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1775A -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1775A
KR20040081775A KR10-2004-7012322A KR20047012322A KR20040081775A KR 20040081775 A KR20040081775 A KR 20040081775A KR 20047012322 A KR20047012322 A KR 20047012322A KR 20040081775 A KR20040081775 A KR 20040081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processing
endoscope
colo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7896B1 (ko
Inventor
가네꼬가즈마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1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8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 A61B1/00009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for image enhanc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61B1/0005Display arrangement combining images e.g. side-by-side, superimposed or ti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5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dentification means for the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3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providing two or more waveleng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for fluorescence im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전자 내시경의 고유 정보를 기초로 하는 종별과, 상기 접속되는 전자 내시경에 설치된 촬상 소자의 종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종별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전자 내시경에 의해 얻게 된 화상 신호의 신호 레벨을 기초로 이 화상 신호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부와, 검출 수단에 의해 접속되는 전자 내시경의 종별이 검출된 경우, 전자 내시경에 의해 얻게 된 화상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 영역에 대해 검출된 상기 전자 내시경의 종별에 따라서 상기 화성 처리부가 처리하는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를 갖는다.

Description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ENDOSCOPE IMAGE PROCESSING APPARATUS}
최근, 내시경은 의료용 분야 등에 있어서 널리 채용되게 되었다. 또한, 통상의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것 외에, 피검체에 있어서의 검사 대상 영역에 대해 혈액 정보량을 산출하는 화상 처리를 실시하도록 한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7718호 공보에 있어서, 피검체 내의 정상 부위와 병변 부위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표시하여 진단하기 쉽도록 한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장착되는 전자 내시경의 종류가 달라, 예를 들어 상기 내시경에 설치되는 고체 촬상 소자의 화소 수가 다른 경우, 그 화소 수에 대해 적절한 영역으로 표시를 하는 것은 어려웠다. 즉, 실제로 사용하는 전자 내시경에 내장된 고체 촬상 소자의 화소 수에 따라서 표시하는 영역을 설정하는 작업이 필요해지고, 그 작업에 수고가 들어, 그로 인해 진단에 시간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혈액 정보량을 산출하는 화상 처리 외에, 다른 화상 처리가 복합된 경우, 혈액 정보량을 산출하는 화상 처리된 예를 들어 유사 화상이 다른 화상 처리에 의해 원하는 유사 화상으로부터 변화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장착되는 내시경의 종별이 다른 경우, 특히 상기 장착되는 내시경에 내장된 촬상 소자의 화소 수 등이 변화된 경우에도 적절한 영역에서 소정의 화상 처리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른 화상 처리가 복합된 경우에도 소정의 화상 처리된 화상이 변화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시경의 화상 신호에 대해 화상 처리하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3은 화상 처리 블럭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4는 IHb 처리 회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5a는 모니터에 표시되는 통상 화상 및 주요한 유사 화상의 표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5b는 모니터에 표시되는 통상 화상 및 주요한 유사 화상의 표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5c는 모니터에 표시되는 통상 화상 및 주요한 유사 화상의 표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CCD 타입을 검출하여 대응하는 마스크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7은 유사 컬러 표시를 행하는 대표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8은 동작 정지의 설정 메뉴 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9는 IHb의 설정 메뉴 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유사 컬러 부분 표시의 동작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11은 IHb를 온하여 그 평균치 등을 표시하는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12a는 구조 강조 및 색채 강조를 연동 등을 나타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2b는 구조 강조 및 색채 강조를 연동 등을 나타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3a는 동화상으로부터 정지 화상으로 한 경우에 IHb의 평균치의 표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13b는 동화상으로부터 정지 화상으로 한 경우에 IHb의 평균치의 표시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사 컬러 부분 표시 등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15는 변형예에 있어서의 유사 컬러 부분 표시 등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16은 종래예와 비교하여 색채 강조를 행하는 경우의 동작 설명도.
도17은 동화상 표시의 경우에도 IHb 평균치를 표시하도록 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는 이하를 포함한다.
전자 내시경에 의해 피검체의 체강 내를 촬상하여 얻게 되는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전자 내시경의 고유 정보를 기초로 하는 종별과, 상기 접속되는 전자 내시경에 설치된 촬상 소자의 종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종별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전자 내시경에 의해 얻게 된 화상 신호의 신호 레벨을 기초로 이 화상 신호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접속되는 전자 내시경의 고유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전자 내시경의 종별이 검출된 경우, 상기 전자 내시경에 의해 얻게 된 화상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 영역에 대해 검출된 상기 전자 내시경의 종별에 따라서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이 처리하는 제1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수단.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고, 도3은 화상 처리 블럭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4는 IHb 처리 회로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여기서, IHb라 함은 혈액 정보량이 되는 색소량으로서의 헤모글로빈량에 상관하는 값이다(이하, IHb라 약칭).
도5a, 도5b, 도5c는 모니터에 표시되는 통상 화상 및 주요한 유사 화상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도6은 CCD의 타입을 검출하여 대응하는 마스크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나타내고, 도7은 유사 컬러 표시를 행하는 대표적인 동작을 나타내고, 도8은 동작 정지의 설정 메뉴 화면예를 나타내고, 도9는 IHb의 설정 메뉴 화면예를 나타내고, 도10은 유사 컬러 부분 표시의 동작 내용을 나타내고, 도11은 IHb를 온(ON)하여 그 평균치 등을 나타내는 동작예를 나타내고, 도12a, 도12b는 구조 강조 및 색채 강조를 연동 등하여 행할 수 있도록 한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13a, 도13b는 동화상으로부터 정지 화상으로 한 경우에 IHb의 평균치가 표시되도록 한 설명도를 나타낸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1)는 촬상 수단을 구비한 전자 내시경(2)과, 이 전자 내시경(2)에 조명광을 공급하는 광원부(3)와, 촬상 수단에 대해 영상 신호 처리(화상 신호 처리)하는 영상 신호 처리 블럭(4) 및 이 영상 신호 처리 블럭(4)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대해 화상 처리하는 화상 처리 블럭(5)을 내장한 비디오 프로세서(6)와, 이 비디오 프로세서(6)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를 표시하는 모니터(7)와, 모니터(7)에 표시되는 모니터 화상(내시경 화상)을 사진 촬영하는 모니터 화상 촬영 장치(8)와, 이 비디오 프로세서(71)에 접속되어 화상 처리의 온/오프(ON/OFF)의 지시 신호를 보내거나, 환자 데이터의 입력 등을 행하는 키보드(9)를 갖는다.
전자 내시경(2)은 가늘고 길어 예를 들어 가동성의 삽입부(11)를 갖고, 이삽입부(11)의 후단부에 두꺼운 폭의 조작부(12)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부(12)의 후단부측 측부로부터 가요성의 유니버설 코드(13)가 연장 설치되고, 이 유니버설 코드(13)의 단부의 커넥터(14)는 비디오 프로세서(6)의 커넥터 받침부(15)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1)에는 선단부측으로부터 경성의 선단부(16), 이 선단부(16)에 인접하는 후단부에 만곡 가능한 만곡부(17), 가요성을 갖는 긴 가요부(18)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2)에 설치된 만곡 조작 손잡이(19)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만곡부(17)를 좌우 방향 혹은 상하 방향으로 만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2)에는 삽입부(11) 내에 설치된 처치구 채널에 연통하는 삽입구(2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전자 내시경(2)의 조작부(12)의 정상부에는 동작 정지 지시를 행하는 동작 정지 스위치, 릴리즈 지시를 행하는 릴리즈 스위치 등의 스코프 스위치(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코프 스위치(10)를 조작하여 예를 들어 동작 정지 지시를 행하면 그 지시 신호는 비디오 프로세서(6) 내부의 제어 회로(35)(도2 참조)에 입력되고, 제어 회로(35)는 동작 정지 화상이 표시되도록 메모리부(34)[의 R, G, B 메모리(34r, 34g, 34b)](도3 참조)를 제어한다.
또한, 키보드(9)나 비디오 프로세서(6)의 전방 패널(50)(도2 참조)로부터도 동작 정지 지시 조작을 행함으로써 CPU(51)(도2 참조)를 거쳐서 그 지시 신호가 제어 회로(35)로 보내지고, 제어 회로(35)는 대응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릴리즈 지시 조작을 행하면, 동작 정지 화상의 표시 상태로 하여 모니터 화상 촬영 장치(8)에 릴리즈 신호를 보내어 사진 촬영을 행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16)에 있어서의 조명창 및 관찰창에는 조명 렌즈(21)와 대물 광학계(22)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조명 렌즈(21)의 후단부측에는 파이버 번들로 이루어지는 라이트 가이드(23)가 배치되고, 이 라이트 가이드(23)는 삽입부(11), 조작부(12), 유니버설 코드(13) 내를 삽입 통과되어 커넥터(14)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커넥터(14)를 비디오 프로세서(6)에 접속함으로써, 이 비디오 프로세서(6) 내의 광원부(3)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이 상기 라이트 가이드(23)의 입사단부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광원부(3)는 램프(24)와, 이 램프(24)의 조명광로 속에 배치되어 모터(25)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필터(26)를 구비하고 있다.
램프(24)는 가시광을 출사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 필터(26)에는 각각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투과하는 색 투과 필터(27R, 27R, 27B)가 주위 방향에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이 회전 필터(26)의 색 투과 필터(27R, 27G, 27B)의 특성은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각 파장 영역의 빛을 통과시키는 특성으로 설정되어 있다.
램프(24)로부터 출사된 빛은 회전 필터(26)에 의해 각 파장 영역에 시계열적으로 분리되어 라이트 가이드(23)의 입사단부에 입사되도록 되어 있다. 이 조명광은 라이트 가이드(23)에 의해 선단부(16)로 유도되어 선단부면의 조명창에 부착된 조명 렌즈(21)를 통해 피검사 부위 등의 피사체를 R, G, B의 면순차의 조명광으로조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대물 광학계(22)의 결상 위치에는 고체 촬상 소자로서, 예를 들어 전하 결합 소자(CCD라 약칭)(28)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면순차의 조명광에 의해 조명된 피사체상이 대물 광학계(22)에 의해 CCD(28)의 광전 변환면에 결상되고, 이 CCD(28)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이 CCD(28)로부터 광전 변환되어 출력되는 화상 신호(촬상 신호)는 영상 신호 처리 블럭(4) 내에 입력되고, 소정의 범위의 전기 신호(예를 들어, 0 내지 1 볼트)로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31)에 입력된다.
이 증폭기(31)의 출력 신호는 A/D 컨버터(32)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1 입력 3 출력의 셀렉터(33)에 입력된다. 시계열적으로 이송되어 오는 RGB 신호는 이 셀렉터(33)에 의해 R, G, B의 각 색 신호로 분리되어 메모리부(34)에 입력된다.
분리된 R, G, B 각 색 신호는 각각 R, G, B에 대응하는[메모리부(34)를 구성하는] R, G, B 메모리(34r, 34g, 34b)(도3, 도4 참조. 도2에서는 34r, 34g, 34b를 생략하고 있음)에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또, A/D 컨버터(32)에 의한 A/D 변환이나, 메모리부(34)의 R, G, B 메모리(34r, 34g, 34b)에의 색 신호의 기억(기입) 및 판독은 제어 회로(35)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제어 회로(35)는 동기 신호 발생 회로(도2에서는 SSG라 약칭)(36)에 기준 신호를 보내고, 동기 신호 발생 회로(36)는 그에 동기한 동기 신호를 발생한다. 또, 여기서의 R, G, B 메모리(34r, 34g, 34b)에 기입을 금지하는 상태로 함으로써 정지 화상을 표시하는 상태로 할 수 있다[후술하는 동시화 회로(48)에서의 R,G, B 메모리측에서도 가능해짐).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시경 고유의 식별 정보(도2에 있어서 부호 128로 나타냄)를 다르게 하는 전자 내시경(2)이 장착된 경우라도 이들 다른 종별의 전자 내시경에 대해 정확한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내시경 고유의 정보라 함은, 예를 들어 화각 및 광학줌 등의 광학적 종별 정보, 용도 정보(상부 소화관용 혹은 하부 소화관용 등의 용도 정보) 외에 내설되는 CCD(28)의 화소 수 등의 정보이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들의 식별 정보(128)를 커넥터, 커넥터 받침부(114, 115) 및 검출 회로(37) 등에 의해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내시경 고유 식별 정보(128)의 저장 수단으로서의 최적의 예로서는, RAM, ROM 등의 기억 수단을 이용한 예, 혹은 저항 소자 등의 저항치의 차이 등에 의거하여 고유 정보를 구별하는 예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이들 식별 정보 중 전자 내시경(2)에 설치된 촬상 소자[CCD(28)]의 화소 수 등의 종별 정보를 CCD(28)에 관한 신호 경로로부터 직접 검출하는 기능도 갖는다.
예를 들어, 검출 회로(37)는 CCD(28)로부터의 신호를 그 후의 증폭부로 유도하는 신호 경로 상에 있어서, 예를 들어 커넥터(14)의 핀 수 등의 차이를 커넥터 받침부(15)를 거쳐서 검출함으로써 비디오 프로세서(6)에 실제로 접속된 전자 내시경(2)에 내장되고 있는 상기 CCD(28)의 화소 수 등의 종별 타입을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이 커넥터(14)의 핀 수 등의 차이에 의해 CCD(28)의 화소 수 등의 종별을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 CCD(28)의 화소 수 등의 종별을 검출하는 수단은 CCD(28)의 화소 수 등의 종별에 대응하는 커넥터(14)의 핀 수 등에 의해 검출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CCD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그 출력 신호의 파형 수로부터 화소 수(수평 화상 수, 수직 화상 수)를 검출하는 것이라도 좋다.
각 메모리(34r, 34g, 34b)로부터 판독된 색 신호(R, G, B)는 화상 처리 블럭(5)을 구성하는 혈액 정보량이 되는 색소량으로서의 헤모글로빈량에 상관하는 값(이하, IHb라 약칭)의 산출 등의 처리를 행하는 IHb 처리 블럭(41)에 입력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IHb 처리 블럭(41)은 각 화소에서의 IHb의 양(값)의 산출 및 그 평균치 산출이나 각 화소에서의 IHb의 값을 기초로 유사 컬러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유사 화상 생성 처리를 행하는 IHb 처리 회로부(42)와, 색채 강조를 행하는 색채 강조 회로부(43)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IHb의 유사 컬러 화상을 동작 정지 화상으로 표시하는 경우, 색 불균일이 적은 상태로 표시할 수 있도록 색 불균일 검출을 행하는 색 불균일 검출 블럭(44)도 구비하고 있다.
상기 IHb 처리 블럭(41)으로부터 출력되는 면순차의 신호는 γ 보정 회로(45)에서 γ 보정되고, 또한 후단 화상 처리 회로(46)에서 구조 강조가 행해진다. 그 후, 문자 중첩 회로(47)에서 환자 데이터나 산출된 IHb의 평균치가 중첩된 후, 동시화 회로(48)에서 면순차 신호로부터 동시화된 신호로 변환된다.
동시화 회로(48)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R, G, B 메모리를 갖고, 면순차의 신호 데이터를 일시 R, G, B 메모리에 기입하고, 동시에 판독함으로써 동시화된 RGB 신호를 출력한다.
동시화된 RGB 신호는 D/A 변환부(49)의 3개의 D/A 컨버터(49r, 49g, 49b)(도3 참조, 도2에서는 49r, 49g, 49b를 생략)에 각각 입력되고, 아날로그의 RGB 신호로 변환되어 모니터(7) 및 모니터 화상 촬영 장치(8)에 입력된다. 또, 동시화 회로(48)의 R, G, B 메모리의 기입 및 판독이나 D/A 변환부(49)의 D/A 변환은 제어 회로(35)에 의해 제어된다.
또, 모니터 화상 촬영 장치(8)는 모니터(7)와 마찬가지로 화상 등을 표시하는 도시하지 않은 모니터와 그 모니터에 표시되는 화상 등을 사진 촬영으로 화상 기록을 행하는 사진 촬영 장치(구체적으로는 카메라)로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통상의 가시광으로 조명 및 촬상한 통상 화상(원화상이라고도 함)을 모니터(7)에 표시하게 하거나, 비디오 프로세서(6)의 전방 패널(50)에 설치한 스위치나 키보드(9)로부터의 지시 조작에 의해 IHb 화상의 표시의 지시 등을 행하면, 그 지시 신호는 CPU(51)에 입력되고, CPU(51)는 지시 신호에 대응하여 IHb 처리 블럭(41) 등의 제어를 행한다.
다음에 IHb 처리 블럭(4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R 메모리(34r)로부터의 R 신호와 G 메모리(34g)로부터의 G 신호는 IHb 처리 블럭(41) 내의 IHb 산출 회로(53)에 입력되어 IHb의 산출이 행해진다. 그리고, IHb 평균치를 산출하는 IHb 평균치 산출 회로(54)에 출력한다.
또한, 검출 회로(37)에 의해 검출된 CCD 타입의 정보는 영역 설정 회로(55)에 입력되고, 영역 설정 회로(55)는 CCD 타입의 정보에 따라서 유사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적절한 사이즈로 표시하도록 유사 화상의 표시 영역을 설정한다.
또한, 영역 설정 회로(55)에 의해 설정된 영역의 정보는 IHb 산출 회로(53)와 IHb 평균치 산출 회로(54)로 보내져, 그 영역에 있어서 IHb를 산출한다.
IHb 산출 회로(53)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수학식 1의 연산을 행하여 각 화소에 있어서의 IHb의 값을 산출한다.
IHb = 32 × Log2(R/G)
R : R 화상의 데이터
G : G 화상의 데이터
이 수학식 1을 회로에 의해 실현하는 것은 용이하고, 예를 들어 입력되는 R 화상의 데이터와 G 화상의 데이터를 나타내지 않은 제산기를 이용하여 연산하고, 그 출력 결과를 ROM 등으로 구성한 도시하지 않은 Log 변환 테이블로 변환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CPU 등을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1의 연산을 행해도 좋다.
IHb 산출 회로(53)에 의해 산출된 IHb는 IHb 평균치 산출 회로(54)에 출력되고, IHb 평균치 산출 회로(54)는 입력되는 IHb에 대해 영역 설정 회로(55)로 설정된 영역에서 평균화하여 IHb 평균치를 산출한다.
또한, 이 IHb 산출 회로(53)에 의해 산출된 IHb는 유사 화상 생성 회로(56)에 입력된다. 유사 화상 생성 회로(56)는 IHb의 값으로부터 유사 컬러로 표시하는 유사 화상을 생성하여 화상 합성을 행하는 화상 합성 회로(57)에 출력한다.
화상 합성 회로(57)에는 유사 화상 생성 회로(56)에서 생성된 유사 화상 데이터와, R, G, B 메모리(34r, 34g, 34b)로부터의 R, G, B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고, 화상 합성 회로(57)는 영역 설정 회로(55)로부터의 마스크 신호를 기초로 하여 양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처리를 행하고, 합성된 화상 데이터를 면순차의 신호로 변환하는 면순차 회로(58)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합성 회로(57)는 마스크 신호가 "0"인 기간에서는 원화상에 상당하는 R, G, B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마스크 신호가 "1"인 기간에서는 유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여 합성한 화상 데이터를 후단 면순차 회로(58)에 출력한다.
면순차 회로(58)는 합성된 화상 데이터의 R, G, B 성분을 각각 면순차로 출력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γ 보정 회로(45)측에는 R, G, B 성분의 화상 데이터가 면순차로 출력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영역 설정 회로(57)에 의한 영역의 정보(구체적으로는 마스크 신호)는 γ 보정 회로(45)와 후단 화상 처리 회로(46)로 보내지고, 후술하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CPU(51)를 거쳐서 소정의 영역의 주위의 원화상 부분에 대해서는 γ 보정이나 구조 강조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제1 실시 형태에서는 영역 설정 회로(57)에 의한 영역의 정보를 γ 보정 회로(45)와 후단 화상 처리 회로(46)로 보내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음).
또한, IHb 평균치 산출 회로(54)에서 산출된 IHb 평균치는 문자 중첩 회로(47)로 보내져, 모니터 화면 상에 산출된 IHb 평균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CPU(51)를 거쳐서 표시/비표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R, G, B 메모리(34r, 34g, 34b)로부터의 R, G, B 화상 데이터는 색채 강조 회로부(43)를 구성하는 휘도 회로(61)에 입력되어 휘도 신호가 생성되고, 이 휘도 신호는 강조량 설정을 행하는 강조량 설정 회로(62)에 입력된다.
또한, 이 강조량 설정 회로(62)에는 강조 레벨을 설정하는 강조 레벨 회로(63)에서 설정된 강조 레벨의 값도 입력된다. 그리고, 양 회로로부터의 휘도 신호의 레벨 및 강조 레벨로부터 강조량을 설정하여 그 강조량의 신호에 의해 강조를 행하는 강조 회로(64)에 출력한다.
이 강조 회로(64)에는 또한 R, G, B 메모리(34r, 34g, 34b)로부터의 R, G, B 화상 데이터와 IHb 산출 회로(53)에서 산출된 IHb가 입력되는 동시에, IHb 평균치 산출 회로(54)에서 산출된 IHb 평균치가 지연 & 평활화 회로(도2 및 도3에서는 DLY & 평활화라 약칭)(65)를 거쳐서 입력된다.
강조 회로(64)는 색채 강조하여 R, G, B 화상 데이터를 화상 합성 회로(57)에 출력하고, 화상 합성 회로(57)는 색채 강조가 온된 경우에는 원화상의 화상 데이터 대신에 색채 강조를 행한 화상과 유사 컬러를 합성할 수도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유사 컬러가 오프인 경우에는 강조 회로(64)로부터 출력되는 색채 강조를 행한 화상만을 출력할 수도 있고, 원화상과 유사 컬러의 합성 대신에 원화상과 색채 강조를 행한 화상을 합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의 색채 강조 부분의 화상은 IHb의 값과, 그 평균치와 휘도 레벨 및 설정되는 강조 레벨 등에 의해 생성된 색채 강조된 R, G, B 화상 데이터가 된다.
또한, 유사 컬러 대신에 원화상과 색채 강조를 행한 화상을 합성하는 경우에는, 유사 컬러가 합성되는 영역 부분에 색채 강조를 행한 화상이 합성되어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부분 표시가 아닌 전체면 표시의 설정을 행하면, 전체면에 색채 강조를 행한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도2 및 도3에 도시하는 지연 & 평활화 회로(65)의 상세한 구성을 도4에 도시한다.
즉, IHb 평균치 산출 회로(54)에서 산출된 IHb 평균치는 (지연되는 일 없이)직접 평균치 평활화 회로(66)에 입력되는 동시에, 4개의 지연 소자(DLY가 약칭)(67)에서 1 필드분, 2 필드분, 3 필드분, 4 필드분 각각 지연된 것이 평균치 평활화 회로(66)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4개의 지연 소자(67)를 이용하여 5 필드분으로 평균화된 것으로, 가산 평균을 행하여 IHb 평균치를 평활화하여 강조 회로(64)에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 필드에서 평활화함으로써, 각 필드마다 IHb 평균치가 크게 변화하는 것을 저감화하여 관찰에 적합한 표시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통상의 가시광으로 조명 및 촬상한 통상 화상(원화상이라고도 함)을 모니터(7)에 표시시키거나, 비디오 프로세서(6)의 전방 패널(50)에 설치한 지시 스위치나 키보드(9)로부터의 지시 조작에 의해 IHb 화상의 표시의 지시등을 행하면, 그 지시 신호는 CPU(51)에 입력되고, CPU(51)는 지시 신호에 대응하여 IHb 처리 블럭(41) 등의 제어를 행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방 패널(50)에 설치한 스위치나 키보드(9)로부터 IHb 화상(유사 화상)의 표시의 온/오프나 색채 강조의 온/오프의 지시를 행하면, CPU(51)는 다른 곳의 지시에 대응하여 온/오프(51a)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강조 레벨의 설정 지시를 행하면, CPU(51)는 강조 레벨 회로(63)에 의한 강조 레벨의 레벨 설정(51b)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R, G, B 메모리(34r, 34g, 34b)로부터의 R, G, B 화상 데이터는 색 불균일 검출 블럭(44)의 색 불균일 검출 회로(71)에 입력되고, R, G, B 화상 데이터의 상관량 등의 검출에 의해 색 불균일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화상의 동작 정지 지시가 된 경우, 색 불균일 최소의 화상을 검출하여 그 색 불균일 최소의 화상을 검출한 필드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 회로(35)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 회로(35)는 메모리부(34R, G, B) 메모리(34r, 34g, 34b)에의 기입을 금지 상태로 하여 표시 수단으로서의 모니터(7)에 표시되는 화상 및 모니터 화상 촬영 장치(8)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화상을 정지 화상 상태로 한다.
동작 정지하는 화상의 색 불균일량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의 3가지의 색 불균일 검출 방법을 적당히 선택 혹은 조합하여, 선택된 방법으로 색 불균일 최소의 화상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색 불균일 검출 회로(71)는 선별 회로(72), 흔들림 보정 회로(73) 혹은 비교기(74)를 이용하여 색 불균일 검출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색 불균일 검색의 매수가 많은 경우에는 선별 회로(72)에 의해 시계열의 화상을 선별하고, 선별한 화상에 대해 색 불균일 검출을 행함으로써 광범위한 화상 매수인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비교기(74)를 이용한 것은 대상이 되는 복수매 필드의 변화량을 1회로 비교하여 변화량이 적은, 즉 색 불균일 최소의 화상을 찾는 다단 비교기에 의한 방법(회로 규모가 크고, 대상의 화상 매수에 제한이 있지만, 고속 처리가 가능해 단시간에 색 불균일 최소의 화상을 찾을 수 있음)이나, 2개씩 비교하여 복수매로부터 색 불균일 최소가 되는 1매의 화상을 찾는 방법이 있다(이 경우에는 회로 규모가 작고, 대상의 화상 매수는 다단 비교기보다도 많이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지만, 고속 처리는 할 수 없으므로 색 불균일 최소의 화상을 찾는 것에 시간이 걸림).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얻을 수 있는 색 불균일 최소 화상에 대해 적색 화상, 녹색 화상, 청색 화상의 표시 위치를 각각에 대해 수 화소 단위로 2차원적으로 어긋나게 하고, 또한 색 불균일 최소로 하는 화상의 구축 방법, 즉 흔들림 보정이 있어 흔들림 보정 회로(73)는 이를 행한다.
이 방법은 화상을 어긋나게 하므로 화상의 단부의 부분이 무효가 되고, 관찰 화상이 작아지지만, 색 불균일을 경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들에 의한 방법을 선택 혹은 조합을 미리 메뉴로 선택하거나, 설정 조건에 따라서 절환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도8은 동작 정지 메뉴의 일예를 나타낸다. 이 메뉴에서는 프리 동작 정지라는 항목으로 레벨의 수치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레벨의 수치가 대상 화상 매수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최대의 레벨인 8이면 상기 다단 비교에 의한 제한 매수 이상이 되고, 따라서 2개씩 비교하는 방법으로 행한다. 그 미만의 레벨인 경우에는, 다단 비교에 의한 제한 매수보다 적기 때문에 다단 비교에 의해 색 불균일 검출을 행한다.
또한, 도8의 흔들림 보정의 항목에서 흔들림 보정을 온으로 하면,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얻게 된 색 불균일 최소 화상에 대해 흔들림 보정에 의해 보다 색 불균일이 적은 색 불균일 최소 화상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 회로(37)에 의해, 예를 들어 실제로 전자 내시경(2)에 내장된 CCD(28)의 화소 수 등의 종별을 검출하고, 검출된 종별에 있어서의 화소 수에 대응하여 유사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전자 내시경(2)의 종별이 다른 것이 접속 사용된 경우에도 자동적으로 적절한 사이즈로 유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상의 동작 상태에서는 모니터(7)의 표시면에는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각형의 내시경 화상 표시 영역(7a)에 내시경 화상이 동화상으로 표시된다. 또한, 이 내시경 화상 표시 영역(7a)의 좌측에는 환자 데이터 등 외에, IHb 평균치 표시 준비의 표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IHb = ---(7b로 나타냄)로 표시되고, IHb 평균치를 표시하는 준비가 되어 있다. 또, 이 IHb 평균치 표시 준비의 표시는 선택에 의해 비표시로 할 수도 있다. 또, IHb 평균치의 값에 의해 병변 부분인지 건상 부분(정상 부분)인지를 진단하는 기준이 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유사 컬러 화상의 표시를 온하는 지시 조작을 행하면, 예를 들어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화상 표시 영역(7a)의 중앙부의 마스크 영역(7c)에 유사 컬러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IHb 평균치 표시 준비의 표시로부터 IHb 평균치의 표시(7d로 나타냄)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관찰 대상 부분의 내시경 화상에 있어서의 관심 영역이 되는 그 중앙 부분을 마스크 영역(7c) 내에서는 유사 컬러 화상을 표시하고, 그 주위는 원화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경우, 내시경 화상 표시 영역(7a)의 우측에는 유사 컬러 화상으로 표시한 경우의 레인지를 나타내는 컬러 바아(7e)가 표시된다. 이 경우에는, 표준(Norm)의 레인지의 경우가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화상 표시 영역(7a)의 중앙부의 마스크 영역(7c) 부분만을 유사 컬러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즉, 유사 컬러 화상을 부분 표시하는 경우), 영역 설정 회로(55)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작용에 의해 마스크 신호를 발생하여 화소 수 등이 다른 CCD(28)의 경우에도 유사 컬러 화상을 적절한 사이즈로 부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유사 컬러 화상의 부분 표시를 행하는 경우, 영역 설정 회로(53)는 검출 회로(37)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도6의 스텝 S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CCD(28)가 타입 1의 종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입 1용 마스크 신호를 발생하여 이 마스크 신호를 화상 합성 회로(57)에 출력한다.
타입 1용 마스크 신호는 유사 컬러 화상의 부분 표시를 행하는 타이밍에서"1"이 되고, 그 이외의 기간에서는 "0"이 되는 2치의 마스크 신호를 출력하고, 화상 합성 회로(57)는 이 마스크 신호에 의해 원화상에 유사 컬러 화상을 부분적으로 끼워 넣는 화상 합성을 행하여 후단측에 출력한다. 그리고, 모니터(7)의 표시면에는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사 컬러 화상이 부분 표시된다.
한편, 도6의 스텝 S1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3으로 진행되어 CCD(28)가 타입 2의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타입 2의 종류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영역 설정 회로(53)는 스텝 S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입 2용 마스크 신호를 발생하고, 이 마스크 신호를 화상 합성 회로(57)에 출력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도5b와 대략 동일하도록 유사 컬러 화상이 부분 표시된다.
한편, 스텝 S3의 조건에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5로 진행되어 그 밖의 타입에 따른 마스크 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 종류의 CCD(28)인 경우에도(종래와 같은 화소 수 등에 따라서 영역 설정하는 작업을 필요로 행하지 않고) 그 CCD(28)의 화소 수 등에 적절한 사이즈로 유사 컬러 화상의 부분 표시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예를 들어 타입 1의 CCD(28)에서는 그 화소 수가 400 × 400이고, 이 경우에는 그 중앙부에서 200 × 200의 화소 영역(즉 1/4의 사이즈)에서 "1"이 되고, 그 이외의 기간에서는 "0"이 되는 2치의 마스크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타입 2의 CCD(28)에서는 그 화소 수가 800 × 600이고, 이 경우에는 그 중앙부에서 400 × 300의 화소 영역(역시 1/4의 사이즈)에서 "1"이 되고, 그 이외의 기간에서는 "0"이 되는 2치의 마스크 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타입 1 혹은 타입 2 중 어느 쪽의 경우에도 원화상의 중앙부에서 그1/4의 표시 사이즈로 유사 컬러 화상의 부분 표시가 행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사 컬러 화상의 부분 표시를 행하는 것 외에, 도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전체에서 유사 컬러 화상으로 표시하는 유사 컬러 전체면 표시(7f로 나타냄)를 행하는 표시 모드도 구비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중앙 부분(에서의 일부) 표시를 선택(온)한 경우에는 도5b와 같이 부분 표시를 행하고, 중앙부 표시를 선택하지 않으면 도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면 표시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5c에서의 유사 컬러 전체면 표시(7f)의 표시를 도5a에 도시하는 팔각형과 동일한 영역에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장착되는 내시경에 있어서의 CCD(28)의 화소 수가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요소에 의해 장착되는 내시경의 종별을 판정하여 이 장착된 내시경에 적합한 화상 처리를 행하도록 각 조건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식별 정보(128)(도2 참조)를 기초로 하여 화각이나 광학줌 등의 광학적인 요소가 다른 내시경이 장착된 것이 검출된 경우, 적절한 사이즈로의 부분 표시를 행하도록 각 조건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광학줌 기능을 갖는 내시경이 장착된 경우, 촬상 소자로부터 얻게 되는 화상은 전체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므로 부분 표시의 사이즈를 크게 하도록 설정하고, 한편 광학줌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내시경이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사이즈를 작게 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위 관찰 등에 이용하는 상부 소화관용 내시경과 달리, 대장 관찰 등에 이용하는 하부 소화관용 내시경이 장착된 경우, 관강(管腔)이 많고 비교적 어두운 부위를 관찰하기 위해 정확한 화상 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표시 사이즈를 크게 하도록 설정한다.
다음에 이 내시경 장치(1)를 동작 상태로 설정하여 IHb 분포의 유사 컬러 표시 등을 행하는 작용을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내시경 장치(1)의 전원을 투입하여 동작 상태로 설정하면, 비디오 프로세서(6) 내의 CPU(51)는 키보드(9) 등으로부터의 지시 입력을 감시하고 있고, 스텝 S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사 컬러가 온의 지시 입력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유사 컬러가 온이 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12의 원화상 표시를 행한다. 예를 들어,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모니터(7)의 표시면에 내시경 화상을 동화상으로 표시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화상 표시의 경우에는 후단 화상 처리 회로(46)의 구조 강조를 온으로 하여 구조 강조된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사 컬러 표시하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구조 강조를 오프로 설정하여 유사 컬러 표시의 색조 등이 변화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일단 유사 컬러 표시로 된 후에 유사 컬러 오프로 된 경우에는 스텝 S2에서는 유사 컬러 화상시의 구조 강조 오프 처리를 해제하고, 구조 강조 온의 상태에서 원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스텝 S1에서 유사 컬러 온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CPU(51)는 스텝 S13의 레인지 체크를 행한다. 즉, 유사 컬러로 표시하는 경우의 색 분배를 노멀(Normal)과 와이드(Wide)인지의 판단을 행한다. 그리고, 노멀 혹은 와이드에 해당하는 색 분배의 컬러 바아의 표시의 지시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스텝 S14의 중앙 표시가 온이 되어 있는지(중앙 표시가 선택되어 있는지)의 판단을 행한다.
중앙 표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CPU(51)는 영역 설정 회로(55)에 대해 영역 설정의 신호를 화상 합성 회로(57)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유사 화상 생성 회로(56)에 의한 유사 화상은 화상 합성 회로(57)에 의해 원화상과 합성하여 스텝 S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사 컬러 부분 표시의 처리를 행하고, 스텝 S17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화상 표시 영역(7a)의 원화상의 중앙부에 유사 컬러 화상을 부분 표시한다. 그 우측에는 컬러 바아가 표시된다.
한편, 중앙 표시가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사 컬러 전체면 표시의 처리를 행하여 스텝 S17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도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화상 표시 영역(7a)의 전체와 대략 동일한 사이즈로[상술한 바와 같이 도5c의 경우에는 정사각형으로 하고 있지만, 그 4구석을 절결한 내시경 화상 표시 영역(7a)과 같이 팔각형으로 표시해도 좋음] 유사 컬러 화상을 전체면 표시한다. 그 우측에는 컬러 바아가 표시된다.
도9는 IHb 설정의 메뉴 화면을 나타낸다. 이 도9와 같이 IHb에 있어서는, IHb의 표시를 행하는 영역(에리어)의 설정 항목과, IHb의 유사 컬러 표시를 행하는 경우의 색을 할당하는 범위의 항목과, 통상의 동화상 표시시에 IHb 평균치를 표시하는지 여부의 항목이 있고, 도9의 경우에는 IHb(표시) 영역을 All의 전체 화면, 레인지를 노멀, 평균치 표시를 오프의 경우로 나타내고 있다.
유사 컬러 부분 표시 혹은 전체면 표시의 처리 후, 스텝 S17에서는 후단 화상 처리 회로(46)에서의 구조 강조가 온인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그리고, 온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구조 강조를 오프로 하여 스텝 S11로 복귀한다.
한편, 구조 강조가 온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구조 강조를 오프로 하여 스텝 S11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유사 컬러 부분 표시 혹은 전체면 표시의 경우에는 구조 강조를 자동적으로 오프로 하는 처리를 하고, 유사 컬러 부분 표시 혹은 전체면 표시를 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IHb에 의한 유사 컬러 표시를 행한 경우, 구조 강조에 의해 그 유사 컬러 표시가 변화해 버리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텝 S15의 유사 컬러 부분 표시의 처리의 상세를 도10에 나타낸다.
유사 컬러 부분 표시의 처리가 개시되면, 스텝 S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 신호가 "1"인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그리고, 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스텝 S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사 컬러 표시를 행한다. 단, 후단측에서의 화상 처리, 구체적으로는 γ 보정을 오프로 한 상태에서의 유사 컬러 표시를 행한다. 즉,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화상 표시 영역(7a)의 중앙부에 유사 컬러 표시를 행한다.
한편, 마스크 신호가 "1"이 아닌 부분(기간)에서는 스텝 S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화상을 표시한다. 이 경우, 후단측에서의 화상 처리, 구체적으로는 γ 보정을 온으로 한 상태에서의 원화상 표시를 행한다. 즉,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화상 표시 영역(7a)의 중앙부를 제외한 주변부에 원화상 표시를 행한다.
다음에 도11을 참조하여 IHb의 평균치 표시의 작용을 설명한다.
스텝 S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51)는 유사 컬러가 온으로 되어 있는지의 판단을 행하고, 온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사 컬러 표시를 정지 화상으로 하고, 그 정지 화상에서 IHb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그 평균치 표시를 "IHb = 50"과 같이 표시한다. 여기서, 부호 50은 유사 컬러의 정지 화상에서 산출한 IHb의 평균치를 나타낸다.
즉, 이 경우에는 유사 컬러 온과 정지 화상 표시를 연동한 동작예의 경우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정지 화상 표시를 연동하지 않으면 동화상의 유사 컬러 표시에 있어서 IHb의 평균치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유사 컬러가 온이 아니면 스텝 S33으로 진행되어 평균치 표시가 온인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그리고, 평균치 표시가 온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화상의 동화상에서 평균치 표시 준비를 한다. 구체적으로는 "IHb = ---"와 같이 IHb의 수치는 표시하지 않은 상태의 준비 단계로 표시한다.
또한, 유사 컬러가 온인 경우라도 평균치 표시가 오프이면, 평균치를 표시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 S35에서 동작 정지가 온인지 판단을 행하고, 동작 정지가 온된 경우에는 IHb의 산출 처리를 행하여 "IHb = 50"과 같이 표시하고, 역으로동작 정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4로 복귀된다.
한편, 스텝 S33의 판단에 있어서, 평균치 표시가 온이 아닌 경우에는 스텝 S37로 진행되고, 원화상의 동화상에서 평균치 표시를 행하지 않는다(평균치 표시를 행하지 않는 원화상의 동화상 표시가 됨).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 패널(51)에 설치한 구조 강조의 스위치와 색채 강조의 스위치를 연동하여 행할 수 있도록 한 연동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 강조 스위치(81)와 색채 강조 스위치(82)를 조작함으로써 구조와 색채의 강조를 정지(함), 약(하게 함), 강(하게 함)을 설정할 수 있다.
각각의 설정이 번거롭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주요한 레벨을 연동시켜 강조를 행할 수 있도록 도1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작 절환 메뉴가 준비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 조작을 독립으로부터 연동을 선택하면, 구조 강조 스위치(81)와 색채 강조 스위치(82)가 연동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구조 강조 스위치(81)와 색채 강조 스위치(82) 중 한 쪽을 조작하면 다른 쪽도 연동하여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위치 조작을 연동시키는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구조 강조나 색채 강조의 주요한 레벨의 선택이나 오프 등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가 있다.
전자 내시경(2)의 종별이 다른 것을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내장된 CCD(28)의 종별을 검출함으로써 IHb의 값에 따라서 유사 컬러로 화상화하고 표시하는 경우, 그 유사 컬러 표시하는 영역을 통상이 화상 표시 영역의 중앙부에서 적절한 표시 사이즈, 구체적으로는 대략 1/4의 사이즈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시술자가 표시 사이즈를 조정하는 수고를 하지 않고, 원화상의 중앙부에 IHb의 유사 컬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유사 컬러 화상에 의해 피검체 내의 정상 부위와 병변 부위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판단 가능하게 하여 관찰을 용이하게 한 화상 처리 장치 및 내시경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원화상의 중앙부에 적절한 표시 사이즈로 IHb의 유사 컬러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외에, 전체면 표시로 IHb의 유사 컬러 화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시술자가 넓은 부분에 대해 IHb의 유사 컬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바라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IHb의 유사 컬러 화상을 표시하는 지시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정지 화상이 되고, 정지 화상으로 IHb의 유사 컬러 화상을 표시하게 되므로, IHb의 유사 컬러 화상이 변화하지 않으므로 진단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IHb의 유사 컬러 화상을 표시하도록 한 경우에는 후단측에서의 구조 강조가 자동적으로 오프가 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IHb의 유사 컬러 화상을 표시한 경우 그 유사 컬러 화상이 구조 강조에 의해 변화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사 컬러 화상의 표시를 오프로 한 경우에는 구조 강조를 온으로 복귀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구조 강조를 온으로 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되어 사용하기 편한 장치를 실현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색채 강조를 행하여 표시시킬 수도 있으므로, 강조 레벨에 의해 색 번짐이나 할레이션의 증대를 억제하거나, 소음을 억제하는 등하여 동화상 관찰에 지장이 없는 자연스러운 강조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구조 강조와 색채 강조를 연동시키거나, 독립시키거나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사용하기 편한 내시경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설명에서는, 유사 컬러의 부분 표시를 행하는 경우, 내시경 화상 표시 영역(7a)의 중앙부에 대략 1/4의 화면 사이즈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키보드(9) 등으로부터 표시 위치 및 화면 사이즈를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키보드(9) 등으로부터 동작 정지된 정지 화상에 대해 메모리 내의 다른 정지 화상으로 변경해도 좋다.
또한, 후단 화상 처리 회로(46)에서는 구조 강조를 행하는 경우로 설명하였지만 전자줌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동화상의 경우에는 도5a와 같은 표시로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도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IHb의 준비 표시를 행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 정지 화상으로 한 경우에는, 그에 연동하여 도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IHb의 표시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유사 화상 생성 회로(56)에서 생성한 유사 화상을 면순차 회로(58)에서 면순차 신호로 변환하여 후단측에 출력하도록 설명하였지만, 도3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IHb 처리 블럭(41) 내부가 아닌, 이 도3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동시화 회로(48) 내에 유사 화상 생성 회로(56)를 설치하여 유사 컬러 화상을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유사 컬러 화상의 색 불균일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유사 컬러의 부분 표시 혹은 전체면 표시의 경우, 후단측에서의 구조 강조를 자동적으로 오프로 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사 컬러의 부분 표시의 경우에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 화상 처리 회로(46)에서 주변의 원화상 부분에 대해서는 구조 강조를 온으로 하는 것이다.
즉,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사 컬러의 부분 표시를 행하는 경우(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 신호가 "1"인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그리고, 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스텝 S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사 컬러 표시를 행한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 S24에서 후단 화상 처리 회로(46)에서의 구조 강조를 오프로 한다.
한편, 마스크 신호가 "1"이 아닌 부분(기간)에서는 스텝 S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다음의 스텝 S25에서는 후단 화상 처리 회로(46)에서의 구조 강조를 온으로 한다. 즉, 주변의 원화상 부분에 대해서는 구조 강조를 온으로 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사 컬러 표시 부분에 대해서는 구조 강조를 행하지 않으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그 유사 컬러 표시 부분이 구조 강조에의해 표시 색조가 변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원화상에 대해서는 구조 강조를 행하여 그 구조를 보다 명확화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 도14에 나타내는 처리 외에 도15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해도 된다. 즉 도14의 스텝 S23의 처리 후, 도15의 스텝 S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 강조가 온인지 여부의 판단을 행하여, 온인 경우에는 스텝 S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화상 부분에 대해 구조 강조를 행하고, 오프인 경우에는 스텝 S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 강조를 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원화상 부분의 표시를 할 수 있다. 즉,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또, 유사 컬러 부분에 대해서도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 강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선택 결과에 따라서 구조 강조를 온 혹은 오프로 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후단부 화상 처리 회로(46)에 의한 구조 강조의 경우로 설명하였지만, γ 보정 회로(45)에 의한 γ 보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온/오프의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즉,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에 적용한 경우에는, 유사 컬러 표시 부분의 지시와 함께 γ 보정을 오프로 하고, 원화상의 표시에 연동하여 γ 보정을 온으로 복귀시킨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14의 경우에 대해서는, 유사 컬러 화상의 표시 부분에 대해서는 γ 보정을 오프, 원화상 부분에 대해서는 온으로 한다. 또한, 도15의 경우에 대해서는 γ 보정의 온/오프의 설정에 따라서 γ 보정의 온/오프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색채 강조를 온으로 한 경우, 강조 레벨이 일정 레벨 이상과 그 미만일 때에 휘도 레벨에 의해 강조량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16은 이 모습을 도시한다. 도16은 휘도 레벨이 높은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서의 색채 강조의 모습과 비교를 위해 종래예의 경우도 나타낸다.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예에서는 휘도가 높은 경우에는, 그 색채 강조 레벨이 [낮은 경우에는 원래부터]높게 설정되어도 색채 강조를 행하지 않도록 억제한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색채 강조 레벨이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휘도가 높은 경우라도 그 색채 강조 레벨을 낮게 변경하여 색채 강조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 색채 강조 레벨이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색채 강조를 행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화상의 표시 상태라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도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에는 IHb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선택의 폭을 확대하였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같은 효과를 갖는 동시에,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선택에 대응한 처리를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상술한 설명에서는, 고체 촬상 소자를 내장한 내시경으로서는 삽입부의 선단부 등에 CCD(28) 등을 내장한 것에 한정되는 일 없이, 광학식 내시경의 접안부에 CCD(28) 등을 내장한 텔레비전 카메라를 장착한 텔레비전 카메라 장착 내시경에 의한 전자식 내시경이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육안으로 관찰한 것과 마찬가지로 표시할 수 있도록 통상의 화상 처리(영상 처리)를 행하는 통상 화상 처리 장치(구체적으로는 비디오 프로세서)의 내부에 혈류량에 관한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설치한 경우로 설명하였지만, 통상 화상 처리 장치와 별개 부재의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CCD(28)의 화소 수 등의 종별을 검출하도록 하고 있었지만, 화상 처리 장치에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화소 사이즈를 검출하여 그 검출 결과에 따라서 적절한 표시 사이즈가 되도록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처리 화상의 표시 영역을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술한 각 실시 형태 등을 부분적 등으로 조합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한다.
그런데,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7718호 공보에 있어서, 피검체 내의 정상 부위와 병변 부위의 차이를 정량적인 표시를 행하는 방법에 대해 쉽게 가능하게 하는 화상 진단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혈액 정보량(IHb)에 관한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하여 유사 컬러 표시한 경우, 후단측에서 다른 화상 처리, 예를 들어 구조 강조를 행하면, 할당한 색 이외의 색이 발생하여 IHb의 유사 컬러 표시를 변화시켜 버려 부적절한 화상이 되어 버린다. 그래서, 적절한 관찰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이하의 해결 수단을 생각할 수 있다.
피검체 내를 촬상한 내시경 화상의 신호를 생성하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내시경 화상의 신호 레벨의 기초로 상기 피검체에 있어서의 혈액 정보량에 관한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수단과,
상기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전자 내시경의 고유 정보를 기초로 하는 종별과, 상기 접속되는 전자 내시경에 설치된 촬상 소자의 종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종별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촬상 소자 종별에 따라서 상기 화상 처리 수단으로 처리된 처리 화상이 표시되는 소정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후단측에서 상기 혈액 정보량에 관한 소정의 화상 처리와는 다른 제2 화상 처리를 행하는 제2 화상 처리 수단을 갖고,
또한, 적어도 상기 소정의 화상 처리가 실시된 처리 화상이 표시되는 경우, 그 표시되는 상기 처리 화상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제2 화상 처리 수단에 의한 화상 처리를 오프로 하는 제어 수단을 갖고,
또한, 상기 소정의 화상 처리가 실시된 처리 부분 이외에서는, 상기 제2 화상 처리 수단에 의한 화상 처리를 온/오프를 선택 가능하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6-335451호 공보에서는 IHb를 이용한 화상 강조에 대해 서술되고 있다. 이 경우, 화상에 색 불균일이나, 휘도 변화가 있을 때마다필드 계산하는 IHb 평균치는 크게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IHb 평균치를 베이스로 하는 강조 화상이 현저히 영향을 받아 관찰하기에는 부적당한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관찰에 적절한 표시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하의 해결 수단을 생각할 수 있다.
피검체 내를 촬상한 내시경 화상의 신호를 생성하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내시경 화상의 신호 레벨을 기초로 상기 피검체에 있어서의 혈액 정보량에 관한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수단과,
상기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전자 내시경의 고유 정보를 기초로 하는 종별과, 상기 접속되는 전자 내시경에 설치된 촬상 소자의 종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종별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촬상 소자 종별에 따라서, 상기 화상 처리 수단으로 처리된 처리 화상이 표시되는 소정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처리 화상에 있어서의 평균치 처리된 평균치를 표시하는 평균치 표시 수단을 갖고,
또한, 상기 평균치를 복수 필드에서 평활화하는 평활화 수단을 갖는다.
또한, 종래예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10-210324호 공보에 있어서, IHb를 이용한 강조 화상(색채 강조)으로 하여「색 번짐이나 헐레이션의 증대, 소음의 강조 등을 억제하여 동화상 관찰에 지장이 없는 자연스러운 강조 화상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기술이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화상의 휘도가 높아진 경우, 헐레이션의 증대를 억제하기 위해 강조 레벨에 관계없이 똑같이 강조가 억제되어 버렸다.
이 결점을 해소(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하의 해결 수단을 생각할 수 있다.
피검체 내를 촬상한 내시경 화상의 신호를 생성하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내시경 화상의 신호 레벨을 기초로 상기 피검체에 있어서의 혈액 정보량에 관한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수단과,
상기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전자 내시경의 고유 정보를 기초로 하는 종별과, 상기 접속되는 전자 내시경에 설치된 촬상 소자의 종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종별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촬상 소자 종별에 따라서 상기 화상 처리 수단으로 처리된 처리 화상이 표시되는 소정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색채 강조를 행하는 색채 강조 수단을 갖고,
또한, 상기 색채 강조 수단은 휘도 레벨을 검출하는 휘도 검출 수단과, 강조 레벨을 설정하는 강조 레벨 설정 수단을 갖고, 강조 레벨이 일정 레벨 이상과 그 미만일 때에 휘도 검출 수단에 의한 강조량 설정 수단에 의한 강조 레벨의 제한을변경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수많은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되는 내시경의 종별이 다른 경우, 특히 상기 장착되는 내시경에 내장된 촬상 소자의 화소 수 등이 변화된 경우에도 적절한 영역에서 소정의 화상 처리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화상 처리가 복합된 경우에도 소정의 화상 처리한 화상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관련 출원에의 크로스 리퍼런스
본 출원은 2002년 3월 14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2-70498호 및 2003년 3월 11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3-65561호를 우선권 주장의 기초로 하여 출원하는 것으로, 상기한 개시 내용은 본원 명세서, 청구의 범위, 도면에 인용된 것으로 한다.

Claims (12)

  1. 전자 내시경에 의해 피검체의 체강 내를 촬상하여 얻게 되는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전자 내시경의 고유 정보를 기초로 하는 종별과, 상기 접속되는 전자 내시경에 설치된 촬상 소자의 종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종별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전자 내시경에 의해 얻게 된 화상 신호의 신호 레벨을 기초로 이 화상 신호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접속되는 전자 내시경의 고유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전자 내시경의 종별이 검출된 경우, 상기 전자 내시경에 의해 얻게 된 화상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 영역에 대해 검출된 상기 전자 내시경의 종별에 따라서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이 처리하는 제1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전자 내시경의 종별 혹은 상기 촬상 소자의 종별에 관계없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해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이 처리하는 제2 영역을 설정하고,
    또한,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의 선택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화상 신호에 대해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이 상기 소정의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
  3. 전자 내시경에 의해 피검체의 체강 내를 촬상하여 얻게 되는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전자 내시경에 설치된 촬상 소자의 종별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전자 내시경에 의해 얻게 된 화상 신호의 신호 레벨을 기초로 이 화상 신호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 수단과,
    상기 전자 내시경에 의해 얻게 된 화상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 영역에 대해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촬상 소자의 종별에 따라서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이 처리하는 제1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 수단은 상기 검출된 촬상 소자의 종별에 상관없이 상기 화상 영역에 대해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이 처리하는 제2 영역을 설정하고,
    또한,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의 선택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화상 신호에 대해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이 상기 소정의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은 혈액 정보량을 산출하는 혈액 정보량 산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수단에 의해 처리된 상기 제1 영역의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상기 화상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의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피검체 내를 촬상한 내시경 화상의 신호를 생성하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내시경 화상의 신호 레벨을 기초로 상기 피검체에 있어서의 혈액 정보량에 관한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수단과,
    상기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전자 내시경의 고유 정보를 기초로 하는 종별과, 상기 접속되는 전자 내시경에 설치된 촬상 소자의 종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종별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촬상 소자 종별에 따라서 상기 화상 처리 수단으로 처리된 처리 화상이 표시되는 소정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수단과,
    후단측에서 상기 혈액 정보량에 관한 소정의 화상 처리와는 다른 제2 화상 처리를 행하는 제2 화상 처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또한 적어도 상기 소정의 화상 처리가 실시된 처리 화상이 표시되는 경우, 그 표시되는 상기 처리 화상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제2 화상 처리 수단에 의한 화상 처리를 오프로 하는 제어 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소정의 화상 처리가 실시된 처리 부분 이외에서는 상기 제2 화상 처리 수단에 의한 화상 처리를 온/오프를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화상의 표시가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제2 화상 처리 수단의 동작을 온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
  11. 피검체 내를 촬상한 내시경 화상의 신호를 생성하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내시경 화상의 신호 레벨을 기초로 상기 피검체에 있어서의 혈액 정보량에관한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수단과,
    상기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전자 내시경의 고유 정보를 기초로 하는 종별과, 상기 접속되는 전자 내시경에 설치된 촬상 소자의 종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종별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촬상 소자 종별에 따라서 상기 화상 처리 수단으로 처리된 처리 화상이 표시되는 소정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수단과,
    색채 강조를 하는 색채 강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색채 강조 수단은 휘도 레벨을 검출하는 휘도 검출 수단과, 강조 레벨을 설정하는 강조 레벨 설정 수단을 갖고,
    강조 레벨이 일정 레벨 이상과 그 미만일 때에 휘도 검출 수단에 의한 강조량 설정 수단에 의한 강조 레벨의 제한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
KR1020047012322A 2002-03-14 2003-03-14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 KR100707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70498 2002-03-14
JPJP-P-2002-00070498 2002-03-14
JPJP-P-2003-00065561 2003-03-11
JP2003065561A JP2003334163A (ja) 2002-03-14 2003-03-11 内視鏡画像処理装置
PCT/JP2003/003071 WO2003075753A1 (fr) 2002-03-14 2003-03-14 Appareil de traitement d'image d'endosco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775A true KR20040081775A (ko) 2004-09-22
KR100707896B1 KR100707896B1 (ko) 2007-04-16

Family

ID=2780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322A KR100707896B1 (ko) 2002-03-14 2003-03-14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50151B2 (ko)
EP (1) EP1484002B1 (ko)
JP (1) JP2003334163A (ko)
KR (1) KR100707896B1 (ko)
CN (1) CN100444776C (ko)
AU (1) AU2003221385A1 (ko)
WO (1) WO20030757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980A (ko) * 2016-11-04 2018-05-14 한국전기연구원 내시경 영상 안정화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8062A (ja) * 2004-03-11 2005-09-22 Olympus Corp 内視鏡システム、及び内視鏡装置
KR100879686B1 (ko) 2004-03-11 2009-01-21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 시스템, 내시경 장치 및 화상 처리 장치
US8548570B2 (en) 2004-11-29 2013-10-01 Hypermed Imaging, Inc. Hyperspectral imaging of angiogenesis
WO2006107947A2 (en) * 2005-04-04 2006-10-12 Hypermed, Inc. Hyperspectral imaging in diabetes and peripheral vascular disease
JP4723281B2 (ja) * 2005-05-16 2011-07-13 Hoya株式会社 電子内視鏡システム
JP2007020727A (ja) * 2005-07-13 2007-02-01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画像処理装置
JP4804062B2 (ja) * 2005-07-29 2011-10-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
US8373748B2 (en) * 2005-12-14 2013-02-12 Stryker Corporation Automatic endoscope recognition and selection of image processing and display settings
JP2008099874A (ja) * 2006-10-19 2008-05-01 Pentax Corp 内視鏡プロセッサ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JP4989288B2 (ja) * 2007-04-23 2012-08-01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
US9101268B2 (en) 2009-06-18 2015-08-11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Multi-camera endoscope
WO2012056453A2 (en) 2010-10-28 2012-05-03 Peermedical Ltd. Optical systems for multi-sensor endoscopes
US9706903B2 (en) 2009-06-18 2017-07-18 Endochoice, Inc. Multiple viewing elements endoscope system with modular imaging units
US9402533B2 (en) 2011-03-07 2016-08-02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Endoscope circuit board assembly
US9642513B2 (en) 2009-06-18 2017-05-09 Endochoice Inc. Compact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system
US9713417B2 (en) 2009-06-18 2017-07-25 Endochoice, Inc. Image capture assembly for use in a multi-viewing elements endoscope
US9492063B2 (en) 2009-06-18 2016-11-15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US9901244B2 (en) 2009-06-18 2018-02-27 Endochoice, Inc. Circuit board assembly of a multiple viewing elements endoscope
EP2865322B1 (en) 2009-06-18 2020-07-22 EndoChoice, Inc. Multi-camera endoscope
US11278190B2 (en) 2009-06-18 2022-03-22 Endochoice, Inc.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US8926502B2 (en) 2011-03-07 2015-01-06 Endochoice, Inc. Multi camera endoscope having a side service channel
WO2012038958A2 (en) 2010-09-20 2012-03-29 Peermedical Ltd. Multi-camera endoscope having fluid channels
US11547275B2 (en) 2009-06-18 2023-01-10 Endochoice, Inc. Compact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system
US9872609B2 (en) 2009-06-18 2018-01-23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Multi-camera endoscope
US11864734B2 (en) 2009-06-18 2024-01-09 Endochoice, Inc. Multi-camera endoscope
US10165929B2 (en) 2009-06-18 2019-01-01 Endochoice, Inc. Compact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system
US9101287B2 (en) 2011-03-07 2015-08-11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Multi camera endoscope assembly having multiple working channels
JP2011237525A (ja) * 2010-05-07 2011-11-24 Olympus Corp 撮像モジュール
US9560953B2 (en) 2010-09-20 2017-02-07 Endochoice, Inc. Operational interface in a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EP2648602B1 (en) 2010-12-09 2018-07-18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Flexible electronic circuit board multi-camera endoscope
US11889986B2 (en) 2010-12-09 2024-02-06 Endochoice, Inc. Flexible electronic circuit board for a multi-camera endoscope
JP6054874B2 (ja) 2010-12-09 2016-12-27 エンドチョイス イノベーション センター リミテッド マルチカメラ内視鏡用フレキシブル電子回路基板
JP5159904B2 (ja) * 2011-01-11 2013-03-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診断装置
US9101266B2 (en) 2011-02-07 2015-08-11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Multi-element cover for a multi-camera endoscope
EP2604175B1 (en) 2011-12-13 2019-11-20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Removable tip endoscope
CA2798729A1 (en) 2011-12-13 2013-06-13 Peermedical Ltd. Rotatable connector for an endoscope
KR102028780B1 (ko) 2012-02-23 2019-10-04 스미스 앤드 네퓨, 인크. 영상 내시경 시스템
CN102626311A (zh) * 2012-05-04 2012-08-08 重庆金山科技(集团)有限公司 医用无线电胶囊内窥镜系统
US20140002241A1 (en) * 2012-06-29 2014-01-02 Zoll Medical Corporation Response system with emergency response equipment locator
US9560954B2 (en) 2012-07-24 2017-02-07 Endochoice, Inc. Connector for use with endoscope
JP6253230B2 (ja) * 2012-12-25 2017-12-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装置の作動方法
US9386908B2 (en) 2013-01-29 2016-07-12 Gyrus Acmi, Inc. (D.B.A. Olympus Surgical Technologies America) Navigation using a pre-acquired image
US9993142B2 (en) 2013-03-28 2018-06-12 Endochoice, Inc. Fluid distribution device for a multiple viewing elements endoscope
US9986899B2 (en) 2013-03-28 2018-06-05 Endochoice, Inc. Manifold for a multiple viewing elements endoscope
US10499794B2 (en) 2013-05-09 2019-12-10 Endochoice, Inc. Operational interface in a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DE102014200833A1 (de) * 2014-01-17 2015-07-23 Olympus Winter & Ibe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Videobildverarbeitung, Bildverarbeitungssteuerungssoftware sowie Video-Endoskopiesystem
WO2016076314A1 (ja) 2014-11-13 2016-05-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
EP3184071A1 (de) * 2015-12-22 2017-06-28 SpineMind AG Vorrichtung für die intraoperative bildgesteuerte navigation bei chirurgischen eingriffen im bereich der wirbelsäule und im daran angrenzenden thorax-, becken- oder kopfbereich
WO2017221738A1 (ja) * 2016-06-23 2017-12-2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EP3417758A1 (en) 2017-06-19 2018-12-26 Ambu A/S A method for processing image data using a non-linear scaling model and a medical visual aid system
US20210228061A1 (en) * 2018-07-06 2021-07-29 Sony Corporation Medical observation system, medical observation apparatus, and drive method of medical observation apparatus
US20210275000A1 (en) * 2020-03-05 2021-09-09 Stryker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ndoscope type detection
US20220240767A1 (en) * 2021-02-03 2022-08-04 Clarus Medical, Llc Medical device inspection scope
CN113367644B (zh) * 2021-08-11 2022-04-15 紫东信息科技(苏州)有限公司 具有设备迁移能力的消化道疾病识别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3B2 (ja) * 1987-03-30 1995-01-11 株式会社東芝 電子内視鏡装置
JPH01113018A (ja) 1987-10-26 1989-05-01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色彩強調装置
JP2933165B2 (ja) 1988-01-08 1999-08-0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電子内視鏡装置
JP2693978B2 (ja) 1988-02-26 1997-12-2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電子式内視鏡装置
JPH088905B2 (ja) 1988-01-18 1996-01-31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電子式内視鏡装置
JP3217343B2 (ja) 1989-03-23 2001-10-0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3631257B2 (ja) * 1992-08-28 2005-03-2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内視鏡装置
JP3228627B2 (ja) 1993-03-19 2001-11-12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用画像処理装置
US5550582A (en) * 1993-03-19 1996-08-27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e-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erforming image processing of emphasis in endoscope image by pigment concentration distribution
US5589874A (en) * 1993-06-09 1996-12-31 Origin Medsystems, Inc. Video imaging system with external area processing optimized for small-diameter endoscopes
JP2653647B2 (ja) * 1996-02-19 1997-09-17 株式会社東芝 内視鏡装置
JP4274590B2 (ja) 1997-01-20 2009-06-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H10201708A (ja) 1997-01-20 1998-08-04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画像記録装置
JPH1199125A (ja) 1997-09-26 1999-04-13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画像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JPH11341485A (ja) 1998-05-29 1999-12-10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内視鏡装置
JP4349689B2 (ja) 1998-06-26 2009-10-21 Hoya株式会社 電子内視鏡
JP3607816B2 (ja) 1998-06-29 2005-01-0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内視鏡装置
JP4315489B2 (ja) 1998-07-31 2009-08-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JP4272739B2 (ja) * 1999-03-04 2009-06-03 Hoya株式会社 内視鏡の光源装置
US6902527B1 (en) * 1999-05-18 2005-06-07 Olympus Corporation Endoscope system with charge multiplying imaging device and automatic gain control
JP2001029313A (ja) * 1999-05-18 2001-02-06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装置
JP2001037718A (ja) * 1999-05-26 2001-02-13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診断装置及び内視鏡装置
JP4168199B2 (ja) * 1999-07-26 2008-10-22 井関農機株式会社 荷受穀物処理施設
JP2001137183A (ja) 1999-11-16 2001-05-22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装置
JP4388182B2 (ja) 1999-12-06 2009-12-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JP4172898B2 (ja) * 2000-05-31 2008-10-29 Hoya株式会社 電子内視鏡装置
JP2002070498A (ja) 2000-08-28 2002-03-08 Gifu Kogyo Co Ltd トンネル用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090201B2 (ja) * 2001-01-09 2008-05-28 フジノン株式会社 電子内視鏡装置
JP2003065561A (ja) 2001-08-24 2003-03-05 Yokogawa Electric Corp 放熱器の冷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980A (ko) * 2016-11-04 2018-05-14 한국전기연구원 내시경 영상 안정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50151B2 (en) 2008-11-11
JP2003334163A (ja) 2003-11-25
US20050157168A1 (en) 2005-07-21
CN100444776C (zh) 2008-12-24
KR100707896B1 (ko) 2007-04-16
CN1642467A (zh) 2005-07-20
EP1484002A1 (en) 2004-12-08
EP1484002B1 (en) 2016-11-16
AU2003221385A1 (en) 2003-09-22
WO2003075753A1 (fr) 2003-09-18
EP1484002A4 (en) 201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896B1 (ko) 내시경 화상 처리 장치
US8979741B2 (en) Endoscopic apparatus
JP5326065B2 (ja) 内視鏡装置
EP2926718B1 (en) Endoscope system
JP3869698B2 (ja) 電子内視鏡装置
EP1484001B1 (en) Endoscope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4394356B2 (ja) 電子内視鏡装置
JP5143293B2 (ja) 内視鏡装置
WO2012033200A1 (ja) 撮像装置
JP2006061620A (ja) 内視鏡用映像信号処理装置
US10548465B2 (en)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dical observation system
JPWO2012002115A1 (ja) 内視鏡装置
JP2005124756A (ja) 内視鏡用画像処理装置
JP2016015995A (ja) 電子内視鏡システム及び電子内視鏡用プロセッサ
JP5581122B2 (ja) 電子内視鏡装置
JPH0690900A (ja) 電子内視鏡装置
JP5509233B2 (ja) 電子内視鏡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US10893247B2 (en) Medical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edical observation system
US2019005285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0197604A (ja) 内視鏡装置
JP2761238B2 (ja) 内視鏡装置
JP2006116153A (ja) 内視鏡用画像処理装置及び内視鏡装置
JP2005124755A (ja) 内視鏡用画像処理装置
JP2006061621A (ja) 内視鏡用調光信号生成装置
JP2006223481A (ja) 内視鏡用画像処理装置、及び内視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