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1302A - 맛이 차폐된 수의용 고형 조성물 - Google Patents

맛이 차폐된 수의용 고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1302A
KR20040101302A KR10-2004-7014280A KR20047014280A KR20040101302A KR 20040101302 A KR20040101302 A KR 20040101302A KR 20047014280 A KR20047014280 A KR 20047014280A KR 20040101302 A KR20040101302 A KR 20040101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ingredient
particles
animal
veterinary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베르트 토마
우베 토마스 쇼테
우테 이젤레
Original Assignee
노파르티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79878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10130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노파르티스 아게 filed Critical 노파르티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40101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30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2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77Tablets comprising drug-containing microparticles in a substantial amount of supporting matrix; Multiparticulate tablets
    • A61K9/2081Tablets comprising drug-containing microparticles in a substantial amount of supporting matrix; Multiparticulate tablets with microcapsules or coated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61K9/5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10Anthelmin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Onc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맛이 나지 않는 생리학상 상용성인 고체 담체 물질의 미분 입자가 매립되어 있는, 가축에게 매력적인 펠렛 또는 정제 형태의 기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담체 물질의 미분 입자는 평균 직경이 0.09 내지 0.8㎜이며, 수의용 의약용 활성 물질로 코팅되어 있고, 상기 활성 물질 층은 생리학상 상용성인 중합체 매트릭스의 보호층으로 싸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의약의 공급 및 제조, 및 이러한 동물용 의약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수의용 의약의 제조에서 이러한 담체 물질의 이중 코팅된 미분 입자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맛이 차폐된 수의용 고형 조성물{TASTED MASKED VETERINARY SOLID COMPOSITIONS}
인간의 경우, 인간 환자는 훈련 및 회복하려는 욕구에 의존할 수 있기 때문에, 정제, 코팅 정제, 유화액, 주사액, 좌제 등의 광범위한 투여형으로 약이 투여될 수 있지만, 동물의 경우에는 좌제 사용과 같은 몇몇 투여형은 한꺼번에 분배되어야 하거나, 또는 주사제와 같은 다른 형태는 수의사에 의해서만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문제에 곧 부닥친다.
사람들은 대체로 의사를 찾아 가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당해 동물은 가축 또는 생산용 가축이기 때문에, 사육자는 수의사 없이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을 사용하기를 선호한다. 사육자가 스스로, 예컨대 수의사의 지시에 따라 수행할 수 있는 바람직한 치료 방법은 특히 약의 경구 투여법이다.
인간 환자는 자기에게 이로우므로 의사의 권고를 따르거나 포장물안의 인쇄물의 지시를 읽고 이를 따르며, 제조자는 일반적으로 경구 소비에 적당하고 인간 환자에게 맞게 만든 형태의 정제, 캡슐 또는 코팅 정제를 제조하기 때문에, 인간을 약으로 치료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제약 활성 성분이 동물에게 불쾌한 맛을 주자마자, 그 맛이 쓰든지 또는 어떤 다른 불쾌한 맛을 내든지 또는 단순히 동물에게 맞지 않든지 때문에, 동물은 경구 섭취하기를 거부한다. 이러한 선천적인 행동은 여러 종의 동물들 간에서 그 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나며, 본질적으로는 이들의 통상적인 식습관에 의존한다. 불행하게도, 맛이 나지 않는 활성 성분은 몇가지 뿐이므로, 본원에서 논의되는 문제는 거의 항상 존재한다.
인간 환자의 경우에, 불쾌한 맛의 활성 성분은, 예컨대 이를 맛이 나지 않거나 달콤한 맛이 나는 층으로 코팅함으로써 비교적 쉽게 차폐될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언젠가 당 또는 라커로 코팅된 젤라틴 캡슐 또는 정제를 접한 적이 있다. 인간 환자에게 씹지 않고 제제를 섭취하라고 지시하기란 쉽다.
동물은 의약 제제를 경구 섭취하려는 자연스러운 마음가짐이 있어야 한다. 물론, 각각의 동물 또는 소수의 동물은 약제를 삼키게 하거나 주사함으로써 강제 섭취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강제 방법은 대규모 동물 사업에는 허용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방법은 노동 집약적이고, 개개의 경우마다 수의사를 필요로 하여 결국에는 비용을 증가시키게 되기 때문이며, 요즘의 치열한 경쟁 측면에서 볼 때 이러한 비용을 육류 또는 우유 소비자에게 전가시킬 수 없다. 그러므로, 동물을 대규모로 사육하는 경우, 수의사의 진단 및 처방 후에 가능한 독립적으로 또는심지어 완전 자동화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비용을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간단하고 안전한 투여형이 요구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요한 한가지 방법은 동물용 의약이 혼입된 건조 동물 사료, 소위 사료 펠렛 또는 사료 정제 형태로 동물용 의약을 정밀 투약하는 것이다. 본원에서의 "사료"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사료로서 기술되는 물질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영양 첨가제, 예컨대 효모, 전분, 각종 당 등을 가리킨다.
오늘날, 가축 및 생산용 가축, 예컨대 돼지, 소, 양 및 가금은 종종 최신식 완전 자동 사료 공급 시설이 설치된 동물 우리에서 사육된다. 여기에서, 사료는 동물의 연령 및 체중에 따라 완전 자동화로 배분되며, 각각의 동물에게 하루중 매우 특정한 시점에 1일량으로 수송되어, 여물통에 단독으로 놓이거나 평소의 사료 배급과 함께 혼합된다.
이러한 완전 자동화 시설에서는, 충분히 토의된 사료 펠렛이 사용된다. 문제의 사료는 식물성 및(또는) 동물성 기재의 고조밀성의 압축 에너지 사료이며, 여기에는 단백질, 비타민 및 미네랄과 같은 첨가제가 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사료 펠렛은 단지 제조 공정에 따라 동물의 종 및 연령에 맞춰 만든 균일한 크기를 갖는 인조의 자유 유동성 원형 또는 타원형 입자형, 구형 또는 심지어 막대형 물체로서, 그 평균 횡단면은 가금류의 경우 수 밀리미터에서부터 성인 돼지 및 소의 경우 약 1센티미터가 될 수 있다. 사료 펠렛은 공업용 사료 분쇄기에 의해 유기 출발 물질을 분쇄하고, 성분들을 소정의 조성으로 혼합하고, 마지막으로 펠렛으로 압축함으로써 제조된 다음, 자루에 채워져 사육자에게 전달되고, 사육자는 이를 담아서 분배기에 분배한다. 이러한 펠렛의 중요한 이점은 이들의 균일성, 유동성 및 저장 안정성의 결과로 취급이 간단하다는 점이다. 이들은 쉽게 담아서 분배되고, 콘베이어 벨트 또는 배관을 통해 수송되고, 정확한 배당량으로 각 동물에게 모두 완전 자동화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펠렛은 생 사료보다 공간을 상당히 덜 차지하며, 특히 동물의 미각 및 후각에 불쾌하거나 반발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성분들을 함유하지 않는다면, 동물들은 문제없이 잘 먹는다.
그러므로, 이들 펠렛에 단백질 및 비타민 및 무기질과 같은 기타 필수 물질 뿐만 아니라 필요하다면 동물용 의약을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로, 이는 이미 실행되고 있지만,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불쾌한 맛 또는 불쾌한 냄새를 갖는 활성 성분의 경우에는 기술된 용인성(acceptance) 문제에 부닥친다.
또한, 사료 펠렛을 제조할 때의 안정성 문제가 있다. 사료 펠렛을 생산하는 통상의 공정에서는, 동물성 또는 식물성 건조 유기 출발 물질을 분쇄하고, 본 발명에 따라 차폐된 입자 및 임의로 추가의 첨가제, 비타민 또는 미량 원소와 함께 완전 혼합하고, 즉 실질적으로 균질화한 다음, 약 약 5 내지 10중량%의 물로 습윤화하고, 1 내지 100킬로바의 압력하에 약 8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의 승온에서 펠렛으로 압축한다. 압축기에서의 체류 시간은 약 5 내지 180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90초이고, 특히 펠렛의 크기에 좌우된다.
수의용 의약에 사용될 수 있는 많은 활성 성분은 순수한 형태에서 상기 온도를 매우 잘 견디고, 심지어 수년 수개월동안 중요한 활성 손실 없이 실온에서 보관될 수 있지만, 이들중 대부분은 가압하에, 동물성 또는 식물성 사료 섬유질과의 친밀한 접촉시 및 80 내지 100℃의 평균 온도에서는 비교적 빠르게 분해된다. 섬유질과의 접촉은 분해 공정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승압 및 승온 상태가 기술상 가능한한 짧게 유지되고, 완성된 펠렛이 압축 공정 직후에 실온으로 즉시 냉각되더라도, 활성 성분의 약 4분의 1 또는 3분의 1은 여전히 손실된다. 분해된 제품이 보통 치료되는 동물에게 어떠한 악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실질적으로 더 다량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피할 수 없는 활성 성분의 손실은 의심할 여지없이 최종 제품의 비용을 상당히 상승시킬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대적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사료 펠렛 형태의 활성 성분의 정확한 투약은 오직 펠렛 제조 후 약 4 내지 6주동안만 사전에 보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육자는 비교적 새로 제조된 펠렛만을 사용해야 했다. 이들은 중요한 장기간 저장을 추구할 수 없었고, 항생물질의 함량이 보장된 새로운 사료를 입수할 수 있도록, 사료 공장에 매 4 내지 6주마다 새로운 생산 요청을 하여야만 했다. 이는 기술적으로 실행가능하지만, 고도로 세부적인 사업 계획이 필요하며, 사료 공장은 그들의 생산 프로그램과 불가피하게 맞지 않는 소량 주문량을 항상 생산하여야 하므로, 불쾌한 대기 시간이 생기고, 특히 펠렛의 부가 비용을 유발한다.
본 발명은 맛을 차폐하는 안정화된 형태로 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동물에게 경구 투여하기가 용이한 소정 투여형의 동물용 의약 제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쓰고 좋지 못한 맛이 나는 활성 성분 또는 다른 양상으로 동물에게 불쾌한 성분을 함유하는 상기 실시양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료 펠렛과 관련하여 기술된 기술적 문제를 매우 쉽게 해결할 수 있으며, 동물들에게 문제없이 경구 섭취되는 펠렛을 제조할 수 있다.
동물에 대한 캡슐 및 코팅 정제의 투여를 검토한 결과, 이들 투여형은 동물용 의약으로는 다소 부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는데, 집단 동물의 경우에는 1일 기준으로 상당한 노력을 들여 제어 방식으로 사용될 수 밖에 없으며, 개 및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의 경우에는 특정한 용인성 문제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경구 투여형을 사용할 때 동물의 식습관은 일반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개의 경우는, 예를 들어 뼈위에 붙어 있는 고형 음식물은 갉아 먹고, 큰 토막이나 습윤 배합된 음식물 형태의 다른 음식물은 거의 씹지 않고 삼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정제 또는 코팅 정제를 습윤 배합된 음식과 혼합하는 경우, 매우 상이한 결과가 얻어진다. 일부의 경우, 개는 정제를 전혀 알아채지 못하고 간단히 삼키는데, 어떤 경우에는 먹이통에 먹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개와는 반대로, 고양이는 식습관이 상당히 더 까다롭다. 가장 드문 경우에서만, 고양이가 즉시 알아채어 거부함이 없이 정제 또는 코팅 정제가 배합 음식과 혼합될 수 있다. 고양이 역시 음식을 정확하게 씹지는 않지만, 대개는 몇번 작게 깨물어 부순다. 이 때문에 정제 또는 캡슐의 보호 코팅을 손상시켜 불쾌한 맛의 활성 성분을 방출시킨다. 활성 성분을 사료와 직접 혼합하려는 시도는 마찬가지로 실패하였는데, 희석 정도가 불쾌한 맛을 없애기에 불충분하거나 또는 활성 성분이 사료와 접촉할 때 너무 빨리 분해되기 때문이다. 동일한 이유로, 개 및 고양이의 식욕을 촉진하는, 사료, 활성 성분 및 부형제의 혼합물은 유사하게 고양이에게 있어서는 성공적인 결과를 얻지 못한다. 개 및 고양이의 경우에는, 식욕을 촉진하는 부형제, 예를 들어 식료품 산업으로부터 공지된 천연 및 인공 치즈, 육류 및 어류 향 또는 향미 강화제를 그 자체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시험 동물은 상응하는 식욕 촉진제가 있는 위약, 즉 활성 성분이 없는, 사료, 향미제 및 기타 부형제로 이루어진 정제로는 열심히 달려 들지만, 활성 성분이 첨가되자 마자 동일한 혼합물을 거부하게 된다. 분명히, 동물의 기존 문제에 대한 상이한 기술적 해결방법을 찾아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모델 활성 성분으로서 베나제프릴이 선택되었다. 알려진 바와 같이, 베나제프릴은 매우 쓴 맛을 가지며, 돼지, 개, 특히 고양이가 경구 섭취하기를 꺼린다. 베나제프릴은 CAS 등록 번호 [86541-75-5]를 갖는, [S-(R*,R*)]-3-[[1-(에톡시카르보닐)-3-페닐프로필]아미노]-2,3,4,5-테트라히드로-2-옥소-1H-1-벤자제핀-1-아세트산이란 화학 물질이다.
베나제프릴은 하기 화학 구조를 갖는다:
의료 목적을 위하여, 이 물질은 일반적으로 염산염의 형태로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도 그러하다. 베나제프릴은 EP 0,072,352호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심부전 및 신부전을 치료하기 위하여, 특히 정제 형태의 포테코어(PORTEKOR, 등록상표)라는 상표명으로 동물용 의약에 사용된다.
베나제프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나타낼 뿐이며 단지 사용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하려는 것임은 말할 나위도 없다. 물론, 동물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활성 성분을 본 발명에 따라 투여할 수 있지만, 특히 처음에 언급된 맛에 있어서 단점을 갖는 활성 성분은 동물이 경구 섭취하기를 꺼린다. 기본적으로, 다양한 개별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의 혼합물, 예컨대 외부 또는 내부 기생충에 작용하는 것 또는 바이러스성 또는 세균성 질환에 작용하는 활성 성분, 행동장애에 작용하는 활성 성분, 활동저하 또는 활동과잉과 같은 기능장애에 작용하는 활성 성분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외부 기생충은 이 경우에 동물에 보통 기생하는 기생충, 예컨대 무는 곤충(예: 모기, 벼룩 또는 이), 또는 응애목의 일원(예컨대, 응애 또는 진드기)인 것으로 이해된다. 내부 기생충은 모든 종류의 기생충병 및 세균성 질환, 특히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난 신체 기관 또는 부분(예: 폐, 심장, 소화관 또는 사지)을 감염시키거나 또는 유기체 전체에 퍼져 있는 감염을 포함한다. 이들 질병에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은, 예를 들어 아버멕틴, 밀베마이신 및 이들의 유도체(예: 이버멕틴, 셀라멕틴, 도라멕틴, 목시덱틴, 네마덱틴, 아바멕틴, 사이덱틴, 밀베마이시녹심), 및 프라지콴텔, 피란텔, 트리클라벤다졸 및 다수이다. 항미생물 활성 성분, 예컨대 각종 페니실린, 테트라사이클린, 술폰아미드, 세팔로스포린, 세파마이신, 아미노글루코시드, 트리메토프림, 디메트리다졸, 에리트로마이신, 프라마이세틴, 프루아졸리돈, 티아뮬린, 발네뮬린, 각종 매크로라이드, 스트렙토마이신 및 프로토조아에 작용하는 물질(예: 클로피돌, 살리노마이신, 모넨신, 할로푸지논, 나라신, 로베니딘 등)이 적합하다. 행동장애로는, 예컨대 개 및 고양이의 분리 불안 또는 차멀미가 있다. 기능장애 또는 활동저하란, 개별 기관 또는 조직에 대한 선천적 또는 후천적 손상을 통해 표준으로부터 벗어나는 기능을 뜻한다. 이러한 복합 증상으로는 류마티즘성 질환, 관절, 뼈 또는 내부 기관에 대한 병리학적 변화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살생물제, 예컨대 이하 거론되는 것은 오랫동안 전문가들에게 공지되어 왔다. 이들은 다양한 활성 메카니즘을 갖는 살충제 및 살진드기제, 예컨대 키틴 합성 저해제, 성장 조절제, 유충 호르몬으로서 작용하는 활성 성분, 살성충제로서 작용하는 활성 성분, 및 유사하게는 광역 살충제, 광역 살진드기제를 포함한다. 살선충제도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기생충 감염에 사용될 수 있으며, 오랫동안 공지된 구충제, 및 곤충 및(또는) 진드기 방지제도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살충제 및 살진드기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1. 아바멕틴 2. AC 303 630 3. 아세파트 4. 아크리나트린
5. 알라니카르브 6. 알디카르브 7. 알파-사이퍼메트린
8. 알파메트린 9. 아미트라즈 10. 아버멕틴 B111. AZ 60541
12. 아진포스 A 13. 아진포스 M 14. 아진포스-메틸
15. 아조사이클로틴 16. 바실루스 서브틸리스 독 17. 벤디오카르브
18. 벤푸라카르브 19. 벤술탑 20. 사이플루트린 21. 비펜트린
22. BPMC 23. 브로펜프록스 24. 브로모포스 A 25. 부펜카르브
26. 부프로페진 27. 부토카르복신 28. 부틸피리다벤 29. 카두사포스
30. 카르바릴 31. 카르보푸란 32. 카르보펜티온 33. 카르탑
34. 클로에토카르브 35. 클로르에톡시포스 36. 클로르프페나피르
37. 클로르플루아주론 38. 클로르메포스 39. 클로르피리포스
40. 시스-레스메트린 41. 클로시트린 42. 클로펜테진 43. 시아노포스
44. 사이클로프로트린 45. 사이플루트린 46. 사이헥사틴 47. D2341
48. 델타메트린 49. 데메톤 M 50. 데메톤 S 51. 데메톤-S-메틸
52. 디부틸아미노티오 53. 디클로로펜티온 54. 디클리포스
55. 디에티온 56. 디플루벤주론 57. 디메토아트 58. 디메틸빈포스
59. 디옥사티온 60. DPX-MP062 61. 에디펜포스 62. 에마멕틴
63. 엔도술판 64. 에스펜발레라트 65. 에티오펜카르브
66. 에티온 67. 에토펜프록스 68. 에토프로포스 69. 에트림포스
70. 페나미포스 71. 페나자퀸 72. 펜부타티녹시드 73. 페니트로티온
74. 페노부카르브 75. 페노티오카르브 76. 페녹시카르브
77. 페노프로파트린 78. 펜피라드 79. 펜피록시메이트 80. 펜티온
81. 펜발레레이트 82. 피프로닐 83. 플루아지남 84. 플루아주론
85. 플루사이클록수론 86. 플루사이트리나트 87. 플루페녹수론
88. 플루펜프록스 89. 포노포스 90. 포르모티온
91. 포스티아자트 92. 푸브펜프록스 93. HCH 94. 헵테노포스
95. 헥사플루뮤론 96. 헥시티아족스 97. 하이드로프렌
98. 이미다클로프리드 99. 곤충-활성 진균 100. 곤충-활성 선충
101. 곤충-활성 바이러스 102. 이프로벤포스 103. 이소펜포스
104. 이소프로카르브 105. 이속사티온 106. 이버멕틴
107. 사이할로트린 108. 루페누론 109. 말라티온
110. 메카르밤 111. 메술펜포스 112. 메트알데히드
113. 메타미도포스 114. 메티오카르브 115. 메토밀
116. 메토프렌 117. 메톨카르브 118. 메빈포스
119. 밀베멕틴 120. 목시덱틴 121. 날레드 122. NC 184
123. NI-25, 아세트아미프리드 124. 니텐피람 125. 오메토아트
126. 옥사밀 127. 옥시데메톤 M 128. 옥시데프로포스
129. 파라티온 130. 파라티온-메틸 131. 퍼메트린
132. 펜토아트 133. 포라트 134. 포살론 135. 포스메트
136. 폭심 137. 피리미카르브 138. 피리미포스 A 139. 피리미포스 M
140. 프로메카르브 141. 프로파포스 142. 프로폭수르
143. 프로티오포스 144. 프로토아트 145. 피라클로포스
146. 피라다펜티온 147. 피레스메트린 148. 피레트럼
149. 피리다벤 150. 피리미디펜 151. 피리프록시펜 152. RH 5992
153. RH-2485 154. 살리티온 155. 세부포스 156. 실라플루오펜
157. 스피노사드 158. 술포텝 159. 술프로포스 160. 테부페노자이드
161. 테부펜피라드 162. 테부피림포스 163. 테플루벤주론
164. 테플루트린 165. 테메포스 166. 테르밤 167. 테르부포스
168. 테트라클로르빈포스 169. 티아페녹스 170. 티오디카르브
171. 티오파녹스 172. 티오나진 173. 투링지엔신 174. 트랄로메트린
175. 트리아텐 176. 트리아자메이트 177. 트리아조포스
178. 트리아주론 179. 트리클로르폰 180. 트리플루뮤론
181. 트리메타카르브 182. 바미도티온
183. XMC(3,5-크실릴-메틸 카르바메이트) 184. 크실릴카르브
185. YI 5301/5302 186. 알파-사이퍼메트린 187. 제타메트린
적합한 구충제의 비제한적인 예를 하기 기술하며, 몇몇은 구충 활성 이외에 살충 및 살진드기 활성을 가지며, 일부는 이미 상기 기재하였다.
(A1)프라지콴텔=2-시클로헥실카르보닐-4-옥소-1,2,3,6,7,11b-헥사히드로-4H-피라지노[2,1-α]이소퀴놀린
(A2)클로산텔=3,5-디요오도-N-[5-클로로-2-메틸-4-(a-시아노-4-클로로벤질)페닐]-살리실아미드
(A3)트리클라벤다졸=5-클로로-6-(2,3-디클로로페녹시)-2-메틸티오-1H-벤즈이미다졸
(A4)레바미졸=L-(-)-2,3,5,6-테트라히드로-6-페닐이미다조[2,1b]티아졸
(A5)메벤다졸=(5-벤조일-1H-벤즈이미다졸-2-일)카르바민산 메틸에스테르
(A6)옴팔로틴=WO 97/20857호에 기술된, 곰팡이 옴팔로투스 올리아리우스(Omphalotus olearius)의 거대환상 발효 생성물
(A7)아바멕틴=아버멕틴 B1
(A8)이버멕틴=22,23-디히드로아버멕틴 B1
(A9)목시덱틴=5-O-데메틸-28-데옥시-25-(1,3-디메틸-1-부테닐)-6,28-에폭시-23-(메톡시이미노)-밀베마이신 B
(A10)도라멕틴=25-시클로헥실-5-O-데메틸-25-데(1-메틸프로필)-아버멕틴 A1a
(A11)밀베마이신=밀베마이신 A3과 밀베마이신 A4의 혼합물
(A12)밀베마이신옥심=밀베멕틴의 5-옥심
상기 물질들은 당업계의 전문가들에게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대부분은 문헌[Pesticide Manual, The British Crop Preotction Council, London]의 여러 개정판에 기술되어 있고, 그밖의 것은 문헌[The Merck Index, Merck & Co., Inc., Rahway, New Jersey, USA]의 여러 개정판 또는 특허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기 목록은 이들이 예로써 존재할 수 있는 소수의 곳에 제한된다.
(I) 2-메틸-2-(메틸티오)프로피온알데히드-O-메틸카르바모일옥심(알디카르브),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26];
(II) S-(3,4-디히드로-4-옥소벤조[d]-[1,2,3]-트리아진-3-일메틸) O,O-디메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아진포스-메틸),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67];
(III) 에틸-N-[2,3-디히드로-2,2-디메틸벤조푸란-7-일옥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티오]-N-이소프로필-β-알라니네이트(벤푸라카르브),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96];
(IV) 2-메틸비페닐-3-일메틸-(Z)-(1RS)-시스-3-(2-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프-1-에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비펜트린),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18];
(V) 2-3급-부틸이미노-3-이소프로필-5-페닐-1,3,5-티아디아지안-4-온(부프로페진),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57];
(VI) 2,3-디히드로-2,2-디메틸벤조푸란-7-일-메틸카르바메이트(카르보푸란),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86];
(VII) 2,3-디히드로-2,2-디메틸벤조푸란-7-일-(디부틸아미노티오)메틸카르바메이트(카르보술판),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88];
(VIII) S,S'-(2-디메틸아미노트리메틸렌)-비스(티오카르바메이트)(카르탑),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93];
(IX) 1-[3,5-디클로로-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옥시)페닐]-3-(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아(클로로풀루아주론),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213];
(X) O,O-디에틸-O-3,5,6-트리클로로-2-피리딜-포스포로티오에이트(클로르피리포스),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235];
(XI) (RS)-α-시아노-4-플루오로-3-페톡시벤질-(1RS,3RS;1RS,3RS)-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사이플루트린),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293];
(XII) (S)-α-시아노-3-페녹시벤질-(Z)-(1R,3R)-3-(2-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및 (R)-α-시아노-3-페녹시벤질-(Z)-(1R,3R)-3-(2-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람다-사이할로트린)의 혼합물,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300];
(XIII) (S)-α-시아노-3-페녹시벤질-(Z)-(1R,3R)-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및 (R)-α-시아노-3-페녹시벤질-(1S,3S)-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알파-사이퍼메트린)로 이루어진 라세미체,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308];
(XIV) (S)-α-시아노-3-페녹시벤질(1RS,3RS,1RS,3RS)-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제타-사이퍼메트린)의 입체이성질체 혼합물,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314];
(XV) (S)-α-시아노-3-페녹시벤질-(1R,3R)-3-(2,2-디브로모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델타메트린),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344];
(XVI) (4-클로로페닐)-3-(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아(디플루벤주론),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395];
(XVII) (1,4,5,6,7,7-헥사클로로-8,9,10-트리노르보른-5-엔-2,3-일렌비스메틸렌)-술파이트(엔도술판),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459];
(XVIII) α-에틸티오-o-톨릴-메틸카르바메이트(에티오펜카르브),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479];
(XIX) O,O-디메틸-O-4-니트로-m-톨릴-포스포로티오에이트(페니트로티온),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514];
(XX) 2-2급-부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페노부카르브),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516];
(XXI) (RS)-α-시아노-3-페녹시벤질-(RS)-2-(4-클로로페닐)-3-메틸부티레이트(펜발레레이트),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539];
(XXII) S-[포르밀(메틸)카르바모일메틸]-O,O-디메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포르모티온),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625];
(XXIII) 4-메틸티오-3,5-크실릴-메틸카르바메이트(메티오카르브),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813];
(XXIV) 7-클로로비시클로[3.2.0]헵타-2,6-디엔-6-일-디메틸포스페이트(헵테노포스),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670];
(XXV) 1-(6-클로로-3-피리딜메틸)-N-니트로이미다졸리딘-2-일리덴아민(이미다클로프리드),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706];
(XXVI) 2-이소프로필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이소프로카르브),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729];
(XXVII) O,S-디메틸-포스포르아미도티오에이트(메타미도포스),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808];
(XXVIII) S-메틸-N-(메틸카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이미데이트(메토밀),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815];
(XXIX) 메틸-3-(디메톡시포스피노일옥시)부트-2-에노에이트(메빈포스),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844];
(XXX) O,O-디에틸-O-4-니트로페닐-포스포로티오에이트(파라티온),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926];
(XXXI) O,O-디메틸-O-4-니트로페닐-포스포로티오에이트(파라티온-메틸),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928];
(XXXII) S-6-클로로-2,3-디히드로-2-옥소-1,3-벤족사졸-3-일메틸-O,O-디에틸 포스포르디티오에이트(포살론),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963];
(XXXIII) 2-디메틸아미노-5,6-디메틸피리미딘-4-일-디메틸카르바메이트(피리미카르브),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985];
(XXXIV) 2-이소프로폭시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프로폭수르),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London, page 1036];
(XXXV) 1-(3,5-디클로로-2,4-디플루오로페닐)-3-(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아(테플루벤주론),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158];
(XXXVI) S-3급-부틸티오메틸-O,O-디메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테르부포스),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165];
(XXXVII) 에틸-(3-3급-부틸-1-디메틸카르바모일-1H-1,2,4-트리아졸-5-일-티오)-아세테이트(트리아자메이트),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224];
(XXXVIII) 아바멕틴,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3];
(XXXIX) 2-2급-부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페노부카르브),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516];
(XL) N-3급-부틸-N'-(4-에틸벤조일)-3,5-디메틸벤조히드라자이드(테부페노자이드),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147];
(XLI) (±)-5-아미노-1-(2,6-디클로로-α,α,α-트리플루오로-p-톨릴)-4-트리플루오로메틸-술피닐피라졸-3-카르보니트릴(피프로닐), 출처: 문헌[The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545];
(XLII) (RS)-α-시아노-4-플루오로-3-페녹시벤질(1RS,3RS;1RS,3RS)-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베타-사이플루트린),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295];
(XLIII) (4-에톡시페닐)-[3-(4-플루오로-3-페녹시페닐)프로필](디메틸)실란(실라플루오펜),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105];
(XLIV) 3급-부틸 (E)-α-(1,3-디메틸-5-페녹시피라졸-4-일-메틸렌아미노-옥시)-p-톨루에이트(펜피록시메이트),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530];
(XLV) 2-3급-부틸-5-(4-3급-부틸벤질티오)-4-클로로피리다진-3-(2H)-온(피리다벤),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161];
(XLVI) 4-[[4-(1,1-디메틸페닐)페닐]에톡시]-퀴나졸린(페나자퀸),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507];
(XLVII) 4-페녹시페닐-(RS)-2-(피리딜옥시)프로필-에테르(피리프록시펜),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Council, London, page 1073];
(XLVIII) 5-클로로-N-{2-[4-(2-에톡시에틸)-2,3-디메틸페녹시]에틸}-6-에틸피리미딘-4-아민(피리미디펜),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070];
(XLIX) (E)-N-(6-클로로-3-피리딜메틸)-N-에틸-N'-메틸-2-니트로비닐리덴디아민(니텐피람),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880];
(L) (E)-N1-[(6-클로로-3-피리딜)메틸]-N2-시아노-N1-메틸아세트아미딘(NI-25, 아세트아미프리드),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9];
(LI) 아버멕틴 B1,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3];
(LII) 식물로부터의 곤충-활성 추출물, 특히 (2R,6aS,12aS)-1,2,6,6a,12,12a-헥스히드로-2-이소프로페닐-8,9-디메톡시-크로메노[3,4-b]푸로[2,3-h]크로멘-6-온(로테논),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097]; 및 아자디라크타 인디카(Azadirachta indica)로부터의 추출물, 특히 아자디라크틴,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59];
(LIII) 곤충-활성 선충류, 바람직하게는 헤테로하브디티스 박테리오포라(Heterohabditis bacteriophora) 및 헤테로하브디티스 메기디스(Heterorhabditis megidis)를 함유하는 제제,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671];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Steinernema feltiae)를 함유하는 제제,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115]; 및 스테이네르네마 스캅테리시(Steinernema scapterisci)를 함유하는 제제,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116];
(LIV) 바실루스 서브틸리스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제제,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72]; 또는 GC91 또는 NCTC11821로부터 단리된 화합물을 제외한, 바실루스 투린지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균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제제,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73];
(LV) 곤충-활성 곰팡이, 바람직하게는 베르티실리움 레카니(Verticillium lecanii)를 함유하는 제제,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266]; 보베리아 브로냐르티(Beauveria brogniartii)를 함유하는 제제,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85]; 및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를 함유하는 제제,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83];
(LVI) 곤충-활성 바이러스, 바람직하게는 네오디프리돈 세르티페르 엔피브이(Neodipridon Sertifer NPV)를 함유하는 제제,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342]; 마메스트라 브라시카에 엔피브이(Mamestra brassicaeNPV)를 함유하는 제제,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759]; 및 사이디아 포모넬라 그라눌로시스(Cydia pomonella granulosis) 바이러스를 함유하는 제제,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291];
(CLXXXI) 7-클로로-2,3,4a,5-테트라히드로-2-[메톡시카르보닐(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카르바모일]인돌[1,2e]옥사졸린-4a-카르복실레이트(DPX-MP062, 인독시카르브),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453];
(CLXXXII) N'-3급-부틸-N'-(3,5-디메틸벤조일)-3-메톡시-2-메틸벤조히드라자이드(RH-2485, 메톡시페노자이드), 출처: 문헌[The Pesticide, Manual, 11th Ed.(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094];
(CLXXXIII) (N'-[4-메톡시-비페닐-3-일]-히드라진카르복실산 이소프로필에스테르(D 2341), 출처: 문헌[Brighton Crop Pretection Conference, 1996, 487-493];및
(R2) 문헌[Book of Abstacts, 212th ACS National Meeting Orlando, FL, August 25-29(1996), AGRO-020. Publisher: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CONEN: 63BFAF].
활성 성분의 경구 소비를 용이하게 하거나 단순화하기 위한 다양한 조성물이 인간 및 수의용 의약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 조성물중 몇몇은 인간에게 사용하기는 적합하지만 동물에게는 사용할 수 없고, 기타 조성물은 문제가 없는 활성 성분이라면 동물에게 사용할 있지만, 이들이 불쾌한 맛 또는 냄새가 있는 활성 성분이라면 중대한 결점이 된다. 본 발명에 대한 다른 대안으로 몇가지가 있지만, 이들이 모든 사용자에게 보편적으로 용인되지는 않는다. 예로써 하기 특허 명세서를 언급한다.
WO 95/31963호에는 활성 성분 플루벤다졸의 경구용 구충제 투여형이 기술되어 있다. 이들은 맥아 효모를 기재로 한 로젠지이며, 개에게 바람직하다. 용인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활성 성분을 효모 및 다른 제형화 부형제와 친밀하게 혼합하여 정제 또는 과립화물로 압축한다.
WO 01/35925호에는 약제(약물을 섞은 음식)를 함유하는 동물 사료 제품이 기술되어 있다. 여기에서 활성 성분은 사료와 직접 혼합되지는 않지만, 활성 성분이 균질하게 분산된, 맛이 좋은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소립자 형태이다. 또한, 이들 입자에는 보호층이 있다.
WO 01/37808호에는 활성 성분의 전달이 개선된 고체 제학 투여형이 기술되어있다. 이는 외층을 갖는 입자를 주성분으로 포함한다. 이 외층은 활성 성분 및 1종 이상의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이 투여형은 특히 소수성 활성 성분의 방출을 개선시킬 것이다.
US 제4,708,867호에는 맛이 좋은 소립자가 충전된 젤라틴 캡슐로 이루어진 활성 성분 프레드니손의 경구 투여형이 기술되어 있는데, 이 캡슐은 활성 성분,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보호층으로 코팅되어 있다.
WO 01/49272호에는 지질을 기재로 하는, 맛이 좋은 동물용 투여형이 기술되어 있다. 이 출원에서, 활성 성분은 미세 캡슐화되어 있고, 지방, 계면활성제, 충전제 및 다른 부형제로 이루어진 용융물에 균질하게 매립되어 있으며, 마지막으로 소정 크기의 입자로 가공된다.
WO 97/25066호에는 인간용 의약으로 가슴쓰림에 대한 양성자 차단제의 장용 경구 투여형이 기술되어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활성 성분이 변하지 않은 채 위로 통과하여 소장에서 방출되게 하는 것이다. 이 투여형은 양성자 차단제로 코팅되고, 이렇게 하여 염산에 저항성이 있는 보호성 코팅막을 갖는 중성 담체 물질의 입자로 이루어진다. 이들 코팅된 입자를 통상의 제학 제형화 부형제와 혼합하고,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정제 또는 입제로 압축한다.
본 발명의 경우는, 시험 동물의 모델로서 고양이를 선택하였는데, 이는 고양이의 식습관이 특히 까다롭기 때문이다. 그러나, 무작위 시험 결과, 고양이가 경구로 잘 먹었던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의약 형태는 개, 돼지, 닭 및 기타 가축 및생산성 가축에 의해서도 완전히 용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랫동안, 의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더라도 고양이가 제공된 분량을 기꺼이 완전히 먹도록, 실제로 모든 고양이가 좋아하는 고형 음식물을 찾으려는 여러가지 시도들이 이루어져 왔다.
효모 정제, 예컨대 맥아 효모의 경우에, 이러한 매력적인 물질이 발견되었다. 높은 비율의 비타민 B를 갖는 효모는 이미 그 자체로 동물 피부 및 털의 건강 관리에 유리한 영향을 나타내었고, 모든 고양이가 매우 잘 먹는다.
인간 및 동물에 사용하기 위한 효모 정제는 건조, 가압 및 용해된 효모 세포로 이루어진다. 이를 종종 소위 맥아 효모라고 하며, 맥주 양조장에 다량으로 존재한다.
이들 효모 세포를 매우 쓴 활성 성분(예: 베나제프릴 또는 다른 불쾌한 맛의 활성 성분)과 혼합한 후 정제로 압축하면, 예상되는 대로 처음에는 시험 고양이가 정제에 호기심을 나타내지만, 빨리 깨물고, 내뱉고, 싫어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시험을 반복하면, 고양이는 이미 불신감을 가지고 효모 정제에 접근하며 효모를 훨씬 더 빨리 내뱉는다. 더 반복할수록 상태가 안 좋아져서, 효모는 처음에는 매우 매력적이었지만, 고양이는 대체로 효모를 회피하기 시작한다.
효모 정제를 맛이 나지 않는 층으로 코팅하여 효모가 그의 본래의 매력 및 용인성을 잃고 고양이가 처음부터 거부하기 때문에 소용없게 된다. 나중에는 심지어 위약 시험에도 사용되지 않는다.
활성 성분을 단순히 혼합하는 것에 대해서는, 분명히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
쓴 활성 성분을 먼저 미세 캡슐화하거나 맛이 나지 않는 매트릭스, 예컨대 변성 전분으로 이루어진 입자에 매립하면, 개별 고양이에 의한 용인성이 단기간에는 증가하지만, 장기간의 시험에서는 마찬가지로 부정적인 상황으로 된다.
본 발명에 이르러, 놀랍게도 일련의 기본적인 4가지의 비교적 간단한 기술적 조치를 조합함으로써, 동물에 대한 경구 투여 약제의 맛 또는 용인성 문제가 실제로 충분히 만족스럽게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로써 본 투여형은 안전하고 사용자에게 친숙해진다.
하기의 조치가 포함된다.
생리학상 상용성인 맛이 나지 않는 고형의 미분 담체, 바람직하게는 작은 구체, 과립, 그레인 등으로 출발한다. 간단히, 이 미분 담체 물질을 이후 입자라고 칭한다.
상기 입자를 활성 성분으로 코팅하여, 활성 성분이 입자를 싸게 한다.
이 활성 성분 외피를 활성 성분과 동물 입의 미각 세포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생리학상 상용성인 중합체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차폐 보호층으로 코팅한다.
이러한 식으로 제조된 이들 입자를 동물이 좋아하는 기질과 친밀하게 혼합하고 적합한 크기의 정제 또는 펠렛으로 압축한다.
그러나, 동물 용인성에 대한 결정적인 인자는 코팅된 입자의 크기이다. 직경이 0.8㎜가 넘는 입자는 재현성있는 용인성을 얻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적으로, 0.4㎜ 미만의 직경에서는 매우 까다로운 고양이의 경우에도 신뢰할 만한결과가 얻어진다. 가장 충분한 용인성은 직경이 작을수록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경의 하한 그 자체는 명시되지 않는다. 제조 및 비용상의 이유로 하한은 약 0.09㎜이다.
이러한 맛이 좋아 매력적인 동물용 의약의 제조 방법은, 특히 (a) 평균 직경 0.09 내지 0.8㎜,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4㎜의 맛이 나지 않는 생리학상 상용성인 고체 미분 입자를 활성 성분으로 싸고; (b) 이 활성 성분 외피를 생리학상 상용성인 중합체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차폐 보호층으로 코팅하고; (c) 이러한 이중 코팅 입자, 즉 먼저 활성 성분으로 코팅한 다음, 중합체 매트릭스로 코팅하여 차폐된 입자를 동물이 좋아하는 생리학상 상용성인 기질내로 도입하고; (d) 기질-입자 혼합물을 정제 또는 펠렛으로 압축함을 특징으로 한다.
입자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생리학상 상용성인 담체 물질로는 제약 약제의 제조에서 공지된 다수의 고체 제형화 부형제, 예컨대 셀룰로즈, 전분, 사카로즈, 락토즈 또는 다른 상이한 유형의 당일 수 있다.
입자를 싸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고체 활성 성분을 편리하게는 적합한 생리학상 허용가능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예컨대 저비점 알콜, 또는 알콜-물 혼합물, 예컨대 에탄올:물(1:1)에 용해시키고, 분무 처리에 의해 입자에 도포한다. 매우 많은 용매가 적합하다. 쉽게 휘발되는 용매가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분무 과정 후에,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을 조심스러운 조건에서, 예컨대 진공에서 제거한다.
활성 성분으로 코팅된 이들 입자는 이 형태로는 경구 투여에 아직 적합하지않으며, 이제 생리학상 상용성인 중합체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보호층으로 코팅되고 차폐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차폐"란, 경구 투여시 활성 성분을 타액 및 그의 구성 성분의 작용에 대하여 보호하고, 동물의 입, 목 및 코에서의 미각 및 후각 세포와의 접촉에 대하여 활성 성분의 보호가 달성됨을 뜻한다. 차폐된 활성 성분은 중성 행태를 갖는데, 즉 맛 및 냄새가 없다.
차폐에 적합한 중합체는 오랫동안 약제의 제조 분야에서 공지되어 왔다. 적합한 부류의 중합체는, 예컨대 쉘락, 셀룰로즈상 중합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말레산 무수물,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폴리비닐 알콜 기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문제의 쉘락은 종종 코팅된 정제를 코팅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다른 중합체, 예컨대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또는 셀룰로즈 아세테이트-N,N-디-n-부틸히드록시프로필에테르로부터 생성된 셀룰로즈 기재의 중합체도 고려될 수 있다.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기재의 중합체를 위한 출발 물질은, 예컨대,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2-메틸-5-비닐-피리딘/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일 수 있다.
말레산 무수물 기재의 중합체에 적합한 출발 물질은, 예컨대 비닐-메틸에테르/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이다.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기재의 중합체는 본 발명에 있어서 미소구의 외피로서 가장 바람직하다. 이들을 제조하는데 시판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최상이다. 이들은 아크릴산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와 소량의 4급 암모늄 기의 중합 생성물이다. 이들의 용이한 취급성 때문에, 독일 다름스타트 소재의 룀(Rohm)사의 오이트라지트(Eudragit, 등록상표) E, L 또는 S와 같은 시판 제품이 특히 적합하다. 오이드라지트 E는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중성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양이온성 중합체이다. 오이드라지트 L 및 S는 메타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메틸에스테르의 음이온성 공중합체이다.
폴리비닐 피롤리돈은, 예컨대 폴리비닐 피롤리돈 기재의 중합체를 위한 출발 물질로서 적합하다. 폴리비닐 알콜 자체는 폴리비닐 알콜 기재의 중합체를 위한 출발 물질로서 적합하다. 오이드라지트 E 100은 pH 5.0 이하의 산성 pH 값의 위액에 용해되는 pH-의존성 양이온성 중합체이다. pH 5.0 초과에서는 팽창할 수 있어서, 코팅 및 차폐에 매우 적합하다. 분말 형태로는, 오이드라지트 EPO로서 상업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오이드라지트 EPO는 수성 매질내에서 유기 용매 없이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차폐는 쉘락 또는 중합체를 임의로 물이 첨가된 유기 용매내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활성 성분에 의해 이미 싸여진 입자상에 분무 공정에 의해 분무하는 식으로 행해진다. 그 후,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을 조심스러운 조건하에, 예컨대 진공에서 제거한다.
중합체의 용해에 적합한 유기 용매는, 예를 들어 비교적 쉽게 휘발되는 용매이다. 하기 표 1은 이러한 몇몇 용매를 예로 나타낸다.
용매 유전상수 용매 유전상수
메탄올 32.6 페놀 9.8
에탄올 24.3 아세톤 20.7
이소프로판올 18.7 아세트산 9.7
부탄올 17.1 아세트산 무수물 20.7
벤질 알콜 13.1 니트로메탄 35.9
에틸렌 글리콜 37.7 에틸렌 디아민 14.2
프로필렌 글리콜 35.0 아세트산 셀로솔브 16
순수한 용매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 예컨대 아세톤-에탄올 혼합물(1:1)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 용매 10 내지 50체적부에 약간의 물, 즉 약 1 내지 5체적부를 첨가함으로써 매우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아세톤-물 혼합물(약 1:30)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성 현탁액 및 수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이후 기술되는 실시예에서, 코팅은 수성 현탁액으로부터 오이드라지트 EPO로 수행된다. 이는 제품의 상업적 제조에서 폭발에 대한 보호 조치가 필요하지 않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유기 용매가 환경에 도달하지 않거나 고가의 방법으로 추출되지 않아도 되므로 환경 보호의 이유로 수성 공정이 권장된다.
최종 작업에서, 차폐된 입자를 용인성이 높은 사료 물질(예컨대, 전술한 효모)과 혼합하고, 정제 또는 사료 펠렛과 같은 적합한 투여가능한 단위로 압축한다. 인공 또는 천연 향을 첨가함으로써, 효모 및 다른 적합한 기질의 매력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과정은 하기와 같이 상세하게 수행된다. 유리하게는 유동층 공정으로 맛이 나지 않는 생리학상 상용성인 고체 미분 입자로 활성 성분을 도포하고, 후속적으로 차폐한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체 모양의 바닥을 갖는 반응 용기에 상기 입자의 층을 가한다. 이 층에 중력을 거슬러 기체, 바람직하게는 공기를 통과시킨다. 개별 입자들이 더 이상 닿지 않고 부유 상태로 유지될 수 있을 때까지 층을 회전시켜 정류 유동층이 얻어지도록 유동 속도를 선택한다. 이런 방법으로, 각 개별 입자의 전체 표면이 접근가능해진다. 정밀하게 측정된 활성 성분의 용액, 유화액 또는 현탁액을, 대개는 정류 유동층의 거의 중심에 있는 분무 노즐을 통해 기류의 반대 방향으로 분무한다. 하기 실시예에서, 이는 소위 워스터(Wurster) 공정(저부 분무 공정)에 의해 수행되었는데, 이는 수율 및 공정 시간에 있어서 이러한 방법으로 최상의 결과가 얻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임의 유형의 유동층 공정이 적합하다. 회전 작용을 통해, 입자는 활성 성분의 용액, 유화액 또는 현탁액으로 습윤화된다. 그 후, 활성 성분의 공급을 중지하고, 입자는 계속 회전시키고, 기류에 의해 건조시킨다. 건조 과정을 가속화하기 위하여 가온된 기체를 사용할 수 있다. 가온 정도는 사용된 활성 성분의 열안정성에 의존한다. 건조 과정의 결과로 활성 성분이 입자 표면에 결정화된다. 추가의 작업에서, 생리학상 상용성인 중합체 매트릭스의 용액을 분무 노즐을 통해 분무하고, 그 결과 입자는 제2의 코팅을 갖게 되어 활성 성분이 차폐된다. 차폐층의 건조는 활성 성분에서와 같은 식으로 기류내에서 수행한다. 얻어진 최종 생성물은 소정의 이중 코팅된 자유 유동 입자로서, 응집하는 경향이 없고, 본 발명에 따라 적당한 기질과 혼합되고, 마지막 단계에서 정제 또는 펠렛으로 압축된다.
이중 코팅은 우수한 기호도를 보장하며, 이는 입 및 코 영역에서의 맛 및 냄새에 대한 감각 세포에 의해 모든 감각이 감지됨을 뜻한다.
코팅된 입자의 크기는 본 발명에 필수적이고, 최종 제품의 용인성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놀랍게도, 이들은 임의의 최소 크기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직경 0.09 내지 0.8㎜,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4㎜의 비교적 작은 조밀한 담체 입자를 제조하고, 활성 성분으로 코팅한 다음, 맛을 차폐하는 층으로 싸고, 또한 이들 싸여진 입자를 효모 또는 다른 적합한 사료 물질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정제 또는 사료 펠렛으로 압축하면, 이들 효모 정제 또는 사료 펠렛은 활성 성분이 없는 정제 또는 펠렛, 즉 위약과 마찬가지로 고양이가 잘 먹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분명히, 고양이는 활성 성분을 더 이상 알아채지 못한다. 본 발명에 와서야 알게된 바와 같이, 코팅된 입자는 정확히 맞는 크기를 갖고 상기 이중 코팅막을 가져서 이들 중 매우 일부만 또는 실질적으로 아무 것도 효모 정제를 깨물 때 파괴되지 않아 실제로 활성 성분이 방출되지 않아야 한다. 코팅된 입자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고양이의 용인성은 감소한다. 직경 0.15 내지 0.4㎜의 입자가 이상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입자가 클수록, 이들중 일부는 쓴 맛을 가지게 될 가능성이 더 많고, 쓴 활성 성분이 더 많이 방출될 것이다. 입자 자체를 너무 작게 만들 수는 없기 때문에, 하한은 이용가능한 제조 기술 및 제조하기 위해 준비되는 기술적 노력에 의해 결정된다. 이들 이중 코팅 입자는 또한 활성 성분이 균질하게 혼입된 동일한 크기의 입자보다 용인성이 상당히 더 양호하며, 활성 성분에 의해 싸여졌으나 추가의 보호층이 없는 동일한 크기의 입자보다 용인성이 상당히 더 양호하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생리학상 상용성인 매력적인 기질이란, 예를 들어 처음에 언급한 효모 뿐만 아니라, 치료되는 동물 종을 위한 건조 사료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기 물질, 원래 치료되는 동물에게 이미 매력적이거나 또는 인공 또는 천연의 방향 물질 또는 맛 개선제를 첨가함으로써 매력적으로 되는 유기 물질인 것으로 이해된다. 적합한 방향 물질 또는 맛 개선제는 천연 또는 합성 육류, 어류 및 치즈 향이다. 천연 또는 인공 바닐라 에센스도 또한 매우 적합하다. 전 범위의 이러한 물질이 영양사에게 이용가능하다. 이들 물질은 시판되며, 동물 사료 산업에서 대규모로 사용된다.
이제, 사료 펠렛 및 정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활성 물질이 본 발명에 따라 차폐된 입자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매우 안정되게 거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경우, 수개월에 걸쳐 활성 성분의 중요한 손실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다음을 포함한다:
- 맛이 나지 않는 생리학상 상용성인 고체 담체 물질의 미분 입자가 매립되어 있는, 가축에게 매력적인 펠렛 또는 정제 형태의 기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담체 물질의 미분 입자는 평균 직경이 0.09 내지 0.8㎜이며, 수의용 의약용 활성 물질로 코팅되어 있고, 상기 활성 물질 층은 생리학상 상용성인 중합체 매트릭스의 보호층으로 싸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의약.
- 담체 물질의 미분 입자가 평균 직경이 0.15 내지 0.4㎜인 상기 동물용 의약.
- 담체 물질의 미분 입자가 셀룰로즈, 전분, 사카로즈, 락토즈 또는 당으로 이루어진 상기 동물용 의약.
- 생리학상 상용성인 중합체 매트릭스가 쉘락, 셀룰로즈상 중합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말레산 무수물,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폴리비닐 알콜 기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상기 동물용 의약.
- 가축에게 매력적인 기질이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또는 인공 또는 천연 향과 같은 첨가제를 임의로 함유하는 식물성 및(또는) 동물성 기재의 동물용 건조 사료인 상기 동물용 의약.
- 가축에게 매력적인 기질이 용해 효모인 상기 동물용 의약.
- 식료품 산업에 공지되어 있는 천연 및 인공 치즈, 육류 및 어류 향 또는 향미 증진제 또는 바닐라 에센스를 함유하는 상기 동물용 의약.
- 수의용 의약용 활성 물질로서, 외부 또는 내부 기생충, 바이러스성 또는 세균성 질환, 행동장애 또는 기능장애 또는 활동저하에 대해 사용되는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상기 동물용 의약.
- 수의용 의약용 활성 물질로서, 동물에게 불쾌한 맛을 내는 활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베나제프릴을 함유하는 상기 동물용 의약.
- (1) 평균 직경이 0.09 내지 0.8㎜인 맛이 나지 않는 생리학상 상용성인 고체 담체 물질의 입자를 수의용 의약용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의 혼합물로 코팅하여 활성 성분으로 입자를 싸고; (2) 이 활성 성분 외피를 활성 성분과 동물의 미각 및 후각 세포 및 타액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는 생리학상 상용성인 중합체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차폐 보호층으로 코팅하고; (3) 이러한 이중 코팅 입자를 동물에게 매력적인 기질과 친밀 혼합하고; (4) 기질 및 이중 코팅 입자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적당한 크기의 투여가능한 단위로 압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동물용 의약중 하나의 제조 방법.
- 단계 (1)의 입자가 평균 직경이 0.15 내지 0.4㎜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 단계 (1)의 입자가 셀룰로즈, 전분, 사카로즈, 락토즈 또는 당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 단계 (2)의 중합체 매트릭스가 쉘락, 셀룰로즈상 중합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말레산 무수물,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폴리비닐 알콜 기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 동물에게 매력적인 단계 (3)의 기질이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또는 인공 또는 천연 방향 물질과 같은 임의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식물성 및(또는) 동물성 기재의 동물용 건조 사료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 동물에게 매력적인 단계 (3)의 기질이 용해 효모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 동물에게 매력적인 단계 (3)의 기질이 식료품 산업에 공지되어 있는 천연 및 인공 치즈, 육류 및 어류 향 또는 향미 증진제 또는 바닐라 에센스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 단계 (1)의 수의용 의약용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의 혼합물이 외부 또는 내부 기생충, 바이러스성 또는 세균성 질환, 행동장애 또는 기능장애 또는 활동저하에 대해 사용되는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 단계 (1)에서 입자를 코팅하기 위하여, 고체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 혼합물을 적합한 생리학상 허용가능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분무 공정에 의해 입자에 도포하고, 분무 과정 후에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을 조심스럽게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 단계 (2)에서 중합체 매트릭스를 도포하기 위하여, 쉘락 또는 중합체를 물이 임의로 첨가된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거나 분산시키고, 이 용액 또는 분산액을 활성 성분에 의해 이미 싸여진 입자상에 분무 공정에 의해 분무함을 특징으로 하며, 그 후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을 신중한 조건하에 제거하는 상기 방법.
- 수의용 의약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단계 (2)에서 제조된 이중 코팅된 입자의 용도.
제조예
1.베나제프릴 용액의 제조
조성물 중량
베나제프릴 HCl(활성 성분) 2.856㎏
부형제
에탄올 96% 8.16㎏
물 12.24㎏
폴리비닐 폴리피롤리돈 1.071㎏
에탄올 및 물을 균질한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용기내에서 혼합한다. 용매 혼합물에 베나제프릴 염산염을 첨가하고, 투명한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5분동안 교반한다. 그 후, 폴리비닐 폴리피롤리돈을 첨가하고, 투명한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추가로 10분동안 교반한다.
2.베나제프릴에 의한 입자의 코팅
부형제 중량
셀페레(Celpere) CP 203(등록상표)*31.15㎏
셀페레는 일본 소재의 아사히(ASAHI)사의 시판 제품이다. 이는 원형의 미정질 셀룰로즈 입자 또는 펠렛으로 이루어진다.
전형적인 셀페레 펠렛은 하기 특성을 갖는다:
특성/제품명 CP-102 CP-203 CP-305 CP-507
입자 크기(㎛) 106-212 150-300 300-500 500-710
구형 편차* 1.2 1.1 1.1 1.2
밀도(g/㎤) 0.87 0.87 0.97 0.97
건조시 손실률(%) 4 4 4 4
공기중 파쇄성(%) 0 0 0 0
물내(%) 0 0 0 2
에탄올내(%) 0 0 0 0
흡수율(%) 100 100 100 70
색 및 냄새 백색 내지 황색, 무취
용해도 물, 에탄올 및 다른 유기 용매에 불용성임
*구형 편차=장축 대 단축의 비
셀페레 펠렛을 유동층 장치에 위치시키고, 35℃의 제품 온도로 가열하였다. 활성 성분 용액(여기에서는 베나제프릴 용액, 1번 참조)의 필요량(23.9㎏)을 펠렛에 분무한다. 분무 후, 펠렛을 잔여 수분이 4% 미만이 될 때까지 55℃의 허용 온도에서 건조시킨다. 그 후, 펠렛을 0.5㎜의 체로 체질한다. 베나제프릴 펠렛의수율은 95%보다 크다. 동일한 평균 직경을 갖는 CP-102, CP-203 및 CP-305 또는 기질 입자를 코팅하여 우수한 펠렛을 얻는다.
3.입자의 차페
부형제 중량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0.75㎏
디부틸 세바케이트 1.61㎏
오이드라지트 EPO*10.71㎏
실로이드(Syloid) 244 FP(등록상표) 4.28㎏
물 89.75㎏
에어로실(Aerosil) 200(등록상표) 0.26㎏
오이드라지트는 독일 소재의 룀사의 시판 제품이다. 이는 부틸 메타크릴레이트-(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1:2:1)로 이루어진다. 실로이드 244 FP는 침강 이산화규소로서, 독일 보름스 소재의 그라세 게엠베하(Grace GmbH)사로부터 구할 수 있다. 에어로실 200은 독일 프랑크푸르트/마인 소재의 데구사(Degussa)사의 콜로이드상 이산화규소이다.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및 디부틸 세바케이트를 물 89.75㎏에 용해시킨다. 그 후, 오이드라지트 EPO를 용액에 첨가하고, 균질한 현탁액이 얻어질 때까지 3시간 이상 조심스럽게 교반한다. 실로이드 244 FP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균질한 현탁액이 생성될 때까지 교반한다. 현탁액으로부터 큰 입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 성분 펠렛을 코팅하기 전에, 용액을 1.0㎜ 체를 통해 체질한다. 전체 코팅 공정 동안, 분무 현탁액을 조심스럽게 교반하여, 용기에 입자가 가라앉지 않게 한다. 그 다음, 활성 성분 펠렛 35㎏을 유동층 장치에 충전하고, 28℃의 제품 온도로 가열한다. 코팅 현탁액을 활성 성분 펠렛상에 분무한다. 분무 후, 펠렛을 잔여 수분이 4% 미만이 될 때까지 55℃의 허용 온도에서 건조시킨다. 그 후, 펠렛을 0.5㎜의 체를 통하여 체질한다. 베나제프릴 펠렛의 수율은 90%를 넘는다. 저장 중 맛-차폐된 펠렛의 부착을 피하기 위하여, 에어로실 200 0.26㎏을 1.4㎜의 체를 통하여 펠렛상에 체질한다. 건조 혼합물을 드럼 혼합기에서 10분동안 혼합한다.
4.맛-차폐된 베나제프릴 펠렛 22.5㎏을 이용한 효모 정제의 제조
부형제 중량
아비셀(Avicel) PH 102(등록상표) 9.0㎏
효모 분말(용해된 맥아 효모) 49.5㎏
폴리비닐 폴리피롤리돈 4.5㎏
에어로실 200 0.45㎏
바닐라 0.45㎏
수소화된 피마자유 3.6㎏
아비셀 PH 102는 미국 필라델피아주 소재의 FMC 코포레이션사의 미정질 셀룰로즈이다.
이미 제조된 베나제프릴 펠렛(5% 활성 성분), 아비셀 PH 102, 효모 분말, 폴리비닐 폴리피롤리돈, 에어로실 및 바닐라를 0.75㎜의 체를 통해 드럼내로 체질하고, 30분동안 15rpm의 속도로 혼합한다. 그 후, 수소화된 피마자유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전체 혼합물을 0.75㎜의 체를 통해 체질하고 15분동안 혼합한다. 그 다음, 이 분말 혼합물을 정제로 압축한다.
5.고양이에 대한 급식 시험(용인성 시험)
10마리의 성숙 고양이를 사용하여 효모를 기재로 한 다양한 정제의 용인성을 시험한다. 과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1. 정제를 손으로 준다. 고양이가 1분 이내에 정제를 먹지 않으면, 2. 정제를 빈 먹이통에 놓는다. 다시 고양이가 정제를 먹도록 1분을 준다. 다시 먹지 않으면, 고양이의 입에 넣고 또 1분간 놔둔다. 이들 정제중 용인된 것이 없으면, 이는 비용인성으로서 평가된다. 전술한 세번의 제공중 한번 고양이가 기꺼이 정제를 먹는다면, 이는 정제의 용인성으로서 평가한다. 이들 시험은 3일에 걸쳐 반복한다.
고양의 최대 기호도는 정제내 50%의 효모 비율에서 얻어진다. 순수한 효모 정제(위약)의 경우, 이는 용인성이 68%이며, 어류 향이 조합된 효모 정제의 경우 용인성은 60%이다. 효모 및 첨가되는 바닐라 향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기호도를 90%로 증가시킬 수 있다. 효모와 바닐라의 조합은 최대의 기호도를 나타낸다.

Claims (20)

  1. 맛이 나지 않는 생리학상 상용성인 고체 담체 물질의 미분 입자가 매립되어 있는, 가축에게 매력적인 펠렛 또는 정제 형태의 기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담체 물질의 미분 입자는 평균 직경이 0.09 내지 0.8㎜이며, 수의용 의약용 활성 물질로 코팅되어 있고, 상기 활성 물질 층은 생리학상 상용성인 중합체 매트릭스의 보호층으로 싸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의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 물질의 미분 입자가 평균 직경이 0.15 내지 0.4㎜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의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 물질의 미분 입자가 셀룰로즈, 전분, 사카로즈, 락토즈 또는 당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의약.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학상 상용성인 중합체 매트릭스가 쉘락, 셀룰로즈상 중합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말레산 무수물,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폴리비닐 알콜 기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의약.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축에게 매력적인 기질이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또는 인공 또는 천연 향과 같은 첨가제를 임의로 함유하는 식물성 및(또는) 동물성 기재의 동물용 건조 사료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의약.
  6. 제5항에 있어서, 가축에게 매력적인 기질이 용해 효모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의약.
  7. 제5항에 있어서, 문제의 향 물질이 식료품 산업에 공지되어 있는 천연 및 인공 치즈, 육류 및 어류 향 또는 향미 증진제 또는 바닐라 에센스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의약.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의용 의약용 활성 물질이 외부 또는 내부 기생충, 바이러스성 또는 세균성 질환, 행동장애 또는 기능장애 또는 활동저하에 대해 사용되는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의약.
  9. 제8항에 있어서, 수의용 의약용 활성 물질이 베나제프릴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의약.
  10. (1) 평균 직경이 0.09 내지 0.8㎜인 맛이 나지 않는 생리학상 상용성인 고체 담체 물질의 입자를 수의용 의약용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의 혼합물로 코팅하여활성 성분으로 입자를 싸고; (2) 이 활성 성분 외피를 활성 성분과 동물의 미각 및 후각 세포 및 타액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는 생리학상 상용성인 중합체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차폐 보호층으로 코팅하고; (3) 이러한 이중 코팅 입자를 동물에게 매력적인 기질과 친밀 혼합하고; (4) 기질 및 이중 코팅 입자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적당한 크기의 투여가능한 단위로 압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물용 의약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단계 (1)의 입자가 평균 직경이 0.15 내지 0.4㎜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단계 (1)의 입자가 셀룰로즈, 전분, 사카로즈, 락토즈 또는 당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단계 (2)의 중합체 매트릭스가 쉘락, 셀룰로즈상 중합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말레산 무수물,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폴리비닐 알콜 기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동물에게 매력적인 단계 (3)의 기질이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또는 인공 또는 천연 방향 물질과 같은 임의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식물성 및(또는) 동물성 기재의 동물용 건조 사료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동물에게 매력적인 단계 (3)의 기질이 용해 효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동물에게 매력적인 단계 (3)의 기질이 식료품 산업에 공지되어 있는 천연 및 인공 치즈, 육류 및 어류 향 또는 향미 증진제 또는 바닐라 에센스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단계 (1)의 수의용 의약용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의 혼합물이 외부 또는 내부 기생충, 바이러스성 또는 세균성 질환, 행동장애 또는 기능장애 또는 활동저하에 대해 사용되는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단계 (1)에서 입자를 코팅하기 위하여, 고체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 혼합물을 적합한 생리학상 허용가능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분무 공정에 의해 입자에 도포하고, 분무 과정 후에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을 조심스럽게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단계 (2)에서 중합체 매트릭스를 도포하기 위하여, 쉘락 또는 중합체를 물이 임의로 첨가된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거나 분산시키고, 이 용액또는 분산액을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 혼합물에 의해 이미 싸여진 입자상에 분무 공정에 의해 분무하며, 그 후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을 신중한 조건하에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수의용 의약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단계 (2)에서 제조된 제10항에 따른 이중 코팅된 입자의 용도.
KR10-2004-7014280A 2002-03-11 2003-03-10 맛이 차폐된 수의용 고형 조성물 KR200401013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05511 2002-03-11
EP02005511.7 2002-03-11
PCT/EP2003/002446 WO2003075895A1 (en) 2002-03-11 2003-03-10 Tasted masked veterinary solid compos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302A true KR20040101302A (ko) 2004-12-02

Family

ID=2779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280A KR20040101302A (ko) 2002-03-11 2003-03-10 맛이 차폐된 수의용 고형 조성물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20050169971A1 (ko)
EP (2) EP1490037B1 (ko)
JP (1) JP4663985B2 (ko)
KR (1) KR20040101302A (ko)
CN (1) CN1652754B (ko)
AR (1) AR038899A1 (ko)
AT (1) ATE390129T1 (ko)
AU (1) AU2003218722B2 (ko)
BR (1) BR0308378B1 (ko)
CA (1) CA2478811C (ko)
CO (1) CO5400144A1 (ko)
DE (1) DE60319969T2 (ko)
DK (1) DK1490037T3 (ko)
ES (1) ES2301784T3 (ko)
MX (1) MXPA04008845A (ko)
NZ (1) NZ535167A (ko)
PT (1) PT1490037E (ko)
RU (1) RU2318498C2 (ko)
SI (1) SI1490037T1 (ko)
TW (1) TWI309557B (ko)
WO (1) WO2003075895A1 (ko)
ZA (1) ZA20040701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973B1 (ko) * 2015-12-08 2016-12-21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마이크로필름 코팅을 이용한 동물 사료용 프리믹스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9746A (ja) * 2004-01-29 2007-07-19 バイオシネクサス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ワクチン調製におけるアミノ−オキシ官能基の使用
US8980894B2 (en) 2004-03-25 2015-03-17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Gmbh Use of PDE III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asymptomatic (occult) heart failure
EP1579862A1 (en) 2004-03-25 2005-09-28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Gmbh Use of PDE III inhibitors for the reduction of heart size in mammals suffering from heart failure
ES2702608T3 (es) * 2004-06-10 2019-03-04 Glatt Air Techniques Inc Formulación de dosificación farmacéutica con matriz de liberación controlada
CA2569961A1 (en) * 2004-06-10 2005-12-29 Glatt Air Techniques, Inc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EP1920785A1 (en) 2006-11-07 2008-05-14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Gmbh Liquid preparation comprising a complex of pimobendan and cyclodextrin
EP1935405A1 (en) * 2006-12-22 2008-06-25 LEK Pharmaceuticals D.D. Orally disintegrating tablets
CN103781468A (zh) 2011-08-12 2014-05-07 勃林格殷格翰动物保健有限公司 治疗及预防猫科动物心脏衰竭的方法中所用的起搏电流(If)抑制剂
JP6290081B2 (ja) 2011-09-15 2018-03-07 フリウルケム、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Friulchem Spa 動物への経口投与用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
WO2014033230A1 (fr) 2012-08-31 2014-03-06 Friulchem Spa Compositions pour administration orale aux animaux, leurs procedes d'obtention et leurs utilisations
CZ308210B6 (cs) * 2011-11-02 2020-03-04 Veterinární A Farmaceutická Univerzita Brno Farmaceutická kompozice ve formě pelet majících velikost částic v rozmezí od 0,1 do 10 mm pro perorální podání vodním živočichům a způsob její výroby
ES2656412T3 (es) * 2011-12-21 2018-02-27 Elanco Tiergesundheit Ag Nueva combinación
WO2013135853A1 (en) * 2012-03-15 2013-09-19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Gmbh Pharmaceutical packaging product for the veterinary medical sector
US10398705B2 (en) 2012-03-15 2019-09-03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Gmbh Pharmaceutical tablet formulation for the veterinary medical sector, method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DK179072B1 (da) * 2012-05-08 2017-10-09 Novartis Tiergesundheit Ag Ny Behandling
FR2991179B1 (fr) 2012-06-01 2016-11-11 Ceva Sante Animale Compositions veterinaires orales appetentes
WO2014053555A1 (en) 2012-10-04 2014-04-10 Novartis Ag Veterinary drug system
FR3002735B1 (fr) 2013-03-04 2015-07-03 Virbac Composition orale nutritionnelle et medicamenteuse a usage veterinaire
FR3002736B1 (fr) 2013-03-04 2015-06-26 Virbac Composition orale nutritionnelle et medicamenteuse a usage veterinaire
WO2015007760A1 (en) 2013-07-19 2015-01-22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Gmbh Preserved etherified cyclodextrin derivatives containing liquid aqueous pharmaceutical composition
CN110721164A (zh) 2013-12-04 2020-01-24 勃林格殷格翰动物保健有限公司 匹莫苯的改善的药物组合物
US10537570B2 (en) 2016-04-06 2020-01-21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Gmbh Use of pimobendan for the reduction of heart size and/or the delay of onset of clinical symptoms in patients with asymptomatic heart failure due to mitral valve disease
CN105963270B (zh) * 2016-06-30 2019-01-15 齐鲁动物保健品有限公司 一种盐酸贝那普利软咀嚼片及其制备方法
CN109673848A (zh) * 2018-12-29 2019-04-26 广州智特奇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肠溶包被材料、肠道缓释单宁酸及其制备方法
CN112220769A (zh) * 2020-08-13 2021-01-15 浙江海正动物保健品有限公司 一种米尔贝肟吡喹酮风味片及其制备方法
MX2023002671A (es) 2020-09-04 2023-05-03 Elanco Us Inc Formulaciones agradables.
US11529310B2 (en) 2020-12-08 2022-12-20 Ruminant Biotech Corp Limited Device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substances to animals
CN113768038A (zh) * 2021-09-14 2021-12-10 江苏省协同医药生物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精准定量实验动物功能性饲料及制备方法与设备
JP7109827B1 (ja) * 2021-11-16 2022-08-01 株式会社ハニック・ホワイトラボ 抗ウイルス剤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1466A (en) * 1962-10-26 1966-01-25 Walter H Hoffma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animals and poultry
US3824233A (en) * 1972-07-06 1974-07-16 Lilly Co Eli Anthelmintic phenylhydrazones
US3937825A (en) * 1973-09-21 1976-02-10 American Cyanamid Company Anthelmintic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US4708867A (en) * 1983-12-19 1987-11-24 Key Pharmaceuticals, Inc. Minipellets
US4800087A (en) 1986-11-24 1989-01-24 Mehta Atul M Taste-mask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S63188621A (ja) * 1987-01-30 1988-08-04 Taisho Pharmaceut Co Ltd 矯味経口製剤
WO1991015194A1 (en) * 1990-04-11 1991-10-17 The Upjohn Company Taste masking of ibuprofen by fluid bed coating
EP0650353B1 (en) * 1992-06-04 2002-05-22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Pala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SE9301489D0 (sv) * 1993-04-30 1993-04-30 Ab Astra Veterinary composition
BR9507637A (pt) * 1994-05-20 1997-10-07 Janssen Pharmaceutica Nv Tabletes mastigáveis de flubendazol para animais de companhia
SE9402422D0 (sv) 1994-07-08 1994-07-08 Astra Ab New beads for controlled release and a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SE9600071D0 (sv) * 1996-01-08 1996-01-08 Astra Ab New oral formulation of two active ingredients I
WO1998016111A1 (en) 1996-10-16 1998-04-23 Shaman Pharmaceuticals, Inc. Enteric formulations of proanthocyanidin polymer antidiarrheal compositions
PT1100469E (pt) * 1998-07-28 2005-06-30 Takeda Pharmaceutical Preparacao solida de desintegracao rapida
US5997905A (en) * 1998-09-04 1999-12-07 Mcneil-Ppc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ly active particles
US6432448B1 (en) * 1999-02-08 2002-08-13 Fmc Corporation Edible coating composition
US6248363B1 (en) * 1999-11-23 2001-06-19 Lipocine, Inc. Solid carriers for improved delivery of active ingredients 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GB2356346A (en) * 1999-11-19 2001-05-23 Mars Uk Ltd Food product for oral delivery of a pharmaceutical agent to a non-human animal comprising encapsulated particles of said agent distributed within the product
US6541025B1 (en) * 1999-12-30 2003-04-01 Shear/Kershman Laboratories, Inc. Method for preparing solid delivery system for encapsulated and non-encapsulated pharmaceuticals
GB0008332D0 (en) * 2000-04-04 2000-05-24 Pfizer Ltd Treament
WO2002071874A2 (en) 2001-03-09 2002-09-19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Composition improving age-related physiological deficits and increasing longevity
US20030190343A1 (en) * 2002-03-05 2003-10-09 Pfizer Inc. Pala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companion anim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973B1 (ko) * 2015-12-08 2016-12-21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마이크로필름 코팅을 이용한 동물 사료용 프리믹스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19969T2 (de) 2009-04-30
WO2003075895A1 (en) 2003-09-18
EP1490037B1 (en) 2008-03-26
PT1490037E (pt) 2008-05-05
AU2003218722B2 (en) 2006-08-31
CA2478811C (en) 2010-12-14
MXPA04008845A (es) 2004-11-26
CA2478811A1 (en) 2003-09-18
AU2003218722A1 (en) 2003-09-22
RU2318498C2 (ru) 2008-03-10
NZ535167A (en) 2006-08-31
ATE390129T1 (de) 2008-04-15
CN1652754B (zh) 2013-05-22
TW200304774A (en) 2003-10-16
US20100074952A1 (en) 2010-03-25
BR0308378A (pt) 2005-01-11
SI1490037T1 (sl) 2008-08-31
EP1803448A3 (en) 2007-09-12
JP2005526756A (ja) 2005-09-08
CN1652754A (zh) 2005-08-10
DE60319969D1 (de) 2008-05-08
US8617587B2 (en) 2013-12-31
ES2301784T3 (es) 2008-07-01
AR038899A1 (es) 2005-02-02
CO5400144A1 (es) 2004-05-31
BR0308378B1 (pt) 2013-12-24
EP1490037A1 (en) 2004-12-29
US20050169971A1 (en) 2005-08-04
JP4663985B2 (ja) 2011-04-06
RU2004130433A (ru) 2005-08-10
TWI309557B (en) 2009-05-11
ZA200407010B (en) 2006-06-28
EP1803448A2 (en) 2007-07-04
DK1490037T3 (da) 2008-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3985B2 (ja) 味をマスクした獣医用固体組成物
JP5530433B2 (ja) 固体形態の経口投与用の食欲をそそる医薬品
US20170281558A1 (en) Oral pharmaceutical formulation in the form of an aqueous suspension of microcapsules for the modified release of active principle(s).
US20110129539A1 (en) Oral pharmaceutical formulation in the form of an aqueous suspension of microcapsules for modified release of amoxicillin
US6939560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two coating layers
JP4515032B2 (ja) ビグアニドおよび少なくとももう一つの活性成分を含む、経口投与形態を有する1日1回投与の抗糖尿病薬。
CA2063141C (en) Rotogranulations and taste masking coatings for preparation of chewable pharmaceutical tablets
HRP20000563A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opiramate
AU6699100A (en) Oral pharmaceutical forms of administration with a delayed action
JP2006528699A (ja) 抗生物質組成物
WO2000069420A1 (en) Pulse-delivery oral compositions
JP2010535230A (ja) ハエの防除方法
EP1759692A2 (en) Taste-masked solid veterinary compositions
JP2010535228A (ja) ハエの防除方法
JP2003306428A (ja) 服用性を改善した硬カプセル剤
JP2022013368A (ja) 動物用医薬製剤
JPWO2003005835A1 (ja) 水産用飼料
AU2005100669A4 (en) Enteric coated past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ZA200407595B (en) Oral suspension of amoxicillin capsu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