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8729A - 더미 바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 Google Patents

더미 바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8729A
KR20230128729A KR1020220025975A KR20220025975A KR20230128729A KR 20230128729 A KR20230128729 A KR 20230128729A KR 1020220025975 A KR1020220025975 A KR 1020220025975A KR 20220025975 A KR20220025975 A KR 20220025975A KR 20230128729 A KR20230128729 A KR 20230128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head
adjusting
mold
dummy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20025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8729A/ko
Publication of KR20230128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87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8Accessories for starting the casting procedure
    • B22D11/081Starter bars
    • B22D11/083Starter bar head; Means for connecting or detaching starter bars and ing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8Accessories for starting the casting procedure
    • B22D11/086Means for connecting cast ingots of different sizes or compos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주형의 바닥면의 중심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주형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헤드부와, 중심영역의 양측에 바닥면의 에지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헤드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주형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조절부와, 헤드부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고 조절부가 장착되는 플러그부를 포함하는 더미 바와,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으로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해체 및 교체가 쉬운 더미 바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더미 바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DUMMY BAR AND CAS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더미 바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해체 및 교체가 쉬운 더미 바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로에서 정련이 완료된 용강은 래들에 장입되어 주조 설비로 이송된다. 래들 내의 용강은 주조 설비의 턴디쉬에 공급되고, 턴디쉬 내의 용강은 주형에 주입되어 주편으로 주조된다. 이때, 주형에 용강을 주입하기 전에, 주형의 하부에 더미 바를 삽입하여 주형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주편은 다양한 크기 예컨대 다양한 폭으로 주조될 수 있다. 이에, 주조할 주편의 폭이 결정되면, 결정된 주편의 폭에 맞는 더미 바를 준비해야 한다. 종래에는 폭이 다른 더미 바를 다양하게 준비하고, 주편의 폭이 변경될 때마다 더미 바를 교체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더미 바의 보관 및 운반과 관리에 상당한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주편의 폭에 맞게 더미 바에 심 플레이트를 덧대어 사용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이때, 심 플레이트는 더미 바의 헤드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심 플레이트를 더미 바의 헤드부에 체결시키기 위한 볼트가 심 플레이트와 더미 바의 헤드부를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장착된다. 이러한 방식은 더미 바를 교체하는 방식에 비하여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런데 더미 바를 사용하여 주편을 반복 주조하다 보면, 심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주편의 고열과 무게 때문에 볼트의 나사산이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더미 바의 헤드부와 심 플레이트 간의 틈새로 실링 칩이 낙하되어 볼트에 고착될 수 있다. 또한, 심 플레이트와 접촉된 주편의 에지부가 중량물이고, 심 플레이트 자체도 중량물이기 때문에, 이들의 무게가 볼트를 거쳐 더미 바의 헤드부로 전해져서 더미 바의 헤드부에 마련된 볼팅 홀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때, 주조할 주편의 폭이 변경되면 볼트를 분리하고 심 플레이트를 추가 혹은 교체해야 하는데, 볼트의 변형과, 실링 칩의 고착과, 볼팅 홀의 손상에 의해 볼트를 분리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무리하게 작업하다가 부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볼트를 분리하지 못하여 심 플레이트를 더미 바로부터 해체하지 못하고, 심 플레이트가 장착된 상태로 더미 바의 헤드부를 통체로 교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편의 폭이 변경되지 않을 때에도 볼트를 자주 교체해줘야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작업자의 업무 부담을 증가시키고, 주조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사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볼트를 자주 교체하는 것에 의해서 볼트 홀이 오히려 마모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하기의 특허문헌에 게재되어 있다.
KR 20-2001-0000833 U
본 발명은 헤드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더미 바 및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헤드부로부터 조절부를 쉽게 해체 및 교체할 수 있는 더미 바 및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더미 바는,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주형의 바닥면의 중심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주형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중심영역의 양측에 상기 바닥면의 에지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주형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조절부; 상기 헤드부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조절부가 장착되는 플러그부;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 및 상기 플러그부를 상기 길이방향으로 장착시키기 위한 플러그 체결부; 및 상기 플러그부 및 상기 조절부를 상기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으로 장착시키기 위한 조절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양측에 각각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서로 연결된 상방 개구 및 측방 개구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상방 개구로 삽입되고, 상기 삽입홈에 안착되며, 상기 측방 개구에서 상기 조절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부는 밑면이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고, 외측면에 상기 조절부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부의 밑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하방면에는 상기 오목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볼록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홈 및 상기 볼록돌기는 서로 간의 접촉면에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측방 개구를 둘러싸는 모서리들 중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에 슬라이딩을 위한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부의 외측면의 모서리들 중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에 슬라이딩을 위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방법은, 주편을 주조하는 주조 방법으로서,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주형의 내부의 폭에 맞춰 헤드부에 장착할 조절부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헤드부의 양측에 플러그부를 삽입하는 과정; 선택한 조절부를 상기 플러그부에 장착하는 과정;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조절부로 상기 주형의 내부에 바닥면을 형성하는 과정; 바닥면이 형성된 주형에 용융물을 주입하고 주편을 주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부를 삽입하는 과정은, 상기 주형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헤드부를 눕히는 과정; 상기 헤드부의 전방에 상기 플러그부를 배치하는 과정; 상기 플러그부를 후퇴시켜 상기 헤드부의 삽입홈에 안착시키고, 상기 삽입홈의 측방 개구로 상기 플러그부의 외측면을 노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부를 삽입하는 과정은, 상기 헤드부의 후방에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플러그부를 관통하도록 플러그 체결부를 장착하여 상기 헤드부와 상기 플러그부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부를 삽입하는 과정은, 상기 삽입홈의 측방 개구를 둘러싸는 모서리의 단턱에 상기 플러그부의 외측면의 단차를 접촉시켜 상기 헤드부와 상기 플러그부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한 조절부를 상기 플러그부에 장착하는 과정은, 상기 플러그부의 외측면에 상기 선택한 조절부를 접촉시키는 과정; 상기 선택한 조절부와 상기 플러그부를 순서대로 관통하도록 조절 체결부를 장착하여 상기 선택한 조절부와 상기 플러그부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편을 주조하는 과정 이후에, 크기가 다른 주형을 준비하는 과정;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플러그부를 분리하여, 상기 플러그부 및 상기 조절부를 상기 헤드부로부터 동시에 해체하는 과정; 새로운 플러그부 및 새로운 조절부를 준비하는 과정; 상기 헤드부와, 상기 새로운 플러그부 및 새로운 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부에 장착할 조절부를 선택하는 과정부터 상기 주편을 주조하는 과정까지를 반복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더미 바의 헤드부에 플러그부를 삽입한 후, 플러그부에 조절부를 장착시킴으로써, 더미 바의 전체 폭을 주형의 내부의 폭에 맞춰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주편을 주조하는 동안, 조절부에 가해지는 주편의 고열 및 무게를 플러그부를 통하여 더미 바의 헤드부로 원활하게 전달시켜서 해소시킬 수 있고, 조절부를 플러그부에 장착시키는 장착 부위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주조 중에, 장착 부위가 주편의 고열 및 무게에 의해 손상되거나, 실링 칩의 고착에 의해 손상되거나, 조절부 자체의 중량에 의해 손상되더라도, 그 손상을 플러그부와 조절부의 접촉면 부근으로 국한시킬 수 있다. 이때, 플러그부는 헤드부에 삽입됨으로써, 헤드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주조할 주편의 폭이 변경되어 조절부를 추가, 분리 또는 교체 할 시에, 조절부와 플러그부를 분리하기 어려울 경우, 단지 플러그부를 헤드부에서 인출하는 것으로, 조절부를 간단하게 해체 및 교체할 수 있다.
이로부터 조절부의 추가, 분리 또는 교체 시에, 작업자가 무리하게 작업하지 않아도 되어서,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가 조절부를 추가, 분리 또는 교체하지 못하여 헤드부를 통체로 교체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 바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절부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부의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더미 바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더미 바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이 제철 조업에서 반제품으로 사용되는 주편을 주조하는 공정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 바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은 다양한 용융물을 주조하기 위한 각종 설비 및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 바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절부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부의 분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장치는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는 주형(100), 주형(1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주형(1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더미 바(200, 300), 및 주형(100)으로부터 주편(S)을 인발하기 위한 인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주형(100)의 하측에 나열되며, 더미 바(200, 300)가 삽입될 수 있는 롤러(400)를 포함한다.
또한, 주조 장치는 주형(100)의 상측에 배치되며, 주형(100)으로 용융물(M)을 주입하기 위한 턴디쉬(미도시), 턴디쉬로 용융물(M)을 공급해주기 위한 래들(미도시), 및 인발되는 주편(S)에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롤러(400) 측에 배치되는 분사 노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형(100), 롤러(400), 턴디쉬, 래들 및 분사 노즐의 구성과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이들의 구성과 방식에는 제철소의 연속 주조 설비의 구성과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하여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 바(200, 300)는 주형(100)의 바닥면의 중심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주형(1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헤드부(210), 전술한 중심영역의 양측에 주형(100)의 바닥면의 에지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헤드부(2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주형(1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조절부(330), 헤드부(210)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고 조절부(330)가 장착되는 플러그부(3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 바(200, 300)는 헤드부(210) 및 플러그부(310)를 길이방향으로 장착시키기 위한 플러그 체결부(320) 및 플러그부(310 및 조절부(330)를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 예컨대 폭방향으로 장착시키기 위한 조절 체결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 바(200, 300)는 헤드부(210)와 연결되며, 두께방향으로 굽힘 및 펴짐이 가능한 바디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 바(200, 300)는 헤드부(210)에 조절부(330)를 직접 장착하는 대신, 헤드부(210)에 플러그부(310)를 삽입한 후, 플러그부(310)에 조절부(330)를 장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조절부(330)의 추가, 분리 또는 교체를 반복하더라도, 플러그부(310)를 먼저 마모시킴으로써 헤드부(210)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다. 따라서, 조절부(330)의 추가, 분리 또는 교체에 따른 마모에 의해 헤드부(210)를 교체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줄 수 있다.
헤드부(210)는 주형(100)의 하부에 삽입되어 주형(100)의 바닥면의 중심영역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바닥면의 중심영역은 폭방향에 대한 중심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바닥면은 폭방향의 중심에 중심영역이 위치하고, 중심영역의 양측에 각각 에지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헤드부(210)는 주형(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주형(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바디부(220)가 먼저 주형(100)을 통과하고, 이어서, 헤드부(210)가 주형(10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210)는 주형(100)의 내부에 용융물(M)이 주입되고, 용융물(M)이 응고되어 주편(S)으로 주조되면, 주형(100)으로부터 하측으로 배출되면서 주편(S)을 인발할 수 있다.
헤드부(210)는 하부가 바디부(220)와 연결될 수 있고, 상부에 플러그부(310)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210)는 헤드 블록(211), 연결 블록(212), 주편 연결홈(213), 삽입홈(214) 및 볼록돌기(215)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블록(211)은 헤드부(210)의 몸체로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부면 및 하부면과, 상부면 및 하부면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면은 주형(100)의 바닥면의 중심영역을 형성하는 면으로서, 폭방향 및 두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부면은 상부면과 동일 크기 및 동일 형상일 수 있다. 복수개의 측면은 두께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전방면 및 후방면과, 폭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좌측면 및 우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좌측면 및 우측면을 구분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 좌우측면이라고 통칭할 수도 있다.
연결 블록(212)은 헤드 블록(211)을 바디부(220)에 연결시키기 위한 링크의 역할을 하며, 헤드 블록(211)의 바닥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블록(212)은 헤드 블록(211)과 일체형일 수 있다. 연결 블록(212)은 헤드 블록(211)보다 폭방향의 크기가 작을 수 있고, 길이방향의 크기가 클 수 있다. 연결 블록(212)의 두께방향의 크기는 헤드 블록(211)의 두께방향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물론, 연결 블록(212)과 헤드 블록(211) 간의 크기 관계는 다양할 수 있다. 연결 블록(212)의 하부에는 바디부(22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주편 연결홈(213)은 주편(S)과 연결되어 주편(S)을 인출시키기 위한 주편 연결홈(213)으로서, 헤드 블록(211)의 상부면과 후방면이 만나는 모서리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주편 연결홈(213)은 상부면 및 후방면의 폭방향의 중심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주편 연결홈(212)은 주편(S)의 돌출부를 걸어서 주편(S)을 인출시킬 수 있는 역할을 만족하는 범주 내에서 그 형성 위치가 다양할 수 있다.
삽입홈(214)은 플러그부(310)를 삽입하여 지지하기 위한 삽입홈(214)으로서, 헤드부(2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삽입홈(214)은 헤드 블록(211)의 폭방향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홈(214)의 개수는 복수개 예컨대 2 개일 수 있다.
물론, 삽입홈(214)의 개수는 다양할 수 있다. 삽입홈(214)이 4 개이면, 4 개의 삽입홈(214)이 헤드 블록(211)의 폭방향의 양측에 각각 2 개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삽입홈(214)은 헤드 블록(211)의 폭방향의 양측에서 두께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다. 삽입홈(214)의 개수가 홀수개 예컨대 3 개이면, 3 개의 삽입홈(214) 중 하나가 헤드 블록(211)의 폭방향의 양측 중 일측에 형성되고, 나머지 2 개의 삽입홈(214)이 헤드 블록(211)의 폭방향의 양측 중 타측에 형성되어 두께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다. 헤드 블록(211)의 폭방향의 타측에 형성된 2 개의 삽입홈(214)은 헤드 블록(211)의 폭방향의 일측에 형성된 1 개의 삽입홈(214)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이처럼 삽입홈(214)의 개수는 다양할 수 있고, 삽입홈(214)의 개수에 따라서 삽입홈(214)의 배치와 크기에 대한 다양한 변형 예를 가질 수 있다.
삽입홈(214)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삽입홈(214)에 삽입할 플러그부(310)의 크기 및 무게를 작게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핸들링이 쉬워질 수 있다. 한편, 삽입홈(214)의 개수가 증가함에 의해, 삽입홈(214)의 크기가 작아지고, 그에 따라서, 플러그부(310)의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조절부(330)를 복수개의 플러그부(310)에 장착시키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플러그부(310)로 조절부(3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2 개의 삽입홈(214)이 헤드 블록(21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삽입홈(214)의 구조를 설명한다. 이때, 헤드 블록(211)의 우측에 형성된 삽입홈(214)의 구조를 설명한다. 헤드 블록(211)의 좌측에 형성되는 삽입홈(214)은 헤드 블록(211)의 우측에 형성되는 삽입홈(214)의 구조가 동일 혹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삽입홈(214)은 헤드 블록(211)의 상부면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상방 개구와, 헤드 블록(211)의 우측면을 폭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측방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삽입홈(214)은 상방 개구와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하방면과, 측방 개구와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방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삽입홈(214)은 측방 개구와 측방면 사이에서, 서로 두께방향으로 대향하는 전방면 및 후방면을 가질 수 있다. 삽입홈(214)은 하방면, 측방면, 전방면 및 후방면이 플러그부(310)를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다. 삽입홈(214)의 상방 개구와 측방 개구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삽임홈(214)의 측방 개구에 플러그부(310)의 후술하는 외측면(316)이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삽입홈(214)의 하방면에는 후술하는 플러그부(310)의 오목홈(G)에 끼워질 수 있도록 볼록돌기(215)가 형성될 수 있다.
볼록돌기(215)는 플러그부(310)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플러그부(310)로부터 헤드 블록(211)으로 열 및 하중을 분산시켜서 전달하기 위한 볼록돌기(215)로서, 삽입홈(214)의 하방면의 두께방향의 중심위치를 폭방향으로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볼록돌기(215)를 두께방향으로 절단한 절단면의 형상은 반원 형상일 수 있다. 즉, 볼록돌기(215)는 상부면이 곡면일 수 있다.
이러한 볼록돌기(215)를 플러그부(310)의 오목홈(G)에 삽입하여 오목홈(G)의 곡면에 접촉시킴으로써 플러그부(310)의 밑면(312)을 삽입홈(214)의 하방면에 넓은 면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한편, 삽입홈(214)의 측방 개구를 둘러싸는 모서리들 중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에 슬라이딩을 위한 단턱(R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턱(R1)은 플러그부(310)를 삽입홈(214)의 상방 개구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할 때, 플러그부(310)의 후술하는 단차(R2)에 끼워질 수 있다. 단턱(R1)에 의해 플러그부(310)의 삽입이 원활할 수 있고, 플러그부(310)의 폭방향으로의 탈락이 방지될 수 있다.
바디부(220)는 헤드부(210)를 인발 경로를 따라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바디부(220)는 주형(100)의 하측에서 롤러(400)에 지지될 수 있다. 바디부(220)는 주형(100)의 내부에 용융물(M)이 주입되고, 용융물(M)이 응고되어 주편(S)으로 주조되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헤드부(210)를 주형(100)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바디부(22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링크가 두께방향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물론, 바디부(220)의 구조는 다양할 수 있다. 한편, 헤드부(210)와 바디부(220)를 헤드 조립체(200)라고 통칭할 수 있다.
플러그부(310)는 헤드부(210)와 조절부(330) 사이에 위치하고, 조절부(330)를 헤드부(210)의 양측에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플러그부(310)는 헤드부(210) 대신에 조절부(330)와 장착됨으로써, 주조할 주편(S)의 크기 예컨대 폭의 변경에 따라 조절부(330)의 추가, 분리 또는 교체를 반복할 때, 헤드부(210) 대신에 먼저 마모됨으로써, 헤드부(210)의 마모를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플러그부(310)는 헤드부(210)의 삽입홈(214)의 상방 개구로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삽입홉(214)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부(310)는 삽입홈(214)의 측방 개구에서 조절부(330)와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부(310)는 밑면(312)이 헤드부(210)에 장착되고, 외측면(316)에 조절부(330)가 장착될 수 있다. 플러그부(310)는 복수개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삽입홈(214)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헤드부(210)의 우측에서 헤드부(210)의 삽입홈(214)에 삽입되는 플러그부(310)를 기준으로 하여 플러그부(310)의 구조를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되는 플러그부(310)의 구조는 헤드부(210)의 좌측에서 헤드부(210)의 삽입홈(214)에 삽입되는 플러그부(310)에 동일 혹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플러그부(310)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윗면(311) 및 밑면(312)과, 윗면(311) 및 밑면(312)의 사이에서 두께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면서, 윗면(311) 및 밑면(312)과 연결된 전방면(313) 및 후방면(314)과, 윗면(311) 및 밑면(312)의 사이에서 폭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면서, 윗면(311) 및 밑면(312)과 연결되고, 전방면(313) 및 후방면(314)과 연결된 내측면(315) 및 외측면(3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부(310)가 헤드부(210)의 삽입홈(214)에 삽입되었을 때, 외측면(316)이 삽입홈(214)의 외측에 노출되는 면이고, 내측면(315)이 삽입홈(214)의 내측에 보호되는 면이므로, 플러그부(310)의 폭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면을 내측면(315)과 외측면(316)으로 구분하였다.
여기서, 상술한 윗면(311) 내지 외측면(316)은 플러그부(310)의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명명된 면으로서 이들 면의 명명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플러그부(310)의 자세에 따라, 이들 면을 다르게 명명할 수도 있다. 즉, 플러그부(310)가 두께방향으로 90° 회전하면 후방면(314)과 전방면(313)이 길이방향으로 대향될 수 있으므로, 이들 면을 윗면 및 밑면이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 이처럼 이들 면의 명명 방식은 플러그부(3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일 뿐이다. 예컨대 각 면을 서로 구분할 수 있다면, 윗면(311)을 제1면이라고 정의하고, 외측면(316)을 제6면이라고 정의해도 무방하다.
플러그부(310)는 밑면(312)에 오목홈(G)이 형성될 수 있다. 오목홈(G)은 플러그부(310)의 관점에서 밑면(312)으로부터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밑면(312)의 중심을 폭방향으로 지나도록 연장될 수 있다.
플러그부(310)를 두께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오목홈(G)의 단면은 반원 형상일 수 있다. 즉, 오목홈(G)의 내벽은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오목홈(G)과 전술한 볼록돌기(215)는 서로 간의 접촉면에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곡면은 조절부(330)로부터 플러그부(310)로 전달되는 열 및 충격을 삽입홈(214)의 하방면에 넓은 면적으로 원활하게 전달해줌으로써, 열 및 충격에 의해 플러그부(310)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또한, 오목홈(G)을 형성하는 만큼, 플러그부(310)의 부피(체적)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중량물에 해당하는 플러그부(310)의 하중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플러그부(310)를 핸들링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오목홈(G)에 삽입되는 볼록돌기(215)는 일종의 리브 역할을 함으로써, 삽입홈(214)의 하방면의 구조를 보강해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삽입홈(214)의 구조적 변형을 방지하여 줄 수 있고, 이로부터 헤드 블록(211)의 강도를 향상시켜 줄 수 있고, 플러그부(310)를 삽입홈(214)의 하방면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다.
플러그부(310)의 외측면(316)의 모서리들 중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 즉, 외측면(316)과 전방면(313)이 연결된 모서리 및 외측면(316)과 후방면(314)이 연결된 모서리에 슬라이딩을 위한 단차(R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차(R2)에는 전술한 삽입홈(214)의 측방 개구의 단턱(R1)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플러그부(310)의 윗면(311)은 헤드 블록(311)의 상부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할 수 있고, 플러그부(310)의 외측면(316)은 헤드 블록(311)의 우측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플러그부(31)는 헤드부(210)의 삽입홈(214)에서 돌출되지 않는 구조일 수 있고, 따라서, 삽입홈(214)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보호될 수 있다. 상술한 플러그부(310)를 너트 플레이트 혹은 너트 블록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플러그 체결부(320)는 헤드부(210)에 플러그부(310)를 길이방향으로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플러그 체결부(320)는 헤드 블록(211)의 하부면과, 삽입홈(214)의 하방면에 형성된 볼록돌기(215) 및 삽입홈(214)에 삽입되어 삽입홈(214)의 하방면에 안착된 플러그부(310)의 밑면(312)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플러그 체결부(320)는 외주면에 나사산일 형성되는 일종의 볼트일 수 있다. 플러그 체결부(320)는 주형(100)의 바닥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면서 길이방향으로 헤드부(210) 및 플러그부(310)에 장착되기 때문에, 헤드부(210) 및 플러그부(310)에 의해, 바닥면의 실링을 위해 주형(100)의 내부에 투입되는 실링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에서는 플러그부(310)의 하중이 대부분 삽입홈(214)의 하방면으로 전달되어서, 플러그 체결부(320)는 하중을 거의 전달받지 않기 때문에, 하중에 의한 구부러짐이나 부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조절부(330)는 주형(100)의 바닥면의 에지영역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조절부(330)의 폭, 장착 개수 등을 조절하여, 주조할 주편(S)의 다양한 폭에 대응할 수 있다. 조절부(330)는 헤드부(210)의 폭방향의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의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조절부(330)가 헤드부(210)의 폭방향의 양측에 각각 복수개로 배치되는 경우, 복수개의 조절부(330)는 폭방향으로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복수개의 조절부(300) 중에서 폭방향의 최외각에 배치되는 조절부(330)를 엔드 플레이트라고 지칭하고, 엔드 플레이트를 제외한 나머지의 조절부(330)를 심 플레이트라고 지칭할 수 있다.
조절부(330)는 헤드 블록(211)의 좌우측면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조절부(330)는 플러그부(310)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헤드 블록(211)의 상부면과, 플러그부(310)의 윗면(311)과 조절부(330)의 상단은 동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헤드 블록(211)의 상부면과, 플러그부(310)의 윗면(311)과 조절부(330)의 상단이 이루는 동일면이 주형(1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조절 체결부(340)는 조절부(330)의 폭방향의 외측에서 조절부(330) 및 플러그부(310)를 폭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조절 체결부(340)에 의해 조절부(330)를 플러그부(310)에 고정시킬 수 있고, 조절부(330)를 헤드부(210)의 폭방향의 양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조절 체결부(340)는 플러그부(310)의 나사홀(h1)과 조절부(330)의 나사홀(h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부(300) 중 최외각 조절부(330)인 엔드 플레이트의 나사홀(h2)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고, 단차의 내부에 조절 체결부(340)의 볼트 헤드가 수용됨으로써 조절 체결부(340)가 조절부(330)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조절 체결부(340)는 헤드부(2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고, 두께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조절 체결부(340)의 배치 구조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조절 체결부(340)는 헤드부(2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4 개씩 배치되며, 두께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면(미도시) 상에서 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물론, 조절 체결부(340)는 헤드부(2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1 개씩 배치되거나, 3 개씩 배치될 수도 있고, 그 배치 구조도 다양할 수 있다. 한편, 플러그부(310)와 플러그 체결부(320)와 조절부(330)와 조절 체결부(340)를 플러그 조립체(300)라고 통칭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방법은 주편(S)을 주조하는 주조 방법으로서,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주형(100)의 내부의 폭에 맞춰 헤드부(210)에 장착할 조절부(330)를 선택하는 과정, 헤드부(210)의 양측에 플러그부(310)를 삽입하는 과정, 선택한 조절부(330)를 플러그부(310)에 장착하는 과정, 헤드부(210) 및 조절부(330)로 주형(100)의 내부에 바닥면을 형성하는 과정, 및 바닥면이 형성된 주형(100)에 용융물(M)을 주입하고 주편(S)을 주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주형(100)의 내부의 폭에 맞춰 헤드부(210)에 장착할 조절부(330)를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헤드부(210)의 폭방향의 양측에 조절부(330)를 배치하였을 때, 헤드부(210)와 조절부(330)의 전체 폭이 주형(100)의 내부의 폭에 소정의 여유 간격을 두고 일치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300)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여유 간격은 실링칩으로 실링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조절부(330)가 서로 다른 두께로 마련되는 경우, 조절부(300)의 두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조절부(330)를 선택하는 과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헤드부(210)의 양측에 플러그부(310)를 삽입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우선, 소정의 작업대(미도시) 혹은 바닥면(미도시) 상에 주형(100)의 두께방향으로 헤드부(210)를 눕힐 수 있다. 이때, 헤드부(210)는 바디부(220)와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혀진 헤드부(210)의 전방에 플러그부(310)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플러그부(310)도 헤드부(210)와 동일한 방향으로 눕힌 후, 헤드부(210)의 전방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삽입홈(214)의 개수만큼 플러그부(310)를 배치할 수 있다. 즉, 2 개의 플러그부(310)를 헤드부(210)의 전방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플러그부(310)는 헤드부(210)의 양측에서 각각의 삽입홈(214)에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부(310)를 후방으로 후퇴시켜서 헤드부(210)의 삽입홈(214)에 안착시키고, 이와 동시에 삽입홈(214)의 측방 개구로 플러그부(310)의 외측면(316)을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삽입홈(214)의 측방 개구를 둘러싸는 모서리의 단턱(R1)에 플러그부(310)의 외측면(316)의 단차(R2)를 접촉시켜, 헤드부(210)와 플러그부(310)를 폭방향으로 고정시킴으로써, 플러그부(310)가 헤드부(210)로부터 폭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헤드부(210)의 삽입홈(214)에 플러그부(310)를 원활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플러그부(310)를 전술한 작업대(미도시) 혹은 바닥면(미도시)으로부터 소정높이 들어올린 상태로 플러그부(310)를 후퇴시켜서 헤드부(210)의 삽입홈(214)에 안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부(310)는 오목홈(G)이 차지하는 부피만큼 무게가 가벼울 수 있고, 작업자가 플러그부(310)를 보다 쉽게 들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210)의 후방에서 헤드부(210)와 플러그부(310)를 관통하도록 플러그 체결부(320)를 장착하여 헤드부(210)와 플러그부(3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플러그 체결부(320)를 헤드부(210)와 플러그부(310)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이후, 선택한 조절부(330)를 플러그부(310)에 장착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삽입홈(214)에 삽입된 플러그부(310)의 외측면에 선택한 조절부(330)를 접촉시키고, 선택한 조절부(330)와 플러그부(310)를 순서대로 관통하도록 조절 체결부(340)를 폭방향으로 장착함으로써 선택한 조절부(330)와 플러그부(3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헤드부(210)의 폭방향의 양측에 각기 4 개의 조절부(330)를 배치하고자 할 경우에, 헤드부(210)의 우측의 삽입홈(214)에 삽입된 플러그부(310)의 외측면에 선택한 8 개의 조절부(330) 중에서 4 개의 조절부(330)를 배치하고, 헤드부(210)의 좌측의 삽입홈(214)에 삽입된 플러그부(310)의 외측면에 나머지 4 개의 조절부(330)를 배치하고, 조절 체결부(340)로 배치된 조절부(330)들을 헤드부(210)에 양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헤드부(210) 및 조절부(330)로 주형(100)의 내부에 바닥면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플러그부(310)가 삽입되고 조절부(330)가 장착된 헤드부(210)를 헤드부(210)에 연결된 바디부(220)와 함께 대차(미도시)에 적재하여 주형(100)의 상측으로 운반할 수 있다. 그리고 주형(1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바디부(200)를 먼저 통과시키고, 헤드부(210)를 이어서 삽입한 후, 주형(100)의 하부의 바닥면을 형성하고자 하는 높이에 헤드부(210)의 상부면을 위치시킨다. 이때, 바디부(220)는 주편의 인발 경로에 배치되어 롤러(400)에 지지될 수 있고, 바디부(220)의 끝단을 고정시켜서 헤드부(210)의 높이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주형(100)의 내부에서 헤드부(210)가 바닥면의 중심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조절부(330)가 바닥면의 에지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210) 및 조절부(330)에 의해 형성된 바닥면과 주형(100) 사이의 틈새에 실링칩을 도포하여 실링할 수 있다.
이후, 바닥면이 형성된 주형(100)에 용융물(M)을 주입하고 주편(S)을 주조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주형(100)에 용융물(M)을 주입하고, 바닥면을 이용하여 용융물(M)을 주형(100) 내에 수용한 상태로, 주형(100)으로 용융물(M)을 냉각시켜 용융물(M)을 주편(S)으로 응고시킬 수 있다. 이때, 주편(S)이 응고되면, 바디부(220)를 주편을 인발시킬 방향 예컨대 주조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헤드부(210)를 주형(100)으로부터 하측으로 배출시키고, 바디부(220)와 헤드부(210)를 주조방향으로 이동시켜, 헤드부(210)의 주편 연결홈(213)에 연결된 주편(S)을 주조방향으로 인발할 수 있다. 이때, 주형(100)의 내부에 계속하여 용융물(M) 예컨대 용강이 주입될 수 있고, 주형(100)의 내부에서 주편(S)이 계속하여 응고될 수 있다.
한편, 주편(S)을 인발하는 동안, 조절부(330)가 장착된 플러그부(310)의 오목홈(G)과 헤드부(210)의 삽입홈(214)의 하방면에 형성된 볼록돌기(215)가 곡면 형상으로 접촉하면서, 주편(S)의 고열과 하중을 헤드부(210)로 원활하게 전달시켜 줄 수 있고, 이에, 헤드부(210) 및 플러그부(310)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여 줄 수 있다. 한편, 주편(S)을 주조하는 과정 이후에, 주조된 주편(S)과 크기 예컨대 폭이 다른 주편을 주조해야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방법은, 주편(S)을 주조하는 과정 이후에, 크기가 다른 주형을 준비하는 과정과, 헤드부(210)에서 플러그부(310)를 분리하여, 플러그부(310) 및 조절부(330)를 헤드부로부터 동시에 해체하는 과정과, 새로운 플러그부(310) 및 새로운 조절부(330)를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210)에서 플러그부(310)를 분리할 때, 플러그 체결부(320)를 헤드부(210) 및 플러그부(310)로부터 원활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 이유는, 전술한 주조 과정에서, 플러그 체결부(320)가 헤드부(210)의 상부면보다 낮은 높이에서 헤드부(210)의 상부면에 의해 실링칩의 낙하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플러그부(310)의 하중이 플러그 체결부(320)로 전달되기 보다 헤드부(210)의 삽입홈(214)의 하방면과, 볼록돌기(215)의 곡면으로 고루 분산될 수 있기 때문에, 실링칩에 의한 고착과, 플러그 체결부(320)의 변형이 최소화 내지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헤드부(210)와, 새로운 플러그부(310) 및 새로운 조절부(330)를 이용하여, 전술한 헤드부(210)에 장착할 조절부(330)를 선택하는 과정부터 주편(S)을 주조하는 과정까지를 반복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폭이 다른 주편을 신속하게 주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 개시된 구성과 방식은 서로 결합하거나 교차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합 및 변형될 것이고, 이에 의한 변형 예들도 본 발명의 범주로 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주형 200: 헤드 조립체
210: 헤드부 214: 삽입홈
215: 볼록돌기 220: 바디부
300: 플러그 조립체 310: 플러그부
320: 플러그 체결부 330: 조절부
340: 조절 체결부 R1: 단턱
R2: 단차 G: 오목홈

Claims (13)

  1.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주형의 바닥면의 중심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주형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중심영역의 양측에 상기 바닥면의 에지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주형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조절부;
    상기 헤드부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조절부가 장착되는 플러그부;를 포함하는 더미 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및 상기 플러그부를 상기 길이방향으로 장착시키기 위한 플러그 체결부; 및
    상기 플러그부 및 상기 조절부를 상기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으로 장착시키기 위한 조절 체결부;를 포함하는 더미 바.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양측에 각각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서로 연결된 상방 개구 및 측방 개구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상방 개구로 삽입되고, 상기 삽입홈에 안착되며, 상기 측방 개구에서 상기 조절부와 접촉하는 더미 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밑면이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고, 외측면에 상기 조절부가 장착되는 더미 바.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의 밑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하방면에는 상기 오목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볼록돌기가 형성되는 더미 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 및 상기 볼록돌기는 서로 간의 접촉면에 곡면을 가지는 더미 바.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측방 개구를 둘러싸는 모서리들 중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에 슬라이딩을 위한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부의 외측면의 모서리들 중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에 슬라이딩을 위한 단차가 형성되는 더미 바.
  8. 주편을 주조하는 주조 방법으로서,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주형의 내부의 폭에 맞춰 헤드부에 장착할 조절부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헤드부의 양측에 플러그부를 삽입하는 과정;
    선택한 조절부를 상기 플러그부에 장착하는 과정;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조절부로 상기 주형의 내부에 바닥면을 형성하는 과정;
    바닥면이 형성된 주형에 용융물을 주입하고 주편을 주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를 삽입하는 과정은,
    상기 주형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헤드부를 눕히는 과정;
    상기 헤드부의 전방에 상기 플러그부를 배치하는 과정;
    상기 플러그부를 후퇴시켜 상기 헤드부의 삽입홈에 안착시키고, 상기 삽입홈의 측방 개구로 상기 플러그부의 외측면을 노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를 삽입하는 과정은,
    상기 헤드부의 후방에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플러그부를 관통하도록 플러그 체결부를 장착하여 상기 헤드부와 상기 플러그부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를 삽입하는 과정은,
    상기 삽입홈의 측방 개구를 둘러싸는 모서리의 단턱에 상기 플러그부의 외측면의 단차를 접촉시켜 상기 헤드부와 상기 플러그부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조절부를 상기 플러그부에 장착하는 과정은,
    상기 플러그부의 외측면에 상기 선택한 조절부를 접촉시키는 과정;
    상기 선택한 조절부와 상기 플러그부를 순서대로 관통하도록 조절 체결부를 장착하여 상기 선택한 조절부와 상기 플러그부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주편을 주조하는 과정 이후에,
    크기가 다른 주형을 준비하는 과정;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플러그부를 분리하여, 상기 플러그부 및 상기 조절부를 상기 헤드부로부터 동시에 해체하는 과정;
    새로운 플러그부 및 새로운 조절부를 준비하는 과정;
    상기 헤드부와, 상기 새로운 플러그부 및 새로운 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부에 장착할 조절부를 선택하는 과정부터 상기 주편을 주조하는 과정까지를 반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KR1020220025975A 2022-02-28 2022-02-28 더미 바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KR202301287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975A KR20230128729A (ko) 2022-02-28 2022-02-28 더미 바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975A KR20230128729A (ko) 2022-02-28 2022-02-28 더미 바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729A true KR20230128729A (ko) 2023-09-05

Family

ID=8797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975A KR20230128729A (ko) 2022-02-28 2022-02-28 더미 바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872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833U (ko) 1999-06-19 2001-01-15 이구택 더미 바 헤드 폭 조정용 심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833U (ko) 1999-06-19 2001-01-15 이구택 더미 바 헤드 폭 조정용 심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86079B2 (ja) 射出成形機
RU2477194C2 (ru) Кристаллизатор жидкост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металлов
KR20230128729A (ko) 더미 바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KR101977357B1 (ko) 주조방법 및 주조장치
KR101260056B1 (ko) 절단설 제거 장치
KR100739633B1 (ko) 더미바 헤드
KR20090021492A (ko) 연속주조설비의 몰드 씰링재 유출방지장치
JP4441418B2 (ja) 連続鋳造用鋳型
KR20090010961A (ko) 주물제조용 금형장치
KR100685474B1 (ko) 연속주조용 몰드
JPS62267048A (ja) 水平連続鋳造装置
JP4435036B2 (ja) 鋳造用金型
KR20210001422U (ko) 알루미늄 용탕 이송 장치
KR100466416B1 (ko) 주편 연결장치
KR20040056267A (ko)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노즐절단날 고정구조
KR102326253B1 (ko) 주조장치 및 방법
KR102265195B1 (ko) 주조기용 더미장치
KR101981454B1 (ko) 더미 바 헤드 가이드 장치
CN220497696U (zh) 一种方便更换的整体流槽预制件
KR20130131989A (ko) 핀 조인트 및 더미 바
KR200291561Y1 (ko) 빌레트 제조용 몰드 냉각재
KR101962379B1 (ko) 노즐 체결 설비
KR101207597B1 (ko) 냉각성이 향상된 슈라우드의 포크 아암
JP6377596B2 (ja) タンディッシュ
KR200307871Y1 (ko) 복층식 턴디쉬 커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