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817A -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액정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액정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6817A
KR20040066817A KR10-2004-7007472A KR20047007472A KR20040066817A KR 20040066817 A KR20040066817 A KR 20040066817A KR 20047007472 A KR20047007472 A KR 20047007472A KR 20040066817 A KR20040066817 A KR 20040066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arizing plate
polarizing
membrane
str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구찌게이이찌
기따꼬우지히로모또
시라쯔찌겐따로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7863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7724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0247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22792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023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227924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6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81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4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in a direction which is not parallel or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feed, e.g. obliqu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9/00Use of 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탄성이 우수하고 외부 광으로 인한 열화를 방지하는, 편광판의 펀치 아웃 단계에서 수율이 향상될 수 있는 경사지게 연신되는 편광막을 포함하고 저렴한 긴 롤 형상의 고 성능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편광판을 이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롤 형상의 긴 편광판은 편광막의 흡수축은 종방향과 평행하지도 않고 수직하지도 않으며, 편광도는 550 nm 에서 80 % 이상이며, 단일 판 투과율은 550 nm 에서 35 % 이상인 편광막,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편광판을 이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액정 디스플레이 {POLARIZING PLATE,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 (이하, LCD 라 함) 의 인기에 따라, 편광판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편광판은 편광성을 갖는 편광층과, 접착제를 통해 편광층의 양면 또는 한면에 접착되는 보호막을 포함한다.
편광막에 이용되는 재료는 주로 폴리비닐 알코올 (이하, PVA 라 함) 이다. PVA 막을 일축 연신한 후 요오드 또는 2색성 염료로 염색하거나, 또는, 염색한 후 연신하고, 이 PVA 막을 보론 화합물과 추가적으로 가교결합시킴으로써 편광층용 편광막을 형성한다.
편광막으로서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가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복굴절이 작기 때문에 주로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편광막은 진행 방향 (종방향) 을 따라 연속적인 막을 일방향 연신하여 제조되므로, 편광막의 흡수축은 종방향에 거의 평행하게 된다.
통상의 LCD 에서, 편광판은 흡수축이 화면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 대해 45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롤 형상으로 제조된 편광판은 펀칭 단계 시 롤의 종방향에 대해 45 ° 방향으로 펀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편광판이 45 ° 방향으로 펀치되는 경우, 이용될 수 없는 부분이 롤의 에지 주변에 형성되고, 특히, 대형 편광판의 경우 수율이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폐기량이 증가되어 이롭지 않다.
또한, 착색을 방지하거나 시인성의 확대와 같은 광학적 보상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위상차판을 편광판 등에 들러붙게 하여 LCD 형성에 이용하고, 편광판의 투과축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의 배향축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통상, 배향축이 단부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외면을 펀치아웃하여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일축 연신되는 막으로부터 위상차막을 절단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편광판과 유사하게 수율 감소 문제를 갖는다.
또한, 다른 광학 부재, 예를 들면, λ/4 판을 접착할 때, 이는 각각의 패널에 접착되어야 하는데 이 프로세스는 번거롭다. 또한, 각도를 엄격하게 제어하면서 복수개의 막을 적층하는 제조 단계가 필요하고, 각도의 슬라이딩으로 인하여 광 누설이 발생되어, 따라서, 흑색부의 컬러 디스플레이가 황색 또는 청색으로 변경되는 현상을 생성한다. 따라서, 롤-투-롤 접착이 필요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머의 배향축이 막 이송 방향 (종방향) 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갖도록 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제안되었다. JP-A-2000-9912 (용어 "JP-A" 는 "미심사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를의미한다) 는, 연신 방향의 좌우 단부 사이의 연신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전술한 연신 방향과 다른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플라스틱막을 일축 연신하면서, 막을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신장 연신하는 기술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 방법에 따라 예를 들면, 텐터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이송 속도를 좌우 단부에서 변경해야 하고, 이는 드로잉, 구겨짐 또는 막 슬립피지를 발생시키므로, 소망의 경사각 (편광판의 45°) 를 거의 획득할 수 없다. 좌우 단부 사이의 속도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연신 단계를 연장해야 하며, 그 장치 비용은 크게 증가된다.
JP-A-3-182701 에서는, 진행 방향으로 각도 (Θ) 를 각각 형성하는 복수개의 측면으로 쌍을 이루는 막-고정점이 연속적인 막의 양 단부 에지에 제공되고 각 쌍의 점이 막진행에 따라 Θ방향으로 막을 연신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막 진행 방향에 대해 임의의 각도 (Θ) 로 연신축을 갖는 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이 방법에서는 막의 좌우 단부 사이의 막 이동 속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드로잉 또는 구겨짐이 막에 생성되므로, 이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연신 단계를 매우 연장시켜야 하므로, 장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1990-113920 에서는, 2 에지 사이에서의 이동 거리가 다르도록 소정의 이송 영역 내에 위치되는 레일 위를 이동하는 2 열의 척으로 막의 양 에지를 그립함으로써, 막의 길이 방향을 경사지게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막을 연신한다. 그러나, 이 공정에서도 경사지게 연신할 때 드로잉 또는 구겨짐이 생성되므로, 이 프로세스는 광학막에 대해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국 특허 공개 공보 P2001-005184 호는 러빙 처리에 의하여 투과축이 경사를 갖는 편광판을 개시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러빙에의한 배향 규칙성은 막 표면으로부터 요오드 또는 2색성 염료가 충분하게 배향될 수 없도록 하는 편광자와 거의 나노-수준 영역까지의 범위까지만 유효하기 때문에, 그 결과 편광 성능이 불량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롤의 종방향으로 막을 연신하는 통상의 방법에서, 막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 높은 연신 배율로 막을 연신할 때 막 에지가 보다 강하게 구부러진다. 이는 막의 파열 등을 유발하며 연신 단계 시의 핸들링을 어렵게 한다. 또한, 다단계 연신 방법을 이용한 연신은 롤러의 회전 속도의 제어 또는 수축 및 롤 막의 에지 부분에서의 굽힘 제어와 같이 핸들링이 어렵다.
본 발명은 우수한 편광 성능을 갖는 편광판을 고수율로 획득할 수 있는 긴 편광판; 이러한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이 편광판을 이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폴리머막을 경사지게 연신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폴리머막을 경사지게 연신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폴리머막을 경사지게 연신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폴리머막을 경사지게 연신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폴리머막을 경사지게 연신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폴리머막을 경사지게 연신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 은 통상적인 편광판을 펀치한 상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편광판을 펀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 는 실시예 5 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 은 에어 블로우 장치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1 은 닙 장치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2 는 블레이드 장치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면에서의 참조 번호는 다음과 같다.
(i) 투입되는 막의 방향
(ii) 다음 단계로 막을 이송하는 방향
(a) 막을 투입하는 단계
(b) 막을 연신하는 단계
(c) 연신된 막을 다음 단계로 이송하는 단계
A1 : 고정 수단으로 막을 고정하는 위치와 막 연신을 시작하는 위치 (실질적인 고정 시작점 : 우측)
B1 : 고정 수단으로 막을 고정하는 위치 (좌측)
C1 : 막 연신을 시작하는 위치 (실질적인 고정 시작점 :좌측)
Cx : 막을 분리하는 위치 및 막을 연신하는 최종 기본 위치 (실질적인 고정분리점 : 좌측)
Ay : 막 연신의 최종 기본 위치 (실질적인 고정 분리점 : 우측)
|L1-L2| : 좌측막 고정 수단과 우측막 고정 수단 사이의 경로차
W : 막 연신 단계 종료시 실질적인 폭
θ: 연신 방향과 막 이동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각도
11 : 투입측 막의 중심선
12 :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막의 중심선
13 : 막 고정 수단의 궤도 (좌측)
14 : 막 고정 수단의 궤도 (우측)
15 : 투입측막
16 :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막
17, 17' : 막을 고정하기 (맞물리기) 시작하는 좌우점
18, 18' : 고정 수단으로부터 막을 분리하는 좌우점
21 : 투입측의 막의 중심선
22 :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막의 중심선
23 : 막 고정 수단의 궤도 (좌측)
24 : 막 고정 수단의 궤도 (우측)
25 : 투입측 막
26 :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막
27, 27' : 막을 고정하기 (맞물리기) 시작하는 좌우점
28, 28' : 고정 수단으로부터 막을 분리하는 좌우점
33, 43, 53, 63 : 막 고정 수단의 궤도 (좌측)
34, 44, 54, 64 : 막 고정 수단의 궤도 (우측)
35, 45, 55, 65 : 투입측 막
36, 46, 56, 66 :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막
71 : 흡수축 (연신축)
72 : 종방향
81 : 흡수축 (연신축)
91, 92 : 요오드 타입 편광막 (편광층)
93 : 액정셀
94 : 백라이트
101 : 에어 블로우 장치
111 : 닙 장치
121 : 블레이드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지게 연신되는 편광막을 포함하는 긴 롤 형상의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으로, 편광판을 펀치아웃하는 단계에서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수한 평탄성을 가지며 외부광으로 인하여 열화되기 어려운 고품질의 저렴한 롤-형상의 편광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광판을 펀치아웃하는 단계에서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경사지게 스트레칭된 편광막을 포함하는 650 mm 이상의 가공폭 (유효 폭) 을 갖는 고품질의 값비싼 긴 편광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편광판을 이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 결과, 본 발명자는 드로잉, 구겨짐, 막 슬립피지 등이 생성되지 않는 경사진 배향을 획득함으로써, 긴 편광판을 준비하고 편광판을 롤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하였다. 이 긴 편광판은 2 회 이상 감는 경우, 종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흡수축으로 인해 외부광이 거의 투과되지 않는다. 특히, 흡수축이 45°경사질 때, 크로스 니콜 상태가 제공된다. 따라서, 편광판에서 최외곽으로부터 2 층의 감김층 (최외곽의 2 감김층) 은 외부광을 흡수하고 3 층 이상의 감김층은 외부광에 거의 노출되지 않으므로, 편광판을 저장할 때 외부광에 의해 거의 열화되지 않는다.
본 발명자는 연신 시 편광막용 폴리머막의 종방향 텐션 및 연신 시 주변 습도를 최적화하고, 염색 시 편광막용 폴리머막이 수분 함유율을 또한 최적화함으로써, 연신 및 건조 후에 팽창율이 연신 전보다 낮게 이루어지고 동시에, 드로잉, 구겨짐, 막 슬립피지 등이 없는 650 mm 의 가공폭을 갖는 경사진 배향을 획득하는 방법을 발견하였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을 갖는 편광판, 이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 이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을 획득할 수 있다.
1. 편광성, 및 종방향에 대해 평행하지도 않고 수직하지도 않은 흡수축을 갖는 편광막을 적어도 포함하는 긴 편광판으로서, 긴 편광판은 550 nm 에서 80 % 이상의 편광도, 550 nm 에서 35 % 이상의 단일 판 투과율, 및 1 m 이상의 종방향 길이를 가지며, 긴 편광판은 3 회 이상 감겨진 롤 형상인 긴 편광판.
2. 편광 성능, 및 종방향에 대해 평행하지도 않고 수직하지도 않은 흡수축을 갖는 편광막을 적어도 포함하고, 긴 편광판은 550 nm 에서 80 % 이상의 편광도, 및 550 nm 에서 35 % 이상의 단일 판 투과율을 가지며, 긴 편광판의 종방향에 대해 수직한 가공폭은 650 mm 이상인 긴 편광판.
3. 종방향에 대해 평행하지도 않고 수직하지도 않은 흡수축을 갖는 편광막을 포함하고, 550 nm 에서 80 % 이상의 편광도 및 550 nm 에서 35 % 이상의 단일 판 투과율을 갖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조 방법은, 편광막용 폴리머막에 휘발성 성분을 포함시키는 단계; 폴리머막의 휘발성 성분 함유 분포를 5 % 이하로 감소시키는 단계; 및 다음으로 10 내지 100 ℃ 의 온도 및 70 % 이상의 습도 분위기에서 폴리머막을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판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보호막이 접착되고, 보호막의 위상지연축과 편광막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10° 이상 90° 미만인 긴 편광판.
5. 제 4 항에 있어서, 보호막은 투명막이고, 편광판의 632.8 nm 에서의 리타데이션은 10 nm 이하인 긴 편광판.
6.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편광막용 폴리머막의 양 에지를 고정 수단으로 고정하는 단계, 및 폴리머막의 종방향으로 고정 수단을 진행시키고 막에 텐션을 인가하면서, 폴리머막을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편광막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L1 이 폴리머막의 하나의 에지에서의 실질적인 고정 시작점으로부터 실질적인 고정 분리점까지의 고정 수단의 궤도를 나타내고, L2 가 폴리머의 다른 에지에서의 실질적인 고정 시작점으로부터 실질적인 고정 분리점까지의 고정 수단의 궤도를 나타내며, W 가 2 개의 실질적인 고정 분리점들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L1, L2 및 W 는 식 (2) : |L2-L1|>0.4W 로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하며, 폴리머막의 지지 특성을 유지하고 5% 이상의 휘발성 함유율이 존재하도록 하면서 폴리머막을 연신시키고, 그 후 휘발성 함유율을 감소시키면서 폴리머막을 수축시킨 후, 폴리머막이 롤-형상이 되도록 감는, 편광막을 제조하는 단계, 및 편광막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보호막을 접착하는 단계로서, 보호막의 위상지연축과 편광막의 흡수축으로 이루어지는 각도가 10°이상 90°미만이 되도록 보호막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휘발성 함유율이 10 % 이상으로 존재하도록 하면서 편광막용 폴리머막을 우선 2 내지 10 배 연신한 후, 폴리머막이 막의 종방향에 대하여 흡수축 방향 각도로 경사를 갖도록 폴리머막을 10 % 이상 수축시키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편광막용 폴리머막의 종방향으로의 이송 속도는 1 m/min 이상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광막용 폴리머막의 건조점은 고정 분리점까지 존재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0. 제 6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광막용 폴리머막은 그 표면으로 들러붙는 외부 물질을 표면적 당 1 % 이하로 감소시킨 후 연신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광막용 폴리머막은 폴리비닐 알코올계 폴리머막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연신 전 또는 연신 후에 폴리비닐 알코올계 폴리머막에 편광 소자가 흡착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3. 제 6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신 후의 수축은 건조에 의해 행해지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4. 제 6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막을 수축시키고 휘발성제 함유율을 감소시킬 때의 건조 처리 온도는 40 내지 90 ℃ 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폴리머막의 건조 후의 팽창 계수는 연신 전보다 낮은 편광판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폴리머막의 연신 전의 수분 함유율은 30 % 이상이며, 폴리머막의 건조 후의 수분 함유율은 10 % 이하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17.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후 또는 건조 동안 연신된 폴리머막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보호막을 접착한 후, 그 적층체를 후-가열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연신, 건조, 보호막의 접착, 및 후-가열 동작 각각은 연속적인 공정으로 수행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9. 제 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광막의 흡수축 방향과 종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는 20° 내지 70° 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편광막의 흡수축 방향과 종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는 40° 내지 50° 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21. 액정셀의 양측에 위치되는 액정셀 및 편광판들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로서, 편광판들 중 하나 이상은, 청구항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서 개시된 편광판, 및 청구항 제 3 항, 제 6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되는 편광판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편광판으로부터 펀치아웃 (punch out) 되는 편광판인 액정 디스플레이.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 성능을 갖는 편광막을 포함하며, 편광막의 하나 또는 양 표면에 접착층을 통하여 보호막이 제공된다. 통상, 용도에 따라, 긴 편광판 (통상, 롤 형상) 이 제조되고 편치되어, 실제 편광판이 획득된다.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편광판" 은 긴 편광판 및 펀치아웃시킨 편광판을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은 긴 편광판에서 편광막의 흡수축이 종방향에 대하여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긴 편광판을 종종 간단하게 "경사지게 배향되는" 편광판이라 한다). 종방향과 흡수축방향 사이의 경사각은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에서 9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44° 내지 46° 이다. 이 각도에 의하여, 긴 편광판을 펀치아웃하는 단계에서 단일 편광판을 고수율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경사각이 자유롭게 설정된다. 따라서, 편광판을 다른 광학 부재와 결합하여 이용할 때 최적의 각도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단일판 투과율이 550 nm 에서 35 % 이상이고, 편광도가 550 nm 에서 8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일 판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이고,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5.0 %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9 % 이상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우수한 단일 판 투과율과 편광도를 갖고 있으므로,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용할 때 콘트라스트를 상승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아래의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경사지게 배향된 편광판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즉, 폴리머막의 연신에 의하여 경사진 배향을 획득하고, 동시에, 막의 연신시 휘발성 함유율, 막의 수축시 수축율 및 연신 이전의 막의 탄성 계수를 설정한다. 또한, 연신 전에 막에 들러붙는 외부 물질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축이 종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갖는 특징적인 구성 때문에, 본 발명의 편광판을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지만, 배향축의 경사각이 종방향에 대하여 40 내지 50°인 편광막을 (TN, STN, OCB, ROCB, ECB, CPA, IPS, VA 등의 모든 액정 모드의) LCD 용 편광판,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반사방지용 원형 편광판 등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다양한 광학적 부재, 예를 들면, λ/4 판 및 λ/2 판과 같은 위상차판, 시인성 확장막, 눈부심방지막, 및 하드 코팅막과 결합되어 이용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롤형상은 길이가 1 m 이상이라면 충분하며, 3 회 이상의 감겨진다. 길이는 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지만, 길이가 너무 긴 경우 롤의 무게가 지나치게 증가된다. 따라서 길이는 10000 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김 회수는 10 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롤의 내경이 작을수록, 감김수는 크게 된다. 그러나, 컬 성질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내경이 지나치게 작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내경은 1 inc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폭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지만, 폭이 너무 작은 경우 롤 형상이 망가진다. 따라서, 폭은 5 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롤을 형성할 때, 코어를 이용할 수 있다. 코어 구성재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종이, 철, 및 알루미늄과 같은 산업적으로 통상 이용되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롤 형성 시 종방향으로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이를 위하여, 연신 시 막 중의 휘발성 함유율, 막 수축시 수축율, 종방향으로의 이송 속도, 막의 건조점, 스트레칭 이전에 막에 들러붙는 외부 물질의 양, 연신시의 온도 및 습도, 및 휘발성 함유물을 감소시키기 위한 건조 시 건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하에서는, 연신 방법을 설명하고, 그 후 주요 개념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저장 시 외부광으로 인한 열화" 는 저장 조건 하에서 광에 노출될 때, 예를 들면, 형광 램프, 백열 램프 등에 노출될 때의 편광도의 변동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편광도는 광에 노출되었을 때 감소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편광판에서, 종방향에 수직한 가공폭은 650 m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300 mm 이상이다.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경사지게 배향되는 편광판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즉, 폴리머막을 연신하여 경사진 배향을 획득하고, 연신시 편광막용 폴리머막의 종방향의 텐션과 주변습도를 최적화하고, 염색시 편광막용 폴리머막의 수분함유율을 최적화하며, 연신 및 건조 후 팽창율을 연신전보다 낮게 한다. 또한, 연신 전에 막에 들러붙는 외부 물질의 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색 단계에서, 막의 염색과 경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650 mm 이상의 가공폭을 갖는 넓은 편광판을 획득하기 위하여, 염색후 막의 수분함유율, 막의 연신시 롤의 종방향으로의 텐션 및 주변습도, 및 연신 후 팽창율을 최적화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요한 개념을 각각 아래에설명한다.
<가공폭>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가공폭은, 통상 보호막을 접착한 후 맞물림을 위한 에지가 절단되는, 편광막용 폴리머막을 연신 및 건조하여 획득한 롤형상의 편광판의 종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폭을 의미한다. 편광막용 폴리머막은 텐터 클립에 맞물려지고 연신되지 않은 맞물림폭은 연속으로 막의 에지에 남게된다. 맞물림폭 부분은 편광 성능을 갖지 않을 뿐 아니라 보호막을 부착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맞물림폭 부분을 절단하지만, 이 경우, 에지 절단폭이 넓어질수록 편광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에지 절단폭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서 에지 절단폭은 연신 후 막 폭의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가공폭은 650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300 mm 이상이므로, 에지 절단폭 비율은 전술한 범위 내에서 감소될 수 있고, 폴리머막에서 이용할 수 있는 부분의 비율이 증가될 수 있어, 편광판의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연신시의 습도>
막의 연신시의 습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막을 연신할 수 없을뿐 아니라 텐터의 결함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연신시의 습도가 높을 때, 편광 성능의 열화와 같은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연신이 용이하게 되므로, 이는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폴리비닐 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와 같은 휘발성 함유물로서 수분을 갖는 막을 연신할 때, 이 막을 물론 고습 조건 분위기에서 연신시킬 수있다. 폴리비닐 알코올의 경우, 습도는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다.
<종방향의 텐션>
폴리머막의 맞물림, 연신, 건조 단계에서, 종방향으로 텐션을 지속적으로 인가해야 한다. 막을 맞물림할 때 텐션이 불충분한 경우, 맞물림폭이 감소할 뿐 아니라 연신시 고정 수단으로부터 막이 빠져나오는 반면, 텐션이 너무 강한 경우, 막이 고정 수단에 걸리게 되고 맞물려지지 않을 뿐 아니라 막이 맞물려진 후 맞물림 폭부분이 구부러져서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막의 종방향으로 일정한 텐션을 인가하면서, 막을 연신하고, 건조하며, 수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막의 양 단부를 고정 수단으로 고정할 때 막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여, 고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본 방법의 특정 예는 텐션 제어기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텐션을 인가함으로써 막을 텐션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텐션은 스트레칭 전에 막 상태에 따라 변화하지만 막을 느슨하게 하지 않을 정도로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종방향으로의 텐션의 최적값은 폴리머막의 종류와 종방향으로의 이송 속도에 따라 변화한다. 최적의 텐션은, 맞물림 직전에 이송 롤의 막 에지가 롤과 접촉하거나 리프팅하는 것을 반복하도록 하는 상태를 제공하는 텐션이다. 텐션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 N/m,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450 N/m 이다.
<휘발성제 함유율>
좌우 경로가 연신 단계에서 상이한 경우, 막의 구겨짐 또는 슬립피지가 생성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막을 연신하기 전의 5 % 이상의 휘발성제가 잔존하도록 유지하면서 폴리머막을 연신하고, 그 후 막을 수축시켜 휘발성제 함유율을 감소시키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휘발성제 함유율은 막의 단위 부피당 함유되는 휘발성 성분의 부피를 의미하며, 막 부피를 휘발성 성분의 부피로 나눈 값이다.
본 발명에서, 휘발성제를 함유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편광판용 폴리머막을 연신하기 전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휘발성 함유물을 포함시키는 단계는 예를 들면 막을 캐스팅하고 용매 또는 물을 포함시키거나, 막을 용매 또는 물에 딥핑, 코팅, 스프레잉하여 수행된다. 뒤에 설명될 <염색 제형/방법> 및 <경화제, 금속염의 첨가> 에서 염색 단계 또는 경화제를 첨가하는 단계는 휘발성 함유물을 포함시키는 단계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염색 단계를 휘발성제를 함유시키는 단계로서 제공하는 경우, 경화제를 첨가하는 단계는 연신 전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휘발성 함유물을 포함시키는 단계로서 제공하는 경우, 염색 단계를 연신 전 또는 후에 제공할 수 있다. 연신 전에 제공할 때, 염색 단계와 연신 단계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휘발성제 함유율은 폴리머막의 종류에 따라 변화한다. 휘발성제 함유율은 폴리머막이 지지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한 어떤 것이 될 수 있다. 휘발성제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알코올에 대하여 10 내지 100 % 이며,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에 대하여 10 내지 200 % 이다.
<휘발성 성분 함유 분포>
긴, 특히 롤 형상의 편광판을 연속적인 단계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 염색 또는 염색되지 않은 부분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연신 전 막의 휘발성 성분이 불균일한 분포 (막 평면 위치에 따라 휘발성 성분량의 차이) 를 갖는 경우, 불균일하게 염색되거나 염색되지 않은 부분이 생성된다. 따라서, 막 내의 휘발성 성분의 함량 분포는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휘발성 성분 함유량의 분포는, 전술한 휘발성제 함유율의 평균 휘발성제 함유율에 대한, 최대값 또는 최소값과 평균 휘발성제 함유율 사이의 보다 큰 차이의 비율을 의미한다. 휘발성제 함유율의 분포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막의 전면과 후면을 균일한 공기로 블로잉 하는 방법, 닙 롤러에 의해 막을 균일하게 스퀴즈하는 방법, 또는 와이퍼 (예를 들면, 블레이드 또는 스폰지) 에 의해 휘발성 성분을 와이프 업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면 어떤 방법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도 10 내지 도 12 는 에어 블로우 장치, 닙 장치 및 블레이드 장치 각각의 예를 나타낸다.
휘발성 성분 함유량의 분포는 1m2당 휘발성제 함유율의 변동폭 (%) 을 의미한다. 휘발성제 함유율은 막의 단위 부피 당 함유되는 휘발성 성분의 부피 (%) 를 의미하며, 즉, 휘발성 성분 부피를 막 부피로 나누어 획득되는 값이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계 막을 이용하는 편광판을 제조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은 요오드 수용액에 막을 딥핑한다. 이 때, 휘발성 성분은 물이다. 50 cm ×50 cm 정사각형막의 좌우측의 각각으로부터 1 cm ×1 cm 면적의 5 부분을 균일하게 펀치아웃할 때, 평균값에 대한, 25 개 시료의 최대 수분 함유량과 최소 수분 함유량 사이의 차이의 비율에 따라서 수분 함유 분포를 결정할 수 있고, 본 드라이 방법 (bone dry method) 에 의하여 수분 함유량 (휘발성 함유율) 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 측정에 의하여 막 평면의 수분 함유량의 분포를 5 % 이하로 설정한다.
<수분 함유율, 수분 함유율의 분포>
본 발명의 편광막용 폴리머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휘발성 함유물은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경우, 크로스 방향으로의 연신 배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연신 전에 막의 수분 함유율을 증가시키고, 고온 및 고습 분위기에서 연신한 후, 수분 함유율을 빠르게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편광판의 연신 전 수분 함유율은 30 % 이상이고, 보다 많은 수분 함유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직후에 막을 건조시킨다. 연신 직후 수분 함유율은 50 % 이하이고 수분 함유율의 감소율을 보다 증가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편광막을 건조하고, 보호막을 접착하고, 그 후, 수분 함유율을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바와 같은 수분 함유율은 막의 단위 부피 당 함유되는 수분 함유물의 부피를 의미하며, 막 함유 부피를 막 부피로 나눔으로써 획득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바와 같은 수분 함유율의 분포는, 롤 형상의 막의 크로스 방향으로의 평균 수분 함유율에 대한, 수분 함유율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과 평균 수분 함유율 사이의 차이에서 보다 큰 차이와의 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막의 양 에지에서 수분 함유율의 최대값이 44.0 % 이고 최대값이 44.5 % 인 경우, 수분 함유율의 분포는 0.5 % 이다. 본 발명에서, 수분 함유율의 분포는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다. 본 발명의 편광자와 경화제를 염색하는 단계 후의 폴리머막의 수분 함유율 분포는, 큰 경우, 비균질성과 스트리크가 생성되기 때문에,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적인 단계>
본 발명에서, 휘발성 함유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연신된 폴리머막을 수축시키는 건조 단계, 및 건조 후 또는 건조 동안 적어도 막 표면에 보호막을 접착한 후 막을 후가열하는 단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막을 접착하기 위한 특정예는 건조 단계 동안 편광막의 양 에지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보호막을 편광막에 접착한 후 양 에지를 절단하는 방법, 및 건조 후 양 에지 고정부로부터 편광막을 분리하고, 막의 양 에지를 절단하며, 보호막을 이에 접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에지를 절단하기 위하여, 통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지드 툴과 같은 절삭기를 이용하여 에지들을 절단하는 방법 또는 레이져를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결합된 막을 후속 가열하여 접착제를 건조시키고 편광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속 가열 조건은 접착제에 따라 변화되지만, 수용성 접착제의 경우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3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 ℃,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 이다. 이러한 단계는 성능과 제품 효율성을 위하여 제조 라인을 통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편광막의 제조 방법에서의 경사진 배향 편광판은 다음의 설명되는 방법으로 획득될 수 있다. 즉, 폴리머막의 연신에 의해 경사진 배향이 획득되며, 동시에 휘발성 성분 함유물 분포와 막의 연신 전의 휘발성 함유율, 및 연신 온도와 연신 습도와 같은 연신 시의 연신 분위기를 설정한다. 연신 이전에 막에 들러붙는 외부 물질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해, 경사진 연신 인 경우에도 연신된 막에 드로잉 또는 구겨짐을 생성하지 않고 고품질의 저렴한 긴 편광판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막의 제조 방법에서는, 편광막에 대한 막의 양 에지를 고정 수단으로 고정하므로, 통상의 편광판 제조 수단에서와 같이 용액에서 막을 연신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이 막을 연신하는 동안 염색 용액, 경화 용액 또는 이 모두에서 막을 딥핑한 후 습기를 가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분위기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 의 온도와 70 % 이상의 습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 의 온도와 80 % 이상의 습도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 하에서, 초과의 염색 용액 또는 경화 용액의 분포는 연신 전의 막 표면에 존재한다. 이 분포는 연신 후 편광막 상에 요철부를 생성한다. 요철부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막에서의 염색 용액 또는 경화 용액의 함유 분포, 즉, 막에서의 휘발성 조성물을 연신 이전에 5 % 이하의상태가 되도록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연신 방법을 제공한 후, 중요한 개념들을 각각 설명한다.
<연신 방법>
도 1 및 도 2 는 각각 본 발명에 따라 폴리머막을 경사지게 연신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경사 연신 방법은 (a) 화살표 (i) 의 방향으로 원래의 막을 투입하는 단계, (b) 크로스 방향으로 막을 연신하는 단계, 및 (c) 다음 단계, 즉, 화살표 방향 (ii) 으로 연신된 막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의 "연신 단계" 는 이러한 단계 (a) 내지 단계 (c) 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연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단계를 나타낸다.
이 막은 방향 (i) 로부터 연속적으로 투입되고, 먼저, 위에서 볼 때 좌측에 있는 고정 수단에 의하여 점 (B1) 에 고정한다. 이 점에서는 막의 다른 에지가 고정되지 않고, 텐션이 크로스 방향으로 생성되지 않는다. 즉, 점 (B1) 은 실질적으로 시작되는 점이 아니다 (이하, "실질적인 고정 시작점" 이라 한다).
본 발명에서, 실질적인 고정 시작점은 막의 양 에지를 먼저 고정하는 점으로 정의된다. 실질적인 고정 시작점은, 보다 하부측의 고정 시작점 (A1) 과, 이 고정 시작점 (A1) 으로부터 막의 중심선 (11, 도 1) 또는 중심선 (21, 도 2) 에 거의 수직하게 그려진 직선이 반대측의 고정 수단의 궤도 (13 (도 3) 또는 23 (도 4)) 와 만나는 점 (C1) 의 2 점을 포함한다.
이 점들로부터 시작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양 에지의 고정 수단에의하여 막이 이송될 때, A1 은 A2, A3 .. 로 이동한다. 각각의 단위 시간 및 C1 은 C2, C3, ... Cn 으로 유사하게 이동한다. 즉, 베이스와 같은 고정 수단이 동시에 통과하는 점 An 및 Cn 을 연결하는 직선은 이 때 연신 방향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An 은 Cn 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지연되므로 연신 방향은 이송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점진적으로 경사진다. 본 발명에서, 실질적으로 고정을 분리시키는 점 (이하, "실질적인 고정 분리점" 이라 함) 은, 막이 보다 상부측의 고정 수단을 출발하는 점 (Cx) 과, Cx 에서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막의 중심선 (12 (도 1) 또는 22 (도 2)) 에 거의 수직한 직선이 반대측의 고정 고정 수단의 궤도 (14 (도 1) 또는 24 (도 2)) 에 만나는 2 개의 점으로 정의된다.
막의 최종 연신 방향의 각도는, 실질적인 고정 분리점들 사이의 거리 (W)(Cx 와 Ay 사이의 거리) 에 대한 연신 단계의 실질적인 종료 점의 좌우 고정 수단 사이의 경로차, Ay-Ax (즉, |L1-L2|) 의 비율로 결정된다. 따라서, 다음 단계로의 이송 방향에 대한 연신 방향의 경사각 (θ) 은 다음의 관계를 만족하는 각도이다.
tanθ=W/(Ay-Ax), 즉
tanθ=W/|L1-L2|
도 1 및 도 2 의 상부측의 막 에지는, 점 (Ay) 다음이지만 다른 에지가 고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교차 방향의 연신이 새롭게 생성되지 않은 18 (도 1) 또는 28 (도 2) 까지 고정된다. 따라서, 18 및 28 은 실질적인 고정 분리점이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막의 양 에지에 나타낸 실질적인 고정 시작점이 막이 단지 좌우 고정 수단으로 둘러싸인 점이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2 개의 실질적인 고정 시작점을 보다 엄밀하게 설명하면, 이들은 좌측 또는 우측 고정점과 다른 고정점을 거의 수직하게 연결하는 직선이 막 고정 단계로 투입되는 막의 중심선과 만나고 최상부에 위치되는 2 개의 고정점인 점들로 정의된다.
유사하게, 본 발명에서, 2 개의 실질적인 고정 분리점은 좌측 또는 우측 고정점과 다른 고정점을 연결하는 직선이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막의 중심선과 거의 수직하게 만나고 최하부에 위치되는 2 개의 고정점인 점들로 정의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거의 수직하게 만난다" 는 막의 중심선이 실질적인 고정 시작점과 실질적인 고정 분리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90±0.5°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장치를 연신하는 텐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좌우측 경로 간에 차이를 생성하는 경우, 레일 길이와 같은 장치의 한계로 인하여, 고정 수단으로 맞물려지는 점과 실질적인 고정 시작점 사이, 또는 고정 수단으로부터 맞물려지지 않는 점과 실질적인 고정 분리점 사이에 큰 전위가 발생되지만, 정의된 실질적인 고정 시작점으로부터 실질적인 고정 분리점으로의 경로가 식 (1) 의 관계를 만족시킨다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좌우 고정 수단 사이의 경로의 실질적인 차이 |L1-L2| 에 대한 단계 (c) 의 출구폭 (W) 의 비율을 통해, 획득된 연신된 막의 배향축의 경사각을 제어할 수 있고, 조절할 수 있다.
편광판과 위상차막에 대하여, 종방향에 대해 45˚ 배향된 막을 종종 필요로 한다. 이 경우, 45˚에 근접하는 배향각을 획득하기 위하여, 다음의 공식 (2) 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2) : 0.9W<|L1-L2|<1.1W,
보다 상세하게는, 다음의 식 (3) 을 만족한다.
식 (3) : 0.97W<|L1-L2|<1.03W.
식 (1) 을 만족시키면서 연신 단계의 소정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내며, 이들은 장비 비용 및 생산성에 따라 자유롭게 설계될 수 있다.
막을 연신 단계로 투입하는 방향 (i) 과 막을 다음 단계로 이송하는 방향 (ii) 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는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지만, 연신 이전 및 이후의 단계를 포함하여 장치에 대한 설치 총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점에서 볼 때, 이 각도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4 에 나타낸 구성에 의해 이 값을 달성할 수 있다.
막 이송 방향을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는 이러한 방법에서는, 고정 수단의 폭의 확장에 의해서만, 편광판 또는 위상차막으로 바람직한 종방향에 대해 45˚의 배향각을 획득하는 것은 어렵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을 한번 연신시킨 후 막을 수축시키는 단계를 제공함으로써, |L1-L2|을 크게 할 수 있다.
연신율은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0.0 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배이다. 그 후 수축율은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신-수축은 또한 |L1-L2|가 크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복수회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단계에서 장비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점에서 보면, 고정 수단의 궤도에서의 굽힘의 회수와 굽힘 각도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 보면, 도 2, 3,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 이송 방향은 막의 양 에지를 고정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막의 양 에지를 고정하는 단계의 마지막에서의 막 이송 방향과 막의 실질적인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20 내지 70 ˚로 경사를 가질 수 있도록 굽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양 에지를 고정하는 동안 텐션을 인가함으로써 막을 연신하기 위한 장치는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텐터 장치이다. 통상의 2 차원 텐터와 다르게,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에지에서의 그립 수단의 경로들 사이에 차이가 나선형으로 주어지는 연신 단계를 또한 이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텐터 타입 연신 장치는 클립 고정된 체인이 레일을 따라 진행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은 수직 불균일 연신 방법을 이용할 때에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레일의 단부 단자가 단계의 입구와 출구의 다른 레일의 단부 터미널로부터 전위할 수 있고, 동시에 좌우 에지에 맞물리거나 맞물리지 않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질적인 경로 길이 (L1, L2) 는 단순하게 맞물리는 것과 맞물리지 않은 것의 거리가 아니라,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 수단이 막의 양 에지를 고정하는 경로의 길이이다.
막 이송 속도가 연신 단계의 연신 단계의 마지막에서 좌우 에지 사이에 차이를 갖는다면, 구겨짐 또는 슬립피지가 발생된다. 그러므로, 좌우막 그립 수단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막을 이송하는 것이 필요하다. 속도의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1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 이하이다. 여기서 이용되는 속도는 좌우 고정 수단 각각이 분당 진행되는 궤도 길이를 의미한다. 일반적인 텐터 연신 장치 등에서는, 체인을 구동하는 스프로킷 휠의 주기와 구동 모터의 주파수 등에 따라, 이 속도에서 초 단위 이하의 불균일이 생성되고, 수 % 의 요철이 빈번하게 생성되지만, 이들은 본 발명에 따른 속도의 차이 하에서는 발생되지 않는다.
<종방향의 이송 속도>
경화제가 첨가된 폴리비닐 알코올 막을 연신하는 경우, 연신을 진행할수록 막의 경화가 진행된다. 따라서, 폴리머막의 종방향의 이동 속도는 1 m/mi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생산성의 관점에서 속도가 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연신되는 막과 연신 장치에 따라 상한이 변화된다.
<수축>
연신 동안 또는 연신 후 연신된 폴리머막의 수축을 수행할 수 있다. 경사진 방향의 배향에 생성되는 폴리머막의 구겨짐이 제거된다면 충분하게 수축된 것이다. 막의 수축을 위하여, 막을 가열하여 휘발성 함유율을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막을 수축시킬 수 있다면 임의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막을 1/sinθ배 이상 수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θ는 종방향에 대한 배향각이다. 수축율은 10 % 이상이 바람직하다.
<휘발성 함유율>
좌우경로가 다르게 됨에 따라, 구김 또는 슬립피지가 생성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머막이 연신 단계 동안 지지 특성을 유지하고 5 % 이상의 휘발성 함유물이 존재하도록 한 후 휘발성 함유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휘발성 함유율은 막의 단위 부피당 함유되는 휘발성 함유물의 부피를 의미하며, 휘발성 성분 부피를 막 부피로 나눔으로써 획득되는 값이다. 휘발성 함유물을 포함시키는 방법의 예는, 막을 캐스팅하고 용매 또는 물을 포함하는 방법, 연신 동안 막을 용매 또는 물에 딥핑, 캐스팅, 스프레잉하는 방법, 및 연신 동안 용매 또는 물을 코팅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폴리비닐 알코올과 같은 친수성 폴리머막은 고온 고습 분위기에서 수분을 포함하므로, 고습 분위기에서 습도 조절을 한 후 막을 연신하거나 고습 조건에서 막을 연신함으로써 휘발성 함유물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과 다르게, 폴리머막의 휘발성 함유율을 5 % 이상으로 할 수 있다면 임의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휘발성 함유율은 폴리머막의 종류에 따라 변화한다. 휘발성 함유율의 최대값은 폴리머막이 지지 특성을 유지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값도 무방하다. 휘발성 함유율은 폴리비닐 알코올에 대하여 10 내지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에 대하여 10 내지 2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계수>
연신 이전의 폴리머막의 물리적인 특성에 대하여, 탄성 계수가 너무 낮은 경우, 연신 동안 또는 이후의 수축율이 감소하고 구겨짐 방지가 사라지게 되는 반면,매우 높은 경우, 큰 텐션이 연신 시에 인가되므로, 연신 시 막의 양 에지를 고정하는 부분이 증가되어야 하고 장치의 로드가 증가된다. 본 발명에서, 폴리머막의 탄성 계수는 영즈 모듈러스 (Young's modulus) 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0 MPa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MPa 이다.
<구겨짐 생성에서 소멸까지의 거리>
경사진 방향으로 배향시 생성되는 폴리머막의 구겨짐이 본 발명에서의 실질적인 고정 분리점까지 소멸된다면 충분한 것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구겨짐 생성에서 소멸까지 긴 시간이 소요된다면 연신 방향으로 분산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겨짐은 구겨짐이 생성되는 점으로부터 가능한한 짧은 진행 거리로 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예를 들면 휘발성 함유율의 휘발 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외부 물질>
본 발명에서, 연신 전에 폴리머막에 외부 물질이 접착되면, 표면이 거칠게 된다. 따라서, 외부 물질은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특히 편광판을 제조할 때, 이는 컬러/광학적 불균일성을 유발한다. 또한, 외부 물질은 보호막이 결합될 때까지 폴리머막에 들러붙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편광판은 부유 먼지가 가능한한 많이 감소되는 환경에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이용되는 외부 물질의 양은 막 표면에 들러붙는 외부 물질의 양을 표면적으로 나눔으로써 획득되고, m2당 그램수로 나타낸다. 외부물질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1 g/m2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g/m2이하이다. 양이 감소할수록 보다 바람직하다.
외부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은 특히 제한되지 않고, 연신 이전에 폴리머막에 역효과를 미치지 않고 외부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예는 외부 물질을 제거하도록 수분 플로우를 제팅 (jetting) 하는 방법, 가스 제트에 의하여 외부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및 헝겁, 고무 등의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외부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건조 : 건조 속도 및 건조점>
긴, 특히, 롤 형상의 편광판을 제조하기 위하여, 보호막은 휘발성 함유물을 감소시킨 상태로 접착되어야 한다. 폴리머막은 양 단부의 고정을 분리하기 전에 건조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 건조점은 소망의 배향각이 획득된 후 가능한한 짧은 이동 거리가 되도록 조절된다. 건조점은 막의 표면 온도가 주변의 분위기 온도와 동일하게 되는 지점을 의미한다. 전술한 이유로부터, 건조 속도는 또한 가능한한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온도>
폴리머막은 보호막과 결합될 때까지 건조되어야 하므로, 폴리비닐 알코올막을 이용하여 편광판을 준비하는 경우, 건조 온도는 20 ℃ 내지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내지 90 ℃ 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내지 85 ℃ 이다.
<팽창율>
본 발명에서, 폴리머막이 폴리비닐 알코올이고 경화제를 이용할 때, 수분에 의한 팽창율은, 완화되지 않도록 연신 전후에 차이가 있도록 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신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신 이전의 팽창율은 높고 연신 및 건조 후의 팽창율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신 이전에 수분에 의한 팽창율은 3 % 이상이고 건조 이후의 팽창율은 3 % 이하이다.
<굽힘부의 규정>
본 발명의 고정 수단의 궤도를 조절하는 레일은 큰 굽힘 비율을 갖는 것을 종종 필요로 한다. 급작스러운 굽힘으로 인한 막 그립 수단의 간섭을 회피하거나, 응력의 국부적인 집중을 회피하기 위하여, 그립 수단의 궤도는 굽힘부에서 원호 형상으로 드로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신 속도>
본 발명에서, 막이 연신되는 속도는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단위 시간 당 연신 배율로 표현할 때, 1.1 배/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배/분이다. 종방향으로의 이송 속도는 0.1 m/min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 m/min 이상이다. 보다 높은 이송 속도는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경우, 상한은 연신되는 막과 연신 장치에 따라 변화한다.
<종방향으로의 텐션>
본 발명에서는, 고정 수단에 의하여 막의 양 에지를 고정할 때,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막을 팽팽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의 특정 예는 종방향으로 텐션을 인가하여 막을 팽팽하게 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텐션은 연신 이전에 막의 상태에 따라 변화되지만, 막을 느슨하지 않게 하는 정도로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시의 온도>
본 발명에서, 막을 연신 할 때의 주변 온도는 막에 함유된 휘발성 물질의 고상점 이상으로 높은 경우 충분하게 될 수 있다. 막이 폴리비닐 알코올인 경우, 주변 온도는 2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막의 제조용 요오드산/붕산에 딥핑된 폴리비닐 알코올을 연신하는 경우, 주변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 ℃ 이다.
<연신시의 습도>
휘발성 함유물로서 수분을 갖는 막을 연신하는 경우, 이 막은 습도 조절 분위기에서 연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경화제를 첨가할 때, 수분 함량이 감소된다면, 막의 경화가 진행되고 막의 연신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습도는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다.
<편광막용 폴리머막>
본 발명에서, 연신하려는 폴리머막을 특별하게 제한하지 않으며, 적절한 열가소성을 갖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막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머의 예는 PVA, 폴리카보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및 폴리슐폰을 포함한다.
연신 전의 막의 두께를 특별하게 제한하지는 않지만, 막 고정의 안정성 및 연신의 균일성의 측면에서,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1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 이다.
편광막용 폴리머는 PVA 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PVA 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를 감화시켜 획득되지만, 불포화 카르복실산, 불포화 술포닉산, 올레핀 및 비닐 에테르와 같은 비닐 아세테이트에 의해 공중합체 가능한 성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아세토아세틸기, 술폰산기, 카르복실기, 옥시알킬렌기 등을 함유하는 변성 PVA 를 이용할 수 있다.
PVA 의 감화도를 특별하게 제한하지는 않지만, 용융성 등의 관점에서 볼 때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 mol% 이다. 또한, PVA 의 중합도는 특별하게 제한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000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 이다.
<염색 제형/방법>
PVA 와 같은 편광막의 폴리머막을 염색하여 편광막을 획득하고, 기상 또는 액상 흡착에 의하여 염색 단계를 수행한다. 액상 염색의 예로서, 요오드를 이용할 때, 수용성 요오드-요오드화 칼륨 용액에 PVA 막을 딥핑하여 염색을 수행한다. 요오드는 0.1 내지 20 g/liter 인 것이 바람직하고, 요오드화 칼륨은 1 내지 200 g/liter 인 것이 바람직하며, 요오드화 칼륨에 대한 요오드의 질량비는 1 내지 2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색 시간은 10 내지 5000 초인 것이 바람직하고, 액상 온도는 5 내지 6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색 방법은 딥핑으로만제한하지 않으며, 요오드 또는 염색 용액의 코팅 또는 스프레잉과 같은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염색 단계는 본 발명의 연신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제공될 수 있지만, 막을 적절하게 팽창시키고 그 연신을 촉진하기 때문에, 연신 단계 이전에 액상에서 염색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제 (가교결합제), 금속염의 첨가>
PVA 막을 연신함으로써 편광막을 생성하는 프로세스에서, PVA 막을 가교결합할 수 있는 경화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경사진 연신 방법을 이용할 때, 연신 단계의 마지막에서 PVA 막을 충분하게 경화하지 않은 경우, PVA 막의 배향 방향은 이 단계에서 텐션으로 인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연신 이전 단계 또는 연신 단계에서 가교결합제 용액에 PVA 막을 딥핑함으로써, 또는 용액을 코팅함으로써, 가교결합제를 PVA 막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결합제를 PVA 막에 추가하는 수단은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용액 내 또는 용액으로 막을 딥핑, 코팅 또는 스프레잉하는 것과 같은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딥핑 방법 및 코팅 방법이 바람직하다. 코팅 수단으로서, 롤 코터, 다이 코터, 바 코터, 슬라이드 코터, 및 커튼 코터와 같은 통상의 공지되는 방법 중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용액이 스며든 섬유, 면, 다공성 재료 등을 막에 접착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가교결합제로서, U. S. Re232897 을 이용할 수 있지만, 보론산 및 보락스 (borax) 를 실제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연, 코발트, 지르코늄, 철, 니켈 및 망간과 같은 금속염을 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결합제를 첨가한 후, 린싱/세정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연신 장치에 막을 맞물림하기 전 또는 후에 경화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크로스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를 실질적으로 종료하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예의 단계 (b) 마지막까지 임의의 단계로 수행할 수 있다.
<편광자>
또한, 요오드와 다르게, 2색성 염료로 막을 염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색성 염료의 특정예는 아조계 염료, 스틸벤젠계 염료, 피라졸론계 염료, 트리페닐 메탄계 염료, 퀴놀린계 염료, 옥사진계 염료, 티아딘계 염료, 및 안트라퀴논계 염료와 같은 타입의 염료화합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화합물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술폰산기, 아미노기, 및 하이드록실기와 같은 친수성 첨가물이 이러한 2색성 분자에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색성 분자의 특정예는 C.I. Direct Yellow 12, C. I. Direct Orange 39, C. I. Direct Orange 72, C.I. Direct Red 39, C.I. Direct Red 79, C.I. Direct Red 81, C.I. Direct Red 83, C.I. Direct Red 89, C.I. Direct Violet 48, C.I. Direct Blue 67, C.I. Direct Blue 90, C.I. Direct Green 59, C.I. Acid Red 37 및 JP-A-62-70802, JP-A-1-161202, JP-A-1-172906, JP-A-1-172907, JP-A-1-183602, JP-A-1-248105, JP-A-1-265205 및 JP-A-7-261024 에 개시된 염료를 포함한다. 이러한 2색성 분자를 프리 액시드, 알칼리 금속염, 암모늄염 또는 아민염으로 이용한다. 이러한 2색성 분자 중 2 이상을 혼합하여, 다양한 컬러를 갖는 편광자를 제조할 수 있다. 편광축이 수직으로 교차할 때 흑색을 제공하는 화합물 (염료) 를 혼합하거나 다양한 2색성 분자를 혼합하여 흑색 컬러를 제공하는 편광 장치 또는 편광판은, 우수한 단일판 투과율 및 편광율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특별하게 언급하지 않는 한 투과율은 단일 판 투과율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연신 방법은 소위 폴리비닐렌계 편광막의 제조에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PVA 는 탈수되거나 염소가 제거되어, 폴리렌 구조를 형성하고, 공액 이중 결합에 의하여 편광이 획득된다.
<보호막>
본 발명에서 제조된 편광막의 양 표면 또는 하나의 표면에 보호막을 접착시키고, 적층체를 편광판으로 이용한다. 보호막의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및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할 수 있다. 편광판의 보호막은 투명성, 적절한 투수성, 낮은 복굴절성 및 적절한 강성율과 같은 특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고, 이들 중,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가 바람직하며, 셀룰오로스 아세테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보호막은 일반적으로 롤 형상으로 제공되고 종방향에 일치할 수 있도록 긴 편광판으로 연속으로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보호막의 배향축 (위상지연축) 은 임의의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지만, 동작의 간단함 및 용이함을 고려하여, 보호막의 배향축이 종방향에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막의 위상지연축 (배향축) 과 편광막의 흡수축 (연신축) 사이의 각도는 또한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편광판의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본 발명의 긴 편광판의 흡수축은 종방향과 평행하지 않으므로, 종방향에 평행한 배향축을 갖는 보호막이 본 발명의 긴 편광판에 연속으로 접착될 때, 편광막의 흡수축 및 보호막의 배향축은 평행하지 않은 편광판을 획득한다. 편광막의 흡수축과 보호막의 배향축이 평행하지 않게 진행되도록 편광막과 보호막이 결합된 편광판은,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특히, 편광판을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용할 때 성능이 이롭게 발휘된다. 보호막의 위상지연축과 편광막의 흡수축 사이의 각도는 10 ° 이상 90 ° 미만이며, 40 ° 내지 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도에 의해 높은 치수 안정성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보호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임의의 물리적인 특성치를 가질 수 있으며, 수직 투과형 LCD 에 대하여 보호막을 이용하는 경우의 대표적인 바람직한 값을 아래에 나타낸다. 취급용이성 및 내구성의 관점에서, 막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 이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 이다. 리타데이션값은 632.8 nm 에서,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nm 이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nm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nm 이다. 보호막의 위상지연축은 선형 편광의 타원형 형성을 회피하기 위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편광막의 흡수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수직하게 진행된다. 그러나, 보호막에 위상차판과 같은 편광 특성 변경 기능을 부가할 때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편광판의 흡수축은 보호막의 위상지연축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를 생성할 수 있다.
가시광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다. 120 시간 동안 90 ℃ 에서 처리 후 치수 감소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01 %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01 % 이다. 막 신장 테스트시 신장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0 MPA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MPa 이다. 막의 투수성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800 g/m2·day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600 g/m2·day 이다.
물론, 본 발명은 이 값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보호막으로서 바람직한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를 아래에 설명한다. 바람직한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에서, 셀룰로오스의 하이드록실기에 대한 치환도는 다음의 식 (Ⅰ) 내지 (Ⅳ) 을 모두 만족한다.
(Ⅰ) 2.6≤A+B≤3.0
(Ⅱ) 2.0≤A≤3.0
(Ⅲ) 0≤B≤0.8
(Ⅳ) 1.9≤A-B
여기서, A 및 B 각각은 셀룰로오스의 하이드록실기에 치환되는 아실기의 치환도를 나타내며, A 는 아세틸기의 치환도이고, B 는 3 내지 5 탄소 원자를 갖는 아실기의 치환도이다. 셀룰로오스는 하나의 글루코스 단위에 3 개의 하이드록실기를 가지며, 전술한 수치는 하이드록실기에 대한 치환도가 3.0 이며 최대 치환도가 3.0 인 것을 나타낸다.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에서, 치환도 (A) 는 일반적으로 2.6 내지 3.0 이고 (이 경우, 치환되지 않은 하이드록실기는 최대 0.4이다) B 는 0 이다. 편광판의 보호막으로 이용되는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는, 아실기 모두가 아세틸기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틸기가 2.0 이상이고 3 내지 5 탄소 원자를 갖는 아실기가 0.8 이하이며 치환되지 않은 하이드록실기가 0.4 이하인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3 내지 5 탄소 원자를 갖는 아실기는 물리적 특성 측면에서 0.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의 하이드록실기에 치환되는 3 내지 5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 및 아세틱산의 측정 결합도를 계산하여 치환도를 획득할 수 있다. ASTM D-817-91 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아세틸기와 다른 3 내지 5 탄소 원자를 갖는 아실기는 프로피오닐기 (C2H5CO-), 부티릴기 (C3H7CO-)(n-, iso-) 및 바레릴기 (C4H9CO-)(n-, iso-, sec-, tert-) 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 형성된 막의 기계적인 강도, 용해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는 n-치환기가 바람직하고, n-프로피오닐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아세틸기의 치환도가 낮다면, 기계적 강도와 내습성 및 내열성이 감소된다. 3 내지 5 탄소 원자를 갖는 아실기의 치환도가 높은 경우, 유기 용매의 분해 특성은 향상되지만, 각각의 치환도가 전술한 범위 내일 때, 우수한 물리적인 특성을 획득한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의 중합도 (점도 평균) 는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70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550 이다. Ostwald 점도계에 의해 중합체의 점도 평균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의 고유 점도 [η] 로부터, 다음의 공식에 따라 중합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DP=[η]/Km
여기서, DP 는 중합체의 점도 평균도이고, Km 은 6×10-4의 상수이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의 원료인 셀룰로오스는 코튼 린터 (cotton linter) 와 우드 펄프 (wood pulp) 를 포함하지만, 임의의 재료인 셀룰로오스로부터 획득되는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를 이용할 수 있거나, 또는 그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매 캐스팅 방법에 의하여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를 제조한다. 용매 캐스팅 방법에서,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및 다양한 첨가제를 용매에 분해하여, 두꺼운 용액 (이하, "도프" 라 함) 를 제조하고, 드럼 또는 밴드와 같은 순환형 (endless) 지지부 상에 캐스트하며, 용매를 증발시켜 막을 형성한다. 도프는 10 내지 40 wt% 의 고체 함량 농도를 갖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 또는 밴드는 거울 표면을 갖도록 완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 캐스팅 방법의 캐스팅 및 건조 방법은 미국 특허 2,336,310, 2,367,603, 2,492,078, 2,492,977, 2,492,978, 2,607,704, 2,739,069, 및 2,739,070, 및 영국 특허 640,731 및 736,892, JP-B-45-4554, JP-B-49-5614, JP-A-60-176834, JP-A-60-203430 및 JP-A-62-115035 에 개시된다.
또한, 2 층 이상의 도프를 캐스팅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도프를 캐스팅하는 경우, 지지대의 진행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제공되는 복수개의 캐스팅 포트로부터의 도프 함유 캐스팅 용액에 의하여 막을 제조하고 상호 적층하며, 이 방법은 예를 들면 JP-A-61-158414, JP-A-1-122419 및 JP-A-11-198285 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2 개의 캐스팅 포트로부터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용액을 캐스팅하여 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면, JP-B-60-27562, JP-A-61-94724, JP-A-61-947245, JP-A-61-104813, JP-A-61-158413, 및 JP-A-6-134933 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고점성 도프의 플로우를 저점섬 도프로 랩핑하고 고점성 및 저점성 도프를 동시에 압출하는, JP-A-56-162617 에 개시된 캐스팅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가 분해되는 유기 용매의 예는 하이드로카본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할로게노하이드로카본 (예를 들면,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벤젠),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디에틸렌 글리콜), 케톤 (예를 들면, 아세톤), 에스테르 (예를 들면,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및 에테르 (예를 들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메틸 셀로솔브) 를 포함한다. 이 중, 1 내지 7 탄소 원소를 갖는 할로게노하이드로카본이 바람직하고, 메틸렌 클로라이드가 가장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의 용해, 지지대로부터의 스트립성, 및 기계적 강도와 광학 특성과 같은 막의 물리적 특성의 측면에서, 1 내지 5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복수개의 알코올을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코올의 함량은 용매에 전체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5 wt%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wt% 이다. 알코올의 구체적인 예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n-부탄올을 포함한다. 이들 중 메탄올, 에탄올, n-부탄올, 및 그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와 함께, 도프는 건조 후 고체 함유물이 되는 성분으로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무기 미립자, 알칼리성 토류 금속염 (예를 들면, 칼슘, 망간) 과 같은 열 안정제, 대전방지제, 화염 억제제, 윤활제, 오일제, 지지대로부터의 분리 가속제, 및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의 가수분해 억제제 등을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첨가되는 가소제는 인산 에스테르 또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이다. 인산 에스테르의 예는 TPP, TCP, 크레실 디페닐 포스페이트, 옥틸 디페닐 포스페이트, 디페닐 비페닐 포스페이트, 트리옥틸 포스페이트, 및 트리부틸 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대표적인 예는 프탈릭산 에스테르 및 시트릭산 에스테르이다. 프탈릭산 에스테르의 예는 DMP, DEP, DBP, DOP, DPP 및 DEHP 를 포함한다. 시트릭산 에스테르의 예는 OACTE, OACTB, 아세틸 트리에닐 시트레이트 및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를 포함한다.
다른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예는 부틸 올레이트, 메틸아세틸 리시놀레이트, 디부틸 세바케이트, 및 트리메틸 트리멜리테이트와 같은 트리멜리틱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글리콜릭산 에스테르의 예는 트리아세틴, 트리부틸린, 부틸프탈릴 부틸 글리콜레이트, 에틸프탈릴 에틸 글리콜레이트, 및 메틸프탈릴 에틸 글리콜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소제 중에서,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비페닐 디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크레실 디페닐 포스페이트, 트리부틸 포스페이트, 디메틸 프탈레이트, 디에틸 프탈레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틴, 에틸프탈릴 에틸 글리콜레이트 및 트리메틸 트리메틸리테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며,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비페닐 디페닐 포스페이트, 디에틸 프탈레이트, 에틸프탈릴 에틸 글리콜레이트 및 트리메틸 트리멜리테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소제는 하나 또는 2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첨가되는 가소제의 양은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에 기초하여 5 내지 30 wt%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6 wt% 이다. 이 화합물은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용액을 준비할 때 용매 또는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와 함께 첨가될 수 있으며, 용액을 준비 하는 동안 또는 준비한 후 첨가될 수 있다.
목적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살리실릭산 에스테르기, 벤조페논기, 벤조트리아졸기, 벤조에이트기, 시아노아크릴레이트기, 및 니켈 복합염기 흡수제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벤조페논기, 벤조트리아졸기, 및 살리실릭산 에스테르기 흡수제가 바람직하다. 벤조페논기 자외선 흡수제의 예에는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아세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도데실옥시벤조페논, 및 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3-메타크릴옥시)프로폭시벤조페논을 포함한다.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의 예는,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er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di-ter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di-ter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및 2-(2'-하이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을 포함한다. 살리실릭산 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의 예는 페닐 살리실레이트, p-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및 p-tert-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 중에서,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4'-메톡시벤조페논,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er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di-ter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및 2-(2'-하이드록시-3',5'-di-ter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이 바람직하다.
넓은 파장 범위에 걸쳐 높은 차단 효과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 파장이 상이한 복수개의 흡수개를 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양은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wt%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wt% 이다. 자외선 흡수제를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의 분해와 함께 동시에 첨가할 수 있고, 또는, 분해 후에 도프에 첨가할 수 있다. 특히, 캐스팅 바로 이전에 스테틱 믹서 등을 이용하여 도프에 자외선 흡수 용액을 첨가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에 첨가되는 무기 미립자의 예에는 실리카, 카올린, 활석, 규조토, 석영, 칼슘 카보네이트, 바륨 술페이트, 티타윰 옥사이드 및 알루미나를 포함하고, 이들은 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될 수 있다. 미립자는 도프에 이들을 첨가하기 이전에 고속 믹서, 볼밀, 어트리터 (attritor), 또는 초음파 디스펜서와 같은 임의의 수단에 의해, 바인더 용액에 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바인더는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와 같은 다른 첨가제와 함께 미립자를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를 이용할 수 있지만, 도프 용매에 근접한 조성을 갖는 분산제가 바람직하다. 수 평균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 이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를 분해하는 단계에서 동시에 분산 용액을 첨가할 수 있고, 또는 임의의 단계에서 도프에 첨가할 수 있지만, 자외선 흡수제와 유사하게, 스테틱 믹서 등을 이용하여 캐스팅 직전에 분산 용액을 첨가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지지대로부터의 분리 가속제로서와 같이, 계면활성제가 효과적이며 계면활성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예에는 인산계, 슐포닉계, 카르복실계, 음이온계 및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이들은 예를 들면 JP-A-61-243837 에 개시되어 있다.
보호막으로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막을 이용하는 경우, 감화,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글로우 방전 처리 등에 의하여 막 표면의 친수성을 악화시키므로, PVA계 수지에 접착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에 대한 친화도를 갖는 용매에 친수성 수지를 분산시키고 용액을 코팅하여 얇은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들 수단 중, 감화 처리는 막의 평탄성 및 물리적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막을 부식성 알칼리 수용액에 딥핑함으로써 감화 처리를 수행한다. 처리 후, 저 농도의 산으로 막을 중화시키고, 전체를 물로 세정하여, 여분의 알칼리를 제거하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막의 표면 처리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알칼리 감화 처리를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막 표면을 알칼리 용액에 딥핑하고, 산성용액으로 중화시키고, 물로 세정한 후, 막을 건조하는 사이클에 의하여 이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용액의 예는 칼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 및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포함한다. 하이드록사이드 이온의 정상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N,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N 이다. 알칼리 용액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9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 이다. 일반적으로 물로 막을 세정한 후, 산성 수용액을 통과시키고 다시 물로 세정하여, 표면 처리된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막을 획득한다. 여기서 이용되는 산의 예에는 염화수소산, 질산, 황산, 아세틱산, 포름산, 클로로아세틱산, 및 옥살산이다. 산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 N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N 이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막을 편광판의 투명 보호막으로 이용하는 경우, 편광막의 접착력의 측면에서 산 처리 및 알칼리 처리, 즉,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에 대한 감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획득되는 고체의 표면 에너지는 Realize Sha (1989년 12월 10일) Nure no Kiso to Oyo (Basis and Application od Wetting) 개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접촉각 방법, 젖음 열 방법 또는 흡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들 중, 접촉각 방법이 바람직하며, 물의 접촉각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 ° 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보호막 표면 상에, LCD 의 시야각을 보상하기 위한 광학 이방성층,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눈부심방지층 또는 반사방지층, 또는, JP-A-4-229828, JP-A-6-75115 및 JP-A-8-50206 에 개시된 LCD 의 휘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이방성 산란 또는 이방성 광학 간섭으로 인한 PS 파를 분리하는 기능을 갖는 층 (예를 들면, 폴리머 분산 액정층, 콜레스테릭 액정층), 편광판의 스크래치 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하드코팅층, 수분 함유물 또는 산소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 배리어층, 편광막에 대한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용이한 접착층, 접착제 또는 압력 감지 접착제, 또는 슬리퍼리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층과 같은 임의의 기능층을 제공할 수 있다.
편광막측 또는 편광막에 반대되는 표면 상에 기능층을 제공할 수 있다. 목적에 따라 기능층이 제공되는 단부를 적절하게 선택한다.
본 발명의 편광막의 하나의 표면 또는 양 표면 상에, 보호막으로서 다양한 기능막을 직접 접착할 수 있다. 기능막의 예는 λ/4 판 및 λ/2 판과 같은 위상차막, 광 확산층, 편광판과 반대되는 표면 상에 제공되는 전기전도층을 갖는 플라스틱셀, 이방성 산란 또는 이방성 광학 간섭 기능을 갖는 휘도 개선막, 반사방지판, 및 트랜스플렉티브 (transflective) 기능을 갖는 반사판을 포함한다.
편광판의 보호막으로서, 전술한 바람직한 보호막 중 하나의 시트 또는 복수개의 시트를 적층할 수 있다. 편광막의 양 표면에 동일한 보호막을 접착할 수 있고, 또는, 양 표면에 접착된 보호막은 상호 상이한 기능 및 물리적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보호막을 하나의 표면에만 접착할 수 있고 반대 표면에는 보호막을 접착하지 않을 수 있지만, 액정셀에 직접 접착하기 위하여 압력 감지 접착층을 그 상부에 접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가능한 분리막을 압력 감지 접착제의 외부 단부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보호막은 롤 형상으로 제공되고 종방향에 일치할 수 있도록 긴 편광판으로 연속으로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보호막의 배향축 (위상지연축) 은 임의의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지만, 동작의 간단함 및 용이함을 고려하여 보호막의 배향축이 종방향에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막의 위상지연축 (배향축) 과 편광막의 흡수축 (연신축) 사이의 각도는 또한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편광판의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긴 편광판의 흡수축은 종방향과 평행하지 않으므로, 종방향에 평행한 배향축을 갖는 보호막을 본 발명의 긴 편광판에 연속으로 접착할 때, 편광막의 흡수축 및 보호막의 배향축이 평행하지 않은 편광판을 획득한다. 편광막의 흡수축과 보호막의 배향축이 평행하지 않게 진행되도록 편광막과 보호막이 결합된 편광판은,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특히, 편광판을 액정 디스플레이용으로 이용할 때 성능이 이롭게 발휘된다. 보호막의 위상지연축과 편광막의 흡수축 사이의 경사각은 10 ° 이상 90 ° 미만이며, 20 ° 내지 8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각은 치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접착제>
편광막과 보호막을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제를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지만 그예에는 (아세토아세틸기, 술폰산기, 카르복실기 및 옥시알킬렌기와 같은 변성 PVA 를 포함하는) PVA계 수지와 보론 화합물의 수용액을 포함한다. 이들 중, PVA 수지가 바람직하다. PVA 수지에 대하여, 보론 화합물, 수용성 요오드화 칼륨 용액 등을 추가할 수 있다. 건조 후 접착층의 두께는 0.01 내지 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 이다.
<감압성 접착층>
본 발명의 편광판에서, 다른 액정 디스플레이 부재와의 접착을 위하여 감압성 접착층을 제공할 수 있다. 감압성 접착성의 표면 상에, 분리막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감압성 접착층도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또한 적절한 점성 및 감압 접착 특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건조 방법, 화학적 경화 방법, 열 경화 방법, 열 용융 방법 또는 광 경화 방법에 의하여, 아크릴계 코폴리머, 에폭시계 수지, 폴리우레탄,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테르, 부티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접착제 또는 감압성 접착제의 폴리머를 이용하여 막을 형성 및 경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에서 이용하기 위한 감압 접착층을 제공한다. 이들 중, 아크릴계 코폴리머는 접착 특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투명성, 날씨 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다.
<연속적인 단계>
본 발명에서, 휘발성 함유물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연신된 막을 수축시켜 건조하고, 건조 후 또는 건조 동안 보호막을 막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접착한후, 막을 가열하는 단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막을 접착하는 단계의 특정 예에는, 건조 단계 동안 편광막의 양 에지를 고정하는 단계를 유지하면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보호막을 편광막에 접착하는 방법, 및 건조 후 양 에지 고정부로부터 편광막을 분리하고 막의 양 에지를 절단하며 보호막을 이에 접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에지 절단을 위하여, 통상의 기술, 예를 들면, 에지드 툴 (edged tool) 과 같은 커터를 이용하여 에지를 절단하는 방법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가 건조되도록 결합막을 가열하여, 편광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조건은 접착제에 따라 다르지만 수용성 접착제의 경우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 ℃ 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 이상이다. 이러한 제조 단계는 성능 및 제조 효율성의 관점에서 연속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펀칭>
도 7 은 통상의 편광판을 펀칭하는 예를 나타내며, 도 8 은 본 발명의 편광판을 펀칭하는 예를 나타낸다. 통상의 편광판에서,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 흡수축 (71), 즉, 연신축은 종방향 (72) 과 일치하는 반면, 본 발명의 편광판에서는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 흡수축 (81), 즉 연신축은 종방향 (82) 에 대하여 45°경사를 가지며, 이 각도는 편광판의 흡수축과 액정셀 자체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 사이의, LCD 의 액정셀과 접착될 때에 형성된 각도와 일치되므로, 편칭 단계에서 경사진 펀칭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은 종방향에 따른 직선으로 절단되기 때문에, 시제의 편광판 또한 긴편광판을 펀칭하지 않지만 종방향을 따라 이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매우 향상된다.
<휘발성 조성물 함유량의 분포>
긴, 특히, 롤 형상의 편광판을 연속 단계로 제조하는 경우, 불균일한 염색 또는 염색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되지 않는다. 연신 전의 막 내의 휘발성 조성물이 불균일한 분포를 갖는 경우 (막 평면 부분에 따른 휘발성 조성물 량이 차이가 있는 경우), 이는 불균일한 염색 또는 염색되지 않는 부분을 유발한다. 따라서, 막에서의 휘발성 조성물 함유량의 분포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휘발성 함유율은 막의 단위 부피당 함우되는 휘발성 조성의 부피를 의미하며, 이는 휘발성 조성물의 부피를 막의 부피로 나눔으로써 획득되는 값이다. 그 분포는, 1 m2당 휘발성 함유율의 변동폭 (평균 휘발성 함유율에 대한, 최대값 또는 최소값과 평균 휘발성 함유율 사이의 차이 중 보다 큰 차이의 비율) 을 의미한다. 휘발성 조성물 함유율의 분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막의 전면 및 배면을 균일한 공기로 블로잉하는 방법, 닙 롤러로 막을 균일하게 스퀴즈하는 방법, 또는 와이퍼로 휘발성 조성물을 와이프 오프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도 무방하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PVA 막의 양면을 2 liter/min 의 유량의 이온 교환수로 세정하고, 표면 상의 물을 에어 블로잉으로 튀김으로써, 외부 물질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1.0 g/liter 요오드와 6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90 초 동안 25 ℃ 로 PVA 막을 딥핑하고, 추가로 40 g/liter 붕산과 3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120 초 동안 25 ℃ 에서 딥핑하였다. 다음으로, 막의 양 표면을 에어 블로잉하여 여분의 수분 함유물을 제거하고 막 내의 수분 함유율의 분포를 2 % 이하로 조절한 후, 이 막을 도 1 의 형태의 텐터 연신 장치에 막을 투입하였다. 이 막을 40 ℃ 및 95 % 의 분위기에서 6.4 배 연신하면서, 5 m/min 의 이송 속도로 100 m 를 이송한 후, 4.5 배 수축시켰다. 그 후,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 막을 60 ℃ 에서 건조하고 텐터에서 제거하였다. 절단기를 이용하여 크로스 방향으로 3 cm 의 에지를 절단하고, 그 후 3 % PVA (Kuraray Co., Ltd.에서 제조된 PVA-117H) 과 4 % 의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접착제로 이용하여, Fuji Photo Film Co., Ltd. 에서 제조된 감화된 Fujita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리타데이션값 : 3.0 nm) 을 접착하고, 60 ℃ 에서 30 분 동안 가열한 후, 3 인치의 외경을 갖는 페이퍼 토어 둘레에 감음으로써, 650 mm 의 가공폭과 100 m 의 길이를 갖는 롤 형상의 편광판을 어려움 없이 제조할 수 있었다.
건조점은 영역 c 의 중간에 있으며, PVA 막의 수분 함유율은 연신 시작 전에 30 % 이였으며 건조 후에는 1.5 % 이였다.
좌우 텐터 클립 사이의 이송 속도의 차이는 0.05 % 이하였으며, 투입된 막 중심선과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막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는 0°였다. 여기서, |L1-L2|는 0.7 m 이였으며, W 는 0.7 m 였으며, |L1-L2|=W 의 관계를 달성하였다. 텐터의 외부에서는, 막의 구겨짐 및 변형이 관찰되지 않았다.
획득된 편광판의 흡수축 방향은 종방향에 대하여 45°로 경사를 가졌으며, 또한, Fujitac 의 위상축에 대하여 45°경사를 가졌다. 550 nm 에서의 편광판의 투과율은 40.6 % 이고 편광도는 99.53 % 이였다.
이 편광판 롤을 30 일 동안 2000 lux, 50 % 및 25 ℃ 의 분위기에서 저장하였다. 외측의 2 층은 편광도가 감소되었으나, 3 번째 층은 감소되지 않았다.
또한, 편광판을 도 8 에서와 같이 310×233 mm 크기로 절단하였으며, 그 결과, 91.5 % 의 유효 면적 및 단부에 대하여 45°경사를 갖는 흡수축을 갖는 편광판을 획득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PVA 막의 양면을 2 liter/min 의 유량의 이온 교환수로 세정하고, 표면 상의 물을 에어 블로잉으로 튀김으로써, 외부 물질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1.0 g/liter 요오드와 12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90 초 동안 40 ℃ 로 PVA 막을 딥핑하고, 추가로 40 g/liter 붕산과 3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60 초 동안 40 ℃ 에서 딥핑하였다. 다음으로, 막의 양 표면을 에어 블로잉하여 여분의 수분 함유물을 제거하고 막 내의 수분 함유율의분포를 2 % 이하로 조절한 후, 이 막을 도 2 의 형태의 텐터 연신 장치에 막을 투입하였다. 이 막을 4.5 배 연신하면서, 15 m/min 의 이송 속도로 500 m 를 이송한 후,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신 방향에 대하여 텐터를 굽혔다. 그 후,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막을 수축시키면서, 이 막을 80 ℃ 에서 건조하고 텐터에서 제거하였다. 절단기를 이용하여 크로스 방향으로 3 cm 의 에지를 절단하고, 그 후 3 % PVA 수용액 (Kuraray Co., Ltd.에서 제조된 PVA-117H) 과 4 % 의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접착제로 이용하여, Fuji Photo Film Co., Ltd. 에서 제조된 감화된 Fujita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리타데이션값 : 3.0 nm) 을 접착하고, 60 ℃ 에서 30 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650 mm 의 가공폭과 500 m 의 길이를 갖는 롤 형상의 편광판을 어려움 없이 제조할 수 있었다.
건조점은 영역 c 의 1/3 지점에 있으며, PVA 막의 수분 함유율은 연신 시작 전에 32 % 이였으며 건조 후에는 1.5 % 이였다.
좌우 텐터 클립 사이의 이송 속도의 차이는 0.05 % 이하였으며, 투입된 막 중심선과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막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는 46°였다. 여기서, |L1-L2|는 0.7 m 이였으며, W 는 0.7 m 였으며, |L1-L2|=W 의 관계를 달성하였다. 텐터의 외부에서는, 실질적인 연신 방향 Ax-Cx 가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막의 중심선 (22) 에 대하여 45°로 경사를 가졌다. 텐터 외부에서는 막의 구겨짐과 변형이 발견되지 않았다.
획득된 편광판의 흡수축 방향은 종방향에 대하여 45°로 경사를 가졌다. 550 nm 에서의 편광판의 투과율은 42.1 % 이고 편광도는 99.97 % 이였다.
이 편광판 롤을 30 일 동안 2000 lux, 50 %, 및 25 ℃ 의 분위기에서 저장하였다. 외측의 2 층은 편광도가 감소되었으나, 3 번째 층부터는 감소되지 않았다.
또한, 편광판을 도 8 에서와 같이 310×233 mm 크기로 절단하였으며, 그 결과, 91.5 % 의 유효 면적 및 단부에 대하여 45°경사를 갖는 흡수축을 갖는 편광판을 획득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PVA 막의 양면을 2 liter/min 의 유량의 이온 교환수로 세정하고, 표면 상의 물을 에어 블로잉으로 튀김으로써, 외부 물질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1.0 g/liter 요오드와 12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90 초 동안 40 ℃ 로 PVA 막을 딥핑하고, 추가로 40 g/liter 붕산과 3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60 초 동안 40 ℃ 에서 딥핑하였다. 다음으로, 막의 양 표면을 에어 블로잉하여 여분의 수분 함유물을 제거하고 막 내의 수분 함유율의 분포를 10 % 이하로 조절한 후, 이 막을 도 2 의 형태의 텐터 연신 장치에 막을 투입하여 막을 4.5 배 연신하였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신 방향으로 막을 구부리고, 그 후,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막을 수축시키면서 막을 30 ℃ 에서 건조하고 텐터에서 제거하였다. 막 전체 표면에 걸쳐 염색 불균일이 생성되었으며, 구겨짐이 있었고, 거친 표면으로 인해 보호막을 접착할 수 없게 되어, 롤 형상의 편광판을 제조할 수 없었다.
[실시예 3]
LCD 용 액정셀 (93) 이 사이에 개재된 2 개의 편광판 시트로서 실시예 2 에서 준비된 요오드 편광판 (91, 92) 을 이용하였다.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판 (91) 을 디스플레이측의 편광판으로서 겹쳐놓고, 접착제를 통해 액정셀 (93) 에 접착하여 LCD 를 준비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LCD 는 우수한 휘도, 시야각 특성 및 시인성을 나타냈으며, 심지어 40 ℃ 및 30 % RH 의 분위기에서 한달 동안 방치한 후에도, 디스플레이 품질이 열화되지 않았다.
(550 nm 에서의 투과율 및 편광도의 측정)
Shimadzu Autorecording Spectrometer UV2100 으로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2 개의 편광판이 겹쳐지는 흡수축들이 일치할 때의 투과율 (H0(%)) 과, 흡수축들이 직교할 때의 투과율 (H1(%)) 로부터,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편광도 (P) 를 결정하였다.
P=[(H0-H1)/(H0+H1)]1/2×100
(리타데이션 측정)
Oji Test Instruments 에서 제조된 KOBRA21DH 를 이용하여 632.8 nm 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4]
1.0 g/liter 요오드와 12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90 초 동안 40 ℃ 로 PVA 막을 딥핑하고, 추가로 40 g/liter 붕산과 3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120 초 동안 40 ℃ 에서 딥핑하였다. 도 1 의 형태의 텐터 연신 장치에 막을 투입하여, 370 N/m 의 일정한 텐션으로 62 ℃ 및 96 % 의 분위기에서 7.0 배 연신한 후, 4.5 배 수축시켰다. 그 후,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막을 60 ℃ 에서 건조한 후 텐터에서 제거하였다.
PVA 막의 수분 함유량은 연신 시작 이전에 42.3 % 이였고, 수분 함유율의 분포는 3.8 % 이였으며, 팽창율은 31.9 % 였다. 건조 후, 수분 함유율은 4.8 % 이였으며, 팽창율은 2.0 % 이였다.
좌우 텐터 클립 사이의 이송 속도 차이는 0.05 % 미만이였으며, 투입된 막의 중심선과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막의 중심선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는 0 °이였다. 여기서, |L1-L2|는 0.7 m 이였으며, W 는 0.7 m 이였고, |L1-L2|=W 의 관계를 달성하였다. 텐터의 출구에서, 막의 구겨짐 및 변형이 관찰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3 % PVA (Kuraray Co., Ltd.에서 제조된 PVA-117H) 수용액을 접착제로 이용하여, Fuji Photo Film Co., Ltd. 에서 제조된 감화된 Fujita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리타데이션값 : 3.0 nm) 을 PVA 막과 접착하고, 그 후 80 ℃ 에서 건조하여, 670 mm 의 유효폭을 갖는 편광판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편광막의 흡수축 방향은 종방향에 대하여 45°로 경사를 가졌고, 또한, Fujitac 의 위상지연축에 대하여 45°로 경사를 가졌다.
550 nm 에서의 편광판의 투과율은 43.0 % 이였고, 편광도는 99.94 % 이였다.
[실시예 5]
1.0 g/liter 요오드와 12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90 초 동안 40 ℃ 로 PVA 막을 딥핑하고, 추가로 40 g/liter 붕산과 3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120 초 동안 40 ℃ 에서 딥핑하였다. 막의 종방향으로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도 1 의 형태의 텐터 연신 장치에 막을 투입하여, 390 N/m 의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면서 62 ℃ 및 96 % 의 분위기에서 7.0 배 연신한 후, 5.3 배 수축시켰다. 그 후,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막을 60 ℃ 에서 건조한 후 텐터에서 제거하였다.
PVA 막의 수분 함유량은 연신 시작 이전에 43.1 % 이였고, 수분 함유율의 분포는 4.0 % 이였으며, 팽창율은 32.2 % 였다. 건조 후, 수분 함유율은 4.2 % 이였으며, 팽창율은 1.9 % 이였다.
좌우 텐터 클립 사이의 이송 속도 차이는 0.05 % 미만이였으며, 투입된 막의 중심선과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막의 중심선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는 0 °이였다. 여기서, |L1-L2|는 0.7 m 이였으며, W 는 0.7 m 이였고, |L1-L2|=W 의 관계를 달성하였다. 텐터의 출구에서, 막의 구겨짐 및 변형이 관찰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3 % PVA (Kuraray Co., Ltd.에서 제조된 PVA-117H) 수용액을 접착제로 이용하여, Fuji Photo Film Co., Ltd. 에서 제조된 감화된 Fujita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리타데이션값 : 3.0 nm) 을 PVA 막과 접착하고, 그 후 80 ℃에서 건조하여, 680 mm 의 가공폭을 갖는 편광판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편광막의 흡수축 방향은 종방향에 대하여 45°로 경사를 가졌다. 550 nm 에서의 편광판의 투과율은 43.4 % 였으며 편광도는 99.93 % 였다.
[실시예 6]
PVA 막을 2 liter/min 의 유량의 이온 교환수로 세정하고, 표면 상의 물을 에어 블로잉으로 튀김으로써, 외부 물질을 제거한다. 1.0 g/liter 요오드와 12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90 초 동안 40 ℃ 로 PVA 막을 딥핑하고, 추가로 40 g/liter 붕산과 3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120 초 동안 40 ℃ 에서 딥핑하였다. 다음으로, 이 막을 도 10 형상의 텐터 연신 장치로 에어 블로잉하여, 표면 상의 물을 튀어낸다. 다음으로, 이 막을 도 1 의 형상의 텐터 연신 장치로 투입하고, 375 N/m 의 일정한 텐션을 인가하면서 64 ℃ 온도 및 91 % 습도 분위기에서 7.0 배 연신한 후, 5.3 배 수축시켰다. 그 후,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막을 60 ℃ 에서 건조하고, 텐터에서 제거하였다.
PVA 막의 수분 함유량은 연신 시작 전에 44.2 % 이였고, 수분 함유율의 분포는 4.3 % 이였으며, 팽창율은 32.7 % 였다. 건조 후, 수분 함유율은 3.9 % 이였으며, 팽창율은 1.8 % 이였다.
좌우 텐터 클립 사이의 이송 속도 차이는 0.05 % 미만이였으며, 투입된 막의 중심선과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막의 중심선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는 0 °이였다.여기서, |L1-L2|는 0.7 m 이였으며, W 는 0.7 m 이였고, |L1-L2|=W 의 관계를 달성하였다. 텐터의 출구에서, 막의 구겨짐 및 변형이 관찰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3 % PVA (Kuraray Co., Ltd.에서 제조된 PVA-117H) 수용액을 접착제로 이용하여, Fuji Photo Film Co., Ltd. 에서 제조된 감화된 Fujita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리타데이션값 : 3.0 nm) 을 PVA 막과 접착하고, 그 후 80 ℃ 에서 건조하여, 675 mm 의 가공폭을 갖는 편광판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편광막의 흡수축 방향은 종방향에 대하여 45°로 경사를 가졌다. 550 nm 에서의 편광판의 투과율은 43.1 % 였으며 편광도는 99.98 % 였다.
[실시예 7]
PVA 막을 2 liter/min 의 유량의 이온 교환수로 세정하고, 표면 상의 물을 에어 블로잉으로 튀김으로써, 외부 물질을 제거한다. 1.0 g/liter 요오드와 12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90 초 동안 40 ℃ 로 PVA 막을 딥핑하고, 추가로 40 g/liter 붕산과 3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120 초 동안 40 ℃ 에서 딥핑하였다. 다음으로, 이 막을 도 11 형상의 텐터 연신 장치로 에어 블로잉하여, 표면 상의 물을 튀어낸다. 다음으로,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면서 이 막을 도 1 의 형상의 텐터 연신 장치로 투입하고, 360 N/m 의 일정한 텐션을 인가하면서 57 ℃ 온도 및 95 % 습도 분위기에서 7.0 배 연신한 후, 5.3 배 수축시켰다. 그 후,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막을 60 ℃ 에서 건조하고, 텐터에서 제거하였다.
PVA 막의 수분 함유량은 연신 시작 전에 44.7 % 이였고, 수분 함유율의 분포는 4.4 % 이였으며, 팽창율은 33.1 % 였다. 건조 후, 수분 함유율은 3.7 % 이였으며, 팽창율은 1.6 % 이였다.
좌우 텐터 클립 사이의 이송 속도 차이는 0.05 % 미만이였으며, 투입된 막의 중심선과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막의 중심선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는 0 °이였다. 여기서, |L1-L2|는 0.7 m 이였으며, W 는 0.7 m 이였고, |L1-L2|=W 의 관계를 달성하였다. 텐터의 출구에서, 막의 구겨짐과 변형이 관찰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3 % PVA (Kuraray Co., Ltd.에서 제조된 PVA-117H) 수용액을 접착제로 이용하여, Fuji Photo Film Co., Ltd. 에서 제조된 감화된 Fujita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리타데이션값 : 3.0 nm) 을 PVA 막과 접착하고, 그 후 80 ℃ 에서 건조하여, 685 mm 의 가공폭을 갖는 편광판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편광막의 흡수축 방향은 종방향에 대하여 45°로 경사를 가졌다. 550 nm 에서의 편광판의 투과율은 43.9 % 였으며 편광도는 99.97 % 였다.
[실시예 8 : 액정 디스플레이의 제조]
LCD 용 액정셀 (97) 이 그 사이에 개재되는 2 개의 편광판 시트로서 예 5 에서 준비되는 요오드 타입 편광판 (91, 92) 을 이용하였다.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판 (91) 을 디스플레이측에 편광판으로서 겹쳐놓고 접착제를 통하여 액정셀 (97) 에 접착함으로써, LCD 를 준비하였다.
이와 같이 준비되는 LCD 는 우수한 휘도, 시야각 특성, 및 시인성을 나타냈으며, 40 ℃, 30 % RH 에서 한달 동안 방치한 후에도 디스플레이 품질이 열화되지 않았다.
[비교예 2]
1.0 g/liter 요오드와 12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90 초 동안 40 ℃ 로 PVA 막을 딥핑하고, 추가로 40 g/liter 붕산과 3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120 초 동안 40 ℃ 에서 딥핑하였다. 다음으로, 이 막을 도 1 형상의 텐터 연신 장치로 에어 블로잉하여, 표면 상의 물을 튀어낸 후, 330 N/m 의 일정한 텐션을 인가하면서 60 ℃ 온도 및 45 % 습도 분위기에서 7.0 배 연신한 후, 5.3 배 수축시켰다. 그 후,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막을 60 ℃ 에서 건조하고, 텐터에서 제거하였다.
PVA 막의 수분 함유량은 연신 시작 전에 28.9 % 이였고, 수분 함유율의 분포는 7.3 % 이였으며, 팽창율은 29.1 % 였다. 건조 후, 수분 함유율은 8.3 % 이였으며, 팽창율은 6.3 % 이였다.
좌우 텐터 클립 사이의 이송 속도 차이는 0.05 % 미만이였으며, 투입된 막의 중심선과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막의 중심선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는 0 °이였다. 여기서, |L1-L2|는 0.7 m 이였으며, W 는 0.7 m 이였고, |L1-L2|=W 의 관계를 달성하였다. 텐터의 출구에서, 막의 구겨짐과 변형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많은 수의 요철부가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3 % PVA (Kuraray Co., Ltd.에서 제조된 PVA-117H) 수용액을 접착제로 이용하여, Fuji Photo Film Co., Ltd. 에서 제조된 감화된 Fujita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리타데이션값 : 3.0 nm) 을 PVA 막과 접착하고, 그 후 80 ℃ 에서 건조하여, 450 mm 의 가공폭을 갖는 편광판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편광막의 흡수축 방향은 종방향에 대하여 45°로 경사를 가졌다. 550 nm 에서의 편광판의 투과율은 40.1 % 였으며 편광도는 96.38 % 였다.
(550 nm 에서의 투과율 및 편광도의 측정)
Shimadzu Autorecording Spectrometer UV2100 으로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겹쳐진 2 개의 편광판의 흡수축이 일치할 때의 투과율 (H0(%)) 과 흡수축이 직교할때의 투과율 (H1(%)) 로부터,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편광도 (P(%)) 를 결정하였다.
P=[(H0-H1)/(H0+H1)]1/2×100
비교예 2 와 실시예 4 내지 6 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막의 종방향으로의 텐션 및 연신시 습도를 조절 및 최적화하여, 650 mm 이상의 가공폭을 갖는 편광판을 획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신 전후의 수분 함유율, 막의 종방향으로의 텐션, 및 연신시 습도를 조절 및 최적화하여, 가공폭이 보다 증가된 편광판을 획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1.0 g/liter 요오드와 6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90 초 동안 25 ℃ 로 PVA 막을 딥핑하고, 추가로 40 g/liter 붕산과 3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120 초 동안 25 ℃ 에서 딥핑하였다. 다음으로, 이 막의 양 표면을 도 10 형상의 텐터 연신 장치로 에어 블로잉하여, 표면 상의 여분의 물을 제거하고, 막의 수분 함유율 분포를 2 % 이하까지 감소시킨다. 이 상태에서 막을 도 1 의 형상의 텐터 연신 장치로 투입하고, 40 ℃ 온도 및 95 % 습도 분위기에서 6.4 배 연신한 후, 4.5 배 수축시켰다. 그 후,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막을 60 ℃ 에서 건조하고, 텐터에서 제거하였다. 크로스 방향으로 3 cm 의 에지를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하고, 그 후, 3 % PVA (Kuraray Co., Ltd.에서 제조된 PVA-117H) 과 4 % 의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접착제로 이용하여, Fuji Photo Film Co., Ltd. 에서 제조된 감화막 Fujita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리타데이션값 : 3.0 nm) 을 PVA 막에 접착하고, 그 후 60 ℃ 에서 30 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650 mm 의 유효폭을 갖는 편광판을 큰 어려움없이 획득하였다.
PVA 막의 수분 함유량은 연신 시작 전에는 30 % 이였으며, 건조 후에는 1.5 % 이였다.
좌우 텐터 클립 사이의 이송 속도 차이는 0.05 % 미만이였으며, 투입된 막의 중심선과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막의 중심선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는 0 °였다. 여기서, |L1-L2|를 0.7 m 이였으며, W 는 0.7 m 이였고, |L1-L2|=W 의 관계를 달성하였다. 텐터의 출구에서, 막의 구겨짐 및 변형이 관찰되지 않았다.
획득된 편광판의 흡수축 방향은 종방향에 대하여 45°로 경사를 가졌으며, Fujitac 의 위상지연축에 대해서는 45°로 경사를 가졌다. 550 nm 에서의 편광판의 투과율은 40.2 % 이였고, 편광도는 99.50 % 이였다. 편광판의 표면 상태는 우수하였으며 요철이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편광판을 도 8 에서와 같이 310×233 mm 의 크기로 절단하였고, 그 결과, 91.5 % 의 면적 효율과 측면에 대하여 45 °경사진 흡수축을 갖는 편광막을 획득할 수 있었다.
[실시예 10]
1.0 g/liter 요오드와 6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90 초 동안 30 ℃ 로 PVA 막을 딥핑하고, 추가로 40 g/liter 붕산과 3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60 초 동안 30 ℃ 에서 딥핑하였다. 다음으로, 이 막의 양 표면을 도 11 의 형상의 텐터 연신 장치로 에어 블로잉하여, 표면 상의 여분의 물을 제거하고, 막의 수분 함유율 분포를 2 % 이하까지 감소시킨다. 이 상태에서 막을 도 1 의 형상의 텐터 연신 장치로 투입하고, 60 ℃ 온도 및 95 % 습도 분위기에서 4.5 배 연신한 후, 텐터를 종방향에 대하여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굽혔다. 그 후, 막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막을 수축시키면서, 막을 80 ℃ 에서 건조하고, 텐터에서 제거하였다. 크로스 방향으로 3 cm 의 에지를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하고, 그 후, 3 % PVA (Kuraray Co., Ltd.에서 제조된 PVA-117H) 과 4 % 의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접착제로 이용하여, Fuji Photo Film Co., Ltd. 에서 제조된 감화막 Fujita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리타데이션값 : 3.0 nm) 을 PVA 막에 접착하고, 그 후 60 ℃ 에서 30 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650 mm 의 유효폭을 갖는 편광판을 어려움없이 획득하였다.
PVA 막의 수분 함유량은 연신 시작 전에는 32 % 이였으며, 건조 후에는 1.5 % 이였다.
좌우 텐터 클립 사이의 이송 속도 차이는 0.05 % 미만이였으며, 투입된 막의 중심선과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막의 중심선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는 46 °였다. 여기서, |L1-L2|를 0.7 m 이였으며, W 는 0.7 m 이였고, |L1-L2|=W 의 관계를 달성하였다. 텐터의 출구에서, 실질적인 연신 방향 Ax-Cx 는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막의 중심선 (22) 에 대하여 45°로 경사를 가졌다. 텐터의 출구에서, 막의 구겨짐 및 변형이 관찰되지 않았다.
획득된 편광판의 흡수축 방향은 종방향에 대하여 45°로 경사를 가졌다. 550 nm 에서의 편광판의 투과율은 41.9 % 이였고, 편광도는 99.96 % 이였다. 편광판의 표면 상태는 우수하였으며 요철이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편광판을 도 8 에서와 같이 310×233 mm 의 크기로 절단하였고, 그 결과, 91.5 % 의 면적 효율과 측면에 대하여 45 °경사진 흡수축을 갖는 편광막을 획득할 수 있었다.
[비교예 3]
1.0 g/liter 요오드와 12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서90 초 동안 30 ℃ 로 PVA 막을 딥핑하고, 추가로 40 g/liter 붕산과 30.0 g/liter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600 초 동안 30 ℃ 에서 딥핑하였다. 다음으로, 막의 양면을 에어 블로잉하지 않고 막이 수분 함유율 분포가 10 % 인 상태에서, 막을 도 2 형상의 텐터 연신 장치로 투입하고, 62 ℃ 온도 및 95 % 습도 분위기에서 4.5 배 연신하였다. 텐터를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신 방향에 대하여 굽힌 후, 막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막을 수축시키면서, 막을 30 ℃ 에서 건조하고, 텐터에서 제거하였다. 막 표면 전체에 걸쳐 염색이 불균일하게 생성되었으며, 구겨짐이 존재하였고, 거친 표면으로 인하여 보호막을 접착시킬 수 없게 되어, 편광판을 제조하지 못하였다.
[실시예 11]
LCD 용 액정셀 (93) 이 그 사이에 개재되는 2 개의 편광판 시트로서 실시예 10 에서 준비되는 요오드 타입 편광판 (91, 92) 을 이용하였다.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판 (91) 을 디스플레이측에 편광판으로서 겹쳐놓고 접착제를 통하여 액정셀 (93) 에 접착함으로써, LCD 를 준비하였다.
이와 같이 준비되는 LCD 는 우수한 휘도, 시야각 특성, 및 시인성을 나타냈으며, 40 ℃, 30 % RH 에서 한달 동안 방치한 후에도 디스플레이 품질이 열화되지 않았다.
(550 nm 에서의 투과율 및 편광도의 측정)
Shimadzu Autorecording Spectrometer UV2100 으로 투과율을 측정하였다.또한, 겹쳐진 2 개의 편광판의 흡수축이 일치할 때의 투과율 (H0(%)) 과 흡수축이 직교할때의 투과율 (H1(%)) 로부터,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편광도 (P(%)) 를 결정하였다.
P=[(H0-H1)/(H0+H1)]1/2×100
(리타데이션의 측정)
Oji Test Instruments 에서 제조된 KOBRA21DH 를 이용하여 632.8 nm 에서 측정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지게 연시되는 편광막을 포함하는 긴 롤 형상의 편광판을 획득한다. 긴 롤 형상의 편광판은 편광판을 펀치아웃하는 단계에서 수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편광판은 우수한 저장성 및 고 성능을 갖는다. 이 편광판에 의해, 우수한 디스플레이 품질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저 비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Claims (21)

  1. 편광 성능, 및 종방향에 대해 평행하지도 않고 수직하지도 않은 흡수축을 갖는 편광막을 적어도 포함하는 긴 편광판으로서,
    상기 긴 편광판은 550 nm 에서 80 % 이상의 편광도, 550 nm 에서 35 % 이상의 단일 판 투과율, 및 1 m 이상의 종방향 길이를 가지며,
    상기 긴 편광판은 3 회 이상 감겨진 롤 형상인 긴 편광판.
  2. 편광 성능, 및 종방향에 대해 평행하지도 않고 수직하지도 않은 흡수축을 갖는 편광막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긴 편광판은 550 nm 에서 80 % 이상의 편광도, 및 550 nm 에서 35 % 이상의 단일 판 투과율을 가지며,
    상기 긴 편광판의 종방향에 대해 수직한 가공폭은 650 mm 이상인 긴 편광판.
  3. 종방향에 대해 평행하지도 않고 수직하지도 않은 흡수축을 갖는 편광막을 포함하고, 550 nm 에서 80 % 이상의 편광도 및 550 nm 에서 35 % 이상의 단일 판 투과율을 갖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편광막용 폴리머막에 휘발성 성분을 포함시키는 단계;
    상기 폴리머막의 휘발성 성분 함유 분포를 5 % 이하로 감소시키는 단계; 및
    다음으로, 10 내지 100 ℃ 의 온도 및 70 % 이상의 습도 분위기에서 상기 폴리머막을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보호막이 접착되고, 상기 보호막의 위상지연축과 상기 편광막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10° 이상 90° 미만인 긴 편광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투명막이고,
    상기 편광판의 632.8 nm 에서의 리타데이션은 10 nm 이하인 긴 편광판.
  6.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상기 편광막용 폴리머막의 양 에지를 고정 수단으로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머막의 종방향으로 상기 고정 수단을 진행시키고 상기 막에 텐션을 인가하면서, 상기 폴리머막을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편광판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L1 이 상기 폴리머막의 하나의 에지에서의 실질적인 고정 시작점으로부터 실질적인 고정 분리점까지의 고정 수단의 궤도를 나타내고, L2 가 상기 폴리머의 다른 에지에서의 실질적인 고정 시작점으로부터 실질적인 고정 분리점까지의 고정 수단의 궤도를 나타내며, W 가 2 개의 실질적인 고정 분리점들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L1, L2 및 W 는 식 (2) : |L2-L1|>0.4W 로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하며,
    상기 폴리머막의 지지 특성을 유지하고 5% 이상의 휘발성 함유율이 존재하도록 하면서 상기 폴리머막을 연신시키고, 그 후 상기 휘발성 함유율을 감소시키면서 상기 폴리머막을 수축시킨 후, 상기 폴리머막이 롤-형상이 되도록 감는, 편광막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막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보호막을 접착하는 단계로서, 상기 보호막의 상기 위상지연축과 상기 편광막의 상기 흡수축으로 이루어지는 각도가 10°이상 90°미만이 되도록 보호막을 접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함유율이 10 % 이상으로 존재하도록 하면서 상기 편광막용 폴리머막을 우선 2 내지 10 배 연신한 후,
    상기 폴리머막이 상기 막의 종방향에 대하여 상기 흡수축 방향 각도로 경사를 갖도록 상기 폴리머막을 10 % 이상 수축시키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막용 폴리머막의 종방향으로의 이송 속도는 1 m/min 이상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막용 폴리머막의 건조점은 고정 분리점까지 존재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0. 제 6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막용 폴리머막은 그 표면으로 들러붙는 외부 물질을 표면적 당 1 % 이하로 감소시킨 후 연신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막용 폴리머막은 폴리비닐 알코올계 폴리머막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전 또는 연신 후에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계 폴리머막에 편광 소자가 흡착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3. 제 6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후의 수축은 건조에 의해 행해지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4. 제 6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을 수축시키고 상기 휘발성제 함유율을 감소시킬 때의 건조 처리 온도는 40 내지 90 ℃ 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막의 건조 후의 팽창 계수는 연신 전보다 낮은 편광판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막의 연신 전의 수분 함유율은 30 % 이상이며,
    상기 폴리머막의 건조 후의 수분 함유율은 10 % 이하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17.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후 또는 건조 동안 연신된 상기 폴리머막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보호막을 접착한 후, 그 적층체를 후-가열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상기 건조, 상기 보호막의 접착, 및 상기 후-가열 동작 각각은 연속적인 공정으로 수행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9. 제 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막의 상기 흡수축 방향과 상기 종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는 20°내지 70° 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막의 상기 흡수축 방향과 상기 종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는 40° 내지 50° 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21. 액정셀의 양측에 위치되는 액정셀 및 편광판들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로서,
    상기 편광판들 중 하나 이상은,
    청구항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서 개시된 편광판, 및
    청구항 제 3 항, 제 6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되는 편광판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편광판으로부터 펀치아웃 (punch out) 되는 편광판인 액정 디스플레이.
KR10-2004-7007472A 2001-11-29 2002-11-27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액정 디스플레이 KR200400668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64710 2001-11-29
JP2001364710 2001-11-29
JPJP-P-2001-00366363 2001-11-30
JP2001366363 2001-11-30
JPJP-P-2001-00378637 2001-12-12
JP2001378637A JP2003177245A (ja) 2001-12-12 2001-12-12 偏光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2002474A JP2003227925A (ja) 2001-11-29 2002-01-09 偏光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JP-P-2002-00002474 2002-01-09
JP2002002395A JP2003227924A (ja) 2001-11-30 2002-01-09 偏光膜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JP-P-2002-00002395 2002-01-09
PCT/JP2002/012387 WO2003046620A2 (en) 2001-11-29 2002-11-27 Polarizing plate,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817A true KR20040066817A (ko) 2004-07-27

Family

ID=27532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472A KR20040066817A (ko) 2001-11-29 2002-11-27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액정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040066817A (ko)
CN (1) CN100424528C (ko)
AU (1) AU2002347634A1 (ko)
TW (1) TWI281991B (ko)
WO (1) WO200304662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7829A1 (en) * 2005-01-20 2008-01-10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Therewith
JP4562792B2 (ja) 2007-11-20 2010-10-13 日東電工株式会社 連結シート製品の製造方法、連結シート製品および光学表示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20150093591A (ko) * 2014-02-07 2015-08-1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장척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JP6152127B2 (ja) * 2015-02-16 2017-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3920A (ja) * 1988-10-25 1990-04-26 Mitsubishi Kasei Corp 延伸フィルム又はシートの製造方法
JPH03182701A (ja) * 1989-12-13 1991-08-08 Nippon Kayaku Co Ltd 延伸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
KR100258290B1 (ko) * 1995-07-17 2000-06-01 야스카와 히데아키 액정장치
JP2000009912A (ja) * 1998-06-25 2000-01-14 Nitto Denko Corp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位相差板
JP2001281452A (ja) * 2000-03-31 2001-10-10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2341320A (ja) * 2001-05-15 2002-11-27 Fuji Photo Film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光学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46620A2 (en) 2003-06-05
TW200300849A (en) 2003-06-16
WO2003046620A3 (en) 2003-09-04
CN1596375A (zh) 2005-03-16
AU2002347634A1 (en) 2003-06-10
CN100424528C (zh) 2008-10-08
TWI281991B (en) 200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090B1 (ko) 시이트 편광체, 광학 필름, 액정 디스플레이 및 시이트편광체의 제조방법
KR20180105604A (ko) 편광자의 제조 방법
JP4270429B2 (ja) テンター装置及び斜め延伸方法
KR20050043752A (ko)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디스플레이
JP2002127245A (ja) ポリマーフィルムの延伸方法、偏光膜、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3195036A (ja) 偏光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3207625A (ja) 偏光膜、その製造方法
JP2004020827A (ja) 円偏光板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40066817A (ko)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액정 디스플레이
JP2003195044A (ja) 帯電防止能を有する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4013005A (ja) 偏光膜の製造方法
JP2003207629A (ja) 偏光膜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4144943A (ja) 円偏光板
JP2003207628A (ja) 偏光板、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956534B1 (ko) 원형 편광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2003207623A (ja) 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3227927A (ja) 偏光膜、偏光板、偏光膜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3207619A (ja) 偏光膜、偏光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3207621A (ja) 偏光板、その製造方法
JP4208401B2 (ja) 偏光膜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3195054A (ja) 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3207622A (ja) 偏光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3227925A (ja) 偏光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3195033A (ja) 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3177245A (ja) 偏光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