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107B1 - 킥 다운 인지기구 - Google Patents

킥 다운 인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107B1
KR101327107B1 KR1020070072107A KR20070072107A KR101327107B1 KR 101327107 B1 KR101327107 B1 KR 101327107B1 KR 1020070072107 A KR1020070072107 A KR 1020070072107A KR 20070072107 A KR20070072107 A KR 20070072107A KR 101327107 B1 KR101327107 B1 KR 101327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contact
kick
recognition mechanism
contact portion
accelerator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830A (ko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2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107B1/ko
Publication of KR20090008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16H59/20Kickdow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026/026Adjusting of accelerator pedal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킥 다운 변속을 위한 가속 조작시 외력의 작용에 의한 수축과 외력의 제거시 수반되는 복원 작용의 과정에서 각각 정숙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구성부품을 단순화시켜 제조원가의 측면이나 조립 생산성 및 부품의 관리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킥 다운 인지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속페달(10)에 의해 연동되는 가압부(16a)와, 상기 가압부(16a)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접촉부(16b)를 갖춘 조작부(16)와; 상기 조작부(16)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가속페달(10)이 설정치 이상으로 답입시 상기 탄성 접촉부(16b)를 수축시켜 상기 가속페달(10)에 대한 답입 저항력을 제공하여 절도감을 생성하는 몸체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킥 다운 인지기구{kick down recognition device}
본 발명은 킥 다운 인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속시 운전자로 하여금 킥 다운 변속의 구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킥 다운 인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기를 탑재한 차량에서는 주행중 운전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가속페달이 작동될 때, 킥 다운 변속의 구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킥 다운 인지기구가 구비되는 바, 상기 킥 다운 인지기구는 가속페달의 답입에 의한 스로틀 밸브의 개방 정도가 대략 80% 정도에 도달하면 운전자로 하여금 절도감을 느끼게 해 주는 장치인 것이다.
그리고, 자동 변속기를 탑재한 차량에서 킥 다운 인지기구가 구비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즉, 주행에 있어 가속은 크게 단순한 차속의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가속과, 변속단을 낮춰 큰 구동력을 얻음으로써 선행 차량을 추월하고자 하는 킥 다운 변속 의 가속으로 각각 구분될 수 있는 바, 상기 킥 다운 인지기구는 주행중 가속시 운전자로 하여금 상기 언급한 가속을 구분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원하는 주행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다.
부연하자면, 킥 다운 인지기구는 주행중 킥 다운 변속시 운전자로 하여금 현재의 가속 상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재의 변속 상태를 인지시켜 주는 일종의 감응 장치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킥 다운 인지기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페달(3)을 지지하는 페달아암(5)의 선회궤적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그 세부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킥 다운 인지기구(1)는 페달아암(5)의 선회궤적상에 고정되는 소켓(1a)과, 상기 소켓(1a)의 내부에 리턴 스프링(1b)을 매개로 지지되는 자성체(1c), 상기 자성체(1c)에 달라붙는 금속체(1d) 및, 상기 소켓(1a)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금속체(1d)를 관통하여 상기 자성체(1c)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킥 다운 변속을 위한 가속시 상기 자성체(1c)와 상기 금속체(1d) 사이를 이격시키는 버튼(1e)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킥 다운 변속을 위한 가속시 상기 페달아암(5)을 깊게 답입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킥 다운 인지기구(1)는 상기 페달아암(5)에 의해 가압되는 데, 이때 상기 버튼(1e)은 상기 소켓(1a)에 대해 상대 이동하면서 상기 자성체(1c)를 가압하여 상기 금속체(1d)로부터 상기 자성체(1c)를 이격시키게 된다.
이때, 운전자는 상기 리턴 스프링(1b)이 가지는 탄성과 상기 자성체(1c)가 가지는 자성에 의해 절도감을 느낄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운전자는 현재의 가속이 킥 다운 변속을 위한 가속이라는 것을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킥 다운 인지기구(1)에서는 내구시 상기 자성체(1c)가 가지는 자력의 저하에 의한 절도감의 미진으로부터 기인되는 킥 다운 변속에 대한 인지성 저하와, 킥 다운 변속을 위한 가속후 상기 가속페달(3)의 리턴시 상기 자성체(1c)와 상기 금속체(1d) 사이에서 발생되는 접촉에 의한 충돌 소음으로 인해 차실내의 정숙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어 왔다.
또한, 종래 킥 다운 인지기구(1)에서는 절도감의 셋팅을 위해 리턴 스프링(1b)에 대한 장력 조절과 자성체(1c)에 대한 자성의 조절이 각각 필수적이었고, 아울러, 상기 자성체(1c)의 내구시 수반되는 자성의 저하를 각각 고려해야 하므로, 킥 다운 변속을 위한 가속시 적정의 절도감을 얻기 위한 기구의 튜닝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 킥 다운 인지기구(1)는 구성부품이 다양함에 따라 부품의 관리적인 측면이나, 제조원가의 측면에서도 불리할 뿐만 아니라, 조립 생산성에 있어서도 개선되어야 하는 소지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킥 다운 변속을 위한 가속 조작시 외력의 작용에 의한 수축과 외력의 제거시 수반되는 복원 작용의 과정에서 각각 정숙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구성부품을 단순화시켜 제조원가의 측면이나 조립 생산성 및 부품의 관리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킥 다운 인지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속페달에 의해 연동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중심방향으로 탄성변형하는 탄성 접촉부를 갖춘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를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가속페달이 설정치 이상으로 답입시 상기 탄성 접촉부를 수축시켜 상기 가속페달의 답입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여 절도감을 생성하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인지기구에 의하면, 주행중 가속시 운전자는 킥 다운 인지기구를 매개로 단순히 차속의 증대를 위한 가속과 변속단을 낮춰 큰 구동력을 얻기 위한 킥 다운 변속을 위한 가속을 각각 구별하여 가속조작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원하는 주행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킥 다운 인지기구에서 절도감의 셋팅은 탄성 접촉부의 경사면과 경사홈부 사이의 경사각에 대한 조절과, 탄성 접촉부가 가지는 재료의 물성에 대한 조절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종래 킥 다운 인지기구에 비해 절도감에 대한 튜닝에 있어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킥 다운 인지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이 수지류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내구시 기능 상실에 대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킥 다운 인지기구의 작동시 발생되는 이상 소음에 대한 문제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킥 다운 인지기구는 종래에 비해 구성부품이 단순화되고, 사출성형과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대량 생산이 용이하게 되므로, 부품의 관리적인 측면이나 제조원가의 측면에서 보다 유리한 이점이 있게 되고, 조립 생산성에 있어서도 훨씬 간편해 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페달(10)은 차실내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12)에 힌지축(H)을 매개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페달아암(14)에 장착되고, 상기 페달아암(14)의 선회궤적상에 킥 다운 인지기구가 설치된다. 상기 힌지축(H)에는 리턴스프링(12a)이 조립되어 있어, 상기 페달아암(14)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12)에 대해 탄력적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킥 다운 인지기구의 설치위치는 상기 가속페달(10)이 설정치 이상으로 답입될 때 동작될 수 있는 위치로 한정되는 바, 상기 설정치는 가속중 킥 다운 변속이 수반될 수 있는 한계값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킥 다운 인지기구는 상기 가속페달(10)의 답입시 연동하는 조작부(16)와, 상기 조작부(16)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가속페달(10)의 답입시 저항력을 생성하며 차실내에 고정되는 몸체부(18)로 구성된다.
상기 조작부(16)는 상기 페달아암(14)과 접촉가능하게 배치된 가압부(16a)와, 상기 가압부(16a)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탄성 접촉부(16b)를 갖추고 있다. 즉, 상기 조작부(16)는 상기 페달아암(14)의 선회궤적상에 위치하여 상기 가속페달(10)의 답입시 연동되는 상기 페달아암(14)에 의해 가압된다.
이 경우, 상기 조작부(16)는 재료의 특성상 탄성력을 구현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느 것으로도 제작될 수 있는 데, 바람직하게는 탄성재의 수지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18)도 역시 상기 조작부(16)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6)와 상기 몸체부(18)를 모두 수지류의 재료로 제작하게 되면, 부품의 제작시 사출성형에 의해 비교적 간편하게 제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부(18)는 상기 조작부(16)를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중공형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가속페달(10)이 설정치 이상으로 답입시 상기 탄성 접촉부(16b)를 수축시켜 상기 가속페달(10)의 답입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가속페달(10)을 답입하는 운전자에게 절도감을 인지시켜 주게 된다.
상기 몸체부(18)는 상기 가압부(16a)와 상기 탄성 접촉부(16b)를 각각 개별적으로 수용하도록 내부에 원통형상의 단차진 형태의 공간부(20)를 갖추는 바, 상기 공간부(20)는 상기 가압부(16a)를 수용하는 대공간부(20a)와, 상기 대공간 부(20a)와 연통되고 상기 탄성 접촉부(16b)를 수용하는 소공간부(20b)로 분할되고, 상기 대공간부(20a)에는 상기 가압부(16a)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턱부(20c)가 상/하로 대향된 부위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16)는 상기 가압부(16a)와 상기 탄성 접촉부(16b) 사이를 구획짓고, 상기 대공간부(20a)내에서 상기 가압부(16a)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한 플랜지부(16c)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소공간부(20b)는 상기 탄성 접촉부(16b)를 변형없이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직선홈부(20b-1)와, 상기 탄성 접촉부(16b)를 반경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수축시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경사홈부(20b-2)를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경사홈부(20b-2)는 상기 탄성 접촉부(16b)의 삽입량과 비례하여 상기 탄성 접촉부(16b)의 반경방향 수축량을 증가시키도록 중심방향을 향해 연속적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 접촉부(16b)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슬릿(16c)을 매개로 다수로 분할되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 접촉부(16b)의 선단에는 상기 경사홈부(20b-2)내로 수축되어 수용되기 위해 상기 탄성 접촉부(16b)의 중공부 중심을 향해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16e)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20)를 형성하는 상기 대공간부(20a)에는 상기 가압부(16a)의 이탈을 억제시키기 위해 상부에 상기 가압부(16a)의 단면적 크기에 해당하는 직경을 가지는 관통구멍(21)이 형성되는 바, 상기 관통구멍(21)의 직경은 상기 플랜지 부(16c)의 직경 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대공간부(20a)의 하부는 상기 소공간부(20b)의 입구와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공간부(20b)의 단면적 크기는 상기 탄성 접촉부(16b)의 직경에 상당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몸체부(18)는 상기 대공간부(20a)와 상기 소공간부(20b)를 각각 종방향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단편(18')들로 형성되고, 각각의 단편(18')들이 가지는 단면부(18")는 상호 맞결합을 통해 결합되어져, 상기 몸체부(18)의 내부에 상기 조작부(16)를 이탈이 억제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킥 다운 인지기구에 있어, 상기 가압부(16a)는 상기 가속페달(10)과 연동되는 상기 페달아암(14)의 선회궤적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18)는 차실내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킥 다운 인지기구에 있어, 상기 몸체부(18)는 상기 페달아암(14)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16a)는 상기 페달아암(14)을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2)의 돌출단부(12b)를 향해 설치된다.
그리고, 제1,제2실시예에 있어, 본 발명의 킥 다운 인지기구의 동작은 킥다운 변속을 위한 가속 조작시 각각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제2실시예에 따른 작동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가속시 운전자에 의해 상기 가속페달(10)이 답입되면, 상기 페달아암(14)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12)을 선회지점으로 하여 선회하게 되고, 상기 페달아암(14)이 설정치 이상으로 선회되면, 상기 조작부(16)의 가압부(16a)가 상기 페달아암(14)에 접촉되어 상기 몸체부(18)의 내부로 밀리게 된다.
상기 몸체부(18)의 내부로 상기 조작부(16)가 진입하게 되면, 상기 가압부(16a)는 상기 대공간부(20a)내에서 이동하고, 상기 탄성 접촉부(16b)는 상기 소공간부(20b)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 접촉부(16b)의 선단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16e)이 상기 소공간부(20b)의 직선홈부(20b-1)내에서 경사홈부(20b-2)내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탄성 접촉부(16b)는 부재의 반경방향 중심을 향해 수축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 접촉부(16b)는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된 슬릿(16c)을 매개로 반경방향으로 수축되면서 상기 소공간부(20b)의 경사홈부(20b-2)내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속페달(10)을 답입하는 운전자는 상기 경사홈부(20b-2)내에서 발생되는 상기 탄성 접촉부(16b)의 수축변형에 따른 저항력을 인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운전자는 상기 가속페달(10)의 답입시 절도감을 느낄 수 있게 되므로, 현재 킥 다운 변속이 수반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속페달(10)의 리턴시에는 상기 페달아암(14)으로부터 상기 조작부(16)에 가해졌던 가압력이 제거되므로, 상기 소공간부(20b)의 경사홈부(20b-2)내에 위치한 상기 탄성 접촉부(16b)는 부재가 가지는 탄성력을 매개로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확장되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 접촉부(16b)는 상기 경사홈부(20b-2)로부터 벗어나 상기 직선홈부(20b-1)로 이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다음 번 킥 다운 변속의 인지를 위한 준비 단계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킥 다운 인지기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킥 다운 인지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
도 3은 종래 킥 다운 인지기구의 조작 전/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인지기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인지기구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작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몸체부의 종단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인지기구의 조작 전/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킥 다운 인지기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가속페달 12-마운팅 브라켓
14-페달아암 16-조작부
18-몸체부 20-공간부

Claims (12)

  1. 가속페달에 의해 연동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접촉부를 갖춘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가속페달이 설정치 이상으로 답입시 상기 탄성 접촉부를 수축시켜 상기 가속페달의 답입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여 절도감을 생성하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킥 다운 인지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탄성 접촉부를 각각 개별적으로 수용하도록 내부에 원통형상의 단차진 형태의 공간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다운 인지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가압부를 수용하는 대공간부와, 상기 대공간부와 연통되고 상기 탄성 접촉부를 수용하는 소공간부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다운 인지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대공간부에는 상기 가압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턱부가 상/하로 대향된 부위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다운 인지기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탄성 접촉부 사이를 구획짓고, 상기 대공간부내에서 상기 가압부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한 플랜지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다운 인지기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공간부는 상기 탄성 접촉부를 변형없이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직선홈부와, 상기 탄성 접촉부를 반경방향으로 수축시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경사홈부를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다운 인지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경사홈부는 상기 탄성 접촉부의 삽입량과 비례하여 상기 탄성 접촉부의 반경방향 수축량을 증가시키도록 중심방향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다운 인지기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슬릿을 매개로 다수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다운 인지기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부의 선단에는 상기 경사홈부내로 수축되어 수용되기 위해 상기 탄성 접촉부의 중공부 중심을 향해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다운 인지기구.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대공간부와 상기 소공간부를 각각 종방향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단편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편의 단면부는 맞결합을 통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상기 조작부를 이탈이 억제된 상태로 수용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다운 인지기구.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속페달과 연동되는 페달아암의 선회궤적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는 차실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다운 인지기구.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페달아암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페달아암을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운팅 브라켓의 돌출단부를 향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다운 인지기구.
KR1020070072107A 2007-07-19 2007-07-19 킥 다운 인지기구 KR101327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107A KR101327107B1 (ko) 2007-07-19 2007-07-19 킥 다운 인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107A KR101327107B1 (ko) 2007-07-19 2007-07-19 킥 다운 인지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830A KR20090008830A (ko) 2009-01-22
KR101327107B1 true KR101327107B1 (ko) 2013-11-07

Family

ID=4048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107A KR101327107B1 (ko) 2007-07-19 2007-07-19 킥 다운 인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1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427B1 (ko) * 2009-12-03 2014-11-2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가속 페달용 킥다운 스위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3488A1 (en) 2001-08-31 2004-08-26 Siemens Ag Wear-free accelerator pedal kick-down switch
KR20060053407A (ko) * 2004-11-15 2006-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킥 다운 스위치
KR100614525B1 (ko) 2005-08-22 2006-08-28 (주) 동희산업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JP2007090985A (ja) 2005-09-28 2007-04-12 Denso Corp アクセル装置のキックダウン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3488A1 (en) 2001-08-31 2004-08-26 Siemens Ag Wear-free accelerator pedal kick-down switch
KR20060053407A (ko) * 2004-11-15 2006-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킥 다운 스위치
KR100614525B1 (ko) 2005-08-22 2006-08-28 (주) 동희산업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JP2007090985A (ja) 2005-09-28 2007-04-12 Denso Corp アクセル装置のキックダウン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830A (ko)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97756B (zh) 用于电子键盘乐器的琴槌装置及键盘装置
US6209408B1 (en) Electrical sensing system for a vehicle shifter
US20090064816A1 (en) Kick down switch of accelerator pedal apparatus
US20140306432A1 (en) Vibration reducing structure for steering wheel
US7296494B2 (en) Accelerator pedal module
JP2002542109A (ja) ペダル値信号発生装置
KR101384009B1 (ko) 작동 장치
EP0748958B1 (en) Shift lock mechanism for shift lever device
JP6653267B2 (ja) 車両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用の操作要素の移動を調整するための装置、この装置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車両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をシフトするためのシフト装置
US6167778B1 (en) Gas pedal for a motor vehicle
CN101051455A (zh) 键盘装置中的键导向结构
US7012202B2 (en) Switch case mounting structure
JP2017517432A5 (ko)
US6384355B1 (en) Parallel guide mechanism for a switch
US20080116048A1 (en) Switch unit operable with rocker switches for control units
KR101327107B1 (ko) 킥 다운 인지기구
KR101047393B1 (ko)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KR101427822B1 (ko) 가속페달 모듈용 킥 다운 스위치
KR101109417B1 (ko) 자동차용 기계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US20110296946A1 (en) Pedal Apparatus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00300231A1 (en) Shift lever device
US8250945B2 (en) Adjustable operating mechanism for kick down switch
KR100877959B1 (ko) 이중 디텐트핀
EP3588483B1 (en) Keyboard instrument
KR102405971B1 (ko) 킥다운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