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4783A -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4783A
KR20040094783A KR1020047014112A KR20047014112A KR20040094783A KR 20040094783 A KR20040094783 A KR 20040094783A KR 1020047014112 A KR1020047014112 A KR 1020047014112A KR 20047014112 A KR20047014112 A KR 20047014112A KR 20040094783 A KR20040094783 A KR 20040094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link
locking
r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6396B1 (ko
Inventor
김영남
이지석
김주환
유선일
김선규
석근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94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3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3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4Refrigerators with a horizontal mull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71Refrigerator la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28Extension link
    • Y10T292/301Friction c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냉장고본체 내부의 공간 내외부로 레일의 안내에 의해 서랍식으로 입출되는 도어장치에서, 단열층을 구비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입출과 함께 입출되게 도어의 이면에 위치되고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선단과 도어를 연결하여 도어가 프레임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되게 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도어와 프레임을 연결하여 도어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서는 도어의 틸팅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DOOR APPARATUS FOR DRAWER TYPE REFRIGERATOR}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57-125992에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에서 도어를 소정 각도 틸팅시킬 수 있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가스켓의 자력에 의해 냉장고 본체에 밀착되므로 도어와 냉장고본체에 사이의 밀착성이 떨어져 냉기누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어를 틸팅시킬 필요가 없을 때에도 자동으로 도어가 회전되어 도어를 취급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도어의 틸팅을 안내하기 위해 구비되는 슬릿이나 안내편이 외력에 의해 변형된 경우에는 도어의 틸팅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도어가 틸팅되었다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는 순간에 도어가 도어의 후방에 구비되는 저장부 측에 급작스럽게 닿게 되면서 저장부에 충격을 가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와 냉장고본체의 밀착성을 높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틸팅기능을 사용자가 마음대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틸팅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가 틸팅되었다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때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냉장고본체 내부의 공간 내외부로 레일의 안내에 의해 서랍식으로 입출되는 도어장치에서, 단열층을 구비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입출과 함께 입출되게 도어의 이면에 위치되고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선단과 도어를 연결하여 도어가 프레임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되게 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도어와 프레임을 연결하여 도어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냉장고본체 내부의 공간내외부로 레일의 안내에 의해 서랍식으로 입출되는 도어장치에서, 단열층을 구비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입출과 함께 입출되게 도어의 이면에 위치되고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선단과 도어를 연결하여 도어가 프레임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되게 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도어와 프레임 선단 사이를연결하는 다수개의 링크로 구성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냉장고본체 내부의 공간 내외부로 레일의 안내에 의해 서랍식으로 입출되는 도어장치에서, 단열층을 구비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입출과 함께 입출되게 도어의 이면에 위치되고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선단과 도어를 연결하여 도어가 프레임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다수개의 링크로 구성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힌지유니트와, 상기 도어와 프레임을 연결하여 도어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냉장고본체 내부의 공간 내외부로 레일의 안내에 의해 서랍식으로 입출되는 도어장치에서, 단열층을 구비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입출과 함께 입출되게 도어의 이면에 위치되고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선단과 도어를 연결하여 도어가 프레임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되게 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도어의 이면과 프레임의 선단 사이에 구비되고 도어가 프레임에 밀착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서랍식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도어를 전방으로 잡아당겨서 내부의 저장부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채용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에서 도어가 틸팅되고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힌지유니트의 구성과 그 동작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틸팅록과 록킹부 사이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어와 프레임이 체결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어와 프레임이 체결된 살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측측면도.
도 14는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서 도어의 틸팅이 방지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측면도.
도 16 및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가 사용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서랍형 냉장고의 도어장치의 바람직만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본체(10)는 그 내부에 외부와 단열된 단열공간(12)을 구비한다. 상기 냉장고본체(10)의 전면에는 도어(20,20')가 설치되어 상기 단열공간(12)이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냉장고본체(10) 하단에 구비된 도어(20)가 서랍식 도어이고, 상단에 구비된 도어(20')는 도어핸들(22')을 잡아 당기면 전면의 우측에 실치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20)는 전면 상단에 도어핸들(22)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도어핸들(22)을 전방으로 잡아당겨지면 열리는 서랍식으로, 특히 전방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를 전방으로 잡아당기지 않은 상태에서도, 단순히 도어(20)를 틸팅시키는 것에 의하여 내부의 단열공간(12)이 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는, 전방으로 잡아당겨지면 전체적으로 열리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종래의 것에 비하여 식품 수납 및 인출을 위한 공간이 더욱 크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장점이 있음은 당연하다. 도 2에는 도어(20)가 일정 각도 틸팅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어(20)의 이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가스켓(24)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24)은 상기 도어(20)가 닫혔을 때, 냉장고본체(10)의 전면에 밀착되어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26은 도어포켓이다.
상기 도어(20)의 이면 하단부 양측에는 가이드판(28)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판(28)은 아래에서 설명될 프레임(30)의 양단과 소성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힌지유니트(40)를 차폐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도어(20)의 이면에는 지지프레임(3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0)은 그 하단부가 아래에서 설명될 힌지유니트(40)에 의해 상기 도어(20)에 연결되는 것으로, 그 내측에 바스켓(32)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바스켓(32)은 상기 도어(20)와 함께 상기 냉장고본체(10)의 내외부로 입출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0)은 상기 바스켓(32)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하여도 상관없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30)은 양측의 측판(31)과 상기 측판(31)을 연결하는 연결바아(31')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바아(31')는 상기 측판(31)의 선단 상부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측판(31)은 상기 프레임(30)의 선단 상부에서 후방과 하방으로 각각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30)의 측판(31)에는 고정레일(33)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레일(33)에는 이동레일(34)이 구비되어, 상기 냉장고본체(10)의 단열공간 양측벽에 구비되는 안내레일(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안내되면서 도어(20)가 개폐되게 한다.
상기 프레임(30)의 선단에는 상기 도어(20)의 이면과 마주보게 록킹부(36)가 형성된다, 상기 록킹부(36)는 상기 프레임(30)의 측판(31) 일측을 잘라 절곡해서 형성한다. 상기 록킹부(36)는 상기 도어(20)의 이면을 향해 소정 길이 연장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도어(20)와 상기 프레임(30)을 연결하는 힌지유니트(4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유니트(40)는 복수개의 링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즉, 도어(20)의 이면에 장착되는 도어힌지부(41)와 상기 프레임(30)에 장착되는 프레임힌지부(41')가 제1연결링크(42) 및 제2연결링크(43)로 연결되어 도어(2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링크(42)는 일단부 측이 상기 도어힌지부(41)에 연결핀(42p)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설치되고 타단부 측은 상기 프레임힌지부(41')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힌지부(41')는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사이를 상기 제1연결링크(42)가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1연결링크(42)의 일단부에는 상기 도어힌지부(41)에 구비되는 스프링(42)이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42)은 상기 제1연결링크(42)에 도어(2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연결링크(42)의 후단에는 걸이후크(42h)가 형성되어 도어(20)가 완전히 틸팅되었을 때 상기 프레임힌지부(41')에 구비된 스토퍼(45)에 걸어진다. 상기 스토퍼(45)는 상기 프레임힌지부(41')의 내측에 그 양단이 지지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연결링크(43)는 일단부가 상기 도어힌지부(41)에 연결핀(43p)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연결링크(43)의 타단부는 상기 제1연결링크(42)와 마찬가지로 상기 프레임힌지부(41')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2연결링크(43)의 타단부에는 걸이면(43f)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힌지부(41')에 구비된 걸이핀(46)에 선택적으로 걸어진다.
상기 제1연결링크(42)와 제2연결링크(43)는 틸팅되지 않은 상태가 도 4a에 표시되어 있고, 최대로 틸팅된 상태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최대로 틸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연결링크(42)의 걸이후크(42h)가 상기 스토퍼(45)에 걸어지고 제2연결링크(43)의 걸이면(43f)이 상기 걸이핀(46)에 걸어진다.
상기 프레임(30)의 록킹부(36)와 대응되는 도어(20)의 이면에는 틸팅록(50)이 구비된다. 상기 틸팅록(50)의 구성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틸팅록(50)은 몰드물로서 상기 도어힌지부(41)에 체결되는 베이스판(52)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판(52)은 상기 도어힌지부(41)의 상단에 체결나사(50')로 체결된다. 상기 베이스판(5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탄성편(54)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편(54)은 그 형상과 재질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베이스판(52)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기 탄성편(54)은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판(52)과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은 베이스판(52)의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54)의 상면에는 선단안내면(55)과 후단안내면(56)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선단안내면(55)과 후단안내면(56)이 만나는 부분은 가장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록킹턱(57)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선단안내면(55)측의 록킹턱(57)부분은 상기 록킹부(36)가 걸어질 수 있도록 그 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후단안내면(56)측의 록킹턱(57) 부분은 상기 록킹부(36)가 자연스럽게 통과할 수 있는 경사를 가진다. 상기 록킹턱(57)은 그 선단안내먼(56)측이 상기 록킹부(36)에 걸어져 도어(20)가 틸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틸팅록(50)의 베이스판(52)과 탄성편(54)의 사이에는 스패이서(58)를 사용자가 삽입하여 도어(20)가 틸팅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스페이서(58)는 상기 탄성편(54)이 탄성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도어(20)의 틸팅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58)는 별도로 제작되어 도어포켓(26) 등에 구비하여 사용자가 필요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30)의 선단면, 즉 상기 도어(20)의 이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완충부재(60)가 설치된다. 상기 완충부재(60)는 상기 도어(20)의 틸팅되었다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때, 상기 프레임(3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완충부재(60)는 상기 도어(20)의 이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도어(20)를 틸팅되게 사용할 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틸팅록(50)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30)의 록킹부(30)에 걸어져 있게 된다. 상기 록킹부(36)는 상기 틸팅록(50)의 탄성편(54)에 형성된 선단안내면(55)에 안착되어 상기 록킹턱(57)에 걸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20)를 당기면 상기 도어힌지부(41)에 구비된 틸팅록(50)이 도면의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지만, 상기 록킹부(36)에 상기 록킹턱(57)이 걸려 빠져나가지 못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도어(20)와 프레임(30)이 상기 록킹부(36)와 틸팅록(50)의 결합에 의해 서로 일체가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상기프레임(30)에 대해 틸팅되지 않고 함께 당겨져 도어(20)와 프레임(30)이 함께 냉장고본체(10)의 외부로 나오게 된다.
한편, 도어(20)가 틸팅되게 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큰 힘으로 상기 도어(20)를 잡아 당기면 된다. 즉, 상기 록킹부(30)에 의해 상기 틸팅록(50)의 탄성편(54)이 탄성변형될 수 있는 정도의 힘으로 도어(20)를 잡아당기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록킹부(30)에 의해 상기 탄성편(54)이 순간적으로 상기 베이스판(52)과 인접하게 되면서 상기 록킹부(30)와 록킹턱(17)의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도 5b에는 탄성편(54)이 상기 록킹부(30)를 통과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5c에는 도어(20)가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틸팅록(50)과 록킹부(30) 사이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20)를 잡아당기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힌지유니트(40)의 스프링(4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20)는 원래의 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도어(20)가 복원될 때, 상기 틸팅록(50)은 그 후단안내면(56)이 상기 록킹부(36)를 따라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턱(57)이 상기 록킹부(36)를 지나갈 때, 상기 탄성편(54)이 탄성변형되면서 도어(20)가 완전히 닫힐 수 있게 한다. 상기 록킹부(36)가 록킹턱(57)을 통과하면 도 5a의 상태로 된다.
한편, 사용자가 도어(20)를 당기는 힘에 상관없이 도어(20)가 틸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틸팅록(50)에 스페이서(58)를 삽입하면 된다. 상기 스페이서(58)가, 도 5a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52)과 탄성편(54)의 사이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편(54)의 탄성변형이 방지되어 도어(20)의 틸팅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가 틸팅되었다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때, 상기 도어(20)가 상기 프레임(30)에 가하는 충격은 상기 완충부재(60)에 의해 완충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급격하게 닫히더라도, 그 충격이 상기 프레임(30)으로 전부 전달되지는 않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6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20)의 이면에 연결되어 있는 프레임(30)의 일측, 즉 상기 도어(20)의 이면과 마주보는 프레임(30)의 전면에 밀착판(136)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판(136)은 상기 프레임(30)의 전면 양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판(136)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상으로 성형되고 도어(20)가 닫힌 상태가 되면 도어(20)의 이면이 밀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0)은 자성체로 성형되는데, 상기 밀착판(136)은 예를 들면 금속철판으로 만들어지는 상기 프레임(30)과 동일한 재질로 성형될 수 있으며, 더욱이 일체로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밀착판(136)이 밀착되는 도어(20)의 이면부분에는 전자석(15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자석(150) 자체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과 동일하게 전류의 인가에 의하여 자력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전자석(150)에 전류가 공급되면 자력이 형성되며, 이러한 자력은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전자석(150)에 밀착되어 있는 상기 밀착판(136)을 강하게 잡아당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석(150)에 전류가 인가된 상태에서는 상기 밀착판(136)이전자석(150)에 강하게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도어(20)는 틸팅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22)를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도어(20)는 상술한 지지프레임(30)과 같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되게 된다.
상기 전자석(15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또는 제어버튼은 핸들(22)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전자석(150)으로의 통전이 정지되어, 도어(20)가 틸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버튼(28)의 조작이 없기 때문에, 전자석(150)에 통전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되고 따라서 도어(20)의 틸팅이 이루어질 수 없는 잠김상태로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도어(20)를 열 때, 핸들(22)에 부착되어 있는 제어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어(20)는 틸팅가능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핸들(22)을 당기면 도어(20)가 틸팅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로 핸들(22)을 잡아당기게 되면, 도어(20)의 틸팅이 이루어지지 않고 단순히 도어(20)가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20)의 이면에 솔레노이드(150')가 설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150')는 플런저(152)를 구비하여 전원의 공급여부에 따라 플런저(152)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150')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플런저(152)가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플런저(152)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150')의 플런저(152)는 상기 프레임(30)의 밀착판(136)의 배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152)는 상기 솔레노이드(150')에 전원이 공급되었느냐에 따라 상하로 동작되어 도어(20)의 틸팅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152)가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면, 상기 플런저(152)는 밀착판(136)의 후면에 위치하게 되어, 도어(20)의 틸팅이 이루어질 수 없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핸들(20)에 구비된 제어버튼(29)을 누르게 되면, 상기 플런저(152)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밀착판(136)과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도어(20)는 틸팅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도어(20)의 틸팅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기구적 구성을 사용한다. 즉, 프레임(30)의 선단에는 밀착편(239)이 구비되고, 상기 밀착편(239)과 선택적으로 걸어지게 도어(20)를 전후로 관통하여 작동레버(250)가 설치된다.
상기 작동레버(250)는 도어(20)의 내부에 힌지축(251)을 중심으로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작동레버(250)의 일단부는 도어(20)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조작부(253)를 형성한다. 상기 조작부(253)은 도어(20)의 전방 하단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250)의 후단부는 도어(20)의 이면으로 돌출되어 걸림부(254)를 형성한다. 상기 걸림부(254)는 상기 조작부(253)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거의 수직에 가까운 경사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작동레버(250)는 상기 힌지축(251)을 중심으로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특정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작동레버(250)의 걸림부(254)가 상기 밀착판(239)의 배면에 걸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걸림부(254)가 상기 밀착판(239)의 배면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작동레버(250)의 조작부(253)를 잡아서 상부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부(254)는 힌지축(251)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밀착판(239)과의 체결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 상기 작동레버(250)의 조작부(253)는, 실질적으로 도어(20)의 핸들(22)과 인접한 위치, 예를 들면 약간 하방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핸들(22)을 잡을 때 동시에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30)의 일측에 록킹레버(339)를 설치한다. 상기 록킹레버(339)는 일단부측을 관통하여 프레임(30)에 설치된 회전축(339p)을 중심으로 그 선단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록킹레버(339)의 자유단부측에는 걸림훅(340)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훅(340)과 상기 회전축(339p)의 사이에 해당되는 록킹레버(339)에는 손잡이(342)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342)는 본 실시예에서 봉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손으로 록킹레버(339)를 조작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것도 상관없다.
도어(20)측에는 틸팅록(350)이 구비된다. 상기 틸팅록(350)은 도어힌지부(41)의 상단에 구비된다. 상기 틸팅록(350)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훅(340)이 걸어지는 록킹턱(35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턱(357)은 상기 틸팅록(350)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록킹레버(339)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훅(340)이 상기 록킹턱(357)에 걸어져 도어(20)와 프레임(30)이 서로 체결되게 한다. 즉, 상기 도어(20)의 이면이 프레임(30)의 선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도 9에서와 같이 걸림훅(340)이 상방으로 올라가 있는 상태의 록킹레버(339)를 상기 손잡이(342)로 잡아 상기 회전축(339p)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걸림훅(340)이 상기 록킹턱(357)에 걸어지게 한다.
상기 록킹레버(339)의 걸림훅(340)이 상기 틸팅록(350)의 록킹턱(357)에 걸어진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도어(20)를 틸팅시킬 수 없고, 도어(20)와 프레임(30)이 일체로 된 상태로 냉장고본체(10)의 내외부로 입출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20)가 틸팅되는 것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록킹나사(440)를 사용한다. 상기 록킹나사(440)는 평상시, 즉 도어(20)의 틸팅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30)의 측판(31) 일측에 형성된 보관홀(441)에 보관된다.
상기 측판(31)의 일측에는 록킹홀(443)이 형성된다. 상기 록킹홀(443)에 아래에서 설명될 틸팅록(450)의 체결편(454)을 상기 록킹나사(440)로 체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도어(20)의 틸팅을 방지한다.
도어(20)에는 틸팅록(450)이 설치된다. 상기 틸팅록(450)은 체결편(454)과 장착편(452)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편(454)는 도어(20)와 프레임(30)을 체결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장착편(452)은 상기 틸팅록(450)을 도어(20)에 장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장착편(452)은 장착나사(450')에 의해 도어(20)의 이면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편(454)은 상기 장착편(452)의 일측과 직교되게 형성되어 도어(20)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체결편(454)의 선단에는 도어(20)의 이면이 프레임(30)의 전면에 밀착되었을 때 상기 록킹홀(443)과 대응되게 록킹홀(455)이 천공되어 있다.
한편, 도 12에는 본 실시예에서 도어(20)와 프레임(30)이 체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도어(20)가 틸팅되지 않도록 선택한 상태이다. 도어(20)의 이면이 프레임(30)에 밀착되면, 상기 틸팅록(450)의 체결편(454)은 상기 프레임(30)의 측판(31) 측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편(454)의 록킹홀(455)은 상기 측판(31)에 형성된 록킹홀(443)과 일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평상시에 상기 보관홀(441)에 체결되어 있던 록킹나사(440)를 풀어 상기 체결편(454)의 록킹홀(443)을 관통하여 상기 측판(31)의 록킹홀(443)에 체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도어(20)와 프레임(30)이 체결되어 도어(20)의 틸팅이 방지된다.
도 13 및 도 1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도어(20)의 이면과 프레임(30)을 연결하도록 연결링크(54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링크(540)는 제1링크(541)와 제2링크(542)로 구성되어 도어(20)의 틸팅에 따라 접철된다. 이와 같은 연결링크(540)는 도어(20)의 양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링크(541)의 일측에는 록킹홀(543)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록킹홀(54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구(550)가 관통하여 연결링크(54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다.
프레임(30)의 측판(31)에는 고정구(55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구(550)는 일반적인 나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550)는 평상시에 보관홀(552)에 보관된다. 상기 보관홀(552)은 상기 측판(31)의 일측에 천공되고 내주면에 나사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보관홀(552)에 상기 고정구(550)를 체결하여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판(31)에는 록킹홀(553)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록킹홀(553)은 상기 측판(31)의 상대적으로 상단부에 형성되는데, 상기 도어(20)의 이면이 프레임(30)에 밀착되었을 때, 상기 제1링크(541)의 록킹홀(543)과 대응되는 위치에 천공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도어(20)의 틸팅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550)를 상기 보관홀(552)에 위치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도어(20)가 프레임(30)에 대해 틸팅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고정구(550)가 상기 제2링크(542)의 이동경로상에 있게 되면 상기 고정구(550)는 도어(20)가 틸팅되는 정도를 규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도어(20)의 틸팅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541)를 프레임(30)에 고정구(550)를 사용하여 체결하면 된다. 즉, 도어(20)의 이면이 프레임(30)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링크(541)의 록킹홀(543)이 프레임(30)의 록킹홀(553)과 일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고정구(550)를 상기 록킹홀(543)을 관통하여 상기 측판(31)의 록킹홀(553)에 체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연결링크(540)가 프레임(30)에 체결되어 절첩이 불가능하게 되어 도어(20)가 틸팅되지 않게 된다.
도 15에서 도 1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도어(20)의 이면과 프레임(30)을 연결하도록 연결링크(64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링크(640)는 제1링크(641)와 제2링크(642)로 구성되어 도어(20)의 틸팅에 따라 접철된다. 이와 같은 연결링크(640)는 도어(20)의 양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30)의 측판(31)에는 선택나사(650)가 구비된다. 상기 선택나사(650)는 일반적인 나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택나사(650)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30)의 측판(31)에는 다수개의 선택홀(652;652a,652b,652c,652d)인 천공된다. 상기 선택홀(652)은 측판(31)에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천공된다. 상기 선택홀(652)의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선택나사(650)는 상기 선택홀(652)에 선택적으로 나사체결된다.
상기 선택나사(650)는 상기 선택홀(652)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링크(642)의 이동 경로상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선택나사(650)가 체결된 선택홀(652)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2링크(642)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도어(20)가 틸팅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선택나사(650)의 머리부는 상기 제2링크(642)가 걸어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제2링크(642)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으면서도 어느정도의 완충이 될 수 있는 재질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선택구(650)를 상기 선택홀(652)중 최하단의 선택홀(652a)에 체결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상기 연결링크(640)가 많이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의 틸팅되는 정도가 가장 크게 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구(650)를 아래에서 2번째 선택홀(652b)에 체결하면 상대적으로 상기 연결링크(640)가 펼쳐질 수 있는 정도가 줄어드게 되어 도어(20)의 틸팅정도가 줄어들게 된다.
만약, 상기 선택구(650)가 최상단의 선택홀(652d)에 체결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의 틸팅량이 최소가 된다. 그리고 설계시에 최상단의 선택홀(652d)에 선택구(650)가 체결되면, 도어(20)가 틸팅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기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틸팅이 가능한 서랍식 냉장고 도어장치에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도어의 틸팅기능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사용편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힌지유니트의 탄성력에 의해 도어가 닫히므로 도어와냉장고본체 사이의 밀착성이 높아져 냉기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어의 틸팅을 위한 구성으로 힌지유니트를 사용하고 도어의 틸팅을 안내하기 위한 다른 구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도어의 틸팅동작이 주변 부품의 변형등에 의해 방해받지 않게 되는 등 동작신뢰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도어와 프레임의 사이에 완충부재를 두어 도어가 틸팅되었다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때 도어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였으므로 프레임 측이 받는 충격이 최소화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어가 틸팅되는 각도를 사용자가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나 냉장고의 설치 환경 등의 조건에 맞게 도어를 틸팅시킬 수 있게 되는 편리성도 있다.

Claims (22)

  1. 냉장고본체 내부의 공간 내외부로 레일의 안내에 의해 서랍식으로 입출되는 도어 장치에서,
    단열층을 구비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입출과 함께 입출되게 도어의 이면에 위치되고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선단과 도어를 연결하여 도어가 프레임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되게 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도어와 프레임을 연결하여 도어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도어와 프레임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록킹부와 상기 록킹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탄성변형되는 틸팅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록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베이스판의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게 형성되어 탄성변형가능한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편을 탄성변형시킬 수 있는 힘보다 작은 힘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상기 록킹부에 걸어지는 록킹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과 탄성편의 사이 간격에 위치되어 탄성편의 탄성변형을 방지하는 스페이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도어와 프레임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도어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어버튼과,
    상기 제어버튼의 조작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고 도어의 이면에 설치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의 이면에 밀착되는 자성체의 밀착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도어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어버튼과,
    상기 제어버튼의 조작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고 도어의 이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플런저가 걸어지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의 이면에 밀착되는 밀착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닫힌 상태에서 도어의 이면과 밀착되는 밀착판과,
    중심이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도어내부에 설치되고 도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조작부와 상기 밀착부분에 걸릴 수 있도록 후단부에 형성된 걸림부로 구성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선단 일측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유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자유단부에 걸림훅을 구비하는 록킹레버와,
    상기 록킹레버와 대응되는 도어의 이면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훅이 걸어지는 록킹턱을 구비하는 틸팅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레버에는 그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선단 일측에 구비되는 록킹홀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록킹나사와,
    상기 도어의 이면에 장착편이 장착되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록킹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록킹홀이 천공되는 체결편을 구비하는 틸팅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나사의 보관을 위해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보관홀이 더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도어와 프레임을 연결하고 제1링크와 제2링크로 구성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연결링크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연결링크의 접철을 제한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보관을 위해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보관홀이 더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도어와 프레임을 연결하고 제1링크와 제2링크로 구성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천공되는 선택홀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연결링크의 절첩범위를 규제하는 선택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16. 냉장고본체 내부의 공간 내외부로 레일의 안내에 의해 서랍식으로 입출되는 도어장치에서,
    단열출을 구비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입출과 함께 입출되게 도어의 이면에 위치되고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선단과 도어를 연결하여 도어가 프레임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되게 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도어와 프레임 선단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링크로 구성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는 각각 도어와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링크와 제2링크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링크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연결링크의 접철을 제한하는 고정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는 각각 상기 도어와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링크와 제2링크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천공되는 선택홀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연결링크의 절첩범위를 규제하는 선택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19. 냉장고본체 내부의 공간 내외부로 레일의 안내에 의해 서랍식으로 입출되는 도어장치에서,
    단열층을 구비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입출과 함께 입출되게 도어의 이면에 위치되고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선단과 도어를 연결하여 도어가 프레임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다수개의 링크로 구성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힌지유니트와,
    상기 도어와 프레임을 연결하여 도어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이면에는 상기 힌지유니트의 외측을 차폐하는 가이드판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21. 냉장고본체 내부의 공간 내외부로 레일의 안내에 의해 서랍식으로 입출되는 도어장치에서,
    단열층을 구비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입출과 함께 입출되게 도어의 이면에 위치되고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선단과 도어를 연결하여 도어가 프레임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되게 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도어의 이면과 프레임의 선단 사이에 구비되고 도어가 프레임에 밀착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도어의 이면과 마주보는 프레임의 선단에 설치되는 완충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KR1020047014112A 2002-04-03 2003-03-04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KR100656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332 2002-04-03
KR20020018332 2002-04-03
KR20020061886 2002-10-10
KR20020061887 2002-10-10
KR1020020061886 2002-10-10
KR1020020061887 2002-10-10
KR1020020073672 2002-11-25
KR20020073672 2002-11-25
KR1020020073671 2002-11-25
KR20020073671 2002-11-25
KR1020020074088 2002-11-26
KR20020074088 2002-11-26
PCT/KR2003/000416 WO2003083392A1 (en) 2002-04-03 2003-03-04 Door apparatus for drawer type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783A true KR20040094783A (ko) 2004-11-10
KR100656396B1 KR100656396B1 (ko) 2006-12-12

Family

ID=2867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112A KR100656396B1 (ko) 2002-04-03 2003-03-04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7467834B2 (ko)
JP (1) JP4283683B2 (ko)
KR (1) KR100656396B1 (ko)
CN (1) CN1646867B (ko)
AU (1) AU2003212674B8 (ko)
CA (1) CA2479648C (ko)
DE (1) DE10392465B4 (ko)
MX (1) MXPA04009620A (ko)
WO (1) WO2003083392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817B1 (ko) * 2005-09-07 200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틸팅장치
KR100728384B1 (ko) * 2005-10-11 2007-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의 틸팅구조
KR100906860B1 (ko) * 2007-10-30 2009-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7815268B2 (en) 2005-08-11 2010-10-1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ilting door for refrigerator
KR101136174B1 (ko) * 2005-09-01 2012-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의 틸팅구조
KR101535371B1 (ko) * 2014-02-19 2015-07-08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핸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17900C (zh) * 2004-04-12 2008-09-1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电冰箱的抽屉式门开/闭结构
GB2417671B (en) * 2004-09-07 2007-08-08 Lg Electronics Inc Double drawer of refrigerator
CN1888790B (zh) * 2005-06-30 2010-06-16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电冰箱的前插式双重抽屉
CN1888792B (zh) * 2005-06-30 2010-06-23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冰箱的双重抽屉
CN1888791B (zh) * 2005-06-30 2010-06-16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电冰箱的双重抽屉
CN1940438B (zh) * 2005-09-27 2010-06-16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电冰箱双抽屉
US20080002383A1 (en) * 2006-06-16 2008-01-03 Carl H. Schulman Electronic component furniture construction and methods and apparatus therefor
US8002367B2 (en) * 2006-08-24 2011-08-23 Winiamando Inc. Food refrigerator
US7753459B2 (en) * 2006-11-16 2010-07-13 General Electric Company Closure assembly and method
CN101231104B (zh) * 2007-01-25 2011-06-08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冰箱用门倾斜结构
CN101231113B (zh) * 2007-01-25 2011-03-23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电冰箱门的倾斜结构
CN101231109B (zh) * 2007-01-25 2010-11-17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电冰箱的储藏空间门的倾斜结构
CN101231112B (zh) * 2007-01-25 2011-07-06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电冰箱门的倾斜结构
DE102007005948A1 (de) * 2007-02-06 2008-08-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Teleskopauszug
US20100101255A1 (en) * 2007-03-14 2010-04-29 Lg Electronic Inc. Refrigerator
KR20080086279A (ko) * 2007-03-22 2008-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4961295B2 (ja) * 2007-08-02 2012-06-2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5142619B2 (ja) * 2007-08-02 2013-02-1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4988473B2 (ja) * 2007-08-02 2012-08-0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KR100906878B1 (ko) * 2007-11-05 2009-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저장용기
ITTO20070928A1 (it) 2007-12-20 2009-06-21 Indesit Co Spa Cassetto per un apparato di refrigerazione e relativo apparato di refrigerazione
US7950754B2 (en) * 2008-01-25 2011-05-3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Magnetic freezer basket pull
KR100959211B1 (ko) * 2008-04-22 2010-05-19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잠금 장치
DE202009004710U1 (de) * 2009-04-04 2009-06-25 Düperthal Sicherheitstechnik Gmbh & Co. Kg Schrank, insbesondere Sicherheitsschrank
DE202008008661U1 (de) * 2008-06-27 2008-09-04 Düperthal Sicherheitstechnik Gmbh & Co. Kg Schrank, insbesondere Sicherheitsschrank
US8215730B2 (en) * 2008-07-14 2012-07-10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djustable and separable joining structure
KR101055737B1 (ko) * 2008-10-01 2011-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WO2010044840A1 (en) * 2008-10-15 2010-04-22 Uthuppan Jose P Refrigerator with easy access drawer
US8162422B2 (en) * 2009-01-15 2012-04-2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333447B2 (en) * 2009-02-27 2012-12-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Basket kick-out
JP5595086B2 (ja) * 2010-03-31 2014-09-24 サンウエーブ工業株式会社 キャビネット
KR101713324B1 (ko) * 2010-04-21 2017-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2572149B1 (en) * 2010-04-21 2021-07-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925343B1 (en) * 2010-04-28 2015-01-06 Whirlpool Corporation Ice storage bucket for refrigerator
CN102538373A (zh) * 2012-03-01 2012-07-04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储物盒组件和冰箱
TR201206627A1 (tr) * 2012-06-06 2013-12-23 Arcelik As Soğutucu kapısında kullanılmaya uygun bir raf.
CN104121741A (zh) * 2013-04-25 2014-10-29 海尔集团公司 冰箱
JP6071796B2 (ja) * 2013-08-06 2017-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の扉及びこれを備えた冷蔵庫
JP6360687B2 (ja) * 2014-03-05 2018-07-18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BR102014031607A2 (pt) * 2014-12-17 2016-07-19 Whirlpool Sa sistema de articulação de porta de equipamento de cocção
DE102015206869A1 (de) * 2015-04-16 2016-10-20 BSH Hausgeräte GmbH Fachboden zum Unterteilen eines Kühlgutlagerraumes eines Haushaltskühlgerätes sowie Haushaltskühlgerät
CN104983232A (zh) * 2015-07-14 2015-10-2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展示柜
CN105910374B (zh) * 2016-04-28 2017-11-17 中山市维诺电器有限公司 一种下拉门嵌入式冰箱或酒柜
US10281197B2 (en) 2016-10-11 2019-05-07 Whirlpool Corporation Quick shelf adjustment mechanism for a refrigerating appliance
CN106610169B (zh) * 2016-11-17 2019-04-0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抽屉架及具有该冰箱抽屉架的冰箱
US10066867B2 (en) * 2016-12-28 2018-09-04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quick release mechanism and method of removably coupling a door to a drawer slide
PL3563105T3 (pl) * 2016-12-28 2022-05-16 Arçelik Anonim Sirketi Urządzenie chłodzące zawierające szufladę
CN108266935A (zh) * 2016-12-30 2018-07-10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家用电器
BR102017009967B1 (pt) 2017-05-11 2024-02-20 Whirlpool S.A. Equipamento eletrodoméstico compreendendo arranjo de prateleira
US10677514B2 (en) 2017-08-01 2020-06-09 Whirlpool Corporation Door bin with dual material and system lock
BR102017019233B1 (pt) 2017-09-08 2022-10-18 Whirlpool S.A. Sistema de translação para prateleira de refrigerador
US10371436B2 (en) 2017-11-08 2019-08-06 Whirlpool Corporation Bin assembly
US10551071B2 (en) 2018-05-11 2020-02-04 Whirlpool Corporation Oven rack system with removable support elements
CN110353457A (zh) * 2018-08-28 2019-10-22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物品存取装置
US11073329B2 (en) 2018-10-31 2021-07-27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shelving frame with snap-in sliding insert
US10578351B1 (en) * 2019-01-11 2020-03-0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with soft open drawer front
US10712082B1 (en) * 2019-07-08 2020-07-1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utomatic open drawer front
US10731917B1 (en) 2019-09-09 2020-08-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rticulating drawer front
US11199331B2 (en) 2019-10-10 2021-12-1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Cooking oven with cavity drawer having movable door
US11317717B1 (en) * 2020-11-04 2022-05-0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Tilt front drawer with locking slide
US11268750B1 (en) 2020-12-23 2022-03-0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On door drawer and refrigerating appliance with same
CN113425104B (zh) * 2021-06-11 2022-12-13 上海声霸实业有限公司 一种抽屉斜拉装置
US11986091B2 (en) 2022-08-02 2024-05-2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Powered tilt drawer front for a domestic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523A (en) 1892-04-12 End-gate
US1702518A (en) * 1929-02-19 Cooking apparatus
US715334A (en) 1901-06-07 1902-12-09 George H Price Electric safe-lock.
US1892020A (en) * 1930-09-24 1932-12-27 O C Straubel Vertical filing drawer
US1865212A (en) 1931-05-23 1932-06-28 Crown Stove Works Drawer construction for stoves
US1975806A (en) * 1931-08-03 1934-10-09 O C Straubel Filing drawer
US2021019A (en) 1931-12-24 1935-11-12 Wehrle Co Broiler drawer
US1983573A (en) * 1932-04-15 1934-12-11 O C Straubel Filing drawer
US1935582A (en) * 1932-08-12 1933-11-14 O C Straubel Device as a throwback or front compressor for tilting front filing drawers
US2116370A (en) 1936-05-01 1938-05-03 Remington Rand Inc File cabinet
US2090648A (en) * 1936-06-19 1937-08-24 O C Straubel Front leaf control means for tilting front drawers
US2564673A (en) * 1941-09-27 1951-08-21 Chauvin Andre Antoine Drawer for filing cabinets
US2381598A (en) 1944-03-18 1945-08-07 Philco Corp Refrigerator cabinet construction
US2446336A (en) 1944-07-27 1948-08-03 Winters & Crampton Corp Magnetic refrigerator door closure and seal
US2486564A (en) 1945-10-03 1949-11-01 Cribben And Sexton Company Stove construction
US2541453A (en) 1946-10-05 1951-02-13 John W Young Refrigerator cabinet construction
US2507217A (en) 1948-12-18 1950-05-09 Gen Electric Drawer closure assembly
US2711944A (en) * 1949-05-21 1955-06-28 George W Meek Refrigerator drawer and latch
US2648585A (en) * 1950-02-02 1953-08-11 Gen Fireproofing Co Drawer construction
US2584480A (en) * 1950-12-09 1952-02-05 Denham Mfg Company Magnetic latch for doors
US2843441A (en) * 1956-10-16 1958-07-15 Gen Electric Storage cabinet drawer assembly
US3232654A (en) 1963-03-06 1966-02-01 Eriez Mfg Co Magnetic door holder and releasing device
US3219404A (en) * 1964-02-18 1965-11-23 Gen Fireproofing Co Drawer latch
US3312492A (en) 1964-04-09 1967-04-04 Albrecht Jung Elektrotechniche Door latch including a permanent magnet and a latching electromagnet
US3295908A (en) * 1965-07-21 1967-01-03 Gen Electric Storage cabinet drawer assembly
US3575483A (en) 1969-09-03 1971-04-20 Lane Co Inc Drop front cabinet having tiltable bin with adjustable tensioning and stop device
US3621684A (en) * 1970-02-09 1971-11-23 Gen Electric Child safe freezer
US3647165A (en) * 1970-04-27 1972-03-07 Lockheed Aircraft Corp Aircraft compartment and magnetic connecting assembly
US3888525A (en) * 1974-02-06 1975-06-10 William L Kousens Hidden drawer and door latch
DE2610937C3 (de) * 1976-03-16 1978-11-30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Back- und Bratrohr mit einer in horizontaler Ebene verschiebbaren Tür
JPS5934249B2 (ja) 1979-07-13 1984-08-21 赤木 初枝 ガスバ−ナ−の燃焼装置
JPS57125992A (en) 1981-01-29 1982-08-05 Sharp Kk Liquid crystal driving apparatus
JPS57125992U (ko) * 1981-01-30 1982-08-05
US4495674A (en) 1982-03-05 1985-01-29 Clark Equipment Company Concealed door hinge having a double pivotal mounting
US4604770A (en) 1984-10-15 1986-08-12 Lang Thomas J Selectively adjustable hinge
US4790146A (en) 1986-03-04 1988-12-13 Sam 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4980800A (en) * 1989-09-27 1990-12-25 Sun Microsystems, Inc. Electronic unit retention system
JP3180148B2 (ja) 1995-09-26 2001-06-25 株式会社ホーネンコーポレーション 食肉加工用ピックル液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食肉加工製品
KR100213143B1 (ko) * 1997-03-06 1999-08-02 윤종용 냉장고의 서랍
JP3573909B2 (ja) * 1997-03-17 2004-10-06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庫
GB9803703D0 (en) 1998-02-24 1998-04-15 Eja Eng Co Bolt assembly
BR9913688A (pt) * 1998-08-19 2002-07-30 Fisher & Paykel Sistema de abertura e fechamento de porta
JP4118544B2 (ja) * 2001-09-17 2008-07-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ラジエータ支持構造
DE10323852A1 (de) 2003-05-26 2004-12-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uszugskasten für ein Kältegerät
GB2417671B (en) 2004-09-07 2007-08-08 Lg Electronics Inc Double drawer of refrigerat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5268B2 (en) 2005-08-11 2010-10-1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ilting door for refrigerator
KR101136174B1 (ko) * 2005-09-01 2012-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의 틸팅구조
KR100683817B1 (ko) * 2005-09-07 200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틸팅장치
KR100728384B1 (ko) * 2005-10-11 2007-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의 틸팅구조
KR100906860B1 (ko) * 2007-10-30 2009-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535371B1 (ko) * 2014-02-19 2015-07-08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46867A (zh) 2005-07-27
WO2003083392A1 (en) 2003-10-09
US20070182295A1 (en) 2007-08-09
CA2479648A1 (en) 2003-10-09
AU2003212674B8 (en) 2009-08-27
MXPA04009620A (es) 2005-01-11
AU2003212674A1 (en) 2003-10-13
CA2479648C (en) 2011-10-25
JP2005521853A (ja) 2005-07-21
CN1646867B (zh) 2010-04-28
US20070132348A1 (en) 2007-06-14
KR100656396B1 (ko) 2006-12-12
DE10392465T5 (de) 2005-02-17
AU2003212674B2 (en) 2009-05-07
DE10392465B4 (de) 2017-11-02
US7467834B2 (en) 2008-12-23
US7591516B2 (en) 2009-09-22
US20050127804A1 (en) 2005-06-16
JP4283683B2 (ja)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396B1 (ko) 서랍식 냉장고의 도어장치
US10605518B2 (en) Refrigerator and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US5797164A (en) Dovetail refrigerator door handle lock
US9593880B2 (en) Refrigerator
KR100436277B1 (ko) 냉장고의 전도방지장치
US20100263403A1 (en) Refrigerator
US20130014343A1 (en) Slide assist device
KR10260776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KR102614492B1 (ko) 냉장고
KR100657926B1 (ko)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KR100634291B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밀폐장치
JP3939275B2 (ja) 物品貯蔵庫ならびその利用装置
KR101233581B1 (ko)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JPH1183302A (ja) 冷蔵庫用引出し装置
JP4632473B2 (ja) 扉の鎖錠装置
KR930002224Y1 (ko) 랩톱 컴퓨터의 톱 커버 록킹장치
KR200265517Y1 (ko) 업다운형 힌지조립체
KR0139239Y1 (ko) 냉장고 도어의 힌지장치
KR0133349B1 (ko) 야채수납상자 개폐수단을 구비한 냉장고
JPH07253270A (ja) 冷蔵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の制御箱取付装置
KR200164381Y1 (ko) 냉장고용 도어개폐장치
KR20010106843A (ko) 김치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JP2001173282A (ja) スライド扉の施錠装置
KR19990017793A (ko) 냉장고용 병 보관장치
JPH07229380A (ja) 門 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