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792B1 - 광 이오나이저 - Google Patents

광 이오나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792B1
KR101361792B1 KR20130023360A KR20130023360A KR101361792B1 KR 101361792 B1 KR101361792 B1 KR 101361792B1 KR 20130023360 A KR20130023360 A KR 20130023360A KR 20130023360 A KR20130023360 A KR 20130023360A KR 101361792 B1 KR101361792 B1 KR 101361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tube
flange
screws
penetrate
fram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3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윤
Original Assignee
(주) 브이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브이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 브이에스아이
Priority to KR20130023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792B1/ko
Priority to PCT/KR2014/001823 priority patent/WO201413716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2Constructional details
    • H05G1/04Mounting the X-ray tube within a closed housing
    • H05G1/06X-ray tube and at least part of the power supply apparatus being mounted within the sam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16Vessels; Containers; Shields associat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1/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electrostatic charges

Landscapes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 X-Ray Techniq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이오나이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광 이오나이저는 튜브 내부에서 전자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를 음극과 양극의 전위차에 의해 끌어당겨 엑스선을 발생하는 엑스선관, 상기 엑스선관에서 발생되는 상기 엑스선이 방출되는 부분에 상기 엑스선관과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엑스선을 방출하기 위한 구멍을 구비하는 제1 측면부, 상기 엑스선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그리고 상기 엑스선관과 상기 전원부의 외부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엑스선관과 상기 전원부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제1부와 제3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부는 나사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인 제1 프레임 결합부 및 제2 프레임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부는 상기 엑스선관 및 상기 전원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위치하고, 상기 나사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인 제3 프레임 결합부 및 제4 프레임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하나의 상기 나사는 상기 제1 프레임 결합부 및 상기 제3 프레임 결합부를 관통하도록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나사는 상기 제2 프레임 결합부 및 상기 제4 프레임 결합부를 관통하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1 측면부가 상기 제3부와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1부와 제3부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생산 시 조립 효율이 높아지고, 엑스선관에 불량이 발생했을 때 교체 효율이 높아진다.

Description

광 이오나이저{A PHOTO IONIZER}
본 발명은 광 이오나이저에 관한 것이다.
광 이오나이저는 엑스선관에서 생성된 엑스선(X-ray)를 대전체를 향해 방사하여, 대전체 주변의 기체 분자를 이온화(ionization)함으로써 대전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정전기를 중화하는 장치이다.
광 이오나이저의 엑스선관은 음극과 양극을 구비하며, 두 전극은 서로 절연되어 지지된다.
통상의 엑스선관은 절연체로 된 용기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고 그 내부에 양극과 음극이 각각 대향 하도록 위치하며, 엑스선관은 엑스선이 용이하게 방사될 수 있도록 엑스선창을 구비한다.
이 때, 양극과 음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위차를 관전압이라 하는데, 관전압이 높을수록 물질에 대한 투과력이 강하고 파장이 짧은 엑스선인 경엑스선(Hard X-ray)이 발생하고, 관전압이 낮을수록 물질에 대한 투과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파장이 긴 엑스선인 연엑스선(Soft X-ray)이 발생한다.
이러한 광 이오나이저 분야의 종래기술로는 일본 하마마츠 포토닉스 주식회사의 한국특허 제465346호 "X 선 발생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정전기 제어기"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 이오나이저의 제조 및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 이오나이저는 튜브 내부에서 전자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를 음극과 양극의 전위차에 의해 끌어당겨 엑스선을 발생하는 엑스선관, 상기 엑스선관에서 발생되는 상기 엑스선이 방출되는 부분에 상기 엑스선관과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엑스선을 방출하기 위한 출력창을 구비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되어 위치하는 제1 측면부, 상기 엑스선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그리고 상기 엑스선관과 상기 전원부의 외부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엑스선관과 상기 전원부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제1부와 제3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3부와 결합 또는 탈거되도록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1 측면부는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제3부와 결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측면부는 나사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인 제1 프레임 결합부 및 제2 프레임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부는 상기 엑스선관 및 상기 전원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위치하고, 상기 나사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인 제3 프레임 결합부 및 제4 프레임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하나의 상기 나사는 상기 제1 프레임 결합부 및 상기 제3 프레임 결합부를 관통하도록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나사는 상기 제2 프레임 결합부 및 상기 제4 프레임 결합부를 관통하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1 측면부가 상기 제3부와 결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나사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인 제1 측면 결합부 및 제2 측면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나사는 상기 제1 플랜지 결합부 및 상기 제1 측면 결합부를 관통하도록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나사는 상기 제2 플랜지 결합부 및 상기 제2 측면 결합부를 관통하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제1 측면부와 결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광 이오나이저는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제1 측면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랜지부는 상기 제3부와 결합 또는 탈거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 플랜지부는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제3부와 결합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제2부의 제1 측면부에 위치하는 결합부들과 제3부의 제2 측면부에 위치하는 결합부를 통해 제2부와 제3부가 결합됨으로써, 제2부를 제3부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2부에서 발생하는 엑스선에 문제가 있을 때, 제2부를 제3부에서 분리하고 엑스선관을 수리한 다른 제2부를 장착함으로써 엑스선관의 교체가 용이하여 조립 효율이 좋고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 이오나이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 이오나이저의 엑스선관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 이오나이저의 제2부와 제3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광 이오나이저의 엑스선관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 이오나이저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 이오나이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엑스선관 조립체(21)를 좀더 상세하게 표현한 도 2를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 이오나이저는 엑스선을 발생하는 엑스선관 조립체(21), 엑스선관 조립체(2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2), 엑스선관 조립체(21)와 전원부(22)를 결합한 제2부(20)를 고정하고 외부전력과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3부(30), 그리고 제2부(20) 및 제3부(30)의 외부를 보호하기 위한 제1부(10)를 구비한다.
엑스선관 조립체(21)는 엑스선관(200)과 실리콘캡(220)을 구비하고, 엑스선관(200)은 플랜지부(240), 엑스선관 튜브(210), 음극(211)으로 구성되며, 이때, 실리콘캡(220)은 엑스선관 튜브(210)를 감싸도록 위치한다.
엑스선관 튜브(210)의 한 단부에 위치하는 플랜지부(240)는 엑스선창(241)을 구비한다. 엑스선창(241)은 전기적으로 양극을 갖고, 엑스선을 방출한다.
그리고, 플랜지부(240)가 위치하지 않는 엑스선관 튜브(210)의 다른 한 단부는 음극(211)을 구비한다. 이러한 음극(211)은 전기적으로 음극임과 동시에 10,000볼트(volt) 가량의 고전압을 인가한다. 이때, 엑스선관 튜브(210)는 전자를 발생하는 필라멘트(filament)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고, 이 필라멘트에 음극(211)이 연결되어 위치한다.
제1 측면부(250)는 엑스선관(200)에서 발생된 엑스선이 방출되는 부분에 위치하고, 플랜지부(240)에 연결되어 위치한다.
전원부(22)는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발생부(230), 및 전원발생부(230) 외부를 감싸는 전원부 케이스(231)를 구비한다.
엑스선관(200)은 연엑스선을 방출한다. 엑스선관(200)에서 방출된 연엑스선은 공기중의 가스를 전리(電離)시켜, 전리된 가스로부터 발생되는 + 이온, - 이온 또는 전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대전물체의 전하를 제거한다.
플랜지부(240)는 엑스선 출력창(241)을 구비하고, 엑스선 출력창(241)은 내부에 전자의 충돌에 의해 엑스선을 발생하는 타겟을 포함하며, 타겟은 양극전위를 갖는다.
엑스선관 튜브(210) 내부에 위치하고 음극전위를 갖는 필라멘트는 전자를 생성하고, 양극전위를 갖는 타겟이 전자를 음극과 양극의 전위차에 의해 끌어당긴다. 이때, 타겟으로 끌어당겨진 전자들의 충돌에 의해 엑스선이 발생하고, 타겟에서 발생된 엑스선은 엑스선 출력창(24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에 따라, 엑스선관(200)에서 엑스선을 방출한다.
타겟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엑스선 출력창(241) 내부에 위치하고 엑스선 출력창(241)은 플랜지부(240)에 위치하며, 엑스선 출력창(241)은 베릴륨(Be)박판을 사용하거나 그 외 엑스선 투과도가 높은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실리콘캡(220)은 실리콘 고무로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엑스선관(200)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 역할을 한다. 또한, 실리콘캡(220)은 엑스선관(200)의 음극(211)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엑스선관(200)의 음극(211)에 인가되는 고전압에 의한 전기적 사고를 방지한다.
그리고, 실리콘캡(220)은 내부에 전선을 더 포함하는데, 이 전선은 엑스선관(200)이 전원발생부(230)에서 발생한 전원을 인가 받기 위해 엑스선관 튜브(210)에 위치하는 음극(211)과 전원발생부(230)를 연결하는 전선이다.
다음으로, 도 2를 참고로 하여 엑스선관 튜브(210)의 실리콘캡(220)이 연결되지 않는 한 단부에 위치하는 플랜지부(24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고로 하면, 플랜지부(240)는 엑스선관(210)을 구성하는 한 부분으로서 전기적으로 양극을 갖고, 엑스선 출력창(241)을 구비한다.
플랜지부(flange)(240)는 엑스선관(200)의 출력창과 열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기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된다. 플랜지부(240)는 엑스선관(200)의 타겟에서 발생한 엑스선관(200) 내부의 열을 엑스선관(200) 외부로 방출한다.
플랜지부(240)는 엑스선관 튜브(210)의 한 단부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엑스선관 튜브(210)의 중심축과 수직하게 위치하는 판(board)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플랜지부(240)의 크기는 엑스선관 튜브(210) 단면의 지름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부(240)는 엑스선 출력창(241), 제1 플랜지 결합부(242) 및 제2 플랜지 결합부(243)를 포함한다.
엑스선 출력창(241)은 플랜지부(240)에 형성된 창으로서, 엑스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엑스선 출력창(241)의 지름은 플랜지부(240)의 지름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엑스선관 튜브(210) 단면의 지름보다는 작거나 같게 형성되어야 한다.
제1 플랜지 결합부(242) 및 제2 플랜지 결합부(243)는 엑스선 출력창(241)의 주변에 위치하며, 뚫려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제1 플랜지 결합부(242) 및 제2 플랜지 결합부(243)는 나사(245, 246)가 관통할 만큼의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측면부(250)는 플랜지부(240)보다 더 크게 형성된 판으로써 제1 측면부 개구부(251), 제1 측면 결합부(252), 제2 측면 결합부(253), 제1 프레임 결합부(254), 그리고 제2 프레임 결합부(255)를 구비한다.
먼저, 제1 측면부 개구부(251)는 제1 측면부(250)에 구멍 형태의 뚫린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개구부이다. 제1 측면부 개구부(251)의 지름은 엑스선관 튜브(210)의 단면 지름보다는 큰 값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플랜지부(240)의 크기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제1 측면부 개구부(251)가 위와 같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됨으로 인해, 엑스선관 튜브(210)는 제1 측면부 개구부(251)를 관통하고, 플랜지부(240)는 제1 측면부 개구부(251)를 통과하지 못한다. 이 때, 제1 측면부 개구부(251)를 관통하지 못한 플랜지부(240)는 제1 측면부(250)의 한 면에 걸쳐지게 된다.
그리고, 엑스선관 튜브(210)의 한 단부에 실리콘캡(220)을 씌움으로서, 플랜지부(240)를 포함한 엑스선관(200), 제1 측면부(250) 및 실리콘캡(220)이 서로 연결되어 위치한다. 이에 따라 플랜지부(240)를 포함하는 엑스선관(200)과 실리콘캡(22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플랜지부(240)의 제1 플랜지 결합부(242) 및 제2 플랜지 결합부(243)는 나사(245, 246)를 통해 제1 측면부(250)에 형성된 제1 측면 결합부(252) 및 제2 측면 결합부(253)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플랜지부(240)를 포함하는 엑스선관(200), 실리콘캡(220), 그리고 제1 측면부(250)가 일체형 구조를 갖는 엑스선관 조립체(21)를 형성하게된다.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엑스선관 조립체(21)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 조립체(21)를 설명하면, 엑스선관 조립체(21)는 도2의 엑스선관 조립체(21)와 마찬가지로 엑스관 튜브(210), 실리콘캡(22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 조립체(21)에 구비되는 플랜지부(240a)는 도 2의 엑스선관 조립체(21)에 도시된 플랜지부(240)보다 크고, 제1 측면부(250)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때 플랜지부(240a)는 출력창(241a)를 구비한다.
또한, 플랜지부(240a)는 제1 측면 개구부(251a) 및 제2 측면 개구부(252a)를 구비하고, 제1 측면 개구부(251a) 및 제2 측면 개구부(252a)는 제3부(30)의 제2 측면부(310)에 형성되어 있는 제3 프레임 결합부(311) 및 제4 프레임 결합부(312)와 대응된다.
따라서, 하나의 나사가 제1 측면 개구부(251a) 및 제3 프레임 결합부(311)를 관통하며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나사가 제2 측면 개구부(252a) 및 제4 프레임 결합부(312)를 관통하며 위치함으로써 플랜지부(240a)가 제2 측면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을 참고로 하여 엑스선관 조립체(21) 및 전원부(22)를 설명하면, 전원발생부(230) 및 전원부 케이스(231)를 포함하는 전원부(22)는 엑스선관 조립체(21)와 인접하여 위치한다. 특히, 엑스선관 조립체(21) 및 전원부(22)가 제1부(10) 및 제3부(30) 내부에 위치할 때, 엑스선관 조립체(21) 및 전원부(22)는 바로 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1부(10) 및 제3부(30)는 엑스선관 조립체(21) 및 전원부(22)의 외부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열전도성과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구성된다.
제1부(10)는 제2부(20)의 측면들 중 너비가 넓은 측면과, 엑스선관(210) 및 실리콘캡(220)이 형성된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1부(10)는 제2부(20)를 감쌀 수 있을 정도의 너비를 갖는 판(100)으로 형성되고, 이 때, 판(100)의 한 부분은 개방되어 있고, 판(100)의 다른 한 부분은 굽어진 형태의 판으로서, 그 측면이 '⊂'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부(10)의 판(100)은 제1 결합공(101), 제2 결합공(102), 제3 결합공(103) 및 제4 결합공(104)을 구비한다. 제1 결합공(101) 내지 제4 결합공(104)은 판(100)의 개방된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관통공으로써, 제1부(10)가 제3부(30)를 고정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다.
제3부(30)는 세 부분의 측면(301, 302, 303)과 제2 측면부(310)를 구비한다. 제3부(30)의 우측면(301), 하부측면(303) 및 제2 측면부(310)은 제1부(10)가 감싸지 못한 엑스선관 조립체(21) 및 전원부(22)의 측면들을 감싸도록 위치한다.
우측면(301) 및 하부측면(303)은 제3부(30)가 제1부(10)와 결합되었을 때, 길이가 남거나 모자라지 않고 제1부(1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 때, 제1부(10)의 굽어진 부분과 닿는 우측면(301)의 단부는 제1부(10)의 굽어진 부분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측면부(310)는 우측면(301)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제2 측면부(310)는 제3부(30)와 제1부(10)가 제2부(20)를 감싸며 서로 결합되었을 때, 제2 측면부(310)는 제2부(21)의 플랜지부(240)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2 측면부(310)는 하부측면(303)과 인접하지 않는 한 단부에 제3 프레임 결합부(311) 및제4 프레임 결합부(312)를 구비한다.
또한, 제2 측면부(310)는 좌측면(302)을 더 포함하는데, 좌측면(302)은 제2 측면부(310)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좌측면(302)은 제3부(30)와 제1부(10)가 제2부(20)를 감싸며 서로 결합되었을 때, 좌측면(302)이 제1 측면부(250)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3부(30)를 구성하는 제2 측면부(310) 및 좌측면(302)은 각각 제2부(20)를 구성하는 플랜지부(240a) 및 제1 측면부(250)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부(10)와 제3부(30)는 틈새 없이 엑스선관 조립체(21)와 전원부(22)의 외부를 틈새 없이 감싸게 된다.
제3부(30)의 하부측면(303)은 제5 결합공(321), 제6 결합공(322), 제7 결합공(323), 및 제8 결합공(미도시)을 구비한다. 제5 결합공(321) 내지 제8 결합공(미도시)은 하부측면(303)의 단부에 90도 꺾이도록 형성된 것으로, 제1부(10)의 제1 결합공(101) 내지 제4 결합공(104)과 대응되도록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1부(10)와 제3부(30)가 결합되었을 때 제1 결합공(101) 내지 제4 결합공(104)에 제5 결합공(321) 내지 제8 결합공(미도시)이 각각 대응되도록 위치하게 되고, 관통공에 나사를 위치시킴으로써 제1부(10)와 제3부(30)가 고정 결합된다.
제1부(10)와 제3부(30)가 결합되고, 이들 결합 내부에 엑스선관 조립체 (21) 및 전원부(22)가 위치하는 경우 엑스선관 조립체(21)의 제1 측면부(250)에 형성된 제1 프레임 결합부(254) 및 제2 프레임 결합부(255)가 제3부(30)의 제2 측면부(310)의 제3 프레임 결합부(311) 및 제4 프레임 결합부(312)에 각각 결합된다.
도 3과 같이 제1 측면부(250)와 제2 측면부(310)의 결합으로 인해 엑스선관 조립체(21), 전원부(22) 및 제3부(30)가 결합될 때, 제1 측면부(250)가 제2 측면부(310)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측면부(250)와 좌측면(302)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제1 측면부(250)와 제2 측면부(310)의 프레임 결합부를 통한 결합은 나사를 통해 결합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나의 나사(미도시)가 제1 측면부(250)의 제1 프레임 결합부(254) 및 제2 측면부(310)의 제3 프레임 결합부(311)를 관통하도록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나사(미도시)가 제1 측면부(250)의 제2 프레임 결합부(255) 및 제2 측면부(310)의 제4 프레임 결합부(312)를 관통함으로써 제1 측면부(250) 및 제2 측면부(310)가 고정 결합 된다.
이와 같이 나사들(미도시)을 통해 제1 측면부(250)가 제2 측면부(310)와 결합되므로, 제2부(20)는 나사결합 고정 또는 나사결합 해체를 통해 제3부(30)와 고정 연결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부(20)를 제3부(30)의 좌측면(302)에 연결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 이오나이저에서 발생되는 엑스선에 문제가 있을 때, 제1부(10)와 제3부(30)의 결합을 해체시킨 후, 좌측면(302)으로부터 제1 측면부(250)를 결합 해제함으로써, 도 3과 같이 제3부(30) 안에 위치하는 제2부(20)를 제3부(3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불량 발생 시 제2부(20)를 제3부(30)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엑스선관 튜브(200)만을 쉽게 분리하고 교체할 수 있으므로 엑스선관(200)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광 이오나이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 이오나이저의 동작 및 엑스선관(200) 교체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전원 발생부(230)는 전원을 발생하고, 엑스선관(200)은 전원 발생부(230)에서 발생된 전원을 인가 받아 엑스선을 발생하며, 엑스선관(200)에서 발생된 엑스선은 엑스선 출력창(241)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엑스선관(200) 불량으로 인해 광 이오나이저에서 방출되는 엑스선에 문제가 있는 경우, 제1 결합공(101) 내지 제4 결합공(104)과 제5 결합공(321) 내지 제8 결합공(미도시)의 결합으로 고정되어 있는 제1부(10) 및 제3부(30)의 결합을 분리한다.
이로 인해 제1부(10) 및 제3부(30)의 결합이 분리되면, 제3부(30) 내부에는 제2부(20)가 위치하게 되는데, 제2부(20)의 제1 측면부(250)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 결합부(254) 및 제2 프레임 결합부(255)에 위치하는 각각의 나사(미도시)를 해체시킴으로써 제2부(21)가 제3부(30)로부터 분리된다.
그런 다음, 제3부(30)로부터 분리된 제2부(20)를 결함이 없는 새로운 제2부(20)로 교체하고, 새로운 제2부(20)의 제1 프레임(250)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 결합부(254) 및 제2 프레임 결합부(255)에 나사(미도시)를 관통시킨다.
이때, 제1 프레임 결합부(254)를 관통하는 나사(미도시)는 제2 측면부(310)의 제3 프레임 결합부(312)를 관통하도록 위치하고, 제2 프레임 결합부(255)를 관통하는 나사(미도시)는 제2 측면부(310)의 제4 프레임 결합부(311)를 관통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새로운 제2부(20)의 제1 측면부(250)가 제3부(30)의 제2 측면부(310)에 고정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제1부(10)를 제3부(30)에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광 이오나이저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엑스선관(200)에서 불량이 발생하였을 때, 엑스선관(200)이 위치하는 제2부(20)만을 쉽게 분리하고 엑스선관(200)을 교체함으로써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제1부 20 : 제2부
21 : 엑스선관 조립체 22 : 전원부
30 : 제3부 200 : 엑스선관
210 : 엑스선관 튜브 211 : 음극
220 : 실리콘캡 230 : 전원발생부
231 : 전원부 케이스 240 : 플랜지부
241 : 출력창 250 : 제1 측면부
301 : 우측면 302 : 좌측면
303 : 하부측면 310 : 제2 측면부

Claims (6)

  1. 튜브 내부에서 전자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를 음극과 양극의 전위차에 의해 끌어당겨 엑스선을 발생하는 엑스선관,
    상기 엑스선관에서 발생되는 상기 엑스선이 방출되는 부분에 상기 엑스선관과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엑스선을 방출하기 위한 출력창을 구비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되어 위치하는 제1 측면부,
    상기 엑스선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그리고
    상기 엑스선관과 상기 전원부의 외부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엑스선관과 상기 전원부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제1부와 제3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부는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제3부와 결합 또는 탈거되도록 위치하는 광 이오나이저.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제1 측면부는 나사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인 제1 프레임 결합부 및 제2 프레임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부는 상기 엑스선관 및 상기 전원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위치하고, 상기 나사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인 제3 프레임 결합부 및 제4 프레임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하나의 상기 나사는 상기 제1 프레임 결합부 및 상기 제3 프레임 결합부를 관통하도록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나사는 상기 제2 프레임 결합부 및 상기 제4 프레임 결합부를 관통하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1 측면부가 상기 제3부와 결합되는 광 이오나이저.
  4. 제1항에서,
    상기 제1 측면부는,
    나사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인 제1 측면 결합부 및 제2 측면 결합부
    를 더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나사는 상기 제1 플랜지 결합부 및 상기 제1 측면 결합부를 관통하도록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나사는 상기 제2 플랜지 결합부 및 상기 제2 측면 결합부를 관통하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제1 측면부와 결합되는 광 이오나이저.
  5. 제1항에서,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제1 측면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랜지부는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제3부와 결합 또는 탈거되는 광 이오나이저.
  6. 삭제
KR20130023360A 2013-03-05 2013-03-05 광 이오나이저 KR101361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3360A KR101361792B1 (ko) 2013-03-05 2013-03-05 광 이오나이저
PCT/KR2014/001823 WO2014137163A1 (ko) 2013-03-05 2014-03-05 광 이오나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3360A KR101361792B1 (ko) 2013-03-05 2013-03-05 광 이오나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792B1 true KR101361792B1 (ko) 2014-02-13

Family

ID=50270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3360A KR101361792B1 (ko) 2013-03-05 2013-03-05 광 이오나이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61792B1 (ko)
WO (1) WO201413716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527B1 (ko) * 2006-10-16 2007-01-30 (주)선재하이테크 연엑스선을 이용한 이오나이저 및 대전물체의 전하 제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3863B2 (ja) * 2003-05-30 2009-02-12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X線発生装置
JP2005005172A (ja) * 2003-06-13 2005-01-06 Genesis Technology Inc 軟x線照射装置及び半導体の組立装置並びに検査装置
KR100823990B1 (ko) * 2007-03-19 2008-04-22 (주)선재하이테크 광 이오나이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527B1 (ko) * 2006-10-16 2007-01-30 (주)선재하이테크 연엑스선을 이용한 이오나이저 및 대전물체의 전하 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7163A1 (ko) 2014-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1169B2 (ja) モジュラーx線源
US9042520B2 (en) Electric field emission x-ray tube apparatus equipped with a built-in getter
UA109032C2 (en) ELECTRONIC BEAM GENERATION DEVICE
TWI511175B (zh) X-ray generator
MX2016005951A (es) Generador de neutrones de fuente de iones de emision de campo.
KR102138092B1 (ko) 엑스선관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방전 안전 거리가 확보된 엑스선 이오나이저
US20160081173A1 (en) X-ray generation device and x-ray generating unit and high voltage generating unit constituting same
KR100823990B1 (ko) 광 이오나이저
JP2008078260A (ja) イオン風を発生させるヒートシンク装置
ES2527048T3 (es) Dispositivo de tratamiento de bombardeo de iones, y método para la limpieza de la superficie del material base usando el dispositivo de tratamiento
KR101361792B1 (ko) 광 이오나이저
JP4829535B2 (ja) X線発生装置及び照射ユニット
US20150357068A1 (en) Dual mode nuclear battery and radiation enhanced thermo-electron engine
TW200746539A (en) Coupling light of light emitting resonator to waveguide
TWI592972B (zh) 具雙熱電子源之離子源及其熱電子產生方法
TWI589190B (zh) 容易更換x射線管的x射線離子產生器
KR101361795B1 (ko) 광 이오나이저
WO2009044564A1 (ja) 電子源及び電子ビーム装置
KR20200036325A (ko) 이온화 장치
KR101389694B1 (ko) 탈부착 가능한 고전압 발생부와 x선 발생부를 갖는 x선 발생 장치 및 정전기 제거 장치 및 이를 구성하는 고전압 발생부와 x선 발생부
KR101938641B1 (ko) 초소형 의료용 전자가속기
KR101367683B1 (ko) 광 제어 방식의 전계방출 엑스선원
KR102513986B1 (ko) 이온 소스 및 호일 라이너
KR102515761B1 (ko) 엑스레이 튜브
JP5797480B2 (ja) X線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