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5087A - 티아디아졸 화합물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티아디아졸 화합물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5087A
KR20040075087A KR10-2004-7011048A KR20047011048A KR20040075087A KR 20040075087 A KR20040075087 A KR 20040075087A KR 20047011048 A KR20047011048 A KR 20047011048A KR 20040075087 A KR20040075087 A KR 20040075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ted
formula
thiadiazole
substitu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끼 이하라
노리야스 사까모또
히로끼 도미오까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5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08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8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75/00 - C07D283/00
    • C07D285/01Five-membered rings
    • C07D285/02Thiadiazoles; Hydrogenated thiadiazoles
    • C07D285/04Thiadiazoles; Hydrogenated thiadiazole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85/081,2,4-Thiadiazoles; Hydrogenated 1,2,4-thia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14Ectoparasiticides, e.g. scab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A로 표시되는 티아졸 화합물은 유해 절지 동물에 대한 우수한 방제 활성을 갖는다.
<화학식 A>
[식 중, R1 메틸기, C3-C7 알케닐기, C2-C7 알콕시알킬기 등, 또는 화학식 B
{식 중, R3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기 등을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R2는 (치환될 수 있는 페닐) C1-C4 알킬기, (치환될 수 있는 피리딜) C1-C4 알킬기 또는 (치환될 수 있는 피리미딜) C1-C4 알킬기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티아디아졸 화합물 및 그의 용도{THIADIAZOLE COMPOUNDS AND USE THEREOF}
일부 종류의 티아디아졸 화합물이 유해 절지 동물 방제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DE3030661 공보 등).
그러나, 이 티아디아졸 화합물의 유해 절지 동물 방제 활성은 충분하지 않고, 보다 우수한 유해 절지 동물 방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티아디아졸 화합물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한 결과,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티아디아졸 화합물에 있어서, 우수한 유해 절지 동물 방제 활성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화학식 A
[식 중, R1은 메틸기, C3-C7 알케닐기, C2-C7 알콕시알킬기, C2-C7 알킬티오알킬기, C4-C7 알콕시알콕시알킬기, C4-C7 알킬티오알콕시알킬기,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2 알킬기,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옥시) C1-C2 알킬기,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2-C3 알콕시알킬기, 또는 화학식 B
<화학식 B>
(식 중, R3은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R2는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4알킬기,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딜) C1-C4 알킬기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미딜) C1-C4 알킬기를 나타낸다.]
으로 표시되는 티아디아졸 화합물 (이하, 본 발명 화합물이라고 한다), 본 발명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유해 절지 동물 방제제 및 본 발명 화합물의 유효량을 유해 절지 동물 또는 유해 절지 동물의 생식 장소에 시용하는 유해 절지 동물의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화합물에 있어서, R1또는 R2로 표시되는 각 치환기로서는 하기에 나타내는 치환기가 구체적으로 예시된다.
R1로 표시되는 C3-C7 알케닐기로서는, 예를 들면 알릴기, 2-부테닐기, 3-메틸-2-부테닐기, 2-펜테닐기 등을 들 수 있다.
R1로 표시되는 C2-C7 알콕시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C1-C6 알콕시)메틸기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톡시메틸기, 에톡시메틸기, 프로폭시메틸기, 이소프로폭시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1로 표시되는 C2-C7 알킬티오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C1-C6 알킬티오)메틸기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틸티오메틸기, 에틸티오메틸기, 프로필티오메틸기, 이소프로필티오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1로 표시되는 C4-C7 알콕시알콕시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2-메톡시에톡시)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1로 표시되는 C4-C7 알킬티오알콕시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2-에틸티오에톡시)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1로 표시되는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2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C1-C4 알킬기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tert-부틸기 등), C1-C4 할로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펜타플루오로에틸기 등), C1-C4 알콕시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 등), C1-C4 알킬티오기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등), C1-C4 할로알콕시기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 디플루오로메톡시기 등), 니트로기,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로 이루어지는 군 (이하, 치환기군 A라고 한다)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기로 치환된 C1-C2 알킬기를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벤질기, 2-메틸벤질기, 3-메틸벤질기, 4-메틸벤질기, 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기,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기,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기, 2-메톡시벤질기, 3-메톡시벤질기, 4-메톡시벤질기, 2-메틸티오벤질기, 3-메틸티오벤질기, 4-메틸티오벤질기, 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기, 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기, 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기, 2-니트로벤질기, 3-니트로벤질기, 4-니트로벤질기, 2-시아노벤질기, 3-시아노벤질기, 4-시아노벤질기, 2-플루오로벤질기, 3-플루오로벤질기, 4-플루오로벤질기, 3,4-디플루오로벤질기, 3,5-디플루오로벤질기, 2,6-디플루오로벤질기, 2,4-디플루오로벤질기, 2-클로로벤질기, 3-클로로벤질기, 4-클로로벤질기, 3,4-디클로로벤질기, 3,5-디클로로벤질기, 2,6-디클로로벤질기, 2,4-디클로로벤질기, 2-브로모벤질기, 3-브로모벤질기, 4-브로모벤질기, 3,4-디브로모벤질기, 3,5-디브로모벤질기, 2,6-디브로모벤질기, 2,4-디브로모벤질기, 1-페닐에틸기, 1-(2-메틸페닐)에틸기, 1-(3-메틸페닐)에틸기, 1-(4-메틸페닐)에틸기, 1-(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기,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기, 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기, 1-(2-메톡시페닐)에틸기, 1-(3-메톡시페닐)에틸기, 1-(4-메톡시페닐)에틸기, 1-(2-메틸티오페닐)에틸기, 1-(3-메틸티오페닐)에틸기, 1-(4-메틸티오페닐)에틸기, 1-(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기, 1-(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기, 1-(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기, 1-(2-니트로페닐)에틸기, 1-(3-니트로페닐)에틸기, 1-(4-니트로페닐)에틸기, 1-(2-시아노페닐)에틸기, 1-(3-시아노페닐)에틸기, 1-(4-시아노페닐)에틸기, 1-(2-플루오로페닐)에틸기, 1-(3-플루오로페닐)에틸기, 1-(4-플루오로페닐)에틸기, 1-(3,4-디플루오로페닐)에틸기, 1-(3,5-디플루오로페닐)에틸기, 1-(2,6-디플루오로페닐)에틸기, 1-(2,4-디플루오로페닐)에틸기, 1-(2-클로로페닐)에틸기, 1-(3-클로로페닐)에틸기, 1-(4-클로로페닐)에틸기, 1-(3,4-디클로로페닐)에틸기, 1-(3,5-디클로로페닐)에틸기, 1-(2,6-디클로로페닐)에틸기, 1-(2,4-디클로로페닐)에틸기, 1-(2-브로모페닐)에틸기, 1-(3-브로모페닐)에틸기, 1-(4-브로모페닐)에틸기, 1-(3,4-디브로모페닐)에틸기, 1-(3,5-디브로모페닐)에틸기, 1-(2,6-디브로모페닐)에틸기, 1-(2,4-디브로모페닐)에틸기, 2-페닐에틸기, 2-(2-메틸페닐)에틸기, 2-(3-메틸페닐)에틸기, 2-(4-메틸페닐)에틸기, 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기,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기, 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기, 2-(2-메톡시페닐)에틸기, 2-(3-메톡시페닐)에틸기, 2-(4-메톡시페닐)에틸기, 2-(2-메틸티오페닐)에틸기, 2-(3-메틸티오페닐)에틸기, 2-(4-메틸티오페닐)에틸기, 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기, 2-(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기, 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기, 2-(2-니트로페닐)에틸기, 2-(3-니트로페닐)에틸기, 2-(4-니트로페닐)에틸기, 2-(2-시아노페닐)에틸기, 2-(3-시아노페닐)에틸기, 2-(4-시아노페닐)에틸기, 2-(2-플루오로페닐)에틸기, 2-(3-플루오로페닐)에틸기, 2-(4-플루오로페닐)에틸기, 2-(3,4-디플루오로페닐)에틸기, 2-(3,5-디플루오로페닐)에틸기, 2-(2,6-디플루오로페닐)에틸기, 2-(2,4-디플루오로페닐)에틸기, 2-(2-클로로페닐)에틸기, 2-(3-클로로페닐)에틸기, 2-(4-클로로페닐)에틸기, 2-(3,4-디클로로페닐)에틸기, 2-(3,5-디클로로페닐)에틸기, 2-(2,6-디클로로페닐)에틸기, 2-(2,4-디클로로페닐)에틸기, 2-(2-브로모페닐)에틸기, 2-(3-브로모페닐)에틸기, 2-(4-브로모페닐)에틸기, 2-(3,4-디브로모페닐)에틸기, 2-(3,5-디브로모페닐)에틸기, 2-(2,6-디브로모페닐)에틸기, 2-(2,4-디브로모페닐)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1로 표시되는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옥시) C1-C2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옥시기로 치환된 C 1-C2 알킬기를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페닐옥시메틸기, 1-(페닐옥시)에틸기, 2-(페닐옥시)에틸기, (2-메틸페닐)옥시메틸기, (3-메틸페닐)옥시메틸기, (4-메틸페닐)옥시메틸기, (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옥시메틸기, (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옥시메틸기,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옥시메틸기, (2-메톡시페닐)옥시메틸기, (3-메톡시페닐)옥시메틸기, (4-메톡시페닐)옥시메틸기, (2-메틸티오페닐)옥시메틸기, (3-메틸티오페닐)옥시메틸기, (4-메틸티오페닐)옥시메틸기, (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옥시메틸기, (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옥시메틸기, (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옥시메틸기, (2-니트로페닐)옥시메틸기, (3-니트로페닐)옥시메틸기, (4-니트로페닐)옥시메틸기, (2-시아노페닐)옥시메틸기, (3-시아노페닐)옥시메틸기, (4-시아노페닐)옥시메틸기, (2-플루오로페닐)옥시메틸기, (3-플루오로페닐)옥시메틸기, (4-플루오로페닐)옥시메틸기, (3,4-디플루오로페닐)옥시메틸기, (3,5-디플루오로페닐)옥시메틸기, (2,6-디플루오로페닐)옥시메틸기, (2,4-디플루오로페닐)옥시메틸기, (2-클로로페닐)옥시메틸기, (3-클로로페닐)옥시메틸기, (4-클로로페닐)옥시메틸기, (3,4-디클로로페닐)옥시메틸기, (3,5-디클로로페닐)옥시메틸기, (2,6-디클로로페닐)옥시메틸기, (2,4-디클로로페닐)옥시메틸기, (2-브로모페닐)옥시메틸기, (3-브로모페닐)옥시메틸기, (4-브로모페닐)옥시메틸기, (3,4-디브로모페닐)옥시메틸기, (3,5-디브로모페닐)옥시메틸기, (2,6-디브로모페닐)옥시메틸기, (2,4-디브로모페닐)옥시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1로 표시되는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2-C3 알콕시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기로 치환된 메톡시메틸기를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벤질옥시메틸기, (2-메틸벤질)옥시메틸기, (3-메틸벤질)옥시메틸기, (4-메틸벤질)옥시메틸기, (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옥시메틸기,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옥시메틸기,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옥시메틸기, (2-메톡시벤질)옥시메틸기, (3-메톡시벤질)옥시메틸기, (4-메톡시벤질)옥시메틸기, (2-메틸티오벤질)옥시메틸기, (3-메틸티오벤질)옥시메틸기, (4-메틸티오벤질)옥시메틸기, (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메틸기, (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메틸기, (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메틸기, (2-니트로벤질)옥시메틸기, (3-니트로벤질)옥시메틸기, (4-니트로벤질)옥시메틸기, (2-시아노벤질)옥시메틸기, (3-시아노벤질)옥시메틸기, (4-시아노벤질)옥시메틸기, (2-플루오로벤질)옥시메틸기, (3-플루오로벤질)옥시메틸기, (4-플루오로벤질)옥시메틸기, (3,4-디플루오로벤질)옥시메틸기, (3,5-디플루오로벤질)옥시메틸기, (2,6-디플루오로벤질)옥시메틸기, (2,4-디플루오로벤질)옥시메틸기, (2-클로로벤질)옥시메틸기, (3-클로로벤질)옥시메틸기, (4-클로로벤질)옥시메틸기, (3,4-디클로로벤질)옥시메틸기, (3,5-디클로로벤질)옥시메틸기, (2,6-디클로로벤질)옥시메틸기, (2,4-디클로로벤질)옥시메틸기, (2-브로모벤질)옥시메틸기, (3-브로모벤질)옥시메틸기, (4-브로모벤질)옥시메틸기, (3,4-디브로모벤질)옥시메틸기, (3,5-디브로모벤질)옥시메틸기, (2,6-디브로모벤질)옥시메틸기, (2,4-디브로모벤질)옥시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1로 표시되는 화학식 B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예를 들면 R3이 C1-C3 알킬기이고 R4가 수소 원자인 기, R3이 C1-C3 알킬기이고 R4가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기인 기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아세톡시메틸기, α-아세틸옥시벤질기를 들 수 있다.
R2로 표시되는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4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기로 치환된 C1-C4 알킬기를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벤질기, 4-할로게노벤질기, 3-할로게노벤질기,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기,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기, 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기, 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기, 3,4-디할로게노벤질기, 3,5-디할로게노벤질기, 2,6-디할로게노벤질기, 1-페닐에틸기, 1-(플루오로페닐)에틸기, 1-(클로로페닐)에틸기, 1-페닐프로필기, 2-페닐에틸기, 2-(플루오로페닐)에틸기, 2-(클로로페닐)에틸기, 3-페닐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R2로 표시되는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딜) C1-C4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2-피리딜기, 3-피리딜기 또는 4-피리딜기로 치환된 C1-C4 알킬기를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피리딜)메틸기, (3-피리딜)메틸기, (4-피리딜)메틸기, 1-(2-피리딜)에틸기, 1-(3-피리딜)에틸기, 1-(4-피리딜)에틸기, 2-(2-피리딜)에틸기, 2-(3-피리딜)에틸기, 2-(4-피리딜)에틸기 등, (6-클로로-2-피리딜)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2로 표시되는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미딜) C1-C4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2-피리미딜기, 4-피리미딜기 또는 5-피리미딜기로 치환된 C1-C4 알킬기를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피리미딜)메틸기, (4-피리딜)메틸기, (5-피리딜)메틸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메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C3-C7 알케닐기, C2-C7 알콕시알킬기, C2-C7 알킬티오알킬기, C4-C7 알콕시알콕시알킬기 또는 C4-C7 알킬티오알콕시알킬기인 티아디아졸기;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2 위치에 이중 결합을 갖는 C3-C7 알케닐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알릴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C1-C6 알콕시)메틸기 또는 (C1-C6 알킬티오)메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메톡시메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에톡시메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메톡시에톡시메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2 알킬기,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옥시) C1-C2 알킬기 또는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2-C3 알콕시알킬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벤질기,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옥시메틸기, 또는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벤질옥시메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불소 원자로 치환된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염소 원자로 치환된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메틸기로 치환된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메톡시기로 치환된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트리플루오로메틸기로 1 또는 2 부분 치환된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로 1 부분 치환된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벤질옥시메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아세톡시메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4 알킬기,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딜) C1-C4 알킬기, 또는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미딜) C1-C4 알킬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C1-C4알킬기, C1-C4 할로알킬기, C1-C4 알콕시기, C1-C4 알킬티오기, C1-C4 할로알콕시기 및 할로겐 원자로 이루어지는 군 (이하, 치환기군 B라고 한다)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4알킬기, (치환기군 B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딜) C1-C4 알킬기, 또는 (치환기군 B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미딜) C1-C4 알킬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치환기군 B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4 알킬기 또는 (치환기군 B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딜) C1-C4 알킬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불소 원자로 치환된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염소 원자로 치환된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브롬 원자로 치환된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요오드 원자로 치환된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메틸기로 치환된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로 1 또는 2 부분 치환된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로 1 부분 치환된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1-페닐에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1-(불소 원자 또는 염소 원자로 1 부분 치환된 페닐)에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1-페닐프로필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2-페닐에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2-(불소 원자 또는 염소 원자로 1 부분 치환된 페닐)에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3-페닐프로필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피리딜메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불소 원자로 1 부분 치환된 피리딜)메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염소 원자로 1 부분 치환된 피리딜)메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불소 또는 염소 원자로 6 위치가 치환된 2-피리딜메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2-(2-피리딜)에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2-(3-피리딜)에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2-(4-피리딜)에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피리미딜메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2-피리미딜메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4-피리미딜메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5-피리미딜메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메틸기이고, R2가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4알킬기,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딜) C1-C4 알킬기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미딜) C1-C4 알킬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메틸기이고, R2가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4 알킬기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딜) C1-C4 알킬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메틸기이고, R2가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4 알킬기,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딜) C1-C4 알킬기 또는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미딜) C1-C4 알킬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메틸기이고, R2가 (치환기군 B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4 알킬기 또는 (치환기군 B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딜) C1-C4 알킬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C3-C7 알케닐기, C2-C7 알콕시알킬기, C2-C7 알킬티오알킬기, C4-C7 알콕시알콕시알킬기 또는 C4-C7 알킬티오알콕시알킬기로, R2가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4 알킬기,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딜) C1-C4 알킬기 또는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미딜) C1-C4 알킬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2 알킬기,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옥시) C1-C2 알킬기 또는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2-C3 알콕시알킬기로, R2가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4 알킬기,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딜) C1-C4 알킬기 또는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미딜) C1-C4 알킬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C1-C6 알콕시)메틸기 또는 (C1-C6 알킬티오)메틸기로, R2가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4알킬기,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딜) C1-C4 알킬기 또는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미딜) C1-C4 알킬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벤질기,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옥시메틸기 또는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벤질옥시메틸기로, R2가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4 알킬기,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딜) C1-C4 알킬기 또는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미딜) C1-C4 알킬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메틸기로, R2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는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C3-C7 알케닐기, C2-C7 알콕시알킬기, C2-C7 알킬티오알킬기, C4-C7 알콕시알콕시알킬기 또는 C4-C7 알킬티오알콕시알킬기로, R2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벤질기,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옥시메틸기 또는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벤질옥시메틸기로, R2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벤질기로, R2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벤질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다음으로 본 발명 화합물의 제조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 화합물 중, R1이 메틸기, C3-C7 알케닐기, C2-C7 알콕시알킬기, C2-C7 알킬티오알킬기, C4-C7 알콕시알콕시알킬기, C4-C7 알킬티오알콕시알킬기,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2 알킬기,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옥시) C1-C2 알킬기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2-C3 알콕시알킬기인 화합물 (화학식 A-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예를 들면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클로로-1,2,4-티아디아졸 화합물과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알코올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가 있다.
[식 중, R11은 메틸기, C3-C7 알케닐기, C2-C7 알콕시알킬기, C2-C7 알킬티오알킬기, C4-C7 알콕시알콕시알킬기, C4-C7 알킬티오알콕시알킬기, (치환될 수도있는 페닐) C1-C2 알킬기,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옥시) C1-C2 알킬기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2-C3 알콕시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반응은 통상 염기의 존재하에서, 통상 용매 중에서 행하여 진다.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헥산, 헵탄, 옥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메틸-tert-부틸에테르, 1,2-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반응에 사용되는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수소화나트륨, 탄산칼륨을 들 수 있다. 반응에 사용되는 시제의 양은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클로로-1,2,4-티아디아졸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알코올 화합물이 통상 1 내지 1.5 몰의 비율로 있고, 염기가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알코올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통상 1 내지 1.5 몰의 비율로 있다. 이 반응의 반응 온도는 통상 -20 내지 80 ℃의 범위, 반응 시간은 통상 0.5 내지 24 시간의 범위이다.
반응 종료 후에는, 예를 들면 반응 혼합물을 물에 가하고, 유기 용매 추출하여 얻어지는 유기층을 건조, 농축하는 등의 후처리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학식 A-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을 단리할 수가 있다. 단리한 화학식 A-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필요에 따라서 크로마토그래피, 재결정 등의 조작에 의해 또한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 중, R1이 화학식 B로 표시되는 기인 화합물 (화학식 A-2로표시되는 화합물)은, 예를 들면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티아디아졸 화합물과 산화제를 반응시켜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술폭시드 화합물을 얻고 (이하, 제1 공정이라 한다),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술폭시드 화합물과 화학식 V로 표시되는 산무수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이하, 제2 공정이라고 한다) 제조할 수가 있다.
(식 중, R2, R3및 R4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제1 공정)
본 반응은 통상 용매 중에서 행하여 진다.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의 지방족 할로겐화탄화수소류 및 물을 들 수 있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산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3-클로로퍼벤조산 등의 과산을 들 수 있다. 반응에 사용되는 산화제의 양은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티아디아졸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통상 1 내지 1.5 몰의 비율이다. 이 반응의 반응 온도는 통상 -20 내지 30 ℃의 범위이고, 반응 시간은 통상 순간 내지 24 시간의 범위이다.
반응 종료 후에는, 예를 들면 반응 혼합물을 물에 가하여 유기 용매 추출하여 얻어진 유기층을 필요에 따라서 환원제 (아황산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등)의 수용액, 염기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수용액 등으로 세정하여 건조, 농축하는 등의 후 처리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술폭시드 화합물을 단리할 수가있다. 단리한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술폭시드 화합물은 크로마토그래피, 재결정 등에 의해 또한 정제할 수 있다.
(제2 공정)
본 반응은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술폭시드 화합물과 화학식 V로 표시되는 산무수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행하여 진다. 이 반응은 통상 염기의 존재하에서 행하여 지고 용매 중에서 행할 수도 있다. 반응에 사용되는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2,6-루티딘 등의 피리딘류 및 아세트산나트륨 등의 아세트산의 알칼리 금속염을 들 수 있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시제의 양은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술폭시드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화학식 V로 표시되는 산무수물이 1 내지 50 몰의 비율이고, 염기가 1내지 10 몰의 비율이다.
이 반응의 반응 온도는 통상 0 내지 150 ℃의 범위이고, 반응 시간은 통상 1내지 72 시간의 범위이다.
반응 종료 후에는, 예를 들면 반응 혼합물을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수용액에 가하여, 유기 용매 추출하여 얻어지는 유기층을, 건조, 농축하는 등의 후 처리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학식 A-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을 단리할 수가 있다. 단리한 화학식 A-2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은 필요에 따라 크로마토그래피, 재결정 등의 조작에 의해 또한 정제할 수도 있다.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예를 들면 Chem. Ber. 90, 892 (1957)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 화합물의 일례를 나타낸다.
화학식 (i)에 있어서, R1이 하기에 나타내는 치환기인 화합물.
메틸기; 알릴기, 2-부테닐기, 3-메틸-2-부테닐기, 2-펜테닐기; 메톡시메틸기, 에톡시메틸기, 프로폭시메틸기, 이소프로폭시메틸기, 부톡시메틸기, 이소부톡시메틸기, sec-부톡시메틸기, tert-부톡시메틸기; 메틸티오메틸기, 에틸티오메틸기, 프로필티오메틸기, 이소프로필티오메틸기; (메톡시에톡시)메틸기, (에톡시에톡시)메틸기; (메틸티오에톡시)메틸기; 벤질기, 2-메틸벤질기, 3-메틸벤질기, 4-메틸벤질기, 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기,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기,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기, 2-메톡시벤질기, 3-메톡시벤질기, 4-메톡시벤질기, 2-메틸티오벤질기, 3-메틸티오벤질기, 4-메틸티오벤질기, 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기, 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기, 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기, 2-니트로벤질기, 3-니트로벤질기, 4-니트로벤질기, 2-시아노벤질기, 3-시아노벤질기, 4-시아노벤질기, 2-플루오로벤질기, 3-플루오로벤질기, 4-플루오로벤질기, 3,4-디플루오로벤질기, 3,5-디플루오로벤질기, 2,6-디플루오로벤질기, 2,4-디플루오로벤질기, 2-클로로벤질기, 3-클로로벤질기, 4-클로로벤질기, 3,4-디클로로벤질기, 3,5-디클로로벤질기, 2,6-디클로로벤질기, 2,4-디클로로벤질기, 2-브로모벤질기, 3-브로모벤질기, 4-브로모벤질기, 3,4-디브로모벤질기, 3,5-디브로모벤질기, 2,6-디브로모벤질기, 2,4-디브로모벤질기, 1-페닐에틸기, 1-(2-메틸페닐)에틸기, 1-(3-메틸페닐)에틸기, 1-(4-메틸페닐)에틸기, 1-(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기,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기, 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기, 1-(2-메톡시페닐)에틸기, 1-(3-메톡시페닐)에틸기, 1-(4-메톡시페닐)에틸기, 1-(2-메틸티오페닐)에틸기, 1-(3-메틸티오페닐)에틸기, 1-(4-메틸티오페닐)에틸기, 1-(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기, 1-(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기, 1-(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기, 1-(2-니트로페닐)에틸기, 1-(3-니트로페닐)에틸기, 1-(4-니트로페닐)에틸기, 1-(2-시아노페닐)에틸기, 1-(3-시아노페닐)에틸기, 1-(4-시아노페닐)에틸기, 1-(2-플루오로페닐)에틸기, 1-(3-플루오로페닐)에틸기, 1-(4-플루오로페닐)에틸기, 1-(3,4-디플루오로페닐)에틸기, 1-(3,5-디플루오로페닐)에틸기, 1-(2,6-디플루오로페닐)에틸기, 1-(2,4-디플루오로페닐)에틸기, 1-(2-클로로페닐)에틸기, 1-(3-클로로페닐)에틸기, 1-(4-클로로페닐)에틸기, 1-(3,4-디클로로페닐)에틸기, 1-(3,5-디클로로페닐)에틸기, 1-(2,6-디클로로페닐)에틸기, 1-(2,4-디클로로페닐)에틸기, 1-(2-브로모페닐)에틸기, 1-(3-브로모페닐)에틸기, 1-(4-브로모페닐)에틸기, 1-(3,4-디브로모페닐)에틸기, 1-(3,5-디브로모페닐)에틸기, 1-(2,6-디브로모페닐)에틸기, 1-(2,4-디브로모페닐)에틸기, 2-페닐에틸기, 2-(2-메틸페닐)에틸기, 2-(3-메틸페닐)에틸기, 2-(4-메틸페닐)에틸기, 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기,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기, 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기, 2-(2-메톡시페닐)에틸기, 2-(3-메톡시페닐)에틸기, 2-(4-메톡시페닐)에틸기, 2-(2-메틸티오페닐)에틸기, 2-(3-메틸티오페닐)에틸기, 2-(4-메틸티오페닐)에틸기, 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기, 2-(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기, 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기, 2-(2-니트로페닐)에틸기, 2-(3-니트로페닐)에틸기, 2-(4-니트로페닐)에틸기, 2-(2-시아노페닐)에틸기, 2-(3-시아노페닐)에틸기, 2-(4-시아노페닐)에틸기, 2-(2-플루오로페닐)에틸기, 2-(3-플루오로페닐)에틸기, 2-(4-플루오로페닐)에틸기, 2-(3,4-디플루오로페닐)에틸기, 2-(3,5-디플루오로페닐)에틸기, 2-(2,6-디플루오로페닐)에틸기, 2-(2,4-디플루오로페닐)에틸기, 2-(2-클로로페닐)에틸기, 2-(3-클로로페닐)에틸기, 2-(4-클로로페닐)에틸기, 2-(3,4-디클로로페닐)에틸기, 2-(3,5-디클로로페닐)에틸기, 2-(2,6-디클로로페닐)에틸기, 2-(2,4-디클로로페닐)에틸기, 2-(2-브로모페닐)에틸기, 2-(3-브로모페닐)에틸기, 2-(4-브로모페닐)에틸기, 2-(3,4-디브로모페닐)에틸기, 2-(3,5-디브로모페닐)에틸기, 2-(2,6-디브로모페닐)에틸기, 2-(2,4-디브로모페닐)에틸기; 페닐옥시메틸기, 1-(페닐옥시)에틸기, 2-(페닐옥시)에틸기, (2-메틸페닐)옥시메틸기, (3-메틸페닐)옥시메틸기, (4-메틸페닐)옥시메틸기, (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옥시메틸기, (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옥시메틸기,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옥시메틸기, (2-메톡시페닐)옥시메틸기, (3-메톡시페닐)옥시메틸기, (4-메톡시페닐)옥시메틸기, (2-메틸티오페닐)옥시메틸기, (3-메틸티오페닐)옥시메틸기, (4-메틸티오페닐)옥시메틸기, (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옥시메틸기, (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옥시메틸기, (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옥시메틸기, (2-니트로페닐)옥시메틸기, (3-니트로페닐)옥시메틸기, (4-니트로페닐)옥시메틸기, (2-시아노페닐)옥시메틸기, (3-시아노페닐)옥시메틸기, (4-시아노페닐)옥시메틸기, (2-플루오로페닐)옥시메틸기, (3-플루오로페닐)옥시메틸기, (4-플루오로페닐)옥시메틸기, (3,4-디플루오로페닐)옥시메틸기, (3,5-디플루오로페닐)옥시메틸기, (2,6-디플루오로페닐)옥시메틸기, (2,4-디플루오로페닐)옥시메틸기, (2-클로로페닐)옥시메틸기, (3-클로로페닐)옥시메틸기, (4-클로로페닐)옥시메틸기, (3,4-디클로로페닐)옥시메틸기, (3,5-디클로로페닐)옥시메틸기, (2,6-디클로로페닐)옥시메틸기, (2,4-디클로로페닐)옥시메틸기, (2-브로모페닐)옥시메틸기, (3-브로모페닐)옥시메틸기, (4-브로모페닐)옥시메틸기, (3,4-디브로모페닐)옥시메틸기, (3,5-디브로모페닐)옥시메틸기, (2,6-디브로모페닐)옥시메틸기, (2,4-디브로모페닐)옥시메틸기; 벤질옥시메틸기, (2-메틸벤질)옥시메틸기, (3-메틸벤질)옥시메틸기, (4-메틸벤질)옥시메틸기, (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옥시메틸기,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옥시메틸기,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옥시메틸기, (2-메톡시벤질)옥시메틸기, (3-메톡시벤질)옥시메틸기, (4-메톡시벤질)옥시메틸기, (2-메틸티오벤질)옥시메틸기, (3-메틸티오벤질)옥시메틸기, (4-메틸티오벤질)옥시메틸기, (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메틸기, (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메틸기, (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메틸기, (2-니트로벤질)옥시메틸기, (3-니트로벤질)옥시메틸기, (4-니트로벤질)옥시메틸기, (2-시아노벤질)옥시메틸기, (3-시아노벤질)옥시메틸기, (4-시아노벤질)옥시메틸기, (2-플루오로벤질)옥시메틸기, (3-플루오로벤질)옥시메틸기, (4-플루오로벤질)옥시메틸기, (3,4-디플루오로벤질)옥시메틸기, (3,5-디플루오로벤질)옥시메틸기, (2,6-디플루오로벤질)옥시메틸기, (2,4-디플루오로벤질)옥시메틸기, (2-클로로벤질)옥시메틸기, (3-클로로벤질)옥시메틸기, (4-클로로벤질)옥시메틸기, (3,4-디클로로벤질)옥시메틸기, (3,5-디클로로벤질)옥시메틸기, (2,6-디클로로벤질)옥시메틸기, (2,4-디클로로벤질)옥시메틸기, (2-브로모벤질)옥시메틸기, (3-브로모벤질)옥시메틸기, (4-브로모벤질)옥시메틸기, (3,4-디브로모벤질)옥시메틸기, (3,5-디브로모벤질)옥시메틸기, (2,6-디브로모벤질)옥시메틸기, (2,4-디브로모벤질)옥시메틸기; 아세틸옥시메틸기, 프로피오닐옥시메틸기, α-아세톡시벤질기.
화학식 (i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ii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iv)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v)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v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vi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viii)에 있어서,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
화학식 (ix)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i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ii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iv)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v)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v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vi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vii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ix)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x)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x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xi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xii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xiv)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xv)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xv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xvi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xvii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xix)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xx)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xx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xxi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xxii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xxiv)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xxv)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xxv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xxvi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xxvii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xxix)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l)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l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li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lii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liv)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lv)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1v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화학식 (xlvii)에 있어서, R1이 상기에 표시된 치환기인 화합물.
본 발명 화합물이 방제 효력을 나타내는 유해 절지 동물로서는, 곤충이나 진드기류,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반시목 해충: 애멸구 (Laodelphax striatellus), 벼멸구 (Nilaparvata lugens), 흰등 멸구 (Sogatella afurcifera) 등의 멸구류, 끝등 매미충 (Nephotettix cincticeps), 초록애 매미충 (Empoasca onukii) 등의 매미충류, 목화 진딧물 (Aphis gossypii), 복숭아혹 진딧물 (Myzus persicae) 등의 진딧물류, 카메무시류, 온실가루이 (Trialeurodes vaporariorum,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 은빛잎가루이 (Bemisia argentifolii) 등의 가루이류, 조개 벌레류, 굼바이 벌레류, 알락나무이 등
인시목 해충: 이화명나방 (Chilo suppressalis), 혹명나방 (Cnaphalocrocis medinalis), 유로피언 콘보라 (Ostrinia nubilalis), 시바츠트가 (Parapediasia teterrella) 등의 메이가류, 담배거세미나방 (Spodoptera litura), 파밤나방 (Spodoptera exigua), 멸강나방 (Pseudaletia separata), 도둑나방 (Mamestra brassicae), 잔디거세미나방(Agrotis ipsilon), 트리코풀시아속 (Trichoplusiaspp.), 헤리오티스속 (Heliothis spp.), 헤리코벨파속 (Helicoverpa spp.), 에어 리어스속 (Earias spp.) 등의 야가류, 배추 흰나비 (Pieris rapae crucivora) 등의 흰 나비류, 사과 애모 무늬잎 말이나방 (Adoxophyes orana fasciata), 복숭아순 나방 (Grapholita molesta), 코드린 나방 (Cydia pomonella) 등의 잎말이 나방과, 복숭아심식 나방 ((Carposina niponensis) 등의 심식 나방류, 복숭아굴 나방 (Lyonetia clerkella) 등의 굴나방류, 사과굴 나방 (Phyllonorycter ringoniella) 등의 가는 나방류, 귤굴 나방 (Phyl1ocnistis citrella) 등의 귤굴 나방류, 배추좀 나방 (Plutela xylostella) 등의 집나방류, 목화다래 나방 (Pectinophora gossypiella) 등의 뿔나방류, 불나방류, 곡식좀나방류 등
쌍시목해충: 빨간 집모기 (Culex pipiens pallens), 작은 빨간 집모기 (Culex tritaeniorhynchus), 넷타이이카 (Culex quinquefasciatus) 등의 집모기류, (Aedesaeg aegypti), (Aedes albopictus 등의 에데스속, (Anopheles sinensis) 등의 아노페레스속, 유스리카류, 집파리 (Musca domestica), 왕 큰 집파리 (Muscina stabulans) 등의 집파리류, 검정파리류, 쉬파리류, 히메이에 파리류, 씨고자리 파리 (Delia platura), 고자리 파리 (Delia antiqua) 등의 꽃파리류, 미파리류, 초파리류, 나비 파리류, 뿔먹파리류, 등에류, 침파리류, 완두잎굴파리 등
초시목 해충: 웨스턴 콘루트 벌레 (Diabrotica virgifera virgifera), 서던 콘루트 벌레 (Diabrotica undecimpunctata howardi) 등의 콘루트 벌레류, 구리 풍뎅이 (Anomala cuprea), 오리 나무 풍뎅이 (Anomala rufocuprea) 등의 풍뎅이류, 어리쌀 바구미 (Sitophilus zeamais), 벼물 바구미 (Lissorhoptrus oryzophilus),팥 바구미 (Cal1osobruchuys chienensis) 등의 바구미류, 갈색 거저리 (Tenebrio molitor), 거짓쌀도둑 거저리 (Tribolium castaneum) 등의 곡물 거저리류, 벼잎 벌레 (Oulema oryzae), 참외 오이잎 벌레 (Aulacophora femoralis), 벼룩잎 벌레 (Phyllotreta striolata), 콜로라도 감자잎 벌레 (Leptinotarsa decemlineata) 등의 잎벌레류, 빗살수염 벌레류, 이십팔점박이 무당벌레 (Epilachna vigintioctopunctata) 등의 에피라크나류, 넓적나무좀과류, 개나무좀류, 하늘소류, 청딱지개미반날개 (Paederus fuscipes) 등;
엉겅퀴말눈 해충: 삽주 벌레 (Thrips palmi) 등의 스립스속, 꽃노랑총채 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 등의 프란크리니에라속, 볼록총채 벌레 (Sciltothrips dorsalis) 등의 실트스립스속 등의 엉겅퀴말류, 쿠다엉겅퀴말류 등
벌목 해충: 입벌류, 개미류, 말벌류 등
바퀴목 해충: 바퀴류, 잔날개 바퀴류 등
메뚜기목 해충: 메뚜기류, 땅강아지류 등
벼룩목 해충: 인간 벼룩 등
이목 해충: 인간 이 등
흰개미목 해충: 흰개미류 등
진드기목 해충: 잎진드기류
발명의 유해 절지 동물 방제제는, 본 발명 화합물 그 자체일 수도 있다. 통상은 본 발명 화합물과 고체 담체, 액체 담체, 가스상 담체 및(또는) 먹이 (독 먹이 기재) 등을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그 밖의 제제용 보조제를 첨가하여 유제, 유화제, 플로어블제, 수화제, 입제, 분제, 독먹이, 마이크로캡슐제 등에 제제하여 본 발명의 유해 절지 방제제로 한다. 이러한 제제는 본 발명 화합물을 통상 0.01 내지 95 중량% 함유한다.
제제화 시에 사용되는 고체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점토류 (카올린클레이, 규조토, 벤토나이트, 프바사미 클레이, 산성 백토 등), 합성 함수산화 규소, 타르크류, 세라믹, 그 밖의 무기 광물 (세리사이트, 석영, 유황, 활성탄, 탄산칼슘 등), 화학 비료 (황산암모늄, 질산암모늄, 염화암모늄 등) 등의 미세분말 또는 입상물을 들 수 있다. 액체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물, 알코올류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등), 케톤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방향족 탄화수소류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메틸나프탈렌 등), 지방족 탄화수소류 (헥산, 시클로헥산, 등유, 경유 등), 에스테르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 니트릴류 (아세토니트릴, 이소부티로니트릴 등), 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1,4-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 산아미드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 할로겐화탄화수소류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에탄 등), 디메틸술폭시드 및 식물유 (대두유, 면실유 등)을 들 수 있다.
가스상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플루오로카본, 부탄 가스, LPG (액화 석유 가스), 디메틸에테르 및 이산화탄소를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아릴술폰산염, 알킬아릴에테르류 및 그 폴리옥시에틸렌화물,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류, 다가 알코올에스테르류 및 당알코올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그 밖의 제제용 보조제로서는 고착제, 분산제 및 안정제 등,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카제인, 젤라틴, 당류 (전분, 아라비아검, 셀룰로오스 유도체, 아르긴산 등), 리그닌 유도체, 합성 수용성 고분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든, 폴리아크릴산류 등), PAP (산성 인산 이소프로필), BHT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BHA (2-tert-부틸-4-메톡시페놀과 3-tert-부틸-4-메톡시페놀과의 혼합물), 광물유, 지방산 및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독 먹이의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곡물 가루, 식물유, 당, 결정 셀룰로오스 등의 먹이 성분을 들 수 있다. 독먹이에는 필요에 따라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틴산 등의 산화 방지제, 디히드로아세트산 등의 보존료, 고추 분말 등의 오식 방지제, 치즈 향료, 양파 향료, 피너츠 오일 등의 해충 유인성 향료 등이 첨가된다.
본 발명의 유해 절지 동물 방제제는, 유해 절지 동물에게 직접 및(또는) 유해 절지 동물의 생식 장소 (둥지, 식물체, 토양 등)에 시용함으로써 사용된다. 재배 식물에 기생하는 유해 절지 동물을 방제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유해 절지 동물 방제제를 해당 재배식물의 지상부에 산포하는, 본 발명의 유해 절지 동물 방제제를 이 재배 식물의 주본에 관주하는 등에 의해 행해진다.
본 발명의 유해 절지 동물 방제제를 농림업 분야의 유해 절지 동물 방제에 사용하는 경우, 그 시험 실시량은 1000 m2당의 본 발명 화합물의 양으로 통상 O.1내지 1OOOO g이다. 본 발명의 유해 절지 동물 방제제가 유화제, 플로어블제, 수화제, 마이크로캡슐제 등에 제제화되어 있는 경우는 본 발명 화합물 농도가 통상 10내지 10OOO ppm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산포함으로써 시용한다. 본 발명의 유해 절지 동물 방제제가 유제, 입제, 분제 등에 제제화되어 있는 경우는, 통상 그대로 시험 실시한다.
본 발명의 유해 절지 동물 방제제를 방역 분야의 유해 절지 동물의 방제에 사용하는 경우, 그 시용량은 면 상에 처리할 때는 적용 면적 1 m2당의 본 발명 화합물량으로 통상 O.OO1 내지 1OO mg이고, 공간에 처리할 때는 적용 공간 1 m3당의 본 발명 화합물량으로 통상 O.OO1 내지 10 mg이다. 본 발명의 유해 절지 동물방제제가 유제, 플로어블제, 수화제, 마이크로 캡슐제 등에 제제화되어 있는 경우는 본 발명 화합물 농도가 통상 O.O1 내지 1OOOOO ppm이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시용한다. 본 발명의 유해 절지 동물 방제제가 유제, 에어졸, 훈연제, 독 먹이 등으로 제제화되어 있는 경우는 통상 그대로 시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해 절지 동물 방제제는 다른 살충제, 살선충제, 살진드기제, 살균제, 제초제, 식물 성장 조절제, 협력제, 비료, 토양 개량제, 동물용 사료 등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살충제, 살다니제 및 살선충제로서는,
예를 들면 페니트로티온, 펜티온, 피리다펜티온, 다이아디논, 크롤피리포스, 클로로피리포스메틸, 아세페이트, 메티다티온, 디술포톤, DDVP, 술프로포스, 프로페노포스, 시아노포스, 디옥사벤조포스, 지메트에이트, 펜트에이트, 마라티온, 트리크롤폰, 아진포스메틸, 모노크로트포스, 디클로트포스, 에티온, 포스티아제이트 등의 유기 인계 화합물,
BPMC, 벤프라카르브, 프로폭술, 카르보술판, 카르바릴, 메소밀, 에티오펜카르브, 아르지카르브, 옥사밀, 페노티오카르브, 티오디카르브 등의 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 에토펜프록스, 펜발러레이트, 에스펜발러레이트, 펜프로파트린, 시퍼메트린, α-시퍼메트린, Z-시퍼메트린, 퍼메트린, 시할로트린, λ-시할로트린, 시플루트린, β-시플루트린, 델타메트린, 시클로프로스린, τ-풀르바리네이트, 푸르시트리네이트, 비펜트린, 아크리나트린, 토랄로메트린, 실라플루오펜, 할펜프록스 등의 피레트로이드 화합물, 아세트아미프리드, 티아메톡삼, 티아클로프리드 등의 네오니코티노이드 화합물, 클로로플루아즈론, 테플루벤주론, 플루페녹스론, 루페뉴론 등의 벤조일페닐우레아계 화합물, 테부페녹시드, 할로페녹시드, 메톡시페녹시드, 크로마페노지드 등의 벤조일히드라지드 화합물, 브프로페진 등의 티아디아진 유도체, 칼탑, 티옥시크람, 벤술탑 등의 네라이스톡신 유도체, 엔도술판, γ-BHC, 1,1-비스(클로로페닐)-2,2,2-트리클로로에탄올 등의 염소화탄화 수소 화합물, 아미트라즈, 클로로디메포름 등의 포름아미딘 유도체, 디아펜티우론 등의 티오우레아 유도체, 에티프롤, 아세토프롤 등의 페닐피라졸계 화합물, 크롤페나필, 피메트로진, 스피노사드, 인독사키르브, 브로모프로필레이트, 테트라디폰, 퀴노메티오네이트, 프로파르게이트, 펜부타틴옥시드, 헥시티아족스, 에톡사졸, 크로펜테딘, 피리다벤, 피리다릴, 펜피록시메이트, 테부펜피라드, 피리미지펜, 페나자킨, 아세퀴노실, 비페나제이트, 푸르아크리피림, 스필로디크로펜, 스필로메시펜, 밀베멕틴, 아버멕틴, 에마멕틴벤조산염, 아자디락틴, 폴리낙틴콤플렉스 [테트라낙틴, 디낙틴, 트리낙틴]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제제예 및 시험예 등에 의해 또한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조예 중,1H-NMR의 데이터는 중클로로포름 중, 테트라메틸실란을 내부 표준으로서 측정한 것이다.
본 발명 화합물의 제조법에 관하여 제조예를 나타낸다.
<제조예 1>
N,N-디메틸포름아미드 11 ㎖에 5-클로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190 mg 및 벤질알코올 123 mg을 용해하여, 빙냉하에서 수소화나트륨 (60 % 유성) 59 mg을 가하였다. 빙냉하에서 0.5 시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4.5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에 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1이라 한다 ) 190 mg을 얻었다.
1H-NMR: 7.43-7.38(m,5H), 5.49(s,2H), 2.62(s,3H)
<제조예 2>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에 2-클로로벤질알코올 215 mg을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수소화 나트륨 (60 % 유성) 59 mg을 가하였다. 30 분 교반 후, 5-클로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250 mg을 2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한 용액을 적하하였다. 또한 빙냉하에서 0.5 시간, 실온에서 2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에 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2-클로로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2라고 한다) 188 mg을 얻었다.
1H-NMR: 7.53-7.29(m,4H) 5.61(s,2H) 2.62(s,3H)
<제조예 3>
2-클로로벤질알코올 대신에 3-클로로벤질알코올 215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하여 5-(3-클로로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3)이라고 한다) 190 mg을 얻었다.
1H-NMR: 7.45-7.30(m,4H) 5.47 (s,2H) 2.61(s,3H)
<제조예 4>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에 5-클로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150 mg 및 4-클로로벤질알코올 154 mg을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수소화나트륨 (60 % 유성) 43 mg을 가하였다. 빙냉하애서 0.5 시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4 시간 교반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에 주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4-클로로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4라 한다) 170 mg을 얻었다.
1H-NMR: 7.37 (s,4H) 5.46 (s,2H) 2.61 (s,3H)
<제조예 5>
2-클로로벤질알코올 대신에 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알코올 264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하여, 5-(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5라고 한다) 203 mg을 얻었다.
1H-NMR: 7.76-7.49(m,4H) 5.68(s,2H) 2.61(s,3H)
<제조예 6>
2-클로로벤질알코올 대신에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알코올 264 mg을 사용한것 이외에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하여, 5-(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6)이라고 한다) 93 mg을 얻었다.
1H-NMR: 7.73-7.50(m,4H) 5.55 (s,2H) 2.61(s,3H)
<제조예 7>
2-클로로벤질알코올 대신에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알코올 264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하여, 5-(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7)이라고 한다) 61 mg을 얻었다.
1H-NMR: 7.67(d,2H) 7.56 (d,2H) 5.56(s,2H) 2.61(s,3H)
<제조예 8>
4-클로로벤질알코올 대신에 4-메틸벤질알코올 131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4와 동일하게 하여, 5-(4-메틸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8)이라고 한다) 85 mg을 얻었다.
1H-NMR: 7.33(d,2H) 7.21 (d,2H) 5.44(s,2H) 2.61(s,3H)
<제조예 9>
2-클로로벤질 알코올 대신에 4-t-부틸벤질알코올 246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하여 5-(4-t-부틸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9)라고 한다) 264 mg을 얻었다.
1H-NMR: 7.44(d,2H) 7.38 (d,2H) 5.46 (s,2H) 2.68(s,3H) 1.34(s,9H)
<제조예 10>
2-클로로벤질알코올의 대신에 4-메톡시벤질알코올 207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하여, 5-(4-메톡시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10)이라고 한다) 179 mg을 얻었다.
1H-NMR: 7.49(d,2H) 7.92 (d,2H) 5.44 (s,2H) 3.82(s,3H) 2.61(s,3H)
<제조예 11>
2-클로로벤질알코올 대신에 4-메틸티오벤질알코올 231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하여, 5-(4-메틸티오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11)이라고 한다) 239 mg을 얻었다.
1H-NMR: 7.36(d,2H) 7.24 (d,2H) 5.42 (s,2H) 2.62(s,3H) 2.49(s,3H)
<제조예 12>
N,N-디메틸포름아미드 3 ㎖에 5-클로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334 mg 및 4-플루오로벤질알코올을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수소화나트륨 (60 % 유성) 84 mg을 가하였다. 빙냉하에서 1 시간 교반한 후, 또한 실온에서 4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에 주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4-플루오로-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12)라고 한다) 357 mg을 얻었다.
1H-NMR: 7.43(m,2H) 7.09(m,2H) 5.46(s,2H) 2.61(s,3H)
<제조예 13>
4-플루오로벤질알코올 대신에 4-브로모벤질알코올 374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2와 동일하게 하여 5-(4-브로모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13)이라고 한다) 500 mg을 얻었다.
1H-NMR: 7.53(d,2H) 7.32 (d,2H) 5.44 (s,2H) 2.61(s,3H)
<제조예 14>
4-플루오로벤질알코올 대신에 4-요오드벤질알코올 468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2와 동일하게 하여 5-(4-요오드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14)라고 한다) 440 mg을 얻었다.
1H-NMR: 7.74(d,2 H) 7.19(d,2H) 5.43(s,2H) 2.61(s,3H)
<제조예 15>
4-플루오로벤질알코올 대신에 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알코올 384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2와 동일하게 하여 5-(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480 mg을 얻었다.
5-(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발명 화합물 (15)라고 한다)
1H-NMR: 7.48(d,2H) 7.23(d,2H) 5.49(d,2H) 2.61(s,3H)
<제조예 16>
2-클로로벤질알코올 대신에 2,6-디플루오로벤질알코올 216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하여, 5-(2,6-디플루오로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16)이라고 한다) 254 mg을 얻었다.
1H-NMR: 7.44-7.32(m,1H) 6.99-6.92(m,2H) 5.60(s,2H) 2.63(s,3H)
<제조예 17>
2-클로로벤질알코올 대신에 3,5-디플루오로벤질알코올 216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하여, 5-(3,5-디플루오로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17)이라고 한다) 108 mg을 얻었다.
1H-NMR: 6.96(m,2H) 6.81(m,1H) 5.47(s,2H) 2.61(s,3H)
<제조예 18>
2-클로로벤질알코올 대신에 3,4-디클로로벤질알코올 266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하여, 5-(3,4-디클로로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18)이라고 한다) 241 mg을 얻었다.
1H-NMR: 7.55(s,1H) 7.48(d,1H) 7.28(d,1H) 5.44(s,2H) 2.61(s,3H)
<제조예 19>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에 2-피리딜메탄올 218 mg을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수소화나트륨 (60 % 유성) 84 mg을 가하여, 15 분 교반 후, 5-클로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334 mg을 2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녹인 용액을 적하하였다. 또한 빙냉하에서 0.5 시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2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에 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2-피리딜메틸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19)라고 한다) 30 mg을 얻었다.
1H-NMR: 8.64(d,1H) 7.77(t,1H) 7.46(d,1H) 7.28(t,1H) 5.60(s,2H) 2.61(s,3H)
<제조예 20>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에 5-클로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100 mg 및 3-피리딘메탄올 78 mg을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수소화나트륨 (60 % 유성) 29 mg을 가하였다. 빙냉하에서 0.5 시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에 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3-피리딜메틸)-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20)이라고 한다) 88 mg을 얻었다.
1H-NMR: 8.72(s,1H) 8.64(d,1H) 7.81(d,1H) 7.35(t,1H) 5.53(s,2H) 2.61(s,3H)
<제조예 21>
N,N-디메틸포름아미드 2.5 ㎖에 5-클로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200 mg 및 6-클로로-3-피리딜메틸알코올 207 mg을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수소화나트륨 (60 % 유성) 58 mg을 가하였다. 빙냉하에서 0.5 시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1 시 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에 주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6-클로로-3-피리딜)메틸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21)이라고 한다) 170 mg을 얻었다.
1H-NMR: 8.50(d,1H) 7.77(dd,1H) 7.38(d,1H) 5.50(s,2H) 2.61(s,3H)
<제조예 22>
6-클로로-3-피리딜메틸알코올 대신에 1-페닐에탄올 176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1과 동일하게 하여 5-(1-페닐에톡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22)라고 한다) 190 mg을 얻었다.
1H-NMR: 7.44-7.29(m,5H) 5.99(q,1H) 2.58(s,3H) 1.74(d,3H)
<제조예 23>
벤질알코올의 대신에 2-페닐에탄올 131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4와 동일하게 하여 5-(2-페닐에톡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23)이라고 한다) 160 mg을 얻었다.
1H-NMR: 7.36-7.23(m,5H) 4.67(t,2H) 3.13(5t,2H) 2.60(s,3H)
<제조예 24>
2-피리딜메탄올 대신에 2-피리딜-2-에탄올 246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9와 동일하게 하여 5-(2-피리딜-2-에틸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24)라고 한다) 45 mg을 얻었다.
1H-NMR: 8.56(d,1H) 7.63(t,1H) 7.17(m,2H) 4.88(t,2H) 3.31(t,2H) 2.60(s,3 H)
<제조예 25>
6-클로로-3-피리딜메틸알코올 대신에 3-페닐프로판올 196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1과 동일하게 하여 5-(3-페닐프로필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25)라고 한다) 210 mg을 얻었다.
1H-NMR: 7.30-7.18(m,5H) 4.47(t,2H) 2.77(t,2H) 2.60(s,3H) 2.15(m,2H)
<제조예 26>
N,N-디메틸포름아미드 4 ㎖에 5-클로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334 mg 및 3-니트로벤질알코올 337 mg을 용해하였다. 탄산칼륨 331 mg을 가하여 실온에서 4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에 주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3-니트로-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26)이라 한다) 320 mg을 얻었다.
1H-NMR: 8.33(s,1H) 8.24(d,1H) 7.79(d,1H) 7.60(t,1H) 5.60(s,2H) 2.62(s,3H)
<제조예 27>
3-니트로벤질알코올 대신에 4-니트로벤질알코올 337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6과 동일하게 하여 5-(4-니트로-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27)이라고 한다) 36 mg을 얻었다.
1H-NMR: 8.27(d,2H) 7.62(d,2H) 5.61(s,2H) 2.61(s,3H)
<제조예 28>
N,N-디메틸포름아미드 4 ㎖에 5-클로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334 mg 및 3,5-디클로로벤질알코올 389 mg을 용해하여 빙냉하에서 수소화나트륨 (60 % 유성) 96 mg을 가하였다. 빙냉하에서 0.5 시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4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에 주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3,5-디클로로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28)이라고 한다) 380 mg을 얻었다.
1H-NMR: 7.37(s,1H) 7.33(s,2H) 5.44(s,2H) 2.61(s,3H)
<제조예 29>
3,5-디클로로벤질알코올 대신에 2,4-디클로로벤질알코올 389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8과 동일하게 하여 5-(2,4-디클로로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29)라고 한다) 370 mg을 얻었다.
1H-NMR: 7.46(d,2H) 7.29(d,1H) 5.56(s,2H) 2.61(s,3H)
<제조예 30>
N,N-디메틸포름아미드 4 ㎖에 5-클로로-3-알릴티오-1,2,4-티아디아졸 193 mg 및 벤질알코올 108 mg을 용해하여, 빙냉하에서 수소화나트륨 (60 % 유성) 48 mg을 가하여, 빙냉하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에 주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벤질옥시-3-알릴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30)이라고 한다) 240 mg을 얻었다.
1H-NMR: 7.51-7.28(m,5H) 5.99(m,1H) 5.49(s,2H) 5.33(d,1H) 5.16(d,1H) 3.84(d,2H)
<제조예 31>
N,N-디메틸포름아미드 3 ㎖에 5-클로로-3-벤질티오-1,2,4-티아디아졸 243 mg 및 벤질알코올 108 mg을 용해하여, 빙냉하에서 수소화나트륨 (60 % 유성) 48 mg을 가하여, 빙냉하에서 1 시간, 실온에서 17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에 주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벤질옥시-3-벤질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31)이라고 한다) 146 mg을 얻었다.
1H-NMR: 7.42-7.25(m,10H) 5.48(s,2H) 4.42(s,2H)
<제조예 32>
N,N-디메틸포름아미드 3 ㎖에 5-클로로-3-(4-클로로벤질티오)-1,2,4-티아디아졸 416 mg 및 벤질알코올 162 mg을 용해하여, 빙냉하에서 수소화나트륨 (60 % 유성) 48 mg을 가하여, 빙냉하에서 15 분간,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에 주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벤질옥시-3-(4-클로로벤질)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32)라고 한다) 400 mg을 얻었다.
1H-NMR: 7.43-7.26(m,9H) 5.48(s,2H) 4.37(s,2H)
<제조예 33>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에 5-클로로-3-(4-메톡시벤질)티오-1,2,4-티아디아졸 200 mg 및 벤질알코올 87 mg을 용해하여, 빙냉하에서 수소화나트륨 (60 % 유성) 35 mg을 가하여, 빙냉하에서 1 시간, 실온에서 4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에 주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벤질옥시-3-(4-메톡시벤질)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33)이라고 한다) 165 mg을 얻었다.
1H-NMR: 7.51-7.31(m,7H) 6.83(d,2H) 5.48(s,2H) 4.38(s,2H) 3.79(s,3H)
<제조예 34>
N,N-디메틸포름아미드 4 g에 4-피리딘메탄올 218 mg을 용해하고, 실온에서 수소화나트륨 (60 % 유성) 96 mg을 가하였다. 30 분간 교반 후, 5-클로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334 m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1 g에 녹인 용액을 적하하고, 또한 실온에서 4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에 주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4-피리딜메틸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34)라고 한다) 260 mg을 얻었다.
1H-NMR: 8.65(d,2H) 7.33(d,2H) 5.53(s,2H) 2.61(s,3H)
<제조예 35>
N,N-디메틸포름아미드 3 g에 5-클로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251 mg 및 6-클로로-2-피리딜메틸알코올 188 mg을 용해하고, 실온에서 수소화나트륨 (60 % 유성) 72 mg을 가하여 30 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에 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6-클로로-2-피리딜메틸옥시)-3-메틸티오 -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35)라고 한다) 44 mg을 얻었다.
1H-NMR: 7.71(t,1H) 7.38(d,1H) 7.30(d,1H) 5.55(s,2H) 2.60(s,3H)
<제조예 36>
N,N-디메틸포름아미드 3.6 g에 5-클로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304 mg 및 2-피리미딜메틸알코올 200 mg을 용해하여 빙냉하에서 수소화나트륨 (60 % 유성) 87 mg을 가하여 15 분간 교반하였다. 또한 실온에서 1.5 시간 교반한 후,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에 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2-피리미딜메틸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36)이라고 한다) 278 mg을 얻었다.
1H-NMR: 8.78(d,2H) 7.27(t,1H) 5.73(s,2H) 2.59(s,3H)
<제조예 37>
N,N-디메틸포름아미드 4 g에 5-클로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304 mg 및 5-피리미딜메틸알코올 200 mg을 용해하여, 빙냉하에서 수소화나트륨 (60 % 유성) 97 mg을 가하여 30 분간 교반하였다. 또한 실온에서 5 시간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에 주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5-피리미딜메틸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37)이라고 한다) 210 mg을 얻었다.
1H-NMR: 9.25(s,1H) 8.88(s,2H) 7.27(s,2H) 2.61(s,3H)
<제조예 38>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g에 5-클로로-3-벤질티오-1,2,4-티아디아졸 219 mg 및 5-피리미딜메틸알코올 100 mg을 용해하여, 빙냉하에서 수소화나트륨 (60 % 유성) 44 mg을 가하여 30 분간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또한 5 시간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에 주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5-피리미딜메틸옥시)-3-벤질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38)이라고 한다) 130 mg을 얻었다.
1H-NMR: 9.25(s,1H) 8.86(s,2H) 7.43-7.24(m,5H) 5.53(s,2H) 4.41(s,2H)
<제조예 39>
N,N-디메틸포름아미드 4 g에 5-클로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304 mg 및 4-피리미딜메틸알코올 200 mg을 용해하여, 빙냉하에서 수소화나트륨 (60 % 유성) 87 mg을 가하여 15 분간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또한 2 시간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에 주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4-피리미딜메틸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39)라고 한다) 210 mg을얻었다.
1H-NMR: 9.21(s,1H) 8.78(d,1H) 7.45(d,1H) 5.60(s,2H) 2.60(s,3H)
<제조예 40>
5-클로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의 대신에 5-클로로-3-벤질티오-1,2,4-티아디아졸 219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39와 동일하게 하여 5-(4-피리미딜메틸옥시)-3-벤질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40)이라고 한다) 110 mg을 얻었다.
1H-NMR: 9.21(s,1H) 8.77(d,1H) 7.44-7.23(m,6H) 5.59(s,2H) 4.39(s,2H)
<제조예 41>
5-클로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대신에 5-클로로-3-(4-클로로벤질티오)-1,2,4-티아디아졸 252 m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40과 동일하게 하여 5-(4-피리미딜메틸옥시)-3-(4-클로로벤질)티오-1,2,4-티아디아졸(이하, 본 발명 화합물(41)라고 한다)127 mg을 얻었다.
1H-NMR: 9.21 (s,1H) 8.78 (d,1H) 7.43-7.24(m,5H) 5.58(s,2H) 4.34(s,2H)
<제조예 42>
N,N-디메틸포름아미드 3 g에 5-클로로-3-에톡시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300 mg 및 벤질 알코올153 mg을 용해하여, 빙냉하로 수소화나트륨(60% 유성) 68 mg을 가하여 15 분간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또한 2 시간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에 주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벤질옥시-3-에톡시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42)라고 한다) 210 mg을 얻었다.
1H-NMR: 7.46-7.36(m,5H) 5.49(s,2H) 5.40(s,2H) 3.67(q,2H) 1.24(t,3H)
<제조예 43>
N,N-디메틸포름아미드 3 g에 5-클로로-3-벤질옥시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350 mg 및 벤질알코올 153 mg을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수소화나트륨 (60 % 유성) 68 mg을 가하여 30 분간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2 시간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포화 식염수에 주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벤질옥시-3-벤질옥시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43)이라고 한다) 260 mg을 얻었다.
1H-NMR: 7.45-7.25 (m,10H) 5.49 (s,2H) 5.43(s,2H) 4.71(s,2H)
<제조예 44>
빙냉하, 아세트산 무수물 1.5 g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 620 mg, 2,6-루티딘 422 mg, 5-벤질옥시-3-메틸술피닐-1,2,4-티아디아졸 500 mg을 가하였다. 실온에서 15 시간 정치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중조수에 주가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벤질옥시-3-아세톡시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이하, 본 발명 화합물 (44)라고 한다) 376 mg을 얻었다.
1H-NMR: 7.46-7.36(m,5H) 5.77(s,2H) 5.50(s,2H) 2.11(s,3H)
다음으로 본 발명 화합물의 제조 중간체의 제조에 대해서 참고 제조예로서 기술한다.
<참고 제조예 1>
톨루엔 20 ㎖ 및 물 10 ㎖의 혼합물에 4-메톡시벤질이소티오우레아염산염 2.53 g, 퍼클로로메틸머캅탄 2.03 g 및 벤질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50 mg을 가하고, 약 0 ℃에서 수산화 나트륨 1.74 g을 물 10 ㎖에 용해한 용액을 4 시간 동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또한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에 t-부틸메틸에테르를 가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무수물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3-(4-메톡시벤질)티오-5-클로로-1,2,4-티아디아졸 5.38 g을 얻었다.
1H-NMR: 7.35(d,2H) 6.85(d,2H) 4.41(s,2H) 3.79(s,3H)
<참고 제조예 2>
물 35 ㎖ 및 디클로로메탄 70 ㎖의 혼합물에 에톡시메틸이소티오우레아염산염 12.2 g 및 퍼클로로메틸머캅탄 13.2 g을 가하고, 약 0 ℃에서 수산화나트륨 11.4 g을 물 35 ㎖에 용해한 용액을 약 1.5 시간 동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또한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에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무수물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3-에톡시메틸티오-5-클로로-1,2,4-티아디아졸 5.22 g을 얻었다.
3-에톡시메틸티오-5-클로로-1,2,4-티아디아졸
1H-NMR: 5.43(s,2H) 3.68(q,2H) 1.26(t,3H)
<참고 제조예 3>
물 25 ㎖ 및 디클로로메탄 50 ㎖에 벤질옥시메틸이소티오우레아염산염 11.3 및 퍼클로로메틸머캅탄 9.02 g을 가하고, 약 0 ℃에서 수산화나트륨 7.76 g을 물 25 ㎖에 용해한 용액을 약 1.5 시간 동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또한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에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무수물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클로마토그래피을 이용하여 3-벤질옥시메틸티오-5-클로로-1,2,4-티아디아졸 3.51 g을 얻었다.
1H-NMR: 7.36-7.28 (m,5H) 5.45(s,2H) 4.69(s,2H)
<참고 제조예 4>
클로로포름 12 ㎖에 5-벤질옥시-3-메틸티오-1,2,4-티아디아졸 1.39 g을 용해하고, 빙냉하 메타클로로과벤조산 (>70 %) 1.44 g을 서서히 가하였다. 1 시간 교반 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저극성의 화합물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아황산나트륨 수용액에 가하여 분액하였다. 계속해서, 유기상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여 황산나트륨 무수물로 건조한 후, 농축하여 5-벤질옥시-3-메틸술피닐-1,2,4-티아디아졸 1.4 g을 얻었다.
다음으로, 제제예를 나타낸다. 또한 부는 중량부를 나타낸다.
<제제예 1>
본 발명 화합물 (1) 내지 (44)의 각각 9 부를, 크실렌 37.5 부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37.5 부에 용해하고, 이에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테르 10 부 및 도데실벤젠술폰산칼슘 6 부를 가하여 잘 교반 혼합하여 각각의 유제를 얻는다.
<제제예 2>
본 발명 화합물 (1) 내지 (44)의 각각 9 부를, 라우릴황산나트륨 4 부, 리그닌술폰산칼슘 2 부, 합성 함수 산화 규소 미세분말 20 부 및 규조토 ± 65 부를 혼합한 중에 가하여 잘 교반 혼합하여 각각의 수화제를 얻는다.
<제제예 3>
본 발명 화합물 (1) 내지 (44)의 각각 3 부, 합성 함수 산화 규소 미세분말 5 부,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5 부, 벤토나이트 30 부 및 클레이 57 부를 가하여, 잘 교반 혼합하고, 이어서 이러한 혼합물에 적당량의 물을 가하여 또한 교반하여 증립기로 제립하고 통풍 건조하여 각각의 입제를 얻는다.
<제제예 4>
본 발명 화합물 (1) 내지 (44)의 각각 4.5 부, 합성 함수 산화 규소 미세분말 1 부, 응집제로서 드릴레스 B (산쿄사 제조) 1 부, 클레이 7 부를 막자사발로 잘 혼합한 후에 쥬스 믹서로 교반 혼합한다. 얻어진 혼합물에 절단 클레이 86.5 부를 가하여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각각의 입제를 얻는다.
<제제예 5>
본 발명 화합물 (1) 내지 (44)의 각각 10 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 50 부를 포함하는 화이트 카본 35 부 및 물 55 부를 혼합하여 습식 분쇄법으로 미분쇄함으로써 각각의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6>
본 발명 화합물 (1) 내지 (44)의 각각 0.5 부를 디클로로메탄 10 부에 용해하고, 이것을 아이솔퍼 M (이소파라핀: 엑슨 가가꾸 등록 상표명) 89.5 부에 혼합하여 유제를 얻는다.
<제제예 7>
본 발명 화합물 (1) 내지 (44)의 각각의 0.1 부, 네오티오졸 (쥬오 가세이 가부시끼 가이샤) 49.9 부를 에어졸관에 넣고, 에어졸 벨브를 장착한 후, 25 부의 디메틸에테르 및 25 부의 LPG를 충전하고 진탕을 가하여 액튜에이터(actuator)를 장착함으로써 유성 에어졸을 얻는다.
<제제예 8>
본 발명 화합물 (1) 내지 (44)의 각각의 0.6 부, BHT 0.01 부, 크실렌 5 부, 탈취 등유 3.39 부 및 유화제 {아트모스 300 (아트모스 케미칼사 등록 상표명)} 1 부를 혼합 용해한 것과, 증류수 50 부를 에어졸 용기에 충전하여, 밸브 부분을 부착하고, 이 밸브를 통하여 분사제 (LPG) 40 부를 가압 충전하여 수성 에어졸을 얻는다.
계속해서 본 발명 화합물이 유해 절지 동물 방제제로서의 사용예를 시험예에 의해 나타낸다.
<시험예>
상기 제제예 5에 따라서 제조한 본 발명 화합물 (1), (3), (4), (6), (7), (8),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8), (30), (31), (33), (34), (35), (36), (37), (38), (42), (43) 및 (44)의 각각의 제제를, 유효 성분 농도가 500 ppm이 되돌고 물로 희석하여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폴리에틸렌 컵에 오이를 심고, 첫번째 잎이 전개할 때까지 생육시키고, 거기에 목화 진딧물 약 20 마리를 기생시켰다. 1 일후, 그 오이에 상기한 희석액을 20 ㎖/컵의 비율로 산포하였다. 산포 6 일 후에 생존하고 있는 목화 진딧물의 수를 조사하였다. 생존하고 있었던 목화 진딧물은 3 마리 이하였다.
본 발명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유해 절지 동물을 방제할 수가 있다.

Claims (14)

  1.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A>
    <화학식 B>
    [식 중, R1은 메틸기, C3-C7 알케닐기, C2-C7 알콕시알킬기, C2-C7 알킬티오알킬기, C4-C7 알콕시알콕시알킬기, C4-C7 알킬티오알콕시알킬기,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2 알킬기,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옥시) C1-C2 알킬기,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2-C3 알콕시알킬기, 또는 상기 화학식 B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R2는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4 알킬기,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딜) C1-C4 알킬기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미딜) C1-C4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하기의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4 알킬기, (하기의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딜) C1-C4 알킬기 또는 (하기의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미딜) C1-C4 알킬기이고, 상기 치환기군 A는 C1-C4 알킬기, C1-C4 할로알킬기, C1-C4 알콕시기, C1-C4 알킬티오기, C1-C4 할로알콕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4 알킬기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딜) C1-C4 알킬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하기의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4 알킬기 또는 (하기의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딜) C1-C4 알킬기이고, 상기 치환기군 A는 C1-C4 알킬기, C1-C4 할로알킬기, C1-C4 알콕시기, C1-C4 알킬티오기, C1-C4할로알콕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A에 있어서, R2가 (하기의 치환기군 B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4 알킬기 또는 (하기의 치환기군 B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피리딜) C1-C4 알킬기이고, 상기 치환기군 B는 C1-C4 알킬기, C1-C4 할로알킬기, C1-C4 알콕시기, C1-C4 알킬티오기, C1-C4할로알콕시기 및 할로겐 원자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있어서,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메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C3-C7 알케닐기, C2-C7 알콕시알킬기, C2-C7 알킬티오알킬기, C4-C7 알콕시알콕시알킬기 또는 C4-C7 알킬티오알콕시알킬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하기의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1-C2 알킬기, (하기의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옥시) C1-C2 알킬기 또는 (하기의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C2-C3 알콕시알킬기이고, 하기 치환기군 A는 C1-C4 알킬기, C1-C4 할로알킬기, C1-C4 알콕시기, C1-C4 알킬티오기, C1-C4 할로알콕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하기 화학식 B로 표시되는 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화학식 B>
    [식 중, R3은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C1-C4 알킬기, C1-C4 할로알킬기, C1-C4 알콕시기, C1-C4 알킬티오기, C1-C4 할로알콕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C1-C6 알콕시)메틸기 또는 (C1-C6 알킬티오) 메틸기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A에 있어서, R1이 하기의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벤질기, 하기의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옥시메틸기 또는 하기의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벤질옥시메틸기이고, 상기 치환기군 A는 C1-C4 알킬기, C1-C4 할로알킬기, C1-C4 알콕시기, C1-C4 알킬티오기, C1-C4할로알콕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인 티아디아졸 화합물.
  12. 유효량의 제1항에 기재된 티아디아졸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해 절지 동물 방제 조성물.
  13. 유효량의 제1항에 기재된 티아디아졸 화합물을 유해 절지 동물 또는 유해 절지 동물의 생식 장소에 시용하는 유해 절지 동물의 방제 방법.
  14. 제1항에 기재된 티아디아졸 화합물의 유해 절지 동물 방제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서의 용도.
KR10-2004-7011048A 2002-01-17 2003-01-15 티아디아졸 화합물 및 그의 용도 KR200400750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08356 2002-01-17
JP2002008356 2002-01-17
PCT/JP2003/000237 WO2003059897A1 (fr) 2002-01-17 2003-01-15 Composes de thiadiazo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087A true KR20040075087A (ko) 2004-08-26

Family

ID=19191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048A KR20040075087A (ko) 2002-01-17 2003-01-15 티아디아졸 화합물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73879B2 (ko)
EP (1) EP1475374A4 (ko)
KR (1) KR20040075087A (ko)
CN (1) CN1298710C (ko)
AU (1) AU2003203224B2 (ko)
BR (1) BR0306823A (ko)
WO (1) WO20030598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3251B2 (ja) * 2002-10-11 2010-07-28 住友化学株式会社 チアジアゾール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ES2307833T3 (es) 2002-11-08 2008-12-0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Compuestos de 1,2,4-tiadiazol y utilizacion de los mismos.
CN100408625C (zh) 2002-11-21 2008-08-06 株式会社钟化 热塑性弹性体组合物
ZA200601274B (en) * 2003-10-15 2007-05-30 Sumitomo Chemical Co 1,2,4-thiadiazole compounds and pests controlling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9730449B2 (en) 2014-01-06 2017-08-1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Thiazole compound and its use in pest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9319A (en) * 1973-10-26 1978-01-17 Roussel Uclaf Novel thiadiazoles
FR2308629A1 (fr) * 1975-04-24 1976-11-19 Roussel Uclaf Nouveaux derives substitues du thiadiazol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herbicides
DE2914003A1 (de) * 1979-04-06 1980-10-16 Bayer Ag Azolyloxy-carbonsaeuream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herbizide
DE3030661A1 (de) 1980-08-13 1982-04-01 Bayer Ag, 5090 Leverkusen Hetaryl-propargylether,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in schaedlingsbekaempfungsmitteln, diese stoffe enthaltende schaedlingsbekaempfungsmittel, sowi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GB8509752D0 (en) * 1985-04-16 1985-05-22 Fbc Ltd Acaricides
DE4305502A1 (de) * 1993-02-23 1994-08-25 Basf Ag Ortho-substituierte 2-Methoxyiminophenylessigsäuremethylamide
DE4341066A1 (de) * 1993-05-03 1994-11-10 Bayer Ag Oxa(Thia)-diazol-oxy-phenylacrylate
DE4415338A1 (de) * 1994-05-02 1995-11-09 Bayer Ag Alkylsulfinyl- und Alkylsulfonyl-1,2,4-thiadiazolyloxyacetamide
EP0934283A2 (en) 1996-08-01 1999-08-1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rthropodicidal and fungicidal cyclic amides
JP4923334B2 (ja) * 2001-05-22 2012-04-25 住友化学株式会社 1,2,4−チアジアゾール化合物及びその用途
JP4513251B2 (ja) * 2002-10-11 2010-07-28 住友化学株式会社 チアジアゾール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59897A1 (fr) 2003-07-24
US20050215578A1 (en) 2005-09-29
EP1475374A4 (en) 2005-05-04
EP1475374A1 (en) 2004-11-10
BR0306823A (pt) 2004-12-21
CN1617863A (zh) 2005-05-18
AU2003203224A1 (en) 2003-07-30
US7273879B2 (en) 2007-09-25
AU2003203224B2 (en) 2008-04-17
CN1298710C (zh) 200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407B1 (ko) 살충제로서의 말로노니트릴 화합물
KR20040075087A (ko) 티아디아졸 화합물 및 그의 용도
JP4513251B2 (ja) チアジアゾール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JP4923334B2 (ja) 1,2,4−チアジアゾール化合物及びその用途
JP4894225B2 (ja) 4−フルオロ−6−アルキニルオキシピリミジン化合物とその製造方法
KR100874562B1 (ko) 1,2,4-티아디아졸 화합물 및 그의 용도
JP4182238B2 (ja) 殺虫、殺ダニ剤組成物
KR950013766B1 (ko) N-비닐이미다졸리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활성 성분으로서 이를 함유하는 살충제 및 이의 중간체
JP2004231528A (ja) アミド誘導体
JP2003277372A (ja) チアジアゾール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KR101032834B1 (ko) 1,2,4-티아디아졸 화합물 및 그를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조성물
WO1999059993A1 (fr) Compose heterocyclique
KR101021452B1 (ko) 피라졸 화합물
JP4830301B2 (ja) 含窒素5員環を有するマロノニトリル化合物及びその用途
JP3038903B2 (ja) ウラシル誘導体及び有害生物防除剤
JP2003221384A (ja) ピラゾール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JP2003155279A (ja) 1,2,4−オキサジアゾール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JP2003160568A (ja) 4,5−置換ピリミジン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