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0379A - 렌즈 구동장치,박형 카메라 및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장치,박형 카메라 및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0379A
KR20040090379A KR1020030071785A KR20030071785A KR20040090379A KR 20040090379 A KR20040090379 A KR 20040090379A KR 1020030071785 A KR1020030071785 A KR 1020030071785A KR 20030071785 A KR20030071785 A KR 20030071785A KR 20040090379 A KR20040090379 A KR 20040090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holder
optical axis
roto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3258B1 (ko
Inventor
야마모토도시오
오츠키노보루
후지타유지
미야사카요시후사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1295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31786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4531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347890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40090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2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통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렌즈의 위치 유지를 행할 수 있고,또한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는 렌즈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렌즈 구동장치(1)에 있어서,렌즈 홀더(3)를 렌즈(2)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4)는 둘레 방향으로 착자(着磁)되는 마그네트(61)를 구비한 로터(60) 및 스테이터(62)를 구비한 전자 (電磁)기구(6)와,로터(60)의 회전을 렌즈 홀더(3)를 광축 방향으로의 직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7)를 가지며,렌즈 홀더(3)를 에워싸도록 구성된다.변환기구(7)는 렌즈 홀더(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홈(34)과,로터(60)의 내주면에서 지지되어 나선홈(34)에 들어간 계합돌기(61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렌즈 구동장치,박형 카메라 및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 {LENS DRIVING APPARATUS, THIN-TYPE CAMERA AND MOBILE TELEPHONE ATTACHED WITH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등에 사용되는 렌즈 구동장치 및 박형 카메라와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더욱 상세하게는,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 및 위치 유지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등에 탑재되는 박형 카메라로서는 촬영에 있어서의 초점 조정이나 줌 조정을 행하기 위한 렌즈 이동거리가 통상의 카메라에 비해 짧으므로,렌즈를 직접,자기(磁氣) 구동하는 렌즈 구동장치가 적합하다.이와 같은 자기 구동 타입의 렌즈 구동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즉,렌즈를 지지하는 통상의 렌즈 홀더와,렌즈 홀더의 외주에 설치한 링 형상의 로터 마그네트와,로터 마그네트에 대향하는 구동 코일을 가지며,구동 코일로의 통전을 제어함으로써,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를 변환기구를 통하지 않고 직접,광축 방향으로 직동(直動)시킴과 동시에,그곳에 렌즈 홀더를 자기 지지하는 구성의 것이 고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한편,모터의 회전력을 직진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를 이용하는 경우의 예로서,렌즈가 지지되는 렌즈 홀더를 광축에 따라 안내하는 가이드 축을 채용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3 참조).
[특허문헌 1]
특개평 10-150759호 공보(제3-5면,도 1-3)
[특허문헌 2]
특개평 9-106314호 공보(도 1)
[특허문헌 3]
특개평 10-142472호 공보(요약서)
그러나,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렌즈구동 장치로는,구동 코일에 통전하여 여자(勵磁)시킴으로써 렌즈 홀더의 위치를 지지하고 있으므로,통전을 정지하면 렌즈 홀더의 위치 지지가 해제되고 만다.이 때문에,통전을 정지했을 때에 외력,진동에 의해 렌즈의 위치가 이동하고 만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그렇다고 해서,평상시,급전하면 소비 전력이 커서,휴대 전화기등과 같은 휴대기기에 탑재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특허문헌 1과같은 종래의 렌즈구동 장치로는,렌즈 홀더의 가이드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렌즈의 위치 정밀도,특히 둘레방향의 위치 정밀도가 나빠지기 쉽게 되거나,렌즈의 수평 정밀도가 떨어지기 쉽게 된다.또,구동코일에 통전하여 여자시킴으로써 렌즈 홀더의 위치를 지지하므로,통전을 정지하면 렌즈 홀더의 위치 지지가 해제된다.이 때문에,통전을 정지했을 때에 외력,진동에 의해 렌즈의 위치가 이동하고 만다고 하는 문제점도 존재한다.그렇다고 해서 평상시 급전하면 소비 전력이 커지고,휴대 전화기등과 같은 휴대기기에 탑재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특허문헌 2나 3과같은 회전운동을 직진운동으로 바꾸어서 힘을 전달하는 렌즈 구동기구의 경우,모터 기구로부터 렌즈 홀더까지의 힘의 전달기구나 변환기구가 복잡화하고,조립작업의 효율이 악화함과 동시에 렌즈 구동기구가 편입되는 장치가 대형화하기 쉽게 된다.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통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렌즈의 위치 지지를 행할 수가 있고,또한,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는 렌즈 구동장치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렌즈의 위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고,또한, 소형화를 도모한다고 하는 과제를 해결 가능한 렌즈 구동장치 및 박형 카메라와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 및 (B)는 도 1에 나타내는 렌즈 구동장치에 구성한 변환기구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B),(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 렌즈 위치가 광각모드(원점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표준모드에 있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및 망원모드에 있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B),(C),(D)는 각각 도 4에 나타내는 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제1 렌즈 홀더의 외주면에 형성한 제1 안내 홈의 설명도,제1 안내 홈을 둘레 방향으로전개했을 때의 설명도,제2 렌즈 홀더의 외주면에 형성한 제2 안내 홈의 설명도,및 제2 안내 홈을 둘레 방향으로 전개했을 때의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장치 및 박형 카메라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나는 렌즈 구동장치 중의 로터에 형성되는 홈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A)는 홈이 있는 링의 이미지 도면으로,(B)는 각 홈에 대응한 각 렌즈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렌즈동작 도면.
도 8은 도 6에 나타나는 렌즈구동 장치중의 변환기구에 의해 직동 동작하는 각 렌즈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A)는 망원 촬영시의 각 렌즈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B)는 표준 촬영시의 각 렌즈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C)는 광각 촬영시의 각 렌즈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6에 나타나는 렌즈구동 장치중의 고정렌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A)는 (B)에 나타내는 A-A선 단면도이며,(B)는 평면도.
도 10은 도 6에 나타나는 렌즈구동 장치중의 가동하는 렌즈로서 대물측의 렌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A)는 (B)에 나타내는 A-A선 단면도에 그 C-C선 단면도를 부가한 도면으로,(B)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나타나는 렌즈구동 장치중의 가동하는 렌즈로서 촬상 소자측의 렌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A)는 (B)에 나타내는 A-A선 단면도에 그 C-C선 단면도를 부가한 도면으로,(B)는 평면도.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와 이 렌즈 홀더를 상기 렌즈의 광축에 따라서 직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가지는 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상기 구동수단은,상기 렌즈 홀더를 외주측에서 에워 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광축 주위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자기구와,이 전자기구가 발생시킨 회전 구동력을 상기 광축에 따르는 직선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 변환하고, 상기 렌즈 홀더를 직동시키는 변환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렌즈 홀더를 외주측에서 에워싸도록 구동 수단을 설치했기 때문에,렌즈 홀더의 측방에 구동수단을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렌즈 구동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전자기구가 발생시킨 회전 구동력을 변환기구에 의해 광축에 따르는 직선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렌즈 홀더를 직동시키기 때문에,전자기구에 대한 급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렌즈 홀더에 광축방향의 외력이 가해져도,이와 같은 외력에 의해 렌즈 홀더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변환기구가 저지한다. 따라서,전자기구에 급전하지 않아도 렌즈 홀더를 소정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상기 렌즈는 1개 혹은 복수의 어느 것이라도 된다.상기 렌즈가 복수의 경우에는,해당 복수의 렌즈가 공통의 렌즈 홀더에 유지되는 구성,및 복수의 렌즈가 각각,다른 렌즈 홀더에 유지되는 구성의 어느 쪽이라도 된다.복수의 렌즈가 각각,다른 렌즈 홀더에 유지되는 경우에는,상기 렌즈 홀더는 각각이 상기 렌즈를 지지하여 상기 광축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고,해당 북수의 렌즈 홀더의 각각에 대해 상기 변환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와 같이 구성하면,복수의 렌즈의 각각에 다른 움직임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상기 전자기구는 외주면이 둘레 방향으로 착자되는 링 형상의 마그네트를 구비한 로터와,상기 링 형상의 마그네트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복수의 극치(極齒)가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구비하고 있는 기구,즉,스테핑 모터의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와 같이 구성하면,전자기구에 대한 급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렌즈 홀더에 광축방향의 외력이 가해져도,이와 같은 외력에 의해 렌즈 홀더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스테이터와 로터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디텐트 토크도 저지한다. 따라서,전자기구에 급전하지 않아도 렌즈 홀더를 소정위치에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또,스테이터로의 급전에 의해 스텝 수를 제어하는것 만으로,렌즈의 광축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상기 로터의 상기 광축에 따른 이동을 규제한 상태에서 해당 로터를 상기 광축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가지며,상기 변환기구는,상기 렌즈 홀더의 외주면 및 상기 로터의 내주면 중의 한쪽의 면에 형성되는 안내 홈과,상기 렌즈 홀더의 외주면 및 상기 로터의 내주면 중의 다른 쪽의 면에 유지되고,상기 안내 홈 내에 들어가서 상기 로터가 회전했을 때에 상기 안내 홈 내를 상대 이동하고, 상기 렌즈 홀더를 상기 광축에 따라 직동시키는 계합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렌즈를 광축주위에 회전시키는 일 없이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또,렌즈 홀더는 계합수단이 안내 홈 내를 상대 이동함으로써 직동하므로,광축에 대한 안내 홈의 경사각을 조정함으로써,로터의 회전에 의한 렌즈 홀더의 광축방향의 이동량이나 위치 정밀도를 최적조건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상기 렌즈 홀더는 각각이 상기 렌즈를 지지하여 상기 광축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해당 복수의 렌즈 홀더의 각각에 대해 상기 변환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구성한 경우,상기 복수의 렌즈 홀더의 각각에 대한 상기 변환 기구에서는 각각 상기 안내 홈이 다른 홈 패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와 같이 구성하면,복수의 렌즈의 각각에 다른 움직임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상기 로터는 상기 렌즈 홀더와 일체로 구성되고,상기 변환기구는 상기 로터의 외주면 및 상기 스테이터의 내주면 중의 한쪽의 면에 형성되는 안내 홈과,상기 로터의 외주면 및 상기 스테이터의 내주면 중의 다른쪽의 면에 유지되고,상기 안내 홈 내에 들어가서 상기 로터가 회전했을 때 상기 안내 홈 내를 상대 이동하고, 상기 렌즈 홀더를 상기 광축에 따라 직동시키는 계합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와 같이 구성하면,로터와 렌즈 홀더를 일체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부품수나 조립공수를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상기 계합수단은 상기 다른쪽의 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이와 같이 구성하면,구체가 베어링 볼로서 기능하므로,렌즈 홀더를 효율적으로 직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와 이 렌즈 홀더를 렌즈의 광축에 따라 직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가지는 렌즈구동 장치에 있어서,구동수단은 렌즈 홀더를 외주측에서 둘러 싸도록 배치되어서 렌즈 홀더를 광축 방향에 따라 직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자기구와,이 전자기구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동시에,렌즈 홀더에 설치한 계합부에 계합하고,이 렌즈 홀더의 광축에 대한 경사를 억제하여 광축에 따른 직동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렌즈 홀더를 외주측에서 에워싸도록 전자기구를 설치했기 때문에,렌즈 홀더의 측방에 전자기구를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렌즈 구동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또,가이드 축의 존재에 의해 렌즈의 위치정밀도,특히 둘레방향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켜 렌즈의 수평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또한,렌즈 홀더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축이 전자기구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즉 전자기구와 렌즈의 사이에 있는 렌즈 홀더 부분에 배치되기 때문에,렌즈 구동장치의 지름방향의 크기를 억제할 수 있다.
다른 발명은,상술한 발명의 렌즈 구동장치에 더하여 렌즈 홀더는 2개의 가이드 축에 동시에 가이드 되어서 직동 동작하고,계합부는 가이드 축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는 접동부(摺動部)를 각각 가지며,한쪽의 접동부를 다른쪽 보다 광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가이드 축이 2개이기 때문에 렌즈 홀더의 비틀림 현상이 생기기 어렵고,위치 쳐짐도 발생하기 어렵다.게다가,긴 접동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렌즈 홀더의 쓰러짐이 생기기 어려워지고,렌즈가 광축과 평행으로 직동하게 된다.
또,렌즈 홀더에는,다른 렌즈 홀더를 가이드하는 길게 형성되는 접동부를 빠지는 릴리프부가,가이드하지 않는 가이드 축이 삽통하는 부분에 반경방향의 내측에 절결하는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 구성을 채용하면,길게 형성되는 접동부가 릴리프부에 들어갈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어서 소형화하기 쉬워진다.더구나,가이드하지 않는 가이드 축의 주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다른 2개의 가이드 축에서의 안내의 방해로 되는 일이 없다.
또,광축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2개의 렌즈 홀더와,둘레 방향으로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는 3개의 가이드 축을 가지며,2개의 렌즈 홀더는 공통하는 1개의 가이드 축 및 다른 1개의 가이드 축의 합계 2개의 가이드 축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와 같이 구성하면,3개의 가이드 축이 균형있게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또,2개의 가이드 축에 의해 가이드되기 때문에,회전방지와 원활한 직동 동작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구동 수단은,렌즈 홀더를 외주측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서 광축주위의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자기구와,이 전자기구가 발생시킨 회전 구동력을 광축에 따른 직선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렌즈 홀더를 직동시키는 변환기구를 구비하고,변환 기구는 전자기구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동시에,가이드 축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 발명에서는,전자기구가 발생시킨 회전 구동력을 변환기구에 의해 광축에 따른 직선 방향으로의 구동력에 메커니즘 적으로 변환하여 렌즈 홀더를 직동시키기 때문에,전자기구에 대한 급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렌즈 홀더에 광축방향의 외력이 가해져도,이와 같은 외력에 의해 렌즈 홀더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변환기구의 메커니즘 적인 작용에 의해 저지한다.
따라서 전자기구에 급전하지 않아도,렌즈 홀더를 소정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더구나,변환기구가 전자기구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즉 전자기구와 렌즈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렌즈 구동장치의 지름방향의 크기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전자 기구는,외주면이 둘레방향에 NS 교대로 착자되는 링 현상의 마그네트를 갖는 로터와,링 현상의 마그네트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복수의 극치가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구비하고,변환기구는 렌즈 홀더의 외주면 및 로터의 내주면 중의 한쪽 면에 형성되는 안내 홈과,렌즈 홀더의 외주면 및 로터의 내주면 중의 다른쪽 면에 유지되고,안내 홈 내에 들어가서 로터가 회전했을 때에 안내 홈 내를 상대이동하여 렌즈 홀더를 광축에 따라 직동시키는 돌기부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와 같이 구성하면,전자기구에 대하는 급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렌즈 홀더에 광축 방향의 외력이 가해져도,이와 같은 외력에 의해 렌즈 홀더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스테이터와 로터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디텐트 토크에 의해서도 저지한다.
따라서 전자기구에 급전하지 않아도,렌즈 홀더를 소정위치에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또,전자기구를 스테핑 모타로 할 수 있기 때문에,그 경우 스테이터로의 급전에 의해 스텝 수를 제어하는 것 만으로,렌즈의 광축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또,이 변환기구에서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렌즈를 광축 주위에 회전시키는 일없이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또,렌즈 홀더는 돌기부가 안내 홈 내를 상대 이동함으로써 직동하므로,광축에 대한 안내 홈의 경사각을 조정함으로써,로터의 회전에 의한 렌즈 홀더의 광축방향의 이동량이나 위치 정밀도를 최적 조건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계합부 부근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안내 홈에 의해 안내되는 돌기부와 가이드 축에 안내되는 계합부와의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서로의 안내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힘을 함께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길게 형성되는 접동부가 2개의 렌즈 홀더로 끼워지는 공간내에 돌출하도록 형성되고,변환기구는 2개의 렌즈 홀더가 각각 지지하는 렌즈의 간격을 가변으로 하는 기구로 되며,그 간격이 좁아 졌을 때에 길게 형성되는 각각의 접동부를 대응하는 릴리프부에 각각 들어가기 가능으로 하는 동시에,릴리프부에 들어간 길게 형성되는 각 접동부의 외주면과 그 릴리프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 구성으로 하면 줌 렌즈 기구를 채용한 경우,렌즈안내의원활화와 함께 줌 렌즈 기구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다른 발명으로는,상술한 각 발명의 렌즈 구동장치에 더하여,렌즈와 렌즈 홀더를 수지의 일체 성형체로 구성하고,렌즈부분을 비구면 수지 렌즈로 하며 렌즈 홀더 부분의 일부를 계합부로 한다.이 구성으로 하면 조립 정밀도,특히 렌즈 홀더를 렌즈의 광축과 가이드 축의 양축에 대해 수직으로 되는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직동 동작시킬 때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본 발명의 박형 카메라는 상술한 렌즈 구동장치와,이 렌즈 구동장치의 대물측에 고정배치되는 커버유리와,광축방향으로 렌즈 구동장치중의 렌즈를 사이에 두고 커버유리와는 반대측에 고정배치되는 촬상소자와,렌즈 구동장치 중의 렌즈 홀더로서 광축방향으로 직동동작을 하는 동시에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에 고정되는 조리개를 갖는다.
이 박형 카메라는,렌즈 구동부분이 편평화가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의 박형화가 가능해 진다.또,통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렌즈의 위치유지를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통전을 평상시 행할 필요가 없어지고 저소비 전력화 한 카메라로 된다.또,직동동작하는 렌즈 홀더에 조리개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개를 렌즈 홀더에 고정하고, 렌즈 홀더를 편입하면 자동적으로 조리개도 편입되는 것으로 되어 조리개의 편입작업이 효율화된다.또,렌즈 홀더의 가이드 축에 대한 수직도를 그대로 이용하여 조리개가 편입되게 되기 때문에,광축에 대한 조리개의 수직도를 설치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또,다른 발명은,상술한 박형 카메라에 더하여 렌즈 홀더를 적어도 2개 설치하고,렌즈 사이의 간격을 가변으로 하는 것으로 줌잉을 가능하게 하고,간격이 가변으로 되는 렌즈 홀더로서 대물측에 배치되는 렌즈 홀더의 촬상 소자측에 조리개를 고정 배치한다.이 발명에서는,줌잉기구의 대물측의 렌즈 홀더의 촬상 소자측에 조리개가 고정되어 있으므로,줌잉기구의 대물측의 렌즈를 통과한 빛으로서 렌즈로서 충분한 기능을 다하지 않는 부분을 통과해 오는 빛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대물측의 렌즈에 의해 올바르게 굴절되어 온 빛만을 촬상 소자측의 렌즈에 안내할 수 있다.
또,본 발명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는,상술한 박형 카메라를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의 카메라부로 하고, 박형 카메라중의 커버유리의 표면과 케이스의 표면을 일직선상에 배치하며,커버유리의 표면으로부터 박형 카메라중의 촬상소자의 뒷면까지의 길이를 6∼10mm으로 하고, 촬상소자와 케이스의 뒷면과의 사이에 촬상소자에 접속되는 기판을 배치한다.
이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는,카메라부분이 편평 소형화되어 있고,게다가 커버유리의 표면으로부터 촬상소자의 뒷면까지의 길이가 6∼10mm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전체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된다.또,렌즈 구동장치로의 통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렌즈의 위치유지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통전을 평상시 행할 필요가 없어지며 저소비 전력화 한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로 할 수 있다. 또한,촬상소자의 뒷면과 케이스의 뒷면과의 사이에 촬상소자에 접속되는 기판을 배치하고 있으므로,촬상 소자가 기판에 보호받아,높은 수명화와 고 신뢰성을 달성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본 발명을 적용한 렌즈 구동장치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전체구성)
도 1은,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것처럼,렌즈 구동장치(1)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등에 탑재되어 있는 박형 카메라에 있어서 렌즈(2)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며, 렌즈(2)를 구비한 원통형상의 렌즈 홀더(3)와,렌즈 홀더(3)를 렌즈(2)의 광축 F에 따라 피사체에 근접하는 A방향,및 피사체로부터 멀어지는 B방향의 쌍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4)와,렌즈 홀더(3) 및 구동기구(4)가 수납되는 케이스(5)를 구비한다.
케이스(5)는,케이스 본체(51)와,이 케이스 본체(51)에 광축 F에 따른 방향으로부터 꼭 끼이는 케이스 뚜껑(52)을 구비한다.케이스 본체(51)는,중앙에 렌즈 홀더(3)를 이동시키기 위한 개구(51a)가 형성되는 단면(51b)과,단면(51b)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뻗는 통 형상 몸통부(51c)를 구비한다.케이스 뚜껑(52)은,중앙에 렌즈 홀더(3)를 이동시키기 위한 개구(52a)와,케이스 본체(51)의 통 형상 몸통부(51c)에 꼭 끼이는 원판부(52b)를 구비한다.원판부(52b)의 외측단면(52c)에는,구동장치(4)에 급전하기 위한 단자(53)가 장착된다.
원판부(52b)의 개구(52a)의 가장자리 부분에는,구동기구(4)측에 베어링 볼(54)이 장착되고,그 반대측에는 단부(52d)가 형성된다.
케이스(5)에는,케이스 본체(51)의 단면(51b)과 케이스 뚜껑(52)의 원판부(52b)의 사이에 구동기구(4)가 수납되고,케이스 뚜껑(52)의 개구(52a)로부터 케이스 본체(51)의 개구(51a)에 향해 렌즈 홀더(3)가 삽입된다.
렌즈 홀더(3)는,렌즈(2)를 내주측에 지지하는 원통부(31)와,원통부(31)의 단부에형성되는 플랜지부(32)를 구비한다.원통부(31)는,케이스 본체(51)의 개구(51a)의 내주면을 접동 가능한 외형치수를 갖는다.플랜지부(32)는 케이스 뚜껑(52)의 단부(52d)에 꼭 끼이는 형상을 가지고 있고,플랜지부(32)와 단부(52d)와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55)이 압축상태로 끼워 넣어져 있다.
(구동기구 4의 구성)
도 2(A),(B)는, 도 1에 나타내는 렌즈 구동장치에 구성한 변환기구의 설명도이다.
본 형태에 있어서,구동기구(4)는 렌즈 홀더(3)를 외주측에서 에워 싸도록 배치되어서,광축 F주위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자기구(6)와,이 전자기구(6)가 발생시킨 회전 구동력을 광축 F에 따른 직선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렌즈 홀더 (3)를 직동시키는 변환기구(7)를 갖는다.
전자기구(6)는,PM형 스테핑 모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외주면이 둘레 방향으로 착자되는 링 형상의 마그네트(61)로 이루어지는 로터(60)와,링 형상의 마그네트(61)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스테이터(62)를 구비한다.
마그네트(61)는 렌즈 홀더(3)를 외주측에서 에워 싸도록 배치되고,둘레 방향으로 다극(多極)착자된다.
스테이터(62)는,광축방향에 따라 배치되는 제1 구동코일(63)과,제2 구동코일 (64)을 갖는다.제1 구동코일(63)은,광축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제1 외부 스테이터 코어(631) 및 제1 내부 스테이터 코어(632)에 끼여져 있다.제1 외부 스테이터 코어(631) 및 제1 내부 스테이터 코어(632)에는,제1 구동코일(63)의 내주면에 따라 번갈아 정열하는 복수의 극치가 형성된다.동일하게,제2 구동코일(64)도 광축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제2 내부 스테이터 코어(641) 및 제2 외부 스테이터 코어(642)에 끼여져 있다.제2 내부 스테이터 코어(641) 및 제2 외부 스테이터 코어(642)에도,제2 구동코일(64)의 내주면에 따라 번갈아 정열하는 복수의 극치가 형성된다.
여기서,로터(60)는 베어링 볼(54)에 의해 광축 F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한편,렌즈 홀더(3)는 코일 스프링(55)에 의해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또한,마그네트(61)와 렌즈 홀더(3)는,이하에 설명하는 변환기구(7)를 통하여 기구적으로 결합한다.이 때문에,로터(60)는 광축 F에 따른 이동이 규제되는 상태에서 광축 F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본 형태에서는 베어링 볼(54),코일 스프링(55),및 변환기구(7)에 의해,로터(60)에 대한 지지수단이 구성된다.
또,렌즈 홀더(3)는 플랜지부(32) 및 케이스(5)에 있어서 플랜지부(32)가 위치하는 부분이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등의 회전 저지수단에 의해 광축 F주위의 회전이 저지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변환기구(7)는 렌즈 홀더(3)의 외주면(33)에 형성되는 나선 홈(34)(안내 홈)과,로터(60)(마그네트(61))의 내주면(611)에서로 지지되는 계합돌기(612)(계합수단)를 가지고 있고,계합돌기(612)는 나선홈(34) 내부에들어간 상태에 있다.본 형태에 있어서,계합돌기(612)는 둘레방향의 적어도 3개소에 배치된다.
여기서 계합돌기(612)는,로터(60)의 내주면(611)에 유지되는 상태로 나선홈(34)내부에 들어가 있으면,로터(60)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라도 좋으나,본 형태에서는 계합 돌기(612)로서,로터(6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凹부(61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강구(球體)가 사용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변환기구(7)에서는,도 2(A)에 나타낸 것처럼 로터(60)(마그네트(61))가 시계돌기CW로 회전하면,도 2(B)에 나타낸 것처럼 로터(60)의 계합돌기(612)가 나선홈(34) 내부를 안내한다.이 때,렌즈 홀더(3)는 케이스(5)에 의해 광축 F주위의 회전이 저지되어 있기 때문에,렌즈 홀더(3)를 회전시키는 일 없이,광축 F에 따라 A방향으로 직동시킬 수 있다.또,마그네트(61)가 반 시계돌기CCW로 회전하면,렌즈 홀더(3)를 회전시키는 일 없이,광축 F에 따라 B방향으로 직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렌즈 구동장치(1)에 있어서,렌즈(2)를 구동할 때 제1 구동코일(63) 및 제2 구동코일(64)에 통전하여 로터(60)(마그네트(61))를 시계돌기CW,또는 반 시계 돌기CCW로 회전시키면,변환기구(7)에 의해 렌즈(2)를 피사체로 근접시키는 A방향,또는 렌즈(2)를 피사체로부터 멀리하는 B방향으로 렌즈 홀더(3)를 이동시킬 수 있다.또,렌즈(2)가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한 이후는,제1 구동코일(63) 및 제2 구동코일(64)에 대한 통전을 정지하면 된다.
(본 형태의 효과)
이와같이 본 형태의 렌즈 구동장치(1)에 있어서는,렌즈 홀더(3)를 외주측에서 에워 싸도록 구동기구(4)를 배치했기 때문에,렌즈 홀더(3)의 측방에 구동기구를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렌즈 구동장치(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본 형태에서는,전자기구(6)가 발생시킨 회전 구동력을 변환기구(7)에 의해 광축 F에 따른 직선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렌즈 홀더(3)를 직동시키기 위해서,전자기구(6)에 대한 급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렌즈 홀더(3)에 광축 F방향의 외력이나 진동이 가해져도,이같은 외력이나 진동에 의해 렌즈 홀더(3)가 광축 F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변환기구(7)가 저지하도록 한다. 따라서,전자기구(6)에 급전하지 않아도 렌즈 홀더(3)를 소정위치에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전자기구(6)는 스테핑 모터의 구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전자기구(6)에 대한 급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렌즈 홀더(3)에 광축 F방향의 외력이나 진동이 가해져도,이같은 외력이나 진동에 의해 렌즈 홀더(3)가 광축 F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스테이터(62)와 로터(60)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디텐트 토크가 저지한다. 따라서,전자기구(7)에 급전하지 않아도 렌즈 홀더(3)를 소정위치에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또,스테이터(62)로의 급전에 의해 스텝 수를 제어하는 것만으로,렌즈(2)의 광축 F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본 형태에서는 렌즈 홀더(3)와 로터(60)와의 사이에 변환기구(7)를 설치했기 때문에,렌즈 홀더(3)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다.그래서,본 형태에서는 렌즈 홀더(3)의 회전을 케이스(5)로 제어한다.이 때문에,본 형태에서는 렌즈(2)를 광축주위에 회전시키는 일 없이,광축 F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또,렌즈 홀더(3)는 계합 돌기(612)가 나선홈(34) 내부를 상대 이동함으로써 직동하므로,광축 F에 대한 나선 홈(34)의 경사각을 조정함으로써,로터(60)의 회전에 의한 렌즈 홀더(3)의 광축방향의 이동량이나 위치 정밀도를 최적 조건으로 설치할 수 있다.
더구나,계합돌기(612)로서 로터(60)의 내주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체를 사용했기 때문에,구체로 이루어지는 계합돌기(612)는,베어링 볼로서 기능한다.
그러므로,렌즈 홀더(3)를 효율적으로 직동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1의 변형예)
실시형태 1에서는,변환기구(7)로서 렌즈 홀더(3)의 외주면(33)에 나선홈(34)을 형성하고,로터(60)의 내주면(611)에 계합돌기(612)(계합수단)를 지지시켰으나,그와는 반대로 로터(60)의 내주면에 나선홈(안내 홈)을 형성하고,렌즈 홀더(3)의 외주면에 계합돌기(계합수단)를 지지시켜도 된다.
[실시형태 2]
도 3은,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2는 기본적인 구성이 실시형태 1과 동일하므로,공통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그러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나타낸 것처럼,본 형태의 렌즈 구동장치(1A)는 렌즈(2)를 구비한 원통형상의 렌즈 홀더(3)와,렌즈 홀더(3)를 렌즈(2)의 광축 F에 따라 피사체에 접근하는 A방향,및 피사체로부터 멀어지는 B방향의 쌍방향으로 이동시키는구동기구(4A)와,렌즈 홀더(3) 및 구동기구(4A)가 수납되는 케이스(5A)를 구비한다.
케이스(5A)는 케이스 본체(51)와 이 케이스 본체(51)에 광축 F에 따른 방향으로부터 꼭 끼이는 케이스 뚜껑(52A)을 구비한다.
케이스(5A)내에는,케이스 본체(51)와 케이스 뚜껑(52A)과의 사이에 구동기구(4A)가 수납되고,그 내측에 렌즈 홀더(3)가 동일 축상으로 배치된다.
본 형태에 있어서,렌즈 홀더(3)를 이동시키는 구동기구(4A)는 렌즈 홀더(3)를 외주측에서 에워 싸도록 배치되어서,광축 F주위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자기구 (6)와,이 전자기구(6)가 발생시킨 회전 구동력을 광축 F에 따른 직선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렌즈 홀더(3)를 직동시키는 변환기구(7A)를 갖는다.
전자기구(6)는,PM형 스테핑 모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외주면이 둘레 방향으로 착자되는 링 형상의 마그네트(61)로 이루어지는 로터(60)와,링 형상의 마그네트(61)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스테이터(62)를 구비한다.
마그네트(61)는 렌즈 홀더(3)를 외주측에서 에워 싸도록 배치되고,둘레 방향으로 다극 착자된다.
본 형태에 있어서,로터(60)는 렌즈 홀더(3)와 일체로 구성된다.
스테이터(62)는,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광축방향에 따라 배치되는 제1 구동 코일(63)과,제2 구동코일(64)을 갖는다.제1 구동코일(63)은,광축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제1 외부 스테이터 코어(631) 및 제1 내부 스테이터 코어(632)에 끼여져있다.제1 외부 스테이터 코어(631) 및 제1 내부 스테이터 코어(632)에는,제1 구동코일(63)의 내주면에 따라 번갈아 정열하는 복수의 극치가 형성된다.동일하게,제2 구동코일(64)도 광축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제2 내부 스테이터 코어(641) 및 제2 외부 스테이터 코어(642)에 끼여져 있다.제2 내부 스테이터 코어(641) 및 제2 외부 스테이터 코어(642)에도,제2 구동코일(64)의 내주면에 따라 번갈아 정열하는 복수의 극치가 형성된다.
여기서 로터(60)와 스테이터(62)란,이하에 설명하는 변환기구(7A)를 통하여 기구적으로 결합하며,로터(60)는 렌즈 홀더(3)와 함께,스테이터(62)에 대해 광축 F주위에 회전가능,또한, 광축 F에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에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변환기구(7A)는 로터(60)의 외주면(613)에 형성되는 나선홈(614)(안내 홈)과,스테이터(62)의 내주면에서 지지되는 계합돌기(622)(계합수단)를 가지고 있고,계합돌기(622)는 나선홈(614) 내부에 들어간 상태에 있다.또한, 계합돌기(622)는 스테이터(62)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나선홈(614) 내부에 들어가 있으면,본 형태와 같이,스테이터(62)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라도 무방하나,실시형태 1과 같이,스테이터(6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凹부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강구(구체)를 사용해도 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변환기구(7A)에서는,로터(60)(렌즈 홀더 3)가 시계돌기 CW로 회전하면,스테이터(62)의 계합돌기(622)가 나선홈(614) 내를 안내받아,로터(60)(렌즈 홀더 3)는 광축 F에 따라 A방향으로 직동한다.또,로터(60)가 반 시계돌기 CCW로 회전하면,로터(6O)(렌즈 홀더 3)는광축 F에 따라 B방향으로 직동한다.
따라서 렌즈 구동장치(1A)에 있어서,제1 구동코일(63) 및 제2 구동코일(64)에 통전하여 로터(60),마그네트(61) 및 렌즈 홀더(3)를 시계돌기 CW,또는 반 시계 돌기 CCW로 회전시키면,변환기구(7A)에 의해 렌즈(2)를 피사체에 접근시키는 A 방향,또는 렌즈(2)를 피사체로부터 멀리하는 B방향으로 렌즈 홀더(3)를 이동시킬 수 있다.또,렌즈(2)가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한 이후는,제1 구동코일(63) 및 제2 구동코일(64)에 대한 통전을 정지하면 된다.
이와같이 본 형태의 렌즈 구동장치(1A)에 있어서는,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렌즈 홀더(3)를 외주측에서 에워 싸도록 구동기구(4A)를 배치했기 때문에,렌즈 홀더 (3)의 측방에 구동기구를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렌즈 구동장치(1A)를 소형화할 수 있다.또,전자기구(6)가 발생시킨 회전 구동력을 변환기구(7A)에 의해 광축 F에 따르는 직선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렌즈 홀더(3)를 직동시킨다.또,전자 기구(6)는 스테핑 모터의 구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전자기구(6)에 대한 급전을 정지한 상태도,스테이터(62)와 로터(60)와의 사이에는 디텐트 토크가 발생한다.
따라서,전자기구(6)에 대한 급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렌즈 홀더(3)에 광축 F방향의 외력이나 진동이 가해져도,이와 같은 외력이나 진동에 의해 렌즈 홀더(3)가 광축 F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변환기구(7A) 및 디텐트 토크가 방해한다.그 때문에,전자기구(7)에 급전하지 않아도 렌즈 홀더(3)를 소정위치에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또,스테이터(62)로의 급전에 의해 스텝 수를 제어하는것 만으로,렌즈(2)의 광축 F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는 등,실시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본 형태에서는 렌즈 홀더(3)와 로터(60)를 일체로 했기 때문에,부품점수 및 조립공수를 삭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2의 변형예)
실시형태 2에서는,변환기구(7A)로서 로터(60)의 외주면(613)(마그네트(61)의 외주면)에 나선홈(614)를 형성하고,스테이터(62)의 내주면에 계합돌기(622)(계합수단)를 지지시켰으나,그와는 반대로,스테이터(62)의 내주면에 나선홈(안내 홈)을 형성하고,로터(60)의 외주면(마그네트(61)의 외주면)에 계합돌기(계합수단)를 지지시켜도 된다.
[실시형태 3]
본 발명에 있어서,렌즈는 복수라도 무방하며 렌즈가 복수의 경우에는,북수의 렌즈가 공통의 렌즈 홀더로 유지되어 있는 구성,및 복수의 렌즈가 각각,다른 렌즈 홀더로 유지되고 있는 구성의 어느 쪽이라도 무방하다.
여기서,복수의 렌즈가 각각 다른 렌즈 홀더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는,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렌즈 홀더는,각각이 렌즈를 유지하여 광축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고,해당 복수의 렌즈 홀더의 각각에 대해 변환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와 같이 구성하면,복수의 렌즈의 각각에 다른 움직임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도 4(A),(B),(C)는 각각,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 렌즈위치가 광각모드(원점위치)에 있을 때의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표준모드에 있을 때의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및 망원모드에 있을 때의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도 5(A),(B),(C),(D)는 각각,도 4에 나타내는 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제1 렌즈 홀더의 외주면에 형성한 제1 안내 홈의 설명도,제1 안내 홈을 둘레방향으로 전개했을 때의 설명도,제2 렌즈 홀더의 외주면에 형성한 제2 안내 홈의 설명도,및 제2 안내 홈을 둘레 방향으로 전개했을 때의 설명도이다.또한, 본 형태의 렌즈 구동장치는,기본적인 구성이 실시형태 1과 공통하므로,공통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4(A)에 나타낸 것처럼,렌즈 구동장치(1B)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등에 탑재되어 있는 박형 카메라에 있어서 2개의 렌즈를 독립 구동하기 위한 것이며, 피사체측에 위치하는 제1 렌즈(2C)를 구비한 원통형상의 제1 렌즈 홀더(3C)와,제1 렌즈 홀더(3C)에 대해 피사체와는 반대측에 제2 렌즈(2D)를 구비한 원통형상의 제2 렌즈 홀더(3D)와,2개의 렌즈 홀더(3C,3D)를 렌즈(2C,2D)의 광축 F에 따라 피사체에 근접하는 A방향 및 피사체로부터 멀어지는 B방향의 쌍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4E)와,렌즈 홀더(3C,3D) 및 구동기구(4E)가 수납되는 통 형상의 케이스(5E)를 구비한다.
본 형태에 있어서,렌즈 홀더(3C,3D)는 각각의 플랜지부(32C,32D),및 케이스 (5E)에 있어서 플랜지부(32C,32D)가 위치하는 부분이 구형으로 형성되고 있는 등의 회전 저지수단에 의해 광축 F주위의 회전이 저지된다.
구동기구(4E)는,렌즈 홀더(3C,3D)를 외주측에서 에워 싸도록 배치되어서,광축 F주위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공통의 전자기구(6)와,이 전자기구(6)가 발생시킨 회전 구동력을 광축 F에 따르는 직선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2개의 렌즈 홀더(3C,3D)를 각각,독립하여 직동시키는 변환기구(7C,7D)를 갖는다.
전자기구(6)는,PM형 스테핑 모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외주면이 둘레 방향으로 착자되는 링 형상의 마그네트(61)로 이루어지는 로터(60)와,링 형상의 마그네트(61)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스테이터(62)를 구비한다.
마그네트(61)는 렌즈 홀더(3)를 외주측에서 에워 싸도록 배치되며 둘레 방향으로 다극 착자되고,스테이터(62)는 실시형태 1과 동등,구동코일,외부 스테이터 코어,내부 스테이터 코어,및 극치를 구비한다.
여기서,로터(60)는 케이스(5E)내의 단차로 이루어지는 지지수단에 의해,광축 F에 따른 이동이 규제되는 상태에서 광축 F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형태에 있어서,변환기구(7C,7D)는 기본적인 구조는 공통되고 있고,제1 변환기구(7C)는 제1 렌즈 홀더(3C)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안내 홈(34C)과,로터 (60)(마그네트(61))의 내주면에서 지지되는 제1 계합돌기(612C)(계합수단)를 가지고 있고,제1 계합돌기(612C)는,제1 안내 홈(34C)내에 들어간 상태에 있다.제2 변환기구(7D)는,제2 렌즈 홀더(3D)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안내 홈(34D)과,로터 (60)(마그네트(61))의 내주면에서 지지되는 제2 계합돌기(612D)(계합수단)를 가지고 있고,제2 계합돌기(612D)는 제2 안내 홈(34D)내에 들어간 상태에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변환기구(7C,7D)에서는,로터(60)(마그네트(61))가 회전하면 로터 (60)의 계합돌기(612C,612D)가 안내 홈(34C,34D)내를 각각 안내받는다.더구나,렌즈 홀더(3C,3D)는 케이스(5E)에 의해 회전이 규제된다.이 때문에,렌즈 홀더(3C,3D)를 광축 F에 따라 직동시킬 수 있다.
또,본 형태에 있어서는 도 5(A),(B)에 나타낸 것처럼 제1 안내 홈(34C)은,전개한 상태에서 비스듬히 뻗은 홈 패턴을 구비하는 한편,도 5(C),(D)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2 안내 홈(34D)은, 전개한 상태에서 중앙이 산형의 원호형상의 홈 패턴을 구비한다.
여기서,안내 홈(34C,34D)은 어느 쪽도 전둘레 360°보다도 짧은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나,변환기구(7C,7D)의 동작을 알기 쉽도록,도 4에는 안내 홈(34C,34D)이 2주(周) 이상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나타낸다. 또한, 안내 홈(34C,34D)의 형성범위는 360°보다도 짧은 쪽이 바람직하나,360°이상이라도 된다.
이와같이 구성한 렌즈 구동장치(1B)에 있어서,구동코일에 통전하여 로터(60)(마그네트(61))를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도 4(A)에 나타내는 광각 모드로부터 도 4(B)에 나타낸 것처럼,변환기구(7C)에 의해 제1 렌즈 홀더(3C) 및 제1 렌즈(2C)가 피사체에 근접하는 A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변환기구(7D)에 의해,제2 렌즈 홀더(3D) 및 제2 렌즈(2D)가 피사체로부터 멀어지는 B방향으로 이동한 표준모드로 이행한다.
또한,구동코일에 통전하여 로터(60)(마그네트(61))를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도 5(C)에 나타낸 것처럼,변환기구(7C)에 의해 제1렌즈 홀더 (3C) 및 제1 렌즈(2C)가 피사체에 근접하는 A방향으로 더욱 이동하는 한편,변환 기구(7D)에 의해 제2 렌즈 홀더(3D) 및 제2 렌즈(2D)가 피사체에 근접하는 A방향으로 돌아온 망원모드로 이행한다.
또한,구동코일에 통전하여 로터(60)(마그네트(61))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도 5(C)에 나타내는 망원 모드로부터 도 5(B)에 나타내는 표준모드를 경유하여 도 5(A)에 나타내는 광각모드로 돌아온다.그 동안,렌즈(2C,2D)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는,구동코일에 대한 통전을 정지하면 된다.
이와같이 본 형태의 렌즈 구동장치(1B)에 있어서는,렌즈 홀더(3C,3D)를 외주측에서 에워 싸도록 구동기구(4E)를 배치했기 때문에,렌즈 홀더(3C,3D)의 측방에 구동기구를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렌즈 구동장치(1E)를 소형화할 수 있다.또,전자기구(6)가 발생시킨 회전 구동력을 변환기구(7C,7D)에 의해 광축 F에 따르는 직선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렌즈 홀더(3C,3D)를 직동시키기 때문에,전자기구(6)에 급전하지 않아도,렌즈 홀더(3C,3D)를 소정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등,실시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본 형태에서는 렌즈(2C,2D)를 지지하는 2개의 렌즈 홀더(3C,3D)를 배치하며,또한 이들의 2개의 렌즈 홀더(3C,3D)의 각각에 변환기구(7C,7D)를 설치하고,그 안내 홈(34C,34D)의 홈 패턴을 서로 다르게 했기 때문에,렌즈(2C,2D) 및 렌즈 홀더(3C,3D)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하,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장치를 설명한다. 또한, 박형 카메라 및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에 대해서는,렌즈 구동장치의 설명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구성)
도 6은,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것처럼,이 렌즈 구동장치(1001)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1010)에 탑재되어 있는 박형 카메라에 편입되는 것이며, 그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1002,1003)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렌즈 구동장치(1001)는,복수의 렌즈(1002,1003)와,렌즈(1002)를 중심으로 구비한 도넛형상의 렌즈 홀더(1004)와,렌즈(1003)를 중심에 구비한 도넛형상의 렌즈 홀더(1005)와,렌즈 홀더(1004,1005)를 렌즈(1002,1003)의 광축 F에 따라 피사체에 근접하는 AA방향,및 피사체로부터 멀어지는 BB 방향의 쌍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으로 되는 구동기구(1006)와,렌즈 홀더(1004,1005) 및 구동기구(1006)를 수납한 케이스체를 구비한다.
케이스체는,앞측 케이스(1007)와 이 앞측 케이스(1007)에 대해 광축 F에 따른 방향으로부터 꼭 끼이는 후측 케이스(1008)를 구비한다.앞측 케이스(1007)는, 피사체광을 도입하기 위해 그 중앙에 설치되는 원형의 개구(1007a)가 형성되는 단면 (1007b)과,단면(1007b)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원추형상의 사면부(1007c)와,로터(1011)(상세한 것은 후술)의 한쪽의 단부를 받는 베어링 볼(1012)이 배치되는 원륜형상의 볼 받이부(1007d)와,가이드축(1013)(상세한 것은 후술)의 한 끝을 지지하는 도넛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지지부(1007e)를 구비한다.
후측 케이스(1008)는,원판형상의 배면부(1008a)와 피사체 광을 안내하기 위해 배면부(1008a)의 중앙에 설치되는 원형의 개구(1008b)와,배면부(1008a)의 외주연으로부터 피사체 측으로 뻗고 앞측 케이스(1007)의 외주면에 꼭 끼이는 통 형상으로 되는 통 형상 몸통부(1008c)와,로터(1011)의 다른쪽의 단부를 받는 베어링 볼(1014)이 배치되는 원륜형상의 볼 받이부(1008d)와,가이드축(1013)의 다른 단이 삽입되는 것으로 가이드축(1013)을 지지하는 동시에 개구(1008b)의 외주를 에워 싸게 되는 가이드 유지부(1008e)를 구비한다.
또한,베어링 볼(1012)은 원륜형상의 凹홈으로 되는 볼 받이부(1007d)에 거의 간극 없이 원륜형상으로 배치된다.또,베어링 볼(1014)도 원륜형상의 凹홈으로 되는 볼 받이부(1008d)에 거의 간극 없이 원륜형상으로 배치된다.
케이스체의 내부에는 구동기구(1006)가 수납된다.즉,앞측 케이스(1007)의 단면 (1007b)과 후측 케이스 뚜껑(1007)의 배면부(1008a)의 사이에 구동기구(1006)가 수납된다.앞측 케이스(7)의 개구(1007a)로부터 후측 케이스(1008)의 개구(1008b)의 사이에 촬영 광학계가 배치된다.
도 6에 나타내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1010)는 절첩방식의 것으로,화살표시 C방향으로 절첩되는 것으로 된다.절첩했을 때의 윗면으로서 열였을 때의 배면 측에,박형 카메라의 일부(커버 유리 1021과 앞측 케이스 1007의 단면 1007b)가 노출하는 구조로 된다.광학계의 맨 앞쪽에는 커버유리(1021)가 배치되며, 그 내부에 촬영 광학계가 배치된다.
이 촬영 광학계는 줌잉 광학계로 되어 있고,피사체측(대물측)으로부터 고정
렌즈(1022)와,가동의 대물측의 렌즈로 되는 렌즈(1002)와,가동의 촬상 소자측의 렌즈로 되는 렌즈(1003)로 구성된다.이 줌잉 광학계는 줌 비율 2배로,3군 3매의 렌즈 구성으로 초점거리는 2∼4mm로 되고,수평화각(畵角)은 53도∼28도로,F 값은 3. 5∼5. 3으로 된다.렌즈(1003)의 피사체와는 반대측에는 광축 F에 따른 방향으로 필터(1023)와,촬상소자(1024)와,이 촬상소자(1024)에 접속되는 회로기판 (1025)이 배치된다.또,렌즈(1002)의 촬상소자(1024)측의 면에는,중앙에 원형 구멍을 갖는 원판형상의 조리개(1026)가 고정된다.
커버유리(1021)는,그 전면측으로 되는 표면이 앞측 케이스(1007)의 단면(1007b)이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1010)의 케이스의 표면(1010a)과 동일평면(일직선 형상)으로 되도록 설치된다.이 커버유리(1021)는, 외부의 먼지등이 촬영 광학계 부분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고정렌즈(1022)는 비구면 수지 렌즈로,렌즈 작용을 하는 중앙의 렌즈부와,렌즈를 지지하는 작용을 하는 외주부의 렌즈 홀더부가 플라스틱(수지)으로 일체성형되는 것으로 된다.렌즈부는,양면이 凹면으로 되는 凹렌즈로 된다.그 원형 외주연이 가이드 지지부(1007e)에 부딪쳐 계지되어 있는 동시에,가이드 지지부(1007e)가 외연으로 되는 원형 구멍내에 소직경의 렌즈 홀더부가 꼭 끼여져 있다.
렌즈(1002)는,피사체측으로 돌출한 비구면의 凸렌즈로,이 렌즈(1002)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1004)와 동일 수지재로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일체 성형체(상세한 것은 후술)로 된다.이 일체 성형체는,전체로서는 원반형상으로 된다.
렌즈(1003)는,촬상소자(1024)의 측에 돌출한 비구면의 凸렌즈로,이렌즈(1003)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1005)와 동일 수지재로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일체 성형체(상세한 것은 후술)로 된다.이 일체 성형체도,전체로서는 원반 형상으로 된다.
필터(1023)는,촬상소자(1024)의 검출 파장에 대응시켜서 소정의 파장의 빛을 절단하기 위한 것이다.촬상소자(1024)는,CCD(Charge-Coupled Device)로 구성되어 있고,그 검지신호를 회로기판(1025)에 보낸다.검지신호는,플렉시블 기판(1026)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된다)에 이송된다.
이 박형 카메라에서는,커버유리(1021)의 표면으로부터 촬상소자(1024)의 뒷면까지의 길이 H는 7.5mm로 된다.이 길이 H를 5mm 이상으로 하면,줌잉 기구를 여유를 가지고 편입하기 쉽게 되고,10mm 이하로 하면 촬상소자(1024)의 뒷면과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1010)의 케이스의 뒷면(1010b)와의 사이에 회로기판(1025)을 배치하여도,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101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이 박형 카메라는 그 지름φ가 10mm로 된다.이 지름φ를 8mm 이상으로 하면,구동기구(1006)의 지름을 크게 할 수 있어서 동작성능이 크게 향상한다.또,렌즈(1002,1003)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쉽게 된다.한편,15mm이하로 하면,소형화의 면에서 대단히 유리해지며,휴대 전화기,모바일 컴퓨터,PDA(Personal Digita1 Assistance)등의 소형의 장치으로의 편입이 용이해 진다.
(구동기구 6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구동기구(1006)는 렌즈 홀더(1004,1005)를 외주측에서 에워 싸도록 배치되어서,광축 F주위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자기구(1031)와,이 전자기구(1031)가 발생시킨 회전 구동력을 광축 F에 따른 직선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렌즈 홀더(1004,1005)를 직동시키는 변환기구(1032)를 갖는다.
전자기구(1031)은,PM형 스테핑 모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외주면이 둘레 방향으로 NS 번갈아 다극 착자되는 링 형상의 마그네트(1041)와,통 형상의 홈 부착 링(1042)로 이루어지는 로터(1011)와,링 형상의 마그네트(1041)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스테이터(1043)를 구비한다.
로터(1011)는 전체로서 원통형상으로 되어 렌즈 홀더(1004,1005)를 외주측에서 에워싸도록 배치된다.로터(1011) 마그네트(1O41)를 인서트 수지 성형하는 것으로 마그네트(1O41)와 수지제의 홈부착링(1042)이 고정되고,양자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된다.
스테이터(1043),광축 F방향에 따라 병렬 배치되는 제1 구동 코일(1044)과,제2 구동 코일(1045)을 갖는다.제1 구동 코일(1044)은 극치의 외주에 감겨지는 것으로 도넛형상으로 형성되고,광축 F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제1 외부 스테이터 코어(1046) 및 제1 내부 스테이터 코어(1047)에 끼워져 있다.제1 외부 스테이터 코어(1046) 및 제1 내부 스테이터 코어(1047)에는 제1 구동 코일(1044)의 내주면에 따라 교대로 정열하는 복수의 극치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제2 구동 코일(1045)도 극치의 외주에 감겨지는 것으로 도넛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광축 F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제2 내부 스테이터 코어(1048)및 제2 외부 스테이터 코어(1049)에 끼워져 있다.제2 내부 스테이터 코어(1048) 및 제2 외부 스테이터 코어(1049)에도 제2 구동 코일(1045)의 내주면에 따라 교대로 정열하는 복수의 극치가 형성된다.
여기에서,로터(1011),베어링 볼(1012,1014)에 의하여,광축 F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로터(1011)와 렌즈 홀더(1004,1005)는 이하에 설명하는 변환 기구(1032)를 이용하여 기구적으로 결합한다.이 때문에,로터(1011)는 광축 F에 따른 이동이 규제되는 상태에서 광축 F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이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 볼(1012,1014) 및 볼받이부(1007d,1008d)에 의하여,로터(1011)에 대한 지지 수단이 구성된다.또,렌즈 홀더(1004,1005)는 회전 저지 수단이고,가이드 수단으로도 되는 가이드 축(1013)이 삽통되는 것으로 광축 F 주위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하에,변환 기구(1032)의 상세한 구조와 동작에 대하여,도 6 및 도 7로부터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로터(1011)의 내주면측에 배치되는 홈부착링(1042)에 형성되는 홈(1051,1052)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홈부착링(1042)의 이미지 도면으로,(B)는 각 홈(1051,1052)에 대응하는 각 (1002,1003,1022)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렌즈 동작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것처럼,변환 기구(1032)는 로터(1011)의 내주면,즉 홈부착링(1042)에 형성되는 2개의 홈(1051,1052)(안내 홈)과 렌즈 홀더(1004,1005)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돌기부(1053,1054)(계합 수단)를 갖는다.돌기부(1053)는홈(1051) 내부에 진입하여,돌기부(1054)는 홈(1052) 내부에 들어간다.
도 8은 변환 기구(1032)에 의하여 직동 동작하는 각 렌즈(1002,1003)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 (A)는 망원 촬영시의 각 렌즈(1002,1003,1022)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B)는 표준 촬영시의 각 렌즈(1002,1003,1022)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C)는 광각 촬영시의 각 렌즈(1002,1003,1022)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것처럼,고정 렌즈(1022)는 항상 위치가 고정되하고,한편 렌즈(1002)와 렌즈(1003)는 로터(1011)가 회전하는 것으로,광축 F에 따라 직동 동작한다.이 움직임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도 9로부터 도 11은 각 렌즈(1022.1002,1003)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다.수지제의 일체 성형체인 고정 렌즈(1022)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양면이 오목하게 되는 원형 모양의 렌즈부(1061)와,렌즈부(1061)를 에워싸는 도넛형상의 렌즈 홀더부(1062)를 갖는다.렌즈 홀더부(1062)는 렌즈부(1061)에 계속되는 두께가 두꺼운 감합부(1063)와,그 외주에 배치되는 두께가 얇은 계지부(1064)를 갖고 있다. 감합부(1063)를 두껍게 하고,렌즈부(1061)를 얇게 하고 게다가 오목부로 하기 때문에,렌즈부(1061)의 광축 F방향의 양측에는 감합부(1063)의 가상 수평면(1065,1066)과 렌즈부(1061)의 렌즈면(1067,1068)에서 끼여진 공간 S1, S2가 형성된다.또,계지부(1064)의 일부에는 직선현상으로 절결되는 절결부(1069)가 마련된다.이 절결부(1069)의 부분은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부가 배치되는 부분 또는 배치되고 있던 부분이다.
고정 렌즈(1022)는 그 감합부(1063)가 가이드 지지부(1007e)에서 형성되는개구부분에 감합하고,한편 계지부(1064)가 개구(1007a)에 파감합하는 동시에 가이드 지지부(1007e)에 부딪치고,그 위치,즉,가이드 지지부(1007e)에 계지되는 상태에서 고정된다.
렌즈(1002)와 렌즈 홀더(1004)의 일체 성형체는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비구면 수지 렌즈로 되는 반구형상의 렌즈(1002)를 중심에 가지고,이 렌즈(1002)의 외주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도넛형상의 렌즈 홀더(1004)를 갖는다.렌즈 홀더(1004)는 가이드 및 회전 고정으로서 기능하는 2개의 계합부(1071,1072)와,가이드로서도 회전 고정해도 기능하지 않는 1개의 릴리프부(1073)와, 한쪽의 계합부(1071)의 부근에 설치되어 홈(1051)에 삽입되는 돌기부(1053)를 갖는다. 또한, 계합부(1072)는 가이드와 회전 고정의 각 기능중 가이드로서의 기능은 약간이며,회전 고정의 기능이 주되는 기능으로 된다.
계합부(1071)는 3개의 가이드 축(1013)중의 1개(이 가이드 축(1013)을 이하에서는 가이드 축(1O13a)라 함)가 관통함과 동시에 가이드 작용과 회전 고정 작용을 하는 관통공(1081)을 구비하는 길게 형성되는 기둥형상의 접동부(1082)를 갖는다.이 접동부(1082)는 그 돌출 방향이 광축 F와 평행으로 되도록,또한 관통공(1O81)의 중심축이 광축 F와 평행으로 되도록,촬상 소자(1O24) 측에 돌출한다.
계합부(1072)는 3개의 가이드 축(1013)중의 1개(이 가이드 축(1013)을 이하에서는 가이드 축(1013b)라 함)이 삽통하는 동시에 가이드 작용과 회전 고정 작용을 행하는 절결부(1083)를 갖는다.이 절결부(1083)의 가이드 축(1013b)과 접동하는 부분이 계합부(1072)의 접동부로 된다.
릴리프부(1073)는 노치 구멍으로서 형성되고,3개의 가이드 축(1013)중의 나머지 1개(이 가이드 축(1013)을 이하에서는 가이드 축(1013c)라 함)가 삽통하는 동시에 렌즈(1003)측의 길게 형성된 접동부(1102)(상세한 것은 후술)가 진입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접동부(1102)의 릴리프 공간(S3)을 형성한다.이 릴리프부(1073)는 가이드로서도 회전 고정으로서도 기능하지 않는 것으로 된다.
렌즈 홀더(1004)는 또한 렌즈(1002)를 에워싸도록 배치되는 두께가 얇은 연결부(1074)와,이 연결부(1074)의 외주에 배치되는 두께가 두꺼운 충돌부(1075)와,연결부(1084) 및 충돌부(1075)를 연결하는 원추형상의 경사면으로 되는 경사부(1076)와,연결부(1074)와 충돌부(1075)의 각 두께의 대략 중간의 두께로 되는 외주부(1077)와,조리개(1026)를 에워싸는 원륜형상의 계합 돌기(1078)를 갖는다.
또한,3개의 가이드 축(1013)은 120도 간격으로 균등 간격 배치되고 있고,각 가이드 축(1013)이 삽통하는 2개의 계합부(1071,1072)와 1개의 릴리프부(1073)는 그들의 각 중심이 마찬가지로 120도 간격으로 되도록 배치 된다.또,관통공(1081)과 절결부(1083)는 함께 외주부((1077)에 형성되고,릴리프부(1073)로서의 노치 구멍은 외주부(1077)로부터 충돌부(1075)에 걸쳐서 형성된다.외주부(1077)의 일부에는 절결부(1069)와 동일한 형상의 절결부(1084)가 형성되어,수지 주입의 게이트 부로 된다.또,렌즈(1002)의 돌출 높이는 충돌부(1075)의 가상 수평면(1085)과 그 돌출의 정점이 겹쳐지도록 형성되고 있으나, 약간 뛰어나오거나,또는 가상 수평면(1085)에 약간 미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렌즈(1003)와 렌즈 홀더(1005)의 일체 성형체는 비구면 수지 렌즈로 되는 반구형상의 렌즈(1003)를 중심에 갖고,렌즈(1003)의 외주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도넛 형상의 렌즈 홀더(1005)를 갖는다.렌즈 홀더(1005)는 가이드 및 회전 고정으로서 기능하는 2개의 계합부(1091,1092)와,가이드로서도 회전 고정으로서도 기능하지 않는 1개의 릴리프부(1093)와,한쪽의 계합부(1091)의 부근에 설치되고 홈(1052)에 삽입되는 돌기부(1054)를 갖는다.또한,계합부(1092)는 계합부(1072)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기능과 회전 고정 기능 중 주로 회전 고정 기능을 갖는 것으로 된다.
렌즈 홀더(1005)는 또한 렌즈(1003)를 에워싸도록 배치되는 두께가 얇은 연결부(1094)와,이 연결부(1094)의 외주에 배치되는 두께가 두꺼운 보호부(1095)와,연결부(1094) 및 보호부(1095)를 연결하는 원추형상의 경사면으로 되는 경사 부(1096)와,연결부(1094)와 보호부(1095)의 각 두께의 대략 중간의 두께로 되는 외주부(1097)를 갖는다.
계합부(1091)는 가이드 축(1013c)이 관통함과 동시에 가이드 작용과 회전 고정 작용을 하는 관통공(11O1)을 갖는 길게 형성되는 접동부(11O2)를 갖는다.이 접동부(1091)는 피사체측(대물측)에 돌출함과 동시에,그 돌출 방향이나 관통공(1101)의 중심축이 광축 F와 평행이 되도록 형성된다.
계합부(1092)는 가이드 축(1013b)이 삽통하는 동시에 가이드 작용과 회전 고정 작용을 행하는 절결부(1103)를 갖는다.이 절결부(1103)의 가이드 축(1013b)의 접동하는 부분이 계합부(1092)의 접동부로 된다.릴리프부(1093)는 노치 구멍으로서 형성되고,가이드 축이 방울이 삽통하는 동시에 렌즈 2측의 접동부(1082)가 진입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접동부(1082)의 릴리프 공간(S4)을 형성한다.이 릴리프부(1093)는 가이드로서도 회전 고정으로서도 기능하지 않는 것으로 된다.
또한,3개의 가이드 축(1013)은 120도 간격으로 균등 간격 배치되고 있고,각 가이드 축(1013)이 삽통하는 2개의 계합부(1091,1092)와 1개의 릴리프부(1093)는 그들의 각 중심이 마찬가지로 120도 간격으로 되도록 배치된다.또,관통공(1101)과 절결부(1103)는 함께 외주부(1097)에 형성되고,릴리프부(1093)로서의 노치 구멍은 외주부(1097)로부터 보호부(1095)에 걸쳐 형성된다.외주부(1097)의 일부에는 절결부(1084)와 동일한 형상인 동시에 동일한 위치에 절결부(1104)가 형성되고,수지 주입의 게이트부로 된다.또,렌즈(1003)의 돌출 높이는 보호부(1095)의 가상 수평면(1105)과 그 돌출의 정점이 겹쳐지도록 형성되고 있으나 약간 뛰어나오거나 또는 가상 수평면(1105)에 약간 미치지 않도록 형성해도 된다.
길게 형성한 접동부(1082,1102)는 길게 형성하므로써 가이드 축(1013a,1013c)에 대한 각 렌즈(1002,1003)의 경사(쓰러짐)를 방지한다.이에 의해, 각 렌즈(1002,1003)가 광축 F방향으로 직동 동작할 때,각 렌즈(1002,1003)의 중심이 광축 F와 동일 선상을 동작하는 것으로 된다.또,계합부(1072,1092)가 짧은 접동부로 되는 것은 직동 동작할 때의 비틀림 방지때문이다. 즉,가이드 작용으로 의한 직동 동작은 길게 형성되는 접동부(1082,1102)가 담지하고,계합부(1072,1092)는 회전 고정으로서의 기능을 특히 담지한다.또,계합부(1072,1092)가 외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절결된 노치 구멍(1083,1103)으로 되는 것은 이 각 계합부(1072,1092)가 상술한 것처럼 각 렌즈(1002,1003)의 회전 고정을 행하는 것이 주목적이고,가능한 한 접동에 의한 로스나 이상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이다.
길게 형성되는 접동부(1082,1102)의 길이(H1,H2)는 계합부(1072,1092)의 두께,즉 외주부(1077,1097)의 두께(H3,H4)의 2∼5배,이 실시형태에서는 H1:H3=23:6으로 H2:H4=21:6으로 된다.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긴 접동부가 짧은 접동부의 2∼5배로 되면 경사 방지라고 악화되고 방지의 양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특히,3∼4배의 경우,수직도를 유지하는 상태에서의 광축 F방향으로의 이동이 고 정밀도이면서 고 접동성을 가지고 실행된다.
또,계합부(1072,1092)의 외주부(1077,1097)의 두께를 연결부(1074,1094)의 두께보다 두껍게 하고 있는 것은,연결부(1074,1094)를 가능한 한 얇게 하는 것으로 렌즈(1002,1003)를 가능한 한 큰 직경으로 하고 구경을 크게 하는 한편,그 얇게한 연결부(1074,1094)에서는 가이드 축(1013)과의 접동시의 강도를 지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경사면(1076,1096)을 설치하고,서서히 두껍게함으로써 강도 업(Up)을 일그러짐없이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가장 두꺼운 충돌부(1075)를 형성하는 것으로 렌즈(1002)가 고정 렌즈(1022)에 부딪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고,가장 두꺼운 보호부(1095)를 형성함으로써 렌즈(1003)가 필터(1023)에 부딪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도 6에 나타내는 구조에서는 로터(1011)의 홈부착링(1042)에 형성된홈(1051,1052)은 관통홈으로 된다.즉,홈(1051,1052)은 홈부착링(1042)을 관통하고,광축 F로부터 보아 마그네트(1O41)가 그 홈(1051,1052)의 속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그러나,홈부착링(1042)에 관통하지 않는 오목홈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홈부착링(1042)은 수지재로 형성되고 있으나, 철재로 형성해도 된다.수지재로 하면, 이 실시형태와 같이 마그네트(1O41)를 인서트하는 인서트성형에 의해 로터(1011)를 형성할 수 있다.또,홈부착링(1042)을 철재로 하면 홈부착링(1042)이 마그네트(1O41)의 백 요크적인 작용을 하고,전자 기구(1031)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가이드 축(1013)은 금속제로 되어 있으나 수지제로 해도 좋다.또한,앞측 케이스(1007)와 후측 케이스(1008)는 함께 수지제로 되어 있으나, 금속제로 해도 된다.또,이 실시형태에서는 길게 형성되는 접동부(1082)는 그 길이 H1의 범위에서 가이드 축(1013a)과 접동한다.이것은 관통공(1081)과 충돌부(1075)와의 사이에 근소한 간극(h)(도 10 참조)이 개재하고 있기 때문이다.한편,렌즈 홀더(1005)의 길게 형성된 접동부(1102)는 그 길이 H2에 보호부(1095)의 돌출분이 추가되는 길이 범위에서 가이드 축(1013c)과 접동한다.이와 같은 구성을 갖기 때문에 길이 H2는 길이 H1보다 작게 해도 충분한 접동 기능을 다할 수 있다.
이 렌즈 구동 장치(1001)의 편입에 있어서는, 앞측 케이스(1007)나 가이드 축(1013)을 편입하기 전에 렌즈(1002,1003)가 편입된다.즉,후측 케이스(1008)에 대하여 스테이터(1043)나 필터(1023)이 베어링 볼(1014)을 편입한 후에,로터(1011)를 우선 편입하고,그 후,렌즈(1002,1003)를 로터(1011)로 에워싸이는 내부 공간에 넣는다.이 때,돌기부(1053)와 렌즈(1002)를 갖는 일체 성형체나, 돌기부(1053)와 렌즈(1003)를 갖는 일체 성형체의 각 최장 지름은 로터(1011)의 내경 보다 약간 작게 되므로, 각 일체 성형체를 로터(1011) 내부에 넣는 것이 가능하다.
편입에 즈음해서는, 먼저 돌기부(1054)를 갖는 일체 성형체를 안쪽에 넣어 가서,홈(1052)이 형성되는 부분에 대향하는 위치에 돌기부(1054)가 왔을 때,이 일체 성형체를 횡방향으로 비켜 놓고,돌기부(1054)를 홈(1052)에 넣는다.또,그 후,돌기부(1053)를 갖는 일체 성형체를 로터(1011) 내부에 넣고 가서,홈(1051)이 형성되고 있는 부분에 대향하는 위치에 돌기부(1053)가 왔을 때,이 일체 성형체를 횡방향으로 비켜 놓고 돌기부(1053)를 홈(1051)에 넣는다.
그 후,3개의 가이드 축양(1013)을 각각 일체 성형체를 삽통시켜서,그 한 끝을 후측 케이스(1008)에 압입하여 지주형상으로 한다.다음에,베아링 볼(1012)을 소정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하여 앞측 케이스(1007)를 후측 케이스(1008)와 감합시킨다. 그 후,고정 렌즈(1022)를 편입하고,마지막으로 커버 유리(1021)를 편입한다.
다음에,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1001) 및 박형 카메라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박형 카메라는 전원이 오프 되어 있을 때는,도 8(A)에 나타내는 망원 촬영 위치에서 대기한다.촬영용의 스위치(도시 생략)를 동작시키면 도시하지 않는 전원으로부터 플렉시블 기판(1026),단자(1027)(후측 케이스(1028)의 축방향 단면에서 플렉시블 기판(1026)측에 돌출하고 있는 부분)을 통하여 전력이 전자 기구(1031)에 공급된다.그러면 스테이터(1043)가 동기되어,로터(1011)는 피사체측에서 보아 시계 방향(CW)으로 회전한다.그 회전은 변환 기구(1032)에 의하여 직동 동작으로 변환되고,고정 렌즈(1022)에 대하여 렌즈(1002)가 더욱 근접하려고 한다(도 6의 화살표 AA 방향으로 움직이려고함).
그러나 통상은 고정 렌즈(1022)의 감합부(1063)의 선단과, 렌즈 홀더(1004)가 충돌부(1075)가 부딪치고 있기 때문에 렌즈(1002)는 움직이지 않는다.한편,진동등에 의하여 감합부(1063)와 충돌부(1075)가 부딪치지 않을 때,충돌부(1075)는 고정 렌즈(1022)측으로 향하여 움직이고,감합부(1063)에 부딪친다.이상과 같은 동작에 의하여,원점의 위치 내기가 행해진다. 또한, 대기 상태를 도 8(B)에 나타내는 표준 촬영 위치로 하거나,도 8(C)에 나타내는 광각 촬영 위치로해도 된다. 또한, 대기 상태를 광각 촬영 위치로 했을 때 원점 위치 내기는 광각측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점 위치 내기가 행해진 후,로터(1011)는 피사체 측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CCW)으로 회전한다.이 때문에,렌즈(1002,1003)는 함께 피사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동되고(직동 동작하고),도 8(B)에 나타내는 표준 촬영 위치에서 정지한다.이때,렌즈(1002)측의 홈(1051)이 보다 급한 사선으로 되기 때문에,렌즈(2)쪽이 렌즈(1003)과 비교해서 피사체로부터 보다 크게 후퇴한다.
도 8(B)에 나타내는 표준 촬영 위치에서 정지할 때,렌즈(1002)측의 길게 형성되는 접동부(1082)는 렌즈(1003)측의 릴리프부(1093)의 릴리프 공간(S4) 내부에들어가고,접동부(1082)는 렌즈(1003)측의 렌즈 홀더(1005)에 충돌하지 않는다.이 때,접동부(1082)의 외주면과 릴리프부(1093)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근소한 간극이 생기고 있고,직동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한편,렌즈(1OO3)측의 길게 형성된 접동부(1102)도 렌즈(1002)측의 릴리프부(1073)의 릴리프 공간(S3)에 들어가고,접동부(1102)도 렌즈(1002)측의 렌즈 홀더(1004)에 충돌하지 않는다.이 때,접동부(1102)의 외주면과 릴리프부(1073)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도 근소한 간극이 생기고 있고,직동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이 표준 촬영 위치로 되면 촬영이 가능하게 되고,셔터(도시 생략)가 동작 가능해진다.사용자는 도시하지 않는 줌인 버튼을 조작함으로서 망원 방향이나 광각 방향에 렌즈(1002,1003)를 움직일 수 있다. 망원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는 로터(1011)를 피사체측으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광각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로터(1011)를 피사체측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소정의 배율에 설치하고,촬영용 버튼(도시 생략)을 눌러서 피사체를 촬영한다.촬영은 촬상 소자(1024) 위의 상을 촬상 소자(1024)가 검출하고,신호 처리하는 것으로 행해진다.촬영 종료후,촬영용 버튼을 오프로 꺼서 다음 촬영 찬스까지 대기하도록 해도 좋으나, 이 박형 카메라로는 촬영용 버튼을 오프로 끄는 일없이 그대로의 상태로 해도 촬영 대기 모드로 대기하는 것으로 된다.이 촬영 대기 모드로는 전자기구(1031)에의 통전을 정지시키는 한편,렌즈(1002,1003)는 최종 위치에 유지된다.제어부(도시 생략)는 스테핑 모터로 되는 전자기구(1O31)에 의하여 동작하는 렌즈(1OO2,1OO3)의 원점 위치로부터의 스텝 수를 기억하는 것으로렌즈(1002,1003)의 최종 위치를 기억한다.
이 때문에,촬영 대기 모드로부터 촬영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렌즈(1002,1003)를 소정의 설치위치에 재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촬영 대기 모드로는 렌즈(1002,1003)의 위치 유지를 위한 전력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전력화의 저소비가 이루어진다. 또한,촬영용 버튼을 눌러,전원을 오프로 끄면 카메라부분은 촬영 대기 모드가 아니라 완전한 오프 상태가 된다.이 때도 전자 기구(1031)로의 통전은 정지되지만 그 직전에 로타(1011)는 피사체측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렌즈(1002,1003)는 망원 촬영 위치로 된다.이 망원 촬영 위치로 되는 것을 제어부가 검지하고,전자 기구(1031)로의 통전을 제어부가 정지하는 것으로 완전한 오프 상태로 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상술과 같은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촬영용 버튼을 눌러,오프 시킨 경우,렌즈(1002,1003)를 최종 정지 위치에서 그대로 위치 유지시키면서,전자 기구(1031)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것과 같은 제어로 해도 된다. 그 경우,촬영을 위해 촬영용 버튼을 누른 경우,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점 내기 동작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원점 내기동작을 행하게 하지 않고 바로 기억되고 있는 스텝 수(즉 제어부에 의하여 기억되고 있는 렌즈(1002,1003)의 치)에 근거하여,렌즈(1002,1003)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처럼,이 실시형태의 렌즈 구동 장치(1001)나 박형 카메라에 있어서는,렌즈 홀더(1004,1005)를 외주측으로 에워싸도록 전자 기구(1031)를 배치했기 때문에렌즈 홀더(1004,1005)의 측방에 구동 수단,특히 전자 기구를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렌즈 구동 장치(1)나 박형 카메라를 소형화할 수 있다.또,지름 방향에 관해서는 대칭성이 좋은 것으로 되어,진동 방지의 면에서 유리해진다.또,가이드 축의 존재에 의하여,렌즈의 위치 정밀도,특히 둘레 방향의 위치 정밀도나 수평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이 실시형태로는 전자 기구(1O31)가 발생시킨 회전 구동력을 변환 기구(1032)에 의하여 광축 F에 따른 직선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 변환하고 렌즈 홀더(1004,1005)를 직동시키기 때문에, 전자 기구(1031)에 대한 급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렌즈 홀더(1004,1005)에 광축 F 방향의 외력이나 진동이 가해져도,이와 같은 외력이나 진동에 의하여 렌즈 홀더(1004,1005)가 광축 F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변환 기구(1032)가 메카적인 작용에 의해 저지한다.따라서 전자 기구(1031)에 급전하지 않아도 렌즈 홀더(1004,1005)를 소정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또,전자 기구(1031)는 스테핑 모터의 구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 기구(1031)에 대한 급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렌즈 홀더(1004,1005)에 광축 F방향의 외력이나 진동이 가해져도, 이와 같은 외력이나 진동에 의하여 렌즈 홀더(1004,1005)가 광축 F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스테이터(1043)와 로터(1011)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디텐트 토오크에 의해서도 저지한다.따라서 전자 기구(1031)에 급전하지 않아도, 렌즈 홀더(1004,1005)를 소정 위치에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또,스테이터(1043)에의 급전에 의하여 스텝 수를 제어하는 것 만으로,렌즈(1OO2,1O03)의 광축 F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이 실시형태로는 렌즈 홀더(1004,1005)와 로터(1011)와의 사이에 그들이나 가이드 축(1013)을 포함하는 변환 기구(1032)를 설치했기 때문에,지름 방향의 두께가 증가하는 일이 없다. 또,홈(1051,1052),돌기부(1053,1054) 및 3개의 가이드 축(1013)에 의하여,렌즈(1002,1003)를 광축 F의 주위에 회전시키는 일 없이,광축 F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렌즈 홀더(1004,1005)는 돌기부(1053,1054)가 홈(1051,1052) 내부를 각각 상대 이동함으로써 직동하기 때문에, 광축 F에 대한 홈(1051,1052)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로터(1011)의 회전에 의한 렌즈 홀더(1004,1005)의 광축 F방향의 이동량이나 위치 정밀도를 최적 조건에 설정할 수 있다.또,이런 종류의 설치에 의하여,줌인 동작을 고 배율화하거나 최적화 할 수 있다.
이상,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형태의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예에서는 가동하는 렌즈가 2장인 예,즉 렌즈(1002,1003)가 가동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1개의 렌즈만을 가동하는 경우나, 3장이상의 렌즈를 가동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또,렌즈 홀더(1004,1005)를 각각 통형상으로 하고 그 부분의 외주에 홈(1051,1052)에 상당하는 홈을 각각 설치하고,한편 로터(1011)의 내주면에 돌기부(1053,1054)에 상당하는 돌기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구동 수단으로서의 구동 기구(1006)를 1개 설치한 예를 나타냈으나, 구동 기구(1006)를 광축 F방향으로 2개 또는 3개이상 겹치고 배치해도 된다.그 경우,가이드 축(1013)은 모든 구동 기구(1006)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구동 기구(1006)를 2단 겹침으로 하는 경우,피사체측을 줌기구로 하고, 촬상 소자(1024)측을 오토 포커스 기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대의 배치로 해도 된다.또,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구동력을 직선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1032)를 구비하고 있지만, 변환 기구를 구비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이 경우,전자 기구로서 예를 들면 무빙 코일형의 리니어 모터등을 채용하고,렌즈 홀더를 가이드 축에 따라 직접 리니어 구동시키는 구성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또,로터(1011)의 양단면을 받는 베어링 볼(1012,1014)은 각각 원륜형상으로 간극 없이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동일 간격으로 3개(120도 간격),4개(90도 간격),5개(72도 간격)동일 간격을 두고 베어링 볼(1012,1014)을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또,베어링 볼(1012)측을 원륜형상으로 베어링 볼(1012)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베어링 볼(1014)측을 간격을 두고(예를 들면 120도 간격의 3개) 베어링 볼(1014)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또 그 반대의 관계로 되어도 된다.원륜형상의 베어링 볼(1012,1014)을 배치한 경우,마찰이 적어지고,가벼운 회전이 가능해진다.간격을 두고 베어링 볼(1012,1014)을 배치한 경우,경사가 적어지고 안정된 회전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비용의 절감이 가능해진다.
또,상술한 실시형태로는 돌기부(1053,1054)를 홈(1051,1052)에 삽입할 때,가이드 축(1013)을 설치하기 이전에 각 일체 성형체를 로터(1011) 내부에 넣은 후,광축 F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켜서 홈(1051,1052)에 돌기부(1053,1054)를 넣는 방법을 채용하였으나, 홈부착링(1042)의 내주면에 홈(1051)에 연결되는 삽입 안내 홈과 홈(1052)에 연결되는 삽입 안내 홈을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이 경우,삽입 안내 홈에 돌기부(1053,1054)를 넣고,그 삽입 안내 홈에 따라 돌기부(1053,1054)를 이동시켜서,소정의 줌용의 홈(1051,1052)에 넣는 것으로 된다.이 구성을 채용하면 가이드 축(1013)을 설치하기 이전 뿐만 아니라 설치한 이후라도 렌즈(1002,1003)의 편입이 가능하게 된다.
또,홈부착링(1042)에 홈(1051,1052)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홈부착링(1042)을 설치하지 않고 마그네트(1O41)에 직접 홈(1051,1052)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또,렌즈(1002,1003)와 렌즈 홀더(1004,1005)를 각각 일체 성형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렌즈(1002)에 별체의 렌즈 홀더(1004)를 설치하고,렌즈(1003)에 별체의 렌즈 홀더(1005)를 설치하거나,돌기부(1053,1054)만을 나중에 렌즈 홀더(1004,1005)에 설치해도 된다.또,돌기부로서는 렌즈 홀더(1004,1005)나 로터(1011)에 고정시키는 것은 아니고,회동 가능한 볼과 그 볼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오목부를 설치하는 구성 등으로 돌기부를 고정시키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2개의 렌즈(1002,1003)에 의해 줌 기구를 동작시키는 경우,가이드 축(1013)으로서는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3개의 가이드 축(1013)이 바람직하지만, 회전 고정이 다른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때는 2개의 가이드 축(1013)(1013a,1013c)만으로 해도 된다.또,1개의 렌즈만을 가동시킬 때도 2개의 가이드 축(1013)으로 할 수 있다.2개의 가이드 축(1013)으로 하는 경우, 180도 대칭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 축(1013)을 배치할 때는동일 간격(등각도 간격)이 바람직하지만, 불균등 간격으로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조리개(1026)는 원형 모양으로 중앙에 원형 구멍을 갖는 구성으로 되는 박판으로 되어 있으나, 두꺼운 판 형상으로 하거나,렌즈(1002)의 일부나 렌즈 홀더(1004)에 빛의 통과를 저지하는 부재를 증착등으로 부착하고,렌즈(1002)를 갖는 일체 성형체와 일체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해도 된다.또한,조리개(1026)는 렌즈(1003)측에 설치하거나 필터(1023)의 부근에 고정 해도 된다.
전자 기구(1O31)로서는 상술한 것처럼 스테핑 모터의 구성이 바람직하지만, 가동 렌즈로서 2위치만의 상태가 필요한 경우등 간이한 기구로 좋은 경우는, 구동 코일이 1개의 동기 모터로 하거나 마그네트(1O41)가 불필요한 자기 저항 모터로 해도 된다.또,정밀도가 높은 위치 제어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에는 인코더 방식이나 구동 코일에 발생하는 역기전력의 검출등에 의해 로터의 위치를 검지하는 방식을 채용하는 스테핑 모터나 직류 브러쉬레스 모터(brushless motor)를 전자 기구(1031)로서 채용해도 된다.
또,상술한 실시형태로는 렌즈 구동 장치(1O01)를 카메라부착 휴대 전화기의 카메라부분의 기구로서 편입한 예를 나타냈으나, 본 발명의 렌즈 구동 장치나 박형 카메라는 모바일 컴퓨터,PDA 등의 다른 휴대 장치에 사용하거나 감시 카메라,의료용 카메라등 다른 카메라 장치나 자동차,텔레비전 등의 장치에도 편입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본 발명의 렌즈 구동 장치에서는 렌즈 홀더를 외주측에서 에워싸도록 구동 수단을 설치했기 때문에, 렌즈 홀더의 측방에 구동 수단을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렌즈 구동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또,전자 기구가 발생시킨 회전 구동력을 변환 기구에 의해 광축에 따르는 직선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 변환하고 렌즈 홀더를 직동시키기 때문에, 전자 기구에 대한 급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렌즈 홀더에 광축 방향의 외력이 가해져도, 이와 같은 외력에 의하여 렌즈 홀더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변환 기구가 저지한다. 따라서,전자 기구에 급전하지 않아도 렌즈 홀더를 소정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또,전자 기구로서 스테핑 모터의 구조를 채용한 경우, 전자 기구에 대한 급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렌즈 홀더에 광축 방향의 외력이 가해져도 이와 같은 외력에 의하여 렌즈 홀더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스테이터와 로터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디텐트 토오크도 저지한다. 따라서,전자 기구에 급전하지 않아도 렌즈 홀더를 소정 위치에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스테이터로의 급전에 의하여 스텝 수를 제어하는 것만으로 렌즈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렌즈의 위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고,또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 및 박형 카메라 및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0)

  1.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와, 이 렌즈 홀더를 상기 렌즈의 광축에 따라 직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갖는 렌즈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렌즈 홀더를 외주측에서 에워싸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광축 주위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자 기구와, 이 전자 기구가 발생시킨 회전 구동력을 상기 광축에 따르는 직선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 변환하고 상기 렌즈 홀더를 직동시키는 변환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각각이 상기 렌즈를 지지하여 상기 광축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고,해당 복수의 렌즈 홀더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변환 기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구는 외주면이 둘레 방향으로 착자된 링형상의 마그네트를 구비하는 로터와, 상기 링형상의 마그네트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복수의 극치가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상기 광축에 따른 이동을 규제한 상태에서 해당 로터를 상기 광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갖고,상기 변환 기구는 상기 렌즈 홀더의 외주면 및 상기 로터의 내주면중의 한쪽의 면에 형성되는 안내 홈과 상기 렌즈 홀더의 외주면 및 상기 로터의 내주면 중의 다른 측의 면에 유지되고,상기 안내 홈내에 진입하여 상기 로터가 회전할 때, 상기 안내 홈 내부를 상대 이동하여 상기 렌즈 홀더를 상기 광축을 따라서 직동시키는 계합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각각이 상기 렌즈를 지지하여 상기 광축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고,해당 복수의 렌즈 홀더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변환 기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홀더의 각각에 대한 상기 변환 기구에서는 각각 상기 안내 홈이 다른 홈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렌즈 홀더와 일체로 구성되고,상기 변환 기구는 상기 로터의 외주면 및 상기 스테이터의 내주면 중의 한쪽의 면에 형성되는 안내 홈과 상기 로터의 외주면 및 상기 스테이터의 내주면 중의 다른 측의 면에 유지되고,상기 안내 홈내에 진입하여 상기 로터가 회전했을 때, 상기 안내 홈내를 상대 이동하고 상기 렌즈 홀더를 상기 광축에 따라 직동시키는 계합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수단은 상기 다른 측의 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9.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와 이 렌즈 홀더를 상기 렌즈의 광축에 따라 직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갖는 렌즈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렌즈 홀더를 외주측에서 에워싸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렌즈 홀더를 상기 광축방향에 따라 직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자 기구와,
    이 전자 기구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동시에,상기 렌즈 홀더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하고,이 렌즈 홀더의 상기 광축에 대한 경사를 억제하여 상기 광축에 따른 직동 동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2개의 상기 가이드 축에 동시에 가이드되어서 직동 동작하고,상기 계합부는 상기 가이드 축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접동하는 접동부를 각각 가지고,한 쪽의 접동부를 다른 쪽보다 상기 광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에는 다른 상기 렌즈 홀더를 가이드하는 상기 길게 형성된 접동부를 도피하는 릴리프부가, 가이드 하지 않는 상기 가이드 축이 삽통하는 부분에 반경 방향의 내측에 노치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2개의 상기 렌즈 홀더와 둘레 방향으로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는 3개의 상기 가이드 축을 갖고,2개의 상기 렌즈 홀더는 공통하는 1개의 상기 가이드 축 및 다른 1개의 상기 가이드 축의 합계 2개의 상기 가이드 축에 의하여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렌즈 홀더를 외주측에서 에워싸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광축 주위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전자 기구와 이 전자 기구가 발생시킨 회전 구동력을 상기 광축에 따르는 직선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렌즈 홀더를 직동시키는 변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변환 기구는 상기 전자 기구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배치됨과 동시에,상기 가이드 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구는 외주면이 둘레 방향으로 NS 교대로 착자된 링형상의 마그네트를 갖는 로터와,
    상기 링형상의 마그네트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복수의 극치가 둘레 방향으로 배치된 스테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변환 기구는 상기 렌즈 홀더의 외주면 및 상기 로터의 내주면 중의 한쪽의 면에 형성되는 안내 홈과 상기 렌즈 홀더의 외주면 및 상기 로터의 내주면 중의 다른 측의 면에 유지되고,상기 안내 홈내에 진입하여 상기 로터가 회전했을 때, 상기 안내 홈내를 상대 이동하여 상기 렌즈 홀더를 상기 광축을 따라 직동시키는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 부근에 상기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길게 형성된 접동부가 상기 2개의 렌즈 홀더로 끼워지는 공간내에 돌출하도록 형성되고,상기 변환 기구는 상기 2개의 렌즈 홀더가 각각 지지하는 상기 렌즈의 간격을 가변으로 하는 기구로 되고,그 간격이 좁아졌을 때, 상기 길게 형성된 각각의 접동부를 대응하는 상기 릴리프부에 각각 진입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상기 릴리프부에 진입한 상기 길게 형성된 각 접동부의 외주면과 그 릴리프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와 상기 렌즈 홀더를 수지의 일체 성형체로 구성하고,렌즈 부분을 비구면 수지 렌즈로 하고, 렌즈 홀더 부분의 일부를 상기 계합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18. 제9항의 렌즈 구동 장치와, 이 렌즈 구동 장치의 대물측에 고정 배치되는 커버 유리와, 광축 방향으로서 상기 렌즈 구동 장치 중의 렌즈를 사이에 두고 상기 커버 유리와는 반대측에 고정 배치된 촬상 소자와, 상기 렌즈 구동 장치중의 렌즈 홀더로서,광축 방향으로 직동 동작을 하는 동시에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에 고정되는 조리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카메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를 적어도 2개 설치하고,상기 렌즈 사이의 간격을 가변으로하는 것으로 줌인을 가능하게 하고,상기 간격이 가변으로 되는 상기 렌즈 홀더로서 대물측에 배치되는 렌즈 홀더의 상기 촬상 소자측에 상기 조리개를 고정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카메라.
  20. 제18항의 박형 카메라를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의 카메라부로 하고, 상기 박형 카메라 중의 커버 유리의 표면과 케이스의 표면을 일직선 형상으로 배치하고,상기 커버 유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박형 카메라 중의 촬상 소자의 뒷면까지의 길이를 6∼1Omm로 하고, 상기 촬상 소자와 상기 케이스의 뒷면과의 사이에 상기 촬상 소자에 접속되는 기판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
KR1020030071785A 2003-04-17 2003-10-15 렌즈 구동장치,박형 카메라 및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 KR100733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12954 2003-04-17
JP2003112954A JP2004317864A (ja) 2003-04-17 2003-04-17 レンズ駆動装置
JPJP-P-2003-00145319 2003-05-22
JP2003145319A JP2004347890A (ja) 2003-05-22 2003-05-22 レンズ駆動装置、薄型カメラ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379A true KR20040090379A (ko) 2004-10-22
KR100733258B1 KR100733258B1 (ko) 2007-06-27

Family

ID=33161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785A KR100733258B1 (ko) 2003-04-17 2003-10-15 렌즈 구동장치,박형 카메라 및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64912B2 (ko)
KR (1) KR100733258B1 (ko)
CN (1) CN15387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050B1 (ko) * 2004-12-22 2006-09-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적합한 렌즈 구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8271A (ja) * 2003-10-24 2005-05-19 Ushio Inc 光配向用偏光光照射装置および光配向用偏光光照射装置における偏光軸の調整方法
CN1780363A (zh) * 2004-11-19 2006-05-3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薄形数码相机
KR100686112B1 (ko) * 2005-02-04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
TWI295385B (en) * 2005-07-29 2008-04-01 Ind Tech Res Inst Optical device
KR100716829B1 (ko) * 2005-08-10 2007-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초박형 모바일 카메라 광학 렌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이미지 결상 방법
TWI307781B (en) 2006-07-05 2009-03-21 Ind Tech Res Inst Optical device
DE102007052657B4 (de) * 2007-11-05 2010-03-11 Raylase Ag Linsenvorrichtung mit einer verschiebbaren Linse und Laserscannersystem
JP5473794B2 (ja) * 2009-07-23 2014-04-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学素子
JP5589509B2 (ja) * 2009-12-28 2014-09-17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US8213099B2 (en) * 2010-01-07 2012-07-03 Tdk Taiwan Corp. Miniature auto-focusing lens device
US9217841B2 (en) 2011-01-25 2015-12-22 Hong Kong Applied Science &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Compact camera module with zoom and auto-focus actuators sharing the same rotating annular magnet with alternating thick and thin poles
JP5870498B2 (ja) 2011-03-23 2016-03-01 株式会社ニコン レンズ鏡筒及び光学機器
JP2014115445A (ja) * 2012-12-10 2014-06-26 Funai Electric Co Ltd 光学装置
WO2014130895A1 (en) 2013-02-21 2014-08-28 Nlight Photonics Corporation Laser patterning multi-layer structures
US9842665B2 (en) 2013-02-21 2017-12-12 Nlight, Inc. Optimization of high resolution digitally encoded laser scanners for fine feature marking
WO2014130089A1 (en) 2013-02-21 2014-08-28 Nlight Photonics Corporation Non-ablative laser patterning
US10464172B2 (en) 2013-02-21 2019-11-05 Nlight, Inc. Patterning conductive films using variable focal plane to control feature size
TWI611854B (zh) * 2013-05-02 2018-01-21 n萊特股份有限公司 光學處理系統和用於光學處理的方法
JP6618668B2 (ja) * 2013-12-16 2019-12-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駆動ユニット、光学ユニット、撮像装置及び内視鏡
JP6351258B2 (ja) 2013-12-26 2018-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US20150346453A1 (en) * 2014-06-03 2015-12-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driving control system for camera module
US10618131B2 (en) 2014-06-05 2020-04-14 Nlight, Inc. Laser patterning skew correction
US10310201B2 (en) 2014-08-01 2019-06-04 Nlight, Inc. Back-reflection protection and monitoring in fiber and fiber-delivered lasers
US9837783B2 (en) 2015-01-26 2017-12-05 Nlight, Inc. High-power, single-mode fiber sources
KR102399590B1 (ko) * 2015-02-04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구동 모듈
US10050404B2 (en) 2015-03-26 2018-08-14 Nlight, Inc. Fiber source with cascaded gain stages and/or multimode delivery fiber with low splice loss
WO2017008022A1 (en) 2015-07-08 2017-01-12 Nlight, Inc. Fiber with depressed central index for increased beam parameter product
CN105068610B (zh) * 2015-08-25 2018-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US10382698B2 (en) 2015-09-30 2019-08-13 Apple Inc. Mobile zoom using multiple optical image stabilization cameras
WO2017091606A1 (en) 2015-11-23 2017-06-01 Nlight, Inc. Predictive modification of laser diode drive current waveform in high power laser systems
US11179807B2 (en) 2015-11-23 2021-11-23 Nlight, Inc. Fine-scale temporal control for laser material processing
CN108367389B (zh) 2015-11-23 2020-07-28 恩耐公司 激光加工方法和装置
EP3389915B1 (en) 2016-01-19 2021-05-05 NLIGHT, Inc. Method of processing calibration data in 3d laser scanner systems
CN109791252B (zh) 2016-09-29 2021-06-29 恩耐公司 可调整的光束特性
US10732439B2 (en) 2016-09-29 2020-08-04 Nlight, Inc. Fiber-coupled device for varying beam characteristics
US10730785B2 (en) 2016-09-29 2020-08-04 Nlight, Inc. Optical fiber bending mechanisms
WO2018105200A1 (ja) * 2016-12-05 2018-06-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案内装置、レンズ移動装置及び撮像装置
KR20180065686A (ko) 2016-12-08 2018-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607389B1 (en) 2017-04-04 2023-06-07 Nlight, Inc. Optical fiducial generation for galvanometric scanner calibration
FR3066623B1 (fr) * 2017-05-17 2022-12-16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protection d'un capteur optique et systeme d'assistance a la conduite associe
WO2018229865A1 (ja) * 2017-06-13 2018-12-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および内視鏡
KR102536997B1 (ko) 2018-04-12 2023-05-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0007422B (zh) * 2019-04-19 2021-03-26 东莞市普密斯精密仪器有限公司 一种带有直线电机和自锁功能的连续变倍镜头
US11573391B2 (en) * 2019-04-30 2023-02-0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4036A (ja) 1982-03-25 1983-09-28 Toshiba Corp 光ディスク用ピックアップ
US4695144A (en) * 1985-08-04 1987-09-22 West Electric Company, Ltd. Drive apparatus of lens and exposure mechanism by motor
US4874233A (en) * 1986-04-14 1989-10-17 Canon Kabushiki Kaisha Diaphragm control device for interchangeable lens
JPH04217217A (ja) * 1990-12-18 1992-08-07 Canon Inc レンズ鏡筒
JP3380049B2 (ja) * 1994-06-21 2003-02-24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撮像装置
DE19521654C2 (de) * 1995-06-14 1999-01-07 Wolf Gmbh Richard Optische Vorrichtung
JPH09106314A (ja) 1995-10-11 1997-04-22 Canon Inc 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H10142472A (ja) 1996-11-14 1998-05-29 Nikon Corp レンズ駆動機構
JP2939725B2 (ja) 1996-11-15 1999-08-25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US5926322A (en) * 1997-08-04 1999-07-20 Fuji Photo Film Co., Ltd. Zoom lens device with zooming position detector
JP2000284167A (ja) 1999-04-01 2000-10-13 Nidec Copal Corp 羽根駆動機構を備えたレンズ駆動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050B1 (ko) * 2004-12-22 2006-09-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적합한 렌즈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38776A (zh) 2004-10-20
KR100733258B1 (ko) 2007-06-27
US7064912B2 (en) 2006-06-20
US20040207936A1 (en) 200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258B1 (ko) 렌즈 구동장치,박형 카메라 및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
JP6613005B1 (ja) 屈曲式撮像装置の防振機構、および、カメラ、携帯電子機器
KR100865776B1 (ko) 줌 렌즈 장치
US8184380B2 (en) Lens barrel
US7724449B2 (en) Lens drive device and coil winding method
US20210203851A1 (en) Camera device with hand shake correction function
US8077403B2 (en) Lens barrel
EP1843183B1 (e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comprising same
US20070116445A1 (en) Lens driv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JP4739681B2 (ja) 鏡筒
JP2008005640A (ja) 電動モータ及び電子機器
US20080042525A1 (en) Stepping motor
JP2005195912A (ja) レンズ駆動装置
US7274120B2 (en) Drive unit and image pickup unit equipped with the drive unit
US7414801B2 (en)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device including lens barrel
JP2004347890A (ja) レンズ駆動装置、薄型カメラ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JP2007079390A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04317864A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06171346A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る撮像装置
JP2005202316A (ja) 中空モータ一体型レンズ鏡筒
US7116902B2 (en) Lens driv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JP2005227738A (ja)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JP5047459B2 (ja) 光量調節装置、撮像光学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2005121891A (ja)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機器
CN117043657A (zh) 光圈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