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6019A - 두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두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6019A
KR20040076019A KR1020030011313A KR20030011313A KR20040076019A KR 20040076019 A KR20040076019 A KR 20040076019A KR 1020030011313 A KR1020030011313 A KR 1020030011313A KR 20030011313 A KR20030011313 A KR 20030011313A KR 20040076019 A KR20040076019 A KR 20040076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grinding
hole
heating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귀열
Original Assignee
양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귀열 filed Critical 양귀열
Priority to KR1020030011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6019A/ko
Publication of KR20040076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0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60Drinks from legumes, e.g. lupine drinks
    • A23L11/65Soy drin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23C11/103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containing only proteins from pulses, oilseeds or nuts, e.g. nut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장치의 무게가 무겁고 사용이 불편하며, 청소나 관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면에 하부클러치(330)와 드레인밸브(111)가 구비된 격판(110)과, 내부에 히터(122)와 온도센서(123)가 구비된 받침부(120)와, 상부는 개방되고 바닥면에는 한쌍의 끼움공(132a)(132b)이 구비된 급수공간부(130), 덮개(150)와, 일단은 일측 끼움공(132a)에 끼워지고 중앙부위는 히터(122)에 근접되게 설치되며 타단은 타측 끼움공(132b)을 통해 상측으로 연장되어 격판(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파이프(140)로 이루어진 몸체(100)와; 내부에 걸름망(210)과 분쇄칼날(220)이 고정된 상부클러치(230)와 드레인홀(240)이 형성된 분쇄통(200)과; 상기 하부클러치(330)에 설치된 회전축(331)과, 구동축(311)이 구비된 구동모터(310)와, 상기 구동축(311)과 회전축(331)을 연결해주는 벨트(320)로 이루어진 구동수단 (300)과; 상기 받침부(120)의 상면에 놓여지는 가열포트(400)를 구성하므로서, 콩의 투입이나 단백질즙의 회수를 안전하며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장치의 사용이나 청소 및 관리 또한 용이하며 간편하면서 안전하게 두유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두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Manufacture method and device of bean oil}
본 발명은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두유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콩을 분쇄하는 분쇄부와 가열부를 서로 분리하여 사용을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콩의 투입이나 완성된 단백질즙의 수거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청소 및 관리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두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가정에서 두유를 제조하는 경우 우선 콩을 깨끗이 씻은 후 그 콩을 장시간 물에 불린 다음 맷돌이나 믹서를 이용하여 분쇄하고 그 분쇄된 콩즙을 고운 체틀이나 천을 이용하여 비지와 단백질즙으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단백질즙을 용기에 넣고 끓이는데, 이때 단백질즙을 끓이는 과정에서 거품이 발생하게 되므로 거품이 용기 밖으로 넘치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화력을 조절하여 끓인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단백질즙을 충분히 끓인 다음에는 이에 설탕, 소금 등의 첨가물을 넣으면 음용이 가능한 두유가 되는 것이며, 충분히 끓인 단백질즙에 응고제인 황산칼슘 등을 첨가하여 저어준 다음 몇분이 지나게 되면 응고상태의 순두부가 만들어지게 되며, 이 순두부를 성형장치에 넣어서 압착 및 성형하게 되면 두부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이와 같은 두유나 순두부나 두부의 제조방법은 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며 단백질즙을 끓이는 과정에서 거품이 발생하게 되므로 화력을 계속적으로 조절해주면서 끓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단백질즙의 회수량이 적으며 청결상태 또한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번호 10-0228659 호의 "가정용 두부 제조장치" 가 제안되어 등록된 바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구동모터와 제어부가 내장되며 외단부에 돌설된 돌부를 구비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대직경의 상목부 및 소직경의 하목부와, 상기 구동모터에서 동력을 전달받으며 하목부의 중심축상으로 짧게 돌출한 단구동축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목부 하단 일측 외주연에 부착된 거품 감지센서 및 U자형의 가열파이프와;
상기 하목부의 둘레에 하부로부터 별도로 조립되어지며 상기 단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단구동축과 접합되는 상부의 접합축과 이 접합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하부의 장구동축과 이 장구동축의 하단에 부설된 분쇄칼날이중심축상에 수직으로 축설되며 외주연에 맞춤홈이 있는 원심분리통 캡과 외주면에 미세한 걸름망을 구비하며 하부에 복수개의 다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원심분리통 캡의 맞춤홈과 돌려 맞추어지는 돌출부를 구비한 원심분리통과;
상기 덮개부의 하부에서 돌부에 끼워 맞출 수 있는 잠금부를 상단외연부에 구비한 원통형의 두부수납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정용 두부 제조장치" 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원심분리통에 콩을 집어넣거나 원심분리통 또는 두부수납통을 청소하고자 할 경우, 일단 본체부를 두부수납통으로부터 들어올려 꺼내야 하는데, 이때 상기 본체부에는 제어부와 구동모터와 상목부와 하목부와 가열파이프가 함께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본체부의 저면에는 분쇄칼날과 장구동축이 연결되어 있는 원심부리통 캡이 탈착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어 본체부의 전체적인 무게가 무거워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청소시 원심분리통과 두부수납통의 내부를 청소함과 동시에 본체로부터 원심분리통 캡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청소를 하고 다시 본체부에 원심분리통 캡을 결합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아울러 최종적으로 단백질즙을 두부수납통으로부터 수거할 경우 본체부를 두부수납통으로부터 들어올려야 하는데, 이때 본체부 하부에 설치된 가열파이프에 열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 사용자가 가열파이프에 의해 화상을 입을 수도 있는 위험하며 완성된 단백질즙을 다른 용기에 옮기는 작업 또한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콩의 분쇄와 분쇄된 콩으로부터 생기는 단백질즙의 가열을 분리된 공간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콩의 투입이나 완성된 단백질즙의 수거를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 후 청소 및 관리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두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부를 구획하며 표면에 하부클러치와 드레인밸브가 구비된 격판과, 상기 격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히터와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히팅부가 설치되어 있는 받침부와, 후면 일측에 상부는 개방되고 바닥면에는 끼움공이 구비되어 일정한 공간을 이루는 급수공간부와, 상부에 덮혀지는 덮개와, 일단은 상기 바닥면의 일측 끼움공에 끼워지고 중앙부위는 히터에 근접된 상태로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바닥면의 타측 끼움공을 통해 상측으로 연장되어 격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파이프로 이루어진 몸체와;
내부에 걸름망과 분쇄칼날이 설치된 상부클러치와 드레인홀이 설치되고 상부는 구멍이 구비된 뚜껑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격판 상면에 올려지는 분쇄통과;
상기 격판의 하부클러치에 설치된 회전축과,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축이 구비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축과 회전축을 연결해주는 벨트로 이루어진 구동수단과;
구멍이 구비된 뚜껑에 의해 상부가 개폐되며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놓여지는 가열포트를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콩의 투입이나 단백질즙의 회수를 간단하고 안전하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콩을 분쇄하는 부분과 분쇄된 콩의 단백질즙을 가열하는 부분이 별도로 구성되어 장치의 사용이나 청소 및 관리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가 가정에서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두유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두유의 제조장치를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두유의 제조장치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제조장치의 요부 구성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4a,4b 는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제조장치의 작동과정을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제조장치를 이용한 두유 제조방법의 동작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110 : 격판
111 : 드레인밸브 120 : 받침부
121 : 히팅부 122 : 히터
123 : 온도센서 130 : 급수공간부
131 : 바닥면 132a,132b : 끼움공
140 : 파이프 141 : 유입공
142 : 배출공 200 : 분쇄통
210 : 걸름망 220 : 분쇄칼날
230 : 상부클러치 240 : 드레인홀
250,410 : 뚜껑 251,411 : 구멍
300 : 구동수단 310 : 구동모터
311 : 구동축 320 : 벨트
330 : 하부클러치 331 : 회전축
400 : 가열포트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두유의 제조장치를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두유의 제조장치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제조장치의 요부 구성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4a,4b 는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제조장치의 작동과정을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제조장치를 이용한 두유 제조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콩을 분쇄하여 단백질즙을 만든 후 이를 일정시간 가열하여 두유를 가공하는 가정용 두유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전면의 상부와 하부를 양분하여 개별적인 공간을 형성시키며 저면의 중앙부위에는 하부클러치(330)가 설치되고 저면의 일측에는 저면을 관통 및 차단해주는 드레인밸브(111)가 설치된 격판(110)과, 전면 하부에 위치하며 히터(122)와 온도센서(123)로 이루어진 히팅부(121)가 구비되어 있는 받침부(120)와, 후면 일측으로상면은 개방되어 있고 그 하면은 한쌍의 끼움공(132a)(132b)이 구비된 바닥면(131)이 형성되어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급수공간부(130)와, 상기 급수공간부(130)의 상면에 놓여져 급수공간부(130)를 폐쇄시켜 주는 덮개(150)와, 일단의 유입공(141)은 상기 급수공간부(130)의 바닥면(131)에 구비된 일측 끼움공(132a) 저면에 고정되고 중앙부위는 받침부(120)에 설치된 히터(122)에 근접된 상태로 배열되며 타단은 타측 끼움공(132b)을 통해 상측으로 연장된 후 그 끝단 배출공(142)이 격판 (1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파이프(140)로 이루어진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격판(110) 상면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며, 내부에는 원통형태의 걸름망(210)이 설치되어 있고, 걸름망(210) 내부의 중심부에는 상단에 분쇄칼날(220)이 고정되어 있는 상부클러치(2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저면 일측에는 드레인홀(240)이 형성되고, 개방된 상면은 일측에 구멍(251)이 형성된 뚜껑(250)에 의해 개폐되는 분쇄통(200)과;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축(311)이 구비된 구동모터(310)와, 상기 격판(110)의 하부클러치(330) 저면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331)과, 상기 구동모터(310)의 구동축(311)과 상기 하부클러치(330)의 회전축(331)을 서로 연결해주는 벨트(320)로 이루어진 구동수단(300)과;
상기 몸체(100)의 받침부(120) 상면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며, 개방된 상면은 일측에 구멍(411)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410)에 의해 개폐가 되도록 구성된 가열포트(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두유의 제조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33)은 급수공간부의 수위확인창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두유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콩의 투입이나 단백질즙의 수거 등을 간편하면서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한 제조장치의 청소 및 관리 또한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가 가정용 두유의 제조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두유의 제조장치를 예시한 것으로서, 제조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몸체(100)는 전면에 설치된 격판(110)에 의해 상부와 하부가 구분되면서 각각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격판(110)의 저면 중앙에는 하부클러치 (33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저면 일측에는 격판(110)의 저면을 관통시키거나 차단시키기 위한 드레인밸브(111)가 설치되어 있으며, 몸체(100)의 전면 하부에는 상기 격판(110)과 대향된 상태로 받침부(120)가 형성되는데 상기 받침부(120)의 내부에는 히터(122)와 상기 히터(122)에 의해 변화되는 가열포트(400) 밑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23)가 구비된 히팅부(1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몸체(100)의 상부 후면으로는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그 하측으로 일정량의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공간이 형성된 급수공간부(130)가 형성되는데 상기 급수공간부(130)의 바닥면에는 한쌍의 끼움공(132a)(13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공간부(130)의 전면으로는 투명한 수위확인창(133)이 형성되어 급수공간부(130)에 저장되는 물의 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 3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공간부(130)의 바닥면(131)에 형성된 일측 끼움공(132a)의 저면으로는 파이프(140)의 일측이 위치하게 되면서 파이프(140)의 일단 유입공(141)이 상기 바닥면(131)의 일측 끼움공(132a)에 연결되며, 파이프(140)의 나머지 부분인 타측은 상기 받침부(120)의 내부에 위치한 히터(122)에 근접한 상태로 배열되다가 다시 상측으로 연장되어 바닥면(131)의 타측 끼움공 (132b)을 관통한 후 격판(110)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파이프(140) 타단 배출공(142)이 격판(110)의 표면을 향하게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격판(110)의 상면에 장착 또는 탈착되는 분쇄통(200)은 상면이 개구되어 있는 상태에서 뚜껑(250)에 의해 개폐가 되는 것이며, 이때 뚜껑(250)에는 구멍(251)이 형성되면서 상기 파이프(140)의 배출공(142)과 구멍(251)이 서로 일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급수공간부(130)에 어느정도 물을 집어넣게 되면 급수공간부(130)에 채워졌던 물은 일측 파이프(140)의 유입공(141)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며, 이때 받침부(120)의 히터(122)가 가열되면 상기 히터(122)에 근접되어 있던 파이프(140)에 그 열이 전달되면서 파이프(140)에 있던 물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서 대류현상에 의해 물이 타측 파이프(140)를 따라 상승하게 되어 타측 파이프(140)의 배출공(142)을 통해 배출되고 배출된 물은 분쇄통(200)의 뚜껑(250)에 구비된 구멍(251)을 통해 분쇄통(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분쇄통(200)의 내부에는 걸름망(210)이 설치되어 걸름망(210) 내부에서 분쇄되는 콩의 이물질이 걸름망(210)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는 것이며, 분쇄통(200)의 중심부 저면에는 상부클러치(23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클러치(230)의 상면에는 분쇄칼날(22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분쇄통(200)을 격판(110)의 상면에 올려놓게 되면 분쇄통(200) 중심부 저면에 설치된 상부클러치(230)와 격판(110)의 중심부 상면에 설치된 하부클러치(330)가 서로 치합되는 것이며, 상기 분쇄통(200)의 저면 일측에 형성된 드레인홀(240)은 격판(110)의 저면 일측에 구비된 드레인밸브(111)와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몸체(100)의 내부에는 구동모터(3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310)의 구동축(311)은 격판(110)의 하부클러치(330) 저면 중심에 연결되어 있던 회전축(331)과 벨트(320)에 의해 서로 연결됨에 따라 구동모터(310)의 회전력은 벨트(320)에 의해 하부클러치(330)로 전달되며, 이때 격판(110)의 상면에 분쇄통(200)이 놓이면서 격판(110)의 하부클러치(330)와 분쇄통(200)의 상부클러치 (230)가 서로 치합되어 있을 경우 하부클러치(330)와 함께 상부클러치(230) 또한 회전됨에 따라 분쇄칼날(220)이 고속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120)의 상면으로는 가열포트(400)가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가열포트(400)가 받침부(120)의 상면에 놓여지는 경우 받침부(120)에 설치된 히터(122)에 의해 가열포트(400)의 밑면이 가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열포트(400)의 뚜껑(410)에는 구멍(4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411)은 격판(110)에 설치된 드레인밸브(111)의 하부에 일치되므로 분쇄통 (200)에서 단백질즙이 발생된 상태에서 드레인밸브(111)가 열리게 되면 단백질즙이 드레인홀(240)을 통과하여 드레인밸브(111)를 거친 후 상기 가열포트(400)의뚜껑(410)에 구비된 구멍(411)을 통해 가열포트(4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는 덮개(150)가 설치되면서 상기 개방된 급수공간부(130)을 폐쇄시켜 주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제조장치에 의해 두유가 제조되는 방법을 예시된 도 4a 와 도 4b 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몸체(100)의 덮개(150)를 개방시킨 다음 수위확인창(133)을 확인하면서 급수공간부(130)에 일정량의 물을 집어넣고, 격판(110)의 상면에 올려놓은 분쇄통 (200)에는 뚜껑(250)을 열고 걸름망(210) 내부로 일정량의 콩을 투입한 다음 기능선택을 하게 되면 받침부(120)의 히터(122)가 작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급수공간부(130)에 채워진 물의 일부분은 일측 파이프(140)의 유입공(141)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되어 몸체(100)의 하부에 머물러 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와 같이 히터(122)가 작동되면 히터(122)에 근접된 파이프(140)의 일부분이 가열되면서 몸체(100)의 하부에 머물러 있던 물이 가열되면서 대류현상에 의해 타측 파이프(140)를 따라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 다음 배출공(142)을 통해 낙하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낙하된 물은 분쇄통(200)의 뚜껑(250)에 형성된 구멍 (251)을 통해 분쇄통(200)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낙하된 물에 의해 분쇄통(200)에 미리 투입되어 있던 콩들이 잠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분쇄통(200)에 물을 투입할 때 드레인밸브(111)를 일정시간 동안 열어주므로서, 분쇄통(200)에 유입된 물의 일부분이 분쇄통(200)의 드레인홀(240)을 거쳐 상기 드레인밸브(111)를 통과한 다음 받침부(120)에 놓여져 있던 가열포트(400)의 뚜껑(410)에 구비된 구멍(411)을 통해 가열포트(4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 후 다시 드레인밸브(111)를 닫아주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는 히터 (122)가 가열되면 가열포트(400) 또한 가열되므로 가열포트(400)의 내부에 어느정도의 물이 채워져 있도록 한 것이다.
이후 상기 분쇄통(200)에 채워진 콩이 가열된 물에 의해 잠겨 있게 되므로 콩의 불림과정이 진행되는 것이며, 정해진 시간 동안 콩의 불림이 이루어진 후에는 히터(122)의 작동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콩의 불림이 완료된 다음에는 구동모터(310)가 작동되면서 구동모터(310)의 회전력이 벨트(320)를 거쳐 하부클러치(330)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하부클러치(330)에는 상부클러치(230)가 치합되어 있으므로 구동모터 (310)의 작동에 의해 하부클러치(330)와 상부클러치(230)와 상기 상부클러치(230)의 상면에 연결되어 있는 분쇄칼날(220)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불림이 완료된 콩을 분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콩의 분쇄가 정해진 시간 동안 이루어진 후 완료되면 콩의 분쇄과정이 종료되면서 다음과정으로 넘어가게 되는데, 이때 정해진 시간동안 구동모터 (310)를 연속적으로 구동시키는 경우 구동모터(310)에 부하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작동과 정지를 일정시간 동안 반복하면서 정해진 시간동안 콩을 분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콩의 분쇄가 완료되면 격판(110)에 설치된드레인밸브(111)가 열리게 되면서 콩의 이물질은 걸름망(210) 내부에 그대로 잔류하게 되며 걸름망(210)을 통과한 단백질즙은 분쇄통(200)의 저면에 구비된 드레인홀(240)을 통해 열려있는 드레인밸브(111)를 거친 다음 가열포트(400)의 뚜껑(410)에 형성된 구멍(411)을 통해 가열포트(4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정해놓은 시간 동안 단백질즙이 가열포트(400)에 유입되도록 한 다음에는 드레인밸브(111)를 닫아주게 되는데, 이는 상기 가열포트(400)에 유입된 단백질즙을 가열하기 위하여 히터(122)를 다시 작동시키는 경우 파이프(140)에 잔류하던 물이 다시 대류현상을 일으키면서 분쇄통(200)에 추가로 유입될 경우 그 물이 드레인밸브(111)를 거쳐 가열포트(400)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드레인밸브(111)가 닫힌 다음에는 히터(122)가 다시 작동되어 가열포트(400)에 유입되어 있는 단백질즙을 일정시간 동안 가열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받침부(120)에는 온도센서(123)가 설치됨에 따라 히터(122)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포트(400)의 밑면 온도가 정해진 온도값이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히터(122)의 작동이 멈추게 되므로 가열포트(400)의 내부에 유입된 단백질이 충분히 가열되는 동안 히터(122)의 작동과 정지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단백질즙이 히터(122)에 의해 가열될 경우 단백질즙에서 발생되는 거품이 계속적으로 생기면서 가열포트(400)로부터 넘치게 됨에 따라 단백질즙에서 발생되는 거품이 가열포트(400)를 넘치지 않는 범위의 온도가 온도센서(123)에 입력되어 가열포트(400)의 밑면 온도가 정해진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히터(122)가 정지하게 되고 가열포트(400)의 밑면 온도가 낮아지면 다시 히터(122)가 작동되도록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가열포트(400)에 유입되었던 단백질즙이 정해진 시간 동안 충분히 가열되면 두유상태로 완성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가열포트(400)를 받침부(120)로부터 빼내어 다른 용기에 옮긴 후 설탕이나 소금 같은 첨가물을 넣어 음용할 수 있는 두유를 만들거나, 두유상태에 응고제를 넣어 순두부를 만들거나 상기 순두부를 성형장치에 넣어 두부를 만들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콩을 분쇄통에 투입할 경우 뚜껑을 열어 간단히 투입할 수 있는 것이며, 투입된 콩이 분쇄된 후 단백질즙이 된 다음에는 받침부에 설치된 가열포트로 수거되고, 상기 받침부에 구비된 히터의 반복적인 작동 및 정지에 의해 단백질즙이 일정시간 동안 끓여지면서 두유상태가 간단히 완성될 수 있는 것이며, 완성 후 청소를 할 때에는 분쇄통과 가열포트를 몸체로부터 분리시켜 간단히 청소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사용 및 청소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콩을 분쇄한 후 그 단백질즙을 가열하여 두유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면의 상부와 하부를 양분하여 개별적인 공간을 형성시키며 저면의 중앙부위에는 하부클러치(330)가 설치되고 저면 일측에는 저면을 관통 및 차단시켜주는 드레인밸브(111)가 설치되어 있는 격판(110)과, 전면 하부에 위치하며 히터(122)와 온도센서(123)로 이루어진 히팅부(121)가 구비되어 있는 받침부(120)와, 후면 일측으로 상면은 개방되어 있고 그 하면은 한쌍의 끼움공(132a)(132b)이 형성된 바닥면(131)이 형성되어 일정한 공간을 이루는 급수공간부(130)와, 상기 급수공간부(130)의 상면에 놓여져 급수공간부(130)를 폐쇄시켜 주는 덮개(150)와, 일단의 유입공(141)은 상기 급수공간부(130)의 바닥면(131)에 구비된 일측 끼움공(132a) 저면에 연결되고 중앙부위는 받침부(120)에 설치된 히터(122)에 근접된 상태로 배열되며 타단은 타측 끼움공(132b)을 통해 상측으로 연장된 후 그 끝단 배출공(142)이 격판(1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파이프(140)로 이루어진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격판(110) 상면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며, 내부에는 원통형태의 걸름망(210)이 설치되어 있고, 걸름망(210) 내부의 중심부에는 상단에 분쇄칼날(220)이 고정되어 있는 상부클러치(2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저면의 일측에는 드레인홀(240)이 형성되고, 개방된 상면은 일측에 구멍(251)이 형성된 뚜껑(250)에 의해 개폐되는 분쇄통(200);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축(311)이 구비된 구동모터(310)와,상기 격판(110)의 하부클러치(330) 저면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331)과, 상기 구동모터(310)의 구동축(311)과 상기 하부클러치(330)의 회전축(331)을 서로 연결해주는 벨트(320)로 이루어진 구동수단(300);
    상기 몸체(100)의 받침부(120) 상면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며, 개방된 상면은 일측에 구멍(411)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410)에 의해 개폐되는 가열포트 (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의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분쇄통(200)을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여 콩의 분쇄과정 및 상태가 투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의 제조장치.
  3. 콩을 분쇄한 후 그 단백질즙을 가열하여 두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정량의 물을 급수공간부(130)에 유입시키고, 분쇄통(200)에는 일정량의 콩을 투입한 후 기능선택을 하여 히터(122)를 작동시키는 제1공정;
    상기 히터(122)에 의해 파이프(140)가 가열되면서 급수공간부(130)에 유입되었던 물이 가열된 상태에서 파이프(140)를 통해 분쇄통(200)으로 유입되는 제2공정;
    분쇄통(200)의 드레인밸브(111)를 열어 일정량의 물을 가열포트(400)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열려있던 드레인밸브(111)를 닫는 제3공정;
    상기 분쇄통(200)에 유입된 가열된 물에 의해 콩의 불림상태가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제4공정;
    상기 불림상태가 완료되면 히터(122)의 동작이 멈추고 이후 구동모터(310)가 작동되면서 불림상태가 완료된 콩이 분쇄되고, 정해놓은 기능별 분쇄시간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모터(310)가 정지되면서 콩의 분쇄과정이 종료되는 제5공정;
    격판의 드레인밸브(111)가 열리면서 상기 분쇄된 콩에 의해 만들어진 단백질즙이 분쇄통(200)의 드레인홀(240)을 통해 드레인밸브(111)를 거쳐 정해진 이송시간동안 가열포트(400)의 내부로 이동된 후 상기 열렸던 드레인밸브(111)가 다시 닫히는 제6공정;
    히터(122)가 작동되면서 가열포트(400)내부에 유입된 단백질즙을 가열시키되 가열포트(400)의 밑면온도가 정해진 범위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온도센서(123)에 의해 히터(122)의 동작을 정지되고, 가열포트(400)의 밑면온도가 정해진 범위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온도센서(123)에 의해 히터(122)가 다시 동작되면서 기능별 가열시간동안 가열포트(400)의 내부에 유입된 단백질즙이 가열되면서 두유상태가 제조되는 제7공정;
    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의 제조방법.
KR1020030011313A 2003-02-24 2003-02-24 두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40076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313A KR20040076019A (ko) 2003-02-24 2003-02-24 두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313A KR20040076019A (ko) 2003-02-24 2003-02-24 두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019A true KR20040076019A (ko) 2004-08-31

Family

ID=37362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313A KR20040076019A (ko) 2003-02-24 2003-02-24 두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60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2871A (zh) * 2017-04-24 2017-07-21 重庆飞亚实业有限公司 番茄火锅底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2871A (zh) * 2017-04-24 2017-07-21 重庆飞亚实业有限公司 番茄火锅底料及其制备方法
CN106962871B (zh) * 2017-04-24 2020-09-25 重庆飞亚实业有限公司 番茄火锅底料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5772B1 (ko) 가정용 두부 제조장치
KR100499377B1 (ko) 가정용 두유두부제조기의 스팀 공급장치
KR200310767Y1 (ko) 자동 두부제조장치
KR100495838B1 (ko) 분쇄 및 가열기능을 갖는 식품 가공기 및 이를 이용한식품 가공방법
KR200331665Y1 (ko) 가정용 두유 두부 제조기의 가열 제어장치
CN101862125B (zh) 家庭用豆浆机
KR200464107Y1 (ko) 청소가 용이한 두부제조기용 두유응고장치
KR20040076019A (ko) 두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CN107126092B (zh) 一种带自动清洗功能的咖啡机
CN102429036B (zh) 一种多功能豆粉豆浆机
KR100228659B1 (ko) 가정용두부제조장치
KR100622781B1 (ko) 스팀을 이용한 음식물 제조기구
KR100516835B1 (ko) 가정용 두유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두유제조방법
CN209996083U (zh) 一种食品加工机
CN204445421U (zh) 一种具有自动研煮功能的咖啡机
KR200376472Y1 (ko) 두유 제조기
KR20040054964A (ko) 두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018497B1 (ko) 커피드립장치
KR100226631B1 (ko) 가정용 두부 제조기
KR200326432Y1 (ko) 가정용 두유두부제조기의 스팀 공급장치
KR200339443Y1 (ko) 두유제조기
CN207768166U (zh) 一种带自动清洗功能的咖啡机
KR930002173B1 (ko) 가정용 두부 제조기
KR200333007Y1 (ko) 가정용 두유두부 제조기의 걸름망 장치
JPH0347050A (ja) 豆腐用豆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