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0430A - 연속 주조용 몰드 및 그 짧은 변 프레임 및 짧은 변프레임의 교환방법 - Google Patents

연속 주조용 몰드 및 그 짧은 변 프레임 및 짧은 변프레임의 교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0430A
KR20040070430A KR10-2003-7000837A KR20037000837A KR20040070430A KR 20040070430 A KR20040070430 A KR 20040070430A KR 20037000837 A KR20037000837 A KR 20037000837A KR 20040070430 A KR20040070430 A KR 20040070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side
side frame
moving
mold
continuous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3130B1 (ko
Inventor
마꼬또 나이또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0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 B41J2/4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using light-emitting diode [LED] or laser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into moulds having adjustable w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04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operation
    • H01L33/0008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operation having p-n or hi-lo junctions
    • H01L33/0016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operation having p-n or hi-lo junctions having at least two p-n j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연속 주조용 몰드의 몰드 짧은 변 프레임을 일체시킨 상태에서 교체 가능하게 하여 온라인에서 주편 두께의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그 방법으로 짧은 변 프레임의 배면에 이동장치의 일부를 걸어맞추는 오목부와 이 이동장치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지그를 구비하는 착탈기구를 설치한다. 특히, 아래로 개구부를 갖는 오목형부와 이 오목형부의 배면에서 이 이동장치 일부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볼트 나사로 이루어진 착탈기구가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연속 주조용 몰드 및 그 짧은 변 프레임 및 짧은 변 프레임의 교환방법 {CONTINUOUS CASTING MOLD, A SHORTER SIDE FRAME THEREOF AND A METHOD OF EXCHANGING THE SHORTER SIDE FRAME}
기술분야
본 발명은 주편의 치수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슬래브 등의 연속 주조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짧은 변측의 가동 프레임 (이하, 짧은 변 프레임이라고 함) 및 그 교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최근 주편, 특히 슬래브 등의 대형 주편의 연속 주조 장치에 사용되는 주조용 몰드는 주조 중에 몰드의 각 변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연속 주조 주편 슬래브의 치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주조용 몰드는 일반적으로 주편 단면의 긴 변측 프레임 (긴 변 프레임) 이 주조되는 주편의 폭보다 폭이 넓게 되어 있다. 이 폭넓은 긴 변 프레임 사이에 짧은 변 프레임을 위치시키고, 이 짧은 변 프레임은 주편 폭 변경용의 짧은 변 프레임 이동장치, 예컨대 스크류식 등의 실린더에 결합되어 있다. 이 실린더의 스트로크에 따라 짧은 변측 프레임의 위치를 변경시키고, 따라서 주편 폭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주편의 두께 변경은 상기 몰드의 긴 변 프레임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시에, 짧은 변 프레임을 상기 긴 변 프레임의 간격에 적합한 것으로 교체함으로써 치수 변경을 한다.
종래 이동장치와 짧은 변 프레임은 조인트 등으로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주편 두께의 변경시에는 몰드 전체를 분리시키고 미리 준비해 둔 두께가 다른 짧은 변 프레임을 세팅한 대체 몰드를 라인에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작업 순서에서는 주조를 장시간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반면에, 연속 주조용 몰드의 (주편 두께의 변경을 위한) 짧은 변 프레임의 교환에 가해지는 작업을 간략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기술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224049호에 개시되어 있는 연속 주조용 주편 두께 가변 몰드가 있다.
이 기술은 연속 주조용 주편 두께 가변 몰드가 원격 조작으로 개폐할 수 있는 긴 변 고정 프레임 및 긴 변 가동 프레임, 이들 긴 변 프레임 사이에 있는 1 쌍의 짧은 변 프레임을 가지며, 짧은 변 프레임을 이동장치에 접속된 고정 짧은 변 프레임 및, 고정 짧은 변 프레임에 착탈되고 또 짧은 변 구리판을 고착한 가변 짧은 변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짧은 변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변 짧은 변 프레임에 냉각수로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 짧은 변 프레임의 급배수로와 가변 짧은 변 프레임의 냉각수로가 프레임 합치면에서 접속/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정 짧은 변 프레임 및 가변 짧은 변 프레임의 합치부에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있어 걸어맞춤부에 의해 위치 결정을 쉽게 한 것이다.
그러나, 짧은 변측 프레임을 이중 구조로 한 상기 기술은 짧은 변측 프레임의 두께가 짧은 변 프레임 이동방향으로 두꺼워져 주편 폭 변경을 위해 짧은 변 프레임의 이동거리가 제약을 받는다. 또, 불가피하게 짧은 변 프레임의 중량이 일체로 구성하는 것보다 증가하기 때문에 주조 (casting) 중의 고속 폭 변경을 하는 경우에 하중이 커져 변경 폭 스트로크를 크게 할 수 없다. 스트로크를 크게 취하기 위해서는 주편 폭 변경용 이동장치를 길이ㆍ굵기 모두 크게 할 필요가 있어 설비비, 조작ㆍ유지비 및 공간 손실을 가져온다.
또한, 문제가 되는 것은 누수의 위험성이다. 상기 기술에서는 교환하는 부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구리판부로만 가변 짧은 변 프레임을 교환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냉각수를 구리판부에 접촉시키기 위해서는 가변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 사이에 냉각수로를 형성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접합부의 누수 대책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예컨대 고정 짧은 변 프레임과 가변 짧은 변 프레임 사이로부터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자를 꽉 누르는 누름 실린더가 필요한데, 연속 주조 작업에서는 연속 주조 파우더 등의 분체도 취급하기 때문에 가루 등의 이물질이 두 프레임의 접합부에 침입되기 쉬우므로, 그래서 접합 작업에는 세심한 주의와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몰드의 수명연장화에 따라 연속 조업 시간 (기간) 이 길어지기 때문에 접합부의 냉각수 시일의 열화도 빠르다. 또, 누름 실린더의 고장이나 이물질 혼입, 시일 열화 등에 따라 누수된 경우 구리판의 시저 (seizure) 를 일으키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대량의 물이 몰드 내로 유입되어 수증기 폭발을 일으킬 위험도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짧은 변 프레임 전체, 즉 상기 가변 프레임 상당부 (구리판) 및 고정 프레임 상당부 (백 프레임) 를 분리하지 않고 일체로, 즉석 교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 방법을 실현하기 위해서 이동장치와의 사이의 착탈기구를 연구한 짧은 변 프레임 및 그 짧은 변 프레임을 사용한 주조 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속 주조용 몰드 짧은 변 프레임의 폭 변경용 이동장치 (스테핑 실린더 등) 와의 접합부를 오목형 구조 주체로 하고 고정지그 (특히, 몰드 상단측에서 장전할 수 있는 고정지그) 를 삽입함으로써, 이동장치와 짧은 변 프레임을 접합 고정시키도록 하여 표기한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적어도 일측이 전후방향으로 가동하는 1 쌍의 긴 변 프레임과, 상기 1 쌍의 긴 변 프레임 사이에 있는, 전후방향으로 가동하는 1 쌍의 짧은 변 프레임과, 상기 짧은 변 프레임의 각각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1 쌍의 이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짧은 변 프레임과 이를 이동시키는 상기 이동장치가 각각 상기 짧은 변 프레임의 배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착탈기구를 통해 걸어맞춰져 있고, 상기 착탈기구가 이동장치 일부와 걸어맞추는 오목부를 갖는 오목형부를 가지고, 각 짧은 변 프레임마다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착탈기구가, 상기 이동장치 일부를 상기 오목형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지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이다. 여기서, 전후방향에서 각 프레임의 주편측을 앞방향, 프레임 배면측을 뒷방향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상기 오목형부는 아래방향으로 개구부를 가지며, 또 상기 고정지그가 상부에서 오목형부의 배면 및 상기 이동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볼트 나사인 구성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목형부의 상기 이동장치 일부를 사이에 둔 벽의 간격을 상기 이동장치 일부의 치수보다 0.1 ∼ 0.4㎜ (바람직하게는 0.1 ∼ 0.2㎜)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고정지그를 갖는 착탈기구의, 상기 오목부에 고정되는 이동장치 일부가 대략 각주형상 (각핀형상) 의 형상을 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착탈기구의 구조로서 상기 오목형부의 개구부가 상기 짧은 변 프레임의 배면을 향하고 있고, 또 오목형부의 하부측의 벽 일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지그가 상부에서 삽입되는 코터 (cotter) 일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도 상기 짧은 변 프레임은 냉각수로를 일체로 된 프레임의 내부에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연속 주조용 몰드를 구성하는 짧은 변 프레임으로서, 상기 짧은 변 프레임의 배면에 상기 짧은 변 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장치를 걸어맞추는 하나 이상의 착탈기구를 배면에 구비하고, 상기 착탈기구가 이동장치 일부와 걸어맞추는 오목부를 갖는 오목형부를 가지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착탈기구가, 상기 이동장치 일부를 상기 오목형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지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짧은 변 프레임이다. 짧은 변 프레임, 착탈기구 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주조 몰드의 발명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일측이 전후방향으로 가동하는 1 쌍의 긴 변 프레임과, 상기 1 쌍의 긴 변 프레임 사이에 있는, 전후방향으로 가동하는 1 쌍의 짧은 변 프레임과, 상기 짧은 변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하나 이상의 착탈기구를 통해 걸어맞춰져 있는, 상기 짧은 변 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장치를 각각 구비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에서, 걸어맞춰져 있는 1 쌍의 짧은 변 프레임 (A 로 함) 을 다른 1 쌍의 짧은 변 프레임 (B 로 함) 과 즉석에서 교환하는 교환방법으로서, 주조를 일단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동장치에 의해 상기 짧은 변 프레임 A 를 각각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소정의 교환위치에 정지시키는 단계와, 긴 변 프레임의 적어도 일측을 전후방향으로 목적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목표하는 슬래브 두께로 설정하는 단계와, 짧은 변 프레임 A 의 착탈기구를 각각 해제하여 짧은 변 프레임 A 의 전체를 상기 이동장치에서 각각 분리하는 단계와, 목표하는 슬래브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짧은 변 프레임 B 의 전체를 짧은 변 프레임 B 의 착탈기구를 통해 상기 이동장치에 각각 걸어맞추는 단계와, 상기 이동장치에 의해 짧은 변 프레임 B 를 각각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소정의 슬래브 폭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주조를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의 짧은 변 프레임의 즉석 교환방법이다. 또, 긴 변 프레임의 이동 타이밍은 슬래브 두께를 증대방향으로 변경할지 감소방향으로 좁아지는 방향으로 변경할지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도 있고, 복수회 이동시킬 수도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여기서, 상기 단계에 추가로 짧은 변 프레임 A 를 상기 이동장치에서 분리하기에 앞서, 짧은 변 프레임 A 로의 냉각수 공급을 각각 정지시키고, 짧은 변 프레임 A 로의 냉각수 공급관을 짧은 변 프레임 A 에서 각각 분리하는 단계를 가지고, 또 짧은 변 프레임 B 의 상기 이동장치에 걸어맞춘 후에 상기 냉각수 공급관을 짧은 변 프레임 B 에 각각 결합시켜, 짧은 변 프레임 B 로의 냉각수 공급을 각각 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연속 주조용 몰드에서 짧은 변 프레임의 구리판과 백 프레임을 일체시킨 상태에서 쉽게 즉석에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주편 두께를 변경하기 위해서 짧은 변측 프레임을 온라인에서 단시간에 교체할 수 있게 되므로, 온라인에서 주편 두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착탈기구의 확대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짧은 변 프레임 장착 조작의 설명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배관 장착 상세도 (측면도) 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배관 장착 상세도 (짧은 변 프레임 배면측에서 본 단면도) 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배관 장착 상세도 (평면도) 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짧은 변 프레임 장착 조작의 설명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배관 장착 상세도 (측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몰드 2: 긴 변 프레임
2a: 긴 변 프레임 (고정측) 2b: 긴 변 프레임 (가동측)
3: 긴 변 프레임 이동장치 4: 로드
5: 웜 잭 10,10a,10b,10',10a': 짧은 변 프레임
11: 짧은 변 프레임의 표면 12: 긴 변 프레임의 배면
13,13': 착탈기구 (상측) 14,14a: 볼트 (고정지그)
15,15': 오목형부 (상측) 16.16': 오목부 (상측)
17,17b: 오목형부 (착탈기구) (하측)
18: 오목부 (하측) 19,19a; 코터 (고정지그)
20: 스테핑 실린더 (상측) 21,21': 로드 선단 핀 (상측)
22: 로드 (상측) 23: 스테핑 실린더 (하측)
24: 로드 선단 핀 (하측) 25: 로드 (하측)
26,26': 이동장치 27: 볼트구멍
27a: 볼트구멍 (오목형부) 27b: 볼트구멍 (로드 선단 핀)
28: 몰드 프레임 상단면 31: 몰드 구리판
32: 냉각수로 (구리판측) 33: 냉각수로 (배면측)
34: 몰드 냉각수 공급용 호스 35: 커플링 (몰드 냉각수 공급용)
36: 스프레이 냉각수 공급용 호스
37: 커플링 (스프레이 냉각수 공급용)
38: 스프레이 냉각장치 39: 풋 롤 (서포트 롤)
41: 몰드 가동 커버 42: 몰드 고정 커버
43: 냉각수로 (스프레이 냉각수용)
44: 몰드 냉각수 배수용 호스 45: 커플링 (몰드 냉각수 배수용)
46: 냉각수 공급구 (몰드 냉각수용)
47: 냉각수 공급구 (스프레이 냉각수용)
48: 냉각수 배출구 (몰드 냉각수용)
50 ∼ 54: 화살표시 (이동을 표시)
60: 수류 (몰드 냉각수) 61: 수류 (스프레이 냉각수)
70; 개구부 (몰드 냉각수 공급용)
71: 개구부 (몰드 냉각수 배수용)
72: 개구부 (스프레이 냉각수 공급용)
73: 배관 (몰드 냉각수 구리판측 공급용)
74: 개구부 (스프레이 냉각수 스프레이 공급용)
a: 몰드 두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를 도 1 ∼ 도 7 에 나타낸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측면도, 도 2 는 착탈기구의 확대도,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4 는 그 장착 작동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 ∼ 도 7 은 냉각수 배관의 접속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연속 주조용 몰드 (1) 는 예컨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측 (2a) 및 가동측 (2b) 으로 이루어진 1 쌍의 긴 변 프레임 (2) 을 가지고, 그 사이에 짧은 변 프레임 (10) 을 위치시키고 조여서 직사각형 단면의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그 상측에서 용탕을 주입하여 하측으로 슬래브를 인출하여 연속 주조한다. 짧은 변 프레임의 바깥쪽 (11) 은 주편측, 안쪽 (12) 은 그 반대측으로 한다. 각 프레임 모두 주편측에 냉각용 구리판 (31) 이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장치 (26) 는, 상측 스테핑 실린더 (20), 상측 스테핑 실린더 (20) 의 가동부인 로드 (상측 로드:22), 상측 로드 (22) 의 선단에 위치하는 (상측) 로드 선단 핀 (21), 하측 스테핑 실린더 (23), 하측 스테핑 실린더 (23) 의 가동부인 로드 (하측 로드:25) 및 하측 로드 (25) 선단에 위치하는 (하측) 로드 선단 핀 (24) 을 구비한다.
여기서, 로드 선단 핀 (21 및 24) 이 후술하는 착탈기구의 오목형부에 걸어맞춰지는 이동장치의 일부 (선단부일 필요는 없지만, 이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이동장치의 선단부라고도 함) 에 해당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선단 핀 (21) 은 짧은 변 프레임과의 걸어맞춤부는 대략 각주형, 로드 (22) 와의 접속부는 대략 원주형으로 하였다. 또, 하측 선단 핀은 대략 원주형으로 하였다.
연속 주조 중에 긴 변 프레임 (2) 의 조임을 완화시켜 스테핑 실린더 (20,23) 를 전후진시킴으로써 짧은 변 프레임 (10) 의 위치를 변경하여 슬래브의 폭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슬래브의 두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른다. 도 3 예에서 설명하면, 긴 변 프레임의 일측 (가동측 (2b)) 은 타측 (고정측 (2a)) 을 관통하는 로드 (4) 를 통해 웜 잭 (5) 에 결합되어 있다. 가동측 긴 변 프레임 (2b) 은 웜 잭 (5) 과 로드 (4) 를 가지며 구성된 긴 변 프레임 이동장치 (3) 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몰드의 스페이스 단면의 두께를 변경한다. 이와 동시에 짧은 변 프레임 (10) 을 폭이 상이한 다른 짧은 변 프레임으로 교체한다. 본 발명은 이 짧은 변 프레임 (10) 의 교체를 온라인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짧은 변 프레임 (10) 의 배면 (12) 에 상측 착탈기구 (13) 와 하측 착탈기구를 구성하는 오목형부 (하측: 17) 를 형성한다.
상측 착탈기구 (13) 는 도 2 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 (16) 를 갖는 오목형부 (15) 와 고정지그인 볼트 (14) 로 이루어진다. 오목형부 (15) 는 개구부를 아래로 향하여 짧은 변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고, 이 오목형부는 오목부 (16) 에서 상측 로드 선단 핀 (21) 을 걸어맞출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볼트 (14) 는 볼트구멍 (27) 을 따라 오목형부 (15) 의 뒷 부분 (상측) 에서 오목형부를 관통하여 선단 핀 (21) 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함으로써, 선단 핀 (21) 을 오목형부에 고정시킨다. 고정지그로서 볼트를 사용함으로써 고정지그에 의한 고정작업에 필요한 작업 공간은 매우 작아도 된다.
오목형부 (15) 에 형성된 볼트구멍 (27a) 은 볼트직경보다 약간 크게 한다. 바람직한 볼트구멍 직경은 볼트직경 + 0.1 ∼ 0.2㎜ 정도이다. 또, 볼트의 나사 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은 선단 핀에 형성된 볼트구멍 (27b) 에만 형성되어 있다.또, 볼트구멍 (27b) 은 선단 핀을 관통할 수도 있다.
오목부 (16) 는, 걸어맞쳐지는 핀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는 (단, 착탈할 수 있을 한도에서)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어맞춰졌을 때에 오목형부 (15) 의 벽부와 핀 (21) 사이에 합계로 0.1㎜ 이상의 간극이 생기도록 형상 및 치수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연속 주조 설비의 주변에는 분체 등이 비산ㆍ부유되어 있어, 상기 간극을 형성하지 않으면 가루가 상기 오목부에 들어간 경우에 착탈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 간극이 너무 크면 고정지그의 위치맞춤 (여기서는 볼트구멍의 위치맞춤) 이 번잡해져 쉽게 덜거덕거려지기 때문에, 간극의 상한값은 0.4㎜ 정도, 바람직하게는 0.2㎜ 정도로 한다. 반대로 간극의 상한값이 0.4㎜ 이하이면 상기 여유를 둔 볼트구멍 (27a) 을 통해 볼트 (14) 를 끼워넣을 때에 센터링하기가 쉬워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지그로 고정되는 이동장치의 선단부는 단면이 대략 정사각형의 핀형상 (대략 각주형상)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따른다.
첫번째 이유는 각주형상이 원주형상의 경우에 비해 볼트 나사에 의한 고정이 보다 확실해지는 것이다.
다른 이유로는 위치맞춤의 기능이 높아지는 것이다. 착탈기구의 적어도 하나는 짧은 변 프레임의 상하방향의 위치맞춤 기능을 겸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고정지그를 구비하는 착탈기구에 이 상하방향의 위치맞춤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지그에 고정된 부분이 가장 움직이기 어렵기 때문). 상하 위치맞춤의 목적에는 오목부와 선단 핀의 적어도 상면의 접촉부가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은 형상으로 전후방향 (짧은 프레임의 전후방향) 의 위치맞춤 기능도 구비하기 위해서는, 전후방향도 평면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주형상이 상기 적합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장 간단한 형상이 된다. 여기서, 각주의 각 각부를 모따기하는 것은 전혀 상관없다.
단, 대략 각주형상의 선단부를 채택하는 경우 특히 비산 분말의 악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상기 간극을 확보하는 것이 크게 권장된다.
또, 가공성 관점에서 핀은 대략 원주형의 것을 로드 선단에 장착하고, 그 다음 짧은 프레임과의 걸어맞춤부를 대략 각주형으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로드와의 접속부는 대략 원주형이어도 된다.
하측 착탈기구는 실질상 오목형부 (17: 개구부 아래방향) 로만 구성된다. 고정지그를 갖는 상측 착탈기구를 걸어맞추는 선단부로서 대략 각주형상 핀을 사용한 본 실시예의 경우 하측 이동장치의 선단부는 대략 원주형상의 핀으로 하고, 오목부 (18) 는 U자 홈 (패임 바닥부의 단면 형상이 대략 반원형상) 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고정식 착탈기구 (고정지그를 구비하지 않은 착탈기구) 에서는 걸어맞춰지는 선단부를 대략 원주형상으로 한 것이 위치맞춤 (특히, 전후방향의 위치맞춤 정밀도가 우선됨) 이 잘 실행되어 비산하는 분체 등을 끌어들여도 그다지 전후방향의 위치 정밀도가 떨어지지 않는 것이 상기 구성을 적합하게 하는 이유이다.
도 4 는 이 짧은 변 프레임 (10) 을 장착하는 설명도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짧은 변 프레임 (10a) 을 화살표시 (54) 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강시키고, 하측 오목형부 (17b) 가 상하의 로드 (22 및 25) 사이에 오도록 (즉, 이들 로드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10b). 그 다음 짧은 변 프레임 (10b) 을 화살표시 (50)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상하측 이동장치 선단부 (핀: 21,24) 를 상하측 착탈기구 (13,17) 에 각각 걸어맞춰 장착한다. 한편, 도 4 에는 몰드 프레임의 상단면 위치 (28) 를 참고하기 위해서 기재하였다.
이 때 상측 스테핑 실린더 (20) 의 로드 선단 핀 (21) 과 하측 스테핑 실린더 (23) 의 로드 선단 핀 (24) 은 스테핑 실린더의 스트로크의 후퇴한계 위치에서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전진시킨 위치에 두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퇴한계보다 200㎜ 전진시켰다. 또, 상하 핀 모두 거의 동일한 위치 (짧은 변 프레임의 전후방향에 대해서) 에 정지시켜 두면 된다.
상하측 착탈기구의 각각의 오목형부 (15,17) 에 상하 선단부 (선단 핀) 를 걸어맞춘 후, 볼트 (14a) 를 화살표시 (51)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에서 상측 착탈기구 및 여기에 걸어맞춰진 상측 선단부에 형성된 볼트구멍 (27a,27b) 에 각각 통과시켜 볼트 (14) 를 조인다. 볼트 (14) 는 수작업으로 조이거나 기계로 조일 수도 있다. 짧은 변 프레임을 장착한 후,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냉각수 배관을 연결시켜 냉각수를 흐르게 하고, 그 다음 주조위치 (목적하는 슬래브 폭 위치) 까지 짧은 변 프레임을 짧은 변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짧은 변 프레임을 분리할 때에는, 이 반대 순서로 실행한다. 즉, 먼저짧은 변 프레임을 교환하기에 적합한 위치까지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위치에 정지시킨다. 계속해서 필요에 따라 냉각수를 정지시켜 냉각수 배관을 분리한다. 그 다음 볼트를 풀어 제거한 후 짧은 변 프레임을 화살표시 (50 및 54) 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끌어올리면 된다.
장착, 분리시에 짧은 변 프레임의 이동은 긴 변 프레임이나 이동장치 (여기서는 스테핑 실린더) 에 간섭하지 않고 실행할 수 있으면 상기 방법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예컨대 경사방향의 이동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당연한 일이지만 짧은 변 프레임의 장착, 분리시에는 긴 변 프레임의 간격은 긴 변 프레임의 이동장치 (여기서는 웜 잭: 3) 에 의해 짧은 변 프레임의 두께 (a) (도 3 참조) 이상으로 해 둘 필요가 있다. 짧은 변 프레임의 교환작업 다음에는 상기 이동장치 (3) 에 의해 소정의 힘으로 짧은 변 프레임을 끼워넣는다.
이상과 같은 구조 및 순서에 따라 짧은 변 프레임의 일체에서의 착탈은 매우 간단히 할 수 있어 온라인에서 짧은 변 교체가 가능해진다.
도 5 는 냉각수 배관의 착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 은 그 A-A'면을 짧은 변 프레임의 배면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 도 7 은 도 5 의 B-B'면을 상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짧은 변 프레임 (10) 은 표면 (11) 에 몰드 구리판 (31) 을 구비하고, 구리판 (31) 과 프레임 본체 사이에 구리판측 냉각수로 (32) 를 갖는다. 또한, 냉각수로 (32) 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배면측 수로 (33) 도 프레임의 내부에 갖는다.
여기서, 구리판측 냉각수로 (32) 는 냉각 효율 관점에서 도 7 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구리판에 홈형상으로 다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정면도 도 6 에서는 세밀한 부분을 생략하고 윤곽만 나타냄),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배면측 수로 (33) 는 본 실시예에서는 2개 형성했으나, 이 개수는 필요한 반송수량을 확보할 수 있으면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짧은 변 프레임을 장착할 때에는 몰드 냉각수 공급용 호스 (34) 를 몰드 냉각수 공급구 (46) 에 커플링 (35) 에 의해 장착하고, 또 몰드 냉각수 배수용 호스 (44) 를 몰드 냉각수 배출구 (48) 에 커플링 (45) 으로 장착함으로써 냉각배관을 연결한다. 그리고, 그 다음 냉각수의 공급을 개시한다.
공급된 냉각수는 도 5 ∼ 도 7 중에 화살표시 (60) 로 몰드 수류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몰드 냉각수 공급용 개구부 (70) 를 통해 배면측 냉각수로 (33) 를 통과하고, 프레임 하부의 배관 (73: 몰드 냉각수 구리관측 공급용 배관) 을 통해 구리판측 냉각수로 (32) 에 흘러들어간다. 구리판측에 들어간 냉각수는 구리판측 냉각수로 (32) 를 상측으로 흘려보낸 후 몰드 냉각수 배수용 개구부 (71) 를 통과하여 배수용 호스 (44) 에 배수된다.
한편, 짧은 변 프레임을 분리할 때에는 냉각수 공급을 정지시킨 후, 몰드 냉각수 공급용 호스 (34) 의 커플링 (35) 을 냉각수 공급구 (46) 에서 분리시키고, 동일하게 몰드 냉각수 배수용 호스 (44) 의 커플링 (45) 을 냉각수 배출구 (48) 에서 분리시킨다.
냉각수 공급용 호스 (34) 및 배수용 호스 (44) 의 착탈은 수작없 또는 기계로 실시할 수도 있으며 그 순서도 상관없다. 냉각수의 공급기구는 특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일반적인 설비여도 된다.
또, 연속 주조 슬래브의 폭 표면을 냉각시키기 위한 스프레이 냉각수로 (43) 가 짧은 변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동일하게 스프레이 냉각수의 공급구 (47) 에 스프레이 냉각수용 호스 (36) 를 커플링 (37) 을 통해 착탈하면 된다. 착탈 및 냉각수의 공급ㆍ정지 타이밍은 프레임의 냉각수와 동일할 수도 있다.
접속시 스프레이 냉각용 물의 흐름은 도 5 ∼ 도 7 에서 화살표시 (61: 스프레이 냉각수 수류)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레이 냉각수 공급용 개구부 (72) 를 통해 짧은 변 프레임 내의 수로 (배관일 수도 있음: 43) 를 흐르고, 짧은 변 레이들 하부의 스프레이 냉각수 스프레이 공급용 개구부 (74) 를 통해 스프레이 냉각장치 (38) 에 공급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수 배관을 장착ㆍ분리할 때에 짧은 변 프레임의 냉각수 시일은 장착ㆍ분리를 실행하지 않으므로, 짧은 변 프레임의 교체에 대하여 시일 누설에 대한 각별한 배려를 필요로 하지 않고, 항상 시일을 완벽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냉각수 배관을 장착ㆍ분리하는 작업도 간단하다.
또, 도 5 에서 부호 39 는 풋 롤 (벌징 방지 등의 목적에서 설치되는 서포트 롤) 로, 짧은 변 프레임에 설치하는 것이 원활한 연속 주조를 도모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또한, 몰드의 상측 표면으로부터의 용강의 방열 방지 (온도저하 방지) 와 연속 주조용 파우더 등의 이물질 혼입 방지를 위해서 몰드 고정 커버 (42) 및 몰드 가동 커버 (41) 가 짧은 변 프레임의 상측에 별개 장착되어 있고, 이들이 짧은 변 프레임 교환을 위한 반송공간과 간섭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짧은 변 프레임의 교환에 앞서 가동 커버 (41) 를 일단 분리하고, 교환 종료 후에 다시 장착하면 된다. 고정커버 (42) 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는 분리할 필요는 없고, 상부의 덮개판을 필요한만큼 어긋나게 하면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를 도 8 ∼ 도 11 에 나타낸다. 도 8 은 제 2 실시형태의 측면도, 도 9 는 그 평면도, 도 10 은 그 장착 작동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 은 냉각수 배관의 접속을 나타내는 상세도 (측면도) 이다.
연속 주조용 몰드 (1), 1 쌍의 긴 변 프레임 (2), 이동장치 (26') 등은 상측 이동장치의 선단부 (핀: 21') 의 형상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 짧은 변 프레임 (10') 에서도 상측 착탈기구 (13') 의 구조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8, 도 9).
도 8 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착탈기구 (13') 는 상기 오목형부 (15') 의 개구부가 짧은 변 프레임 (10') 의 배면 (12) 쪽을 향하고 있고, 또 오목형부 (15') 의 하측 벽 일부가 개구되어 있고, 또 상기 고정지그가 상부에서 삽입되는 코터 (19) 이다.
다른 표현을 이용하면 오목형부 (15') 는 수평돌기 형성부와 그 선단 수직부와 수직부의 하단의 짧은 수평 복귀부로 이루어진 형상이라 할 수도 있다. 또, 아래로 개구된 갈고리형, 하측변 짧은 ㄷ자 형상, J자 형상 (단, 네모져도 됨) 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선단 핀 (21') 은 이 갈고리부 바닥의 오목부 (16') 에 걸린다. 즉, 하측변의 짧은 ㄷ자의 내측에 로드 선단 핀 (21') 이 포지 (抱持) 되는 형상으로 걸린다.
그리고, 하측변의 짧은 ㄷ자의 내측에 걸린 로드 선단 핀 (21') 과 짧은 변 프레임 (10') 의 배면 (12) 사이에 코터 (19) 가 삽입되어 핀과 갈고리의 이탈이 방지된다 (즉, 핀이 오목형부 (15') 에 고정됨).
코터는 상하 이동이 자유롭고 상측에서 삽입이탈하는 테이퍼를 측면에 가지고, 상측에서 밀어내려 로드 선단 핀 (21') 과 짧은 변 프레임 (10') 의 배면 (12) 사이에 삽입되고, 로드 선단 핀 (21') 을 오목형부 (15') 에 고정시킨다.
로드 선단 핀 (21') 은 걸어맞춤 작업의 작업성 관점에서 대략 원주형상이 바람직하지만, 코터 (19) 와 접하는 부분은 정사각형 횡단면으로 해 두면 코터 (19) 와 잘 길들어져 바람직하다. 코터 (19) 는 수동으로 삽입이탈할 수 있도록 도시 생략된 핸들이나 장착구를 장착해 두면 된다.
도 10 은 이 짧은 변 프레임 (10') 을 장착하는 설명도로,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측 오목형부 (17a) 가 상하 로드 (22 및 25) 사이에 오도록 위치시킨 후 (10a') (하강 전의 도면은 생략함), 짧은 변 프레임 (10a') 을 화살표시 (52)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상하측 이동장치 선단부 (핀: 21',24) 를 상하측 착탈기구 (13',17) 에 각각 걸어맞춰 장착한다.
이에 앞선 선단 핀의 위치결정시에 상측 스테핑 실린더 (20) 의 로드 선단 핀 (21') 은 하측 스테핑 실린더 (23) 의 로드 선단 핀 (24) 보다 적게 전진시킨 위치에 정지시켜 두고, 하측 로드 선단 핀 (24) 이 하측 착탈기구의 오목형부 (17) 에 걸어맞췄을 때에 상측 스테핑 실린더 (20) 의 로드 선단 핀 (21') 을 후퇴시키면, 핀 (21') 은 갈고리형 오목형부 (15') 내측에 파지된다. 이어서, 코터 (19a) 를 화살표시 (53)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에서 삽입한다. 삽입된 코터 (19) 를 눌러서 밑으로 내리면 핀과 후크의 고정이 완료된다.
짧은 변 프레임 (10') 을 이탈할 때에는 상기와 반대 순서로 하면 된다. 이 경우 코터 (19) 를 상측에 제거한 후 상측 로드 선단 핀 (21') 을 적게 전진시킴으로써 상측 착탈기구의 이탈작업이 스무스하게 진행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도 짧은 변 프레임의 착탈은 매우 간단히 할 수 있어 온라인에서 짧은 변 교체가 가능해진다.
도 11 은 냉각수 배관의 착탈을 나타내는 것이다. 냉각수 배관의 착탈에 관한 각 부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그 착탈 순서도 동일하다.
제 2 실시형태에서도 냉각수 배관의 장착, 분리에 의해 짧은 변 프레임의 냉각수 시일은 짧은 변 프레임 교체시에 분리ㆍ장착을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 짧은 변 프레임의 교체에 대하여 각별한 배려를 필요로 하지 않고 항상 완벽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으로 두 실시형태를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짧은 변 프레임의 이동장치로서 스테핑 실린더를 채택할 필요가 없고, 통상적인 유압 실린더 (위치 검출은 예컨대 가이드 로드와 위치 센서를 조합한 것으로 실행함), 웜 잭과 유압모터 (위치검출은 예컨대 회전검출장치로 실행함), 실낙 실린더 (silnuck cylinde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스테핑 실린더는 특히 위치결정의 정밀도가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긴 변 프레임의 이동장치에도 상기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나, 설치ㆍ작업 공간이나 파워 면에서 웜 잭이 바람직하다.
또, 이동장치로서 상하 2개의 스테핑 실린더를 채택했는데, 스테핑 실린더 등의 이동기구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연속 주조 중의 슬래브 폭 변경시에 짧은 변 프레임을 일단 경사지게 함으로써 서서히 두께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목적을 위해서는 적어도 상하에 2개의 이동기구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3개 이상 설치하는 장점은 별로 없기 때문에, 짧은 변 프레임이 특히 무겁다는 등의 경우를 제외하면 비용상으로 이동기구는 2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착탈기구도 일반적으로는 상하 2군데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 이상의 이동기구와 걸어맞추는 경우, 고정지그는 어느 착탈기구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측에 위치하는 착탈기구에 고정지그를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는 작업성, 확인 용이성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작업성 관점에서 고정지그는 각 짧은 변 프레임에 하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물론 2개 이상의 착탈기구에 설치할 수도 있다.
고정지그를 설치하는 착탈기구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어도된다. 예컨대, 이동장치 선단부 (핀) 를 사이에 두는 걸어맞춤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상기 선단부에 거는 후크 형상을 기본체로 하는 것이 착탈 작업성과 고정성이 쉽게 양립하여 바람직하다. 후크 형상형 바리에이션으로서 예컨대 제 2 실시형태에서 J자형 개구부를 좌우에서 상하별 방향에 형성하고, 로드 회전에 따라 걸어맞춤 위치에 핀을 이동시키는 방법도 고려된다. 단, 제 1, 제 2 실시형태가 작업성은 우수하다.
고정지그는 상기 이외에 키 또는 일반적인 쐐기, 빗장 등 또는 이들의 조합 (예컨대, 쐐기와 볼트) 이 고려된다. 또, 고정지그는 상측에서 삽입하는 방식의 것이 작업성 및 고정 상황을 확인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고정지그를 설치하지 않은 착탈기구는 단순히 하측방향의 오목형부를 갖는 것으로 하는 것이 작업성 및 비용상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짧은 변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오목형부를 갖는 것이어도 착탈은 가능하다. 단, 전후방향으로 오목형부를 형성하면, 주조 중에 주편의 폭을 변경하거나 하는 경우에 전후방향으로 큰 힘이 걸리기 때문에 (고정지그 장착 착탈기구의) 고정지그에 부담이 가해져 이 고정지그의 강도가 필요하다. 그래서 하측 방향의 오목형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착탈기구와 걸어맞추는 이동장치의 선단부는 상기 기술한 핀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로드 선단에 직접 랜싱하여 착탈기구가 이 랜싱을 삽입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고정의 용이성과 강도 면에서 핀이 가장 바람직하다.
짧은 변 프레임에는 상기 기술한 냉각 스프레이나 풋 롤 등 이외에도 연속주조 조업에 역할하는 부대 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 예컨대, 브레이크 아웃 예지용 열전대를 짧은 변 프레임에 장착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경우 냉각수 배관의 착탈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배선의 이선/결선을 행하면 된다. 또, 풋 롤은 1단일 필요는 없고, 주조 속도 등에 따라 복수단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짧은 변 프레임 내의 냉각수 수로 (배관) 는 예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구리판 내의 수로는 폭이 넓을 수도 있지만, 현재까지의 지식에서는 예시된 형식의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또한, 몰드 냉각수 공급ㆍ배수구를 짧은 변 프레임의 하단측에 부착할 수도 있는데 (종래에는 이 형식이 많음), 작업성 관점에서 상단측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냉각수의 배수 경로로 변경하여 예컨대 스프레이 냉각수로 등에 배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긴 변 프레임은 일측을 고정, 타측을 가동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양측을 가동으로 하는 것도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 단, 긴 변 프레임은 주편의 패스라인을 내는 데에 중요한 설비이고, 치수ㆍ형상 등의 품질 관리상으로는 일측을 고정시키는 것이 몰드 교환시 센터링하기 쉬워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슬래브의 연속 주조에 바람직하다. 슬래브 이외의 형상인 주편, 예컨대 블룸 빌릿 등에도 적용할 수는 있지만, 몰드 바로 아래의 전용 체부의 롤 조정이 어렵다. 그래서, 슬래브의 연속 주조에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슬래브의 크기로는 폭 800 ∼ 2500㎜ 가 바람직한 범위이지만, 이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두께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성질상 넓은 자유도를 갖지만,일반적으로는 200∼300㎜ 의 용도가 많다. 또, 특히 두께 종류를 많이 갖는 연속 주조 설비에 대하여 본 발명은 효과가 크다.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 (도 1 ∼ 도 7) 에 따른 짧은 변 프레임 및 연속 주조 몰드를 강슬래브의 연속 주조 라인에 적용하였다. 여기서, 슬래브의 단면 치수는 폭 1800∼2500㎜ 이고 두께는 215㎜, 260㎜, 310㎜ 의 3 종류로 하였다. 연속 주조 속도는 약 1.0m/분으로 하였다. 짧은 변 프레임은 두께별로 각 4 세트를 준비하고, 짧은 변 프레임의 교환 빈도는 약 15회/월이었다. 또, 선단 핀 (21) 과 오목형부 (15) 의 간극은 0.2㎜ 로 하고, 볼트의 고정ㆍ해제 작업은 수작업으로 하였다. 또, 상측 선단 핀 (21) 의 오목형부 (15) 와 걸어맞추는 부분은 한변 약 50㎜ 의 각주형상 (모따기 있음) 으로 하고, 그 밖의 부분과 하측 선단 핀 (24) 은 직경 약 60㎜ 의 원주형상으로 하였다.
종래의 몰드의 설정 두께의 변경은 몰드 본체를 크레인으로 끌어올리고, 미리 다른 두께의 짧은 변 프레임을 세팅한 대체 몰드를 재세팅하여 실현하였다. 이 때문에 크레인의 장착, 커버 등의 전체 분리, 끌어올릴 때의 증기 대책을 위한 대기시간 등으로 교환에 약 90분 걸렸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짧은 변 프레임 교체만으로 두께 설정의 변경이 가능하므로, 소요 시간은 30분이 채 안되는 (일측당 약 15분) 으로 대폭 단축되었다. 또, 커버 등을 분리하거나 하지 않으므로 증기 등이 올라가지 않아 작업환경이 개선되었다는 평가를 작동자로부터 얻었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짧은 변 프레임과 이동장치의 접속기구를 오목형 구조로 하고, 쉽게 착탈할 수 있는 고정방식으로 함으로써, 온라인에서 짧은 변 프레임 교환이 쉽고 단시간에 가능하며, 그래서 몰드 두께의 변경도 단시간에 가능해진다.
또, 짧은 변 프레임이 일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분할 교환형에 비해 짧은 변 프레임의 표면과 이면 사이의 냉각수의 시일 불량 등도 전혀 걱정되지 않는다.
또한, 짧은 변 프레임을 얇게 할 수 있어 이미 설치된 연속 주조 몰드를 개선하는 경우에도, 주조할 수 있는 슬래브 폭을 좁게 하지 않고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적어도 일측이 전후방향으로 가동하는 1 쌍의 긴 변 프레임과,
    상기 1 쌍의 긴 변 프레임 사이에 있는, 전후방향으로 가동하는 1 쌍의 짧은 변 프레임과,
    상기 짧은 변 프레임의 각각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1 쌍의 이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짧은 변 프레임과 이를 이동시키는 상기 이동장치가 각각 상기 짧은 변 프레임의 배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착탈기구를 통해 걸어맞춰져 있고,
    상기 착탈기구가 이동장치 일부와 걸어맞추는 오목부를 갖는 오목형부를 가지고,
    각 짧은 변 프레임마다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착탈기구가, 상기 이동장치 일부를 상기 오목형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지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부는 아래방향으로 개구부를 가지며, 또 상기 고정지그가 상부에서 오목형부의 배면 및 상기 이동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볼트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부의 상기 이동장치 일부를 사이에 둔 벽의간격을 상기 이동장치 일부의 치수보다 0.1 ∼ 0.4㎜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를 갖는 착탈기구의, 상기 오목부에 고정되는 상기 이동장치 일부가 대략 각주형상의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부의 개구부가 상기 짧은 변 프레임의 배면을 향하고 있고, 또 오목형부의 하부측의 벽 일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지그가 상부에서 삽입되는 코터 (cotte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변 프레임이 냉각수로를 그 내부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로의 공급구 및/또는 배수구를 상기 짧은 변 프레임의 상단측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8. 연속 주조용 몰드를 구성하는 짧은 변 프레임으로서,
    상기 짧은 변 프레임의 배면에 상기 짧은 변 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장치를 걸어맞추는 하나 이상의 착탈기구를 배면에 구비하고,
    상기 착탈기구가 이동장치 일부와 걸어맞추는 오목부를 갖는 오목형부를 가지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착탈기구가, 상기 이동장치 일부를 상기 오목형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지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짧은 변 프레임.
  9. 적어도 일측이 전후방향으로 가동하는 1 쌍의 긴 변 프레임과,
    상기 1 쌍의 긴 변 프레임 사이에 있는, 전후방향으로 가동하는 1 쌍의 짧은 변 프레임과,
    상기 짧은 변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하나 이상의 착탈기구를 통해 걸어맞춰져 있는, 상기 짧은 변 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장치를 각각 구비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에서, 걸어맞춰져 있는 1 쌍의 짧은 변 프레임 (A 로 함) 을 다른 1 쌍의 짧은 변 프레임 (B 로 함) 과 즉석에서 교환하는 교환방법으로서,
    주조를 일단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동장치에 의해 상기 짧은 변 프레임 A 를 각각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소정의 교환위치에 정지시키는 단계와,
    긴 변 프레임의 적어도 일측을 전후방향으로 목적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목표하는 슬래브 두께로 설정하는 단계와,
    짧은 변 프레임 A 의 착탈기구를 각각 해제하여 짧은 변 프레임 A 의 전체를 상기 이동장치에서 각각 분리하는 단계와,
    목표하는 슬래브 두께에 대응한 폭을 갖는 짧은 변 프레임 B 의 전체를 짧은 변 프레임 B 의 착탈기구를 통해 상기 이동장치에 각각 걸어맞추는 단계와,
    상기 이동장치에 의해 짧은 변 프레임 B 를 각각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소정의 슬래브 폭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주조를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의 짧은 변 프레임의 즉석 교환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짧은 변 프레임 A 를 상기 이동장치에서 분리하기에 앞서 짧은 변 프레임 A 로의 냉각수 공급을 각각 정지시키고, 짧은 변 프레임 A 로의 냉각수 공급관을 짧은 변 프레임 A 에서 각각 분리하는 단계를 가지고, 또
    짧은 변 프레임 B 의 상기 이동장치에 걸어맞춘 후에 상기 냉각수 공급관을 짧은 변 프레임 B 에 각각 결합하여 짧은 변 프레임 B 로의 냉각수 공급을 각각 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의 짧은 변 프레임의 즉석 교환방법.
  11. 제 9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짧은 변 프레임을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 슬래브의 두께 변경방법.
KR1020037000837A 2001-12-20 2001-12-20 연속 주조용 몰드, 그 짧은 변 프레임, 짧은 변 프레임의 교환방법, 및 연속 주조 슬래브의 두께 변경방법 KR100793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11174 WO2003053611A1 (fr) 2001-12-20 2001-12-20 Moule de coulee en continu, cadre a petit cote de ce moule, et procede de remplacement de ce cadre a petit co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430A true KR20040070430A (ko) 2004-08-09
KR100793130B1 KR100793130B1 (ko) 2008-01-10

Family

ID=29227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837A KR100793130B1 (ko) 2001-12-20 2001-12-20 연속 주조용 몰드, 그 짧은 변 프레임, 짧은 변 프레임의 교환방법, 및 연속 주조 슬래브의 두께 변경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73957B2 (ko)
EP (1) EP1493514B1 (ko)
JP (1) JP3979387B2 (ko)
KR (1) KR100793130B1 (ko)
CN (1) CN1283391C (ko)
BR (1) BR0112588B1 (ko)
WO (1) WO20030536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6822B1 (de) * 2008-05-26 2012-06-15 Siemens Vai Metals Tech Gmbh Stranggiesskokille für eine stranggiessanlage
DE102008057888A1 (de) 2008-09-23 2010-03-25 Sms Siemag Aktiengesellschaft Stranggießkokille
JP5359342B2 (ja) * 2009-02-13 2013-12-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連続鋳造用組立鋳型の鋳片厚さ変更機構
JP4970529B2 (ja) * 2009-12-28 2012-07-1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連続鋳造設備の鋳片案内装置
CN102205607A (zh) * 2011-06-09 2011-10-05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平板显示装置的模架和平板显示装置的模具
KR101442889B1 (ko) * 2011-12-19 2014-11-04 주식회사 포스코 롤러 교체 장치
JP5770337B2 (ja) * 2014-04-30 2015-08-2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連続鋳造用鋳型短辺鋳型板のオッシレーション同調不良の防止方法
US10350674B2 (en) * 2017-06-12 2019-07-16 Wagstaff, Inc. Dynamic mold shape control for direct chill casting
US11331715B2 (en) 2017-06-12 2022-05-17 Wagstaff, Inc. Dynamic mold shape control for direct chill casting
US11883876B2 (en) 2017-06-12 2024-01-30 Wagstaff, Inc. Dynamic mold shape control for direct chill casting
CN109954850B (zh) * 2018-06-08 2021-03-02 江苏沙钢集团有限公司 一种薄带连铸用侧封板的连续更换装置及方法
EP3626364B1 (de) 2018-09-18 2021-06-30 SMS Group GmbH Leitungsabschnitt und kokilleneinrichtung mit dem leitungsabschnitt
US11717882B1 (en) 2022-02-18 2023-08-08 Wagstaff, Inc. Mold casting surface cooling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2216A (en) * 1963-06-25 1966-12-20 Concast Ag Adjustable mold for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DE1608346C3 (de) * 1968-03-19 1974-11-07 Mannesmann Ag, 4000 Duesseldorf Verstellbare Stranggießkokille
US3710843A (en) * 1970-12-21 1973-01-16 Nippon Steel Corp Method for altering the cross-sections of continuously cast metal pieces
CH544598A (de) * 1972-03-03 1973-11-30 Concast Ag Verstellbare Plattenkokille zum Stranggiessen
CH558687A (de) * 1973-03-30 1975-02-14 Concast Ag Verfahren zum steuern der kuehlleistung von schmalseitenwaenden bei plattenkokillen beim stranggiessen und plattenkokille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JPS53147629A (en) 1977-05-31 1978-12-22 Kawasaki Steel Co Reduction of casted segment width during continuous casting
US4356860A (en) * 1980-09-02 1982-11-02 Gladwin Kirk M Continuous casting mold side wall adjustment system
JPS5939450A (ja) * 1982-08-31 1984-03-03 Mitsubishi Heavy Ind Ltd モ−ルドのテ−パ調整装置
US4699201A (en) * 1983-09-15 1987-10-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Side wall members for continuous casting molds
DE3420445A1 (de) * 1984-06-01 1985-12-05 SMS Schloemann-Siemag AG, 4000 Düsseldorf Vorrichtung zur verstellung der schmalseitenwaende von stranggiesskokillen
US4651802A (en) * 1985-04-04 1987-03-24 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Attachment for connecting endwall mold face to continuous caster mold support
US4660615A (en) * 1986-03-14 1987-04-28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Continuous casting mold assembly
JP2987906B2 (ja) * 1990-09-05 1999-12-06 日本鋼管株式会社 連続鋳造機の組み立てモールド
JP2845627B2 (ja) * 1990-12-26 1999-01-1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連続鋳造用鋳片厚さ可変モールド
JP2575239B2 (ja) * 1991-06-28 1997-01-22 日立造船株式会社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モールド交換装置
JPH05245590A (ja) * 1992-03-04 1993-09-24 Sumitomo Heavy Ind Ltd 連続鋳造用鋳片厚さ可変モールド
JP2566510Y2 (ja) * 1992-06-29 1998-03-30 日本鋼管株式会社 連続鋳造用鋳片厚さ可変モールド
JPH0654450U (ja) * 1992-12-22 1994-07-2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連続鋳造用鋳片厚さ可変モールド
DE4309592C1 (de) * 1993-03-22 1994-04-21 Mannesmann Ag Breitenverstellbare Stranggießkokille
JP2857051B2 (ja) * 1993-12-29 1999-02-10 川崎製鉄株式会社 水平振動鋳型の短辺フレーム支持装置
JP2001340942A (ja) * 2000-05-29 2001-12-11 Hitachi Zosen Corp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モールド装置
JP3494129B2 (ja) * 2000-06-30 2004-02-0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連続鋳造用モール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53611A1 (fr) 2003-07-03
JP3979387B2 (ja) 2007-09-19
US6973957B2 (en) 2005-12-13
CN1283391C (zh) 2006-11-08
KR100793130B1 (ko) 2008-01-10
EP1493514B1 (en) 2008-08-13
US20030160360A1 (en) 2003-08-28
EP1493514A4 (en) 2006-03-08
BR0112588B1 (pt) 2010-07-13
JPWO2003053611A1 (ja) 2005-04-28
EP1493514A1 (en) 2005-01-05
BR0112588A (pt) 2003-10-28
CN1491138A (zh) 200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130B1 (ko) 연속 주조용 몰드, 그 짧은 변 프레임, 짧은 변 프레임의 교환방법, 및 연속 주조 슬래브의 두께 변경방법
US4340110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tundish and mold for horizontal continuous casting of metal
JP4593992B2 (ja)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鋳片案内装置
AU728547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placing an interchangeable part of a mould arrangement in a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KR20050016028A (ko) 연속 주조용 몰드
US5307862A (en) Adjustable mold for continuous casting of articles of different thicknesses
JPS5841142B2 (ja) 溶融金属の流れを制御する摺動ゲ−ト閉鎖機構
KR200167555Y1 (ko) 열간주편 절단기의 클램핑 에어 실린더 연결장치
KR0132368Y1 (ko) 연속주조용 주편두께가변몰드
KR20100112434A (ko) 다이캐스팅 금형의 냉각장치
JP2987906B2 (ja) 連続鋳造機の組み立てモールド
JP3494129B2 (ja) 連続鋳造用モールド
JP2008221323A (ja) 連続鋳造設備の鋳片案内装置
JPS62267048A (ja) 水平連続鋳造装置
JP2002331339A (ja) タンディッシュノズルの強制閉鎖装置
US3945425A (en) Mold alignment device for horizontal casting
KR101485034B1 (ko) 유압장치의 배관 체결 장치
JPH105955A (ja) 連続鋳造機のガイドロールの軸受構造
KR100674616B1 (ko) 쌍롤식 박판 주조 장치
KR200166042Y1 (ko) 냉각수분사장치
KR20230128729A (ko) 더미 바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JPH0711957Y2 (ja) 押出機のフランジ締付装置
KR100775323B1 (ko) 연속주조설비의 세그먼트 갭 개방장치
JP2006272383A (ja) 溶融金属保持容器からの溶融金属流出量調整機構
JP4436304B2 (ja) ツインモール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