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368Y1 - 연속주조용 주편두께가변몰드 - Google Patents

연속주조용 주편두께가변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368Y1
KR0132368Y1 KR2019920010410U KR920010410U KR0132368Y1 KR 0132368 Y1 KR0132368 Y1 KR 0132368Y1 KR 2019920010410 U KR2019920010410 U KR 2019920010410U KR 920010410 U KR920010410 U KR 920010410U KR 0132368 Y1 KR0132368 Y1 KR 01323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ort side
fixed
side frame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104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347U (ko
Inventor
유다까 사까다
다까시 아사리
Original Assignee
구보 마사다까
스미도모쥬기가이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 마사다까, 스미도모쥬기가이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구보 마사다까
Publication of KR9300083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3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3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3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into moulds having adjustabl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격조작으로 개폐가능한 장변고정프레임(1) 및 장변가동프레임(2)과, 단변동판(4)을 고착한 가변단변프레임(5)을 착탈 가능하게 한 한쌍의 고정단면프레임(6)을 갖추고, 상기 가변단변프레임(5)에 설치한 브래킷(13)을 고정단변프레임(6)측의 브래킷받이(14)에 대해 계합시켜서 하단을 위치결정한 후, 상단은 볼트(15)등으로 고정해서 일체화하여 몰드냉각수 급배관(18)과 푸트 슈용스프레이 수관(17)을 가변단변프레임(5)측의 수로에 접속하여 임의두께의 단변교환을 가능하게 한 연속주조용 주편두께가변몰드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주편두께의 변경시 온라인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단변을 교환할 수 있게 하여 조업률의 항상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주조용 주편(鑄片)두께 가변몰드
본 고안은 연속주조용 주편(鑄片)두께 가변몰드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연속주조용 몰드에 있어서, 장변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있는 단변만을 교환함으로써 요구되는 두께의 몰드를 구성하는 이른바 두께가변몰드에 관한 기술로서, 예를들면 실개소 62-7274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몰드를 구성하는 장변프레임의 한쪽을 고정측으로 하고, 이 고정측 장변프레임에 대향하는 자유측 장변프레임을 고정측 장변프레임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들 양 프레임 사이에 원하는 주편두께사이즈로 만들어진 단변프레임을 교환가능하게 끼워둠과 동시에 단변프레임에 대응하여 만들어진 프레임냉각용 급배수관을 자유측 장변프레임의 양 단부에 교환가능하게 접속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연속주조용 몰드로는 기계위에 있어서의 좁은 장소에서 단변 프레임 전체를 이동장치로부터 분리한다고 하는 대규모이면서 더구나 위험한 작업이 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기계위로부터 몰드전체를 분리한 후 작업장으로 운반하여 원하는 두께의 단변프레임으로 다시 만드는 방법을 취하고 있는데 이것은 몰드사이즈 교환시간이 많이 걸린다. 또한 미리 전용두께의 교환용 몰드를 여러종류 준비해두고 두께를 변경할 때마다 교환하는 일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것은 설비비가 많아져서 비용면에서 매우 불리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온라인으로 신속하게 단변프레임을 교환할 수 있게 하여 조업률의 향상 및 원가절감으로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연속주조용 두께가변몰드의 전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고정단변 프레임에 가변단변 프레임을 고정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 III선의 부분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고정단변 프레임과 가변단변 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고정단면 프레임에 가변단변 프레임을 고정한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고정단변 프레임과 가변단변 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제5도 VII선의 부분확대 평면도.
제8도는 가변단변 프레임의 폭(L)이 클 경우의 고정단면 프레임과 가변단변 프레임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9도는 가변단변 프레임의 폭(ℓ)이 작을 경우의 고정단변 프레임과 가변단변 프레임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변고정프레임 2 : 장변가동프레임
3 : 장변동판 4 : 단변동판
5 : 가변단변프레임 6 : 고정단변프레임
7 : 단변이동용 스핀들 8 : 지지봉
8a : 플랜지 8b : 단부(段部)
9 : 플런저장치 9a : 피스톤
9b : 플런저실 9c : 케이싱
9d : 저부 10 : 클램프 스프링
11 : 웜 잭(worm jack) 12 : 단변이동용 구동장치
13,14a : 브래킷 14,13a : 브래킷받이
15 : 볼트 15a : 볼트구멍
16 : 0링 17 : 스프레이 수관
18 : 냉각수 급배관 19 : 수로
20 : 수로 21 : 푸트 슈(foot shoe)
22 : 호스 23 : 노즐
24 : 급유구 25 : 돌기체(T자형 볼트)
26 : 슬라이드 블록 27 : T자형 오목부
28 : 지지봉 29 : 스프링 하우징
30 : 피스톤 31 : 개방용 실린더
32 : 압유공급구 33 : 접시 스프링(스프링장치)
34 : 스프링받이 플랜지 35 : 스프링조정너트
본 고안은 장변고정프레임(1)과, 이동가능한 장변가동프레임(2)과, 상기 장변고정프레임(1)과 장변가동프레임(2) 사이에 끼워지는 한쌍의 단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단변프레임을 이동장치인 단변이동용 스핀들(7)에 접속된 고정단변프레임(6)과 상기 고정단변(6)에다 붙이고 뗄수 있는 가변단변프레임(5)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단변프레임(6)과 가변단변프레임(5)의 접합면 하부 고정단변프레임(6) 또는 가변단변프레임(5)중 어느 한쪽에 돌출한 브래킷(13),(14a)을 설치하고, 다른쪽에 상기 브래킷(13),(14a)과 걸어 맞추는 오목형 브래킷받이(14),(13a)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정단변프레임(6)과 가변단변프레임(5)의 접합면 상부가변단변프레임(5)에다 돌기체(25)를 고착 설치하고, 고정단변프레임(6)에 상기 돌기체(25)를 걸어 맞추는 오목부(27)를 갖는 슬라이드 블록(26)을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슬라이드 블록(26)에는 일단에 유압구동 피스톤(30)을 갖춘 지지봉(28)을 장착하고, 상기 지지봉(28)을 통해 항상 슬라이드 블록(26)을 끌어당겨 힘을 가하는 스프링장치(33)를 상기 지지봉(28)에다 끼워 맞추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가변단변프레임(5)에 냉각수로(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단변프레임(6)의 급배수로(18)와 상기 가변단변프레임(5)의 냉각수로(20)가 프레임 접합면에서 이어지고 끊어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 몰드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제2도내지 제4도는 본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2도는 단변프레임의 단면도, 제3도는 단변프레임의 부분평면도, 제4도는 고정단변프레임과 가변단변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있어서 도면부호 1은 장변고정프레임, 2는 장변고정프레임(1)과 대향하는 장변가동프레임이다. 이들 장변고정프레임(1)과 장변가동프레임(2)의 내측에는 각각 장변동판(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장변동판(3)사이에 한쌍의 단변등판(4)이 끼워져 있고, 이들 장변동판(3)과 단변동판(4)에 의해 주형(鑄型)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5는 단변동판(4)을 고정한 가변단변프레임, 6은 고정단변프레임으로서 가변단변프레임(5)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고, 그 고정단변프레임(6)에 상기 가변단변프레임(5)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서 가변이라는 용어는 교환이 가능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7은 단변이동용 스핀들이고, 단변이동용 구동장치(12)에 의해 구동된다
8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장변고정프레임(1)과, 장변가동프레임(2)을 관통하여 설치한 지지봉으로서 일단은 장변고정프레임(1)의 외측면에 설치한 지지봉길이조정용 웜 잭(11)에 의해 원격조작으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웜 잭(11)에 의해 상기 장변고정프레임(1)과 장변가동프레임(2)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이 웜 잭(11) 대신에 유압실린더를 장비해도 된다. 또한 상기 지지봉(8)의 타단은 장변가동프레임(2)내에 설치한 클램프힘개방용 플런지장치(9)의 일부를 구성하는 피스톤(9a)이 장착되어 있다. 이 피스톤(9a)은 플런지장치(9)를 구성하는 플런저실(9b)내에 끼워맞춰지고, 그 플런지(9b)은 장변가동프레임(2)내에 설치된 케이싱(9c)의 외측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9c) 내에는 클램프 스프링(10)이 케이싱(9c)의 저부(9d)와 지지봉(8)에 마련된 플랜지(8a)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봉(8)에는 케이싱(9c)의 외측에 단부(8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부(8b)는 케이싱(9c)의 저부(9d)에 맞닿아 스토퍼로서 가능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면부호 13은 상기 가변단변프레임(5)의 하부에 설치한 위치결정용 브래킷으로서, 고정단변프레임(6)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테이퍼면(a)이 형성되어 있다. 14는 고정단변프레임(6)의 하부에 설치한 브래킷받이로서, 상기 브래킷(13)을 삽입할 수 있도록 오목형으로 절개되어 있고, 또 그 하부에는 테이퍼면(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브래킷(13)을 브래킷받아(14)에 삽입한 상태로 가변단변프레임(5)을 하강시키면 테이퍼면(a)과 테이퍼면(b)이 서로 미끄럼 접합하여 고정단변프레임(6)과 가변단변프레임(5)을 정확하세 위치결정한다.
15는 상기 가변단변프레임(5)을 고정단변프레임(6)에 고착하기 위한 고정용볼트로서, 볼트구멍(15a)에 비틀어 박아 가변단변프레임(5)을 고정단변프레임(6)에 고정한다. 16은 실(seal)용 0링, 17은 스프레이 수관이다. 18은 몰드냉각수 급배관, 19는 가변단변프레임(5)내에 설치한 수로이다. 20은 단변동판(4)과 가변단변프레임(5)사이에 설치한 슬릿형 수로, 21은 푸트 슈이다. 22는 물분무용 호스, 23은 노즐이다.
제4도는 상기 가변단변프레임(5)을 고정단변프레임(6)에 설치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가변단변프레임(5)을 고정단변프레임(6)에 설치할 경우 우선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프로 가변단변프레임(5)을 매달고, 이 프레임(5)에 설치한 위치결정용 브래킷(13)을 고정단변프레임(6)에 설치한 위치결정용 브래킷받이(14)안에 끼워넣어 하부의 위치결정을 한 후, 상부에 설치한 볼트구멍(15a)에 볼트(15)를 밀어넣고 조이면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단변프레임(6)과 가변단변프레임(5)은 일체로 고정된다. 또 가변단변프레임(5)과 고정단변프레임(6) 사이는 0링(16)에 의해 밀폐되고, 몰드냉각수 급배관(18)과 스프레이 수관(17)은 가변단변프레임(5)내에 설치한 수로(19),(20)에 각각 접속되고, 단변동판(4)을 수로(19),(20)를 흐르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하도록 되어 있다.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5도는 단변프레임의 단면도, 제6도는 고정프레임과 가변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제5도 VII선의 부분확대도이다.
이 제2실시예도 기본적으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지만, 고정프레임과 가변프레임의 연결구조가 상이하므로 주로 상이점에 대해 설명하고, 동일구성부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도 및 제5도 내지 제7도에 있어서 도면부호 13a는 가변단변프레임(5)의 하부에 설치한 브래킷받이로서, 가변단변프레임(5)의 일부를 절개하여 후술하는 브래킷(14a)에 걸어 맞추어 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브래킷받이(13a)의 하부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테이퍼면(b)이 형성되어 있다.
14a는 고정단변프레임(6)의 하부에 형성한 브래킷으로서, 가변단변프레임(5)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테이퍼면(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제2실시예의 것은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브래킷(14a)과 브래킷받이(13a)의 설치위치가 반대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제6도에 나타낸 상태에서 가변단변프레임(5)을 하강시키면 브래킷(14a)과 브래킷받이(13a)가 서로 걸어 맞추어 지고 테이퍼면(a)과 테이퍼면(b)이 서로 미끄럼접합하여 고정단변프레임(6)과 가변단변프레임(5)을 정확하게 위치결정한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가 크게 다른 점은 제1실시예가 상술한 바와같이 고정단변프레임(6)과 가변단변프레임(5)의 상부에 볼트구멍(15a)을 설치하고, 그 볼트구멍(15a)에 고정용 볼트(15)를 비틀어넣어 고정단변프레임(6)과 가변단변프레임(5)을 서로 고정하고 있는데 대해 제2실시예에서는 이 볼트(15)에 의한 고정수단 대신에 이하 설명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가변단변프레임(5)의 상부에 설치한 볼트구멍(25a)에 T자형 볼트등의 돌기체(25)가 비틀어져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단변프레임(6)의 상부에는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슬라이드 블록(2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블록(26)에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에서 보아 T자형 오목부(27)가 형성되어 있고, 그 T자형 오목부(27)에 위에서부터 상기 돌기체(25)를 삽입하면 서로 걸어 맞추어져 좌우방향으로는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변단변프레임(5)의 반대측 상기 슬라이드 블록(26)에는 지지봉(28)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28)은 상기 고정단변프레임(6)의 상부측면에 고정한 스프링 하우징(29)을 관통하여 뻗어 있고, 또 지지봉(28)의 단부에는 피스톤(30)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하우징(29)에는 개방용 실린더(31)가 고정되어 있고, 그 실린더(31)에 상기 피스톤(30)이 끼워넣어져 있다. 도면부호 32는 압유공급구이다.
상기 스프링 하우징(29) 내에는 상기 지지봉(28)에 끼워맞춘 접시 스프링(33)이 설치되어 있고, 그 접시 스프링(33)은 스프링받이 플랜지(34)를 통해 스프링힘조정너트(35)에 의해 스프링힘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5도에 나타낸 설치상태에서는 미리 조정한 접시스프링(33)의 스프링힘에 의한 조여붙이는 힘으로 지지봉(28), 슬라이드블록(26) 및 돌기체(25)를 통해 가변단변프레임(5)을 고정단변프레임(6)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가변단변프레임(5)과 고정단변프레임(6)의 고정을 해제할 경우 개방용실린더(31)에 압유를 공급하고 피스톤(30)을 작동시키면 유압력에 의해 접시 스프링(33)의 스프링힘이 해제되므로 슬라이드 블록(26)과 돌기체(25)의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해지고 가변단변프레임(5)을 끌어올림으로써 고정단변프레임(6)과 가변단변프레임(5)을 분리할 수 있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작용을 함께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장변가동프레임(2)을 여는 방향으로 웜 잭(11)을 구동할 경우 우선 클램프힘 개방용 플런저장치(9)에 급유구(24)를 통해 압유를 공급하여 피스톤(9a)을 윗쪽으로 밀어올려 플랜지(8a)를 통해 클램프 스프링(10)을 압축함으로써 클램프힘을 해제한다. 다음에 웜 잭(11)을 도시하지 않은 유압모터 또는 전동모터등의 구동장치로 구동하면 지지봉(8)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 지지봉(8)의 이동량을 구동축에 직결된 싱크로발신기등으로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이동량을 조정한다. 이 지지봉(8)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지지봉(8)과 실질적으로 일체인 장변가동프레임(2)이 열린다.
이 개방상태에서 제1실시예에서는 제2도에 나타낸 고정용볼트(15)를 빼내고, 또 제2실시예에서는 개방실린더(31)에 압유를 공급하여 접시스프링(33)의 조여붙이는 힘을 해제한다.
그후 제4도,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명이 다한 가변단변프레임(5)를 빼내고 단변동판(4)과 푸트 슈(21)를 미리 설치한 새로운 가변단변프레임(5)을 매달고 양 장변프레임(1),(2)사이에 윗쪽에서부터 삽입화살표(제4도, 제6도 참조)와 같이 이동시켜 브래킷(13),(14a)을 브래킷받이(14),(13a)에 걸어 맞춘다.
그리고 상기와는 반대로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정용 볼트(15)를 비틀어 넣고, 또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개방실린더(31)의 압유를 빼내면 고정볼트(15)의 조여붙이는 힘 또는 접시스프링(33)에 의한 조여붙이는 힘에 의해 고정단변프레임(6)과 가변단변프레임(5)은 일체로 조여서 고정된다. 그 결과 양자간의 0링(16)에 의해 밀폐되고 급배수관(18)과 스프레이 수관(17)은 각각 가변단변프레임(5)측의 수로(19),(20)와 접속된다.
다음에 웜 잭(11)을 닫히는 방향으로 구동하면 지지봉(8)은 상기와는 반대로 장변가동프레임(2)을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가변단변프레임(5)을 끼운 상태에서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플런저장치(9)의 급유구(24)를 통해 압유를 배출시키면 플런저장치에 의해 클램프힘이 해제되어 있었던 클램프 스프링(10)의 스프링힘이 다시 클램프힘으로 작용 [플랜지(8a)를 통해 일단을 지지봉(8)으로 지지받은 스프링(10)은 장변가동프레임(2)을 제1도의 위쪽으로 밀어올리도록 작용함]하여 단변동판(4)을 장변동판(3)사이에 소정의 클램프힘으로 클램프한다.
따라서 가변단변프레임(5)만을 교환함으로써 가변단변프레임(5)의 폭(L)이 클 경우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되고, 가변단변프레임(5)의 폭(ℓ
)이 작을 경우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는데, 어느쪽의 경우에도 가변단변프레임(5)을 교환하는 것만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가변단변프레임(5)에 형성된 냉각수로(19),(20)와 고정단변프레임(6)측의 급배수관로(17),(18)가 프레임접합면에서 이어지고 끊어지도록 설치 한 것에 대해 예시하고 있는데, 가변단변프레임(5)에서 돌출된 관로와 고정단변프레임(6)측 급배수관로를 커플러등의 접속구로 붙이고 뗄수 있도록 접속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가변단변프레임(5)과 고정단변프레임(6)의 결합을 하부는 브래킷(13),(14a)과 브래킷받이(14),(13a)에 의한 걸어 맞춤으로하고, 상부볼트(15)와 볼트구멍(15a)에 의한 결합 또는 지지봉(8)을 통한 스프링(33)과 유압을 이용한 결합으로하고 있는데, 고정단변프레임(6)에 대해 가변단변프레임(5)을 볼트와 볼트구멍만(나사수단)으로 붙이고 뗄수 있도록 결합한 것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원격조작으로 개폐가능한 장변고정프레임(1) 및 장변가동프레임(2)과, 이들 장변프레임(1),(2) 사이에 끼워지는 한쌍의 단변프레임을 구비하고, 그 단변프레임을 이동장치에 접속된 고정단변프레임(6)과 그 고정단변프레임(6)에 붙이고 뗄수 있는 단변동판(4)을 고착한 가변단변프레임(5)으로 구성하였으므로 장변측 프레임을 개폐함으로써 단변측의 가변단변프레임(5)만을 온라인으로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고, 주편두께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조업률이 향상됨과 동시에 종래와 같이 주형전체 또는 단변측 전체를 교환할 필요도 없이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4)

  1. 장변고정프레임(1)과, 이동가능한 장변가동프레임(2)과, 상기 장변고정프레임(1)과 장변가동프레임(2) 사이에 끼워지는 한쌍의 단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단변프레임을 이동장치인 단변이동용 스핀들(7)에 접속된 고정단편프레임(6)과 상기 고정단편프레임(6)에다 붙이고 뗄수 았는 가변단변프레임(5)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용 주편두께가변몰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변프레임(6)과 가변단변프레임(5)의 접합면 하부 고정단변프레임(6)또는 가변단변프레임(5)중 어느 한쪽에 돌출한 브래킷(13),(14a)을 설치하고, 다른쪽에 상기 브래킷(13),(14a)과 걸어 맞추는 오목형 브래킷받이(14),(13a)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용 주편두께가변몰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변프레임(6)과 가변단변프레임(5)의 접합면 상부 가변단변프레임(5)에다 돌기체(25)를 고착 설치하고, 고정단변프레임(6)에 상기 돌기체(25)를 걸어 맞추는 오목부(27)를 갖는 슬라이드 블록(26)을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슬라이드 블록(26)에다 일단에 유압구동 피스톤(30)을 갖춘 지지봉(28)을 장착하고, 상기 지지봉(28)을 통해 항상 슬라이드 블록(26)을 끌어당겨 마음껏 힘을 가하는 스프링장치(33)를 상기 지지봉(28)에다 끼워 맞추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용 주편두께가변몰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단변프레임(5)에 냉각수로(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단편프레임(6)의 급배수로(18)와 상기 가변단편프레임(5)의 냉각수로(20)가 프레임 접합면에서 이어지고 끊어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용 주편두께가변몰드.
KR2019920010410U 1991-10-25 1992-06-12 연속주조용 주편두께가변몰드 KR013236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095438U JP2539592Y2 (ja) 1991-10-25 1991-10-25 連続鋳造機における鋳片厚さ可変モ−ルドの短辺交換装置
JP91-95438 1991-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347U KR930008347U (ko) 1993-05-24
KR0132368Y1 true KR0132368Y1 (ko) 1999-01-15

Family

ID=14137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10410U KR0132368Y1 (ko) 1991-10-25 1992-06-12 연속주조용 주편두께가변몰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39592Y2 (ko)
KR (1) KR013236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989B1 (ko) * 2000-04-08 2006-05-26 주식회사 포스코 연주몰드의 더블워엄감속기 교환장치
KR20040017554A (ko) * 2002-08-22 2004-02-27 주식회사 포스코 유압시스템을 이용한 몰드 폭조정 드라이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0180U (ko) * 1975-09-12 1977-03-22
JPS5640663A (en) * 1979-09-10 1981-04-16 Mcneilab Inc Manufacture of pyrrolee22acetate
JPS597463A (ja) * 1982-07-06 1984-01-14 Mitsubishi Heavy Ind Ltd 連鋳設備用組立式モ−ル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347U (ko) 1993-05-24
JP2539592Y2 (ja) 1997-06-25
JPH0539739U (ja) 199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4956A (en) Linear sliding closure unit
US4069863A (en) Plate mould for continuously casting steel strands
KR20110008067A (ko) 용융된 금속을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용 미끄럼 폐쇄부
JP3979387B2 (ja) 連続鋳造用モールド
US5698129A (en) Sliding gate valve for a metallurgical vessel
CN108160982B (zh) 一种钢包滑动水口装置
KR0132368Y1 (ko) 연속주조용 주편두께가변몰드
US4867428A (en) Device for clamping fireproof plates in metal frames of slide-valve shutters
JPH0470108B2 (ko)
CA2024838C (en) Continuous casting mold
CA2248469C (en) Mould device with adjustable walls
JP2575609B2 (ja) 炉弁の操作方法と炉弁
JPH07508223A (ja) 摺動ゲート弁装置および該装置用固定プレートの交換方法
US5307862A (en) Adjustable mold for continuous casting of articles of different thicknesses
KR200442757Y1 (ko) 금형 자동 클램핑 장치
JPH11254126A (ja) スライドゲートの面圧負荷装置
KR20000048571A (ko) 연속 주조 주형
JP2987906B2 (ja) 連続鋳造機の組み立てモールド
JPH0328971B2 (ko)
CN220920907U (zh) 一种球面接触的连铸钢包下水口和水口碗
WO2008064456A1 (en) External sprue bar position alignment apparatus
US3945425A (en) Mold alignment device for horizontal casting
JP2002011550A (ja) 連続鋳造用モールド
JP2564208Y2 (ja) 連続鋳造機用鋳片厚さ可変モ−ルドの短辺交換装置
US2656576A (en) Die cas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