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112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112B1
KR100686112B1 KR1020050010584A KR20050010584A KR100686112B1 KR 100686112 B1 KR100686112 B1 KR 100686112B1 KR 1020050010584 A KR1020050010584 A KR 1020050010584A KR 20050010584 A KR20050010584 A KR 20050010584A KR 100686112 B1 KR100686112 B1 KR 100686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camera
terminal
magnetic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9816A (ko
Inventor
남상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0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112B1/ko
Priority to CNB2005101083286A priority patent/CN100422845C/zh
Publication of KR20060089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석과 자성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개폐에 따라 카메라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므로써 피사체 촬영시 사용자가 일일히 카메라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게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케이스에 원호형상으로 고정되고, 개폐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단말기의 개폐 감지 신호에 따라 전류를 인가하여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과, 전자석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며, 전자석에 발생되는 자력의 극성에 따라 상기 전자석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는 자성체와, 일측에는 자성체가 고정되도록 하고, 타측은 카메라모듈에 연결되며,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자성체가 전자석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카메라모듈을 회전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카메라의 자동 회전을 통해 피사체의 촬영을 위해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제거하므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카메라, 회전, 자성체, 전자석, 자동, 카메라모듈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Camera automatic roatation device of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오픈된 경우에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자동 회전장치의 상태를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인 경우에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통상적인 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개폐감지센서 20 : 전자석
30 : 자성체 40 : 연결부재
50 : 카메라모듈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석과 자성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개폐에 따라 카메라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므로써 피사체 촬영시 사용자가 일일히 카메라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게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문자 메시지 및 각종 정보 전송은 물론이고 인터넷접속이나 화상통화 또는 화상정보의 전송도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크게 유행되고 있는데, 상기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전화통화와 인터넷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단말 기능과, 피사체를 촬영하여 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전송 및 삭제할 수 있는 카메라 기능을 일체로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 6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는데, 도 6은 통상적인 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101), 폴더(102), 상기 본체(101)와 폴더(102)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장치(103) 및 상기 힌지장치(103)에 설치된 카메라(104)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104)모듈은 힌지장치(103)의 중심부에 고정 및 일정각도내에서 회동되게 축설되고, 상기 카메라모듈(104)의 회동을 조절하는 휠(105)은 카메라모듈(104)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평상시에는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게 하거나 카메라 커버를 별도로 구비하며, 사용자가 단말기를 오픈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카메라를 손으로 회전시킨 후 사용하거나, 카메라 커버를 오픈시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카메라의 화소수가 급격히 증가되는 것과 같은 단말기의 고급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피사체 촬영시에 카메라 사용의 편의성 요구가 더욱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석과 자성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개폐에 따라 카메라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므로써 피사체 촬영시 사용자가 일일히 카메라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게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는 단말기의 케이스에 원호형상으로 고정되고, 개폐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단말기의 개폐 감지 신호에 따라 전류를 인가하여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과, 전자석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며, 전자석에 발생되는 자력의 극성에 따라 상기 전자석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는 자성체와, 일측에는 자성체가 고정되도록 하고, 타측은 카메라모듈에 연결되며,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자성체가 전자석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카메라모듈을 회전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말기가 오픈되는 경우에는, 자성체가 전자석의 일측과는 척력이 발생되고, 전자석의 타측과는 인력이 발생되어 자성체가 전자석의 내주면을 따라 전자석의 타측방향으로 회전되며, 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재와 연결된 카메라모듈이 회전되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말기가 닫히게 되는 경우에는,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하여 자성체가 전자석의 일측과는 인력이 발생되고, 전자석의 타측과는 척력이 발생되어 자성체가 전자석의 내주면을 따라 전자석의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며, 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재와 연결된 카메라모듈이 회전되고, 카메라모듈이 단말기 내부를 향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오픈된 경우에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자동 회전장치의 상태를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는 개폐감지센서(10), 전자석(20), 자성체(30), 연결부재(40) 및 카메라모듈(50)을 포함한다.
개폐감지센서(10)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단말기를 오픈시키거나, 단말기의 사용을 종료하기 위해 단말기를 닫는 경우에,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센서이다.
개폐감지센서(10)는 단말기의 본체(1)의 일측에 자력을 갖는 자석(12)을 구비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슬라이드부재(5)에는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14)를 구비한다.
이때, 자력감지센서(14)는 홀 이펙트(hall effect)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전자석(20)은 카메라모듈(50)로부터 수평으로 이격되면서 단말기의 케이스에 원호형상으로 고정되고, 개폐감지센서(10)에서 감지된 단말기의 개폐 감지 신호에 따라 전류를 인가하여 자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전자석(20)의 일측(22)에는 S극이 발생되고, 타측(24)에는 N극이 발생되도록 한다.
자성체(30)는 전자석(2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연결부재(40)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전자석(20)의 일측에 발생되는 S극에 대향되는 부분이 S극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자성체(30)는 전자석(20)의 일측(22)에 S극이 발생되고, 타측(24)에는 N극이 발생됨에 따라 전자석(20)의 일측(22)과는 척력이 발생되고, 타측(24)과는 인력이발생되어 자성체(30)가 회전하게 된다.
연결부재(4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의 일측에 자성체(30)를 고정시키며, 타측은 카메라모듈(50)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이에따라, 연결부재(40)가 자성체(3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게 되어 카메라모듈(50)을 회전시키게 된다.
카메라모듈(50)은 그 일측이 연결부재(40)와 체결되어 연결부재(4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즉, 전자석(20)의 자력에 의해 자성체(30)가 전자석(2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자성체(30)와 연결부재(40)의 회전에 의해 카메라모듈(50)이 회전된다.
이에따라, 카메라모듈(50)은 단말기의 개폐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되며, 단말기가 오픈 상태인 경우에는 카메라모듈(50)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외부방향으로 향하게되고, 단말기가 닫힌 상태인 경우에는 카메라모듈(50)이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게되어 외부로의 이물질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 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인 경우에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상태에 있는 단말기를 오픈시키면, 개폐감지센서(10)가 이를 감지하여 전자석(20)에 전류를 인가하게 되고, 인가된 저류에 의해 전자석(20)의 일측(22)에 발생된 S극과 자성체(30)의 S극 사이에는 척력이 발생되며, 전자석(20)의 타측(24)에 발생된 N극과 자성체(30)의 S극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자성체(30)가 전자석(2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자성체(30)의 회전에 의해 연결부재(40)가 회전되며, 연결부재(40)의 회전에 의해 연결부재(40)와 연결된 카메라모듈(50)이 회전되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외부를 향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상태인 단말기를 닫게 되면, 개폐감지센서(10)가 이를 감지하여 전자석(20)에 반대방향의 전류를 인가하게 되고, 인가된 전류에 의해 전자석(20)의 일측(22)에 발생된 N극과 자성체(30)의 S극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되며, 전자석(20)의 타측(24)에 발생된 S극과 자성체(30)의 S극 사이에는 척력이 발생된다.
이에따라, 자성체(30)가 전자석(2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자성체(30)의 회전에 의해 연결부재(40)가 회전되며, 연결부재(40)의 회전에 의해 연결부 재(40)와 연결된 카메라모듈(50)이 회전되어 외부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폴더형 단말기 등과 같은 다른 단말기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자성체와 전자석의 극성은 다른 실시예에서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성체와 전자석간의 인력과 척력관계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는 전자석과 자성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개폐에 따라 카메라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므로써 피사체 촬영시 사용자가 일일히 카메라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게된다.
또한, 카메라의 자동 회전을 통해 피사체의 촬영을 위해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제거하므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3)

  1. 개폐감지센서와 카메라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케이스에 원호형상으로 고정되고, 상기 개폐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단말기의 개폐 감지 신호에 따라 전류를 인가하여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전자석에 발생되는 자력의 극성에 따라 상기 전자석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는 자성체와;
    일측에는 상기 자성체가 고정되도록 하고, 타측은 상기 카메라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자성체가 전자석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을 회전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오픈되는 경우에는, 상기 자성체가 상기 전자석의 일측과는 척력이 발생되고, 상기 전자석의 타측과는 인력이 발생되어 상기 자성체가 전자석의 내주면을 따라 전자석의 타측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된 카메라모듈이 회전되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닫히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자성체가 상기 전자석의 일측과는 인력이 발생되고, 상기 전자석의 타측과는 척력이 발생되어 상기 자성체가 전자석의 내주면을 따라 전자석의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된 카메라모듈이 회전되고, 상기 카메라모듈이 단말기 내부를 향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
KR1020050010584A 2005-02-04 2005-0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 KR100686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584A KR100686112B1 (ko) 2005-02-04 2005-0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
CNB2005101083286A CN100422845C (zh) 2005-02-04 2005-10-12 移动通信终端的相机自动旋转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584A KR100686112B1 (ko) 2005-02-04 2005-0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816A KR20060089816A (ko) 2006-08-09
KR100686112B1 true KR100686112B1 (ko) 2007-02-23

Family

ID=3690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584A KR100686112B1 (ko) 2005-02-04 2005-0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6112B1 (ko)
CN (1) CN100422845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2976A (zh) * 2019-12-27 2020-05-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WO2021033901A1 (ko) * 2019-08-16 2021-02-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갖는 슬라이드 바디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0246B (zh) * 2015-11-11 2018-09-2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于移动终端的摄像头旋转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10099147B (zh) * 2019-03-27 2020-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装置
CN112990184A (zh) * 2021-02-25 2021-06-18 读书郎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拍摄字体大小可调节的扫描笔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864A (ko) * 2002-05-10 2003-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회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3733B1 (en) * 1999-04-28 2002-03-05 Ericcson Inc. Latching mechanisms for rotatable and/or translatable members o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CN1205797C (zh) * 2002-03-28 2005-06-08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具有磁性的旋转机构
US7064912B2 (en) * 2003-04-17 2006-06-20 Nidec Sankyo Corporation Lens driving apparatus, thin camera, and a cellular phone having a thin camera
KR100678039B1 (ko) * 2003-05-28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864A (ko) * 2002-05-10 2003-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회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3901A1 (ko) * 2019-08-16 2021-02-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갖는 슬라이드 바디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1092976A (zh) * 2019-12-27 2020-05-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816A (ko) 2006-08-09
CN1815344A (zh) 2006-08-09
CN100422845C (zh)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586B1 (ko) 이동 통신 장치를 위한 수축가능한 회전식 카메라 모듈 및 그 동작 방법
KR10068611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
KR20030057661A (ko)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개방수단을 구비한휴대용 통신장치
US7422380B2 (en) Camera door opening/shutt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JP2005160081A (ja) 回転型円筒カメラ及びスイベルヒンジ構造を有する移動通信端末機
KR1005568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연결장치
KR100790156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JP2005030542A (ja) ヒンジ構造及び電子機器
KR2006010801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커버 자동 개폐 장치
KR100703329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
KR100678039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1474420B1 (ko) 휴대 단말기
KR100710067B1 (ko) 양방향으로 스윙 및 회전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866944B1 (ko)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JP3921138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100690717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전 가능한 슬라이딩 장치
KR200342944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JP2004221755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KR20050075517A (ko) 전자석을 이용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오픈 장치
KR100531936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80433B1 (ko)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의 자동 보호장치
KR100835678B1 (ko)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68966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장치
KR1005662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0319979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