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237A -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237A
KR20040068237A KR10-2004-7009199A KR20047009199A KR20040068237A KR 20040068237 A KR20040068237 A KR 20040068237A KR 20047009199 A KR20047009199 A KR 20047009199A KR 20040068237 A KR20040068237 A KR 20040068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hook
shape
width direction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9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와유이치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미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미수주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미수주
Publication of KR20040068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23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Abstract

수평단면에서 루버의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을 지향하는 형상이 되는 블라인드에 있어서, 전장이 항상 수평단면에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한 형상으로 지지하도록 경질루버로서 성형 또는 가공하지 않아도 유연한 헝겊제 루버와 연질수지제 루버로 그 수평단면에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한 형상이 되는 주름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루버가 주름이 되는 블라인드를 저가로 제조할 수 있음과 함께, 사용, 관리, 수송형태를 종래의 통상의 띠형상의 헝겊제 루버와 연질수지제 루버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라인드{BLIND}
종래, 블라인드에는, 입체감 및 호화스러움을 갖게 하기 위해, 루버를 수평단면에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하는 형상으로서, 횡단면 역S자형상(역S자형상의 주름형성)으로 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 실공평7-14623호 공보). 이 블라인드에서는, 루버자체를 경질로서 횡단면 역S자형상으로 성형 또는 가공해 둘 필요가 있음과 함께, 루버를 런너에 대하여 매달아 지지하는 루버후크 및 루버의 하단에 설치하는 평형추를, 횡단면 역S자형상으로 성형할 필요가 있었다. 즉,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루버후크(51)를 횡단면 역S자형상으로 성형하고, 틸트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각 루버후크(51)를 레일(도시하지 않음)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블라인드가 닫힌 상태에서, 인접한 루버후크(51)의 단부끼리를 서로 겹친다.
그런데, 종래, 루버를 수평단면에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한 형상으로서의 횡단면 역S자형상으로 하는블라인드에 있어서는, 루버 1장 1장을 경질재료로 미리 횡단면 역S자형상으로 성형하거나, 루버자체는 헝겊으로 만들어도, 단단한 풀칠가공에 의해 횡단면 역S자형상으로 가공해야 하기 때문에, 루버 자체의 제조단가가 높아져 고가의 블라인드가 된다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경질루버가 되기 때문에, 통상의 띠형상의 헝겊제 루버와 연질수지제 루버와 같은 유연성이 없고, 루버끼리의 충돌에 의해 큰 소리를 발생함과 함께, 루버를 종방향으로 절곡할 수가 없으며, 또한 루버의 전장이 횡단면 역S자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부피가 커져버리고, 관리와 수송 상에도 귀찮게 됨과 함께, 그에 필요한 비용도 높아진다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일을 따라서 주행하는 런너군의 각각의 캐리어에, 루버를 루버후크에 의해 매달아 지지하는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블라인드의 1장의 루버에 대한 구조의 일부생략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후크본체에 대하여 루버클립을 열은 상태의 루버후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후크본체에 대하여 루버클립을 닫은 상태의 루버후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후크본체에 대하여 루버클립을 닫은 상태의 루버후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후크본체에 대하여 루버클립을 닫은 상태의 루버후크의 저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루버만의 일부생략 정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추본체에 대하여 루버클립을 열은 상태의 평형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루버후크에 루버를 매달아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루버의 하단에 평형추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예의 제 1 변형예에 있어서 루버의 상하 칼집형상부에 심봉을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생략 정면도이다.
도 11은 제 1 실시예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 봉상 평형추를 사용하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있어서 루버의 개폐에 따른 루버후크끼리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루버후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도 13의 XIV-XIV선에 의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15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블라인드를 열어 각 루버후크를 밀착시킨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도 15의 XVI-XVI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후크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계지부의 회전기구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9(A)는 횡단면 역S자형상의 루버후크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19(B)는 횡단면 역S자형상의 루버후크에 설치된 루버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19(C)는 횡단면 역S자형상의 루버후크에 설치된 루버를 인접시킨 상태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20(A)는 중앙사선부의 큰 루버후크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20(B)는 중앙사선부의 큰 루버후크에 설치된 루버의 개략사시도.
도 20(C)는 중앙사선부의 큰 루버후크에 설치된 루버를 인접시킨 상태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21(A)는 중앙사선부의 작은 루버후크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21(B)는 중앙사선부의 작은 루버후크에 설치된 루버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21(C)는 중앙사선부의 작은 루버후크에 설치된 루버를 인접시킨 상태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22(A)는 중앙사선부의 작은 크랭크형상의 루버후크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22(B)는 중앙사선부의 작은 크랭크형상의 루버후크에 설치된 루버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22(C)는 중앙사선부의 작은 크랭크형상의 루버후크에 설치된 루버를 인접시킨 상태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23(A)는 중앙사선부의 큰 크랭크형상의 루버후크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23(B)는 중앙사선부의 큰 크랭크형상의 루버후크에 설치된 루버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23(C)는 중앙사선부의 큰 크랭크형상의 루버후크에 설치된 루버를 인접시킨 상태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24는 종래의 루버후크끼리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첫 번째, 상기 루버를 유연한 재질로 하고, 상기 루버후크를 평면상에서 보아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한 형상으로 하고, 상기 유연한 루버를 상기 루버후크에서 수평단면에 있어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한 형상의 주름형상으로 안정화시켰기 때문에, 전장이 항상 수평단면에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한 형상으로 지지하도록 경질루버로서 성형 또는 가공하지 않아도 유연한 헝겊제 루버와 연질수지제 루버로 그 수평단면에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한 형상이 되는 주름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루버가 주름이 되는 블라인드를 저가로 제조할 수 있음과 함께, 사용, 관리, 수송형태를 종래의 통상의 띠형상의 헝겊제 루버와 연질수지제 루버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두 번째, 루버후크를, 평면상에서 보아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하는 후크본체와, 이 후크본체의 일단부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기 후크본체와 동일형상의 루버클립으로 구성하고, 이들 후크본체와 루버클립으로 유연한 재질의 루버의 상단부를 협지하여 상기 루버를 수평단면에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을 지향하는 형상의 주름형상으로 하기 때문에, 루버를 미리 수평단면에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을 지향하는 형상으로 성형 또는 가공하지 않아도 되고, 루버가 수평단면에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을 지향한 형상이 되는 블라인드를 저가로 제공할 수 있음과 함께, 관리 및 수송면의 불리함도 해소할 수 있고, 또한 루버후크에 대한 루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세 번째, 후크본체의 폭방향의 양단부 및 상기 루버클립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각각의 폭방향절반부의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접어 만곡시키기 때문에, 루버후크의 양단부의 접힘부위에서 루버후크끼리의 접촉, 분리를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고, 루버가 수평단면에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한 형상으로 되어있어도, 블라이드의 표리 반전 및 개폐를 스무드하게 할 수 있다.
네 번째, 후크본체에는 후크가이드체를 마련함과 함께 단부에 가이드롤러를 마련하기 때문에, 후크가이드체에 의해, 블라인드를 닫았을 때, 인접루버후크끼리를 밀착하여 접어넣어, 각 루버후크가 뿔뿔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각 루버후크의 회전시에는, 한쪽의 루버후크의 후크가이드체와 다른 쪽의 루버후크의 가이드롤러가 접촉함으로써, 인접루버후크끼리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루버전체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섯 번째, 후크본체에는, 캐리어에 계지되는 계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마련하기 때문에, 루버후크가 캐리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고, 루버후크끼리가 어느 정도 회전 가능하게 되며, 루버후크끼리가 서로 얽히는 일이 없고, 따라서 루버를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첨부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루버(1)는 폴리에스테르섬유 등에 의한 띠형상의 유연한 헝겊제로서, 그 단독으로는 평탄한 1장의 띠형상 헝겊과 동일하지만, 매달리면 수평단면에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된 형상으로서의, 예를 들어 횡단면 역S자형상이 안정한 상태가 되도록, 증기에 의한 가열퍼머넌트프레스가공 등으로 형상안정화 가공되어있다. 루버(1)의 좌우변 가장자리에 형성한 좌우 칼집형상부(1c, 1d) 중에는 가요성을 갖는 좌우의 웨이트코드(22c, 22d)가 삽입되어 마련되어있다.
그리고, 이들 좌우의 웨이트코드(22c, 22d)의 상단부와 함께, 평면형상에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단부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된 형상으로서의 역S자형상의 루버후크(2)에 의해 루버(1)의 상단부를 협지하여 루버(1)를 도시하지 않은 런너의 캐리어에 좌우의 웨이트코드(22c, 22d)와 함께 매달아 지지하고, 또한 루버(1)의 하단부를 마찬가지로 역S자형상의 평형추(3)에 의해 협지하여 루버(1)의 하단에 평형추(3)의 무게를 부여함으로써, 루버(1)는 유연한 헝겊제라도 그 전장이 정돈된 횡단면 역S자형상의 주름형성형상을 안정하게 유지하도록 되어있다.
도 2 - 도 5는 루버후크(2)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루버후크(2)는 평면상에서 보아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단부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된 형상이며, 좌우절반부가 서로 역방향으로 만곡된 역S자형상의 후크본체(2A)와, 역시 역S자형상의 루버클립(2B)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후크본체(2A) 및 루버클립(2B)은 수지제의 재질로 성형된다.
후크본체(2A)에는 상하 양변 가장자리에 리브(4, 5)가 마련된다. 상측 리브(4)의 중앙부위에는, 런너의 캐리어(도시하지 않음)에 걸기위한 사각형 프레임형상의 계지부(6)가 돌설되어 있다. 또한 후크본체(2A)의 좌우양단부위에는, 상하 2다리의 접힘부(7, 8) 및 (9, 10)가 각각 형성되어있다. 이들 접힘부(7, 8) 및 (9, 10)는, 상하 리브(4, 5)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후크본체(2A)의 좌우절반부의 만곡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접혀서 만곡됨과 함께, 각각에 구멍(11)을 갖고 있다. 하측 리브(5)는 상측 리브(4)보다도 폭이 작게 형성되어있다. 상하 접힘부(7, 8) 및 (9, 10)는 상하 동일크기로 형성되어있다. 하측 리브(5)의 양단부에는 작은 오목부(12, 13)가 형성되어있다.
루버클립(2B)에는 상하 양변가장자리에 리브(14, 15)가 마련되어있다. 하측의 리브(15)의 양단부에는 작은 오목부(16, 17)가 형성되어있다. 루버클립(2B)의 좌우양단에는, 상하로 나누어지지 않는 좌우의 접힘부(18, 19)가, 루버클립(2B)의 좌우절반부의 만곡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접혀서 만곡되게 형성되어있다. 이들 좌우의 접힘부(18, 19)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구멍(20)이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루버클립(2B)의 일단의 접힘부(18)를 후크본체(2A)의 일단의 상하 접힘부(7, 8) 사이에 위치시켜서 이 접힘부(7, 8)의 구멍(11, 20)에 축핀(21)을 결합시킴으로써, 루버클립(2B)은 후크본체(2A)의 일단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버(1)의 상하좌우의 4변가장자리에는, 칼집형상부(1a, 1b, 1c, 1d)가 형성되어있다. 이 칼집형상부(1a, 1b, 1c, 1d)에는 웨이트코드(22a, 22b, 22c, 22d)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들 웨이트코드(22a, 22b, 22c, 22d)로서는 한 개의 연속된 체인이 이용된다.
도 7은 평형추(3)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평형추(3)는 루버후크(2)에 비하여 상하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있다. 평형추(3)는, 좌우절반부가 서로 역방향으로 만곡된 역S자형상으로 판상의 추본체(3A)와, 역시 역S자형상으로 판상의 루버클립(3B)과, 역시 역S자형상의 추(3C)로 이루어진다. 추본체(3A) 및 루버클립(3B)은 수지제의 재질로 성형된다. 추(3C)는 비중이 무거운 금속과 세라믹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추본체(3A)에는 상하 양변가장자리와 상변가장자리 부근의 중간에 리브(23, 24, 25)가 마련되어있다. 추본체(3A)의 상변가장자리의 리브(23)의 양단부에는 작은 오목부(26, 27)가 형성되어있음과 함께, 상하 2다리의 접힘부(28, 29) 및 (30, 31)가 좌우양단의 각각에 형성되어있다. 이들 접힘부(28, 29) 및 (30, 31)는, 상하변 가장자리의 리브(23, 24)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추본체(3A)의 좌우절반부의 만곡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접혀서 만곡됨과 함께, 각각에 구멍(32)을 갖고 있다. 상변가장자리의 리브(23)는 하변가장자리의 리브(24)보다도 폭이 작게 형성되어있다. 상하 접힘부(28, 29) 및 (30, 31)는 상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있다.
평형추(3)의 루버클립(3B)에는, 상변가장자리에만 리브(32)가 마련되어있다. 이 리브(32)의 양단부에는 작은 오목부(33, 34)가 형성되어있다. 루버클립(3B)의 좌우양단에는, 상하로 나누어지지 않는 좌우의 접힘부(35, 36)가 루버클립(3B)의 좌우절반부의 만곡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접혀져 만곡되게 형성된다. 또한, 이들 좌우의 접힘부(35, 36)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구멍(37)이 형성되어있음과 함께, 평형추(3)끼리로 연결체인(도시하지 않음)을 걸기위한 체인계지부(38)가 돌설되어있다.
그리고, 루버클립(3B)의 일단의 접힘부(35)를 추본체(3A)의 일단의 상하 접힘부(28, 29) 사이에 위치시켜서 이들 구멍(32, 37)에 축핀(39)을 결합시킴으로써, 루버클립(3B)은 추본체(3A)의 일단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루버(1), 루버클립(2) 및 평형추(3)는 다음과 같이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상태로 조합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트코드(22a)를 삽통시킨 루버(1)의 상변가장자리의 칼집형상부(1a)를 루버후크(2)의 후크본체(2A)의 상하 리브(4, 5) 사이에 위치시켜 놓고, 후크본체(2A)에 대하여 루버클립(2B)을 닫고 루버클립(2B)의 접힘부(19)를 후크본체(2A)의 상하 접힘부(9, 10) 사이에 위치시키고, 이들 일치된 구멍(11, 20)에 고정핀(40)을 결합시켜서 루버클립(2B)을 후크본체(2A)에 대하여 닫은 상태로 록크한다.
이에 따라서, 루버(1)의 상단부는 후크본체(2A)의 하측 리브(5)와 루버클립(2B)의 하측 리브(15)로 역S자형상으로 협지된다. 또한, 루버(1)의 좌우변가장자리의 칼집형상부(1c, 1d)와 그 속의 웨이트코드(22c, 22d)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5, 15)가 합치한 좌측의 오목부(12, 16)와 우측의 오목부(13, 17)를 삽통한다. 루버(1)의 상변가장자리의 칼집형상부(1a)는 그 속의 웨이트코드(22a)와 함께 리브(5, 15)의 상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루버(1)는 루버후크(2)로부터 탈락하지 않고 여기에 매달려 지지된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트코드(22b)를 삽통시킨 루버(1)의 하변가장자리의 칼집형상부(1b)를 평형추(3)의 추본체(3A)의 상변가장자리의 리브(23)와 중간리브(25)의 사이에 위치시킴과 함께, 추(3C)를 중간 리브(25)와 하변가장자리의 리브(24)의 사이에 위치시켜 놓고, 추본체(3A)에 대하여 루버클립(3B)를 닫고, 루버클립(3B)의 접힘부(36)를 추본체(3A)의 상하 접힘부(30, 31) 사이에 위치시키고, 이들의 일치한 구멍(32, 37)에 고정핀(41)을 결합시켜서 루버클립(3B)을 추본체(3A)에 대하여 닫은 상태로 록크한다.
이에 따라서, 루버(1)의 하단부는 추본체(3A)의 상측 리브(23)와 루버클립(3B)의 리브(32)로 역S자형상으로 협지되며, 루버(1)의 좌우변가장자리의 칼집형상부(1c, 1d)와 그 속의 웨이트코드(22c, 22d)는 리브(23, 32)가 합치된 좌측의 오목부(26, 33)와 우측의 오목부(27, 34)를 삽통함과 동시에, 추(3C)도 추본체(3A)와 루버클립(3B)으로 협지하여 수납된다. 루버(1)의 하변가장자리의 칼집형상부(1b)는 그 속의 웨이트코드(22b)와 함께 리브(23, 32)의 하측에 위치하므로, 평형추(3)는 루버(1)의 하단부로부터 탈락하지 않고 여기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루버(1)는 그 상단부를 루버후크(2)로 역S자형상으로 협지됨과함께, 하단부를 평형추(3)로 역S자형상으로 협지되므로, 전체적으로 횡단면 역S자형상으로 변형되고, 게다가 루버(1)의 좌우 칼집형상부(1c, 1d) 속에 웨이트코드(22c, 22d)가 삽통하여 늘어뜨려지게 됨으로써, 루버(1)는 전장에 걸쳐서 정돈된 횡단면 역S자형상을 안정하게 유지한다.
루버(1)끼리를 보면, 블라인드를 닫은 상태에서, 만곡된 좌측절반부와 우측절반부가 부분적으로 전후로 겹쳐지는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겹쳐진 상태가 될 때 또는 분리될 때와, 루버(1)를 도시하지 않은 틸트기구로 반전시킬 때, 루버후크(2)끼리에서는 그 좌단의 접힘부(7, 8, 18) 및 우단의 접힘부(9, 10, 19)에 의해, 또한 평형추(3)에서도 그 좌단의 접힘부(28, 29, 35) 및 우단의 접힘부(30, 31, 36)에 의해 루버(1)끼리의 회전이 유도되기 때문에, 루버(1)끼리가 접촉, 분리할 때의 저항이 작아지고, 루버(1)가 횡단면 역S자형상인 블라인드라도 그 표면 및 이면의 반전과 개폐를 스무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루버(1)끼리가 접촉, 분리할 때의 저항을 보다 작게 하기 위해, 루버후크(2)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본체(2A)의 중앙부의 외면 및 루버클립(2B)의 중앙부의 외면을 부분적인 만곡 오목면으로 한다.
그 결과,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첫 번째로, 루버(1)를 유연한 재질로 하고, 루버후크(2)를 평면상에서 보아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단부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된 형상으로 하고, 루버(1)의 폭방향의 양측가장자리에 칼집형상부(1c, 1d)를 형성하고, 이들 칼집형상부(1c, 1d) 속에 가요성을 갖는 웨이트코드(22c, 22d)를 삽입하고, 유연한 루버(1)를 좌우의 웨이트코드(22c, 22d)에서, 수평단면에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되는 형상으로 하여 횡단면 역S자형상 등의 주름형상으로 안정화시켰기 때문에, 루버(1)가 설령 유연한 헝겊제라도 그 전장이 정돈된 횡단면 역S자형상을 안정하게 유지함과 함께, 루버(1)에 구김살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좌우의 웨이트코드(22c, 22d)는 좌우가 나누어진 두개의 것이라도 좋고, 좌우가 연속된 한 개의 것이라도 좋다. 즉 전장이 항상 횡단면 역S자형상을 유지하도록 경질루버로서 성형 또는 가공하지 않아도, 유연한 헝겊제 루버와 연질수지제 루버로 그 횡단면이 역S자형상 등이 되는 주름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루버(1)가 주름 형성되는 블라인드를 저가로 제조할 수 있음과 함께, 사용, 관리, 수송형태는 종래의 통상의 띠형상의 헝겊제 루버와 연질수지제 루버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두 번째로, 루버후크(2)를, 평면상에서 보아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단부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하도록, 좌우절반부가 서로 역방향으로 만곡된 역S자형상의 후크본체(2A)와, 이 후크본체(2A)의 일단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역시 역S자형상의 루버클립(2B)으로 구성하고, 이들 후크본체(2A)와 루버클립(2B)으로 유연한 재질의 루버(1)의 상단부를 협지하고, 수평단면에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한 형상으로 하여 횡단면 역S자형상의 주름형상으로 하기 때문에, 유연한 헝겊제 루버와 연질수지제 루버로도 확실하게 주름형상으로 할 수 있음과 함께, 루버(1)를 미리 횡단면 역S자형상으로 성형 또는 가공하지 않아도, 루버(1)가 횡단면 역S자형상이 되는 블라인드를 저가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관리 및 수송면의 불리함도 해소할 수 있고, 또한 루버후크(2)에 대한 루버(1)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세 번째로, 후크본체(2A)의 폭방향의 양단부 및 루버클립(2B)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각각의 폭방향 절반부의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접어 만곡시킴으로써, 좌우 양단부 및 루버클립(2B)의 좌우 양단부를, 각각의 좌우절반부의 만곡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접어 만곡시켰기 때문에, 루버(1)가 횡단면 역S자형상이 되었어도 루버후크(2)끼리의 접촉, 분리시의 저항이 작고, 루버후크(2)끼리의 접촉, 분리를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으며, 블라인드의 표리 반전(틸트기구에 의한 루버의 반전)과 개폐를 스무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웨이트코드(22a - 22d)를 한 개의 연속한 체인으로 하여 루버(1)의 상하변가장자리의 칼집형상부(1a, 1b)에도 웨이트코드(22a, 22b)를 삽입하였지만, 이에 대신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심봉(42)을 상하 칼집형상부(1a, 1b) 속에 삽입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서, 루버후크(2)의 형상이 달라도 루버(1)를 용이하게 변형, 복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판상의 평형추(3)를 대신하여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역S자형상의 봉상 평형추(43)를 이용하고, 이를 루버(1)의 하변가장자리의 칼집형상부(1b) 속에 삽입하여도 좋다. 따라서, 루버(1)의 하단측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루버(1)는, 매달려 지지되면 횡단면 역S자형상이 되는 형상안정화 가공되어있으면, 그 좌우 양측가장자리의 칼집형상부(1c, 1d) 속에 삽입시킨 좌우의 웨이트코드(1c, 1d)에서, 정돈된 횡단면 역S자형상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루버후크(2)에 대해서는 후크본체(2A)와 루버클립(2B)에 의해 루버(1)의 상단부를 반드시 역S자형상으로 협지할 필요는 없다. 평형추(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것은, 루버(1)를 헝겊제가 아니라 유연한 연질수지의 띠형상 시트로 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말할 수 있다. 매달려 지지된 상태에서 형상안정화하는 루버(1)의 주름형상은 횡단면 역S자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매달려 지지되기 전의 루버(1) 단일체의 원형으로서는 간단한 평판상이라도 관계없다. 웨이트코드(1c, 1d)로서는, 루버후크(2)에 매달아 지지한 상태에서 수직하게 늘어뜨려짐과 함께, 가요성을 갖는 것이라면 되며, 체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계지부(6)의 후크본체(2A)에 연결되는 축부위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루버(1)가 하방으로 당겨 내려졌을 때에, 루버(1)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캐리어와 루버후크(2) 등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회피하도록, 예를 들어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구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 -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의 기능을 하는 개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의 특징으로 하는 것은, 이하의 점에 있다. 즉,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루버후크(2)에 있어서, 후크본체(2A)의 상측의 리브(4)에는, 수평방향에서 판상의 후크가이드체(102)를 일체로 마련하였다. 이 후크가이드체(102)는 평면상에서 보아서 대략 마름모형상으로 형성되며, 레일선(RL)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향하며 대칭인 일측가이드부(104-1), 타측가이드부(104-2)로 이루어진다.
일측가이드부(104-1)는, 후크본체(2A)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하여 한쪽의 단부측에서 돌출 만곡된 일측 제 1 만곡부(106-1)와 중앙부위에서 약간 우묵하게 들어간 일측중앙오목부(108-1)와 이 일측중앙오목부(108-1)로부터 일측돌출부위(110-1)를 거쳐 후크본체(2A)의 다른 쪽의 단부측에서 비스듬히 지향하는 일측 제 2 경사부(112-1)로 이루어지는 평면상에서 보아서 파형의 일측파형외주면(114-1)을 구비함과 함께, 상면(102U)에 깊이(D)의 일측상부홈(116-1)을 형성하도록, 한쪽의 단부측에서 일측 제 1 요부(118-1)와 중앙부위의 일측중앙원호부(120-1)와 다른 쪽의 단부측에서 타측 제 2 요부(122-1)로 이루어지는 평면상에서 보아서 파형의 일측파형내주면(124-1)을 구비하며, 이 일측상부홈(116-1)에 의해 일측계합부(126-1)를 형성한다.
타측가이드부(104-2)는, 후크본체(2A)의 타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하여 한쪽의 단부측에서 상기 일측 제 1 요부(118-1)와 합치하는 형상의 타측 제 1 돌부(118-2)와 중앙부위에서 상기 일측중앙원호부(120-1)와 합치하는 형상의 타측중앙원호부(120-2)와 다른 쪽의 단부측에서 상기 일측 제 2 측 요부(122-1)와 합치하는 형상의 타측 제 2 돌부(122-2)로 이루어지는 평면상에서 보아서 상기 일측파형내주면(124-1)과 동일한 파형의 타측파형외주면(114-2)을 구비함과 함께, 하면(102B)에 깊이(D)의 타측하부홈(116-2)을 형성하도록, 한쪽의 단부측에서 상기 일측 제 1 만곡부(106-1)와 합치하는 형상의 타측 제 1 만곡부(106-2)와 중앙부위에서 상기 일측중앙오목부(108-1)와 합치하는 형상의 타측중앙돌출부(108-2)와 이 타측중앙돌출부(108-2)로부터 상기 일측돌출부위(110-1)와 합치하는 형상의 타측오목부위(110-2)를 거쳐 후크본체(2A)의 다른 쪽의 단부측에서 상기 일측경사부(112-1)와 합치하는 타측경사부(112-2)로 이루어지는 평면상에서 보아서 상기 일측외주면(114-1)과 동일한 파형의 타측파형내주면(124-2)을 구비하며, 이 타측하부홈(116-2)에 의해 상기 일측계합부(126-1)와 동일 형상으로 그리고 그 일측계합부(126-1)와 겹쳐지는 타측계합부(126-2)를 형성한다.
또한, 후크가이드체(102)의 중앙부위에는 계지부(6)가 일체로 입설되어있다.
또한, 후크본체(2A)의 양단부위의 접힘부(7, 9)의 상면에는, 인접하는 다른 쪽의 루버후크(2)의 후크가이드체(102)의 각 외주면(122)의 주면이 당접 가능한 일단 및 타단가이드롤러(128A, 128B)를 일단 및 타단롤러축(130A, 130B)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하였다. 또한, 후크본체(2A)와 루버클립(2B)의 사이에는 칼집형상부(1a) 및 웨이트코드(22a)의 협지공간(2S)이 형성된다.
제 2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블라인드를 열어서 각 루버후크(2)를 접합할 때에는, 도 15,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한쪽의 루버후크(2)의 일측상부홈(116-1)에 다른 쪽의 루버후크(2)의 타측계합부(126-2)가 합치하여 계합함과 동시에, 다른 쪽의 루버후크(2)의 타측하부홈(116-2)에는 한쪽의 루버후크(2)의 일측계합부(126-1)가 합치하여 계합하고, 따라서 각 루버후크(2)를 밀착시켜서 접어넣을 수가 있으며, 흔들려서 뿔뿔이 흩어지는 일도 없고, 전체를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블라인드를 닫을 때에는, 먼저 인접한 각 루버후크(2)를 회전(반전)시키는데, 이 때, 각 루버후크(2)의 양단의 가이드롤러(128a, 128b)가, 인접한 루버후크(2)의 일측파형외주면(114-1) 및 타측파형외주면(114-2)에 회전하면서 접촉하기 때문에, 각 루버후크(2)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음과 함께, 각 루버후크(2)를 레일선(RL) 상에서 이동할 때에는, 각 루버후크(2)의 양단부의 가이드돌러(128A, 128B)의 회전에 의해 루버후크(2)를 한 개씩 스무드하게 이동 가능하게 하며, 루버후크(2)가 얽히거나 하는 일 없이 블라인드를 닫는 조작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블라인드를 닫은 후에, 각 루버후크(2)만을 열도록 회전(반전)조작하였을 때에는, 각 루버후크(2)의 양단의 가이드롤러(128A, 128B)가 인접루버후크(2)의 일측파형외주면(114-1) 및 타측파형외주면(114-2)에 회전하면서 접촉하기 때문에, 각 루버후크(2)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7,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 3 실시예의 특징으로 하는 것은 이하의 점에 있다. 즉, 루버후크(2)에 있어서, 후크본체(2A)의 상측 리브(4)에는 캐리어에 계지되는 계지부(6)를 회전기구(1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하였다.
이 회전기구(132)는 후크본체(2A)의 리브(4)의 상면에 통부(134)를 입설하고, 이 통부(134)에 계지부(6)의 축부(6A)를 상방으로부터 삽통하고, 그리고 하방으로부터 이 축부(6A)를 지지부재(136)와 지지핀(138)으로 리브(4)에 지지시키고, 계지부(6)를 리브(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경우, 계지부(6)의 축부(6A)의 선단측에, 예를 들어 3개의 슬릿(140)을 형성하고, 각 슬릿(140)에는 하방으로부터 지지부재(136)의 각 삽입핀(142)을 삽입함과 함께, 이 지지부재(136)를 리브(4)의 부재삽통공(144A)을 형성하는 계지지지부(144)에 계지시키고, 또한 이 지지부재(136)의 중앙부위에 하방으로부터 지지핀(138)을 삽입하여 축부(6A)를 지지한다. 또한, 지지부재(136)의 외주부위의 일부에 회전억제돌출부(146)를 형성함과 함께, 후크본체(2A)의 리브(4)의 하면에는 상기 회전억제용 돌출부(146)가 당접하는 회전억제부(148)를 마련하였다.
또한, 제 3 실시예의 루버후크(2)의 루버클립(2B)은 제 1 실시예의 도 2의 루버클립(2B)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본체(2A)와 루버클립(2B)의 사이에는 칼집형상부(1a) 및 웨이트코드(22a)의 협지공간(2S)이 형성된다.
제 3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루버후크(2)가 캐리어에 대하여 회전하는 계지부(6)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인접루버후크(2)끼리가 소정의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루버후크(2)끼리가 접촉, 분리할 때에 서로 얽히는 일이 없고, 따라서 루버(1)를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루버후크(2)의 형상을 상술한 각 실시예의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이하와 같이 여러 가지 응용개변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버후크(2)를 만곡된 횡단 역S자형상으로 하고, 이 루버후크(2)에 루버(1)를 설치하였을 때에,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버(1)를 만곡된 횡단 역S자형상으로 하고, 그리고 도 1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만곡된 횡단 역S자형상의 루버(1)의 단부끼리를 겹쳐서 연속시킨다.
또한,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버후크(2)는, 길이(L1)의 중앙사선부(2E)와, 이 중앙사선부(2E)의 양단측에 연속적으로 마련하여 길이(L2)의 레일방향직선부(2F, 2F)와, 이 레일방향직선부(2F, 2F)의 각 단부에 연속적으로 마련한 길이(L3)의 외측사선부(2G, 2G)로 이루어지며, 다각형상으로 모가 난 역S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모가 난 역S자형상의 루버후크(2)에 루버(1)를 설치하였을 때에,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루버(1)를 모가 난 역S자형상으로 하고, 그리고 도 2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모가 난 역S자형상의 루버(1)의 단부끼리를 겹쳐서 연속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루버(1)에 다각형상으로 접음선을 다수 형성할 수 있으며, 종방향의 굽힘에 대해서도 강해지며, 루버(1)에 비틀림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버후크(2)는, 도 20(A)의 길이(L1)보다도 작은 길이(L4)의 중앙사선부(2E)와, 이 중앙사선부(2E)의 양단측에 연속적으로 마련하여 도 20(A)의 길이(L2)보다도 큰 길이(L5)의 레일방향직선부(2F, 2F)와, 이 레일방향직선부(2F, 2F)의 각 단부에 연속적으로 마련하여 도 20(A)의 길이(L3)보다도 작은 길이(L6)의 외측사선부(2G, 2G)로 이루어지며, 다각형상으로서 모가 난 역S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루버후크(2)에 루버(1)를 설치하였을 때에,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모가 난 역S자형상의 루버(1)를 모가 난 역S자형상으로 하고, 그리고 도 2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모가 난 역S자형상의 루버(1)의 단부끼리를 겹쳐서 연속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루버(1)에 다각형상으로 접음선을 다수 형성할 수 있으며, 종방향의 굽힘에 대해서도 강해지며, 루버(1)에 비틀림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버후크(2)는, 길이(L7)의 중앙사선부(2E)와, 이 중앙사선부(2E)의 양단측에 연속적으로 마련하여 길이(L8)의 외측사선부(2G, 2G)로 이루어지며, 크랭크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크랭크형상의 루버후크(2)에 루버(1)를 설치하였을 때에, 도 2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루버(1)를 크랭크형상으로 하고, 그리고 도 2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크랭크형상의 루버(1)의 단부끼리 겹쳐서 연속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루버(1)를 간단히 굽힐 수 있으며, 블라인드를 닫은 상태에서 루버(1)에 큰 평면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버후크(2)는, 도 22(A)의 길이(L7)보다도 큰 길이(L9)의 중앙사선부(2E)와, 이 중앙사선부(2E)의 양단측에 연속적으로 마련하여 도 22(A)의 길이(L8)보다도 작은 길이(L10)의 외측사선부(2G, 2G)로 이루어지며, 크랭크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루버후크(2)에 루버(1)를 설치하였을 때에,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루버(1)를 크랭크형상으로 하고, 그리고 도 2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크랭크형상의 루버(1)의 단부끼리 겹쳐서 연속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루버(1)를 간단히 굽힐 수 있으며, 블라인드를 닫은 상태에서 루버(1)에 더 큰 평면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는, 전장이 항상 수평단면에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한 형상으로지지하도록 경질루버로서 성형 또는 가공하지 않아도 유연한 헝겊제 루버와 연질수지제 루버로 그 수평단면에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한 형상이 되는 주름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루버가 주름이 되는 블라인드를 저가로 제조할 수 있음과 함께, 사용, 관리, 수송형태를 종래의 통상의 띠형상의 헝겊제 루버와 연질수지제 루버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Claims (5)

  1. 레일을 따라서 주행하는 런너군의 각각의 캐리어에, 루버를 루버후크에 의해 매달아 지지하는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루버를 유연한 재질로 하고, 상기 루버후크를 평면상에서 보아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한 형상으로 하고, 상기 유연한 루버를 상기 루버후크에서 수평단면에 있어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한 형상의 주름형상으로 안정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2. 레일을 따라서 주행하는 런너군의 각각의 캐리어에, 루버를 루버후크에 의해 매달아 지지하는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루버후크를, 평면상에서 보아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하는 후크본체와, 이 후크본체의 일단부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기 후크본체와 동일형상의 루버클립으로 구성하고, 이들 후크본체와 루버클립으로 유연한 재질의 루버의 상단부를 협지하여 상기 루버를 수평단면에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을 지향하는 형상의 주름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본체의 폭방향의 양단부 및 상기 루버클립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각각의 폭방향절반부의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접어 만곡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4. 레일을 따라서 주행하는 런너군의 각각의 캐리어에, 루버를 루버후크에 의해 매달아 지지하는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루버후크를, 평면상에서 보아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하는 후크본체와, 이 후크본체의 일단부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기 후크본체와 동일형상의 루버클립으로 구성하고, 이들 후크본체와 루버클립으로 유연한 재질의 루버의 상단부를 협지하여 상기 루버를 수평단면에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을 지향하는 형상의 주름형상으로 하고, 상기 후크본체에는 후크가이드체를 마련함과 함께 단부에 가이드롤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5. 레일을 따라서 주행하는 런너군의 각각의 캐리어에, 루버를 루버후크에 의해 매달아 지지하는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루버후크를, 평면상에서 보아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지향하는 후크본체와, 이 후크본체의 일단부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기 후크본체와 동일형상의 루버클립으로 구성하고, 이들 후크본체와 루버클립으로 유연한 재질의 루버의 상단부를 협지하여 상기 루버를 수평단면에서 폭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가장자리가 중간부위에 대하여 다른 방향을 지향하는 형상의 주름형상으로 하고, 상기 후크본체에는 상기 캐리어에 계지되는 계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KR10-2004-7009199A 2001-12-13 2002-12-12 블라인드 KR200400682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79719 2001-12-13
JP2001379719 2001-12-13
PCT/JP2002/013018 WO2003054336A1 (fr) 2001-12-13 2002-12-12 Sto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237A true KR20040068237A (ko) 2004-07-30

Family

ID=1918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9199A KR20040068237A (ko) 2001-12-13 2002-12-12 블라인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115687A1 (ko)
EP (1) EP1467058A1 (ko)
JP (1) JP3884013B2 (ko)
KR (1) KR20040068237A (ko)
CN (1) CN1313697C (ko)
AU (1) AU2002366922A1 (ko)
WO (1) WO20030543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589Y1 (ko) 2016-06-27 2017-09-26 정광현 이어폰 줄 정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2076B1 (en) 2004-05-12 2017-01-10 Synchronoss Technologies,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updating a personal profile
US20080142170A1 (en) * 2006-12-13 2008-06-19 Elaine Killian Vertical blind fashions sleeves
US20080245489A1 (en) * 2007-04-04 2008-10-09 Morgan Hsi-Jung Chuang Fabric louver
US8255006B1 (en) 2009-11-10 2012-08-28 Fusionone, Inc. Event dependent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8943428B2 (en) 2010-11-01 2015-01-27 Synchronoss Technologies,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field mappi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4159A (en) * 1950-05-18 1952-07-22 Henry N Wright Vertical blind
US3159204A (en) * 1961-08-04 1964-12-01 Kruell Andreas Window blind with vertical slats
US3298425A (en) * 1964-09-23 1967-01-17 Louverdrape Inc Vertical venetian blind
US3827019A (en) * 1973-02-21 1974-07-30 G Serbu Magnetic closure
DE2613749A1 (de) * 1976-03-31 1977-10-06 Hunter Douglas Ind Bv Lamellenjalousie mit senkrecht angeordneten lamellen
US4262728A (en) * 1978-06-30 1981-04-21 Levolor Lorentzen, Inc. Vertical blind
US4291738A (en) * 1979-02-05 1981-09-29 John Grenga Universal support for vertical blinds and the like
JPS6321677Y2 (ko) * 1981-05-13 1988-06-15
DE3120364C2 (de) * 1981-05-22 1986-03-20 Schlitzer Leinen - Industrie Driessen GmbH & Co KG, 6407 Schlitz Vorhanglamelle
US4356855A (en) * 1981-07-13 1982-11-02 Joanna Western Mills Company Vane holding assembly
JPS5933338A (ja) * 1982-08-20 1984-02-23 Kohjin Co Ltd 帯電防止性ポリオレフイン組成物
JPS60146197U (ja) * 1984-03-07 1985-09-28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縦型ブラインドのスラツトハンガ−
US4818590A (en) * 1987-06-22 1989-04-04 Princewood Wood veneer covered structural rigid plastic foam elements
JPH0714623Y2 (ja) * 1988-03-25 1995-04-10 有限会社美鈴 ブラインド
CN2093235U (zh) * 1990-12-30 1992-01-15 袁国珍 组合式挂片垂直百叶窗帘
JP2995301B1 (ja) * 1999-02-10 1999-12-27 有限会社美鈴 ブラインドのル―バ―反転装置
US6131639A (en) * 1999-06-25 2000-10-17 Mcmillen; Linda R. Outdoor screen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589Y1 (ko) 2016-06-27 2017-09-26 정광현 이어폰 줄 정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15687A1 (en) 2005-06-02
WO2003054336A1 (fr) 2003-07-03
JPWO2003054336A1 (ja) 2005-04-28
AU2002366922A1 (en) 2003-07-09
JP3884013B2 (ja) 2007-02-21
CN1604986A (zh) 2005-04-06
CN1313697C (zh) 2007-05-02
EP1467058A1 (en) 200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4883A (en) Drapery and vertical blind system
US6186213B1 (en) Vertical blind system having a removable vane cover
US4825930A (en) Hinge arrangement
CN1037625C (zh) 钢片综
KR20040068237A (ko) 블라인드
WO2005038186A1 (ja) 横引き網戸
US4274467A (en) Drapery and support combination
JPH0470490A (ja) 折畳カーテン
JPH0743008B2 (ja) 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内部の仕切り構造
JPH0511977B2 (ko)
JPH01247682A (ja) 折畳扉の連結装置
US3948307A (en) Pleater tape for drapes or curtains or the like
JP2000352280A (ja) プリーツスクリーン装置
US3196931A (en) Expansible and retractable panel structure
US2871935A (en) Panel construction
US4945612A (en) System and a method for joining the ends of a band-shaped elongate element
JP2020007830A (ja) 間仕切り装置
CN213882005U (zh) 拉链长链
JP2597314B2 (ja) 遮蔽装置
JP4723733B2 (ja) 折りたたみシート
JP2756089B2 (ja) ルーズリーフバインダーの綴じ具
JPH0515263Y2 (ko)
KR0124087Y1 (ko) 로울러식 방충망
EP0487167B1 (en) Curtain sample holder and curtain sample rack
JP4031577B2 (ja) 開き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