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4365A - 엑스선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엑스선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4365A
KR20040104365A KR1020040031245A KR20040031245A KR20040104365A KR 20040104365 A KR20040104365 A KR 20040104365A KR 1020040031245 A KR1020040031245 A KR 1020040031245A KR 20040031245 A KR20040031245 A KR 20040031245A KR 20040104365 A KR20040104365 A KR 20040104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output window
ray tube
window holding
fro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457B1 (ko
Inventor
고수기노리마사
히노도시히코
오가와마사나리
Original Assignee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04979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10436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4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2Constructional details
    • H05G1/04Mounting the X-ray tube within a closed housing
    • H05G1/06X-ray tube and at least part of the power supply apparatus being mounted within the sam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2Constructional details
    • H05G1/025Means for cooling the X-ray tube or the genera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4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spark gaps or other discharge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X선관을 보호 케이스 내에서 확실하게 고정시키도록 한 X선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X선 발생장치(1)에서는, 전면 패널(5)의 개구부(26)내에 X선관(8)의 출력창 유지부(12)를 삽입한 상태로, 개구부(26)의 벽면에 형성한 암 나사부(29)에 고정 너트(30)의 외 나사부(30a)를 나사 결합시키도록 하여, 고정 너트(30)를 체결한다. 그리고, 고정 너트(30)를 충분하게 체결하는 것으로, X선관(8)의 출력창 유지부(12)에 설치된 플랜지부(18)가 전면 패널(5)에 설치된 돌기부(27)에 닿고, 그 결과로서, 고정 너트(30)에 의해 플랜지부(18)가 돌기부(27)를 향하여 가압되어, 전면 패널(5)에 X선관(8)이 고정되게 된다. 더구나, 열전도성의 고정 너트(30)를 이용하는 것으로, X선관(8)의 출력창 유지부(12)로부터 전면 패널(5)로의 열의 전달성이 높아지고, X선관(8)의 열이 빠지기 쉬워지기 때문에, X선의 발생 효율의 유지나 X선관(8)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엑스선 발생장치{X-ray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정전기 제거 등에 이용되는 X선을 발생시키기 위한 X선관을 보호 케이스 내에 수용한 X선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존재하는 X선관의 일예로서, 일본의 특공평 7-50594호 공보가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X선관에서는 필라멘트가 통전에 의해 뜨거워지면, 전자빔이 방출되고, 이 전자빔은 포커스용 그리드 등에 의해 가속되어 타깃에 고속으로 충돌하고, 타깃으로부터는 그 재료 고유의 X선이 방사된다. 그리고, 이 X선은 타깃의 전방으로 이격하여 설치된 X선 투과창으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이러한 타입의 X선관은 고온이 되기 때문에, 그 냉각은 타깃에 고정되어 외위기(外圍器: 밸브)로부터 돌출한 타깃 링을 자연 공냉하는 것으로 달성된다. 그리고, X선관의 냉각에 의해, X선의 발생 효율의 유지나 타깃의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이 타입의 X선관은 전압 발생부와 함께 보호 케이스 내에 거두어진다. 기타, 종래부터 존재하는 X선관의 일례로서는, 일본의 일본 특개평 10-106463호 공보, 일본 특개평 6-251735호 공보, 및 미국특허공보 제4384360호를 들 수 있다.
타깃과 X선 투과창이 떨어져 있는 타입의 X선관에서는, 외위기 자체가 크고, 자연 공냉을 달성시키기 위해서, 외위기의 주위에 큰 공간을 필요로 하고, 그 결과 보호 케이스가 대형화되었다. 이것에 대하여, 타깃과 X선 투과창(출력창)이 일체가 된 출력창 유지부를 갖는 X선관은 소형이고, 외위기(밸브)의 직경이 작아, 보호 케이스 내에서 고정시키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X선관을 보호 케이스 내에서 확실하게 고정시키도록 한 X선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X선 발생장치는 도전성이고, 또한 열전도성의 출력창 유지부가 밸브의 끝에 고정된 X선관과, 이 X선관을 구동시키는 전압 발생부를 보호 케이스 내에 수용한 X선 발생장치에 있어서, 출력창 유지부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보호 케이스에 설치되는 동시에, 출력창 유지부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갖는 전면 패널과 전면 패널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벽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출력창 유지부의 플랜지부를 닿는 돌기부와, 돌기부에 닿은 플랜지부를 돌기부를 향해서 가압하는 동시에, 개구부의 벽면에 형성된 암 나사부 내에 나사 결합되는 외 나사부를 갖는 열전도성의 고정 너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X선 발생장치에서는, X선관의 출력창 유지부를 전면 패널의 개구부 내에 삽입한 상태로, 개구부의 벽면에 형성한 암 나사부에 고정 너트의 외 나사부를 결합시키도록 하여, 고정 너트를 체결한다. 그리고, 고정 너트를 체결하는 것으로, X선관의 출력창 유지부에 설치된 플랜지부가 전면 패널에 설치된 돌기부에 닿고, 그 결과로서, 고정 너트에 의해 플랜지부가 돌기부를 향하여 가압되고, 전면 패널에 X선관이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 너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X선관을 보호 케이스 내에서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더구나, 열전도성의 고정 너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X선관의 출력창 유지부로부터 전면 패널로의 열의 전달성이 높아지고, X선관의 열이 빠지기 쉬워지기 때문에, X선의 발생 효율의 유지나 X선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너트의 내벽면이 출력창 유지부의 외측면에 접촉하면 적절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고정 너트에 의한 X선관의 위치 결정이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달성되고, 더구나, X선관에 설치된 출력창 유지부로부터 전면 패널로의 열의 전달성이 더욱 높아진다. 이것에 의해서, X선의 발생 효율의 유지나 X선관의 파손 방지가 더욱 높아진다.
또한, 고정 너트의 선단과 출력창 유지부의 플랜지부 사이에 있는 고무 링을 더욱 구비하면 바람직하다. 고무 링을 중개시키는 것으로, X선관의 플랜지부는 돌기부에 대하여 적절한 가압력을 갖고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X선 발생장치는 X선관에 있어서의 X선의 조사 누계 시간을 계측하고, 계측된 X선의 조사 누계 시간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를 더욱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X선관은 수명을 갖는 장치이기 때문에, 상기 타이머에 의해서, X선관에 있어서의 X선의 조사 누계 시간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X선 발생장치의 제품관리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X선 발생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X선 발생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X선관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X선 발생장치의 중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전면 패널에 X선관을 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ID 대조에 관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ID 대조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X선 발생장치 2: 보호 케이스
4: 케이스 6: 배면 패널
7: 설치용 베이스 8:X선관
9: 원통형 밸브 10: 배기관
11: 스템 12: 출력창 유지부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X선 발생장치의 적절한 실시예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선 발생장치(1)는 박스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케이스(2)를 갖고, 이 보호 케이스(2)는 열전도성이 양호한 재료로 이루어져, 3분할되어 있다. 즉, 보호 케이스(2)는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사각기둥 형상의 케이스 본체부(4)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평판상의 전면 패널(5)과,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평판상의 배면 패널(6)로 이루어져, 3분할형의 박스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보호 케이스(2)에 있어서, 그 전체 길이가 약 100mm이고, 전면 패널(5)의 두께는 약 10mm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면 패널(5)의 두께는 전체 길이의 약 1/10에 달하고 있고, 전면 패널(5)의 두께를 크게 하는 것으로, 높은 방열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케이스(2)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설치용 베이스(7)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보호 케이스(2) 내에는, 연(軟)X선을 발생시켜 정전기의 제거 등에 이용되는 X선관(8)이 배치되어 있다. 이 X선관(8)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발 유리로 된 원통형 밸브(9)를 갖고, 이 밸브(9)의 말단에는 배기관(10)을 갖은 스템(stem)(11)이 형성되고, 밸브(9)의 개방단에는 원통형을 이루는 코발금속제의 출력창 유지부(12)가 융착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출력창 유지부(12)에는 그 중앙 개구(12a)를 막도록 원판형의 출력창(13)이 납땜으로 고정되고, 출력창(13)의 내면측에는 전자빔의 충돌에 의해 X선을 발생시키는 타깃(14)이 증착되어 있다.
또한, 스템(11)에는 2개의 스템 핀(15, 15)이 고정되고, 밸브(9) 내에는 소정의 전압으로 전자빔을 방출하는 캐소드(cathode)로서의 필라멘트(16)가 형성되고, 이 필라멘트(16)는 스템 핀(15)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스템 핀(15)에는 원통형을 이루는 스테인리스제의 포커스(17)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출력창 유지부(12)는 코발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전도성 및 도전성이 양호한 동시에, 어스된 보호 케이스(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접지 전위로 되어 있고, 그 결과로서, 타깃(14)도 접지 전위에 유지되어 있다.
그래서, X선관(8)의 스템 핀(15)에, 후술하는 전압 발생부(21)로부터 -9.5kV의 고전위를 공급하고, 접지 전위의 타깃(14)을 향하여 필라멘트(16)로부터 전자빔을 조사한다. 이 때, 전자빔의 충돌에 의해 타깃(14)으로부터 연X선이 방사되고, 이 X선이 출력창(13)으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X선관(8)을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밸브(9)를 지름 15mm, 길이 30mm 정도의 크기로 할 수 있고, 전체 길이가 40mm 정도의 소형의 X선관(8)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사용시에 있어서, 소형의 X선관(8)의 타깃(14)은 고온으로 되어 있고, X선의 발생 효율의 유지나 타깃(14)의 파손 방지를 위해서, 타깃(14)의 열을 외부로 적절하게 내보낼 필요가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 케이스(2) 내에는 회로 기판(20)상에 탑재된 전압 발생부(21)가 수용되어 있다. 이 전압 발생부(21)는 -9.5kV의 고전위를 스템 핀(15)에 공급하여, X선관(8)을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우선, 전압 발생부(21) 내의 저전압 발생 부위에서 -1kV까지 전위를 올리고, 다음에 고전압 발생 부위에서 -9.5kV까지 전위를 올리고 있다. 이러한 전압발생부(21)의 회로 기판(20)은 나사를 개재하여 강철제 베이스 플레이트(22)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압 발생부의 고전압 발생 부위로부터 연장된 배선(21a)은 X선관(8)의 스템 핀(15)에 결선되고, X선관(8)의 밸브(9)에는 스템 핀(15)을 덮는 원통형의 캡(19)이 고정되어 있다. 또, 캡(19) 내에는 배선(21a)과 스템 핀(15)의 결선 후, 실리콘수지(P)가 충전된다(도 6 참조). 또, 회로 기판(20)상에는 CPU(41; 도 7 참조)를 내장한 헤드 회로(40)가 설치되어 있고, 헤드 회로(40)로부터의 제어 신호는 배선(42; 도 2 참조)을 통해서 전압 발생부(21)로 출력된다.
이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앞단에는 L자형으로 세워진 제 1 설치 부재(22a)가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22)의 후단에도, L자형으로 세워진 제 2 설치 부재(22b)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설치 부재(22a)는 전압 발생부(21)를 보호 케이스(2)에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제 2 설치 부재(22b)는 회로 기판(20)상의 저전압 발생 부위에 결선된 접속 단자(23)가 설치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제 1 설치 부재(22a)는 고정 나사(25)를 개재하여 전면 패널(5)에 압착시키도록 고정되고, 접속 단자(23)는 체결 너트(24)를 개재하여 제 2 설치 부재(22b)에 고정되고, 배면 패널(6)은 나사(28)를 통해서 제 2 설치 부재(22b)에 압착시키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열전도성이 양호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평판상의 전면 패널(5)과 배면 패널(6)은 강철제 베이스 플레이트(22)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배면 패널(6)이어도 방열을 가능하게 하여, 보호 케이스(2)에 의한 높은 방열성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X선관(8)을 보호 케이스(2)에 고정하는 데 있어서, X선관(8)은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전면 패널(5)에 고정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패널(5)에는 X선관(8)의 출력창 유지부(12)가 삽입되는 원주형의 개구부(26)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26)를 만들어 내는 벽면(26a)에는 안쪽을 향하여 환상의 돌기부(2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기부(27)에는 출력창 유지부(12)의 선단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환상의 플랜지부(18)가 닿는다.
또한, 개구부(26)의 벽면(26a)에 암 나사부(29)가 설치되고, 이 암 나사부(29)에는 외 나사(30a)를 갖는 고정 너트(30)가 나사 결합된다. 이 고정 너트(30)는 열전도성이 양호한 황구리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개구부(26) 내에 삽입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바디부(31)와 육각 너트를 형성하는 육각 헤드부(32)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전면 패널(5)의 개구부(26) 내에 X선관(8)의 출력창 유지부(12)를 삽입한 상태로, 암 나사부(29)에 고정 너트(30)의 외 나사부(30a)를 나사 결합시키도록, 고정 너트(30)를 체결한다. 그리고, 고정 너트(30)를 충분히 체결함으로써, X선관(8)의 출력창 유지부(12)에 설치된 환상의 플랜지부(18)가 전면 패널(5)의 돌기부(27)에 닿는다. 그 결과로서, 고정 너트(30)의 선단(30b)에 의해 플랜지부(18)가 돌기부(27)를 향해서 가압되고, 전면 패널(5)에 X선관(8)이 고정되게 된다(도 6 참조). 따라서, 이러한 고정 너트(30)를 이용하는 것으로, X선관(8)을 보호 케이스(2) 내에서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더구나, 고정 너트(30)는 열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X선관(8)의 출력창 유지부(12)로부터 전면 패널(5)로의 열의 전달성이 높아지고, 섭씨 100도 가까워진출력창 유지부(12)의 열을 방출하기 쉽기 때문에, X선의 발생 효율의 유지나 타깃(14)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고정 너트(30)의 내벽면에는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위치 결정면(30c)이 형성되고, 이 위치 결정면(30c)이 출력창 유지부(12)의 외측면(12a)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서, 고정 너트(30)에 의한 X선관(8)의 위치 결정이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달성되고, 더구나, X선관(8)에 설치한 출력창 유지부(12)로부터 전면 패널(5)로의 열의 전달성이 더욱 높아진다. 따라서, X선의 발생 효율의 유지나 X선관(8)에 있어서의 타깃(14)의 파손 방지가 더욱 높아지게 된다.
또한, 고정 너트(30)의 선단(30b)과 출력창 유지부(12)의 플랜지부(18)로 고무 링(34)을 사이에 두면, 고정 너트(30)의 체결에 의해서, 플랜지부(18)는 돌기부(27)에 대하여 적절한 가압력을 갖고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술한 고정 너트(30)를 채용하면, 전면 패널(5)의 두께는 필연적으로 커지지만, 그것에 따라, 전면 패널(5)에서의 높은 방열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강철제 베이스 플레이트(22)를 중개로 하여, 열전도성이 양호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전면 패널(5)과 배면 패널(6)을 열적으로 연결시키고 있기 때문에, 배면 패널(6)이어도 방열을 가능하게 하여, 보호 케이스(2)에 의한 높은 방열성이 실현된다.
도 7에는 X선 발생장치(1) 및 그 주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선 발생장치(1)는 접속 단자(23; 도 1, 도 2 참조)를 통해서 제어부(50)에 접속되고, 제어부(50)는 액세서(60)에 접속된다. 제어부(50)는 X선 발생장치(1)의 관리를 위해서, X선 발생장치(1)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다. 또한,액세서(60)는 X선 발생장치(1) 및 제어부(50)의 관리회사에 의해 사용된다.
X선 발생장치(1)에서는, 전압 발생부(21)를 통해서(도 2 참조) X선관(8)에 헤드 회로(40)의 CPU(41)가 접속되어 있고, 이 CPU(41)는 전압 발생부(21)에 의한 X선관(8)으로의 통전 시간을 감시하는 것으로, X선관(8)에 있어서의 X선의 조사 시간(즉, X선관(8)의 동작 시간)을 계측하여 적산한다. 적산된 X선관 동작 적산 시간은 X선 발생장치(1)의 제조 번호, 제조연월일, 검사자명, X선 발생장치(1)에 고유의 코드 등의 정보와 함께, CPU(41)에 의해서, 헤드 회로(40) 내의 도시하지 않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ble R0M)에 기억된다.
제어부(50)에는 CPU(51)와 X선관(8)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등(52)이 설치되어 있다. CPU(51)는 제어부(50)의 동작 시간을 계측하여 적산한다. 적산된 제어부 동작 적산 시간은 X선 발생장치(1)의 제조 번호, 제조연월일, 검사자명, X선 발생장치(1)에 고유의 코드 등의 정보와 함께, CPU(51)에 의해서, 제어부(50) 내의 도시하지 않은 EEPROM에 기억된다.
액세서(60)에는 헤드 회로(40)의 CPU(41) 및 제어부(50)의 CPU(51)를 일괄 관리하는 CPU(61)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62)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등으로 구성된 입력부(63)가 설치되어 있다. 도 7과 같이, X선 발생장치(1), 제어부(50) 및 액세서(60)를 접속함으로써, 관리회사의 작업원은 X선 발생장치(1)의 EEPROM에 기억된 정보 및 제어부(50)의 EEPROM에 기억된 정보를, 표시부(62)에 표시시킬 수 있고, 이들의 정보를 입력부(63)로부터 인력한 정보에 의해서 재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X선 발생장치(1)만을 교환하는 경우, 관리회사의 작업원은 제어부(50)의 EEPROM에 기억된 교환전의 X선 발생장치(1)의 제조 번호, 제조연월일, 검사자명, 및 교환전의 X선 발생장치(1)의 고유 코드의 정보를, 새로운 X선 발생장치(1)의 제조 번호, 제조연월일, 검사자명, 및 새로운 X선 발생장치(1)의 고유 코드의 정보에 재기록할 수 있다.
또한, 관리회사의 작업원은 헤드 회로(40)의 CPU(41)에 의해 적산된 X선관(8)의 동작 적산 시간, 및 제어부(50)의 CPU(51)에 의해 적산된 제어부(50)의 동작 적산 시간을 표시부(62)에 표시시킬 수 있고, X선관(8) 및 제어부(50)의 동작 적산 시간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특히, X선관(8)은 수명을 갖는 제품이기 때문에, X선관(8)의 동작 적산 시간을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X선 발생장치(1)의 제품관리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헤드 회로(40)의 CPU(41)는 제어부(50)의 CPU(51)로부터의 X선 조사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X선관(8)에 의한 X선의 조사를 한다. 이와 같이, X선관(8)에 의한 X선의 조사는 제어부(50)의 CPU(51)로부터의 X선 조사 신호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 때문에, 제어부(50)의 CPU(51)는 해당 제어부(50)의 전원 투입시에 1회만, 도 8의 ID 대조 처리를 실행하고, 허가되어 있지 않은 부적당정한 X선 발생장치(1)로부터의 X선의 조사를 미연에 방지한다. 이하, 도 8의 ID 대조 처리를 설명한다.
제어부(50)의 전원 투입시에는, CPU(51)에 의해 도 8의 ID 대조 처리가 실행 개시된다. 우선, 헤드 회로(40) 내의 EEPROM에 기억된 X선 발생장치(1)의 제조 번호 및 고유 코드가 판독된다(도 8의 S1). 그리고, 판독한 X선 발생장치(1)의 제조 번호와 제어부(50) 내의 EEPROM에 기억된 X선 발생장치(1)의 제조 번호가 대조되는 동시에, 상기 판독한 X선 발생장치(1)의 고유 코드와 제어부(50) 내의 EEPROM에 기억된 X선 발생장치(1)의 고유 코드가 대조된다(S2). 또, X선 발생장치(1)의 ID(식별 정보)로서, 제조 번호와 고유 코드의 각각을 대조하는 것은 제조 번호는 동일하여도 고유 코드가 변화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대조의 결과, 제조 번호와 고유 코드가 모두 일치하였는지(대조 성립)의 여부가 판단되고(S3), 제조 번호와 고유 코드가 모두 일치한 경우에는 제어부(50)의 CPU(51)로부터의 X선 조사 신호의 출력이 허가된다(S4).
한편, S3에서 제조 번호와 고유 코드 중 어느 하나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50)의 CPU(51)로부터의 X선 조사 신호의 출력이 금지되고(S5), 모니터등(52)을 점멸시키는(S6) 것으로, 허가되지 않은 부적당정한 X선 발생장치(1)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자에 통지한다.
이상과 같은 도 8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허가된 적정한 X선 발생장치(1)에 대해서만, 제어부(50)의 CPU(51)로부터 X선 조사 신호가 출력되게 되기 때문에, 허가되지 않은 부적당정한 X선 발생장치(1)로부터의 X선의 조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X선 발생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같은 효과를 얻는다. 즉, 도전성이며 또한 열전도성의 출력창 유지부가 밸브의 선단에 고정된 X선관과 이 X선관을 구동시키는 전압 발생부를 보호 케이스 내에 수용한 X선 발생장치에 있어서, 출력창 유지부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보호 케이스에 설치되는 동시에, 출력창 유지부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갖는 전면 패널과 전면 패널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벽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출력창 유지부의 플랜지부를 닿는 돌기부와 돌기부에 닿은 플랜지부를 돌기부에 향하여 가압하는 동시에, 개구부의 벽면에 형성된 암 나사부 내에 나사 결합되는 외 나사부를 갖는 열전도성의 고정 너트를 구비함으로써, X선관을 보호 케이스 내에서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도전성이며 또한 열전도성의 출력창 유지부가 밸브의 선단에 고정된 X선관과, 이 X선관을 구동시키는 전압 발생부를 보호 케이스 내에 수용한 X선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창 유지부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보호 케이스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출력창 유지부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갖는 전면 패널과
    상기 전면 패널의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벽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출력창 유지부의 상기 플랜지부를 닿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에 닿은 상기 플랜지부를 상기 돌기부에 향하여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개구부의 상기 벽면에 형성된 암 나사부 내에 나사 결합되는 외 나사부를 갖는 열전도성의 고정 너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의 내벽면이 상기 출력창 유지부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발생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의 선단과 상기 출력창 유지부의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있는 고무 링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발생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X선관에 있어서의 X선의 조사 누계 시간을 계측하고, 계측된 X선의 조사 누계 시간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를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발생장치.
KR1020040031245A 2003-05-30 2004-05-04 엑스선 발생장치 KR100706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55428A JP4223863B2 (ja) 2003-05-30 2003-05-30 X線発生装置
JPJP-P-2003-00155428 2003-05-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368A Division KR101078449B1 (ko) 2003-05-30 2005-04-08 엑스선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365A true KR20040104365A (ko) 2004-12-10
KR100706457B1 KR100706457B1 (ko) 2007-04-10

Family

ID=3404979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245A KR100706457B1 (ko) 2003-05-30 2004-05-04 엑스선 발생장치
KR1020050029368A KR101078449B1 (ko) 2003-05-30 2005-04-08 엑스선 발생장치
KR1020090049374A KR100976658B1 (ko) 2003-05-30 2009-06-04 엑스선 발생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368A KR101078449B1 (ko) 2003-05-30 2005-04-08 엑스선 발생장치
KR1020090049374A KR100976658B1 (ko) 2003-05-30 2009-06-04 엑스선 발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23863B2 (ko)
KR (3) KR100706457B1 (ko)
CN (4) CN101504905B (ko)
TW (3) TWI32244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426B1 (ko) * 2008-06-25 2015-05-21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X선 조사 시스템 및 x선 조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7567B1 (en) * 2005-04-11 2006-07-18 Gendex Corporation X-ray tubehead housing with slant-angle partition
KR100680760B1 (ko) * 2005-04-19 2007-02-08 (주)선재하이테크 가요형 연엑스선 이오나이저
JP4954526B2 (ja) * 2005-10-07 2012-06-2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X線管
US7885386B2 (en) * 2006-03-31 2011-02-0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apparatus for a compact low power X-ray generator
ATE421763T1 (de) * 2006-04-04 2009-02-15 Paul Mueller Gmbh & Co Kg Lagereinheit für drehanoden von röntgenröhren
KR100823990B1 (ko) * 2007-03-19 2008-04-22 (주)선재하이테크 광 이오나이저
KR101163513B1 (ko) 2009-12-04 2012-07-06 (주) 브이에스아이 광 이온 발생 장치
JP5730497B2 (ja) 2010-04-28 2015-06-1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X線発生装置
JP5081314B1 (ja) * 2011-05-23 2012-11-28 日立アロカメディカル株式会社 X線発生装置
US9142377B2 (en) * 2011-07-04 2015-09-22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Cathode housing suspension of an electron beam device
JP5899006B2 (ja) * 2012-03-02 2016-04-06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X線照射源
KR101361792B1 (ko) * 2013-03-05 2014-02-13 (주) 브이에스아이 광 이오나이저
US9282622B2 (en) * 2013-10-08 2016-03-08 Moxtek, Inc. Modular x-ray source
KR20160019205A (ko) 2014-08-11 2016-02-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X-선 발생장치
CN104916513A (zh) * 2015-06-17 2015-09-16 无锡日联科技有限公司 一种微焦点x射线管
JP6611490B2 (ja) * 2015-07-02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X線発生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x線撮影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9104A (en) * 1978-09-12 1980-03-18 Toshiba Corp X-ray generator
CN2259685Y (zh) * 1995-07-27 1997-08-13 应楚洲 陶瓷x射线管
US5707252A (en) * 1995-10-10 1998-01-13 Alden Products Company Snap-together x-ray cable coupling nut assembly
JP3839528B2 (ja) * 1996-09-27 2006-11-01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X線発生装置
JP3934837B2 (ja) * 1999-10-29 2007-06-2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開放型x線発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426B1 (ko) * 2008-06-25 2015-05-21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X선 조사 시스템 및 x선 조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8449B1 (ko) 2011-10-31
KR20050045961A (ko) 2005-05-17
CN101083867B (zh) 2011-05-04
TWI303445B (en) 2008-11-21
TW200529272A (en) 2005-09-01
CN1574182A (zh) 2005-02-02
CN100521863C (zh) 2009-07-29
TW200503040A (en) 2005-01-16
JP4223863B2 (ja) 2009-02-12
CN101083867A (zh) 2007-12-05
TW200943360A (en) 2009-10-16
CN101504905B (zh) 2011-02-09
KR20090069155A (ko) 2009-06-29
TWI322445B (en) 2010-03-21
KR100976658B1 (ko) 2010-08-18
CN1738510A (zh) 2006-02-22
CN101504905A (zh) 2009-08-12
TWI322444B (en) 2010-03-21
KR100706457B1 (ko) 2007-04-10
JP2004356056A (ja)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449B1 (ko) 엑스선 발생장치
US5949849A (en) X-ray generator and electrostatic remover using the same
KR100787286B1 (ko) 중수소 램프 박스 및 휴대형 광원 장치
JP4932915B2 (ja) 光イオナイザ
EP2012341B1 (en) Modular gas ion source
JP4113177B2 (ja) X線発生装置
JP2004079304A (ja) X線管
JP4829535B2 (ja) X線発生装置及び照射ユニット
KR101400078B1 (ko) X선 발생 장치
JP4762436B2 (ja) カソードユニット及び開放型x線発生装置
KR101469594B1 (ko) 동작 시간 저장 기능을 갖는 x선 발생 장치
KR102065655B1 (ko) X선 발생장치
KR101746751B1 (ko) 전자선 발생기 장착 구조물
JP4216579B2 (ja) X線源
JP2007012467A (ja) 除電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チャンバ
KR101686821B1 (ko) X선 발생기
JP2008311068A (ja) 重水素ランプ用ランプハウス及び光源装置
WO2001073341A1 (en) Light source positio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120

Effective date: 200701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90217

Effective date: 200909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