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058Y1 - 도복 띠 마감 부재 - Google Patents

도복 띠 마감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058Y1
KR200442058Y1 KR2020070006863U KR20070006863U KR200442058Y1 KR 200442058 Y1 KR200442058 Y1 KR 200442058Y1 KR 2020070006863 U KR2020070006863 U KR 2020070006863U KR 20070006863 U KR20070006863 U KR 20070006863U KR 200442058 Y1 KR200442058 Y1 KR 200442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bok
belt
strip
finishing member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종태
Original Assignee
천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종태 filed Critical 천종태
Priority to KR2020070006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058Y1/ko
Priority to PCT/KR2008/002308 priority patent/WO200813343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0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9/00Devices or methods for trimming, levelling or straightening the hems of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Abstract

본 고안은 도복 띠 마감 부재에 관한 것으로 도복 띠 양측 말단부에 합성수지를 비롯하여 다양한 재질로서 형성되는 마감 부재를 개재하고, 이어 봉제 작업을 통해 고정함으로써 공정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인력의 재배치와 작업효율 극대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 도모를 이루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복 띠 마감 부재(1)는,
전체 형상이 두게가 얇은 판상형의 중공 직육면체로서,
직육면 가운데 도복 띠를 수납 고정할 수 있도록 일면을 개방하여 요입부를 형성하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폐쇄되도록 하되,
상기 폐쇄된 직육면 가운데 가장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두 부분으로 광고문양을 비롯하여 도복 띠 사용자의 신상명세 등을 기록할 수 있는 여백으로 형성하여 다용도 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복 띠, 마감 부재, 봉제

Description

도복 띠 마감 부재{finishing materials of suit belt}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도복 띠 마감 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평면도 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도복 띠 마감 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2의 단면 상태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도복 띠 마감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은 도 4의 단면 상태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마감 부재 10;요입부 11;정면 12;배면
13;연장부 14;봉제선 15;사각봉제
100;도복 띠
삭제
삭제
본 고안은 도복 띠 마감 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권도를 비롯 하여 유도나 합기도 등 각종 무술 수련시 착용하는 도복 상의를 단정히 하기 위한 도복 띠에 있어서; 상기 도복 띠의 양측 말단부에 다양한 재질을 통해 형성되는 마감 부재를 개재한 도복 띠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복 띠는 태권도를 비롯하여 유도, 합기도, 검도 등과 같이 각종 무예를 수련할 때 착용하는 도복의 옷 매무새를 단정히 함과 아울러 도복 착용자의 등급을 표시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복 띠는 직물을 이용하여 일정한 폭과 길이로서 형성되며, 착용감과 두께감을 위해 두 겹 내지는 그 이상으로 겹쳐 봉제를 통해 구비된다.
특히 근래에는 도복 띠의 대량생산을 위해 자동화 기기를 통해 생산하고 있으며, 이는 재료가 되는 직물을 공급함과 아울러 자동화 기기를 통해 폭과 길이가 자동 조절되어 생산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자동 생산되는 도복 띠는 양측 말단부, 즉 절단면이 겹쳐지는 도복 띠 상간으로 마감처리되지 못하고 외방으로 노출된 상태로 생산되고, 이렇게 노출된 단부를 방치할 경우 직물의 특성상 실오라기가 풀어지는 현상을 유발하였다.
그리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생산된 도복 띠를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봉제부분을 제거하고, 절단면을 도복 띠 상간으로 마감처리 한 후 다시 봉제처리하여 도복 띠의 생산을 완료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도복 띠 말단부의 재처리를 위해 작업인력의 배치는 물론 수작업에 의한 작업특성으로 생산성 저하는 물론 인력증원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유발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것으로, 도복 띠 양측 말단부에 합성수지를 비롯하여 다양한 재질로서 형성되는 마감 부재를 개재하고, 이어 봉제 작업을 통해 고정함으로써 공정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인력의 재배치와 작업효율 극대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 도모를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복 띠 마감 부재(1)는 전체 형상이 두께가 얇은 판상형의 중공 직육면체로서,
직육면 가운데 도복 띠(100)를 수납 고정할 수 있도록 일면을 개방하여 요입부(10)를 형성하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폐쇄되도록 함과 아울러 직육면 가운데 가장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두 부분으로 광고문양 또는 상표로 표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도복 띠 마감 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평면도 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도복 띠 마감 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 용상태도, 도 3은 도 2의 단면 상태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도복 띠 마감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은 도 4의 단면 상태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도복 띠 마감 부재(1)를 도시한 정면도와 평면도 등의 구성도로서, 도복 띠 마감 부재(1)는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전체 형상이 두께가 얇은 판상형의 중공 직육면체로서,
직육면 가운데 도복 띠(100)를 수납 고정할 수 있도록 일면을 개방하여 요입부(10)를 형성하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폐쇄되도록 한다. 또한 요입부(10)에 도복 띠(100)을 삽입후 봉제선(14)을 가짐으로서 도복띠(100)와 마감부재(1)의 결합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직육면 가운데 가장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두 부분(도면상 정면과 배면)으로 광고문양 또는 상표를 비롯하여 도복 띠(100) 사용자의 신상명세 등을 기록할 수 있는 여백으로 형성하여 다용도 공간으로의 활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이 적용된 도복 띠 마감 부재(1)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은 형태로서 적용가능한데, 이는 자동화 기기를 통해 생산된 도복의 양측 말단부를 마감 부재(1)의 요입부(10)를 통해 수납하고, 이어 봉제 가공을 통해 마감 부재(1)와 도복 띠(100)를 체결함으로써 마감 부재(1)의 적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마감 부재(1)는 도복 띠(100)를 수납한 후 봉제 가공을 통해 고정되므로, 이러한 작업 공정상의 특징을 감안할 때 마감 부재(1)는 연질(軟質)의 합성수지, 천, 내자, 가죽 내지 고무 등의 재질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인 도복 띠 마감 부재(1)는 표면적이 다른 면에 비해 넓은 정면(11)과 배면(12)으로 수련자의 신상명세를 기록하거나, 또는 대부분 무술 수련이 사설 체육관을 통해 실시됨을 감안하여 체육관 주위 상업시설의 광고를 적용하여 광고매체로서의 역할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본 고안인 도복 띠 마감 부재(1)는 상기한 설명에 국한되지 않고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서도 실시 가능하다.
이는 먼저 전체 직육면체의 중공형에서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일면은 개방한 요입부(10)를 형성하고, 타면은 폐쇄된 구조를 가지되, 요입부의 일측면만을 연장하여된 연장부(13)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이처럼 요입부 일측을 연장하여된 연장부(13)는 마감 부재(1) 일측면의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광고 및 투기종목운동 품세 동작을 표현할 수 있는 공간확보의 용이성이 향상되며, 나아가 증가된 표면적으로 도복 띠(100)를 보다 넓게 수납함과 아울러 사각봉제(15)와 같이 면적을 증대시켜 마감 부재(1)의 장착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도복 띠 마감 부재(1)는,
생산된 도복 띠(100) 양측 말단부에 봉제 가공을 통해 장착되므로 도복 띠(100) 생산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야기되는 말단부의 가공 공정을 획기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다.
이는 본 고안인 도복 띠 마감 부재(1)가 적용되지 않은 종래의 경우 생산된 도복 띠(100)를 개별적으로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봉제부위를 제거한 후 마감처리를 다시 하여 봉제작업으로 마무리하는 번거로운 작업 공정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본 고안인 도복 띠 마감 부재를 사용할 경우 상기한 작업 공정을 대체하여 단지 마감 부재만을 도복 띠 양측 말단에 장착함으로써 완벽한 마감처리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도복 띠 마감 부재는 도복 띠 생산 공정의 간소화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작업인력의 축소로 이어져 산업 현장의 인원 감소는 물론 작업 인원의 재배치를 통해 생산성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마감 부재의 표면을 통해 광고 등의 부가적인 역할 수행이 가능하여 도복 띠의 기능성 향상과 이로 인한 경제적 이익 창출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6)

  1. 도복 띠 마감 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도복 띠 마감 부재(1)는,
    전체 형상이 두께가 얇은 판상형의 중공 직육면체로서,
    직육면 가운데 도복 띠를 수납 고정할 수 있도록 일면을 개방하여 요입부(10)를 형성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폐쇄되도록 하되,
    상기 폐쇄된 직육면 가운데 가장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두 부분으로 광고문양 또는 상표를 비롯하여 도복 띠 사용자의 신상명세 등을 기록할 수 있는 여백으로 형성하여 다용도 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복 띠 마감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복 띠 마감 부재는,
    전체 형상이 판상을 이루는 바(bar)형의 중공 직육면체로서,
    직육면 가운데 도복 띠를 수납 고정할 수 있도록 일면을 개방하여 요입부(10)를 형성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폐쇄되도록 하되,
    요입부(10)의 일측면만을 연장하여 된 연장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복 띠 마감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마감 부재(1)의 재료가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천 또는 고무 또는 가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복 띠 마감 부재
  4. 제1항에서 요입부(10)에 도복 띠(100)를 수납한 후 봉제선(14)으로 도복띠(100)와 마감부재(1)의 결합을 가지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복 띠 마감 부재.
  5. 제2항에서 요입부(10)에 도복 띠(100)를 수납한 후 사각봉제선(15)으로 도복띠(100)와 마감부재(1)의 결합을 가지게 함으로서 결합 면적을 증대시켜 마감 부재(1)의 장착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복 띠 마감 부재.
  6. 제2항에 있어서 요입부(10)의 일측면만을 연장하여 된 연장부(13)의 표면에 광고 및 투기종목운동 품세 동작을 표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복 띠 마감 부재
KR2020070006863U 2007-04-25 2007-04-25 도복 띠 마감 부재 KR200442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863U KR200442058Y1 (ko) 2007-04-25 2007-04-25 도복 띠 마감 부재
PCT/KR2008/002308 WO2008133435A1 (en) 2007-04-25 2008-04-23 Finishing means for martial art suit be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863U KR200442058Y1 (ko) 2007-04-25 2007-04-25 도복 띠 마감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058Y1 true KR200442058Y1 (ko) 2008-10-08

Family

ID=3992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863U KR200442058Y1 (ko) 2007-04-25 2007-04-25 도복 띠 마감 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42058Y1 (ko)
WO (1) WO20081334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212067D0 (en) * 2012-07-06 2012-08-22 Greaves Christine E Detachable sheath for a clothes belt
JP6828437B2 (ja) * 2015-08-06 2021-02-10 東レ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および粘着フィルムロー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7661A (en) * 1999-04-23 2000-05-30 Bates; Thomas P. Belt with a pouch
US6757944B2 (en) * 2002-04-17 2004-07-06 Illinois Tool Works Inc. Side release buckle with spring
US6941585B2 (en) * 2002-07-25 2005-09-13 James D. Wells, Jr. Ballistic protection apparatus
JP4040451B2 (ja) * 2002-12-24 2008-01-30 株式会社ニフコ 紐状ないしは帯状物の端部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33435A1 (en) 200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877820A (en) Game appliance
DK1684606T3 (da) Hurtigt påsætteligt hårstykke udstyret med et vævebånd der er fuldstændigt integreret i grundhår, og fremgangsmåde til påsætning deraf
KR200442058Y1 (ko) 도복 띠 마감 부재
US8851090B2 (en) Golf towel
US3384372A (en) Football dummy with protective handgrips
US8091701B1 (en) Magnetic brush protector and storage apparatus
JP2001246039A (ja) ゴルフティー挿入ポケットを備えるゴルフグローブ
US20110179550A1 (en) Glove and attachment therefor
US8387669B2 (en) Golf club head covers and related methods
DE60206591D1 (de) Vorrichtung zum Ultraschallschweissen eines Verstärkungsbandes mit einem Verschlussband für einen Reissverschluss
US20080252029A1 (en) Hockey bag
US10609978B2 (en) Golf cap having ball marker
US20180021644A1 (en) Belt Clip Dual Cleaning Golf Brush with Ball Marker
CN203989663U (zh) 体育运动保护垫
KR101305912B1 (ko) 모발 볼륨 업 부분 가발
KR102422487B1 (ko) 골프 아이언용 헤드 커버
JP3206991U (ja) キャリーバック
CN208626580U (zh) 一种跆拳道护胸
KR101839474B1 (ko)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
US2922165A (en) Carpenters' aprons
US20130139293A1 (en) Pattern design for the finger portions of a glove
CN204840846U (zh) 一种带全防水功能的高尔夫球包
CN205671701U (zh) 证件卡套
CN213523904U (zh) 一种方便快速穿戴的dr辐射防护用专用服
CN204111990U (zh) 粘扣带织造起孔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