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4781A - 전달원 기기, 전달처 기기, 정보 전달 시스템, 및 정보전달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전달원 기기, 전달처 기기, 정보 전달 시스템, 및 정보전달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4781A
KR20040094781A KR10-2004-7014061A KR20047014061A KR20040094781A KR 20040094781 A KR20040094781 A KR 20040094781A KR 20047014061 A KR20047014061 A KR 20047014061A KR 20040094781 A KR20040094781 A KR 20040094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delivery
storage means
identification
folde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4587B1 (ko
Inventor
하루히또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4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5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40Transformation of program code
    • G06F8/54Link editing before load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58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a detachable storage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5Control of image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apparatus, e.g. signall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기기끼리 사이에서의 파일의 전송에 관련하여, 기기끼리가 동일 시스템인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파일 전송 조작의 용이화를 도모함과 함께, 시스템 자체의 복잡화를 회피한다. PC(30) 내에 상주시키고 있는 감시용 상주 소프트(61)에 의해서, 디지털 카메라 본체(11) 내의 폴더 구조(41)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폴더 구조(41) 중에 본 정보 전달 시스템(1)의 식별용 파일(45)이 존재하는지를 파일 해석한다. 이 해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감시용 상주 소프트(61)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1) 내에 있는 화상 파일(46)을 카피하기 위해서, PC(30)의 카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62)를 기동한다.

Description

전달원 기기, 전달처 기기, 정보 전달 시스템, 및 정보 전달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인식 방법{TRANSMISSION ORIGIN DEVICE, TRANSMISSION DESTINATION DEVIC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SYSTEM I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종래, 일반적으로 시스템 사이에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Mass Storage Class)의 프로토콜을 실장한 기기가 다수 있다. 그 구체예의 하나로서는,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함) 상으로부터 메모리 디바이스를 기입 및 판독하기 위한 리무버블 카드 리더가 알려져 있다.
PC에, 이들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의 프로토콜이 실장된 기기를, 표준화된 직렬 인터페이스 규격,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로 접속한 경우, PC 측으로부터는 FDD(Floppy Disk Drive)나 HDD(Hard Disk Drive)와 마찬가지로, 이들 기기는 해당 PC의 드라이브로서 인식되게 된다.
이들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의 프로토콜을 실장한 기기에서는, 시스템 사이에파일을 전송하는 구조가 있을 뿐이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기기측에서의 파일 중에서 필요한 파일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파일 자체를 PC 측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의 경우, 현 상황에서는 PC 측에서, 기기측에서의 전송 대상으로 되는 파일 이외의 정보를 취득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도모한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6-350886호 공보에 기재된 카메라가 있다.
이 카메라에는 정보 기록 매체에 파일 형식으로 기록된 화상 데이터 중의 특정한 화상 데이터를 전송 대상으로서 지정하여 전송하는 화상 취급 장치가 언급되어 있다.
이 화상 취급 장치에서는 정보 기록 매체에 파일 형식으로 기록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디렉토리 번호 또는 파일명 등의 화상 특정 정보에 의해서 전송 대상으로 되는 화상 파일이 특정되는 형식으로 복수의 화상 특정 정보를 보유하고, 전송 명령에 따라, 이 보유된 화상 특정 정보에 의해서 특정되는 순차의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를 전송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화상 특정 정보는 정보 기록 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화상 특정 정보가 들어 간 파일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화상 특정 정보 파일의 내용을 수신측에서 해석하고, 그에 따라 수신측에서 처리를 행하는 등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일본 특개평8-314789호 공보에 기재된 파일 제어 장치의파일 통신 방법 및 장치가 있다.
이 경우, 호스트측, 퍼스널 컴퓨터 통신 사용자측의 쌍방 각각에서, 다른 쪽에 있는 파일이 이쪽에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검출 장치를 갖고, 이 검출 장치에 의한 검출에 의해서, 이쪽에는 존재하지 않는 파일을 다른 쪽으로부터 다운로드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이쪽에는 존재하지 않는 파일을 다른 쪽으로부터 다운로드할 때에는, 다른 쪽에 있는 등록 파일의 파일명만이 존재하여 내용이 없는 더미 파일을 생성하는 등의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이들 공보에 기재된 기술 모두,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파일에 관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서 파일을 이용하고 있으며, 또한 PC 측에서 그 파일을 판독하여 수신측에서 정보의 생성을 행하여 재기입을 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는 없다.
상술한 리무버블 카드 리더 등의 기기에 대해서는,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의 프로토콜에서는 기본적으로 파일 전송을 한쪽 측(PC 측)에서 수동으로 행할 수밖에 없는, 기기끼리 동일 시스템인 것의 인식을 전혀 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개평6-350886호 공보나 일본 특개평8-314789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파일에 관한 구조를 추구한 것으로, 다운로드하는 화상 파일에 설정을 실시하거나, 미디어 변환 등을 행하는 것을 주안점으로 하고 있으며, 파일내 링크 정보와 링크된 파일의 실태는 항상 1:1로 대응되어 있을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시스템 자체가 복잡화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기기끼리 사이에서의 파일의 전송에 관한 것으로, 기기끼리 동일 시스템인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파일 전송 조작의 용이화를 도모함과 함께, 시스템 자체의 복잡화를 회피한, 전달원 기기, 전달처 기기, 정보 전달 시스템, 및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의 시스템 인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전달원 기기는, 시스템이 서로 다른 기기 사이에서 파일을 전달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전달원 기기로서, 전달하는 파일을 보존하는 전달원 기억 수단과, 해당 전달원 기억 수단에, 미리 전달원과 전달처와의 기기 사이에서 표준화된 폴더 구조로, 전달하는 파일 외에, 전달원을 특정하기 위한 고유한 구조를 가진 식별용 파일을 생성하는 식별용 파일 생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전달처 기기는, 시스템이 서로 다른 기기 사이에서 파일을 전달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전달처 기기로서, 전달된 파일이 보존되는 전달처 기억 수단과, 전달원 기기에 구비되어 있는 전달원 기억 수단의 폴더 구조에 대하여, 미리 전달원과 전달처와의 기기 사이에서 표준화된 폴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해당 폴더 구조 중에 포함되는, 전달원을 특정하기 위한 고유한 구조를 가진 식별용 파일을 식별하는 감시 수단과, 해당 감시수단에 의한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전달원 기기의 전달원 기억 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식별용 파일 이외의 파일을 상기 전달처 기억 수단에 보존하는 보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시스템은, 시스템이 서로 다른 기기 사이에서 파일을 전달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으로서, 전달하는 파일을 보존하는 전달원 기억 수단과, 해당 전달원 기억 수단에, 미리 전달원과 전달처와의 기기 사이에서 표준화된 폴더 구조로, 전달하는 파일 외에, 전달원을 특정하기 위한 고유한 구조를 가진 식별용 파일을 생성하는 식별용 파일 생성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전달원 기기에, 전달된 파일이 보존되는 전달처 기억 수단과, 상기 전달원 기기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전달원 기억 수단의 폴더 구조에 대하여, 미리 전달원과 전달처와의 기기 사이에서 표준화된 폴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해당 폴더 구조 중에 포함되는, 전달원 기기를 특정하는 고유한 구조를 가진 식별용 파일을 식별하는 감시 수단과, 해당 감시 수단에 의한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달원 기억 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식별용 파일 이외의 파일을, 상기 전달처 기억 수단에 보존하는 보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전달처 기기를, 표준화된 직렬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시스템의 시스템 인식 방법은, 시스템이 서로 다른 기기 사이에서 파일을 전달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의 시스템 인식 방법으로서, 전달처 기기의 전달처 기억 수단에 전달하는 파일이 보존되어 있는, 전달원 기기의 전달원 기억 수단의 폴더 구조를 검출하는 폴더 구조 검출 단계와, 해당 폴더구조 검출 단계에 의해 검출한, 상기 전달원 기억 수단의 폴더 구조가, 미리 정해져 있는 표준화된 폴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또한 폴더 구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전달원을 특정하기 위한 고유한 구조를 가진 식별용 파일을 식별하는 식별용 파일 감시 단계와, 해당 식별용 파일 감시 단계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달원 기억 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식별용 파일 이외의 파일을 상기 전달처 기억 수단에 카피하기 위한 카피 수단을 기동 제어하는 카피 기동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에 따르면, 기기끼리 사이에서의 파일의 전송에 관련하여, 기기끼리가 동일 시스템인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파일 전송 조작의 용이화를 도모함과 함께, 시스템 자체의 복잡화를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시스템 사이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파일을 선택하여 파일 전송을 행하기 위한, 전달원 기기, 전달처 기기, 정보 전달 시스템, 및 정보 전달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전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흐름도.
도 4는 도 2에서 설명한 감시용 상주 소프트에 의해서 검출되는 식별용 파일의 포맷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촬상 시스템에 의해서 촬영된 화상을 PC에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을 예로 들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정보 전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정보 전달 시스템(1)에서는, 촬상 시스템(10)과 카드 리더(20)가, 표준화된 직렬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PC(30)에 데이터 접속되어 있다.
촬상 시스템(10)은,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11)로 구성되어 있다. 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11)는 촬영한 화상을 외부 기록 미디어로서의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에 보존한다. 그 때문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의 본체(12)에는 이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 삽입용 슬롯(1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의 본체(12)에는 조작 버튼(조작 스위치)(14)과, USB 단자(15)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버튼(14)은 본체(12) 내의 메모리(도시 생략)에 보존된 파일을 카피하는 경우에, 그를 위한 카피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이다.
USB 단자(15)는 PC(3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하기 위한 단자(표준화된 직렬 인터페이스 규격의 단자)이다.
이에 의해,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의 본체(12) 내의 메모리, 및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 삽입용 슬롯(13)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는, 이 USB 단자(15)에 접속된 USB 케이블(51)을 통하여, PC(3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카드 리더(20)는 상술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에도 장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에 대하여, 데이터의 판독·기입을 행하는 것이다. 카드 리더(20)의 본체(21)에는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삽입용 슬롯(22)과, 후술하는 PC(30)와 데이터 송수신하기 위한 USB 단자(23)가 설치되어 있다. 카드 리더(20)는 이 USB 단자(23)에 접속된 USB 케이블(52)을 통하여, PC(3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의 촬영에 의해서 슬롯(13)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에 보존된 데이터(이 경우에는 화상 파일)는 상술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와 PC(30)를 USB 케이블(51)로 직접 접속하여 전송하는 것 외에, 이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를 본체(12)로부터 떼어내어, 카드 리더(20)에 장착함으로써도, PC(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PC(30)의 본체(31)에는 상기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11) 및 카드 리더(20)에 접속된 USB 케이블(51, 52)이 접속되는 USB 단자(3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PC(30)의 본체(31)에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 삽입용 슬롯(32)도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의 촬영에 의해서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에 보존된 화상 파일은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를 슬롯(32)에 장착함으로써, 직접 PC(30)에서 그 데이터를 직접, 판독·기입할 수도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서, PC(30)는 데이터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의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 삽입용 슬롯(13)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 및 카드 리더(20)의 삽입용 슬롯(22)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를 PC(30)의 본체(31)의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 삽입용 슬롯(32)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리무버블 드라이브 형식(OS(Operating System)에 의해서는 내장 드라이브 형식)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PC(30)에는 사전에 감시용 상주 소프트(61) 및 카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62)가 인스톨되어,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카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62)는 PC(30)에 의해서 리무버블 미디어 드라이브로서 인식된 드라이브 내의 폴더 구조 중에 있는 카피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군을 PC(30)의 보존 수단으로서의 HDD(34)(후술하는 도 2에 도시)에 카피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이 카피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군의 카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접속처 기기인 PC(30)에, 촬상 시스템(10)을 구성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1)를 USB 케이블(51)에 의해서 USB 접속한 경우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 그 설명 시에, 먼저 도 1에서 설명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시스템(10)에 있어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14)에 탑재한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의 파일 저장 폴더 구조(41)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에 의해서 생성되는 루트 폴더(42)와 서브 폴더(43)로 이루어지는,계층 폴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루트 폴더(42)에는 촬상 시스템(10)으로서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에 설치된 식별용 파일 생성 수단(16)에 의해서 생성되는 해당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에 관한 식별용 파일(45)이 저장된다. 이에 대하여, 서브 폴더(43)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1)로 촬영된 파일(화상 파일)(46)이 저장된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의 정보 전달 시스템(1)에서는, 촬상 시스템(10)의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의 파일 저장 폴더 구조(41)와, 그 파일 저장 폴더 구조(41) 내의 식별용 파일(45)을 상술한 PC(30)에 설치된 감시용 상주 소프트(61)에 의해서 검출 및 파일 해석한다.
그 결과, 검출 및 파일 해석된 식별용 파일(45)이, 본 시스템(1)에서 미리 정해진 전달원의 식별용 파일(45)이라고 식별되면, PC(30)에 설치된 카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62)가 상술한 감시용 상주 소프트(61)에 의해서 자동 기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와 PC(30)와의 USB 케이블(51)에 의한 USB 접속에 의해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본체(11)가 PC(30)에 접속되면,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 중에 보존된 계층 폴더 구조(42, 43)나, 그 중의 파일군(45, 46)을 모조리 PC(30)측에서 볼 수 있다.
이는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의 파일 저장 폴더 구조(41)가, PC(30)측으로부터는 PC(30)에 접속되어 있는 드라이브(340)의 파일 저장 폴더 구조(341)로서 인식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에 기초하여,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의 파일 저장 폴더 구조(41)에 있어서의 루트 폴더(42) 및 서브 폴더(43)는 PC(30) 측에서 바라 볼때 드라이브(340)의 파일 저장 폴더 구조(341)에 있어서의 루트 폴더(342) 및 서브 폴더(343)로서 인식되게 된다.
이에 수반하여, PC(30)측으로부터 인식된 루트 폴더(342)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에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의 식별용 파일(45)이 식별용 파일(345)로서 저장되고, 서브 폴더(343)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1)로 촬영된 파일(화상 파일)(46)이 파일(화상 파일)(346)로서 저장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의 정보 전달 시스템(1)에서는, PC(30) 내에 상주시키고 있는 감시용 상주 소프트(61)에 의해서, 디지털 카메라 본체(11) 내의 폴더 구조(41)(341)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폴더 구조(41)(341)를 해석하여, 그 식별 파일(45)(345)의 파일 구조가 본 시스템(1)에서 미리 정해진 전달원의 식별용 파일의 파일 포맷 및 데이터 내용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의 형태의 정보 전달 시스템(1)에서는, 감시용 상주 소프트(61)에 의해서, 검출된 식별용 파일(45)(345)의 파일 구조가 미리 정의된 소정의 파일 포맷을 가진 것으로, 이 미리 정의된 소정의 파일 포맷에 있어서의 소정의 항목 데이터의 내용이 미리 정해져 있는 내용과 일치한다고 식별된 경우에, 감시용 상주 소프트(61)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1) 내에 있는 화상 파일(46)(346)을 카피하기 위해서, PC(30)의 카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62)를 기동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 이후는 PC(30)는 감시용 상주 소프트(61)에 의해 기동되는 상술한 카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62)가 기동할 때마다, 그 HDD(34)에 특정 폴더를 생성하고, 그 특정 폴더 내에, 해당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340) 내의, 식별용 파일(45)(345)을 제외한, 카메라로 촬영된 파일군(46)(346)의 각 파일을 카피하여, 일련의 정보 전달 시퀀스를 완료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이하, 이 흐름도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정보 전달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1) 및 PC(30)의 USB 단자(15, 33)끼리, USR 케이블(51)로 접속한다(단계 S01).
이 상태에서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와 PC(30)와의 USB 접속은 아직 액티브 상태로는 되어 있지 않고, 즉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의 본체(12)에 설치된 조작 버튼(14)을 누름 조작한다(단계 S02).
이 조작 버튼(14)의 누름에 의해서, 우선 디지털 스틸 카메라(11) 내에서는 파일 생성 수단(16)이 기동하여, 삽입용 슬롯(13)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 내에, 후술하는 도 4에 도시하는 포맷에 따라서, 식별용 파일(45)을 생성한다. 그 식별용 파일(45)의 생성 시에는 해당 식별용 파일(45) 내에 팝업 파일 최종 전송 일시를 기술한다(단계 S03). 이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 내에의 식별용 파일(45)의 생성이 끝나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11)는 PC(30)에 있는 USB 터미널 슬롯(USB 단자)(33)를 액티브 상태로 한다(단계 S03).
이에 의해, PC(30)의 OS에 구비되어 있는 플러그-앤드-플레이(Plug and Play) 기능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11) 내의 USB 시스템을 인식하여, 디지털 스틸 카메라(11)로부터는 부속의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로드된다.
그리고, PC(30)에 인스톨되어 있는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의 USB 드라이버가 그 OS 내에서 로드된다.
이에 의해, PC(30)의 OS 내의 상위층에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는 PC(30)의 드라이브(340)로서 인식된다. 그 결과, PC(30)의 OS가, 예를 들면 윈도우즈 OS(Windows: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상표)이면, 아이콘의 내 컴퓨터(My Computer) 내에,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가 PC(30)에 접속되어 있는 기억 장치(디바이스)의 하나로서 인식되는 상태로 된다.
한편, 디지털 스틸 카메라(11)로 생성된 루트(계층) 폴더(42) 이하의 파일 저장 폴더 구조(41)는, PC(30)에서는 PC(30)에 접속되어 있는 드라이브(340)의 파일 저장 폴더 구조(341)로서 인식되게 된다.
그런데, PC(30)에는 그 태스크 내에 상술한 감시용 상주 소프트(61)가 상주하고 있으며, PC(30)의 새롭게 생성된 드라이브(340) 내의 폴더 구조(341)나, 그 중의 파일(345, 346)을 체크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감시용 상주 소프트(61)에 의해서, 상술한 단계 S01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와 PC(30)와의 USB 접속에 의해, 새롭게 생성된 드라이브(340)(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가 대응) 내의 폴더 구조(341)(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의 폴더 구조(41)가 대응)나, 그 중의 파일(345, 346)(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의 파일(45, 46)이 대응)도, 체크되게 된다(단계 S04).
그리고, 이 체크 시에는 사용자가 이미 디지털 스틸 카메라(11)로부터 PC(30)의 HDD(34)에 파일(46)이 카피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를 카드 리더(20)나 PC(30)의 슬롯(22, 32)에 장착하게 되어, PC(30)의 HDD(34) 내에 동일한 내용의 파일(46)이 복수 카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2중 카피의 방지 체크도 행해지고 있다.
여기서, 이 2중 카피의 방지 체크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2중 카피의 방지 체크 기능은,
① 상술한 단계 S0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 버튼(14)의 누름 조작에 의해서 기동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의 파일 생성 수단(16)이,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 내에 생성된 식별용 파일(45) 내에 기술하는 팝업 파일 최종 전송 일시,
② 후술하는 단계 S08에서 설명하는,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 내의 파일(46)에 대하여 PC(30)의 HDD(34)에의 카피가 정상적으로 완료한 경우에, PC(30) 내의 레지스트리 또는 캐쉬 파일 내에 보존되는 파일(345) 내의 시간 정보(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의 식별용 파일(45)에 기술된 최종 전송 일시가 대응)
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즉, 이미 디지털 스틸 카메라(11)로부터 PC(30)의 HDD(34)에 파일(46)이 카피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를, 예를 들면 카드 리더(20)의 삽입용 슬롯(22)에 장착하게 된 경우도, PC(30) 내의 감시용 상주 소프트(61)는 상술한 단계 S04와 마찬가지로 하여, 이 장착된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를 PC(30)의 드라이브(340)로서 인식한다.
그런데, 예를 들면, 카드 리더(20)와 같은 일반적인 리무버블 미디어 드라이브에서는, 장착된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와 같은 리무버블 미디어의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즉, 상술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와 같이, 식별용 파일(45) 내의 카피를 위해서 조작 버튼(14)을 누름 조작할 때마다, 장착된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의 식별용 파일(45) 내에 팝업 파일 최종 전송 일시를 기술하는 등의 구성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의 정보 전달 시스템(1)에서는 2중 카피의 방지 체크 처리를, PC(30) 내의 감시용 상주 소프트(61)가, 상기 ①의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 내에 생성된 식별용 파일(45) 내에 기술되어 있는 팝업 파일 최종 전송 일시(PC(30)의 기억 장치(340)의 식별용 파일(345) 내에 기술되어 있는 시간 정보와 동일)와, 상기 ②의 PC(30) 내의 레지스트리 또는 캐쉬 파일 내에 보존되어 있는 시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행한다.
이 2중 카피의 방지 체크 처리에서는, 리무버블 미디어 드라이브에 장착된 전달원의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 내에 기술되어 있는 시간 정보와, 그 전달처의 PC(30)의 HDD(34)에 보존되어 있는 파일에 대한 시간 정보가 일치했으면, 전달원의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 내의 파일(45)과, 전달처의 PC(30)의 HDD(34)에 보존되어 있는 파일은, 동일한 데이터 내용의 파일이라고 판단한다. 이에 대하여, 양자의 시간 정보가 서로 다르면, 전달원의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 내의 파일(45)의 데이터 내용은 전달처의 PC(30)의 HDD(34)에 파일 보존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도 3의 단계 S05에 설명한 2중 카피의 방지 체크의 판단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이미 디지털 스틸 카메라(11)로부터 PC(30)의 HDD(34)에 파일(46)이 카피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를 떼어내어, 동일한 PC(30)와 USB 접속된 카드 리더(20)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 드라이브에 장착 등을 하게 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한 양 시간 정보가 일치하게 되므로, 후술하는 단계 S10의 처리로 이행하여, 자동 카피가 금지되게 된다.
한편, 이미 디지털 스틸 카메라(11)로부터 PC(30)의 HDD(34)에 파일(46)이 카피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를, 별도의 PC(30)에 새롭게 카피하는 경우나,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가 장착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1)로부터 조작 버튼(14)을 누름 조작하여 PC(30)에 카피하는 경우 등은, 상기한 양 시간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다음의 단계 S06으로 진행하여, 자동 카피가 개시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설명한 2중 카피의 방지 체크 기능에 의해서, PC(30)에 한번 저장한 정보를 동일한 PC(30)에 몇 번이나 반복하여 카피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단계 S05에서, PC(30) 상에서 인식된 드라이브(340)의 폴더 구조(341)나, 그 중의 식별용 파일(345)의 파일 포맷 및 데이터 내용이, 본 정보 전달 시스템(1)에서 미리 정해져 있는 것임과 함께, 2중 카피가 아니라고 감시용 상주 소프트(61)가 확인한 경우에는 감시용 상주 소프트(61)는 드라이브(340) 내의 파일(346)을 카피하기 위해서, 카피 애플리케이션(62)을 자동 기동한다(단계 S06).
이에 의해, 감시용 상주 소프트(61)에 의해 자동 기동된 카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62)는, 우선 PC(30)의 본체(31) 내의 HDD(34) 등의 메모리 디바이스에, 신규의 고유한 폴더(즉, 상술한 특정 폴더)를 생성한다.
또한, 카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62)는 이 신규의 고유한 폴더 중에, 드라이브(340) 내의 각 파일(346), 즉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의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 내에 있는, 해당 카메라(11)로 촬영된 파일군(46)의 각 파일을 카피하여, 상술한 파일(346)과는 다른 명칭의 파일명을 붙여 보존한다(단계 S07).
그리고, 이 보존 작업의 정상 종료에 의해(단계 SO7에서 "예"), 카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62)는 드라이브(340) 내의 식별용 파일(345) 내에 기술되어 있는 시간 정보와 동일하면, 상기 ②의 PC(30) 내의 레지스트리 또는 캐쉬 파일 내에 보존한 후(단계 S08), 감시용 상주 소프트(61)에 의해서 자동 기동된 카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62)는 자동 종료하게 된다(단계 S09).
그런데, 상술한 카피 작업 중, 만일 어떠한 트러블, 예를 들면 접속이 중단하는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단계 SO7에서 "아니오"), 카피를 중지하여, 카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62)는 종료한다(단계 S10). 단, 감시용 상주 소프트(61)는 그대로이다.
도 4는 도 2에서 설명한 감시용 상주 소프트에 의해서 검출되는 식별용 파일의 포맷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의 단계 S03의 처리에서, 식별용 파일 생성 수단(16)에 의해서,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 삽입용 슬롯(13)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 내에 생성되는 식별용 파일(45)은 이 파일 포맷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또, PC(30)의 HDD(34)(도 2 참조)에는 이 식별용 파일(45)의 헤더(451)에서, 토탈 파일 사이즈로부터 헤더(451)의 길이분의 4바이트를 뺀 사이즈가, 미리 정의된 소정의 파일 포맷으로서 기입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인 경우, 식별용 파일(45)은 4바이트의 파일 사이즈부(즉, 헤더)(451), 4바이트의 매직 넘버부(452), 14바이트의 목적(Purpose)부(453), 20바이트의 소스명(Source Name)부(454), 6바이트의 버전(Version)부(455), 및 각각 8바이트의 3개의 리저브(Reserved)부(456∼458)로, 포맷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매직 넘버부(452)에는 인식 파일(45)의 매직 넘버(Magic Number)로서, 이 파일의 특유한 명칭이 ASCII 표기된다. 목적부(453)에는 이 파일의 목적이 ASCII 표기된다. 표시로서는 "lG_ _ _ _ _ _ _ _ _ _ _ _"의 14바이트로 되어 있다. _는 금후의 확장을 행하는 경우, 바이트 수를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_는 12바이트 있지만, 이것을 비트 표기함으로써 최대 4096종류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이 파일이 본 시스템을 사용하는 제1 세대 시에는 단순하게 자동 카피하는 등의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지만, 장래적으로 보다 복잡한 처리를 행할 때에는 제1 세대의 내용과 목적이 서로 다르다. 그 경우, 예를 들면, 현재 "Reserved"로 되어 있는 리저브부(457, 458)에 새로운 목적에 부합한 내용이부가되게 되지만, 그렇게 확장되어도 지장이 일어나지 않도록 미리 확장 구조를 준비하고 있다. 소스명부(454)에는 소스명으로서, 생성한 기기명이 ASCII 표기된다. 버전부(455)에는 이 파일의 버전 정보가 ASCII 표기된다. 또한, 남은 합계 24바이트의 리저브부(456∼458)는 장래의 확장용으로 사용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그 중의 리저브부(456)에는 도 3의 단계 S03의 처리에 의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의 조작 버튼(14)의 누름 조작에 의해서 보존되는 팝업 파일 최종 전송 일시가 기억된다.
이와 같이 식별용 파일(45)의 파일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더 4바이트 이외는 ACSII 표기로 하여, 디지털 스틸 카메라(11) 내에서의 인식을 고속화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헤더(451)는 파일의 토탈 바이트 수로부터 헤더의 바이트 수를 뺀 바이트 수를 빅엔디안(big endian) 표기로 기재한다. 이에 의해, 본 파일이 파괴되어 있지 않은지의 에러 체크도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데이터가 추폐(개찬)되면, 파일의 토탈 바이트 수가 다르게 된다. 이 헤더에 파일의 토탈 바이트 수를 기술해 두면, 이것을 취급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파일이 손상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이 파일의 내용을 보지 않더라도 간단하게, 또한 단시간에, 그 파일 자체를 신뢰할 수 있는 것인지의 판별이 가늠된다. 다음으로, 도 3에서의 단계 S03의 처리에서의, 폴더 구조(341)나, 그 중의 파일(345, 346)의 체크에서는 매직 넘버부(452)의 매직 넘버와, 목적부(453)의 파일의 목적과, 버전부(455)의 버전 정보가 일치하고, 또한 상술한 리저브부(456)의 시간 정보와 도 3의 단계S08의 보존된 시간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때, 감시용 상주 소프트(61)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내에 있는 화상 파일을 카피하기 위해서, 퍼스널 컴퓨터 본체(31)의 카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62)를 기동한다.
즉, 식별용 파일(45)은, 기본적으로는 파일 사이즈는 가변으로 필요에 따라 확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정보 전달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는 PC(30)측에서 수동 조작하지 않고도,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가 장착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1)를 PC(30)에 USB 접속하는 것만으로,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 내의 파일(46)을 용이하게 PC(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를 카드 리더(20)나 PC(30)의 슬롯(22, 32)에 장착하는 것만으로도,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 내의 파일(46)을 용이하게 PC(3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송원에 구비된 식별용 파일 작성 수단(16)에 의해서 식별용 파일(45)을 생성하여, 전송처의 감시용 상주 소프트(61)에 의해서, 전송원의 폴더 구조(41)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폴더 구조(41) 중의 식별용 파일(45)을 체크하며, 이 결과에 기초하여, 전송처의 카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62)가 기동되므로, 그 시스템 구성도 복잡화하지 않는다.
그 전송 시에도, 2중 카피의 방지 체크 기능에 의해서, PC(30)에 한번 저장한 정보를 동일한 PC(30)에 몇 번이나 반복하여 카피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에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를 본체(12)로부터 떼어내어, 리무버블 미디어 드라이브로서의 카드 리더(20)에 끼우면, PC(30)의 감시용 상주 소프트(61)는 팝업 파일 최종 전송 일시를 인식한다. PC(30) 내에는 이미 카피된 정보의 팝업 파일 내의 시간 정보가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이전에 접속, 인식한 정보의 팝업 내의 시간 정보와 일치하면, 2중 카피를 금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식별용 파일(45)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에 설치된 전송을 위한 조작 버튼(14)을 사용자가 조작할 때에, 식별용 파일 생성 수단(16)에 의해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에 생성된다. 그러나, 이 식별용 파일 생성 수단(16)에 의한,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에의 식별용 파일(45)의 생성 타이밍은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11)에 장착되어 있는 기간 내이면, 변경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정보 전달 시스템은 구성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카메라에 USB 단자를 장착하고, 그 USB를 사용한 통신으로서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의 프로토콜을 실장하여, PC와의 사이에서 정지 화상 파일 등의 전송을 행하는, 카드 리더 디바이스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 카드 리더를 구비한 시스템을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정보 전달 시스템은, 호스트측에서 식별용 파일을 생성하고, 특정한 폴더에 보존해 두어, 터미널측에 상주하고 있는 차일드 소프트웨어가 그 특정한 폴더를 찾아내기 시작하여 식별용 파일을 발견하면, 이 식별용 파일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자동 카피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를 기동하는 구성의 시스템이면, 상기한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USB 카드 리더 등에, 도 1에 기재된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를 장착하여 PC(30)의 본체(31)에 접속하면, PC(30)에 상주하고 있는 감시용 상주 소프트(61)가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40) 및 폴더 구조(41)를 검지하여 마찬가지의 시퀀스가 행해지는, 등의 여러가지의 변형예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전달원 기기, 전달처 기기, 및 정보 전달 시스템에 따르면, 전송원 기기의 전달원 기억 수단을 전송처 기기의 전달처 기억 수단에 접속하는 등의 행위로, 전송원 기기가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의 USB 디바이스이더라도, 파일 전송 시의 전송원 기기에 의한 번거로운 수동 조작이 필요없게 되어, 파일 전송 조작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자체의 복잡화를 회피하고, 용이하게 전송처 기기를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에서는 본래, 파일을 전송한다고 하는, 소위 파일 전송 전용의 기능밖에 없지만, 본 발명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송처 기기측의 카피 애플리케이션을 컨트롤하고, 카피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시스템 인식 방법에 따르면, 이전에 카피가 행해지고 있는 전달원 기기의 전달원 기억 수단의 정보를 2중 카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시스템이 서로 다른 기기 사이에서 파일을 전달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전달원 기기로서,
    전달하는 파일을 보존하는 전달원 기억 수단과,
    상기 전달원 기억 수단에, 미리 전달원과 전달처와의 기기 사이에서 표준화된 폴더 구조로, 전달하는 파일 외에, 전달원을 특정하기 위한 고유한 구조를 가진 식별용 파일을 생성하는 식별용 파일 생성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전달원 기기.
  2. 시스템이 서로 다른 기기 사이에서 파일을 전달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전달처 기기로서,
    전달된 파일이 보존되는 전달처 기억 수단과,
    전달원 기기에 구비되어 있는 전달원 기억 수단의 폴더 구조에 대하여, 미리 전달원과 전달처와의 기기 사이에서 표준화된 폴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해당 폴더 구조 중에 포함되는, 전달원을 특정하기 위한 고유한 구조를 가진 식별용 파일을 식별하는 감시 수단과,
    상기 감시 수단에 의한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전달원 기기의 전달원 기억 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식별용 파일 이외의 파일을 상기 전달처 기억 수단에 보존하는 보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전달처 기기.
  3. 시스템이 서로 다른 기기 사이에서 파일을 전달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으로서,
    전달하는 파일을 보존하는 전달원 기억 수단과,
    상기 전달원 기억 수단에, 미리 전달원과 전달처와의 기기 사이에서 표준화된 폴더 구조로, 전달하는 파일 외에, 전달원을 특정하기 위한 고유한 구조를 가진 식별용 파일을 생성하는 식별용 파일 생성 수단
    을 구비하고 있는 전달원 기기에,
    전달된 파일이 보존되는 전달처 기억 수단과,
    상기 전달원 기기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전달원 기억 수단의 폴더 구조에 대하여, 미리 전달원과 전달처와의 기기 사이에서 표준화된 폴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해당 폴더 구조 중에 포함되는, 전달원을 특정하기 위한 고유한 구조를 가진 식별용 파일을 식별하는 감시 수단과,
    상기 감시 수단에 의한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달원 기억 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식별용 파일 이외의 파일을 상기 전달처 기억 수단에 보존하는 보존 수단
    을 구비하고 있는 전달처 기기를
    표준화된 직렬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4. 시스템이 서로 다른 기기 사이에서 파일을 전달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의 시스템 인식 방법으로서,
    전달처 기기의 전달처 기억 수단에 전달하는 파일이 보존되어 있는, 전달원 기기의 전달원 기억 수단의 폴더 구조를 검출하는 폴더 구조 검출 단계와,
    상기 폴더 구조 검출 단계에 의해 검출한, 상기 전달원 기억 수단의 폴더 구조가 미리 정해져 있는 표준화된 폴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또한 폴더 구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전달원을 특정하기 위한 고유한 구조를 가진 식별용 파일을 식별하는 식별용 파일 감시 단계와,
    상기 식별용 파일 감시 단계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달원 기억 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식별용 파일 이외의 파일을 상기 전달처 기억 수단에 카피하기 위한 카피 수단을 기동 제어하는 카피 기동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의 시스템 인식 방법.
KR1020047014061A 2002-03-08 2003-02-04 전달원 기기, 전달처 기기, 정보 전달 시스템, 및 정보전달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인식 방법 KR100624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64380A JP2003263358A (ja) 2002-03-08 2002-03-08 伝達元機器、伝達先機器、情報伝達システム、及び情報伝達システムにおけるシステム認識方法
JPJP-P-2002-00064380 2002-03-08
PCT/JP2003/001128 WO2003077131A1 (fr) 2002-03-08 2003-02-04 Dispositif d'origine de transmission, dispositif de destination de transmission, systeme de transmission d'information, et procede de reconnaissance de systeme dans un systeme de transmission d'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781A true KR20040094781A (ko) 2004-11-10
KR100624587B1 KR100624587B1 (ko) 2006-09-20

Family

ID=2780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061A KR100624587B1 (ko) 2002-03-08 2003-02-04 전달원 기기, 전달처 기기, 정보 전달 시스템, 및 정보전달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108291A1 (ko)
EP (1) EP1484686A4 (ko)
JP (1) JP2003263358A (ko)
KR (1) KR100624587B1 (ko)
CN (1) CN100334563C (ko)
WO (1) WO20030771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8268B2 (ja) * 2003-07-16 2008-10-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0601682B1 (ko) * 2004-06-01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파일 이동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
US20060230345A1 (en) * 2005-04-07 2006-10-12 Shih-Hsiung Weng Portable data storage device that converts data types and data type converting method
US20060282472A1 (en) * 2005-06-14 2006-12-14 Inventec Multimedia & Tele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management
JP2007200518A (ja) 2005-12-27 2007-08-09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出力装置、コンテンツ出力装置による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
JP4797881B2 (ja) * 2006-08-21 2011-10-1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システム、記録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制御方法、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方法
CN101196895B (zh) * 2006-12-07 2010-09-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自动备份功能的电子相框及自动备份方法
KR101405944B1 (ko) * 2007-10-15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기기 및 이것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US10270933B2 (en) * 2016-03-15 2019-04-23 Gopro, Inc. Multi-camera system content capture and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5248B2 (en) * 1997-11-24 2006-01-10 Eastman Kodak Company Printing digital images using a print utilization file
JP3641353B2 (ja) * 1997-06-24 2005-04-20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ディレクトリ情報管理方法、および、その処理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535243B1 (en) * 1998-01-06 2003-03-18 Hewlett- Packard Company Wireless hand-held digital camera
JPH11249967A (ja) * 1998-02-27 1999-09-17 Fanuc Ltd Ncデータの不正複写防止方法
US6784925B1 (en) * 1998-03-24 2004-08-31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to manage digital camera images
JP2000076113A (ja) * 1998-08-31 2000-03-14 Kano Densan Hongkong Yugenkoshi ファイル制御システム、ファイル更新方法、携帯情報端末装置、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2000184324A (ja) * 1998-12-17 2000-06-30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及びデータ蓄積装置
JP4250805B2 (ja) * 1999-04-23 2009-04-08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1222504A (ja) * 1999-12-03 2001-08-17 Canon Inc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JP3558947B2 (ja) * 2000-02-21 2004-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のフォーマット変換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812962B1 (en) * 2000-05-11 2004-11-02 Eastman Kodak Company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orwarding digital images to a service provider
JP2001325139A (ja) * 2000-05-16 2001-11-22 Canon Inc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撮像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記憶媒体
US7414746B2 (en) * 2000-05-23 2008-08-19 Fujifilm Corporation Image data communication method
JP4196522B2 (ja) * 2000-05-23 2008-12-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送信装置、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送信方法、情報再生方法及び情報送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327340B2 (ja) * 2000-07-31 2009-09-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検索出力方法
US8443035B2 (en) * 2000-09-01 2013-05-14 OP40 Hold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on using web browsers
US20060020602A9 (en) * 2000-12-07 2006-01-26 Oliver Morgan Maintaining interoperability of systems that use different metadata schemas
US6944700B2 (en) * 2001-06-15 2005-09-13 Logitech Europe S.A.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a digital camera and a ho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4587B1 (ko) 2006-09-20
US20050108291A1 (en) 2005-05-19
EP1484686A4 (en) 2007-07-04
CN100334563C (zh) 2007-08-29
WO2003077131A1 (fr) 2003-09-18
JP2003263358A (ja) 2003-09-19
CN1653429A (zh) 2005-08-10
EP1484686A1 (en) 200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2197B2 (en) Recording medium for data file management, apparatus for data file management, handling apparatus for image data, and image capturing system
US7269691B2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removable storage medium,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for
EP1575180B1 (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US8190576B2 (en) File record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JP2002082777A (ja) 携帯式デジタルデータ転送および格納装置ならびに携帯式手持型データ転送および格納装置の動作方法
KR100624587B1 (ko) 전달원 기기, 전달처 기기, 정보 전달 시스템, 및 정보전달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인식 방법
US7936474B2 (en)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apparatus for copying or backup
JP3996962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3413228B2 (ja) カメラ
JP2004187189A (ja) 情報伝達システム及び伝達元機器と伝達先機器
JP2005348404A (ja) デジタルカメラ
JP3936896B2 (ja) 伝達元機器、伝達先機器、情報伝達システム、及び情報伝達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時刻設定方法
JP4612816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制御方法
US2007021570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writes data to an attachable/detachable recording mediu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677288B2 (ja) 画像ファイル処理装置及び画像ファイル処理方法
JP2007080462A (ja) 着脱可能な記録媒体を使用したデジタル機器
JP2008259055A (ja) 撮像装置、印刷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8263390A (ja) メモリカード内のデータバックアップ方法
JP2001125788A (ja) 電子装置の内蔵ドライバソフトウェア
JP2004192617A (ja) 情報処理装置
JPH06225252A (ja) カメラ
JP2001346143A (ja) 画像ファイル複写装置、撮像装置、画像ファイル複写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4017388A (ja) 画像出力装置
JP2004056814A (ja) 電子カメラシステム
JP2004104770A (ja) 電子カメ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