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686A - 조리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686A
KR20180065686A KR1020160166855A KR20160166855A KR20180065686A KR 20180065686 A KR20180065686 A KR 20180065686A KR 1020160166855 A KR1020160166855 A KR 1020160166855A KR 20160166855 A KR20160166855 A KR 20160166855A KR 20180065686 A KR20180065686 A KR 20180065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iaphragm
wing
camera module
lens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6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5686A/ko
Priority to EP17877572.2A priority patent/EP3519891B1/en
Priority to MYPI2019002818A priority patent/MY193583A/en
Priority to CN201780075684.3A priority patent/CN110073286B/zh
Priority to PCT/KR2017/013956 priority patent/WO2018105952A1/en
Priority to US15/831,898 priority patent/US10509195B2/en
Publication of KR2018006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686A/ko
Priority to US16/668,507 priority patent/US1113756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5Diaphrag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06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setting of both diaphragm and distan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091Digital circuits
    • G03B7/095Digital circuits for control of aper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6Two or more co-operating pivoted blades, e.g. iris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4
    • H04N5/2257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고, 내측으로 광 유입이 발생하도록 일측에 마련된 렌즈 홀을 포함하는 렌즈 베럴, 상기 렌즈 베럴에 형성된 상기 렌즈 홀 상에 정렬되고 홀의 크기가 조절되는 조리개 홀 영역을 포함하는 가변 조리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조리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Camera Module including a aper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상술한 휴대용 전자 장치는 촬영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휴대용 전자 장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 휴대용 전자 장치는 휴대성 등을 고려하여 그 크기와 두께가 제한적이며,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카메라 모듈도 크기와 두께가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휴대용 전자 장치의 카메라 모듈은 일부 구성품 예컨대, 조리개를 포함하지 못하는 카메라 모듈을 채택하여 제작되고 있었다. 조리개가 없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광량 조절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촬영 기능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조리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고, 내측으로 광 유입이 발생하도록 일측에 마련된 렌즈 홀을 포함하는 렌즈 베럴, 상기 렌즈 베럴에 형성된 상기 렌즈 홀 상에 정렬되고 홀의 크기가 조절되는 조리개 홀 영역을 포함하는 가변 조리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형성된 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고, 내측으로 광 유입이 발생하도록 일측에 마련된 렌즈 홀을 포함하는 렌즈 베럴, 상기 렌즈 베럴에 형성된 상기 렌즈 홀 상에 정렬되고 홀의 크기가 조절되는 조리개 홀 영역을 포함하는 가변 조리개, 상기 조리개 홀 영역의 크기 조절을 제어하는 조리개 구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조리개를 배치하여 다양한 촬영 모드 또는 촬영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외관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조리개가 장착된 렌즈 베럴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가변 조리개와, 제1 이동 캐리어 및 렌즈 베럴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조리개 상태 변화와 관련한 일부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조리개의 변경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조리개의 변경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2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조리개의 조리개 홀 영역의 제1 조절 상태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조리개의 조리개 홀 영역의 제2 조절 상태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조리개의 조리개 홀 영역의 제3 조절 상태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조리개의 조리개 홀 영역의 제4 조절 상태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베럴을 포함하는 일부 구성의 이동과 관련한 카메라 모듈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Z축 이동의 제1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Z축 이동의 제2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 관련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베럴의 X축 이동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베럴의 X축 이동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베럴의 Y축 이동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베럴의 Y축 이동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환경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모듈,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 (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외관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쉴드캔(110), 스토퍼(120), 가변 조리개(130), 조리개 고정부(140), 제1 이동 캐리어(150), 렌즈 베럴(160), 제2 이동 캐리어(180), 조리개 구동 모듈(170), 하우징(1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베럴(160) 상부에 가변 조리개(130)가 배치되고, 조리개 구동 모듈(170)에 의해 가변 조리개(130)의 조리개 홀 영역(130a)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촬영 기능(또는 촬영 모드)에 따라 가변 조리개(130)의 조절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제1 촬영 기능(예: 팬포커스 기능) 실행 시 조리개 홀 영역(130a)의 크기가 최대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제2 촬영 기능(예: 아웃 포커스 기능) 실행 시 조리개 홀 영역(130a)의 크기가 최소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사용자 설정 또는 촬영 기능에 따라 상기 가변 조리개(130)의 조리개 홀 영역(130a)의 크기를 최대와 최소 사이의 지정된 크기 영역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가변 조리개(130)를 렌즈 베럴(160)의 상부에 배치하면서도 렌즈 베럴(160)이 결합되는 제1 이동 캐리어(150)에 함께 배치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베럴(160) 이동에 대응하여 X축이나 Y축 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가변 조리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카메라 모듈(100)은 가변 조리개(130)를 렌즈 베럴(160)의 상부에 배치하면서도 렌즈 베럴(160)의 최상단과 가변 조리개(130)의 조리개 홀 영역(130a) 사이의 갭을 최소화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쉴드캔(110)은 전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00)을 상부에서 하방으로 덮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쉴드캔(110)은 상부면(111), 상부면(111)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쉴드캔 측벽들(112)을 포함하며, 하부면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쉴드캔(110)의 상부면(111)은 상기 렌즈 베럴(160)의 중심부에 배치된 렌즈(161)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쉴드캔 홀(110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쉴드캔 측벽들(112)은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하우징(190)의 가장자리와 체결되어 내부에 안착된 구성들(예: 스토퍼(120), 가변 조리개(130), 조리개 고정부(140), 제1 이동 캐리어(150), 렌즈 베럴(160), 제2 이동 캐리어(180) 및 조리개 구동 모듈(170) 등)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쉴드캔(110)은 예컨대, 금속 재질로 마련되거나 또는 지정된 크기 이상의 경도를 가지는 재질(예: 강화 플라스틱 등)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20)는 상기 쉴드캔(110)과 상기 가변 조리개(130) 사이에 배치되어, 가변 조리개(130)가 일 방향(예: Z축 방향 또는 상측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스토퍼(120)는 상부 기판(125)과, 리드(12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기판(125)은 중심부가 빈 다각형의 띠(예: 사각형의 띠) 형상의 테두리 영역(121) 및 상기 가변 조리개(130)의 조리개 홀 영역(130a)이 노출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일정 크기로 마련되는 스토퍼 홀(120a)을 포함하는 스토퍼 기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기판(122)은 연결부(123)를 통해 테두리 영역(121) 일측에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 기판(122)은 상기 연결부(123)를 통하여 상기 테두리 영역(121)으로부터 일정 높이(예: 연결부(123)의 높이)만큼 이격된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3) 높이에 의해 상기 스토퍼 기판(122)은 상기 가변 조리개(130)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가변 조리개(130)의 상하 방향 움직임 발생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드(124)들은 상기 테두리 영역(121)의 일측(예: 모서리 영역)에서 직하방으로 일정 길이와 폭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리드(124)들은 중심부가 빈 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리드(124)들은 상기 제1 이동 캐리어(150) 또는 제2 이동 캐리어(180)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조리개(130)는 두 장의 날개부들(130_1, 130_2)을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들(130_1, 130_2)은 서로 부분적으로 포개져 배치될 수 있다. 포개져 배치된 날개부들(130_1, 130_2)은 일정 각도 범위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날개부들(130_1, 130_2)은 중심부에 서로 다른 크기이며 일부분이 중첩된 날개 홀들(131a, 131b)을 포함할 수 있다. 날개 홀들(131a, 131b)은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중앙의 조리개 홀 영역(130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날개 홀들(131a, 131b)은 서로 다른 크기의 홀들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형상 예컨대 오뚜기 형상 또는 눈사람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날개 홀들(131a, 131b)은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날개부들(130_1, 130_2)은 서로 맞물려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컨대, 날개부들(130_1, 130_2)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또는 날개부들(130_1, 130_2)의 중첩 범위가 많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조리개 홀 영역(130a)이 커질 수 있고, 날개부들(130_1, 130_2)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또는 날개부들(130_1, 130_2)의 중첩 범위가 적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조리개 홀 영역(130a)이 작아질 수 있다. 상술한 날개부들(130_1, 130_2)은 상기 제1 이동 캐리어(150) 일측에 안착되데,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리개 고정부(140)는 가변 조리개(130) 일측 가장자리를 상기 제1 이동 캐리어(150)에 고정시키되 일정 범위 내에서 가변 조리개(130)가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리개 고정부(140)는 가변 조리개(130)의 날개부 일측에 배치된 날개 거치대(132)를 제1 이동 캐리어(150)에 고정(예: 상하 방향으로 유동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면서, 상기 가변 조리개(130)가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데 이용되는 레버(139)가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조리개 고정부(140)는 상기 가변 조리개(130)의 모서리 영역 상부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Z축 방향으로 가변 조리개(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부(141)와, 상기 가변 조리개(130)의 모서리 영역 측부에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또는 수평면에서의 일정 방향)으로 가변 조리개(13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레버(139)가 일정 각도로 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측면 리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캐리어(150)는 내측 중앙이 비어 렌즈 베럴(160)의 상부가 배치되도록 마련되면서, 상부에는 상기 가변 조리개(130)가 안착 및 고정되데, 가변 조리개(130)의 날개부들(130_1, 130_2)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가변 조리개(130)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캐리어(150) 내측에는 렌즈 베럴(160)이 고정되고 적어도 두 개의 외측부에 각각 배치된 제1 자석 부재(151) 및 제2 자석 부재(152)(예: 손 떨림 보정용 자석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외측부는 모서리를 공유하는 측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떨림 보정용 제1 자석 부재(151) 및 제2 자석 부재(152)는 상기 제2 이동 캐리어(180)에 배치되는 손떨림 보정과 관련한 코일들(예: 하우징(190) 일측에 배치된 코일들(191, 192))과 쌍으로 운용되어 상기 렌즈 베럴(160)이 고정된 제1 이동 캐리어(150)를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렌즈 베럴(160)은 내부가 빈 통형이되, 일정 높이만큼 동일 또는 유사한 직경을 가지고, 이후 높이부터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줄어들며 상단에는 렌즈 홀(161a)이 배치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 베럴(16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들이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베럴(160) 내부에 배치되는 렌즈들 중 최상위 렌즈(16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렌즈 홀(161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161)는 볼록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 홀(161a)의 주변부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베럴(16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이동 캐리어(150)가 고정되는 고정홈 또는 고정 돌기(16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동 캐리어(150)에 고정되는 렌즈 베럴(160)은 제1 이동 캐리어(150)에 배치된 제1 자석 부재(151) 및 제2 자석 부재(152)와 하우징(190) 일측에 배치되는 코일들(예: 제1 코일(191), 제2 코일(192))과의 상호 작용으로 인하여 X축 및 Y축(예: 수평면에서의 일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 캐리어(180)는 중심부에 일정 크기 이상의 관통홀(180a)이 마련되며, 관통홀(180a)을 형성하는 프레임(189)과, 상기 프레임(189)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신장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측벽들(181, 182, 183, 184)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캐리어 측벽들(181, 182, 183, 184)은 렌즈 베럴(160)을 X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작하는 제1 자석 부재(151)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1 캐리어 측벽(181), 렌즈 베럴(160)을 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작하는 제2 자석 부재(152)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2 캐리어 측벽(182), 렌즈 베럴(160)이 Z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작하는 제3 자석 부재(188)가 외측에 배치되는 제3 캐리어 측벽(183) 및 가변 조리개(130)의 날개부들(130_1, 130_2) 조절과 관련한 조리개 구동 모듈(170)이 배치되는 제4 캐리어 측벽(184)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2 이동 캐리어(180) 내측에는 상기 제1 이동 캐리어(150)가 결합된 렌즈 베럴(160)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조리개 구동 모듈(170)은 예컨대, 상기 가변 조리개(130)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변 조리개(130)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운동하는데 힘을 전달하도록 마련된 레버(139)에 체결되며 상기 레버(139)가 일정 방향(예: 수평면에서 일 방향으로, 예컨대, X축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대(174), 지지대(174)에 배치되는 제4 자석 부재(173), 상기 제4 자석 부재(173)를 일정 방향(예: X축 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조리개 코일(172), 상기 조리개 코일(172)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조리개 구동 IC(1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개 구동 IC(171) 및 상기 조리개 코일(172)은 예컨대, 상기 하우징(190)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자석 부재(173)가 배치된 지지대(174)는 상기 제2 이동 캐리어(180) 일측(예: 제4 캐리어 측벽(184))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90)은 상술한 구성들 예컨대, 스토퍼(120), 가변 조리개(130), 조리개 고정부(140), 제1 이동 캐리어(150), 렌즈 베럴(160), 제2 이동 캐리어(180), 조리개 구동 모듈(170)이 안착되는 안착부(198), 상술한 구성들을 감싸도록 하우징 측벽들(9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98)는 중앙에 렌즈 베럴(160)의 중심부가 하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안착부 홀(19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 홀(190a) 하부에는 예컨대, 이미지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측벽들(90)은 상기 안착부(198)의 가장자리에 각각 모서리를 공유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측벽들(90)은 예컨대, 상기 렌즈 베럴(160)이 X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1 이동 캐리어(150)에 배치된 제1 자석 부재(151)와 상호 운용되는 제1 코일(191)이 배치된 제1 하우징 측벽(91), 상기 렌즈 베럴(160)이 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이동 캐리어(150)에 배치된 제2 자석 부재(152)와 상호 운용되는 제2 코일(192)이 배치된 제2 하우징 측벽(92), 상기 렌즈 베럴(160)이 Z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된 제3 자석 부재(188)와 상호 운용되는 제3 코일(193)이 배치되는 제3 하우징 측벽(93), 상기 제4 자석 부재(173)와 상호 운용되는 조리개 코일(172)이 배치된 제4 하우징 측벽(9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측벽들(90)은 상기 쉴드캔 측벽들(112)과 체결되면서 내측에 상술한 카메라 모듈과 관련한 구성들을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베럴(160) 상부에 가변 조리개(130)를 배치하면서, 렌즈 베럴(160)에 가변 조리개(130)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채용하여, 렌즈 베럴(160)의 유동에 따라 상기 가변 조리개(130)도 함께 유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렌즈 베럴(160)과 상기 가변 조리개(130)의 정렬 상태가 렌즈 베럴(160)의 움직임(예: 손떨림 보정과 관련한 움직임 또는 오토포커싱과 관련한 움직임 등)에 관계없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상기 가변 조리개(130)의 조리개 홀 영역(130a)을 상기 렌즈 베럴(160)의 내측에 배치된 최상위 렌즈(161)와 정렬배치하면서, 볼록한 형상의 최상위 렌즈(161)의 적어도 일부가 조리개 홀 영역(130a)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배치(예: 최상위 렌즈(161)의 볼록한 면 끝단이 상기 가변 조리개(130)의 표면보다 돌출되도록 배치)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상하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조리개가 장착된 렌즈 베럴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가변 조리개와, 제1 이동 캐리어 및 렌즈 베럴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조리개 상태 변화와 관련한 일부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베럴(160) 일측에 가변 조리개(130)가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베럴(1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제1 직경을 가지는 하부 베럴(61), 상기 하부 베럴(61)의 상부부터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제2 직경을 가지는 중부 베럴(62), 상기 중부 베럴(62)의 상부에서 돌출된 원형의 띠 형상으로 마련되는 조리개 거치대(64), 상기 조리개 거치대(64)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중부 베럴(6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상부 베럴(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베럴(63)의 상부면에는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렌즈 베럴(160)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렌즈 홀(161a)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베럴(61)의 내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주름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름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테두리가 거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중부 베럴(62) 내벽 및 상기 상부 베럴(63) 내벽에도 적어도 하나의 주름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중부 베럴(62) 및 상부 베럴(63) 내벽에 배치된 주름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테두리가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리개 거치대(64)의 상면 일측에는 일정 크기 홈을 가지는 고정 돌기들(16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돌기들(162)은 예컨대 상기 스토퍼(120)와 결합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돌기들(162)의 홈에는 상기 스토퍼(120)에 마련된 연결부(123) 일측이 안착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리개 거치대(64) 상부에는 상기 가변 조리개(13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조리개(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날개부(130_1) 및 제2 날개부(130_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부(130_1)는 예컨대, 제1 날개(134a), 제1 날개(134a)에 연결되는 제1 날개 지지부(133a), 제1 날개 지지부(133a)와 연결되는 제1 날개 거치대(132a), 레버(139), 연결 돌기(135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날개부(130_2)는 예컨대, 제2 날개(134b), 제2 날개(134b)에 연결되는 제2 날개 지지부(133b), 제2 날개 지지부(133b)와 연결되는 제2 날개 거치대(132b), 연결 홀(13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134a)는 예컨대, 지정된 두께를 가지며 다양한 형태 예컨대, 다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134a)의 일측에는 제1 상부 홀(137a2) 및 제1 하부 홀(137a1)이 배치되며, 상기 제1 상부 홀(137a2) 및 제1 하부 홀(137a1)은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홀(137a2)의 직경과 상기 제1 하부 홀(137a1)의 직경은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상부 홀(137a2)의 직경은 제1 하부 홀(137a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상부 홀(137a2) 및 제1 하부 홀(137a1)의 형상은 오뚜기 형상 또는 눈사람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상부 홀(137a1) 및 제1 하부 홀(137a2)은 제1 날개(134a)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상부 홀(137a1)은 제1 크기의 원형 홀이고, 제2 하부 홀(137a2)은 제2 크기(예: 제1 크기와 동일 또는 작은)의 원형 홀일 수 있으며, 제1 상부 홀(137a1)과 제1 하부 홀(137a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상부 홀(137b1)과 제2 하부 홀(137b2)도 각각 독립된 원형 홀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날개부들(130_1, 130_2)의 중첩이 최대가 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제1 상부 홀(137a1)과 제2 하부 홀(137b1)이 중첩될 수 있으며, 날개부들(130_1, 130_2)의 중첩이 최소가 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제1 하부 홀(137a2)과 제2 하부 홀(137b2)이 중첩될 수 있다.
날개부들(130_1, 130_2)의 이동에 따라 렌즈 홀(161a)의 중심점 상에 상기 제1 상부 홀(137a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상부 홀(137a2)은 상기 제2 날개(134b)에 마련된 제2 상부 홀(137b2)과 중첩되어 렌즈 홀(161a)상에 배치될 수 있다. 날개부들(130_1, 130_2)의 이동에 따라 렌즈 홀(161a)의 중심점 상에 상기 제1 하부 홀(137a1)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하부 홀(137a1)은 상기 제2 날개(134b)에 마련된 제2 하부 홀(137b1)과 중첩되어 렌즈 홀(161a)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 지지부(133a)는 상기 제1 날개(134a)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제1 날개(134a)의 표면과 일정 각도(예: 수직 각도)를 가지며 신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 지지부(133a)는 일정 두께와 폭을 가지는 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며 렌즈 베럴(160)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제1 날개 지지부(133a)의 하부는 조리개 거치대(64)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 지지부(133a)의 높이는 예컨대, 상기 상부 베럴(63)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짐으로써, 제1 날개(134a)가 상기 상부 베럴(63)의 전면과 지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 거치대(132a)는 상기 제1 날개 지지부(133a)의 하부와 연결되며 일정 면적을 가지며 렌즈 베럴(160)의 중심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날개부(130_1)가 예컨대, 상기 스토퍼(120)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가려지면서, 상기 가변 조리개(130)가 Z축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날개 거치대(132a)는 제1 이동 캐리어(150)의 상부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139)는 상기 제1 날개 거치대(132a)의 일측으로부터 일정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139)는 상기 조리개 구동 모듈(170)과 체결되면서, 조리개 구동 모듈(170)의 구동에 의하여 일정 방향으로 운동(예: X축 방향 전후로 운동)할 수 있다. 상기 레버(139)는 조리개 구동 모듈(170)의 구동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상기 제1 날개 거치대(132a)를 움직이는 힘을 전달하고, 상기 제1 날개 거치대(132a)의 움직임에 따른 힘이 상기 제1 날개 지지부(133a)에 전달되면서, 상기 제1 날개 지지부(133a)에 연결된 상기 제1 날개(134a)가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1 날개(134a)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1 상부 홀(137a2) 또는 제1 하부 홀(137a1) 또는 상기 제1 상부 홀(137a2)과 제1 하부 홀(137a1)이 중첩된 영역은 상기 렌즈 홀(161a)의 상부에 놓일 수 있다.
상기 연결 돌기(135a)는 상기 제1 날개(134a)의 일측에 배치되데 상기 제2 날개(134b)와 중첩되는 일정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돌기(135a)는 상기 제1 날개(134a)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날개(134b) 일측에 마련된 연결 홀(135b)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돌기(135a)는 상기 연결 홀(135b) 내에서 연결 홀(135b)의 모양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날개(134a)가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회전력이 상기 연결 돌기(135a)에 전달되고, 연결 돌기(135a)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 홀(135b)을 포함한 제2 날개(134b)가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날개(134b)는 연결 홀(135b)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날개(134a)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날개(134b)는 제2 상부 홀(137b2) 및 제2 상부 홀(137b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홀(137b2) 및 제2 상부 홀(137b2)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고, 제2 상부 홀(137b2)의 직경은 상기 제2 상부 홀(137b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홀(137b2)은 상기 제2 날개(134b)의 회전에 따라 렌즈 홀(161a) 상부에서 상기 제1 상부 홀(137a2)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하부 홀(137b1)은 상기 제2 날개(134b)의 회전에 따라 렌즈 홀(161a)의 상부에서 상기 제1 하부 홀(137a1)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날개 지지부(133b)는 상기 제2 날개(134b)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날개(134b)의 표면과 수직하게 일정 두께와 폭을 가지며 신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날개 지지부(133b)의 하부에는 상기 제2 날개 거치대(132b)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날개 지지부(133b)의 하부는 상기 렌즈 베럴(160)의 조리개 거치대(64) 상부 면에 안착되고, 상기 조리개 거치대(64)의 상부 면을 따라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날개 지지부(133b)는 상기 제1 날개 지지부(133a)와 유사 또는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렌즈 홀(161a)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날개 지지부(133a)와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날개 거치대(132b)는 상기 제2 날개 지지부(133b)의 하부에서 일정 면적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날개 거치대(132b)는 상기 스토퍼(120)의 일측에 의하여 가려지면서, 상기 가변 조리개(130)가 Z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날개 거치대(132b)의 형상은 레버(139)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제1 날개 거치대(132a)와 실질적으로 유사 또는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날개 거치대(132b)는 제1 이동 캐리어(150)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홀(135b)은 상기 제2 날개(134b) 일측에 일정 길이를 가지며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홀(135b)에는 상기 제1 날개(134a)에 마련된 연결 돌기(135a)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홀(135b)에 안착된 연결 돌기(135a)는 상기 연결 홀(135b)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연결 홀(135b)은 굴곡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날개(134a)가 지정된 범위 각도 내에서 회전하는 동안, 연결 돌기(135a)가 연결 홀(135b)의 굴곡진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2 날개(134b)가 일정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날개부(130_1) 및 제2 날개부(130_2)는 레버(139)와 체결된 조리개 구동 모듈(170)의 제어에 대응하여, 중첩되는 영역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날개부(130_1)의 제1 하부 홀(137a1)과 제2 날개부(130_2)의 제2 하부 홀(137b1)이 렌즈 홀(161a) 상에서 중첩되는 동안 제1 날개부(130_1)와 제2 날개부(130_2)가 가장 넓게 중첩될 수 있다. 제1 하부 홀(137a1)과 제2 하부 홀(137b1)이 중첩되는 동안 제1 날개(134a)의 가장자리는 제2 날개 지지부(133b)에 형성된 돌기에 접촉되면서, 제1 날개(134a) 및 제2 날개(134b)가 일정 방향으로 추가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제1 날개부(130_1)의 제1 상부 홀(137a2)과 제2 날개부(130_2)의 제2 상부 홀(137b2)이 렌즈 홀(161a) 상에서 중첩되는 동안 제1 날개부(130_1)와 제2 날개부(130_2)가 가장 적게 중첩될 수 있다. 이때, 연결 홀(135b) 및 연결 돌기(135a)에 결합 상태에 의해, 제1 날개(134a) 및 제2 날개(134b)의 최소 중첩 면적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캐리어(150)는 렌즈 베럴(160) 중 중부 베럴(62)과 체결 고정되어, 상측으로는 조리개 거치대(64) 및 상부 베럴(63)이 노출되고, 하측으로는 하부 베럴(61)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캐리어(150)는 상기 가변 조리개(130)의 날개 거치대들의 일측이 안착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이동 캐리어(150) 일측에는 제1 날개(134a)의 제1 날개 거치대(132a)가 안착되고, 상기 조리개 고정부(140)가 상기 제1 날개 거치대(132a)를 덮으면서 상기 제1 이동 캐리어(150)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날개 거치대(132a)로부터 신장된 레버(139)는 상기 조리개 고정부(140)에 마련된 홈을 통하여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조리개의 변경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조리개의 변경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2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중심부에 일정 크기의 쉴드캔 홀(110a)을 가지는 쉴드캔(110)이 외곽을 감싸며, 쉴드캔(110) 내부에는 앞서 언급한 하우징(190)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90) 내에는 제1 이동 캐리어(150)와 제2 이동 캐리어(180)가 결합된 렌즈 베럴(160)이 안착되고, 상기 쉴드캔(110) 내부에서 상기 쉴드캔 홀(110a)을 통해 중심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스토퍼(120)가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120)의 상부 기판(125) 중 테두리 영역(121)과 리드(124)들은 상기 쉴드캔(110)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기판(125) 중 스토퍼 기판(122)과 연결부(123)들은 상기 쉴드캔 홀(110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홀(120a)은 상기 렌즈 베럴(160)의 렌즈 홀(161a) 상부에 정렬되어, 렌즈 홀(161a)이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홀(120a)은 예컨대, 상기 렌즈 홀(161a) 크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렌즈 홀(161a)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설계에 따라, 상기 스토퍼 홀(120a)은 상기 렌즈 홀(161a)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리개 구동 모듈(170)은 상기 하우징(190)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쉴드캔(110)은 상기 하우징(190) 일측에 배치된 조리개 구동 모듈(170)의 적어도 일부(예: 조리개 코일(172) 또는 조리개 구동 IC(17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측부 일정 영역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쉴드캔(110)의 제거된 측부를 통하여 노출된 조리개 코일(172) 또는 조리개 구동 IC(171)는 예컨대 상기 카메라 모듈(100)이 실장되는 전자 장치의 제어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리개 구동 IC(17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조리개 코일(172)에 지정된 방향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조리개 코일(172)에 일정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지지대(174)에 배치된 제4 자석 부재(173)는 제1 방향으로 지지대(174)를 운동시킬 수 있다. 조리개 코일(172)에 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지지대(174)에 배치된 제4 자석 부재(173)는 제2 방향으로 지지대(174)를 운동시킬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174)는 상기 쉴드캔(110)의 측부에 가로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74)의 전후 운동에 의하여 상기 레버(139)가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레버(139)가 지지대(174)의 운동에 의하여 일 방향(예: 도시된 도면에서 조리개 코일(172)이 배치된 지점으로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날개부(130_1)와 제2 날개부(130_2)는 도 6a에 도시된 제1 상태(예: 601 상태, 제1 날개(134a)의 제1 하부 홀(137a1) 및 제2 날개(134b)의 제2 하부 홀(137b1)이 온전하게 중첩된 상태)에서와 같이 중첩되는 영역이 커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날개(134a)에 마련된 제1 하부 홀(137a1)과 제2 날개(134b)에 마련된 제2 하부 홀(137b1)이 서로 중첩되면서 렌즈 홀(161a)의 상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레버(139)가 지지대(174)의 운동에 의하여 타 방향(예: 도시된 도면에서 조리개 코일(172)이 배치된 지점으로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날개부(130_1)와 제2 날개부(130_2)는 도 6b에 도시된 제2 상태(예: 602 상태, 제1 날개(134a)의 제1 상부 홀(137a2) 및 제2 날개(134b)의 제2 상부 홀(137b2)가 온전하게 중첩된 상태)에서와 같이 중첩되는 영역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날개(134a)에 마련된 제1 상부 홀(137a2)과 제2 날개(134b)에 마련된 제2 상부 홀(137b2)이 서로 중첩되면서 렌즈 홀(161a)의 상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베럴(160) 상부에 배치된 가변 조리개(130)를 이용하여 렌즈 베럴(160) 상부면의 렌즈 홀(161a)이 노출되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많은 광량이 필요한 촬영 기능(예: Pan 포커스 기능)에서 가변 조리개(130)는 도 6a와 같은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적은 광량이 필요한 촬영 기능(예: 아웃 포커스 기능)에서 가변 조리개(130)는 도 6b와 같은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조리개의 조리개 홀 영역의 제1 조절 상태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조리개의 조리개 홀 영역의 제2 조절 상태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조리개의 조리개 홀 영역의 제3 조절 상태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조리개의 조리개 홀 영역의 제4 조절 상태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제1 날개(134a)의 제1 하부 홀(137a1)과 제2 날개(134b)의 제2 하부 홀(137b1)이 중첩되어 조리개 홀 영역(130a)의 제1 조절 상태(701)(예: 대 조리개 홀 영역)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조리개 구동 모듈(170)은 제1 날개(134a)와 제2 날개(134b)가 카메라 모듈(100)의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세로 중심선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제1 날개부(130_1)에 배치된 레버(139)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술한 조리개 홀 영역(130a) 상태가 제1 조절 상태(701)가 되는 동안 상기 레버(139)는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되, 최대 거리로 이동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조리개 고정부(140)에 의해 레버(139)는 아래 방향으로 추가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정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139)를 이동시키는 조리개 구동 모듈(170)의 지지대(174)는 제1 방향 최대 이동 거리(예: 제1 조절 상태(701) 형성을 위한 최대 이동 거리)가 지정된 거리로 제한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제1 날개(134a)의 제1 하부 홀(137a1)과 제2 날개(134b)의 제2 하부 홀(137b1)의 제1 크기 영역 및 제2 상부 홀(137b2)의 제2 크기 영역 및 제1 상부 홀(137a2)과 제2 날개(134b)의 제2 하부 홀(137b1)의 제3 크기 영역 및 제2 상부 홀(137b2)의 제3 크기 영역들이 중첩되어 조리개 홀 영역(130a)의 제2 조절 상태(702)(예: 별 타입 조리개 홀 영역)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조리개 구동 모듈(170)은 카메라 모듈(100)의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날개(134a)와 제2 날개(134b)가 세로 중심선에서 외곽 방향으로 지정된 제1 각도만큼 각각 이동되도록 제1 날개부(130_1)에 배치된 레버(139)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술한 조리개 홀 영역(130a)의 제2 조절 상태(702)는 렌즈 홀(161a)이 가변 조리개(130)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조절 상태(702)는 예컨대, 제1 조절 상태(701)와 도 7d에서 설명하는 제4 조절 상태(704) 간의 상태 변화 시 거치는 상태일 수 있다. 또는, 특정 촬영 기능 실행에 따라, 가변 조리개(130)는 제2 조절 상태(702)로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제1 날개(134a)의 제1 하부 홀(137a1)과 제2 날개(134b)의 제2 하부 홀(137b1)의 제4 크기 영역 및 제2 상부 홀의 제5 크기 영역이 중첩되고, 제1 날개(134a)의 제1 상부 홀(137a2)과 제2 날개(134b)의 제2 하부 홀(137b1)의 제 6 크기 영역 및 제2 상부 홀(137b2)의 제7 크기 영역이 중첩되어 조리개 홀 영역(130a)의 제3 조절 상태(703)(예: 마름모 타입 조리개 홀 영역)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조리개 구동 모듈(170)은 제1 날개(134a)와 제2 날개(134b)가 카메라 모듈(100)의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세로 중심선에서 외곽 방향으로 제2 각도(예: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지정된 각도)만큼 각각 이동되도록 제1 날개부(130_1)에 배치된 레버(139)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술한 조리개 홀 영역(130a)의 제3 조절 상태(703)는 렌즈 홀(161a)이 가변 조리개(130)에 의해 가려진 상태가 제2 조절 상태(702)보다 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조절 상태(703)는 예컨대, 제1 조절 상태(701)와 도 7d에서 설명하는 제4 조절 상태(704) 간의 상태 변화 시 거치는 상태 중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또는, 특정 촬영 기능 실행에 따라, 가변 조리개(130)는 제3 조절 상태(703)로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제1 날개(134a)의 제1 상부 홀(137a2)과 제2 날개(134b)의 제2 상부 홀(137b2)이 중첩되어 조리개 홀 영역(130a)의 제4 조절 상태(704)(예: 찌그러진 원형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조리개 홀 영역)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조리개 구동 모듈(170)은 카메라 모듈(100)의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세로 중심선에서 외곽 방향으로 제3 각도(예: 상기 제2 각도보다 큰 지정된 각도 또는 외곽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는 최대 각도)만큼 각각 이동되도록 제1 날개부(130_1)에 배치된 레버(139)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술한 조리개 홀 영역(130a)의 제4 조절 상태(704)는 렌즈 홀(161a)이 가변 조리개(130)에 의해 가려진 상태가 제3 조절 상태(703)보다 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조절 상태(704)는 특정 촬영 기능 실행에 따라,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제2 조절 상태(702)는 예컨대, 레버(139)를 동작시키는 지지대(174)가 제1 조절 상태(701)에서 제1 방향으로 제2 거리(예: 0.4mm, 카메라 모듈(100)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이동된 상태일 수 있다. 상술한 제3 조절 상태(703)는 예컨대, 레버(139)를 동작시키는 지지대(174)가 제1 조절 상태(701)에서 제1 방향으로 제3 거리(예: 0.6mm, 카메라 모듈(100)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이동된 상태일 수 있다. 상술한 제4 조절 상태(704)는 예컨대, 레버(139)를 동작시키는 지지대(174)가 제1 조절 상태(701)에서 제1 방향으로 제4 거리(예: 0.7mm, 카메라 모듈(100)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이동된 상태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베럴을 포함하는 일부 구성의 이동과 관련한 카메라 모듈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예컨대, 렌즈 베럴(160)과 관련한 일부 구성이 안착되는 제2 이동 캐리어(180) 및 상기 제2 이동 캐리어(180)가 안착되는 하우징(190)에는 렌즈 베럴(160)을 포함하는 제2 이동 캐리어(180)가 상하 방향(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3 자석 부재(188) 및 제3 코일(193)(예: 오토포커싱 관련 코일) 및 포커싱 구동 IC(197)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자석 부재(188)는 제2 이동 캐리어(180) 일측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3 코일(193) 및 포커싱 구동 IC(197)는 상기 제3 자석 부재(188)와 적어도 일부가 대면되는 하우징(190)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코일(193)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3 자석 부재(188)는, 제3 코일(193)과의 상호 작용으로 제2 이동 캐리어(18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00) 중 제2 이동 캐리어(180) 일측은 상기 가변 조리개(130)의 레버(139) 구동과 관련한 제4 자석 부재(173)가 배치되고, 상기 제4 자석 부재(173)와 상호 작용하는 조리개 코일(172) 및 조리개 구동 IC 등은 하우징(190)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수평면 상에서 렌즈 베럴(160)을 포함하는 일부 구성이 유동될 수 있도록 제1 자석 부재(151), 제2 자석 부재(152)가 상기 제1 이동 캐리어(150)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90)에는 제1 코일(191), 제2 코일(192), 상기 제1 코일(191) 및 제2 코일(192) 구동과 관련한 구동 IC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Z축 이동의 제1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Z축 이동의 제2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베럴(160)을 포함하는 일부 구성(예: 제2 이동 캐리어(180))이 하우징(190)의 바닥에 안착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렌즈 베럴(160)이 하우징(190)에 안착된 상태에서, 렌즈 베럴(160)의 상부에 놓이는 가변 조리개(130)는 상기 쉴드캔(110)의 상부 표면의 높이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변 조리개(130)의 상부에 놓이는 스토퍼(120)는 상기 쉴드캔(110)의 상부 표면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렌즈 베럴(160)의 적어도 일부(예: 렌즈 베럴(160)의 하단 일부)가 하우징(190)의 중심 바닥에 배치된 안착부 홀(190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베럴(160)을 포함하는 일부 구성(예: 제2 이동 캐리어(180))이 하우징(19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렌즈 베럴(160)이 하우징(190)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에서, 렌즈 베럴(160)의 상부에 놓이는 가변 조리개(130)는 상기 쉴드캔(110)의 상부 표면과 실절적으로 유사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변 조리개(130)의 상부에 놓이는 스토퍼(120)는 상기 쉴드캔(110)의 상부 표면의 높이보다 높게 배치되어 외부에서 관측할 때, 상기 스토퍼(120)가 상기 쉴드캔(110)의 외부표면보다 돌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렌즈 베럴(160)의 하단이 하우징(190)의 중심부에 배치된 안착부 홀(190a)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오토포커싱 기능 수행과 관련하여, 상기 렌즈 베럴(160)은 하우징(190) 바닥 쪽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하우징(190) 바닥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오토포커스 기능 또는 줌아웃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100) 또는 카메라 모듈(100)이 실장된 전자 장치의 제어 장치는 상기 렌즈 베럴(160)을 포함하는 일부 구성이 하우징(190) 바닥에 근접하거나 또는 접촉되도록 제3 코일(193)의 전류 공급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오토포커스 기능 또는 줌인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100) 또는 카메라 모듈(100)이 실장된 전자 장치의 제어 장치가 상기 렌즈 베럴(160)을 포함하는 일부 구성이 하우징(190)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도록 제3 코일(193)의 전류 공급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제3 코일(193)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은 상기 도 9a에서 설명된 제3 코일(193)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과 다른 방향이 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 관련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X축 방향으로 렌즈 베럴(160)을 포함하는 일부 구성의 손떨림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된 제1 코일(191), Y축 방향으로 렌즈 베럴(160)을 포함하는 일부 구성의 손떨림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된 제2 코일(19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191) 및 제2 코일(192)은 상기 하우징(190) 일측에 배치되데, 상기 제1 이동 캐리어(150)의 외벽과 대면될 수 있는 내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캐리어(150) 일측 중 상기 제1 코일(191)과 대면되는 영역에는 제1 자석 부재(15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캐리어(150) 일측 중 상기 제2 코일(192)과 대면되는 영역에는 제2 자석 부재(15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베럴(160) 상부에는 가변 조리개(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조리개(130)는 예컨대, 도 7a에서 설명한 제1 하부 홀(137a1) 및 제2 하부 홀(137b1)이 중첩된 제1 조절 상태(701)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가변 조리개(130)는 카메라 모듈(100)과 관련한 사용자 설정 등에 따라 도 7b 내지 도 7d에서 설명한 제2 조절 상태(702), 제3 조절 상태(703) 및 제4 조절 상태(704)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변 조리개(130)는 렌즈 베럴(160) 일측에 의해 지지되고, 제1 이동 캐리어(150)에 안착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이 손떨림 보정과 관련한 수평면에서의 움직임(예: X축 방향으로의 움직임 또는 Y축 방향으로 움직임)을 수행하는 동안, 렌즈 베럴(160)과 동일한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베럴의 X축 이동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베럴의 X축 이동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00) 중 렌즈 베럴(160)을 포함하는 일부 구성(예: 렌즈 베럴(160), 가변 조리개(130), 제1 이동 캐리어(150) 및 제2 이동 캐리어(180))은 제1 코일(191) 및 제1 자석 부재(151)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예컨대, 도시된 도면 기준으로 전방 방향이 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코일(191) 및 제1 자석 부재(151)는 인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을 띠거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자석 부재(151)를 포함한 제1 이동 캐리어(150)가 제1 코일(191)이 배치된 하우징(19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렌즈 베럴(160)이 전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 베럴(160)은 전방 방향으로 0.2mm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베럴(160)의 이동 거리는 카메라 모듈(100)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00) 중 렌즈 베럴(160)을 포함하는 일부 구성(예: 렌즈 베럴(160), 가변 조리개(130), 제1 이동 캐리어(150) 및 제2 이동 캐리어(180))은 제1 코일(191) 및 제1 자석 부재(151)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은 예컨대, 도시된 도면 기준으로 후방 방향이 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코일(191) 및 제1 자석 부재(151)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을 띠거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자석 부재(151)를 포함한 제1 이동 캐리어(150)가 제1 코일(191)이 배치된 하우징(190)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렌즈 베럴(160)이 전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 베럴(160)은 후방 방향으로 0.2mm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베럴(160)의 이동 거리는 카메라 모듈(100)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베럴의 Y축 이동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베럴의 Y축 이동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00) 중 렌즈 베럴(160)을 포함하는 일부 구성(예: 렌즈 베럴(160), 가변 조리개(130), 제1 이동 캐리어(150) 및 제2 이동 캐리어(180))은 제2 코일(192) 및 제2 자석 부재(152)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3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3 방향은 예컨대, 도시된 도면 기준으로 우측 방향이 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코일(192) 및 제2 자석 부재(152)는 인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을 띠거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자석 부재(152)를 포함하는 제1 이동 캐리어(150)가 제2 코일(192)이 배치된 하우징(19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렌즈 베럴(160)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 베럴(160)은 우측 방향으로 0.2mm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베럴(160)의 이동 거리는 카메라 모듈(100)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00) 중 렌즈 베럴(160)을 포함하는 일부 구성(예: 렌즈 베럴(160), 가변 조리개(130), 제1 이동 캐리어(150) 및 제2 이동 캐리어(180))은 제2 코일(192) 및 제2 자석 부재(152)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4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4 방향은 예컨대, 도시된 도면 기준으로 좌측 방향이 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코일(191) 및 제1 자석 부재(151)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을 띠거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자석 부재(151)를 포함한 제1 이동 캐리어(150)가 제2 코일(192)이 배치된 하우징(190)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렌즈 베럴(160)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 베럴(160)은 좌측 방향으로 0.2mm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베럴(160)의 이동 거리는 카메라 모듈(100)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술한 카메라 모듈(100)은 OIS와 관련한 움직임 수행 중에도 렌즈 베럴(160) 상부에 가변 조리개(130)가 고정배치됨에 따라 OIS(손떨림 보정) 수행과는 독립적으로 렌즈 베럴(160)의 렌즈 홀(161a)과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고, 내측으로 광 유입이 발생하도록 일측에 마련된 렌즈 홀을 포함하는 렌즈 베럴, 상기 렌즈 베럴에 형성된 상기 렌즈 홀 상에 정렬되고 홀의 크기가 조절되는 조리개 홀 영역을 포함하는 가변 조리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 조리개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날개부는 일정 크기의 날개 홀이 형성된 날개, 상기 날개부들의 이동에 기반하여 중첩되는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면서 상기 조리개 홀 영역을 형성하는 날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날개부는 상기 날개를 지지하는 날개 지지대, 상기 날개 지지대로부터 연장된 날개 거치대, 상기 날개 거치대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레버를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날개부의 이동을 조절하는 조리개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리개 구동 모듈은 상기 레버가 일측에 삽입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일측에 배치되는 자석 부재, 상기 자석 부재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지지대를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절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조리개 구동 I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날개부는 상기 날개 일측에 형성되고 다른 날개부와 체결되면서 일방향으로 운동하도록 축 역할을 수행하는 연결 돌기, 또는 상기 날개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돌기가 삽입되고,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된 연결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 베럴이 안착되는 제1 이동 캐리어, 상기 가변 조리개를 상기 제1 이동 캐리어 상에 고정시키는 조리개 고정부, 상기 가변 조리개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변 조리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 상기 렌즈 베럴 및 상기 가변 조리개가 안착되는 하우징, 상기 렌즈 베럴 및 상기 가변 조리개를 덮는 쉴드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이동 캐리어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동 캐리어의 수평 이동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 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 부재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제1 이동 캐리어를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일, 상기 코일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구동 I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 조리개는 일정 크기의 제1 날개 홀을 포함하며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날개부, 일정 크기를 가지고 상기 제1 날개 홀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면서 상기 렌즈 홀과 적어도 일부가 정렬되는 조리개 홀 영역을 형성하는 제2 날개 홀을 포함하며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날개 홀 또는 상기 제2 날개 홀은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홀이 적어도 일부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가변 조리개가 상부에 배치된 렌즈 베럴이 안착되는 제2 이동 캐리어, 상기 제2 이동 캐리어 일측에 배치되고 지정된 위치의 코일과 대면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이동 캐리어의 상하 방향 이동과 관련된 자석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 베럴은 상기 렌즈 베럴의 외벽에서 돌출되어 가변 조리개의 일측을 지지하는 조리개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 베럴의 최상위 렌즈의 상단 끝 부분은 상기 가변 조리개의 조리개 홀 영역의 주변 이상의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300)는 프로세서(1320), 메모리(1330), 입출력 인터페이스(1340), 센서(1350), 카메라 모듈(1360)(예: 상기 카메라 모듈(100)) 및 디스플레이(13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300)는 상기 프로세서(1320), 메모리(1330), 센서(1350)이 안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기 디스플레이(1370) 등을 보호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일측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1360)이 배치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1360)의 일면(예: 렌즈 홀이 배치되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홀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1360) 보호와 관련한 커버(예: 글래스 커버)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320)는 상기 카메라 모듈(1360) 구동과 관련한 제어 신호를 카메라 모듈(1360)에 전달하고, 카메라 모듈(1360)가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1370)를 통해 출력하거나 메모리(1330)에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320)는 상기 카메라 모듈(1360)을 이용한 촬영 기능 선택과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13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20)는 팬 포커스 기능 선택 항목 및 아웃 포커스 기능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 또는 아이콘 등을 디스플레이(137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320)는 팬 포커스 기능 선택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신호 또는 아웃 포커스 기능 선택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카메라 모듈(136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320)는 센서(1350)가 수집하는 센서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조절 상태(701)와 관련한 제1 제어 신호 또는 제4 조절 상태(704)와 관련한 제2 제어 신호를 카메라 모듈(1360)에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320)는 센서(1350)가 제공하는 조도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조도가 지정된 조도 이하인지 확인할 수 있다. 외부 조도가 지정된 조도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320)는 제1 제어 신호를 카메라 모듈(1360)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20)는 외부 조도가 지정된 조도를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1320)는 제2 제어 신호를 카메라 모듈(13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330)는 전자 장치(1300) 운용과 관련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330)는 상기 카메라 모듈(1360)가 수집하는 영상(예: 프리뷰 영상 또는 정지 영상, 동영상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1330)는 상기 카메라 모듈(1360) 운용과 관련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모리(133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34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360)에 제1 제어 신호 또는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모리(1330)는 센서(1350)로부터 수집되는 센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360)에 제1 제어 신호 또는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340)는 상기 전자 장치(1300)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340)는 카메라 모듈(1360)의 제1 조절 상태(701) 또는 제4 조절 상태(704)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340)는 오디오 장치를 포함하고, 카메라 모듈(1360)의 가변 조리개(130)의 현재 조절 상태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오디오 장치는 카메라 모듈(1360) 활성화 요청과 관련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현재 카메라 모듈(1360)의 조절 상태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오디오 장치는 카메라 모듈(1360)의 조절 상태가 변경되면, 변경된 조절 상태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센서(1350)는 전자 장치(1300) 운용과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센서(1350)는 외부 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1350)는 카메라 모듈(1360) 활성화 시, 조도에 관한 센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서 정보를 프로세서(1320)에 전달할 수 있다. 도시된 설명에서는 상기 센서(1350)가 프로세서(1320)에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센서(1350)는 상기 카메라 모듈(1360)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모듈(1360)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 IC가 상기 센서(1350) 운용 및 그에 따른 조절 상태 변경을 처리(예: 조도 정보에 대응하여 가변 조리개(130)를 제1 조절 상태(701)로 변경하거나, 제2 조절 상태(702)로 변경하는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370)는 상기 전자 장치(1300) 운용과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1370)는 카메라 모듈(1360)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와 관련한 아이콘이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370)는 상기 카메라 모듈(1360)의 가변 조리개(130)의 제1 조절 상태(701) 또는 제4 조절 상태(704)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1370)는 카메라 모듈(1360) 활성화 요청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360)가 활성화되면, 상기 가변 조리개(130)의 조절 상태에 대응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형성된 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고, 내측으로 광 유입이 발생하도록 일측에 마련된 렌즈 홀을 포함하는 렌즈 베럴, 상기 렌즈 베럴에 형성된 상기 렌즈 홀 상에 정렬되고 홀의 크기가 조절되는 조리개 홀 영역을 포함하는 가변 조리개, 상기 조리개 홀 영역의 크기 조절을 제어하는 조리개 구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팬 포커싱 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상기 가변 조리개가 조절될 수 있는 가장 큰 크기의 조리개 홀 영역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아웃 포커싱 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상기 가변 조리개가 조절될 수 있는 가장 작은 크기의 조리개 홀 영역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조도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정보가 지정된 조도 이하인 경우 상기 조리개 홀 영역을 제1 크기의 홀 영역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정보가 지정된 조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조리개 홀 영역을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의 홀 영역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가변 조리개의 조리개 홀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방법과 관련하여, 동작 1401에서, 프로세서(1320)는 카메라 모듈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320)는 카메라 모듈 활성화와 관련한 아이콘이나 메뉴 등을 제공하거나, 카메라 모듈 활성화와 관련한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320)는 상기 아이콘이나 메뉴 선택 또는 버튼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1360)(예: 상기 카메라 모듈(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카메라 모듈(1360)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20)는 카메라 모듈(1360)과 연관된 기능(예: 동영상 제작 등) 실행이 요청되면 자동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360)을 활성화할 수 있다.
동작 1403에서, 프로세서(1320)는 설정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320)는 가변 조리개(130)의 조절 상태 변경과 관련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20)는 디폴트로 설정된 가변 조리개(130) 조절 상태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20)는 외부 조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403에서, 설정 기능이 팬 포커싱 기능(또는 가변 조리개(130)를 제1 조절 상태(701)로 유지하도록 설정된 기능) 실행이 요청된 경우, 동작 1405에서, 프로세서(1320)는 가변 조리개(130)를 제1 상태(예: 제1 날개(134a)의 제1 하부 홀(137a1) 및 제2 날개(134b)의 제2 하부 홀(137b1)이 중첩된 상태 또는 상기 제1 조절 상태(701))로 조절할 수 있다.
동작 1403에서, 설정 기능이 아웃 포커싱 기능(또는 가변 조리개(130)를 제4 조절 상태(704)로 유지하도록 설정된 기능) 실행이 요청된 경우, 동작 1407에서, 프로세서(1320)는 가변 조리개(130)를 제2 상태(예: 제1 날개(134a)의 제1 상부 홀(137a2) 및 제2 날개(134b)의 제2 상부 홀(137b2)이 중첩된 상태 또는 상기 제4 조절 상태(704))로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320)는 카메라 모듈(1360) 비활성화가 요청되면, 가변 조리개(130) 상태를 지정된 상태(예: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로 유지한 후, 카메라 모듈(136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320)는 카메라 모듈(1360) 운용 기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팬 포커스 기능이 주로 사용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1360) 비활성화 직전 상태가 제2 상태이면, 가변 조리개(130)를 제1 상태로 변경한 후, 카메라 모듈(136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20)는 카메라 모듈(1360) 운용 기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아웃 포커스 기능이 주로 사용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1360) 비활성화 직전 상태가 제1 상태이면, 가변 조리개(130)를 제2 상태로 변경한 후, 카메라 모듈(136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320)는 카메라 모듈(1360) 비활성화가 요청되면, 비활성화 요청 직전 조도 값에 따라 가변 조리개(130)의 상태를 지정된 상태(예: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유지한 후, 카메라 모듈(1360)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320)는 카메라 모듈(1360) 비활성화 직전 조도 값이 지정된 조도 이하인 경우, 가변 조리개(130)를 제1 상태로 변경하거나 유지한 후, 카메라 모듈(1360)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20)는 카메라 모듈(1360) 비활성화 직전 조도 값이 지정된 조도를 초과하는 경우, 가변 조리개(130)를 제2 상태로 변경하거나 유지한 후, 카메라 모듈(1360)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320)는 카메라 모듈(1360) 비활성화가 요청되는 경우, 조리개 코일(172)과 제3 자석 부재(188)의 초기 상태를 기준으로 가변 조리개(130)의 조절 상태를 복원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300) 설계 시, 조리개 코일(172)과 제3 자석 부재(188)의 초기 상태가 제1 상태(예: 제1 하부 홀(137a1)과 제2 하부 홀(137b1)이 중첩되도록 레버(139)를 이동시킨 상태)로 설계되면, 프로세서(1320)는 카메라 모듈(1360) 비활성화 시 가변 조리개(130)가 제1 상태가 되도록 복원한 후, 카메라 모듈(1360)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조리개 코일(172)과 제3 자석 부재(188)의 초기 상태가 제2 상태(예: 제1 상부 홀(137a2)과 제2 상부 홀(137b2)이 중첩되도록 레버(139)를 이동시킨 상태)로 설계되면, 프로세서(1320)는 카메라 모듈(1360) 비활성화 시 가변 조리개(130)가 제2 상태가 되도록 복원한 후, 카메라 모듈(1360)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은 카메라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지정된 조건에 따라 렌즈 베럴 상부에 배치된 가변 조리개의 조리개 홀 영역의 크기를 조절 또는 유지하는 상기 가변 조리개 조절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 조리개 조절 동작은 조도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조도 값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조리개 홀 영역을 제1 크기(또는 최대 크기)로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 조리개 조절 동작은 조도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조도 값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조리개 홀 영역을 제2 크기(예: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크기 또는 최소 크기)로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 조리개 조절 동작은 설정된 촬영 기능을 확인하는 동작, 설정된 촬영 기능이 팬 포커싱 기능인 경우, 상기 조리개 홀 영역을 제1 크기(또는 최대 크기)로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 조리개 조절 동작은 설정된 촬영 기능을 확인하는 동작, 설정된 촬영 기능이 아웃 포커싱 기능인 경우, 상기 조리개 홀 영역을 제2 크기(예: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크기 또는 최소 크기)로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환경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1500) 내의 전자 장치(1501)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1501)(예: 상기 전자 장치(100))는 버스(1510), 프로세서(1520), 메모리(15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50), 디스플레이(1560), 및 통신 인터페이스(15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5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510)는 구성요소들(1520-15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20)(예: 상기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5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5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5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5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15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540)은, 예를 들면, 커널(1541), 미들웨어(15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15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15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541), 미들웨어(1543), 또는 API(15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15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543), API(15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510), 프로세서(1520), 또는 메모리(15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541)은 미들웨어(1543), API(15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47)에서 전자 장치(15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543)는, 예를 들면, API(15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47)이 커널(15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5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15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15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510), 프로세서(1520), 또는 메모리(15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다. API(1545)는 어플리케이션(1547)이 커널(1541) 또는 미들웨어(15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5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5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5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501)와 외부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1502), 제2 외부 전자 장치(1504), 또는 서버(15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5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5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2 외부 전자 장치(1504) 또는 서버(15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562)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501)는 근거리 통신(1564)를 기반으로 제1 전자 장치(1502)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1502, 1504) 각각은 전자 장치(15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5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502,1504), 또는 서버(15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5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5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502, 1504), 또는 서버(15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502, 1504), 또는 서버(15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5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5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6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1601)는,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전자 장치(15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6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1610), 통신 모듈(1620), 가입자 식별 모듈(1629), 메모리(1630), 센서 모듈(1640), 입력 장치(1650), 디스플레이(1660), 인터페이스(1670), 오디오 모듈(1680), 카메라 모듈(1691), 전력 관리 모듈(1695), 배터리(1696), 인디케이터(1697), 및 모터(1698) 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6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6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10)는 도 1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16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610) 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20)(예: 통신 인터페이스(157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16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1621), WiFi 모듈(1622), 블루투스 모듈(1623), GNSS 모듈(1624), NFC 모듈(1625), MST 모듈(1626) 및 RF 모듈(1627)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16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6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1629)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6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621)은 프로세서(16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6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621), WiFi 모듈(1622), 블루투스 모듈(1623), GNSS 모듈(1624) 또는 NFC 모듈(1625), MST 모듈(1626)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1627)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1627)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621), WiFi 모듈(1622), 블루투스 모듈(1623), GNSS 모듈(1624) 또는 NFC 모듈(1625), MST 모듈(1626)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1629)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또는 임베디드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630)(예: 메모리(15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1632) 또는 외장 메모리(16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16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6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6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1601)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16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16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16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1640A), 자이로 센서(1640B), 기압 센서(1640C), 마그네틱 센서(1640D), 가속도 센서(1640E), 그립 센서(1640F), 근접 센서(1640G), 컬러(color) 센서(16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1640I), 온/습도 센서(1640J), 조도 센서(16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16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1640)은, 예를 들면, 후각(e-nose) 센서, 일렉트로마이오그라피(EMG) 센서, 일렉트로엔씨팔로그램(EEG) 센서, 일렉트로카디오그램(ECG) 센서,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6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601)는 프로세서(16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16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16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16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16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1652), (디지털) 펜 센서(1654), 키(1656), 또는 초음파 입력 장치(16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6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6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16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16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키(16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1658)는 마이크(예: 마이크(16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60)(예: 디스플레이(1560))는 패널(1662), 홀로그램 장치(1664), 프로젝터(1666), 및/또는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16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 투명하게, 또는 착용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패널(1662)은 터치 패널(1652)과 하나 이상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패널(1662)은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또는 포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터치 패널(1652)과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터치 패널(1652)과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16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16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6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670)는, 예를 들면, HDMI(1672), USB(16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1676), 또는 D-sub(D-subminiature)(167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670)는,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157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인터페이스(16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680)은, 예를 들면,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16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5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1545)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680)은, 예를 들면, 스피커(1682), 리시버(1684), 이어폰(1686), 또는 마이크(16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6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또는 플래시(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6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6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6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16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16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 및/또는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697)는 전자 장치(1601)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16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16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 또는 햅틱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601)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바일 TV 지원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1710)(예: 프로그램(154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501))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 체제 및/또는 운영 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47))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면, AndroidTM, iOSTM, WindowsTM, SymbianTM, TizenTM, 또는 BadaT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를 참조하면, 프로그램 모듈(1710)은 커널(1720)(예: 커널(1541)), 미들웨어(1730)(예: 미들웨어(1543)), (API(1760)(예: API(15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177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47))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171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 상에 프리로드 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502, 1504), 서버(1506) 등)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하다.
커널(1720)은, 예를 들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1721) 및/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1723)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1721)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1721)는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 시스템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172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1730)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770)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17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API(1760)를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177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1730) 는 런타임 라이브러리(1735), 어플리케이션 매니저(1741), 윈도우 매니저(1742), 멀티미디어 매니저(1743), 리소스 매니저(1744), 파워 매니저(17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1746), 패키지 매니저(1747), 커넥티비티 매니저(1748), 노티피케이션 매니저(1749), 로케이션 매니저(1750), 그래픽 매니저(1751), 또는 시큐리티 매니저(1752), 결제 매니저(17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173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7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1735)는 입출력 관리,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174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770)의 생명 주기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742)는 화면에서 사용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1743)는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1744)는 어플리케이션(1770)의 소스 코드 또는 메모리의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1745)는, 예를 들면, 배터리의 용량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매니저(1745)는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와 연동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1746)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770)에서 사용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1747)는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갱신을 관리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매니저(1748)는, 예를 들면,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매니저(1749)는, 예를 들면,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로케이션 매니저(175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1751)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매니저(1752)는, 예를 들면,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1730)는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telephony) 매니저 또는 전술된 구성요소들의 기능들의 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하는 미들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1730)는 운영 체제의 종류 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730)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API(1760)는, 예를 들면,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의 경우, 플랫폼 별로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770)은, 예를 들면, 홈(1771), 다이얼러(1772), SMS/MMS(1773), IM(instant message)(1774), 브라우저(1775), 카메라(1776), 알람(1777), 컨택트(1778), 음성 다이얼(1779), 이메일(1780), 달력(1781), 미디어 플레이어(1782), 앨범(1783), 와치(1784), 결제(1785), 헬스 케어(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770)은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삭제, 또는 갱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770)은 외부 전자 장치의 속성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모바일 의료 기기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770)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171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예: 프로세서(1510) 또는 (140)),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예: 실행)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또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40) 또는 (23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2330)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고, 내측으로 광 유입이 발생하도록 일측에 마련된 렌즈 홀을 포함하는 렌즈 베럴;
    상기 렌즈 베럴에 형성된 상기 렌즈 홀 상에 정렬되고 홀의 크기가 조절되는 조리개 홀 영역을 포함하는 가변 조리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조리개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부는
    일정 크기의 날개 홀이 형성된 날개;
    상기 날개부들의 이동에 기반하여 중첩되는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면서 상기 조리개 홀 영역을 형성하는 날개 홀;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부는
    상기 날개를 지지하는 날개 지지대;
    상기 날개 지지대로부터 연장된 날개 거치대;
    상기 날개 거치대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를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날개부의 이동을 조절하는 조리개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 구동 모듈은
    상기 레버가 일측에 삽입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일측에 배치되는 자석 부재;
    상기 자석 부재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지지대를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절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조리개 구동 IC;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부는
    상기 날개 일측에 형성되고 다른 날개부와 체결되면서 일방향으로 운동하도록 축 역할을 수행하는 연결 돌기; 또는
    상기 날개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돌기가 삽입되고,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된 연결 홀;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베럴이 안착되는 제1 이동 캐리어;
    상기 가변 조리개를 상기 제1 이동 캐리어 상에 고정시키는 조리개 고정부;
    상기 가변 조리개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변 조리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
    상기 렌즈 베럴 및 상기 가변 조리개가 안착되는 하우징;
    상기 렌즈 베럴 및 상기 가변 조리개를 덮는 쉴드캔;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캐리어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동 캐리어의 수평 이동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 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 부재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제1 이동 캐리어를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일;
    상기 코일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구동 IC;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조리개는
    일정 크기의 제1 날개 홀을 포함하며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날개부;
    일정 크기를 가지고 상기 제1 날개 홀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면서 상기 렌즈 홀과 적어도 일부가 정렬되는 조리개 홀 영역을 형성하는 제2 날개 홀을 포함하며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날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 홀 또는 상기 제2 날개 홀은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홀이 적어도 일부 중첩되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조리개가 상부에 배치된 렌즈 베럴이 안착되는 제2 이동 캐리어;
    상기 제2 이동 캐리어 일측에 배치되고 지정된 위치의 코일과 대면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이동 캐리어의 상하 방향 이동과 관련된 자석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베럴은
    상기 렌즈 베럴의 외벽에서 돌출되어 가변 조리개의 일측을 지지하는 조리개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베럴의 최상위 렌즈의 상단 끝 부분은 상기 가변 조리개의 조리개 홀 영역의 주변 이상의 높이로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5. 케이스;
    상기 케이스 형성된 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고, 내측으로 광 유입이 발생하도록 일측에 마련된 렌즈 홀을 포함하는 렌즈 베럴;
    상기 렌즈 베럴에 형성된 상기 렌즈 홀 상에 정렬되고 홀의 크기가 조절되는 조리개 홀 영역을 포함하는 가변 조리개;
    상기 조리개 홀 영역의 크기 조절을 제어하는 조리개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팬 포커싱 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상기 가변 조리개가 조절될 수 있는 가장 큰 크기의 조리개 홀 영역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아웃 포커싱 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상기 가변 조리개가 조절될 수 있는 가장 작은 크기의 조리개 홀 영역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조도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정보가 지정된 조도 이하인 경우 상기 조리개 홀 영역을 제1 크기의 홀 영역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정보가 지정된 조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조리개 홀 영역을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의 홀 영역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조리개의 조리개 홀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60166855A 2016-12-08 2016-12-08 조리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65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855A KR20180065686A (ko) 2016-12-08 2016-12-08 조리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17877572.2A EP3519891B1 (en) 2016-12-08 2017-11-30 Camera module including aper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MYPI2019002818A MY193583A (en) 2016-12-08 2017-11-30 Camera module including aper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780075684.3A CN110073286B (zh) 2016-12-08 2017-11-30 包括光圈的相机模块以及包括该相机模块的电子装置
PCT/KR2017/013956 WO2018105952A1 (en) 2016-12-08 2017-11-30 Camera module including aper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5/831,898 US10509195B2 (en) 2016-12-08 2017-12-05 Camera module including aper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6/668,507 US11137569B2 (en) 2016-12-08 2019-10-30 Camera module including aper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855A KR20180065686A (ko) 2016-12-08 2016-12-08 조리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686A true KR20180065686A (ko) 2018-06-18

Family

ID=62489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855A KR20180065686A (ko) 2016-12-08 2016-12-08 조리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509195B2 (ko)
EP (1) EP3519891B1 (ko)
KR (1) KR20180065686A (ko)
CN (1) CN110073286B (ko)
MY (1) MY193583A (ko)
WO (1) WO201810595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250A (ko) 2018-07-26 2020-02-05 주식회사 정진넥스텍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및 그 제조방법
US11281071B2 (en) 2019-10-14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module including aper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4636B2 (ja) * 2017-09-07 2022-03-14 ソニー・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医療用観察装置、および医療用観察システム
TWI655491B (zh) * 2018-04-18 2019-04-0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模組、鏡頭驅動模組的製造方法、攝影系統與手機裝置
US11693208B2 (en) 2019-02-01 2023-07-04 Tdk Taiwan Corp. Optical sensing system
JP7320403B2 (ja) * 2019-08-09 2023-08-03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CN113163077B (zh) * 2020-01-22 2022-12-09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摄像模组
JP7411450B2 (ja) 2020-03-04 2024-01-11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7411449B2 (ja) 2020-03-04 2024-01-11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7449119B2 (ja) * 2020-03-04 2024-03-13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7431061B2 (ja) 2020-03-04 2024-02-14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CN113534403B (zh) * 2020-03-31 2023-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CN113433769A (zh) * 2021-06-25 2021-09-24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光圈组件、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WO2023039776A1 (en) * 2021-09-16 2023-03-23 Huawei Technologies Co.,Ltd. Device with integrated autofocusing and variable aperture
CN113820818A (zh) * 2021-09-24 2021-12-21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镜头模组、摄像头及电子设备
CN116261035A (zh) * 2021-12-08 2023-06-13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可变光圈光学镜头以及摄像模组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27857C2 (de) * 1978-06-24 1983-01-20 Prontor-Werk Alfred Gauthier Gmbh, 7547 Wildbad Objektivverschluß zur Erzielung extrem kurzer Belichtungszeiten
JPS5565937A (en) * 1978-11-14 1980-05-17 Asahi Optical Co Ltd Automatic aperture
US4360258A (en) * 1980-10-02 1982-11-23 Olympus Optical Company Ltd. Lens shutter mechanism for camera
JPS59148035A (ja) * 1983-02-14 1984-08-24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JPH07234434A (ja) * 1994-02-24 1995-09-05 Canon Inc 光量調節装置
US5416547A (en) * 1993-10-29 1995-05-16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lens focus and shutter aperture setting
JP3355422B2 (ja) * 1993-12-11 2002-12-09 株式会社リコー カメラ
US5537166A (en) * 1995-05-23 1996-07-16 Eastman Kodak Company External projection lens aperture
JPH0926611A (ja) * 1995-07-11 1997-01-28 Canon Inc 手動絞り装置
JP3733177B2 (ja) 1996-07-02 2006-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回転駆動装置及び該回転駆動装置を備えた光学機器
JP2002055375A (ja) * 2000-08-08 2002-02-20 Nidec Copal Corp 絞り兼用シャッタ装置
JP2003029319A (ja) * 2001-07-16 2003-01-29 Fuji Photo Film Co Ltd シャッタ装置
US7064912B2 (en) * 2003-04-17 2006-06-20 Nidec Sankyo Corporation Lens driving apparatus, thin camera, and a cellular phone having a thin camera
JP4549115B2 (ja) 2004-06-29 2010-09-22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JP2006259262A (ja) * 2005-03-17 2006-09-28 Canon Inc 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機器
KR100662238B1 (ko) * 2006-08-08 2006-12-28 주식회사 디오스텍 구동 수단을 구비한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초점 조절 장치
EP1903364A1 (en) * 2006-09-25 2008-03-26 Dialog Imaging Systems GmbH Compact camera module with stationary actutor for zoom modules with movable shutter and aperture mechanism
KR100881726B1 (ko) * 2007-03-13 2009-02-06 자화전자(주) 카메라용 셔터장치
JP4573136B2 (ja) 2007-11-01 2010-11-04 ソニー株式会社 光量調整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CN101493631B (zh) 2008-01-24 2012-01-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机械快门及使用该机械快门的相机模组
KR100956211B1 (ko) * 2008-06-27 2010-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5113712B2 (ja) * 2008-10-14 2013-01-09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羽根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JP2011033910A (ja) * 2009-08-04 2011-02-17 Olympus Corp 光調節装置
JP5015225B2 (ja) * 2009-11-20 2012-08-29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絞り装置
KR101692397B1 (ko) 2010-05-28 201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량 조절장치,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JP5825783B2 (ja) * 2010-12-21 2015-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2012220584A (ja) * 2011-04-05 2012-11-12 Hoya Corp レンズ鏡筒の絞機構
JP2015072419A (ja) * 2013-10-04 2015-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量調整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光学機器、撮像装置
KR102145810B1 (ko) * 2013-12-26 2020-08-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266970B1 (ko) * 2014-01-02 2021-06-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149378B1 (ko) * 2014-01-28 2020-08-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664194B1 (ko) * 2014-08-14 2016-10-11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모바일 기기용 셔터 및 조리개 장치
CN205507324U (zh) * 2016-04-08 2016-08-24 广州市欧玛灯光设备有限公司 可全闭光型光圈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250A (ko) 2018-07-26 2020-02-05 주식회사 정진넥스텍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및 그 제조방법
US11281071B2 (en) 2019-10-14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module including aper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5952A1 (en) 2018-06-14
EP3519891B1 (en) 2022-01-05
US20180164538A1 (en) 2018-06-14
MY193583A (en) 2022-10-19
US20200064588A1 (en) 2020-02-27
CN110073286B (zh) 2021-11-09
EP3519891A4 (en) 2019-11-06
US10509195B2 (en) 2019-12-17
EP3519891A1 (en) 2019-08-07
US11137569B2 (en) 2021-10-05
CN110073286A (zh) 201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3990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137569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aper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819133B2 (en)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and method thereof
KR102462711B1 (ko) 전자 장치의 센서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2613731B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1885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US1040491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with circuit board opening an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CN105900051B (zh) 电子装置以及在虚拟现实模式下的事件显示方法
US11145951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KR102587749B1 (ko)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자동 초점 조절 가능한 전자 장치
EP3322175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and acoustic component
KR20180026288A (ko)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180106231A (ko)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9871549B2 (en) Electronic device, and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device
EP30570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KR20160147459A (ko) 외부 장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12884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