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4180A - 신호 발생장치 및 신호 발생방법 - Google Patents

신호 발생장치 및 신호 발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4180A
KR20040094180A KR1020030028174A KR20030028174A KR20040094180A KR 20040094180 A KR20040094180 A KR 20040094180A KR 1020030028174 A KR1020030028174 A KR 1020030028174A KR 20030028174 A KR20030028174 A KR 20030028174A KR 20040094180 A KR20040094180 A KR 20040094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signal
width
outputt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4815B1 (ko
Inventor
김일중
조국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디지털앤아날로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디지털앤아날로그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8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815B1/ko
Priority to US10/672,839 priority patent/US6987418B2/en
Priority to JP2004134449A priority patent/JP2004336765A/ja
Priority to DE200410022354 priority patent/DE102004022354B4/de
Priority to NL1026088A priority patent/NL1026088C2/nl
Priority to CN 200410076635 priority patent/CN1607721A/zh
Publication of KR20040094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03F3/2173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of the bridge typ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case of switching on or off of a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1Low 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 H03F3/183Low 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85Low 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field-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03F3/2171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with field-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38Dc amplifiers with modulator at input and demodulator at output; Modulators or demodulato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ch amplifiers

Abstract

파워-온시, 파워-오프시, 뮤트-온시, 또는 뮤트-오프시 음성 재생장치에서 발생되는 팝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신호 발생장치 및 신호 발생방법이 개시된다. 파워-온시 또는 뮤트-오프시 신호 발생장치에서 최초로 발생되는 펄스의 폭은 두 번째 이후에 발생되는 펄스의 폭의 절반이다. 또한 파워-오프시 또는 뮤트-온시 신호 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펄스 열 중에서 n 번째 펄스의 폭은 상기 펄스 열 중에서 (n-1)번째 펄스의 폭의 절반이다.

Description

신호 발생장치 및 신호 발생방법{Signal generating apparatus and signal generating method}
본 발명은 신호 발생장치 및 신호 발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 재생장치(예컨대 D급 증폭기)로 전원이 투입된 후 최초로 스위칭 동작이 시작 될 때, 상기 음성 재생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때, 뮤트-온(mute-on) 또는 뮤트-오프(mute-off)시에 상기 음성 재생장치에서 발생하는 팝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신호 발생장치 및 신호 발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신호(audio signal)를 증폭시키기 위한 음성신호 증폭기는 전원 증폭 동작 단계에 따라 A급, B급, AB급, 그리고 D급 증폭기 등으로 분류된다.
A급 증폭기는 음질이 우수하지만,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 단점과 바이어스 전류를 최대 출력보다 크게 걸어야 하므로 효율성이 매우 낮다. 이는 신호의 출력이 없어도 트랜지스터는 항상 전류가 통하는 상태로 있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B급 증폭기는 바이어스 전류가 없다. 따라서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때는 전력소모가 거의 없으므로, 효율이 매우 좋다. 그러나 크로스오버 (Cross-over) 왜곡이라고 부르는 작은 신호에도 신호의 왜곡이 크게 일어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C급 증폭기는 바이어스 전류가 없다는 점에서 B급 증폭기와 유사하지만, 매우 좁은 대역에서 동작하므로 음성용으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C급 증폭기는 20kHz 이상에서 사용하며 주로 신호를 동조하는데 사용한다.
AB급 증폭기는 두개의 트랜지스터로 동작하는 점이 B급 증폭기와 유사하지만, 입력이 없을 때에도 미소한 바이어스 전류가 흐르는 점이 B급과 다르다. 무입력 바이어스 전류가 증폭기의 효율을 약간 떨어뜨리지만, 크로스오버 왜곡을 거의 완전히 보정해 준다. 이런 증폭기를 AB급 증폭기라 부르는 것은 작은 출력에서는 (무신호 바이어스 전류와 같은 출력) A급 증폭기처럼 동작하고, 큰 출력에서는 B급 증폭기처럼 동작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대부분 상업용 엠프는 대부분 AB급이다.
D급 증폭기는 펄스 폭 변조 (Pulse-width modulation, PWM) 방식을 사용하며, B급 증폭기보다 효율이 높다. B급 증폭기는 효율성이 뛰어나나 트랜지스터의 선형구간을 이용하기 때문에 78% 이상의 효율을 낼 수 없다. D급 증폭기는 트랜지스터를 스위칭 모드로만 동작시키기 때문에 최소의 전력 손실이 있다. 따라서 최대 출력에서 효율이 80% 이상이 되고, A급, AB급 증폭기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선행성도 뛰어나 왜곡이 적다.
반면 D급 증폭기는 PWM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저역통과필터 (Low Band Pass Filter)를 거쳐야 한다. 이 필터는 위상 이동과 왜곡을 가져온다. 저역통과필터는 고역을 감쇠기키기 때문에 고음이 좋은 D급 증폭기를 만들기 힘들다.
또한 매우 뛰어난 전역(Full range)증폭기를 구현하기 위하여 스위칭 주파수가 40 kHz 이상이 되어야 하며, 우수한 저역통과필터를 채택하여야 한다. 특히 전원이 켜지고 꺼질 때, 또는 뮤트 신호가 온 (ON) 또는 오프 (OFF) 될 때, 스위칭 팝 노이즈 (Pop noise)가 심하며, 이들 문제점이 제거된 D급 증폭기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음성 재생장치로 전원을 투입한 후 최초로 스위칭 동작이 시작 될 때, 상기 음성 재생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때, 또는 뮤트 온, 또는 뮤트 오프시에 발생하는 팝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신호 발생장치 및 신호 발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재생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펄스신호 발생회로의 출력파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발생장치의 파워-온 시점에서의 스위칭 파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발생장치의 파워-오프 시점에서의 스위칭 파형을 나타낸다.
도 5는 하나의 전원을 갖는 하프-브리지(half-bridge)형 음성신호 재생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두 개의 전원들을 갖는 하프-브리지형 음성신호 재생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하나의 전원을 갖는 풀-브리지(full bridge)형 음성신호 재생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재생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발생장치의 뮤트-온/뮤트-오프 시점에서의 스위칭 파형을 나타내다.
도 10은 종래의 신호 발생장치의 출력신호에 따른 음성신호 재생장치의 스피커의 전압의 과도응답 특성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발생장치의 출력신호에 따른 음성신호 재생장치의 스피커의 전압의 과도응답 특성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발생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재생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성 재생장치(100)는 신호 발생장치(200) 및 음성신호 재생장치(300)를 구비한다. 신호 발생장치(200)는 음성신호 재생장치(300)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발생한다. 신호 발생장치(200)는 전원감지회로(110), 펄스신호 발생회로(120), 음성 신호 프로세서(130), 제1선택회로(140), 제2선택회로 (150) 및 데드 타임 제어회로(160)를 구비한다.
전원감지회로(110)는 파워(전원)가 공급되는 것(이하 '파워-온'이라 한다.)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로서 제1감지신호(DET1)를 펄스신호 발생회로(120)로 출력한다.
전원감지회로(110)는 공급되던 파워(전원)가 차단되는 것(이하 '파워-오프'라 한다.)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로서 제2감지신호(DET2)를 음성신호 프로세서 (130)로 출력한다. 즉, 전원감지회로(110)는 음성 신호 프로세서(13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폭 변조 주기(PPS)에 응답하여 파워-오프시 제2감지신호(DET2)의 발생시점을 제어한다.
또한, 전원감지회로(110)는 제어신호(SEL)를 펄스신호 발생회로(120), 제1선택회로(140) 및 제2선택회로(150)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SEL)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상태를 천이(예컨대 논리 '로우'에서 논리 '하이'로 천이)한다.
펄스신호 발생회로(120)는 제1감지신호(DET1) 및 제어신호(SEL)에 응답하여 펄스 폭 변조를 통하여 제1펄스 열(PUL1) 및 제2펄스 열(PUL2)을 강제적으로 발생한다. 제1펄스 열(PUL1) 및 제2펄스 열(PUL2)은 서로 상보적인 위상을 갖는 펄스열 (도 2a) 또는 동일한 위상을 갖는 펄스 열(도 2b)일수 있다. 펄스신호 발생회로 (120)는 제1감지신호(DET1) 및 제어신호(SEL)의 조합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펄스 열(PUL1, PUL2)을 발생한다.
음성 신호 프로세서(130)는 파워-온 후 음성신호(AUDIO)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AUDIO)를 펄스 폭 변조하고, 펄스 폭 변조된 신호(APWM)를 출력한다. 따라서 음성 신호 프로세서(130)는 펄스 폭 변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음성 신호 프로세서(130)는 펄스 폭 변조 주기(PPS)를 전원감지회로(110)로 출력하고, 전원감지회로(110)로부터 출력되는 제2감지신호(DET2)에 응답하여 비활성화된다.
제1선택회로(140)는 제어신호(SEL)에 응답하여 펄스신호 발생회로(120)로부터 출력되는 제1펄스열(PUL1) 또는 음성 신호 프로세서(130)의 출력신호(APWM)를 출력한다. 제1선택회로(140)는 MUX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선택회로(150)는 제어신호(SEL)에 응답하여 펄스신호 발생회로(120)로부터 출력되는 제2펄스열(PUL2) 또는 음성 신호 프로세서(13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된 신호(APWM)를 출력한다. 제2선택회로(150)는 MUX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선택회로(140) 및 제2선택회로(150)로 구현되는 선택회로는 펄스열(PUL1, PUL2) 또는 펄스폭 변조된 신호(APWM)를 출력한다.
데드 타임 제어회로(160)는 제1선택회로(140)의 출력신호(MUXA) 및 제2선택회로(150)의 출력신호(MUXB)를 수신하고, 수신된 각 신호(MUXA, MUXB)에 소정의 데드 타임(dead time)을 설정한 후, 상기 데드 타임을 갖는 제1스위칭 신호(PWMA) 및 제2스위칭 신호(PWMB)를 출력한다.
제1스위칭 신호(PWMA) 및 제2스위칭 신호(PWMB)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음성신호 재생장치(300)에 포함된 적어도 두 개의 MOS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팅 신호로서 각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입력된다.
상기 데드 타임은 도 5 내지 도 7에 각각 도시된 음성신호 재생장치(300)의 각 MOS 트랜지스터(501, 503, 701, 703)가 동시에 턴-온(turn-on)되거나 턴-오프(turn-off)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된 지연시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펄스신호 발생회로의 출력파형을 나타낸다.
(a)는 도 5 내지 도 7 각각에 도시된 MOS 트랜지스터(501, 703)가 NMOS 트랜지스터이고, MOS트랜지스터(503, 701)가 NMOS 트랜지스터인 경우를 위한 스위칭 파형이다. (b)는 도 5 내지 도 7 각각에 도시된 MOS 트랜지스터(501, 703)가 PMOS 트랜지스터이고, MOS 트랜지스터(503, 701)가 NMOS 트랜지스터인 경우를 위한 스위칭 파형이다.
도 5는 하나의 전원을 갖는 하프-브리지(half-bridge)형 음성신호 재생장치(300)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그림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신호 재생장치(300)는 트랜지스터 (501, 503)를 포함한다. 각 트랜지스터 (501, 503)의 드레인 (Drain)과 소오스 (Source) 사이에는 대응되는 다이오우드 (M1, M2)가 각각 접속된다.
음성신호 재생장치 (300)는 도 6에 나타난 회로도와 같이 두 개의 전원들을갖는 하프-브리지형 음성신호 재생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 7과 같은 하나의 전원을 갖는 풀-브리지(full bridge)형 음성신호 재생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한 다른 음성신호 재생장치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그림 5에 나타난 음성신호 재생장치(300)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그림 5의 음성신호 재생장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음성신호 재생장치(300)에서 저주파 대역 필터로는 인덕터(L) 및 커패시터(C)로 구성되는 무손실 2차 필터가 사용된다. 무손실 2차 필터는 인덕터(L) 및 커패시터(C)로 구성되고, 커패시터(Cdc)는 직류 전압 차단을 위한 커패시터이다. 무손실 2차 필터를 통과한 음성신호는 스피커(505)를 구동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발생장치의 파워-온 시점에서의 스위칭 파형을 나타낸다. 제1스위칭 신호(PWMA) 및 제2스위칭 신호(PWMB)의 각 파형의 발생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파워(PW)가 전원감지회로(110), 펄스신호 발생회로(120) 및 음성신호 프로세서(130)로 공급되면, 전원감지회로(110)는 공급되는 파워(PW)의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로서 활성화("H")된 제1감지신호(DET1)를 펄스신호 발생회로(120)출력하고, 비활성화("L")된 제어신호(SEL)를 제1선택회로(140)로 출력한다.
펄스신호 발생회로(120)는 활성화된 제1감지신호(DET1)에 응답하여 제1펄스열(PUL1) 및 제2펄스열(PUL2)을 발생한다. 이때 발생되는 각 펄스열(PUL1, PUL2)의 파형은 도 2(a) 및 도 2(b)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음성신호 프로세서(130)는 펄스 폭 변조된 신호(APWM)를 출력한다.
제1선택회로(140)는 비활성화("L")된 제어신호(SEL)에 응답하여 제1펄스열 (PUL1)을 선택된 신호(MUXA)로서 데드 타임 제어회로(160)로 출력하고, 제2선택회로(150)는 비활성화("L")된 제어신호(SEL)에 응답하여 제2펄스열(PUL2)을 선택된 신호(MUXB)로서 데드 타임 제어회로(160)로 출력한다.
데드 타임 제어회로(160)는 소정의 데드 타임(DT)이 설정된 제1스위칭 신호 (PWMA) 및 제2스위칭 신호(PWMB)를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음성신호 재생장치(300)의 MOS 트랜지스터로 각각 출력한다.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펄스열(PUL1) 중에서 최초로 발생되는 제1펄스(201)의 폭(Tonf)은 n(n은 2이상의 자연수)번째 발생되는 각 펄스(203, 205)의 폭(Ton)보다 작다.
또한 제 1펄스(201)는 제2펄스열(PUL2)에서 발생되는 각 펄스(202, 204)의 폭 (Ton)보다 작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펄스열 (PUL1)의 제 1펄스 (201)의 폭은 제1펄스열(PUL1)의 n(n은 2이상의 자연수)번째 발생되는 각 펄스(203, 205)의 폭(Ton) 및 제2펄스열(PUL2)에서 발생되는 각 펄스(202, 204)의 절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펄스열(PUL1)의 제1펄스(202)의 폭(Tonf)은 각 펄스(203, 205)의 주기(Tsw)의 1/4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펄스(202, 203, 204, 205)의 주기(Tsw)는 PWM 주기이며, 제1펄스열(PUL1)의 제 1펄스(201)의 폭(Tonf)을 제외하고 나머지 펄스(202, 203, 204, 205)의 폭(Ton)은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파워-온 후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음성 재생장치는 최초로 발생된 펄스(201)에 응답하여 최초로 스위칭 동작을 하는 경우, 상기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발생되는 과도응답이 최소화되므로, 상기 과도응답에 의하여 발생되는 팝 노이즈는 최소화된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신호(SEL)는 비활성화("L")에서 활성화("H")로 변하고, 펄스신호 발생회로(120)는 활성화된 제어신호(SEL)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된다. 이때 제1선택회로(140) 및 제2선택회로(150)는 음성신호 프로세서(13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폭 변조된 신호(APWM)를 선택하고, 이를 출력신호(MUXA, MUXb)로서 데드 타임 제어회로(160)로 출력한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음성 재생장치(100)의 제조회사로부터 디폴트(default)로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로 설정될 수도 있다.
데드 타임 제어회로(160)는 소정의 데드 타임(DT)이 설정된 제1스위칭 신호(PWMA) 및 제2스위칭 신호(PWMB)를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음성신호 재생장치(300)의 각 MOS 트랜지스터(501, 503, 701, 703)로 각각 출력한다. 상기 소정의 데드 타임 (DT)은 각 트랜지스터 (501, 503, 701, 703)가 동시에 턴-온 또는 턴-오프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된 타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스위칭 신호(PWMA) 및 제2스위칭 신호(PWMB)중 하나만 데드 타임 (DT)이 설정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각 MOS 트랜지스터(501, 503, 701, 703)는 대응되는 스위칭 신호(PWMA, PWMB)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신호 발생장치(200)는 파워-온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될때까지의 구간(TP)에서는 펄스신호 발생장치(120)로부터 출력되는 각 펄스열(PUL1, PUL2)을 스위칭 신호(PWMA, PWMB)로서 출력한다. 이를 "시작 모드"라 한다.
그리고 신호 발생장치(200)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의 구간(Ta)에서는 음성 신호 프로세서(13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폭 변조된 신호(APWM)를 스위칭 신호(PWMA, PWMB)로서 출력한다. 이를 "음성 PWM 모드"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발생장치의 파워-오프 시점에서의 스위칭 파형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스위칭 신호(PWMA, PWMB) 및 제2스위칭 신호(PWMB)의 각 파형의 발생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파워-온 동안(이 경우 제어신호(SEL)는 활성화("H")상태를 유지한다.), 음성 신호 프로세서(130)는 PWM 주기마다 각 스위칭 신호(PWMA, PWMB)의 온 구간(Ton1, Ton2)을 시간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값(PPS)을 전원감지회로(110)로 출력한다.
여기서 PWM주기는 일정하고, 각 스위칭 신호(PWMA, PWMB)의 온 구간(Ton1, Ton2)은 음성신호(AUDIO)에 따라 가변적이다. 상기 시간은 카운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전원감지회로(110)는 측정된 값(PPS)을 소정의 저장장치(미도시)에 저장하고 PWM주기마다 측정된 값(PPS)을 갱신한다. 상기 측정된 값(PPS)은 공급되는 파워(PW)가 차단되는 경우 발생되는 팝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펄스(403)의 폭(Ton2f)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파워-오프의 경우, 전원감지회로(110), 펄스신호 발생회로(120) 및 음성 신호 프로세서(130)는 디스에이블된다. 전원감지회로(110)는 파워-오프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른 제2감지신호(DET2)를 음성 신호 프로세서(130)로 출력한다. 음성 신호 프로세서(130)는 제2감지신호(DET2)에 응답하여 펄스 폭 변조 동작을 중단한다.
여기서 제2감지신호(DET2)는 스위칭 신호(PWMA; 402)의 온 구간(Ton2)의 절반이 되는 시점에 비활성화된다. 따라서 파워(PW)가 차단되는 시점에서 발생된 펄스(403)의 폭(Ton2f)은 차단 직전에 발생된 펄스(402)의 폭(Ton2)보다 작다.
파워(PW)가 차단되는 시점에서 발생된 펄스(403)의 폭(Ton2f)은 차단 직전에 발생된 펄스(402)의 폭(Ton2)의 절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워(PW)가 차단되는 시점에서 발생된 펄스(403)의 폭(Ton2f)은 PWM 주기의 1/4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감지신호(DET2)는 음성 신호 프로세서(130)의 출력신호(APWM) 중에서 (n)번째 신호(903)의 폭(Ton2f)을 (n-1)번째 신호(902)의 폭(Ton2)의 절반이 되도록 제어하는 신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재생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음성 PWM 모드로 동작하고 있던 신호 발생장치(810)는 뮤트 신호(/MUTE)에 응답하여 스위칭 신호의 온(on)구간을 제어한다.
도 10의 음성 재생장치(800)는 신호 발생장치(810) 및 음성신호 재생장치(300)를 구비한다. 신호 발생장치(810)는 전원감지회로(110), 펄스신호 발생회로(120), 음성 신호 프로세서(141), 제1선택회로(140), 제2선택회로(150), 데드 타임 제어회로(160) 및 논리게이트(820)를 구비한다.
전원감지회로(110)는 전원(PW)이 공급되는 것을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로서 프리 제어신호(pre-control signal; PSEL)를 발생한다. 프리 제어신호(PSEL)는 도 1의 제어신호(SEL)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신호이다.
음성 신호 프로세서(131)는 뮤트신호(/MUTE)에 응답하여 뮤트 제어신호 (CMUTE)를 논리게이트(820)로 출력한다. 뮤트신호(/MUTE)는 액티브 로우(active low)이다. 음성 신호 프로세서(131)는 음성 PWM 모드에서 PWM주기(정확하게는 펄스의 폭)를 이용하여 뮤트 제어신호(CMUTE)가 비활성화되는 시점 및/또는 활성화되는 시점을 제어한다.
그 이외의 음성 신호 프로세서(131)의 동작 및 기능은 도 1에 도시된 음성 신호 프로세서(130)의 동작 및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논리게이트(820)는 AND게이트로 구성되며, 뮤트 제어신호(CMUTE) 및 프리 제어신호(PSEL)를 수신하고, 두 신호들(CMUTE, PSEL)을 논리곱하고, 제어신호(SEL)를 발생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발생장치의 뮤트-온/뮤트-오프 시점에서의 스위칭 파형을 나타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신호 발생 장치(810)가 '음성 PWM 모드'로 동작하고 있을 때, 뮤트신호(/MUTE)는 논리 '하이'를 유지한다(이를 '뮤트-오프 모드'라 한다.). 이때 펄스신호 발생회로(120)는 디스에이블 상태를 유지한다.
신호 발생장치(810)가 음성 PWM 모드로 동작하면서 뮤트-온 모드에서 뮤트 -오프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신호 발생장치(810)는 음성 신호 프로세서(131)로부터출력되는 펄스폭 변조된 신호(APWM)를 스위칭 신호(PWMA, PWMB)로서 출력한다.
뮤트 동작을 실행시키는 경우(즉, '뮤트-온 모드'), 뮤트신호(/MUTE)는 논리 '로우(L)'로 천이한다. 음성 신호 프로세서(131)는 뮤트신호(/MUTE)에 응답하여 제어신호(SEL)를 논리 '로우(L)'로 천이시킬 시점을 제어하기 위한 뮤트 제어신호 (CMUTE)를 AND게이트(820)로 출력한다.
즉, 음성 신호 프로세서(131)는 펄스폭 변조된 신호(APWM)의 펄스(901)의 온 구간(Ton1)을 이미 알고 있으므로, 뮤트-온 모드에서 발생하는 펄스(903)의 온 구간(Ton1f)을 제어하기 위한 뮤트 제어신호(CMUTE)를 발생할 수 있다.
AND게이트(810)는 논리 로우(L)상태를 갖는 뮤트 제어신호(CMUTE) 및 논리 하이(H)상태를 갖는 프리 제어신호(PSEL)에 응답하여 논리 로우(L)상태를 갖는 제어신호(SEL)를 출력한다. 음성 PWM 모드에서 제어신호(SEL)는 뮤트 제어신호(CMUTE)와 동일하게 상태를 천이한다.
제1선택회로(140) 및 제2선택회로(140)는 논리 로우(L)상태를 갖는 제어신호 (SEL)에 의하여 스위칭된다. 제1선택회로(140) 및 제2선택회로(150)의 스위칭 시점은 펄스(903)의 온 구간(Ton1f)이 펄스(901)의 온 구간(Ton1)보다 소정의 시간만큼 작게되는 시점이다. 음성 신호 프로세서(131)는 뮤트-온 모드에서도 계속하여 출력신호(APWM)를 발생한다.
제1선택회로(140) 및 제2선택회로(150)의 스위칭 시점은 펄스(903)의 온 구간(Ton1f)이 펄스(901)의 온 구간(Ton1)의 절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펄스 (903)에 응답하여 도 5내지 도 7에 도시된 음성신호 재생장치(300)에서 발생되는팝 노이즈는 펄스(901)에 응답하여 음성신호 재생장치(300)에서 발생되는 팝 노이즈보다 상당히 감소한다.
또한, 뮤트-온 모드를 해제하는 경우(즉, 뮤트-오프 모드로 되돌아가는 경우), 뮤트신호(/MUTE)는 논리 '하이(H)'로 천이한다.
음성 신호 프로세서(131)는 뮤트신호(/MUTE)에 응답하여 제어신호(SEL)를 논리 '하이(H)'로 천이시킬 시점을 제어하기 위한 뮤트 제어신호(CMUTE)를 AND게이트 (820)로 출력한다.
즉, 음성 신호 프로세서(131)는 뮤트-오프시의 출력신호인 펄스 폭 변조된 신호(APWM)의 펄스(909)의 온 구간(Ton3)을 이미 알고 있으므로 뮤트-오프 시 발생하는 펄스(905)의 온 구간(Ton3f)을 제어하기 위한 뮤트 제어신호(CMUTE)를 발생할 수 있다.
AND게이트(820)는 논리 하이(H)상태를 갖는 뮤트 제어신호(CMUTE) 및 논리 하이(H)상태를 갖는 프리 제어신호(PSEL)에 응답하여 논리 하이(H)상태를 갖는 제어신호(SEL)를 출력한다.
제1선택회로(140) 및 제2선택회로(150)는 논리 하이(H)상태를 갖는 제어신호 (SEL)에 의하여 스위칭된다. 제1선택회로(140) 및 제2선택회로(150)의 스위칭 시점은 펄스(905)의 온 구간(Ton3f)이 펄스(909)의 온 구간(Ton3)보다 소정의 시간만큼 작게되는 시점이다.
제1선택회로(140) 및 제2선택회로(150)의 스위칭 시점은 펄스(905)의 온 구간(Ton3f)이 펄스(909)의 온 구간(Ton3)의 절반이 되는 시점인 것이 바람직하다.따라서 펄스(905)에 응답하여 도 5내지 도 7에 도시된 음성신호 재생장치(300)에서 발생되는 팝 노이즈는 펄스(909)에 응답하여 음성신호 재생장치(300)에서 발생되는 팝 노이즈보다 상당히 감소한다.
뮤트-모드(뮤트-온 및 뮤트-오프를 모두 포함)에서, 음성 신호 프로세서 (131)는 뮤트 제어신호(CMUTE)를 출력한다. 즉, 도 9를 참조하면, 뮤트 제어신호 (CMUTE)는 뮤트-온 모드에서 n번째 펄스(903)의 폭(Ton1f)이 (n-1)번째 펄스(901)의 폭(Ton1)의 절반이 되도록 선택회로(140, 150)의 스위칭 시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뮤트 제어신호(CMUTE)는 뮤트-오프 모드에서 n번째 펄스(905)의 폭(Ton3f)이 (n-1)번째 펄스(909)의 폭(Ton3)의 절반이 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어신호(SEL)는 뮤트-온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하는 신호 또는 뮤트-오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하는 신호로서 사용된다.
도 10은 종래의 신호 발생장치의 출력신호에 따른 음성신호 재생장치의 스피커 전압의 과도응답 특성을 나타낸다. 이 경우 신호 발생장치는 파워-온, 파워-오프. 뮤트-온 및 뮤트 -오프 모드에 무관하게 모두 동일한 펄스 폭을 갖는 진폭 변조된 신호를 출력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발생장치의 출력신호에 따른 음성신호 재생장치의 스피커 전압의 과도응답 특성을 나타낸다.
도 11에 도시된 필터 커패시터(C)의 양단의 전압(Vc1)의 과도응답의 크기는 도 10에 도시된 필터 커패시터(C)의 양단의 전압(Vc1)의 과도응답의 크기에 비하여상당히 작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음성 신호 재생장치(300)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발생장치(200, 810)의 출력신호(PWMA, PWMB)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과도응답의 크기는 음성 신호 재생장치(300)가 모두 동일한 펄스 폭을 갖는 진폭 변조된 신호들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과도응답의 크기에 비하여 상당히 작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발생장치(200, 810)의 출력신호(PWMA, PWMB)에 응답하여 음성 신호 재생장치(300)에서 발생되는 팝 노이즈는 상당히 감소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발생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면, 파워(PW)가 온 되는 경우(1201), 전원감지회로(110)는 파워-온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로서 제1감지신호(DET1)를 출력한다(1203).
펄스신호 발생회로(120)는 제1감지신호(DET1)에 응답하여 도 2에 도시된 각 펄스열(PUL1, PUL2)을 발생한다(1205). 즉 파워-온 후 펄스신호 발생회로(110)로부터 최초로 발생되는 펄스(201)의 폭(Tonf)은 두 번째 이후에 발생되는 각 펄스(202, 203, 204, 205)의 폭(Ton)의 절반이다.
전원감지회로(110)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제어신호(SEL)의 상태를 논리 로우(L)에서 논리 하이(H)로 변화시킨다. 즉 상기 소정의 시간은 음성 신호 프로세서(130, 131)의 출력신호인 펄스 폭 변조된 신호(APWM)가 안정화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다.
펄스 폭 변조된 신호(APWM)가 안정화된 경우(1207), 제1선택회로(140) 및 제2선택신호(150)는 논리 하이(H)를 갖는 제어신호(SEL)에 응답하여 음성 PWM 모드를 수행한다.
파워가 오프되는 경우, 전원감지회로(110)는 파워-오프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로서 제2검출신호(DET2)를 음성 신호 프로세서(140)로 출력한다(1219).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검출신호(DET2)는 펄스(403)의 폭(Ton2f)이 펄스(402)의 폭(Ton2)의 절반이 되는 시점에서 그 상태를 바꾼다. 따라서 음성 PWM 모드는 정지하고(1221), 파워는 오프된다(1223).
또한, 음성 신호 프로세서(131)는 뮤트신호(/MUTE)의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따라 뮤트-온 모드의 진입여부를 판단한다(1211). 뮤트-온 모드로 진입하지 않는 경우 신호 발생장치(810)는 음성 PWM 모드를 수행한다.
신호 발생장치(1000)가 뮤트-온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음성 신호 프로세서(131)는 뮤트 제어신호(CMUTE)를 AND 게이트(820)로 출력한다. 제1선택회로(140) 및 제2선택회로(150)는 펄스(903)의 폭(Ton1f)이 펄스(901)의 폭(Ton1)의 절반이 되는 시점에서 제어신호(SEL)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1213).
신호 발생장치(810)가 뮤트-온 모드로부터 해제되는 경우(즉, 뮤트-오프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1215), 음성 신호 프로세서(131)는 뮤트 제어신호(CMUTE)를 AND 게이트(820)로 출력한다.
제1선택회로(140) 및 제2선택회로(150)는 펄스(905)의 폭(Ton3f)이 펄스(909)의 폭(Ton3)의 절반이 되는 시점에서 제어신호(SEL)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므로, 팝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펄스(905)가 발생된다(1217).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신호 발생장치 및 스위칭 신호 발생 방법은 파워-온시, 파워-오프시 및 뮤트-온, 또는 뮤트-오프 음성신호 재생장치(300)의 스위칭에 의하여 발생되는 과도응답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과도응답에 의하여 발생되는 팝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9)

  1. 펄스신호 발생회로에 있어서,
    상기 펄스신호 발생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펄스 열(pulse rows)을 발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펄스 열 중에서 최초로 발생되는 펄스의 폭은 n(n은 2보다 큰 자연수)번째 발생되는 펄스의 폭보다 작고,
    상기 n번째 발생되는 펄스의 폭과 (n+1)번째 발생되는 펄스의 폭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신호 발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로 발생되는 펄스의 폭은 상기 n(n은 2보다 큰 자연수)번째 발생되는 펄스의 폭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신호 발생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펄스 열중에서 각 펄스의 주기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신호 발생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발생된 펄스의 폭은 상기 각 펄스의 주기의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발생회로.
  5. 신호 발생장치에 있어서,
    파워-온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감지회로; 및
    상기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펄스 열을 발생하는 펄스신호 발생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펄스 열 중에서 최초로 발생되는 펄스의 폭은 n(n은 2보다 큰 자연수)번째 발생되는 펄스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펄스 열 중에서 상기 n번째 발생되는 펄스의 폭과 (n+1)번째 발생되는 펄스의 폭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발생되는 펄스의 폭은 상기 n(n은 2보다 큰 자연수)번째 발생되는 펄스의 폭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열 중에서 각 펄스의 주기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발생된 펄스의 폭은 상기 각 펄스의 주기의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장치.
  10. 신호 발생장치에 있어서,
    파워-온을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전원감지회로;
    상기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펄스 열을 발생하는 펄스신호 발생회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펄스 폭 변조하고, 펄스 폭 변조된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제어신호들 중의 어느 하나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펄스신호 발생회로의 출력신호 또는 상기 음성 신호 프로세서의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선택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펄스 열 중에서 최초로 발생되는 펄스의 폭은 n(n은 2보다 큰 자연수)번째 발생되는 펄스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펄스 열 중에서 상기 n번째 발생되는 펄스의 폭과 (n+1)번째 발생되는 펄스의 폭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발생되는 펄스의 폭은 상기 n(n은 2보다 큰 자연수)번째 발생되는 펄스의 폭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열 중에서 각 펄스의 주기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발생된 펄스의 폭은 상기 각 펄스의 주기의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장치는,
    상기 선택회로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데드 타임을 갖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데드 타임 제어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펄스 열이 제1펄스 열 및 제2펄스 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선택회로는,
    상기 제어신호들중의 상기 어느 하나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펄스 열 또는 상기 음성 신호 프로세서의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선택회로; 및
    상기 제어신호들중의 상기 어느 하나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펄스 열 또는 상기 음성 신호 프로세서의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2선택회로를 구비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장치는,
    상기 제1선택 회로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2선택회로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의 데드 타임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스위칭 신호들을 출력하는 데드 타임 제어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장치.
  19. 신호 발생장치에 있어서,
    시작 모드; 및
    음성 PWM 모드를 구비하며,
    상기 신호 발생 장치는 상기 시작 모드에서 다수개의 펄스 열들을 발생하며, 상기 다수개의 펄스 열들 중에서 최초로 발생되는 펄스를 제외한 각 펄스의 폭은 서로 동일하며,
    상기 신호 발생 장치는 상기 음성 PWM 모드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펄스 폭 변조하고, 펄스 폭 변조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로 발생되는 펄스의 폭은 상기 각 펄스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로 발생되는 펄스의 폭은 상기 각 펄스의 폭의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장치.
  22. 신호 발생장치에 있어서,
    파워-오프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감지회로; 및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펄스 폭 변조하고 펄스 폭 변조된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신호 프로세서를 구비하며,
    상기 음성 신호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펄스 폭 변조된 신호 중에서 (n-1)번째 신호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n번째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n번째 신호의 폭은 상기 (n-1)번째 신호의 폭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회로.
  24. 신호 발생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펄스 폭 변조하고, 펄스 폭 변조된 신호를 출력하고, 뮤트-모드에서 뮤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신호 프로세서;
    상기 뮤트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게이트; 및
    상기 펄스 폭 변조된 신호 중에서 n번째 신호의 폭이 (n-1)번째 신호의 폭의 절반이 되는 시점에서 상태를 천이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선택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회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뮤트 모드는 뮤트-온 모드 및 뮤트-오프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회로.
  26. 신호 발생방법에 있어서,
    파워-온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른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펄스 열을 발생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펄스 열 중에서 최초로 발생되는 펄스를 제외한 나머지 각 펄스의 폭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열 중에서 최초로 발생되는 펄스의 폭은 상기 나머지 각 펄스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열 중에서 최초로 발생되는 펄스의 폭은 상기 나머지 각 펄스의 폭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방법.
  29. 신호 발생 방법에 있어서,
    펄스 열을 발생하는 단계;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펄스 열 중에서 (n-1)번째 펄스의 폭보다 작은 펄스 폭을 갖는 n번째 펄스를 발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열 중에서 상기 n번째 펄스의 폭은 상기 (n-1)번째 펄스의 폭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파워-오프를 감지한 신호, 뮤트-온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하는 신호 또는 뮤트-오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방법.
  32. 음성 재생장치에 있어서,
    파워-온을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전원감지회로;
    상기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펄스 열을 발생하는 펄스신호 발생회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펄스 폭 변조하고, 펄스 폭 변조된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신호 프로세서;
    상기 제어신호들 중의 어느 하나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펄스 발생회로의 출력신호 또는 상기 음성 신호 프로세서의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선택회로; 및
    상기 선택회로의 출력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신호 재생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재생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펄스 열 중에서 최초로 발생되는 펄스의 폭은 n(n은 2보다 큰 자연수)번째 발생되는 펄스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재생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발생되는 펄스의 폭은 상기 n(n은 2보다 큰 자연수)번째 발생되는 펄스의 폭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재생장치.
  35. 음성 재생장치에 있어서,
    파워-온을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전원감지회로;
    상기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펄스 열을 발생하는 펄스신호 발생회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펄스 폭 변조하고, 펄스 폭 변조된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신호 프로세서;
    상기 제어신호들 중의 어느 하나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펄스 발생회로의 출력신호 또는 상기 음성 신호 프로세서의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선택회로;
    상기 선택회로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의 데드 타임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신호들을 출력하는 데드 타임 제어회로; 및
    상기 데드 타임 제어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신호들을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신호 재생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재생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펄스 열 중에서 최초로 발생되는 펄스의 폭은 n(n은 2보다 큰 자연수)번째 발생되는 펄스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재생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상기 첫 번째 발생되는 펄스의 폭은 상기 n(n은 2보다 큰 자연수)번째 발생되는 펄스의 폭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재생 장치.
  38. 신호 재생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펄스 폭 변조하고, 펄스 폭 변조된 신호를 출력하고, 뮤트-모드에서 뮤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신호 프로세서;
    상기 뮤트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게이트;
    상기 펄스 폭 변조된 신호 중에서 n번째 신호의 폭이 (n-1)번째 신호의 폭의 절반이 되는 시점에서 상태를 천이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선택회로; 및
    상기 선택회로의 출력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신호 재생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재생장치.
  39. 신호 재생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펄스 폭 변조하고, 펄스 폭 변조된 신호를 출력하고, 뮤트-모드에서 뮤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신호 프로세서;
    상기 뮤트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게이트;
    상기 펄스 폭 변조된 신호 중에서 n번째 신호의 폭이 (n-1)번째 신호의 폭의 절반이 되는 시점에서 상태를 천이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선택회로;
    상기 선택회로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의 데드 타임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신호들을 출력하는 데드 타임 제어회로; 및
    상기 데드 타임 제어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신호들을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신호 재생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재생장치.
KR1020030028174A 2003-05-02 2003-05-02 신호 발생장치 및 신호 발생방법 KR100604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174A KR100604815B1 (ko) 2003-05-02 2003-05-02 신호 발생장치 및 신호 발생방법
US10/672,839 US6987418B2 (en) 2003-05-02 2003-09-26 Sound signal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p noise
JP2004134449A JP2004336765A (ja) 2003-05-02 2004-04-28 ポップノイズ減少のための音声信号発生装置及び音声信号発生方法
DE200410022354 DE102004022354B4 (de) 2003-05-02 2004-04-29 Schaltung zur Erzeugung pulsweitenmodulierter Signale
NL1026088A NL1026088C2 (nl) 2003-05-02 2004-04-29 Geluidssignaalopwek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reduceren van pop-ruis.
CN 200410076635 CN1607721A (zh) 2003-05-02 2004-04-30 用于减少爆裂噪声的声音信号发生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174A KR100604815B1 (ko) 2003-05-02 2003-05-02 신호 발생장치 및 신호 발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180A true KR20040094180A (ko) 2004-11-09
KR100604815B1 KR100604815B1 (ko) 2006-07-26

Family

ID=33308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174A KR100604815B1 (ko) 2003-05-02 2003-05-02 신호 발생장치 및 신호 발생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87418B2 (ko)
KR (1) KR1006048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408B1 (ko) * 2005-05-17 2006-08-31 (주)펄서스 테크놀러지 디지털 앰프용 펄스 폭 변조기, 디지털 앰프의 팝 노이즈감소 방법 및 디지털 앰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92891C (zh) * 2003-04-07 2009-05-27 Nxp股份有限公司 数字放大器
US20070279101A1 (en) * 2004-04-21 2007-12-06 Takeshi Onodera Signal Output Circuit, Audio Signal Output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TW200640127A (en) * 2005-05-03 2006-11-16 Elite Semiconductor Esmt Audio amplify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pop noise
TW200726293A (en) * 2005-12-29 2007-07-01 Tatung Co Muting circuit capable of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powering off and electronic apparatus incorporating the muting circuit
GB2440188B (en) * 2006-07-14 2011-06-08 Wolfson Ltd Amplifier Circuits, Methods of Starting and Stopping Amplifier Circuits
KR100770744B1 (ko) * 2006-08-23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팝업 노이즈 방지 방법 및 팝업 노이즈 방지 회로를포함하는 디지털 앰프
US7872522B2 (en) * 2006-11-15 2011-01-18 Analog Devices, Inc. Noise re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audio switching amplifier
KR100851993B1 (ko) * 2007-02-09 2008-08-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오버드라이빙 신호 공급 장치
JP5230139B2 (ja) * 2007-08-07 2013-07-10 セミコンダクター・コンポーネンツ・インダストリ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音声信号処理装置
US8249274B2 (en) 2008-05-19 2012-08-21 Himax Technologies Limited Audio amplifier with timing circuit to power down bias control and amplifying circuits in sequence
JP5026488B2 (ja) * 2008-10-28 2012-09-12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Pwm信号生成回路、d級増幅器及びその駆動方法
TWI392224B (zh) * 2009-04-16 2013-04-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音頻處理晶片及其音頻訊號處理方法
US8818005B2 (en) 2011-05-17 2014-08-26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Capacitor controlled switch system
CN110545082B (zh) * 2018-05-28 2023-06-16 晶豪科技股份有限公司 音频放大器的调制选择电路
JP7114192B2 (ja) * 2019-01-22 2022-08-0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1606A (ja) 1991-03-11 1992-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パルス幅変調増幅器
KR0119798B1 (ko) * 1994-12-30 1997-10-30 김광호 팝 노이즈 제거회로
KR100242336B1 (ko) * 1996-10-31 2000-02-01 윤종용 펄스폭변조신호를이용한음성크기조절회로
JP3799813B2 (ja) 1998-04-10 2006-07-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低音増強回路
US6118336A (en) * 1998-10-30 2000-09-12 Intersil Corporation Start-up circuit for self oscillating class D modulator
US6636113B1 (en) * 1999-05-19 2003-10-21 Larry Kirn Load compensation technique for reactive impedance transformation amplifier output stage
US6509793B2 (en) * 2000-05-19 2003-01-21 Larry Kim Switching amplifier resolution enhancement apparatus and methods
EP1184973B1 (en) 2000-08-29 2007-06-06 STMicroelectronics S.r.l. Power amplification equipment
US6744311B2 (en) * 2001-04-23 2004-06-01 Jam Technologies, Llc Switching amplifier with voltage-multiplying output stage
JP2003110441A (ja) 2001-09-26 2003-04-11 Toshiba Microelectronics Corp ポップ音低減回路及び音声出力増幅装置
US6809586B1 (en) * 2003-05-13 2004-10-26 Raytheon Company Digital switching power amplif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408B1 (ko) * 2005-05-17 2006-08-31 (주)펄서스 테크놀러지 디지털 앰프용 펄스 폭 변조기, 디지털 앰프의 팝 노이즈감소 방법 및 디지털 앰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17808A1 (en) 2004-11-04
US6987418B2 (en) 2006-01-17
KR100604815B1 (ko) 200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4815B1 (ko) 신호 발생장치 및 신호 발생방법
US7508873B2 (en) Digital amplifier, pulse width modulator thereof and method for reducing pop noise for the same
US7446603B2 (en) Differential input Class D amplifier
KR100839487B1 (ko) 팝업 노이즈 방지 회로,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앰프 및디지털 앰프의 팝업 노이즈 방지 방법
US8144880B2 (en) Audio amplifier capable of performing self-oscillation
US8433078B2 (en) High perceived audio quality class D amplifier
US72304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audible artifacts in an audio system
US20110254625A1 (en) Circuit and method for reducing noise in class d amplifiers
JP2007515897A (ja) ソフト・スタート/ストップ機能を有するゲート制御回路
KR20040096719A (ko) 이상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의 복귀 시에 발생되는 과도응답 현상을 방지하는 d급 파워 증폭기 및 그 방법
JP2004336765A (ja) ポップノイズ減少のための音声信号発生装置及び音声信号発生方法
US11108365B2 (en) Class-D amplifier and operating method
EP2458732B1 (en) Amplifier and amplifier control method
JP3130727B2 (ja) パワーアンプ
KR100770744B1 (ko) 팝업 노이즈 방지 방법 및 팝업 노이즈 방지 회로를포함하는 디지털 앰프
US11552602B2 (en) Class-D amplifier with high dynamic range
KR100502843B1 (ko) 싱글 엔드 디지털앰프에서의 팝노이즈 제거방법 및 그시스템
JP5022840B2 (ja) 増幅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音響機器
JPH07283662A (ja) 電力増幅回路
JP2004135016A (ja) オーディオ機器の出力ミュート回路
JP2009141697A (ja) D級アンプ
KR100714524B1 (ko) 호환형 음성 증폭장치 및 그 증폭장치를 갖는이동통신단말기
JP2000049542A (ja) 増幅回路
JP2005303372A (ja) デジタルアンプ
KR20000002541A (ko) 오디오 전원 증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