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1465A -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1465A
KR20040081465A KR10-2004-7011245A KR20047011245A KR20040081465A KR 20040081465 A KR20040081465 A KR 20040081465A KR 20047011245 A KR20047011245 A KR 20047011245A KR 20040081465 A KR20040081465 A KR 20040081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ed fabric
zone
knitting
needle
kn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2367B1 (ko
Inventor
오카모토가즈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081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3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at a selvedge, e.g. hems or turned wel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6Details of garments
    • D10B2501/061Piped openings (p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제1편성포와 제2편성포로 이루어지는 통 모양 편성포의 제1편성포 내의 구역A, 구역B, 구역C를 그 경계에서 접어서 대향하는 부분의 제2편성포를 합하여 4층으로 포개어 결합시키고, (a) 제2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제1편성포의 구역B 및 구역C와 제2편성포를 부속시킨 상태에서 구역A를 형성하는 공정, (b) 제1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제1편성포의 구역A를, 제2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제1편성포의 구역C와 제2편성포를 부속시킨 상태에서 제1편성포의 구역B를 형성하는 공정, (c) 제1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제1편성포의 구역A, 구역B를, 제2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제2편성포를 부속시킨 상태에서 제1편성포의 구역C를 형성하는 공정, (d) 제1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제1편성포의 구역A, 구역B, 구역C를 부속시킨 상태에서 제2편성포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편성에 의하여 편성포를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니들베드 폭에 의하여 더 큰 통 직경의 편성포를 편성한다.

Description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상면(上面)에 다수의 편침(編針)을 구비하는 니들베드를 전후 대향(對向)하도록 배치하고, 전후의 니들베드가 그 길이방향으로 래킹(racking)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횡편기(橫編機)를 이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편성포의 편성 끝 부분에 풀림방지처리를 함으로써 편성을 완료한 후의 후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편성방법이 고안되어 있다.
이러한 편성방법으로서, 앞쪽 몸통·뒤쪽 몸통·우측 소매·좌측 소매와 각 조각(parts)을 그 형상에 따라 성형편성(成型編成)을 하는 인테그럴 가먼트(integral garment)라고 불리는 편성포로서 편성하고, 편성을 완료한 후에 이들 조각 서로를 접합시켜서 니트 의류(knit 衣類)를 구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다른 편성방법으로서 몸통과 소매가 접합되고 칼라(collar)가 형성된 스웨터(sweater)가 되도록 편성을 완료한 후의 후처리를 불필요 또는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시임리스(seamless) 편성포라고 불리는 편성포를 편성하는 방법이 고안되어 있다.
시임리스 편성포를 편성함에 있어서, 횡편기 상에서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이 그 양단에서 연속되는 통 모양의 편성포로서 편성되는 경우에, 편성되는 편성포의 통 직경은 편성에 사용되는 니들베드의 폭(幅)에 좌우된다. 따라서 더 큰 통 직경의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해서는, 편성에 사용되는 횡편기의 니들베드의 폭을 더 넓은 것으로 하여야 하였다.
본 발명은 제1편성포와 제2편성포가 그 양단에서 연속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제1편성포 내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구역에서 편성포를 3층으로 접어서 제2편성포와 합하여 편성포를 4층으로 포개어 편성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 상에서 제1편성포와 제2편성포가 그 양단(兩端)에서 연속하는 통(筒) 모양 편성포의 제1편성포 내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구역(區域)에서 편성포를 3층으로 접어서 제2편성포와 합하여 4층으로 포개어 편성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a는 제1실시예에서 편성하는 카디건을 나타내고, 도1-b는 도1-a의 선i-i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2-a는 횡편기에서 카디건1의 편성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2-b는 도2-a의 각 단계P1∼P4에 대응하는 편성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2-c는 단계P1에 있어서의 루프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편성코스도이다.
도4는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편성코스도이다.
도5는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편성코스도이다.
도6은 도2-a에서 점선X로 둘러싸인 부분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7-a는 제2실시예의 통 모양 편성포11의 편성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7-b는 통 모양 편성포11의 루프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7-c는 통 모양 편성포11을 전개한 도면이다.
도8은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편성코스도이다.
도9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편성코스도이다.
도10은 제3실시예의 통 모양 편성포2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편성코스도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편성방법은, 적어도 제1, 제2의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그 어느 일방(一方) 또는 쌍방(雙方)의 니들베드가 좌우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제1편성포와 제2편성포가 그 양단(兩端)에서 연속하는 통(筒) 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방법으로서, 제1편성포 내의 편성포 폭(幅)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편성포 폭 방향에 인접하는 구역A, 구역B, 구역C의 3개의 구역을 그 경계에서 접어서, 편성포 표면측으로부터 구역A, 구역B, 구역C가 순차적으로 3층으로 겹치는 제1편성포와 그 영역에 대향(對向)하는 부분의 제2편성포를 4층으로 포개어 결합시키고, 다음의 공정 :
(a) 제2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제1편성포의 구역B 및 구역C와 제2편성포를 부속시킨 상태에서 구역A를 형성하는 공정,
(b) 제1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제1편성포의 구역A를, 제2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제1편성포의 구역C와 제2편성포를 부속시킨 상태에서 제1편성포의 구역B를 형성하는 공정,
(c) 제1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제1편성포의 구역A, 구역B를, 제2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제2편성포를 부속시킨 상태에서 제1편성포의 구역C를 형성하는 공정,
(d) 제1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제1편성포의 구역A, 구역B, 구역C를 부속시킨 상태에서 제2편성포를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편성에 의하여 편성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제1편성포 내의 구역A, 구역B, 구역C와 제2편성포가 4층으로 겹치는 상태에서 구역A, 구역B, 구역C 및 제2편성포의 스티치를 전후 니들베드 사이에서 코이동에 의하여 제1니들베드 또는 제2니들베드의 바늘에 부속시킨 상태에서 편성을 한다. 편성포를 접어서 편성함으로써 편성에 사용하는 니들베드의 폭보다 통의 직경이 큰 통 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또한 구역B에 있어서 편성을 완료하였을 때에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가 되는 루프(loop)를 백 스티치(back stitch)로서 형성하고, 백 스티치가 되는 루프를 프론트 스티치로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 중의 하나이다.
또한 구역B를 제2니들베드의 바늘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이다.
또한 제1편성포 내의 편성포 폭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편성포 폭 방향에 인접하는 구역A, 구역B, 구역C의 3개의 구역을 그 경계에서 접어서 제1편성포의 구역A, 구역B, 구역C의 3개의 구역과 제2편성포를 4층으로 포개어서 하는 편성과,
제2편성포 내의 편성포 폭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편성포 폭 방향에 인접하는 구역D, 구역E, 구역F의 3개의 구역을 그 경계에서 접어서 제2편성포의 구역D, 구역E, 구역F의 3개의 구역과 제1편성포를 4층으로 포개어서 하는 편성을 병행하여 니들베드 길이방향의 다른 영역에서 하는 것을 특징 중의 하나이다. 상기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제1편성포와 제2편성포 쌍방의 편성포 내에서 편성포를 3층으로 접어서 편성한다.
또한 구역A와 구역B의 경계부와 구역C를 연결 또는/및 구역B와 구역C의 경계부와 구역A를 연결하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이다. 상기한 발명의구성에 의하면, 3층으로 접어서 형성된 부분이 닫힌다.
또한 구역A와 구역B의 경계부와 구역C를 연결 또는/및 구역B와 구역C의 경계부와 구역A의 연결을 매코스(每 course)마다 하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이다. 상기한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3층으로 접은 상태에서 형성된 부분이 코스방향으로 연속하여 닫혀서 튜브(tube) 모양이 된다.
또한 구역A와 구역B의 경계부와 구역C를 연결 또는/및 구역B와 구역C의 경계부와 구역A의 연결을 소정의 코스마다 하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이다. 상기한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핀치 패턴(pinch pattern)이라고 불리는 특수한 편성조직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의 일례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전후 한 쌍의 하부 니들베드(下部 needle bed) 상에 각각 상부 니들베드(上部 needle bed)를 구비하는 4베드 횡편기(4-bed 橫編機)를 편성에 사용한다. 그러나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만을 구비하는 2베드 횡편기에 있어서도 실시할 수 있다. 2베드 횡편기에서 편성을 하는 경우에는, 전후 니들베드의 홀수번째의 바늘에 앞쪽 편성포의 루프(loop)를 할당하고, 짝수번째의 바늘에 뒤쪽 편성포의 루프를 할당하여 앞쪽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는 뒤쪽 편성포의 루프를 모두 뒤쪽 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부속시키고, 뒤쪽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는 앞쪽 편성포의 루프를 모두 앞쪽 니들베드 상의 홀수번째의 바늘에 부속시킨 상태에서 편성하는 하프 게이지 편성(halfgauge knitting)이라고 불리는 편성방법에 의하여 실시하면 좋다. 앞쪽 편성포를 앞쪽 니들베드에 부속시킨다는 것은, 앞쪽 편성포 이외의 편성포를 형성할 때에 앞쪽 편성포의 루프를 모두 앞쪽 니들베드의 바늘로 지지하는 것을 의미하고, 뒤쪽 편성포를 뒤쪽 베드에 부속시킨다는 것은, 뒤쪽 편성포 이외의 편성포를 형성할 때에 뒤쪽 편성포의 루프를 모두 뒤쪽 베드의 바늘로 지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프 게이지 편성에 관하여는 본원 출원인의 이전의 출원인 일본국 특허공고 평3-75656호에 개시되어 있기 때문에 본원에서는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예)
이하, 제1실시예를 도1∼도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1-a는 제1실시예에서 편성되는 카디건(cardigan)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b는 도1-a의 선i-i에 있어서의 단면도로서, 카디건1은 착용될 때에 좌우 앞쪽 몸통2, 3의 열림부를 따라 형성되는 튜브(tube) 모양의 가장자리부4, 5가 전후로 겹치도록 구성된다. 도2-a는 횡편기에서 카디건1을 편성하는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b는 도2-a의 각 단계P1∼P4에 대응하는 편성포의 니들베드에서의 결합상태를 간략화 한 도면이고, 도2-c는 단계P1에 있어서의 몸통부의 루프(loop)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도5는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편성코스도(編成 course 圖)이다. 도6은 도2-a에서 점선X로 둘러싸인 부분의 사시 단면도이다. 카디건1은 옷단 고무6과 가장자리부4, 5 이외는 평편성조직(平編成組織)으로 편성되고, 옷단 고무6은 리브 편조직(ribstitch)으로, 가장자리부4, 5는 자루편성조직으로 형성된다. 이하 P1∼P4의 각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편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P1에서는 카디건1이 착용될 때에 서로 전후로 겹치는 앞쪽 몸통의 열림부를 따라 연장되는 가장자리부4, 5를 좌우 앞쪽 몸통2, 3의 내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형성한다. 가장자리부4, 5가 형성되는 부분에서는, 튜브 모양으로 형성되는 가장자리부4, 5와 앞쪽 몸통2, 3 및 뒤쪽 몸통7이 4층으로 겹치는 상태에서 편성된다. 앞쪽 몸통2, 3과 뒤쪽 몸통7로 이루어지는 몸통부를 옷단측으로부터, 좌우의 소매8, 9를 커프스(cuffs)측으로부터 어깨를 향하여 편성한다. 앞쪽 몸통부2, 3과 뒤쪽 몸통7은 단일(單一)의 급사구(給絲口)를 사용하여 대략 "C”자를 그리도록 우측 앞쪽 몸통2 - 뒤쪽 몸통7 - 좌측 앞쪽 몸통3에 대하여 열림부를 급사구의 반전(反轉) 장소로 하여 편성된다. 좌우의 소매8, 9는 각각의 편성에 사용되는 급사구에 의하여 앞쪽 소매8a, 9a와 뒤쪽 소매8b, 9b를 순환(循環)하는 모양으로 편성된다.
단계P2에서는 넥라인 개구부(neckline 開口部)10을 넓히는 편성을 하면서 겨드랑이 하부까지 몸통2, 3, 7과 소매8, 9를 병행(竝行)하여 편성한다. 단계P3에서는 소매8, 9와 몸통2, 3, 7의 접합이 완료되어, 소매8, 9와 몸통2, 3, 7이 큰 하나의 통(筒)을 그리도록 하여 단계P1의 몸통과 동일한 편성에 의하여 형성된다. 단계P4에서는 넥라인 개구부10이 더 넓혀진다. 단계P5는 편성을 완료하였을 때의 도1의 선i-i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편성과정에서 앞쪽 몸통부2, 3의 내측으로 접혀서 편성된 가장자리부4, 5를전개한 상태를 나타낸다. 가장자리부4, 5를 전개함으로써 우측 앞쪽 몸통2의 가장자리부4와 좌측 앞쪽 몸통3의 가장자리부5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우측 앞쪽 몸통2와 좌측 앞쪽 몸통3을 합친 앞쪽 몸통부의 둘레의 길이와 뒤쪽 몸통부7의 둘레의 길이가 동일하게 된다.
이하, 도3∼도5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앞쪽 몸통부2, 3의 가장자리부4, 5를 접은 상태에서 편성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공지(公知)된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몸통부2, 3, 7에 있어서의 편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몸통부2, 3, 7에 있어서 몸통부의 우측과 좌측에서 공통의 편성을 좌우대칭으로 하기 위하여, 도2-b 및 도2-c에 있어서 점선Y로 둘러싸인 좌측부분의 편성에 한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실제의 편성에서 사용되는 바늘의 수에 비하여 극소수의 바늘만을 사용한다.
편성코스를 나타내는 도3에 있어서의 좌단(左端)의 숫자는 코스번호를, 좌우방향의 화살표는 편성방향을, 상하방향의 화살표는 코이동방향을 나타낸다. FD는 하부 앞쪽 니들베드, BD는 하부 뒤쪽 니들베드, FU는 상부 앞쪽 니들베드, BU는 상부 뒤쪽 니들베드이다. 제3의 코스0은 카디건1에 가장자리부5를 형성하는 장소에서의 루프 배치를 나타낸다. 코스0에서 뒤쪽 몸통7이 하부 뒤쪽 니들베드의 좌단(左端)으로부터 홀수번째의 바늘에 결합된다. 가장자리부5는 표층 편성포부(表層 編成布部)3a를 포함하는 좌측 앞쪽 몸통3의 내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결합된다. 가장자리부5는 착용될 때에 편성포의 앞면에 나타나는 뒤층 편성포부5a가 상부 앞쪽 니들베드의 짝수번째의 바늘에, 내측에 숨는 중층 편성포부(中層 編成布部)5b가 하부 앞쪽 니들베드의 홀수번째의 바늘에 결합된다. 가장자리부 이외의 루프는 흰색 동그라미로 나타내고, 이들 루프는 하부 앞쪽 니들베드의 짝수번째의 바늘에 결합된다.
코스1에서는 좌측 앞쪽 몸통3과 가장자리부5의 루프를 모두 앞쪽 니들베드(상부 앞쪽 니들베드 또는 하부 앞쪽 니들베드)에 부속시킨 상태에서 하부 뒤쪽 니들베드의 홀수번째의 바늘에 우측을 향하여 급사(給絲)하여 뒤쪽 몸통7을 편성한다. 코스2에서는 좌측 앞쪽 몸통3의 편성에 앞서 가장자리부5의 루프를 좌측 앞쪽 몸통3의 편성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뒤쪽 니들베드에 부속시키기 위하여 뒤층 편성포부5a를 상부 뒤쪽 니들베드의 빈 바늘(empty needle)로, 중층 편성포부5b의 루프를 하부 뒤쪽 니들베드로 코이동한다. 코스3에서 표층 편성포부5a, 중층 편성포부5b, 뒤쪽 몸통7을 뒤쪽 베드(상부 뒤쪽 니들베드 또는 하부 뒤쪽 니들베드)에 부속시킨 상태에서 하부 앞쪽 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결합되는 좌측 앞쪽 몸통3 및 표층 편성포부3a에 다음 코스의 루프를 형성한다. 코스4에서는 상부 뒤쪽 니들베드의 바늘에 결합되어 있는 중층 편성포부5b의 루프를 뒤층 편성포부5a의 형성에 앞서 하부 앞쪽 니들베드 상으로 코이동을 하여 중층 편성포부5b를 앞쪽 니들베드에 부속시킨다. 코스5에서는 표층 편성포부5a와 중층 편성포부5b를 앞쪽 니들베드에, 뒤쪽 몸통7을 뒤쪽 베드에 부속시킨 상태에서 뒤층 편성포부5a를 우측을 향하여 편성하고, 계속하여 코스6에서는 중층 편성포부5b를 편성함으로써 통모양의 가장자리부5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좌측 앞쪽 몸통3의 표층 편성포부3a, 중층 편성포부5b, 뒤층 편성포부5a, 뒤쪽 몸통7이 4층으로 겹친다. 계속하여 C편성의 편성방향을 반전시켜서, 코스7에서 중층 편성포부5b를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편성한다. 코스8에서는 중층 편성포부5b와 뒤층 편성포부5a의 경계부(境界部)의 루프를 상부 뒤쪽 니들베드로 코이동한다. 코스9에서는 하부 뒤쪽 니들베드 상의 뒤층 편성포부5a에 다음 코스의 루프를 형성한다. 이 편성에 의하여 중층 편성포부5b와 뒤층 편성포부5a의 경계부의 루프가 표층 편성포부5a와 연결되어 뒤층 편성포부5a와 중층 편성포부5b가 튜브 모양이 된다. 코스10에서는 표층 편성포부3a의 편성에 앞서, 중층 편성포부5b의 루프를 상부 뒤쪽 니들베드로 코이동한다. 코스11에서는 중층 편성포부5b, 뒤층 편성포부5a, 뒤쪽 몸통7을 뒤쪽 베드 상에 부속시킨 상태에서 우측방향을 향하여 표층 편성포부3a 및 좌측 앞쪽 몸통3을 편성한다. 코스12에서는 뒤쪽 몸통7의 편성에 앞서 뒤층 편성포부5a 및 중층 편성포부5b의 루프를 각각 상부 앞쪽 니들베드와 하부 앞쪽 니들베드로 코이동한다. 코스13에서는 표층 편성포부3a, 중층 편성포부5b, 뒤층 편성포부5a를 앞쪽 니들베드에 부속시킨 상태에서 뒤쪽 몸통7을 좌측을 향하여 편성한다. 이후 몸통의 우측부분에서 같은 편성을 한 후, 다시 도3의 코스1∼도5의 코스13의 편성에서 접는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도1의 카디건1의 몸통부가 편성된다.
상기의 편성에 따라 편성된 카디건1은,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측 앞쪽 몸통2의 가장자리부4 및 좌측 앞쪽 몸통3의 가장자리부5가 각각 내측으로 접혀서 뒤쪽 몸통7과 합하여 4층으로 편성된다. 편성을 완료한 후에 가장자리부4, 5를 전개함으로써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좌우 앞쪽 몸통2, 3의 가장자리부4, 5가 전후로 겹치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편성방법에서는, 편성을 완료하였을 때에 편성포의 폭(幅) 방향으로 연속하는 3개의 구역을 3층으로 포개어 편성하기 때문에 편성폭(編成幅)을 넓히는 것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가장자리부4, 5를 앞쪽 몸통부2, 3의 내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편성함으로써 우측 앞쪽 몸통2의 가장자리부4와 좌측 앞쪽 몸통3의 가장자리부5를 포갠 상태에서 앞쪽 몸통부2, 3의 둘레의 길이와 뒤쪽 몸통부7의 둘레의 길이가 동일하게 된다.
(제2실시예)
계속하여 도7∼도9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3층으로 겹치는 부분을 편성포 편성을 완료하였을 때에 편성포의 폭 방향으로 1열(列)이 되도록 전개 가능한 상태에서 편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a는 제2실시예에서 편성하는 통 모양 편성포11의 편성기 상에서의 편성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7-b는 도7-a의 통 모양 편성포11의 루프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7-c는 도7-a의 편성포를 편성을 완료한 후에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도9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편성코스도이다. 통 모양 편성포11은 앞쪽 편성포12와 뒤쪽 편성포13이 전후로 겹치고 그 양단(兩端)에서 연속한다. 앞쪽 편성포12와 뒤쪽 편성포13은 각각 표층 편성포부12a, 13a와 중층 편성포부12b, 13b와뒤층 편성포부12c, 13c를 3층으로 포개어 편성하는 부분과 그 이외의 단층(單層)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좌우 및 전후 대칭으로 편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7-b의 점선Z로 둘러싸인 부분에서 이루어지는 편성만을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 사용한 편성기와 같은 4베드 횡편기를 사용한다. 도8의 코스0은 루프 배치를 나타낸다. 3층으로 겹치는 앞쪽 편성포12의 표층 편성포부12a의 루프는 하부 앞쪽 니들베드의 좌측단(左側端)으로부터 짝수번째에 위치하는 바늘에, 뒤층 편성포부12c의 루프는 상부 앞쪽 니들베드의 좌측단으로부터 짝수번째에 위치하는 바늘에, 중층 편성포부12b의 루프는 하부 앞쪽 니들베드의 좌측단으로부터 홀수번째의 바늘에 결합된다. 코스1에서는 표층 편성포부12a, 중층 편성포부12b, 뒤층 편성포부12c를 앞쪽 니들베드에 부속시킨 상태에서 하부 뒤쪽 니들베드의 바늘을 1개씩 걸러서 사용하여 뒤쪽 편성포13을 편성한다. 코스2에서는 앞쪽 편성포12의 표층 편성포부12a의 편성에 앞서, 뒤층 편성포부12c를 하부 뒤쪽 니들베드의 바늘로, 중층 편성포부12b를 상부 뒤쪽 니들베드의 바늘로 코이동한다. 코스3에서는 중층 편성포부12b, 뒤층 편성포부12c, 뒤쪽 편성포13을 뒤쪽 베드에 부속시킨 상태에서 앞쪽 니들베드 상의 바늘을 1개씩 걸러서 사용하여 앞쪽 편성포12의 표층 편성포부12a를 편성한다. 코스4에서는 급사방향(給絲方向)을 반전(反轉)시켜서 상부 뒤쪽 니들베드 상의 중층 편성포부12b를 형성한다. 코스5에서는 중층 편성포부12b를 하부 앞쪽 니들베드로, 뒤층 편성포부12c를 상부 앞쪽 니들베드로코이동한다. 도9의 코스6에서는 표층 편성포부12a, 중층 편성포부12b를 앞쪽 베드에, 뒤쪽 편성포13을 뒤쪽 베드에 부속시킨 상태에서 뒤층 편성포부12c 및 중앙선의 좌측에 위치하는 앞쪽 편성포12를 편성한다. 이후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통 모양 편성포의 우측부분을 편성한 후, 코스7에서는 앞쪽 편성포12의 표층 편성포부12a, 중층 편성포부12b, 뒤층 편성포부12c를 앞쪽 베드에 부속시킨 상태에서 뒤쪽 편성포13을 우측방향으로 편성한다. 이후 코스2∼7의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도7에 나타나 있는 통 모양 편성포11이 편성된다. 상기 편성에 의하여 편성된 통 모양 편성포11은 접힌 부분을 전개함으로써 도7-c에 나타나 있는 편성포가 된다. 본 실시예의 방법에 의하면, 3층으로 겹치는 부분을 니들베드의 폭 방향으로 전개하여 편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같은 니들베드의 폭에서 통 직경이 더 큰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제3실시예)
계속하여 도10∼도11을 사용하여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0은 제3실시예에서 편성하는 통 모양 편성포21을 나타낸다. 도11은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편성코스도이다. 제3실시예에서 편성하는 통 모양 편성포21은 앞쪽 편성포22와 뒤쪽 편성포23의 표층 편성포부22a, 23a, 중층 편성포부22b, 23b, 뒤층 편성포부22c, 23c를 접어서 편성하는 부분에서 표층 편성포부22a, 23a와 중층 편성포부22b, 23b의 경계부와 뒤층 편성포부22c, 23c를 연결하는 편성코스가 형성되는 핀치 패턴(pinch pattern)이라고 불리는 편성조직을 편성하는 실시예이다. 이하 편성코스도를 사용하여 편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제3실시예에서는 표층 편성포부22a, 23a와 뒤층 편성포부22c, 23c가 분리되어 있는 부분은 제2실시예와 동일한 편성에 의하여 형성하고, 표층 편성포부22a, 23a와 중층 편성포부22b, 23b의 경계부와 뒤층 편성포부22c, 23c가 연락부(連絡部)24, 25에 의하여 합쳐지는 부분을 편성할 때에 다음과 같은 편성을 한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7-b의 점선Z로 둘러싸인 부분의 편성만을 나타낸다.
도11에서의 코스1∼6의 편성은 제2실시예의 편성에 계속되어 이루어진다. 코스1에서는 표층 편성포부22a의 편성에 앞서 앞쪽 편성포22의 중층 편성포부22b와 뒤층 편성포부22c를 뒤쪽 니들베드 상으로 코이동한다. 코스2에서는 중층 편성포부22b, 뒤층 편성포부22c 및 뒤쪽 편성포23을 뒤쪽 베드에 부속시킨 상태에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앞쪽 편성포22 및 3층으로 겹치는 부분에서는 표층 편성포부22a에 급사하여 루프를 형성한다. 코스3에서는 중층 편성포부22b와 뒤층 편성포부22c의 경계부의 루프를 상부 앞쪽 니들베드의 바늘로 코이동한다. 코스4에서는 상부 뒤쪽 니들베드에 지지되는 중층 편성포부22b를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편성한다. 코스5에서는 뒤쪽 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지지되어 있는 중층 편성포부22b 및 뒤층 편성포부22c의 루프를 하부 앞쪽 니들베드 및 상부 앞쪽 니들베드로 코이동한다. 코스6에서는 표층 편성포부22a, 중층 편성포부22b를 앞쪽 베드에, 뒤쪽 편성포23을 뒤쪽 베드에 부속시킨 상태에서 상부 앞쪽 니들베드 상에 지지되는 뒤층 편성포부22b를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급사하여,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통 모양 편성포21의 좌측부분이 편성된다. 제2실시예를 적당한 회수 반복할 때마다 제3실시예를 하는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도10에 나타나 있는 통 모양 편성포21을 편성한다. 제3실시예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에서는, 표층 편성포부22a, 23a와 중층 편성포부22b, 23b의 경계부와 뒤층 편성포부22c, 23c를 연결하는 연결부24, 25에 의하여 연결되어 튜브26, 27이 형성된다. 또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표층 편성포부22a, 23a와 중층 편성포부22b, 23b의 경계부와 뒤층 편성포부22c, 23c를 코이동에 의하여 연결하였지만, 예를 들면 표층 편성포부22a, 23a와 뒤층 편성포부22c, 23c에 연속하여 급사하는 자카드 패턴(jacquard pattern)에 의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앞쪽 편성포 및 뒤쪽 편성포에 있어서 각각 1군데에만 편성포를 3층으로 포개었지만 복수의 장소에서 3층으로 포개어도 좋다. 복수의 장소에서 포개는 경우에는 겹치는 부분이 편성폭 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하면 좋다. 또한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통 모양 편성포의 내측에 튜브를 형성하였지만, 통 모양 편성포의 외측에 튜브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표층 편성포부22a와 중층 편성포부22b의 경계부와 뒤층 편성포부22c를 매코스마다 연결하면 중층 편성포부22b와 뒤층 편성포부22c가 완전하게 닫힌 튜브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표층 편성포부, 중층 편성포부, 뒤층 편성포부가 3층으로 겹친 상태에서 설명하였지만, 초기 편성을 3층으로 접어서 하더라도 좋고, 편성과정에서 3층으로 포개는 것도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플레인 스티치(plain stitch) 편성조직의 편성포의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링크스(links) 편성조직이 되도록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와 백 스티치(back stitch)가 혼재(混在)하는 편성조직의 편성포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앞쪽 편성포의 표층 편성포부에서 프론트 스티치로서 형성되는 부분은 앞쪽 베드 상에서 프론트 스티치로서 형성되는 것에 대하여 중층 편성포부에서 프론트 스티치가 되는 부분은 뒤쪽 베드 상에서 백 스티치로서 형성된다. 반대로 표층 편성포부에서 백 스티치로서 형성되는 부분은 뒤쪽 베드 상에서 백 스티치로서 형성되는 것에 대하여 중층 편성포부에서 백 스티치가 되는 부분은 앞쪽 베드 상에서 프론트 스티치로서 형성된다. 또한 중층 편성포부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배열은, 3층으로 접지 않고 편성하는 경우와 좌우 역전(逆轉)한 상태에서 편성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앞쪽 편성포와 뒤쪽 편성포의 양방(兩方)에서 편성포를 접어서 편성하였기 때문에 앞쪽 편성포와 뒤쪽 편성포의 둘레의 길이가 동일하게 되었지만, 앞쪽 편성포 또는 뒤쪽 편성포의 어느 일방(一方)만을 접어서 편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일방의 편성포만을 접어서 편성하였을 경우에는 의식적으로 앞쪽 몸통부와 뒤쪽 몸통부의 둘레의 길이가 다른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앞쪽 편성포와 뒤쪽 편성포에 있어서 같은 편성폭으로 접었지만, 앞쪽 편성포와 뒤쪽 편성포에 있어서 접는 폭을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편성포의 적어도 일부를 3층으로 접어서 4층으로 포개어 편성함으로써 편성에 사용되는 니들베드의 폭을 넓히지 않고 더 큰 통 직경의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통 모양의 몸통부와 그 좌우에서 편성되는 소매를 접합하여 스웨터(sweater)나 카디건을 편성할 때에, 몸통부 내의 코스방향에 있어서 넥라인 개구부를 형성하거나 소매와의 접합을 하는 등 편성폭의 변경이 패턴 디자인(pattern design)에 큰 영향을 미치게 하는 영역 이외의 장소에서 3층으로 접어서 편성함으로써 3층으로 겹치는 부분의 폭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몸통부의 통 직경을 조정하는 사이즈(size)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적어도 제1, 제2의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그 어느 일방(一方) 또는 쌍방(雙方)의 니들베드가 좌우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제1편성포와 제2편성포가 그 양단(兩端)에서 연속하는 통(筒) 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방법으로서, 제1편성포 내의 편성포 폭(幅)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편성포 폭 방향에 인접하는 구역A, 구역B, 구역C의 3개의 구역을 그 경계에서 접어서, 편성포 표면측으로부터 구역A, 구역B, 구역C가 순차적으로 3층으로 겹치는 제1편성포와 그 영역에 대향(對向)하는 부분의 제2편성포를 4층으로 포개어 결합시키고, 다음의 공정 :
    (a) 제2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제1편성포의 구역B 및 구역C와 제2편성포를 부속시킨 상태에서 구역A를 형성하는 공정,
    (b) 제1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제1편성포의 구역A를, 제2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제1편성포의 구역C와 제2편성포를 부속시킨 상태에서 제1편성포의 구역B를 형성하는 공정,
    (c) 제1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제1편성포의 구역A, 구역B를, 제2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제2편성포를 부속시킨 상태에서 제1편성포의 구역C를 형성하는 공정,
    (d) 제1니들베드 상의 바늘에 제1편성포의 구역A, 구역B, 구역C를 부속시킨 상태에서 제2편성포를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편성에 의하여 편성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구역B에 있어서 편성을 완료하였을 때에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가 되는 루프(loop)를 백 스티치(back stitch)로서 형성하고, 백 스티치가 되는 루프를 프론트 스티치로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구역B를 제2니들베드의 바늘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1편성포 내의 편성포 폭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편성포 폭 방향에 인접하는 구역A, 구역B, 구역C의 3개의 구역을 그 경계에서 접어서 제1편성포의 구역A, 구역B, 구역C의 3개의 구역과 제2편성포를 4층으로 포개어서 하는 편성과,
    제2편성포 내의 편성포 폭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편성포 폭 방향에 인접하는 구역D, 구역E, 구역F의 3개의 구역을 그 경계에서 접어서 제2편성포의 구역D, 구역E, 구역F의 3개의 구역과 제1편성포를 4층으로 포개어서 하는 편성을 병행하여 니들베드 길이방향의 다른 영역에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구역A와 구역B의 경계부와 구역C를 연결 또는/및 구역B와 구역C의 경계부와 구역A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구역A와 구역B의 경계부와 구역C를 연결 또는/및 구역B와 구역C의 경계부와 구역A의 연결을 매코스(每 course)마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구역A와 구역B의 경계부와 구역C를 연결 또는/및 구역B와 구역C의 경계부와 구역A의 연결을 소정의 코스마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0047011245A 2002-02-06 2003-02-03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0872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29463 2002-02-06
JP2002029463 2002-02-06
PCT/JP2003/001077 WO2003066947A1 (en) 2002-02-06 2003-02-03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465A true KR20040081465A (ko) 2004-09-21
KR100872367B1 KR100872367B1 (ko) 2008-12-05

Family

ID=2767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245A KR100872367B1 (ko) 2002-02-06 2003-02-03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35140B2 (ko)
EP (1) EP1482080B1 (ko)
JP (1) JP4002891B2 (ko)
KR (1) KR100872367B1 (ko)
CN (1) CN100434582C (ko)
AU (1) AU2003244350A1 (ko)
DE (1) DE60329580D1 (ko)
WO (1) WO200306694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218A (ko) * 2017-11-27 2019-06-0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KR20220128196A (ko) * 2021-03-12 2022-09-20 주식회사 아이디모드 의류의 트임부 중첩구조를 개선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10606B1 (en) * 2002-05-31 2013-05-15 Shima Seiki Mfg., Ltd Method of knitting knitwear having front neck
JP4856635B2 (ja) * 2005-06-01 2012-01-1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身頃筒状部に開き部を有するニットウエ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EP2228473A4 (en) * 2007-12-06 2014-06-25 Shima Seiki Mfg CYLINDER KNITTED KNITTED OR CURED PROVINCES, AND METAL FORMING METHOD THEREFOR
JP5079682B2 (ja) * 2008-12-29 2012-11-2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編成用横編機および筒状編地の編成方法
WO2010128624A1 (ja) * 2009-05-08 2010-11-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DE102010012310B4 (de) * 2010-03-23 2013-08-01 H. Stoll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lauch-Rund-Fertiggestricks
JP5955009B2 (ja) 2012-02-01 2016-07-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ウェア
US10669657B2 (en) * 2016-05-31 2020-06-02 Nike, Inc. Knit sleeve ribbing structure
CN110512343B (zh) * 2019-09-23 2021-03-02 江南大学 一种全成形横向沿背中心分片编织方法及编织织物
JP7217731B2 (ja) * 2020-12-03 2023-02-0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成方法
CN113355793A (zh) * 2021-06-08 2021-09-07 珠海建轩服装有限公司 一种具有密针贴的单面织物编织方法
CN114164550B (zh) * 2022-01-09 2023-01-31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改善全成型夹下双拼角外观效果的编织方法及针织物
CN114855342A (zh) * 2022-06-08 2022-08-05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四针板横机空气层透底提花组织的编织方法及针织物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4154A (ja) * 1984-03-07 1985-10-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よる袋編地の編成方法
JP2538421B2 (ja) * 1990-12-13 1996-09-2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ツト製品に於ける衿首用編地の編成方法
JPH0778302B2 (ja) 1991-05-08 1995-08-2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附属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514489B2 (ja) * 1991-07-04 1996-07-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四重構造を有する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3075656B2 (ja) * 1993-09-07 2000-08-14 東京瓦斯株式会社 ガスメータ
JP2706760B2 (ja) * 1994-10-07 1998-0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成方法
JP3494487B2 (ja) * 1994-11-15 2004-02-0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3406097B2 (ja) 1994-12-02 2003-05-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切りポケットを有する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EP0781880B1 (en) * 1995-12-28 2001-12-05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Binding-off method, bound knitted fabric, and CAD apparatus therefor
JP3699530B2 (ja) * 1996-05-30 2005-09-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3071147B2 (ja) * 1996-08-30 2000-07-3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衿付衣服の編成方法
JP3047008B1 (ja) * 1998-11-26 2000-05-2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連結部が形成されたニット衣類の編成方法
EP1253229B1 (en) * 1999-12-27 2011-02-16 Shima Seiki Mfg., Ltd Knitted fabric having branching portion and knitting method therefor
EP1375718B1 (en) * 2001-03-02 2008-08-06 Shima Seiki Mfg., Ltd Knitted fabric having opening portion and knitting method theref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218A (ko) * 2017-11-27 2019-06-0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KR20220128196A (ko) * 2021-03-12 2022-09-20 주식회사 아이디모드 의류의 트임부 중첩구조를 개선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81568A1 (en) 2005-04-21
WO2003066947A1 (en) 2003-08-14
KR100872367B1 (ko) 2008-12-05
JP4002891B2 (ja) 2007-11-07
EP1482080A4 (en) 2005-06-01
US6935140B2 (en) 2005-08-30
JPWO2003066947A1 (ja) 2005-06-02
EP1482080B1 (en) 2009-10-07
DE60329580D1 (de) 2009-11-19
CN100434582C (zh) 2008-11-19
CN1630749A (zh) 2005-06-22
EP1482080A1 (en) 2004-12-01
AU2003244350A1 (en)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350B1 (ko) 개구부를 구비하는 니트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KR100872367B1 (ko)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US7481078B2 (en) Knitwear knitted by flat knitting machine and method for knitting the same
KR100833521B1 (ko) 곁바대의 형성방법 및 곁바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니트웨어
KR20020093988A (ko) 편성포의 접합방법 및 접합된 편성포
KR20150106364A (ko) 포켓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EP1550752B1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JP5567565B2 (ja) 袖と身頃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6211482B2 (ja) フ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
KR101449915B1 (ko)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
US7383705B2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EP2385160B1 (en)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KR100872365B1 (ko) 칼라 형성방법
KR102168787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JP2003041461A (ja) ボーダー柄の編成方法及びそのニット製品
JP7251995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及び筒状編地
KR102460427B1 (ko) 의류의 트임부 중첩구조를 개선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JP3010483B2 (ja) 横編機によるニット衣類の編成方法
JP6104080B2 (ja) スリット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