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9327A -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9327A
KR20040099327A KR20047014414A KR20047014414A KR20040099327A KR 20040099327 A KR20040099327 A KR 20040099327A KR 20047014414 A KR20047014414 A KR 20047014414A KR 20047014414 A KR20047014414 A KR 20047014414A KR 20040099327 A KR20040099327 A KR 20040099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saturated carboxylic
carboxyl group
containing water
soluble polymer
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7014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마모또시게끼
요시나까마사또요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9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32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smetic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 중에서 라디칼 중합개시제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제조방법으로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의 20∼70 몰% 가 미반응으로 잔존하는 반응액 중에, 추가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제조방법, 그리고 0.2 중량% 중화점조액의 점도저하율이 25% 미만이고, 또한 그 평형점도가 20000∼50000mPaㆍs 인,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는 화장품 등의 증점제, 버프제의 보습제, 유화제나 현탁물 등의 현탁안정제 등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ODUCING WATER-SOLUBLE CARBOXYLATED POLYMER}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로서는, 예컨대 아크릴산 등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과 폴리알릴에테르의 공중합체 (미국특허 제2923692호 명세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과 헥사알릴트리메틸렌트리술폰의 공중합체 (미국특허 제2958679호 명세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과 인산트리알릴의 공중합체 (미국특허 제3426004호 명세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의 공중합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84819호), 아크릴산 등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과 펜타에리스리톨알릴에테르의 공중합체 (미국특허 제5342911호 명세서, 미국특허 제5663253호 명세서, 미국특허 제4996274호 명세서), 아크릴산 등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과,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와 펜타에리스티톨알릴에테르의 공중합체 (일본 특허공보 평5-39966호, 일본 특허공보 소60-12361호) 등이 알려져 있다.이들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는 물에 용해시킨 후, 알칼리로 중화하여 중화 점조액으로 함으로써 화장품 등의 증점제, 버프제 등의 보습제, 유화제나 현탁물 등의 현탁안정제 등의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를 이들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균일한 수용액을 조제하고, 그 후 알칼리로 중화하여 중화 점조액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는 통상 미분말이기 때문에, 물에 용해시킬 때에 괴상물 (덩어리) 이 생기기 쉽다. 일단 덩어리가 생성되면, 그 표면에 겔형상의 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그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속도가 느려져, 균일한 수용액을 얻기가 곤란해진다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수용액을 조제하는 경우에는, 덩어리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분말을 수중에 고속 교반하에서 서서히 첨가하는 생산효율이 나쁜 조작을 필요로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덩어리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 특수한 용해장치를 필요로 한다.
한편, 화장품 등의 분야에서는,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를 고속 교반하에서 용해한 후, 알칼리로 중화하여 중화 점조액으로 하고, 보다 매끄러운 중화점조액을 얻기 위해, 더욱 고속 교반을 계속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고속교반을 오래 유지하면 교반에 의한 전단에 의해 중화점조액의 점도가 감소되어, 동일한 증점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를 많이 사용해야만 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그 중화점조액의 점조 저하율이 작고, 저농도이더라도 고점도이고, 투명성이나 표면이 매끄러운 우수한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다른 목적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 등의 증점제, 버프제 등의 보습제, 유화제나 현탁물 등의 현탁안정제 등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1]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 중에서 라디칼 중합개시제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제조방법으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의 20∼70 몰% 가 미반응으로 잔존하는 반응액 중에, 추가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제조방법, 그리고
[2] 0.2 중량% 중화점조액의 점도저하율이 25% 미만이고, 또한 그 평형점도가 20000∼50000mPaㆍs 인, 상기 [1] 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
에 관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제조방법은,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 중에서 라디칼 중합개시제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제조방법으로, 당초의 반응에 사용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의 20∼70 몰% 가 미반응으로 잔존하는 반응액 중에, 추가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점에 최대의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등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 아크릴산라우릴, 아크릴산밀리스틸, 아크릴산팔미틸, 아크릴산올레일, 아크릴산스테아릴, 아크릴산베헤닐, 메타크릴산라우릴, 메타크릴산밀리스틸, 메타크릴산팔미틸, 메타크릴산올레일, 메타크릴산스테아릴, 메타크릴산베헤닐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0∼30 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과 알킬기의 탄소수가 10∼30 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알킬에스테르를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저가이고 입수가 용이하며, 게다가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중화점조액의 투명성이 우수한 점에서, 아크릴산 단독 혹은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라우릴의 혼합물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당초의 반응에 사용되는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의 양은, 후술하는 불활성 용매 100 용량부에 대해 6∼25 용량부, 바람직하게는 8∼22 용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3∼20 용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중화점조액의 투명성이 양호한 관점에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의 양이 6 용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반응이 진행되어,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가 석출되어도 균일하게 교반할 수 있는 관점에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의 양이 25 용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트리메틸롤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사카로오스, 솔비톨 등의 폴리올의 2 치환 이상의 아크릴산에스테르류 ; 이들 폴리올의 2 치환 이상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류 ; 이들 폴리올의 2 치환 이상의 알릴에테르류 ; 프탈산디알릴, 인산트리알릴, 메타크릴산알릴, 테트라알릴옥시에탄,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아디프산디비닐, 크로톤산비닐, 1,5-헥산디엔, 디비닐벤젠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높은 점도를 갖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중화점조액이 얻어지고, 유화물, 현탁물 등에 높은 현탁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알릴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알릴에테르 또는 폴리알릴사카로오스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의 사용량은, 당초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 100 중량부에 대해, 0.15∼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중화점조액의 점도 저하를 막는 관점에서,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의 사용량이 0.15 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중화점조액 중에 불용성의 겔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의 사용량이 2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라디칼 중합개시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α,α'-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이소부틸레이트, 과산화벤조일, 라우로일퍼옥사이드,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제3급 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취급하기 쉽고, 안정성이 우수한 점에서 α,α'-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개시제의 사용량은, 당초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 100 몰에 대해 0.003∼0.20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당한 반응속도를 유지하여 경제적인 관점에서, 라디칼 중합개시제의 사용량이 당초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 100몰에 대해 0.003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중합이 현저하게 진행되지 않고, 제열 (除熱) 이 간단하고, 반응 제어가 용이한 관점에서, 라디칼 중합개시제의 사용량이 당초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 100 몰에 대해 0.20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불활성 용매란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 및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용해하는데,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를 용해하지 않은 용매를 말한다.
불활성 용매로는 예컨대 노르말펜탄, 노르말헥산, 이소헥산, 노르말헵탄, 노르말옥탄, 이소옥탄, 시클로펜탄, 메틸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자일렌, 클로로벤젠, 에틸렌디클로라이드,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이소프로필,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인체에 대한 영향이비교적 낮고, 저가로 입수하기 쉬운 관점에서 노르말헥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킬 때에는, 라디칼 중합개시제와 함께 알칼리 금속 탄산염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라디칼 중합개시제와 함께 알칼리 금속 탄산염의 존재하에 반응시킨 경우에는,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중화점조액 표면의 매끄러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알칼리 금속 탄산염으로는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중화점조액의 점도 저하가 작은 관점에서, 탄산나트륨 및 탄산칼륨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알칼리 금속 탄산염의 사용량은, 당초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 100 중량부에 대해 0.001∼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중화점조액 표면의 매끄러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알칼리 금속 탄산염의 사용량이 0.001 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중화점조액의 점도를 유지하는 관점에서, 알칼리 금속 탄산염의 양이 1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킬 때의 분위기는, 예컨대 질소가스, 아르곤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분위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온도는 50∼90℃, 바람직하게는 55℃∼7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용액의 점도상승을 억제하고, 균일하게 교반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반응온도가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반응이 급격하게 진행하지 않고, 반응을 제어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반응온도가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시간은 반응온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으나, 통상 0.5∼5시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당초의 반응액 중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의 20∼70 몰%, 바람직하게는 30∼6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50 몰% 가 미반응으로 잔존되어 있는 반응액 중에, 추가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점에 최대의 특징이 있다.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중화점조액의 점도저하율을 작게 하는 관점에서, 미반응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가 당초의 반응액 중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의 20 몰% 이상이다. 또 동일하게,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중화점조액의 점도저하율을 작게 하는 관점에서, 미반응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가 당초의 반응액 중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의 70 몰% 이하이다. 여기에서 미반응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는 반응액 중에 잔존하는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를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량할 수 있다.
첨가하는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로는 당초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와 동일한 화합물이거나 다른 화합물이어도 되고,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등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 아크릴산라우릴, 아크릴산밀리스틸, 아크릴산팔미틸, 아크릴산올레일, 아크릴산스테아릴,아크릴산베헤닐, 메타크릴산라우릴, 메타크릴산밀리스틸, 메타크릴산팔미틸, 메타크릴산올레일, 메타크릴산스테아릴, 메타크릴산베헤닐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0∼30 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과 알킬기의 탄소수가 10∼30 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알킬에스테르를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저가이고 입수가 용이하며, 게다가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중화점조액의 투명성이 우수한 점에서 아크릴산 단독 혹은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라우릴의 혼합물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의 첨가량은, 당초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의 양의 3∼60 중량%, 바람직하게는 5∼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저하율이 작고, 저농도이더라도 증점성, 투명성이 우수한 중화점조액을 부여하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가 얻어지는 관점에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의 첨가량이 3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반응이 진행되고,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가 석출되어도 균일하게 교반할 수 있는 관점에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의 첨가량이 6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의 첨가는 일괄적으로 행해도 되고, 복수회 분할하여 실시해도 된다.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를 첨가하여 반응시킬 때의 온도는 50∼90℃, 바람직하게는 55℃∼7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최초에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 중에서 라디칼 중합개시제의 존재하에 반응시킨 온도의 상태에서 추가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를 첨가하면 된다. 첨가 후의 반응시간은 반응온도에 따라 다르므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통상 0.5∼5 시간이다.
반응종료 후, 반응용액을 80∼130℃ 로 가열하고, 불활성 용매를 휘산 제거함으로써 백색 미분말의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단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가열온도가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얻어진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용해성이 양호한 관점에서, 가열온도가 1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는, 그 0.2 중량% 중화점조액의 점도저하율이 25%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품 등을 생산하는 경우에 안정된 증점성을 확보할 수 있어, 공업적 생산에서, 품질의 편차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0.2 중량% 중화점조액의 점도저하율이 2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점도저하율이란 후술하는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한 값을 말한다.
또 본 발명의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는 그 0.2 중량% 중화점조액의 평형점도가 20000∼50000mPaㆍs, 바람직하게는 25000∼40000mPaㆍs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증점성을 확보하기 위한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사용량이 증대되지 않고 경제적인 관점에서, 평형점도가 20000mPaㆍ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동일한 증점성을 확보하기 위한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사용량이 적합하고 중화점조액이 염이나 광에 대해 장기안정성을 갖는 관점에서, 평형점도가 50000mPaㆍ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평형점도란 후술하는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한 값을 말한다.
얻어진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를 사용하여 중화점조액을 조제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농도가 0.01∼3 중량% 가 되도록 수중에 용해시킨 후,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트리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아민류 등의 알칼리이고, pH 가 6.5∼7.5 가 되도록 중화하면 된다.
본 발명의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를 사용하여 얻어진 중화점조액은 교반에 의한 전단을 받기 어렵고, 점도저하율이 작은 것이다. 또 이 중화점조액은, 저농도이더라도 고점도이고, 투명성이나 표면의 매끄러움이 우수하기 때문에, 화장품 등의 특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우수한 성질을 갖는 이유는 정확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이 추측할 수 있다. 즉, 통상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많은 가교점으로부터 성장된 폴리머쇄가 얽힌 3차원 구조를 갖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가 얻어지는 한편,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중합의 특정의 단계에서 모노머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를 추가로 첨가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많은 가교점으로부터 성장된 폴리머쇄가 얽힌 3차원 구조의 표면에, 새로운 폴리머쇄가 얽힌 3차원 구조를 갖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가 얻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교반에의한 전단에 의해 얽힌 폴리머쇄가 풀리는 것에 기인하는 중화점조액의 점도 저하가 일어나기 어렵고, 또 저농도이더라도 고점도로 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교반기, 온도계, 질소분사관 및 냉각관을 구비한 500㎖ 용량의 4구 플라스크에, 아크릴산 40g (0.56몰, 38.1㎖), 메타크릴산라우릴 0.2g (0.0008몰), 탄산나트륨 0.08g,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알릴에테르 0.25g, α,α'-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6g (0.001몰), 노르말헥산 177g (264㎖) 을 넣었다. 계속해서 균일하게 교반, 혼합한 후, 반응용기의 상부 공간, 원료 및 용매 중에 존재하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용액 중에 질소가스를 분사하였다. 이어서 질소분위기하에서 60∼65℃ 로 유지하여 1시간 반응시켰다. 그 때의, 반응액 중의 미반응의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라우릴의 합계량은 0.230몰이고, 넣은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라우릴의 합계량에 대해 41몰% 이었다.
계속해서 동일 온도에서, 아크릴산 10g (0.14몰, 9.5㎖) 을 첨가하여, 동일 온도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생성된 슬러리를 90℃ 로 가열하여 노르말헥산을 증류제거하고, 백색 미분말의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 48g 을 얻었다.
실시예 2
교반기, 온도계, 질소분사관 및 냉각관을 구비한 500㎖ 용량의 4구 플라스크에, 아크릴산 40g (0.56몰, 38.1㎖), 탄산칼륨 0.08g, 디에틸렌글리콜디알릴에테르 0.48g, α,α'-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6g (0.001몰), 노르말헥산 177g (264㎖) 을 넣었다. 계속해서 균일하게 교반, 혼합한 후, 반응용기의 상부 공간, 원료 및 용매 중에 존재하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용액 중에 질소가스를 분사하였다. 이어서 질소분위기하에서 60∼65℃ 로 유지하여 1.5 시간 반응시켰다. 그 때의, 반응액 중의 미반응의 아크릴산의 양은 0.174몰이고, 넣은 아크릴산에 대해 31몰% 이었다.
계속해서 동일 온도에서, 아크릴산 10g (0.14몰, 9.5㎖) 을 첨가하여, 동일 온도에서 2.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생성된 슬러리를 90℃ 로 가열하여 노르말헥산을 증류제거하고, 백색 미분말의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 48g 을 얻었다.
실시예 3
교반기, 온도계, 질소분사관 및 냉각관을 구비한 500㎖ 용량의 4구 플라스크에, 아크릴산 40g (0.56몰, 38.1㎖), 메타크릴산라우릴 0.2g (0.0008몰), 탄산나트륨 0.08g,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알릴에테르 0.25g, α,α'-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6g (0.001몰), 노르말헥산 177g (264㎖) 을 넣었다. 계속해서 균일하게 교반, 혼합한 후, 반응용기의 상부 공간, 원료 및 용매 중에 존재하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용액 중에 질소가스를 분사하였다. 이어서 질소분위기하에서 60∼65℃ 로 유지하여 1시간 반응시켰다. 그 때의, 반응액 중의 미반응의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라우릴의 합계량은 0.230몰이고, 넣은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라우릴의 합계량에 대해 41몰% 이었다.
계속해서 동일 온도에서, 아크릴산 16g (0.22몰, 15.2㎖) 을 첨가하여, 동일 온도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생성된 슬러리를 90℃ 로 가열하여 노르말헥산을 증류제거하고, 백색 미분말의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 55g 을 얻었다.
실시예 4
교반기, 온도계, 질소분사관 및 냉각관을 구비한 500㎖ 용량의 4구 플라스크에, 아크릴산 40g (0.56몰, 38.1㎖),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알릴에테르 0.25g, α,α'-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6g (0.001몰), 노르말헥산 177g (264㎖) 을 넣었다. 계속해서 균일하게 교반, 혼합한 후, 반응용기의 상부 공간, 원료 및 용매 중에 존재하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용액 중에 질소가스를 분사하였다. 이어서 질소분위기하에서 60∼65℃ 로 유지하여 1.5시간 반응시켰다. 그 때의, 반응액 중의 미반응의 아크릴산의 양은 0.174몰이고, 넣은 아크릴산에 대해 31몰% 이었다.
계속해서 동일 온도에서, 아크릴산 10g (0.14몰, 9.5㎖) 을 첨가하여, 동일 온도에서 2.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생성된 슬러리를 90℃ 로 가열하여 노르말헥산을 증류제거하고, 백색 미분말의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 48g 을 얻었다.
실시예 5
교반기, 온도계, 질소분사관 및 냉각관을 구비한 500㎖ 용량의 4구 플라스크에, 아크릴산 40g (0.56몰, 38.1㎖), 메타크릴산라우릴 0.2g (0.0008몰),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알릴에테르 0.25g, α,α'-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6g (0.001몰), 노르말헥산 177g (264㎖) 을 넣었다. 계속해서 균일하게 교반, 혼합한 후, 반응용기의 상부 공간, 원료 및 용매 중에 존재하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용액 중에 질소가스를 분사하였다. 이어서 질소분위기하에서 60∼65℃ 로 유지하여 2시간 반응시켰다. 그 때의, 반응액 중의 미반응의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라우릴의 합계량은 0.118몰이고, 넣은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라우릴의 합계량에 대해 21몰% 이었다.
계속해서 동일 온도에서, 아크릴산 10g (0.14몰, 9.5㎖) 을 첨가하여, 동일 온도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생성된 슬러리를 90℃ 로 가열하여 노르말헥산을 증류제거하고, 백색 미분말의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 48g 을 얻었다.
비교예 1
교반기, 온도계, 질소분사관 및 냉각관을 구비한 500㎖ 용량의 4구 플라스크에, 아크릴산 40g (0.56몰, 38.1㎖), 탄산나트륨 0.08g,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알릴에테르 0.25g, α,α'-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6g (0.001몰), 노르말헥산 177g (264㎖) 을 넣었다. 계속해서 균일하게 교반, 혼합한 후, 반응용기의 상부 공간, 원료 및 용매 중에 존재하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용액 중에 질소가스를 분사하였다. 이어서 질소분위기하에서 60∼65℃ 로 유지하여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생성된 슬러리를 90℃ 로 가열하여 노르말헥산을 증류제거하고, 백색 미분말의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 38g 을 얻었다.
비교예 2
교반기, 온도계, 질소분사관 및 냉각관을 구비한 500㎖ 용량의 4구 플라스크에, 아크릴산 40g (0.56몰, 38.1㎖), 메타크릴산라우릴 0.2g (0.0008몰), 탄산나트륨 0.08g,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알릴에테르 0.25g, α,α'-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6g (0.001몰), 노르말헥산 177g (264㎖) 을 넣었다. 계속해서 균일하게 교반, 혼합한 후, 반응용기의 상부 공간, 원료 및 용매 중에 존재하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용액 중에 질소가스를 분사하였다. 이어서 질소분위기하에서 60∼65℃ 로 유지하여 0.5시간 반응시켰다. 그 때의, 반응액 중의 미반응의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라우릴의 합계량은 0.404몰이고, 넣은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라우릴의 합계량에 대해 72몰% 이었다.
계속해서 동일 온도에서, 아크릴산 2g (0.03몰, 1.9㎖) 을 첨가하여, 동일 온도에서 3.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생성된 슬러리를 90℃ 로 가열하여 노르말헥산을 증류제거하고, 백색 미분말의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 40g 을 얻었다.
비교예 3
교반기, 온도계, 질소분사관 및 냉각관을 구비한 500㎖ 용량의 4구 플라스크에, 아크릴산 40g (0.56몰, 38.1㎖), 메타크릴산라우릴 0.2g (0.0008몰), 탄산나트륨 0.08g,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알릴에테르 0.25g, α,α'-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6g (0.001몰), 노르말헥산 177g (264㎖) 을 넣었다. 계속해서 균일하게 교반, 혼합한 후, 반응용기의 상부 공간, 원료 및 용매 중에 존재하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용액 중에 질소가스를 분사하였다. 이어서 질소분위기하에서 60∼65℃ 로 유지하여 3.5시간 반응시켰다. 그 때의, 반응액 중의 미반응의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라우릴의 합계량은 0.028몰이고, 넣은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라우릴의 합계량에 대해 5몰% 이었다.
계속해서 동일 온도에서, 아크릴산 26g (0.36몰, 24.8㎖) 을 첨가하여, 동일 온도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생성된 슬러리를 90℃ 로 가열하여 노르말헥산을 증류제거하고, 백색 미분말의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 64g 을 얻었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 에서 얻어진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 의 물성으로서, 그 0.2 중량% 중화점조액의 점도저하율 및 평형점도, 투명성 및 표면의 매끄러움을 이하와 같이 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물성평가)
(1) 점도저하율 및 평형점도
2ℓ용량의 유리제 비이커 (직경 14㎝) 에 이온교환수 980g,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 20g 을 넣고, 고속교반기 (TK 호모디스퍼 f model;특수기화학 제조)로 매분 5000 회전의 속도로 3분간 교반하고,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를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20∼30℃ 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이어서 2ℓ용량의 유리제 비이커 (직경 14㎝) 에 24시간 방치한 상기 용액 100g, 이온교환수 857g 을 넣고, 고속교반기로 매분 2000 회전의 속도로 1분간 교반하여 전체를 균일하게 시켰다. 계속해서 2 중량% 수산화칼륨수용액 43g 을 첨가함과 동시에, 고속교반기의 회전수를 매분 5000 회전까지 올려 2분간 교반 혼합하였다. 얻어진 0.2 중량% 중화점조액 (pH6.8) 의 점도를, BL형 회전점도계를 사용하여 로우터No.4, 매분 12회전, 온도 25℃ 의 조건하에서 30초 후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교반 2분 후의 점도). 또한 동일하게 13분 교반혼합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교반 15분 후의 점도). 얻어진 측정치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점도저하율을 산출하였다. 또 평형점도는 상기 교반 15분 후의 점도로 하였다.
점도저하율={(교반 2분 후의 점도-교반 15분 후의 점도)/교반 2분 후의 점도}×100
(2) 투명성
상기 교반 15 분 후의 점도를 측정한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중화점조액을 1㎝×1㎝ 의 셀에 넣고, 425㎚ 파장에서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통상 투과율이 96% 이상이면 투명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3) 표면의 매끄러움
상기 교반 15분 후의 점도를 측정한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중화점조액의 표면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평가는 남여 10인을 평가 패널로 하여 중화점조액의 표면의 매끄러움 평가에 대해, 양호하다고 느낀 패널의 사람 수를 집계하여, 이하의 평가기준에 의거하여 판정하였다. 또한 통상 이하의 평가기준에서 ○이상이면, 표면의 매끄러움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평가기준
◎ : 중화점조액의 표면이 매끄럽다고 느낀 사람 수가 10인
○: 중화점조액의 표면이 매끄럽다고 느낀 사람 수가 8∼9인
△ : 중화점조액의 표면이 매끄럽다고 느낀 사람 수가 7인 이하
점도(mPaㆍs) 점도저하율(%) 투과율(%) 표면의 매끄러움
교반시간
2분간 15분간
실시예1 35000 31000 11.4 98
실시예2 32000 27500 14.1 99
실시예3 32000 30000 6.3 99
실시예4 32500 28000 13.8 99
실시예5 32200 25000 22.4 97
비교예1 28000 19000 32.1 95
비교예2 29500 20000 32.2 96
비교예3 23000 15000 34.8 97
표 1 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실시예 1∼5 에서 얻어진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0.2 중량% 중화점조액의 점도저하율은 25% 미만이고, 그 평형점도는 20000∼50000mPaㆍs 의 범위내인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3 에서 얻어진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0.2 중량% 중화점조액의 점도저하율은 25% 이상이고, 평형점도는 20000mPaㆍs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1∼5 에서 얻어진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0.2 중량% 중화점조액은, 저농도이더라도 고점도이고, 투명성이나 표면의 매끄러움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중화점조액은 점도저하율이 낮고, 저농도이더라도 고점도이고, 투명성이나 표면의 매끄러움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화장품 등의 증점제, 버프제 등의 보습제, 유화제나 현탁물 등의 현탁안정제 등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서술한 본 발명은 명확하게 동일성의 범위인 것이 여러 종류 존재한다. 이와 같은 다양성은 발명의 의도 및 범위에서 일탈한 것으로는 보지 않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이와 같은 모든 변경은 이하의 청구범위의 기술범위내에 포함된다.

Claims (6)

  1.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 중에서 라디칼 중합개시제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제조방법으로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의 20∼70 몰% 가 미반응으로 잔존하는 반응액 중에, 추가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 탄산염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 탄산염이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륨인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가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라우릴의 혼합물인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알릴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알릴에테르 또는 폴리알릴사카로오스인 제조방법.
  6. 0.2 중량% 중화점조액의 점도저하율이 25% 미만이고, 또한 그 평형점도가 20000∼50000mPaㆍs 인,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
KR20047014414A 2002-03-18 2003-03-10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0400993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73422A JP3940009B2 (ja) 2002-03-18 2002-03-18 カルボキシル基含有水溶性重合体の製造方法
JPJP-P-2002-00073422 2002-03-18
PCT/JP2003/002767 WO2003078484A1 (fr) 2002-03-18 2003-03-10 Procede de production d'un polymere carboxyle soluble dans l'eau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327A true KR20040099327A (ko) 2004-11-26

Family

ID=2803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7014414A KR20040099327A (ko) 2002-03-18 2003-03-10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90865B2 (ko)
EP (1) EP1489114B1 (ko)
JP (1) JP3940009B2 (ko)
KR (1) KR20040099327A (ko)
CN (1) CN1310984C (ko)
DE (1) DE60329907D1 (ko)
WO (1) WO20030784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9667B2 (en) 2005-11-14 2012-11-13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Water-soluble copolymer having alkyl-modified carboxyl groups
JP5149626B2 (ja) 2005-11-21 2013-02-20 住友精化株式会社 アルキル変性カルボキシル基含有水溶性共重合体
JP4998727B2 (ja) * 2007-09-27 2012-08-15 日本純薬株式会社 増粘用不飽和カルボン酸系重合体粉末の製造方法
JP5674223B2 (ja) 2009-08-04 2015-02-25 住友精化株式会社 カルボキシル基含有水溶性重合体の製造方法
CN106573207B (zh) 2014-08-11 2020-01-14 住友化学株式会社 Co2气体分离膜用组合物、co2气体分离膜及其制造方法以及co2气体分离膜模块
JP6645983B2 (ja) 2014-11-18 2020-02-14 住友化学株式会社 二酸化炭素ガス分離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二酸化炭素ガス分離膜モジュール
EP3441132A4 (en) 2016-04-04 2019-12-1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SAUERGASTRENNMEMBRAN AND SAUERGASTRENNÖFAFAHEN WITH, SAUERGASTRENNMODUL AND SAUERGASTRENNVORRICHTUNG
JP7016221B2 (ja) 2017-04-07 2022-02-04 住友化学株式会社 スパイラル型ガス分離膜エレメント、ガス分離膜モジュール、及びガス分離装置
EP3603776A4 (en) 2017-09-29 2021-05-19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SPIRAL TYPE GAS SEPARATION MEMBRANE ELEMENT, GAS SEPARATION MEMBRANE MODULE AND GAS SEPARATION DEVICE
JP6648092B2 (ja) 2017-11-15 2020-02-14 住友化学株式会社 酸性ガス分離膜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7089356B2 (ja) 2017-11-15 2022-06-22 住友化学株式会社 酸性ガス分離膜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11045761B2 (en) 2018-08-31 2021-06-29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Separation membrane sheet, separation membrane element, separation membran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eparation membrane sheet
JP2022018728A (ja) 2020-07-16 2022-01-27 住友化学株式会社 ガス分離膜用の樹脂組成物及びガス分離膜
JP2022018727A (ja) 2020-07-16 2022-01-27 住友化学株式会社 ガス分離膜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980165B (zh) * 2021-11-09 2023-03-03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增稠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94199A (ko) * 1954-01-25
US2958679A (en) 1958-05-22 1960-11-01 Goodrich Co B F Cross-linked copolymer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d polyalkenyl sulfones
US3426004A (en) 1965-01-13 1969-02-04 Goodrich Co B F Crosslinked acrylic acid interpolymers
JPS4713775B1 (ko) 1968-05-29 1972-04-25
CH606154A5 (ko) 1974-07-02 1978-11-15 Goodrich Co B F
JPS529008A (en) * 1975-07-14 1977-01-24 Mitsubishi Metal Corp Tough cermet containing metal carbide or nitride
US4267103A (en) 1978-12-07 1981-05-12 The B. F. Goodrich Company Solvent polymerization of carboxyl containing monomers
JPS56120717A (en) 1980-02-29 1981-09-22 Sumitomo Naugatuck Co Ltd Preparation of copolymer latex
JPS5884819A (ja) 1981-11-16 1983-05-21 Seitetsu Kagaku Co Ltd 架橋型カルボキシル基含有共重合体の製造方法
US4509949A (en) 1983-06-13 1985-04-09 The B. F. Goodrich Company Water thickening agents consisting of copolymers of crosslinked acrylic acids and esters
JPS60192718A (ja) 1984-03-15 1985-10-01 Dainippon Ink & Chem Inc 水性樹脂分散体の製造方法
JPH085927B2 (ja) 1986-12-26 1996-01-24 日本合成ゴム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
US4996274A (en) 1988-02-19 1991-02-26 The B. F. Goodrich Company Polycarboxylic acids with higher thickening capacity and better clarity
JP2938920B2 (ja) * 1990-01-31 1999-08-25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JPH05132657A (ja) 1991-11-12 1993-05-28 Toyo Ink Mfg Co Ltd 粘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3321209B2 (ja) * 1992-10-01 2002-09-03 住友精化株式会社 架橋型カルボキシル基含有重合体の製造方法
US5342911A (en) 1993-08-25 1994-08-30 3V Inc. Crosslinked polyacrylic acids having low solvent residue,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as thickening agents
CA2139699C (en) * 1994-01-07 2005-03-01 Burton Kozak Multi-function driving tool
DE19500871A1 (de) * 1995-01-13 1996-07-18 Basf Ag Verfahren zum Recyclen von Diaphragmen
JPH08249826A (ja) * 1995-03-10 1996-09-27 Nippon Conlux Co Ltd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再生方法
US6018010A (en) 1995-04-26 2000-01-25 Nippon Shokubai Co., Ltd. Polymer with high acid value from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nd vinyl monomer
JP3732557B2 (ja) * 1995-07-12 2006-01-05 住友精化株式会社 カルボキシル基含有重合体組成物
US5663253A (en) 1996-06-20 1997-09-02 3V Inc. Policarboxylic acids
JP3852515B2 (ja) 1998-04-15 2006-11-29 松原産業株式会社 多孔性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JP3522633B2 (ja) * 2000-03-10 2004-04-26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押出成形セメント製品用添加剤
JP3653665B2 (ja) 2000-09-21 2005-06-02 日本純薬株式会社 水溶性架橋共重合体粉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89114B1 (en) 2009-11-04
CN1310984C (zh) 2007-04-18
JP3940009B2 (ja) 2007-07-04
EP1489114A1 (en) 2004-12-22
DE60329907D1 (de) 2009-12-17
US20050159571A1 (en) 2005-07-21
EP1489114A4 (en) 2005-05-25
CN1643006A (zh) 2005-07-20
WO2003078484A1 (fr) 2003-09-25
JP2003268009A (ja) 2003-09-25
US7390865B2 (en) 2008-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99327A (ko) 카르복실기 함유 수용성 중합체의 제조방법
EP1772470B1 (en) Method for producing carboxyl group-containing water-soluble polymer
JP6871913B2 (ja) カルボキシル基含有重合体組成物の製造方法
JP5221958B2 (ja) アルキル変性カルボキシル基含有水溶性共重合体
EP3680293B1 (en) Carboxyl group-containing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A2964205A1 (en) Carboxyl group-containing polymer composition
JP2000355614A (ja) カルボキシル基含有重合体組成物
EP2368923B1 (en) Method for producing hydrophobically modified acrylic rheology modifiers
CA2806827C (en) Process for producing carboxyl-containing polymer composition, and carboxyl-containing polymer composition
US6084032A (en) Carboxylated polymer composition
WO2017170576A1 (ja) カルボキシル基含有重合体組成物
JP2005126455A (ja) カルボキシル基含有水溶性重合体の製造法
WO2023127737A1 (ja) カルボキシル基含有水溶性共重合体及びその用途
JP2001261749A (ja) チキソトロピー増粘剤の製造方法
CA3074047A1 (en) Alkyl-modified carboxyl group-containing copolymer, thickener containing said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said copoly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