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2055A - 카세트 - Google Patents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2055A
KR20040102055A KR10-2004-7015191A KR20047015191A KR20040102055A KR 20040102055 A KR20040102055 A KR 20040102055A KR 20047015191 A KR20047015191 A KR 20047015191A KR 20040102055 A KR20040102055 A KR 20040102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main body
frame
side wall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리우찌다까시
노노무라요시히또
가또쯔또무
다까하시도시오
Original Assignee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2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05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2Web rolls or spindles; Attaching webs to cores or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4Cassettes or cartridges containing continuous copy material, tape, for setting into pri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32Detachable carriers or holders f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Abstract

테이프형의 기록 매체를 인출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카세트(1)는 기록 매체(4)를 수용할 수 있도록 1면이 개구되어 있는 본체 프레임(2)과, 개구를 폐쇄하도록 본체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커버 프레임(3)을 구비한다. 본체 프레임에는 걸림 구멍(34)이 마련되어 있고, 커버 프레임에는 걸림 구멍(34)에 착탈 가능한 결합 갈고리(36)를 갖는 아암부(35)가 설치되어 있다. 아암부에는 걸림 구멍과 걸림 갈고리의 간극을 덮는 피복부(43)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카세트 {CASSETTE}
본원 출원인은 먼저 일본 특허 공개 평6-68814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8-25753호 공보 등에 있어서 라벨 등을 작성하기 위한 인쇄 테이프 작성 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인쇄용 테이프를 격납한 카세트를 개시하였다. 개시한 인쇄 테이프 작성 장치는 기록 매체인 인쇄용의 테이프와 잉크 리본을 격납한 카세트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카세트 수납부를 구비하고 있다. 카세트 수납부에는 서멀 헤드를 구비한 인쇄부와, 인쇄부에 대해 접촉 분리하는 롤러형의 플라텐과, 잉크 리본의 권취 수단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인쇄 테이프 작성 장치는 카세트 수납부에 장착된 카세트로부터 인쇄용 테이프를 인출하면서 미리 입력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그 테이프에 문자열 등의 화상을 인쇄하고, 그 후, 인쇄가 종료된 테이프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다.
카세트 내의 테이프가 모두 소비된 경우, 종래에는 합성 수지제의 카세트가 먼지로서 폐기되어 소각되어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지구 환경 보호의 관점으로부터 카세트를 폐기하지 않고, 카세트에 새로운 테이프를 채워 재사용하는 것이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테이프를 보유 지지하는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프에 인쇄를 행하는 장치에 테이프를 공급하기 위해 장착되는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카세트의 본체 프레임 및 커버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a는 인쇄용 테이프, 잉크 테이프 및 양면 점착 테이프를 수납하고 있는 본체 프레임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2b는 본체 프레임과 대향하는 커버 프레임의 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3은 본체 프레임의 하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4는 커버 프레임의 상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5a 및 도5b는 카세트를 도2a의 화살표 Va-Va에 의해 도시되는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5c는 도5b의 Vc-Vc선에 따른 카세트(1)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5d는 도5c의 Vd-Vd선에 따른 카세트(1)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5e는 가이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5d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6은 걸림 구멍에 결합한 아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7a 내지 도7c는 아암부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8은 아암부의 일부와 문형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9a 및 도9b는 아암부와 결합하고 있는 문형 프레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0은 커버 프레임을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할 때에 이용하는 지지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1은 본체 프레임의 측벽에 설치된 제2 걸림 구멍과 결합하고 있는 아암부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그러나, 새로운 테이프를 채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카세트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해야만 하고,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카세트에서는 먼지, 이물질이 카세트 내로 침입하기 쉬워진다. 카세트 내에 침입한 먼지나 이물질은 테이프에 부착되어 테이프에의 인쇄의 질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테이프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면서 카세트 내로 먼지, 이물질이 침입하기 어려운 구조를 갖는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르면, 테이프형의 기록 매체를 인출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카세트가 제공된다. 카세트는 기록 매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1면이 개구되어 있는 본체 프레임과, 개구를 폐쇄하도록 본체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커버 프레임을 구비한다. 본체 프레임 및 커버 프레임의 한 쪽에는 걸림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본체 프레임 및 커버 프레임의 다른 쪽에는 걸림 구멍에 착탈 가능한 결합 갈고리를 갖는 아암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부에는 걸림 구멍의 개구면을 덮기 위한 피복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카세트에서는 피복부가 걸림 구멍을 덮기 때문에, 결합 갈고리와, 걸림 구멍 사이의 간극을 통해 카세트 내로 이물질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테이프를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보유지지하기 위한 케이싱이 제공된다. 케이싱은 바닥판 및 측벽을 갖고, 테이프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되어 있는 본체 프레임이며, 측벽에 관통 구멍을 갖는 본체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의 상면을 폐쇄하도록 본체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커버 프레임이며, 본체 프레임의 측벽의 내측에 따라서 관통 구멍 쪽으로 신장하여 관통 구멍을 덮는 동시에, 본체 프레임의 측벽과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결합 돌기를 관통 구멍에 결합시키는 판형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커버 프레임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케이싱에서는 커버 프레임이 본체 프레임에 부착되었을 때에 판형 부재가 관통 구멍을 덮기 때문에, 관통 구멍과 결합 돌기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이물질 등이 케이싱 내로 침입하는 일이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카세트(1)의 본체 프레임(2) 및 커버 프레임(3)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a는 인쇄용 테이프(4), 잉크 테이프(5) 및 양면 점착 테이프(6)를 수납하고 있는 본체 프레임(2)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2b는 본체 프레임(2)과 대향하는 커버 프레임(3)의 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3은 본체 프레임(2)의 하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4는 커버 프레임(3)의 상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카세트(1)는 투명한 인쇄용 테이프(4)의 한 쪽면에 문자, 기호 등의 경상(鏡像)을 인쇄한 후, 그 인쇄면에 양면 접착 테이프(6)를 접착함으로써 라미네이트 타입의 인쇄 테이프를 작성하는 인쇄 테이프 작성 장치에 인쇄용 테이프(기록 매체)(4)를 공급하기 위해 장착되는 카세트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1)는 상면이 개구되어 있는 본체 프레임(2)과, 하면이 개구되어 있는 커버 프레임(3)을 갖는다. 본체 프레임(2) 및 커버 프레임(3)은 각각, 예를 들어 합성 수지재의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도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2)에는 스풀(4a)에 권취된 인쇄용 테이프(4), 스풀(5a)에 권취된 잉크 테이프(5) 및 스풀(6a)에 권취된 양면 접착 테이프(6)가 수납되어 있다. 양면 접착 테이프(6)는 한 쪽면에 박리형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고, 그 박리형 테이프가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스풀(6a)에 권취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2)은 바닥판(2a)과, 바닥판(2a)의 주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측벽(2b)을 갖는다. 바닥판(2a)에는 축(7, 8, 9)이 형성되어 있다. 인쇄용 테이프(4)의 스풀(4a), 잉크 테이프(5)의 스풀(5a) 및 양면 접착 테이프(6)의 스풀(6a)은 각각 축(7, 8 및 9)에 착탈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2)의 바닥면(2a) 및 커버 프레임(3)의 천정판(3a)에는 베어링 구멍(10a 및 10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구멍(10a 및 10b)은 잉크 테이프(5)의 사용 종료 부분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 스풀(10)(도2a 참조)의 상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멍이다.
카세트(1)가 장착되는 인쇄 테이프 작성 장치(도시되지 않음)는 권취 스풀(10)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잉크 테이프 권취 기구를 갖는다. 잉크 테이프 권취 기구는 권취 스풀(10) 속에 삽입되어 권취 스풀(10)과 결합하는 구동축을 갖는다. 권취 스풀(10)은 잉크 테이프 권취 기구의 구동축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사용이 종료된 잉크 테이프(5)를 권취한다.
도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2)의 바닥판(2a)에는 구획 벽(11) 및 구획 벽(12)이 형성되어 있다. 구획 벽(11)은 스풀(4a)에 권취된 인쇄용 테이프(4)가 수납되어야 할 공간을 구획하고 있고, 구획 벽(12)은 스풀(6a)에 권취된 양면 접착 테이프(6)가 수납되어야 할 공간을 구획하고 있다.
구획 벽(11)에 인접한 장소에는 한 쌍의 센서 보유 지지 프레임(13a, 13b)이 설치되어 있다. 센서 보유 지지 프레임(13a, 13b)은 인쇄용 테이프(4)가 센서 보유 지지 프레임(13a, 13b) 사이를 통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광학적으로 검지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보유 지지하고 있다. 이들 센서는 미사용의 인쇄용 테이프(4)가 아직 카세트(1)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카세트(1)가 장착되는 인쇄 테이프 작성 장치는 서멀 헤드를 이용하여 인쇄용 테이프(4)에 인쇄를 행한다. 본체 프레임(2)의 2개의 긴 측면 중 한 쪽은 공간(15)이 형성되도록 변형되어 있다. 공간(15)은 카세트(1)를 인쇄 테이프 작성 장치에 장착하였을 때에 서멀 헤드(14)가 배치되는 장소이다. 또한, 본체 프레임(2)의 상기 측면에는 서멀 헤드(14)의 곳까지 인쇄용 테이프(4)를 가이드하는 노우즈부(16)가 공간(15)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노우즈부(16)의 선단부에는 인쇄용 테이프(4)가 인출되는 가늘고 긴 개구인 배출구(18)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2) 내에서는 인쇄용 테이프(4)가 한 쌍의 센서 보유 지지 프레임(13a, 13b) 사이에 통과되고, 또한 스풀(5a)에 권취되어 있는 잉크 테이프(5)의 근처를 통과된 후, 노우즈부(16) 속으로 통과되어 배출구(18)로부터 밖으로 인출되어 있다. 인쇄용 테이프(4)가 통과하는 경로의 도중에는 스풀(5a)에 권취되어 있는 잉크 테이프(5)에 인쇄용 테이프(4)가 접촉되지 않도록 인쇄용 테이프를 가이드하는 복수의 원통 가이드(17)가 바닥판(2a)에 설치되어 있다. 노우즈부(16) 중에는 판형의 구획 벽(19)이 본체 프레임의 측벽(2b)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인쇄용 테이프(4)는 구획 벽(19)의 전방측, 즉 구획 벽(19)과 측벽(2b) 사이에 통과된다. 한편, 스풀(5a)에 권취되어 있는 잉크 테이프(5)는 구획 벽(19)의 후방측, 즉 인쇄용 테이프(4)가 통과되어 있는 측과 반대의 측을 통과된 후, 배출구(18)로부터 인출되어 있다. 배출구(18)로부터 인출된 잉크 테이프(5)는 인쇄용 테이프(4)에 대략 평행하게 근접하고 있다.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2)은 노우즈부(16)의 배출구(18)와 대향하는 위치에 잉크 테이프(5)의 취입구(20)를 구비한 리브부(21)를 갖는다. 취입구(20)에 들어간 잉크 테이프(5)는 공간(15)을 협지하여 노우즈부(16)와 반대의 측에 있는 본체 프레임(2)의 영역 내를 통해 권취 스풀(10)까지 진행하여 권취 스풀(10)에 권취된다.
본체 프레임(2)의 리브부(21)의 근방에는 테이프 이송 롤러(2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6a)로부터 인출된 양면 접착 테이프(6)는 테이프 이송롤러(22)에 의해 카세트(1)의 밖으로 안내된다.
본 실시 형태의 카세트(1)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6-227073호 공보에 개시된 인쇄 테이프 작성 장치에 본체 프레임(2)이 하측이 되도록 장착된다. 카세트(1)가 인쇄 테이프 작성 장치에 장착되면, 권취 스풀(10) 및 테이프 이송 롤러(22)가 각각 테이프 인쇄 장치가 갖는 권취 구동축(도시되지 않음) 및 반송 구동축(도시되지 않음)과 스플라인 끼워 맞춤하여 그들에 의해 구동된다.
인쇄 동작시에는 인쇄 테이프 작성 장치의 플라텐 롤러(23)와 서멀 헤드(14)의 발열 소자와의 사이에 인쇄용 테이프(4)와 잉크 테이프(5)가 협지되고, 서멀 헤드(14)가 인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인쇄용 테이프(4)에 문자 등의 경상을 인쇄한다. 인쇄가 행해진 후, 취입구(20)에 있어서 잉크 테이프(5)가 인쇄용 테이프(4)로부터 떼어진다. 인쇄용 테이프(4)는, 다음에 양면 접착 테이프(6)와 함께 테이프 이송 롤러(22)와 핀치 롤러(24) 사이에 통과된다. 이 때, 양면 접착 테이프(6)의 박리형 테이프가 테이프 이송 롤러(22)의 외주면과 접촉하므로, 양면 접착 테이프(6)가 테이프 이송 롤러(22)에 접착되는 일은 없다. 또한, 테이프 이송 롤러(22)와 핀치 롤러(24)를 통과함으로써 양면 접착 테이프(6)가 인쇄용 테이프(4)의 인쇄면에 접착된다. 그 후, 인쇄용 테이프(4)는 인쇄 테이프 작성 장치의 밖으로 반송된다.
본체 프레임(2)의 한 쪽 구석에는 이것에 탑재되는 잉크 테이프(6)의 잉크의 색, 인쇄용 테이프의 종류(테이프의 표면에 정상(正像)인쇄하는 리셉터 타입과, 경상 인쇄하는 라미네이트 타입이 있음), 혹은 상기 인쇄용 테이프(4)의 폭 치수 등에 의해 배치가 정해진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피검출부(25)를 인쇄 테이프 작성 장치에 설치한 검출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인쇄 테이프 작성 장치(또는 테이프 프린터)는 키보드나, 액정 표시 등의 디스플레이 부분 등을 갖는 데이터 작성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인쇄 테이프 작성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와 접속 코드나 적외선 등의 무선 통신 라인을 거쳐서 접속되고, 외부 장치에 있어서 작성된, 또는 외부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캐릭터 데이터, 즉 문자, 기호, 도형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테이프에 인쇄해도 좋다.
카세트(1)는 인쇄용 테이프(4), 잉크 테이프(5) 및 양면 접착 테이프(6)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커버 프레임(3)을 본체 프레임(2)에 대해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2)의 바닥판(2a)이나 측벽(2b)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보스부(30a, 30b, 30c, 30d, 30e, 30f)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 프레임(3)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스부(30a, 30b, 30c, 30d, 30e, 30f)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거쳐서 보스부(30a, 30b, 30c, 30d, 30e, 30f)에 나사(31a, 31b, 31c, 31d, 31e, 31f)를 비틀어 넣음으로써 본체 프레임(2)에 부착된다.
도5a 및 도5b는 카세트(1)를 도2a의 화살표 Va-Va에 의해 나타내는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5a에서는 본체 프레임(2)으로부터 커버 프레임(3)이 제거되어 있고, 도5b에서는 본체 프레임(2)에 커버 프레임(3)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5c는 도5b의 Vc-Vc선에 따른 카세트(1)의 일부의 단면도이고, 도5d는 도5c의 Vd-Vd선에 따른 카세트(1)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5a 내지 도5d 및 도2a,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우즈부(16)가 형성되어 있는 측을 제외한 본체 프레임의 측벽(2b)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직사각형의 제1 걸림 구멍(3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커버 프레임(3)에는 천정판(3a)의 측모서리 근방으로부터 하방[본체 프레임(2)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아암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35)는 가늘고 긴 판형의 부재이다. 각 아암부(35)의 선단부에는 걸림 구멍(3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갈고리(36)가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35)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서는 커버 프레임의 측벽(3b)에 슬릿(3c)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아암부(35)는 측벽(3b)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고, 그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있어서만 커버 프레임(3)과 연결하고 있다. 이로 인해, 아암부(35)는 카세트(1)의 내측으로 휘기 쉽다.
각 아암부(35)는 피복부(43)를 갖고 있다. 피복부(43)는 걸림 구멍(34)에 결합 갈고리(36)가 결합하였을 때에 걸림 구멍(34)과 결합 갈고리(36) 사이의 간극을 덮도록 결합 갈고리(36)의 주위에 아암부(35)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걸림 구멍(34)의 개구부가 치수(L1)의 정방형일 때, 피복부(43)는 그 세로 치수(L2) 및 가로 치수(L3)가 모두 L1보다 커지도록 형성된다(L2 > L1, L3 > L1).
측벽(2b)에는 걸림 구멍(34)으로부터 바닥판(2a)의 방향으로 신장하는 폭(L1)의 단차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본체 프레임(2)을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할 때에 걸림 구멍(34)을 형성하기 위한 발(拔)형을 본체 프레임(2)의 형 중에 배치하기 위해 생긴 홈이다. 이와 같은 단차부(44)가 있으므로, 피복부(43)의 하단부(43a)는 걸림 구멍(34)의 하단부도 덮을 수 있도록 스텝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도5c 참조).
본체 프레임(2)의 개구면을 덮도록 커버 프레임(3)을 본체 프레임(2)에 장착하면, 커버 프레임(3)의 아암부(35)는 본체 프레임(2)의 측벽(2b)의 내측에 따라서 배치되어 결합 갈고리(36)가 걸림 구멍(34)에 결합한다.
도6은 걸림 구멍(34)에 결합한 아암부(35)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걸림 구멍(34)의 면적은 일반적으로 결합 갈고리(36)의 면적보다 크다. 이로 인해, 결합 갈고리(36)와 걸림 구멍(34)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 그러나, 피복부(43)가 결합 갈고리(36)의 주위에 걸림 구멍(34)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 구멍(34)은 결합 갈고리(36)와 피복부(43)에 의해 완전히 막힌다. 이로 인해, 먼지나 이물질이 걸림 구멍(34)을 거쳐서 카세트(1)의 내부로 침입하는 일은 없다. 또한, 피복부(43)는 사출 성형에 의해 아암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복부(43)를 설치함으로써 카세트의 제조 비용이 크게 증대되는 일은 없다.
또한, 아암부(35)는 본체 프레임(2)의 측벽의 내면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카세트(1)를 취급하였을 때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아암부(35)에 접촉되고, 그 결과, 아암부(35)가 깨지거나, 결합 갈고리(36)가 걸림 구멍(34)으로부터 제거되거나 하는 일은 없다. 또한, 걸림 구멍(34)은 사람의 손가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걸림 구멍(34)의 외측으로 손가락을 압박해도 결합 갈고리(36)가 걸림 구멍(34)으로부터 밀어내어지는 일은 없다.
본체 프레임(2)에는 커버 프레임(3)이 본체 프레임(2)에 장착될 때에 아암부(35)를 걸림 구멍(34)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45)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45)로서는, 예를 들어 도5c 및 도5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벽(2b)의 내측에 있어서 걸림 구멍(34)의 양측 근방에 설치된 1세트의 세로로 긴 돌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45)를 본체 프레임(2)에 형성하면, 결합 갈고리(36)를 걸림 구멍(34)에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5e는 가이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5d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2b)에는 가늘고 긴 돌기 대신에 걸림 구멍(34)의 양측에 한 쌍의 홈(145)을 가이드부로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또한 그 홈(145)에 따라서 슬라이드하는 한 쌍의 돌기(35a)가 아암부(35)에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부(45)(145)는 아암부(35)를 걸림 구멍(34)에 결합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걸림 구멍(34)을 통해 카세트(1)의 내부로 들어가기까지 먼지 등이 통과해야만 하는 좁은 간극의 거리를 길게 하므로, 카세트(1) 내로의 이물질의 침입 방지에도 도움이 된다.
도7a는 아암부(35)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7b는 도7a의 선 VⅡb-VⅡb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7c는 도7a의 선 VⅡc-VⅡc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도7a 내지 도7c에서는, 이미 설명한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어 있다.
도7a에 도시하는 아암부(135)는 폭(L2)이 걸림 구멍(34)의 가로 치수(L1)와 대략 동등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복부(43)가 결합 갈고리(36)보다 하방에 있어서 아암부(135)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외의 점에서는, 아암부(135)는 도5a에 도시한 아암부(135)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부(135)를 형성한 경우라도 상기 피복부(43)에 의해 걸림 구멍(34)의 개구면을 덮을 수 있고, 그것에 의해 걸림 구멍(34)을 거쳐서 먼지나 이물질이 카세트(1)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도2a는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우즈부(16)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본체 프레임(2)의 측벽(2b) 및 측벽(2c)에는 제2 걸림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2)의 바닥면(2a)에는 각 제2 걸림 구멍(37)의 근방에 문형 프레임(40)이 설치되어 있다. 문형 프레임(40)은 측벽(2b)[또는 측벽(2c)]과 평행하고, 또한 소정의 간극을 갖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는 측벽(2b)[또는 측벽(2c)]과 문형 프레임(40) 사이에 후술하는 훅부(41)가 달린 아암부(42)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8은 아암부(42)의 일부와 문형 프레임(40)의 사시도이다. 도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문형 프레임(40)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좌우 지주부(40b, 40b) 와 그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 빔(40a)을 갖는다.
도9a 및 도9b는 아암부(42)와 결합하고 있는 문형 프레임(4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9a는 도9b의 Ⅸa-Ⅸ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9b는 도9a의 Ⅸb-Ⅸb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빔(40a)의 하면은 제2 걸림 구멍(37)의 상단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하, 가로 빔(40a)의 하면을 보조 걸림부(39)라 부른다.
도8로 복귀하여 문형 프레임(40)의 좌우 지주부(40b, 40b)의 측벽(2b)[또는 측벽(2c)]과 대립하는 측면에는 경사부(47, 47)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47, 47)는 상부로 감에 따라서[본체 프레임(2)의 바닥판(2a)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측벽(2b)[또는 측벽(2c)]과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47, 4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훅부(41)를 보조 걸림부(39)로부터 제거할 때에 이용된다.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3)의 천정판(3a)의 측모서리로부터는 아암부(42)가 하향[본체 프레임(2)을 향해]으로 신장하고 있다. 아암부(42)는 커버 프레임(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42)의 선단부에는 훅부(41)가 형성되어 있다. 훅부(41)는 제2 걸림 구멍(37) 및 보조 걸림부(39) 모두 결합할 수 있도록 단면이 화살표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훅부(41)는 도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걸림 구멍(37)에 걸릴 수 있도록 한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결합 갈고리부(41a)와, 보조 걸림부(39)에 결합할 수 있도록 다른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결합 갈고리부(41b)를 갖는다.
또한, 커버 프레임(3)의 측벽(3b)은 아암부(42)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슬릿(3d)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아암부(42)와 측벽(3b)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아암부(42)는 그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있어서만 커버 프레임(3)과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아암부(42)는, 예를 들어 카세트의 내측을 향해 용이하게 휜다.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2)에 커버 프레임(3)을 부착하면 아암부(42)가 측벽(2b)[측벽(2c)]과 문형 프레임(40) 사이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통상은 결합 갈고리부(41a)가 제2 걸림 구멍(37)에 걸린다. 이에 의해, 커버 프레임(3)이 본체 프레임(2)으로부터 제거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3)은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이로 인해, 도9b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부(42)가 커버 프레임(3)의 내측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일이 있다. 또한, 커버 프레임(3)을 본체 프레임(2)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는 결합 갈고리부(41a)를 제2 걸림 구멍(37)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아암부(42)를 내측을 향해 구부려야만 한다. 이 때, 아암부(42)가 소성 변형하여 도9b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걸림 구멍(37)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 버리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아암부(42)가 기울면, 결합 갈고리부(41a)가 제2 걸림 구멍(37)과 결합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카세트(1)에서는, 상기와 같이 측벽(2b)[측벽(2c)]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아암부(42)가 기울어진 경우에는 훅부(41)의 또 하나의 걸림 갈고리부(41b)가 문형 프레임(40)의 보조 걸림부(39)와 결합하므로, 커버 프레임(3)은 본체 프레임(2)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본 실시 형태의 카세트(1)에 있어서, 인쇄용 테이프(4), 잉크 테이프(5) 및양면 접착 테이프(6)가 모두 소비된 경우, 사용자는 소정의 판매점에 사용 불가능하게 된 카세트(1)를 반입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적당한 비용을 지불하여 카세트(1)의 테이프(4, 5, 6)를 새로운 것으로 채워 넣는 것을 의뢰한다. 테이프의 채워 넣기를 행하는 제작소에서는 커버 프레임(3)을 본체 프레임(2)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새로운 테이프를 카세트(1) 내에 보충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3)은 이하의 순서로 본체 프레임(2)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처음에, 사용이 종료된 카세트(1)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00)에 적재된다. 지지대(100)는 복수의 위치 결정용 돌기(101)를 구비하고 있다. 카세트(1)는 복수의 위치 결정용 돌기(101)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카세트(1)는 위치 결정용 돌기(101)에 의해 지지대(100) 상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보유 지지된다.
지지대(100)의 4개 측부에는 각각 하나의 오목부(102)가 카세트(1)의 제1 걸림 구멍(34) 또는 제2 걸림 구멍(37)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102)에는 보조대(10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보조대(103)에는 제1 가압 부재(104)가 본체 프레임(2)의 측벽(3b)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제1 걸림 구멍(34)과 결합하고 있는 결합 갈고리(36)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제1 걸림 구멍(34)의 전방에 장착된 보조대(103)의 제1 가압 부재(104)를 슬라이드시켜 제1 가압 부재(104)의 선단부를 제1 걸림 구멍(34)에 결합하고 있는 결합 갈고리(36)에 압박한다. 이 결과, 아암부(35)가 카세트(1)의 내측을 향해 탄성 변형되어 결합 갈고리(36)가 제1 걸림 구멍(34)으로부터 제거된다.
지지대(100)에는 지지대를 관통하는 2개의 조작 구멍(106)이 형성되어 있다. 각 조작 구멍(106)은 지지대(100)에 부착된 카세트(1) 내의 아암부(42)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2)의 바닥판(2a)에는 각 조작 구멍(106)에 대응한 위치에 관통 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도8 참조).
도11은 본체 프레임(2)의 측벽(2b)에 마련된 제2 걸림 구멍(37)과 결합하고 있는 아암부(42)의 훅부(41)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체 프레임(2)의 측벽(2b)에 결합하고 있는 훅부(41)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조작 구멍(106)에 선단부가 두 갈래로 나뉘어져 있는 제2 가압 부재(105)를 삽입한다. 조작 구멍(106)에 삽입된 제2 가압 부재(105)는 관통 구멍(46)을 통과하여 문형 프레임(40)의 경사부(47)에 접촉한다. 제2 가압 부재(105)를 더욱 밀어 올리면, 제2 가압 부재(105)가 경사부(47)를 압박하여 문형 프레임(40)을 측벽(2b)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휘게 한다.
다음에, 제1 가압 부재(104)의 선단부를 제2 걸림 구멍(37)에 삽입하여 훅부(41)의 걸림 갈고리부(41a)를 제2 걸림 구멍(37)으로부터 밀어낸다. 이 때, 문형 프레임(40)은 측벽(2b)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으므로, 훅부(41)의 반대측의 결합 갈고리부(41b)가 보조 걸림부(39)와 결합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훅부(41)를 측벽(2b)과 문형 프레임(40) 사이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훅부(41)의 결합 갈고리부(41b)가 처음부터 보조 걸림부(39)에 걸려 있는 경우에는 제2 가압 부재(105)를 이용하여 문형 프레임(40)을 측벽(2b)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휘게 하는 것만으로 훅부(41)를 보조 걸림부(39)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2)의 측벽(2c)에 마련된 제2 걸림 구멍(37)에는 노우즈부(16)가 있으므로, 제1 가압 부재(105)를 삽입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측벽(2c)과 결합하고 있는 훅부(41)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2 가압 부재(105)를 대응하는 조작 구멍(106) 및 관통 구멍(46)에 삽입하고, 그것에 의해 문형 프레임(40)을 휘게 한 후에 갈고리형으로 구부린 공구(도시되지 않음)를 공간(15)로부터 제2 걸림 구멍(37)으로 삽입하고, 훅부(41)를 측벽(2c)의 제2 걸림 구멍(37)으로부터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커버 프레임(3)의 아암부(35) 및 아암부(42)를 본체 프레임(2)으로부터 제거한 후, 나사(31a 내지 31f)가 제거되어 커버 프레임(3)이 본체 프레임(2)으로부터 제거된다. 다음에, 새로운 테이프(4, 5, 6)를 본체 프레임(2)에 공급한다. 새로운 테이프를 본체 프레임에 공급한 후, 제1 걸림 구멍(34), 제2 걸림 구멍(37)에 아암부(35), 아암부(42)가 각각 결합하도록 커버 프레임(3)이 본체 프레임(2)에 부착되고, 또한 나사(31a 내지 31f)가 다시 나사 부착된다. 이에 의해, 카세트(1)의 재사용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카세트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 카세트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카세트(1)에서는 아암부(35)가 커버 프레임(3)에 설치되고, 걸림 구멍(34)이 본체 프레임(2)에 마련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걸림 구멍(34)을 커버 프레임(3)에 마련하고, 아암부(35)를 본체 프레임(2)에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카세트(1)에서는 커버 프레임(3)이 본체 프레임(2)에 부착되었을 때에 아암부(35)가 본체 프레임(2)의 측벽(2b)의 내면에 따라서 배치되도록 커버 프레임(3)과 본체 프레임(2)을 구성하고 있지만, 커버 프레임(3) 및 본체 프레임(2)은 아암부(35)가 본체 프레임(2)의 측벽(2b)의 외면에 따라서 배치되도록[아암부(35)가 본체 프레임(2)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커버 프레임(3)의 측벽의 외면에 따라서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 갈고리(36)는 아암부(35)의 내면측에 설치된다.
또한, 나사(31a 내지 31f)를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걸림 구멍(34)과, 결합 갈고리(36)가 달린 아암부(35)만으로 본체 프레임(2)에 커버 프레임(3)을 부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에 설명한 카세트는 투명한 인쇄용 테이프의 표면에 문자 등의 정상을 인쇄하여 양면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는 리셉터 타입의 테이프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설명한 카세트는 인쇄용 테이프로서 감열지로 이루어지는 테이프를 수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잉크 테이프는 카세트에 수납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의한 카세트는 커버 프레임을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새로운 테이프를 본체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이 다시 본체 프레임에 부착되면, 아암부의 결합 갈고리가 걸림 구멍과 결합하므로 커버 프레임은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제거되어 없어진다. 또한, 아암부에는 걸림 구멍을 덮는 피복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결합 갈고리와 걸림 구멍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이물질 등이 카세트 내로 침입하는 일이 없다.

Claims (15)

  1. 테이프형의 기록 매체를 인출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1면이 개구되어 있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커버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한 쪽에 걸림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본체 프레임 및 커버 프레임의 다른 쪽에 상기 걸림 구멍에 착탈 가능한 결합 갈고리를 갖는 아암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아암부에는 상기 걸림 구멍의 개구면을 덮기 위한 피복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구멍은 상기 본체 프레임과 커버 프레임 중 어느 한 쪽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 프레임이 상기 본체 프레임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아암부는 상기 측벽의 내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아암부의 외면에 상기 결합 갈고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휘는 것을 허용하는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는 가늘고 긴 판형 부재로,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있어서만 상기 커버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는 상기 아암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구멍을 갖는 측벽에는 상기 아암부의 삽입 방향에 따라서 가이드부가 상기 걸림 구멍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걸림 구멍의 양측에 설치된 1세트의 가늘고 긴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걸림 구멍의 근방에 마련된 가늘고 긴 가이드 홈이고,
    상기 아암부에는 상기 가이드 홈 내를 슬라이드하는 가이드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본체 프레임 또는 커버 프레임에 있어서의 외주를 둘러싸는 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10. 테이프를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기 위한 케이싱이며,
    바닥판 및 측벽을 갖고, 상기 테이프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되어 있는 본체 프레임이며, 상기 측벽에 관통 구멍을 갖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면을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커버 프레임이며, 상기 본체 프레임의 측벽의 내측에 따라서 상기 관통 구멍 쪽으로 신장하여 상기 관통 구멍을 덮는 동시에, 상기 본체 프레임의 측벽과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결합 돌기를 상기 관통 구멍에 결합시키는 판형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커버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1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부 판 및 측벽을 갖고,
    상기 판형 부재는 상기 상부 판의 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 프레임의 측벽은 상기 판형 부재가 상기 상부 판과만 연결되도록 상기 판형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부재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측벽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휘는 것을 허용하는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측벽의 내면에는 상기 커버 프레임이 상기 본체 부재에 부착될 때에 상기 판형 부재를 상기 관통 구멍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관통 구멍의 양측에 설치된 1세트의 세로로 긴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관통 구멍의 근방에 마련된 가늘고 긴 가이드 홈이고,
    상기 판형 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홈 내를 슬라이드하는 가이드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KR10-2004-7015191A 2002-03-27 2003-03-26 카세트 KR200401020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89528A JP2003285488A (ja) 2002-03-27 2002-03-27 カセット
JPJP-P-2002-00089528 2002-03-27
PCT/JP2003/003766 WO2003080352A1 (fr) 2002-03-27 2003-03-26 Casset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055A true KR20040102055A (ko) 2004-12-03

Family

ID=2844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191A KR20040102055A (ko) 2002-03-27 2003-03-26 카세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3285488A (ko)
KR (1) KR20040102055A (ko)
CN (1) CN100446986C (ko)
AU (1) AU2003227233A1 (ko)
WO (1) WO2003080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4144B2 (ja) * 2005-04-25 2009-06-03 船井電機株式会社 インクシートカートリッジ
DK2202080T3 (da) 2008-12-25 2012-03-12 Brother Ind Ltd Båndprinter
ES2554777T3 (es) 2008-12-25 2015-12-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artucho de cinta e impresora de cinta
KR101705382B1 (ko) 2009-03-31 2017-02-09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테이프 카세트 및 테이프 인자기
WO2010113780A1 (ja) 2009-03-31 2010-10-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JP5136503B2 (ja) 2009-03-31 2013-02-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CN104442030B (zh) 2009-03-31 2017-04-12 兄弟工业株式会社 带盒
CN101850665B (zh) 2009-03-31 2015-01-14 兄弟工业株式会社 带盒
EP2448762B1 (en) 2009-06-30 2013-09-1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and tape printer
WO2011074086A1 (ja) 2009-12-16 2011-06-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WO2011080840A1 (ja) 2009-12-28 2011-07-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4558U (ko) * 1988-10-07 1990-04-19
JPH04135558U (ja) * 1991-06-11 1992-12-16 マツクス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ツジ
JP3335433B2 (ja) * 1993-07-07 2002-10-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JP4671004B2 (ja) * 1999-09-14 2011-04-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85488A (ja) 2003-10-07
CN1642746A (zh) 2005-07-20
WO2003080352A1 (fr) 2003-10-02
AU2003227233A1 (en) 2003-10-08
CN100446986C (zh)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70740B2 (ja) テープユニット、テープカセット並びにテープ印字装置
KR101892528B1 (ko) 테이프 카트리지
CN106232372B (zh) 具有强化介质及色带装卸特征的介质处理设备
JP2003285522A (ja) カセット
KR101727993B1 (ko) 테이프 카트리지
US5494365A (en) Tape cassette
EP0487314A1 (en) A cassette
JP2008254449A (ja) 印字装置
WO2002032680A1 (fr) Cassette a ruban et ensemble ruban
KR20040102055A (ko) 카세트
US20070264070A1 (en) Low Friction Cassette
JP2002308518A (ja) テープユニット
JP2006056263A (ja) 印字装置
JPH0725122A (ja) ノンラミネート型テープカートリッジ
US7025296B2 (en) Tape cassette and tape unit
JP2000043336A (ja) テープカセット
JP2000043337A (ja) テープカセット
JP2002308481A (ja) テープカセット及びテープユニット
JPH11188957A (ja) テープカセット
JP3952162B2 (ja) カセットとその分解方法及び分解用治具装置
JP7056211B2 (ja) 媒体アダプタ
JP3744452B2 (ja) カセット
JP2005288858A (ja) テープカセット
JP3765281B2 (ja) カセット
JP3861474B2 (ja) テープ装着用治具及びその治具を用いた装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