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932B1 - 시프트 다운 조작기 - Google Patents

시프트 다운 조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932B1
KR101240932B1 KR1020060070498A KR20060070498A KR101240932B1 KR 101240932 B1 KR101240932 B1 KR 101240932B1 KR 1020060070498 A KR1020060070498 A KR 1020060070498A KR 20060070498 A KR20060070498 A KR 20060070498A KR 101240932 B1 KR101240932 B1 KR 101240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hift down
elastic
down manipulat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0489A (ko
Inventor
진도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0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932B1/ko
Publication of KR20080010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 장착 차량의 가속 페달에 설치되는 시프트 다운 조작기에 다수개의 스프링을 적용하여 사용 기간이 경과하여도 조작 상태가 변화하지 않고 시프트 다운 조작기의 동작시 작동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시프트 다운 조작기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 변속기 장착 차량의 가속 페달에 설치되는 시프트 다운 조작기에 있어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20), 상기 본체(2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하부로는 동작 로드(30a)가 설치되어 있는 버튼(30), 상기 버튼(30)의 하부에 설치되고 버튼(30)과의 접촉에 의해 동작하는 탄성부(40)로 구성된다.
차량, 자동 변속기, 시프트 다운

Description

시프트 다운 조작기{An actuator for shift down}
도 1a는 차량의 가속 페달의 시트프 다운 조작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차량의 시트프 다운 조작기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c는 차량의 시트프 다운 조작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차량의 가속 페달의 시트프 다운 조작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시프트 다운 조작기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시프트 다운 조작기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시프트 다운 조작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시프트 다운 조작기 20 : 본체
30 : 버튼 40 : 탄성부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 장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 변속기 장착 차량의 가속 페달에 설치되는 시프트 다운 조작기에 다수개의 스프링을 적용하여 사용 기간이 경과하여도 조작 상태가 변화하지 않고 시프트 다운 조작기의 동작시 작동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시프트 다운 조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에서 변속 제어는 운전자의 주행상태에 따라 출력되는 스로틀 개도와 차속에 딸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변속패턴에 의해 변속단을 목표 변속단으로 변속하여 주행을 하게된다.
따라서 4속으로 주행하고 있던 차량에서 운전자가 가속 의지을 가지고 가속페달을 밟아주면 종래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킥 다운 4→2 다운 쉬프트 변속에 대한 변속패턴에 따라 듀티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변속단을 4속에서 2속으로 스킵 변속시켜 변속을 완료한 후 차량을 주행케 했다.
도 1a는 차량의 가속 페달의 시트프 다운 조작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차량의 시트프 다운 조작기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c는 차량의 시트프 다운 조작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원통형 소켓(3)의 내부에 탄성 스프링(4), 마그네틱(5), 금속링(6)이 삽입되어 설치된 후 버튼(7)이 위치되어 구성되는 시프트 다운 조작기(2)가 가속 페달(1)의 페달암(1a) 중간 부위에 설치됨을 알 수 있다.
버튼(7)의 일단부에는 동작 로드(7a)가 설치되어 있어 금속링(6)의 중간부를 통하여 마그네틱(5)의 상부와 접촉하게 된다.
유럽사양 차량의 경우 운전자가 시프트 다운(또는 킥 다운이라고도 함) 작용을 원할 때 가속 페달의 80%정도에서 절도감을 느끼게 하는데 이러한 느낌을 주는 장치를 킥 다운 조작기구라 칭한다.
도 2a와 도 2b는 차량의 가속 페달의 시트프 다운 조작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치되어 있는 시프트 다운 조작기는 가속 페달을 조작하면 페달암이 이동하면 버튼에 닿게 되고, 버튼(7)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버튼(7)의 고정 로드(7a)가 마그네틱(5)을 눌러 마그네틱(5)이 금속링(6)과 이격되고 절도감이 생성된다.
가속 페달을 조작하지 않으면 마그네틱(5)의 자력과 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마그네틱(5)과 금속링(6)이 다시 접촉되고 이때 버튼(7)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가속 페달의 조작량이 80% 정도가 되면 변속단이 변경되는 시점인데 이 시점에서 운전자에게 절도감을 주어 운전자가 단순히 속도를 높이기 위해 가속 페달을 밟는지 아니면 변속단을 낮추어(SHIFT DOWN) 큰 구동력을 얻음으로서 앞차를 추월할 것인지를 판단하게 한다.
그래서 속도를 높일 목적이면 가속페달을 덜 밟게 하고, 앞차를 추월하기 위해 시프트 다운을 원한다면 더 깊게 밟게 하여 시프트 다운을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의 시프트 다운 조작기를 구성하는 마그네틱의 자력이 필요 이상으로 강하면 금속링과의 이격이 발생하기 어렵고, 자력이 필요 이하이 면 금속링과의 이격이 자주 발생하게 되었다.
차량 출고시에는 마그네틱의 자력이 적절하여도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자력이 약화되어 시트프 다운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시트프 다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자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마그네틱은 단가가 높아 차량의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그네틱과 금속링이 접촉 및 이격할 때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 변속기 장착 차량의 가속 페달에 설치되는 시프트 다운 조작기에 다수개의 스프링을 적용하여 사용 기간이 경과하여도 조작 상태가 변화하지 않는 시프트 다운 조작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동작시 작동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시프트 다운 조작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시프트 다운 조작기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자동 변속기 장착 차량의 가속 페달에 설치되는 시프트 다운 조작기에 있어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20), 상기 본체(2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하부로는 동작 로드(30a)가 설치되 어 있는 버튼(30), 상기 버튼(30)의 하부에 설치되고 버튼(30)과의 접촉에 의해 동작하는 탄성부(40)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버튼(30)은 동작 로드(30a) 중간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걸림단(34a), 동작 로드에 감겨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 1 걸림단(34a)에 걸리는 제 1 스프링(36), 상기 본체(20)의 내측면에 둘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스프링(36)의 타단이 걸리는 제 2 걸림단(34b)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40)는 중심부에 볼록한 탄성대(50a)가 형성되는 탄성 플레이트(50), 상기 탄성 플레이트(50)의 하부에 설치되는 탄성캡(60), 상기 탄성캡(60)의 하부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 2 스프링(7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플레이트(50)는 고무 재질의 댐퍼(55)에 의해 본체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시프트 다운 조작기는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속 페달(1)에 근접하여 설치하여,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속 페달(1)이 조작되면 시프트 다운 조작기(10)가 동작되도록 한다.
차량이 일반 주행하고 있는 경우 즉, 시프트 다운 조작기의 동작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 시프트 다운 조작기는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른 차량의 추월 등을 위해 변속기의 변속단이 낮춰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속 페달(1)을 조작하여 가속 페달(1)의 페달암() 후부가 시프트 다운 조작기(10)의 버튼(30)에 닿아 버튼(30)이 눌리게 된다.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버튼(30)이 눌리게 되면, 버튼(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동작 로드(30a)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동작 로드(30a)의 하단부가 탄성 플레이트(5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대(50a)를 누르게 된다.
탄성 플레이트(50)의 탄성대(50a)는 평소에는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외력을 받으면 오목하게 변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볼록한 형태로 원상 복귀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탄성대(50a)에 동작 로드(30a)의 단부가 닿아 오목하게 변형되는 순간 시프트 다운 조작기의 절도감이 생성된다. 이때 운전자는 시프트 다운이 시작되었음을 인식하여 가속 페달의 조작량이 더해지도록 한다.
운전자가 가속 페달의 조작을 추가하여 가속 페달이 풀 스트록(full sttoke)에 도달하게 되면 제 1 걸림단(34a)과 제 2 걸림단(34b)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제 1 스프링(36)이 완전히 압축되고, 동작 로드(30a)의 하단부에 의해 변형된 탄성 플레이트(50)가 탄성캡(60)의 상단에 닿아 탄성캡(60)을 눌러 가속 페달이 풀 스트록에 도달하였음을 알려준다.
차량 변속기의 시프트 다운을 정상 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경우 운전자는 가속 페달에 인가하는 압력을 제거하도록 하여, 시프트 다운 조작기와 가속 페달의 페달암이 이격되도록 함으로서 버튼에 인가되는 힘이 제거되도록 한다.
버튼(30)에 인가되는 힘이 제거되면 도 5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30)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버튼(30)이 원위치로 복귀되면 버튼(30)에 설치되어 있는 동작 로드(30a)의 단부와 탄성 플레이트(50)의 접촉도 이격되므로, 탄성캡(6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스프링(70)의 탄성력이 탄성캡(60)에 인가되어 탄성캡(60)은 원위치로 리턴하면 탄성 플레이트(50)의 탄성대(50a)가 원래의 상태 즉, 볼록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탄성 플레이트(50)의 고정 부위에는 탄성 플레이트(50)의 고정시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무 재질로 형성된 댐퍼(55)가 설치되어 있어 탄성 플레이트(55)의 동작에 의한 소음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 장착 차량의 가속 페달에 설치되는 시프트 다운 조작기에 다수개의 스프링을 적용하여 사용 기간이 경과하여도 조작 상태가 변화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구성 요소들이 탄력적으로 동작하므로 시프트 다운 조작기의 동작시 작동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자동 변속기 장착 차량의 가속 페달에 설치되는 시프트 다운 조작기에 있어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20), 상기 본체(2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하부로는 동작 로드(30a)가 설치되어 있는 버튼(30), 상기 버튼(30)의 하부에 설치되고 버튼(30)과의 접촉에 의해 동작하는 탄성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40)는 중심부에 볼록한 탄성대(50a)가 형성되는 탄성 플레이트(50), 상기 탄성 플레이트(50)의 하부에 설치되는 탄성캡(60), 상기 탄성캡(60)의 하부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 2 스프링(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다운 조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30)은 동작 로드(30a) 중간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걸림단(34a), 동작 로드에 감겨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 1 걸림단(34a)에 걸리는 제 1 스프링(36), 상기 본체(20)의 내측면에 둘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스프링(36)의 타단이 걸리는 제 2 걸림단(34b)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다운 조작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플레이트(50)는 고무 재질의 댐퍼(55)에 의해 본체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다운 조작기.
KR1020060070498A 2006-07-27 2006-07-27 시프트 다운 조작기 KR101240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498A KR101240932B1 (ko) 2006-07-27 2006-07-27 시프트 다운 조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498A KR101240932B1 (ko) 2006-07-27 2006-07-27 시프트 다운 조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489A KR20080010489A (ko) 2008-01-31
KR101240932B1 true KR101240932B1 (ko) 2013-03-08

Family

ID=39222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498A KR101240932B1 (ko) 2006-07-27 2006-07-27 시프트 다운 조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9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8937U (ko) 1979-09-04 1981-04-11
JPH07139580A (ja) * 1993-11-19 1995-05-30 Toyoda Gosei Co Ltd 液封入防振装置
KR19980054613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변속기의 변속레인지 버튼 구조
KR20060053407A (ko) * 2004-11-15 2006-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킥 다운 스위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8937U (ko) 1979-09-04 1981-04-11
JPH07139580A (ja) * 1993-11-19 1995-05-30 Toyoda Gosei Co Ltd 液封入防振装置
KR19980054613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변속기의 변속레인지 버튼 구조
KR20060053407A (ko) * 2004-11-15 2006-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킥 다운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489A (ko)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6913B2 (ja) シフト装置
KR20070005054A (ko) 차량의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레버장치
US20120125142A1 (en) Accelerator pedal for vehicle
RU2576309C2 (ru) Система определения положения педали
KR101240932B1 (ko) 시프트 다운 조작기
KR101047393B1 (ko)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KR20070047644A (ko) 차량 가속 페달의 킥다운 스위치 구조
CN111664244B (zh) 旋钮式换挡杆设备
US11168784B2 (en) Vehicle shifter device
KR101109417B1 (ko) 자동차용 기계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JP4724382B2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101704207B1 (ko)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JP2011230771A (ja) シフト装置
KR102405971B1 (ko) 킥다운 스위치
KR101459427B1 (ko) 차량 가속 페달용 킥다운 스위치
JP2009301801A (ja) 自動変速機用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JP6798767B2 (ja) アクセルペダル操作装置
US20220340007A1 (en) Pedal Module with Actuator
KR101646448B1 (ko)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KR20100010183A (ko) 가속페달의 킥 다운 조작감 부여장치
JPS6232100Y2 (ko)
JP2510649Y2 (ja) スイッチ装置
KR920010792B1 (ko) 엑셀레이터 홀딩 시스템
KR20210090363A (ko) 전자식 가속 페달장치
KR100461400B1 (ko) 클러치 부스터의 푸쉬로드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