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1822A -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1822A
KR20040081822A KR1020030016361A KR20030016361A KR20040081822A KR 20040081822 A KR20040081822 A KR 20040081822A KR 1020030016361 A KR1020030016361 A KR 1020030016361A KR 20030016361 A KR20030016361 A KR 20030016361A KR 20040081822 A KR20040081822 A KR 20040081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ipe conveyor
stand
overload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6107B1 (ko
Inventor
전환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16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107B1/ko
Publication of KR20040081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1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 H01H11/04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by bonding of a contact marking face to a contact body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7/00Connections
    • H01H2207/008Adhesive means; Conductive adhes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24Packing between substrate and membrane
    • H01H2229/028Adhesive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에서 무한궤도형으로 수송물을 운반하고 있는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롤러 스탠드를 2분할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스탠드 부재의 하단을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 및 상기 복수의 스탠드 부재의 상단에 장착되고, 스탠드 부재의 벌어짐을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파이프 콘베이어의 구동제어부에 밸트 구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검출부;를 포함하여 밸트 과적 또는 이물질 유입에 의한 파이프 콘베이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이프 콘베이어의 테일 슈트에서 수송물의 가속낙하에 의한 과량적재 및 이물질 투입등의 문제가 발생되면 이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음으로써 밸트의 절손 및 벗겨짐등을 사전에 예방하고, 파이프 콘베이어의 설비파손을 최소화하며, 정비부하를 최소화하여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AN APPARATUS FOR DETECTING AN OVERLOAD ON PIPE CONVEYOR}
본 발명은 현장에서 무한궤도형으로 수송물을 운반하고 있는 파이프 콘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밸트에 수송물이 과적되거나 수송물중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원인으로 밸트가 정확하게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밸트 벗겨짐및 절손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콘베이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된 구조에서 한 개의 라인만으로 수송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수송물을 연속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 구조로는 다수개의 풀리(pulley)들에 의해서 밸트가 무한 궤도형으로 회전되는 것이며, 밸트(110)의 회전도중에 다각형의 스탠드(STAND)(120)를 다수개 통과하게 된다. 상기 다각형의 스탠드(120)는 통상적으로 육각형의 스탠드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이는 밸트(110)가 활주 이동가능하도록 내측에 6개의 롤러(122)를 장착하여 밸트(110)의 전부분을 감싸고 회전시켜 수송하는 형태로, 수송물(130)을 밸트(110) 내부에 감싸고, 수송하는 까닭에 밸트(110)로 부터 낙하물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파이프 콘베이어(100)는 우수한 특징과 더불어 몇가지 단점이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 콘베이어(100)의 테일 슈트(TAIL CHUTE)(140) 지점에서 밸트(110)상에 수송물(130)이 과다 적재될 경우와, 수송물(130)중에 이물질(목편,철편)등이 유입될 경우, 파이프 콘베이어(100)의 밸트(110)가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타원 또는 돌출된 부분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돌출부분은 육각형 형태로 고정된 롤러 스탠드(120)를 통과하면서, 밸트(110)부분이 그 사이에 협착되어 밸트(110)의 벗겨짐 또는 절손사고등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밸트(110)를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수십개, 또는 경우에 따라서 수백개의 스탠드(120)를 분해, 결합하는 조치등이 필요하거나, 또는 밸트(110)의 교체등이 필요하여 파이프 콘베이어(100)를 정상적으로 복구시켜 재작업하는데 장시간이 필요한 문제점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과적으로 적재되어 둥근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는 밸트가 롤러 스탠드에 진입하는 경우, 이를 즉시 검출하여 밸트의 추가적인 진행을 정지시킴으로서 밸트의 벗겨짐 또는 밸트의 절손등을 방지하여 파이프 콘베이어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 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파이프 콘베이어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 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파이프 콘베이어의 테일 풀리부와 테일 슈트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가 파이프 콘베이어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및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가 과적상태를 검출하는 작동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 스탠드 부재 15..... 회전축
17..... 축 구멍 19.... 프레임
20..... 고정 구조물 30..... 검출부
33..... 센서 42a,42b..... 브라켓트
44..... 나사부재 46..... 너트
48..... 터치바 50..... 제어부
55..... 스프링 100..... 파이프 콘베이어
110..... 밸트 120..... 롤러 스탠드
122..... 롤러 130..... 수송물
140..... 테일 슈트(TAIL CHU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한궤도형으로 회전하는 밸트와 상기 밸트를 원형으로 유지하는 다수의 롤러 스탠드들을 구비하여 밸트상에 수송물을 적재 하고 운반하는 파이프 콘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롤러 스탠드를 2분할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스탠드 부재의 하단을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 및
상기 복수의 스탠드 부재의 상단에 장착되고, 스탠드 부재의 벌어짐을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파이프 콘베이어의 구동제어부에 밸트 구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검출부;를 포함하여 밸트 과적 또는 이물질 유입에 의한 파이프 콘베이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1)는 무한궤도형으로 회전하는 밸트(110)를 원형으로 유지하는 다수의 롤러 스탠드중의 어느 하나에, 바람직하게는 테일 풀리(142)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된 롤러 스탠드에 장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1)는 상기 롤러 스탠드를 2분할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스탠드 부재(10a)(10b)의 하단을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15)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1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스탠드를 2분할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스탠드 부재(10a)(10b)의 하단에 각각 축 구멍(17)을 형성한 프레임(19)들을 마련하고, 상기 축 구멍(17)에 회전축(15)이 삽입되어 이들 스탠드 부재(10a)(10b)들의 선회중심축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5)은 그 양단이 하부측의 고정 구조물(20)에 연결됨으로서, 상기 스탠드 부재(10a)(10b)들은 정위치하여 그 사이에서 둥근 원형으로 밸트(11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탠드 부재(10a)(10b)들은 각각 내측으로 다수개의 롤러(122)들을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여 그 사이를 파이프 콘베이어의 밸트(110)가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2분할 되어 이루어진 스탠드 부재(10a)(10b)들은 그 상단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폐쇄형 구조를 형성하고, 이들 스탠드 부재(10a)(10b)들이 밸트(110) 과적에 의해서 벌어지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30)를 구비한다.
상기 검출부(30)는 복수의 스탠드 부재(10a)(10b)의 상단에 장착되고, 스탠드 부재(10a)(10b)의 벌어짐을 검출하는 센서(33)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33)가 스탠드 부재(10a)(10b)의 벌어짐을 검출하면, 파이프 콘베이어(100)의 구동제어부(50)에 밸트(110) 구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센서(33)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일측의 스탠드 부재(10a)의 상단 브라켓트(42a)로 부터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나사부재(44)에 결합하는 너트(46)에 고정되어 상기 나사부재(44)상에서 횡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파이프 콘베이어(100)의 구동 풀리(미도시)를 회전시켜 밸트(110)의 진행을 제어하는 제어부(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신호로 부터 제어부(50)가 밸트(11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터치바(48)와 횡방향으로 일렬로 유지되도록 너트(46)의 위치가 조정되어 정렬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부재(44)에는 스프링(55)이 끼워져서 상기 너트(46)의 일측면에 지지되고, 스프링(55)의 타측면은 상기 나머지 스탠드 부재(10b)의 상단에 마련된 브라켓트(42b)에 지지되어 상기 스탠드 부재(10a)(10b)들의 벌어짐에 따라서 그 길이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스프링(55)의 탄성력으로 상기 스탠드 부재(10a)(10b)들의 벌어짐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트(42b)는 나사부재(44)가 그 중앙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브라켓트(42b)의 상단에는 상기 센서(33)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 배치된 터치바(4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스탠드 부재(10a)(10b)의 상단에 마련된 검출부(30)는 상기 나사부재(44)에 끼워진 스프링(55)의 탄발력으로서 너트(46)와 일측 브라켓트(42b)와의 사이가 벌어져서, 결과적으로는 상기 스탠드 부재(10a)(10b)의 상단이 서로 근접되고, 센서(33)와 터치바(48)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스프링(55)은 도 5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스탠드 부재(10a)(10b)들의 상단을 서로 접근시켜 상기 회전축(15)을 중심으로 하나의 둥근 고리형상을 형성하여 종래의 육각형 롤러 스탠드(120)와 같이 둥근 원형의 밸트(110)를 그 내측에서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스탠드 부재(10a)(10b)들은 종래의 파이프 콘베이어(100)에 설치된 육각 롤러 스탠드(120)의 구조 및 크기에 대략적으로 일치하도록 설치되어야 상기 스탠드 부재(10a)(10b)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밸트(110)의 진행에 간섭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콘베이어(100)의 테일 슈트에서 수송물의 과량적재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수송물중에 이물질이 혼입되어 원형으로 말린 밸트(110)가 일측으로 팽창하면서 둥근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여 진입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동작한다. 만일, 둥근 형상으로 말린 밸트(110)가 본 발명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밸트(110)는 후속하는 다수의 육각 롤러 스탠드(120)들을 안정적으로 무사하게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스탠드 부재(10a)(10b)들이 형성하는 구조및 크기가 종래의 파이프 콘베이어(100)에 설치된 육각 롤러 스탠드(120)의 구조 및 크기에 대략적으로 일치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둥근 밸트(110)의 일측이 돌출되어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면서 진입하게 되면, 본 발명의 과적검출장치(1)의 양측 스탠드 부재(10a)(10b)들은 그 상단 검출부(30)의 브라켓트(42a)(42b)들이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나사부재(44)상에서 너트(46)와 일측 브라켓트(42b)사이에 협지된 스프링(55)은 압축상태로 되고, 터치바(48)와 센서(33)들은 서로 근접하여 상기 센서(33)로 부터 전기적인 신호가 송출된다. 이와 같이 센서(33)로 부터 발신된 전기적인 신호는 파이프 콘베이어(100)의 제어부(50)가 구동 풀리(미도시)의 회전을 정지시켜 밸트(110)의 진행을 즉시 중단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밸트(110)상에 수송물이 과적되거나, 이물질이 혼입되어 둥근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는 밸트(110)는 동작 정지되고, 작업자들은 이와 같이 형상 불량이 이루어진 밸트(110)부분으로 부터 수송물을 해체및 제거하여 진행 불량 원인을 해소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이프 콘베이어(100)상의 테일 풀리(142)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경우, 테일 슈트(140)에서 수송물(12)의 가속낙하에 의한 과량적재 및 이물질 투입등의 문제가 발생되면 이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음으로써 밸트(110)의 절손 및 벗겨짐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서, 파이프 콘베이어의 설비파손을 최소화하고, 정비부하를 최소화하여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무한궤도형으로 회전하는 밸트(110)와, 상기 밸트(110)를 원형으로 유지하는 다수의 롤러 스탠드(120)들을 구비하여 밸트(110)상에 수송물을 적재 하고 운반하는 파이프 콘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롤러 스탠드(120)를 2분할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스탠드 부재(10a)(10b)의 하단을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15); 및
    상기 복수의 스탠드 부재(10a)(10b)의 상단에 장착되고, 스탠드 부재(10a)(10b)의 벌어짐을 검출하는 센서(33)를 구비하여 상기 파이프 콘베이어(100)의 구동제어부(50)에 밸트(110) 구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검출부(30);를 포함하여 밸트(110) 과적 또는 이물질 유입에 의한 파이프 콘베이어(100)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33)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등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의 스탠드 부재(10a)의 상단 브라켓트(42a)로 부터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나사부재(44)에 결합하는 너트(46)에 고정되어 상기 나사부재(44)상에서 횡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며, 타측 스탠드 부재(10b)의 상단에 마련된 브라켓트(42b)의 터치바(48)에 접촉되어 전기적 신호를 송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재(44)에는 스프링(55)이 끼워져서 상기 너트(46)의 일측면에 지지되고, 스프링(55)의 타측면은 상기 나머지 스탠드 부재(10b)의 상단에 마련된 브라켓트(42b)에 지지되어 상기 스탠드 부재(10a)(10b)들의 벌어짐을 탄력적으로 이루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5)은 그 양단이 하부측의 고정 구조물(20)에 연결됨으로서, 상기 스탠드 부재(10a)(10b)들은 정위치하여 그 사이에서 둥근 원형으로 밸트(110)를 지지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
KR1020030016361A 2003-03-17 2003-03-17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 KR100946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361A KR100946107B1 (ko) 2003-03-17 2003-03-17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361A KR100946107B1 (ko) 2003-03-17 2003-03-17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822A true KR20040081822A (ko) 2004-09-23
KR100946107B1 KR100946107B1 (ko) 2010-03-10

Family

ID=37365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361A KR100946107B1 (ko) 2003-03-17 2003-03-17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1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6200B6 (cs) * 2015-07-29 2016-09-21 Schenck Process S.R.O. Zařízení na ochranu proti objemovému přeplnění dopravního pásu hadicového dopravníku
WO2017016666A1 (en) 2015-07-29 2017-02-02 Schenck Process S.R.O. Tube conveyor with a device for protecting the conveyor belt against volumetric overloading and releasing stand for said tube convey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24122A1 (de) 1986-07-17 1988-01-21 Continental Gummi Werke Ag Schlauchband-foerderanlage
JPH0694283B2 (ja) * 1989-06-29 1994-11-24 川崎製鉄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の蛇行制御装置
JPH07315536A (ja) * 1994-05-23 1995-12-05 Nippon Conveyor Kk カーブコンベヤ用のトラフ形ローラ
KR200169327Y1 (ko) 1999-08-23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벨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및 절손 검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6200B6 (cs) * 2015-07-29 2016-09-21 Schenck Process S.R.O. Zařízení na ochranu proti objemovému přeplnění dopravního pásu hadicového dopravníku
WO2017016666A1 (en) 2015-07-29 2017-02-02 Schenck Process S.R.O. Tube conveyor with a device for protecting the conveyor belt against volumetric overloading and releasing stand for said tube conveyor
US10150621B2 (en) 2015-07-29 2018-12-11 Schenck Process S.R.O. Device for protecting the conveyor belt of a tube conveyor against volumetric overloa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107B1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7982A (ko) 물품 반송 송출 방법, 및 물품 반송 송출 장치
AU752455B2 (en) In-line inspection of containers
JP5024631B2 (ja) 仕分け設備
CN211997357U (zh) 90度转弯输送机
CN111169940A (zh) 一种检测带式输送机输送带打滑的装置及方法
JP3525300B2 (ja) ベルトコンベヤにおけるベルトの張力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2019112210A (ja) 供給装置
KR100946107B1 (ko)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
JP5159206B2 (ja) パネル排出装置
CN101769855B (zh) 一种皮带撕裂检测装置
KR20030054514A (ko) 벨트콘베어 장력 및 사행 자동 조정장치
CN108945990A (zh) 一种自动投料带
JP2009249140A (ja) ガラス管の排除装置
KR101526542B1 (ko) 컨베이어풀리 파손 감지수단이 구비된 컨베이어
JP2008024458A (ja) 仕分け装置
KR20090049213A (ko) 벨트 컨베이어장치용 벨트 쏠림 교정장치
KR20020049178A (ko) 수송 컨베이어의 벨트절손 감지장치
KR2003000816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CN215046578U (zh) 一种笼式翻板机
KR200218393Y1 (ko) 벨트콘베이어의 벨트파손 감지장치
KR20130002422A (ko) 컨베이어벨트 손상감지장치
JP5154117B2 (ja) ベルトコンベヤ装置および搬送装置
KR0113110Y1 (ko) 벨트콘베이어 설비의 이물질 혼입 검출장치
KR20230155670A (ko) 휠 소터 장치
JPH07100714A (ja) 直立搬送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