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5355A -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 - Google Patents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5355A
KR20040075355A KR10-2004-7011039A KR20047011039A KR20040075355A KR 20040075355 A KR20040075355 A KR 20040075355A KR 20047011039 A KR20047011039 A KR 20047011039A KR 20040075355 A KR20040075355 A KR 20040075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ubiquinol
fat
food
f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2259B1 (ko
Inventor
야스요시 우에다
시로 기따무라
다다요시 시라이시
마사유끼 아베
다께시 가와시마
도시노리 이께하라
Original Assignee
가네가후치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가후치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가후치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5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2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14Organic oxyge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04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non-milk fats but no non-milk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9/00Cheese; Cheese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9/06Treating cheese curd after whey separation; Products obtained thereby
    • A23C19/068Particular types of cheese
    • A23C19/08Process cheese preparations; Making thereof, e.g. melting, emulsifying, sterilizing
    • A23C19/082Adding substances to the curd before or during melting; Melting sal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7/00Edible oil or fa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phase, e.g. margarines
    • A23D7/005Edible oil or fa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phase, e.g. margarine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23D7/0056Sprea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7/00Edible oil or fa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phase, e.g. margarines
    • A23D7/015Reducing calorie content; Reducing fat content, e.g. "halvar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43Liquid, semi-liquid or non-dried semi-soli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Coffee gels; Liquid coffee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2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of potatoes
    • A23L19/14Original non-roasted or non-fried potato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60Salad dressings; Mayonnaise; Ketch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23L7/111Semi-moist pasta, i.e. containing about 20% of moist; Moist packaged or frozen pasta; Pasta fried or pre-fried in a non-aqueous frying medium, e.g. oil; Packaged pasta to be cooked directly in the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2Coated, filled, multilayered or hollow ready-to-eat cere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3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oil frying of a formed cereal doug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23L7/165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involving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as an intermediate ste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9/00Puddings; Cream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9/10Puddings; Dry powder puddings
    • A23L9/12Ready-to-eat liquid or semi-liquid desserts, e.g. puddings, not to be mixed with liquids, e.g. water,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9/00Puddings; Cream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9/20Cream substitutes
    • A23L9/22Cream substitutes containing non-milk fats but no proteins other than milk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1Coating with compositions containing a majority of oils, fats, mono/diglycerides, fatty acids, mineral oils, waxes or paraff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40Foaming or whip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5/00Preserving by using additives, e.g. anti-oxidants
    • C11B5/0092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 Dairy Product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nfection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상 생활에서 통상의 식품과 동일하게 섭취함으로써, 생체에 필수 불가결함에도 불구하고 감소ㆍ부족되기 쉬운 우비퀴놀을 바람직하게 보급할 수 있는 식품, 즉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Ubiquinol-Enriched Fat-Containing Foods}
우비퀴놀은 넓게 생물계에 분포하는 벤조퀴논 유도체인 우비퀴논의 2 전자 환원체이다. 우비퀴놀 및 우비퀴논은, 미토콘드리아, 리소좀, 골지체, 마이크로솜, 페록시솜, 또는 세포막 등에 국재하며, 전자 전달계의 구성 성분으로서 ATP 생산 부활(賦活;Activation), 생체내에서의 항산화 작용, 막안정화에 관여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는 생체 기능 유지에 필수 불가결한 물질이다. 우비퀴논에 대해서는 그 비타민 기능으로부터 비타민 Q라고도 불리우고 있으며, 약해진 세포 활성을 건강한 상태로 되돌리는 영양원으로서 신체를 젊게 하는 성분이다.
생체내에서 우비퀴놀과 우비퀴논은 어떤 평형 관계에 있으며, 생체내에 흡수된 우비퀴놀/우비퀴논은 서로 산화/환원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통상 생체내에서는 우비퀴놀과 우비퀴논의 총 중량당 60 내지 90 %가 우비퀴놀로서 존재한다고 여겨지고 있다.
우비퀴논에 대해서는 식사에 의해 보급되는 한편, 생체내에서도 생합성됨으로써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우비퀴논 및 우비퀴놀의 필요량은 충족되어 있는 것 같이 보이지만, 이들 생체내에서의 함량은 연령 및 생체가 받는 여러가지 스트레스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인간 심장 중 우비퀴논의 함량은 19세 내지 21세의 경우, 110.0 ㎍/g인 데 대하여, 77세 내지 81세에서는 47.2 ㎍/g으로 반감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Kalen. A. et al., Lipids, 24, 579-584(1989)). 또한, 요독증 및 만성 혈액 투석 환자, 여러가지 알레르기 환자의 혈장 중 우비퀴논의 함량은 건강한 사람에 비하여 감소되어 있다(Triolo, L., Nephron, 66, 153-156(1994)), (Folkers, K., BioFactors, 1, 303-306(1988)). 고지혈증 환자에게서는 LDL 콜레스테롤 분획의 우비퀴논 함량이 감소되어 있다(Kontush, A., et al., Atherosclerosis, 129, 119-126(1997)). 또한, 최근 고콜레스테롤 혈장 치료제로서 범용되고 있는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제의 투여가 우비퀴논의 생합성도 저해하며, 조직에서의 우비퀴논 농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E. L. Appelkvist et al., Clinical Investigator, 71, S97-S102(1993)). 또한, 심한 운동이나 과로시 등, 생체내에서 과산화물이 생성되기 쉬운 조건하에서도 조직내 농도의 감소가 추정되고 있다.
생체내 우비퀴놀 및 우비퀴논 함량의 저하는 그 특성상 ATP 생산력의 감퇴, 심기능의 감퇴,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감퇴, 생체막의 불안정화를 초래하여 건강상 바람직하지 않다. 부족한 우비퀴놀 및 우비퀴논을 보급하는 것은 미토콘드리아에서의 에너지 생산 촉진 및 생체의 항산화능을 향상시켜 항상성을 유지하기때문에 유익하다.
우비퀴논에는, 예를 들면 심질환, 고혈압, 비만, 당뇨병, 암, 파킨슨병, 치주병, 신경 질환, 알레르기, 생식능, 운동능, 면역 기능, 피로 등의 개선이나 예방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우비퀴논 투여에 의한 심기능의 항진이 보고되어 있고[Kishi, T. et al., Clin. Investg., 71, S71-S75(1993)], 우비퀴논에 의한 울혈성 심부전, 협심증, 심근 경색 등의 심질환의 개선 효과[Singh, R. B. et al., Inter. J. Cardiology, 68, 23-29(1999), Singh, R. B. et al., Cardiovasc. Drugs Ther., 12, 347-353(1998)], 동맥 경화ㆍ고혈압ㆍ당뇨병ㆍ암ㆍ치주병ㆍ알레르기의 예방ㆍ개선 효과[Singh, RB. et al., Atherosclerosis, 148, 275-282(1999), Digiesi, V., et al., Curr. Therap. Res., 51, 668-672(1992), 기시 다쯔오, 구강 위생 학회지, 43, 667-672(1993), Shimura Y., et al., 임상과 연구, 58, 1349-1352 (1981)), 생식능 향상 효과, LDL 콜레스테롤의 산화 억제, 신장 투석 환자에게서의 투석 회수의 감소 효과, 비특이적 면역능의 증강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Stocker, et al., Mol. Aspects Med., 18, S85-S103(1997), Lippa, S., Mol. Aspects Med., 15, S213-S219(1994)). 또한, 우비퀴논은 이미 울혈성 심부전 또는 경미한 심질환에 의한 동계(palpitation), 헐떡임, 부종의 치료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일상 생활에서 저하되는 생체내 우비퀴놀 및 우비퀴논 함량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적절하게 우비퀴논을 보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노년층은 물론 젊은 사람에게서도 과도한 운동시 지적되고 있는 산화 스트레스 장해의 경우에는 우비퀴놀 함량이 저하되기 때문에, 우비퀴놀을 보급하여 생체의 항산화능을 상승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생체내 우비퀴놀 함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래적으로 우비퀴논을 보급하는 방법이 종래부터 이용되어 왔다.
상기와 같이 생체의 기능 유지에 필수 불가결하고, 일상 생활에서 감소ㆍ부족되기 쉬운 우비퀴논을 보급하는 방법으로서 정제, 캡슐제 형태로 의약으로서, 또는 보충제로서 보급하는 방법이 이미 실시되고 있지만, 부족 정도가 경미하고 의료 대상이 되지 않는 건강인, 또는 반건강인 등에게 있어 정제나 캡슐제로서 섭취하는 것보다 통상적인 식품과 동일하게 섭취하는 것이 간편하다.
식품 중의 우비퀴놀 및 우비퀴논의 함량은 통상 측정이 용이한 우비퀴논 함량으로서 측정되고 있다. 그 결과에 의하면 우비퀴논은 육류, 어류, 곡물, 야채, 과일, 계란 등 통상적인 대부분의 동ㆍ식물 유래 식품에 넓게 함유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그 함량은 쇠고기 등에서 30 ㎍/g으로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낮다. 예를 들면, 계란에서 1.5 ㎍/g, 소맥분빵에서 1.1 ㎍/g, 감자에서 0.52 ㎍/g 정도밖에 없으며, 통상적인 식사로 섭취할 수 있는 양은 1일당 3 내지 5 mg 정도이다. 또한, 우비퀴논의 경구 섭취시 흡수율이 낮아 일반적인 식품을 통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으로는 우비퀴놀 및 우비퀴논을 충분히 보충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경우, 우비퀴논을 부화한 식품을 이용하면, 생체내에서 우비퀴논과 우비퀴놀은 평형 관계에 있기 때문에 부족되기 쉬운 우비퀴놀 및 우비퀴논의 보급이 쉽게 가능해진다고 여겨지지만, 이제까지 우비퀴놀 또는 우비퀴논을 부화한 식품의 예는 거의 없다. 우비퀴논을 함유하는 식품으로서 기껏 일본 특허 공개(평)10-45614호 "혈액 응고를 저해하는 식사 요법 식품 및 의약" 등이 확인될 뿐이며, 우비퀴놀을 식품에 첨가한 예는 없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45614호에서는 우비퀴논 함량이 높은 콘배아유를 이용하여 혈액 응고를 저해하는 식사 요법 식품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 경우에는 본래 콘배아유가 함유하고 있는 우비퀴논을 이용하는 것으로, 우비퀴논을 부화하는 개념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그런데, 우비퀴놀은 생체내에서 우비퀴논과 어떤 평형 관계에 있기 때문에 이제까지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였지만, 최근 여러가지 용도에서 우비퀴논보다 유효하다는 보고가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우비퀴놀이 우비퀴논보다 경구 흡수성이 우수하다는 것(일본 특허 공개 (평)10-109933호)이나,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지혈증이나 동맥 경화증의 개선ㆍ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것(일본 특허 공개 (평)10-330251)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우비퀴놀을 부화한 식품의 섭취예는 이제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생체에 필수 불가결함에도 불구하고, 감소ㆍ부족되기 쉬운 우비퀴놀 및 우비퀴논을 보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우비퀴놀 또는 우비퀴논을 부화한 식품이 보급되지 않거나 또는 보급되기 어려운 이유로서 이하의 점에 특히 주목해야 한다.
(1) 우비퀴놀은 경구 흡수성이 높고, 또한 우비퀴논보다 유효하지만, 우비퀴놀은 불안정한 화합물로서 공기 산화를 받아 우비퀴논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우비퀴놀로서 안정하게 식품으로 부화하기 어렵다.
(2) 우비퀴논의 경구 흡수성이 낮다.
(3) 항산화 작용의 근원은 우비퀴놀이다. 즉, 우비퀴놀이 우비퀴논으로 산화되기 때문에, 산화 스트레스 장해에 있어서는 우비퀴논 부족이라고 하기보다는 오히려 우비퀴놀 부족이 된다.
(4) 우비퀴논이나 우비퀴놀을 단순히 식품에 첨가했을 경우, 이것들을 균일하게 용해 또는 분산시키기 어렵고, 또한 한번 균일하게 용해ㆍ분산시킨 경우라도 보존 중에 석출되거나, 식품 중에 국재화를 일으켜 식품의 풍미, 식감(食感) 및 외관면에서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아 만족스러운 식품을 얻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상기 (1) 및 (4)에서의 난점이 극복된다면, 우비퀴놀을 쉽게 효율적으로 보급할 수 있는 우수한 식품을 개발ㆍ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상 생활에서 통상의 식품과 동일하게 섭취함으로써 생체에 필수 불가결한 우비퀴놀을 쉽게 보급할 수 있는,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 및 그의 용도,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상 생활에서 통상의 식품과 동일하게 섭취함으로써, 생체에 필수 불가결함에도 불구하고 감소ㆍ부족되기 쉬운 우비퀴놀을 쉽게 효율적으로 보급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식품,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품의 풍미, 식감 및 외관면에서 소비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는 우수한 식품 및 그의 용도,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전부터 우비퀴놀의 기능에 흥미를 갖고 우비퀴놀을 쉽게 보급할 수 있는 식품에 대하여 예의 검토를 지속해 왔는데, 이번에 유지(油脂)의 존재하에서는 우비퀴놀을 산화로부터 바람직하게 보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식품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보존 중의 국재화를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더욱 검토를 거듭한 결과,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이 우비퀴놀을 충분히부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우비퀴놀의 안정성이나 흡수성도 높아 매우 우수한 식품이 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외관, 풍미, 식감에 있어서 소비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는 식품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외관, 풍미, 식감에 있어서 소비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는다는 것은 식품 본래의 외관, 풍미, 식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을 포함하여, 소비자가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크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낸 우비퀴놀의 특징ㆍ특성을 이용한 식품, 즉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이다.
(1) 우비퀴놀은 무미 무취이며, 식품이 본래 갖는 풍미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2) 우비퀴놀은 우비퀴논보다 경구 흡수성이 우수하다.
(3) 우비퀴놀은 우비퀴논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 것에 추가하여, 우비퀴논보다 항산화 작용,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지혈증이나 동맥 경화증의 개선ㆍ예방 등 여러가지 유효성이 있다.
(4) 우비퀴놀은 유지의 존재하에서 식품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보존 중의 국재화를 억제할 수 있다.
(5) 우비퀴놀은 공기 중에서 쉽게 우비퀴논으로 산화되지만, 유지의 존재하에서 산화로부터 바람직하게 보호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목적에 따라 이하의 특징ㆍ특성도 이용할 수 있다.
(6) 우비퀴놀은 백색의 고상 또는 무색의 액상을 형성한다. 따라서, 식품의외관(색조)을 손상시키지 않고, 무색 또는 백색 내지 담황색, 바람직하게는 무색 또는 백색 내지 유백색,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색 또는 백색의 식품에 대하여 다른 색조를 부가하지 않거나, 또는 부가하기 어렵다.
즉, 제1의 본 발명은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는 하기에 기재된 유지 함유 식품을 들 수 있다.
(1) 우비퀴논을 더 함유한다.
(2) 우비퀴놀/우비퀴논=1/2(중량비) 이상이다.
(3) 우비퀴놀 및 우비퀴논을 우비퀴논 환산으로 유지 함유 식품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50 중량% 부화한다.
(4) 유지 함유량이 0.5 중량% 이상이다.
(5) 유지에 대한 우비퀴놀의 중량비가 1 이하이다.
(6) 유지 함유 식품이 식품용 유지류, 우유, 유제품류, 소스류, 빵류, 파이류, 케이크류, 과자류, 루(roux)류, 조미액류, 빙과류, 면류, 가공 식품, 미반(米飯)류, 잼류, 통조림류 및 음료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7) 항산화성 물질 및(또는) 가식성(可食性) 색소를 더 함유한다.
(8) 항산화성 물질 및(또는) 가식성 색소가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카테킨, 레시틴, 토코페롤, 토코트리에놀, 리그난 및 카로티노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9) 무색 또는 백색 내지 담황색의 식품이다.
(10) 무색 또는 백색 내지 담황색의 식품은 식품용 유지류, 우유, 유제품류및 음료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11) 우비퀴놀은 (all-E)-이성체이다.
(12) 우비퀴놀은 그의 제조 방법이 발효법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이다.
제2의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유지 함유 식품을 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비퀴놀의 보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3의 본 발명은 유화제 및(또는) 유지를 함유하는 식재(食材)와 함께 우비퀴놀을 식품 원료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된 유지 함유 식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는 순도 0.01 % 초과의 우비퀴놀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된 유지 함유 식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개시>
본 발명은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부화한다"란, 본래 유지 함유 식품은 미량의 우비퀴놀 또는 우비퀴논을 함유하고 있지만, 이 양태를 의도하는 것은 아니며, 유효량의 우비퀴놀을 인위적으로 유지 함유 식품에 첨가함으로써 우비퀴놀이 갖는 효과ㆍ효용을 유지 함유 식품에 부가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유지 함유 식품은, 예를 들면 유지 또는 유지를 함유하는 식품에 우비퀴놀을 첨가한 것일 수도 있고, 유지를 함유하지 않는 식품에 유지와 우비퀴놀을 첨가한 것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부화하는 우비퀴놀은 실질적으로 우비퀴놀 단독일 수도 있고,또한 우비퀴논과 우비퀴놀의 혼합물로서도 제공될 수 있다.
우비퀴논은 우비퀴놀과 마찬가지로 무미 무취이며, 식품이 본래 갖는 풍미를 손상시키지 않고, 유지의 존재하에서 식품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보존 중의 국재화를 억제할 수 있다. 우비퀴논과 우비퀴놀의 혼합물로서 제공되는 경우에는, 우비퀴놀과 우비퀴논의 비율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1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1 이상의 비율로 우비퀴놀을 함유한다. 우비퀴놀의 상술한 흡수성이나 유효성을 살린다는 점에서도 상기 비율이 바람직하다. 또한, 우비퀴논은 우비퀴놀과는 달리 황색 내지 오렌지색의 고상, 또는 황색 내지 오렌지색의 액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부화하는 양에도 의존하지만, 식품에 황색 계통의 색조를 부가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기 비율이면 무색 또는 백색 내지 담황색, 바람직하게는 무색 또는 백색 내지 유백색,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색 또는 백색의 유지 함유 식품에의 바람직한 적용도 가능해져 소비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거나, 또는 주기 어렵다는 기능성의 부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유지 함유 식품은 우비퀴놀 및 우비퀴논을 우비퀴논 환산으로, 상기 유지 함유 식품의 총 중량당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0.0001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부화시킨 것이다. 상기 부화량이 총 중량당 0.0001 중량% 미만에서는 보급 목적으로는 불충분한 경우가 있으며, 50중량%를 초과한 첨가는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용해 또는 분산시키기가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지는 융점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융점이 20 ℃ 미만인 경우에는 보존 중에 고액(固液) 분리가 생겨 우비퀴놀을 균일화시키는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융점이 20 ℃ 미만인 유지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우비퀴놀을 함유하는 유지 조성물을 수중 오일형 유화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융점 20 ℃ 이상의 유지(즉, 20 ℃에서 고체인 유지)를 "고체 유지", 융점 20 ℃ 미만의 유지(즉, 20 ℃에서 액체인 유지)를 "액체 유지"라고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식품에서의 유지가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경우, 해당 혼합물의 융점이 20 ℃ 이상인 경우에는 고체 유지, 해당 혼합물의 융점이 20 ℃ 미만인 경우에는 액체 유지라고 한다.
유지의 융점은 상승 융점을 의미한다. 상승 융점은 기준 유지 분석법((사)일본 오일 화학회, 1996년도판)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우비퀴놀 및 우비퀴논의 함량은, 이것들을 함유하는 물질을 그대로 또는 분쇄, 건조 등의 적절한 전처리를 행한 후, 그 건조 중량당 예를 들면 약 10배 부피의 적절한 유기 용매,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메탄올(2/1: 부피비) 등을 이용하여 약 1 시간 정도의 교반 용해를 2 내지 3회 행한 후, 추출액의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추출유를 얻고, 이 추출유를 헥산 또는 에탄올 등에 용해한 후,제13 개정 일본 약방 해설서(히로까와 쇼뎅, 1996년)에 기재된 우비데카레논(우비퀴논의 별칭)의 정량법을 참조하여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HPLC 분석)에 의해 측정함으로써 정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으로서는, 본래 유지를 함유하고 있거나, 또는 유지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이라면 그 성분, 조성, 제조 방법, 형태, 용도 등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유지 함유 식품 중의 유지량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 중량% 이상인 것이 우비퀴놀을 고함량으로 균일하게 부화시키기 쉬워 유리하며, 우비퀴놀의 효과를 보다 잘 발휘한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지 함유 식품에 있어서, 유지에 대한 우비퀴놀의 중량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 이하가 바람직하고, 1/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3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4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 범위라면 우비퀴놀 및 우비퀴논을 안정적으로 식품 중에 부화할 수 있다.
또한, 우비퀴놀과 우비퀴논의 비율은 HPLC 분석에 의해 하기 수학식으로 표시된다.
우비퀴놀/우비퀴논의 비율=우비퀴놀의 중량/우비퀴논의 중량
본 발명의 유지 함유 식품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지로서는 식용 유지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채종유, 대두유, 해바라기 종자유, 면실유, 낙화생유, 쌀겨유, 콘유, 홍화유, 올리브유, 카폭유, 참기름, 달맞이꽃유, 팜유, 시아버터, 살버터, 카카오버터, 야자유, 팜핵유, 소맥배아유, 들깨유 등의 식물성 유지 및, 유지(乳脂), 우지, 돈지, 어유, 경유(鯨油) 등의 동물성 유지, 이것들을 분별 또는 수소 첨가, 에스테르 교환 등에 의해 가공한 식용 유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MCT): 예를 들면 6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의 트리글리세리드, 지방산의 부분 글리세리드(모노글리세리드나 디글리세리드): 예를 들면 6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의 모노글리세리드나 디글리세리드 등도 상기 유지에 포함된다. 이들 유지는 미정제유이든 정제유이든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조리 또는 후라이용에의 적용을 고려했을 경우, 170 ℃ 이상의 발연점을 갖는 유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우비퀴놀을 부화할 수 있는 유지 함유 식품의 예로서는 식품용 유지류, 우유 또는 유제품류, 소스류, 빵류, 파이류, 케이크류, 과자류, 루류, 조미액류, 빙과류, 면류, 가공 식품, 미반류, 잼류, 통조림류, 음료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식품용 유지류"란 트리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인지질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래, 동물 유래, 미생물 유래, 어패류 유래 등의 유지, 및 이들 유지를 경화, 분별, 에스테르 교환 또는 이것들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가공한 식용 정제 가공 유지, 마가린, 조제 마가린, 팻 스프레드(fat spread) 등의 마가린류, 버터류, 쇼트닝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지의 용도로서는 그대로 먹거나, 다른 식품의 가공용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식재와 함께 먹는 형태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라이용 조리유, 볶음용 조리유, 샐러드용 조리유 등의 조리유류, 스프레이유류와 같은 형태를 들 수 있다. 식품용 유지류 중에서도 보다 가공도가 높은 마가린류, 버터류, 쇼트닝류가 식품으로서 이용하기 쉬운 형태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우유 또는 유제품류"란, 우유, 특별 우유, 살균 산양유, 부분 탈지 분유, 가공유 등의 우유나, 크림, 휩 크림, 버터, 버터 오일, 치즈, 치즈 푸드 등의 치즈류, 농축 유청, 아이스크림류, 농축유, 화이트너, 무당 연유, 가당 연유, 전분유, 크림 파우더, 유청 파우더, 단백질 농축 유청 파우더, 버터 밀크 파우더, 가당 분유, 조제 분유, 발효유, 유산균 음료, 유음료 등의 유제품이나 요구르트 등의 산유(酸乳), 케피르나 쿠미스 등의 알코올 발효유 등의 발효유류 등의 이른바 우유 등 성령(省令)에 정해진 "우유", "유제품", "우유 또는 유제품을 주원료로 하는 식품"은 물론 합성 크림, 치즈형 식품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소스류"로서는 화이트 소스, 크림 소스 등의 온제 소스나 마요네즈, 샐러드 드레싱 등의 냉제 소스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빵류"로서는 식빵, 롤빵, 과자빵, 조리빵, 찐빵, 도너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파이류"로서는 애플 파이, 마론 파이, 호박 파이, 미트 파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케이크류"란, 쇼트 케이크, 롤 케이크 등의 스폰지 케이크류나 파운드 케이크, 후르츠 케이크 등의 버터 케이크류나, 슈크림, 에클레어등의 슈우 과자류나 사바린 등의 발효 과자류나 레어치즈 케이크 등의 크림 젤리 케이크류나 푸딩, 블라망제 등의 디저트 과자류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과자류"란, 일본식 과자류, 스낵 과자류, 초콜렛 및 초콜렛 과자류, 유과자류, 검류, 캔디류를 포함하고, 더욱 구체적으로 일본식 과자류로서 떡, 모란병 등의 떡류나, 호빵, 찐양갱, 시루떡 등의 찜 요리, 도라야끼, 긴쯔바, 팥빵, 월병, 카스테라 등의 구이 요리나, 양갱 등의 유동물이나, 네리끼리, 규히 등의 반죽류 등의 생과자류나, 돌의 등의 앙꼬나, 모나까 등의 과자류, 자쯔우 등의 구이 요리 등의 반생과자류나, 라꾸강 등의 반죽물이나, 설탕 과자 등의 건과자류 등을 들 수 있고, 스낵 과자류로서는 쿠키, 비스켓, 크래커, 포테이토칩, 콘칩, 프렛즐(pretzel), 너츠, 팝콘, 시리얼, 튀김 과자, 짭짤한 과자, 전병 등의 미과류 등을 들 수 있으며, 유과자류로서는 막과자 등을 들 수 있고, 검류로서는 판검, 풍선검, 당의검, 무설탕검 등을 들 수 있으며, 캔디류로서는 드롭, 브리틀 등의 하드 캔디, 캬라멜, 누가 등의 소프트 캔디, 별사탕, 젤리 등의 마른 과자에 설탕을 바른 것, 레몬 소다 과자 등의 청량 과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루류"로서는 루블란(백색 루), 루블론(크림색 루), 루블란(갈색 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조미액류"란, 식품의 조리ㆍ가공시 풍미, 보존성, 가공성 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하는 액체 전반을 가리키며, 구체적으로는 깨소금을 넣은 조미국물, 뱀장어 조미국물, 불고기 조미국물 등의 조미국물류나 피클액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빙과류"로서는 아이스크림, 샤벳, 소르베, 아이스 캔디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면류"란, 곡분을 물 등과 빚은 반죽을 성형한 것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소맥분을 주원료로 한 우동, 소면, 냉소면, 중화면 등이나, 파스타 전용분을 이용한 스파게티나 마카로니 등의 파스타, 메밀분을 이용한 면, 미분을 이용한 비흔(chinese rice noodle), 전분을 이용한 녹두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가공 식품"으로서는 햄, 소시지, 베이컨 등의 가공육 제품류, 생선묵, 꼬치 등의 수산 가공 제품류, 크로켓, 돈까스, 후라이드 포테이토, 새우 후라이 등의 후라이 식품류, 냉동 앙트레류, 축산 냉동 식품, 농산 냉동 식품 등의 냉동 식품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미반류"로서는 소위 밥을 비롯하여 고기, 생선, 야채를 섞은 밥, 볶음밥, 초밥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잼류"란, 귤, 딸기, 사과, 포도, 키위, 무화과 등의 과일, 호박 등의 야채, 발라드(ballade)의 꽃잎 등을 원료로 하여 당류와 함께 적절한 농도까지 바짝 조린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통조림류"로서는 고기, 어육, 과일, 야채나 이들 가공품 등을 캔이나 병에 채운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음료류"로서는 두유, 코코넛 밀크, 밀크 커피, 카페오레 등의 커피계 음료, 밀크 티, 차이 등의 홍차계 음료, 크림 소다, 콜라 음료 등의 탄산 음료, 레몬 과즙이 들어간 미네랄 워터 등의 가미(flavored) 워터, 스포츠음료, 각종 야채나 과일을 원재료로 한 야채 쥬스, 과즙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 예시한 유지 함유 식품 외에, 이 유지 함유 식품을 그대로 또는 도포, 토핑, 삽입, 물엿을 씌우는 것, 이겨 넣는 것 등을 포함하여 다차 가공한 것도 포함한다.
상기 유지 함유 식품 중에서도 보다 가공도가 높은, 즉 먹는 양태에 가까운 식품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식품용 유지류 중에서는 유지, 및 이들 유지를 경화, 분별, 에스테르 교환 또는 이것들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가공한 식용 정제 가공유지보다 가공도가 높은 마가린류, 버터류, 쇼트닝류가 식품으로서 이용하기 쉬운 형태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우유 또는 유제품류, 소스류, 빵류, 파이류, 케이크류, 과자류, 루류, 조미액류, 빙과류, 면류, 가공 식품, 미반류, 잼류, 통조림류, 음료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지 함유 식품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 함량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품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무색 또는 백색 내지 담황색, 바람직하게는 무색 또는 백색 내지 유백색,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색 또는 백색의 식품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점으로부터 식품용 유지류, 우유, 유제품류, 음료류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일상 생활에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음료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지 함유 식품은 우비퀴놀과 함께 항산화성 물질 및(또는) 가식성 색소가 부화될 수도 있다. 항산화성 물질 및(또는) 가식성 색소의 부화는 유지함유 식품 중에서의 우비퀴놀의 열안정성이나 광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식품의 풍미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화에 적합한 항산화성 물질 및(또는) 가식성 색소의 예로서는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카테킨, 레시틴, 토코페롤, 토코트리에놀, 리그난; 아스타크산틴, 리코핀 등의 카로티노이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것들은 시판되고 있는 항산화제나 가식성 색소 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산화성 물질 및(또는) 가식성 색소의 부화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유지 함유 식품의 총 중량당 0.001 내지 10 중량%가 바람직하고, 0.005 내지 1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0.001 중량% 미만에서는 항산화성 물질이나 가식성 색소의 첨가 효과가 불충분한 경우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한 첨가에서는 유지 함유 식품의 풍미나 외관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우비퀴놀은 합성법 또는 발효법 등 공지된 어느 방법으로든 제조될 수 있지만, 생체에 대한 안전성을 신중하게 고려하면 육류, 어류 등의 식품에 포함되는 것과 동일한 (all-E)-이성체가 바람직하며, 이 경우 그의 제조 방법이 발효법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iomedical and clinical aspect of coenzyme Q, 3, 19(1981)). 여기서, "발효법에 유래한다"란 바람직한 상기 입체 이성체가 발효법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발효법에 의해 얻어진 (all-E)-이성체의 우비퀴논 및(또는) 우비퀴놀을 그 입체를 유지한 채 산화, 환원 등의 처리에 의해 원하는 비율의 우비퀴놀로 변환시키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입체 이성체는 통상법에 의해 HPLC로 분석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우비퀴놀의 제조는 통상법으로 제조된 우비퀴논을 수소화 붕소나트륨, 아디티온산 나트륨(히드로설파이트나트륨), 아연 등의 일반적인 환원제를 사용하여 통상법에 의해 환원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 환원 후에는 정석이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농축을 행할 수도 있다. 우비퀴놀은 고체상, 액상, 결정상, 비정질상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지 함유 식품은 통상의 유지 함유 식품과 동일하게 섭취함으로써, 생체에 필수 불가결하고 감소ㆍ부족되기 쉬운 우비퀴놀을 쉽게 보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지 함유 식품의 섭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면 대상이 되는 인간의 성, 체중, 연령 등을 감안하고, 나아가 의약품 및 보충제로서의 섭취 실적을 참고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이 되는 섭취량은 통상 우비퀴논 환산으로 1 일당 0.1 내지 500 m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0 mg 정도 섭취할 수 있는 양의 유지 함유 식품을 섭취한다. 0.1 mg 미만에서는 기대하는 효과가 약한 경우가 있으며, 500 mg을 초과한 섭취에서는 효과면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비경제적인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인간 외에 개, 고양이, 말, 소, 돼지, 염소, 양, 쥐 등의 포유류나, 닭 등의 조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우비퀴놀을 유지 함유 식품의 형태로 섭취하는 것 외에, 그 섭취 방법, 용량, 섭취 빈도에 특별히 제한을 받는 경우는 없다. 본 발명의 보급 방법은 종래의 의약품이나 보충제 등에 의한 방법과 비교하여 소비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간편하게 섭취의 지속이 용이하며, 섭취량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고, 다양한 개개인의 미각 등에 관한 기호에 대응할 수 있는 것 등이 우수하다. 또한, 우비퀴놀은 이것을 단독으로 섭취하는 것보다 유지 성분과 동시에 섭취함으로써 흡수성이 좋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그러한 점에서도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을 섭취하는 것은 매우 우수한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의 제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그의 제조 공정에서 필요량의 우비퀴놀을 첨가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유지 함유 식품에 우비퀴놀을 첨가하는 경우, 우비퀴놀은 고체 상태든 분산 상태를 포함하는 액체 상태든 사용할 수 있지만, 관리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액체 상태가 보다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용매나 분산매를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식용 유화제 및(또는) 유지를 포함하는 식재,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지를 포함하는 식재와 함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가온하여 우비퀴놀을 응어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첨가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분히 첨가 교반한 것을 유지 함유 식품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우비퀴놀 함유 조성물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유지 함유 식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해당 식품의 제조 중 어느 과정에서든 상기 조성물을 첨가ㆍ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지 함유 식품이 음료수인 경우에는 우비퀴놀을 유화물, 예를 들면 W/0 유화물이나 0/W 유화물로서 첨가해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쉽게 우비퀴놀을 고함량으로 균일하게 함유하는 유지 함유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지 함유 식품의 제조에 사용하는 우비퀴놀을 첨가한 유화제 및(또는) 유지를 포함하는 식재에 있어서, 우비퀴놀이 완전히 용해되어 있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유지 함유 식품의 바람직한 풍미, 식감, 외관 및 보다 높은 흡수성을 얻거나, 또는 통상 보존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우비퀴놀이나 우비퀴논의 석출 및 국재화를 피하기 위해 우비퀴놀이 완전히 용해되어 있거나, 또는 미세 유탁액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체 상태의 우비퀴놀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유지 함유 식품을 제조하는 경우, 어느 공정에서든 우비퀴놀을 첨가할 수 있지만, 유지 함유 식품 중의 우비퀴놀의 분포가 균일하고, 풍미, 식감, 외관이 양호하기 위해서는 유화제 및(또는) 유지를 함유하는 재료를 첨가하는 공정, 또는 그 이후의 공정에 있어서 우비퀴놀을 첨가ㆍ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유지를 포함하는 식재로서는 유지 함량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식품용 유지류, 우유 및 유제품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합성 또는 천연의 것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유기산 모노글리세리드,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축합 리시놀레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나 효소 분해 레시틴, 수소 첨가 레시틴을 포함하는 레시틴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지 함유 식품에 우비퀴놀과 함께 상기 항산화성 물질 및(또는) 가식성 색소를 부화하는 경우, 그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우비퀴놀을 함유하는 상기 조성물과 함께 혼합 교반하여 균일화할 수도 있다. 또한, 항산화성 물질이나 가식성 색소를 미리 용매나 분산매, 바람직하게는 유화제 및(또는) 유지를 포함하는 식재,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지를 포함하는 식재,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화제 및(또는) 유지, 가장 바람직하게는 유지에 첨가ㆍ교반함으로써 균일화시킨 후, 그대로 또는 유지 함유 식품에 첨가함으로써 부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우비퀴놀을 유지류에 가열 용해한 후, 냉각하여 균일화한 유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식품을 제조함으로써 우비퀴놀의 국재화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유지에의 용해도 이상으로 우비퀴놀을 부화하는 경우, 고체 유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열 용해한 후에 냉각 조작에 의해 고화하거나 또는 반죽 혼합에 의한 가소화, 또는 수중 유형 유화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는 고체 유지 및 우비퀴놀의 융점 이상이 바람직하며, 50 내지 70 ℃가 보다 바람직하다. 냉각 조작은 균일성을 높이기 위해 급냉 조건하에서 20 ℃ 이하로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화 및 가소화한 유지 조성물은 무수물일 수도 있고, 오일 중 수형 유화물일 수도 있다. 모두 연속상인 고체 유지 중에 우비퀴놀을 편중없이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상 사용되는 유화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한편, 유지에의 용해도 이상으로 우비퀴놀을 부화하는 경우, 액체 유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열 용해한 후에 냉각 조작에 의해 수중 유형 유화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는 우비퀴놀의 융점 이상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70 ℃가 보다 바람직하며, 냉각 조작에 의해 신속히 10 ℃ 이하로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중 유형 유화물로 함으로써 연속상인 수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오일 방울 중에 우비퀴놀을 편중없이 함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중 유형 유화물에 통상 사용되는 유화제나 증점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수중 유형 유화물이 아니라 액체 유지 단독의 유지 조성물인 경우, 냉각 직후 우비퀴놀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지만, 시간의 경과와 함께 고액 분리가 진행되어 우비퀴놀의 편중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특히, 빵, 구운 과자 등의 소맥분 이용 식품의 제조에 있어서는 반죽해 넣는 특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고체 유지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가소성 유지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을 수상측으로 첨가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액체 유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유지 함유 식품은 우비퀴놀 및 상기 항산화성 물질 및(또는) 가식성 색소 이외에, 우비퀴놀의 용해성, 안정성, 흡수성 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식품에 첨가되는 첨가물을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타민 A, 비타민 D 등의 비타민류, 식염 등의 무기염, 당, 아스파테임(aspartame) 등의 인공 또는 합성 감미료, 유단백질 등의 식용 단백질, CMC 등의 증점제, 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등의 항산화제, 소르브산 및 그의 칼륨염, 벤조산 및 그의 나트륨, 칼륨염 등의 보존료, 과실, 초콜렛 등의 첨가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제조에 사용하는 우비퀴놀은 그 순도에 의해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으며, 순도 0.01 % 초과, 바람직하게는 1 %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초과일 수 있다. 또한, 정제품(精製品) 외에 조정제품(粗精製品)으로도 사용할수 있다. 부화하는 우비퀴놀이 안전하면 정제품일 필요는 없다.
조정제품의 예로서는 정석, 용매 추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에 의해 부분 정제된 제품을 들 수 있다. 또는, 조정제품의 일례로서 미생물 균체에 포함되는 우비퀴놀을 사용할 수도 있다. 우비퀴놀을 함유하는 미생물의 예로서는 효모, 사상균, 세균, 해조류 원생 동물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칸디다속 (Candida), 로도토룰라속(Rhodotorula), 트리코스포론속(Trichosporon), 아스퍼길루스속(Aspergillus), 모나스커스속(Monascus), 로이코스포리듐속 (Leucosporidium), 게오트리컴속(Geotrichum), 슈도모나스속(Pseudomonas), 아크로모박터속(Acromobacter), 글리코노박터속(Gliconobacter), 패킬로마이세스속 (Paecilomyces), 아크레모늄속(Acremonium), 우스틸라고속(Ustilago), 카에토뮴속 (Chaetomium), 플라보박테리움속(Flabobacterium), 로도스필럼속(Rhodospilum), 로도슈도모나스속(Rhodopseudomonas), 아그로박테리움속(Agrobacterium), 아세토박터속(Acetobacter), 알칼리게네스속(Alcaligenes), 프로토모나스속(Protomonus), 하이포모나스속(Hyphomonus), 올리고모나스속(Oligomous), 프로타미노박터속 (Protaminobacter), 수피룰리나속(Supirulina) 등에 속하는 미생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우비퀴놀은 동식물을 비롯하여 많은 식품 중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이며, 안전성은 확인되어 있다. 조정제품 또는 우비퀴놀을 함유하는 균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살균 등을 행하여 안전 위생상 식품으로서 유해한 물질이 혼입되지 않는 방법을 강구하거나, 균체를 파쇄시키는 등 흡수성 향상 방법을 강구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유지 함유 식품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의 유지 함유 식품의 제조 방법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리유는 식용 유지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지, 예를 들면 채종유, 대두유, 해바라기 종자유, 면실유, 낙화생유, 쌀겨유, 콘유, 홍화유, 올리브유, 카폭유, 참기름, 달맞이꽃유, 팜유, 시아버터, 살버터, 카카오버터, 야자유, 팜핵유 등의 식물성 유지, 및 유지(乳脂), 우지, 돈지, 어유, 경유 등의 동물성 유지, 이것들을 분별, 수소 첨가, 에스테르 교환 등에 의해 가공한 유지,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MCT): 예를 들면 6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의 트리글리세리드, 지방산의 부분 글리세리드(모노글리세리드나 디글리세리드): 예를 들면 6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의 모노글리세리드나 디글리세리드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그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가온 용해하고, 교반하면서 목적량의 우비퀴놀을 응어리가 생기지 않도록 천천히 첨가 용해한 후, 냉각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유는 상기 조리유 제조에 사용하는 유지와 동일한 식용 유지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스프레이유에 풍미를 부여하기 위해 유용성(油溶性) 향료, 유용성 비타민, 시즈닝 오일, 보존료 및 기타 식재, 예를 들면 소금, 축육, 가금육, 어패류, 크림, 버터, 치킨, 양파, 마늘, 나륵풀 등을 통상의 믹서로 혼합 또는 용해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스프레이유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버터의 제조는 우유로부터 통상법에 의해 제조된 크림분을 통상법에 의해 처닝(churning)하면서 목적량의 우비퀴놀 분말, 또는 식용 유지에 균일하게 용해 또는 분산시킨 우비퀴놀을 서서히 첨가 교반한 후, 얻어진 버터 입자를 냉수로 세정한 후, 식염을 2.5 % 정도 첨가하고 다시 반죽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마가린류나 쇼트닝류는 일반적인 마가린류, 쇼트닝류의 제조에서 사용되는 유지와 우비퀴놀을 함께 혼합ㆍ용해ㆍ교반하고, 필요에 따라 유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적인 식용 유지와 우비퀴놀을 용해한 식용 유지 및 물, 유화제,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첨가하여 유화 탱크에서 60 ℃로 유화한 후, 15 ℃까지 급냉 반죽 혼합함으로써 마가린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통상적인 식용 유지와 동시에 미분말화한 정제 우비퀴놀, 또는 조정제의 우비퀴놀을 첨가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마가린을 얻을 수도 있다. 한편, 예를 들면 통상적인 식용 유지에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를 첨가하고, 60 ℃에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약 20 분간 유화한 후, 15 ℃로 급냉 반죽 혼합함으로써 쇼트닝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 크림의 제조는 목적량의 상기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와 유채씨 경화유, 야자 경화유 등의 고융점 유지, 유화제를 70 ℃ 정도에서 교반하여 가온 용해한 유상부(油相部) 를, 탈지유, 용해염, 유화제 등을 첨가하여 70 ℃ 정도로 가온 유화한 수상부(水相部)에 첨가하고, 65 ℃ 정도로 유지하면서 예비 유화하여 이 혼합물을 균질기에 통과시켜 가압 균질화하고, 살균 처리한 후 압력으로 균질화한 후, 5 ℃ 정도까지 냉각한 후, 5 ℃에서 24 시간 정도 숙성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축유의 제조는 목적량의 상기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와, 무지방유 고형 성분, 정미성 무지방유 성분, 증점제, 유화제를 물에 용해한 수상부를 합쳐서 균질기로 유화시킨 후, 멸균 처리하여 균질화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이트너류의 제조는 목적량의 상기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와 유화제를 혼합, 유화한 유상부와, 탈지 분유, 용해염, 증점제, 유화제, 감미제, 비타민류, 항산화제 등을 첨가하여 용해한 수상부를 교반하여 예비 유화한 후, 가압하에서 균질화함으로써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샐러드 드레싱의 제조는 첨가하는 유지로서 목적량의 상기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를 사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요네즈의 경우, 식초, 식염, 설탕, 조미료, 물의 적당량을 혼합기 등으로 교반 혼합하여 얻어지는 수상부에, 상기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와 난황 등의 유화제를 첨가하여 혼합한 유상부를 조금씩 첨가하면서 교반하여 예비 유화한 후, 콜로이드 밀 등을 이용하여 마무리 유화를 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드레싱에 사용되는 식용 유지, 및 다른 성분과 함께 고체상의 우비퀴놀을 첨가하여 교반 유화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클액의 제조는 첨가하는 유지로서 상기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를 사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피클액의 제조에 사용되는 식용 유지, 및 다른 성분과 함께 고체상의 우비퀴놀을 첨가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60 ℃까지 가온ㆍ교반한 유화제를 용해한 수상부에, 상기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와 유화 안정제를 60 ℃에서 가온 교반하여 제조한 유상부를 서서히 첨가하여 조유화한 후, 유화액의 온도를 50 ℃ 이하로 낮추고 나서 압력식 균질기 등의 균질기로 미세 유화한다. 그 후, 플레이트 쿨러 등의 열교환기로 급속 냉각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콜렛의 제조는 과자용 초콜렛과 목적량의 고체 또는 상기 식용 유지에 용해된 우비퀴놀을 혼합한 후, 중탕으로 천천히 40 내지 50 ℃로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한 후, 30 내지 32 ℃까지 냉각하고 형틀에 유동시켜 고화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빵류, 케이크류, 파이류, 쿠키류의 제조는 그 제조 방법에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일반적인 빵류, 케이크류, 파이류, 쿠키류의 제조에 있어서 유지를 첨가하는 과정에서 목적량의 상기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를 일부 또는 전량 치환하여 첨가함으로써, 또는 상기 우비퀴놀을 부화한 마가린, 쇼트닝을 일부 또는 전량 치환하여 첨가함으로써, 또는 일반적인 유지와 동시에, 또는 오일 성분을 함유하는 식재와 함께, 고체상 또는 균체에 포함되는 우비퀴놀을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우비퀴놀을 부화한 빵류의 유지 함량은, 빵의 총 중량당 유지로서 0.5 내지 40 %의 첨가가 바람직하다. 0.5 % 미만 및 40 % 초과에서는 빵으로서의 풍미, 식감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루류의 제조는 일반적인 루의 제조에 있어서, 유지를 첨가하는 과정에서 목적량의 상기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를 일부 또는 전량 치환하여 첨가함으로써, 또는 상기 우비퀴놀을 부화한 마가린류, 쇼트닝류를 일부 또는 전량 치환하여 첨가함으로써, 또는 일반적인 유지와 동시에, 또는 오일 성분이 풍부한 식재와 함께, 고체상 또는 균체에 포함되는 우비퀴놀을 첨가하고, 다른 식재, 첨가제를 사용하여 이들을 혼합한 형태로 가열 처리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가열 처리 방법으로서는 포화 수증기에 의한 처리, 가압 가열 처리, 로우스트(roast) 처리, 오일을 이용한 로우스트 처리를 포함하는 상압에 의한 가열 처리 등, 어느 방법으로든 행할 수 있지만, 오일을 이용한 로우스트 처리가 간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루에 색조를 주지 않을 때에는 110 ℃ 내지 120 ℃에서 단시간, 크림색으로 착색시키는 경우에는 최종 온도 140 내지 150 ℃를 목표로, 갈색 루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최종 온도가 190 ℃가 되도록 충분히 볶음으로써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면류의 제조는 일반적 면류의 제조에 있어서, 유지를 첨가하는 과정에서 목적량의 상기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를 일부 또는 전량 치환하여 첨가함으로써, 또는 상기 우비퀴놀을 부화한 마가린류, 쇼트닝류를 일부 또는 전량 치환하여 첨가함으로써, 또는 일반적인 유지와 동시에, 또는 오일 성분을 함유하는 식재와 함께, 고체상 또는 균체에 포함되는 우비퀴놀을 첨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선 본 발명의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가열, 용해하여 유상부를 제조하고, 별도로 물, 당류 등을 첨가하여 가열하여 제조한 수상부를 혼합한 후, 호모 믹서 등의 혼합기로 유화하고, 다시 교반ㆍ혼합하면서 냉각하여 유화시켜 얻어지는 유화액을 소맥분류와 혼합한 후, 반죽을 재우고, 롤 압연 후 이를 끊어 생면을 얻고, 그것을 건조 또는 데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후라이 식품류의 제조는, 본 발명의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 또는 본 발명의 우비퀴놀을 부화한 조리유, 또는 본 발명의 우비퀴놀을 부화한 쇼트닝류를 고온, 예를 들면 150 ℃ 내지 220 ℃에서, 예를 들면 크로켓, 새우, 돈까스 등의 식재를 후라이함으로써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치즈 푸드 및 치즈형 식품의 제조는, 본 발명의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일반적인 치즈 푸드 및 치즈형 식품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상적인 제조 방법에서 유지를 첨가하는 시기에 본 발명의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를 단독으로, 또는 다른 일반적인 유지와 배합하여 첨가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천연 치즈, 또는 가공 치즈와 본 발명의 우비퀴놀을 부화한 식용 유지 조성물과 식염, 용해염, 물의 소정량을 스테판 쿠커 등의 용기에 투입하고, 증기를 투입하면서 가온 혼합 반죽한 후 냉각함으로써 우비퀴놀을 부화한 치즈 푸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치즈 가공 식품의 경우, 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51 % 미만의 자연 치즈 또는 가공 치즈 및 본 발명의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 식염, 폴리인산나트륨 등의 용해염, 및 물의 소정량을 스테판 쿠커 등의 용기에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직접 증기를 투입하여 가온, 용융, 혼합 반죽한 후, 용기에 넣어냉각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미테이션 치즈의 경우, 용기에 물, 용해염, 식염을 가온 용해한 후, 렌네트 카세인, 탈지 분유 등의 탈지 단백질, 쌀 전분, 옥수수 전분, 아라비아 고무, 카라기난 등의 증점제를 첨가하여 가열 교반하고, 산미제 등과 물을 더 첨가하여 가열 교반한 후, 본 발명의 우비퀴놀을 부화한 식용 유지 조성물을 첨가하고, 더욱 가열 교반하고, 치즈 플레이버(flavor), 착색료, 항산화제 등을 첨가하여 혼련하고, 마지막으로 고압 균질기로 균질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류의 제조는 본 발명의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유화제 및(또는) 식용 유지를 균일하게 분산, 유화 또는 용해시킨 후, 음료 원료에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음료 원료로서는 우유, 특별 우유, 살균 산양유, 가공유, 커피 음료, 홍차 음료, 과즙 음료, 탄산 음료, 과실 음료, 유성 음료, 야채 쥬스, 두유, 코코넛 밀크, 크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에 있어서,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를 사용하는 경우, W/0형 유화물로 한 후, 그대로 또는 음료 원료에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며,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유화제를 사용하는 경우, 0/W형 유화물로 한 후, 그대로 또는 음료 원료에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유화물의 제조시에는 바람직한 유화물을 제조하기 위해 적절하게 글리세린 등의 다른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유화물의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물에 유화제, 유화 안정제, 친수성 산화 방지제를 첨가하고, 교반에 의해 수중에 분산시킨 후 가온 용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 중에 유화제와 친유성 항산화제를 첨가하고, 교반에 의해 오일 중에 분산시킨 후 가온 용해한다. 유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상에 유상을 첨가하여 교반이나 압력에 의해 기계적으로 유화하는 방법이나, 막이 미세한 공극으로부터 수상 중에 유상을 압출 유화하는 막유화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어떠한 방법으로든 충분한 성능을 갖는 유화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유화물은 그대로 유화물 함유 음료에 사용할 수도 있지만, 유화물 상태로 장기간 보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살균을 행할 수도 있다. 살균에 요하는 온도, 유지 시간 등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pH가 중성인 경우에는 120 내지 140 ℃에서 4 내지 30 초의 UHT 살균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균된 유화물은 무균 용기에 무균적으로 충전하여 냉장 상태로 보존된다. 음료 원료에의 유화물의 혼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화물 함유 음료 중에 1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 함유된다. 1 % 미만에서는 균일계의 유지가 어렵고, 80 %를 초과하면 풍미나 비용면에서 현실적이지 못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유화물 함유 음료는 필요에 따라 pH를 조절하여 항균제, 감미료를 첨가한 후, 캔, 병, 파우치 등의 가열 살균이 가능한 용기에 충전, 밀봉한 후, 120 내지 126 ℃에서 15 내지 60 분의 레토르트 살균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식품에 있어서도 그의 제조 방법에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일반적인 제조에 있어서 유지를 첨가하는 과정에서 목적량의 상기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를 일부 또는 전량 치환하여 첨가함으로써, 또는 상기 우비퀴놀을 부화한 마가린류, 쇼트닝류를 일부 또는 전량 치환하여 첨가함으로써, 또는 일반적인 유지와 동시에, 고체상 또는 균체에 포함되는 우비퀴놀을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목적량의 상기 우비퀴놀을 용해ㆍ분산시킨 유화제 및(또는) 식용 유지를 일부 또는 전량 치환하여 첨가함으로써, 또는 상기 우비퀴놀을 부화한 마가린, 쇼트닝을 일부 또는 전량 치환하여 첨가함으로써, 또는 일반적인 유지와 동시에, 고체상 또는 균체에 포함되는 우비퀴놀을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지 함유 식품의 제조 및 보관은, 질소 분위기하나 탈산소제의 공존 등 탈산소 분위기하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제조예, 실시예, 참고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부", "%"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모두 중량 기준이다.
우비퀴놀과 우비퀴논은 하기 HPLC 분석에 의해 정량하였다.
(HPLC 분석 조건)
칼럼: SYMMETRY C18(Waters 제조)
250 mm(길이) 4.6 mm(내경)
이동상: C2H5OH:CH3OH=4:3(v:v)
검출 파장: 210 nm
유속: 1 ㎖/분
우비퀴놀의 유지 시간: 9.1 분
우비퀴논의 유지 시간: 13.3 분.
<제조예 1>
100 g의 우비퀴논(가네까후찌 가가꾸 고교(주) 제조)을 25 ℃에서 1000 g의 헵탄에 용해시켰다. 교반(교반 소요 동력 0.3 kW/m3)하면서 환원제로서 차아황산나트륨(순도 75 % 이상) 100 g에 1000 ㎖의 물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수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25 ℃에서 pH 4 내지 6으로 환원 반응을 행하였다. 2 시간 후, 반응액으로부터 수층을 제거하고, 탈기한 포화 식염수 1000 g으로 헵탄층을 6회 수세하였다. 이 헵탄층을 교반(교반 소요 동력 0.3 kW/m3)하면서 2 ℃까지 냉각하여 백색의 슬러리를 얻었다. 또한, 이상 모든 조작은 질소 분위기하에서 실시하였다. 얻어진 슬러리를 감압 여과하고, 습결정을 냉헵탄, 냉에탄올, 냉수, 냉에탄올, 냉헵탄으로 순서대로 세정(세정에 사용한 냉용매의 온도는 2 ℃)하고, 습결정을 감압 건조 (20 내지 40 ℃, 133 내지 4000 Pa)함으로써 백색의 건조 결정 93 g을 얻었다(수율 92.8 몰%, 순도 99.3 %). 얻어진 결정의 우비퀴놀/우비퀴논의 비율은 99.6 /0.4였다. 또한, 얻어진 우비퀴놀 및 우비퀴논의 입체를 통상법에 의해 HPLC로 분석했더니 모두 (all-E)-이성체였다.
<제조예 2>
사이토엘라ㆍ콤플리카타(Saitoella complicata) IFO 10748을 배지(펩톤 5 g, 효모 엑기스 3 g, 말트 엑기스 3 g, 글루코스 20 g/ℓ, pH 6.0)에서 25 ℃로 72 시간 호기적으로 배양하였다. 얻어진 균체를 질소 가스로 밀폐한 라니사 제조의 압력식 균질기에 의해 파쇄 압력 80 MPa로 2회 파쇄하여 균체 파쇄액을 제조하였다. 이 균체 파쇄액으로부터 이소프로판올 30 용량부, 헥산 40 용량부의 비율로 추출을 3회 반복함으로써 추출액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액을 헥산 용액으로 치환하고, 실리카 겔을 충전한 칼럼에 흡착시켜 n-헥산/디에틸에테르(9/1) 용액으로 전개, 용출하여 우비퀴놀을 포함하는 획분을 얻었다. 또한, 이 획분을 교반하면서 2 ℃까지 냉각하여 슬러리를 얻었다. 이상 모든 조작은 질소 분위기하에서 행하였다. 얻어진 슬러리를 감압 여과하고, 습결정을 상기 전개액으로 세정하고(세정에 사용한 용매의 온도는 2 ℃), 습결정을 감압 건조(20 내지 40 ℃, 133 내지 4000 Pa)함으로써 건조 결정을 얻었다. 얻어진 결정의 우비퀴놀/우비퀴논의 비율은 9/1이고, 순도는 89 %였다. 또한, 얻어진 우비퀴놀 및 우비퀴논의 입체를 통상법에 의해 HPLC로 분석했더니 모두 (all-E)-이성체였다.
<실시예 1> 우비퀴놀을 부화한 조리유의 제조
5 ℓ 부피의 비이커 내에 대두유(상품명: 대두 골든 샐러드유, 요시하라 세유(주) 제조) 999 g을 넣고 실온에서 천천히 교반하면서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1 g을 응어리가 생기지 않도록 조금씩 첨가하고, 이어서 천천히 교반ㆍ용해함으로써 우비퀴놀을 약 1 % 부화한 조리유를 얻었다. 얻어진 오일은 투명하고, 풍미도 양호하여 후라이유, 볶음유로서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또한, 대두유 대신에 채종유, 대두 경화유, 해바라기 종자유, 면실유, 낙화생유, 쌀겨유, 콘유, 홍화유, 올리브유, 카폭유, 참기름, 달맞이꽃유, 팜유, 시아버터, 살버터, 카카오버터, 야자유, 팜핵유, 소맥배아유, 들깨유, 유지, 우지, 돈지, 어유 및 경유를 사용함으로써 각각 우비퀴놀을 부화한 조리유를 얻었다.
<실시예 2> 마가린의 제조
5 ℓ 부피의 비이커 내에 경화 면실유 조성물(상품명: 스노라이트, 가네까후찌 가가꾸 고교(주) 제조) 98 부와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2 부를 60 내지 65 ℃에서 가온하면서 천천히 교반 용해하여 얻은 유지 조성물 83.5 부 및 물 16.5 부를 60 내지 65 ℃로 유화 탱크에서 15 분간 교반 유화한 후, 15 ℃로 급냉 혼합 반죽하여 풍미적으로도 물성적으로도 문제가 없는 우비퀴놀을 부화한 마가린을 얻었다. 또한, 10 ℃ 급냉 혼합 반죽 후 레스트 튜브를 통과시켜 시트 성형기로 우비퀴놀을 부화한 접어 넣는 마가린을 얻었다.
<실시예 3> 팻 스프레드의 제조
수상 성분으로서 젤라틴 2 부, 식염 1.5 부, 물 44 부를 60 ℃로 가온하였다. 유상 성분으로서 60 ℃로 가온한 대두 경화유 25 부, 대두유 15 부,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0.5 부, 모노스테아레이트 0.3 부, 레시틴 0.2 부, 비타민 A 0.02 부, β-카로틴 0.002 부, 토코페롤 0.3 부를 혼합하여 60 ℃로 가온한 후, 교반하면서 수상 성분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물을 얻었다. 또한, 이 유화물을 콤비네이터로 급속하게 냉각한 후, 우비퀴놀을 부화한 팻 스프레드를 얻었다. 이 팻 스프레드는 통상의 팻 스프레드와 비교하여 성상, 안정성 모두 큰 차이가 없고, 입맛도 매끄러우며 풍미도 양호하였다.
<실시예 4> 쇼트닝의 제조
경화 대두유(mp 40 ℃) 60 %, 팜유 20 %, 콘유 20 %로 이루어지는 유지조성물 40 부, 유채씨유 40 부,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0.5 부, 레시틴 0.3 부, 모노스테아레이트 0.3 부를 첨가하여 60 ℃에서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15 분간 유화한 후, 15 ℃로 급냉 반죽 혼합하여 풍미적으로 문제가 없는 우비퀴놀을 부화한 쇼트닝을 얻었다. 또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우비퀴놀 대신에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우비퀴놀(우비퀴놀/우비퀴논의 비율 9/1)을 사용함으로써 동일하게 하여 우비퀴놀을 부화한 쇼트닝을 얻었다.
<실시예 5> 식빵의 제조
소맥분 70 부에 이스트 2 부, 이스트 푸드 0.1 부, 이어서 물 40 부를 첨가하고 믹서로 혼합하여 중종(中種) 반죽을 만들고(반죽 온도 24 ℃), 4 시간 예비 발효시킨 후, 소맥분 30 부, 설탕 5 부, 실시예 2에서 얻은 우비퀴놀을 강화한 마가린 6 부, 식염 2 부, 탈지 분유 3 부, 물 23 부를 첨가하여 반죽물을 제조한 후, 플로어 타임 25 분 후 분할하고, 벤치 타임 25 분 후 성형하여 제빵 건조기 38 ℃ㆍ50 분, 소성 180 ℃ㆍ35 분으로 식빵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식빵은 풍미, 색조 모두 양호하였다.
<실시예 6> 식탁 롤빵의 제조
강력분 70 부, 상백당 2 부, 이스트 2.5 부, 이스트 푸드 0.1 부, 물 40 부를 혼합하고, 4 분간 반죽 온도 24.5 ℃로 반죽한 후, 30 ℃하에서 3 시간 발효시켜 중종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강력분 20 부, 박력분 10 부, 상백당 10 부, 식염 1.6 부, 탈지 분유 3 부, 실시예 2에서 얻은 우비퀴놀을 강화한 마가린 15 부를 첨가하고, 전란 12 부, 물 6 부를 첨가하여 6 분 28 ℃가 되도록 반죽하고, 실시예2에서 얻은 우비퀴놀을 강화한 마가린 15 부를 첨가하여 5 분간 더 반죽한 후, 실온에서 플로어 타임 40 분으로 발효하여 분할하고, 벤치 타임 10 분 후 성형하여 제빵 건조기 38 ℃ㆍ50 분, 소성 245 ℃ㆍ11 분으로 식탁 롤빵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식탁 롤빵은 풍미, 색조 모두 양호하였다.
<실시예 7> 크루아상의 제조
믹서 볼에 강력분 80 부, 박력분 20 부, 상백당 5 부, 식염 1.8 부, 전란 5 부, 탈지 분유 3 부, 이스트 5 부, 이스트 푸드 0.1 부, 물 58 부를 첨가하여 저속 2 분간, 중고속 3 분간 믹싱하였다. 여기에 쇼트닝 5 부 및 제조예 2에서 얻어진 우비퀴놀 5 부를 첨가하여 저속 2 분간, 중고속 5 분간 믹싱하였다. 반죽 온도는 25 ℃로 하였다. 플로어 타임을 30 분 취한 후, 1 ℃의 항온조에 반죽을 넣어 3 시간 리드 타임을 취하였다. 실시예 2에서 얻은 슬라이스용 부화한 접어넣는 마가린 60 부를 첨가하여 4번 접기를 2회 행하고, 1 ℃의 항온조에서 3 시간 재워 중간 리타드를 취하였다. 중간 리타드 후, 시터(sheeter)로 게이지 2.5 mm까지 늘려 크루아상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35 ℃의 제빵 건조기에 50 분간 넣은 후, 200 ℃의 오븐에서 12 분간 소성하여 맛도 좋고, 식감도 양호한 크루아상을 얻었다.
<실시예 8> 파운드 케이크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은 우비퀴놀을 강화한 마가린 405 g과 상백당 405 g을 투입 비중 0.65까지 반죽하고, 전란 405 g을 5회로 나누어 첨가 혼합하였다. 그 위에 체로 거른 박력분 450 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파운드형으로 반죽을 500 g 넣고, 240 ℃에서 33 분간 소성하여 파운드 케이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파운드 케이크의 맛, 식감은 양호하였다.
<실시예 9> 파이의 제조
믹서 볼에 강력분 55 부, 박력분 45 부, 식염 1.8 부, 물 50 부를 넣어 저속2 분간, 중고속 8 분간 믹싱하였다. 또한, 쇼트닝 5 부와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0.2 부를 첨가하여 저속 2 분간, 중고속 5 분간 믹싱하고, 반죽 온도 20 ℃로 하여 반죽하였다. 플로어 타임을 30 분 취한 후, 1 ℃의 항온조에 반죽을 넣고 3 시간 리드를 취하였다. 접어넣는 유지를 첨가하여 4번 접기를 1회, 3번 접기를 1회 행하고, 1 ℃의 항온조에서 2 시간 재워 중간 리타드를 취하였다. 중간 리타드 후, 다시 4번 접기를 1회, 3번 접기를 1회 행하고, 반죽을 1 ℃의 항온조 중에서 재운 후 성형하였다. 성형은 시터로 게이지 3.5 mm까지 늘려 10 cm각의 정방 형상으로 하고 피케(pique)를 넣었다. 이어서, 래크 타임 30 분 정도 후, 200 ℃의 오븐에서 20 분간 소성하여 파이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대신에 제조예 2에서 얻은 균체 파쇄액을 사용함으로써 동일하게 하여 우비퀴놀을 부화한 파이를 얻었다.
<실시예 10> 쿠키의 제조
박력분 600 g, 상백당 250 g, 실시예 2에서 얻은 우비퀴놀을 강화한 마가린 240 g, 가당연유 30 g, 식염 3 g을 적당히 부드러워질 때까지 교반 유화한 후, 탄산암모늄 4 g을 물 30 g에 풀어 첨가하고 중속으로 서서히 유화하며, 이어서 체에 거른 박력분 600 g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반죽을 정돈하여 하룻밤 재운 후, 시터로 5 mm 두께로 연장시켜 직경 4 cm의 국화형으로 뽑아 상부판에 나란히 하고, 220 ℃에서 10 분간 소성하여 쿠키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쿠키의 맛, 식감은 모두 양호하였다.
<실시예 11> 휩 크림의 제조
상승 융점 34 ℃의 유채씨 경화유 70 부와 상승 융점 32 ℃의 야자 경화유 30 부로 이루어지는 혼합 유지에 유화제로서 합성 디글리세롤스테아레이트 0.8 부, 대두 레시틴 0.6 부, 유채씨유 30 부,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을 오일 온도 70 ℃에서 첨가 용해하여 유지 조성물을 얻었다. 별도로 탈지유 54.9 부에 헥사메탈린산나트륨 0.1 부를 첨가하여 55 ℃까지 교반하면서 가온하였다. 이 탈지유 중에 상기 유화제 첨가 유지 조성물 45 부를 첨가하여 교반 용해하고, 65 ℃로 유지하면서 예비 유화하고, 이 혼합물을 균질기에 통과시켜 1회째 80 kg/cm2, 2회째 20 kg/cm2의 압력으로 균질화한 후, 95 ℃에서 15 초간 살균 처리하고 플레이트식 냉각기를 이용하여 5 ℃까지 더 냉각한 후, 5 ℃의 항온기 중에서 24 시간 숙성시켜 우비퀴놀을 부화한 기포성 합성 크림을 얻을 수 있었다. 얻어진 크림은 풍미에 문제가 없었다. 얻어진 기포성 합성 크림을 미리 준비한 스폰지 케이크에 도포하여 데코레이션 케이크를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12> 농축유의 제조
대두유(상품명: 대두 골든 샐러드유, 요시하라 세유(주) 제조) 10 부에 레시틴 0.15 부,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0.5 부를 첨가하고 65 ℃에서 용해하여 유상부로 하였다. 한편, 총 밀크 단백질 9 부, 락토알부민 0.5 부, 자연 크림 치즈 3.5 부, 발효유 2 부, 및 소르비톨 70 % 용액 7 부, 에리스리톨 70 % 용액 7 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0.1 부,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0.1 부를 60 ℃의 물 60 부에 용해하여 수상부로 하였다. 상기 유상부와 수상부를 합쳐 균질기로 유화시켰다. 그 후, 145 ℃에서 4 초간 멸균 처리한 후, 균질화 압력 200 kg/cm2로 처리한 후 냉각하여 용기에 충전하고, 기름의 맛, 깊은 맛을 유지한 풍미가 좋은 우비퀴놀을 함유하는 가공용 농축유를 얻었다.
<실시예 13> 화이트 소스 및 피자 및 그라탕빵의 제조
소맥분 100 g과 실시예 2에서 얻은 우비퀴놀을 부화한 마가린 100 g을 동시에 볶아 제조한 화이트 소스용 루에, 실시예 12에서 얻은 우비퀴놀을 부화한 가공용 농축유 400 g을 물에 의해 2배로 희석한 수용액 800 g에 식염, 향신료 1.0 g을 첨가하여 루를 늘리면서 85 ℃가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화이트 소스를 제조하였다. 이것을 캔에 충전하여 레토르트 살균기에 의해 121 ℃에서 20 분간 가열 처리한 후, 실온까지 식혀 레토르트 화이트 소스를 얻었다. 얻어진 화이트 소스는 풍미, 식감 모두 양호하였다.
또한, 상기에서 제조한 레토르트 살균 전의 화이트 소스 100 부에 계육을 살짝 데쳐 처리한 것 10 부, 효모 엑기스 0.2 부, 치킨 콘소메 0.6 부를 첨가한 치킨 그라탕을 제조하고, 이것을 피자용 토핑, 조리빵용 필링제로서 사용했더니 각각 종래품에 손색이 없는 피자 및 그라탕빵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4> 화이트터의 제조
대두유(상품명: 대두 골든 샐러드유, 요시하라 세유(주) 제조) 360 중량부를 65 내지 70 ℃로 가온한 후, 대두 레시틴 7.2 중량부 및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HLB치 1) 4.5 중량부,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10 부를 각각 첨가 용해하여 유상을 제조하였다. 별도로 65 내지 70 ℃의 온수 1212.3 중량부에 탈지 분유 57.6 중량부, 카세인 나트륨 81 중량부, 트레할로스(상품명: 트레할오스, 하야시바라 쇼지 판매) 40 중량부, 자당 18 중량부, 친수성 유화제로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상품명: 포엠 0081H(HLB치 14), 리켄 비타민 판매) 1.8 중량부,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HLB치 15) 3.6 중량부, 제2인산나트륨 5.4 중량부 및 제2인산 칼륨 3.6 중량부를 각각 첨가 용해하여 수상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수상 및 유상을 각각 균질기에 넣고, 교반하면서 65 내지 70 ℃로 15 분간 가열하여 예비 유화한 후, 인가 압력을 2 단계(제1 단계 180 kg/cm2, 제2 단계 50 kg/cm2)로 바꾸어 균질화하였다. 이어서, UHT 멸균기로 옮겨 145 ℃에서 2 초간 가열하여 멸균한 후, 무균 균질기로 옮겨 압력을 2 단계(제1 단계 100 kg/cm2, 제2 단계 50 kg/cm2)로 바꾸면서 70 ℃에서 더 균질화하여 풍미에 문제가 없는 우비퀴놀을 부화한 화이트너를 얻었다.
<실시예 15> 카스타드 크림의 제조
냄비에 난황 2개를 풀고, 실시예 12에서 얻은 우비퀴놀을 부화한 농축유 100 ㎖를 2배로 희석한 용액 200 ㎖ 2 큰술을 첨가하여 목주걱으로 혼합하고, 소맥분 2 큰술과 설탕 40 g을 첨가하여 잘 혼합하고, 나머지 농축유의 희석액을 서서히 첨가하여 전체에 응어리가 생기지 않도록 잘 섞어 90 ℃에서 30 분간 크림상이 될 때까지 혼합하여 충분히 익히고, 조열을 잡아 바닐라 에센스를 첨가하여 잘 혼합함으로써 풍미가 좋은 우비퀴놀을 부화한 카스타드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16> 슈크림의 제조
대두유(상품명: 대두 골든 샐러드유, 요시하라 세유(주) 제조) 20 %, 경화 대두유(mp 40 ℃) 60 %, 팜유 20 %로 이루어지는 유지 조성물 50 부,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1 부, 레시틴 0.3 부, 모노글리세리드 0.3 부, 물 16 부, 식염 2 부를 60 ℃에서 유화 탱크로 15 분간 교반 유화한 후, 15 ℃로 급냉 반죽 혼합하여 우비퀴놀 함유 마가린을 얻었다. 얻어진 마가린 130 g, 실시예 12에서 얻은 우비퀴놀을 부화한 농축유 65 ㎖를 물로 2배 희석한 것 130 ㎖를 냄비에 넣어 50 ℃에서 마가린을 녹이고, 마가린이 완전히 용해되어 끓어오르기 시작하면 체에 거른 박력분 800 g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전분을 α화시켰다. 200 ㎖의 전란을 몇회 나누어 첨가하고 잘 혼합하였다. 마지막 전란을 첨가할 때 탄산암모늄 0.5 g을 전란에 잘 용해하여 첨가하였다. 이어서, 직경 10 cm의 둥근 금구를 붙인 짜는 주머니를 반죽으로 채우고, 페이퍼를 깐 철판 상에 둥근 형태를 만들고, 반죽 전체에 분무기로 물을 뿌려 20O ℃로 데운 오븐 하단에 넣고 10 분간 소성하여 충분히 팽창시킨 후, 170 ℃에서 더 소성하여 슈 반죽을 제조하였다. 소성 후, 망 위에 얹어 식히고, 피(皮) 위에서 1/3 정도되는 곳을 가로로 절단하고, 그 사이에 실시예 15에서 제조한 카스타드 크림을 넣어 풍미, 식감에 문제가 없는 우비퀴놀을 부화한 슈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초콜렛 바바루아의 제조
냄비에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농축유의 2배 희석 용액 250 ㎖와 설탕 20 g을 넣어 불에 달구고, 비등 직전에 불을 꺼 미리 준비한 난황 2개와 설탕 20 g의 거품을 낸 것을 몇회로 나누어 첨가하고, 잘 혼합하여 약한 불로 가열한 후, 물로 되돌린 젤라틴 6 g을 넣어 잘 혼합 여과하면서 초콜렛 50 g을 넣은 볼에 조금씩 넣어 혼합한 후, 실시예 11에서 얻은 크림 100 ㎖를 거품 내어 3회로 나누어 첨가 혼합하고, 푸딩형에 넣어 냉장고에서 잘 식힘으로써 풍미가 좋은 우비퀴놀을 부화한 초콜렛 바바루아를 얻었다.
<실시예 18> 카레 루의 제조
소맥분 20 부와 대두유(상품명: 대두 골든 샐러드유, 요시하라 세유(주) 제조) 20 부를 사용하여 로우스트 처리한 소맥분 39 부와 식용 유지(돈지와 우지의 혼합 유지) 15 부,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1 부, 카레분 20 부, 식염 10 부, 각종 부용 등의 조미료 15 부를 90 ℃에서 30 분간 가열 혼합하여 우비퀴놀을 부화한 카레 루를 제조하였다. 모두 풍미, 입맛(mouth-feel)에 문제가 없었다. 또한,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대신에 제조예 2에서 얻은 우비퀴놀(우비퀴놀/우비퀴논의 비율 9/1)을 사용함으로써 동일하게 하여 우비퀴놀을 부화한 카레 루를 얻었다.
<실시예 19> 베샤멜 소스의 제조
우선 두꺼운 냄비에 대두유(상품명: 대두 골든 샐러드유, 요시하라 세유(주) 제조) 100 g을 넣고, 가열하면서 박력분 100 g과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5 g을 한번에 넣어 태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90 ℃에서 20 분간 나무주걱으로 잘 혼합하였다. 그 후, 불에서 내려 조열을 취하여 화이트 루를 얻었다. 또한, 식힌 우유 1컵을 넣어 잘 혼합하여 부드럽게 하고, 10 ℃의 우유 1.5컵을 첨가하여 거품기로 윤기가 나올 정도까지 충분히 혼합하고, 10 ℃의 우유 2.5컵을 첨가하여 잘 혼합하였다. 그 후, 클로브를 찌른 양파, 월계수 잎을 첨가하고 약한 불로 바짝 조려 끈적끈적하게 하였다. 월계수 잎, 양파를 꺼내 시노와로 여과하고, 다시 냄비로 옮겨 약한 불로 눌어붙지 않을 정도의 화력을 주어 풍미, 입맛 모두 양호한 우비퀴놀을 부화한 베샤멜 소스 550 g을 얻었다.
<실시예 20> 마요네즈의 제조
식초(아세트산 농도 10 %) 5 부, 식염 2 부, 설탕 0.5 부, 마스타드 분말 0.3 부, 물 0.2 부를 혼합기 중에 첨가하고, 15 ℃ 내지 20 ℃하에서 교반 혼합하여 수상을 제조한 후, 미백교유 68 부에 난황 7 부,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0.5 부를 첨가하여 교반 유화하여 얻은 유화액(10 ℃ 내지 15 ℃)을 조금씩 첨가하면서 15 ℃ 내지 20 ℃하에서 교반하여 예비 유화하였다. 이어서, 콜로이드 밀을 사용하여 마무리 유화를 행하여 우비퀴놀을 부화한 마요네즈를 얻었다. 얻어진 마요네즈의 속맛, 깊은 맛, 입맛은 시판되고 있는 마요네즈와 동일하였다. 또한, 얻어진 마요네즈로부터 우비퀴놀을 추출하여 0.55 중량%의 우비퀴놀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1> 프렌치 드레싱의 제조
물 33.1 부에 식초(아세트산 농도 10 %) 15 부, 설탕 8 부, 전분 3 부, 후추 0.5 부, 크산탄검 0.4 부를 용해한 후 살균하기 위해 80 ℃에서 30 분 가온 후, 20 ℃까지 냉각하고, 미리 10 내지 15 ℃로 보온한 미백교유 40 부,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1 부를 첨가하여 15 내지 20 ℃에서 교반하여 예비 유화하고, 그 후 콜로이드 밀을 사용하여 마무리 유화를 행하여 프렌치 드레싱을 얻었다. 얻어진 프렌치 드레싱의 속맛, 깊은 맛, 입맛은 양호하였다.
<실시예 22> 포테이토 샐러드의 제조
껍질을 벗긴 감자 5 부, 당근 1 부를 각지게 썰어 사란 랩에 싼 후, 전자 레인지의 근채 조리 조건으로 가온하여 부드럽게 한 후 냉각하고, 별도로 준비한 흰양파 2 부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실시예 20에서 제조한 우비퀴놀을 부화한 마요네즈를 2 부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풍미와 입맛이 양호한 우비퀴놀을 부화한 포테이토 샐러드를 얻었다.
<실시예 23> 아이스크림의 제조
용기에 난황 10개분을 풀어 설탕 250 g, 옥수수 전분 10 g을 넣어 잘 혼합하고, 실시예 12에서 얻은 우비퀴놀을 부화한 농축유의 2배 희석액 1 ℓ를 75 ℃로 가온하여 서서히 첨가해서 혼합하고, 수낭으로 거르고 90 ℃에서 45 분간 따뜻하게 하여 눌어붙지 않도록 천천히 걸쭉해질 때까지 혼합한 후, 얼음으로 냉각하여 식힌 후, 바닐라 에센스 약간을 첨가하여 -20 ℃에서 교반 냉동하고, 굳어지면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우비퀴놀을 부화한 휩 크림 270 g에 거품을 낸 후 첨가하고, 다시 교반 냉각하고 용기에 넣어 냉동하여 풍미와 입맛이 좋은 바닐라 아이스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24> 푸딩의 제조
실시예 12에서 얻은 우비퀴놀을 부화한 농축유의 2배 희석액 1000 ㎖를 40 ℃ 정도까지 따뜻하게 하여 설탕 250 g과 전란 250 g을 합친 것에 혼합하였다. 이 푸딩액을 고운 체로 거른 후 푸딩형에 넣어 150 ℃의 오븐에서 30 내지 40 분간 탕비 소성함으로써 풍미가 좋은 카스타드 푸딩을 얻었다.
<실시예 25> 피클액 및 돈까스의 제조
대두유(상품명: 대두 골든 샐러드유, 요시하라 세유(주) 제조) 5 부, 카세인 나트륨 0.1 부, 피롤린산 4나트륨 0.1 부, 식염 2 부,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0.2 부를 혼합 교반하고, 압력 균질기를 이용하여 100 kg/cm2로 유화하여 우비퀴놀을 부화한 피클액을 얻었다.
돈까스용 로스육에 대하여 피클액을 고기 중량의 20 % 상당 주입한 후, 마사지하여 한입 크기로 절단하고 버터액에 재운 후, 빵가루를 묻혀 후라이하여 쥬시하고 풍미가 좋은 우비퀴놀을 부화한 돈가쓰를 얻었다.
<실시예 26> 도포용 유지 조성물 및 버터 롤의 제조
물 68 부에 푼 계란 2 부를 서서히 첨가하면서 호모 믹서로 분산시켜 70 ℃로 가온하였다. 이어서, 미리 대두유(상품명: 대두 골든 샐러드유, 요시하라 세유(주) 제조) 30 부에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1 부를 용해시킨 유지를 서서히 첨가하고, 다시 10 분간 교반한 후, 142 ℃에서 2 초간 살균하고 압력 균질기를 이용하여 100 kg/cm2로 유화하여 우비퀴놀을 부화한 도포용 유지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도포용 유지 조성물을 발효시킨 버터 롤 반죽 1개분당 0.5 g 도포하고, 200 ℃에서 9 분간 소성하여 윤기와 풍미가 좋은 우비퀴놀을 부화한 버터 롤을 얻었다.
<실시예 27> 크로켓의 제조
통상법에 의해 제조한 크로켓 중종에 버터 믹스분(상품명: 버터 믹스 U-869, 리껭 비타민(주) 제조), 채종유, 물을 1:2:4로 혼합한 버터를 바르고, 빵가루를 묻혀 170 ℃에서 후라이한 후, 크로켓를 얻었다. 얻어진 크로켓 1개(약 40 g)의 앞뒤에 실시예 26에서 얻은 도포용 조성물 1 g을 분무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우비퀴놀을 부화한 크로켓은 냉동 보존 후 전자 레인지에서 조리해도 식감이 양호하고, 풍미도 좋았다.
<실시예 28> 스낵 과자의 제조
콘플라워 55 부, 감자 전분 13 부, 그래뉴당 3 부, 식염 0.5 부 및 물 22 부를 2축 익스트루더에 공급하여 배럴 온도 140 ℃에서 7 초간 처리하고 나선상으로 압출하며, 이것을 30 mm 간격으로 절단하여 두께가 0.8 mm인 스낵 반죽을 얻었다. 얻어진 스낵 반죽을 40 ℃에서 16 시간 예비 건조한 후, 콘베이어 드라이어로 260 ℃에서 26 초간 팽창화 처리하였다. 얻어진 팽창화 처리 후의 반죽 100 g에 대하여 실시예 26에서 얻은 도포용 유지 조성물 3 g을 분무하여 풍미, 윤기가 좋은 우비퀴놀을 부화한 스낵 과자를 얻었다.
<실시예 29> 우동의 제조
우선 대두유(상품명: 대두 골든 샐러드유, 요시하라 세유(주) 제조) 20 부,글리세린 모노 포화 지방산 에스테르(상품명: 에말지 MS, 리껭 비타민(주) 제조) 2.5 부, 글리세린 모노 불포화 지방산 에스테르(상품명: 포엠 OL-200, 리껭 비타민(주) 제조) 0.8 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상품명: 포엠 OL-100A, 리껭 비타민(주) 제조) 0.05 부,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HLB-1)(상품명: DKF-10,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주) 제조) 1.5 부, 레시틴 0.4 부,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1 부로 이루어지는 유상부를 혼합, 가열, 용해하여 유상으로 하였다. 한편, 물 30 부, 환원 전분 당화물(상품명: 에스이 57(고형분 75 %), 니껭 가가꾸(주) 제조) 13 부, 소르비톨(상품명: 소르비톨 F(고형분 70 %), 니껭 가가꾸(주) 제조) 25 부, 배합된 수상부 조성물을 혼합, 가열하여 수상으로 하였다. 이어서, 상기 유상과 수상을 혼합하여 호모 믹서로 유화하고, 다시 교반, 혼합하면서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화 유지 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에서 얻은 각 유지 유화물 3 부에 대하여 소맥분 100 부, 물 32 부를 첨가하여 통상법에 의해 혼합 반죽, 성형, 롤 압연을 행하여 얻은 두께 2.5 mm의 면대를 No.10의 절단기로 절단하여 생우동을 얻었다. 얻어진 생우동을 끓는물 중에서 7 분간 데치고, 데친 우동의 상태 및 식감을 판정했더니 탄력이 충분히 있는 우동이었다. 또한, 생면을 10 일간 냉장 보존한 후, 데친 면과 마찬가지로 평가했더니 풍미, 식감 모두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30> 밀크티의 제조
홍차잎의 열수 추출물 50 g, 그래뉴당 60 g,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0.5 g, 중탄산나트륨 1 g을 첨가하여 용해한 후, 실시예 12에서 얻은 우비퀴놀을 부화한 가공용 농축유 50 g을 첨가하고, 물을 첨가하여 1000 ㎖의 풍미가 좋은 유화물을얻었다. 80 ℃로 가열한 후, 캔 용기(190 ㎖)에 충전하여 124 ℃에서 20 분의 레토르트 살균을 행하여 유지 풍미 특유의 깊은 맛이 있는 우비퀴놀을 부화한 밀크티 캔음료를 얻었다.
<실시예 31> 카페오레의 제조
실시예 12에서 얻은 우비퀴놀을 부화한 가공용 농축유 50 g을 커피 추출물 50 g, 그래뉴당 60 g,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0.5 g, 중탄산나트륨 1 g에 배합 교반 유화하여 풍미와 깊은 맛이 좋은 우비퀴놀을 부화한 카페오레를 얻었다.
<실시예 32> 산성 음료의 제조
미백교유 100 g에 각각 슈크로스ㆍ디아세테이트ㆍ헥사이소부틸레이트 130 g,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2 g 및 천연 비타민 E 1 g을 혼합 용해하여 균일한 유성 재료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물을 글리세린 615 g, 데카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HLB12) 60 g 및 물 135 g을 혼합 용해한 용액에 첨가하고 예비 교반하여 분산시킨 후, T.K.호모 믹서(도꾸슈 기까 고교 제조)를 이용하여 5000 rpm으로 10 분간 유화하여 균일한 유화 조성물을 얻었다. 별도로 그래뉴당 200 g, 시트르산 5 g, 비타민 C 0.5 g을 적량의 물에 용해하고, 시트르산 나트륨을 사용하여 pH 3.0으로 조정한 후, 2 ℓ의 산성 음료용 시럽을 제조하였다. 이 시럽 각 180 ㎖에 상기에서 제조한 유화물을 각각 20 ㎖ 첨가 혼합한 후, 병에 충전 후 뚜껑을 닫아 85 ℃에서 15 분간 살균 후 냉각하여 우비퀴놀을 부화한 산성 음료를 얻었다.
<실시예 33> 커피 음료의 제조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HLB16) 6 g,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HLB7) 8 g, 인산염 1 g, 카라기난 0.5 g, 카세인 나트륨 65 g, 아스코르브산 나트륨 38 g, 물 550 g을 혼합하고 60 ℃로 가온하여 용해하였다. 별도로 미백교유 200 g, 경화 대두유 100 g,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HLB1) 2 g,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5 g, 천연 비타민 E 0.5 g, β-카로틴 0.5 g, 레시틴 0.3 g, 고마리그난 0.1 g을 혼합하여 60 ℃에서 용해하였다. 60 ℃로 보온된 수상부에 마찬가지로 60 ℃로 보온된 유상부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예비 유화하였다. 이어서, 180 kg/cm2의 압력으로 균질화하여 유화액을 얻은 후, 120 ℃에서 20 초의 UHT 살균을 행하여 용기에 충전함으로써 무균 유화액을 얻었다. 이어서, 로우스트 커피 원두의 열수 추출물 50 g, 그래뉴당 60 g,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0.5 g, 중탄산나트륨 1 g을 첨가하여 용해한 후, 상기에서 얻은 무균 유화액 20 g을 첨가하고, 물을 첨가하여 1000 ㎖의 유화물 함유 커피 추출액을 얻었다. 80 ℃로 가열한 후, 캔용기(190 ㎖)에 충전하여 124 ℃에서 20 분의 레토르트 살균을 행하여 풍미가 좋은 우비퀴놀을 부화한 커피 캔음료를 얻었다.
<실시예 34> 치즈에 의한 혈중 우비퀴놀 농도의 상승
가공 치즈 998 중량부를 가열 용해하고,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2 중량부, 우비퀴논(가네까후찌 가가꾸 고교(주) 제조, 순도 99.2 %) 2 중량부, 제조예 1에서 얻은 우비퀴놀 4 중량부와 우비퀴논(가네까후찌 가가꾸 고교(주) 제조, 순도 99.2 %) 6 중량부의 혼합물 2 중량부를 각각 첨가한 후, 냉각함으로써 우비퀴놀 및(또는) 우비퀴논을 이들의 총량으로서 0.2 중량% 부화한 가공 치즈를 얻었다.
Crj: CD(SD) 래트 수컷(체중 260 g 내지 300 g) 16 마리를 4 마리마다 4 군으로 나누었다. 제1군(우비퀴놀군)은 치즈에 우비퀴놀을 부화한 것, 제2군(우비퀴논군)은 치즈에 우비퀴논을 부화한 것, 제3군(우비퀴놀/우비퀴논)은 치즈에 우비퀴놀 4 중량부와 우비퀴논 6 중량부의 혼합물을 부화한 것, 제4군(대조군)은 우비퀴놀 및 우비퀴논을 첨가하지 않은 치즈를 각각 1일 10 g씩 제공하고, 물은 자유 섭취로서 1 주일간 사육하였다. 1 주일째 아침 에테르 마취하에서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채취한 혈장 1.0 ㎖에 물 2.0 ㎖, 에탄올 4.0 ㎖, n-헥산 10.0 ㎖를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약 5 분간 세차게 진탕하고, 원심 분리하여 2층으로 분리하였다. 유기 용매층을 분취하고, 남은 수층에 n-헥산 10.0 ㎖를 첨가하여 동일한 추출 조작을 2회 반복하고, 얻어진 유기 용매층을 합쳐서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건고물을 얻었다. 얻어진 건고물을 250 ㎕의 에탄올: 1 N 염산(99:1, v/v)에 용해한 후, 그 중 10 ㎕를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조건은 칼럼: YMC-PacKR&D ODS, 250×4.6 mm(YMC사 제조), 이동상: 0.5 M NaClO4/C2H5OH:CH3OH:CH3CN: 70 % HClO4(400:300:300:1, v:v), 검출 파장: 275 nm, 유속: 1 ㎖/분)하고 혈중의 우비퀴놀 및 우비퀴논의 농도(우비퀴논으로서 평가)를 구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의 상기 혈중 농도는 4 마리 평균 0.01 ㎍/㎖ 이었던 것에 대하여, 우비퀴논군에서는 0.41 ㎍/㎖, 우비퀴놀/우비퀴논군에서는 0.50 ㎍/㎖, 우비퀴놀군에서는 0.63 ㎍/㎖였다. 우비퀴놀을 부화한 치즈의 섭취에 의해 상기 혈중 농도가 유의적으로 높아지고, 부족되기 쉬운 우비퀴놀을 바람직하게 보급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예 1>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우비퀴놀(결정) 및 표 1에 나타낸 유지에 6 % 농도가 되도록 우비퀴놀(결정)을 첨가하고, 공기 중에 차광하에서 40 ℃로 보존하였다. 3 일 후의 우비퀴놀/우비퀴논의 비율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는 탄소수 8의 비율이 6할, 탄소수 10의 비율이 4할인 것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은 통상의 유지 함유 식품과 동일하게 섭취함으로써, 생체에 필수 불가결함에도 불구하고 감소ㆍ부족되기 쉬운 우비퀴놀을 보급할 수 있는 식품으로서, 우비퀴놀 부족에 의해 야기되는 피로나 여러가지 불건강 상태의 예방ㆍ개선용 식품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은 일상적인 생활을 하면서 질리지 않고 지속적으로 우비퀴놀 부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6)

  1.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
  2. 제1항에 있어서, 우비퀴논을 더 함유하는 유지 함유 식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우비퀴놀/우비퀴논=1/2(중량비) 이상인 유지 함유 식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우비퀴놀 및 우비퀴논을 우비퀴논 환산으로 유지 함유 식품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50 중량%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함유량이 0.5 중량% 이상인 유지 함유 식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에 대한 우비퀴놀의 중량비가 1 이하인 유지 함유 식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함유 식품이 식품용 유지류, 우유, 유제품류, 소스류, 빵류, 파이류, 케이크류, 과자류, 루류, 조미액류, 빙과류, 면류, 가공 식품, 미반류, 잼류, 통조림류 및 음료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유지 함유 식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산화성 물질 및(또는) 가식성 색소를 더 함유하는 유지 함유 식품.
  9. 제8항에 있어서, 항산화성 물질 및(또는) 가식성 색소가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카테킨, 레시틴, 토코페롤, 토코트리에놀, 리그난 및 카로티노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유지 함유 식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색 또는 백색 내지 담황색 식품인 유지 함유 식품.
  11. 제10항에 있어서, 무색 또는 백색 내지 담황색 식품은 식품용 유지류, 우유, 유제품류 및 음료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유지 함유 식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우비퀴놀은 (all-E)-이성체인 유지 함유 식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우비퀴놀은 그의 제조 방법이 발효법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인 유지 함유 식품.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지 함유 식품을 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비퀴놀의 보급 방법.
  15. 유화제 및(또는) 유지를 함유하는 식재와 함께 우비퀴놀을 식품 원료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지 함유 식품의 제조 방법.
  16. 순도 0.01 % 초과의 우비퀴놀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지 함유 식품의 제조 방법.
KR1020047011039A 2002-01-18 2003-01-20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 KR100972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09738 2002-01-18
JPJP-P-2002-00009738 2002-01-18
PCT/JP2003/000395 WO2003061395A1 (fr) 2002-01-18 2003-01-20 Aliments contenant des matieres grasses, enrichis en ubiquin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355A true KR20040075355A (ko) 2004-08-27
KR100972259B1 KR100972259B1 (ko) 2010-07-23

Family

ID=2760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039A KR100972259B1 (ko) 2002-01-18 2003-01-20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897169B2 (ko)
EP (2) EP1474991B1 (ko)
JP (2) JPWO2003061395A1 (ko)
KR (1) KR100972259B1 (ko)
CN (1) CN100508768C (ko)
AT (1) ATE429818T1 (ko)
AU (1) AU2003203260B2 (ko)
CA (1) CA2473660C (ko)
DE (1) DE60327422D1 (ko)
RU (1) RU2311801C2 (ko)
TW (1) TW200302055A (ko)
WO (1) WO2003061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1637A1 (en) * 2003-03-11 2006-11-09 Toshinori Ikehara Oil-in-water type emulsion containing coenzyme q10 and process for producting the same
CN100534968C (zh) * 2003-09-10 2009-09-02 株式会社钟化 稳定性优异的还原型辅酶q10 结晶及含有还原型辅酶q10结晶的组合物
WO2005075613A1 (en) * 2004-02-06 2005-08-18 Adrien Beaudoin Method for preventing the oxidation of lipids in animal and vegetable oils and compositions produced by the method thereof
GB0405758D0 (en) * 2004-03-15 2004-04-21 Angel Technology Ltd Milk-alternative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a milk-alternative product
WO2005097091A1 (ja) * 2004-04-09 2005-10-20 Kaneka Corporation 還元型補酵素q10およびカロチノイド類を含有した組成物
TW200603786A (en) * 2004-05-11 2006-02-01 Kaneka Corp Anti-fatigue composition
JP2006199624A (ja) * 2005-01-20 2006-08-03 Mitsukan Group Honsha:Kk 酢酸菌体を含有する生体内抗酸化性組成物
US8404875B2 (en) 2005-02-07 2013-03-26 Adrien Beaudoin Method for preventing the oxidation of lipids in animal and vegetable oils and compositions produced by the method thereof
JPWO2006104153A1 (ja) * 2005-03-29 2008-09-11 株式会社カネカ 血液中の抗酸化活性を高める組成物
WO2008035757A1 (fr) * 2006-09-22 2008-03-27 Kaneka Corporation Aliment de type gelée contenant de l'ubiquinol
JP5180556B2 (ja) 2006-10-13 2013-04-10 昭和電工株式会社 ユビキノン誘導体またはその塩を含む皮膚外用剤および化粧料ならびにこれらの使用方法
BRPI0605162A (pt) * 2006-10-19 2008-06-10 Bunge Alimentos S A óleo de natureza triglicerìdica com propriedades nutricionais melhoradas e processo para preparação do mesmo
US20080138326A1 (en) * 2006-12-06 2008-06-12 Kaneka Corporation Method for cancer treatment, carcinogenesis suppression or mitigation of adverse reactions of anticancer agents
US20080145498A1 (en) * 2006-12-14 2008-06-19 Kraft Foods Holdings, Inc. Texture and shape control process for acidified food products
JP5343002B2 (ja) * 2007-06-22 2013-11-13 株式会社カネカ 生理活性物質含有組成物
TW200916090A (en) * 2007-06-22 2009-04-16 Kaneka Corp Composition comprising coenzyme Q10
DE602008005449D1 (de) * 2007-07-02 2011-04-21 Sime Darby Malaysia Berhad Pflanzenfettmischung und esswaren, die solch eine fettmischung enthalten
JP5364580B2 (ja) * 2007-08-22 2013-12-11 株式会社カネカ 還元型補酵素q10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安定化方法
JP5558823B2 (ja) * 2007-10-05 2014-07-23 株式会社カネカ 還元型補酵素q10の製造方法
JP5174631B2 (ja) * 2008-11-26 2013-04-0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リグナン類化合物含有乳化物及び飲料
WO2011045934A1 (ja) * 2009-10-16 2011-04-21 株式会社カネカ 還元型補酵素q10の製造方法、安定化方法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JP2011160746A (ja) * 2010-02-12 2011-08-25 Sanei Gen Ffi Inc ユビキノール含有透明容器入り飲料
JP2012106976A (ja) * 2010-10-18 2012-06-07 Kaneka Corp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感染予防剤
RU2455702C1 (ru) * 2010-11-25 2012-07-10 Учреждение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Институт биомедицин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й Владикавказского научного центра РАН и правительства РСО-Алания (ИБМИ ВНЦ РАН И РСО-А)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и коррекции эндотелиальной дисфункции при сосудистых осложнениях аллоксанового диабета в эксперименте
US9877929B2 (en) 2011-10-13 2018-01-30 Premier Dental Products Company Topical vitamin D and ubiquinol oral supplement compositions
US9877930B2 (en) 2012-10-12 2018-01-30 Premier Dental Products Company Topical ubiquinol oral supplement compositions with amorphous calcium phosphate
US9724542B2 (en) 2012-10-12 2017-08-08 Premier Dental Products Company Remineralizing and desensitizing compositions, treatm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JP6430947B2 (ja) * 2013-09-06 2018-11-28 三菱ケミカルフーズ株式会社 飲料の製造方法
US9138453B2 (en) 2013-10-14 2015-09-22 Biomarker Pharmaceuticals, Inc. Nutrient combinations for affecting an aging process
WO2015122531A1 (ja) * 2014-02-17 2015-08-20 株式会社カネカ 還元型補酵素q10を含有する組成物
US20160100615A1 (en) 2014-10-10 2016-04-14 Sudarshan Narasimhan Hunger minimized juice fasting system
RU2616277C1 (ru) * 2016-02-10 2017-04-13 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ролевец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ефира, обогащенного коэнзимом Q10
WO2017150325A1 (ja) * 2016-03-03 2017-09-08 不二製油グループ本社株式会社 野菜ジュース
CN106387908A (zh) * 2016-08-29 2017-02-15 王少琼 一种仙草罐头及其加工工艺
JP6970517B2 (ja) * 2017-03-22 2021-11-24 株式会社カネカ 菓子用生地
EP3695729A1 (en) 2019-02-14 2020-08-19 Vandemoortele Lipids NV Stabilized pufa containing fat compositions
CN111772159B (zh) * 2019-04-03 2023-02-21 丰益(上海)生物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油水组合物
US11471426B2 (en) 2019-10-16 2022-10-18 American River Nutrition, Llc Compositions comprising quinone and/or quinol and methods of preparations and use thereof
WO2021142157A1 (en) * 2020-01-07 2021-07-15 Beyond Meat, Inc. Meat-like food products comprising sal butter and/or sal butter compositions
RU2736335C1 (ru) * 2020-04-22 2020-11-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елгор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НИУ "БелГУ")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для крупного рогатого скота в виде инкапсулированных жиров и способ ее производства
WO2023120555A1 (ja) * 2021-12-24 2023-06-29 株式会社カネカ 還元型補酵素q10の保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0815A (en) 1980-10-21 1982-05-01 Furointo Sangyo Kk Absorption improver
JPS57142911A (en) 1981-02-28 1982-09-03 Furointo Sangyo Kk Absorption-improving agent
CH680072A5 (ko) * 1989-10-27 1992-06-15 Nestle Sa
US5258179A (en) * 1989-10-27 1993-11-02 Nestec S.A. Protection of a food, cosmetic or pharmaceutical product against oxidation
IT1265312B1 (it) 1993-12-21 1996-10-31 Indena Spa Formulazioni contenenti carotenoidi e procarotenoidi associati a polifenoli nella prevenzione dei danni da abnorme produzione di
BR9608914A (pt) 1995-06-01 1999-03-02 Unilever Nv Produto alimentício á base de gorgura pasta de gordura amarela e uso de um concentrado oleoso
IL115307A (en) * 1995-09-14 1999-08-17 Shapira Niva Modification of egg composition by chicken feed supplements and the resulting eggs obtained
EP0803201A3 (en) * 1996-04-23 1998-10-28 Cpc International Inc. Dietetic foods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inhibiting blood coagulation
CZ119697A3 (en) 1996-04-23 1997-11-12 Cpc International Inc Dietary foodstuffs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inhibiting blood sedimentation rate
JP3889481B2 (ja) 1996-08-16 2007-03-07 株式会社カネカ 医薬組成物
CA2284738C (en) * 1997-03-27 2008-12-23 Michael J. Sole Nutritional composition for improvements in cell energetics
JP3926888B2 (ja) 1997-05-27 2007-06-06 株式会社カネカ コレステロール低下剤
EP0956779A1 (de) * 1998-05-11 1999-11-17 Vesifact Ag Nahrungsmittel, welche wasserunlösliche Komponenten enthalten
US6045826A (en) * 1999-04-02 2000-04-04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Water-soluble compositions of bioactive lipophilic compounds
US6441050B1 (en) * 2000-08-29 2002-08-27 Raj K. Chopra Palatable oral coenzyme Q liquid
JP3742602B2 (ja) * 2001-05-09 2006-02-08 株式会社カネカ 還元型補酵素qの安定な溶液
TWI237019B (en) * 2001-07-13 2005-08-01 Kaneka Corp Method of producing reduced coenzyme Q10
TWI349039B (en) * 2001-12-27 2011-09-21 Kaneka Corp Processes for producing coenzyme q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3061395A1 (ja) 2005-05-19
CN100508768C (zh) 2009-07-08
TWI308059B (ko) 2009-04-01
US20050112266A1 (en) 2005-05-26
CA2473660A1 (en) 2003-07-31
JP2009278994A (ja) 2009-12-03
ATE429818T1 (de) 2009-05-15
EP2067406A1 (en) 2009-06-10
AU2003203260B2 (en) 2008-02-28
JP4977179B2 (ja) 2012-07-18
RU2004125170A (ru) 2005-05-10
RU2311801C2 (ru) 2007-12-10
TW200302055A (en) 2003-08-01
CN1617672A (zh) 2005-05-18
CA2473660C (en) 2012-11-13
KR100972259B1 (ko) 2010-07-23
US7897169B2 (en) 2011-03-01
DE60327422D1 (de) 2009-06-10
EP1474991A4 (en) 2005-04-20
EP2067406B1 (en) 2012-07-04
EP1474991B1 (en) 2009-04-29
EP1474991A1 (en) 2004-11-10
WO2003061395A1 (fr)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259B1 (ko)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
KR100952782B1 (ko)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식품
FI63851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halvfuktiga foer anvaendning faerdiga djupfrysta livsmedel
US20090274791A1 (en) Food Articles With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20030099747A1 (en) Thickened oil compositions of edible oil
CN104780779A (zh) 甜味和/或乳风味增强剂
KR20080055788A (ko) 이송 장치가 구비된 식품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방법
US10918114B2 (en) Prepared foods having high efficacy omega-6/omega-3 balance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JP2000125811A (ja) ミネラル含有食品
JP2002186424A (ja) 共役トリエン酸系油脂を含有する飲食品
CN101287382A (zh) 含有输送装置的食物制品及其制造方法
US20230148619A1 (en) Products having high efficacy omega-6 / omega-3 balance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