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3407A - 킥 다운 스위치 - Google Patents

킥 다운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3407A
KR20060053407A KR1020040093092A KR20040093092A KR20060053407A KR 20060053407 A KR20060053407 A KR 20060053407A KR 1020040093092 A KR1020040093092 A KR 1020040093092A KR 20040093092 A KR20040093092 A KR 20040093092A KR 20060053407 A KR20060053407 A KR 20060053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ember
free end
pedal arm
contact
k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1220B1 (ko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3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220B1/ko
Publication of KR20060053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16H59/20Kick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중 가속시 킥 다운의 발생 시점에서 절도감의 발생을 위한 접촉 부위의 작동 및 복원에 대한 운동 방향을 페달 아암에 의해 가압되는 접촉 부재의 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정하여, 킥 다운의 발생 시점과 해제 시점에서 각각 원활한 작동은 물론 소음 발생까지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페달 아암의 회동 반경내에 위치하고서, 상기 페달 아암의 답입에 따라 가압되어 이동되는 접촉 부재와; 상기 페달 아암의 답입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접촉 부재를 탄발지지하는 리턴 스프링 및; 하나의 피벗지지점을 공유하는 고정단과, 상기 접촉 부재를 향해 배치되는 자유단 및, 상기 고정단에 설치되어 상기 자유단을 오므리는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토션 스프링을 구비한 체리형 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킥 다운 스위치{kick down switch}
도 1은 종래 킥 다운 스위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와 도 5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킥 다운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접촉 부재 12-리턴 스프링
14-체리형 기구 14a-고정단
14b-자유단 14c-토션 스프링
본 발명은 킥 다운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중 가속의 과정에서 킥 다운 스위치가 동작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임과 더불어 피로 하중에 의한 문제의 발생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킥 다운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있어, 킥 다운 스위치는 주행중 운전자가 가속을 실시함에 있어,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80% 정도에 도달할 경우, 이를 운전자로 하여금 인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일종의 운전 보조 장비인 것이다.
이와 같이 주행중 가속시 킥 다운 스위치를 통해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80% 정도에 도달하여 운전자가 절도감을 느끼게 되면, 이러한 절도감을 통해 운전자는 현재의 변속단이 변경되는 시점에 도달한 것을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는 주행중 가속시 킥 다운 스위치를 통해 전달받는 절도감을 매개로 변속단의 변경을 통한 가속을 얻거나, 현재의 주행 변속단으로 주행을 지속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앞차를 추월하고자 할 때에는 운전자는 킥 다운 스위치를 통해 절도감을 얻을 때 까지 지속적으로 가속 페달을 답입시키는 가속을 행하게 되면, 현재의 주행 변속단이 하나 내지 그 이상 낮은 변속단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면서 보다 큰 구동력을 얻어 원하는 수준의 가속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의 킥 다운 스위치는 도 1과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 페달(도시안됨)의 회동 반경내에 위치하여 가속 페달의 가압에 따라 이동하는 접촉 부재(1)와, 상기 접촉 부재(1)를 내부에 수용하는 스틸재의 지지부(3) 및, 상기 지지부(3)에 하부에서 리턴 스프링(7)을 매개로 탄발지지되는 자석(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가속시 가속 페달의 답입에 따라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80% 정도에 이르면, 비로서 상기 접촉 부재(1)는 하강하면서 상기 자석(5)을 밀게 되고, 이 에 따라 상기 지지부(3)에 달라 붙어 있던 상기 자석(5)이 지지부(3)와 이격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3)에서 상기 자석(5)이 떨어질 때, 운전자는 절도감을 얻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킥 다운 스위치에서는 상기 자석(5)의 자성이 너무 강하면, 킥 다운의 발생시 상기 지지부(3)에서 자석(5)의 이탈이 어렵게 되어, 운전자가 가속시 행해야 하는 답입력이 과도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자석(5)의 자성이 너무 약하면, 킥 다운시 상기 지지부(3)에서 자석(5)의 이탈이 너무 쉽게 되어, 킥 다운의 발생시 운전자가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 킥 다운 스위치의 제작시에는 적절한 절도감의 획득을 위해 상기 자석(5)의 자성을 적절하게 조절하기에 어려움이 있었고, 또한, 일정한 자력을 유지해야 하는 관계로 자성체의 선택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킥 다운후 복귀시 상기 자석(5)이 지지부(3)에 붙게 될 때, 접촉에 따른 소음이 발생되고, 장기간의 사용시 피로하중에 따른 지지부(3)와 자석(5) 사이의 접촉 부위에 무리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주행중 가속시 킥 다운의 발생 시점에서 절도감의 발생을 위한 접촉 부위의 작동 및 복원에 대한 운동 방향을 페달 아암에 의해 가압되는 접촉 부재의 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정하여, 킥 다운의 발생 시점과 해제 시점에서 각각 원활한 작동은 물론 소음 발생까지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페달 아암의 회동 반경내에 위치하고서, 상기 페달 아암의 답입에 따라 가압되어 이동되는 접촉 부재와; 상기 페달 아암의 답입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접촉 부재를 탄발지지하는 리턴 스프링 및; 하나의 피벗지지점을 공유하는 고정단과, 상기 접촉 부재를 향해 배치되는 자유단 및, 상기 고정단에 설치되어 상기 자유단을 오므리는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토션 스프링을 구비한 체리형 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부재(10)와 리턴 스프링(12) 및 체리형 기구(14)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접촉 부재(10)는 가속 페달의 페달 아암(도시안됨)의 회동 반경내에 위치하고서, 가속시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80% 정도에 이를 정도로 상기 페달 아암이 회동하면 이에 접촉되어 가압되는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리턴 스프링(12)은 상기 페달 아암의 답입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접촉 부재(10)를 탄발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리형 기구(14)는 상기 접촉 부재(10)의 일단부를 향해 배치되 어, 상기 접촉 부재(10)의 이동에 따라 가압되어 탄력적으로 벌어져 답입감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체리형 기구(14)는 하나의 피벗지지점을 공유하는 고정단(14a)과, 상기 접촉 부재(10)를 향해 배치되는 자유단(14b) 및, 상기 고정단(14a)에 설치되어 상기 자유단(14b)을 오므리는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토션 스프링(14c)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접촉 부재(10)의 일단부는 만곡진 형태의 접촉면(10a)을 형성하고, 상기 자유단(14b)은 상기 접촉 부재(10)의 접촉면(10a)과 미끄럼 접촉을 위해 원형의 접촉부(14d)를 일체로 갖추고 있다.
한편, 상기 접촉 부재(10)와 상기 리턴 스프링(12) 및 상기 체리형 기구(14)는 각각 단일의 하우징(H)내에 설치되는 바, 상기 접촉 부재(10)에는 상기 리턴 스프링(12)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걸림턱(10b)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H)에는 상기 리턴 스프링(12)을 지지하는 걸림턱(H')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주행중 가속시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80% 정도에 이르면, 상기 접촉 부재(10)가 하강하여, 상기 체리형 기구(14)의 자유단(14b)을 좌우로 벌리게 된다.
이때, 상기 체리형 기구(14)의 고정단(14a)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14c)은 상기 자유단(14b)이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기 전까지 오므리는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운전자는 절도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있어, 상기 체리형 기구(14)의 자유단(14b)은 이의 선단이 상기 접촉 부재(10)의 접촉면(10a)과 부드러운 접촉을 위해 원형의 접촉부(14d)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최초 접촉시 미끄럼 접촉을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접촉 부재(1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리턴시 상기 체리형 기구(14)의 자유단(14b)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의 정도는 미흡하게 되고, 이로 인해 소음의 발생도 줄어들게 되고, 아울러 상대 부품에 대한 손상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에 의하면, 주행중 가속시 킥 다운의 발생 시점에서 절도감의 발생을 위한 킥 다운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 접촉 부위의 작동 및 복원에 대한 운동 방향을 페달 아암에 의해 가압되는 접촉 부재의 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정하여, 킥 다운의 발생 시점과 해제 시점에서 각각 원활한 작동은 물론 소음 발생까지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가속시 페달 아암의 답입에 따라 가압되는 접촉 부재와;
    상기 페달 아암의 답입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접촉 부재를 탄발지지하는 리턴 스프링 및;
    하나의 피벗지지점을 공유하는 고정단과, 상기 접촉 부재를 향해 배치되는 자유단 및, 상기 고정단에 설치되어 상기 자유단을 오므리는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토션 스프링을 구비한 체리형 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다운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의 일단부는 만곡진 형태의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접촉 부재의 접촉면과 미끄럼 접촉을 위해 원형의 접촉부를 일체로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다운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와 상기 리턴 스프링 및 상기 체리형 기구는 단일의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다운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에는 상기 리턴 스프링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리턴 스프링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다운 스위치.
KR1020040093092A 2004-11-15 2004-11-15 킥 다운 스위치 KR100941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092A KR100941220B1 (ko) 2004-11-15 2004-11-15 킥 다운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092A KR100941220B1 (ko) 2004-11-15 2004-11-15 킥 다운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407A true KR20060053407A (ko) 2006-05-22
KR100941220B1 KR100941220B1 (ko) 2010-02-10

Family

ID=37150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092A KR100941220B1 (ko) 2004-11-15 2004-11-15 킥 다운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22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524B1 (ko) * 2005-08-22 2006-08-25 (주) 동희산업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KR100614525B1 (ko) * 2005-08-22 2006-08-28 (주) 동희산업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KR101051090B1 (ko) * 2009-11-09 2011-07-22 (주) 디에이치홀딩스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KR101240932B1 (ko) * 2006-07-27 2013-03-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시프트 다운 조작기
KR101327107B1 (ko) * 2007-07-19 2013-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킥 다운 인지기구
KR101427822B1 (ko) * 2013-02-27 2014-08-08 (주)오앤케이테크 가속페달 모듈용 킥 다운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312U (ko)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엘 일렉트로닉스 차량용 킥 다운장치
KR20160002311U (ko)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엘 일렉트로닉스 차량용 킥 다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8119A1 (de) * 1999-04-22 2000-10-26 Bosch Gmbh Robert Pedalwertgeberanordnung
JP2002283871A (ja) 2001-03-23 2002-10-03 Aisin Seiki Co Ltd アクセルペダル装置
EP1420974B1 (de) 2001-08-31 2005-01-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schleissfreier fahrpedal-kick-down-schalt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524B1 (ko) * 2005-08-22 2006-08-25 (주) 동희산업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KR100614525B1 (ko) * 2005-08-22 2006-08-28 (주) 동희산업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KR101240932B1 (ko) * 2006-07-27 2013-03-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시프트 다운 조작기
KR101327107B1 (ko) * 2007-07-19 2013-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킥 다운 인지기구
KR101051090B1 (ko) * 2009-11-09 2011-07-22 (주) 디에이치홀딩스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KR101427822B1 (ko) * 2013-02-27 2014-08-08 (주)오앤케이테크 가속페달 모듈용 킥 다운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1220B1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6628B2 (ja) 自動変速機用変速操作装置
US20130091977A1 (en) Accelerator pedal apparatus
KR100941220B1 (ko) 킥 다운 스위치
US7650812B2 (en) Shift lever
JP3627940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のシフトロック機構
KR101047393B1 (ko)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KR101427822B1 (ko) 가속페달 모듈용 킥 다운 스위치
JP3126866B2 (ja) 車両用変速装置
JP2011031869A (ja) 自動変速機用ノブのワンタッチ結合構造
JP4431352B2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KR101109417B1 (ko) 자동차용 기계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KR20040040862A (ko) 자동변속기의 시프트 로크 장치
US7406893B2 (en) Clearance-free supporting structure for pivotal axle applicable to shift lock unit of multi-stage automatic transmission
JPH07243515A (ja) 自動変速機のセレクトロック機構
JP3400182B2 (ja) 車両用変速装置
JP6798767B2 (ja) アクセルペダル操作装置
KR20060030263A (ko) 가속 페달의 스톱퍼 장치
KR101241611B1 (ko) 액셀페달 능동제어 및 킥다운 조작감 발생 장치
KR910004553Y1 (ko) 무한궤도형 중장비의 전, 후진조절레버 고정장치
KR100974706B1 (ko) 자동차의 페달 유동 방지장치
JPH11245681A (ja) シフトレバー装置のディテント構造
KR200227356Y1 (ko) 페달용스프링설치구조
JP4952262B2 (ja) 自動変速機のマニュアル操作スイッチ
JP2008165670A (ja) 輸送用機器の加速・制動入力装置
JP2023112898A (ja) 車両のシフト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