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7278A - 약액 용기 - Google Patents

약액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7278A
KR20040097278A KR10-2004-7015814A KR20047015814A KR20040097278A KR 20040097278 A KR20040097278 A KR 20040097278A KR 20047015814 A KR20047015814 A KR 20047015814A KR 20040097278 A KR20040097278 A KR 20040097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filter
hole
container
upp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0676B1 (ko
Inventor
구보도모히코
아사다이쿠코
Original Assignee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와카모토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02911A external-priority patent/JP40476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12231A external-priority patent/JP435715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36579A external-priority patent/JP4744775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와카모토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6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43Containers with means for dispensing liquid medicaments in a filtered or sterile way, e.g. with bacterial filters
    • A61J1/145Containers with means for dispensing liquid medicaments in a filtered or sterile way, e.g. with bacterial filters using ai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43Containers with means for dispensing liquid medicaments in a filtered or sterile way, e.g. with bacterial filters
    • A61J1/1456Containers with means for dispensing liquid medicaments in a filtered or sterile way, e.g. with bacterial filters using liquid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68Containers characterised by specific materi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약액 용기는 가압에 의해 변형가능한 용기 본체(1)와, 이 용기 본체(1)에 액밀하게 부착되는 노즐 부재(2)와, 노즐 부재(2)에 씌워 부착된 노즐 캡(6)을 포함하며, 노즐 부재(2)의 노즐 구멍(231)은 친수성 필터(3)로 덮여지고, 노즐 부재(2)의 상부 벽(22)에는, 소수성 필터(4)로 덮인 통기 구멍(24)이 별도 설치된다. 상기 노즐 부재는 상기 필터를 배치하기 위한 필터 부착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또한 상기 통기 구멍을 거쳐서 용기 본체내에 유입하는 공기를 제한하는 유량 제한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Description

약액 용기{CHEMICAL CONTAINER}
일반적으로, 액상의 약품이나 화장품을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액 용기는 용기의 내부와 외부가 무균적으로 격리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일단 개봉하여 사용하기 시작하면, 노즐 구멍을 통과하여 용기 내부의 물약이 대기에 노출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노즐 구멍을 통해 대기중의 부유 세균이 용기 내부에 침입하거나, 또한 사용시에 노즐이 피부에 접촉할 경우에는, 피부에 부착되어 있던 세균이나 미생물이 용기 내부에 용이하게 침입할 우려가 있다. 더구나, 이러한 종류의 약액 용기로서는, 통상 손으로 가압함으로써 내부의 물약이 배출되고,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가압에 의해 변형된 용기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갈 때에 대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지만, 그에 따른 대기중의 세균이나 미생물도 용기 내부로 흡인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약액 용기에서는, 세균이나 미생물 등이 용기내에 침입하여, 물약중의 유효 성분, 혹은 물약을 안정화할 목적으로 첨가된 완충제나 용해 보조제를 양분으로 하여, 용기 내부에서 번식할 우려가 극히 높았다.
이 때문에, 종래의 물약에는, 만약 용기 내부에 세균이나 미생물이 침입한 경우에도, 침입한 세균 등이 번식하지 않도록, 방부나, 살균, 항균 등을 목적으로 한 여러 가지의 보존제(preservative)가 첨가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보존제의 예로서, 염화 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이나 염화 벤제토늄(benzethonium chloride)으로 대표되는 제 4 급 암모늄염(quaternary ammonium salt)의 방부제를 들 수 있지만, 이들의 방부제는 일반적으로 자극이 강하게 세포 독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눈(眼) 조직 등, 자극에 대해 예민한 기관에 사용하는 물약에 첨가할 경우에 있어서는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또한, 최근 보존제 등의 화학 물질에 관한 중독된 알레르기(allergy) 증상, 이른바 화학 물질 과민증이 보고되고 있어, 보존제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약품이나 화장품도 실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보존제를 포함하지 않는 약품이나 화장품은 개봉후의 무균성을 보증할 수 없기 때문에 일회 사용량 단위의 일회용 용기에 충전하지 않으면 안되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보관시에 장소를 차지하는 등의 이유로 아직 보급되지 않고 있다.
한편, 물약을 배출한 후에 가압 해제에 의해 용기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갈 때의 대기의 유입에 따른 부유 세균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용기를 소성 변형체로 하는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일본 실용신안 공보 제 1988-184037 호, 일본 특허 공표 제 2001-521865 호 등).
그러나, 용기 자체를 소성 변형체로 한 경우에도, 내부의 물약이 배출 노즐을 통하여 대기에 노출되는 점에서는 변함이 없고, 세균이나 미생물 등의 침입을 완전히 저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사용후에 노즐내에 잔류한 물약이 용기 내부로 역류할 때나, 탄성 변형한 용기가 가압 해제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갈 때에, 세균이나 미생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저지할 목적으로, 노즐에 필터를 설치한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 1960-592 호,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 1960-31875 호 참조).
그러나, 노즐에 필터를 설치한 경우에도, 액체와 기체 모두를 통과시키는 필터는 일반적으로 구멍 직경이 크기 때문에, 작은 세균이나 미생물 등을 포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작은 세균이나 미생물 등도 포착가능한 친수성 필터나 소수성 필터를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도, 친수성 필터는 액체는 통과시키지만 기체는 통과시키지 않기 때문에, 가압에 의해 변형한 용기는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갈 수 없다. 여기에서, 변형한 용기를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리기 위해서, 대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소수성 필터를 설치한 발명도 제안되어 있지만(일본 특허 공고 제 1991-61461 호 공보 참조), 이것은 노즐 구멍이 통기 구멍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소수성 필터상에 노즐로부터 역류한 물약이 체류하는 경우, 대기의 유입은 제한되어, 용기는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갈 수 없다.
더욱이, 용기로의 외기의 유입을 저지하고, 세균류의 혼입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이라고 한 것(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80055 호 공보 참조)도 있다.
상기의 종래예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2)의 입구부에 마개체(103)를 설치하고 있다. 마개체(103)는 상부 폐쇄형 원통형의 부재이고, 그 내부에는 상부 폐쇄형 끼워맞춤부(134)가 조립되어 있다. 이 마개체(103)의 상부와 끼워맞춤부(134)의 상부는 간극이 있어, 마개체(103)의 상부 중앙에는 노즐(131)이 형성되고, 끼워맞춤부(134)의 상부 중앙에는 밸브 구멍(10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131)의 바닥면에는 필터(107)가 배치되고, 밸브 구멍(106)의 상면에는 체크 밸브(108)가 배치되어 있다. 필터(107)와 체크 밸브(108) 사이의 공간은 물약의 수용 공간(109)의 기능을 한다.
사용시에 있어서 외부 캡(140)을 분리하고 용기(102)를 손으로 압박하면, 내부의 물약이 밸브 구멍(106)을 지나고, 체크 밸브(108)를 눌러 개방하고, 수용 공간(109)을 채운 후, 노즐(131)로부터 배출된다. 용기(102)를 압박한 손을 놓으면, 용기(102)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오려고 하기 때문에, 부압이 생겨 물약의 배출은 멈춘다. 동시에 체크 밸브(l08)가 닫히기 때문에, 외기가 노즐(131)로부터 유입되어도, 용기(102)내에는 유입하지 않는다.
그러나, 노즐(131)내에 물약이 체류할 우려도 있고, 그 경우 외기와 직접 접하는 노즐(131)의 선단 부분에서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다음 사용시에 오염된 물약 등이 환자에게 사용되기 때문에, 이 종래예에 있어서도, 물약의 무균 상태를 확보할 수 없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가압에 의해 노즐 구멍으로부터 내부의 물약을 배출하고, 가압의 해제후는 조속히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도록 한 약액 용기에 있어서, 약액 용기의 노즐이 손가락이나 얼굴과 같은 잡균이 많은 피부에 접한 경우에서도, 세균이나 미생물이 용기 내부에 침입하지 않는 약액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약액 용기의 노즐 구멍을 막도록 친수성 필터를 설치하고, 상기 노즐 구멍과는 별도로, 친수성 필터가 젖어서 통기성을 잃는 노즐 구멍 대신에 용기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기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통기 구멍을 소수성 필터로 막음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용기는 일단부측에 입구부를 갖고, 가압에 의해 변형가능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액밀하게 부착한 노즐 부재와, 이 노즐 부재에 씌워 부착된 노즐 캡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 부재가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물약을 배출하는 노즐 구멍과,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기 구멍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노즐 구멍을 덮는 친수성 필터와, 상기 통기 구멍을 덮는 소수성 필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용기 본체는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하여 가압의 해제에 의해 용이하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할 수 있는 가요성 재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연질 폴리염화비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탄성을 갖는 각종 고분자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노즐 부재는 용기 본체의 입구부를 덮는 상부 벽과, 상기 상부 벽의 주연으로부터 기단부측에 연장되는 스커트부와, 상기 상부 벽의 중앙에 세워 설치되어 선단부측에 연장되는 노즐을 포함하며, 그 노즐 구멍은 상기 상부 벽을 통하여 상기 노즐의 선단부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 벽에는, 상기 노즐 구멍과는 별도로, 상기 노즐 구멍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상기 상부 벽을 관통하는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친수성 필터와 소수성 필터는 평막(平膜) 형상이고, 각각 노즐 구멍 및 통기 구멍을 막도록 노즐 부재의 상부 벽의 내면측에 용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필터는 필터 내부에서 포착하는 「깊이 타입(depth type)」과, 필터 표면에서 포착하는 「스크린 타입(screen type)」의 2종류로 크게 나누어지지만, 본 발명에서는 어느 쪽의 타입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친수성 필터 및 소수성 필터의 구멍 직경은 오염 기인 균으로서 보통 알려져 있는 Candida albicans, Pseudo monas속, Burkholderia cepacia의 용기 내부로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0.4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액체나 기체의 유통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노즐 부재의 상부 벽의 내면측에, 노즐 구멍과 연통하는 홈 및 통기 구멍과 연통하는 홈을 각각 설치하고, 이 홈을 덮도록 상기 친수성 필터 및 소수성 필터를 각각 용착해도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용기는 상기 노즐 캡에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를 밀봉하는 밀봉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용기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친수성 필터와 상기 소수성 필터는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상하로 나누어서 노즐 부재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노즐 부재가 필터 부착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 부착 부재는 상기 노즐 부재의 상부 벽에 밀접하여 상기 노즐 구멍과 통기 구멍에 각각 연통하는 노즐 연통 구멍과 통기 연통 구멍을 구비한 원판 형상 벽부를 갖고, 그 한쪽 표면에 노즐 연통 구멍을 덮는 친수성 필터를 배치하는 한편, 그 반대측 표면에 통기 연통 구멍을 덮는 소수성 필터를 배치하고, 그 필터 부착 부재 자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와 노즐 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용기는 일단부에 입구부를 갖고, 가압에 의해 용 이하게 변형가능한 가요성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입구부에 액밀하게 부착되는 노즐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 부재가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와 대기를 연통시키는 노즐 구멍 및 통기 구멍과, 상기 노즐 구멍을 덮는 친수성 필터와, 상기 통기 구멍을 덮는 소수성 필터와, 상기 통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로의 공기의 유입을 제한하는 유량 제한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노즐 부재는 노즐 연통 구멍을 거쳐서 외부로부터 용기 본체에 유입하는 공기를 제한하는 유량 제한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노즐 부재는 상기 노즐 부재의 노즐 구멍 및 통기 구멍에 각각 연통하는 노즐 연통 구멍과 통기 연통 구멍을 구비한 필터 부착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 부착 부재에 상기 통기 구멍 및 통기 연통 구멍을 거쳐서 외부로부터 용기 본체내로의 공기의 유입을 제한하는 유량 제한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유량 제한 부재는 체크 밸브여도 좋고, 또한 다이아프램이여도 좋다.
본 발명은 약액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액상의 약품 및 화장품을 보존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약액 용기로서, 세균이나 미생물 등에 의해 용기 내부가 오염되지 않도록 한 약액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용기의 종단면도,
도 2는 필터를 제거한 상태의 보틀 캡(bottle cap)의 분해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용기의 주요부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약액 용기의 단면도,
도 6a는 도 4의 약액 용기에 있어서의 필터 부착 부재의 평면도,
도 6b는 도 4의 약액 용기에 있어서의 필터 부착 부재의 단면도,
도 6c는 도 4의 약액 용기에 있어서의 필터 부착 부재의 저면도,
도 7a는 필터를 부착한 상태의 필터 부착 부재의 평면도,
도 7b는 필터를 부착한 상태의 필터 부착 부재의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용기의 단면도,
도 10a는 필터를 부착하지 않은 상태의 필터 부착 부재의 평면도,
도 10b는 필터를 부착하지 않은 상태의 필터 부착 부재의 단면도,
도 10c는 필터를 부착하지 않은 상태의 필터 부착 부재의 저면도,
도 11a는 필터를 부착한 상태의 필터 부착 부재의 평면도,
도 11b는 필터를 부착한 상태의 필터 부착 부재의 저면도,
도 12a는 체크 밸브(41)의 밸브 폐쇄 상태의 단면도,
도 12b는 체크 밸브(41)의 밸브 개방 상태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약액 용기로 이용하는 체크 밸브를 설치한 필터 부착 부재의 단면도,
도 14는 종래의 약액 용기의 입구부내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중, 동일 또는 동등 부재에는 동일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용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보틀 캡의 분해 저면도(필터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함)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용기의 주요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약액 용기는 용기 본체(1)와, 이 용기 본체(1)에 액밀하게 부착한 보틀 캡 또는 노즐 부재(2)와, 노즐 부재(2)에 씌워 부착된 노즐 캡(6)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노즐 부재(2)의 노즐 구멍(231)은 친수성 필터(3)로 막고 있고, 노즐 부재(2)의 상부 벽(22)에는, 소수성 필터(4)로 막은 통기 구멍(24)이 별도 설치된다.
상기 용기 본체(1)는 바닥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부에배럴부(barrel portion)(11)보다도 작은 직경의 입구부(12)가 설치된다. 용기 본체(1)의 재질은 가압에 의해 변형 가능하고, 또한 그러한 가압으로부터 해제되었을 때에, 용이하게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가요성 고분자 재료가 채용된다. 이 종류의 가요성 고분자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칠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연질 폴리염화비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탄성을 갖는 각종 고분자 재료를 들 수 있다.
상기 노즐 부재(2)는 캡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상부 벽(22)에는 그 주연으로부터 연장되는 스커트부(21)가 설치되고, 상부 벽(22)의 중심 부분에는 선단부측에 돌출하는 노즐(23)이 설치된다. 스커트부(21)와 용기 본체(1)의 입구부(12) 사이에는, 필요하다면 가스켓(7)을 개재시켜도 좋다. 노즐(23)은 노즐 부재(2)의 상부 벽(22)으로부터 선단부 방향으로 원통형 혹은 절두 원추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장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액체의 유통로로서의 노즐 구멍(231)이 설치된다. 노즐 구멍(231)의 기단부측은 상부 벽(22)의 내벽면측에 배치된 친수성 필터(3)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 부재(2)의 상부 벽(22)에 노즐(23)과 동심형상 외측에 원통벽(25)이 설치되어 있고, 통기 구멍(24)은 상기 노즐(23)과 원통벽(25) 사이의 상부 벽(22) 부분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 통기 구멍(24)은 상부 벽(22)의 내벽면측에서 소수성 필터(4)에 의해 덮여 있다. 통기 구멍(24)이 노즐 구멍(231)과는 다른 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면, 원통벽(25)은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서는, 친수성 필터(3)에 의해 폐쇄된 노즐 구멍(231)과는 다른 개소에 소수성 필터(4)에 의해 폐쇄된 통기 구멍(24)을 설치함으로써, 통기 구멍(24)의 통기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필터(3, 4)는 보통 용착에 의해 노즐 부재의 내벽면측에 부착되어 있다. 용착 방법으로서는, 초음파 용착(ultrasonic welding), 고주파 용착(high-frequency welding), 열 용착(thermal welding) 등이 채용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열 용착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3, 4)의 구멍 직경은 오염 기인 균(pollutive bacteria)으로서 보통 알려져 있는 Candida albicans, Pseudomonas속, Burkholderia cepacia의 용기 내부로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0.4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의 포착 기구는 필터 내부에서 포착하는 「깊이 타입」과, 필터 표면에서 포착하는 「스크린 타입」의 2종류로 크게 나누지만, 본 발명에서는 어느 쪽의 타입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부재(2)의 상부 벽(22)의 내벽면측에, 노즐 구멍(231)과 연통하는 홈(51) 및 통기 구멍과 연통하는 홈(52)을 각각 설치하고, 이 홈(51, 52)을 덮도록 필터(3, 4)를 각각 용착함으로써, 액체나 기체의 유통을 좋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여과 면적이 큰 필터를 그 외연부에서 노즐 부재(2)와 용착하고 있더라도, 가압시에 필터가 박리하거나 손상할 우려는 없다.
노즐 캡(6)은 보통 입구부를 갖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 벽의 내면측에 돌출하고, 노즐(23)의 선단부에 밀착하여 노즐 구멍(231)을 기밀하게 밀폐하는 밀봉부(61)가 설치된다. 이 밀봉부(61)는 보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노즐 캡(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통벽(25)에 나사 결합 혹은 끼워맞춤하여 씌워 부착되지만, 원통벽(25)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 있어서는, 스커트부(21)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 혹은 끼워맞춤하여 씌워 부착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노즐 캡(6)은 단지 노즐(23)에 씌워 부착시키는 것, 즉 밀봉부(61)만으로 구성된 예컨대 고무 캡과 같은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성의 약액 용기는 노즐 부재의 노즐 구멍을 친수성 필터로 폐쇄하고, 소수성 필터로 폐쇄한 통기 구멍을 별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시의 약액 용기의 노즐이 피부에 접했을 경우에도, 세균이나 미생물 등의 용기 내부로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용기는 화장품보다도 높은 무균성이 요구되는 약품에 있어서, 더욱이 약품 속에 있어서도, 보존제의 첨가가 제한되는 점안제(點眼劑)를 보존하는 점안 용기에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그 효과는 현저하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용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용기는 가압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 가능한 가요성의 용기 본체(1)와, 상기 용기 본체(1)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노즐과 통기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1)에 액밀하게 부착되는 노즐 부재(2)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부재(2)의 노즐을 폐쇄하는 친수성 필터(3)와, 상기 통기 구멍을 폐쇄하는 소수성 필터(4)를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상하로 나누어서 상기 노즐 부재내에 유지하는 필터 부착 부재(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용기 본체(1)는, 도 4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을 갖는 원통형의 용기이며 가요성 고분자 재료로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배럴부(11)보다 작은 직경의 입구부(12)를 구비하며, 그 네크부의 외부벽에는, 후술하는 노즐 부재(2)와 결합하는 수나사(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 부재(2)는 캡 형상의 부재이며, 용기 본체(1)의 입구부를 덮는 원판 형상의 상부 벽(22)과, 그 주연으로부터 연장되는 스커트부(2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커트부(2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2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암나사(21l)는 상기 입구부(12)의 수나사(13)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노즐 부재(2)를 입구부(12)에 결합하면, 용기 본체(1)를 액밀하게 밀봉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벽(22)의 중심 부분에는 스커트부 반대측에 돌출하는 노즐(23)이 설치된다. 노즐(23)은 원통형 혹은 절두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장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액체의 유통로로서의 노즐 구멍(231)이 설치된다. 또한, 노즐 부재(2)의 상부 벽(22)에는, 노즐(23)과 동일축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노즐(23)을 포위하는 원통벽(25)이 설치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수나사(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 부재(2)의 상부 벽(22)은 노즐(23)과 원통벽(25) 사이의 부분에, 이를 관통하는 통기 구멍(24)이 설치된다. 이 통기 구멍(24)은 반드시 1개소일 필요는 없고, 몇 군데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필터 부착 부재(8)는 대략 원판 형상의 부재이고, 도 6a 내지 도 6c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장착면(81)과, 그 하면에 환상으로 형성한 스커트부(82)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면(81)의 외경은 상기 노즐 부재(2)의 내주에 수납되는 크기이며, 스커트부(82)의 외경은 용기 본체(1)의 입구부(12)의 내주에 수납되는 크기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부재(2)의 내부에 필터 부착 부재(8)를 삽입하고, 노즐 부재(2)를 용기 본체(1)의 입구부(12)에 나사 결합하면, 입구부(12)와 노즐 부재(2)의 바닥면 사이에 필터 부착 부재(8)를 끼워 부착할 수 있다.
이 필터 부착 부재(8)의 장착면(81)의 상면 중앙에는 작은 원통형 돌기(83)가 형성되고, 그 중심을 지나 원통형 돌기(83)의 상단부로부터 장착면(81)의 저면까지 관통하도록 노즐 연통 구멍(8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면(81)의 저면에 있어서의 노즐 연통 구멍(84)의 주위에는 홈(8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85)은 노즐 연통 구멍(84)과 통하는 방사상의 홈(85a)과, 그것과 통하는 환상의 홈(85b)의 집합체이다.
또한, 장착면(81)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떨어지고, 또한 스커트부(82)의 내벽면측의 위치에는, 장착면(81)의 표면으로부터 저면까지 관통하도록 통기 연통 구멍(8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면(81)의 상면에 있어서의 통기 연통 구멍(86)의 주위에는 홈(87)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87)은 통기 연통 구멍(36)과 통하는 방사상의 홈(87a)과, 그것과 통하는 환상의 홈(87b)의 집합체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이기 때문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부재(2)를 용기 본체(1)의 입구부(12)에 나사 결합시키면, 필터 부착 부재(8)가 입구부(12)의 상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노즐(23)의 노즐 구멍(231)은 노즐 연통 구멍(84)을 거쳐서 용기 본체(1)의 내부와 연통하고, 통기 구멍(24)은 통기 연통 구멍(36)을 거쳐서 용기 본체(1)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5,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친수성 필터(3)는 필터 부착 부재(8)의 저면에 부착되고, 소수성 필터(4)는 필터 부착 부재(8)의 상부면에 부착된다.
상기 친수성 필터(3)와 상기 소수성 필터(4)는 평막 형상이며, 용착 등에 의해 설치가능한 부재이다. 이용하는 용착 방법으로서는, 초음파 용착, 고주파 용착, 열 용착 등이 채용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열 용착이 바람직하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친수성 필터(3)를 필터 부착 부재(8)의 저면에 있어서의 홈(85)의 상면과 그 주위에 용착하면, 노즐 연통 구멍(84)과 홈(85)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참조부호(88)는 소수성 필터(4)의 위치 결정 리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친수성 필터(3)와 소수성 필터(4)를 필터 부착 부재(8)의 상부면과 저면에 나누어 배치하고 있으므로, 서로 간섭하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각 필터(3, 4)의 직경은 대략 필터 부착 부재(8)의 직경을 한도로서,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물약의 배출 용이성을 직접 좌우하는 친수성 필터(3)의 직경을 필터 부착 부재(8)의 스커트부(82)의 내경까지 확대했으므로,친수성 필터(3)의 구멍 직경을 작게 하여도, 아주 양호한 물약 배출성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각 필터(3, 4)는 오염 기인 균의 용기 내부로의 침입을 방지하기 때문에, 0. 45㎛ 이하, 바람직하게는 0.22㎛ 이하의 구멍 직경인 것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필터의 포착 기구는 필터 내부에서 포착하는 「깊이 타입」과, 필터 표면에서 포착하는 「스크린 타입」의 2종류로 크게 나눠지지만, 본 발명에서는 어느 쪽의 타입의 것도 좋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노즐 캡(6)은 바닥부가 개구한 대략 원통형의 부재이고, 그 천장벽의 내벽면측에는, 노즐(23)의 선단부에 밀착하여 노즐 구멍(231)을 기밀하게 밀폐하는 밀봉부(61)가 설치된다. 이 밀봉부(61)는 보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노즐 캡(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노즐 부재(2)의 원통벽(25)에 나사 결합 혹은 끼워맞춤하여 씌워 부착되지만, 원통벽(25)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 있어서는, 노즐 부재(2)의 스커트부(21)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 혹은 끼워맞춤하여 씌워 부착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노즐 캡(6)은 단지 노즐(23)에만 씌워 부착하는 부재, 즉 밀봉부(61)만으로 구성된 것, 예컨대 고무 캡과 같은 것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친수성 필터(3)를 필터 부착 부재(8)의 저면측에 설치하고, 소수성 필터(4)를 상부면측에 설치하고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친수성 필터(3)를 필터 부착 부재(8)의 상부면측에 설치하고, 소수성 필터(4)를 저면측에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원통형 돌기(83)를 제거하여 평탄하게 하면, 친수성 필터(3)의용착에 특별한 지장은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필터 부착 부재(8)를 이용했지만, 이것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친수성 필터(3)와 소수성 필터(4)를 노즐 부재(2)에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노즐 부재(2)의 상부 벽(22)의 내벽면측에 노즐 구멍(231)에 통하는 홈을 형성하여 친수성 필터(3)를 용착하고, 상부 벽(22)의 외벽면측에 통기 구멍(24)에 통하는 홈을 형성하여 소수성 필터(4)를 용착하면 좋다. 또한, 소수성 필터(4)는 대형의 노즐 캡(6)으로 덮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약액 용기는 화장품보다도 높은 무균성의 요구되는 약품에 있어서, 더욱이 약품 속에 있어서도, 보존제의 첨가가 제한되는 점안제를 보존하는 점안 용기에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그 효과는 현저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용기는 노즐 구멍 이외에 통기 구멍을 설치하고, 각각에 구멍 직경이 작은 친수성 필터와 소수성 필터를 배치함으로써, 약액 용기의 취급 안전을 손상하지 않고, 오염 기인 균으로서 알려지는 미소균의 용기 내부로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친수성 필터와 소수성 필터가 노즐 부재의 상부 벽 또는 필터 부착 부재의 상하로 배치되어 동일 평면내에서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유효 면적을 크게 얻고, 물약을 배출하기 쉬울 수 있고, 가압한 용기 본체의 변형도 원래 상태로 되돌리기 쉽다.
또한, 필터 부착 부재의 내벽면측과 외벽면측에 개별적으로 친수성 필터와 소수성 필터를 부착하도록 하면, 노즐 부재를 복잡한 구조로 하지 않고 친수성 필터와 소수성 필터를 상하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 부착 부재는 노즐 부재의 내부에 넣어서 그 내벽면과 용기 본체의 입구부 사이에 끼워넣기 때문에, 상하에 배치하는 친수성 필터와 소수성 필터를 용 이하게 약액 용기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2종류의 필터가 어느 것도 평막 형상이므로, 장착 공간이 극소로 되어 약액 용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홈의 존재에 의해 물약의 배출시의 유통성을 좋게 하고, 또한 공기 유입시의 유통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약액 용기의 조작성이 좋아진다.
도 8 내지 도 12b에 도시한 약액 용기는 용기 본체(1), 캡 형상의 노즐 부재(2) 및 노즐 캡(6)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 부재(2)는 상기 용기 본체(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노즐 구멍(231) 및 통기 구멍(24)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 구멍(23l)을 덮는 친수성 필터(3)와, 상기 통기 구멍(24)을 덮는 소수성 필터(4)가 각각 장착되어 있고, 이들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약액 용기가 대응하는 구성 부재와 거의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약액 용기(1)는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필터 부착 부재(8)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 부착 부재(8)는 대략 원판 형상의 부재이며, 도 10a 내지 도 10c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 형상 본체(81)와, 그 하면에 환상으로 형성한 스커트부(82)를 포함한다. 상기 원판 형상 본체(81)의 외경은 상기 노즐 부재(2)의 스커트부(21)에 수납되는 크기이고, 스커트부(82)의 외경은 용기 본체(1)의 입구부(12)의 내주에 수납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상기 원판 형상 본체(81)는 그 상면 중앙에 작은 원통형 돌기(83)가 형성되고, 그 중심을 지나 원통형 돌기(83)의 상단부로부터 원판 형상 본체(81)의 저면까지 관통하도록 노즐 연통 구멍(8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노즐 연통 구멍(84)은 상기 노즐(23)의 노즐 구멍(231)과 연통한다. 상기 원판 형상 본체(81)의 저면에는, 상기 노즐 연통 구멍(84)을 포위하는 홈(8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85)은 노즐연통 구멍(84)과 통하는 방사상의 홈(85a)과, 그것과 통하는 환상의 홈(85b)의 집합체이다.
또한, 상기 원판 형상 본체(81)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에 떨어지고, 또한 스커트부(82)의 내측의 위치에, 원판 형상 본체(81)의 표면으로부터 저면까지 관통하도록 통기 연통 구멍(8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판 형상 본체(81)의 상면에 있어서의 통기 연통 구멍(86)의 주위에는 홈(87)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87)은 통기 연통 구멍(86)과 통하는 방사상의 홈(87a)과, 그것과 통하는 환상의 홈(87b)의 집합체이다. 그리고, 이 홈(87)을 통과시켜서 통기 연통 구멍(86)과 상기 통기 구멍(24)이 연통한다.
더욱이, 원판 형상 본체(81)에는, 상기 통기 구멍(24)을 거쳐서 상기 용기 본체(1)의 내부에 유입하는 공기를 제한하는 유량 제한 부재(4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유량 제한 부재(41)는 공기의 유량을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임의의 구조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유량 제한 부재는 체크 밸브나 다이아프램이지만, 이들 이외의 것을 이용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다이아프램에는 쵸크 밸브(choke valve)나 오리피스가 포함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기 구멍(24)으로부터 용기 본체(1)에 달하는 유동 경로인 통기 연통 구멍(86)내에 체크 밸브(41)가 설치된다. 이 체크 밸브(41)는 필터 부착 부재(8)와 일체의 것이어도 무방하고,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한 것을 삽입 고정해도 좋다. 일체로 형성한 경우, 체크 밸브의 밸브 본체는 탄력성을 가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필터 부착 부재(8)의 소재는 탄력성이 있는 연질인 것으로, 필터를 용착가능한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나 폴리올레핀계 수지[저밀도 폴리에틸렌(low-density polyethylene), 랜덤 폴리프로필렌(random polypropylene)]를 들 수 있다. 또한, 체크 밸브(41)를 별도의 부재로서 부착하는 경우, 체크 밸브(41)의 소재로서는, 상기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나 폴리올레핀계 수지(polyolefin resin)에 추가하여,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고무 등의 가황 고무나 실리콘 고무도 채용가능하다. 이 경우, 필터 부착 부재(8)의 소재로서는, 의료 기구로서 채용 실적이 있는 고분자 재료이면 어느 것이나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 밸브(41)는 물약(d)의 외부로의 유출을 저지하고(도 12a 참조), 공기(a)의 내부로의 유입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도 12b 참조).
따라서, 손가락으로 용기 본체(1)를 압박하고, 물약을 노즐 구멍(231)으로부터 배출할 때,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약(d)은 체크 밸브(41)로 차단되어 통기 연통 구멍(86)에 진입하는 것은 없다. 또한 용기 본체(1)가 보통 상태일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압박되어 있는 용기 본체(1)로부터 손가락을 떨어지게 하고, 용기 본체(1)가 원래의 형상으로 팽창할 때, 통기 구멍(24) 및 통기 연통구멍(86)으로부터 외기(a)가 용기 본체(1)내에 유입하기 시작한다. 이 때 외기와 용기 본체(1)내의 부압차에 의해,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 밸브(41)가 약간 열리므로, 그 좁은 개구 부분을 통하여 공기(a)가 유입하게 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부재(2)를 용기 본체(1)의 입구부(1D)에 나사 결합시키면, 필터 부착 부재(8)가 입구부(12)의 상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노즐(23)의 노즐 구멍(231)은 노즐 연통 구멍(84)을 거쳐서 용기 본체(1)의 내부와 연통하고, 통기 구멍(24)은 통기 연통 구멍(86)을 거쳐서 용기 본체(1)의 내부와 연통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도 9,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친수성 필터(3)는 필터 부착 부재(8)의 저면에 부착하고, 소수성 필터(4)는 필터 부착 부재(8)의 상부면에 부착한다.
상기 약액 용기를 사용할 때, 우선 노즐 캡(6)을 분리한다. 그 다음, 물약을 배출하기 위해 용기 본체(1)를 손가락으로 압박하면, 내부의 물약이 압출되고, 친수성 필터(3)를 통과하여 노즐(23)로부터 외부에 적하된다. 이 때,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 밸브(41)는 닫혀 있으므로, 물약(d)은 통기 연통 구멍(86)에 진입하지 않고, 소수성 필터(4)에 접촉하지도 않는다. 이 때문에, 소수성 필터(4)의 재질과 성질이 맞지 않는 물약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소수성 필터(4)의 열화(예컨대, 친수성화 등)를 방지할 수 있고, 소수성 필터(4)의 하면[홈(87)내]에서의 물약의 결정 석출(crystal deposition)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홈(87)내의 물약을 영양분으로서 소수성 필터(4)의 상면에서, 예컨대 Aureobasdium Pullulans나,Asperglllus Oryzac 등, 막면 아래로 균사를 늘리는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나아가서는 물약의 무균화에 공헌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량을 적하한 후, 용기 본체(1)의 압박을 줄이면, 용기 본체(1)는 그 가요성에 근거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오도록 팽창한다. 이 때 용기 본체(1)내는 부압이 된다. 이 부압과 외기의 압력차에 의해, 노즐 구멍(231)의 내부에 배출 정지 후에 쌓인 물약은 친수성 필터(3)를 통과하여, 용기 본체(1)내로 복귀되게 된다. 한편,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 밸브(41)는 약간 열리므로, 물약이 용기 본체(1)내로 복귀된 후에도 외부의 공기(a)는 조금씩 용기 본체(1)내로 진입하고, 용기 본체(1)의 원래의 형상으로의 복귀도 시간을 들여서 천천히 수행된다. 즉, 친수성 필터(3)상의 물약이 용기 본체(1)내에 회수되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 본체(1)내의 부압에 의해 물약이 친수성 필터(3)를 통과하는 시간이 충분하게 확보되므로, 노즐 구멍(231)내에 물약의 잔여분이 남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세균이 부착된 물약이 다시 용기 본체(1)내로 들어올 위험성을 극소화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는 체크 밸브로서 얇은 형상의 밸브 본체를 이용한 것이다. 이 체크 밸브(42)는 밸브 본체가 얇기 때문에, 용기 본체(1)내의 부압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밸브를 개방하기 쉬워진다. 단지, 너무 얇게 하면 크게 밸브 본체가 열리고, 노즐 구멍(231)내의 물약의 친수성 필터(3)를 통과하는 시간이 ??아지므로, 적당한 시간으로 되도록 그 두께를 선정하면 좋다.
상기 각 실시예는 어느 것이나 체크 밸브를 유량 제한 부재로서 사용하지만, 이 대신에 다이아프램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 다이아프램으로서는 쵸크이어도 무방하고 오리피스도 좋다. 쵸크는 길이가 개구 단면 치수에 비하여 짧은 다이아프램이며, 어느 쪽의 다이아프램을 이용하는 경우도, 용기 본체(1)내에 노즐 구멍(231)내의 물약이 복귀할 때에, 친수성 필터(3)를 통과하는 시간을 필요한 만큼 확보할 수 있으면 좋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같이 물약으로의 세균의 부착을 저지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한 약액 용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체크 밸브나 다이아프램은 필터 부착 부재(8)에 형성된 통기 연통 구멍(86) 중간에 설치했지만, 필터 부착 부재(8)를 이용하지 않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기 구멍(24)과 용기 본체(1) 사이의 공기의 통로중, 예컨대 통기 구멍(24)내, 혹은 노즐 부재(2)의 상부 벽(22) 부분에 설치하면 좋다.

Claims (15)

  1. 입구부를 갖는 가압에 의해 변형가능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액밀하게 부착된 캡 형상의 노즐 부재와, 상기 노즐 부재에 씌워 부착된 노즐 캡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 부재에는, 소수성 필터로 폐쇄된 통기 구멍이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노즐 구멍은 친수성 필터로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 캡에는, 상기 노즐 부재의 노즐 구멍의 선단부를 밀봉하는 밀봉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약액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부재는 상부 벽과, 상기 상부 벽의 주연으로부터 기단부측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와, 상기 상부의 중심으로부터 선단부측으로 연장되는 노즐을 포함하며, 노즐 구멍은 상기 노즐 부재의 상부 벽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의 선단부까지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벽의 내면측에서 친수성 필터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통기 구멍을 상기 노즐 부재의 상부 벽과 상기 상부 벽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 구멍과는 별도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약액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친수성 필터와 소수성 필터가 평막 형상이며, 각각의 필터를 노즐 부재의 상부 벽의 내면측에서, 각각 노즐 구멍과 통기 구멍을 폐쇄하도록 용착하여 이루어지는
    약액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부재의 상부 벽의 내면측에, 노즐 구멍과 연통하는 홈 및 통기 구멍과 연통하는 홈을 각각 설치하고 있고, 상기 홈을 덮도록 친수성 필터 및 소수성 필터를 각각 용착하여 이루어지는
    약액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친수성 필터와 소수성 필터의 구멍 직경이 0.4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친수성 필터와 소수성 필터의 구멍 직경이 0.2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필터와 상기 소수성 필터는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상하로 나누어서 노즐 부재에 배치되어 있는
    약액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부재가 필터 부착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 부착 부재가 상기노즐 부재의 상부 벽에 밀접하여 상기 노즐 구멍과 통기 구멍에 각각 연통하는 노즐 연통 구멍과 통기 연통 구멍을 구비한 원판 형상 벽부를 갖고, 그 한쪽 표면에 노즐 연통 구멍을 덮는 친수성 필터를 배치하는 한편, 그 반대측 표면에 통기 연통 구멍을 덮는 소수성 필터를 배치하고, 상기 필터 부착 부재 자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와 노즐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약액 용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필터 및 상기 소수성 필터가 어느 것이나 평막 형상이며, 각 필터가 상기 노즐 연통 구멍과 상기 통기 연통 구멍을 폐쇄하도록 상기 필터 부착 부재에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용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착 부재가 상기 노즐 연통 구멍과 연통하는 홈 및 상기 통기 연통 구멍과 연통하는 홈을 각각 설치하고 있고, 상기 홈을 덮도록 상기 친수성 필터 및 상기 소수성 필터가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부재가 상기 통기 구멍을 거쳐서 외부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유입하는 공기를 제한하는 유량 제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부재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를 덮는 상부 벽과 그 외연에 형성된 스커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벽에 형성된 통기 구멍에, 외부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유입하는 공기를 제한하는 유량 제한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용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부재가 상기 노즐 부재의 노즐 구멍 및 통기 구멍에 각각 연통하는 노즐 연통 구멍과 통기 연통 구멍을 구비한 필터 부착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 부착 부재에 상기 노즐 연통 구멍을 덮는 친수성 필터와 상기 통기 연통 구멍을 덮는 소수성 필터가 배치되고, 상기 통기 연통 구멍에, 외부로부터 용기 본체내로의 공기의 유입을 제한하는 유량 제한 부재를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용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제한 부재가 체크 밸브인
    약액 용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제한 부재가 다이아프램인
    약액 용기.
KR20047015814A 2002-04-04 2003-04-04 약액 용기 KR1006606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02911 2002-04-04
JP2002102911A JP4047617B2 (ja) 2002-04-04 2002-04-04 薬液容器
JPJP-P-2002-00212231 2002-07-22
JP2002212231A JP4357159B2 (ja) 2002-07-22 2002-07-22 薬液容器
JP2002336579A JP4744775B2 (ja) 2002-11-20 2002-11-20 薬液容器
JPJP-P-2002-00336579 2002-11-20
PCT/JP2003/004318 WO2003084460A1 (fr) 2002-04-04 2003-04-04 Contenant pour produit chim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278A true KR20040097278A (ko) 2004-11-17
KR100660676B1 KR100660676B1 (ko) 2006-12-21

Family

ID=28794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7015814A KR100660676B1 (ko) 2002-04-04 2003-04-04 약액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225949B2 (ko)
EP (1) EP1495747B1 (ko)
KR (1) KR100660676B1 (ko)
CN (1) CN1326509C (ko)
AU (1) AU2003220987A1 (ko)
ES (1) ES2400177T3 (ko)
HK (1) HK1070266A1 (ko)
WO (1) WO200308446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314B1 (ko) * 2010-10-19 2013-01-10 김준배 약액 적하용기
KR20210053041A (ko) * 2019-11-01 2021-05-11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주식회사 의료용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4003700A (es) * 2001-10-22 2004-07-30 Taro Pharma Ind Contenedor para abastecedor de formulaciones resistente a derramamientos.
DE202004009721U1 (de) * 2004-06-21 2004-08-26 Filtertek B.V. Vorrichtung zur Abgabe von Flüssigkeiten in Form von Tropfen
DE102006005608B4 (de) * 2006-02-06 2007-10-11 Heraeus Kulzer Gmbh Dentalbehältnis mit verdampfungsdicht verschließbarem Tropfereinsatz
FR2897599B1 (fr) * 2006-02-23 2010-08-27 Rexam Pharma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e liquide.
FI118678B (fi) 2006-10-23 2008-02-15 Thermo Fisher Scientific Oy Reagenssisulku
FR2908043B1 (fr) * 2006-11-03 2009-01-23 Prevor Internat Sarl Dispositif portable individuel pour bain d'oeil
JP4869039B2 (ja) * 2006-11-27 2012-02-01 ニプロ株式会社 薬液容器
PT2193795E (pt) * 2007-08-29 2014-10-22 Wakamoto Pharma Co Ltd Composição farmacêutica aquosa contendo latanoprost
US9301520B2 (en) 2007-12-21 2016-04-05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reezing, storing and thawing biopharmaceutical materials
US8177123B2 (en) * 2008-09-24 2012-05-15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reezing, storing and thawing biopharmaceutical materials
FR2927064B1 (fr) * 2008-02-04 2010-03-26 Rexam Pharma Embout de distribution de liquide, et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es distribution de liquide comprenant un tel embout.
JP5224915B2 (ja) * 2008-06-03 2013-07-03 大成化工株式会社 フィルター付き吐出容器
JP5531013B2 (ja) * 2009-05-22 2014-06-25 大塚製薬株式会社 点眼容器
EP2438899A4 (en) * 2009-06-04 2013-02-13 Jms Co Ltd CAP AND CONTAINER FOR FOOD SUPPLEMENT THEREWITH
CN103054722A (zh) * 2011-10-20 2013-04-24 苏州市锦新医用塑料容器厂 一种滴眼剂瓶的瓶塞
FI20116059A (fi) 2011-10-28 2013-04-29 Thermo Fisher Scientific Oy Reagenssipullo, järjestelmä, menetelmä ja laite suljinkorkkien ja vastaavien käsittelemiseksi
US8708203B2 (en) * 2012-05-07 2014-04-29 Rl Innovations, Llc Screw-on throat plug assembly
CN114099332A (zh) * 2012-07-26 2022-03-01 阿勒根公司 用于在货架贮存时维持尖端无菌的容器封闭的双帽系统
KR101955330B1 (ko) * 2012-12-21 2019-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핵산 분석용 반응 시약 공급 장치
WO2014178058A1 (en) * 2013-05-01 2014-11-06 Fertilesafe Ltd Devices and methods for producing liquid air
KR101512298B1 (ko) * 2013-08-07 2015-04-15 강성일 누출 검사가 용이한 포장용 밀폐용기 및 이를 이용한 누출 검사방법과 검사장치
AU2014326988B2 (en) * 2013-09-24 2017-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Vented container for viscous liquids
EP2871139B1 (de) * 2013-11-08 2017-04-12 pheneo GmbH Tropfer zum Abgeben von Tropfen eines Fluids, Tropfer-Kappe-System und Behältnis mit einem solchen Tropfer oder Tropfer-Kappe-System
DE102013226253B4 (de) 2013-12-17 2016-03-24 Aptar Radolfzell Gmbh Schutzkappe für einen Spender und Spender zum Austrag von pharmazeutischen und/oder kosmetischen Flüssigkeiten
EP3137213B1 (en) 2014-04-28 2019-09-25 Thermo Fisher Scientific Oy Reagent bottle cap,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closure caps and like
DK3380059T3 (da) * 2015-11-25 2020-07-27 Bayer Healthcare Llc Sprøjtepåfyldningsadapter
US10723528B2 (en) * 2016-01-22 2020-07-28 Rieke Packaging Systems Limited Dispensing closures and dispensers
US10752395B2 (en) * 2016-04-15 2020-08-25 Kyoraku Co., Ltd. Delaminatable container
ES1173259Y (es) * 2016-12-15 2017-03-22 Inst De Tecnologia Y Estetica Pharma S L Kit de utilizacion in situ para garantizar la calidad de un producto cosmetico aplicable a seres vivos
JP6423495B1 (ja) * 2017-07-21 2018-11-14 株式会社メンテック ノズルキャップ、それを備えたノズル装置及び薬液の散布方法
JP6900274B2 (ja) 2017-08-16 2021-07-07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薬液供給装置、基板処理装置、薬液供給方法、および基板処理方法
US10633150B2 (en) * 2017-12-04 2020-04-28 Bucktap Llc Pour spout device
FR3076187B1 (fr) * 2018-01-03 2021-09-10 Oreal Capsule service de conditionnement de produit cosmetique, et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associe
FR3080844B1 (fr) * 2018-05-07 2020-06-05 Horus Pharma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istribution d'un produit avec flacon et embout doseur muni d'un filtre
CN108685688B (zh) * 2018-06-12 2024-05-17 张家港众辉医用塑料科技有限公司 三级过滤无菌药液包装
CN109620530A (zh) * 2018-12-07 2019-04-16 张家港众辉医用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无残留滴液器的过滤装置
US11825974B1 (en) * 2020-03-01 2023-11-28 Michael O. Murphy Expandable strainer insert for bottles
CN113679913A (zh) * 2021-07-09 2021-11-23 贵州三力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喷雾剂药瓶防止液体外渗的盖帽结构
KR102663933B1 (ko) * 2021-12-10 2024-05-03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
FR3134568B1 (fr) * 2022-04-19 2024-03-22 Promens Sa Recipient ophtalmique du type sans air
CN114873070A (zh) * 2022-05-12 2022-08-09 声海电子(深圳)有限公司 液体释放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0023A5 (de) 1984-05-30 1987-03-13 Lonza Ag Hochtemperaturschmierstoff fuer die spanlose heissumformung von metallen.
JPS62115370A (ja) * 1985-11-14 1987-05-27 Nitsuteku:Kk サンプルホルダ
JPS62115370U (ko) * 1986-01-13 1987-07-22
JPS63184037U (ko) 1987-05-20 1988-11-28
US4938389A (en) * 1988-11-03 1990-07-03 Eye Research Institute Of Retina Foundation Filter bottle
US5219101A (en) * 1989-06-01 1993-06-15 Pall Corporation Contamination-resistant dispensing and metering drop forming device
US5265770A (en) * 1989-06-01 1993-11-30 Pall Corporation Contamination-resistant dispensing and metering device
JP2852765B2 (ja) 1989-07-31 1999-02-03 株式会社錬農水産 めし類成形食品類の製造方法
JPH046052A (ja) * 1990-04-19 1992-01-10 Nippon Millipore Kogyo Kk 液体用容器
US5490938A (en) * 1993-12-20 1996-02-13 Biopolymerix, Inc. Liquid dispenser for sterile solutions
CN2243296Y (zh) * 1996-02-17 1996-12-25 永海兴业有限公司 便携式喷剂容器盒
FR2770495B1 (fr) * 1997-11-04 1999-12-24 Transphyto Sa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pour liquide a distribuer goutte a goutte
US6073812A (en) * 1999-01-25 2000-06-13 Steris Inc. Filtered venting system for liquid containers which are susceptible to contamination from external bioburden
AU2001274608A1 (en) * 2000-06-28 2002-01-08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Liquid lead-out tool, and liquid vessel connector using the same
JP4580524B2 (ja) * 2000-09-12 2010-11-17 株式会社日本点眼薬研究所 フィルター付き吐出容器
JP4749572B2 (ja) * 2001-03-13 2011-08-17 大成化工株式会社 分与容器の口栓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314B1 (ko) * 2010-10-19 2013-01-10 김준배 약액 적하용기
KR20210053041A (ko) * 2019-11-01 2021-05-11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주식회사 의료용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95747A1 (en) 2005-01-12
AU2003220987A1 (en) 2003-10-20
US20050139611A1 (en) 2005-06-30
WO2003084460A1 (fr) 2003-10-16
EP1495747B1 (en) 2013-01-16
CN1326509C (zh) 2007-07-18
CN1658815A (zh) 2005-08-24
HK1070266A1 (en) 2005-06-17
KR100660676B1 (ko) 2006-12-21
US7225949B2 (en) 2007-06-05
ES2400177T3 (es) 2013-04-08
AU2003220987A8 (en) 2003-10-20
EP1495747A4 (en) 201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676B1 (ko) 약액 용기
JP4869039B2 (ja) 薬液容器
US4463880A (en) Medicine drop dispenser with anti-bacterial filter
JP4580524B2 (ja) フィルター付き吐出容器
US5061264A (en) Apparatus for contacting material such as a drug with a fluid
EP1245499B1 (en) Closing structure of a dispensing container
HUT72994A (en) Preservative-free sterile fluid dispensing system
WO2003095325A1 (fr) Bouchon de prevention contre la contamination
JP2006521887A (ja) 多数回投与液体分配組立体
SK287352B6 (sk) Fľaštička slúžiaca ako obal na kvapalinu dávkovanú po kvapkách
JP4744775B2 (ja) 薬液容器
JP2003063576A (ja) 分与容器
HU214638B (hu) Tartósítószer-mentes steril folyadékadagoló rendszer
JP4357159B2 (ja) 薬液容器
JP4047617B2 (ja) 薬液容器
KR20230149999A (ko) 액상 약품 용기
JP2005082234A (ja) 汚染防止キャップ
JP4161338B2 (ja) 滴下容器
JPH0361461B2 (ko)
JP4371773B2 (ja) 汚染防止キャップ
JPH063808Y2 (ja) 点眼用二次汚染防止キャップ
WO2004039305A1 (ja) 汚染防止キャップ
JP4152250B2 (ja) 汚染防止キャップ
JPH024690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