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327Y1 - 벨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및 절손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및 절손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327Y1
KR200169327Y1 KR2019990017459U KR19990017459U KR200169327Y1 KR 200169327 Y1 KR200169327 Y1 KR 200169327Y1 KR 2019990017459 U KR2019990017459 U KR 2019990017459U KR 19990017459 U KR19990017459 U KR 19990017459U KR 200169327 Y1 KR200169327 Y1 KR 200169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ground
deflection
switch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형성환
전병걸
김진식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7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3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3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Landscapes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원료를 연속적으로 처리하여 벨트 콘베이어로 수송하는 불출장비와 연결되어 연,원료가 투입되는 지상벨트에서 불출장비에 의한 연,원료의 투입시 연,원료에 함유되는 이물질에 의한 지상벨트의 절손 및 편향적재를 신속하여 검출하여 지상벨트의 파손및 연원료의 유실을 미연에 방지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및 절손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인 구성은, 지상벨트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편향적재에 의한 사행 발생 또는 이물질의 낙하시 지상벨트의 천공에 의한 절손으로 지상벨트의 저면에 밀착되는 유동롤러 스탠드의 유동롤러에 가해되는 장력이 정상상태보다 감소되었을때 유동롤러에 연결되는 탄성부재가 수축운동을 하면서 푸쉬형 리미트 스위치를 동작시키고, 이에 의하여 지상벨트상의 연원료 편향적재 및 절손을 검출하게 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벨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및 절손 검출장치{DETECTING APPARATUS FOR DEVIATION LOADING AND FAMAGE ON BELT CONVEYOR}
본 고안은 저장소의 적재되는 연,원료(석탄, 코크스, 철광석)를 연속적으로 처리하여 벨트 콘베이어로 수송하는 불출장비(RECLAIMER)와 연결되어 불출장비에 의해 연,원료가 투입되는 지상벨트(GROUND VELT)에 있어서, 불출장비에 의한 연,원료의 지상벨트 투입시 연,원료에 함유되는 이물질(철편,목편)에 의한 지상벨트의 절손 및 연,원료의 편향적재를 신속하여 검출하여 지상벨트의 파손을 조기에 검출하거나 연,원료의 유실을 미연에 방지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및 절손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상벨트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편향적재에 의한 사행 발생 또는 이물질의 낙하시 지상벨트의 천공에 의한 절손으로 지상벨트의 저면에 밀착되는 유동롤러 스탠드의 유동롤러에 가해되는 장력이 정상상태보다 감소되었을때 상기 유동롤러에 연결되는 탄성부재가 수축운동울 하면서 푸쉬형 리미트 스위치를 동작시키고, 이에 의하여 지상벨트상의 연,원료 편향적재 및 절손을 검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불출장비에 있어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장소에 적재되는 연,원료(석탄, 코크스, 철광석)를 회전동작하는 다수의 버켓(51)에 의해 연속적으로 처리하여 벨트 콘베이어로 수송하는 장비인 불출장비(52)가 야적장내에 적치된 각종 연,원료를 관련공장의 필요에 따라 채집, 불출하여 그 하측에 일체로 설치되는 슈트(54)를 통해 낙하시킴으로써 불출장비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는 지상벨트(55)에 적재하고, 상기 지상벨트(55)의 일측에는 타의 콘베이어 벨트(미도시)가 연결 설치되어 연,원료를 이송,적재함으로써 관련공장까지 연,원료를 이송토록 한다.
또한, 상기 불출장비(52)가 해당 연,원료를 채집, 불출하기 위하여 야적장내에 적치된 해당 연,원료의 적치 위치로 이동할때 불출장비(52)의 저면에 설치되는 슈트(54) 하단이 롤러스탠드(56)와 지상벨트 롤러스탠드(57)에 충돌하지 않도록 스커트플레이트(58)에 고정되는 행거프레임(59)에 롤러스탠드(56)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콘베이어 벨트에 적재물이 편향적재되는 사행검출장치는 도1및 도2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지상벨트 롤러스탠드(57)의 일측에 설치되는 유동롤러(60)의 양단에 하중검출스위치(61A)(61B)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콘베이어 벨트의 절손검출장치는 도1 및 도2B에 도시한 바와같이, 슈트(54)의 하단부에 지상벨트(55)와 밀착되는 롤러스탠드(56)사이에 도선(62)을 설치하고, 상기 도선(62)의 양측단부가 스위치(63A)(63B)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콘베이어 벨트의 사행 검출장치는, 연,원료가 적치되는 지상벨트(55)가 회전되어 지상벨트(55) 양측면의 좌우 이동을 정확하게 감지함은 물론 설치상의 제약이 없도록 슈트(54)로 부터 약 10M정도의 지점에 설치되는 사행검출스위치(61A)(61B)에 연,원료가 적치되는 이송벨트(55) 부분이 도달하면 편향하중을 검출하여 불출장비(54)와 지상벨트(55)를 정지시키고, 별도의 작업자가 수동운전하여 지상벨트(55)를 무부하 상태로 유지한후 사행검출스위치(61A)(61B)에 도달시키면 스위치가 해제되어 자동운전이 가능토록 된다.
또한, 상기 슈트(54)의 하단부에 지상벨트(55)와 밀착되는 롤러스탠드(56)사이의 도선(62)에 지상벨트(55)의 절손부를 통과한 이물질이 접촉되면 도선(62)의 양측단부에 연결되는 스위치(63A)(63B)가 동작하여 지상벨트(55)를 정치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콘베이어 벨트의 편향적재 검출장치는, 연,원료의 편향적재시 지상벨트(55)를 자동화 하기 위하여 수동조작에 의해 지상벨트(55)를 무부하 상태로 하여야 함으로써 별도의 인원을 필요로 하고, 사행검출스위치(61A)(61B)가 슈트(54)로 부터 이격설치되어 하중의 스위치의 검출전에 적재물의 유실이 다량 발생하게 된다.
또한, 콘베이어 벨트 절손 검출장치는, 슈트(54)에서 낙하되는 연원료에 의한 낙하충격과 편향적재된 연원료의 낙하시 도선(62)에 접촉되어 오동작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원료가 벨트에 편향적재 되는 사행과 벨트의 절손을 신속하게 검출하여 연,원료의 낭비및 벨트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벨트의 점검을 위한 별도의 인원이 불필요함은 물론 수리비 상승을 억제하며, 연,원료의 낙하에 의한 벨트의 작동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 완충스프링과 푸쉬형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및 설치가 손쉽게 이루어 지는 벨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및 절손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일반적인 불출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2 A,B는 종래의 콘베이어벨트상 연원료의 편향적재 검출장치및 절손 검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및 절손 검출장치 도시한
설치 상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콘베이어상의 연원료 편향적재및 벨트 절손 검출장치
를 도시한 개략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검출장치의 요부 분해 상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검출상태를 도시한개략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콘베이어의 절손 검출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베이스부 2...하중전달부
3...제어부 7...행거프레임
9...롤러스탠드 11...지상벨트
12...지지프레임 15...고정바
16...스프링베이스 17...완충스프링
18...턴버클 20...가이드홈
23...스위치작동편 25...리미트스위치
26...접지판 30...압력조절볼트
31...지지링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행거프레임에 결합되는 다수의 롤러스탠드중 행거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는 하나의 행거프레임에 지지프레임이 결합되어 그 상,하측에 고정플레이트와 한쌍의 연결플레이트가 설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저면에 고정바가 결합되어 그 단부에 스프링베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베이스의 양측에 완충스프링을 개재하여 턴버클이 연결되며, 상기 턴버클의 단부가 지지링크의 일단에 연결되어 그 타단이 지상벨트가 밀착되는 롤러가 지지되면서 연결플레이트에 힌지 연결되는 롤러스탠드에 고정되는 하중전달부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각각 결합되면서 지지링크가 이동가능토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트의 상측으로 스위치박스가 고정되어 그 내측에 스위치작동편이 탄성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박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에 접촉토록 스위치작동편의 일측에 접지판이 고정되며, 상기 스위치작동편의 단부에 지지토록 지지링크의 내측에 스토퍼가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및 절손 검출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및 절손 검출장치 도시한 설치 상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콘베이어상의 연원료 편향적재및 벨트 절손 검출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검출장치의 요부 분해 상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검출상태를 도시한개략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콘베이어의 절손 검출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본 고안은 베이스부(1)와 하중전달부(2) 및 제어부(3)로서 이루어 진다.
불출설비(4)의 하측에 설치되는 슈트(5)의 저면에 스커트플레이트(6)를 연결하여 그 하부 양측에 행거프레임(7)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행거프레임(7)에 유동롤러(8A)가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스탠드(9A)가 연결되며, 상기 롤러스탠드(9A)의 저면에 유동롤러(8C)가 연결되는 다수의 지상벨트 롤러스탠드(10)가 설치되어 그 상측에 지상벨트(11)가 밀착토록 연결된다.
상기 행거프레임(7)에 결합되는 다수의 롤러스탠드(9A)중 행거프레임(7)의 전방에 위치하는 하나의 롤러스탠드(9B)에 설치되는 베이스부(1)는, 행거프레임(7)의 내측에 지지프레임(12)이 결합되어 그 상,하측에 고정플레이트(13)와 한쌍의 연결플레이트(14A)(14B)가 용접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1)의 고정플레이트(13) 내측에 설치되는 하중전달부(2)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3)의 저면에 고정바(15)가 용접 결합되어 그 단부에 스프링 베이스 (16)가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 베이스(16)의 양측에 완충스프링(17)을 개재하여 턴버클(18)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턴버클(18)의 단부에 지지링크(31)의 일단이 회전가능토록 힌지(19A)연결되고, 상기 지지링크(18)의 타단이 지상벨트(11)가 밀착되는 유동롤러(8B)가 지지되면서 연결플레이트(14A)(14B)에 힌지(19B) 연결되는 롤러스탠드(9B)에 일정 각도로 용접고정된다.
상기 하중전달부(2)의 일측에 접촉되어 감지되는 하중에 의해 지상벨트(11)를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는, 상기 지지프레임(12)의 내측에 각각 결합되면서 지지링크(18)가 이동가능토록 가이드홈(20)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트(21)의 상측으로 스위치박스(22)가 고정되어 그 내측에 스위치작동편(23)이 스프링(24)을 개재하여 탄성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박스(22)의 일측에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25)에 접촉토록 스위치작동편(23)의 일측에 접지판(26)이 고정되며, 상기 스위치작동편(23)의 단부에 지지토록 지지링크(18)의 내측에 스토퍼(27)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턴버클(18)의 단부에는 연결편(28)이 용접되어 지지링크(18)에 힌지(19A) 연결되고, 상기 턴버클(18)의 타단에 스프링고리(29)가 용접되어 완충스프링(17)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작동편(23)의 일측에 탄성 지지되는 스프링(24)의 탄성력을 조절토록 압력조절볼트(30)가 스위치박스(22)에 회전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고안의 양측 동작부는 대칭 형상으로 양측의 구성이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좌측의 작용에 대하여만 집중적으로 설명토록 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상벨트(11)의 정상 상태 운전시에는, 지상벨트(11)에 작용하는 장력이 양측면에 동일하게 작용하게 되어 상기 지상벨트(11)가 밀착되어 압력이 작용토록 되는 좌,우측의 유동롤러(8B)에 동일 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때 상기 유동롤러(8B)에 지지링크(31)를 통하여 일단이 연결되면서 타단이 스프링베이스(16)에 연결되는 양측의 완충스프링(17)이 동일하게 일정폭으로 이완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지지링크(31)에 고정되는 스토퍼(27)가 스위치박스(22) 내측의 리미트스위치(23)를 동작시키는 스위치 작동편(23)에 일정압력으로 밀착토록 되며, 이때 상기 스위치 작동편(23)에 고정되는 접지판(26)은 리미트 스위치(25)를 동작시키지 않아 슈트(5)를 통한 지상벨트(11)에서 연속적인 연,원료 적재작업이 수행토록 된다.
계속하여, 상기 슈트(5)를 통하여 지상벨트(11)에 낙하되는 연,원료가 지상벨트(11)의 중심에 정확하게 낙하되지 않고 좌측 방향으로 편향 적재될때의 검출동작은, 도3및 도4와 도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롤러 스탠드(9B) 상측에 밀착되어 이동되는 지상벨트(11)에 연,원료가 좌측으로 편향 적재되면 좌측의 유동롤러(8B)에 지상벨트(11)의 장력이 정상상태보다 약해지는(정상상태인 지상벨트(11)의 중심부에 연,원료가 적재될때 (장력(T)=지상벨트(11)의 중심부에서 지상벨트(11)의 일측이 밀착되는 좌측 유동롤러(8B) 까지의 거리(L) × 이때 작용하는 하중(F))이 좌측으로 편향 적재될때 편향적재되는 거리만큼이 감소되어 장력이 감소토록 된다) 반면에 우측 유동롤러(8B)에 작용하는 장력은 좌측으로의 편향거리만큼의 거리가 증가되어 지상벨트(11)에 작용하는 장력은 거리와 하중에 비례하게됨으로써 정상상태보다 증가하게 된다.
이때, 도4에서와 같이, 정상상태에서 스프링베이스(16)에 양측이 동일하게 팽창되는 상태로 위치하는 완충스프링(17)이 사행 상태에서 장력이 정상상태보다 축소토록 되는 좌측의 완충스프링(17)은 수축시키고, 반대로 정상상태보다 증가되는 장력을 갖는 우측의 유동롤러에 의해 우측의 완충스프링(17)을 이완시키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좌측의 유동롤러(8B)에 작용하는 장력이 축소됨으로써 이에 연결되는 좌측의 완충스프링(17)이 수축되면서 지지링크(31)가 고정브라켓트(21)의 가이드홈(20)을 통하여 내측으로 이동되고, 이와동시에 지지링크(31)에 고정되는 스토퍼(27)가 스위치박스(22)에 탄성 설치되는 스위치작동편(23)을 압입하게 되고, 이때 상기 스위치작동편(23)에 고정되는 접지판(26)이 리미트스위치(25)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상기 리미트스위치(25)의 신호에 의해 불출장비(미도시) 제어판의 사행경고램프가 점등되어 불출장비를 정지시키고, 지상벨트(11)의 동작은 유지시켜 계속회전시킴으로써 무부하상태가 되도록 하여 지상벨트(11)는 정상상태가 됨으로써 양측에 동일 장력이 유지토록 되며, 이에의하여 스프링베이스(16)의 양측에 지지되는 완충스프링(17)이 동일하게 이완토록 되면서 지지링크(31)가 회전되어 정상상태로 복원토록 된다.
이때, 지지링크(31)에 접촉되는 스위치 작동편(23)이 그 일측에 삽입되는 스프링(24)에 의해 복원되면서 리미트 스위치(25)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켜 사행감지후 피이드백 과정이 자동화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스프링(24)의 일측에는 압력조절볼트(30)가 결합되어 스프링(24)의 장력을 운전상태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한다.
계속하여, 상기 슈트(5)를 통하여 지상벨트(11)에 낙하되는 연,원료내의 이물질(철편, 목편)에 의한 지상벨트(11)의 절손 검출동작은, 도3및 도4와 도7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상벨트(11)에 적치되는 연,원료가 절손부를 통하여 유출되면서 지상벨트(11)의 중앙 양측면이 서로 벌어지면서 양측 유동롤러(9B)의 하면부에서 부분적으로 이탈되어 양측의 지상벨트(11)에 동작하는 장력이 정상상태보다 감소(연,원료의 유출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됨으로써 하중과, 하중이 작용하는거리에 각각 비례하는 장력값이 정상상태보다 감소됨)되어 양측의 유동롤러(9B)에 작용하는 장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동롤러(9B)에 지지링크(31)를 통하여 연결되는 스프링 베이스(16) 양측의 완충스프링(17)이 자체의 장력( 상기 스프링의 장력은 정상상태의 적재시 리미트스위치(25)를 동작시키지 않는 일정상태로 이완토록 형성됨)에 의해 각각 수축되고, 이때, 상기 양측의 완충스프링(17)에 연결되는 지지링크(31)가 고정브라켓트(21)의 가이드홈(20)을 통하여 내측으로 이동되면 지지링크(31)에 고정되는 스토퍼(27)가 스위치박스(22)에 탄성 설치되는 스위치작동편(23)을 각각 압입하게 되고, 상기 스위치작동편(23)에 고정되는 접지판(26)이 리미트스위치(25)를 각각 동작시킨다.
그리고, 상기 양측의 리미트스위치(25)가 함께 전기적 신호를 방출하면 상기 신호에 의해 불출장비(미도시) 제어판의 절손경고램프가 점등되어 불출장비와 지상벨트(11)를 정지시키고, 이에의하여 지상벨트(11)의 절손을 최단시간에 감지토록 함으로써 지상벨트(11)의 절손을 최소화 하게 되어 과도한 수리비를 절감함은 물론 연,원료의 손실을 최소화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벨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및 절손 검출장치에 의하면, 연,원료가 지상벨트에 편향적재 되는 사행과 지상벨트의 절손을 신속하게 검출하여 연,원료의 낭비및 지상벨트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지상벨트의 점검을 위한 별도의 인원이 불필요함은 물론 수리비 상승을 억제하며, 연,원료의 낙하에 의한 지상벨트의 작동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 완충스프링과 푸쉬형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및 설치가 손쉽게 이루어 지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슈트의 저면에 스커트플레이트를 연결하여 그 하부 양측에 행거프레임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행거프레임에 유동롤러가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스탠드가 연결되며, 상기 롤러스탠드의 저면에 유동롤러가 연결되는 다수의 지상벨트 롤러스탠드가 설치되어 지상벨트가 결합되는 불출설비에 있어서,
    상기 행거프레임(7)의 전방에 위치하는 하나의 롤러스탠드(9B)에 설치되며, 행거프레임(7)의 내측에 지지프레임(12)이 결합되어 그 상,하측에 고정플레이트 (13)와 한쌍의 연결플레이트(14A)(14B)가 일체로 용접 고정되는 베이스부(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3)의 저면에 고정바(15)가 결합되어 그 단부에 완충스프링(17)의 일단이 양측에 연결되는 스프링 베이스(16)가 설치되고, 상기 완충스프링(17)의 타단이 롤러스탠드(9B)의 상측에 용접되는 지지링크(31)에 연결되며, 상기 롤러스탠드(9B)의 하부가 연결플레이트(14A)(14B)에 회전토록 연결되어 그 내측에 유동롤러(8B)가 지지되는 하중전달부(2) 및,
    상기 지지프레임(12)의 내측에 결합되면서 지지링크(18)가 이동가능토록 가이드홈(20)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트(21)의 상측으로 스위치박스(22)가 고정되어 그 내측에 스프링(24) 지지되는 스위치작동편(23)이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박스 (22)의 내측에 리미트스위치(25)가 설치되어 이에 접촉토록 스위치작동편(23)의 일측에 접지판(26)이 고정되는 제어부(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및 절손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작동편(23)이 설치되는 스위치박스(22)는, 스위치작동편(23)의 장력을 조정토록 압력조절볼트(3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및 절손 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베이스(16)의 양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완충스프링(17)은, 타단이 지지링크(31)에 연결될때 그 장력을 조정토록 턴버클(18)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및 절손 검출장치
KR2019990017459U 1999-08-23 1999-08-23 벨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및 절손 검출장치 KR200169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459U KR200169327Y1 (ko) 1999-08-23 1999-08-23 벨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및 절손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459U KR200169327Y1 (ko) 1999-08-23 1999-08-23 벨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및 절손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327Y1 true KR200169327Y1 (ko) 2000-02-15

Family

ID=19585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459U KR200169327Y1 (ko) 1999-08-23 1999-08-23 벨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및 절손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3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107B1 (ko) 2003-03-17 2010-03-10 주식회사 포스코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
CN104307712A (zh) * 2014-10-16 2015-01-28 山东福贞金属包装有限公司 涂布防歪边装置
KR101928179B1 (ko) * 2017-04-21 2018-12-11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107B1 (ko) 2003-03-17 2010-03-10 주식회사 포스코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
CN104307712A (zh) * 2014-10-16 2015-01-28 山东福贞金属包装有限公司 涂布防歪边装置
KR101928179B1 (ko) * 2017-04-21 2018-12-11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1727A (en) Conveyor belt monitor
KR200169327Y1 (ko) 벨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및 절손 검출장치
EP0712799A1 (de) Verteilförderer für Stückgut
US2539070A (en) Belt protector for sintering machines
KR20100076419A (ko) 리턴 벨트가 턴오버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US3608703A (en) Conveyor belt protection device
CN219602323U (zh) 一种具有纠偏功能的皮带输送机
KR20060119418A (ko) 컨베어벨트 텐션조정장치
KR102224877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장력 조정 장치
JP4857990B2 (ja) 仕分け設備
KR200262975Y1 (ko)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
US11655104B2 (en) Deflector for high angle conveyor pressing assembly
KR100256095B1 (ko) 과일선별장치용 과일이송장치
US3680685A (en) Safety conveyor
KR102490669B1 (ko) 트리퍼용 케이블 행거장치
CN112027588A (zh) 一种矿用导料槽料流调节装置
KR19990013555U (ko) 슈트하부 벨트 절손 감지장치
KR200169337Y1 (ko) 벨트 컨베어 사행 조정장치
US1140782A (en) Fruit-grading machine.
KR20120014403A (ko) 벨트 사행 방지형 컨베이어 장치
KR20040043797A (ko)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
KR200169331Y1 (ko) 벨트 절손 방지 장치
KR20020052738A (ko) 롤러마모 방지용 스탠드장치
RU2116232C1 (ru) Натя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ленточного транспортера,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туннельных сушильных установок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US2987164A (en) Materials handl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