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1646A - 페달 모듈 - Google Patents

페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1646A
KR20040091646A KR10-2004-7012881A KR20047012881A KR20040091646A KR 20040091646 A KR20040091646 A KR 20040091646A KR 20047012881 A KR20047012881 A KR 20047012881A KR 20040091646 A KR20040091646 A KR 20040091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stopper
vehicle
module
accelerator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이트찡어헬무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91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64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6Means, e.g. links, for connecting the pedal to the controlle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페달 모듈, 특히 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페달 모듈에 관한 것으로, 상기 페달 모듈은 차량에 고정된 피봇 베어링(12) 내에 고정된 페달(10) 및 복귀 스프링(14)을 포함하고, 상기 복귀 스프링은 페달의 공회전 위치에서 페달을 되돌리는 복귀력을 생성한다. 페달(10)은 비작동 기본 위치에서 고정된 대향 스토퍼(21)에 접촉하는 스토퍼를 갖는다. 페달(10)은 그 기본 위치로 진입시소음 댐핑 및 기본 위치의 장시간 위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해 영구 자석(22,23)의 스토퍼(20) 및 대향 스토퍼(21)는 서로 동일한 자극(S)을 향해 형성된다.

Description

페달 모듈{Pedal Subassembly}
공지된(DE 100 21 532 A1) 페달 모듈에서 피봇 베어링은 차량의 종방향에 대해 횡으로 향한 볼트 축선으로 차량 고정된 베어링 브래킷 내에 고정된 베어링 볼트로 구현된다. 가속 페달은 나사선 압축 스프링의 복귀력에 대항해서 작동되어야 하고 나사선 압축 스프링은 운전자의 발에 의해 릴리스된 가속 페달을, 그 스토퍼가 베어링 브래킷에 위치 설정된 대향 스토퍼에 접촉하는 공회전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가속 페달은 나사선 압축 스프링에 의해 베어링 브래킷에 지지된다. 가속 페달의 최대 선회 거리는 마찬가지로 베어링 브래킷에 형성된, 대향 스토퍼 반대편의 다른 대향 스토퍼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다른 대향 스토퍼에는 가속 페달의 다른 스토퍼가 지지될 수 있다. 나사선 압축 스프링은 각각 베어링 브래킷과 가속 페달에 가공된 홈에 수용되므로, 가속 페달 작동시 나사선 압축 스프링의 휨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용 페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가속 페달 모듈의 부분 절개된 개략적인 측면도.
청구항 제 1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 모듈은 두 개의 영구 자석이 비작동 기본 위치로 진입시 페달을 댐핑시킨다는 장점을 갖는다. 왜냐하면상기 두 개의 영구 자석은 페달이 그 기본 위치로 점차 접근함에 따라 그들 사이에계속해서 증가하는 접근 지지력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페달이 그 기본 위치로 진입할 때 페달의 그러한 댐핑은 신속한 릴리스시에 발생하는 스냅 소음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고무 또는 다른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버퍼로 형성된 종래의 댐핑 소자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영구 자석-댐핑은 장기간 공간적으로 변형하지 않는 기본 위치가 보장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에 비하여 고무 버퍼는, 특히 보다 장기간 사용시 내려앉는 경향이 있으므로, 장기간에 걸쳐 기본위치가 변하고, 이것은 예를 들어 가속 페달 모듈에서 공회전 위치의 변경 및 제어 장치 내의 오류 신호를 야기한다.
다른 청구항에 제시된 조치에 의해 청구항 제 1항에 제시된 페달 모듈의 바람직한 개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에 일반적인 페달 모듈에 대한 실시예로서 부분 절개된 측면도에 도시된 가속 페달 모듈은 운전자에 의한 구동엔진을 갖는 차량의 속도를 조절하는데 이용된다. 구동엔진은 예컨대 오토(Otto) 엔진으로, 상기 오토 엔진의 스로틀 밸브는 전기 조절 모터에 의해 조절된다. 이러한 경우에 가속 페달 모듈은 스로틀 밸브를조절하는 조절 모듈에 전송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용된다. 구동엔진은 디젤 엔진 또는 전동기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가속 페달 모듈로부터 전기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신호는 적절하게 변형되어 구동엔진의 출력을 제어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센서는 가속 페달의 선회 거리 내에서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를 감지하고, 가속 페달의 위치에 상응하는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한다. 가속 페달 모듈은 차량 운전자의 작동 영역에서 차량 고정되어 배치된다.
가속 페달 모듈은 차량측에 고정된 베어링 브래킷(11)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 내에 가속 페달(10)이 베어링 볼트에 의해 구현된 피봇 베어링(12)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고, 선회축 또는 볼트축(121)은 주행 방향에 대해 횡으로 배치된다. 가속 페달은 운전자의 발로 작동되고 이를 위해 그 자유 단부에 발 지지 플레이트(13)를 갖는다. 특수한 경우, 수동 작동을 위한 가속 페달(10)도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복귀 스프링(14)의 복귀력이 운전자의 발에서 릴리스된 가속 페달(10)을 도면에 도시된 공회전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가속 페달(10)이 실시예에서 나사선 압축 스프링(12)으로 형성된 복귀 스프링(14)에 의해 베어링 브래킷(11)에 지지된다. 복귀 스프링(14)은 단부측에 두 개의 서로 마주하는 홈(15,16) 내에 삽입되어, 홈(15,16)의 바닥에 지지된다. 상기 홈들 중 하나의 홈(15)은 베어링 브래킷(11)에, 다른 하나의 홈은(16)은 가속 페달(10)에 가공된다. 홈(15,16)들은 복귀 스프링(14)의 안내에 이용되고, 가속 페달 작동시 복귀 스프링(14)의 측면 휨을 방지한다. 가속 페달(10)의 최대 선회 거리는 베어링 브래킷(11)에 형성된 대향 스토퍼(17)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대향 스토퍼(17)에는 가속 페달(10)의 스토퍼(18)가 부딪힌다. 가속 페달(10)은 발 지지 플레이트(13)의 반대편 페달 단부에 상기 스토퍼를 갖는다. 따라서 스토퍼(18)는 발 지지 플레이트(13)가 위치하는 가속 페달(10)의 측면과 동일한 측면에 배치된다.
가속 페달(10)의 공회전 위치는 다른 스토퍼(20) 및 대향 스토퍼(21)에 의해 정해지고, 상기 스토퍼들은 가속 페달(10)의, 스토퍼(18) 반대편 측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스토퍼(20)는 가속 페달(10)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 대향 스토퍼(21)는 베어링 브래킷(11)에 위치한다. 스토퍼(20) 및 대향 스토퍼(21)가 두 개의 영구 자석(22,23)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영구 자석들은 가속 페달(10)과 베어링 브래킷(11)에 있는 각각의 리세스(24,25) 내에 삽입된다. 양 리세스(24,25)는 가속 페달(10)의 공회전 위치에서 상기 리세스의 개구가 서로를 향하고, 그 축선은 서로 대략 일직선으로 놓이도록 구현된다. 영구 자석(22,23)은 동일한 자극 N,S 이 서로를 향하도록 즉,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예컨대 2개의 영구 자석(22,23)의 S극(S)이 서로 마주 놓이도록 양 리세스(24,25) 내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따라서 영구 자석(22,23)사이에는 영구자석(22,23)을 서로 밀어내는 힘이 생기고, 상기 반발력은 두 개의 영구 자석(22,23)이 점차 접근함에 따라 증가한다. 두 개의 영구 자석(22,23) 사이의 상기 반발력은 가속 페달이 공회전 위치로 진입시 가속 페달(10)을 댐핑시키고, 가속 페달(10)의 릴리스 후 복귀 스프링(14)에 의해 재선회되는 가속 페달(10)이 시끄러운 스냅 또는 임팩트 소음으로 베어링 브래킷(11) 상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설명된 가속 페달 모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전기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페달 또는 전기 클러치의 클러치 페달 또는 그밖에 핸드 또는 풋 페달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차량에 고정된 피봇 베어링(12)에 선회 가능하게 고정된, 페달(10)과, 상기 페달(10)을 기본 위치로 재선회시키는 복귀력을 생성하는 페달 복귀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페달(10)은 기본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고정된은 대향 스토퍼(21)에 접촉하는 스토퍼(20)를 가진, 차량용 페달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0) 및 대향 스토퍼(21)는 각각 하나의 영구 자석(22,23)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영구 자석(22,23)은 동일한 자극(S)이 서로를 향하도록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베어링(12)은 차량 고정된 베어링 브래킷(11)에 수용되고, 상기 영구 자석(22,23)은 리세스(24,25)에 삽입되며, 상기 리세스(24,25)는 베어링 브래킷(11) 및 페달(10)에 있는 서로 마주하는 개구로 가공되고 페달(10)의 공회전 위치에서 서로 동일 평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모듈.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복귀 장치는 페달(10)에 작용하는 복귀 스프링(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스프링(14)은 베어링 브래킷(11)와 페달(10) 사이에 지지되는 압축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모듈.
  5.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모듈은 차량의 주행 속도의 조절을 위한 페달 모듈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모듈,
  6.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모듈은 전기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페달 또는 전기 클러치의 클러지 페달 또는 그밖에 풋 또는 핸드 페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모듈.
KR10-2004-7012881A 2002-02-20 2002-11-26 페달 모듈 KR200400916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7047.4 2002-02-20
DE2002107047 DE10207047A1 (de) 2002-02-20 2002-02-20 Pedalmodul
PCT/DE2002/004332 WO2003071374A1 (de) 2002-02-20 2002-11-26 Pedalmodu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646A true KR20040091646A (ko) 2004-10-28

Family

ID=2763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881A KR20040091646A (ko) 2002-02-20 2002-11-26 페달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488298B1 (ko)
KR (1) KR20040091646A (ko)
BR (1) BR0208937A (ko)
DE (2) DE10207047A1 (ko)
WO (1) WO20030713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738B1 (ko) * 2006-06-20 2007-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능동형 가속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468B1 (ko) * 2003-02-19 2005-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발목상해 방지용 능동 브레이크 페달 시스템
KR101051090B1 (ko) * 2009-11-09 2011-07-22 (주) 디에이치홀딩스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CN103223929B (zh) * 2013-04-09 2015-09-30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脚刹防误踩装置及方法
FR3042743B1 (fr) * 2015-10-23 2017-12-0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edale pour embrayage electrique comportant des aimants et electroaimant delivrant la force de rappel
US10359802B2 (en) 2016-08-22 2019-07-23 Cts Corporation Variable force electronic vehicle clutch pedal
US10173748B1 (en) * 2017-11-29 2019-01-08 Shimano (Singapore) Pte. Ltd. Bicycle peda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8292A (en) * 1972-11-17 1974-06-18 Energy Dev Ass Electronic accelerator control for electric vehicle
US4364022A (en) * 1981-09-11 1982-12-14 Towmotor Corporation Magnetic control pedal apparatus
US5774042A (en) * 1996-04-04 1998-06-30 Williams Control Industries, Inc. Device for providing tactile indication of pedal position
DE10021532A1 (de) 2000-05-03 2001-11-08 Bosch Gmbh Robert Fahrpedalmodu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738B1 (ko) * 2006-06-20 2007-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능동형 가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208937A (pt) 2004-07-27
EP1488298A1 (de) 2004-12-22
DE10207047A1 (de) 2003-08-28
WO2003071374A1 (de) 2003-08-28
DE50208093D1 (de) 2006-10-19
EP1488298B1 (de) 200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4481B2 (en) Vehicle pedal assembly with hysteresis assembly
EP0943835B1 (en) pedal device for vehicle having a friction damper
KR100941260B1 (ko)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
US9079492B2 (en) Accelerator pedal device
KR100724700B1 (ko) 차량용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US11827094B2 (en) Accelerator pedal device
KR987000192A (ko) 가속 페달 모듈(Accelerating pedal Module)
EP0990782B1 (en) Accelerator pedal mechanism for vehicle
US6009853A (en) Throttle control apparatus
US7984664B2 (en) Organ type accelerator pedal for vehicle
KR20040091646A (ko) 페달 모듈
US6167778B1 (en) Gas pedal for a motor vehicle
JPH1083224A (ja)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0125898B1 (ko) 자동차용 드로틀 밸브 무와이어 컨트롤 시스템
KR20120061445A (ko) 차량의 페달장치
EP0220572B1 (en) Control device for throttle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471858B1 (ko) 자동차 엔진의 롤 로드 마운팅 구조
KR100348042B1 (ko) 차량의 가속페달 설치장치
JP4078826B2 (ja) 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用いた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3807180B2 (ja) 自動車のペダル装置
KR100423305B1 (ko) 차량의 가변 롤링 인슐레이터
KR100361298B1 (ko)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
JPH0327405B2 (ko)
KR100331425B1 (ko) 자동차용 가속 장치
KR200242441Y1 (ko)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