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4613U - 자동변속기의 변속레인지 버튼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 변속레인지 버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4613U
KR19980054613U KR2019960067808U KR19960067808U KR19980054613U KR 19980054613 U KR19980054613 U KR 19980054613U KR 2019960067808 U KR2019960067808 U KR 2019960067808U KR 19960067808 U KR19960067808 U KR 19960067808U KR 19980054613 U KR19980054613 U KR 199800546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range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range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7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7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4613U/ko
Publication of KR199800546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613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2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push butt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변속차량의 버튼식 변속레인지 선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버튼 케이스(1)와, 상기 버튼 케이스(1) 내부에 안착된 코일 스프링(2)과, 상기 버튼 케이스(1) 내부의 코일 스프링(2) 상부에 상기 코일 스프링(2)과 이격되게 장착된 돔 상의 판스프링(3)과, 상기 버튼 케이스(1) 내부의 판스프링(3) 상부에 장착된 버튼 커버(4)로 구성된 자동변속기의 변속레인지 버튼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R 레인지로의 변속이 강한 조작력을 필요로 하게 하여, N 레인지에서 R 레인지로의 변속이 용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실수로 R 레인지 버튼을 누름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의 변속레인지 버튼 구조
본 고안은 자동변속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튼식 변속레인지 선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자동 변속기는 토크 컨버터와, 상기 토크 컨버터에 연결된 변속기어 메커니즘과,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상기 변속기어 메커니즘의 기어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유압 제어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토크 컨버터는 엔진의 크랭크샤프트에 직결되어 회전되는 임펠러와, 자동 변속기의 입력축에 직결되고 상기 임펠러와 대향되도록 설치된 터어빈과, 일정한 작동 범위 내에서 상기 임펠러를 출발하여 터어빈에 운동 에너지를 전달하고 회수되는 오일의 방향을 전환하여 다시 임펠러의 회전력을 증대하도록 하는 스테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토크 컨버터의 임펠러로 전달된 엔진의 출력은 상기 터어빈을 통해 변속기어 메커니즘으로 전달되는 바, 상기 변속기어 메커니즘은 다수의 선기어와 링기어 및 캐리어로 구성되는 유성 기어 장치로서, 상기 각 기어들의 회전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어들 간의 상대 운동에 의해 터어빈으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이 적절한 변속비로 변환되어 추진축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변속기어 메커니즘의 각 기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마찰부재를 사용하게 되는 바, 상기 마찰부재로는 일반적으로 프론트 클러치와, 리어 클러치, 로우-리버스 브레이크, 엔드 클러치 및 킥 다운 브레이크를 사용하며, 상기와 같은 마찰부재는 엔진의 회전에 따라 동작되는 오일 펌프에 의해 발생된 유압에 의해 작동된다.
즉, 자동차의 각 부위에 장착된 센서가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에 자동차의 각종 상태를 전달하면, 상기 TCU는 자동차의 상태에 따라 상기 오일 펌프로부터 발생된 압유가 제공되는 유압 관로에 설치된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에 의해 상기 유압 관로에 부분적인 압력 변화가 발생되면, 이에 따라 상기 유압 관로에 설치된 다수의 밸브 기구가 작동되어 상기 마찰부재로의 유압 작용 상태를 변화시키고, 상기 마찰부재는 유압의 작용 상태에 따라 변속기어 메커니즘의 기어 회전 상태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TCU로는 운전자가 선택한 변속레인지가 전달되는 바, 상기한 변속레인지를 선택하는 선택장치로는 레버식과 버튼식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버튼식 변속레인지 선택장치(50)가 도시되어 있는 바, 좌측에 위치한 R 레인지, N 레인지 및 D 레인지 버튼과, 우측에 위치한 모드 레인지 및 강제 상승/하강 쉬프트 레인지 버튼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변속레인지 버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51)과, 상기 코일 스프링(51)의 상측에 고정된 커버(5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52)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고정접점(53)과 이동접점(54)이 접촉되면서 TCU(55)가 이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버튼식 변속레인지 선택장치는 N 레인지 버튼 전후에 R 레인지 버튼과 D 레인지 버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R 레인지 버튼의 조작력과 D 레인지 버튼의 조작력이 동일하게 소요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D 레인지 버튼을 눌러야 하는데 실수로 R 레인지 버튼을 누르게 되면 안전 사고의 위험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R 레인지 버튼이 D 레인지 버튼보다 더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하도록 하여 운전자가 실수로 R 레인지 버튼을 누르더라도 잘 눌러지지 않도록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레인지 버튼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변속기의 버튼식 변속레인지 선택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자동변속기의 변속레인지 버튼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변속레인지 버튼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버튼 케이스2: 코일 스프링
3: 판스프링4: 버튼 커버
5: 고정핀6: 고정접점
7: 이동접점8: TCU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변속레인지 버튼 구조는 버튼 케이스와, 상기 버튼 케이스 내부에 안착된 코일 스프링과, 상기 버튼 케이스 내부의 코일 스프링 상부에 상기 코일 스프링과 이격되게 장착된 돔 상의 판스프링과, 상기 버튼 케이스 내부의 판스프링 상부에 장착된 버튼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변속레인지 버튼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버튼 케이스(1)와, 상기 버튼 케이스(1) 내부에 안착된 코일 스프링(2)과, 상기 버튼 케이스(1) 내부의 코일 스프링(2) 상부에 상기 코일 스프링(2)과 이격되게 장착된 돔 상의 판스프링(3)과, 상기 버튼 케이스(1) 내부의 판스프링(3) 상부에 장착된 버튼 커버(4)로 구성된다.
상기 판스프링(3)은 버튼 케이스(1)에 고정된 고정핀(5) 위에 안착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 커버(4)가 하강하면 고정접점(6)과 이동접점(7)이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버튼식 변속레인지 선택장치에서 R 레인지 버튼을 제외한 다른 레인지 버튼은 종래와 동일한 변속레인지 버튼을 사용하여 약한 조작력으로도 변속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R 레인지 버튼은 본 고안에 따른 변속레인지 버튼을 사용하여 강한 조작력으로만 변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이 R 레인지 버튼으로 사용하는 변속레인지 버튼의 버튼 커버(4)로 외부로부터 약한 조작력이 가해지면 상기 버튼 커버(4)는 판스프링(2)과 코일 스프링(2)의 탄성력을 극복하지 못하기 때문에 하강하지 못하게 되어 고정접점(6)과 이동접점(7)이 접촉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TCU(8)는 R 레인지로 변속하지 않는다.
그러나, 운전자가 상기 버튼 커버(4)에 강한 조작력을 인가하면 상기 버튼 커버(4)는 판스프링(2)과 코일 스프링(2)의 탄성력을 모두 극복하고 하강하게 되어, 고정접점(6)과 이동접점(7)이 접촉하면 TCU(8)는 이를 감지하고 R 레인지로 변속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R 레인지로의 변속이 강한 조작력을 필요로 하게 하여, N 레인지에서 R 레인지로의 변속이 용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실수로 R 레인지 버튼을 누름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버튼 케이스와, 상기 버튼 케이스 내부에 안착된 코일 스프링과, 상기 버튼 케이스 내부의 코일 스프링 상부에 상기 코일 스프링과 이격되게 장착된 돔 상의 판스프링과, 상기 버튼 케이스 내부의 판스프링 상부에 장착된 버튼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레인지 버튼 구조.
KR2019960067808U 1996-12-31 1996-12-31 자동변속기의 변속레인지 버튼 구조 KR199800546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808U KR19980054613U (ko) 1996-12-31 1996-12-31 자동변속기의 변속레인지 버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808U KR19980054613U (ko) 1996-12-31 1996-12-31 자동변속기의 변속레인지 버튼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613U true KR19980054613U (ko) 1998-10-07

Family

ID=5400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7808U KR19980054613U (ko) 1996-12-31 1996-12-31 자동변속기의 변속레인지 버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461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932B1 (ko) * 2006-07-27 2013-03-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시프트 다운 조작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932B1 (ko) * 2006-07-27 2013-03-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시프트 다운 조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1095A (en) Lock-up type automatic transmission
US5109733A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KR19980054613U (ko) 자동변속기의 변속레인지 버튼 구조
EP0040820A2 (en) Electrical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system with two two-way electrically controlled valves and hydraulic switching valve
KR100197141B1 (ko) 차량 자동 변속기의 엔진 브레이크 장치
KR100293553B1 (ko) 자동변속기의오조작방지장치및방법
KR0162776B1 (ko) 자동밋션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
GB2147065A (en) Automatic transmission creep-inhibiting device
KR19980036003U (ko) 자동변속기 주차장치
JPH11247894A (ja) 車両用オートクラッチ装置
KR100290356B1 (ko) 자동변속기차량의브레이킹시변속제어방법
KR100337356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급출발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98172B1 (ko) 자동변속기의킥다운스위치(kickdownswitch)제어장치
KR100279964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0178894B1 (ko) 밸브바디 세퍼레이팅 플레이트의 오리피스 구조
KR970004000B1 (ko) 차속 센서를 이용한 자동변속기용 전 · 후진주행 인식장치
KR19990006422U (ko) 자동변속기의 인터록 솔레노이드용 커넥터
KR200227363Y1 (ko) 자동변속기의디텐트기구
KR100309342B1 (ko) 자동변속기용클러치의유압제어장치
KR19990043379A (ko) 자동 변속기의 셀렉팅장치
JPS6038583B2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KR19980051384A (ko) 차량 자동변속기의 록업제어장치
JPS6241852Y2 (ko)
KR100276912B1 (ko) 자동 변속기의 마찰부재
KR100187846B1 (ko) 자동변속기의 급후진변속방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