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497B1 - 커피드립장치 - Google Patents
커피드립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8497B1 KR101018497B1 KR1020090124827A KR20090124827A KR101018497B1 KR 101018497 B1 KR101018497 B1 KR 101018497B1 KR 1020090124827 A KR1020090124827 A KR 1020090124827A KR 20090124827 A KR20090124827 A KR 20090124827A KR 101018497 B1 KR101018497 B1 KR 1010184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ffee
- water tank
- water
- drip
- hop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8—Pu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드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커피분말을 수용하는 호퍼부와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면서 호퍼부로 물을 제공하는 물탱크부를 포함하는 커피드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드립커피를 제조할 시 커피의 맛과 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커피, 드립커피, 물탱크부, 호퍼부, 제어부, 구동부, 몸체부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피드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립 커피를 자동으로 제조하며 유해성분의 추출을 방지하여 맛과 향기가 풍부한 최적 최상의 드립커피 및 차를 제공할 수 있는 커피드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숍이나 가정에서 원두커피 분말을 이용하여 추출되는 원두커피는 일반적으로 커피메이커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커피메이커를 통해 원두커피를 제조하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피메이커의 호퍼에 종이나 금속/폴리머 메쉬 등으로 제작된 필터를 장착시키고, 필터내에 원두커피 분말을 넣는다. 그리고 물을 끓여 호퍼로 제공하는 탱크에 물을 부으면, 끓여진 물이 필터내의 원두커피 분말에 제공되고, 원두커피가 우러나와 커피메이커 하부의 커피포트에 저장된다. 커피포트 하부에는 커피포트에 열을 가하는 히터가 설치되어 커피포트에 수용된 원두커피가 식지 않도록 보온한다.
이렇게 커피메이커를 이용할 경우, 원두커피 분말과 물을 커피메이커에 제공하여 원두커피를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보온기능에 의해 추출된 원두커피를 보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원두커피를 대량으로 추출하여 보온할 경우, 시간이 경과할수록 급격하게 원두커피의 맛과 향이 저하되며, 심할 경우 탄 맛이 나기도 한다. 따라서, 원두커피를 최적 최상의 상태로 공급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원두커피를 추출할 때, 원두커피를 우려내기 위한 물의 100%가 커피분말을 통과하게 된다. 즉, 장시간에 걸쳐 물이 커피분말을 통과하면서 원두커피를 추출한다. 이렇게 원두커피를 추출하면, 원두커피의 추출초기에는 커피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들만이 추출되지만,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커피분말에 포함된 유해성분들, 예를 들면 카페인이나 쓴맛 등이 증가하면서 원두커피의 맛과 향을 오히려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원두커피 추출시 추출에 사용되는 물이 쉼없이 커피 분말에 투입됨으로써, 커피 분말이 물을 머금으면서 맛과 향을 물에 전달할 시간의 여유도 없이 바로 추출된다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단점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를 우리는 시간이 달라, 맛과 향이 달라지는 녹차, 쟈스민차, 허브차 등의 차에서도 나타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 드립시 모든 용액이 커피원액과 혼합되지 않도록 하고 수회에 걸쳐 드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커피분말로부터 유해성분이 추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커피나 차의 맛과 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피드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커피드립장치는 커피분말을 수용하는 호퍼부;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면서 호퍼부로 물을 제공하는 물탱크부;를 포함하는 커피드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물탱크부는, 상기 호퍼부에 수용되는 커피분말로 물을 제공하는 수단과, 커피추출물을 수용하는 컵으로 상기 커피분말을 회피하여 물을 직접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물탱크부는, 회전동작, 멈춤동작 및 회전동작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동작들을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물탱크부의 외주면에는 기어산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어산과 맞물리는 기어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물탱크부를 회전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부는 물을 유출하는 복수의 홀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호퍼부에 수용되는 커피분말로 물을 제공하며, 상기 복 수의 홀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커피추출물을 수용하는 컵으로 상기 커피분말을 회피하여 물을 직접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부의 저면은 경사져 있고, 상기 복수의 홀은 낮은 쪽에 배치된 것 또한 가능하다.
본 커피드립장치는, 커피 드립시 커피분말에 제공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키어 일부의 물만으로 커피를 추출하여, 물이 커피나 차를 통과하는 시간과 양을 감소시킬 수 있고 커피 드립시 수회에 걸쳐 드립함으로써 커피분말로부터 유해성분이 추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커피의 향이 풍부해져 사용자의 만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커피드립장치는, 커피분말에 제공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키고 수회에 걸쳐 드립시킴으로써, 커피분말로부터 유해성분이 추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커피의 맛과 향을 제대로 느끼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피분말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커피드립장치는 커피뿐만 아니라 차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뚜껑과 캡을 분리 했을 때의 사시도를 각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1)는 물탱크부(10), 호퍼부(20) 및 몸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탱크부(10)는 커피드립시 뜨거운 물을 저장하고, 호퍼부(20)는 커피분말을 담을 수 있는 필터를 구비하며, 몸체부(30)는 커피드립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이하에서 설명될 제어부나 구동부 등을 내장할 수 있는 곳이다.
물탱크부(10)는 커피드립장치에 있어서 커피와 혼합될 물을 저장하며, 물탱크부(10)는 복수개의 드립홀(11)을 구비한다. 위 복수개의 드립홀(11)을 통해서 물탱크부(10)에 저장된 물이 호퍼부(2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홀(11)은 물탱크부(10)의 바닥면의 중앙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드립홀(1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은 직수홀(13)을 포함한다. 직수홀(13)을 통과한 물은 호퍼부(20)에 있는 커피필터를 통과하지 아니하고 바로 컵(6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홀(11)은 복수개 구비되며 드립홀(11)의 직경이 가장자리로 갈수록 작을 수 있다. 통상 호퍼부(20)에는 깔때기 형상의 커피필터가 구비되고 깔때기 형상의 커피 필터는 중앙부에 많은 양의 커피 분말이 위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직수홀(13)은 물탱크부(10)의 물의 일부를 호퍼부(20)의 커피를 통과하지 아니하고 바로 컵(60)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홀(13)에는 직수관(1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직수관(15)의 높이를 조 절함으로써 직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취향에 따라서 커피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가 다른 복수개의 직수관이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탱크부(10)의 바닥면은 일정한 경사면을 가지며, 물탱크부(10)의 물이 완전히 누출될 수 있게 드립홀(11)이 형성된 부분을 가장 낮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탱크부(10)는 커피드립장치의 상면부에 위치되는데 먼저 중앙돌출부(33)의 캡(35)을 개방한 후, 물탱크부(10)를 끼운다음 캡(35)을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부의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퍼부(20)는 아래로 오목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오목한 형상에 깔때기 형상의 커피필터를 위치시키고 상기 깔때기 형상의 커피 필터에 커피분말이 위치된다. 호퍼부(20)에는 깔때기 형상의 커피분말 이외에 티백과 같은 커피백에 싸여진 커피분말도 위치될 수 있다.
물탱크부(10)의 뜨거운 물이 호퍼부(20)의 필터를 통과한 후 컵으로 내려가도록 하기 위해 중앙부에 추출홀(21)이 구비되어 있는데 티백 형상의 커피백을 사용하는 경우 복수개의 추출홀(21)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호퍼부(20)는 몸체부(30)에 결합될 수 있다. 호퍼부(20)가 몸체부(30)에 결합되는 방법은 측면으로 호퍼부(20)를 돌려 결합 또는 분리하거나, 전면의 손잡이(23)를 이용하여 앞으로 빼내서 분리하는 방법 등 통상의 여러가지 결합방법이 가능하다.
호퍼부(20)는 물탱크부(10)의 저면부에 위치되어 물탱크부(10)로부터 물을 입수받는다. 복수개의 드립홀(11) 중 가장자리에 구비된 직수홀(13)을 통해서 입수되는 물은 커피분말이 담긴 커피필터를 거치지 않고 바로 컵으로 들어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에서 뚜껑과 물탱크부를 제거한 사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물탱크부의 저면 사시도를 각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피드립장치(1)의 몸체부(30)에는 물탱크부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물탱크부 지지대(37)가 구비된다. 물탱크부 지지대(37)는 열십자(+)의 형태로 구비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탱크부 지지대(37)는 중앙의 중앙돌출부(33)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물탱크부 지지대(37) 중 하나의 것에는 실리콘 패드(39)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리콘 패드(39)는 물탱크부(10)의 저면에 접하여 있으며, 복수개의 드립홀(11)을 막는 역할을 하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내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피드립장치(1)의 몸체부(30)의 내부에는 전원공급장치(41)와 모터(43)와 구동기어(45)와 종동기어(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부(40)가 구비되어 있다.
전원공급장치(41)는 콘센트를 통해서 받는 전력, 또는 커피드립장치(1) 내부에 구비된 건전지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에 의해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모터(43)는 전원공급장치(4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며 구동기어(45)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모터(43)는 예를들면 DC 3V의 2000 내지 3000 rpm의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구동기어(45)와 종동기어(47)는 웜기어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웜기어를 사용할 경우 구동력이 좋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탱크부(10)의 외경면에는 기어산(17)이 형성되어 있는데 종동기어(47)의 회전으로 종동기어(47)와 맞물려 조립되는 물탱크부(10)의 기어산(17)에 의해 물탱크부(10)가 회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50)는 스위치(51)와 칩(53)과 마그네틱 센서(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위치(51)는 사용자가 커피드립장치(1)를 구동시킬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스위치(51)를 On시키면, 전원공급장치(4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모터(43)가 구동되어 물탱크부(10)가 회전하게 된다.
즉, 스위치(51)를 사용자가 On시키게 되면, 전원공급장치(4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모터(43)가 구동되게 되고 모터의 구동으로 구동기어(45)가 구동되게 되고 구동기어의 구동으로 종동기어(47)가 회전하게 된다. 종동기어(47)가 회전하면, 물탱크부(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산이 맞물리면서 물탱크부(10)가 회전하게 되 는 것이다.
물탱크부(10)의 회전으로 실리콘패드(39)에 의해 막혀있던 드립홀(11)이 개방되고, 개방된 드립홀(11)을 통하여 물이 아래로 떨어진다. 이때, 직수홀(13)을 통과하는 물은 커피분말이 담긴 커피필터를 통과하지 아니하고 바로 호퍼부(20)로 떨어지게 되고 나머지 드립홀(11)을 통과하는 물은 커피필터 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물탱크부(10)의 회전이 1회전 이루어지게 되면 물탱크부(10)의 외주면에 구비된 위치결정 마그넷(19)과 제어부(50)에 구비된 마그네틱 센서(55)가 일치하는 시점에서 물탱크부(10)의 회전은 멈추게된다. 마그네틱 센서(55)와 위치결정 마그넷(19)이 일치하는 위치는 바로 실리콘 패드(39)가 물탱크부(10)의 드립홀(11)을 막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이 멈추는 것은 기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른 것인데 이는 제어부(50)의 구성요소인 칩(53)에 입력시켜놓음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물탱크부(10)가 1회전 하게되면 물탱크부(10)에 담겨 있던 물이 커피필터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 커피필터로 낙하된 물은 커피필터에 담긴 커피분말에 의해 머금어지게되어 계속적인 물의 공급으로 인해 바로 뜨거운 물이 커피분말을 통과하여 컵으로 떨어지는 경우보다 커피의 맛과 향을 오랫동안 머금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50)에 구비된 칩(53)에 의해 소정시간(예를들면 1분정도)이 경과하고 나면 다시 전원공급장치(41)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원공급장치(41)로부터 전원을 공 급받은 모터(43)가 구동되게 되고 모터(43)의 구동으로 구동기어(45)가 구동되게 되고 구동기어(45)의 구동으로 종동기어(47)가 회전하게 된다. 종동기어(47)가 회전하면, 물탱크부(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산(17)이 맞물리면서 물탱크부(10)가 다시 한번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 및 정지를 반복하면서 물탱크부(10)의 물이 모두 낙수될 때까지 회전하면 커피의 제조가 완성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사시도를,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물탱크부와 호퍼부의 사시도를 각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피드립장치(100)의 호퍼부(120)는 깔때기 형상이 아닌 접시형태의 것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퍼부는 주로 커피 필터를 위치시키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티백과 같은 커피백(129)을 위치시키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호퍼부(120)의 정중앙부에는 추출홀(123)이 구비되어 있는 것은 도3에서의 설명과 같다. 그리고 드립홀로부터 낙수되는 물 중 직수홀을 통과하는 물은 커피백을 통과하지 아니하고 바로 추출홀을 경유하여 컵으로 떨어지는 것 또한 앞의 설명에서와 동일하다. 그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발명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경우에 있어서도 적용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사시도를,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절개사시도를 각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200)의 경우 몸체부(230)의 구성을 간결한 형태의 것으로 구비하는 것이 것 또한 가능하다.
즉, 몸체부의 커피의 컵받이 부분에 중공부(233)를 형성하고 컵을 놓을 수 있는 위치를 구비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컵받이 부분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기둥을 가느다란 형태의 것으로 하여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호퍼부(220)의 형태를 측벽(222)이 구비된 사발의 형태의 것으로 하여 구비하되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추출홀(221)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퍼부(220)를 다른 형태의 것으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로 커피백을 이용하는 경우 복수개의 추출홀을 구비하고, 직수홀로부터 떨어지는 물이 커피백 방향으로 오지 않도록 커피백을 실장시킬 수 있는 측벽(222)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발명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경우에 있어서도 적용가능하다.
도 11a 및 도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호퍼부의 다른 형태를 "커피드립장치용 캡슐(300)"로 부르기로 한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피드립장치용 캡슐(300)은 이중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벽(310)은 커피드립장치용 캡슐(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고 내주벽(320)은 외주벽(310)의 내부에서 커피팩 또는 커피필터에 담긴 커피분말을 위 치시키는 곳이다. 위 그림에서는 커피필터에 담긴 커피분말을 도시하였으나 커피팩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주벽(310)의 상면에는 외주벽(310)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링형상의 몸체부 결합수단(330)이 구비되는데 상기 몸체부 결합수단(330)은 커피드립장치의 일 측면에서 끼울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주벽이 형성하는 저면의 원에는 캡슐홀(39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탱크부의 물이 커피 필터(370)의 커피 분말(380) 통과 후 컵으로 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캡슐홀(390)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위 몸체부 결합수단(330)의 폭(t1)은 몸체부에 결합시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구비하여야 한다. 위 몸체부 결합수단(330)은 내주벽(320)의 상면부와 연결부(340)로 연결되어 있다.
본 커피드립장치용 캡슐(300)은 일회용 사용자를 위해 판매용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외주벽(310)의 상면과 저면에 포장용 덮개(350,36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몸체부 결합수단(33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몸체부 결합수단(330)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포장용 덮개(350)를 덮어 커피분말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고, 또한, 외주벽(310)의 저면에도 접착제를 도포하여 포장용 덮개(360)를 덮어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커피드립장치용 캡슐(300)의 포장용 덮개(350,360)는 도 1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피드립장치를 이용하여 커피를 드립하고자 하는 경우 포장용 덮개(350,360)를 개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호퍼부의 다른 형태의 것이 커피드립장치에서 드립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호퍼부의 다른 형태를 "커피드립장치용 캡슐(300)"로 부르기로 하는 것은 앞과 동일하다.
먼저 포장용 덮개(350,360)를 개방한 커피드립장치용 캡슐(300)을 커피드립장치에 고정시킨다. 이 커피드립장치용 캡슐을 고정하는 방법은 링 형상의 몸체부 결합수단(330)을 몸체부에 결합하는 방법이 가능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서 설명한 여러가지 방법, 즉 커피드립용 캡슐을 돌려 결합 또는 분리하거나, 전면의 손잡이를 이용하여 앞으로 빼내서 분리하는 방법 등 통상의 여러가지 결합방법이 가능하다.
위의 커피드립장치용 캡슐을 이용하여 커피를 드립하는 방법을 간단히 살펴보면 먼저 몸체부의 스위치를 온(On)시키면 구동기어와 종동기어 그리고 기어산의 결합에 의한 물탱크부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한 구동은 도 7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즉, 물탱크부(210)의 회전으로 물탱크부에 저면을 막고 있던 실리콘 패드가 더이상 물탱크부(210)의 드립홀(211)을 막지 못하고 물탱크부(210)의 물은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 때, 드립홀(211)의 물 중 가장 가장자리에 구비된 직수홀(213)을 통과한 물은 외주벽(310)과 내주벽(320) 사이를 통과하게 되고, 그이외의 드립홀(211)을 통과하는 물은 내주벽(320) 안쪽으로 떨어지게 된다. 즉, 직수홀(213)을 통과한 물탱크부(210)의 물은 바로 컵(260)으로 떨어지지만, 그이외의 드립홀(211)을 통과하는 물탱크부(210)의 물은 내주벽(320) 안쪽에 구비된 커피필터(370)에 구비된 커피분말(380) 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커피분말(380)을 통과한 물은 캡슐홀을 통과하여 컵(260)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 때 직수홀(213)을 통과하는 물이 내주벽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외주벽 바깥으로도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그 폭(t2)은 일정 길이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위 물탱크부(210)의 1회 회전 후 다시 회전 하는 것과 직수관을 이용하여 커피의 농도를 조절하는 것은 앞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커피드립장치의 사용상태도를 각 나타낸다.
먼저 도 12의 경우 먼저 물탱크부(10)의 드립홀(11)을 물탱크부 지지대(37)에 구비된 실리콘 패드(39)에 위치시켜 드립홀(11)을 막은 상태로 하여 위치시킨다.
다음 몸체부에 구비된 뚜껑을 개방하고 물탱크부(10)에 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담아 놓는다. 이때, 뜨거운 물을 넣을수도 있고, 찬 물을 넣을 수도 있다. 다만 찬물을 넣은 경우 도시되지 않은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 후에 커피드립장치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탱크부(10)에 뜨거운 물을 붓더라도 물탱크부(10)의 물이 실리콘 패드(39)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흐르지 않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5의 도면상 좌측 상단은 물탱크부의 평면도를, 좌측 하단은 물탱크부 지지대(37)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우측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커 피드립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각 나타낸다.
사용자가 스위치를 작동 시키면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가 구동되고 모터의 구동으로 인해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가 회전하게 된다. 종동기어의 기어산와 맞물려 있는 물탱크부의 기어산(17)에 의해 물탱크부(10) 회전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물탱크부가 회전중에 있는 경우의 도면을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는 편의상 물탱크부(10)가 180°회전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물탱크부(10)가 회전함과 동시에 물탱크부(1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구비된 드립홀(11)이 실리콘 패드(39)로부터 개방되면서 물탱크부(10)에 담겨있던 물이 드립홀(11)을 통과하여 호퍼부(20)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드립홀(11)을 통과한 물은 일부의 물만이 커피필터내부로 떨어질 뿐, 가장 가장자리에 구비된 드립홀(11)인 직수홀(13)을 통과하는 물은 커피필터(2)의 내부를 통과하지 아니하고 바로 추출홀(21)을 통과하여 컵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직수홀(13)을 구비하여 물탱크부(10)에 있는 모든 물이 커피필터(2)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이유는 모든 물이 커피필터(2)를 통과하는 경우보다 약간의 물이 직접 섞어지는 것이 커피 본래의 맛과 향을 더욱 더 잘 느낄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물탱크부가 1바퀴 회전한 경우의 상태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탱크부(10)가 1바퀴 회전하게 되면 제어부(50)에 구비된 마그네틱 센서(55)와 물탱크부(10)의 외주면에 구비된 위치결정 마그넷(55)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가 되고, 제어부(50)의 칩(53)에 기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모터(43)로의 전원공급을 끊도록 하여 더이상 물탱크부(1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물탱크부(10)의 드립홀(11)은 다시 실리콘 패드(39)에 의해 막혀 물탱크부(10)의 물은 일정시간 동안 호퍼부(20) 방향으로 흐르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렇듯, 물탱크부(10)를 계속적으로 회전시키지 아니하고 한바퀴 회전후 일정시간의 공백을 두는 이유는 한바퀴 회전으로 일정량의 물이 호퍼부(20)에 구비된 커피필터(2) 내부의 커피분말(3) 내부로 들어가는 경우 일정시간 커피분말(3)이 물을 머금고 있으면 있을수록 커피의 향과 맛을 오랫동안 머금을 수 있어 커피의 향을 더욱 많이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일정량의 물이 커피필터(2)내부로 들어가더라도 커피필터(2) 내부로 들어간 물의 대부분은 커피필터(2) 내부를 통과하여 추출홀을 통과한 후 컵(60)으로 떨어지지 않고 커피분말(3)이 머금고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물탱크부가 다시 회전하고 있는 상태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탱크부(10)가 다시 회전하게 되면 물탱크부(10)의 바닥면에 구비된 드립홀(11)을 막고 있던 실리콘 패드(39)는 물탱크 부(10)의 회전으로 더이상 드립홀(11)을 막지 못하고 물탱크부(10) 내부에 있던 물은 드립홀(11)을 통과해서 호퍼부(20) 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물탱크부(10) 내부의 물은 물탱크부(10)의 회전으로 커피필터(2)에 담겨진 커피분말(3) 방향으로 골고루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이미 커피분말(3)이 머금고 있던 물이 포화상태를 초과하게 되어 일정량의 물이 컵(60) 방향으로 흐르게 되고 다시 일정량의 물을 머금고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드립홀(11) 가장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직수홀(13)에 일정한 높이의 직수관(15)을 꽂아 놓으면 일정량 이상의 물이 직수 된 이후에는 직수관(15)을 통해 커피필터(2)를 통과하지 않고 빠져나가는 물은 더이상 생기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사람들 취향에 따라서 커피의 농도를 조절하고 싶을 경우 위 직수관(15)을 사용할 수 있는데 진한 커피를 원하는 사람은 높은 직수관(15)을, 연한 커피를 원하는 사람은 직수관이 없거나 낮은 직수관(15)을 이용하여 커피드립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커피를 추출할 때, 사용되는 방법, 시간, 물과 커피원액의 비율은 본 커피드립장치의 설계자에 의해서 얼마든지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커피드립장치 분리 했을 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에서 뚜껑과 물탱크부를 제거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물탱크부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내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제어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물탱크부와 호퍼부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절개사시도.
도 11a 및 도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호퍼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호퍼부의 다른 형태의 것이 커피드립장치에서 드립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커피드립장치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커피드립장치 10 : 물탱크부
11 : 드립홀 13 : 직수홀
13 : 직수관 17 : 기어산
19 : 위치결정 마그넷 20 : 호퍼부
21 : 추출홀 23 : 손잡이
30 : 몸체부 33 : 중앙돌출부
35 : 캡 37 : 물탱크부 지지대
39 : 실리콘 패드 40 : 구동부
41 : 전원공급장치 43 : 모터
45 : 구동기어 47 : 종동기어
50 : 제어부 51 : 스위치
53 : 칩 55 : 마그네틱 센서
60 : 컵 100 : 커피드립장치
120 : 호퍼부 123 : 추출홀
129 : 커피백 200 : 커피드립장치
210 : 물탱크부 211 : 드립홀
213 : 직수홀 220 : 호퍼부
221 : 추출홀 222 : 측벽
260 : 컵 300 : 커피드립장치용 캡슐
310 : 외주벽 320 : 내주벽
330 : 몸체부 결합수단 340 : 연결부
350, 360 : 포장용 덮개 370 : 커피필터
380 : 커피분말 390 : 캡슐홀
Claims (6)
- 커피분말을 수용하는 호퍼부;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면서 호퍼부로 물을 제공하는 물탱크부; 및상기 호퍼부로부터 추출되는 커피추출물을 수용하는 컵;을 포함하며,상기 물탱크부는, 상기 호퍼부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호퍼부에 수용되는 커피분말로 물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립홀과, 상기 호퍼부와 연결되지 않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호퍼부에 수용되는 커피분말을 회피하여 상기 컵으로 물을 직접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직수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드립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물탱크부는, 회전동작, 멈춤동작 및 회전동작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동작들을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드립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물탱크부의 외주면에는 기어산이 형성되고,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어산과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를 구동시켜 상기 물탱크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드립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물탱크부의 저면은 경사져 있고, 상기 복수의 홀은 낮은 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드립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4827A KR101018497B1 (ko) | 2009-12-15 | 2009-12-15 | 커피드립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4827A KR101018497B1 (ko) | 2009-12-15 | 2009-12-15 | 커피드립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7302 Division | 2008-12-15 | 2008-12-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9613A KR20100069613A (ko) | 2010-06-24 |
KR101018497B1 true KR101018497B1 (ko) | 2011-03-03 |
Family
ID=4236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4827A KR101018497B1 (ko) | 2009-12-15 | 2009-12-15 | 커피드립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849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1904B1 (ko) * | 2013-07-24 | 2014-03-10 | 정윤진 | 더치커피 드립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4817B1 (ko) * | 2013-04-24 | 2013-11-01 | 정윤진 | 커피 핸드드립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06668U (ko) * | 1990-02-19 | 1991-11-05 |
-
2009
- 2009-12-15 KR KR1020090124827A patent/KR10101849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06668U (ko) * | 1990-02-19 | 1991-11-05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1904B1 (ko) * | 2013-07-24 | 2014-03-10 | 정윤진 | 더치커피 드립 장치 |
WO2015012529A1 (ko) * | 2013-07-24 | 2015-01-29 | Lee Jihyun | 더치커피 드립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9613A (ko) | 2010-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5856B1 (ko) | 음료 추출 기기 및 방법 | |
US20090317526A1 (en) | Coffee brewing system | |
US6564697B2 (en) | Tea brewing method and apparatus | |
KR100897948B1 (ko) |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 |
KR101612040B1 (ko) | 자동 커피 추출장치 | |
KR100958453B1 (ko) |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 |
KR20100069615A (ko) | 커피드립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커피 포드 | |
CN104394741A (zh) | 用于冲泡饮料的方法和装置 | |
US20090202691A1 (en) | Coffee making apparatus and method | |
KR20130079630A (ko) | 음료 추출 기기 및 방법 | |
US10004354B2 (en) | Coffee making appliance for brewing coffee | |
KR20090075650A (ko) |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 |
US10542839B2 (en) | Coffee making appliance | |
KR101018497B1 (ko) | 커피드립장치 | |
CN111759174A (zh) | 自动泡茶机及其工作方法 | |
KR101638824B1 (ko) | 커피 생원두 로스팅머신 및 그 운용방법 | |
US20200323384A1 (en) | Immersion beverage maker with plunger assembly | |
JPH0710679Y2 (ja) | コーヒー製造機 | |
US20230389743A1 (en) | Coffee beverage brewing extra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stirring force | |
JPH0297355A (ja) | コーヒー淹れ器 | |
JP2000051102A (ja) | コーヒーメーカ | |
JPH06292633A (ja) | コーヒーメーカ | |
KR20160045259A (ko) | 전자동 원두커피 메이커 | |
JPH0710680Y2 (ja) | コーヒーメーカの濾過部バスケットカバー | |
KR20040076019A (ko) | 두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