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8102A - 엘렉트로 루미네슨스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엘렉트로 루미네슨스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8102A
KR20040058102A KR10-2003-7009998A KR20037009998A KR20040058102A KR 20040058102 A KR20040058102 A KR 20040058102A KR 20037009998 A KR20037009998 A KR 20037009998A KR 20040058102 A KR20040058102 A KR 20040058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display device
resin sheet
transparent substr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9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소카와타케히로
타나카케이이치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8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10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includ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EL표시장치(10)는, 투명기판(12)과, 투명기판(12) 위에 형성된 엘렉트로루미네슨스 소자와, 투명기판(12)에 대해서 열에 의해 용융 접착되어 있고, 투명기판(12)과의 사이에서 엘렉트로루미네슨스 소자를 밀봉하는 흡습 기능을 가지는 밀봉용 수지 시트(16)를 갖춘다.

Description

엘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엘렉트로루미네슨스(이하, 단지「EL」라고도 말한다.) 표시장치는, 근년, 정보표시 장치로서 넓리 이용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EL표시장치(100)는,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페이스 플레이트로서의 투명기판(102)과 투명기 판(l02)위에 형성된 EL소자(l04)와 EL소자(l04)를 밀봉하는 밀봉체(l06)를 구비하고 있다.
EL소자(104)는, 투명전극(108) 및 배면전극(110)과, 이들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발광부(ll2)를 가지고 있다. 밀봉체(l06)는, 스테인레스 성형체로 구성되어 있고, EL소자(104)를 수용하는 수용부(106a)와 투명기판(l02)과의 접합에 이용되는 플랜지부(106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수용부(106a)에는 건조제(114)가 수용되고 있다. 이 밀봉체(106)는, 수용부(106a)의 내부에 EL소자(104)를 수용한 상태에서, 플랜지부(106b)를 개재하여 자외선(UV) 경화수지(116)에 의해 투명기판(102) 위에 접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밀봉체(l06)에 의해 EL소자(l04)가 밀봉되고, 또한 건조제(ll4)에 의해 밀봉체(106)내부의 수분이 흡착되는 것으로, EL소자(l04)의 축축함이 억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엘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EL표시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EL표시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배면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EL표시장치가 구비하는 밀봉용 수지 시트의 구성을 표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엠보싱가공이 시행된 밀봉용 수지 시트의 구성을 표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EL표시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첨부부호 일람 >
10, 100 : EL 표시장치 12, 102 : 투명기판
14, 104 : EL 소자
16 : 밀봉용 수지시트(EL 소자를 밀봉함)
16a : 둘레가장자리부 24 : 홀 주입층
26 : 홀 수송층 28 : 유기발광층
30 : 전자주입층 32 : 흡습층
34 : 금속층 36 : 보호층
38 : 열가소성수지(바인더수지)
40 : 무기충전제 42 : 코어층
44 : 피복층 46 : 오목부
106 : 밀봉체
106a : EL 소자(104)를 수용하는 수용부
106b : 플랜지부 18, 108 : 투명전극
20, 110 : 배면전극 22, 112 : 발광부
114 : 건조제 116 : 자외선경화수지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기술을 검토한 결과, 이하와 같은 과제를 발견했다.즉, 상기한 종래의 EL표시장치에서는, 밀봉체의 수용부안에 건조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했었기 때문에, 그 만큼 밀봉체의 두께가 증가하고, 나아가서는 EL표시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고 있었다.
또, 밀봉체와 투명기판과의 접합에 이용되는 자외선 경화수지는 수분 투과율이 높고, EL소자를 밀봉한 후에도 밀봉체내에 수분이 진입해 버리기 때문에, EL소자의 축축함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었다. 이것에 의해, EL소자가 경시적으로 열악화 해 버려, EL표시장치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며, EL소자의 축축함을 충분히 억제해서 장기 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소형의 EL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EL표시장치는, (1)투명기판과 (2)투명기판 위에 설치된 엘렉트로루미네슨스 소자와, (3)투명기판에 대해서 열에 의해 용융 접착되어 있고, 투명기판과의 사이에 엘렉트로루미네슨스 소자를 밀봉하는 흡습 기능을 가지는 밀봉용 수지 시트를 구비한다.
이 EL표시장치에서는, 흡습 기능을 가지는 밀봉용 수지 시트가 투명기판에 대해서 열에 의해 용융 접착되는 것으로서, EL소자가 투명기판과 밀봉용 수지 시트와의 사이에 밀봉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스테인레스 성형체에 의해 밀봉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건조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없게 되는 분만큼 EL표시장치의 두께가 얇아지고, 나아가서는 장치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 밀봉용 수지 시트는, 수분 투과율의 높은 자외선 경화수지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는 일 없이, 투명기판에 대해서 열에 의해 용융 접착되고 있고, 또 밀봉 시트 자신은 흡습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접착부분으로부터의 수분의 진입이 억제된다. 그 결과, EL소자의 축축함이 충분히 억제되어서 장치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EL표시장치에서는, 밀봉용 수지 시트는, 그 둘레가장자리부를 개재하여 투명기판에 대해서 열에 의해 용융 접착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렇게하면, 투명기판에 대해서 밀봉용 수지 시트를 열에 의해 용융 접착 할 때에, EL소자가 열에 의해 파손할 우려가 저감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EL표시장치에서는, 밀봉용 수지 시트는, 열가소성수지 속에 흡습 기능을 가지는 무기 충전재가 첨가된 흡습층을 가지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렇게하면, 열가소성수지에 의해, 투명기판에 대해서 열에 의해 용융 접착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흡습 기능을 가지는 무기 충전재에 의해, EL소자의 축축함이 충분히 억제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EL표시장치에서는, 열가소성수지는, 폴리올레핀, 또는 접착성을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이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가소성수지에 의하면, 투명기판에 대한 열에 의한 용융 접착이 썩 알맞게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관한 EL표시장치에서는, 무기 충전재에는, 황산 마그네슘, 산화칼슘, 소성 히드로탈사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이러한무기 충전재는, EL소자의 축축함을 억제하는 용도에 충분한 흡습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EL표시장치에서는, 밀봉용 수지 시트는, 엘렉트로루미네슨스 소자에 대해서 흡습층보다 외측에 금속층을 가지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투명기판과 밀봉용 수지 시트로 밀봉된 공간내에, 밀봉용 수지 시트를 통해서 수분이 진입할 우려가 저감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EL표시장치에서는, 밀봉용 수지 시트는, 금속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을 가지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금속층이 외부에 노출하는 것이 방지 되고, 또 외상에 의해 금속층의 밀봉성이 저하할 우려가 저감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EL표시장치에서는, 밀봉용 수지 시트에는, EL소자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엠보싱가공이 시행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밀봉용 수지 시트에 의해 EL소자를 밀봉 할 때에, 밀봉용 수지 시트의 위치결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 밀봉 후에 EL소자에 무리한 응력이 작용 할 우려가 저감되고, EL표시장치의 특성의 열악화가 억제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EL표시장치에서는, 엘렉트로루미네슨스 소자가 유기 엘렉트로루미네슨스 소자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밀봉용 수지 시트는, 상기한 엘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밀봉용 수지 시트로서, 투명기판에 대해서 열에 의해 용융 접착되어 투명기판과의 사이에 엘렉트로루미네슨스 소자를 밀봉 가능하고, 또한 흡습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또 충분히 이해 가능해진다. 이들은 단지 예시를 위해서 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는 것과, 중복 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엘렉트로루미네슨스(EL) 표시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EL표시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EL표시장치(10)는, 페이스 플레이트로서의 투명기 판(12)과, 투명기판(l2) 위에 형성된 EL소자(14)와 EL소자(14)를 밀봉하는 밀봉용 수지 시트(16)를 구비하고 있다.
투명기판(12)는, 가시광에 대해서 투광성을 가지고, EL소자(l4)로부터 발사된 광을 꺼내는 페이스 플레이트로서 기능 한다. 이러한 투명기판(l2)은, 글라스 기판, 수지기판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글라스 기판을 구성하는 글라스로서는, 알칼리 글라스, 무 알칼리 글라스, 석영 글라스 등의 무기 글라스 등을 사용 할 수있다. 이 중에서도, 내열성의 향상이나 알칼리이온에 의한 특성 열악화의 회피의 관점으로부터, 바륨 보론 규산염유리나 알루미노 규산염유리 등의 무알칼리 글라스를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투명기판(12)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0.3mm ~ 1.5mm 이면 바람직하다.
EL소자(l4)는, 양극으로서의 투명전극(l8) 및 음극으로서의 배면전극(20)과, 이들 전극 사이에 설치되는 발광부(22)를 가지고 있다.
투명전극(18)은, 인듐-주석산화물(ITO), 인듐-안티몬산화물(In-Sb의 산화물 ), 인듐-아연산화물(In-Zn의 산화물)등으로부터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투명전극(18)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1㎛이하이면 바람직하다.
배면전극(20)은, 알루미늄(Al), 니켈, 구리 등의 금속으로부터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면전극(20)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50㎛이하이면 바람직하다.
발광부(22)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 적층체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홀 주입층(24), 홀수송 층(26), 유기 발광층(28), 전자 주입층(30)을, 상기한 투명전극(18) 위에 이 차례로 적층해서 구성할 수 있다. 이들 각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종래 공지의 여러 가지의 재료로부터 적의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일예를들면, 홀 주입층(24)는 구리프탈로시아닌(CuPC)을, 홀수송 층(26)은 나프틸기 치환 트리페닐아민4양체(NTPA)를, 유기발광층(28)은 N,N'-디메틸 퀴나크리돈(DMqd)을 도핑한 (3-히드록시퀴놀린)알루미늄(Alq3)을, 전자 주입층(30)은 플루오루화 리튬(LiF)을,각각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다.
밀봉용 수지 시트(16)은,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흡습 기능을 가지는 흡습층(32)과 이 흡습층(32)의 위에 형성되는 금속층(34)과 이 금속층(34)의 위에 형성되는 보호층(36)을 가지고 있다.
흡습층(32)은, 열가소성수지(38)에, 건조제로서 흡습성을 가지는 무기 충전재(40)를 혼합해서 형성되고 있다. 열가소성수지(38)는, 폴리올레핀, 또는 접착성을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이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이오노마,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코폴리마(EVA), 에틸렌 에틸아크릴레이트(EEA), 및 메타크릴산에틸(EMA)과, 그 들의 산변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무기 충전재(40)으로서는, 소결해서 결정수를 제거한 소성 히드로탈사이트류, 황산 마그네슘, 산화칼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황산 마그네슘은, 무수의 황산 마그네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기 충전재(40)은, 평균입자직경이 0.1μm~10μm 정도인 분말립자체로 구성되면 바람직하다. 이들 무기 충전재(40)는,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서 2종 이상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바인더 수지(38)와 무기 충전제(40)와의 혼합 비율은, 바인더 수지(38)의 전체량 100중량%에 대해서 5중량% ~ 50중량%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흡습층(32)은,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열가소성수지(38)에 무기 충전재(40)를 첨가해서 이루어지는 코어층(42)을, 상기 열가소성수지로 형성되는 피복 층(44)으로 끼워 넣은 3층 구조로해도 된다. 또한, 흡습층(32)의 두께는, 5㎛ ~ 150㎛이면 바람직하다.
금속층(34)은, 외부로부터 밀봉용 수지 시트(16)을 통해서 수분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금속층(34)은, 금속박이나 금속 증착막으로 구성할 수 있다. 금속박으로서는, 알루미늄박(箔), 스테인레스박, 니켈박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 증착막으로서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증착해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금속층(34)으로서 철 알루미합금박을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밀봉용 수지 시트(16) 전체의 강도가 증가하고, 이하에 설명하는 것 같은 엠보싱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 깨짐이 생길 우려가 저감 된다.
보호층(36)은, 금속층(34)이 외부에 노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외상에 의해 금속층(34)의 밀봉성이 저하할 우려를 저감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보호층(36)은, 내찰과성이 뛰어난 수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보호층(36)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나일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보호층(36)의 두께는, 5㎛~50㎛이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보호층(36)과 금속층(34)이란, 예를 들면 우레탄계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 할 수 있다. 우레탄계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와의 2액을 혼합해서 가교 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금속층(34)과 흡습층(32)이란, 예를 들면 열 라미네이트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밀봉용 수지 시트(l6)에는,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EL소자(14)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엠보싱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면, 밀봉용 수지 시트(l6)에 의해 EL소자(14)를 밀봉 할 때, 엠보싱가공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46)를 기준에 위치결정 함으로써, 밀봉용 수지 시트(16)의 위치결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 밀봉 후에 EL소자(14)에 무리한 응력이 작용할 우려가 저감 되고, EL표시장치(10)의 특성의 열악화가 억제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EL표시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투명기판(l2) 위에 설치된 EL소자(14) 위로부터 밀봉용 수지 시트(16)를 씌우고, 수지 시트(16)의 둘레가장자리부(l6a)만을 투명기판(12)에 대해서 열압착하고, EL소자(14)를 밀봉해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밀봉용 수지 시트(16)는, 그 둘레가장자리부(16a) 만을 개재하여 투명기판(l2)에 대해서 열에 의해 용융 접착되고 있기 때문에, 접착 할 때에 EL소자(l4)가 열에 의해 파손할 우려가 저감 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EL표시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EL표시장치(10)에서는, 열가소성수지(38)중에 흡습 기능을 가지는 무기 충전재(40)를 첨가해서 이루어지는 흡습층(32)을 포함한 밀봉용 수지 시트(16)가, 투명기판(12)에 대해서 열에 의해 용융 접착됨으로서, EL소자 (14)가 투명기판(12)과 밀봉용 수지 시트(16)와의 사이에 밀봉되고 있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이 스테인레스 성형체에 의해 밀봉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건조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없게 되는 분만큼 EL표시장치(10)의 두께가 얇아지고, 나아가서는 장치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 밀봉용 수지 시트(16)는, 수분 투과율의 높은 자외선 경화수지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는 일 없이, 투명기판(12)에 대해서 열에 의해 직접 용융 접착되고 있고, 또 밀봉용 수지 시트(16) 그것 자신은 흡습 기능을 가지기 위해, 접착부분으로부터의 수분의 진입이 억제된다. 그 결과, EL소자(l4)의 축축함이 충분히 억제되어 장치(10)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EL표시장치(10)에서는, 밀봉용 수지 시트(16)는, EL소자(l4)에 대해서 흡습층(32)보다 외측에 금속층(34)를 가지기 때문에, 투명기판(12)과 밀봉용 수지 시트(16)로 밀봉된 공간내에, 밀봉용 수지 시트(16)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수분이 진입할 우려를 저감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장치(10)의 장기 수명화를 보다 한층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EL표시장치(10)에서는, 밀봉용 수지 시트(l6)는, 금속층(34)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36)을 가지기 때문에, 금속층(34)이 외부에 노출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고, 또 외상에 의해 금속층(34)의 밀봉성이 저하하는 우려를 저감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장치(10)의 장기 수명화를 보다 한층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EL표시장치(10)에서는, 밀봉용 수지 시트(16)에는, EL소자(l4)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엠보싱가공이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밀봉용 수지 시트(16)에 의해 EL소자(14)를 밀봉 할 때에, 밀봉용 수지 시트(l6)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밀봉 후에 EL소자(14)에 무리한 응력이 작용할 우려가 저감되고, EL표시장치(l0)의 특성의 열악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EL표시장치(10)의 방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행한 시험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험체 l)
시험체 1의 제작에서는, 먼저 500mm 각의 PET 시트와, 500mm 각의 알루미늄박을 준비했다. 그리고, 이들 PET 시트와 알루미늄박을, 우레탄계 접착제를 개재하여 드라이라미네이터에 의해 맞붙이고, PET/Al 복합 시트를 작성했다. 또한, PET 시트의 두께는 12㎛이며, 알루미늄박의 두께는 9㎛이며, 우레탄계 접착제의 두께는 2㎛였다.
다음에, 500mm 각의 3층 구조의 흡습 필름을 3층 인플레 압출기로 작성했다. 이 흡습 필름은, 산변성 폴리에틸렌/황산 마그네슘 함유산변성폴리에틸렌/산변성 폴리에틸렌의 3층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각층의 두께는, 각각 20㎛였다. 황산 마그네슘 함유산변성 폴리에틸렌층은, 산변성 폴리에틸렌 100중량%에 무수의 황산 마그네슘을 20중량% 첨가해서 구성된 것이다.
이 흡습 필름을, 열 라미네이트에 의해 PET/A1 복합시트의 A1면과 맞붙이고, PET(보호층)/Al(금속층)/흡습 필름(흡습층)의 구조의 밀봉용 수지 시트를 작성했다. 이 때, 롤 직경이 100mm로 온도가 15O℃의 열 롤을 사용하고, 1m/min의 속도로 밀봉용 수지 시트를 작성했다. 그 후, 이것을 9cm 사방으로 재단했다.
한편, 두께 1mm로 lOcm 각의 글라스 기판을 준비했다. 이 글라스 기판 위에, 1mm 폭의 투명전극(ITO)을 2mm의 피치로 증착 했다. 그리고, 글라스 기판의 중앙부에, 두께가 0.lmm이고 5cm 각의 PET 필름을 탑재했다. 또한, 이들의 작업은 드아이박스 내에서 행했다.
다음에, 마찬가지로 드아이박스 안에서, 중앙부에 PET 필름이 탑재된 글라스 기판 위에, 9cm 각에 절단 한 상기 밀봉용 수지 시트를, 최내층의 흡습 필름이 글라스 기판과 대면하도록 탑재했다. 그리고, 밀봉용 수지 시트의 4변의 단부 2mm를 l50℃의 열 바로 5초간 눌러 붙여, 글라스 기판에 대해서 용융 접착 시켜서, 시험체 l를 작성했다. 이 시험체 1에서는, 밀봉용 수지 시트에 의해 밀봉된 PET 필름의 초기의 수분량은, 100ppm였다.
(시험체 2)
시험체 2에서는, 상기 시험체 1의 밀봉용 수지 시트 대신에, 스테인레스 성형체을 준비했다. 이 스테인레스 성형체은, 두께가 0.lmm이고 9cm 각의 스테인레스 판의 중앙부 5cm 각의 부분을, lmm의 깊이로 조여서 성형한 것이다. 이 스테인레스 성형체의 움패인 부분에, 건조제로서 산화칼슘을 1Og봉입하고, 산화칼슘이 넘쳐 흐르지 않도록, 그 부분을 PET 점착 테이프로 씌웠다.
또, 시험체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중앙부에 PET 필름이 탑재된 글라스 기판을 준비했다. 이 글라스 기판의 중앙부 9cm 각의 주변부 2mm(9cm의 내측의 2mm)에 UV 경화수지를 20㎛의 두께로 도포하고, 그 위에 상기 스테인레스 성형체을 실었다. 그리고, 글라스 기판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해서 UV 경화수지를 경화시켜, 글라스 기판과 스테인레스 성형체을 접합하여, 시험체 2를 작성했다. 이 시험체 2에서도, 스테인레스 성형체에 의해 밀봉된 PET 필름의 초기의 수분량은, 1OOppm였다.
시험 방법
상기와 같이 해서 작성한 시험체 1 및 시험체 2를, 온도 60℃, 습도 95%RH의 환경 아래에 30일 방치 한 후, 내부의 PET 필름의 수분량을 각각 측정했다.
시험 결과
시험체 2에서는, 내부의 PET 필름의 수분량은 120ppm까지 상승하고 있었다. 이것에 대해, 시험체 1에서는, 내부의 PET 필름의 수분량은 100ppm 그대로이고, 초기의 수분량으로부터 전혀 상승하고 있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으로부터, 밀봉용 수지 시트에 의해 밀봉하는 구조를 가지는 시험체 1은, 방수 성능이 뛰어난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시험체 1과 동일한 밀봉 구조에 의해 EL소자를 밀봉해서 구성되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EL표시장치(1O)는, 축축함에 의한 특성 열악화를 일으킬 우려가 극히 작기 때문에, 장기 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부(22)가 유기 발광층(28)을 포함한 적층체로 구성된 유기 EL표시장치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EL표시장치(10)는, 유기 EL표시장치에 한정되는 일 없이, 무기 EL표시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 경우, 발광부는, 무기 발광층을 포함한 적층체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기 발광층, 유전체 층을, 투명전극 위에 이 차례로 적층해서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밀봉용 수지 시트(16)는 투명전극(l8)이나 배면전극(20)의 위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밀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내부의 EL소자(14)를 썩 알맞게 보호하면서, 밀봉 부분으로부터 전극을 외부에 꺼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전극을 덮어 밀봉하는 구조로 한정되는 일 없이, 다른 형태에 의해 전극을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여러가지로 변형 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것이라고는 인정할 수는 없고, 모든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인 개량은, 이하의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EL소자의 축축함을 충분히 억제해서 장기 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소형의 EL표시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0)

  1. 투명기판과,
    상기 투명기판 위에 형성된 엘렉트로루미네슨스 소자와,
    상기 투명기판에 대해서 열에 의해 용융 접착되어 있고, 상기 투명기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엘렉트로루미네슨스 소자를 밀봉하는 흡습 기능을 가지는 밀봉용 수지 시트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 수지 시트는, 그 둘레가장자리부를 개재하여 상기 투명기판에 대해서 열에 의해 용융 접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 수지 시트는, 열가소성수지 속에 흡습 기능을 가지는 무기 충전재가 첨가된 흡습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수지는, 폴리올레핀, 또는 접착성을 가지는 변성 폴리올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재에는, 황산 마그네슘, 산화칼슘, 소성 히드로탈사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장치.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 수지 시트는, 상기 엘렉트로루미네슨스 소자에 대해서 상기 흡습층보다 외측에 금속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 수지 시트는, 상기 금속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 수지 시트에는, 상기 엘렉트로루미네슨스 소자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엠보싱가공이 실시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렉트로루미네슨스 소자가 유기 엘렉트로루미네슨스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장치.
  10. 제 1항에 기재된 엘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밀봉용 수지 시트로서,
    상기 투명기판에 대해서 열에 의해 용융 접착되어 상기 투명기판과의 사이에 상기 엘렉트로루미네슨스 소자를 밀봉 가능하고, 또한 흡습 기능을 가지는 밀봉용 수지 시트.
KR10-2003-7009998A 2001-11-29 2002-11-29 엘렉트로 루미네슨스 표시장치 KR200400581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64823 2001-11-29
JP2001364823A JP2003168555A (ja) 2001-11-29 2001-11-29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PCT/JP2002/012545 WO2003047313A1 (fr) 2001-11-29 2002-11-29 Afficheur electroluminesc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102A true KR20040058102A (ko) 2004-07-03

Family

ID=1917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9998A KR20040058102A (ko) 2001-11-29 2002-11-29 엘렉트로 루미네슨스 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104673A1 (ko)
JP (1) JP2003168555A (ko)
KR (1) KR20040058102A (ko)
CN (1) CN1493173A (ko)
TW (1) TWI280813B (ko)
WO (1) WO200304731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1532B2 (en) 2004-10-21 2010-03-02 L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61335A (ko) * 2015-09-30 2018-06-07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밀봉용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92387A1 (en) * 2002-03-29 2004-12-29 Pioneer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panel
JP4185341B2 (ja) * 2002-09-25 2008-11-2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多層バリア膜構造、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パネル及び製造方法
US20050116245A1 (en) 2003-04-16 2005-06-02 Aitken Bruce G. Hermetically sealed glass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on
KR100579196B1 (ko) * 2004-06-25 2006-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ES2350350T3 (es) * 2004-07-02 2011-01-21 Konarka Technologies, Inc. Componente fotovoltaico orgánico con encapsulación.
JP5144041B2 (ja) * 2006-07-26 2013-02-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発光装置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照明装置
KR100784557B1 (ko) * 2006-09-22 2007-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계발광패널
JP4864684B2 (ja) * 2006-12-22 2012-02-01 東洋電装株式会社 発光装置
CN100508675C (zh) * 2007-06-08 2009-07-01 信利半导体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显示器的防静电方法
US8350470B2 (en) * 2008-12-17 2013-01-08 General Electric Company Encapsulation structures of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s
US8445899B2 (en) 2009-03-16 2013-05-2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Organic electronic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ectronic panel
TW201110802A (en) * 2009-06-24 2011-03-16 Seiko Epson Corp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illumination apparatus
JP5463771B2 (ja) * 2009-07-15 2014-04-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シート、ガスバリア性シートの製造方法、封止体、及び装置
DE102010034913B4 (de) * 2010-08-20 2023-03-30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trahlung emittierend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Strahlung emittierenden Bauelements
EP2445029A1 (en) * 2010-10-25 2012-04-25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Multilayered protective layer, organic opto-electr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445028A1 (en) 2010-10-25 2012-04-25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Opto-electr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o-electric device
KR101182449B1 (ko) 2010-12-24 2012-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봉지시트와 그것을 사용한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3021924A1 (ja) 2011-08-05 2013-02-14 三菱化学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3115627A1 (ko) 2012-02-03 2013-08-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 필름
DE102012224310A1 (de) 2012-12-21 2014-06-26 Tesa Se Gettermaterial enthaltendes Klebeband
TWI532599B (zh) 2013-06-21 2016-05-11 達意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以及顯示面板的製作方法
KR102240894B1 (ko) * 2014-02-26 2021-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4360546B (zh) * 2014-12-03 2017-10-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无边框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DE102016213840A1 (de) 2016-07-27 2018-02-01 Tesa Se Klebeband zur Verkapselung elektronischer Aufbauten
KR20190035691A (ko) * 2016-07-28 2019-04-03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적층체 및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7968A (en) * 1985-08-12 1987-08-18 Rogers Corporation Encapsulated electroluminescent lamp
JPH0749517B2 (ja) * 1985-12-23 1995-05-31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用又はポリウレタンプレポリマー用ペースト状吸湿材組成物
JPS63105495A (ja) * 1986-10-22 1988-05-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薄膜elパネル
JPS63105493A (ja) * 1986-10-22 1988-05-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薄膜elパネル
JPH0685351B2 (ja) * 1988-10-06 1994-10-26 シャープ株式会社 薄膜elパネル
JP2001043970A (ja) * 1999-07-30 2001-02-1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有機el表示装置
JP2001118674A (ja) * 1999-10-19 2001-04-2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有機el表示装置
JP3936151B2 (ja) * 2000-05-08 2007-06-27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有機el素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1532B2 (en) 2004-10-21 2010-03-02 L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61335A (ko) * 2015-09-30 2018-06-07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밀봉용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301065A (en) 2003-06-16
US20040104673A1 (en) 2004-06-03
JP2003168555A (ja) 2003-06-13
TWI280813B (en) 2007-05-01
WO2003047313A1 (fr) 2003-06-05
CN1493173A (zh)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58102A (ko) 엘렉트로 루미네슨스 표시장치
KR100580351B1 (ko) 방습 필름 및 전기 발광 소자
US6878467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used in a display device
KR960010127B1 (ko) 방습필름
JP3409764B2 (ja) 有機el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5706972B2 (ja) 面状発光素子
KR100757562B1 (ko) 유기 일렉트로 루미너센스 표시 장치
KR20010039723A (ko) 유기전자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50684A (ko)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장치의 봉지 구조
EP2586077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with separating foil
JP2014532271A (ja) 有機エレクトロニクスデバイスの封止部、有機エレクトロニクスデバイス、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ニクスデバイスを製造する方法
JP2007531238A5 (ko)
WO2014091767A1 (ja) 有機el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US20140061608A1 (en) Oled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using desiccants
KR20120127647A (ko) 봉지된 기능 소자
US8030845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046732A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KR20180082565A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
JP2003217829A (ja) 有機el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462469B1 (ko) 접착식 유기-무기 복합막을 갖춘 엔캡슐레이션 박막과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
JP2004335208A (ja) El素子およびel素子用封止フィルム
WO2013011741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36872B1 (ko) 게터층을 포함하는 초박막 봉지 구조를 갖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20040087937A (ko) 유기 el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S6357230A (ja) Elパネル用外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