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0062A - 도어 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70062A KR20040070062A KR1020040005792A KR20040005792A KR20040070062A KR 20040070062 A KR20040070062 A KR 20040070062A KR 1020040005792 A KR1020040005792 A KR 1020040005792A KR 20040005792 A KR20040005792 A KR 20040005792A KR 20040070062 A KR20040070062 A KR 200400700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state
- latch mechanism
- case
- door lock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2—Lock cas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4—Protection against weather or dirt, e.g. against water ingres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2—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lock status, i.e. locked or unlocked condi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E05B77/265—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hand actuated, e.g. by a lever at the edge of the do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액추에이터의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스트라이커(23)와 결합 및 이탈 가능한 래치 기구(11), 오프닝 조작력을 래치 기구(11)에 전달하여 래치 기구(11)를 스트라이커(23)와의 결합 상태로부터 이탈 상태로 작동 가능한 오픈 유닛(12), 로킹 및 언로킹 조작력을 오픈 유닛(12)에 전달하여 오픈 유닛(12)을 오프닝 조작력이 래치 기구(11)에 전달될 수 있는 언로킹 상태 및 오프닝 조작력이 래치 기구(11)에 전달될 수 없는 로킹 상태로 작동 가능한 록 유닛(13), 및 로킹 및 언로킹 조작력을 출력하는 모터(14)를 구비하고, 래치 기구(11), 오픈 유닛(12), 록 유닛(13), 및 모터를 일체로 수용하는 하우징(15)을 구비하는 도어 록 장치(10)로서, 하우징(15) 내에 최소한 모터(14)를 수용하는 케이스(42)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도어 록 장치는 후술하는 특허문헌1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도어 록 장치는 2개의 위치에 이동 가능한 레버를 설치한 록 본체에 하우징 내에 설치된 모터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2개의 위치로 이동 가능한 출력부재를 가지는 액추에이터를 장착하고, 상기 레버를 2개의 위치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 본체에 고정되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하우징에 상기 레버를 포함하는 상기 록 본체의 레버 장착면을 덮는 커버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개2002-081246호 공보(1-5페이지, 도 1 및 도 3 참조)
전술한 종래의 도어 록 장치는 구동 수단이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커버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과 커버의 조합은 단순히 표면끼리의 접촉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하우징과 커버의 조합부에 간극이 있는 경우에는 조합부에서의 물의 침입에 의해 구동 수단이 물에 노출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의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도어 록 장치의 래치 기구의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 록 장치의 배면 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록 기구 및 모터 등의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도어 록 장치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도어 록 장치에서 덮개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B-B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의 도어 록 장치의 해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 상태의 도어 록 장치가 아웃사이드 오프닝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 상태의 도어 록 장치가 인사이드 오프닝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 상태의 도어 록 장치가 로킹 상태로 전환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 상태의 도어 록 장치가 아웃사이드 오프닝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 상태의 도어 록 장치가 인사이드 오프닝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 상태의 도어 록 장치가 추가로 인사이드 오프닝 조작이 계속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2 상태의 도어 록 장치가 해제 상태로 전환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 상태의 도어 록 장치가 추가로 해제 상태로 전환 조작이 계속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2 실시예의 도어 록 장치가 로킹 상태에서 인사이드 오프닝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도어 록 장치가 추가로 인사이드 오프닝 조작이 계속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제1 실시예의 도어 록 장치의 하우징 및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강구한 제1 기술적 수단은 스트라이커(striker)와 결합 및 이탈 가능한 래치 기구, 오프닝 조작력을 상기 래치 기구에 전달하여 상기 래치 기구를 상기 스트라이커와의 결합 상태로부터 이탈 상태로 작동 가능한 오픈 유닛, 로킹 및 언로킹 조작력을 상기 오픈 유닛에 전달하여 상기 오픈 유닛을 상기 오프닝 조작력이 상기 래치 기구에 전달될 수 있는 언로킹 상태 및 상기 오프닝 조작력이 상기 래치 기구에 전달될 수 없는 로킹 상태로 작동 가능한 록 유닛, 및 상기 로킹 및 언로킹 조작력을 출력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상기 래치 기구, 상기 오픈 유닛, 상기 록 유닛, 및 상기 액추에이터를 일체로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도어 록 장치로서, 상기 하우징 내에 최소한 상기 액추에이터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서는 액추에이터가 도어 록 장치의 하우징 내의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다. 즉, 액추에이터는 하우징 및 케이스라는 복수의 부재에 덮여 있다. 따라서, 도어 록 장치가 물에 접촉된 경우에도 케이스 내에 물이 침입되기 어렵고, 따라서 액추에이터는 보다 물에 잘 접촉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이 제1 하우징 반쪽체 및 제2 하우징 반쪽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반쪽체 및 상기 제2 하우징 반쪽체 중 어느 한쪽은 제1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반쪽체 및 상기 제2 하우징 반쪽체 중 어느 한쪽은 상기 제1 하우징 반쪽체와 상기 제2 하우징 반쪽체가 조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오목부와 결합하는 제1 볼록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제1 하우징 반쪽체 및 제2 하우징 반쪽체가 조합되는 경우에 조합부는 제1 오목부와 제1 볼록부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조합부가 표면끼리의 접촉에 의한 구조와 비교하여 하우징 내에 물이 침입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가 제1 케이스 반쪽체 및 제2 케이스 반쪽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스 반쪽체 및 상기 제2 케이스 반쪽체 중 어느 한쪽은 제2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스 반쪽체 및 상기 제2 케이스 반쪽체 중 어느 한쪽은 상기 제1 케이스 반쪽체와 상기 제2 케이스 반쪽체가 조합되는 경우에 상기제2 오목부와 결합하는 제2 볼록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제1 케이스 반쪽체 및 제2 케이스 반쪽체가 조합되는 경우에 조합부는 제2 오목부와 제2 볼록부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조합부가 표면끼리의 접촉에 의한 구조와 비교하여 케이스 내에 물이 침입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프닝 조작력이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오픈 유닛에 입력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오픈 유닛에 연결하는 내부 케이블, 및 상기 내부 케이블을 피복하는 동시에 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외부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단부를 덮는 보호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외부 케이싱의 단부가 보호부에 의해서 덮여 있다. 즉, 보호부에 의해서, 일 단부로 물이 침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내부 케이블과 외부 케이싱의 간극에 물이 침입하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케이스가 공유하는 제1 벽을 갖출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하우징과 케이스가 벽을 공유하여, 즉, 이 벽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별도의 벽 부재를 설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수가 적고 간소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강구한 제2 기술적 수단은 스트라이커와 결합 및 이탈 가능한 래치 기구, 오프닝 조작력을 상기 래치 기구에 전달하여 상기 래치 기구를 상기 스트라이커의 결합 상태로부터 이탈 상태로 작동 가능한오픈 유닛, 로킹 및 언로킹 조작력을 상기 오픈 유닛에 전달하여 상기 오픈 유닛을 상기 오프닝 조작력이 상기 래치 기구에 전달될 수 있는 언로킹 상태 및 상기 오프닝 조작력이 상기 래치 기구에 전달될 수 없는 로킹 상태로 작동 가능한 록 유닛, 및 상기 로킹 및 언로킹 조작력을 출력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래치 기구, 상기 오픈 유닛, 상기 록 유닛, 및 상기 액추에이터를 일체로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도어 록 장치로서, 상기 하우징이 제1 하우징 반쪽체 및 제2 하우징 반쪽체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1 하우징 반쪽체의 제1 벽으로부터 상기 액추에이터를 둘러싸도록 돌출되는 제2 벽 및 상기 제2 벽과 조합되어 상기 액추에이터를 덮는 덮개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서는 액추에이터가 도어 록 장치의 하우징 내에서 제1 벽, 제2 벽, 및 덮개부에 의해 덮여 있다. 따라서, 도어 록 장치에 물이 침입한 경우에도 액추에이터에는 더욱 물이 침입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벽에는 상기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급전 경로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벽에 설치된 상기 급전 경로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덮개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벽에 설치되어 상기 언로킹 상태 및 상기 로킹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재, 및 상기 제1 벽에 설치되어 상기 검출부재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신호 경로를 구비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도어 록 장치(10)(도어 록 장치)는 대략 보면, 도 1에 나타내는 래치 기구(11)(래치 기구), 오픈 유닛(12)(오픈 유닛)(도 3 등 참조), 록 유닛(13)(록 유닛)(도 3 등 참조), 모터(14)(액추에이터)(도 3 등 참조)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을 일체로 하우징(15)(하우징)이 수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도어 록 장치(10)는 래치 기구(11)가 도 1의 지면과 평행하게 넓어지는 평면(이하, 제1 평면이라고 함) 내에 구성되어 있고, 오픈 유닛(12)과 록 유닛(13)으로 구성되는 록 기구 및 모터(14)가 제1 평면과 수직으로 넓어지는 평면(제2 평면)(도 1의 지면 수직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면) 내에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5)은 록 기구 및 모터(14)의 부분을 도 2의 우측 방향으로 덮고 또한 일체로 래치 기구(11)를 도 2의 지면의 이면 방향으로 덮는 하우징 반쪽체(40)(제1 하우징 반쪽체), 및 록 기구와 모터(14)의 부분을 도 2의 좌측 방향으로 덮고 또한 외주에서 하우징 반쪽체(14)와 조합되는 커버(41)(제2 하우징 반쪽체)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반쪽체(40)는 수지제이고, 커버(41)는 금속제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우징 반쪽체(40) 및 커버(41)의 형상에 대해서도,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래치 기구(11)의 부분을 설명한다. 래치 기구(11)는 래치(20) 및 멈춤쇠(pawl)(21)를 구비하고 있다. 래치(20)는 래치 샤프트(2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래치(20)는 결합 홈(20a)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1의 회전 위치에 있어서, 결합 홈(20a)은 차체(도시 생략)에 고정된 스트라이커(23)(스트라이커)를 그 내부에서 결합하여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멈춤쇠(21)는 멈춤쇠 샤프트(2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멈춤쇠(21)는 접촉부(21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1의 회전 위치에 있어서, 접촉부(21a)는 래치(20)와 접촉하여 래치(20)가 도 1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규제한다.
여기에서, 래치 기구(11)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1은 도어가 차체에 대하여 폐쇄 상태로 유지된 래치 상태이다. 래치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치(20)가 스트라이커(23)와 맞물려 있다. 래치 상태로부터 멈춤쇠(21)가 멈춤쇠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하여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 경우에는 접촉부(21a)가 래치(20)로부터 분리된다. 그 결과, 래치(20)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서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 홈(20a)이 베이스(16)에 형성된 리세스(16a)와 대략 일치하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트라이커(23)가 결합 홈(20a)으로부터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이탈할 수 있어, 도어가 차체에 대하여 오프닝 작동 가능한 언래치(unlatched) 상태로 된다. 즉, 래치(20)가 스트라이커(23)로부터 이탈한 상태로 된다.
다음에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하우징(15) 내부를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3 내지 도 5는 도어 록 장치(10)를 도 1의 좌측에서 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커버(41)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다시 도 4에 나타내는 후술하는 덮개부(45)(제2 케이스 반쪽체)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하우징(15)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반쪽체(40)와 커버(41)는 4개의 나사(17)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으나, 고정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특히 도 6에 자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반쪽체(40)에는 그 상부 측의 에지(40a)를 따라, 도 6의 좌측 방향에 오목한 홈부(40b)(제1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41)에는 그 상부 측 에지(41a)를 따라 도 6의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41b)(제1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41b)는 커버(41)가 하우징 반쪽체(40)와 조합된 경우에 홈부(40b)와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에지(40a)와 에지(41a)가 표면 접촉에 의해 조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하우징(15)의 조합부(15a)로부터 물이 침입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홈부(40b)와 플랜지부(41b)의 끼움결합 구조는 하우징(15)의 상부 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록 장치(10)의 상방으로부터 물이 침입한 경우에도 하우징(15) 내에 물이 침입되기 어렵게 되어 있지만, 하우징 반쪽체(40) 및 커버(41)의 전체 둘레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전체 둘레가 아니고, 별도로 상부 측 이외의 주위 에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5) 내에는 하우징(15)과 일체로 케이스(42)(케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42)는 하우징(15) 내에서 상부 측과 도면 우측에 공간(43)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측이란 도어 록 장치(10)를 차량의 도어에 탑재한 경우의 차량 상방향 측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42)와 하우징(15)의 하부는 일치하고 있지만, 케이스(42)가 하우징(15)의 하부 측에 공간을 구비하도록 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42)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케이스(42)는 케이스 반쪽체(44)(제1 케이스 반쪽체) 및 덮개부(45)(제2 케이스 반쪽체)를 구비하고 있고, 덮개부(45)와 케이스 반쪽체(44)가 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케이스 반쪽체(44)는 하우징 반쪽체(40)의 기준벽(40c)(제1 벽)을 공유하고 있어, 기준벽(40c)에서 도 5의 지면 앞 방향으로 돌출되는 벽(44a)(제2 벽)을 구비하고 있다. 벽(44a)은 리세스(44b)를 갖추면서 둘레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반쪽체(44)는 그 외주를 형성하는 벽(44a)의 에지(44c)를 따라, 도 7의 좌측 방향에 오목한 홈부(44d)(제2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덮개부(45)에는 에지(45a)를 따라 도 7의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45b)(제2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45b)는 덮개부(45)가 케이스 반쪽체(44)와 조합된 경우에 홈부(44d)와 끼움결합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에지(44c)와 에지(45a)가 표면 접촉에 의해 조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케이스(42)의 조합부(42a)로부터 물이 침입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홈부(44d)와 볼록부(45b)의 끼움결합 구조는 케이스(42)의 상부 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 록 장치(10)의 상방으로부터 물이 침입한 경우에도 케이스(42) 내에 물이 침입하기 어렵게 되어 있지만, 케이스 반쪽체(44)와 덮개부(45)의 전체 둘레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전체 둘레가 아니고, 별도로 상부 측 이외의 주위 에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 도 5 및 도 7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반쪽체(44)와 덮개부(45)의 조합은 케이스 반쪽체(44)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부(44e)에 덮개부(45)에 형성된 갈퀴부(45c)가 걸리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음에 하우징(15) 내의 록 기구 및 모터(14)의 부분의 설명을 한다.
또, 이들 설명은 도 8을 적절하게 참조하기 바란다. 도 8은 이들 부재만을 나타낸 도면이고, 특히 도 3은 도면의 복잡화를 피하기 위해 일부의 부호를 생략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록 기구는 오픈 유닛(12) 및 록 유닛(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픈 유닛(12)은 도어의 차량 외측에 설치되는 공지된 구성의 아웃사이드 핸들(도시 생략) 및 차량 실내 측에 설치되는 공지된 구성의 인사이드 핸들로부터의 오프닝 조작력을 래치 기구(11)에 전달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치 기구(11)를 스트라이커(23)와의 결합 상태로부터 이탈 상태로 작동시키는 것이다. 록 유닛(13)은 도어의 차량 실내 측에 설치되는 공지된 구성의 로킹 노브(도시하지 않음)나 모터(14) 등으로부터의 로킹 및 언로킹 조작력을 오픈 유닛(12)에 전달하는 것이다. 그리고, 오픈 유닛(12)을 언로킹 상태(도어 언로킹 상태) 및 로킹 상태(도어 로킹 상태)로 작동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 언로킹 상태란 오픈 유닛(12)이 전술한 오프닝 조작력을 래치 기구(11)에 전달할 수 있는 상태이며, 로킹 상태란 오픈 유닛(12)이 오프닝 조작력을 래치 기구(11)에 전달할 수 없는 상태이다.
오픈 유닛(12)은 아웃사이드 오픈 레버(31), 인사이드 오픈 레버(32), 오픈 링크(33), 및 리프트 레버(34)로 구성되어 있다.
아웃사이드 오픈 레버(31)는 하우징(15) 내에서 핀(31a)을 중심으로 하여 커버(4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일 단부 측에는 연결리세스(31b)가, 타 단부 측에는 연결 샤프트(31c)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리세스(31b)에는 아웃사이드 핸들과 연결되는 케이블(35)(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
케이블(35)은 일 단부가 아웃사이드 핸들 측과 연결되고, 타 단부가 연결 리세스(31b)와 연결되는 내부 케이블(35a)(내부 케이블) 및 내부 케이블(35a)을 피복하는 외부 케이싱(35b)(외부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케이싱(35b)의 단부(35c)(단부)는 커버(41)의 고정 플랜지부(41c)에 고정되어 있다. 또,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반쪽체(40)는 일 단부(35c)를 상부 측으로부터 덮는 우산부(umbrella portion)(40d)(보호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일 단부(35c)가 물에 잘 접촉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내부 케이블(35a)과 외부 케이싱(35b)의 간극에 물이 침입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아웃사이드 핸들이 조작된 경우에는 그 조작에 따라, 아웃사이드 오픈 레버(31)는 핀(31a)을 중심으로 하여 도 8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한다. 이 경우, 연결 샤프트(31c)는 도 8의 대략 상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연결 샤프트(31c)에는 스프링(36)이 물려있다.
인사이드 오픈 레버(32)는 제1 인사이드 오픈 레버(32a), 제2 인사이드 오픈 레버(32b), 및 중간 레버(32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은 핀(32d)을 중심으로 하여 하우징(15) 내에서 커버(4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인사이드 오픈 레버(32a)는 일 단부 측에 연결 구멍(32e)이, 타 단부 측에는 부정형 구멍(irregular shape hole)(32f)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인사이드 오픈레버(32a)에는 연결 구멍(32e)에 대하여 도 8의 좌측에 취소 플랜지(32m)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구멍(32e)에는 인사이드 핸들과 연결되는 케이블(37)(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
케이블(37)은 일 단부가 인사이드 핸들 측에 연결되고 타 단부가 연결 구멍(32e)에 연결되는 내부 케이블(37a)(내부 케이블) 및 내부 케이블(37a)을 피복하는 외부 케이싱(37b)(외부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케이싱(37b)의 단부(37c)(단부)는 커버(41)의 고정 플랜지부(41d)에 고정되어 있다. 또,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반쪽체(40)는 일 단부(37c)를 상부 측으로부터 덮는 우산부(40e)(보호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일 단부(37c)가 물에 잘 접촉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내부 케이블(37a)과 외부 케이싱(37b)의 간극에 물이 침입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제2 인사이드 레버(32b)에는 장공(32g) 및 결합 단부(32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 레버(32c)에는 장공(32i), 결합 돌기(32j), 원호형 구멍(32k)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돌기(32j)는 제2 인사이드 레버(32b)의 장공(32g) 및 제1 인사이드 레버(32a)의 부정형 구멍(32f) 내를 삽입 통과하고 있다. 또, 원호형 구멍(32k)에는 커버(4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어린이 보호용 레버(38)의 연결 샤프트(38a)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그리고, 어린이 보호용 레버(38)가 조작부(38b)를 조작함으로써 핀(38c)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 경우에는 중간 레버(32o)가 도 8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시에는 결합 돌기(32j)가 장공(32g) 및 부정형 구멍(32f) 내를, 핀(32d)이 장공(32i) 내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중간 레버(32c)가 도 8에 나타낸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어린이 보호 미설정의 경우)에는 인사이드 핸들의 조작에 의해 인사이드 오픈 레버(32) 전체가 핀(32d)을 중심으로 하여, 도 8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한다. 한편, 중간 레버(32c)가 도 8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결합 돌기(32j)가 장공(32g)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어린이 보호 설정의 경우)에는 인사이드 핸들의 조작에 의해 제1 인사이드 오픈 레버(32a)가 회전 작동하더라도 결합 돌기(32j)가 부정형 구멍(32f) 내에서 단지 이동만 한다. 즉, 중간 레버(32c) 및 제2 인사이드 오픈 레버(32b)는 회전 작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오픈 링크(33)는 그 양단 측에 연결 장공(33a, 33b) 및 단면이 대략 L자형인 플랜지(33c)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측 연결 장공(33a) 내에는 아웃사이드 오픈 레버(31)의 연결 샤프트(31c)가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록 유닛(13)에 대하여 설명한다. 록 기구의 록 유닛(13)은 휠 기어(51) 및 액티브 레버(52)로 구성되어 있다.
휠 기어(51)는 원형이며, 회전 샤프트(51a)에서 덮개부(4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휠 기어(51)는 하우징(15) 내의 케이스(42) 내에 수용되어 있다. 휠 기어(51)는 그 외주에 기어 치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휠 기어(51)에는 회전 샤프트(51a)와는 편심된 위치에 2개의 볼록부(51b)가 도 8의 지면의 이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볼록부(51b)는 휠 기어(51)가 회전 작동한 경우에 회전 샤프트(51a)의 주위를 공전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액티브 레버(52)에 대하여 설명한다. 액티브 레버(52)는 수지 레버(52a) 및 금속 레버(52b)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이 회전 중심(52c)(나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덮개부(45)에 지지되어 있다. 도 5에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액티브 레버(52)는 하우징(15) 내에서, 리세스(44b)를 통하여, 일부는 케이스(42) 내에, 다른 부분은 케이스(421) 밖에 위치하고 있다.
수지 레버(52a)는 오목부(52g), 가압부(52d)(도 5 참조), 부정형 구멍(52e)(도 5 참조), 연결 구멍(52f)(도 5 참조), 및 결합부(52m)(도 5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52g) 내에는 휠 기어(51)가 회전 작동한 경우에 볼록부(51b)가 맞물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수지 레버(52a)의 연결 구멍(52f)에는 도어의 실내 측에 설치되는 로킹 노브(도시 생략)와 연결되는 케이블(53)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부정형 구멍(52e)에는 일 단부가 이 부정형 구멍(52e)에 결합되고, 타 단부가 기준벽(44a)에 물린 위치 결정 스프링(54)이 설치되어 있다. 또, 결합부(52m)는 지면 앞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부(45)를 조합한 경우에는 덮개부(45)에 형성된 장공(45h)을 통하여 케이스(42) 내부로부터 케이스(42)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금속 레버(52b)는 플랜지(52i)(도 5 참조), 플랜지(52j)(도 5 참조), 및 보스(52k)(도 5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레버(52a)의 가압부(52d)는 금속 레버(52b)의 플랜지(52i)와 접촉하고 있어, 수지 레버(52a)에 회전 중심(52c)을 중심으로 하여 도 5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하도록 토크가 가해진 경우에는, 가압부(52d)가 플랜지(52i)를 가압하여 액티브레버(52)전체로서 회전 작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수지 레버(52a)와 금속 레버(52b)의 사이에는 일 단부가 수지 레버(52a)에 물리고, 회전 중심(52c)을 감아서 타 단부가 금속 레버(52b)의 플랜지(52j)에 물린 스프링(55)(도 5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지 레버(52a)에 회전 중심(52c)을 중심으로 하여 도 5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하도록 토크가 가해진 경우에는, 스프링(55)의 가압력에 의해 액티브 레버(52) 전체로서 회전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금속 레버(52b)의 보스(52k)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오픈 링크(33)의 연결 장공(33b) 내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모터(1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14)는 케이스(42) 내의 기준벽(40c)에 고정되어 있다. 또, 모터(14)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케이스(42) 내의 기준벽(40c)에 고정되는 커넥터(56)에 버스 바(bus bar)(57)(급전 경로)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 3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56)는 하우징(15) 외측으로부터 접속이 가능하다. 이상의 구조에 따라 모터(14)는 도어 록 장치(10) 외부의 CPU 등(도시 생략)으로부터 급전됨으로써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모터(14)에는 출력 샤프트에 웜기어(14a)가 설치되어 있다. 웜기어(14a)는 전술한 휠 기어(51)와 맞물려 있고,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휠 기어(51)가 정역 양 방향으로 회전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모터(14)는 직접적으로는 휠 기어(51)를 작동시키는 것이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휠 기어(51)는 액티브 레버(52)를 작동시켜서 도어 록 장치(10)의 로킹 상태 및 언로킹 상태를 전환한다. 즉, 모터(14)는 도어 록 장치(10)가 로킹 및 언로킹 조작력을 출력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도 5에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42) 내의 기준벽(40c)에는 위치 스위치(58)(검출 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위치 스위치(58)는 액티브 레버(52)의 수지 레버(52a)와 결합 가능한 스위치편(switch piece)(58a)을 구비하고 있고, 액티브 레버(52)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액티브 레버(52)의 회전 위치는 후술하겠으며, 도어 록 장치(10)의 언로킹 상태 및 로킹 상태를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위치 스위치(58)는 도어 록 장치(10)의 언로킹 상태 및 로킹 상태를 검출하는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또, 위치 스위치(58)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스 바(59)(신호 경로)를 통하여 커넥터(56)에 접속되어 있다. 즉, 위치 스위치(58)가 검출한 도어 록 장치(10)의 상태는 커넥터(56)를 통하여 도어 록 장치(10) 외부의 CPU 등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14), 커넥터(56), 위치 스위치(58), 버스 바(57, (59)의 전장 부품(60)은 하우징(15) 내의 케이스(42) 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42)는 하우징(15)의 최소한 상부 측에 공간(43)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14) 등의 전장 부품이 도어 록 장치(10)의 상부 측에서 보아, 하우징(15) 및 케이스(42)라는 복수의 부재에 덮이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 록 장치(10)는 특히, 케이스(42) 내의 방수성이 양호하게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도 8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도어 록 장치(1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6에서는 오픈 유닛(12), 록 유닛(13), 및 모터(14)만을 나타내고 있다.
(언로킹 상태 오프닝 조작)
도 8은 액티브 레버(52) 전체 및 오픈 링크(33)가 언로킹 위치(UL)에 위치하는 언로킹 상태로 되어 있다. 언로킹 상태에 있어서, 아웃사이드 핸들의 조작에 따라 아웃사이드 오픈 레버(31)가 핀(31a)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한 경우에는 오픈 링크(33)가 도면의 대략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오픈 링크(33)의 플랜지(33c)가 리프트 레버(34)와 결합하여, 리프트 레버(34)를 도면의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리프트 레버(34f)는 멈춤쇠(21)의 멈춤쇠 샤프트(24)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리프트 레버(34)가 도면의 상방으로 이동하면, 멈춤쇠(21)가 도 1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치 기구(11)가 래치 상태로부터 언래치 상태로 작동한다. 이 작동 후의 상태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내는 언로킹 상태에 있어서, 인사이드 핸들의 조작에 의해 인사이드 오픈 레버(32) 전체가 핀(32d)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한 경우에는, 제2 인사이드 오픈 레버(32b)의 결합 단부(32h)가 플랜지(33c)와 결합한다. 그 결과, 오픈 링크(33)가 도면의 대략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도, 아웃사이드 핸들의 조작 시와 마찬가지로, 오픈 링크(33)의 플랜지(33c)가 리프트 레버(34)와 결합하여, 리프트 레버(34)를 도면의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래치 기구(11)가 래치 상태로부터 언래치 상태로 작동한다. 이 작동 후의 상태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로킹 및 언로킹 조작)
도 8에 나타내는 언로킹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모터(14)가 구동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8의 상태로부터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휠 기어(51)가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하면, 볼록부(51b)가 수지 레버(52a)의 오목부(52g)와 결합한다. 그리고, 수지 레버(52a)는 회전 중심(52c)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한다. 수지 레버(52a)가 회전 작동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부(52d)가 플랜지(52r)를 가압하여 액티브 레버(52) 전체가 회전 작동한다. 그 결과, 금속 레버(52b)의 보스(52k)와 오픈 링크(33)의 연결 장공(33b)의 연결 구조에 의해 오픈 링크(33)가 이동한다. 즉, 오픈 링크(33)가 언로킹 위치로부터, 아웃사이드 오픈 레버(31)의 연결 샤프트(31c)를 중심으로 하여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작동한다. 이 작동 후의 상태가 액티브 레버(52) 전체 및 오픈 링크(33)가 로킹 위치(L)에 위치하는 도어 록 장치(10)의 로킹 상태이다. 도 11에 그 상태를 나타내었다. 또, 이 로킹 조작은 예를 들면, 로킹 노브의 조작에 의해서도 케이블(53)을 통하여 수지 레버(52a)가 회전 중심(52c)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작동함으로써 행하여진다.
도 11에 나타내는 로킹 상태에 있어서,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휠 기어(51)가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하면, 볼록부(51b)가 수지 레버(52a)의 오목부(52g)와 결합한다. 그리고, 수지 레버(52a)는 회전 중심(52c)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한다. 그 결과,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55)의 가압력에 의해 액티브 레버(52) 전체가 회전 작동한다. 그리고, 금속 레버(52b)의 보스(52k)와 오픈 링크(33)의 연결 장공(33b)의 연결 구조에 의해 오픈 링크(33)가 이동하여 도 8의 언로킹 상태로 된다. 또, 이 언로킹 조작은 로킹 노브의 조작에 의해서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상의 작동에서는 위치 결정 스프링(54)의 가압력에 의해 액티브 레버(52) 및 오픈 링크(33)가 언로킹 위치 및 로킹 위치의 2개의 위치로 선택적으로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로킹 상태 아웃사이드 오프닝 조작)
도 11에 나타내는 로킹 상태에 있어서, 아웃사이드 핸들이 조작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아웃사이드 오픈 레버(31)가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오픈 링크(33)가 도면의 대략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이 오픈 링크(33)의 이동에 의한 플랜지(33c)의 이동 궤적은 리프트 레버(34)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즉, 플랜지(33c)는 리프트 레버(34)에 대하여 어긋난다. 따라서, 아웃사이드 오픈 레버(31)가 회전 작동하더라도, 래치 기구(11)는 래치 상태로부터 언래치 상태로 작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작동 후의 상태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또, 도 12의 상태로부터 아웃사이드 핸들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면, 스프링(36)의 가압력에 의해 아웃사이드 오픈 레버(31)가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하여 도 11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로킹 상태 인사이드 오프닝 조작)
도 11에 나타내는 로킹 상태에 있어서, 인사이드 핸들이 조작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인사이드 오픈 레버(32) 전체가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한 경우에는, 먼저 제1 인사이드 오픈 레버(32a)의 취소 플랜지(32m)가 액티브 레버(52)의 수지 레버(52a)의 결합부(52m)에 대하여 도면의 대략 좌측 하단 방향으로 결합되어 가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52m)는 덮개부(45)의 장공(45d)을 통하여 케이스(42)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취소 플랜지(32m)가 결합부(52m)와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작동 후의 상태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의 상태로부터, 다시 인사이드 오픈 레버(32) 전체가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한 경우에는 수지 레버(52a)도 연동한다. 그 결과, 액티브 레버(52) 전체가 회전 중심(52c)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한다. 그리고, 액티브 레버(52) 전체 및 오픈 링크(313)가 언로킹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작동 후의 상태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의 상태에서는, 제2 인사이드 오픈 레버(32b)의 결합 단부(32h)가 플랜지(33c)의 도면의 대략 상방으로 결합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다시 인사이드 오픈 레버(32) 전체가 핀(32d)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한 경우에는, 전술한 오프닝 조작과 같이 오픈 링크(33)가 도면의 대략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플랜지(33c)가 리프트 레버(34)에 대하여 도면의 대략 상방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래치 기구(11)가 래치 상태로부터 언래치 상태로 작동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로킹 상태이더라도, 인사이드 핸들을 1회 조작하는 것만으로 언로킹 상태로 전환하여 작동 및 오픈 작동이 성립하는 단일 동작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로킹 상태 오프닝 조작 후 언로킹 조작)
도 11에 나타내는 로킹 상태로부터, 아웃사이드 핸들 조작 및 모터(14) 등에 의한 언로킹 상태로의 전환 조작이 중첩된 경우의 작동을 설명한다. 이러한 조작은 예를 들면, 이른바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smart entry system)이라고 하는 도어 록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는 경우 등에도 이루어진다고 생각된다. 즉,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이란, 차량의 사용자(키 소유자)가 차량의 근방에 있는 것이 검지되어 있는 조건 하에서,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핸들에 손을 근접시킨 것을 정전 용량 센서 등에 의하여 검지함으로써 차량의 CPU가 모터(14)를 구동시킴으로써 로킹 상태로부터 언로킹 상태로 전환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에로서는 모터(14)에 의해 언로킹 상태로 전환하기 직전에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핸들을 조작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아웃핸들이 조작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2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로부터, 다시 모터(14)가 구동하여 휠 기어(51)가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액티브 레버(52) 전체 및 오픈 링크(33)가 연동하여 언로킹 위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오픈 링크(33)의 플랜지(33c)는 리프트 레버(34)에 대하여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결합한다. 이 작동 후의 상태를 도 15에 나타내었다.
이 경우, 링크(33)는 다시 언로킹 위치인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지만, 플랜지(33c)가 리프트 레버(34)와 결합함으로써 그 이동이 규제된다. 여기에서, 전술 바와 같이, 액티브 레버(52)는 수지 레버(52a) 및 금속 레버(52b)로 구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스프링(55)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지레버(52a)는 스프링(5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금속 레버(52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즉, 휠 기어(51)의 회전 작동에 의해 수지 레버(52a)는 회전중심(52c)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계속하지만, 오픈 링크(33) 및 여기에 연결되는 금속 레버(52b)는 리프트 레버(34)에 의해서 작동이 규제된다. 이 작동 후의 상태를 도 16에 나타내었다.
도 16의 상태로부터, 아웃사이드 핸들의 조작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면, 오픈 링크(33)가 도 16의 대략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플랜지(33c)와 리프트 레버(34)의 결합이 분리되면, 스프링(55)의 가압력에 의해 금속 레버(52b)와 오픈 링크(33)가 오프닝 위치로 이동한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내는 언로킹 상태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 록 장치(10)는 로킹 상태에 있어서, 아웃사이드 핸들에 의한 오프닝 조작과 언로킹 상태로의 전환 조작이 중첩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아웃사이드 핸들의 조작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면, 언로킹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다시 언로킹 상태로의 전환 조작을 행하지 않더라도, 다음에 아웃사이드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언래치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조작성이 양호하도록 되어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인사이드 오픈 레버(32)의 제1 인사이드 오픈 레버(32a)의 형상이 상이하다. 즉, 제1 인사이드 오픈 레버(32a)의 연결 구멍(32e)으로부터 취소 플랜지(32m)까지의 거리가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짧게 되어 있다.
(로킹 상태 인사이드 오프닝 조작)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대응하는 로킹 상태로부터 인사이드 핸들이 조작된 경우에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인사이드 오픈 레버(32) 전체가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한 경우에는, 먼저 제1 인사이드 오픈 레버(32a)의 취소 플랜지(32m)가 액티브 레버(52)의 수지 레버(52a)의 결합부(52m)에 대하여, 도면의 대략 좌측 하단 방향으로 결합하여 가압한다. 이 작동 후의 상태를 도 17에 나타내었다.
추가의 인사이드 오픈 레버(32) 전체의 작동에 따라, 제2 인사이드 오픈 레버(32b)가 오픈 링크(33)의 플랜지(33c)에 대하여 도면의 대략 상방으로 결합하여 가압함으로써 오픈 링크(33)가 도면의 대략 상방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구멍(32e)으로부터 취소 플랜지(32m)까지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오픈 링크(33)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대한, 오픈 링크(33)의 언로킹 위치 방향으로의 이동의 타이밍이 제1 실시예보다도 느려지게 된다. 그 결과, 오픈 링크(33)의 플랜지(33c)는 리프트 레버(34)에 대하여, 도면의 대략 우측 방향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 결합에 의해 오픈 링크(33)는 도면의 대략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러나, 제1 실시예의 로킹 상태 오프닝 조작 후 언로킹 조작의 경우와 같이, 액티브 레버(52)의 수지 레버(52a) 부분은 스프링(5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회전 중심(52c)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작동 후의 상태를 도 18에 나타내었다.
도 18로부터 인사이드 핸들의 조작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면, 오픈 링크(33)가 도면의 대략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플랜지(33c)와 리프트 레버(34)의 결합이 분리되면, 스프링(55)의 가압력에 의해 금속 레버(52b)와 오픈 링크(33)가 언로킹 위치로 이동한다. 그 결과, 도 8에 대응하는 언로킹 상태로 된다. 그리고, 다시 인사이드 핸들을 조작하면, 보통의 오프닝 조작을 행하는 것이 되고, 래치 기구(11)를 래치 상태로부터 언래치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로킹 상태이더라도 인사이드 핸들을 2회 조작함으로써, 언로킹 상태로의 전환 작동 및 오프닝 작동이 성립하는 2단 동작 기능을 구비하도록 있다. 즉, 본 발명의 도어 록 장치(10)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같이, 인사이드 오픈 레버(32)의 형상을 약간 변경하는 것만으로 단일 동작 기능을 2단 동작 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케이스 반쪽체(44) 및 하우징 반쪽체(40)가 기준벽(40c)을 공유하는 구조로 되어있지만, 각각이 벽을 구비하는 구성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5)과 케이스(42)가 기준벽(40c)을 공유하는 구성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별도의 벽 부재를 설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수가 적고 간소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도 19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하우징(15) 및 케이스(42)의 구조가 상이하다.
하우징(15)은 수지제의 하우징 반쪽체(61) 및 수지제의 커버(62)로 이루어진다. 하우징 반쪽체(61)에는 그 둘레 에지 단부면(61a)을 따라 플랜지부(61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62)에는 그 둘레 에지 단부면(62a)을 따라 홈부(62b)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62)가 하우징 반쪽체(61)에 조합되면 플랜지부(61b)가 홈부(62b)와 결합하고, 돌출되어 마주치는 양쪽 둘레 에지 단부면(61a, 62a) 사이에 하우징(15) 외부로 연통되는 배수로(63)를 형성한다.
케이스(42)는 수지제의 케이스 반쪽체(64) 및 수지제의 덮개부(65)로 이루어진다. 케이스 반쪽체(64)는 하우징 반쪽체(61)의 기준벽(61c)을 공유하여, 기준벽(61c)으로부터 돌출되는 벽(64a)을 구비한다. 케이스 반쪽체(64)의 벽(64a)에는 그 둘레 에지 단부면(64b)을 따라 홈부(64c)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덮개부(65)에는 그 둘레 에지 단부면(65a)을 따라 볼록부(65b)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65)가 케이스 반쪽체(64)에 조합되면, 볼록부(65b)가 홈부(64c)에 결합하고, 돌출되어 마주치는 양쪽 둘레 에지 단부면(64b, 65a) 사이에 하우징(15) 외부로 연통되는 배수로(66)를 형성한다.
하우징 반쪽체(61)와 커버(62)의 조합은 하우징 반쪽체(61)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부(61d)에, 커버(62)에 형성된 갈퀴부(62c)가 걸림으로써 이루어지고, 케이스 반쪽체(64)와 덮개부(65)의 조합은 케이스 반쪽체(64)의 둘레 에지 단부면(64b)과 커버(63)의 둘레 에지 단부면(62a) 사이에서 덮개부(65)를 끼워넣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반쪽체(61)와 커버(62)의 접촉면(둘레 에지 단부면(61a, 62a) 사이)으로부터 하우징(15) 내부로 물이 침입하기 위해서는 배수로(63)에 의해 하우징(15) 외부로 배수되지 않고 플랜지부(61b)를 타고 넘어야만 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하우징(15) 내에 물이 침입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반대로 하우징(15) 내에 물이 침입하였다고 해도 그 물이 케이스 반쪽체(64)와 덮개부(65)의 접촉면(양쪽 둘레 에지 단부면(64b, 65a) 사이)으로부터 케이스 내에 침입하기 위해서는 배수로(66)에 의해 하우징(15) 외부로 배수되지 않고 볼록부(65b)를 타고 넘어야만 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5)으로부터 케이스(42) 내로 물이 침입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하우징(15) 내로의 물의 침입 자체가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있어서, 케이스(42) 내로의 물의 침입도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추에이터가 도어 록 장치의 하우징 내에서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거나, 제1 벽, 제2 벽 및 덮개부에 의해 덮여 있다.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가 보다 물에 잘 접촉되지 않게 되어, 액추에이터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하우징 반쪽체와 제2 하우징 반쪽체가 조합되는 경우에, 조합부는 제1 오목부와 제1 볼록부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조합부가 표면끼리의 접촉에 의한 구조와 비교하여, 하우징 내에 물이 침입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케이스 반쪽체와 제2 케이스 반쪽체가 조합되는 경우에, 조합부는 제2 오목부와 제2 볼록부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조합부가 표면끼리의 접촉에 의한 구조와 비교하여, 케이스 내에 물이 침입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케이싱의 단부가 보호부에 의해서 덮여 있다. 즉, 보호부에 의해서 단부로의 물의 침입이 억제된다. 그 결과, 내부 케이블과 외부 케이싱의 간극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과 케이스가 제1 벽을 공유하여, 즉, 이 제1 벽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별도의 벽 부재를 설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수가 적고, 간소한 구조가 된다.
Claims (9)
- 도어 록 장치(door lock device)에 있어서,스트라이커(striker)와 결합 및 이탈 가능한 래치 기구(latch mechanism),오프닝 조작력(opening operation force)을 상기 래치 기구에 전달하여, 상기 래치 기구를 상기 스트라이커와의 결합 상태로부터 이탈 상태로 작동 가능한 오픈 유닛(open unit),로킹 및 언로킹(locking and unlocking) 조작력을 상기 오픈 유닛에 전달하여, 상기 오프닝 조작력이 상기 래치 기구에 전달될 수 있는 언로킹 상태 및 상기 오프닝 조작력이 상기 래치 기구에 전달될 수 없는 로킹 상태로 상기 오픈 유닛을 작동할 수 있는 록 유닛(lock unit),상기 로킹 및 언로킹 조작력을 출력하는 액추에이터,상기 래치 기구, 상기 오픈 유닛, 상기 록 유닛, 및 상기 액추에이터를 일체로 수용하는 하우징, 및상기 하우징 내에 최소한 상기 액추에이터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도어 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 반쪽체(half) 및 제2 하우징 반쪽체를 구비하고,상기 제1 하우징 반쪽체 및 상기 제2 하우징 반쪽체 중 어느 한쪽은 제1 오목부를 구비하며,상기 제1 하우징 반쪽체 및 상기 제2 하우징 반쪽체 중 어느 한쪽은 상기 제1 하우징 반쪽체와 상기 제2 하우징 반쪽체가 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오목부와 결합하는 제1 볼록부를 구비하는도어 록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는 제1 케이스 반쪽체 및 제2 케이스 반쪽체를 구비하고,상기 제1 케이스 반쪽체 및 상기 제2 케이스 반쪽체 중 어느 한쪽은 제2 오목부를 구비하며,상기 제1 케이스 반쪽체 및 상기 제2 케이스 반쪽체 중 어느 한쪽은 상기 제1 케이스 반쪽체와 상기 제2 케이스 반쪽체가 조합되는 경우 상기 제2 오목부와 결합하는 제2 볼록부를 구비하는도어 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오프닝 조작력은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오픈 유닛에 입력되고,상기 케이블은 상기 오픈 유닛에 연결되는 내부 케이블, 및 상기 내부 케이블을 피복하는 동시에 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외부 케이싱을 구비하고,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부를 덮는 보호부를 구비하는도어 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 및 상기 케이스는 공유하는 제1 벽을 구비하는 도어 록 장치.
-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스트라이커와 결합 및 이탈 가능한 래치 기구,오프닝 조작력을 상기 래치 기구에 전달하여, 상기 래치 기구를 상기 스트라이커와의 결합 상태로부터 이탈 상태로 작동 가능한 오픈 유닛,로킹 및 언로킹 조작력을 상기 오픈 유닛에 전달하여, 상기 오프닝 조작력이 상기 래치 기구에 전달될 수 있는 언로킹 상태 및 상기 오프닝 조작력이 상기 래치 기구에 전달될 수 없는 로킹 상태로 상기 오픈 유닛을 작동할 수 있는 록 유닛,상기 로킹 및 언로킹 조작력을 출력하는 액추에이터, 및상기 래치 기구, 상기 오픈 유닛, 상기 록 유닛, 및 상기 액추에이터를 일체로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 반쪽체 및 제2 하우징 반쪽체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1 하우징 반쪽체의 제1 벽으로부터 상기 액추에이터를 둘러싸도록 돌출되는 제2 벽, 및 상기 제2 벽에 조합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를 덮는 덮개부를 구비하는도어 록 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1 벽에는 상기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급전 경로(electric supply route)가 설치되는 도어 록 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1 벽에 설치되어 상기 급전 경로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덮개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도어 록 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1 벽에 설치되어 상기 언로킹 상태 및 상기 로킹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부재, 및 상기 제1 벽에 설치되어 상기 검출 부재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신호 경로(signal route)를 구비하는 도어 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022298 | 2003-01-30 | ||
JPJP-P-2003-00022298 | 2003-01-30 | ||
JP2004020004A JP2004251106A (ja) | 2003-01-30 | 2004-01-28 | ドアロック装置 |
JPJP-P-2004-00020004 | 2004-01-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0062A true KR20040070062A (ko) | 2004-08-06 |
Family
ID=32658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05792A KR20040070062A (ko) | 2003-01-30 | 2004-01-29 | 도어 록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040262927A1 (ko) |
EP (1) | EP1445404A2 (ko) |
JP (1) | JP2004251106A (ko) |
KR (1) | KR20040070062A (ko) |
CN (1) | CN1519453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6896B1 (ko) * | 2006-06-07 | 2009-03-05 |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도어 개폐장치 |
US7931312B2 (en) | 2004-11-26 | 2011-04-26 |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144142A1 (en) * | 1999-11-18 | 2004-07-29 |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 Modular vehicle door lock and latch system and method |
US6530251B1 (en) * | 1999-11-18 | 2003-03-11 |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 Modular vehicle door lock and latch system and method |
WO2006001263A1 (ja) * | 2004-06-23 | 2006-01-05 |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 車両用ハンドル |
JP4321404B2 (ja) * | 2004-08-19 | 2009-08-26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WO2006054761A1 (ja) * | 2004-11-16 | 2006-05-26 |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JP2006233456A (ja) * | 2005-02-22 | 2006-09-07 | Aisin Seiki Co Ltd | ドアロック装置 |
JP2006233506A (ja) * | 2005-02-23 | 2006-09-07 | Aisin Seiki Co Ltd | ドアロック装置 |
EP1703047B1 (en) * | 2005-02-23 | 2009-07-22 |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 Door lock apparatus |
JP4856504B2 (ja) * | 2006-09-11 | 2012-01-18 |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
JP4503051B2 (ja) * | 2007-07-23 | 2010-07-14 |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 ドアロック装置 |
JP5092175B2 (ja) * | 2007-08-13 | 2012-12-05 |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 ドアロック装置 |
JP4775345B2 (ja) * | 2007-08-24 | 2011-09-21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JP2009185539A (ja) * | 2008-02-07 | 2009-08-20 | Yuhshin Co Ltd | カバー組付構造 |
JP5103224B2 (ja) * | 2008-02-28 | 2012-12-19 | 株式会社ユーシン | ドアロック装置 |
DE202008004332U1 (de) * | 2008-03-29 | 2009-08-06 | Kiekert Ag | Kraftfahrzeug-Türschloss |
WO2010122887A1 (ja) * | 2009-04-23 | 2010-10-28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JP5310474B2 (ja) * | 2009-10-16 | 2013-10-09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ダブルロック式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JP5421083B2 (ja) * | 2009-11-27 | 2014-02-19 | 株式会社ユーシン | ドアロック装置 |
JP5170132B2 (ja) * | 2010-03-15 | 2013-03-27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チャイルドロック機構 |
JP5365574B2 (ja) * | 2010-04-22 | 2013-12-11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JP5293674B2 (ja) * | 2010-04-22 | 2013-09-18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KR20120000913A (ko) * | 2010-06-28 | 2012-01-0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 컨트롤러 구조 |
US8456180B2 (en) * | 2010-08-10 | 2013-06-04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Capacitive switch reference method |
JP5721511B2 (ja) * | 2011-04-14 | 2015-05-20 | 株式会社ユーシン | ドアロック装置 |
FR2983227B1 (fr) * | 2011-11-30 | 2014-01-03 | Valeo Securite Habitacle | Serrure pour vehicule automobile |
JP5875366B2 (ja) * | 2011-12-28 | 2016-03-02 | アイシン機工株式会社 | ドアロック装置のバスバー構造 |
EP2806091B1 (en) * | 2012-04-17 | 2017-10-04 | Magna Closures SpA | An electrical vehicle latch |
US9284758B2 (en) * | 2012-06-28 | 2016-03-15 | Mitsui Kinzoku Act Corporation | Operat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latch |
JP6080518B2 (ja) * | 2012-11-27 | 2017-02-15 | 株式会社ユーシン | ドアロック装置 |
DE102013106672A1 (de) * | 2013-03-01 | 2014-09-04 | Kiekert Aktiengesellschaft | Kraftfahrzeugtürverschluss |
JP6303768B2 (ja) * | 2014-04-24 | 2018-04-04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JP6308031B2 (ja) * | 2014-06-03 | 2018-04-11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JP6364650B2 (ja) * | 2014-08-05 | 2018-08-01 |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 ドアラッチ用アクチュエータ |
DE102016109556A1 (de) * | 2015-05-26 | 2016-12-01 | Inteva Products, Llc | Gehäuse für ein Schloss mit Wasserablauföffnung und Verfahren zum Ableiten von Wasser aus einem Schloss |
DE102015108739A1 (de) * | 2015-06-02 | 2016-12-08 | Kiekert Ag |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Kraftfahrzeugtürverschlusses |
DE102015108738A1 (de) * | 2015-06-02 | 2016-12-08 | Kiekert Ag | Kraftfahrzeugtürverschluss |
JP6528207B2 (ja) * | 2015-07-31 | 2019-06-12 |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 ドアロック装置の組立方法およびドアロック装置 |
JP6649052B2 (ja) * | 2015-11-18 | 2020-02-19 | 株式会社ユーシン | ドアロック装置 |
JP6762242B2 (ja) * | 2017-01-30 | 2020-09-30 | ジーコム コーポレイションGecom Corporation |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
US20200165843A1 (en) * | 2018-11-28 | 2020-05-28 | Magna Closures Inc. | Vehicular latch assembly with snap-type connection feature providing an integrated sealing function |
DE102020118721A1 (de) * | 2020-07-15 | 2022-01-20 | Kiekert Aktiengesellschaft | Kraftfahrzeugschloss |
DE102022122510A1 (de) | 2022-09-06 | 2024-03-07 | Kiekert Aktiengesellschaft | Antriebsgehäuse für kraftfahrzeug-technische Anwendung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1326502C (en) * | 1988-03-11 | 1994-01-25 | Wolfgang Thau | Latch mechanism, components thereof and process of manufacture for components thereof |
GB9108447D0 (en) * | 1991-04-19 | 1991-06-05 | Rockwell Automotive Body Syst | Vehicle door latches |
US6463773B1 (en) * | 1999-03-05 | 2002-10-15 |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 Electronic latch apparatus and method |
US6328353B1 (en) * | 1999-06-16 | 2001-12-11 | Atoma International | Vehicle door latch assembly |
JP2001173290A (ja) * | 1999-12-21 | 2001-06-26 |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
-
2004
- 2004-01-28 JP JP2004020004A patent/JP2004251106A/ja active Pending
- 2004-01-29 KR KR1020040005792A patent/KR2004007006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1-30 CN CNA200410002572XA patent/CN1519453A/zh active Pending
- 2004-01-30 EP EP20040002089 patent/EP1445404A2/en not_active Withdrawn
- 2004-01-30 US US10/767,271 patent/US20040262927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31312B2 (en) | 2004-11-26 | 2011-04-26 |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
KR100886896B1 (ko) * | 2006-06-07 | 2009-03-05 |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도어 개폐장치 |
US7591493B2 (en) | 2006-06-07 | 2009-09-22 |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 Door opening/clos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445404A2 (en) | 2004-08-11 |
US20040262927A1 (en) | 2004-12-30 |
JP2004251106A (ja) | 2004-09-09 |
CN1519453A (zh) | 2004-08-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0070062A (ko) | 도어 록 장치 | |
EP1703047B1 (en) | Door lock apparatus | |
JP4418319B2 (ja) |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 |
US8403379B2 (en) | Door lock apparatus | |
JPH08326387A (ja) | 車両ドアロック装置におけるフルラッチ検出スイッチ | |
US6655179B2 (en) | Automotive door lock assembly | |
US6428059B2 (en) | Latch detector for automotive door locks | |
JP5310435B2 (ja) | テールゲート用オープンスイッチ誤操作防止構造 | |
EP1447501B1 (en) | Door lock device | |
CN111279041B (zh) | 锁驱动装置和自行车锁装置 | |
JP6592842B2 (ja)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
EP0959205A1 (en) | Vehicle door lock | |
JP5480100B2 (ja) | ドアロック装置 | |
GB2458574A (en) | Door lock having a double lock for disabling a double action mechanism wherein a lock is normally switched to an unlocked position by using an inside handle | |
JP7341858B2 (ja) | ドアラッチ装置 | |
JP5480099B2 (ja) | ドアロック装置 | |
JP4418298B2 (ja) | 錠装置 | |
US20240318462A1 (en) | Vehicle door handle device | |
US12116809B2 (en) | Vehicular door handle device | |
WO2022209139A1 (ja) | ドアラッチ装置 | |
JP2573538B2 (ja) | スーパーロック機構付車両ドアロック装置の安全機構 | |
US20230366247A1 (en) | Vehicle door lock apparatus | |
US20220065005A1 (en) | Door latch device | |
JP2006037599A (ja) |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 |
JP6282846B2 (ja) | ドアハンドル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