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3907A -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및 그모듈 - Google Patents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및 그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93907A KR20040093907A KR1020030027773A KR20030027773A KR20040093907A KR 20040093907 A KR20040093907 A KR 20040093907A KR 1020030027773 A KR1020030027773 A KR 1020030027773A KR 20030027773 A KR20030027773 A KR 20030027773A KR 20040093907 A KR20040093907 A KR 200400939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active region
- row
- test
- colum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0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7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7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886 process control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07—Geometrical layout of the components, e.g. computer aided design; custom LSI, semi-custom LSI, standard cell techniqu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3—Special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elements, address-lines or gate-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43—Photodiode arrays; MOS ima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드픽셀페일을 초래하는 M1C의 콘택저항 및 접합체인간 누설특성, 그리고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픽셀의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및 그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씨모스 이미지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은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행방향으로 M개가 배치되고 열방향으로 N개가 배치된 활성영역, 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세 모서리에 연결되되, 상기 픽셀의 플로팅확산노드 콘택, 전원전압단 콘택 및 출력단 콘택에 각각 대응하는 제1콘택, 제2콘택 및 제3콘택, 행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활성영역간 상기 제3콘택과 상기 제2콘택을 서로 연결하여 제1콘택체인을 형성하는 제1금속배선, 행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활성영역간 모든 상기 제1콘택을 서로 연결하여 수직 전류 경로를 제공하는 제2콘택체인을 형성하는 제2금속배선, 및 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상부에 배치된 일체형 테스트 게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픽셀의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이 내장된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씨모스 이미지 센서(CMOS image sensor)는 CMOS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광학적 이미지를 전기적신호로 변환시키는 소자로서, 빛에 반응하여 생성된 전자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신호처리 과정을 거쳐 화상정보를 재현한다.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각종 카메라, 의료장비, 감시용 카메라, 위치확인 및 감지를 위한 각종 산업 장비, 장난감 등 화상신호를 재현하는 모든 분야에 이용 가능하며, 저전압 구동과 단일 칩화가 가능하여 점점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4TR 구조의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4개의 트랜지스터와 2개의 캐패시턴스 구조로 이루어지고, 광감지수단인 포토다이오드(PD)와 4개의 NMOSFET로 구성된다. 4개의 NMOSFET 중 트랜스퍼트랜지스터(Tx)는 포토다이오드(PD)에서 생성된 광전하를 플로팅확산노드(FD)로 운송하는 역할을 하고, 리셋트랜지스터(Rx)는 신호검출을 위해 플로팅확산노드(FD)에 저장되어 있는 전하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고, 드라이브트랜지스터(Dx)는 소스팔로워(Source Follower)로서 역할하며, 셀렉트트랜지스터(Sx)는 스위칭(Switching) 및 어드레싱(Addressing)을 위한 것이다. 도면에서 'Cf'는 플로팅확산노드가 갖는 캐패시턴스를, 'Cp'는 포토다이오드가 갖는 캐패시턴스를 각각 나타낸다. 설명되지 않은 나머지 트랜지스터(LD)는 바이어스 전압(Bias Voltage; Vb)에 의해 구동되는 로드 트랜지스터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씨모스 이미지센서의 픽셀(pixel)을 보이는 레이아웃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퍼트랜지스터(Tx)의 게이트가 그 일측이 포토다이오드(PD)가 형성될 활성영역에 소정폭 오버랩되면서 형성되고, 트랜스퍼트랜지스터(Tx)의 게이트 타측 아래 활성영역에는 플로팅확산노드(FD)가 형성된다. 여기서, 포토다이오드(PD)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고 포토다이오드(PD)로부터 플로팅확산노드(FD)로는 병목 효과(bottle neck effect)를 주면서 그 면적이 좁아진다.
그리고, 플로팅확산노드(FD)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리셋트랜지스터(Rx), 드라이브트랜지스터(Dx), 셀렉트트랜지스터(Sx)가 형성될 활성영역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소정 간격을 두고 활성영역의 상부를 가로지르면서 배열되고 있다.
위와 같은 픽셀은 5개의 콘택(M1CT)을 갖는데, 트랜스퍼트랜지스터(Tx)의 게이트에 제어신호 Tx를 인가하기 위한 'Tx CT', 플로팅확산노드(FD)와 드라이브트랜지스터(Dx)의 게이트를 연결하기 위한 'FD CT'과 'Dx CT',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VDD CT', 픽셀출력단을 위한 'output CT'이 있다.
통상적으로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양산단계에서 수율 저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은 배드픽셀페일(bad pixel fail)이다. 배드픽섹페일은 다크(dard), 화이트(white) 등의 문제를 갖는 픽셀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이웃한 픽셀간 M1C의 누설전류에 의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배드픽셀페일은 5개의 콘택을 갖는 픽셀이 20만개∼100만개 수준으로 어레이(array)될 때 수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픽셀단위의 콘택저항 등의 파라미터(parameter)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콘택저항 평가용 테스트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체인(chain) 형태의 테스트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1)에 형성된 각 활성영역(12)은 소자분리막(13)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각 활성영역(12)의 양측 M1C부(14)에는 각각 금속배선 M1(15)이 연결된다. 이때, 인접하는 두개의 활성영역(12)이 하나의 금속배선 M1(15)으로 연결된다. 즉, 하나의 소자분리막(13) 양측에 형성된 활성영역(12)이 하나의 금속배선 M1(1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체인 형태로 이루어진 테스트 패턴을 이용하여 M1C부(15)의 콘택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테스트 패턴의 양측 종단부에 각각 형성된 패드(P1 및 P2)를 통해 일정 전압을 인가하여 금속배선 M1(15), M1C부(14) 및 활성영역(12)을 통해 전류가흐르도록 한 후 전류의 량과 전압을 측정한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M1C부(15)의 콘택저항을 산출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테스트패턴은 실제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구조와 상관없는 레이아웃을 갖기 때문에 별도의 지역에 형성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게이트단자가 없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과 맞물린 픽셀의 체인특성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M1C부만을 체인 형태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M1C 체인과 M1에 연결되는 비아(Via) 체인을 동시에 평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로써 테스트패턴 모듈을 각각 M1C 콘택저항 측정용, 비아 콘택저항 측정용으로 따로 구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에서 전원전압콘택(VDD CT), 플로팅확산노드콘택(FD CT) 및 출력단콘택(output CT)과 같은 활성영역과 연결되는 활성영역콘택들은 배드픽셀페일을 발생시키는 주요한 원인을 제공하므로 이들의 콘택저항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수율을 개선시키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배드픽셀페일을 초래하는 M1C의 콘택저항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픽셀의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및 그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씨모스 이미지센서의 픽셀을 보이는 레이아웃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의 콘택저항 평가용 테스트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셀의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이 내장된 씨모스 이미지 센서를 도시한 레이아웃도,,
도 3b는 도 3a의 테스트패턴을 간략히 도식화한 도면,
도 4는 도 3b의 테스트패턴의 M×N 모듈을 도시한 제1레이아웃도,
도 5는 도 3b의 테스트패턴의 M×N 모듈을 도시한 제1레이아웃도,
도 6은 도 3b의 테스트패턴의 M×N 모듈을 도시한 제1레이아웃도,
도 7은 도 3b의 테스트패턴의 M×N 모듈을 도시한 제1레이아웃도,
도 8은 도 3b의 테스트패턴의 M×N 모듈을 도시한 제1레이아웃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반도체 기판 32 : 활성영역
33 : 필드산화막 34a, 34b, 34c : M1C
35 : 제1금속배선 36 : 제2금속배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씨모스 이미지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은 플로팅확산노드, 전원전압단 및 출력단을 포함하는 픽셀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활성영역, 상기 활성영역의 세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콘택, 상기 콘택을 통해 상기 활성영역과 연결되는 제1금속배선, 상기 제1금속배선 상에 형성된 비아, 상기 비아를 통해 상기 제1금속배선과 연결되는 제2금속배선, 및 상기 픽셀의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활성영역 상부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테스트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씨모스 이미지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은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행방향으로 M개가 배치되고 열방향으로 N개가 배치된 활성영역, 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세 모서리에 연결되되, 상기 픽셀의 플로팅확산노드 콘택, 전원전압단 콘택 및 출력단 콘택에 각각 대응하는 제1콘택, 제2콘택 및 제3콘택, 행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활성영역간 상기 제3콘택과 상기 제2콘택을 서로 연결하여 제1콘택체인을 형성하는 제1금속배선, 행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활성영역간 모든 상기 제1콘택을 서로 연결하여 수직 전류 경로를 제공하는 제2콘택체인을 형성하는 제2금속배선, 및 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상부에 배치된 일체형 테스트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씨모스 이미지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은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행방향으로 M개가 배치되고 열방향으로 N개가 배치된 활성영역, 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세 모서리에 연결되되, 상기 픽셀의 플로팅확산노드 콘택, 전원전압단 콘택 및 출력단 콘택에 각각 대응하는 제1콘택, 제2콘택 및 제3콘택, 행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활성영역간 상기 제1콘택과 상기 제2콘택을 서로 연결하여 수평 전류 경로를 제공하는 제1콘택체인을 형성하는 제1금속배선, 행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활성영역간 모든 상기 제3콘택을 서로 연결하여 제2콘택체인을 형성하는 제2금속배선, 및 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상부에 배치된 일체형 테스트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씨모스 이미지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은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행방향으로 M개가 배치되고 열방향으로 N개가 배치된 활성영역, 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세 모서리에 연결되되, 상기 픽셀의 플로팅확산노드 콘택, 전원전압단 콘택 및 출력단 콘택에 각각 대응하는 제1콘택, 제2콘택 및 제3콘택,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활성영역 모두의 상기 제1콘택, 제2콘택 및 상기 제3콘택을 서로 연결시키는 하나의 금속배선, 및 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상부에 배치된 일체형 테스트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씨모스 이미지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은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행방향으로 M개가 배치되고 열방향으로 N개가 배치된 활성영역, 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세 모서리에 연결되되, 상기 픽셀의 플로팅확산노드 콘택, 전원전압단 콘택 및 출력단 콘택에 각각 대응하는 제1콘택, 제2콘택 및 제3콘택, 행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활성영역간 상기 제3콘택과 상기 제2콘택을 서로 연결하여 수직 전류 경로를 제공하는 하나의금속배선, 및 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상부에 배치된 일체형 테스트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씨모스 이미지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은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행방향으로 M개가 배치되고 열방향으로 N개가 배치된 활성영역, 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세 모서리에 연결되되, 상기 픽셀의 플로팅확산노드 콘택, 전원전압단 콘택 및 출력단 콘택에 각각 대응하는 제1콘택, 제2콘택 및 제3콘택, 열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활성영역간 상기 제1콘택과 상기 제2콘택을 서로 연결하여 수평 전류 경로를 제공하는 하나의 금속배선, 및 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상부에 배치된 일체형 테스트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셀의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이 내장된 씨모스 이미지 센서를 도시한 레이아웃도이다. 도 3a에서 좌측은 테스트패턴(200)을 도시하고, 우측은 픽셀(100)을 도시하고 있으며, 픽셀(100)과 테스트패턴(200)은 동시에 형성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패턴(200)의 활성영역은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100)이 형성되는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데, 즉 필드산화막(20)에 의해 정의되는 활성영역이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태인 제1활성영역(21a), 제1활성영역(21a)의 상단 중심부로부터 면적이 좁아지는 병목효과를 주면서 제1방향으로 뻗은 제2활성영역(21b), 제2활성영역(21b)으로부터 제2방향으로 뻗은 제3활성영역(21c), 제3활성영역(21c)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뻗어 제1활성영역(21a)의 일측면과 필드산화막(20)에 의해 분리되는 제4활성영역(21d)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활성영역은 일체형으로서, 제1활성영역(21a)은 픽셀(100)의 포토다이오드(PD)가 형성되는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고, 제2활성영역(21b)은 픽셀(100)의 플로팅확산노드(FD)가 형성되는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며, 제3활성영역(21c)은 픽셀(100)의 리셋트랜지스터(Rx)가 형성되는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고, 제4활성영역(21c)은 픽셀(100)의 드라이브트랜지스터(Dx) 및 셀렉트트랜지스터(Sx)가 형성되는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다.
그리고, 테스트패턴(200)의 각 활성영역 상부에는 테스트_게이트(22)가 오버랩되는데, 이 테스트_게이트(22)는 픽셀(100)의 트랜스퍼트랜지스터(Tx)의 게이트, 리셋트랜지스터(Rx)의 게이트, 드라이브트랜지스터(Dx)의 게이트 및 셀렉트트랜지스터(Sx)의 게이트 형성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픽셀(100)의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서로 연결되지 않는 독립된 형태이나, 테스트_게이트(22)는 서로 연결되는 일체형이다.
그리고, 픽셀(100)은 FD CT, VDD CT, output CT와 같은 3개의 활성영역 콘택과 Tx CT와 Dx CT와 같은 2개의 폴리실리콘 콘택으로 이루어지는 총 5개의 M1C을 가지나, 테스트패턴(200)은 FD CT과 동일한 형태의 제1콘택(23a), VDD CT와 동일한 형태의 제2콘택(23b) 그리고 output CT와 동일한 형태의 제3콘택(23c)의 총 3개의M1C을 갖는다. 즉, 폴리실리콘콘택이 없는 활성영역콘택만을 갖는다.
그리고, 테스트패턴(200)은 제1 내지 제3콘택(23a∼23c) 상에 제1금속배선(M1)이 형성되고, 제1금속배선(M1) 상에 각각 비아(24a, 24b, 24c)를 통해 제1금속배선(M1)과 연결되는 제2금속배선(M2)이 형성된다.
도 3b는 도 3a의 테스트패턴을 간략히 도식화한 도면으로서, 테스트패턴(200)은 픽셀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반도체 기판(201)의 필드산화막(203)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활성영역(202), 활성영역(202)의 세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3개의 M1C(204a, 204b, 204c), 그리고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된 테스트_게이트(205)로 간략히 도시할 수 있다. 그리고, M1C(204a, 204b, 204c)의 제2M1C(204b)에 제1테스트패드(P1)가 연결되고, 제1M1C(204a)에 제2테스트패드(P2)가 연결되며, 테스트_게이트(205)에 제3테스트패드(P3)가 연결되고, 반도체 기판(201)에 제4테스트패드(P4)가 연결된다. 한편, 제2테스트패드는 제3M1C(204c)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테스트패턴은 4포인트 프로브(4-point probe)용 테스트패턴이고, 테스트_게이트, M1C 및 비아가 동시에 공존하므로 복합효과의 모니터링이 가능함과 동시에 M1C, 비아 및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의 단독 효과에 대한 모니터링도 가능하다.
도 4는 도 3b의 테스트패턴의 M×N 모듈을 도시한 제1레이아웃도로서, M×N 테스트패턴 모듈은 행(Row) 방향으로 M개의 테스트패턴이 배치되고 열(column) 방향으로 N개의 테스트패턴이 배치된 총 M×N개의 테스트패턴이 콘택체인을 통해 서로 연결된 구조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테스트패턴은 픽셀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반도체 기판(31)의 필드산화막(33)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활성영역(32), 각 활성영역(32)의 세 모서리에 형성된 M1C(34a, 34b, 34c), 인접한 테스트패턴의 M1C(34a, 34b, 34c)간 체인 연결을 위한 제1금속배선(35) 및 제2금속배선(36), 그리고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_게이트(도시 생략)로 구성된다. 여기서, 금속배선(35) 및 금속배선(36)을 통해 인접하는 두개의 활성영역(32)이 연결되며, 이는 소자분리막(33)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활성영역(32)이 제1금속배선(35) 및 제2금속배선(36)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테스트패드는 총 4개로 구성되는데, 첫 번째 행(R1)와 첫 번째 행(C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과 연결된 제1테스트패드(P1), 첫 번째 행(R1)과 마지막 열(CN)에 배치된 테스트패턴과 연결된 제2테스트패드(P2)를 포함한다. 여기서, 테스트_게이트와 연결된 제3테스트패드(P3) 및 반도체 기판(31)과 연결된 제4테스트패드(P4)는 도 3b을 참조한다. 한편, 콘택저항 및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 전류는 제1테스트패드(P1)와 연결되는 첫 번째 행(R1)와 첫 번째 열(C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 T1,1을 시작부로 하여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첫 번째 행(R1)와 마지막 열(CN)에 배치된 테스트패턴 T1,N을 종점부로 하는 경로를 통해 흐른다.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4의 테스트패턴의 각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각 테스트패턴에서 각 활성영역(32)의 세 모서리에 형성된 M1C(34a, 34b, 34c)는 픽셀의 FD CT과 동일한 제1M1C(34a), 픽셀의 VDD CT와 동일한 제2M1C(34b), 픽셀의 output CT와 동일한 제3M1C(34c)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2 및 제3M1C(34a, 34b, 34c)은 모두 활성영역콘택이다.
다음으로, 각 테스트패턴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제1테스트패드(P1)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1과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N, 그리고 첫 번째 행(R1) 및 마지막 행(RM)에 배치된 테스트패턴을 제외한 나머지 테스트패턴들은 동일한 형태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갖는다.
먼저 제1테스트패드(P1)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1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살펴보면, 테스트패턴 T1,1은 테스트패턴 T2,1및 테스트패턴 T1,2와 인접하고 있다. 테스트패턴 T11의 제2M1C(34b)는 제1금속배선(35)과 동일한 물질인 제1테스트패드(P1)를 활성영역(32)과 연결시키고, 테스트패턴 T11의 제3M1C(34c)는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테스트패턴 T2,1의 제2M1C(34b)와 서로 연결되며, 테스트패턴 T11의 제1M1C(34a)는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테스트패턴 T1,2의 제2M1C(34b)과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테스트패턴 T2,1의 제1M1C(34a)와 제2금속배선(36)을 통해 연결된다.
다음으로,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N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살펴보면, 테스트패턴 T1,N은 테스트패턴 T2,N및 테스트패턴 T1,N-1와 인접하고 있다. 테스트패턴 T1,N의 제1M1C(34a)는 제1금속배선(35)과 동일한 물질인 제2테스트패드(P2)를 활성영역(32)과 연결시킴과 동시에 테스트패턴 T2,N의 제1M1C(34a)와 제2금속배선(36)을 통해 연결되고, 테스트패턴 T1,N의 제2M1C(34b)는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테스트패턴 T1,N-1의 제1M1C(34a)와 서로 연결되며, 테스트패턴 T1,N의 제3M1C(34c)는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테스트패턴 T2,N의 제2M1C(34b)과 서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제1테스트패드(P1)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1과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N을 제외한 첫 번째 행(R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들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테스트패턴 T1,1과 테스트패턴 T1,N을 제외하는 경우, 첫 번째 행(R1)에는 테스트패턴 T1,2,,,T1,N-1이 배치되는데, 각 테스트패턴의 제1M1C(34a)는 열방향으로 이웃한 테스트패턴의 제2M1C(34b)와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행방향으로 이웃하는 테스트패턴의 제1M1C(34a)와 제2금속배선(36)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각 테스트패턴의 제2M1C(34b)는 열방향으로 이웃한 테스트패턴의제1M1C(34a)와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각 테스트패턴의 제3M1C(34c)는 행방향으로 이웃한 테스트패턴의 제2M1C(34b)와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마지막 행(RM)에 배치된 테스트패턴들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마지막 행(RM)에는 테스트패턴 TM,1, TM,2,,,TM,N-1, TM,N이 배치되는데, 각 테스트패턴의 제1M1C(34a)는 자신의 제3M1C(34c)와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이웃하는 RM-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들의 제1M1C(34a)와 제2금속배선(36)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각 테스트패턴의 제2M1C(34b)는 RM-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들의 제3M1C(34c)와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위와 같이, 마지막 행(RM)에는 테스트패턴들의 제3M1C(34c)와 제1M1C(34a)을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연결시키는 이유는, 이웃한 테스트패턴의 제3M1C(34c)로부터 자신의 제2M1C(34b)을 통해 흐르는 테스트전류가 자신의 제3M1C(34c)와 제1M1C(34a)를 통해 다시 이웃한 테스트패턴의 제1M1C(34a)로 흐르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각 테스트패턴에 형성된 세 개의 M1C의 콘택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1테스트패드(P1)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1,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N, 첫 번째 행(R1) 및 마지막 행(RM)에배치된 테스트패턴들 (TM,1, TM,2,,,TM,N-1, TM,N)을 제외한 나머지 테스트패턴들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에 나타나듯이, 나머지 테스트패턴들은 동일한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두 번째 행(R2)과 첫 번째 열(C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 T2,1을 살펴보면, 테스트패턴 T2,1의 제1M1C(34a)는 첫 번째 행(R1)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테스트패턴 T1,1의 제1M1C(34a)와 제2금속배선(36)을 통해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세 번째 행(R3)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테스트패턴 T3,1의 제1M1C(34a)와 제2금속배선(36)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테스트패턴 T2,1의 제2M1C(34b)는 첫 번째 행(R1)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테스트패턴 T1,1의 제2M1C(34b)와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테스트패턴 T2,1의 제3M1C(34c)는 세 번째 행(R3)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테스트패턴 T3,1의 제2M1C(34b)와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한편, 제2금속배선(36)은 비아(Via)를 통해 제1금속배선(35)과 연결된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제1레이아웃도에서는 수직 방향의 테스트전류 경로가 형성되고, 콘택저항 및 누설전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테스트_게이트를 반드시 턴온시켜야 한다.
결국, 도 4에 도시된 레이아웃의 콘택저항값의 비교를 통해 M1C와 비아의 콘택저항의 이상유무를 각각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때, 콘택체인이 이웃한 테스트패턴간 수직으로 연결되므로 픽셀의 'VDD CT'와 'output CT'간의 활성영역 콘택 저항의 이상유무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5는 도 3b의 테스트패턴의 M×N 모듈을 도시한 제2레이아웃도로서, M×N 테스트패턴 모듈은 행(Row) 방향으로 M개의 테스트패턴이 배치되고 열(column) 방향으로 N개의 테스트패턴이 배치된 총 M×N개의 테스트패턴이 콘택체인을 통해 서로 연결된 구조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테스트패턴은 픽셀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반도체 기판(31)의 필드산화막(33)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활성영역(32), 각 활성영역(32)의 세 모서리에 형성된 M1C(34a, 34b, 34c), 인접한 테스트패턴의 M1C(34a, 34b, 34c)간 체인 연결을 위한 제1금속배선(35) 및 제2금속배선(36), 그리고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_게이트(도시 생략)로 구성된다. 여기서, 금속배선(35) 및 금속배선(36)을 통해 인접하는 두개의 활성영역(32)이 연결되며, 이는 소자분리막(33)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활성영역(32)이 제1금속배선(35) 및 제2금속배선(36)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테스트패드는 총 4개로 구성되는데, 첫 번째 행(R1)와 첫 번째 행(C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과 연결된 제1테스트패드(P1), 마지막 행(RM)과 첫 번째 열(C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과 연결된 제2테스트패드(P2)를 포함한다. 여기서, 테스트_게이트와 연결된 제3테스트패드(P3) 및 반도체 기판(31)과 연결된 제4테스트패드(P4)는 도 3b을 참조한다. 한편, 콘택저항 및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 전류는 제1테스트패드(P1)와 연결되는 첫 번째 행(R1)와 첫 번째 열(C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 T1,1을 시작부로 하여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마지막 행(RM)와 첫 번째 열(C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 TM,1을 종점부로 하는 경로를 통해 흐른다.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5의 테스트패턴모듈의 각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각 테스트패턴에서 각 활성영역(32)의 세 모서리에 형성된 M1C(34a, 34b, 34c)는 픽셀의 FD CT과 동일한 제1M1C(34a), 픽셀의 VDD CT와 동일한 제2M1C(34b), 픽셀의 output CT와 동일한 제3M1C(34c)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2 및 제3M1C(34a, 34b, 34c)은 모두 활성영역콘택이다.
다음으로, 각 테스트패턴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제1테스트패드(P1)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1과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M,1, 그리고 첫 번째 열(C1) 및 마지막 열(CN)에 배치된 테스트패턴을 제외한 나머지 테스트패턴들은 동일한 형태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갖는다.
먼저 제1테스트패드(P1)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1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살펴보면, 테스트패턴 T1,1은 테스트패턴 T2,1및 테스트패턴 T1,2와 인접하고 있다. 테스트패턴 T11의 제2M1C(34b)는 제1금속배선(35)과 동일한 물질인제1테스트패드(P1)를 활성영역(32)과 연결시키고, 테스트패턴 T11의 제3M1C(34c)는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테스트패턴 T2,1의 제2M1C(34b)와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테스트패턴 T1,2의 제3M1C(34a)와 제2금속배선(36)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테스트패턴 T11의 제1M1C(34a)는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테스트패턴 T1,2의 제2M1C(34b)과 서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M,1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살펴보면, 테스트패턴 TM,1은 테스트패턴 TM-1,1및 테스트패턴 TM,2와 인접하고 있다. 테스트패턴 TM,1의 제3M1C(34c)는 제1금속배선(35)과 동일한 물질인 제2테스트패드(P2)를 활성영역(32)과 연결시킴과 동시에 테스트패턴 TM,2의 제3M1C(34c)와 제2금속배선(36)을 통해 연결되고, 테스트패턴 TM,1의 제2M1C(34b)는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테스트패턴 TM-1,1의 제3M1C(34c)와 서로 연결되며, 테스트패턴 TM,1의 제1M1C(34a)는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테스트패턴 TM,2의 제2M1C(34b)과 서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제1테스트패드(P1)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1과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M,1을 제외한 첫 번째 열(C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들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테스트패턴 T1,1과 테스트패턴 TM,1을 제외하는 경우, 첫 번째 열(R1)에는 테스트패턴 T2,1,,,TM-1,1이 배치되는데, 각 테스트패턴의 제1M1C(34a)는 열방향으로 이웃한 테스트패턴의 제2M1C(34b)와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각 테스트패턴의 제2M1C(34b)는 행방향으로 이웃한 테스트패턴의 제3M1C(34a)와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각 테스트패턴의 제3M1C(34c)는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행방향으로 이웃한 테스트패턴의 제2M1C(34a)와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열방향으로 이웃한 테스트패턴의 제3M1C(34c)와 제2금속배선(36)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마지막 열(CN)에 배치된 테스트패턴들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마지막 열(CN)에는 테스트패턴 T1,N, T2,N,,,TM,N이 배치되는데, 각 테스트패턴의 제1M1C(34a)는 자신의 제3M1C(34c)와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제3M1C(34c)는 자신의 제1M1C(34a)와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연결됨과 동시에 이웃하는 CN-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들의 제3M1C(34a)와 제2금속배선(36)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각 테스트패턴의 제2M1C(34b)는 CN-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들의 제1M1C(34c)와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위와 같이, 마지막 열(CN)에는 테스트패턴들의 제3M1C(34c)와 제1M1C(34a)을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연결시키는 이유는, 이웃한 테스트패턴의 제1M1C(34c)로부터 자신의 제2M1C(34b)을 통해 흐르는 테스트전류가 자신의 제3M1C(34c)와 제1M1C(34a)를 통해 다시 이웃한 테스트패턴의 제3M1C(34c)로 흐르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각 테스트패턴에 형성된 세 개의 M1C의 콘택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1테스트패드(P1)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1,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N, 첫 번째 열(C1) 및 마지막 열(CN)에 배치된 테스트패턴들을 제외한 나머지 테스트패턴들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에 나타나듯이, 나머지 테스트패턴들은 동일한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세 번째 열(C3)과 첫 번째 행(R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 T1,3을 살펴보면, 테스트패턴 T1,3의 제1M1C(34a)는 네 번째 열(C4)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테스트패턴 T4,1의 제2M1C(34b)와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테스트패턴 T1,3의 제2M1C(34b)는 두 번째 열(C2)에 배치된 테스트패턴 T1,2의 제1M1C(34a)와 제1금속배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테스트패턴 T1,3의 제3M1C(34c)는 네 번째 열(C4)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테스트패턴 T4,1의 제3M1C(34c)와 제2금속배선을 통해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두 번째 열(C2)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테스트패턴 T1,2의 제3M1C(34c)와 제2금속배선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위와 같이, 제1테스트패드(P1)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1,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M,1, 첫 번째 열(C1) 및 마지막 열(CN)에 배치된 테스트패턴들을 제외한 나머지 테스트패턴들은 열방향으로만 서로 연결될뿐 행방향으로는 연결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제2레이아웃도에서는 수평 방향의 테스트전류 경로가 형성되고, 콘택저항 및 누설전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테스트_게이트를 반드시 턴온시켜야 한다.
결국, 도 5에 도시된 레이아웃의 콘택저항값의 비교를 통해 M1C와 비아의 콘택저항의 이상유무를 각각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때, 콘택체인이 이웃한 테스트패턴간 수평으로 연결되므로 픽셀의 'VDD CT'와 'FD CT'간의 활성영역 콘택 저항의 이상유무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6은 도 3b의 테스트패턴의 M×N 모듈을 나타낸 제3레이아웃도로서, M×N 테스트패턴 모듈은 행(Row) 방향으로 M개의 테스트패턴이 배치되고 열(column) 방향으로 N개의 테스트패턴이 배치된 총 M×N개의 테스트패턴이 콘택체인을 통해 서로 연결된 구조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테스트패턴은 픽셀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반도체 기판(31)의 필드산화막(33)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활성영역(32), 각 활성영역(32)의 세 모서리에 형성된 M1C(34a, 34b, 34c), 인접한 테스트패턴의 M1C(34a, 34b, 34c)간 체인 연결을 위한 제1금속배선(35), 그리고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_게이트(도시 생략)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금속배선(35)은 세 개의 M1C(34a, 34b, 34c)을 제외한 나머지 활성영역을 오픈시키는 개구부(35a)를 갖고, 결국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인접하는 모든활성영역(32)이 서로 연결되는데, 이로써 모든 활성영역의 M1C(34a, 34b, 34c)가 하나의 제1금속배선(35)만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결국, 도 6의 테스트패턴 모듈은 비아 및 제2금속배선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테스트패드는 총 4개로 구성되는데, 첫 번째 행(R1)와 첫 번째 행(C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과 연결된 제1테스트패드(P1), 마지막 행(RM)과 마지막열(CN)에 배치된 테스트패턴과 연결된 제2테스트패드(P2)를 포함한다. 여기서, 테스트_게이트와 연결된 제3테스트패드(P3) 및 반도체 기판(31)과 연결된 제4테스트패드(P4)는 도 3b을 참조한다. 한편, 콘택저항 및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 전류는 제1테스트패드(P1)와 연결되는 첫 번째 행(R1)와 첫 번째 열(C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 T1,1을 시작부로 하여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마지막 행(RM)와 마지막 열(CN)에 배치된 테스트패턴 TM,N을 종점부로 하는 경로를 통해 흐른다.
도 6에서 제1테스트패드(P1)와 제2테스트패드(P2)는 제1금속배선(35)으로부터 인출된 부분으로서 별도의 공정을 통해 형성하는 제1금속배선이 아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테스트패턴의 제1M1C(34a), 제2M1C(34b) 및 제3M1C(34c)가 모두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이웃하는 테스트패턴의 M1C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도 6의 테스트패턴 모듈은 도 4의 테스트패턴 모듈과 유사하게 수직전류 경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도 5의 테스트패턴 모듈과 유사하게 수평 전류 경로를 제공한다.
결국, 도 6에 도시된 레이아웃의 콘택저항값의 비교를 통해 M1C의 콘택저항의 이상유무를 각각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때, 콘택체인이 이웃한 테스트패턴간 수평 및 수직으로 연결되므로 픽셀의 'VDD CT'와 'FD CT'간의 활성영역 콘택 저항및 'VDD CT'와 'output CT'간의 활성영역 콘택저항의 이상유무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의 테스트패턴 모듈에 비해 보다 열악한 조건에서의 픽셀의 활성영역 체인간 누설전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7은 도 3b의 테스트패턴의 M×N 모듈을 나타낸 제4레이아웃도로서, M×N 테스트패턴 모듈은 행(Row) 방향으로 M개의 테스트패턴이 배치되고 열(column) 방향으로 N개의 테스트패턴이 배치된 총 M×N개의 테스트패턴이 콘택체인을 통해 서로 연결된 구조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테스트패턴은 픽셀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반도체 기판(31)의 필드산화막(33)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활성영역(32), 각 활성영역(32)의 세 모서리에 형성된 M1C(34a, 34b, 34c), 인접한 테스트패턴의 M1C(34b, 34c)간 체인 연결을 위한 제1금속배선(35), 그리고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_게이트(도시 생략)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인접하는 두개의 활성영역(32)이 연결되며, 이는 소자분리막(33)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활성영역(32)이 제1금속배선(35)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테스트패드는 총 4개로 구성되는데, 첫 번째 행(R1)와 첫 번째 열(C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과 연결된 제1테스트패드(P1), 첫 번째 행(R1)과 마지막 열(CN)에 배치된 테스트패턴과 연결된 제2테스트패드(P2)를 포함한다. 여기서, 테스트_게이트와 연결된 제3테스트패드(P3) 및 반도체 기판(31)과 연결된 제4테스트패드(P4)는 도 3b을 참조한다. 한편, 콘택저항 및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 전류는 제1테스트패드(P1)와 연결되는 첫 번째 행(R1)와 첫 번째 열(C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 T1,1을 시작부로 하여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첫 번째 행(R1)와 마지막 열(CN)에 배치된 테스트패턴 T1,N을 종점부로 하는 수직 전류 경로를 통해 흐른다.
도 7의 테스트패턴의 각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각 테스트패턴에서 각 활성영역(32)의 세 모서리에 형성된 M1C(34a, 34b, 34c)는 픽셀의 FD CT과 동일한 제1M1C(34a), 픽셀의 VDD CT와 동일한 제2M1C(34b), 픽셀의 output CT와 동일한 제3M1C(34c)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2 및 제3M1C(34a, 34b, 34c)은 모두 활성영역콘택이다.
다음으로, 각 테스트패턴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제1테스트패드(P1)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1과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N, 그리고 첫 번째 행(R1) 및 마지막 행(RM)에 배치된 테스트패턴을 제외한 나머지 테스트패턴들은 동일한 형태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갖는다.
먼저 제1테스트패드(P1)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1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살펴보면, 테스트패턴 T1,1은 테스트패턴 T2,1및 테스트패턴 T1,2와 인접하고 있다. 테스트패턴 T11의 제2M1C(34b)는 제1금속배선(35)과 동일한 물질인 제1테스트패드(P1)를 활성영역(32)과 연결시키고, 테스트패턴 T11의 제3M1C(34c)는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테스트패턴 T2,1의 제2M1C(34b)와 서로 연결되며, 테스트패턴 T11의 제1M1C(34a)는 제1금속배선(35)과 연결되어 있지 않다.
다음으로,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N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살펴보면, 테스트패턴 T1,N은 테스트패턴 T2,N및 테스트패턴 T1,N-1와 인접하고 있다. 테스트패턴 T1,N의 제1M1C(34a)와 제2M1C(34b)는 제1금속배선(35)과 동일한 물질인 제2테스트패드(P2)를 통해 활성영역(32)과 연결되며, 테스트패턴 T1,N의 제3M1C(34b)는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테스트패턴 T2,N의 제2M1C(34b)와 서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제1테스트패드(P1)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1과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N을 제외한 첫 번째 행(R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들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테스트패턴 T1,1과 테스트패턴 T1,N을 제외하는 경우, 첫 번째 행(R1)에는 테스트패턴 T1,2,,,T1,N-1이 배치되는데, 각 테스트패턴의 제1M1C(34a)는 제1금속배선과 연결되어 있지 않고, 각 테스트패턴의 제2M1C(34b)는 열방향으로 이웃한 테스트패턴의 제2M1C(34b)와 두 열마다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각 테스트패턴의 제3M1C(34c)는 행방향으로 이웃하는 테스트패턴의 제2M1C(34b)와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있다.
다음으로, 마지막 행(RM)에 배치된 테스트패턴들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마지막 행(RM)에는 테스트패턴 TM,1, TM,2,,,TM,N-1, TM,N이 배치되는데, 각 테스트패턴의 제1M1C(34a)는 제1금속배선(35)과 연결되어 있지 않고, 각 테스트패턴의제2M1C(34a)는 행방향으로 이웃하는 테스트패턴의 제3M1C와 두 열마다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각 테스트패턴의 제3M1C(34c)는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열방향으로 이웃하는 테스트패턴의 제3M1C(34c)와 서로 연결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1테스트패드(P1)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1,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N, 첫 번째 행(R1) 및 마지막 행(RM)에 배치된 테스트패턴들을 제외한 나머지 테스트패턴들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에 나타나듯이, 나머지 테스트패턴들은 동일한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두 번째 행(R2)과 첫 번째 열(C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 T2,1을 살펴보면, 테스트패턴 T2,1의 제1M1C(34a)는 어느 테스트패턴에도 연결되어 있지 않고, 테스트패턴 T2,1의 제2M1C(34b)는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행방향으로 이웃하는 테스트패턴 T1,1의 제3M1C(34c)와 서로 연결되고, 테스트패턴 T2,1의 제3M1C(34c)는 행방으로 이웃하는 테스트패턴 T3,1의 제2M1C(34b)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제4레이아웃도에서는 각 테스트패턴의 제1M1C(34a)가 어디에도 연결되지 않은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제2M1C(34b)와 제3M1C(34c)가 행방향으로 이웃하는 테스트패턴의 M1C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고, 콘택체인을 제1금속배선(35)만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이로써, 도 4의 테스트패턴 모듈과 유사하게 수직 방향의 테스트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한편, 콘택저항 및 누설전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테스트_게이트를 반드시 턴온시켜야 한다.
결국, 도 7에 도시된 레이아웃의 콘택저항값의 비교를 통해 M1C의 콘택저항의 이상유무를 독립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때, 콘택체인이 이웃한 테스트패턴간 수직으로 연결되므로 픽셀의 'VDD CT'와 'output CT'간의 활성영역 콘택저항의 이상유무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8은 도 3b의 테스트패턴의 M×N 모듈을 나타낸 제5레이아웃도로서, M×N 테스트패턴 모듈은 행(Row) 방향으로 M개의 테스트패턴이 배치되고 열(column) 방향으로 N개의 테스트패턴이 배치된 총 M×N개의 테스트패턴이 콘택체인을 통해 서로 연결된 구조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테스트패턴은 픽셀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반도체 기판(31)의 필드산화막(33)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활성영역(32), 각 활성영역(32)의 세 모서리에 형성된 M1C(34a, 34b, 34c), 인접한 테스트패턴의 M1C(34a, 34b)간 체인 연결을 위한 제1금속배선(35), 그리고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_게이트(도시 생략)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인접하는 두개의 활성영역(32)이 연결되며, 이는 소자분리막(33)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활성영역(32)이 제1금속배선(35)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테스트패드는 총 4개로 구성되는데, 첫 번째 행(R1)와 첫 번째 열(C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과 연결된 제1테스트패드(P1), 마지막 행(RM)과 첫 번째 열(C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과 연결된 제2테스트패드(P2)를 포함한다. 여기서, 테스트_게이트와 연결된 제3테스트패드(P3) 및 반도체 기판(31)과 연결된 제4테스트패드(P4)는 도 3b을 참조한다. 한편, 콘택저항 및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 전류는 제1테스트패드(P1)와 연결되는 첫 번째 행(R1)와 첫 번째 열(C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 T1,1을 시작부로 하여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마지막 행(RM)와 첫 번째 열(C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 TM,1을 종점부로 하는 수직 전류경로를 통해 흐른다.
도 8의 테스트패턴의 각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각 테스트패턴에서 각 활성영역(32)의 세 모서리에 형성된 M1C(34a, 34b, 34c)는 픽셀의 FD CT과 동일한 제1M1C(34a), 픽셀의 VDD CT와 동일한 제2M1C(34b), 픽셀의 output CT와 동일한 제3M1C(34c)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2 및 제3M1C(34a, 34b, 34c)은 모두 활성영역콘택이다.
다음으로, 각 테스트패턴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제1테스트패드(P1)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1과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M,1, 그리고 첫 번째 열(C1) 및 마지막 열(CN)에 배치된 테스트패턴을 제외한 나머지 테스트패턴들은 동일한 형태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갖는다.
먼저 제1테스트패드(P1)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1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살펴보면, 테스트패턴 T1,1은 테스트패턴 T2,1및 테스트패턴 T1,2와 인접하고 있다. 테스트패턴 T1,1의 제2M1C(34b)는 제1금속배선(35)과 동일한 물질인 제1테스트패드(P1)를 활성영역(32)과 연결시키고, 테스트패턴 T1,1의 제3M1C(34c)는 어느 테스트패턴에도 연결되지 않고, 테스트패턴 T1,1의 제1M1C(34a)는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열방향으로 이웃하는 테스트패턴 T1,2의 제2M1C(34b)과 서로 연결된다. 위와 같이 테스트패턴 T1,1은 열방향으로는 이웃한 테스트패턴과 연결되어콘택체인을 형성하나, 행방향으로는 이웃한 테스트패턴과 연결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M,1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살펴보면, 테스트패턴 TM,1은 테스트패턴 TM-1,1및 테스트패턴 TM,2와 인접하고 있다. 테스트패턴 TM,1의 제2M1C(34b)와 제3M1C(34c)는 제1금속배선(35)과 동일한 물질인 제2테스트패드(P2)를 통해 활성영역(32)과 연결되며, 테스트패턴 TM,1의 제1M1C(34b)는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테스트패턴 TM,2의 제2M1C(34b)와 서로 연결된다. 위와 같이 테스트패턴 TM,1은 열방향으로는 이웃한 테스트패턴과 연결되어 콘택체인을 형성하나, 행방향으로는 이웃한 테스트패턴과 연결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1테스트패드(P1)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1과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M,1을 제외한 첫 번째 열(C1)에 배치된 테스트패턴들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테스트패턴 T1,1과 테스트패턴 TM,1을 제외하는 경우, 첫 번째 열(C1)에는 테스트패턴 T1,2,,,TM-1,1이 배치되는데, 각 테스트패턴의 제3M1C(34a)는 어느 테스트패턴과도 연결되지 않고, 각 테스트패턴의 제2M1C(34b)는 행방향으로 이웃한 테스트패턴의 제2M1C(34b)와 두 행마다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각 테스트패턴의 제1M1C(34c)는 열방향으로 이웃하는 테스트패턴의 제2M1C(34b)와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있다.
다음으로, 마지막 열(CN)에 배치된 테스트패턴들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마지막 열(CN)에는 테스트패턴 T1,N, T2,N,,,TM,N이 배치되는데, 각 테스트패턴의 제1M1C(34a)는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행방향으로 이웃하는 테스트패턴의 제1M1C(34a)와 두 행마다 서로 연결되고, 각 테스트패턴의 제2M1C(34b)는 열방향으로 이웃하는 테스트패턴의 제1M1C(34a)와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각 테스트패턴의 제3M1C(34c)는 어느 테스트패턴에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마지막으로, 제1테스트패드(P1)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1,1, 제2테스트패드(P2)에 연결된 테스트패턴 TM,1, 첫 번째 열(C1) 및 마지막 열(CN)에 배치된 테스트패턴들을 제외한 나머지 테스트패턴들의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에 나타나듯이, 나머지 테스트패턴들은 동일한 콘택체인 연결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두 번째 행(R2)과 두 번째 열(C2)에 배치된 테스트패턴 T2,2을 살펴보면, 테스트패턴 T2,2의 제1M1C(34a)는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열방향으로 이웃하는 테스트패턴 T2,3의 제2M1C(34b)와 서로 연결되고, 테스트패턴 T2,2의 제2M1C(34b)는 제1금속배선(35)을 통해 열방향으로 이웃하는 테스트패턴 T2,1의 제1M1C(34b)와 서로 연결되며, 테스트패턴 T2,2의 제3M1C(34a)는 어느 테스트패턴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제5레이아웃도에서는 각 테스트패턴의 제3M1C(34a)가 어디에도 연결되지 않은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제1M1C(34a)와 제2M1C(34b)가 열방향으로 이웃하는 테스트패턴의 M1C와 연결된 구조를 갖고, 콘택체인은 제1금속배선(35)만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이로써, 도 5의 테스트패턴 모듈과 유사하게 수평 방향의 테스트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한편, 콘택저항 및 누설전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테스트_게이트를 반드시 턴온시켜야 한다.
결국, 도 8에 도시된 레이아웃의 콘택저항값의 비교를 통해 M1C의 콘택저항의 이상유무를 각각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때, 콘택체인이 이웃한 테스트패턴간 수평으로 연결되므로 픽셀의 'VDD CT'와 'FD CT'간의 활성영역 콘택 저항의 이상유무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실제 픽셀에서의 M1C의 콘택저항 및 비아의 콘택저항 모니터링이 가능해지므로 공정 제어를 보다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M1C의 콘택저항 및 누설전류, 비아의 콘택저항, 보다 열악한 조건에서의 체인 누설전류, 픽셀내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 픽셀내 활성영역의 콘택저항 영향이 포함된 저항을 독립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드픽셀페일로 인한 수율저하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 플로팅확산노드, 전원전압단 및 출력단을 포함하는 픽셀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활성영역;상기 활성영역의 세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콘택;상기 콘택을 통해 상기 활성영역과 연결되는 제1금속배선;상기 제1금속배선 상에 형성된 비아;상기 비아를 통해 상기 제1금속배선과 연결되는 제2금속배선; 및상기 픽셀의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특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활성영역 상부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테스트 게이트를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콘택은,상기 픽셀의 플로팅확산노드 콘택, 전원전압단 콘택 및 출력단 콘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테스트 게이트는,상기 픽셀을 형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의 각 게이트를 서로 연결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행방향으로 M개가 배치되고 열방향으로 N개가 배치된 활성영역;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세 모서리에 연결되되, 상기 픽셀의 플로팅확산노드 콘택, 전원전압단 콘택 및 출력단 콘택에 각각 대응하는 제1콘택, 제2콘택 및 제3콘택;행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활성영역간 상기 제3콘택과 상기 제2콘택을 서로 연결하여 제1콘택체인을 형성하는 제1금속배선;행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활성영역간 모든 상기 제1콘택을 서로 연결하여 수직 전류 경로를 제공하는 제2콘택체인을 형성하는 제2금속배선; 및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상부에 배치된 일체형 테스트 게이트을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제1콘택체인과 상기 제2콘택체인은 상기 활성영역 각각에 공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활성영역중에서 M 번째 행 활성영역의 상기 제1콘택은 상기 제1금속배선을 통해 상기 M-1번째 행 활성영역의 상기 제3콘택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M 번째 행 활성영역의 상기 제2콘택은 상기 제1금속배선을 통해 자신의 상기 제3콘택과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2금속배선을 통해 상기 M-1 번째 행 활성영역의 상기 제1콘택과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활성영역중에서 첫 번째 행과 첫 번째 열의 제1활성영역, 첫번째 행과 마지막 열의 제2활성영역 및 M 번째 행의 상기 활성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활성영역의 상기 제1콘택은 상기 제1금속배선을 통해 열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활성영역의 제2콘택과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2금속배선을 통해 행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활성영역의 제1콘택과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1활성영역의 상기 제1콘택은 이웃하는 상기 첫 번째 행과 두 번째 열의 상기 활성영역에 연결된 상기 제2콘택과 상기 제1금속배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활성영역의 상기 제2콘택은 상기 제1금속배선으로 된 제1테스트패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1활성영역의 상기 제3콘택은 두 번째 행과 상기 첫번째 열에 배치된 활성영역의 상기 제3콘택과 상기 제1금속배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2활성영역의 상기 제1콘택은 상기 제2금속배선을 통해 제2행과 마지막 열에 배치된 활성영역의 상기 제1콘택과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1금속배선으로 된 제2테스트패드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활성영역의 상기 제2콘택은 상기 제1금속배선을 통해 제1행과 N-1열에 배치된 활성영역의 상기 제1콘택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활성영역의 상기 제3콘택은 상기 제1금속배선을 통해 제2행과 마지막 열에 배치된 활성영역의 상기 제2콘택과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
-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행방향으로 M개가 배치되고 열방향으로 N개가 배치된 활성영역;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세 모서리에 연결되되, 상기 픽셀의 플로팅확산노드 콘택, 전원전압단 콘택 및 출력단 콘택에 각각 대응하는 제1콘택, 제2콘택 및 제3콘택;행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활성영역간 상기 제1콘택과 상기 제2콘택을 서로 연결하여 수평 전류 경로를 제공하는 제1콘택체인을 형성하는 제1금속배선;행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활성영역간 모든 상기 제3콘택을 서로 연결하여 제2콘택체인을 형성하는 제2금속배선; 및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상부에 배치된 일체형 테스트 게이트을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제1콘택체인과 상기 제2콘택체인은 상기 활성영역 각각에 공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활성영역중에서 N 번째 열의 활성영역에 연결된 상기 제1콘택은 상기제1금속배선을 통해 자신의 상기 제3콘택과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N-1 번째 열의 활성영역에 연결된 상기 제3콘택과 상기 제2금속배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N 번째 열의 활성영역에 연결된 상기 제2콘택은 상기 제1금속배선을 통해 상기 N-1 번째 열의 활성영역에 연결된 상기 제1콘택과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활성영역중에서 첫 번째 행과 첫 번째 열의 활성영역 및 마지막 행과 첫 번째 열의 활성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첫 번째 열의 활성영역에 연결된 상기 제1콘택은 열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활성영역의 제2콘택과 상기 제1금속배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나머지 상기 첫 번째 열의 활성영역에 연결된 상기 제3콘택은 열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활성영역의 제3콘택과 상기 제2금속배선을 통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첫 번째 행과 첫 번째 열에 배치된 활성영역의 상기 제1콘택은 첫 번째 행과 두 번째 열에 배치된 활성영역의 제2콘택과 상기 제1금속배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첫 번째 행과 첫 번째 열에 배치된 활성영역의 상기 제2콘택은 상기 제1금속배선으로 된 제1테스트패드와 연결되고, 상기 첫 번째 행과 첫 번째 열에 배치된 활성영역의 상기 제3콘택은 두 번째 행과 첫 번째 열에 배치된 활성영역의 제2콘택과 상기 제1금속배선을 통해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첫 번째 행과 두 번째 열에 배치된 활성영역의 제3콘택과 상기 제2금속배선을 통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마지막 행과 상기 첫 번째 열에 배치된 활성영역의 상기 제1콘택은 상기 마지막 행과 N-1번째 열에 배치된 활성영역의 제2콘택과 상기 제1금속배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마지막 행과 상기 첫 번째 열에 배치된 활성영역의 상기 제2콘택은 상기 제1금속배선을 통해 M-1 번째 행과 상기 첫 번째 열에 배치된 활성영역의 상기 제3콘택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마지막 행과 상기 첫 번째 열에 배치된 활성영역의 상기 제3콘택은 상기 마지막 행과 상기 N-1번째 열에 배치된 활성영역의 제3콘택과 상기 제2금속배선을 통해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1금속배선으로 된 제2테스트패드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
-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행방향으로 M개가 배치되고 열방향으로 N개가 배치된 활성영역;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세 모서리에 연결되되, 상기 픽셀의 플로팅확산노드 콘택, 전원전압단 콘택 및 출력단 콘택에 각각 대응하는 제1콘택, 제2콘택 및 제3콘택;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활성영역 모두의 상기 제1콘택, 제2콘택 및 상기 제3콘택을 서로 연결시키는 하나의 금속배선; 및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상부에 배치된 일체형 테스트 게이트을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활성영역 중에서 첫 번째 행과 첫 번째 열에 배치된 활성영역에 상기 금속배선으로 된 제1테스트패드가 인출되고, 마지막 행과 마지막 열에 배치된 활성영역에 상기 금속배선으로 된 제2테스트패드가 인출되어 수직 전류 경로 및 수평 전류 경로를 모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
-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행방향으로 M개가 배치되고 열방향으로 N개가 배치된 활성영역;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세 모서리에 연결되되, 상기 픽셀의 플로팅확산노드 콘택, 전원전압단 콘택 및 출력단 콘택에 각각 대응하는 제1콘택, 제2콘택 및 제3콘택;행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활성영역간 상기 제3콘택과 상기 제2콘택을 서로 연결하여 수직 전류 경로를 제공하는 하나의 금속배선; 및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상부에 배치된 일체형 테스트 게이트을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활성영역중에서 마지막 행에 배치되면서 열방향으로 이웃하는 활성영역간 상기 제3콘택은 두 개 열마다 상기 금속배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활성영역중에서 첫 번째 행에 배치되면서 열방향으로 이웃하는 활성영역간 상기 제2콘택은 두 개 열마다 상기 금속배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
-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행방향으로 M개가 배치되고 열방향으로 N개가 배치된 활성영역;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세 모서리에 연결되되, 상기 픽셀의 플로팅확산노드 콘택, 전원전압단 콘택 및 출력단 콘택에 각각 대응하는 제1콘택, 제2콘택 및 제3콘택;열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활성영역간 상기 제1콘택과 상기 제2콘택을 서로 연결하여 수평 전류 경로를 제공하는 하나의 금속배선; 및상기 활성영역 각각의 상부에 배치된 일체형 테스트 게이트을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활성영역중에서 마지막 열에 배치되면서 행방향으로 이웃하는 활성영역간 상기 제1콘택은 두 개 행마다 상기 금속배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활성영역중에서 첫 번째 열에 배치되면서 행방향으로 이웃하는 활성영역간 상기 제2콘택은 두 개 행마다 상기 금속배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27773A KR100991954B1 (ko) | 2003-04-30 | 2003-04-30 |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 패턴 및 그 모듈 |
US10/745,749 US7368748B2 (en) | 2003-04-30 | 2003-12-23 | Test pixel and test pixel array for evaluating pixel quality in CMOS image sen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27773A KR100991954B1 (ko) | 2003-04-30 | 2003-04-30 |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 패턴 및 그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93907A true KR20040093907A (ko) | 2004-11-09 |
KR100991954B1 KR100991954B1 (ko) | 2010-11-04 |
Family
ID=33308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27773A KR100991954B1 (ko) | 2003-04-30 | 2003-04-30 |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 패턴 및 그 모듈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7368748B2 (ko) |
KR (1) | KR10099195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8946B1 (ko) * | 2007-08-09 | 2013-10-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테스트 장치, 스태틱 메모리 테스트 장치 및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52447B2 (ja) * | 2005-10-21 | 2011-08-17 | ソニー株式会社 |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
US20070210306A1 (en) * | 2006-03-08 | 2007-09-1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Test pattern for measuring contact short at first metal level |
US8240218B2 (en) * | 2010-03-01 | 2012-08-14 | Infineon Technologies Ag | Stress sensing devices and methods |
CN103367323B (zh) * | 2012-03-31 | 2015-12-16 |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 检测版图结构及检测方法 |
KR102072966B1 (ko) | 2012-11-30 | 2020-02-0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기판 및 표시기판의 패턴 치수의 측정방법 |
CN103761935B (zh) * | 2014-01-21 | 2016-01-06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显示面板 |
TWI655753B (zh) * | 2015-03-11 | 2019-04-01 | 日商新力股份有限公司 | Solid-state imag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semiconductor wafer, and electronic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2257A (ja) | 1996-07-15 | 1998-02-03 | Hitachi Ltd |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6118482A (en) | 1997-12-08 | 2000-09-12 | Inte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al test of CMOS pixel sensor arrays |
JP4472232B2 (ja) * | 2002-06-03 | 2010-06-02 |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2003
- 2003-04-30 KR KR1020030027773A patent/KR10099195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12-23 US US10/745,749 patent/US7368748B2/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8946B1 (ko) * | 2007-08-09 | 2013-10-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테스트 장치, 스태틱 메모리 테스트 장치 및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40218076A1 (en) | 2004-11-04 |
KR100991954B1 (ko) | 2010-11-04 |
US7368748B2 (en) | 2008-05-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77983B1 (ko) | 표시 장치 | |
KR102047005B1 (ko) | 유기 발광 표시 패널 | |
KR102054849B1 (ko) | 유기 발광 표시 패널 | |
US7038484B2 (en) | Display device | |
KR100731264B1 (ko) | 전사 기재 기판,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전사 박막 회로의 검사 방법, 및 전사 기재 기판의 제조 방법 | |
KR20200094873A (ko) | 표시 장치 | |
CN112234092B (zh) | 显示面板及显示装置 | |
KR100991954B1 (ko) |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픽셀 특성 평가용 테스트 패턴 및 그 모듈 | |
JP2687667B2 (ja) | マトリクス電極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US6569725B1 (en) | Thin film transistor arr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JP2007219046A (ja) | 液晶表示パネル | |
KR100674070B1 (ko) | 표시 장치용 검사 기판 | |
KR19990047650A (ko) | 두개 이상의 쇼팅 바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US11138931B2 (en) |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KR20220128718A (ko) | 크랙 검출 링 및 크랙 검출 구조를 가진 반도체 소자 | |
JP2007225953A (ja) | カラー液晶表示パネル | |
KR100913328B1 (ko) | 반도체 소자의 테스트 패턴 및 그의 형성 방법과 테스트방법 | |
CN109633731B (zh) | 一种探测器及其制作方法 | |
WO2006117955A1 (ja) |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US6133585A (en) | Semiconductor device | |
JP2008041982A (ja)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JPH04365347A (ja) | 半導体チップにおけるモニタ装置用素子構造 | |
JP2009111290A (ja) | 抵抗測定素子およびコンタクト抵抗の測定方法、並びに半導体素子チップおよびその評価方法 | |
KR100502100B1 (ko) | 쇼트불량검출을위한쇼팅바를갖는액정표시기판 | |
KR20040093939A (ko) | 픽셀의 특성 평가용 테스트패턴이 내장된 씨모스 이미지센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