 전송로의 갯수 M을 2로 하고 있다. 도 12에서,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300)는, 입력된 오디오 패킷 데이터 중, 오디오 신호의 성질이나 전송로의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송신하는 패킷을 선택하는 제1 송신 패킷 선택부(1301)와, 출력한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전송 오류와 패킷 손실을 수신 장치에서 검출하기 위한, 오류 검출 부호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를 부가하는 제1 오류 검출 부호·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1302)를 구비하며, 제1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한다.
도 12에서,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310)는,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제하는 패킷 복제부(1303)와, 복제된 오디오 패킷 데이터 중,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300)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갯수로, 오디오 신호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일부의 패킷 데이터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송신하는 패킷을 선택하는 제2 송신 패킷 선택부(1304)와, 제2 송신 패킷 선택부(1304)가 출력한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전송 오류와 패킷 손실을 수신 장치에서 검출하기 위한, 오류 검출 부호와 패킷 식별 번호를 부가하는 제2 오류 검출 부호·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1305)를 구비하며, 제2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M을 2, N을 2로 하고 있기 때문에, 2개의 전송로 각각에, 이상의 제1 내지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데이터가 송신된다.
상기 이외의 처리부의 동작은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를 보다 바람직하게 한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제4 실시예와 동일하다
(5. C) 작용 효과 :
이상에서 설명한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는 동일한 오디오 패킷 데이터를 2개의 부호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시간 간격을 두면서 송신한다.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는 입력된 오디오 패킷 데이터를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송신한다.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는, 전체 패킷 데이터,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일부의 패킷 데이터에 대하여 복제하고, 입력 데이터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갯수를 선택하여, 송신한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에서는,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던 부호화 패킷 데이터 중에서 오류 또는 누락이 없는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선택하고, 또한, 2개의 전송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 품질이 높은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 결과, 버스트성이 높은 전송 에러나 패킷 손실이 빈발하는 신뢰성이 낮은 전송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2개의 부호화 데이터 모두 잘못 전송될 확률이 작아져서, 전송 후의 복호 오디오에 현저한 열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선택 갯수를 작게 함으로써, 제2 부호화 데이터 송신에 수반되는 전송 대역의 증대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전송로의 상황, 오디오 송신자 또는 오디오 수신자의 의도에 따라,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전송로에 제1 내지 제2 부호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어서, 전송로에서의 오류의 영향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서는, 수신한 2개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복호화하면 되기 때문에, 통상의 오디오 복호화 장치에 비해 필요한 연산량이 크게 증대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및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각각 독립하여 사용해도 문제없다. 또한, 제1 내지 제N 부호 변환 데이터는 시간 간격 이외에 의한 인터리브이어도 된다.
[제6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임의의 2 이상의 정수 N, 임의의 1 이상의 정수 M에 대하여, 부호 변환 전송 장치측은, a) 압축된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며,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되도록 압축 부호화하고, 전체 프레임,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일부의 프레임을 소정의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되도록 압축 부호화하며,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의 전체 프레임,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일부의 프레임을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시간 간격을 두고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2 내지 제N의 (N-1)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 제1 내지 제M 전송로 각각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에 맞추어, 제1 내지 N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압축율을 선택하여,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d) M개의 전송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N개의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며, 전송 오류가 없고, 누락이 없이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동일한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이 가장 낮은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부호 변환 수신 장치의 각 수단은, 상기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그 처리·기능을 실현해도 된다.
[제6 실시예]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6. A) 개요: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1400)와 부호 변환 수신 장치(1420) 및 부호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로(1430)로 구성된다. 정수 N은, 부호 변환 전송 장치가 송신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갯수를 나타낸다. N은 2 이상으로 한다. 정수 M은, N개의 부호화 데이터가 송출되는 전송로의 갯수를 나타내며, 1 이상으로 한다.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1400)는, 입력된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얻어진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소정의 압축 부호화를 행하고, 부호 변환 데이터를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1420)에 송신한다.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N개의 부호화 데이터로 부호화하여,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로서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 송신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는, 제1 내지 제N N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403, 1404, 1405)를 구비한다.
오디오 데이터 수신부(1401)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
오디오 복호화부(1402)는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403)는, 부호 변환 전송 장치에 입력된 프레임에 대하여 소정의 압축 부호화를 행하고,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 송신한다.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404 내지 1405)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403)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 송신한다. 제1 내지 제N 오디오 스트림은 제1 내지 제M 전송로 상에 송신된다.
이 실시예에서도, 각각의 전송로(1430)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에 맞추어,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403∼1405)의 부호화의 압축율을 선택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403∼1405)의 출력이, 제1 내지 제M 전송로(1430)에 출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전송로의 상태 또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자의 의도에 따른 송신을 행할 수 있다.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1420)는, 수신 전송로 선택부(1406)에 의해,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가 송신한 M개의 전송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로로부터의 N개의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호 변환을 행한다.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142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 변환 전송 장치(1400)가 구비하는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화 송신 수단(1403 내지 1405)에 의해 송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내지 제N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1407 내지 1409)와,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1410)를 구비한다.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1410)는,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1407 내지 1409)에서 전송 오류도 누락도 없이 수신된 최대 N개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이 가장 낮은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6. B) 부호 변환 전송 장치 :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간단히 나타내기 위해, 이 장치가 출력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갯수 N을 2, 부호화 데이터를 송신하는 전송로의 갯수 M을 2로 하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1501)를 구비하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500)는, 복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된 데이터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부호화하는 제1 송신 프레임/패킷 부호화부(1502)와, 제1 송신 프레임/패킷 부호화부(1502)가 출력한 부호화 데이터의 전송 오류와 패킷 손실을 수신 장치에서 검출하기 위한, 오류 검출 부호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를 부가하는 제1 오류 검출 부호·프레임/패킷 식별 번호 부가부(1503)를 구비하며, 제1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가 출력되어 소정의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다.
도 14에서,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510)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1500)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제2 송신 프레임/패킷 부호화부(1504)와, 제2 송신 프레임/패킷 부호화부(1504)가 출력한 부호화 데이터의 전송 오류와 패킷 손실을 수신 장치에서 검출하기 위한, 오류 검출 부호와 프레임/패킷 식별 번호를 부가하는 제2 오류 검출 부호·프레임/패킷식별 번호 부가부(1505)를 구비하며, 제2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가 출력되어, 소정의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M을 2, N을 2로 하고 있기 때문에, 2개의 전송로 각각에, 이상의 제1 내지 제2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데이터가 송신된다. 상기 이외의 처리부의 동작은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를 보다 바람직하게 구체화한 예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6. C) 작용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는,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것을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2개의 부호화 데이터로 부호화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시간 간격을 두면서 송신한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이 낮고 음질이 좋은 부호화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 결과, 버스트성이 높은 전송 에러나 패킷 손실이 빈발하는 신뢰성이 낮은 전송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2개의 부호화 데이터가 모두 잘못 전송될 확률이 작아져서, 전송 후의 복호화 음질에 현저한 열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부호화 데이터의 압축율을 높게 함으로써, 제2 부호화 데이터 송신에 수반되는 전송 대역의 증대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전송로의 상황, 오디오 송신자 또는 오디오 수신자의 의도에 따라,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전송로에 제1 내지 제2 부호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어서, 전송로에서의 오류의 영향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서는 수신한 2개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복호화하면 되기 때문에, 통상의 오디오 복호화 장치에 비해 필요한 연산량이 크게 증대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및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각각 독립하여 사용해도 문제없다. 또한, 제1 내지 제N 부호 변환 데이터는 시간 간격 이외에 의한 인터리브이어도 된다.
[제7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서는, 임의의 2 이상의 정수 N, 임의의 1 이상의 정수 M에 대하여, 부호 변환 전송 장치측은 a) 압축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되도록 압축 부호화하여, 모든 패킷,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일부의 패킷을 소정의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 입력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되도록 패킷 데이터에 압축 부호화하고, 얻어진 전체 패킷 데이터, 또는 입력 오디오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일부의 패킷 데이터를,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시간 간격을 두고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2 내지 제N의 (N-1)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 제1 내지 제M 전송로 각각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에 맞추어,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압축율을 선택하여,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d) M개의 전송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송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N개의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며, 전송 오류가 없고, 누락이 없이 수신된 패킷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이 가장 낮은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부호 변환 수신 장치의 각 수단은, 상기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그 처리·기능을 실현해도 된다.
[제7 실시예]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7. A) 개요:
본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은 제6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1400)와 부호 변환 수신 장치(1420) 및 부호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로(1430)로 구성된다. 정수 N은, 부호 변환 전송 장치가 송신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갯수를 나타내며, 2 이상으로 한다. 정수 M은, N개의 부호화 데이터가 송출되는 전송로의 갯수를 나타내며, 1 이상으로 한다.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의 구성은, 상기 제6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지만, 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이 약간 상이하다. 이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입력 오디오 데이터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소정의 압축 부호화를 행하여, 부호 변환 데이터를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 송신한다.
오디오 부호 변환 처리부에 의해 부호화되는 입력 프레임 부호화 데이터는 1개 또는 복수개의 패킷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에 의해 부호화된 패킷 전부 또는 일부의 패킷을,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 송신한다. 상기 이외의 동작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6 실시예와 동일하다.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의 구성도, 상기 제6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지만, 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이 약간 상이하다. 이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서, 부호화 데이터 재구성부(1410)는, 상기 제6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내지 제N 부호화 데이터 수신부에서 전송 오류도 누락도 없이 수신되고,동일한 프레임의 압축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대 N개의 부호화 패킷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이 가장 낮은 패킷을 복호화되는 부호화 데이터로서 선택하며, 이 선택을 부호 변환 전송 장치가 송신하는 패킷 데이터 단위로 행한다. 상기 이외의 동작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제6 실시예와 동일하다.
(7. B) 부호 변환 전송 장치:
본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데이터 부호 변환 전송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4에 도시한, 상기 제6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데이터 부호 변환 전송 장치와 거의 동일하지만, 도 14에서의 제1 송신 프레임/패킷 부호화부(1502)와, 제2 송신 프레임/패킷 부호화부(1504)와, 제1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번호 부가부(1503)와, 제2 오류 검출 부호 부가·프레임/패킷 번호 부가부(1505)의 동작만이 상이하다. 이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데이터 부호 변환 전송 장치에서, 제1 송신 프레임/패킷 부호화부(1502)와 제2 송신 프레임/패킷 부호화부(1504)는, 제1 송신 프레임/패킷 부호화부(1502)에 의해 생성하는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프레임과, 제2 송신 프레임/패킷 부호화부(1504)에 의해 생성하는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프레임이 일치하도록,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이외의 처리부의 동작은, 제6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를 보다 바람직하게 구체화한 예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제4 실시예와 동일하다.
(7. C) 작용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제7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는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것을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2개의 부호화 데이터로 부호화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시간 간격을 두면서 송신한다. 제2 부호화 송신 수단은, 제1 부호화 송신 수단에 의해 부호화된 패킷을 부호화한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이 낮고 음질이 좋은 부호화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 결과, 버스트성이 높은 전송 에러나 패킷 손실이 빈발하는 신뢰성이 낮은 전송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2개의 부호화 데이터가 모두 잘못 전송될 확률이 작아져서, 전송 후의 복호화 음질에 현저한 열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부호화 데이터의 압축율을 높게 함으로써, 제2 부호화 데이터 송신에 수반되는 전송 대역의 증대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전송로의 상황, 오디오 송신자 또는 오디오 수신자의 의도에 따라,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전송로에 제1 내지 제2 부호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어서, 전송로에서의 오류의 영향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부호 변환 수신 장치에서는, 수신한 2개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복호화하면 되기 때문에, 통상의 오디오 복호화 장치에 비해 필요한 연산량이 크게 증대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부호 변환 전송 장치 및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각각 독립하여 사용해도 문제없다. 또한, 제1 내지 제N 부호 변환 데이터는, 시간 간격 이외에 의한 인터리브라도 된다.
[제8 실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부호화 장치(40)와,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와, 복수(K개)의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장치(20_1_∼20_K_)와, 부호 변환 수신 장치(201∼20K)에 접속되는 복수(K개)의 복호화 장치(301∼30K)를 구비하고 있다. 부호화 장치(40)는, 부호화 데이터를 배신하는 정보 제공원을 이루고, 공지의 서버 장치가 이용된다.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는, 상기 제1 내지 제9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예를 들면, 도 1의 100)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장치(20)는, 상기 제1 내지 제9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부호 변환 수신 장치(예를 들면, 도 1의 120)로 이루어진다. 복호화 장치(30)는, 부호 변환 수신 장치(20)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표시하는 장치(디코더)로서, 기성품이 그대로 이용된다.
도 1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와 각 부호 변환 수신 장치(201∼20K)의 각각의 정보 전송에 이용되는 전송로(13)는, 각 부호 변환 수신장치당 1개로 되어 있다. 즉, 도 1의 실시예에서의 M개의 전송로(130)의 M은 1개로 되어 있고, 도 1의 부호 변환 수신 장치(120)를 복수개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는, 도시되지 않은 N개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를 구비하고 있고, N개의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실시 형태의 구체예를 이루는 일 실시예로서,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는, 인터넷 통신망(혹은 인트라네트)에 접속되어, 부호화 장치(40)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예를 들면, UD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한다.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의 도시되지 않은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부의 처리는, 예를 들면, RTP(Rea1-time Transport Protocol)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한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20)는, 예를 들면,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 전송로가, 무선인 경우,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로부터의 부호 변환 출력(N개의 스트림 데이터)은 UDP/IP 프로토콜, 물리층을 통해 출력되고, 라우터 및 게이트웨이 등을 통해 이동체 패킷 통신 시스템망 내의 기지국을 통해 수신처의 부호 변환 수신 장치(20)에 송신되고, 부호 변환 수신 장치(20)에서는, 부호화 장치(40)와 복호화 장치(30)의 사이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에서 부호 변환된 데이터를, 부호화 장치(40) 하의 부호화에 대응한 부호화 데이터로 재구성하여 출력하고, 복호화 장치(30)는 부호화 장치(40)의 부호화와 대응하는 복호화 처리를 행함으로써, 도시되지 않은 음성 출력 장치에 음성 출력한다. 부호 변환 수신 장치(20)에 접속되는 복호화 장치(디코더)(30)는, 부호 변환 수신 장치(20)와 일체화된 단말기로서 구성해도 되고, 혹은, 부호 변환 수신 장치(20)를 구성하는 단말기와 통신 접속하는 단말기(퍼스널 컴퓨터) 등에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부호 변환 수신 장치(20)는,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에 제어 신호(리퀘스트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고,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는, 이 제어 신호를 받아 부호화 데이터를 부호 변환 수신 장치(20)에 송신한다. 도 15는, 제어 신호가,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로부터의 부호화 스트림 출력과는 다른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부호 변환 수신 장치(20)측으로부터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에 송신되는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부호 변환 수신 장치(20)의 시스템 정보, 예를 들면, IP 어드레스, 장치 정보, 복호화 장치(30)에서 대응 가능한 부호화 방식(예를 들면, ITU-T 권고인 H.261 혹은 H.263, ISO/IEC 권고인 MPEG-4 Visual) 등의 정보를, 부호 변환 전송 장치(1O)를 통지함으로써, 리퀘스트 신호를 받은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에서는, 부호 변환 수신 장치(20), 복호화 장치(30)에 적합한 부호 변환을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송로가 유선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로부터 각 전송로(13)에 각각 출력되는 복수개(N개)의 부호화 스트림 데이터를, 도 5와 같이, 지연 부가부에 의해, 상호 시간 간격을 설정하여 다중화부에서 다중해도 되고, N개의 부호화 스트림 데이터를 다중화부에서 인터리브하여 송신 순서를 셔플하여 상호 시간 간격을 두어 다중화 출력을 전송로에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 내에, 도 5에 도시한 지연 부가부 및 다중화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부호 변환 수신 장치(20)는, 도 5의 분리부(511)를 구비하고, 수신 전송로 선택부에서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수신된 다중화 전송 패킷은, 각 스트림의 패킷으로 분리되어, 부호화 데이터의 추출 처리, 재구성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원을 이루는 부호화 장치(40)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에서 수신하고, 부호 변환 전송 장치(10)는 전송로(13)에서의 데이터 손실, 데이터 오류에 내성을 갖는 방식으로 변환하여, 부호 변환 수신 장치(20)에 송신하고, 전송로(13) 상에서의 전송에 적합한 효율적인 부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30)는 부호화 장치(40)의 부호화 방식에 대응하여 복호 처리를 행한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각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의 각 청구항의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라면 이룰 수 있는 각종 변형, 수정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트성이 높은 전송 에러나 패킷 손실이 발생하는 신뢰성이 낮은 전송로를 이용한 경우라도, N개의 부호화 데이터가 모두 잘못 전송될 확률이 작아져, 복호화 음질에 현저한 열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임의의 2이상의 정수 N, 임의의 1이상의 정수 M에 대하여, 부호 변환 전송 장치측은, 제1 내지 제M 전송로 상에서, 제1 내지 제N 변환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오디오 데이터의 프레임 또는 패킷을, 전송 레이트에 맞추어 모두 또는 일부를 전송하거나 복호화한 후, 오디오 데이터를 N개의 부호화 데이터로 압축 부호화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하는 시간 간격을 두어 송신하고,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은, 입력된 프레임을 부호화하고,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M개의 전송로로부터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가장 압축율이 낮고 음질이 좋은 부호화 데이터를 프레임 또는 패킷 단위로 선택하여 복호화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로의 상태 또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자의 의도에 따른 송신을 행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내지 제M개의 전송로에 의해, 각각의 전송로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에 맞추어,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압축율을 선택 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부호화 데이터 송신에 의한 전송 레이트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등 또는 그보다도 높은 압축율로 부호화하고,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에 의한 부호화 데이터의 송신은,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부호화한 프레임에 대해서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측에서 요하는 연산량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호 변환 전송 장치측은 동일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부호 변환 수신 장치측은 수신한 복수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1개만을 프레임 또는 패킷 단위로 선택하여 복호화하고 있기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수신한 복수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할 필요가 없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Claims (70)

  1. (a)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 프레임을 출력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 프레임을 출력하는 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
  2. (a)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모든 패킷 또는 일부 패킷을 출력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모든 패킷 데이터 또는 일부 패킷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
  3. (a)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또는 일부 프레임을 복호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부호화한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 프레임을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
  4. (a)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부호화한 모든 패킷 데이터 또는 일부 패킷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플러스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 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
  5. (a)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모두 또는 일부를 출력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상기 제1의 오디오 부호화 수단에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모든 패킷 데이터 또는 일부 패킷 데이터에 대하여 패킷을 복제하고, 복제하여 얻어진 패킷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
  6. (a)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 프레임을 출력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 프레임을 출력하는 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
  7. (a)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패킷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부호화하여 얻어진 모든 패킷, 또는 일부 패킷을 출력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입력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패킷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부호화하여 얻어진 모든 패킷 데이터, 또는 일부 패킷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
  8. (a)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 프레임을 출력하는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b)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 프레임을 출력하는 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
  9. 제1항, 제3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 중 적어도 1개가, 일부 프레임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프레임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
  10. 제2항, 제4항,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 중 적어도 1개가, 일부 패킷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패킷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
  11. 제3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는데 있어서, 상기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의 압축율과 동일 또는 보다 높은 압축율로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는데 있어서, 상기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의 압축율과 동일 또는 보다 높은 압축율로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
  13. 제3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압축율과 동일 또는 보다 높은 압축율로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
  14.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각각의 출력과,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이, 서로 시간을 두고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
  15.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M 전송로 각각에 사용 가능한 대역에 맞추어,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 중 적어도 1개에 대하여 부호화의 압축율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 송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
  16.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일 또는 다른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하는 시간 간격을 두고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
  17.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이,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을 구비한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정수)의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M(M은 1이상의 정수)의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의 출력이,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M(M은 1이상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
  18.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이,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을 구비한 제1 내지 제M(M은 1이상의 정수)의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M(M은 1이상의 정수)의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의 각각의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제1 내지 제N 부호화 데이터 출력을, 서로 시간 간격을 두고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M(M은 1이상의 정수)의 부호 변환 송신 처리부의 다중화 출력이, 상기 제1 내지 제M(M은 1이상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
  19.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송로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으로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 오류가 없고, 누락이 없이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부호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출력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장치.
  20.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송로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으로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 오류가 없이, 또는 누락이 없이 수신된 부호화한 패킷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부호화 패킷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출력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수신한 동일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에 기초하여 1개를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수신한 동일한 프레임의 패킷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에 기초하여 1개를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장치.
  23. 제1항, 제3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 중의 복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에 대하여,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데이터 복호화 수단을 공통으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각각은,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경우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 복호화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
  24. 제2항,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 중 복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에 대하여,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데이터 복호화 수단을 공통으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각각은,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경우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 복호화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패킷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
  25. 제1항, 제3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와,
    제19항 또는 제21항의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장치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시스템.
  26. 제2항, 제4항,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와,
    제20항 또는 제22항의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장치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시스템.
  27. 제25항 또는 제26항의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의 상기 제1 내지 제N 상기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이 서로 시간적으로 이간된 상태에서 전송되도록, 지연을 제어하고, 상기 각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다중화된 데이터가 전송로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시스템.
  28.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부호화 장치와,
    제1항, 제3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와,
    제19항 또는 제21항의 하나 또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장치와,
    하나 또는 복수의 복호화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부호화 장치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가 입력하고,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장치가 상기 오디오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로부터의 출력을 각각 입력하고,
    상기 복호화 장치가 대응하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장치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아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시스템.
  29.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부호화 장치와,
    제2항, 제4항,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와,
    제20항 또는 제22항의 하나 또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장치와,
    하나 또는 복수의 복호화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부호화 장치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가 입력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장치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로부터의 출력을 각각 입력받고,
    상기 복호화 장치가 대응하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장치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아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시스템.
  30. 제28항 또는 제29항의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의 상기 제1 내지 제N 상기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이 서로 시간적으로 이간된 상태에서 전송되도록, 지연을 제어하고, 상기 각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다중화된 데이터가 전송로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시스템.
  31.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에 의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에 있어서,
    (a)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 프레임을 출력하는 스텝과,
    (b)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각각,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 프레임을 출력하는 스텝과,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
  32.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에 의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에 있어서,
    (a)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패킷 또는 일부 패킷을 출력하는 스텝과,
    (b)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각각,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모든 패킷 데이터 또는 일부 패킷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텝과,
    (c)상기 제 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
  33.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에 의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에 있어서,
    (a)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 프레임을 복호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텝과,
    (b)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각각,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부호화한 모든 프레임 또는일부 프레임을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텝과,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
  34.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에 의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에 있어서,
    (a)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텝과,
    (b)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플러스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각각,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부호화한 모든 패킷 데이터 또는 일부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패킷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텝과,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
  35.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에 의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방법에 있어서,
    (a)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모두 또는 일부를 출력하는 스텝과,
    (b)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각각, 상기 제1 오디오 부호화 수단에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모든 패킷 데이터 또는 일부 패킷 데이터에 대하여 패킷을 복제하고, 복제하여 얻어진 패킷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텝과,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
  36.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에 의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에 있어서,
    (a)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 프레임을 출력하는 스텝과,
    (b)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각각,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 프레임을 출력하는 스텝과,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
  37.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에 의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에 있어서,
    (a)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패킷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부호화하여 얻어진 모든 패킷, 또는 일부 패킷을 출력하는 스텝과,
    (b)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각각, 입력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패킷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부호화하여 얻어진 모든 패킷 데이터 또는 일부 패킷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텝과,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
  38.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에 의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방법에 있어서,
    (a)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 프레임을 출력하는 스텝과,
    (b)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 프레임을 출력하는 스텝과,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
  39. 제31항, 제33항, 제36항 및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 중 적어도 1개가, 일부 프레임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프레임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
  40. 제32항, 제34항, 제35항 및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 중 적어도 1개가, 일부 패킷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의 성질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패킷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
  41. 제33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a)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은, 상기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는데 있어서, 상기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의 압축율과 동일 또는 보다 높은 압축율로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
  42.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b)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은, 상기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는데 있어서, 상기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의 압축율과 동일 또는 보다 높은 압축율로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
  43. 제33항, 제35항, 제36항, 제37항 및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b)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은, 상기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압축율과 동일 또는 보다 높은 압축율로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
  44. 제3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각각의 출력과,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이, 서로 시간을 두고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
  45. 제3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M 전송로 각각에 사용 가능한 대역에 맞추어,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 중 적어도 1개에 대하여 부호화의 압축율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내지 제M 전송로에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
  46. 제3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동일 또는 다른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또는 적응적으로 변화하는 시간 간격을 두고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
  47. 제31항 내지 제33항 및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 중,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복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송신 수단에 대하여, 공통의 오디오 데이터 복호화 수단으로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
  48.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로부터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송로를 선택하는 스텝과,
    상기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 오류가 없고, 누락이 없이 수신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부호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출력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방법.
  49.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로부터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송로를 선택하는 스텝과,
    상기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 오류가 없이, 또는 누락이 없이 수신된 부호화한 패킷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출력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방법.
  50.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수신한 동일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에 기초하여 1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방법.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수신한 동일한 프레임의 패킷 데이터 중에서, 압축율에 기초하여 1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방법.
  52. 제31항, 제32항, 제36항 및 제38항 중 어느 한 항의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에 의해서 송신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제48항 또는 제50항의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방법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
  53. 제32항, 제34항, 제35항 및 제37항 중 어느 한 항의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에 의해서 송신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제49항 또는 제51항의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방법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
  54.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에,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 변환 송신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a)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 프레임을 출력하는 처리와,
    (b)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각각,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 프레임을 출력하는 처리와,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처리
    를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5.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에,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 변환 송신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a)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패킷 또는 일부 패킷을 출력하는 처리와,
    (b)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각각,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모든 패킷 데이터 또는 일부 패킷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와,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처리
    를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6.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에,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 변환 송신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a)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 프레임을 복호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와,
    (b)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각각,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부호화한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 프레임을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와,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처리
    를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7.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에,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 변환 송신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a)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와,
    (b)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플러스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각각, 상기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부호화한 모든 패킷 데이터 또는 일부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패킷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와,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처리
    를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8.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에,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 변환 송신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a)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모두 또는 일부를 출력하는 처리와,
    (b)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각각, 상기 제1 오디오 부호화 수단에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의 모든 패킷 데이터 또는 일부 패킷 데이터에 대하여 패킷을 복제하고, 복제하여 얻어진 패킷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와,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처리
    를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9.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에,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 변환 송신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a)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 프레임을 출력하는 처리와,
    (b)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각각,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 프레임을 출력하는 처리와,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처리
    를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60.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에,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 변환 송신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a)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패킷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부호화하여 얻어진 모든 패킷 또는 일부 패킷을 출력하는 처리와,
    (b)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각각, 입력된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패킷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부호화하여 얻어진 모든 패킷 데이터 또는 일부 패킷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와,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에 송출하는 처리
    를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61. 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과, 제2 내지 제N(단, N은 2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에,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 변환 송신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a)제1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압축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의 프레임을 추출하는 처리와,
    (b)제2 내지 제N(단, N은 2 이상의 소정의 정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이,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며,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 또는 일부의 프레임을 출력하는 처리와,
    (c)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출력을 제1 내지 제M(단, M은 1 이상의 소정의 정수) 전송로에 송출하는 처리
    를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62. 제54항 내지 제57항 및 제59항 및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 중,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복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복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에 대하여 공통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얻어진 복호화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에 공급하는 오디오 데이터 복호화 수단의 처리를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63.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에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 변환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d)M개(단, M은 1 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로부터 적어도 1개의 전송로를 선택하는 처리와,
    (e)선택된 전송로로부터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 오류가 없고, 누락이 없이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부호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출력하는 처리
    를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64.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에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 변환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d) M개(단, M은 1 이상의 소정의 정수)의 전송로로부터 적어도 1개의 전송로를 선택하는 처리와,
    (e) 상기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 오류가 없고, 누락이 없이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패킷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출력하는 처리
    를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수신한 동일 프레임의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압축율에 기초하여,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66.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수신한 동일 프레임을 부호화한 패킷 데이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압축율에 기초하여, 오디오 부호화 패킷 데이터를 선택하고,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출력하는 처리를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67.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하여 부호화 변환을 실시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가,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스트림과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재부호화하여 얻어진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스트림을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한 데이터를각각 재부호화하여 얻어진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스트림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은, 상기 입력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 및/또는 상기 재부호화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의 모두 또는 선택된 일부를 출력하며,
    상기 복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는, 하나의 전송로 또는 복수의 전송로 상에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하나는, 상기 다른 오디오 부호 변환 송신 수단의 압축 부호화와 동등 혹은 그보다 높은 압축율로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
  69. 제67항의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로에 송신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전송로 중, 수신하는 전송로를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선택된 전송로로부터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정상적으로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수단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변환 수신 장치.
  70. 제67항의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에 대하여, 제69항의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를 1개 또는 복수 구비하고,
    상기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는,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배신하는 장치로부터 송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수취하여 부호 변환한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오디오 부호 변환 수신 장치가, 상기 오디오 부호 변환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부호 전송 시스템.
KR10-2004-7017297A 2002-04-26 2003-04-23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과 부호 변환 수신방법 및 장치와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200401046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26600 2002-04-26
JP2002126600A JP4016709B2 (ja) 2002-04-26 2002-04-26 オーディオデータの符号変換伝送方法と符号変換受信方法及び装置とシステムならびにプログラム
PCT/JP2003/005183 WO2003098860A1 (fr) 2002-04-26 2003-04-23 .procede de transmission de conversion de codes de donnees audio, ainsi que procede, dispositif, systeme et programme de reception de conversion de cod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647A true KR20040104647A (ko) 2004-12-10

Family

ID=2954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297A KR20040104647A (ko) 2002-04-26 2003-04-23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과 부호 변환 수신방법 및 장치와 시스템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7180434B2 (ko)
EP (1) EP1501227B1 (ko)
JP (1) JP4016709B2 (ko)
KR (1) KR20040104647A (ko)
CN (1) CN100435506C (ko)
CA (1) CA2483406A1 (ko)
DE (1) DE60322693D1 (ko)
HK (1) HK1079368A1 (ko)
WO (1) WO20030988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050B1 (ko) * 2006-06-09 2007-08-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오디오 코덱의 프레임 구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01310A4 (en) * 2002-04-26 2012-07-11 Nec Corp DATA CODE IMPLEMENTATION /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PICTURES, CODE IMPLEMENTING / RECEIVING METHOD AND DEVICE
US8234395B2 (en) 2003-07-28 2012-07-31 Sonos,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US11106425B2 (en) 2003-07-28 2021-08-31 Sonos, Inc.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US10613817B2 (en) 2003-07-28 2020-04-07 Sono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list of tracks scheduled for playback by a synchrony group
US11650784B2 (en) 2003-07-28 2023-05-16 Sonos, Inc. Adjusting volume levels
US11294618B2 (en) 2003-07-28 2022-04-05 Sonos, Inc. Media player system
US8290603B1 (en) 2004-06-05 2012-10-16 Sonos, Inc. User interfaces for controlling and manipulating groupings in a multi-zone media system
US11106424B2 (en) 2003-07-28 2021-08-31 Sonos, Inc.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CA2542151C (en) * 2003-10-07 2013-03-26 Nielsen Media Research,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extract codes from a plurality of channels
EP1715692A4 (en) * 2004-01-28 2008-11-05 Nec Corp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NCODING, DIFFUSION AND RECEPTION OF CONTENT, AND PROGRAM
JPWO2005074182A1 (ja) * 2004-01-28 2008-01-10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エンコード方法及び受信再生方法と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US9977561B2 (en) 2004-04-01 2018-05-22 Sonos, Inc.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provide guest access
JP4473869B2 (ja) * 2004-05-10 2010-06-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音響信号のパケット通信方法、送信方法、受信方法、これらの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1746751B1 (en) * 2004-06-02 2009-09-30 Panasonic Corporation Audio data receiving apparatus and audio data receiving method
JP4556703B2 (ja) * 2004-06-25 2010-10-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映像配信システム
US7653869B2 (en) * 2005-02-18 2010-01-26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rror correction in high definition TV signal
US20100027618A1 (en) * 2006-12-11 2010-02-04 Kazunori Ozawa Media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media transmitting method, media receiving method, media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media transmitting apparatus, media receiving apparatus, gateway apparatus, and media server
JP2010072364A (ja) * 2008-09-18 2010-04-02 Toshiba Corp オーディオデータ補間装置及びオーディオデータ補間方法
JP2010204828A (ja) * 2009-03-02 2010-09-16 Renesas Electronics Corp データ保護回路及び方法、並びにデータ処理装置
JP5746963B2 (ja) * 2011-12-27 2015-07-08 京セラ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US20210242879A1 (en) * 2018-05-23 2021-08-05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US11923981B2 (en) * 2020-10-08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packets vi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7282066B2 (ja) * 2020-10-26 2023-05-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圧縮装置及びデータ圧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5267A (en) * 1971-11-22 1973-07-10 American Telecomm Ornamental telephone construction
JPH0271626A (ja) * 1988-09-07 1990-03-12 Hitachi Ltd 光空間伝送装置
US5583500A (en) * 1993-02-10 1996-12-10 Rico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allel encoding and decoding of data
JP3135417B2 (ja) * 1993-05-26 2001-02-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放送方式および放送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放送受信機
JP3534457B2 (ja) * 1994-04-22 2004-06-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信号発生装置
JPH0823539A (ja) 1994-07-11 1996-01-23 Nippon Hoso Kyokai <Nhk> 高能率符号化におけるトランスコーダ装置
JP2605641B2 (ja) * 1994-11-14 1997-04-30 日本電気株式会社 可変ビットレート判別方法及び装置
FI950917A (fi) * 1995-02-28 1996-08-29 Nokia Telecommunications Oy Puhekoodausparametrien käsittely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US5956674A (en) * 1995-12-01 1999-09-21 Digital Theater Systems, Inc. Multi-channel predictive subband audio coder using psychoacoustic adaptive bit allocation in frequency, time and over the multiple channels
SG54379A1 (en) * 1996-10-24 1998-11-16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A Audio decoder with an adaptive frequency domain downmixer
SG54383A1 (en) * 1996-10-31 1998-11-16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multi-channel audio data
JPH1155226A (ja) * 1997-08-04 1999-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伝送装置
JPH11225161A (ja) * 1998-02-05 1999-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
JPH11331305A (ja) * 1998-05-08 1999-11-30 Sony Corp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並びに提供媒体
JP3974712B2 (ja) * 1998-08-31 2007-09-12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用送信・受信再生方法及びディジタル放送用送信・受信再生システム並びにディジタル放送用送信装置及びディジタル放送用受信再生装置
GB9820655D0 (en) * 1998-09-22 1998-11-18 British Telecomm Packet transmission
JP2000156031A (ja) * 1998-11-17 2000-06-06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0236541A (ja) 1999-02-15 2000-08-29 Toshiba Corp トランスコーダ装置
JP2000244872A (ja) 1999-02-19 2000-09-08 Toshiba Corp トランスコーダ装置
JP2001007786A (ja) * 1999-06-21 2001-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6728924B1 (en) * 1999-10-21 2004-04-27 Lucent Technologies Inc. Packet loss control method for real-time multimedia communications
JP2001144733A (ja) 1999-11-15 2001-05-25 Nec Corp 音声伝送装置及び音声伝送方法
US6356212B1 (en) * 2000-02-18 2002-03-12 Sarnoff Corporation Single clock reference for compressed domain processing systems
US6570509B2 (en) * 2000-03-03 2003-05-27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encoding to mitigate decoding errors in a receiver
JP2002077109A (ja) 2000-08-29 2002-03-15 Toshiba Corp ディジタル信号伝送システム及びその信号伝送装置
WO2002103683A1 (fr) * 2001-06-15 2002-12-27 Sony Corporation Appareil et procede de codage
JPWO2003030534A1 (ja) 2001-09-28 2005-01-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用送受信システム
JP2003134064A (ja) 2001-10-26 2003-05-09 Hitachi Ltd デジタル放送補完方法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US6930620B2 (en) * 2002-01-15 2005-08-1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synchronizing data streams
JP4304360B2 (ja) * 2002-05-22 2009-07-29 日本電気株式会社 音声符号化復号方式間の符号変換方法および装置とその記憶媒体
JP2005164854A (ja) * 2003-12-01 2005-06-23 Nec Lcd Technologies Ltd 液晶表示装置
KR100629513B1 (ko) * 2004-09-20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음향의 멀티 채널 변환이 가능한 광재생장치 및 그의광재생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050B1 (ko) * 2006-06-09 2007-08-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오디오 코덱의 프레임 구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16709B2 (ja) 2007-12-05
US20060214824A1 (en) 2006-09-28
HK1079368A1 (en) 2006-03-31
US7298295B2 (en) 2007-11-20
EP1501227B1 (en) 2008-08-06
CA2483406A1 (en) 2003-11-27
EP1501227A1 (en) 2005-01-26
WO2003098860A1 (fr) 2003-11-27
US7397411B2 (en) 2008-07-08
EP1501227A4 (en) 2007-04-18
US7180434B2 (en) 2007-02-20
US20060049966A1 (en) 2006-03-09
JP2003318851A (ja) 2003-11-07
CN100435506C (zh) 2008-11-19
US20070030181A1 (en) 2007-02-08
CN1650561A (zh) 2005-08-03
DE60322693D1 (de) 200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04647A (ko)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 변환 전송 방법과 부호 변환 수신방법 및 장치와 시스템 및 프로그램
JP5463733B2 (ja) 動画像データの符号変換伝送システム及び符号伝送方法
KR100919868B1 (ko) 패킷 손실 보상
JP4135395B2 (ja) 符号化パケット伝送受信方法およびその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101115051A (zh) 音频信号处理方法、系统以及音频信号收发装置
JP4732428B2 (ja) 多重記述トランスコーディングのためのトランスコーディング・ノード及びトランスコーディング方法
EP1615441A1 (en) Multiple description coding combined with channel encoding
JPH03108824A (ja) 音声符号化・復号化伝送方式
Balam et al. Multiple descriptions and path diversity for voice communications over wireless mesh networks
EP0856956A1 (en) Multiple description coding communication system
WO2003092295A1 (en) Moving image transferring system, moving image encoding apparatus, moving image decoding apparatus, and moving image transferring program
Muhanned ADPCM: US Patents from 2010 to 2016
AL-Rawi ADPCM: US Patents from 2010 to 2016
Kang et al. A Cross-Layer PLC Algorithm for a Real-time Audio Conferencing System
Wang et al. Space-time multiple description video coding
WO2002091691A1 (en) Multiplexed co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718

Effective date: 2008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