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090B1 -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 Google Patents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090B1
KR101051090B1 KR1020090107395A KR20090107395A KR101051090B1 KR 101051090 B1 KR101051090 B1 KR 101051090B1 KR 1020090107395 A KR1020090107395 A KR 1020090107395A KR 20090107395 A KR20090107395 A KR 20090107395A KR 101051090 B1 KR101051090 B1 KR 101051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housing
switch
switch hous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0848A (ko
Inventor
이광혁
김상명
공형준
Original Assignee
(주) 디에이치홀딩스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에이치홀딩스, 주식회사 동희산업 filed Critical (주) 디에이치홀딩스
Priority to KR1020090107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090B1/ko
Priority to CN2010205973404U priority patent/CN201890150U/zh
Priority to CN2010105365687A priority patent/CN102001289B/zh
Publication of KR20110050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1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 G05F1/2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bucking or boosting transformers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2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bucking or boosting transformers as final control devices combined with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G05F1/3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bucking or boosting transformers as final control devices combined with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semiconductor devices only

Abstract

본 발명은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페달암(4)의 회전각에 따라 직선 이동하는 슬라이더(20) 및 다수개의 영구자석(51,52,53,54)들을 통해 운전자에게 킥 다운(kick down) 조작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작감 향상 및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페달, 킥 다운 스위치

Description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Kick down switch of accelerator pedal apparatus}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 킥 다운 조작감을 부여하도록 하여 조작감 향상 및 피로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스위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차량에서의 킥 다운(kick down)은 고속도로 진입 전 빠르게 정상속도를 필요로 할 때나 또는 앞 차량을 추월하고자 할 때, 즉 급속하게 가속이 이루어져야 할 상황에서 보다 신속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힘껏 밟아(kick) 스로틀 밸브가 활짝 개방되면 이후의 변속이 저단으로 자동 변속(자동변속기 차량)되면서 빠른 시간내에 가속이 이루어지게 되며, 수동변속기 차량은 시프트 다운(shift down)으로 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최근의 모든 자동변속기 차량에는 상기와 같은 킥 다운 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반면, 가속페달을 통해 운전자에게 킥 다운 조작감을 부여하는 기능은 미비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주행중 발생하는 킥 다운 조작감을 운전자에게 부여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운전자의 조작감 향상 및 피로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킥 다운 스위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스위치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수용공간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대한 회전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수용공간을 따라 직선 이동시키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하우징의 밖으로 돌출되는 레버돌기를 구비한 푸시레버와; 상기 스위치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푸시레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와; 상기 스위치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하우징커버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대해 복귀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더복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킥 다운스위치는, 가속페달 장치에 장착되어 페달암의 조작에 따라 운전자에게 킥 다운(kick down) 조작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작감 향상 및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 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는 가속페달 장치에 장착된 구성인 바, 상기 가속페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하부의 대시패널(1)에 고정 장착되는 페달암하우징(2)과, 상기 페달암하우징(2)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페달(3)이 일체로 구비된 페달암(4)이 외관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5)는 도 1과 같이 상기 페달암(4)에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도 9와 같이 상기 페달암하우징(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페달암(4)에 킥 다운 스위치(5)가 설치된 구성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5)는, 상기 페달암(4)에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내부에 수용공간(11)이 마련된 스위치하우징(10)과, 상기 수용공간(11)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수용공간(11)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슬라이더(20)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슬라이더(20)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 대한 회전시 상기 슬라이더(20)를 상기 수용공간(11)을 따라 직선 이동시키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밖으로 돌출되는 레버돌기(31)를 구비한 푸시레버(30)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더(20)와 상기 푸시레버(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40)와, 상기 스위치하우징(10)과 상기 슬라이더(20) 및 상기 하우징커버(40)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슬라이더(20)의 이동에 대해 복귀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더복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페달암(4)이 회전 동작을 할 때 상기 페달암(4)에는 상기 페달암하우징(2)과 마주 대하는 위치가 존재하게 되는 바, 바로 이 위치에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은 상기 페달암(4)에 마련된 수용공간(미도시)으로 삽입된 후 용접 결합됨으로써 장착되는 구조이다.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은 직육면체 박스모양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구비된 상기 수용공간(11)은 상기 슬라이더(2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한쪽 측면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1)은 상기 페달암하우징(2)을 향하는 방향으로도 돌기구멍(12)을 통해 개구된 형상으로, 상기 돌기구멍(12)을 통해 상기 푸시레버(30)의 레버돌기(31)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밖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돌기구멍(12)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개구된 한쪽 측면과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서 개구된 한쪽 측면과 상기 돌기구멍(12)이 연결되는 양쪽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푸시레버(30)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힌지구멍(13)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구멍(13)의 아래쪽으로 양쪽의 측면에는 상 기 하우징커버(40)와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돌기(14)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20)는 상기 슬라이더(20)가 이동하는 상기 수용공간(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안쪽 벽면과 대면하도록 위치하면서 상기 푸시레버(30)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로부터 상기 하우징커버(40)를 향해 연장된 로드부(22)와, 상기 로드부(22)의 끝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하우징커버(40)와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후단부(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푸시레버(30)와 접촉하는 상기 슬라이더(20) 몸체부(21)의 윗면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안쪽 벽면을 향하는 일단에서 상기 하우징커버(40)를 향하는 타단을 향해 아래로 하강하는 경사면(21a)으로 형성된다.
상기 푸시레버(30)의 일단에는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힌지구멍(13)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는 회전중심돌기(32)가 양쪽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푸시레버(30)의 타단에는 상기 레버돌기(31)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중심돌기(32)가 상기 힌지구멍(13)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레버돌기(31)의 아래쪽 바닥면 모서리부는 상기 슬라이더(20) 몸체부(21)의 경사면(21a)위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푸시레버(30)의 바닥면에는 상기 슬라이더(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더(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레버홀(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홀(33)은 상기 슬라이더(20)의 로드부(22) 및 후단부(33)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20)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수용공간(11)을 따라서 직선 이동하더라도 상기 슬라이더(20)는 상기 레버홀(33)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20)가 직선이동을 할 때에 상기 레버홀(33)과의 간섭발생을 없앨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20)는 상기 슬라이더(20)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좌우방향으로도 움직임이 없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수용공간(11)은 바닥면이 결합돌기(14)가 있는 좌우방향으로 다수개의 턱을 구비한 물결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20)는 바닥면이 상기 물결모양의 홈 속에 삽입될 수 있는 모양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커버(40)의 양쪽 측면에는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을 향하여 돌출된 플랜지(41)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41)에는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결합돌기(14)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결합구멍(4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복귀수단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안쪽 벽면 속과 상기 슬라이더(20)의 몸체부(21)속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서 상호 척력을 발생하는 제1영구자석(51) 및 제2영구자석(52)과, 상기 슬라이더(20)의 후단부(23)속과 상기 하우징커버(40)속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서 상호 인력을 발생하는 제3영구자석(53) 및 제4영구자석(54)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영구자석(51)과 상기 제2영구자석(52)은 동일한 극성(N극;N극 또는 S극;S극)을 갖춘 자석이고, 상기 제3영구자석(53)과 상기 제4영구자석(54)은 서로 다른 극성(N극;S극 또는 S극;N극)을 갖춘 자석이다.
상기 제1영구자석(51)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성형시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스위치하우징(10)과 일체로 이루어지는 구성이고, 상기 제2영구자석(52)과 상기 제3영구자석(53)은 상기 슬라이더(20)의 성형시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슬라이더(20)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상기 제4영구자석(54)은 상기 하우징커버(40)의 성형시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하우징커버(40)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 킥 다운 스위치(5)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의 상태는 페달(3)에 답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고 아울러 페달암(4)이 페달암하우징(2)에 대해 회전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때, 푸시레버(30)의 레버돌기(31)는 페달암하우징(2)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이고,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제3영구자석(53)과 제4영구자석(54)에 의해 슬라이더(20)는 하우징커버(40)쪽으로 최대한 이동하여 위치 고정된 상태이며, 상기 레버돌기(31)의 하단 모서리부는 상기 슬라이더(20) 몸체부(21)의 경사면(21a) 중 최대한 높은 위치와 서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페달(3)에 답력이 가해지고 이때의 답력에 의해 페달암(4)이 페달암하우징(2)에 대해 회전을 하게 되면(도 1의 상태에서 페달암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 레버돌기(31)가 상기 페달암하우징(2)과 접촉을 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페달(3)에 답력을 더 가하여 상기 페달암(4)을 더 회전시켜 주면, 도 7과 같이 푸시레버(30)는 회전중심돌기(32)를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상기 레버돌기(31)는 스위치하우징(10)의 수용공간(11)으로 조금 삽입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푸시레버(30)가 회전을 하면 레버돌기(31)의 하단 모서리부는 경사면(21a)과 접촉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상기 경사면(21a)을 따라 하강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20)는 도 6의 초기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제1영구자석(51)이 있는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20)가 제1영구자석(51)이 있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을 하면, 인력이 작용하는 있던 제3영구자석(53)과 제4영구자석(54)이 서로 떨어지면서 절도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한 절도감은 상기 푸시레버(30) 및 페달암(4)을 통해 운전자에게로 전달됨으로써, 운전자는 킥 다운(kick down) 시작시점임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7의 상태에서, 운전자가 페달(3)을 더 밟아서 답력을 더 크게 하여 주면, 푸시레버(30)는 더 많이 회전을 하게 되고, 슬라이더(20)는 제1영구자석(51)이 있는 좌측 방향으로 더 많이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서로 척력이 작용하는 제1영구자석(51)과 제2영구자석(52)의 거리가 점점 좁혀짐에 따라 상기 제1영구자석(51)이 있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던 슬라이더(20)는 하우징커버(40)가 있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려는 반력의 힘이 점점 더 커지게 되고, 이때의 반력이 푸시레버(30) 및 페달암(4)을 통해 운전자에게로 전달됨으로써, 운전자는 킥 다운이 진행 상태 중임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페달(3)을 최대로 밟아 줌에 따라 푸시레버(30)가 더 많이 회전을 하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20)가 도 8과 같이 제1영구자석(51)이 있는 좌측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하여 위치한 상태가 되면, 제1영구자석(51)과 제2영구자 석(52)의 척력이 최대가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슬라이더(20)는 하우징커버(40)가 있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려는 반력의 힘도 최대가 된다.
따라서, 이때의 반력을 전달받고 있는 운전자는 킥 다운 최대시점임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는 운전자에게 조작감 향상을 부여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페달암(4) 조작에 따른 피로감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는 킥 다운 상태의 최대 조작감을 느낀 이후부터는 필요이상의 더 큰 답력을 페달(3)에 가해주지 않게 되는 바, 이에 따라 운전자는 페달암(4) 조작에 따른 피로감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운전자가 킥 다운 상태의 최대 조작감을 느낀 이후 페달(3)에 가해주고 있던 답력을 제거하게 되면, 페달암(4)이 도 1과 같은 초기 상태로 복귀함과 동시에 제1영구자석(51)이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였던 슬라이더(20)도 제1,2영구자석(51,52)의 척력에 의해 제4영구자석(54)이 있는 하우징커버(40)쪽으로 이동하여 복귀하게 되고, 또한 상기 슬라이더(20)의 복귀에 연동하여 푸시레버(30)는 도 8의 상태에서 회전중심돌기(3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도 6과 같은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바, 이에 따라 다음 번의 동작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푸시레버(30)가 복귀할 때에 제3,4영구자석(53,54)의 인력에 슬라이더(20)와 하우징커버(40)가 서로 접촉하면서 절도감을 발생시키게 되는 바, 운전자는 상기의 절도감을 페달암(4)을 통해 전달받게 되므로 킥 다운 복귀시점임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5)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에 전술한 레버복귀수단 중 제1,2영구자석(51,52) 대신에 스프링부재(61)가 설치된 구성으로, 상기 스프링부재(61)의 일단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안쪽 벽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안쪽 벽면과 마주 대하는 상기 슬라이더(20)의 몸체부(21) 선단에 지지되어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안쪽 벽면과 상기 슬라이더(20)의 몸체부(21) 선단에는 각각 스프링설치홈(15,24)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설치홈(15,24)에 상기 스프링부재(61)의 양단이 삽입 설치되어서 상기 스프링부재(61)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프링부재(61)는 인장스프링을 사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20)는 상기 스프링부재(6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커버(40)가 있는 후방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제공받게 된다.
상기 스프링부재(61)를 제외한 나머지의 구성은 전술한 킥 다운 스위치(5)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5)가 페달암하우징(2)에 고정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스위치하우징(10)이 페달암하우징(2)에 고정 설치되고, 푸시레버(30)의 레버돌기(31)가 페달암(4)의 회전시 상기 페달암(4)과 접촉하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구성 이다.
페달암하우징(2)에 설치된 킥 다운 스위치(5)의 작동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로 전술한 페달암(4)의 설치상태일 때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가 페달암에 설치된 가속페달 장치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킥 다운 스위치를 구성하는 스위치하우징과 슬라이더 및 푸시레버의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레버복귀수단으로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가 페달암하우징에 설치된 가속페달 장치의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대시패널 2 - 페달암하우징
4 - 페달암 10 - 스위치하우징
11 - 수용공간 20 - 슬라이더
30 - 푸시레버 31 - 레버돌기
40 - 하우징커버 61 - 스프링부재

Claims (11)

  1. 내부에 수용공간(11)이 마련된 스위치하우징(10)과;
    상기 수용공간(11)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수용공간(11)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슬라이더(20)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슬라이더(20)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 대한 회전시 상기 슬라이더(20)를 상기 수용공간(11)을 따라 직선 이동시키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밖으로 돌출되는 레버돌기(31)를 구비한 푸시레버(30)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더(20)와 상기 푸시레버(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40)와;
    상기 스위치하우징(10)과 상기 슬라이더(20) 및 상기 하우징커버(40)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슬라이더(20)의 이동에 대해 복귀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더복귀수단;
    을 포함하는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은 직육면체 박스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슬라이더(2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한쪽 측면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된 한쪽 측면은 상기 레버돌기(31)가 관통하는 돌기구멍(12)과 연결되게 형성되며;
    상기 개구된 한쪽 측면과 상기 돌기구멍(12)이 연결되는 양쪽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푸시레버(30)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힌지구멍(13)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구멍(13)의 아래쪽으로 양쪽의 측면에는 상기 하우징커버(40)와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돌기(14)가 각각 돌출 형성된 것;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0)는,
    상기 슬라이더(20)가 이동하는 상기 수용공간(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안쪽 벽면과 대면하도록 위치하면서 상기 푸시레버(30)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로부터 상기 하우징커버(40)를 향해 연장된 로드부(22)와;
    상기 로드부(22)의 끝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하우징커버(40)와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후단부(2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푸시레버(30)와 접촉하는 상기 몸체부(21)의 윗면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안쪽 벽면을 향하는 일단에서 상기 하우징커버(40)를 향하는 타단을 향해 아래로 하강하는 경사면(21a)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푸시레버(30)의 일단에는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힌지구멍(13)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는 회전중심돌기(32)가 양쪽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푸시레버(30)의 타단에는 상기 레버돌기(31)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중심돌기(32)가 상기 힌지구멍(13)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레버돌기(31)의 아래쪽 바닥면 모서리부는 상기 슬라이더(20) 몸체부(21)의 경사면(21a)위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푸시레버(30)의 바닥면에는 상기 슬라이더(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더(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레버홀(33)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40)의 양쪽 측면에는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을 향하여 돌출된 플랜지(41)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41)에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결합돌기(14)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구멍(42)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복귀수단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안쪽 벽면 속과 상기 슬라이더(20)의 몸체부(21)속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서 상호 척력을 발생하는 제1영구자석(51) 및 제2영구자 석(52)과;
    상기 슬라이더(20)의 후단부(23)속과 상기 하우징커버(40)속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서 상호 인력을 발생하는 제3영구자석(53) 및 제4영구자석(54);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복귀수단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안쪽 벽면과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안쪽 벽면과 마주 대하는 상기 슬라이더(20)의 몸체부(21) 선단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어 고정 설치된 스프링부재(61)와;
    상기 슬라이더(20)의 후단부(23)속과 상기 하우징커버(40)속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서 상호 인력을 발생하는 제3영구자석(53) 및 제4영구자석(54);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61)는 상기 슬라이더(20)를 상기 하우징커버(40)가 있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더(20)에 힘을 제공하는 인장스프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은 페달암(4)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페달암(4)의 일단은 운전석 하부의 대시패널(1)에 고정 설치된 페달암 하우징(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푸시레버(30)의 레버돌기(31)는 상기 페달암(4)의 회전시 상기 페달암하우징(2)과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은 운전석 하부의 대시패널(1)에 고정 설치된 페달암하우징(2)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페달암하우징(2)에는 페달암(4)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푸시레버(30)의 레버돌기(31)는 상기 페달암(4)의 회전시 상기 페달암(4)과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KR1020090107395A 2009-11-09 2009-11-09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KR101051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395A KR101051090B1 (ko) 2009-11-09 2009-11-09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CN2010205973404U CN201890150U (zh) 2009-11-09 2010-11-09 一种加速踏板的降挡开关
CN2010105365687A CN102001289B (zh) 2009-11-09 2010-11-09 一种加速踏板的降档开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395A KR101051090B1 (ko) 2009-11-09 2009-11-09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848A KR20110050848A (ko) 2011-05-17
KR101051090B1 true KR101051090B1 (ko) 2011-07-22

Family

ID=4380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395A KR101051090B1 (ko) 2009-11-09 2009-11-09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51090B1 (ko)
CN (2) CN20189015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090B1 (ko) * 2009-11-09 2011-07-22 (주) 디에이치홀딩스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KR101419208B1 (ko) * 2013-08-05 2014-07-15 경창산업주식회사 차량의 페달 조립체
KR101637810B1 (ko) 2015-02-06 2016-07-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KR101646448B1 (ko) 2015-02-11 2016-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KR101704207B1 (ko) 2015-06-04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KR102645170B1 (ko) * 2023-05-19 2024-03-08 윤여진 패들스위치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3407A (ko) * 2004-11-15 2006-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킥 다운 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7288A1 (de) * 1997-08-27 1999-03-04 Mannesmann Vdo Ag Fahrpedal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7047A1 (de) * 2002-02-20 2003-08-28 Bosch Gmbh Robert Pedalmodul
CN100439762C (zh) * 2005-06-15 2008-12-03 林楚华 滚轮驱动式自动换档手柄
DE102005038750A1 (de) * 2005-08-17 2007-02-22 Robert Bosch Gmbh Kick-Down-Einrichtung eines Fahrpedalmoduls
KR100877200B1 (ko) * 2007-09-11 2009-01-07 주식회사 동희산업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KR101051090B1 (ko) * 2009-11-09 2011-07-22 (주) 디에이치홀딩스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3407A (ko) * 2004-11-15 2006-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킥 다운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890150U (zh) 2011-07-06
CN102001289A (zh) 2011-04-06
KR20110050848A (ko) 2011-05-17
CN102001289B (zh)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090B1 (ko)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KR100877200B1 (ko)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JP6203310B2 (ja) ヒステリシスアセンブリを伴う車両用ペダルアセンブリ
US20170114892A1 (en) Shift lever device
CN108369432B (zh) 操作装置、使用该操作装置的车辆用换档装置
JP4668439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4886606B2 (ja) レバー装置
US7560656B2 (en) Switch device with rapid opening and closing between movable and stationary contacts
US11117466B2 (en) Operation device and vehicular shifting apparatus using operation device
KR101051091B1 (ko)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JP2020075676A (ja) シフト装置
KR101047393B1 (ko)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KR101427822B1 (ko) 가속페달 모듈용 킥 다운 스위치
JP6641153B2 (ja) スマートキーを用いた車両用電子式変速システム
CN110871680A (zh) 换挡杆装置
WO2019009102A1 (ja) シフト装置
JP5232727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CN110778700B (zh) 换挡装置
JP6798767B2 (ja) アクセルペダル操作装置
KR20110022118A (ko) 자동차용 기계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KR102405971B1 (ko) 킥다운 스위치
KR101133856B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101646448B1 (ko)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KR100931131B1 (ko) 게이트형 변속레버의 키 인터록장치
JP6846645B2 (ja) 操作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