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7741A -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7741A
KR20040077741A KR10-2004-7011146A KR20047011146A KR20040077741A KR 20040077741 A KR20040077741 A KR 20040077741A KR 20047011146 A KR20047011146 A KR 20047011146A KR 20040077741 A KR20040077741 A KR 20040077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mechanism
output
gear
hydraulic
hydraulic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에카와토모후미
마쯔오카히데키
이노우에마코토
야마시타쯔나타케
Original Assignee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7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774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 F16H4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the fluid gearing being of the volumetric type
    • F16H47/04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the fluid gearing being of the volumetric type the mechanical gearing being of the type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6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 F16H37/08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 F16H37/0833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i.e. with two or more internal power paths
    • F16H37/084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i.e. with two or more internal power paths at least one power path being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e. CVT
    • F16H2037/088Power split variators with summing differentials, with the input of the CVT connected or connectable to the input shaft
    • F16H2037/0886Power split variators with summing differentials, with the input of the CVT connected or connectable to the input shaft with switching means, e.g. to change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with radially acting and axially controlled clutching members, e.g. sliding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엔진(2)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압변속기구(57)와 전달기어(74)를 설치하고, 유압변속기구(57)와 전달기어(74)의 각 출력을 합성하여 변속출력을 형성하고, 상기 전달기어(74)를 이용하여 높은 동력전달효율의 출력을 얻고, 상기 유압변속기구(57)를 이용하여 제로 발진가능한 무단변속의 출력을 얻고, 간단한 변속조작으로 상황에 따라 변속조절을 행하고, 변속기능의 향상 및 취급 조작성의 향상 등을 도모함과 아울러 유압변속기구(57)의 정전 또는 역전의 각 출력에 의해 유압변속기구(57)와 전달기어(74)의 각 출력을 합성하여 변속출력하는 합성출력축(84)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로 발진시의 출력 토크를 용이하게 확보하고, 미속 주행성능을 용이하게 향상시키고, 또한, 작업속도로 전달기어(74)의 높은 동력전달효율의 출력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진흙 노면에서의 작업효율의 향상 등을 도모한다.

Description

작업차{WORKING TRUCK}
예컨대, 유압변속기구의 출력과 기어전동출력을 유성기어기구의 디프(diff) 작용에 의해 합성출력하여 엔진출력을 변속 전달시키고, 유성기어기구로부터의 합성출력이 정지(제로)를 사이에 두고 정역전되도록 속도설정하여 높은 동력전달효율 및 제로 발진가능한 무단변속을 얻는 기술이 있지만 유성기어기구로부터의 합성출력이 역전측에 있는 경우, 유성기어로부터의 유압전달동력이 펌프축으로 돌아와서 유압펌프를 회전시켜 유압변속기구의 변속 조작력을 경감시키지만, 출력효율이 나쁘다. 또한, 유성기어로부터의 유압전달동력이 0이 되는 중속시, 유압변속기구로부터 유성기어에 동력을 전달시키는 고속시에는 출력효율을 양호하게 하지만 변속 조작력은 크게 된다. 또한, 유압변속조작 암을 0에서 +1로 조작하는 경우의 조작력은 -1에서 0으로 조작하는 경우에 비해서 무겁고, 고속이 될수록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예컨대, 모 탑재대 및 모 식부조를 구비하여 연속적으로 모심기 작업을 행하는 이앙기 또는 트랙터 또는 콤바인 또는 토목건설기기 등의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앙기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이앙기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주행차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주행차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차체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6은 구동부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7은 구동부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8은 사이드 클러치 조작시스템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9는 사이드 클러치 조작시스템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차체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11은 미션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동 주행구동부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유성기어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미션케이스의 부분도이다.
도 15는 유성기어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미션케이스의 기어 배열 설명도이다.
도 17은 유압변속조작 암부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엔진의 출력 설명도이다.
도 19는 유성기어기구의 회전 설명도이다.
도 20은 저속주행의 엔진출력 설명도이다.
도 21은 고속주행의 엔진출력 설명도이다.
도 22는 출력 설명도이다.
도 23은 합성출력축의 출력 설명도이다.
도 24는 클러치부의 설명도이다.
도 25는 클러치부의 설명도이다.
도 26은 스플라인부의 설명도이다.
도 27은 변속축부의 설명도이다.
도 28은 전방 덮개부의 설명도이다.
도 29는 브리더부의 배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엔진(2)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압변속기구(57)와 전달기어(74)를 설치하고, 유압변속기구(57)와 전달기어(74)의 각 출력을 합성하여 변속출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에 있어서, 유압변속기구(57)의 정전 또는 역전의 각 출력에 의해 유압변속기구(57)와 전달기어(74)의 각 출력을 합성하여 변속출력하는 합성출력축(84)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로 발진시의 출력토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미속 주행성능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작업속도로 전달기어(74)의 높은 동력전달효율의 출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진흙 노면에서의 작업효율의 향상 등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엔진(2)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압변속기구(57)와 유성기어기구(83)의 합성출력을 형성하는 복합변속기구(115)를 설치함과 아울러 유압변속기구(57)의 역전 출력에 의해 복합변속기구(115)의 합성출력축(84)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 것이므로 변속조작 암(109)의 조작력이 가벼운 범위에서 합성부측으로부터 유압변속기구(57)의 유압펌프(85)에 동력을 전달시키는 상태로 해서 유압변속기구(57)의 부하에 관계없이 가벼운 조작력으로 유압변속기구(57)를 용이하게 변속조작시켜 제로 발진가능한 무단변속과 높은 전달효율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합성출력축(84)의 최고회전상태에서 유압변속기구(57)의 출력축 회전수를 대략 0으로 한 것이므로 합성출력축(84)의 최고회전상태일 때, 엔진(2)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최대효율로 미션케이스(4)에 전달하여 주파성을 높이는 것 등을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엔진(2)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압변속기구(57)와 유성기어기구(83)의합성출력을 형성하는 복합변속기구(115)와, 합성출력을 다단으로 변속하는 합성출력 변속기구(4a)를 설치함과 아울러 복합 및 합성출력 변속기구(115,4a) 간에 클러치(116)를 설치한 것이므로 변속조작시에 클러치(116)를 끊기로 함으로써 변속기어(87,88)를 피벗하는 축(84)을 자유 회전상태로 하여 원활한 변속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변속상태(전진ㆍ중립ㆍ후진)의 여하에 관계없이 확실한 전달구동력의 차단을 행하여 변속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도 1은 전체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동 평면도이고, 도 3은 차체 프레임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동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면 중 도면부호 1은 작업자가 탑승하는 주행차이고, 엔진(2)을 차체 프레임(3)에 탑재시키고, 미션케이스(4) 측방에 전방 차축 케이스(5)를 통해 무논(水田) 주행용 전륜(6)을 지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미션케이스(4) 후방의 후방 차축 케이스(7)에 무논 주행용 후륜(8)을 지지시킨다. 또한, 상기 엔진(2) 등을 덮는 보닛(9) 양측에 예비 모 탑재대(10)를 설치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탑승하는 차체 커버(11)에 의해서 상기 미션케이스(4) 등을 덮고, 상기 차체 커버(11) 후방측 상방에 좌석 프레임(12)을 개재해서 운전석(13)을 설치하고, 그 운전석(13)의 전방에서 상기 보닛(9) 후방부에 조향 핸들(14)을 설치한다.
또한, 도면 중 도면부호 15는 5조 식부(植付)용 모 탑재대(16) 및 복수의 모 식부조(植付爪)(17) 등을 구비하는 식부부이고, 전방이 높고 후방이 낮은 합성수지제의 전방 경사식 모 탑재대(16)를 하부 레일(18) 및 가이드 레일(19)을 통해서 식부 케이스(20)에 좌우왕복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시킴과 아울러 일방향으로 등속 회전시키는 로터리 케이스(21)를 상기 식부 케이스(20)에 지지시키고, 상기 케이스(21)의 회전축심을 중심으로 대칭위치에 1쌍의 클로 케이스(22,22)를 배치하고, 이 클로 케이스(22,22) 선단에 모 식부조(17,17)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식부 케이스(20) 전방측의 히치 브래킷(hitch bracket)(23)을 톱 링크(24) 및 로우 링크(25)를 포함하는 승강 링크기구(26)를 통해 주행차(1) 후방측에 연결시키고, 상기 링크기구(26)를 통해서 식부부(15)를 승강시키는 유압승강 실린더(27)를 로우 링크(25)에 연결시키고, 상기 전후륜(6,8)을 주행구동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좌우로 왕복 슬라이딩시키는 모 탑재대(16)로부터 1주분의 모를 식부조(17)에 의해 취출하고, 연속적으로 모를 심는 이앙 작업을 행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도면 중 도면부호 28은 주변속레버, 도면부호 29는 식부부(15)의 승강, 식부 클러치의 연결/끊기 및 마커조작을 행하는 식부 조작 레버, 도면부호 30은 브레이크 페달, 도면부호 31은 변속 페달, 도면부호 32는 디프 록(diff-lock) 페달, 도면부호 33은 감도조절레버, 도면부호 34는 식부부(15)를 임의 높이위치에 정지시키는 스톱 레버, 도면부호 35는 유닛 클러치 레버(35)이고, 조향 핸들(14) 위치 근방에 변속 및 승강 레버(28,29)나 브레이크 및 변속 페달(30,31)을 배치함과 아울러 운전석(13)위치 근방에 감도조절 및 스톱 및 유닛 클러치의 각 레버(33,34,35)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 도면부호 36은 1조분 균평용 센터 부판(float), 도면부호 37은 2조분 균평용 사이드 부판, 도면부호 38은 비료 호퍼(39) 내의 비료를 송풍기(40)의 송풍력으로 플렉서블형 반송 호스(41)를 통해 부판(36,37)의 측조 작구기(作溝器)(42)에 배출시키는 5조용 측조 시비기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차체 프레임(3)은 전방부 프레임(43)과 중간 프레임(44)과 후방부 프레임(45)으로 3분할시키고, 좌우 1쌍의 전방부 프레임(43)에 엔진(2)을, 좌우 1쌍의 중간 프레임(44)에 전방 차축 케이스(5)를, 좌우 1쌍의 후방부 프레임(45)에 후방 차축 케이스(7) 및 엔진(2)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탱크(46) 등을 설치하는 것이므로 전방부 프레임(43)의 전방측과 중간에 앞 프레임(47)과 베이스 프레임(48)을 연결시켜 평면으로 봐서 4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하고, 고정 브래킷(49)과 베이스 프레임(48)에 방진고무를 끼워 엔진(2)을 상부 적재시킨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후방부 프레임(45)의 중간 상승부(50) 사이를 파이프 프레임(51)과 문형상 프레임(52)으로 대략 평행하게 연결시킴과 아울러 후방 차축 케이스(7)에 좌우 하단을 고정설치하는 문형상 프레임(53)의 후단을 일체로 연결시켜, 상기 좌우의 상승부(50) 사이에 연료탱크(46)를 배치한다.
또한, 전방부 프레임(43) 후단과 후방부 프레임(45) 전단에 좌우 중간 프레임(44)의 전후단을 볼트(54)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킴과 아울러 좌우 중간 프레임(44)의 하면에 볼트(55)를 통해 좌우 전방 차축 케이스(5)를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미션케이스(4)에 좌우 전방 차축 케이스(5)를 접속 고정시킨다.
도 6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미션 케이스(4)의 앞면 좌측에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56)를 설치하고, 또한, 케이스(4)의 우측에 무단 유압변속기구(57)를 설치하고, 유압변속기구(57)의 변속입력용 펌프축(58)을 차체 앞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엔진(2) 하측에서 전후방향의 전달축(59)에 펌프축(58)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엔진(2)의 출력축(60)에 전달 벨트(61)를 개재해서 상기 전달축(59)을 연결시켜, 엔진(2) 출력을 유압변속기구(57)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미션케이스(4)와 후방 차축 케이스(7)를 차체의 전후방향의 중심 라인 상에서 파이프형상의 연결 프레임(62)에 의해 일체로 연결시키고, 미션케이스(4) 후방으로 후방 출력축(63) 및 PTO 출력축(64)을 돌출시키고, 후방 차축 케이스(7)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후방 입력축(65)에 후방 전달축(66)을 개재해서 상기 후방 출력축(63)을 연결시키고, 주행출력축(63)으로부터 좌우의 후륜(8)에 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후방 차축 케이스(7) 상부의 베어링(67)에 설치하는 중개축(68)에 유니버설 조인트축(69)을 개재해서 상기 PTO 출력축(64)을 연결시키고, 상기 식부 케이스(20)의 입력축에 유니버설 조인트축을 개재해서 중개축(68)을 연결시켜, PTO 출력축(64)으로부터 식부부(15)에 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미션케이스(4)는 본체 몸통부(70)와, 전방 덮개부(71)와, 후방 덮개부(72)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부(70)의 전후에 각 덮개부(71,72)를 착탈가능하게 볼트 고정시키고, 밀폐 상자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70)의 내부를 전후로 분할하는 구획 벽부(73)를 설치한다. 또한, 전방 덮개부(71) 앞면에 상기 유압변속기구(57)를 설치하고, 미션케이스(4) 내로 돌출시키는 펌프축(58)에 소경의 전달기어(74)를 결합 축지지시키고, 전달기어(74)를 전방 덮개부(71)에 베어링 축받이하고, 후방 덮개부(72) 후면에 고정시키는 차지 펌프(75)에 전달기어(74)의 동력을 펌프축(76)을 통해 전달한다.
또한, 상기 미션케이스(4) 내로 돌출시키는 유압변속기구(57)의 모터축(77)에 태양기어(78)를 결합 축지지시키고, 태양기어(78)를 전방 덮개부(71)에 베어링 축받이함과 아울러 상기 소경의 전달기어(74)에 대경의 캐리어 기어(79)를 항상 맞물리게 하고, 태양기어(78)의 호스부에 캐리어 기어(79)를 회전가능하게 축지지시킴으로써, 캐리어 기어(79)에 3개의 유성기어(80)를 축(81)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태양기어(78)에 유성기어(80)를 맞물리게 함과 아울러 유성기어(80)에 맞물리게 하는 링기어(82)를 설치하고, 각 기어(78,80,82)에 의해서 유성기어기구(83)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태양기어(78)와 후방 덮개부(72)에 합성출력축(84)의 전후를 회전가능하게 축지지시키고, 상기 링기어(82)를 합성출력축(84)에 결합 축지지시킴으로써, 유압변속기구(57)의 유압펌프(85) 및 유압모터(86)의 무단 유압변속출력인 정역회전출력과, 전달기어(74) 및 캐리어 기어(79)의 감속회전출력(일방향의 일정회전)을, 유성기어기구(83)의 디프 작용에 의해 합성하고, 제로 내지 최대속도의 일방향의 회전력으로서 합성출력축(84)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합성출력축(84)에 전진 기어(87)와 후진 기어(88)를 회전가능하게 축지지시키고, 합성출력축(84)에 각 기어(87,88)를 슬라이더(89)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고, 전진 또는 중립 또는 후진의 출력으로 전환함과 아울러 구획 벽부(73)와 후방 덮개부(72)에 상기 후방 출력축(63)을 베어링 축받이한다. 또한, 차동기어(90)를 통해서 좌우의 전방 차축(91)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방 출력축(92)과, PTO 변속기어(93)를 결합 축지지시키는 카운터 축(94)을 설치하고, 상기 후방 및 전방 출력축(63,92)에 출력기어(95,96)를 개재해서 후진 기어(88)의 후진 동력을 전달하고, 전후륜(6,8)을 후진 구동시킴과 아울러 후방 출력축(63)에 이동 기어(97) 및 식부 기어(98)를 회전가능하게 축지지시키고, 부변속 슬라이더(99)에 의해서 각 기어(97,98)를 후방 출력축(63)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킨다.
또한, 카운터 축(94)의 고속용 기어(100a,100b)를 통해서 전진 기어(87)에 이동 기어(97)를 항상 맞물리게 함과 아울러 카운터 축(94)의 저속용 PTO 변속기어(93)에 식부 기어(98)를 항상 맞물리게 하고, 각 기어(100a,93,98)를 통해서 전진 기어(87)의 동력을 상기 각 출력축(63,92)에 전달하고, 전후륜(6,8)을 모의 식부작업속도로 전진구동한다. 또한, 이동 기어(97)와 식부 기어(98) 양쪽이 자유 회전상태로 되고, 식부조(17) 등을 작업자가 손으로 회전시켜 막힌 모의 제거 등을 행하도록 PTO 출력축(64)의 수동회전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전진 기어(87)의 동력을 각 기어(100a,100b)를 통해 각 출력축(63,92)에 전달하고, 포장(圃場) 간의 노상 이동 등의 고속의 이동속도로 전후륜(6,8)을 전진 구동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TO 변속축(101) 및 PTO 변속기구(102)를 통해서 PTO 변속기어(93)의 동력을 PTO 출력축(64)에 전달하고, 주간(株間) 변속가능하게 식부부(15)를 구동함과 아울러 미션케이스(4)에 내부설치시키는 체인(103)을 통해서 PTO 출력축(64)에 시비 출력축(104)을 연결시키고, 식부부(15)와 동조시켜 시비기(38)를 구동한다. 또한, 도 13과 같이, 미션케이스(4)에 오일 게이지(105)를 설치함과, 아울러 도 14와 같이, 상기 각 슬라이더(89,99)를 동일한 시프트 포크(106)에 걸리게 하고, 변속 레버(28)의 5위치 전환에 의해서 전후진 및 부변속(저고속)의 전환을 행한다. 또한, 도 16, 도 17과 같이, 유압펌프(85)의 경사판(107)에 제어축(108)을 통해서 유압변속조작 암(109)을 연결시키고, 이 암(109)에 로드(110)를 통해 변속 페달(31)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페달(31)의 밟기 해제에 의해서 페달(31)을 자동적으로 정지(속도 제로)위치로 복귀 동작시키는 스프링(111)을 상기 암(109)에 연결시키고, 오일 댐퍼(112)를 상기 암(109)에 연결시키고, 밟혀진 페달(31)로부터 발을 떼었을 때, 오일 댐퍼(112)의 저항과 스프링(111)의 복동력에 의해 페달(31)이 완만한 대략 일정속도로 돌아와서 서서히 저속으로 되는 동작을 행하게 한다. 또한, 오일 댐퍼(112) 대신에 가스 스프링 등에 의해 정속 작동부재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 19와 같이, 상기 페달(31)로부터 발을 뗀 상태에서 스프링(111)에 의해 페달(31)이 정지(속도 제로)위치로 돌아갔을 때, 태양기어(78)는 최고회전으로 시계방향으로 역전하여 유성기어(80)를 반시계방향으로 자전시키는 동작을 행하게 함과 동시에, 또한 전달 기어(74)에 의해 캐리어 기어(79)를 회전시킴으로써 유성기어(80)를 시계방향으로 공전시켜 반시계방향으로 자전시키는 동작을 행하게 하고, 링 기어(82)의 회전을 제로로 하고, 합성출력축(84)을 정지 유지한다. 또한, 페달(31)을 스프링(111)에 저항하여 발로 밟았을 때, 태양기어(78)는 정지하고, 전달 기어(74)에 의해서 캐리어 기어(79)를 회전시키고, 유성기어(8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시계방향으로 공전시키고, 전달 기어(74)의 기어 동력에 의해 합성출력축(84)을 회전시킴으로써, 도 18과 같이, 엔진(2) 동력을 전달 기어(74)와 유압변속기구(57)에 전달하여 유성기어기구(83)에 의해 합성하여 출력시키고, 미션케이스(4)에서 전후진 전환과 PTO 변속을 행하고, 후진, 저속 전진(포장 식부 주행), 고속전진(노상 이동주행)의 각 동작을 행하게 한다.
또한, 예컨대, 종래 유압변속기구(57)에 있어서 출력동력(P2)이 입력동력(P1)의 대략 70%로 되는 것에 대해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속으로 주행시에는 기어 전달동력(P3)의 일부를 유압전달동력(P4)으로서 펌프축(58)에 되돌려서 출력동력(P2)을 입력동력(P1)의 대략 80%로 올린다. 또한, 도 21과 같이, 상기 유압변속기구(57)의 유압전달동력을 제로(P4=0)로 하는 고속으로 주행시에는 유압손실을 없게 하여 출력동력(P2)을 입력동력(P1)의 대략 95% 이상으로 높인 고효율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예컨대, 도 22(1)과 같이, 유압변속조작 암(109)의 각도를 -1 내지 0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모터축(77)이 -1000 내지 0 회전으로 되도록 하고, 도 22(2)와 같이, 상기 암(109)의 각도에 관계없이 기어(74)측을 1000 회전시킨 경우, 도 23과 같이, 상기 암(109)의 각도에 대해서 합성출력축(84)이 0 내지 1000 회전으로 되도록 기어(74,79) 및 유성기어기구(83)를 조성한다.
또한, 상기 암(109)의 전체 제어범위를 -1 내지 0으로 하였을 때,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암(109)의 저속(제로 속도)측 및 고속측의 제어동작을 볼트형 저속 및 고속 스토퍼(113,114)에 의해서 규제하고 있다.
상기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엔진(2)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압변속기구(57)와 전달기어(74)를 설치하고, 유압변속기구(57)와 전달기어(74)의 각 출력을 합성하여 변속출력을 형성하고, 상기 전달기어(74)를 이용하여 높은 동력전달효율의 출력을 얻고, 상기 유압변속기구(57)를 이용하여 제로 발진가능한 무단 변속의 출력을 얻고, 간단한 변속조작으로 상황에 따른 속도조절을 행하고, 변속기능의 향상 및 취급 조작성의 향상 등을 도모함과 아울러 유압변속기구(57)의 정전 또는 역전의 각 출력에 의해 유압변속기구(57)와 전달기어(74)의 각 출력을 합성하여 변속 출력하는 합성출력축(84)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로 발진시의 출력 토크를 용이하게 확보하고, 미속 주행성능을 용이하게 향상시키고, 또한, 작업속도로 전달기어(74)의 높은 동력전달효율의 출력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진흙 노면에서의 작업능률의 향상 등을 도모한다.
또한, 엔진(2)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압변속기구(57)와 유성기어기구(83)의합성출력을 형성하는 복합변속기구(115)를 설치함과 아울러 유압변속기구(57)의 역전 출력에 의해 복합변속기구(115)의 합성출력축(84)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작력이 무거운 변속조작 암(109)의 0에서 +1측보다 조작력이 가벼운 -1에서 0측의 범위에서, 합성부측으로부터 유압변속기구(57)의 유압펌프(85)에 동력을 전달시키는 상태로 하여 유압변속기구(57)의 부하에 관계없이 가벼운 조작력으로 유압변속기구(57)를 용이하게 변속 조작시켜 제로 발진가능한 무단 변속과 높은 전달효율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합성 출력축(84)의 최고회전상태에서 유압변속기구(57)의 출력축 회전수를 대략 0으로 함으로써 합성출력축(84)의 최고회전상태일 때, 엔진(2)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최대효율로 미션케이스(4)에 전달하여 주파성을 높이는 것 등을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2)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압변속기구(57)와 유성기어기구(83)의 합성출력을 형성하는 복합변속기구(115)와, 합성출력을 다단으로 변속하는 합성출력 변속기구(4a)를 설치함과 아울러 복합 및 합성출력 변속기구(115,4a) 간에 클러치(116)를 설치하고, 변속조작시에 클러치(116)를 끊기로 함으로써 변속기어(87,88)를 피벗하는 축(84)을 자유 회전상태로 하여 원활한 변속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변속상태(전진ㆍ중립ㆍ후진)의 여하에 관계없이 확실한 전달구동력의 차단을 행하여 변속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 도 12, 도 16, 도 24, 도 25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합성 출력축(84)의 링 기어(82)와 전진 기어(87) 간에 볼조인트식 주클러치(116)를 설치함으로써 합성출력축(84)에 스플라인 끼워맞춤시키는 슬리브(117)에 링 기어(8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슬리브(117) 외주의 볼 홈(118)에 돌입시키는 볼(119)을 링 기어(82)의 보스부(82a)에 매설시키고,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프트 포크(120)로 슬리브(117) 상을 슬라이딩시키는 클러치체(121)로 볼(119)을 압압하여 볼(119)을 볼 홈(118)에 돌입시킬 때, 주클러치(116)를 연결로 하여 링 기어(82)의 회전을 합성출력축(84)에 전달함과 아울러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프트 포크(120)로 클러치체(121)를 클러치 스프링(122)에 저항하여 슬라이딩시켜 볼(119)을 압압 해제시킬 때, 회전 원심작용으로 볼(119)을 볼 홈(118)으로부터 이탈시켜 주클러치(116)를 끊기로 하여 링 기어(82)로부터 합성출력축(84)으로의 동력전달을 차단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4, 도 24,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시프트 포크(106)에 의해서 조작되는 슬라이더(89,99)의 후진위치시(도 24의 최대 우측위치), 합성출력축(84)과 후진 기어(88)의 각 스플라인(84a,88a)에 슬라이더(89)를, 또한, 식부 기어(98)의 스플라인(98a)에 슬라이더(99)를 각각 스플라인 끼워맞춤시킴과 아울러 슬라이더(89,99)를 후진위치로부터 중립위치로 전환할 때(도 24의 실선 위치), 합성출력축(84)의 스플라인(84a)에 슬라이더(89)를, 또한, 식부 기어(98)의 스플라인(98a)에 슬라이더(99)를 각각 스플라인 끼워맞춤시키는 것으로, 슬라이더(99)의 후진으로부터 중립위치로의 전환에 있어서는 전진 이동시에 슬라이더(99)를 스플라인 끼워맞춤시키는 후방 출력축(63)의 스플라인(63a)과 슬라이더(99)의 스플라인 끼워맞춤(맞물림)을 회피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더(99)와 간섭하는 스플라인(63a)의 중복부분을 평활면의 원주 가이드부(63b)에 형성하고, 슬라이더(89,99)의 후진으로부터 중립위치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진 이동시에 스플라인 끼워맞춤시키는 슬라이더(99)와 후방 출력축(63) 사이에 덜컹거림을 초래하는 것으로, 후방 출력축(63)의 스플라인(63a)의 톱니두께(a)보다 슬라이더(99)의 스플라인 구멍(99a)의 톱니두께 갈래폭(b)을 크게 형성함과 아울러 스플라인(63a)의 톱니 선단부를 예리하게 하여 스플라인 위치의 어긋남을 해소시키는 모따기부(63b)로 형성하여 슬라이더(99)와 후방 출력축(63)의 스플라인 끼워맞춤시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로부터도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엔진(2)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압변속기구(57)와 유성기구(83)의 합성출력을 형성하는 복합변속기구(115)와, 합성출력을 다단으로 변속하는 합성출력 변속기구인 미션케이스(4)의 변속기어기구(4a)를 설치함과 아울러 복합변속기구(115)와 변속기어기구(4a) 사이에 클러치(116)를 끼워설치시킴으로써 변속조작시에 클러치(116)를 끊기로 하는 것에 의해 변속기어(87,88)를 피벗하는 축을 자유 회전상태로 하여 원활한 변속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변속상태(전진ㆍ중립ㆍ후진)의 여하에 관계없이 확실한 전달구동력의 차단을 행하여 변속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체로 연결시키는 2개의 스플라인 끼워맞춤부재인 슬리브(89,99)의 전환으로 변속을 행하는 변속전환기구를 구비하고, 슬리브(99)의 스플라인의 맞물림을 회피시키는 자유 끼움부인 원주 가이드부(63b)를 스플라인 부재인 후방 출력축(63)의 스플라인(63a)에 설치함으로써, 예컨대, 후진으로부터 중립 등으로 변속전환시에 슬리브(99)와 이것에 맞물리는 스플라인(63a)의 위상이 어긋나 있는 경우에도 위상에 관계없는 원활한 변속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여 변속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카운터 축(94)의 PTO 변속기어(93)는 50,60,70,80,90주용 주간 변속기어(93a,93b,93c,93d,93e)를 갖음과 아울러 PTO 변속축(101)에는 각 기어(93a,93b,93c,93d,93e)에 항상 맞줄리는 주간 기어(123a,123b,123c,123d,123e)를 갖고, PTO 변속축(101)은 가이드(124)를 통해 통축 중심에 변속 로드(125)를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통과시키고, 각 기어(123a~123e)와 변속축(101)을 각각 결합 연결시키는 볼(126)(기어 1개에 3개)을 변속축(101)을 볼 홈(127)에 매설시키고, 변속 로드(125)에 형성시키는 대경 클러치체(128)를 이동시켜 클러치체(128)로 볼(126)을 압압하여 각 기어(123a~123e) 중 1개의 기어의 볼 결합홈(129)에 걸어넣을 때, 기어(123a), 혹은 기어(123b), 혹은 기어(123c), 혹은 기어(123d), 혹은 기어(123e)와 변속축(101)을 연결시켜 소정의 주간 속도로 변속축(101)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변속 로드(125)의 전방 연장 끝부분에 복수의 디텐트 홈(130)을 형성시킴과 아울러 이 홈(130)에 결합시키는 디텐트 볼(131)을 압축 스프링(132)을 통해 미션케이스(4)에 내부 설치하여 디텐트부(133)를 형성시키고, 변속 로드(125)의 위치결정을 디텐트 홈(130)과 볼(131)의 결합에 의해서 행하는 것으로써, 변속축(124)과 동축상에 디텐트부(133)를 직접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부품점수가 적은 심플한 구조의 것이며 확실한 변속 로드(125)의 위치고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간 기어(123a~123e)로부터 외측의 변속축(101)과 변속 로드(125) 사이에는 오버 스트로크 방지용 볼(134)을 기어 칼라(135) 및 주간 전동 기어(136)를 끼워 밀봉시키고, 변속 로드(126)의 이동이 소정 이상으로 되는 오버 스트로크 상태로 될 때, 클러치체(128)를 볼(134)에 접촉시켜서 변속 로드(126)의 오버 스트로크를 방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전용 오버 스트로크 멈춤부재 등 별도 설치하는 일없이 변속축(101)에 콤팩트하게 조립하여 구조의 심플화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미션케이스(4) 전방 덮개부(71)의 유성기어기구(83)의 주위를, 전방 덮개부(71)의 둘레 측벽(71a)과 내측벽으로부터 세워설치하는 리브(137)에 의해 둘러싸서 유성기어기구(83)에 의한 미션케이스(4) 내의 오일의 교반을 작게 억제하여 오일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시켜 열 균형을 양호하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케이스(4) 후방측 상부의 엘보 파이프(138)에, 운전석(13)의 우측 하방에 배치시키는 브리더(139)를 가요성 수지 파이프(140)를 통해 연결시키는 것이며, 문형 프레임(52)의 우측 세로 프레임부에 브리더(139)를 연결시켜 미션케이스(4) 상면보다 상방이며 차체 커버(11)의 스텝(베이스부)(11a)보다 상방위치에 브리더(139)를 배치시킴으로써 미션케이스(4) 내의 오일의 브리더(139)로부터의 오일 누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스텝(11a) 상의 흙탕물의 브리더(139)로부터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브리더(139)의 설치는 문형상 프레임(52) 또는 우측 후방부 프레임(45)이나 다른 부재 등 어느 것에 설치하여도 좋다.

Claims (4)

  1.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압변속기구와 전달기어를 설치하고, 유압변속기구와 전달기어의 각 출력을 합성하여 변속출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에 있어서,
    유압변속기구의 정전 또는 역전의 각 출력에 의해 유압변속기구와 전달기어의 각 출력을 합성하여 변속출력하는 합성출력축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압변속기구와 유성기어기구의 합성출력을 형성하는 복합변속기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유압변속기구의 역전 출력에 의해 복합변속기구의 합성출력축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3. 제1항에 있어서, 합성출력축의 최고회전상태에서 유압변속기구의 출력축 회전수를 대략 0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4. 제1항에 있어서,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압변속기구와 유성기어기구의 합성출력을 형성하는 복합변속기구와, 합성출력을 다단으로 변속하는 합성출력 변속기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복합 및 합성출력 변속기구 간에 클러치를 설치한 것을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KR10-2004-7011146A 2002-01-17 2002-07-26 작업차 KR200400777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08255A JP4067310B2 (ja) 2002-01-17 2002-01-17 田植機
JPJP-P-2002-00008255 2002-01-17
PCT/JP2002/007650 WO2003060350A1 (fr) 2002-01-17 2002-07-26 Camion de travaux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379A Division KR20070073994A (ko) 2002-01-17 2002-07-26 작업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741A true KR20040077741A (ko) 2004-09-06

Family

ID=1919140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379A KR20070073994A (ko) 2002-01-17 2002-07-26 작업차
KR10-2004-7011146A KR20040077741A (ko) 2002-01-17 2002-07-26 작업차
KR1020097005445A KR20090035644A (ko) 2002-01-17 2002-07-26 작업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379A KR20070073994A (ko) 2002-01-17 2002-07-26 작업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445A KR20090035644A (ko) 2002-01-17 2002-07-26 작업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067310B2 (ko)
KR (3) KR20070073994A (ko)
CN (3) CN1615411A (ko)
TW (1) TWI236340B (ko)
WO (1) WO20030603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8932B (zh) * 2006-05-22 2015-05-20 洋马株式会社 插秧机
KR101029209B1 (ko) * 2006-07-06 2011-04-1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변속 전동 장치
KR101475522B1 (ko) * 2007-06-25 2014-12-2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
US8639418B2 (en) * 2008-04-18 2014-01-28 Caterpillar Inc. Machine control system with directional shift management
JP2010076748A (ja) * 2008-08-29 2010-04-08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車輌の走行系伝動構造
JP4987164B2 (ja) * 2009-03-18 2012-07-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車両
JP2010213653A (ja) * 2009-03-18 2010-09-30 Yanmar Co Ltd 乗用型植付け作業機
KR101789133B1 (ko) * 2009-12-03 2017-10-23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승용형 농작업기
JP5413211B2 (ja) * 2010-01-19 2014-02-12 井関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5723556B2 (ja) * 2010-09-03 2015-05-27 ヤンマー株式会社 乗用型作業機の走行変速装置
CN102217445A (zh) * 2011-05-09 2011-10-19 中国农业大学 液压机械联合调控式排种器无级变速装置
JP5689739B2 (ja) * 2011-05-09 2015-03-25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
CN102227967A (zh) * 2011-06-10 2011-11-02 大同农机(安徽)有限公司 手扶插秧机的株间变速装置
CN102293085A (zh) * 2011-07-14 2011-12-28 大同农机(安徽)有限公司 手扶插秧机
JP5894510B2 (ja) * 2012-06-29 2016-03-30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367853B2 (ja) * 2012-01-23 2013-12-1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モータグレーダ
KR102146680B1 (ko) * 2012-06-18 2020-08-21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JP5931698B2 (ja) * 2012-11-01 2016-06-08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
CN102979878B (zh) * 2012-11-23 2015-08-12 浙江理工大学 模块化设计的hst与有级组合变速箱
CN103115128B (zh) * 2012-11-23 2015-09-30 浙江小精农机制造有限公司 模块化设计的无级与有级组合变速箱
JP6041738B2 (ja) * 2013-03-29 2016-12-14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
CN103486219B (zh) * 2013-09-18 2018-04-20 莱恩农业装备有限公司 一种分区液压总驱动插秧机的传动系统及其控制方法
CN104141749B (zh) * 2014-07-25 2015-04-29 湖南农业大学 机械直驱履带车辆用液控无级变速器
CN104279272A (zh) * 2014-10-10 2015-01-14 沈宇 双轴双速自走式农机变速箱
DE202015004528U1 (de) * 2015-04-27 2016-07-28 Liebherr-Components Biberach Gmbh Arbeitsmaschine mit leistungsverzweigbarem Antrieb
JP6438368B2 (ja) * 2015-09-18 2018-12-12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CN107642590B (zh) * 2016-07-20 2020-09-11 株式会社神崎高级工机制作所 Hmt构造
JP6616274B2 (ja) * 2016-12-07 2019-12-04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98317A (de) * 1968-09-11 1970-10-31 Saurer Ag Adolph Vorgelegewechselgetriebe
JPS53120047A (en) * 1977-03-29 1978-10-20 Kubota Ltd Hydraulic, mechanical continuous transmission
KR930010733B1 (ko) * 1986-02-19 1993-11-10 이세끼 노오기 가부시기가이샤 승용형 농작업기
JPH0560202A (ja) * 1991-08-26 1993-03-09 Seirei Ind Co Ltd 複合無段変速装置
JPH116557A (ja) * 1997-06-18 1999-01-12 Daikin Ind Ltd 車両の動力回収装置
WO2000035264A1 (fr) * 1998-12-11 2000-06-22 Yanmar Agricultural Equipment Co., Ltd. Repiqueur de riz pilote
JP2001317611A (ja) * 2000-05-10 2001-11-16 Ishikawajima Shibaura Mach Co Ltd 油圧・機械式無段変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34100A (zh) 2008-12-31
TWI236340B (en) 2005-07-21
CN101080972B (zh) 2010-09-29
CN101334100B (zh) 2010-12-29
KR20090035644A (ko) 2009-04-09
JP4067310B2 (ja) 2008-03-26
KR20070073994A (ko) 2007-07-10
WO2003060350A1 (fr) 2003-07-24
CN101080972A (zh) 2007-12-05
JP2003207020A (ja) 2003-07-25
CN1615411A (zh)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77741A (ko) 작업차
JP4276400B2 (ja) 田植機
JP4753337B2 (ja) 作業車
JP4704624B2 (ja) 田植機
JP4575931B2 (ja) 田植機
JP2004019893A (ja) 作業車
JP5825728B2 (ja) 農作業車
JP4789229B2 (ja) 田植機
JP5636474B2 (ja) 農作業車
JP5355538B2 (ja) 農作業車
JP4979050B2 (ja) 作業車
JP7325479B2 (ja) 作業車両
JP5795391B2 (ja) 農作業車
JP5619956B2 (ja) 農作業車
JP4378159B2 (ja) 田植機の走行用伝動構造
JP6001104B2 (ja) 農作業車
JP4693083B2 (ja) 作業車用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5376615B2 (ja) 作業車
JP5636475B2 (ja) 農作業車
JP5808027B2 (ja) 農作業車の伝動装置
JP5339559B2 (ja) 農作業車
JP4836157B2 (ja) 田植機
JP5300105B2 (ja) 農作業車
JP5300106B2 (ja) 農作業車用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5825727B2 (ja) 農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226

Effective date: 201107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0100147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226

Effective date: 201107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201009429;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928

Effective date: 2012042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201009429;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928

Effective date: 2012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