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110A - 검안장치 및 검안차트 - Google Patents

검안장치 및 검안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6110A
KR20040066110A KR10-2004-7006821A KR20047006821A KR20040066110A KR 20040066110 A KR20040066110 A KR 20040066110A KR 20047006821 A KR20047006821 A KR 20047006821A KR 20040066110 A KR20040066110 A KR 20040066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t
eye
optical system
left eye
right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9147B1 (ko
Inventor
푸쿠마야수푸미
니시오코흐지
하야시타케푸미
야나기에이치
나가이노리유키
카토야수오
이케자와유키오
하야푸지미네키
오카모토타다시
하야시마사카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탑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탑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탑콘
Publication of KR20040066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1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binocular or stereoscopic vision, e.g. strabis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2Devices for presenting test symbols or characters, e.g. test chart pro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 A61B3/15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for alig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계되는 검안장치(2)는, 피검자의 양안시 기능을 검사하기 위해서 우측 눈용의 차트를 투영하는 우측 눈용 광학계가 설치된 본체부(5r)와, 좌측 눈용의 차트를 투영하는 좌측 눈용 광학계가 설치된 본체부(5l)를 구비하고, 그 우측 눈용 광학계 및 좌측 눈용 광학계가 피검자의 양쪽 눈을 융상시키기 위해서 동일한 융상 패턴을 투영한다.

Description

검안장치 및 검안차트{OPHTHALMOLOGIC APPARATUS AND OPHTHALMOLOGIC CHART}
종래부터, 피검자의 양안시 기능을 검사하기 위해서, 우측 눈용의 차트를 투영하는 우측 눈용 광학계와 좌측 눈용의 차트를 투영하는 좌측 눈용 광학계를 구비하는 검안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자각식의 시력검사장치에서는, 피검자의 우측 눈의 시력을 측정할 경우에는 우측 눈용 광학계에 의해 란돌트(Landolt)링 등의 차트를 투영하고, 좌측 눈의 시력을 측정할 경우에는 좌측 눈용 광학계에 의해 차트를 투영하며, 양쪽 눈의 시력을 측정할 경우에는 우측 눈용 광학계 및 좌측 눈용 광학계에 의해 동일한 차트를 투영한다.
그런데, 조절과 폭주(輻輳)는 일상생활의 속에서 항상 동반하여 증감하므로, 양자는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도 보이지만, 실제로는 조절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폭주를 증감시키거나, 또는 폭주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조절을 어느 정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목표를 단일로 똑똑히 보면서(단일 명시)조절만을 변화시키는 현상을 상대조절이라고 하고, 凸凹의 장착용 렌즈의 도수를 차례대로 높여서 마침내 단일 명시가 불가능하게 되는 양극한 사이의 범위를 상대 조절역이라고 하며, 이것을 렌즈의 도(度)로 나타낸 것을 상대 조절력(폭)이라고 한다. 또, 구면렌즈 대신에 프리즘을 베이스 바깥쪽 또는 안쪽에 하고 양쪽 눈 또는 한쪽 눈에 착용할 때, 이 프리즘을 극복하고 단일 명시를 얻는 현상을 상대 폭주라고 하며, 이것을 폭주도로 나타낸 것을 상대 폭주력(폭)이라고 한다. 단, 상대 조절 및 상대 폭주가 가능한 범위에 있어서도 양쪽 눈으로 보는데 쾌적한 경우라고 하는 것이 있으며, 건강한 정상인에게서는 그 때의 조절과 폭주의 관계가 돈델스(Donders)폭주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하기 문헌 1참조).
한편, 망원경이나 쌍안경 등의 기계를 들여다보는 경우, 시도(視度)조절이 근시측으로 되는 기계 근시의 현상이 일반적으로 보여지지만, 이와 같은 기계 근시는 단안과 쌍안, 쌍안 관찰의 경우는 시축각도, 연령에 따르는 조절력, 시야의 크기, 시야의 명암, 굴절상태 등에 의해서 -0.5D에서부터 -1D의 값을 나타내고, 조절과 폭주의 관계가 돈델스 폭주선으로부터 멀어지는 경향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하기 문헌 2참조).
[문헌 1]
추원랑(萩原朗)편 「눈의 생리학」 의학서원 1966년 pp.358~365
[문헌2]
대총임(大塚任), 여야신일(麗野伸一)편 「임상 안과 전서 제 20권」
안기능Ⅲ 금원(金原)출판 1970년 pp.462~463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검안장치에 있어서, 우측 눈용 광학계와 좌측 눈용 광학계로 다른 차트를 투영하고, 이들 차트가 양쪽 눈으로 하나의 차트라고 인식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양안시 기능을 검사하려고 할 경우, 피검자가 기계 근시에 의한 조절을 일으켜서 조절과 폭주의 관계가 돈델스 폭주선으로부터 이반하여, 우측 눈용 광학계 및 좌측 눈용 광학계의 각 투영차트가 피검자에 대해서 좌우방향으로 불안정하게 흔들려 움직여서 보이는 적이 있었다. 또는, 피검자에게 일상생활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 정도의 사위(斜位)가 있는 경우에, 본래라면 그 사위를 고려하는 일없이 검사를 진행하고 싶음에도 불구하고, 그 사위가 원인이 되어서 우측 눈용 광학계의 차트와 좌측 눈용 광학계의 투영차트가 융상되지 않고, 피검자에게 어긋나 보인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비록 우측 눈용 광학계와 좌측 눈용 광학계로 동일 차트를 투영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들의 차트는 실체적으로는 하나의 물체는 아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근시용 시력 검사시에는 피검자가 가까운 것을 보고 있다고 하는 인식이 결여되어, 상기와 같은 사위가 있을 때에는 양쪽 눈이 폭주하지 않고 융상도 하지 않는 적이 있었다. 게다가, 그 근시용 시력 검사시에 양쪽 눈이 폭주하였다 해도, 기계 근시 등에 의해 조절과 폭주의 관계가 돈델스 폭주선으로부터 너무 멀어져 버리면 우측 눈용 광학계의 투영 차트와 좌측 눈용 광학계의 투영 차트가 역시 용이하게 융상하지 않아, 실제로 검사에 시간이 걸리는 피검자가 많이 보인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우측 눈용 광학계의투영차트와 좌측 눈용 광학계의 투영차트가 어긋나 보이는 것을 방지하는 검안장치와, 이 검안장치에서 사용되는 검안차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피검자의 양안시(兩眼視) 기능을 검사하기 위해서 우측 눈용의 차트를 투영하는 우측 눈용 광학계와 좌측 눈용의 차트를 투영하는 좌측 눈용 광학계를 독립적으로 구비하는 검안장치와, 이 검안장치에서 사용되는 검안차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검안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검안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검안장치의 광학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의 광학계의 좌측 눈쪽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의 광학계를 정면에서 본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3의 광학계의 우측 눈쪽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6의 광학계를 정면에서 본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5 및 도 7에 있어서의 회전 시표판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5 및 도 7에 있어서의 융상틀 차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의 검안장치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회전 시표판에 의해 표시되는 풍경차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의 (a)는 좌측 눈용 본체부 전면의 액정 표시기에 표시된 전안부 상(像)을, (b)는 우측 눈용 본체부 전면의 액정 표시기에 표시된 전안부 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의 (a)는 비교적 시력치가 낮은 란돌트 링의 둘레에 융상틀이 표시된 예를, (b)는 비교적 시력치가 높은 란돌트 링의 둘레에 융상틀이 표시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시표의 둘레에서 마스크의 내측에 융상틀이 투영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의 (a)는 회전 시표판에 있어서 각 시력치의 란돌트 링의 둘레에 융상 차트가 그려진 예를, (b)는 회전 시표판에 있어서 소정의 시력치 이상의 란돌트 링의 둘레에 융상차트가 그려진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의 (a)는 좌측 눈에 투영되는 사위 검사용의 차트를, (b)는 우측 눈에 투영되는 사위 검사용의 차트를, (c)는 (a), (b)의 차트가 합성되어 얻어지는 차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R/G 테스트에서 사용되는 차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에서 사용되는 차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양쪽 눈의 밸런스를 잡을 때에 사용되는 차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차트와 함께 상태 식별용의 융상틀이 표시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융상틀 차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융상틀 차트를 상태 식별용으로 사용하여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를 행했을 때의 투영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근시용 검사에 사용되는 차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도 5의 광학계에 있어서 회전 시표판 대신에 액정 표시기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5는 도 7의 광학계에 있어서 회전 시표판 대신에 액정 표시기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6의 (a)는 사각형상의 융상틀을 소위 E문자의 시표와 조합시킨 예를, (b)는 원형상의 융상틀을 E문자의 시표와 조합시킨 예를, (c)는 사각형상의 융상틀을 란돌트 링의 시표와 조합시킨 예를, (d)는 원형상의 융상틀을 란돌트 링의 시표와 조합시킨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검안장치는, 피검자의 양안시 기능을 검사하기 위해서 우측 눈용의 차트를 투영하는 우측 눈용 광학계와 좌측 눈용의 차트를 투영하는 좌측 눈용 광학계를 구비하고, 피검자의 양쪽 눈을 융상시키기 위해서 우측 눈용 광학계 및 좌측 눈용 광학계가 동일한 융상 패턴을 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융상 패턴은, 우측 눈용의 차트 및 좌측 눈용의 차트와 동시에 투영되었을 때에 우측 눈용의 차트 및 좌측 눈용의 차트를 둘러싸도록 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이상의 색 중에서 어떤 색이 선택적으로 부가되어 투영되어도 된다.
우측 눈용 광학계 및 좌측 눈용 광학계는 우측 눈용의 차트 및 좌측 눈용의 차트로서 사위 검사용의 시표를 투영하거나 시력검사용 시표를 투영해도 좋으며, 시력검사용의 시표를 투영할 경우에는, 피검자의 피검안으로부터 시력 검사용 시표까지의 거리가 광학적으로 변경될 때에, 우측 눈용 광학계의 광축 및 좌측 눈용 광학계의 광축에 의해 규정되는 폭주각이 그 거리에 따라서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우측 눈용 광학계 및 좌측 눈용 광학계에 있어서, 융상 패턴을 투영하기 위한 우측 눈용 융상 패턴 투영수단 및 좌측 눈용 융상 패턴 투영수단은, 우측 눈용의 차트를 투영하기 위한 우측 눈용 차트 투영수단 및 좌측 눈용의 차트를 투영하기 위한 좌측 눈용 차트 투영수단과 일체거나 별체라도 좋으며, 어떤 구성으로 하는가는 스페이스나 코스트 등의 설계적 조건에 의거하여 결정하면 된다.
그 우측 눈용의 차트 및 좌측 눈용의 차트는 액정 표시기나 회전 시표판에 의해 투영 가능하고, 융상 패턴도 액정 표시기나 회전 시표판에 의해 투영되거나 별도로 투영되어도 되며, 또한 융상 패턴은 난시 검사시(크로스 실린더 테스트 시)에 있어서 상태의 식별에 사용되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1은 높이가 상하 조절 가능한 테이블, 2는 테이블(1)에 배치된 검안장치, 3은 테이블(1)의 앞에 배치된 의자, 4는 의자(3)에 앉은 피검자이다.
검안장치(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대부(5a), 구동기구 박스(5b), 후술하는 측정 광학계를 내장하는 좌우 1쌍의 본체부(5l, 5r), 얼굴받침장치(6)를 갖는다. 본체부(5l, 5r)는 지주(5p, 5q)에 지지되어 있다.
얼굴받침장치(6)에는 1쌍의 지주(6a, 6b)와 턱받침(6d)이 설치되어 있다. 1쌍의 지주(6a, 6b)에는 원호형상의 이마접촉대(6c)가 설치되어 있다. 턱받침(6d)은 노브(6e, 6e)에 의해 상하방향(Y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다. 또, 이마접촉대(6c)도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다.
구동기구 박스(5b)의 내부에는, 지주(5p, 5q)를 각각 X, Y, Z방향으로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XYZ 구동기구(27, 도 10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 XYZ 구동기구(27)는, 지주(5p)(또는 5q)를 X방향으로 구동하는 X방향 구동장치(26), 지주(5p)(또는 5q)를Y방향으로 구동하는 Y방향 구동장치(20), 지주(5p)(또는 5q)를 Z방향으로 구동하는 Z방향 구동장치(24)에 의해 구성되고, 각 구동장치에는 예를 들면 펄스 구동모터, 리드 스크류를 사용한 공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구동기구 박스(5b)의 내부에는, 지주(5p, 5q)를 수평면 내에서 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장치(28)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구동장치(28)에는 펄스모터와 기어의 조합을 이용하면 된다.
좌대부(5a)에는 피검자(4)가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조이스틱 레버(이하, 레버라고 함)(6h)가 설치되어 있다. 이 레버(6h)에는 버튼(6g)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5l)의 측정 광학계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전안부 촬영 광학계(30L), XYZ 얼라이먼트 광학계(31L), 고정시 광학계(32L), 굴절력 측정 광학계(33L), 융상틀 투영 광학계(90L)를 갖는다. 본체부(5r)의 측정 광학계는, 도 3,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안부 촬영 광학계(30R), XY 얼라이먼트 광학계(31R), 고정시 광학계(32R), 굴절력 측정 광학계(33R), 융상틀 투영 광학계(90R)를 갖는다.
전안부 촬영 광학계(30L)는, 전안부 조명 광학계(34) 및 촬영 광학계(35)를 갖는다. 전안부 조명 광학계(34)는, 전안부 조명용의 광원(36), 조리개(36a),광원(36)으로부터의 광을 피검안(E)(좌측 눈(EL))의 전안부에 투영하는 투영렌즈(37)를 갖는다. 촬영 광학계(35)는, 피검안(E)의 전안부로부터의 반사광이 입사되는 프리즘(P), 대물렌즈(38), 다이크로익 미러(dichroic mirror)(39), 조리개(40), 다이크로익 미러(41), 릴레이 렌즈(42, 43), 다이크로익 미러(44), 결상렌즈(CCD 렌즈)(45), CCD(46)를 갖는다.
XY 얼라이먼트 광학계(31L)는, 얼라이먼트 조명 광학계(47) 및 얼라이먼트 수광 광학계로서의 촬영 광학계(35)를 갖는다. 얼라이먼트 조명 광학계(47)는, 얼라이먼트용의 조명광원(48), 얼라이먼트 시표로서의 조리개(49), 릴레이 렌즈(50), 다이크로익 미러(41), 조리개(40), 다이크로익 미러(39), 대물렌즈(38), 프리즘(P)을 갖는다.
고정시 광학계(32L)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시표판(53), 반사 미러(54), 콜리메이트 렌즈(55), 로터리 프리즘(80), 반사 미러(56), 이동렌즈(57), 릴레이 렌즈(58, 59), VCC(배리어블 크로스 실린더) 렌즈(81), 반사미러(60), 다이크로익 미러(61, 39), 대물렌즈(38), 프리즘(P)을 갖는다. 이 고정시 광학계(32L)에서는, 피검안(E)의 굴절력에 맞춰서 이동 렌즈(57)가 펄스 모터(PMa)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피검안(E)에 고정시 운무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회전 시표판(53)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직경 60㎜ 정도의 원판형상을 이루고, 회전 시표판 구동장치(82, 도 10참조)에 의해 축선(OC)을 중심으로 회전한다(또, 도 5 및 도 7에 있어서는 축선(OC)을 반사 미러(54)로부터의 축광과 어긋나게 기재하고 있으나, 이것은 평면에서 볼 때에 겹쳐져 있어도 상관은 없다.). 회전 시표판(53)의 외주부에는, 풍경 차트 등이 그려진 큰 눈금의 시표 차트(53a)(시각 9.1°) 및 란돌트 링 등의 시표가 그려진 작은 눈금의 시표 차트(53b)(시각 1.2°)가 원주방향을 따라서 복수 설치되고, 반사미러(54)로부터의 광축 상에 위치하는 시표 차트(53a) 또는 시표 차트(53b)가 광원(83)에 조사되어서 투영됨과 동시에, 그 투영되는 시표가 회전 시표판(53)의 회전에 의해 변경되게끔 되어 있다.
굴절력 측정 광학계(33L)는, 측정광속 투영 광학계(62) 및 측정광속 수광 광학계(63)를 갖는다. 측정광속 투영 광학계(62)는, 적외LED 등의 측정용 광원(64), 콜리메이터 렌즈(65), 원추 프리즘(66), 링 시표(67), 릴레이 렌즈(68), 링형상 조리개(69), 중앙에 투과공(70a)이 형성된 구멍개방 프리즘(70), 다이크로익 미러(61, 39), 대물렌즈(38), 프리즘(P)을 갖는다.
한편, 측정광속 수광 광학계(63)는, 피검안(E)의 눈바닥(Ef)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프리즘(P), 대물렌즈(38), 다이크로익 미러(39, 61), 구멍개방 프리즘(70)의 투과공(70a), 반사미러(71), 릴레이 렌즈(72), 이동렌즈(73), 반사미러(74), 다이크로익 미러(44), 결상 렌즈(45), CCD(46)를 갖는다.
융상틀 투영 광학계(90L)는, LED(91), 콜리메이터 렌즈(92), 융상틀 차트(93), 반사미러(94), 반사미러(54), 콜리메이터 렌즈(55), 로터리 프리즘(80), 반사미러(56), 이동렌즈(57), 릴레이 렌즈(58, 59), VCC 렌즈(81), 반사미러(60), 다이크로익 미러(61, 39), 대물렌즈(38), 프리즘(P)을 갖는다. 그 LED(91), 콜리메이터 렌즈(92), 융상틀 차트(93), 반사미러(94)는 좌측 눈용 융상 패턴 투영수단을 구성하고, 융상틀 차트(93)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부(93a)와 사각틀 형상의 투광부(93b)를 갖는다.
본체부(5r)의 측정 광학계는, 본체부(5l)의 측정 광학계와 대략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전안부 촬영 광학계(30R)가 전안부 촬영계(30L)에, XY 얼라이먼트 광학계(31R)가 XY 얼라이먼트 광학계(31L)에, 고정시 광학계(32R)가 고정시 광학계(32L)에, 굴절력 측정 광학계(33R)가 굴절력 측정 광학계(33L)에, 융상틀 투영 광학계(90R)가 융상틀 투영 광학계(90L)에 각각 대응한다.), 그 로터리 프리즘(80)이 본체부(5l)에 있어서의 로터리 프리즘(80)에 비해서 광축에 대해 90° 편위되어 있는 점에서 상위하다.
이 검안장치(2)의 제어계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5l, 5r)의 제어회로(62l, 62r)를 제어하는 연산 제어회로(63c)가 설치되어 있다. 연산 제어회로(63c)에는, 레버(6h)의 경사운동 조작을 검출하는 경사운동 검출센서(12b), 버튼(6g), 레버(12)의 축선 둘레로의 회동 조작을 검출하는 회동 검출센서(12c)가 접속되어 있다. 또, 연산 제어회로(63c)에는, 액정 표시기(64l, 64r), 모니터 장치(64q)가 접속되어 있다. 액정 표시기(64l)는 본체부(5l)의 전면에 설치되어, 피검안(E)의 좌측 눈(EL)의 전안부 상을 표시한다. 액정 표시기(64r)는 본체부(5r)의 전면에 설치되어, 피검자(4)의 우측 눈(ER)의 전안부 상을 표시한다. 모니터 장치(64q)는, 좌대부(5a)에 고정된 지주(64s)에 장착되어, 피검자 스스로 검안장치(2)를 사용할 수 있게끔 사용수순을 표시한다.
검안장치(2)에는, 예를 들면 점포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피검자(4)의 내점에 맞춰서 연산제어회로(63c)에 의해 모니터 장치(64q)가 온되고, 성별, 연령,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의 착용유무 등의 문진 사항이 모니터 장치(64q)에 표시된다. 이 문진 사항에 대해서 피검자(4)가 터치 패널식으로 회답하면, 모니터 장치(64q)에는 검안장치(2)의 조작 수순을 설명하는 영상이 흐른다.
그리고, 피검자(4)가 검안의자(3)에 앉아서 턱받침(6d)에 턱을 올려놓고서, 이마 접촉대(6c)에 이마를 대면, 연산 제어회로(63c)는 피검자(4)의 좌측 눈(EL), 우측 눈(ER)에 대한 오트 얼라이먼트를 행하기 위해서, 본체부(5l, 5r)내의 전안부 조명용의 광원(36), 얼라이먼트용의 조명광원(48), 시표 투영용의 광원(83)을 점등시킨다. 이 광원(83)으로부터의 광은, 회전 시표판(53)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한 풍경차트(99)가 그려진 시표 차트(53a)를 투과하여, 반사미러(54), 콜리메이터 렌즈(55), 로터리 프리즘(80), 반사미러(56), 이동렌즈(57), 릴레이 렌즈(58, 59), VCC 렌즈(81), 반사미러(60), 다이크로익 미러(61, 39), 대물렌즈(38), 프리즘(P)을 개재하여, 피검자(4)의 피검안(E)(좌측 눈(EL) 및 우측 눈(ER)의 쌍방을 말한다. 이하 동일)의 눈바닥(Ef)에 투영된다.
또, 연산제어회로(63c)는, 본체부(5l, 5r)의 프리즘(P, P)의 중심간 거리(광축(OL, OR)의 이간거리:도 3참조)가 성인의 평균 동공간 거리(PD값)인 66㎜로 되도록, XYZ 구동기구(27)에 의해 본체부(5l, 5r)를 좌우방향으로 구동하여 초기 설정위치로 이동시킨다. 한편, 피검자(4)는 고정시표로서의 풍경차트(99)가 보이도록 턱받침(6d) 등의 높이를 조절한다.
광원(36)으로부터의 조명광은, 조리개(36a), 투영렌즈(37)를 개재하여 피검안(E)에 투영되어, 그 전안부가 조명된다. 피검안(E)의 전안부로부터의 반사광은, 프리즘(P), 대물렌즈(38), 다이크로익 미러(39), 조리개(40), 다이크로익 미러(41), 릴레이 렌즈(42, 43), 다이크로익 미러(44), 결상렌즈(45)를 개재하여 CCD(46)에 투영되어, 피검안(E)의 전안부 상의 CCD(46)에 결상된다. 제어회로(62l)는 CCD(46)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좌측 눈(EL)의 전안부 상(EL')을 액정 표시기(64l)에 표시시키고, 제어회로(62r)는 CCD(46)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우측 눈(ER)의 전안부 상(ER')을 액정 표시기(64r)에 표시시킨다(도 12참조).
한편, 조명용 광원(48)으로부터의 얼라이먼트 광속은, 얼라이먼트 시표로서의 조리개(49), 릴레이 렌즈(50), 다이크로익 미러(41), 조리개(40), 다이크로익 미러(39), 대물렌즈(38), 프리즘(P)을 개재하여 피검안(E)의 각막(C)에 투영된다. 각막(C)으로부터의 반사광은, 프리즘(P), 대물렌즈(38), 다이크로익 미러(39), 조리개(40), 다이크로익 미러(41), 릴레이 렌즈(42, 43), 다이크로익 미러(44), 결상렌즈(45)를 개재하여 CCD(46)에 결상되고, 각막(C)으로부터의 회점상(EP)을 CCD(46)상에 형성한다. 제어회로(62l, 62r)는, CCD(46)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그 휘점상(EP)을 피검안(E)의 전안부 상과 함께 액정 표시기(64l, 64r)에 표시시킨다.
제어회로(62l)는, CCD(46)로부터의 휘점상(EP)의 신호가 CCD(46)의 중심의 소정범위(S) 내에 들어가도록, 즉, 피검자(4)의 좌측 눈(EL)의 광축이 본체부(5l)의 프리즘(P)의 중심(광축(OL))과 일치하도록, X방향 구동장치(26), Y방향 구동장치(20)를 구동한다. 이 구동에 따라서, 제어회로(62l)는 피검자(4)의 좌측 눈(EL)의 광축이 본체부(5l)의 프리즘(P)의 중심과 거의 일치하는 허용범위(S)내에 들어가면, X방향 구동장치(26), Y방향 구동장치(20)의 작동을 정지시켜서 본체부(5l)의 좌측 눈(EL)에 대한 XY 얼라이먼트를 완료한다.
본체부(5l)의 좌측 눈(EL)에 대한 XY 얼라이먼트가 완료되면, CCD(46)의 휘점상(EP)이 선명하게 되도록 제어회로(62l)는 X방향 구동장치(26), Y방향 구동장치(20)와 함께 Z방향 구동장치(24)를 구동하여, 본체부(5l)를 광축(OL)방향(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휘점상(EP)이 어느 정도 선명하게 된 것을 검지하면, 제어회로(62l)는 Z얼라이먼트가 완료했다고 해서 Z방향 구동장치(24)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 제어회로(62r)는, CCD(46)로부터의 휘점상(EP)의 신호가 CCD(46)의 중심의 소정범위(S)내에 들어가도록, 즉, 피검자(4)의 우측 눈(ER)의 광축이 본체부(5r)의 프리즘(P)의 중심(광축(OR))과 일치하도록, X방향 구동장치(26), Y방향 구동장치(20)를 구동한다. 이 구동에 따라서, 제어회로(62r)는 피검자(4)의 우측 눈(ER)의 광축이 본체부(5r)의 프리즘(P)의 중심과 거의 일치하는 허용범위(S)내에 들어가면, X방향 구동장치(26), Y방향 구동장치(20)의 작동을 정지시켜서 본체부(5r)의 우측 눈(ER)에 대한 XY 얼라이먼트를 완료한다.
본체부(5r)의 우측 눈(ER)에 대한 XY 얼라이먼트가 완료되면, CCD(46)의 휘점상(EP)이 선명하게 되도록 제어회로(62r)는 X방향 구동장치(26), Y방향 구동장치(20)와 함께 Z방향 구동장치(24)를 구동하여, 본체부(5r)를 광축(OR)방향(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휘점상(EP)이 어느 정도 선명하게 된 것을 검지하면, 제어회로(62r)는 Z얼라이먼트가 완료했다고 해서 Z방향 구동장치(24)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 도 12에 있어서는 우측 눈(ER)의 휘점상(EP)이 소정범위(S)내에 들어가고, 좌측 눈(EL)의 휘점상(EP)이 소정범위(S)내에 들어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오토 얼라이먼트가 완료되면, 연산제어회로(63c)는, 제어회로(62l, 62r)를 각각 작동 제어하여, 우측 눈(ER)의 자각에 의한 시력측정(원시용 시력검사: 피검자(4)의 피검안으로부터의 시력검사용 시표까지의 거리(시력 검사거리)를 5m로 하는 시력검사)를 개시한다.
먼저, 연산제어회로(63c)는, 본체부(5r)에 있어서의 광원(83)을 점등시켜서 회전 시표판(53)에 시력치 0.1의 란돌트 링을 표시시킴과 동시에, 본체부(5l)에 있어서의 광원(83)을 소등시켜서 좌측 눈(EL)에 대한 일절의 표시를 소등한다. 그리고, 피검자(4)에게 란돌트 링의 절단선의 방향으로 레버(6h)를 넘어뜨리라는 취지, 및 절단선을 알지 못하는 경우에는 버튼(6g)을 누르라는 취지를 안내하고, 피검자(4)가 올바른 방향으로 레버(6h)를 넘어뜨렸을 때에는 시력치 0.2의 란돌트 링을, 틀린 방향으로 레버(6h)를 넘어뜨렸을 때, 또는 버튼(6g)을 눌렀을 때에는 시력치 0.1의 다른 란돌트 링을 제시한다.
그 밖에 란돌트 링에 대해서도 피검자(4)가 틀린 방향으로 레버(6h)를 넘어뜨리거나, 또는 버튼(6g)을 눌렀을 때에는 연산제어회로(63c)는 피검자(4)의 시력치는 0.1미만으로서 도시를 생략한 기억장치에 기억시킨다. 다른 란돌트 링에 대해서 피검자(4)가 올바른 방향으로 레버(6h)를 넘어뜨렸을 때에는,연산제어회로(63c)는 시력치 0.2의 란돌트 링을 제시하고, 이하, 마찬가지의 수순을 따라서 피검자(4)의 시력치를 확정한다. 여기에서는, 어떤 시력치의 란돌트 링에 대해서는 최대 4회 제시하고, 각 시력치의 란돌트 링에 대해서 레버(6h)가 올바른 방향으로 3회 넘어졌을 때에는 피검자(4)에 대해 그 시력치가 있다고 판별하지만, 란돌트 링의 시력치를 올리기 위한 정답수(또는, 란돌트 링의 시력치를 내리기 위한 오답수)는 검사자가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란돌트 링의 변경 시에, 회전 시표판(53)은 피검자(4)로부터 보아서 좌우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에, 연산제어회로(63c)는, 본체부(5l)에 있어서의 광원(83)을 점등시켜서 회전 시표판(53)에 란돌트 링을 표시시킴과 동시에, 본체부(5r)에 있어서의 광원(83)을 소등시켜서 우측 눈(ER)에 대한 일절의 표시를 소등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좌측 눈(EL)의 자각식에 의한 시력측정을 행한다.
또한, 연산제어회로(63c)는 본체부(5l, 5r)에 있어서의 회전 시표판(53)에 동일한 란돌트 링을 표시시키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양쪽 눈의 자각식에 의한 시력측정을 행하지만, 이때 피검자(4)에게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란돌트 링을 둘러싸도록 융상틀(95)이 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융상틀(95)의 시각이 종 8.9°, 횡 8.2°로서, 시표차트(53a)의 외형에 대략 내접하는 정도의 크기이며, 시표 차트(53b)의 시각(1.2°)보다도 크므로, 피검자(4)로부터 보아서 융상틀(95)은 시표차트(53b)의 외측 마스크 부분에 형성된다.
그 융상틀(95)은 융상틀 투영광학계(90L, 90R)에 의해 투영되지만, 보다 상세하게는 LED(91)의 발광이 콜리메이터 렌즈(92)를 통과한 후에 융상틀 차트(93)로 입사하고, 이 융상틀 차트(93)로부터의 틀형상을 형성하는 광(투광부(93b)를 투과한 광)이 반사미러(94)에 의해 반사되어 반사미러(54)를 투과하고, 콜리메이터 렌즈(55), 로터리 프리즘(80), 반사 미러(56), 이동렌즈(57), 릴레이 렌즈(58, 59), VCC 렌즈(81), 반사미러(60), 다이크로익 미러(61, 39), 대물렌즈(38), 프리즘(P)을 경유함으로써, 피검안(E)에 융상틀(95)이 제시된다.
그런데, 융상틀(95)은 피검자(4)의 융상을 보조하여, 예를 들면 본체부(5l, 5r)에서 제시되는 란돌트 링이 시력치 0.1일 때와 같이 비교적 큰 경우(도 13(a)와 같은 경우)에는, 란돌트 링 자체에도 어느 정도의 융상작용을 기대할 수 있으나, 본체부(5l, 5r)에서 제시되는 란돌트 링이 시력치 1.0일 때와 같이 비교적 작아 란돌트 링 자체의 융상작용이 약하다고 생각되는 경우(도 13(b)와 같은 경우)에는, 그 란돌트 링보다도 크게 보이기 쉬운 융상틀(95)의 융상작용이 한층 효과적으로 된다.
따라서, 융상틀(95)은 그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소정의 시력치(란돌트 링의 시력치) 이상의 경우에 제시되고, 소정의 시력치 미만의 경우에는 제시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란돌트 링과 함께 마스크의 내측에 융상틀(95)을 표시시키고, LED(91), 콜리메이터 렌즈(92), 융상틀 차트(93) 및 반사미러(94)를 발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회전 시표판 상의 모든 란돌트 링의 주위에 융상틀을 설치하는 것보다도 스페이스적으로 유리하게 되며, 회전 시표판 상에 보다 많은 란돌트 링을 설치할 수 있다(도 15참조). 또, 회전 지표판을 복수매 겹쳐서 설치함으로써, 비교적 작은 스페이스에 모든 란돌트 링의 주위에 융상틀을 설치할 수도 있다.
자각식 시력측정이 종료되면, 연산제어회로(63c)는 다시 한번 오토 얼라이먼트를 행하고, 그 완료에 따라서 피검자(4)의 좌측 눈(EL), 우측 눈(ER)의 타각식 안굴절력 측정을 동시에 개시한다.
이 안굴절력 측정에 있어서, 연산제어회로(63c)는 우선, 제어회로(62l, 62r)를 작동 제어하여 본체부(5l, 5r)의 측정용 광원(64, 64)을 각각 점등시키고, 이 측정용 광원(64, 64)으로부터의 적외의 측정광속을 출사시킨다.
측정용 광원(64)으로부터의 광속은, 측정광속 투영광학계(62)에 있어서, 콜리메이터 렌즈(65), 원추 프리즘(66)을 개재하여 링 시표(67)에 도달된다. 링 시표(67)를 투과한 링형상의 측정광속(링형상 시표광)은, 릴레이 렌즈(68), 링형상 조리개(69), 중앙에 투과공(70a)이 형성된 구멍개방 프리즘(70), 다이크로익 미러(61, 39), 대물렌즈(38), 프리즘(P)을 개재하여 피검자(4)의 좌측 눈(EL), 우측 눈(ER)의 눈바닥(Ef)에 투영된다.
눈바닥(Ef)에 투영된 링 형상의 측정광속은, 그 눈바닥(Ef)에 의해 반사된다. 이 반사광은, 측정광속 수광 광학계(63), 즉, 프리즘(P), 대물렌즈(38), 다이크로익 미러(61, 39), 구멍개방 프리즘(70)의 투과공(70a), 반사미러(71), 릴레이 렌즈(72), 이동 렌즈(73), 반사미러(74), 다이크로익 미러(44), 결상렌즈(45)를 개재하여 CCD(46)에 링 형상 반사상을 형성한다.
CCD(46)의 검출신호는, 본체부(5l)에 있어서는 제어회로(62l)에 입력되고,본체부(5r)에 있어서는 제어부(62r)에 입력된다. 제어회로(62l, 62r)는, 그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CCD(46)에 결상된 링 형상 반사상의 형상(크기)과 미리 설정된 기준의 링 형상 반사상의 형상(크기)를 비교하여, 좌측 눈(EL), 우측 눈(ER)의 안굴절력을 측정한다. 또한, 검안장치(2)는 CCD(46)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난시축의 축각도 및 난시도수도 타각식으로 측정할 수 있으나, 이 안굴절력, 축각도 및 난시도수의 측정원리에 대해서는 공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연산제어회로(63c)는, 도 16(c)에 도시한 十자 사위차트를 피검자(4)에게 제시하여 검사를 행한다. 이 사위검사에서는, 좌우방향(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직선형상 시표(100a, 100b)가 동일 직선 상에 배열된 차트(100)가, 본체부(5l)의 회전 시표판(53)에 의해 좌측 눈(EL)에 투영되고(동 도(a) 참조), 상하방향(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직선형상 시표(101a, 101b)가 동일 직선상에 배열된 차트(101)가, 본체부(5r)의 회전 시표판(53)에 의해 우측 눈(ER)에 투영된다(동 도(b)참조). 또, 융상틀 투영 광학계(90L, 90R)에 의해 융상틀(95)이 투영되어, 융상틀(95)이 차트(100, 101)를 둘러싸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피검자(4)에게는 4개의 선(4개의 직선형상 시표)(100a, 100b, 101a, 101b)이 보이는지의 여부가 질문되고, 보이는 경우에는 레버(6h)의 버튼(6g)을 누르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선(100a, 100b)만이 보인다면 레버(6h)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넘어뜨리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선(101a, 101b)만이 보인다면 레버(6h)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넘어뜨리도록 지시가 나온다. 여기에서, 레버(6h)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넘어진다면 우측 눈(ER)에, 전방 또는후방으로 넘어진다면 좌측 눈(EL)에 억제가 작용하고 있으며, 이제는 사위 검사는 불가능하므로, 이때 연산제어회로(63c)는 도시를 생략한 기억장치에 "사위: 정밀검사 요함"이라고 기억시키고, 사위 검사를 종료한다.
한편, 레버(6h)의 버튼(6g)이 눌려지면, 연산제어회로(63c)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선(100a, 100b)의 중간위치(차트(100)의 중심위치)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선(101a, 101b)의 중간위치(차트(101)의 중심위치)와 겹쳐져 있는지의 여부를 묻고, 겹쳐져 있다면 버튼(6g)을 누르도록 지시한다. 그리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선(101a, 101b)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선(100a, 100b)에 대해서 우로 치우쳐 있다면 레버(6h)를 우측으로 넘어뜨리도록, 좌로 치우쳐 있다면 레버(6h)를 좌측으로 넘어뜨리도록 지시를 내고, 이 시점에서 버튼(6g)이 눌려지면 상기 기억장치에 "사위: 정상"이라고 기억시키고 사위 검사를 종료한다.
레버(6h)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넘어진 경우에, 연산제어회로(63c)는 제어회로(62l, 62r)를 개재하여 본체부(5l, 5r)의 각 로터리 프리즘(80)을 회전시키고, 좌측 눈에 0.25△(△:프리즘 디옵터), 양쪽 눈에 0.50△의 프리즘 변환을 행한다.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선(101a, 101b)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선(100a, 100b)의 중간위치에 올 때까지 레버(6h)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넘어뜨리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선(101a, 101b)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선(100a, 100b)의 중간위치에 도달하였다면 버튼(6g)을 누르도록 피검자(4)에게 지시를 낸다.
연산제어회로(63c)는 레버(6h)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넘어진 회수를 가감하면서 카운트하고, 버튼(6g)이 눌려지면 그 시점에서의 카운트 수에 0.5를 곱해서 프리즘 양을 구한다. 즉, 예를 들어 레버(6h)가 우측으로 넘어졌을 때에 1을 가산함과 동시에 좌측으로 넘어졌을 때에 1을 감산하는 것으로 하고, 레버(6h)가 우측으로 3회, 좌측으로 1회 넘어지고 버튼(6g)이 눌려졌다고 하면, 버튼(6g)이 눌려진 시점에서의 카운트 수는 3(회)-1(회)=2(회)로 되어, 구한 프리즘 양은 2(회)가 되며, 구한 프리즘 양은 2(회)×0.5회(△/회)=1(△)로 된다. 여기에서는, 레버(6h)가 우로 넘어진 회수가 많으면 내사위(BO), 좌로 넘어진 회수가 많으면 외사위(BI)로 되므로, 상술한 예에 의하면 연산제어회로(63c)는 "수평사위:BO 1△"를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시키게 된다.
결국, 연산제어회로(63c)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선(100a, 100b)의 중간위치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선(101a, 101b)의 중간위치가 겹쳐져 있는지의 여부를 묻고, 겹쳐져 있다면 버튼(6g)을 누르도록 지시한다. 그리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선(100a, 100b)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선(101a, 101b)에 대해서 위로 치우져 있으면 레버(6h)를 상방으로 넘어뜨리도록, 아래로 치우쳐 있으면 레버(6h)를 하방으로 넘어뜨리도록 지시를 내고, 이 시점에서 버튼(6g)이 눌려졌다면 상기 기억장치에 "수직사위:0△"라고 기억시키고 사위검사를 종료한다.
레버(6h)가 상방으로 넘어진 경우에는, 연산제어회로(63c)는 우측 눈(ER)을 BD 프리즘, 좌측 눈(EL)을 BU 프리즘으로 판단하고, 레버(6h)가 하방으로 넘어진경우에는 연산제어회로(63c)는 우측 눈을 BU 프리즘, 좌측 눈(EL)을 BD 프리즘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선(100a, 100b)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선(101a, 101b)의 중간위치에 올 때까지 레버(6h)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넘어뜨리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선(100a, 100b)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선(101a, 101b)의 중간위치에 도달하였으면 버튼(6g)을 누르도록 지시를 낸다.
연산제어회로(63c)는 레버(6h)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넘어진 회수를 가감하면서 카운트하고, 버튼(6g)이 눌려지면 그 시점에서의 카운트 수에 0.5를 곱해서 프리즘 양을 구한다. 즉, 예를 들어 레버(6h)가 상방으로 넘어졌을 때에 1을 가산함과 동시에 하방으로 넘어졌을 때에 1을 감산하는 것으로 하고, 레버(6h)가 상방으로 3회, 하방으로 1회 넘어지고 버튼(6g)이 눌려졌다고 하면, 버튼(6g)이 눌려진 시점에서의 카운트 수는 3(회)-1(회)=2(회)로 되고, 구한 프리즘 양은 2(회)×0.5△/회)=1(△)이 된다. 여기에서는, 레버(6h)를 위로 넘어진 회수가 많으면 우측 눈상 사위, 밑으로 넘어진 회수가 많으면 좌측 눈상 사위로 되므로, 상술한 예에 의하면 연산제어회로(63c)는 "수직사위:BD 1△"를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시키고 사위검사를 종료한다.
그런데, 도 16(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트(100, 101)의 둘레에는 각각 융상틀(95)이 투영되고, 이들 융상틀(95)은 양쪽 눈으로 볼 때에 동 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겹쳐져서 보이지만, 만일 그 융상틀(95)이 표시되어 있지 않으면, 피검자(4)에게 일상생활상의 문제가 되지 않는 정도의 사위가 있는 경우에도 수평방향의 2개의 선(100a, 100b)과 수직방향의 2개의 선(101a, 101b)의 위치관계가 어긋나게 보여, 사위가 과민하게 검지되고 만다. 이것은, 어느 하나의 실체물을 양쪽 눈으로 주시시키는 것은 아니며, 좌우 독립된 2개의 광학계를 통해서 개별 차트를 투영하고, 이들 차트를 합성한 하나의 가상물(가상차트)을 양쪽 눈으로 주시시키는 것에서 기인한다. 이것에 대해서, 본 검안장치(2)에서는 좌우 본체부(5l, 5r)에 있어서 투영되는 동일한 융상틀(95)이 피검자(4)에게 융상을 촉구하므로, 피검자(4)에게 일상생활 상의 문제가 되지 않는 정도의 사위가 있더라도 차트(100, 101)를 융상시킬 수 없으며, 그 후의 검사의 진행도 지장을 주지 않는다(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융상틀에 의해서도 융상시킬 수 없는 증상을 일의적으로 사시라고는 하지 않고, 정도가 심한 사위 또는 사시라고 생각한다.).
상기 시력측정이나 사위검사 이외에도, 연산제어회로(63c)는 자각식의 검사로서 한쪽 눈씩 R/G 테스트를 행해 구면도수를 구하거나,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를 행해 난시축 각도 및 난시도수를 구하거나 할 수 있다.
R/G 테스트에서는, 연산제어회로(63c)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검자(4)에 대해서 좌에 적색 바탕에 숫자가 쓰여진 시표(102r)를, 우에 녹색 바탕에 숫자가 쓰여진 시표(102g)를 제시한다. 피검자(4)가 숫자가 확실히 보이는 방향으로 레버(6h)를 넘어뜨리면, 연산제어회로(63c)는 레버(6h)가 적색 방향(좌방향)으로 넘어진 경우에는 구면도수를 -0.25D 변화시키도록 본체부(5l)(또는 5r) 내부의 이동렌즈(57)를 이동시켜서 시도를 조정하고, 레버(6h)가 녹색 방향(우방향)으로 넘어진 경우에는 구면도수를 +0.25D 변화시키도록 이동렌즈(57)를 이동시켜서시도를 조정한다. 그리고, 레버(6h)의 조작방향이 좌(적)로부터 우(녹)로, 또는 우(녹)로부터 좌(적)로 절환된 시점에서 R/G 테스트를 종료하고, 적색 쪽이 잘 보이는 상태(또는 녹색 쪽이 잘 보이는 상태 또는 레버(6h)가 넘어지는 쪽에 따라서 정해진 색의 쪽이 잘 보이는 상태)의 구면도수를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시킨다. 또, 이동렌즈(57)의 이동 스텝은 0.25D를 단위로 하는 것은 아니라도 좋으며, 검사자가 임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에서는, 란돌트 링 또는 도 18에 도시한 크로스 실린더 차트(103)가 피검자(4)에게 시표로서 제시되고, 최초로 난시축이 측정된다.
이 난시축의 측정에서는, 연산제어회로(63c)는 본체부(5l)(또는 5r)내부의 난시 보정용 배리어블 크로스 실린더(VCC 렌즈(81))를 회전시켜서, 타각 측정에 의한 축각도를 기준으로 ±45°방향으로 각각 ±0.25D를 피검자의 난시도수에 더한다.
즉, 연산제어회로(63c)는 우선 타각 측정에 의한 축각도를 기준으로 하여 +45°의 방향에 대해서 타각 측정에 의한 난시도수에 +0.25D를, 타각 측정에 의한 축각도를 기준으로 하여 -45°의 방향에 대해서 타각 측정에 의한 난시도수에 -0.25D를 더하도록 배리어블 크로스 실린더를 회전시켜서, 피검자(4)에게 크로스 실린더 차트(103) 등의 시표를 제시하고, 이 상태가 상태 "1"임을 음성에 의해 안내한다. 결국, 연산제어회로(63c)는, 타각 측정에 의한 축각도를 기준으로 하여 +45°의 방향에 대해서 타각 측정에 의한 난시도수에 -0.25D를, 타각 측정에 의한 축각도를 기준으로 하여 -45°의 방향에 대해서 타각 측정에 의한 난시도수에 +0.25D를 더하도록 배리어블 크로스 실린더를 회전시켜서, 피검자(4)에게 시표를 제시하고 이 상태가 상태 "2"임을 음성에 의해 안내한다.
그리고, 상태 "1"일 때에 시표가 잘 보이는 경우에는 레버(6h)를 좌로, 상태 "2"일 때에 시표가 잘 보이는 경우에는 레버(6h)를 우로 넘어뜨리도록 안내하고, 피검자(4)가 레버(6h)를 넘어뜨린 방향(잘 보인다고 답한 방향)의 난시도수가 마이너스되도록 배리어블 크로스 실린더를 소정량(가령 10°)회전시킨다.
이후, 연산제어회로(63c)는 마찬가지의 수순을 반복하여, 레버(6h)의 조작방향이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절환된 시점에서 이 검안을 종료하고, 이때의 난시축의 축각도의 값을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시킨다. 또, 배리어블 크로스 실린더의 회전량(소정량)은 검사자의 설정에 의해, 또는 타각 측정에 의한 난시도수에 의해 변경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고, 그 회전량을 작게 함으로써 검안정도(구하는 축각도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난시축의 축각도가 결정되면, 연산제어회로(63c)는 이어서 난시도수의 측정을 개시한다. 이때, 사용하는 지표는 축각도를 구했을 때와 같은 것이며, 연산제어회로(63c)는 구한 축각도의 방향에 대해서 타각 측정에 의한 난시도수에 -0.25D를,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0.25D를 더하도록 배리어블 크로스 실린더를 회전시켜서, 피검자(4)에게 지표를 제시함과 동시에 이 상태가 상태 "1"임을 음성으로 안내한다. 또, 연산제어회로(63c)는 구한 축각도의 방향에 대해서 타각 측정에 의한 난시도수에 +0.25D를,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0.25D를 더하도록 배리어블 크로스 실린더를 회전시켜서, 피검자(4)에게 지표를 제시함과 동시에 이 상태가 상태 "2"임을 음성에 의해 안내한다.
그리고, 상태 "1"일 때에 시표가 잘 보이는 경우에는 레버(6h)를 좌로, 상태 "2"일 때에 시표가 잘 보이는 경우에는 레버(6h)를 우로 넘어뜨리도록 안내하고, 레버(6h)가 좌로 넘어진 경우에는 -0.25D를 더하고, 레버(6h)가 우로 넘어진 경우에는 +0.25D를 더한다.
이후, 연산제어회로(63c)는 마찬가지의 수순을 반복하여, 레버(6h)의 조작방향이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절환된 시점에서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를 종료하고, 이때의 난시도수의 값을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시킨다. 또, 여기에서 기억시키는 난시도수로서는, 레버(6h)의 조작방향이 절환 직전 또는 직후의 값이라도, 타각 측정에 의한 값에 보다 가까운 쪽의 값이라도 좋으며, 어떤 값을 택할 지를 검사자가 설정할 수 있다.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가 종료되면, 연산제어회로(63c)는 피검자(4)의 양쪽 눈에 의한 구면도수의 밸런스를 잡는다. 이 때,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우측 눈용 밸런스 차트(104r)와 좌측 눈용 밸런스 차트(104l)로 이루어지는 양안 밸런스 차트를 사용하여, R/G 테스트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양쪽 눈에 의한 구면도수의 조정을 행하지만, 이 방법에 대해서는 일반적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상기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에서는, "1"의 상태와 "2"의 상태를 최초에 음성에 의해 안내하고, 나중에는 각 상태를 피검자(4)에게 교대로 비교시켜서 응답을 구하므로, 단순히 도 18에 도시한 크로스 실린더 차트(103) 등을 제시하는 것만으로는, 피검자에 따라서는 어떤 것이 "1"의 상태이고 어떤 것이 "2"의 상태인가(현재 보이고 있는 것이 "1"의 상태인가 "2"의 상태인가)를 알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LED(91)에 2이상의 색을 발하는 다색 LED를 사용하여, 융상틀(95)을 상태에 따른 색을 부여하여 크로스 실린더 차트(103)와 함께 표시함으로써, 피검자의 편의를 도모해도 좋다. 이 경우, 연산제어회로(63c)는 예를 들어 상태 "1"일 때에는 LED(91)를 적색으로 점등시켜 크로스 실린더 차트(103)와 함께 적색의 융상틀(도 20에서 부호 95r을 부여함.)을 투영하고, 상태 "2"일 때에는 LED(91)를 적색으로 점등시켜서 크로스 실린더 차트(103)와 함께 녹색의 융상틀(도 20에서 부호 95g를 부여함)을 투영하고, 피검자(4)에 대해서 적색 차트가 잘 보이는 경우에는 레버(6h)를 좌로 넘어뜨리고, 녹색 차트가 잘 보이는 경우에는 레버(6h)를 우로 넘어뜨리라는 취지의 안내를 행한다.
이와 같이 융상틀(95)을 크로스 슬린더 테스트에도 공용함으로써, 피검자의 직감의 차나 미스에 의한 검사결과의 부정확함을 회피할 수 있어, 검안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검사 중에 피검자에 대해서 "1"의 상태와 "2"의 상태를 확실하게 판단시키기 위해서 음성 안내가 순서에 따라 흐르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이 융상틀(95)을 발색시켜서 가려서 사용하면 해당 음성 안내를 생략할 수 있어 검사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고, 검사 중에 피검자가 느끼는 부하도 경감된다.
또, 상태의 식별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보면, 상태 "1" 및 상태 "2"의 어느 한쪽의 경우에만 융상틀(95)을 제시하고 다른 쪽의 경우에는 제시하지 않는 것으로해도 좋으며, 피검안의 색판별 능력에 맞춰서 융상틀(95)의 부여되는 색을 바꿔도 된다. 또, LED(91)에 다색 LED를 사용하면, 그 전방(LED(91)와 콜리메이터 렌즈(92)의 사이)에 도시를 생략한 칼라 필터를 삽탈함으로써, 융상틀(95)에 색을 부여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부(93b)의 좌우에 한쌍의 투광부(93c, 93c)를 설치한 융상틀 차트(93')를 사용하며, 상태 "1"일 때에 투광부(93c, 93c)의 한쪽을 사용하여 도 22의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 실린더 차트(103)의 좌측에 마크(105)를 투영하고, 상태 "2"일 때에는 투광부(93c, 93c)의 다른 쪽을 사용하여 동 도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 실린더 차트(103)의 우측방향에 마크(105)를 투영하며, 이것에 의해 상태의 식별에 이바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피검자(4)의 연령이 예를 들어 45세 이상인 경우에는, 연산제어회로(63c)는 추가로 근시용 검사를 행한다. 이 근시용 검사에서는, 구동기구 박스(5b)의 내부에 설치된 수평 회전 구동장치(28)가 지주(5p, 5q)를 수평면 내에서 서로 반대방향(도 3에 있어서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고, 본체부(5l)의 좌측 눈용 광학계의 광축(OL)과 본체부(5r)의 우측 눈용 광학계의 광축(OR)에 의해 규정되는 폭주각(θ)을 시력검사 거리(여기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30㎝)에 따라서 설정한다. 여기에서, 폭주각(θ)은 피검자(4)에 대한 것은 아니며 장치 측에 대해서 정의된 각도이지만, 이것에 따라서 피검자(4)의 양쪽 눈이 폭주하면 그 양쪽 눈의 시선의 교차각도 θ와 같게 된다.
폭주각의 설정 후, 연산제어장치(63c)는 본체부(5l, 5r)의 각 시표회전판(53)에 의해 도 23에 도시한 차트(106)를 투영하고, 가로선, 세로선의 어느 하나가 진하게 보이는가에 따라서 근시용 가입도를 D(디옵터)단위로 구하지만, 이 방법은 공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근시용 검사가 종료되면, 연산제어회로(63c)는 근시용 시력검사(시력검사 거리를 30㎝로 하는 시력검사)를 행한다. 이 근시용 시력검사에서는, 상기 근시용 검사에서 구해진 근시용 가입도의 렌즈를 통한 상태에서 피검자(4)의 시력을 측정하지만, 그 방법은 앞서 설명한 자각식의 시력 검사방법과 마찬가지이다(단, 란돌트 링의 제시는 시력치 0.1부터는 아니며 시력치 0.5부터 개시하고, 하나의 시표의 제시 시간을 4초로 한다.). 이 근시용 시력검사에 있어서도, 양안시의 측정시에는 란돌트 링의 둘레에는 융상틀(95)이 표시되고, 가까운 곳을 보고 있다고 하는 인식이 적고 양쪽 눈이 폭주하기 어려운 피검자에 대해서도, 또는 폭주각(θ)를 크게 했는데도 불구하고 또 양쪽 눈으로 시표가 일치해서 보기 힘든 피검자에 대해서도 융상을 조장한다.
이 실시예에 관계되는 검안장치(2)에서는, 본체부(5l, 5r)의 각 광학계에 의해서 동일한 융상자극(융상틀(95))이 가해지므로, 본체부(5l, 5r)의 각 광학계가 시표로서 서로 다른 차트를 투영할 경우(사위 검사 등의 경우)는 물론, 서로 동일한 차트를 투영한 경우(근시용 시력 검사 등의 경우)라도 (특히 표시가 작은 차트를 투영했을 때에는), 피검자에게 가벼운 정도의 사위가 있는 경우나 기계 근시의 영향이 있는 경우에 양쪽 눈의 융상이 효과적으로 촉진된다.
또, 융상틀(95)은 반사미러(54)에 의해 회전 시표판(53)과는 분기된 광학계에 의해서 투영되고, 란돌트 링 등의 시표와 합성 표시되므로, 회전 시표판의 시표 차트 중에서 융상틀 차트를 설치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택하는 것보다도, 많은 시표에 대해서 융상틀을 동시 투영할 경우에 장치를 소형화하기 쉽다. 단, 예를 들어 회전 시표판(53) 대신에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기(53')를 사용하여 시표를 투영시킬 경우에는, 그 액정 표시기(53')에 융상틀도 투영시켜서 LED(91), 콜리메이터 렌즈(92), 융상틀 차트(93) 및 반사미러(94)를 발한 쪽이, 장치를 소형화,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검안장치(2)에서는 란돌트 링의 변경 시에 회전 시표판(53)이 피검자(4)로부터 보아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회전 시표판(53)의 시표 차트 중에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융상틀 차트를 설치한 경우, 비록 본체부(5l, 5r)의 한쪽에서 회전 시표판(53)의 정지 위치가 어긋나 융상틀(95)이 좌우 방향으로 편위되어 버렸다 해도, 이 융상틀(95)이 상하 방향 등으로 편위되어 버린 경우에 비해서 피검자(4)에 대한 융상작용은 잃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들 들면 시표의 형상과 융상틀의 형상의 조합을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경해도 상관은 없다. 또, 융상 패턴은 반드시 상기 융상틀과 같이 틀형상의 것으로는 아니어도 되며, 예를 들어 점을 틀형상으로 배열하여 시표를 둘러싸도록 해도 좋으나, 점형상의 2개의 동일한 패턴(본체부(5l, 5r)에 의해 투영되는 2개의 패턴)은 선형상의 2개의 동일패턴에 비해서 서로 편위되어도(융상되어 있지 않아도) 피검자가 알아채기 힘들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틀형상의 융상 패턴 쪽이 융상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우측 눈용 광학계의 투영 차트와 좌측 눈용 광학계의 투영 차트가 어긋나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양안시에 의한 검안을 행하는 장치에 대해서 폭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6)

  1. 피검자의 양안시 기능을 검사하기 위해서 우측 눈용의 차트를 투영하는 우측 눈용 광학계와 좌측 눈용의 차트를 투영하는 좌측 눈용 광학계를 구비하고, 상기 피검자의 양쪽 눈을 융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우측 눈용 광학계 및 상기 좌측 눈용 광학계가 동일한 융상 패턴을 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융상 패턴은, 상기 우측 눈용의 차트 및 상기 좌측 눈용의 차트와 동시에 투영될 때에 상기 우측 눈용의 차트 및 상기 좌측 눈용의 차트를 둘러싸도록 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융상 패턴은, 2이상의 색 중의 어느 하나의 색이 선택적으로 부여되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눈용 광학계 및 상기 좌측 눈용 광학계가 상기 우측 눈용의 차트 및 상기 좌측 눈용의 차트로서 사위 검사용의 시표를 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눈용 광학계 및 상기 좌측 눈용 광학계가 상기 우측 눈용의 차트 및 상기 좌측 눈용의 차트로서 시력검사용의 시표를 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피검안으로부터 상기 시력 검사용의 시표까지의 거리가 광학적으로 가변임과 동시에, 상기 우측 눈용 광학계의 광축 및 상기 좌측 눈용 광학계의 광축에 의해 규정되는 폭주각이 상기 거리에 따라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눈용 광학계는 상기 우측 눈용의 차트를 투영하기 위한 우측 눈용의 차트 투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좌측 눈용 광학계는 상기 좌측 눈용의 차트를 투영하기 위한 좌측 눈용 차트 투영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융상 패턴이 상기 우측 눈용 차트 투영수단 및 상기 좌측 눈용 차트 투영수단에 의해 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눈용 차트 투영수단 및 상기 좌측 눈용 차트 투영수단이 액정 표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눈용 광학계는 상기 우측 눈용의 차트를 투영하기 위한 우측 눈용 차트 투영수단과, 상기 융상 패턴을 투영하기 위한 우측 눈용 융상패턴 투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좌측 눈용 광학계는 상기 좌측 눈용의 차트를 투영하기 위한 좌측 눈용 차트 투영수단과, 상기 융상 패턴을 투영하기 위한 좌측 눈용 융상 패턴 투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우측 눈용 융상 패턴 투영수단이 상기 우측 눈용 차트 투영수단과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좌측 눈용 융상 패턴 투영수단이 상기 좌측 눈용 차트 투영수단과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10.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눈용 광학계가 상기 우측 눈용의 차트를 투영하기 위한 우측 눈용 회전 시표판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좌측 눈용 광학계가 상기 좌측 눈용의 차트를 투영하기 위한 좌측 눈용 회전 시표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융상 패턴은, 상기 우측 눈용 회전 시표판 및 상기 좌측 눈용 회전 시표판에 의해 투영되는 시력 검사용 시표가 소정의 시력치 이상의 것일 때에 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눈용 광학계가 상기 융상 패턴을 투영하기 위한 우측 눈용 융상 패턴 투영수단을 상기 우측 눈용 회전 시표판과는 별도로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좌측 눈용 광학계가 상기 융상 패턴을 투영하기 위한 좌측 눈용 융상 패턴 투영수단을 상기 좌측 눈용 회전 시표판과는 별도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13.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눈용 회전 시표판 및 상기 좌측 눈용 회전 시표판은, 상기 피검자로부터 보아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이 피검자에게 투영되는 시력 검사용의 시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눈용 광학계 및 상기 좌측 눈용 광학계가, 난시축 및 난시도수를 구하는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용의 시표를 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융상 패턴은, 상기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용의 시표에 의한 검사시에 있어서 상태의 식별에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16. 피검자의 양안시 기능을 검사하는 검안장치에 의해 상기 피검자의 양쪽 눈에 동시에 투영되고, 상기 피검자의 양쪽 눈을 융상시키기 위해서, 시표의 주위에 틀형상의 융상 차트가 그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차트.
KR1020047006821A 2001-11-15 2002-11-15 검안장치 및 검안차트 KR100679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50705 2001-11-15
JPJP-P-2001-00350705 2001-11-15
PCT/JP2002/011942 WO2003041572A1 (fr) 2001-11-15 2002-11-15 Dispositif ophtalmologique et diagramme ophtalmolog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110A true KR20040066110A (ko) 2004-07-23
KR100679147B1 KR100679147B1 (ko) 2007-02-27

Family

ID=19163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821A KR100679147B1 (ko) 2001-11-15 2002-11-15 검안장치 및 검안차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41349B2 (ko)
EP (1) EP1444946A4 (ko)
JP (1) JP4252902B2 (ko)
KR (1) KR100679147B1 (ko)
CN (1) CN100333684C (ko)
WO (1) WO20030415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3354B2 (ja) * 2004-05-31 2010-07-14 株式会社トプコン 検眼装置
JP4535867B2 (ja) 2004-12-28 2010-09-01 株式会社トプコン 検眼装置
JP2006198286A (ja) * 2005-01-24 2006-08-03 Topcon Corp 視力表装置及び検眼装置
EP1984785B1 (en) * 2006-02-13 2014-05-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nocular three-dimensional imaging
JP2008246153A (ja) * 2007-03-30 2008-10-16 Topcon Corp 検眼装置及びその方法
JP4567037B2 (ja) * 2007-08-21 2010-10-20 株式会社トプコン 検眼装置
EP2194903B1 (en) 2007-09-06 2017-10-25 Alcon LenSx, Inc. Precise targeting of surgical photodisruption
US7802883B2 (en) * 2007-12-20 2010-09-2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smetic contact lenses having a sparkle effect
KR101067762B1 (ko) * 2008-11-24 2011-09-28 (주)다비치안경체인 한국식 검안방법용 예비검사 장치
WO2010119859A1 (ja) * 2009-04-16 2010-10-21 株式会社トプコン 検眼装置
JP5386224B2 (ja) * 2009-04-30 2014-01-15 株式会社トプコン 検眼装置
US9492322B2 (en) 2009-11-16 2016-11-15 Alcon Lensx, Inc. Imaging surgical target tissue by nonlinear scanning
US8414564B2 (en) 2010-02-18 2013-04-09 Alcon Lensx, Inc. Optical coherence tomographic system for ophthalmic surgery
US8398236B2 (en) 2010-06-14 2013-03-19 Alcon Lensx, Inc. Image-guided docking for ophthalmic surgical systems
US9532708B2 (en) 2010-09-17 2017-01-03 Alcon Lensx, Inc. Electronically controlled fixation light for ophthalmic imaging systems
US8459794B2 (en) * 2011-05-02 2013-06-11 Alcon Lensx, Inc. Image-processor-controlled misalignment-reduction for ophthalmic systems
US9622913B2 (en) 2011-05-18 2017-04-18 Alcon Lensx, Inc. Imaging-controlled laser surgical system
US8398238B1 (en) 2011-08-26 2013-03-19 Alcon Lensx, Inc. Imaging-based guidance system for ophthalmic docking using a location-orientation analysis
TWI554244B (zh) * 2011-12-19 2016-10-21 愛爾康眼科手術激光股份有限公司 用於雷射白內障程序之手術內光學同調斷層掃描成像的影像處理器
US9023016B2 (en) 2011-12-19 2015-05-05 Alcon Lensx, Inc. Image processor for intra-surgic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ic imaging of laser cataract procedures
US9066784B2 (en) 2011-12-19 2015-06-30 Alcon Lensx, Inc. Intra-surgic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ic imaging of cataract procedures
JP6016445B2 (ja) * 2012-05-01 2016-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
EP3216023A4 (en) 2014-11-07 2018-07-18 Eye Labs, LLC Visual stabilization system for head-mounted displays
US20160170223A1 (en) * 2014-12-12 2016-06-16 Russell Drew Lederma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eoscopic viewing
JP6563786B2 (ja) 2015-11-10 2019-08-21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検査システム
JP2017099532A (ja) * 2015-11-30 2017-06-08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検査装置
JP6660750B2 (ja) 2016-02-01 2020-03-11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検査システム
CN106265005A (zh) * 2016-07-20 2017-01-04 李成新 一种新型眼保健仪及应用方法
CN106264441A (zh) * 2016-07-20 2017-01-04 李成新 一种新型近视度数测试仪及应用方法
CN106073695A (zh) * 2016-07-20 2016-11-09 李成新 一种新型散光度数测试仪及应用方法
JP2018047049A (ja) * 2016-09-21 2018-03-29 株式会社ニデック 自覚式検眼装置、及び自覚式検眼プログラム
JP6830378B2 (ja) * 2017-03-07 2021-02-17 株式会社トプコン 検眼装置
CN108030466B (zh) * 2017-11-30 2020-02-18 武汉琉明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屈光度的方法、装置及相关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82350A (en) * 1950-07-27 1952-11-05 Edgar Bernard Wilmut Vision testing device
DE3045139A1 (de) * 1980-11-29 1982-07-01 Fa. Carl Zeiss, 7920 Heidenheim Vorrichtung zur subjektiven und objektiven refraktionsbestimmung
GB2105057B (en) * 1981-08-28 1985-01-03 Noel Cherry Evans Binocular vision eye testing apparatus
DD226187A1 (de) * 1984-08-01 1985-08-21 Zeiss Jena Veb Carl Vorrichtung zur pruefung der sehschaerfe und des binokularsehens
JPS62133930A (ja) * 1985-12-06 1987-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視力計
EP0229570B1 (en) * 1985-12-28 1990-08-08 Kabushiki Kaisha TOPCON A visual acuity testing apparatus
DE8614254U1 (de) * 1986-05-26 1986-07-17 Fa. Carl Zeiss, 7920 Heidenheim Vorrichtung zum Fixieren der eingestellten Positionierung eines Gerätes auf einer Instrumentenbasis
JP3159477B2 (ja) * 1990-07-31 2001-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
JP3176669B2 (ja) 1991-10-31 2001-06-18 株式会社ニデック 検眼装置
US5444504A (en) * 1992-02-21 1995-08-22 Nidek Co., Ltd. Optometric apparatus
US5483305A (en) * 1993-01-25 1996-01-09 Canon Kabushiki Kaisha Eye examining apparatus
GB2281634B (en) * 1993-06-17 1996-04-10 Shapiro Isaac J Testing binocular vision using a chart and optical septum
US5675399A (en) * 1994-04-30 1997-10-07 Canon Kabushiki Kaisha Ophthalmic apparatus
JP3434902B2 (ja) 1994-08-10 2003-08-11 株式会社ニデック 視機能検査装置
US6045227A (en) * 1998-09-03 2000-04-04 Visionrx.Com, Inc. Multi-functional visual testing instrument
DE60020634T2 (de) 1999-04-06 2006-05-04 Nidek Co., Ltd., Gamagori Vorrichtung zur Präsentation von Sehtest-Zeichenträgern
JP3649943B2 (ja) * 1999-04-06 2005-05-18 株式会社ニデック 視標呈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44946A1 (en) 2004-08-11
WO2003041572A1 (fr) 2003-05-22
US7341349B2 (en) 2008-03-11
JP4252902B2 (ja) 2009-04-08
CN100333684C (zh) 2007-08-29
EP1444946A4 (en) 2008-12-10
US20050012896A1 (en) 2005-01-20
KR100679147B1 (ko) 2007-02-27
CN1585618A (zh) 2005-02-23
JPWO2003041572A1 (ja) 200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147B1 (ko) 검안장치 및 검안차트
KR100758409B1 (ko) 검안장치
US7458686B2 (en) Optometry apparatus
WO2010125908A1 (ja) 検眼装置
US10251543B2 (en) Optometry apparatus and method for subjective measurement using optometric chart
JP6277295B2 (ja) 検眼装置
JP2018047049A (ja) 自覚式検眼装置、及び自覚式検眼プログラム
KR101039222B1 (ko) 검안장치
JP7024295B2 (ja) 自覚式検眼装置
JP6853496B2 (ja) 検眼装置及び検眼プログラム
JPH06217938A (ja) 眼屈折計
JP2018143571A (ja) 検眼装置
US20070153667A1 (en) Visual target presenting optical device
JP4628795B2 (ja) 検眼装置
JP6766342B2 (ja) 自覚式検眼装置
JP4521964B2 (ja) 検眼装置
JPH0554326B2 (ko)
JP2003180633A (ja) 検眼装置
JP2021037042A (ja) 自覚式検眼装置
JP2021010415A (ja) 眼屈折力測定装置
JP2024021350A (ja) 自覚式検眼装置
JPH1033480A (ja) 検眼装置
JP2019177096A (ja) 検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