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7886A -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 커버 - Google Patents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7886A
KR20040057886A KR1020030041896A KR20030041896A KR20040057886A KR 20040057886 A KR20040057886 A KR 20040057886A KR 1020030041896 A KR1020030041896 A KR 1020030041896A KR 20030041896 A KR20030041896 A KR 20030041896A KR 20040057886 A KR20040057886 A KR 20040057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strip
shaped
male member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2062B1 (ko
Inventor
이케다야스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40057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Ropes Or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과제)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에 대해서 용이하게 또한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커버상태를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단부 커버의 제공.
(해결수단) 두부(頭部)(10)와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을 협지(挾持)가능하게 하는 한쌍의 협지용 각부(脚部)(11,11)를 구비한 수부재(1)와 통의 일단부를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인출개구(20)로 하고, 또한 통의 타단부를 수부재(1)의 협지용 각부(11)의 인입개구(21)로 한 통형상을 이루는 암부재(2)를 구비하고 있다. 암부재(2)에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을 사이에 인입시킨 상태에서 인입개구(21)로부터 암부재(2)내에 인입되는 수부재(1)의 협지용 각부(11)를, 이 인입에 따라서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을 사이에 끼워 부착하는 방향으로 휘어져 들어오게 하는 체결용 내벽부(22)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 커버{END PART COVER OF STRING-SHAPED OR BELT-SHAPED MATERIAL}
본 발명은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를 덮도록 이 단부에 부착되어서 이용되는 단부 커버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힌지부를 통해서 연접되고 이 힌지부를 변형시키면서 중첩되는 제 1 부분과 제 2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첩상태에 있어서 사이에 인입되는 끈형상물의 단부에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의 중첩측에 각각 형성된 스파이크를 찌르거나 또는 꽂을 수 있게 해서 이 끈형상물의 단부를 덮도록 부착되는 단부 커버로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낸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의장등록 제1019065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단부 커버는 끈형상물의 단부에 대한 부착상태의 확보를 이 단부에 대한 상기 스파이크의 찌름 또는 꽂음에 의해서 고정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에 대해 용이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 단부의 커버상태를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단부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단부 커버의 부착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단부 커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단부 커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단부 커버의 정면도
도 5는 단부 커버의 평면도
도 6은 단부 커버의 좌측면도
도 7은 단부 커버의 우측면도
도 8은 도 5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4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암부재(2)의 정면도
도 11은 암부재(2)의 평면도
도 12는 암부재(2)의 좌측면도
도 13은 암부재(2)의 우측면도
도 14는 도 11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도 15는 도 10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
도 16은 수부재(1)의 정면도
도 17은 수부재(1)의 평면도
도 18은 도 17에 있어서의 E-E선 단면도
도 19는 수부재(1)의 저면도
도 20은 수부재(1)의 좌측면도
도 21은 수부재(1)의 우측면도
도 22는 도 16에 있어서의 F-F선 단면도
도 23은 도 16에 있어서의 G-G선 단면도
도 24는 도 16에 있어서의 H-H선 단면도
도 25는 도 16에 있어서의 I-Ⅰ선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W -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 Wa - 단부
1 - 수부재 10 - 두부
11 - 협지용 각부 2 - 암부재
20 - 인출개구 21 - 인입개구
22 - 체결용 내벽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제 1의 발명에 있어서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 커버를, 이하의 (1)∼(3)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1) 두부와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을 협지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2이상의 협지용 각부를 구비한 수부재와,
(2) 통의 일단부를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인출개구로 하고, 또한 통의 타단부를 수부재의 협지용 각부의 인입개구로 한 통형상을 이루는 암부재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3) 암부재에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을 사이에 인입시킨 상태에서 인입개구로부터 암부재내에 인입되는 수부재의 협지용 각부를 이 인입에 따라서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을 사이에 끼워 부착하는 방향으로 휘어져 들어오게 하는 체결용 내벽부(22)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암부재의 인출개구에서 암부재내에 인입되고, 또한 인입개구로부터 인출된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를 수부재의 2이상의 협지용 각부 사이에 인입시킨 후,
이 수부재의 2이상의 협지용 각부를 암부재의 인입개구로부터 이 암부재내에 인입시킴으로써 이 2이상의 협지용 각부를 상기 체결용 내벽부에 의해 휘어져 들어오게 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휘어져 들어오는 2이상의 협지용 각부에 의해서 이 2이상의 협지용 각부 사이에 인입된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를 이 2이상의협지용 각부 사이에서 빠져 나가지 않도록 사이에 끼워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에 원터치로 단부 커버를 부착하여 이와 같이 수부재가 인입된 암부재에 의해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를 덮도록 할 수 있다.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에 장력이 작용되면 이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를 암부재내에서 협지용 각부에 의해 사이에 끼워 부착하고 있는 수부재에도 인출개구측을 향한 힘이 작용되게 되나, 이와 같은 힘이 작용되면 상기 체결용 내벽부에 의해서 협지용 각부는 더욱 더 상기 단부를 사이에 끼워 부착하는 방향으로 휘어져 들어오게 되기 때문에, 사이에 끼워 부착되어 있는 이 단부는 상기 장력작용시에도 협지용 각부 사이로부터 즉, 암부재내로부터 빠져나가기 어렵고, 이 단부의 커버상태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제 2의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발명의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 커버에 있어서의 암부재의 체결용 내벽부가 인출개구에 근접함에 따라서 이 암부재의 내부공간을 작게 하도록 경사진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암부재내에 인입되는 수부재의 협지용 각부를 암부재내에 대한 인입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점차 크게 휘어져 들어오게 할 수 있고, 암부재내에 대한 수부재의 협지용 각부의 인입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또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에 장력이 작용되면 이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를 암부재내에 있어서 협지용 각부에 의해 사이에 끼워 부착하고 있는 수부재에도 인출개구측을 향한 힘이 작용되게 되나, 이와 같은 힘이 작용되면 이와 같이 경사진 상기 체결용 내벽부에 의해 협지용 각부는 더욱 더 상기 단부를 사이에 끼워 부착하는 방향으로 강고하게 휘어져 들어오게 되기 때문에, 사이에 끼워 부착되어 있는 이 단부는 상기 장력작용시에도 협지용 각부 사이로부터 즉, 암부재내로부터 빠져나가기 어렵고, 이 단부의 커버 상태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제 3의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 커버에 있어서의 수부재의 협지용 각부에 협지되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에 대한 스파이크로서 기능하는 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2이상의 협지용 각부 사이에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를 인입시킨 상태에서 이 협지용 각부를 암부재내에 인입하게 함에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휘어져 들어오게 되는 협지용 각부에 의해 걸리는 단부에 상기 돌기를 찌르게 하거나 또는 꽂을 수 있게 할 수 있어, 이 돌기에 의해서 걸리는 단부를 한층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제 4의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발명 내지 제 3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 커버에 있어서의 수부재의 협지용 각부를,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에 장력이 작용되었을 때 이 장력의 작용에 따르는 암부재의 인출개구측을 향한 협지용 각부의 이동을 탄성변형하면서 허용시키는 연접체(連接體)를 통해 두부에 연접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러한 장력이 작용되었을 때 암부재내에 대한 인입에따라 휘어져 들어오게 된 협지용 각부에 의해서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을 암부재내에서 파지(把持)하고 있는 수부재의 협지용 각부를, 이 장력에 의해 암부재내로부터 빠져나가려 하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고, 이러한 장력에 의해서도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에 대한 협지용 각부의 파지위치에 어긋남을 일으키게 하는 일이 없이, 이 단부의 파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장력의 작용이 없어진 경우에는 상기 연접체의 탄성복귀에 의해 협지용 각부를 다시 소기의 위치로 복귀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제 5의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발명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 커버에 있어서의 수부재의 두부와 암부재의 인입개구측 중 어느 일측에, 이들 타측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에 대해서 암부재내에 수부재의 협지용 각부를 완전히 인입한 위치에서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부재의 2이상의 협지용 각부 사이에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를 인입시킨 상태에서, 암부재내에 이 협지용 각부를 완전히 인입함으로써 만들어진 이 단부의 커버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25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단부 커버를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도시된 예에서는, 끈형상체)의 단부(Wa)에 부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또 도 2는 이러한 부착을 이룬 상태를, 또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에 장력이 작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 내지 도 9는 이러한 단부 커버를, 도 10 내지 도 15는 이러한 단부 커버를 구성하는 암부재(2)를, 또한 도 16 내지 도 25는, 이러한 단부 커버를 구성하는 수부재(1)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단부 커버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단부(Wa)를 덮도록 이 단부(Wa)에 부착되어서 이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단부 커버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단부(Wa)의 외관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또 이러한 단부 커버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단부(Wa)의 풀림 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 이러한 단부 커버는 당김끈 등으로서 이용되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에 있어서는 당김조작을 하기 위한 파지부분이 되는 기능을 가진 것이다.
끈형상물로서는 전형적으로는 둥근 끈, 평끈, 고무끈, 합성수지제의 코드 등이 예정된다. 또 띠형상물로서는 편평한 것으로, 평끈보다도 폭이 넓은 밴드 등이 예정된다.
이러한 단부 커버는 수부재(1)와 암부재(2)를 구비해서 구성된다.
수부재(1)는 두부(10)와 적어도 2이상의 협지용 각부(11,11…)를 구비하고 있다. 2이상의 협지용 각부(11,11…)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을 협지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2이상의 협지용 각부(11,11…)는 이들의 사이에 인입시킨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단부(Wa)를 다른 협지용 각부(11)와 협동해서 사이에 끼워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암부재(2)는 양 통단부를 개방시킨 통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암부재(2)는 통의 일단부를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인출개구(20)로 하고, 또한 통의 타단부를 수부재(1)의 협지용 각부(11)의 인입개구(21)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암부재(2)에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를 사이에 인입시킨 상태에서 인입개구(21)로부터 암부재(2)내에 인입되는 수부재(1)의 협지용 각부(11)를, 이 인입에 따라서 이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을 사이에 끼워 부착하는 방향으로 휘어져 들어오게 하는 체결용 내벽부(22)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러한 단부 커버에 의하면 암부재(2)의 인출개구(20)로부터 암부재(2)내에 인입되고, 또한 인입개구(21)로부터 인출된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단부(Wa)를 수부재(1)의 2이상의 협지용 각부(11,11…) 사이에 인입시킨 후, (도 1)
이 수부재(1)의 2이상의 협지용 각부(11,11…)를 암부재(2)의 인입개구(21)로부터 이 암부재(2)내에 인입시킴으로써 이 2이상의 협지용 각부(11,11…)를 상기 체결용 내벽부(22)에 의해서 휘어져 들어오게 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휘어져 들어오는 2이상의 협지용 각부(11,11…)에 의해서 이 2이상의 협지용 각부(11,11…) 사이에 인입된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단부(Wa)를 이 2이상의 협지용 각부(11,11…) 사이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사이에 끼워 부착할 수 있다. (도 2)
그리고, 이에 의해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단부(Wa)에 원터치로 단부커버를 부착해서, 이와 같이 수부재(1)가 인입된 암부재(2)에 의해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단부(Wa)를 덮도록 할 수 있다.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에 장력이 작용되면 이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단부(Wa)를 암부재(2)내에 있어서 협지용 각부(11)에 의해 사이에 끼워 부착하고 있는 수부재(1)에도 인출개구(20)측을 향한 힘이 작용되게 되나, 이와 같은 힘이 작용되면 상기 체결용 내벽부(22)에 의해 협지용 각부(11)는 더욱 더 상기 단부(Wa)를 사이에 끼워 부착하는 방향으로 휘어져 들어오게 되기 때문에, 사이에 끼워 부착되어 있는 이 단부(Wa)는 상기 장력작용시에도 협지용 각부(11) 사이로부터 즉, 암부재(2)내로부터 빠져나가기 어렵고, 이 단부(Wa)의 커버상태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암부재(2)는 편평한 통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시된 예에 있어서 암부재(2)는 그 통축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거의 어떠한 위치에 있어서도 외곽형상 및 내곽형상을 모두 대략 타원형상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짧은 치수측의 내외벽과 긴 치수측의 내외벽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수부재(1)는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를 가진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이 수부재(1)의 두부(10)에서의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의 연접측의 면이, 암부재(2)의 인입개구(21)를 둘러싼 가장자리부에 맞닿게 되는 위치까지 암부재(2)내로 수부재(1)의 협지용 각부(11)를 인입하도록 되어 있고, 이 위치가 암부재(2)내에 수부재(1)를 완전히 인입한 위치가 되도록 하고 있다. 또 수부재(1)는 이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의 일측의 선단부(Wa)의 외측을 암부재(2)의 일측의 짧은 치수측의 내벽부(23)에 접하게 하고, 또한 이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의 타측의 선단부(Wa)의 외측을 암부재(2)의 타측의 짧은 치수측의 내벽부(23)에 접하게 하면서 암부재(2)내로 협지용 각부(11)를 인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암부재(2)의 체결용 내벽부(22)는 이 암부재(2)의 짧은 치수측의 내벽부(2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암부재(2)의 체결용 내벽부(22)가 인출개구(20)에 근접함에 따라서 이 암부재(2)의 내부공간을 작게 하도록 경사진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암부재(2)내에 인입되는 수부재(1)의 협지용 각부(11)를 암부재(2)내에 대한 인입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점차 크게 휘어져 들어오게 할 수 있고, 암부재(2)내에 대한 수부재(1)의 협지용 각부(11)의 인입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또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에 장력이 작용되면 이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단부(Wa)를 암부재(2)내에 있어서 협지용 각부(11)에 의해 사이에 끼워 부착하고 있는 수부재(1)에도 인출개구(20)측을 향한 힘이 작용되게 되나, 이와 같은 힘이 작용되면 이와 같이 경사진 상기 체결용 내벽부(22)에 의해 협지용 각부(11)는 더욱 더 상기 단부(Wa)를 사이에 끼워 부착하는 방향으로 강고하게 휘어져 들어오게 되기 때문에, 사이에 끼워 부착되어 있는 이 단부(Wa)는 상기 장력작용시에도 협지용 각부(11) 사이로부터 즉, 암부재(2)내로부터 빠져나가기 어렵고, 이단부(Wa)의 커버상태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암부재(2)의 인입개구(21)측에 있어서는 이 암부재(2)의 한쌍의 짧은 치수측의 내벽부(23) 사이의 간격은 수부재(1)의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의 선단부의 외면부 사이(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예에서 후술하는 위치결정용 돌기(17)의 돌출단부간)의 치수보다 약간 크지만, 이 한쌍의 짧은 치수측의 내벽부(23) 사이의 간격은 여기부터 인출개구(20)측을 향하여 상기 체결용 내벽부(22)에 의해서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부재(1)의 협지용 각부(11)에 협지되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에 대한 스파이크로서 기능하는 돌기(12)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2이상의 협지용 각부(11,11…), 도시된 예에서는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 사이에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단부(Wa)를 인입시킨 상태에서 이 협지용 각부(11)를 암부재(2)내에 인입시킴에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휘어져 들어오게 되는 협지용 각부(11)에 의해 걸리는 단부(Wa)에 상기 돌기(12)를 찌르게 하거나 또는 꽂을 수 있게 할 수 있고, 이 돌기(12)에 의해서 걸리는 단부(Wa)를 한층 더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수부재(1)의 두부(10)는 협지용 각부(11)의 돌출측의 면과 반대측을 돔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협지용 각부(11)를 암부재(2)내에 완전히 인입한 위치에 있어서 이 두부(10)에 의해 암부재(2)의 인입개구(21)를 폐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는 이 한쌍의 협지용각부(11,11)의 선단부와 반대측의 단부간에 걸치는 기부편(13)에 의해 이 반대측의 단부에서 서로 연접되어 있다. 즉, 이러한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와 이 기부편(13)은 전체적으로 ㄷ자형상을 이루도록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는 각각 이 기부편(13)과의 연접측을 대략 중심으로 해서 그 선단부측을 타측의 협지용 각부(1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러한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는 각각 타측의 협지용 각부(11)를 마주 대하는 측으로 상기 돌기(12)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이러한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의 일측에는 이 일측의 협지용 각부(11)에 있어서의 타측의 협지용 각부(11)에 마주 대하는 측에 있어서, 그 선단부측에서 기부편(13)과의 연접측을 향해 연장되는 홈형상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의 일측에 있어서는 이 홈형상부(14)를 사이에 둔 양측에 각각 상기 돌기(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12)는 상기 홈형상부(14)를 사이에 둔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서 한 조를 이루는 동시에, 도시된 예에서는 이 한 조의 돌기(12,12)가 이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의 일측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2개소에 구비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의 타측에는 이 타측의 협지용 각부(11)에서의 일측의 협지용 각부(11)에 마주 대하는 측에 있어서, 상기 돌기(12)가 1개 형성되어 있다. 이 타측의 협지용 각부(11)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12)는 이러한 타측의 협지용 각부(11)의 폭방향의 거의 중간위치에서 일측의협지용 각부(11)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이러한 타측의 협지용 각부(11)의 돌기(12)는 이 협지용 각부(1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협지용 각부(11)에서 2개소에 형성된 한 조의 돌기 (12,12) 사이에 그 돌출단부를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에 형성된 돌기(12)는 각각 그 돌출단부를 첨예하게 한 외곽형상이 원추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돌기(12)의 기부에서 돌출단부를 향함에 따라 점차 협지용 각부(11)의 선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시된 예에 있어서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 사이에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단부(Wa)를 인입시킨 후, 이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를 암부재(2)내로 인입시킴으로써 휘어져 들어오게 되는 협지용 각부(11)에 의해 상기 각 돌기(12)를 이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에 확실히 파고들게 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각 돌기(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이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에 장력이 작용되었을 때에는 보다 깊게 이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에 돌기(12)가 파고들고, 이러한 장력의 작용에 의해서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사이에 끼워져 부착된 상태가 한층 더 풀리기 어려워지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일측의 협지용 각부(11)의 돌기(12)와 타측의 협지용 각부(11)의 돌기(12)는, 협지용 각부(1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서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단부(Wa)에 꽂히거나 또는 찌르고, 또한 협지용 각부(11)의 폭방향에 있어서 일측의 협지용 각부(11)의 한 조의 돌기(12) 사이에 있어서 타측의 협지용 각부(11)의돌기(12)가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단부(Wa)에 꽂히거나 또는 찌르게 되어 있기 때문에,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에 의해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단부(Wa)를 강고하게 사이에 끼워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일측의 협지용 각부(11)에는 상기 홈형상부(1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돌기(12)의 꽂힘 내지 찌름에 의해서 변형된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단부(Wa)의 일부를 이 홈형상부(14)에 의해 들어가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단부 커버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일측의 협지용 각부(11)의 돌기(12)와 타측의 협지용 각부(11)의 돌기(12)는 암부재(2)내로의 인입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이 인입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수부재(1)를 본 상태에 있어서, 서로의 돌기(12)가 오버랩되지 않게 하여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사이에 대한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단부(Wa)의 인입은 지장없이 이룰 수 있는 한편, 이 협지용 각부(11)를 암부재(2)내로 완전히 인입한 상태에 있어서는 이 인입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수부재(1)를 본 상태에 있어서, 서로의 돌기(12)를 오버랩하게 하여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사이에 있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단부(Wa)에 서로의 돌기(12)를 찌르거나 또는 꽂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일측의 협지용 각부(11)에서의 타측의 협지용 각부(11)에 마주 대하는 측과 반대의 외면부와 상기 홈형상부(14)의 홈바닥까지의 간격이, 타측의 협지용 각부(11)에서의 일측의 협지용 각부(11)에 마주 대하는 측의 내면부와 이와 반대의 외면부 사이의 간격과 거의 동일하지만, 일측의 협지용 각부(11)에서의 타측의 협지용 각부(11)에 마주 대하는 측과 반대의 외면부와 홈형상부(14)의 홈입구까지의 간격은 이보다 크기 때문에,이 일측의 협지용 각부(11)를 타측의 협지용 각부(11)와 거의 동일하도록 탄성변형하게 하는 관점에서, 일측의 협지용 각부(11)와 기부편(13)의 연접개소로서, 이 일측의 협지용 각부(11)에서의 타측의 협지용 각부(11)에 마주 대하는 측에, 상기 홈형상부(14)의 홈벽의 일부를 노치하도록 한 노치부(15)를 형성시키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부재(1)의 협지용 각부(11)를,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에 장력이 작용되었을 때 이 장력의 작용에 따르는 암부재(2)의 인출개구(20)측을 향한 협지용 각부(11)의 이동을 탄성변형하면서 허용하게 하는 연접체(16)를 통해, 두부(10)에 연접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장력이 작용되었을 때 암부재(2)내로의 인입에 의해서 휘어져 들어오게 된 협지용 각부(11)에 의해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을 암부재(2)내에서 파지하고 있는 수부재(1)의 협지용 각부(11)를, 이 장력에 의해 암부재(2)내로부터 빠져나가려 하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고, 이러한 장력에 의해서도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단부(Wa)에 대한 협지용 각부(11)의 파지위치에 어긋남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이, 이 단부(Wa)의 파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이러한 장력의 작용이 없어진 경우에는 상기 연접체(16)의 탄성복귀에 의해 협지용 각부(11)를 다시 소기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상기 연접체(16)를 상기 기부편(13)에서의 협지용 각부(11)와의 연접측과 반대측으로 해서, 이 기부편(13)의 길이방향의 거의 중간위치에 스프링일단부(16b)를 일체로 연접시킴과 아울러, 상기 두부(10)에서의 돔형상으로 구성된 측과 반대측의 면의 거의 중앙부에 스프링타단부(16c)를 일체로 연접시키고, 또한, 이 스프링일단부(16b)와 스프링타단부(16c) 사이에서의 2개소에서 굴곡되어 사행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형상 굴곡편(16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이 장력이 작용되면, 상기 스프링형상 굴곡편(16a)의 2개소의 굴곡개소(16d,16d)와 스프링일단부(16b) 및 스프링타단부(16c) 사이의 피치를 넓히도록 이 스프링형상 굴곡편(16a)이 탄성변형되어서 협지용 각부(11)의 상기 이동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도 3)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한쌍의 협지용 각부(11,11)의 선단부로서, 타측의 협지용 각부(11)에 마주 대하지 않는 측에, 협지용 각부(11)의 기부편(13)과의 연접측에 걸어맞춤면(17a)을 향한 위치결정용 돌기(17)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암부재(2)의 체결용 내벽부(22)의 인출개구(20)측의 종단부와 이 인출개구(20)의 가장자리부의 사이에, 이 인출개구(20)측에 단차면(24a)을 향한 단턱부(24)가 형성되어 있어, 암부재(2)내에 수부재(1)의 협지용 각부(11)가 완전히 인입함에 따라서 상기 위치결정용 돌기(17)의 걸어맞춤면(17a)이 상기 단차면(24a)에 인출개구(20)측으로부터 걸리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장력이 작용되지 않게 된 후에 상기 연접체(16)의 탄성복귀에 의해 필요이상으로 협지용 각부(11)가 인입개구(21)측으로 이동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암부재(2)에 대한 수부재(1)의 협지용 각부(11)의 인입에 따라서 이 위치결정용 돌기(17)를 주로 하여 상기 체결용 내벽부(22)에 접하게 해서 이 협지용 각부(11)가 휘어져 들어오게 되어 있고, 이 인입을 부드럽게 하는 관점에서 위치결정용 돌기(17)에서의 협지용 각부(11)의 선단부를 향한 측에는 이 위치결정용 돌기(17)의 돌출단부에 근접함에 따라서 이 위치결정용 돌기(17)를 가늘게 하는 방향으로 걸어맞춤면(17a)측으로 점차 경사진 경사면(17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용 돌기(17)는 이 위치결정용 돌기(17)의 돌출단부가 상기 단차면(24a)의 앞에 인입한 위치에 대한 협지용 각부(11)측의 약간의 탄발에 의해서 이러한 단차면(24a)에 걸리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부재(1)의 두부(10)와 암부재(2)의 인입개구(21)측 중 어느 일측에, 이들의 타측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25)에 대해서 암부재(2)내로 수부재(1)의 협지용 각부(11)를 완전히 인입한 위치에서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부(18a)를 형성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부재(1)의 2이상의 협지용 각부(11,11…)사이에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W)의 단부(Wa)를 인입시킨 상태에서 암부재(2)내로 이 협지용 각부(11)를 완전히 인입함으로써 만들어진 이 단부(Wa)를 커버시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수부재(1)의 두부(10)에서의 상기 돔형상을 이루는 면과 반대측에 있는 면으로서, 상기 연접체(16)를 사이에 둔 양측에 각각 암부재(2)에 수부재(1)의 협지용 각부(11)를 완전히 인입하기 직전의 단계에 있어서, 이 인입개구(21)로부터 암부재(2)내에 인입되는 돌편(1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편(18)은 상기 연접체(16)에 마주 대하지 않는 측을 암부재(2)의 짧은 치수측의내벽부(23)에 마주 대하도록 해서 암부재(2)내에 인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한쌍의 돌편(18,18)의 선단부측에 있어서의 암부재(2)의 짧은 치수측의 내벽부(23)에 마주 대하게 되는 측에 걸어맞춤 돌기부(18b)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암부재(2)의 한쌍의 단변측의 내벽으로서, 그 인입개구(21)측에 각각 이 인입개구(21)의 개구부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18b)가 인입되는 오목부(25a)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한쌍의 돌편(18,18)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부(18b)의 돌출단부 사이의 간격이 암부재(2)의 인입개구(21)의 개구부 가장자리측의 한쌍의 짧은 치수측의 내벽부(23,23)사이의 치수보다도 약간 커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암부재(2)내로 수부재(1)의 협지용 각부(11)를 인입하게 함에 따라서 암부재(2)의 짧은 치수측의 내벽부(23)에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18b)를 눌러 맞추게 하고, 이 눌러 맞춤에 의해 주로 상기 돌편(18)측을 일단 내향으로 탄성변형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이 암부재(2)내로 수부재(1)의 협지용 각부(11)를 완전히 인입시킨 위치에서 이 걸어맞춤 돌기부(18b)의 탄발에 의해 상기 오목부(25a)에 인입하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수부재(1)가 암부재(2)내로부터 협지용 각부(11)를 빠져 나가게 하는 방향으로 다시 이동하는 일이 없도록 이 수부재(1)와 암부재(2)를 원터치로 조립할 수 있다.
즉,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수부재(1)측의 걸어맞춤 돌부(18b)가 상기 걸어맞춤부(18a)로서, 또 암부재(2)측의 상기 오목부(25a)가 상기 피걸어맞춤부(25)로서각각 기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수부재(1)의 걸어맞춤 돌기부(18b)에서의 상기 돌편(18)의 선단부측을 향한 면이 이 걸어맞춤 돌기부(18b)의 돌출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이 걸어맞춤 돌기부(18b)를 가늘게 하는 방향으로 이 돌편(18)의 기부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8c)이 되어 있어, 암부재(2)내에 대한 이 돌편(18)의 인입에 과도한 저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단부 커버에 의하면,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에 대해 용이하게 또한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 단부의 커버상태를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7)

  1. 두부와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을 협지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2이상의 협지용 각부를 구비한 수부재와,
    통의 일단부를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인출개구로 하고, 또한 통의 타단부를 수부재의 협지용 각부의 인입개구로 한 통형상을 이루는 암부재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암부재에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을 사이에 인입시킨 상태에서 인입개구로부터 암부재내에 인입되는 수부재의 협지용 각부를, 상기 인입에 따라서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을 사이에 끼워 부착하는 방향으로 휘어져 들어오게 하는 체결용 내벽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암부재의 체결용 내벽부가 인출개구에 근접함에 따라서 상기 암부재의 내부공간을 작게 하도록 경사진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 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부재의 협지용 각부에 협지되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에 대한 스파이크로서 기능하는 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 커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수부재의 협지용 각부에 협지되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에 대한 스파이크로서 기능하는 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 커버.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부재의 협지용 각부를,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에 장력이 작용되었을 때 상기 장력의 작용에 따르는 암부재의 인출개구측을 향한 협지용 각부의 이동을 탄성변형하면서 허용시키는 연접체를 통해 두부에 연접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 커버.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부재의 두부와 암부재의 인입개구측 중 어느 일측에, 이들 타측에 형성된피걸어맞춤부에 대해서 암부재내에 수부재의 협지용 각부를 완전히 인입한 위치에서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 커버.
  7. 청구항 5에 있어서,
    수부재의 두부와 암부재의 인입개구측 중 어느 일측에, 이들 타측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에 대해서 암부재내에 수부재의 협지용 각부를 완전히 인입한 위치에서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 커버.
KR20030041896A 2002-12-24 2003-06-26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 커버 KR100472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72862A JP4040451B2 (ja) 2002-12-24 2002-12-24 紐状ないしは帯状物の端部カバー
JPJP-P-2002-00372862 2002-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886A true KR20040057886A (ko) 2004-07-02
KR100472062B1 KR100472062B1 (ko) 2005-03-14

Family

ID=32811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41896A KR100472062B1 (ko) 2002-12-24 2003-06-26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 커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040451B2 (ko)
KR (1) KR100472062B1 (ko)
TW (1) TW2004106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6099B2 (ja) 2005-01-28 2010-07-07 Ykk株式会社 紐止め具
JP4528687B2 (ja) * 2005-07-26 2010-08-18 Ykk株式会社 紐止め具
KR200442058Y1 (ko) * 2007-04-25 2008-10-08 천종태 도복 띠 마감 부재
JP5185775B2 (ja) * 2008-10-29 2013-04-17 大阪美錠工業株式会社 ストラップ用連結具
WO2010073340A1 (ja) * 2008-12-25 2010-07-01 Ykk株式会社 コードエンドストッパー
CN102573556B (zh) * 2009-09-30 2015-05-20 Ykk株式会社 拉链用的拉头以及使用该拉头的物品
JP2012246575A (ja) * 2011-05-25 2012-12-13 Hara Doki Kk 弾性ロープと外部部材との接続方法
JP2013022678A (ja) * 2011-07-20 2013-02-04 Hara Doki Kk 携帯物の落下防止用安全ロープ
JP6118035B2 (ja) * 2012-04-06 2017-04-19 株式会社ニフコ 紐端部装着具
GB201212067D0 (en) * 2012-07-06 2012-08-22 Greaves Christine E Detachable sheath for a clothes belt
ITUA20164479A1 (it) * 2016-06-17 2017-12-17 Emplast S R L Dispositivo terminale per una estremità di un mezzo a corda
IT201900001935A1 (it) * 2019-02-11 2020-08-11 Riri Sa Fermacord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40451B2 (ja) 2008-01-30
JP2004204376A (ja) 2004-07-22
KR100472062B1 (ko) 2005-03-14
TW200410647A (en) 200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062B1 (ko)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 커버
US7650676B2 (en) Buckle
JP3416437B2 (ja) 紐端止め具
US6460232B2 (en) Buckle
KR100992297B1 (ko) 버클
KR100713768B1 (ko) 끈 고정구
KR101213328B1 (ko) 버클
KR950003345Y1 (ko) 버클 조립체
TWI457087B (zh) Offset buckle
KR101122411B1 (ko) 버클
US8336173B2 (en) Clip assembly
TWI528912B (zh) buckle
US8261417B2 (en) Buckle
US20130287517A1 (en) Two-piece clip
US10718404B2 (en) Cord lock
SK283905B6 (sk) Zvierka
US6995319B2 (en) Cord end cover
JP2003054508A (ja) ストラップを突刺す係止装置を備える低挿入力のケーブルタイ
KR100298675B1 (ko) 버클
KR100737658B1 (ko) 버클
TW201631268A (zh) 繩索鎖定具
KR100561773B1 (ko) 사이드 릴리스 타입의 버클 및 배낭
JP4593093B2 (ja) 軟質ボードへの取り付け用ピン
KR100229215B1 (ko) 클립
JPH116545A (ja) ボールチェーン用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